KR20120081133A - 전동 이륜차 - Google Patents

전동 이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133A
KR20120081133A KR1020127009362A KR20127009362A KR20120081133A KR 20120081133 A KR20120081133 A KR 20120081133A KR 1020127009362 A KR1020127009362 A KR 1020127009362A KR 20127009362 A KR20127009362 A KR 20127009362A KR 20120081133 A KR20120081133 A KR 2012008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ectric
storage box
power receiving
whee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362B1 (ko
Inventor
마사노리 나카무라
료 사토
다카스미 야마나카
히데아키 나카가와
다츠야 미나가와
데츠로 호소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3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41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35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7230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8/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not provided for in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1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 B62J11/19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6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2J43/28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hidden within the cy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under the sa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53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moving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and to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61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parallel to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53Details concerning the inlet box or bowl in the vehicle car body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40Electrical machine applications
    • B60L2220/46Wheel motors, i.e. motor connected to only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6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후륜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탑승자가 착석하는 승차용 시트와, 승차용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와, 승차용 시트의 하측에서 수납 박스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배터리로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 전동 이륜차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120)로 덮이는 개구부(118)가 사이드 커버(48)에 마련되며,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를 삽입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67)가, 개구부(118)를 향하도록 사이드 커버(48)의 외면 및 수납 박스 사이에 고정,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로의 충전시에, 승차용 시트를 개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전동 이륜차{ELECTRICALLY DRIVEN TWO-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후륜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탑승자가 착석하는 승차용 시트와, 이 승차용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와, 상기 승차용 시트의 하측에서 상기 수납 박스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로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 전동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전동 모터가 발휘하는 구동력으로 후륜을 구동하여 주행하는 전동 스쿠터로서,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게 한 것이 특허문헌 1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333652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은, 배터리에 접속되는 충전기가 수납 박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기에 접속된 수전측(受電側) 접속 단자가 상기 수납 박스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충전 작업을 행할 때에는 수납 박스의 상측의 승차용 시트를 개방해야 하기 때문에, 충전 작업이 번잡해질 뿐만 아니라, 충전 상태에서는 승차용 시트를 개방 상태로 두어야 하므로, 승차용 시트의 폐쇄 상태에서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터리로의 충전시에, 승차용 시트를 개방할 필요가 없게 하여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한 전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후륜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탑승자가 착석하는 승차용 시트와, 이 승차용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와, 상기 승차용 시트의 하측에서 상기 수납 박스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로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 전동 이륜차로서,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로 덮이는 개구부가 상기 사이드 커버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를 삽입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가,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사이드 커버의 외면 및 상기 수납 박스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수전측 접속구에 대한 상기 급전측 접속구의 삽입 접속 방향이, 상기 수전측 접속구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속구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특징의 구성에 덧붙여, 수납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회동하여 기립 위치로 되는 메인 스탠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전측 접속구에 앞쪽으로부터 삽입 접속될 수 있는 상기 급전측 접속구의 삽입 접속 방향이, 앞쪽으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속구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제3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상기 덮개 부재가, 차량의 전후 방향 뒤쪽을 향해 조작됨으로써 개방 위치로 되도록 상기 사이드 커버에 지지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회동 축선이 후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정되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제4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상기 사이드 커버에, 그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상기 덮개 부재로 폐쇄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오목부에 마련되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제5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상기 수납 박스의 측벽의 일부에, 상기 수전측 접속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배치되는 수용 오목부가, 내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제6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 박스의 측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에, 이 프레임 부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착부를 갖는 스테이가 고정되고, 상기 부착부에 상기 수전측 접속구가 부착되는 것을 제7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제7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차체를 차폭 방향 일측으로 기울인 기립 상태로 유지하는 사이드 스탠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전측 접속구 및 상기 개구부가, 상기 차폭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스탠드가 배치되는 쪽에서 상기 수납 박스의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8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제8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상기 외부 전원에 충전기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급전측 접속구를 접속할 수 있는 상기 수전측 접속구가, 상기 수납 박스의 뒤쪽에 배치되는 DC-DC 컨버터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는 것을 제9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특징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는 덮개 부재가 힌지 기구를 통해 상기 사이드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조작자(操作子)의 비조작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록(lock) 상태 및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덮개 부재를 개방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언록 상태를 전환하는 폐쇄 유지 기구가,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사이드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제10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0 특징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덮개 부재가, 3개의 정부(頂部)를 가지며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정부 중 1개인 특정의 정부에서 상기 덮개 부재 및 사이드 커버 사이에 상기 폐쇄 유지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특정 정부의 대변부에서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힌지 기구를 통해 상기 사이드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제11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1 특징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각 정부 중 1개가 하측을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하여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사이드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제12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0?제12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사이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한쪽과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급전측 접속구에 연결되는 도선이 끼워지는 것을 제13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0?제13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상기 조작자에 의한 상기 폐쇄 유지 기구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 작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제14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4 특징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폐쇄 유지 기구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을 규제하는 규제 상태 및 상기 폐쇄 유지 기구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을 허용하는 규제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조작자를 가지며, 이 전환 조작자가 상기 수납 박스 내에서 조작 가능하게 이 수납 박스에 설치되는 것을 제15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5 특징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규제 수단 중 상기 전환 조작자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수납 박스 및 상기 사이드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제16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5 또는 제16 특징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규제 수단이, 회동 조작 가능한 손잡이인 상기 전환 조작자의 작동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17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0?제17 특징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덧붙여, 상기 덮개 부재의 외관 의장면에, 이 덮개 부재의 내측에 상기 수전측 접속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디자인 마킹이 실시되는 것을 제18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리어 프레임(29)이 본 발명의 프레임 부재에 대응하고, 실시형태의 고전압 배터리(36)가 본 발명의 배터리에 대응하며, 실시형태의 힌지 기구(107)가 본 발명의 힌지 기구에 대응하고, 실시형태의 개구부(118, 145)가 본 발명의 개구부에 대응하며, 실시형태의 오목부(119)가 본 발명의 오목부에 대응하고, 실시형태의 덮개 부재(120, 146)가 본 발명의 덮개 부재에 대응하며, 실시형태의 누름 버튼(152)이 본 발명의 조작자에 대응하고, 실시형태의 손잡이(161)가 본 발명의 전환 조작자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를 삽입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가, 사이드 커버에 마련된 개구부를 향하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 및 수납 박스 사이에 고정, 배치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를 상측에서 덮는 승차용 시트의 개폐 작업을 행할 필요 없이 승차용 시트를 폐쇄 상태로 하여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충전 작업이 용이해지고,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급전측 접속구의 수전측 접속구에 대한 삽입 접속 방향이, 차량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부터 수전측 접속구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되어 있어, 사이드 커버 및 수납 박스 사이에 수전측 접속구를 배치하여도, 수납 박스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급전측 접속구를 수전측 접속구에 삽입 접속할 때에, 메인 스탠드의 회동 지점(支點)에 작용하는 힘은, 메인 스탠드를 기립 위치측에 유지하는 방향이 되고, 급전측 접속구의 수전측 접속구로의 삽입 접속에 따라 메인 스탠드가 수납 위치측으로 원하지 않게 회동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덮개 부재는, 후상방으로 경사진 회동 축선 주위로 뒤쪽을 향해 조작됨으로써 개방 위치가 되고, 개방 상태에서 덮개 부재는 후하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충전시에, 바람의 작용 등에 의해 덮개 부재가 폐쇄측으로 회동하는 것을 극력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사이드 커버에 형성되고 덮개 부재로 폐쇄될 수 있는 오목부에, 수전측 접속구가 향하는 개구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분을 보강 리브로서 기능시켜 사이드 커버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사이드 커버의 내측을, 개구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오목부로 덮기 때문에, 수전측 접속구를 찾기 쉽게 할 수 있으며, 오목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자질구레한 부속품이 떨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수납 박스의 측벽의 일부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에 수전측 접속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배치함으로써, 수납 박스의 측벽 중 필요한 부분만을 오목하게 하여 수전측 접속구가 사이드 커버 및 수납 박스 사이에 배치됨에 따른 수납 박스의 용적 감소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수납 박스의 측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는 스테이에, 프레임 부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착부가 설치되고, 그 부착부에 수전측 접속구가 부착되기 때문에, 수전측 접속구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외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를 프레임 부재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차체를 차폭 방향 일측으로 기울인 기립 상태로 유지되는 사이드 스탠드가 배치되는 쪽에서, 상기 수납 박스의 측방에 수전측 접속구 및 개구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이드 스탠드를 기립시킨 주차 상태에서의 충전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외부 전원에 충전기를 통해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를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가, 수납 박스의 뒤쪽에 배치되는 DC-DC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에 접속되기 때문에, 배터리로부터 수전측 접속 단자측으로의 역류가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따르면, 개구부를 덮는 덮개 부재를 폐쇄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폐쇄 유지 기구가, 개구부의 근방에서 사이드 커버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덮개 부재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록 상태로부터 덮개 부재를 개방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언록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조작자의 배치 위치를 신속히 찾아낼 수 있고, 조작자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덮개 부재를 개방하여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충전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조작자를 언록 상태로 해두면, 언제나 덮개 부재를 즉시 개방 상태로 할 수 있어 신속한 충전이 가능해지고, 필요에 따라 조작자를 록 상태로 하면, 덮개 부재를 제삼자가 개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어, 사용성에 맞춘 선택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특징에 따르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덮개 부재의 3개의 정부 중 1개인 특정 정부에서 덮개 부재 및 사이드 커버 사이에 폐쇄 유지 기구가 설치되고, 특정 정부의 대변부에서 덮개 부재가 힌지 기구를 통해 사이드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생기는 덮개 부재 및 사이드 커버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하여 조작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에 따르면, 대략 삼각 형상인 덮개 부재가,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1개의 정부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자세가 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에 부착된 빗물 등을 하측 위치의 정부측에 모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특징에 따르면, 급전측 접속구에 연결되는 충전 코드가, 폐쇄 상태에 있는 덮개 부재와 사이드 커버 사이에서, 덮개 부재와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한쪽과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끼워지기 때문에, 충전 중에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특징에 따르면, 폐쇄 유지 기구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 작동을 규제 수단으로 규제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작자에 의한 폐쇄 유지 기구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 작동을 규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제15 특징에 따르면, 규제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환 조작자는 수납 박스 내에서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사용성에 맞춘 폐쇄 유지 기구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6 특징에 따르면, 규제 수단 중 전환 조작자를 제외한 부분이 수납 박스 및 사이드 커버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규제 수단의 컴팩트화를 도모하고, 규제 수단 및 폐쇄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충전구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특징에 따르면, 규제 조작자가 손잡이이며, 규제 수단이 기계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비용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규제 수단을 작동시키는 동력원을 필요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8 특징에 따르면, 덮개 부재의 내측에 수전측 접속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디자인 마킹이 덮개 부재의 외관 의장면에 실시되기 때문에, 충전 작업을 행할 때에, 수전측 접속구(67)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어 충전 작업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전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2는 차체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전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3은 전기 계통의 개략 계통도이다.(제1 실시예)
도 4는 도 2의 4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예)
도 5는 배터리 박스 및 냉각 공기 도입 덕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예)
도 6은 언더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1의 6-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7은 도 6의 7-7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8은 레그 실드 및 리드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예)
도 9는 도 2의 9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예)
도 10은 도 9의 10 화살표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제1 실시예)
도 11은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예)
도 12는 도 11의 12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예)
도 13은 도 11의 13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예)
도 14는 사이드 커버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15는 실시예 2의 전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제2 실시예)
도 16은 승차용 시트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15의 16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2 실시예)
도 17은 도 16의 17-1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2 실시예)
도 18은 충전 상태에서의 도 15의 주요부를 덮개 부재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제2 실시예)
도 19는 사이드 커버를 생략하고 수납 박스를 우측방에서 본 도면이다.(제2실시예)
도 20은 폐쇄 유지 기구 및 규제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제2 실시예)
(부호의 설명)
23: 전동 모터
29: 프레임 부재인 리어 프레임
31: 사이드 스탠드
34: 메인 스탠드
36: 배터리인 고전압 배터리
38: 수납 박스
38b: 수용 오목부
39: 승차용 시트
48: 사이드 커버
65: 충전기
66: 급전측 접속구
67: 수전측 접속구
68: DC-DC 컨버터
116: 스테이
116a: 부착부
117: 삽입 접속 방향
118, 145: 개구부
119: 오목부
120, 146: 덮개 부재
122: 도선
147: 힌지 기구
150: 디자인 마킹
151: 폐쇄 유지 기구
152: 조작자인 누름 버튼
160: 규제 수단
161: 전환 조작자인 손잡이
127: 탄성 부재
B: 차체
P1, P2, P3: 정부
PS: 외부 전원
WR: 후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도 1?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있어서, 이 전동 이륜차는, 저상(低床) 플로어(44)를 갖는 스쿠터형 전동 이륜차로서, 구동륜인 후륜(WR)의 차축(21)을 후방부에서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22)에 내장된 전동 모터(23)가 발휘하는 회전 동력으로, 상기 후륜(WR)이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있어서, 이 전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24) 및 이 프론트 포크(24)의 상부에 연결된 조향 핸들(25)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26)와, 이 헤드 파이프(26)로부터 후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27)과, 이 다운 프레임(27)의 하부에 연결되고 뒤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언더 프레임(28…)과, 이들 언더 프레임(28…)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후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29…)을 구비한다.
상기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양 리어 프레임(29…)의 전방부에 설치된 피봇 플레이트(30…)에는, 차체(B)를 좌측으로 기울인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사이드 스탠드(31)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스윙 아암(22)의 전방부가 지지축(32)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양 리어 프레임(29…) 중 좌측의 리어 프레임(29)의 후방부 및 상기 스윙 아암(22)의 후방부 사이에는 리어 쿠션 유닛(3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윙 아암(22)의 전방부에는 메인 스탠드(34)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양 언더 프레임(28…) 사이에는 상기 전동 모터(2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예컨대 72 V의 고전압 배터리(36)를 내장시킨 배터리 케이스(37)가 양 언더 프레임(28…)으로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양 리어 프레임(29…) 사이에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스윙 아암(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8)가, 양 리어 프레임(29…)으로 지지되도록 배치되며, 이 수납 박스(38)는, 개폐 가능한 승차용 시트(39)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덮인다. 게다가, 수납 박스(38)의 후측 하부에는, 보조 기기, 예컨대 전조등(51), 미등(52) 및 제어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저전압, 예컨대 12 V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저전압 배터리(40)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38a)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F)은, 이 차체 프레임(F)과 함께 차체(B)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41)로 덮이는 것으로서, 이 차체 커버(41)는, 상기 헤드 파이프(26)를 앞쪽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커버(42)와, 상기 승차용 시트(39)에 앉은 탑승자의 다리부를 앞쪽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42)에 연결되는 레그 실드(43)와, 상기 승차용 시트(39)에 앉은 탑승자의 발을 얹도록 하여 상기 레그 실드(43)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28)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저상 플로어(44)와, 상기 양 언더 프레임(28…)을 양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상기 저상 플로어(44)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으로 하강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사이드 커버(45…)와, 상기 양 플로어 사이드 커버(45…)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를 연결하는 언더 커버(46)와,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을 앞쪽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저상 플로어(44)의 후단으로부터 상승하는 시트 하측 전방부 커버(47)와,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을 양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상기 시트 하측 전방부 커버(47)의 양측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커버(48…)와, 상기 후륜(WR)을 상측으로부터 덮어 상기 양 사이드 커버(48…)에 연결되는 리어 커버(49)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37)는, 차체 커버(41) 중 상기 저상 플로어(44), 플로어 사이드 커버(45…), 언더 커버(46), 시트 하측 전방부 커버(47) 및 사이드 커버(48…)로 덮인다.
상기 프론트 커버(42)의 전단에는, 상기 헤드 파이프(26)에 고정된 프론트 스테이(50)로 지지되도록 하여 전조등(51)이 설치되고, 상기 리어 프레임(29…)에는 미등(52)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포크(24)에는, 전륜(WF)을 상측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펜더(53)가 부착되고, 상기 후륜(WR)을 비스듬히 후방 상측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54)가 상기 리어 커버(49)에 연달아 설치되며, 상기 후륜(WR)을 비스듬히 전방 상측으로부터 덮는 펜더(55)가 상기 스윙 아암(22)의 전방부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조향 핸들(25)의 중앙부는 핸들 커버(56)로 덮여 있고, 프론트 커버(42)의 앞쪽에 배치되는 프론트 캐리어(57)가 상기 프론트 스테이(50)로 지지되며,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후방이면서 리어 커버(49)의 상측에는 상기 리어 프레임(29…)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리어 캐리어(58)가 배치된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23)는, 제어 유닛이 내장된 파워 드라이브 유닛(PDU)(61)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서, 이 파워 드라이브 유닛(61)은, 퓨즈(62) 및 제1 릴레이 스위치(63)를 통해 고전압 배터리(36)의 플러스측 단자에 접속되고, 제1 릴레이 스위치(63)에는, 제2 릴레이 스위치(64) 및 저항(76)으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가 병렬로 접속된다. 그런데, 고전압 배터리(36) 및 저전압 배터리(40)에는, 외부 전원(PS)에 접속됨으로써 고전압 배터리(36)와 같은 레벨의 고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충전기(65)로부터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 전원(PS)에 접속된 상기 충전기(65)에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66)를 삽입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67)가 차량측에 설치되며, 이 수전측 접속구(67)가 DC-DC 컨버터(68)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DC-DC 컨버터(68)는, 수전측 접속구(67)에 연결되는 한 쌍의 라인(L1, L2) 중 한쪽(L1)에 개재되는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69)와, 충전기(65)로부터의 전압을 저전압, 예컨대 12 V로 강하시키도록 하여 상기 양 라인(L1, L2)에 접속되는 전압 강하 회로부(70)를 구비하고 있고, 이 DC-DC 컨버터(68)의 상기 양 라인(L1, L2)은, 고전압의 충전 전류를 고전압 배터리(36)에 공급하기 위해, 제2 릴레이 스위치(64) 및 저항(76)으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와 제1 릴레이 스위치(63)와의 병렬 회로를 통해 고전압 배터리(36)의 플러스측 단자에 접속되고, 고전압 배터리(36)의 마이너스측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전압 강하 회로부(70)는, 저전압 배터리(40)의 플러스측 단자 및 마이너스측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파워 드라이브 유닛(61)에 내장된 제어 유닛에는, 상기 저전압 배터리(40)의 플러스측 단자가 메인 스위치(72)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40)의 마이너스측 단자가 접속된다. 또한,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의 개폐는, 저전압 배터리(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배터리 매니징 유닛(BMU)(7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전류에 의해 전환되는 것으로서, 배터리 매니징 유닛(73)에는, 상기 저전압 배터리(40)의 플러스측 단자가 상기 메인 스위치(72) 및 커넥터(71)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저전압 배터리(40)의 마이너스측 단자가 접속된다.
그리고, 메인 스위치(72)가 ON으로 되면, 배터리 매니징 유닛(73)은, 우선 제2 릴레이 스위치(64)를 도통 상태로 하여 고전압 배터리(36)로부터 제2 릴레이 스위치(64), 저항(76) 및 퓨즈(62)를 통해 파워 드라이브 유닛(61)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고, 그 후에, 제1 릴레이 스위치(63)를 도통한다. 이에 따라, 파워 드라이브 유닛(6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콘덴서로의 돌입 전류에 의해 제1 릴레이 스위치(63)가 용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고전압 배터리(36) 및 파워 드라이브 유닛(61) 사이 및 고전압 배터리(36) 및 DC-DC 컨버터(68) 사이의 회로는, 고전압 배터리(36)에 연결되는 고전력계의 회로(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회로)(74)를 구성하고, 저전압 배터리(40)와 파워 드라이브 유닛(61), 배터리 매니징 유닛(73) 및 DC-DC 컨버터(68) 사이의 회로는 저전압 배터리(40)에 연결되는 저전력계의 회로(가는 실선으로 나타낸 회로)(75)를 구성하며, 고전력계의 회로(74)에, 제1 릴레이 스위치(63), 제2 릴레이 스위치(64), 퓨즈(62) 및 저항(76)이 설치되고, 저전력계의 회로(75)에, 커넥터(71) 및 메인 스위치(72)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제1 릴레이 스위치(63), 제2 릴레이 스위치(64) 및 배터리 매니징 유닛(73)은, 고전압 배터리(36)를 수납하는 배터리 케이스(37)에 수납된다.
도 4?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케이스(37)는, 상측으로 개방된 상자형의 하부 케이스(78)와, 하측으로 개방된 상자형의 상부 케이스(79)가 복수의 나사 부재(80, 80…)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부 케이스(78)의 양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판(81, 81…)이,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양 언더 프레임(28…) 상에 볼트(82, 82…)와, 언더 프레임(28…)에 용착된 용접 너트(83, 83…)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37)가 양 언더 프레임(28…)에 지지된다.
상기 양 언더 프레임(28…) 사이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를 걸친 크로스 부재(84)가 설치되어 있고, 저상 플로어(44)는 이 크로스 부재(8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양 언더 프레임(28…)의 전방부 사이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전측 하부를 앞쪽으로부터 보호하는 전방부 보호 부재(85)가 그 중앙부를 다운 프레임(27)의 하단에 연결하도록 하여 설치되고, 상기 양 언더 프레임(28…)의 후방부 사이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후측 하부를 뒤쪽으로부터 보호하는 후방부 보호 부재(86)가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하부 보호 부재(87, 87…)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37)를 하측에서 보호하도록 하여 전방부 및 후방부 보호 부재(85, 86) 사이에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78)의 전방부에는, 좌우 한 쌍의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의 하류 단부가 접속관(77…)을 통해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 레그 실드(43)는, 상기 헤드 파이프(26)의 후방부에 고착된 스테이(103)에 볼트(9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레그 실드(43) 내에서 상기 다운 프레임(27)을 양측에서 협지하는 양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는, 이 다운 프레임(27)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다운 프레임(27)의 상기 헤드 파이프(26)로의 연결부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기 레그 실드(43)에는, 차량 뒤쪽을 향해 개구되는 좌우 한 쌍의 흡입구(90, 9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양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의 상류 단부는, 상기 흡입구(90…)에 각각 통하도록 하여 상기 레그 실드(43)에 접속관(89…)을 통해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 레그 실드(43)에는, 그 후면으로부터 앞쪽으로 오목한 오목부(9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흡입구(90…)는 상기 오목부(91)의 상부에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양 흡입구(90…) 사이의 중앙부에서 상기 오목부(91)에는, 제1 보스(92)가 뒤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여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그 실드(43)에는, 상기 양 흡입구(90…)를 덮는 리드(94)가 복수의 나사 부재(95, 95…)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양 흡입구(90…)를 둘러싸는 가상 직사각형의 각 코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오목부(91)에는 원통형의 제2 보스(96, 96…)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제2 보스(96, 96…)에 내면이 접촉하는 리드(94)가, 이 리드(94)에 삽입 관통되어 제2 보스(96, 96…)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나사 부재(95, 95…)에 의해 레그 실드(43)에 체결된다.
상기 리드(94)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오목부(91)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양 흡입구(90…)에 통하는 공기 도입구(9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91)의 상하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 예컨대 2개소에는, 차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뒤쪽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98, 99)가 상기 리드(94)와의 사이에 공기를 유통시키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 돌출 설치되고, 상기 리드(94)의 내면의 상하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 예컨대 2개소에는, 차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앞쪽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100, 101)가 상기 오목부(91)와의 사이에 공기를 유통시키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 돌출 설치된다. 아울러, 2개씩의 제1 돌기(98, 99) 및 제2 돌기(100, 101)는,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레그 실드(43) 및 리드(94) 사이에는, 상기 공기 도입구(97) 및 상기 양 흡입구(90…)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여 스폰지형의 여과 부재(104)가 협지되어 있고, 이 여과 부재(104)는 상기 제1 보스(92)가 삽입 관통됨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WF)의 차축(102)은 레그 실드(43)보다 앞쪽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 흡입구(90…)의 적어도 일부, 이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양 흡입구(90…)의 전방부가 상기 전륜(WF)의 상단보다 측면에서 보아 상측에 배치된다.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케이스(37) 내에는, 이 배터리 케이스(37)의 후측 상면, 이 실시예 1에서는 배터리 케이스(37)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79)가 그 후방부에 구비되는 상승부(79a)의 상면에 부착되는 냉각팬(105)의 작동에 의해 냉각 공기가 도입되는 것으로서, 흡입측이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상승부(79a)에 접속되고, 토출구(106)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폭 방향 일측(이 실시예 1에서는 좌측)을 향해 개구된 상기 냉각팬(105)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폭 방향 중심(C)(도 9 참조)으로부터 타측(이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으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상기 상승부(79a)의 상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상승부(79a)에는, 상기 고전력계의 회로(74)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가 수용되며,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상기 고전압 배터리(36) 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40)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후륜(WR)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23)가 후방부에 수용되는 상기 스윙 아암(22)의 전방부에는, 상기 후륜(WR)의 앞쪽에 배치되는 파워 드라이브 유닛(61)이 설치된다. 그리고, 배터리 케이스(37)의 후방부 내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고전압 배터리(36), 상기 저전압 배터리(40) 및 상기 파워 드라이브 유닛(61)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DC-DC 컨버터(68)는, 양 리어 프레임(29…) 사이를 연결하여 수납 박스(38)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크로스 멤버(107)(도 4 참조)로 지지되도록 하여 수납 박스(38)의 뒤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전력계의 회로(74)에 개재되는 퓨즈(62)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78)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부(79a)를 뒤쪽으로부터 덮는 릴레이 보드(108)에 지지되고, 상기 상승부(79a) 및 릴레이 보드(108) 사이에 수용되며, 상기 퓨즈(62)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덮개 부재(109)가 복수의 나사 부재(110…)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79)의 상승부(79a)에 체결된다. 게다가, 상기 덮개 부재(109)는, 평면에서 보아 배터리 케이스(37)의 폭 방향 중심(C)으로부터 일측(이 실시예 1에서는 좌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저전력계의 회로(75)에 설치되는 커넥터(71)는, 저전압 배터리(40)에 연결되는 저전력계의 회로(7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선의 도통?차단을 수동 조작에 의해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상승부(79a) 및 릴레이 보드(108) 사이에 수용되는 퓨즈(62)로의 접촉은, 접촉 방지 수단(111)의 작용에 의해, 커넥터(71)로 상기 저전력계의 회로(75)를 차단한 상태에서만 허용된다.
상기 접촉 방지 수단(111)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37)의 상승부(79a) 및 릴레이 보드(108) 사이에 수용된 상기 퓨즈(62)를 덮는 덮개 부재(109)의 개방을 상기 커넥터(71)로 저전력계의 회로(75)를 차단한 상태에서만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71)가, 상기 덮개 부재(109)를 상기 상부 케이스(79)의 상승부(79a)에 체결하는 복수의 상기 나사 부재(110…)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덮개 부재(109)의 개방측에서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덮개 부재(109)에 그 개방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커넥터(71)가, 그 수동 차단시에 상기 덮개 부재(109)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하여 배치되게 된다.
도 1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71)는, 서로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커넥터 반쪽 부재(112, 11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양 커넥터 반쪽 부재(112, 113) 중 한쪽(112)이, 상기 덮개 부재(109)에 설치되는 유지부(109a)에 삽입 관통, 유지되고, 그 커넥터 반쪽 부재(112)에 결합되는 커넥터 반쪽 부재(113)가, 덮개 부재(109)를 상부 케이스(79)의 상승부(79a)에 체결하는 복수의 상기 나사 부재(110…) 중 하나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11?도 14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38)는, 상기 양 리어 프레임(29…)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상기 크로스 멤버(107)와, 이 크로스 멤버(107)보다 앞쪽에서 양 리어 프레임(29…) 사이에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114)로 지지되어 있고, 차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탠드(31)가 배치되는 쪽에서 상기 수납 박스(38)의 측방에는, 좌측의 상기 사이드 커버(48) 및 상기 수납 박스(38) 사이에 배치되는 수전측 접속구(67)가, 상기 충전기(65)에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66)를 삽입 접속할 수 있게 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F)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 박스(38)의 측방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29…) 중 좌측의 리어 프레임(29…)에는, 이 리어 프레임(29…)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착부(116a)를 갖는 스테이(116)가 고정되고, 상기 부착부(116a)에 상기 수전측 접속구(67)가 부착된다.
게다가, 상기 수전측 접속구(67)로의 상기 급전측 접속구(66)의 삽입 접속 방향(117)은,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의 앞쪽 혹은 뒤쪽으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되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상기 급전측 접속구(66)의 삽입 접속 방향(117)이, 앞쪽으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되고, 이 삽입 접속 방향(117)은, 수납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회동하여 기립 위치로 되는 메인 스탠드(34)의 회동 지점에, 급전측 접속구(66)를 수전측 접속구(67)에 삽입 접속할 때에 작용하는 힘이, 메인 스탠드(34)를 기립 위치측에 유지하는 방향, 즉 뒤쪽을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수납 박스(38)의 좌측의 사이드 커버(48)에는, 상기 수전측 접속구(67)를 향하는 개구부(118)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 개구부(118)는, 상기 사이드 커버(48)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형성되는 오목부(119)에 마련된다.
게다가, 상기 개구부(118) 및 오목부(119)는 개폐 가능하게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부착되는 덮개 부재(120)로 덮이는 것으로서, 이 덮개 부재(120)는, 차량의 전후 방향 뒤쪽을 향해 조작됨으로써 개방 위치가 되도록 상기 사이드 커버(120)에 힌지 기구(121)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그 덮개 부재(120)의 회동 축선(CL)(도 1 참조)은 후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119)의 전방부에는,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급전측 접속구(66)를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120)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급전측 접속구(66)에 연결되는 도선(122)을 사이드 커버(48) 및 덮개 부재(120) 사이에서 외부로 도출하기 위한 도출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선(122)과 상기 덮개 부재(12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124)가 상기 덮개 부재(120)의 내면에 점착된다.
또한, 상기 수납 박스(38)의 좌측벽 외면에는,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의 적어도 일부(이 실시예 1에서는 일부)가 수용, 배치되는 수용 오목부(38b)가 내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후륜(WR)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23)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 배터리(36)가 배터리 케이스(37)에 수용되어 있고, 배터리 케이스(37) 내에는 냉각팬(105)의 작동에 의해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로부터 냉각 공기가 도입되지만, 차량 뒤쪽을 향해 개구되는 흡입구(90…)가 레그 실드(43)에 마련되어 있고,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의 상류단이 흡입구(90…)에 연결되도록 레그 실드(43)에 접속되기 때문에, 비교적 청정한 공기가 배터리 케이스(37) 내로 유도되기 쉽게 되고, 풍로에 먼지 등이 체류하기 어렵게 되어, 장기 사용에 따른 풍로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레그 실드(43)에 그 후면으로부터 앞쪽으로 오목하게 되고, 상부에는 흡입구(90…)가 마련되는 오목부(91)가 형성되며, 흡입구(90…)를 덮고 레그 실드(43)에 부착되는 리드(94)의 하부 가장자리와, 오목부(91)의 하부의 사이에, 흡입구(90…)에 통하는 공기 도입구(97)가 형성되기 때문에, 빗물이 흡입구(90…)로부터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 내로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빗물에 의해 먼지가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의 내면에 고착됨에 따른 풍로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91)에는, 차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뒤쪽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98, 99)가 리드(94)와의 사이에 공기를 유통시키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 돌출 설치되고, 리드(94)의 내면에는, 차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앞쪽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100, 101)가 오목부(91)와의 사이에 공기를 유통시키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 돌출 설치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돌기(98, 99; 100, 101)에서 빗물의 제거가 가능해져, 빗물이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 내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돌기(98, 99)가 보강 리브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레그 실드(43)의 강성 향상이 가능해지고, 제2 돌기(100, 101)가 보강 리브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리드(94)의 강성 향상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복수, 예컨대 2개씩의 제1 및 제2 돌기(98, 99; 100, 101)가,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빗물이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 내로 침입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그 실드(43) 및 리드(94) 사이에, 공기 도입구(97) 및 양 흡입구(90…)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여 스폰지형의 여과 부재(104)가 협지되기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37) 내로 유도되는 공기를 보다 청정화하고, 장기 사용에 따른 풍로 저항의 증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륜(WF)의 차축(102)이 레그 실드(43)보다 앞쪽에 배치되고, 흡입구(90…)의 적어도 일부가, 전륜(WF)의 상단보다 측면에서 보아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노면에서 흡입구(90…)까지의 거리를 비교적 크게 하여, 노면에서 감아 올려지는 먼지가 흡입구(90…)에 침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런데, 헤드 파이프(26)로부터 후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27)의 하부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언더 프레임(28…) 사이에 배터리 케이스(37)가 배치되고,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가 레그 실드(43) 내에서 다운 프레임(27)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레그 실드(43) 내에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가 수용되는 구성이더라도 레그 실드(43)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레그 실드(43)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가 다운 프레임(27)을 양측에서 협지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37) 내에 도입되는 냉각 공기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냉각 공기 도입 덕트(88…)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커버(41)로 덮이는 배터리 케이스(37)에 흡입측이 접속되고, 그 토출구(106)가 배터리 케이스(37)의 폭 방향 일측을 향해 개구된 냉각팬(105)이, 배터리 케이스(37)의 폭 방향 중심(C)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배터리 케이스(37)의 후측 상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냉각팬(105)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차체 커버(41)에 부딪혀 되돌아옴에 따른 풍로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전압 배터리(36)에 연결되는 고전력계의 회로(74)에는, 퓨즈(62)와, 저전압 배터리(40)에 연결되는 저전력계의 회로(75)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고전력계의 회로(74)의 개폐를 전환할 수 있고, 저전력계의 회로(75)의 차단시에는 고전력계의 회로(74)를 차단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가 설치되며, 상기 저전력계의 회로(75)에는, 이 저전력계의 회로(75)의 개폐를 수동 조작에 의해 전환할 수 있는 커넥터(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퓨즈(62)에 유지보수를 위해 접촉하는 것은, 배터리 케이스(37)의 상승부(79a) 및 릴레이 보드(108) 사이에 수용된 상기 퓨즈(62)를 덮는 덮개 부재(109)의 개방을, 상기 커넥터(71)에 의해 상기 저전력계의 회로(75)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방지 수단(111)의 작용에 의해, 상기 커넥터(71)에 의해 저전력계의 회로(75)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허용된다.
따라서, 저전력계의 회로(75)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퓨즈(62)로의 접촉이 허용되며, 그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가 차단 상태에 있어 고전력계의 회로(74)가 차단되기 때문에, 퓨즈(62)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는 커넥터(71)에 의한 저전력계의 회로(75)의 차단이 필요하게 되고, 고전력계의 퓨즈(62)의 유지보수시의 작업 절차를 따르기 쉽게 된다.
게다가, 고전압 배터리(36)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37)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스(79)의 상승부(79a)에, 복수의 나사 부재(110…)에 의해 덮개 부재(109)가 체결되어 있고, 커넥터(71)는, 덮개 부재(109)에 그 개방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그 수동 차단시에 덮개 부재(109)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접촉 방지 수단(111)은, 커넥터(71)가, 상기 저전력계의 회로(7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선의 도통?차단을 수동 조작에 의해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상기 나사 부재(110…) 중 1개 이상을 상기 덮개 부재(109)의 개방측에서 덮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넥터(71)에 의한 수동 차단시에 덮개 부재(109)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접촉 방지 수단(111)을 간소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퓨즈(62) 및 덮개 부재(109)가, 평면에서 보아 배터리 케이스(37)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체(B)의 폭 방향 일측으로부터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쉽게 된다.
또한, 고전압 배터리(36)가 좌우 한 쌍의 상기 언더 프레임(28…) 사이에 배치되고, 저전압 배터리(40)가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29…)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전압 배터리(36) 및 저전압 배터리(40)의 외부로부터의 보호가 가능하며,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가, 측면에서 보아 상기 고전압 배터리(36) 및 상기 저전압 배터리(4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릴레이 배선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스윙 아암(22)의 전방부가,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양 리어 프레임(29…)의 전방부에 설치된 피봇 플레이트(3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동 모터(23)와, 이 전동 모터(23)를 구동하도록 후륜(WR)의 앞쪽에 배치되는 파워 드라이브 유닛(61)이 상기 스윙 아암(22)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가, 측면에서 보아 상기 고전압 배터리(36), 상기 저전압 배터리(40) 및 상기 파워 드라이브 유닛(61)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63, 64)의 주위에 고압계의 전장 부품을 배치하여 고압계의 배선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그런데, 탑승자가 착석하는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에는 수납 박스(38)가 배치되고,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에서 수납 박스(38)를 덮는 사이드 커버(48)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120)로 덮이는 개구부(118)가 마련되고, 충전기(65)에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66)를 삽입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67)가, 개구부(118)를 향하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48)의 외면 및 수납 박스(38) 사이에 고정, 배치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8)를 상측에서 덮는 승차용 시트(39)의 개폐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게 하여 승차용 시트(39)를 폐쇄 상태로 한 채로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충전 작업이 용이해지고,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급전측 접속구(66)의 수전측 접속구(67)에 대한 삽입 접속 방향(117)이, 수전측 접속구(67)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부터 수전측 접속구(67)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되기 때문에, 사이드 커버의 외면 및 수납 박스(38) 사이에 수전측 접속구(67)를 배치하여도, 수납 박스(38)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수납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회동하여 기립 위치로 되는 메인 스탠드(34)가 스윙 아암(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수전측 접속구(67)에 앞쪽으로부터 삽입 접속될 수 있는 급전측 접속구(66)의 삽입 접속 방향(117)이, 앞쪽으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되기 때문에, 급전측 접속구(66)를 수전측 접속구(67)에 삽입 접속할 때에, 메인 스탠드(34)의 회동 지점에 작용하는 힘은, 메인 스탠드(34)를 기립 위치측에 유지하는 방향이 되고, 급전측 접속구(66)의 수전측 접속구(67)로의 삽입 접속에 따라 메인 스탠드(34)가 수납 위치측으로 원하지 않게 회동하는 일은 없다.
또한, 덮개 부재(120)가, 차량의 전후 방향 뒤쪽을 향해 조작됨으로써 개방 위치가 되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48)에 지지되어 있고, 덮개 부재(120)의 회동 축선(CL)이 후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정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120)는, 후상방으로 경사진 회동 축선(CL) 주위로 뒤쪽을 향해 조작됨으로써 개방 위치가 되고, 개방 상태에서 덮개 부재(120)는 후하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120)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충전시에, 바람의 작용 등에 의해 덮개 부재(120)가 폐쇄측으로 원하지 않게 회동하는 것을 극력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커버(48)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19)가, 상기 덮개 부재(120)로 폐쇄될 수 있게 사이드 커버(48)에 형성되고, 개구부(118)가 오목부(119)에 마련되기 때문에, 오목부(119)를 형성하는 부분을 보강 리브로서 기능시켜 사이드 커버(48)의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이드 커버(48)의 내측을, 개구부(118) 이외의 부분에서는 오목부(119)로 덮기 때문에, 수전측 접속구(67)를 찾기 쉽게 할 수 있고, 오목부(119)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이드 커버(48)의 내측에 자질구레한 부속품이 떨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박스(38)의 좌측벽 외면에는, 수전측 접속구(67)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배치하는 수용 오목부(38b)가 내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8)의 측벽 중 필요한 부분만을 오목하게 하여 수전측 접속구(67)가 사이드 커버(48) 및 수납 박스(38) 사이에 배치됨에 따른 수납 박스(38)의 용적 감소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F)의 일부를 구성하고 수납 박스(38)의 측방에 배치되는 리어 프레임(29)에, 이 리어 프레임(29)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착부(116a)를 갖는 스테이(116)가 고정되고, 부착부(116a)에 수전측 접속구(67)가 부착되기 때문에, 수전측 접속구(67)가 리어 프레임(29)으로부터 외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48)를 리어 프레임(29…)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차체(B)를 차폭 방향 내측으로 기울인 기립 상태로 유지하는 사이드 스탠드(31)가 배치되는 쪽에서, 수전측 접속구(67) 및 상기 개구부(118)가 수납 박스(38)의 측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이드 스탠드(31)를 기립시킨 주차 상태에서의 충전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외부 전원(PS)에 충전기(65)를 통해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66)를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67)가, 수납 박스(38)의 뒤쪽에 배치되는 DC-DC 컨버터(68)를 통해 고전압 배터리(36) 및 저전압 배터리(40)에 접속되기 때문에, 수전측 접속구(67)측으로의 배터리(36, 40)로부터의 역류가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15?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실시예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도시하는 것만으로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5에 있어서, 승차용 시트(39)의 후방이면서 리어 커버(49)의 상부에는 짐을 적재하기 위한 평면부(59a)를 갖는 짐받이(59)가 설치되고, 이 짐받이(59)의 전방부에는, 상기 평면부(59a)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59b)가, 측면에서 보아 승차용 시트(39)의 후단과의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여 설치된다. 또한 짐받이(59)의 상측에 배치되는 리어 캐리어(58)가 리어 프레임(29…)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6?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수납 박스(38)는, 승차용 시트(39)로 상단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단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차체 프레임(F)에 있어서의 양 리어 프레임(29, 29)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크로스 멤버(107, 114) 상에 지지된다. 또한, 배터리 수납부(38a)는, 상기 양 크로스 멤버(107, 114) 중 앞쪽의 크로스 멤버(114)보다 후방이면서 차체(B)의 차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일측(이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수납 박스(38)의 후측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저전압 배터리(40)를 수납한 배터리 수납부(38a)를 상측으로부터 폐쇄하는 덮개판(127)이 수납 박스(38)의 하부에 복수, 예컨대 한 쌍의 나사 부재(128, 128)에 의해 체결된다.
승차용 시트(39)는, 바닥판(129) 상에 쿠션재(1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이 승차용 시트(39)의 후방부의 좌우 일측, 이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 상측을 향해 오목한 시트측 오목부(1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납 박스(38)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측을 향해 오목한 박스측 오목부(133)를 형성하는 그립부(133)가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 내에 수용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차용 시트(39)에 있어서의 바닥판(129)에는, 승차용 시트(39)의 원활한 개폐를 보조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판부(129a…)가, 승차용 시트(39)를 폐쇄할 때에 상기 수납 박스(38)의 좌우 양측벽 내면을 따라 수납 박스(38) 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판부(129a…)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29b…)가 돌출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수납 박스(38)의 후방부 상단에는, 뒤쪽으로 돌출되는 박스측 후방 플랜지부(135)가 설치되고, 상기 박스측 오목부(83)를 형성하는 상기 그립부(133)가, 상기 박스측 후방 플랜지부(135)의 일부를 상측으로 융기시킨 융기부(135a)와, 상기 박스측 후방 플랜지부(135)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하강부(135b)로 구성된다.
게다가,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 및 상기 박스측 오목부(133)는, 승차용 시트(39)의 후면측까지 돌아 들어가 형성되어 있고,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을 양측으로부터 덮는 사이드 커버(48…) 중 좌측의 사이드 커버(48)에는, 그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커버측 플랜지부(48a)가 일체로 설치되며, 이 커버측 플랜지부(48a)는,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 및 상기 박스측 오목부(133)를 하측으로부터 덮게 된다.
상기 박스측 후방 플랜지부(135)의 중앙부에는 시트 캐치용 개구부(136)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후측 하부에는, 그 폐쇄 상태에서 상기 시트 캐치용 개구부(136)에 삽입 관통되는 훅(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그리고, 시트 캐치용 개구부(136)에 삽입 관통되는 훅에 걸고 벗길 수 있도록 걸어 맞춰 승차용 시트(39)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트 캐치 기구(137)(도 7 참조)가, 상기 크로스 멤버(107)에 부착된 지지판(138)으로 지지된다.
상기 수납 박스(38)의 전단에는, 그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박스측 전방 플랜지부(13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박스측 전방 플랜지부(139)의 폭 방향 중앙부에,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전방 하부가 힌지 기구(14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 기구(140)는, 상기 박스측 전방 플랜지부(139)의 폭 방향 중앙부에 고정되는 브래킷(141)에, 수평인 동일 축선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축(143…)을 통해 회동판(142)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회동판(142)이, 승차용 시트(39)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바닥판(129)의 하면에 고정된다.
게다가, 상기 힌지 기구(140)는, 승차용 시트(39)의 전방부에서 앞쪽으로부터 덮이고, 이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을 앞쪽으로부터 덮는 시트 하측 전방부 커버(47)로 하측으로부터 덮인다. 즉, 시트 하측 전방부 커버(47)의 상부에는, 승차용 시트(39)를 도 17의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했을 때에, 이 승차용 시트(39)의 전단이 접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오목부(47a)가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힌지 기구(140)를 하측으로부터 덮기 위해서 상기 오목부(47a)로부터 앞쪽이 올라가게 연장되는 돌기(47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런데, 좌우의 사이드 커버(48…) 중 좌측의 사이드 커버(48)에 있어서,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에는, 급전측 접속구(66)를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67)를 향하는 개구부(145)가 마련되고, 이 개구부(145)를 덮을 수 있는 덮개 부재(146)가 힌지 기구(107)를 통해 사이드 커버(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좌측의 사이드 커버(48)에는, 상기 개구부(145)를 개구단으로 한 대오목부(148)가 내방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대오목부(148)의 내단 폐색벽(148a)의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직사각형의 소오목부(149)가 형성되며, 그 소오목부(149)의 내단 폐색벽(149a)에, 사이드 커버(48)의 외면 및 수납 박스(38)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수전측 접속구(67)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내단 폐색벽(148a, 149a)은, 모두 상측을 향할수록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수전측 접속구(76)에는, 상기 급전측 접속구(66)를 비스듬히 상측에서 삽입하도록 하여 접속할 수 있어, 급전측 접속구(66)의 수전측 접속구(67)로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146)는, 3개의 정부(P1, P2, P3)를 가지며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45)도 덮개 부재(146)에 대응하여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덮개 부재(146)는, 상기 개구부(14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각 정부(P1?P3) 중 1개(P1)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자세가 되도록 하여 상기 덮개 부재(146)가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146)의 외관 의장면에는, 그 덮개 부재(146)의 내측에 수전측 접속구(67)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디자인 마킹(150)(도 1 참조)이 실시되어 있다.
도 20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덮개 부재(146) 및 상기 사이드 커버(48) 사이에는 폐쇄 유지 기구(151)가 설치되고, 이 폐쇄 유지 기구(151)는, 상기 개구부(145)의 근방에서 사이드 커버(48)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조작자인 조작 버튼(152)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덮개 부재(146)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록 상태 및 상기 덮개 부재(146)를 개방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언록 상태를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폐쇄 유지 기구(151)는, 상기 덮개 부재(146)의 내면측에 형성된 돌기부(146a) 내에 수용되어 상기 덮개 부재(146)에 나사 부재(158)에 의해 체결되는 훅(153)과, 상기 사이드 커버(48)의 내면에 나사 부재(159)에 의해 체결되는 브래킷(154)과, 이 브래킷(154)에 지지축(15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부재(155)와, 상기 지지축(156)을 둘러싸서 상기 브래킷(154) 및 상기 회동 부재(155) 사이에 설치되는 비틀림 스프링(157)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 부재(155)는, 상기 지지축(156)으로부터 상기 누름 버튼(152)측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155a)와, 상기 지지축(156)으로부터 상기 훅측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155b)와, 제1 아암부(155a)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156)의 내단에 접촉하는 접촉판부(155c)와, 상기 훅(153)에 걸어 맞춰질 수 있게 하여 제2 아암부(155b)의 선단에 설치되는 걸어 맞춤 갈고리(155d)를 일체로 가지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157)은, 상기 접촉판부(155c)를 누름 버튼(152)으로 누르고, 상기 걸어 맞춤 갈고리(155d)를 훅(153)에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 부재(155)를 압박한다.
상기 누름 버튼(152)은, 그 외단을 상기 개구부(145)의 비스듬히 후방 상측에서 사이드 커버(48)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48)에 지지되어 있고, 그 내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152a)가 사이드 커버(48)의 내면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사이드 커버(48)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 버튼(152)을 비틀림 스프링(15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압입 조작함으로써, 폐쇄 유지 기구(151)의 회동 부재(155)는 걸어 맞춤 갈고리(155d)를 훅(153)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회동하고, 이 상태에서 덮개 부재(146)를 개방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146)를 폐쇄하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157)의 스프링력에 의해 걸어 맞춤 갈고리(155d)가 훅(153)에 걸어 맞춰지게 되어 덮개 부재(146)의 폐쇄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즉, 폐쇄 유지 기구(151)는, 상기 누름 버튼(152)의 비조작 상태에서 덮개 부재(146)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록 상태 및 상기 누름 버튼(152)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덮개 부재(146)를 개방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언록 상태를 전환시키게 된다.
그런데, 폐쇄 유지 기구(151)는, 상기 덮개 부재(146)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정부(P1?P3) 중 특정 정부인 P3에서 상기 덮개 부재(146) 및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특정 정부(P3)의 대변부에서 덮개 부재(146)가 힌지 기구(147)를 통해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누름 버튼(152)에 의한 폐쇄 유지 기구(151)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 작동은, 규제 수단(160)에 의해 규제 가능하고, 이 규제 수단(160)은, 전환 조작자인 회동 가능한 손잡이(161)의 회동 조작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161)는, 상기 수납 박스(38) 내에서 회동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수납 박스(38)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규제 수단(160)은, 상기 수납 박스(38)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63)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하여 수납 박스(38)를 관통하고, 상기 손잡이(16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통(162)과, 상기 손잡이(161)의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도록 하여 이 손잡이(161)에 연동, 연결되고, 상기 지지통(162)의 외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회동 규제 아암(164)을 구비하며, 회동 규제 아암(164)에 접촉함으로써 록 상태에서 언록 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으로 회동 부재(155)가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돌기부(155e)가 상기 회동 부재(155)에 일체로 설치된다.
즉, 규제 수단(160)은, 상기 폐쇄 유지 기구(151)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을 규제하는 규제 상태 및 상기 폐쇄 유지 기구(151)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을 허용하는 규제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손잡이(161)를 가지며, 이 규제 수단(160) 중 상기 손잡이(161)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수납 박스(38) 및 상기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 박스(38)의 측벽에 마련되어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 오목부(38b)에 수용된다.
그런데, 급전측 접속구(66)에 연결되는 도선(122)을 덮개 부재(146)의 폐쇄 상태에서 인출하기 위한 홈(166)이, 상기 개구부(145)의 전측 상부에 연결되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48)에 마련되어 있고,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덮개 부재(146) 및 상기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도선(122)과, 상기 덮개 부재(146)와 상기 사이드 커버(48) 중 적어도 한쪽과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167)가 개재되는 것으로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부재(146)의 내면에 상기 탄성 부재(167)가 고착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 2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승차용 시트(39)의 후방부의 좌우 한쪽에, 상측을 향해 오목한 시트측 오목부(132)가 형성되고, 수납 박스(38)의 후방부의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측을 향해 오목한 박스측 오목부(133)를 형성하는 그립부(133)가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 내에 수용되도록 하여 마련되기 때문에, 그립부(133)를 측방에서 시인하기 쉽게 되어, 그립부(133)를 간단히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짐받이(59)에 짐이 실린 경우에도, 짐받이(59)의 앞쪽의 수납 박스(38)의 후방부의 좌우 한쪽에 그립부(133)가 설치되기 때문에, 짐의 다소에 상관없이 그립부(133)를 원활하게 쥘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 박스(38)의 대형화를 회피하고, 부품 개수의 증가 및 조립 공정수의 증가를 회피하면서, 차체를 기립 상태로 하기 위한 그립부(133)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 및 상기 박스측 오목부(133)가,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후면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 스탠드(34)로 차체(B)를 기립시킬 때에 차체(B)를 후방측으로 당기기 쉽게 되어 차체(B)를 기립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짐을 싣는 평면부(59a)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59b)가, 측면에서 보아 승차용 시트(39)의 후단과의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여 짐받이(59)의 전방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짐받이(59)의 평면부(59a)에 짐이 실린 상태에서도 승차용 시트(39)의 후단 및 스토퍼(59b) 사이의 공간에 손을 삽입하여 승차용 시트(39)의 후면측까지 연장시킬 수 있어 메인 스탠드(34)의 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은 양측으로부터 사이드 커버(48…)로 덮여 있고,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 및 상기 박스측 오목부(133)를 하측에서 덮는 커버측 플랜지부(48a)가, 상기 시트측 오목부(132) 및 상기 박스측 오목부(133)가 마련되는 쪽의 사이드 커버(48)에 그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시트측 오목부(132) 및 박스측 오목부(133)를 형성함으로써 빈 공간으로부터 차체(B)의 내측을 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승차용 시트(39)의 전측 하부가, 수납 박스(38)의 전방부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수납 박스(38)의 전단에 설치되는 박스측 전방 플랜지부(139)에 힌지 기구(14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힌지 기구(140)가,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전방부에서 앞쪽으로부터 덮이고,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을 앞쪽으로부터 덮는 시트 하측 전방부 커버(47)로 하측으로부터 덮이기 때문에, 힌지 기구(140)를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미관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박스(38)의 후방부 상단에, 뒤쪽으로 돌출되는 박스측 후방 플랜지부(135)가 설치되고, 상기 박스측 오목부(133)를 형성하는 상기 그립부(133)가, 상기 박스측 후방 플랜지부(135)의 일부를 상측으로 융기시킨 융기부(135a)와, 상기 박스측 후방 플랜지부(135)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하강부(135b)로 구성되기 때문에, 박스측 오목부(133)를 형성함에 따른 그립부(133) 및 박스측 후방 플랜지부(135)의 강성 저하를 수직 하강부(135b)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좌측의 사이드 커버(48)에는, 외부 전원(PS)에 충전기(65)를 통해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66)를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67)를 향하는 개구부(145)가 마련되고, 그 개구부(145)를 덮을 수 있게 한 덮개 부재(146)가 힌지 기구(147)를 통해 좌측의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개구부(145)의 근방에서 사이드 커버(48)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누름 버튼(152)의 비조작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146)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록 상태 및 상기 누름 버튼(152)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덮개 부재(146)를 개방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언록 상태를 전환시키는 폐쇄 유지 기구(151)가, 덮개 부재(146) 및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수납 박스(38)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승차용 시트(39)의 개폐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게 하여 승차용 시트(39)의 폐쇄 상태에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버튼(152)의 배치 위치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고, 누름 버튼(152)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덮개 부재(146)를 개방하여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충전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누름 버튼(152)을 언록 상태로 해두면, 언제나 덮개 부재(146)를 즉시 개방 상태로 할 수 있어 신속한 충전이 가능해지고, 필요에 따라 누름 버튼(152)을 록 상태로 하면, 덮개 부재(146)를 제3자가 개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어, 사용성에 맞춘 선택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덮개 부재(146)의 3개의 정부(P1?P3) 중 1개인 특정 정부(P3)에서 덮개 부재(146) 및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폐쇄 유지 기구(151)가 설치되고, 특정 정부(P3)의 대변부에서 덮개 부재(146)가 힌지 기구(147)를 통해 사이드 커버(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생기는 덮개 부재(146) 및 사이드 커버(48)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하여 장난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146)의 외관 의장면에는, 그 덮개 부재(146)의 내측에 수전측 접속구(67)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디자인 마킹(150)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 작업을 행할 때에, 수전측 접속구(67)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어, 충전 작업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 부재(146)의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각 정부(P1?P3) 중 1개인 P1을 하측으로 향하게 한 자세가 되기 때문에, 개구부(14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덮개 부재(146)에 부착된 빗물 등을 하측 위치의 정부(P1)측에 모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덮개 부재(146)와 상기 사이드 커버(48) 사이에서, 상기 덮개 부재(146)와 상기 사이드 커버(48) 중 적어도 한쪽과의 사이에 탄성 부재(167)를 개재시켜 상기 급전측 접속구(66)에 연결되는 도선(122)이 끼워지기 때문에, 충전 중에 덮개 부재(146)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폐쇄 유지 기구(151)의 록 상태에서 언록 상태로의 전환 작동이 규제 수단(160)으로 규제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누름 버튼(152)에 의한 폐쇄 유지 기구(151)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 작동을 규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아울러, 규제 수단(1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손잡이(161)는 수납 박스(38) 내에서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사용성에 맞춘 폐쇄 유지 기구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규제 수단(160) 중 손잡이(161)를 제외한 부분이 수납 박스(38) 및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규제 수단(160)의 컴팩트화를 도모하고, 규제 수단(160) 및 폐쇄 유지 기구(151)를 포함하는 충전구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규제 수단(160)이 손잡이(161)의 회동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비용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규제 수단(160)을 작동시키는 동력원을 필요 없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충전기(65)가 차외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전동 이륜차에 탑재된 충전기(65)에 수전측 접속구가 접속되고, 차외의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를 상기 수전측 접속구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18)

  1. 후륜(WR)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23)와, 이 전동 모터(2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6)와, 탑승자가 착석하는 승차용 시트(39)와, 이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8)와, 상기 승차용 시트(39)의 하측에서 상기 수납 박스(38)를 덮는 사이드 커버(48)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36)로의 충전을 가능하게 한 전동 이륜차로서,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120, 146)로 덮이는 개구부(118, 145)가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PS)에 연결되는 급전측 접속구(66)를 삽입 접속할 수 있는 수전측 접속구(67)가, 상기 개구부(118, 145)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사이드 커버(48)의 외면 및 상기 수납 박스(38)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측 접속구(66)의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대한 삽입 접속 방향(117)은,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3. 제2항에 있어서, 수납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회동하여 기립 위치가 되는 메인 스탠드(34)를 구비하고,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앞쪽으로부터 삽입 접속될 수 있는 상기 급전측 접속구(66)의 삽입 접속 방향(117)이, 앞쪽으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에 근접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120)가, 차량의 전후 방향 뒤쪽을 향해 조작함으로써 개방 위치가 되도록 하여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지지되고, 상기 덮개 부재(120)의 회동 축선이 후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그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19)가, 상기 덮개 부재(120)로 폐쇄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8)가 상기 오목부(119)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38)의 측벽의 일부에, 상기 수전측 접속구(67)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배치되는 수용 오목부(38b)가 내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F)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 박스(38)의 측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29)에, 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착부(116a)를 갖는 스테이(116)가 고정되고, 상기 부착부(116a)에 상기 수전측 접속구(67)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체(B)를 차폭 방향 일측으로 기울인 기립 상태로 유지하는 사이드 스탠드(31)를 구비하고, 상기 수전측 접속구(67) 및 상기 개구부(118)가, 상기 차폭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 스탠드(31)가 배치되는 쪽에서 상기 수납 박스(38)의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PS)에 충전기(65)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급전측 접속구(66)를 접속할 수 있는 상기 수전측 접속구(67)가, 상기 수납 박스(38)의 뒤쪽에 배치되는 DC-DC 컨버터(68)를 통해 상기 배터리(36)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45)를 덮을 수 있는 덮개 부재(146)가 힌지 기구(147)를 통해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개구부(145)의 근방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48)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조작자(152)의 비조작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146)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록 상태 및 상기 조작자(152)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덮개 부재(146)를 개방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언록 상태를 전환하는 폐쇄 유지 기구(151)가, 상기 덮개 부재(146) 및 상기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146)가, 3개의 정부(頂部)(P1, P2, P3)를 가지며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정부(P1?P3) 중 1개인 특정 정부(P3)에서 상기 덮개 부재(146) 및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상기 폐쇄 유지 기구(151)가 설치되며, 상기 특정 정부(P3)의 대변부에서 상기 덮개 부재(146)가 상기 힌지 기구(147)를 통해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4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각 정부(P1?P3) 중 1개(P1)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자세가 되도록 하여, 상기 덮개 부재(146)가 상기 사이드 커버(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덮개 부재(146)와 상기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상기 덮개 부재(146)와 상기 사이드 커버(48) 중 적어도 한쪽과의 사이에 탄성 부재(167)를 개재시켜 상기 급전측 접속구(66)에 연결되는 도선(122)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152)에 의한 상기 폐쇄 유지 기구(151)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 작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1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160)은, 상기 폐쇄 유지 기구(151)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을 규제하는 규제 상태 및 상기 폐쇄 유지 기구(151)의 록 상태로부터 언록 상태로의 전환을 허용하는 규제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조작자(161)를 구비하며, 이 전환 조작자(161)가 상기 수납 박스(38) 내에서 조작 가능하게 이 수납 박스(38)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160) 중 상기 전환 조작자(161)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수납 박스(38) 및 상기 사이드 커버(4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160)이, 회동 조작 가능한 손잡이인 상기 전환 조작자(161)의 작동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146)의 외관 의장면에, 이 덮개 부재(146)의 내측에 상기 수전측 접속구(6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디자인 마킹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이륜차.
KR1020127009362A 2009-09-15 2010-09-07 전동 이륜차 KR101293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3691 2009-09-15
JP2009213691A JP5254164B2 (ja) 2009-09-15 2009-09-15 電動二輪車
JPJP-P-2009-213538 2009-09-15
JP2009213538A JP5237230B2 (ja) 2009-09-15 2009-09-15 電動二輪車
PCT/JP2010/065323 WO2011033967A1 (ja) 2009-09-15 2010-09-07 電動二輪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133A true KR20120081133A (ko) 2012-07-18
KR101293362B1 KR101293362B1 (ko) 2013-08-05

Family

ID=4375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62A KR101293362B1 (ko) 2009-09-15 2010-09-07 전동 이륜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62232B2 (ko)
EP (1) EP2479094B1 (ko)
KR (1) KR101293362B1 (ko)
CN (1) CN102498031B (ko)
ES (1) ES2567319T3 (ko)
IN (1) IN2012DN01766A (ko)
WO (1) WO2011033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4326A1 (ja) * 2009-08-31 2011-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器、及び充電器の取付け構造
WO2011093279A1 (ja) * 2010-01-28 2011-08-04 スズキ株式会社 電動式自動二輪車及び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
CN103442935B (zh) 2011-03-31 2015-11-2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车辆控制装置
JP5946845B2 (ja) 2011-12-22 2016-07-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
US9254888B2 (en) * 2011-12-22 2016-02-0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addle-type electric vehicle
EP2799320B1 (en) * 2011-12-28 2020-11-1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 straddled vehicle
JP2013209040A (ja) * 2012-03-30 2013-10-10 Honda Motor Co Ltd 電動低床式車両
CN103129670B (zh) * 2013-02-01 2015-04-29 河南科技大学 踏板车
MY174073A (en) * 2013-05-31 2020-03-08 Honda Motor Co Ltd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JP2016002896A (ja) * 2014-06-17 2016-01-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
JP6072745B2 (ja) * 2014-09-25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CN105197114A (zh) * 2015-09-21 2015-12-30 常州市海盈汽车部件有限公司 儿童汽车控制板装置
US9925999B2 (en) 2015-09-29 2018-03-27 Radio Flyer Inc. Power assist wagon
JP6536351B2 (ja) * 2015-10-27 2019-07-03 スズキ株式会社 電動二輪車のスイングアーム
JP6555074B2 (ja) * 2015-10-27 2019-08-07 スズキ株式会社 電動二輪車用の電力変換装置の冷却構造
KR101673822B1 (ko) * 2015-11-18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DE102016206842A1 (de) * 2016-04-22 2017-10-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verkleid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mit Karosserieverkleidung
US10583852B2 (en) 2016-11-02 2020-03-10 Radio Flyer Inc. Foldable wagon
CN111225820B (zh) * 2017-09-08 2023-07-14 新电元工业株式会社 电动车辆、电动车辆控制装置以及电动车辆控制方法
USD866676S1 (en) 2017-11-02 2019-11-12 Radio Flyer Inc. Foldable wagon
DE102017130498A1 (de) 2017-12-19 2019-06-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eistungselektronikmodul für eine Ladestation sowie entsprechende Ladestation und Stromtankstelle
US11654996B2 (en) * 2018-04-27 2023-05-23 FUELL Inc. Electric saddle type vehicle
US11753101B2 (en) 2018-04-27 2023-09-12 FUELL Inc. Electric saddle type vehicle with storage areas
JP7156878B2 (ja) * 2018-09-20 2022-10-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電動式建設機械
JP6894416B2 (ja) * 2018-09-27 2021-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934484B2 (ja) * 2019-03-28 2021-09-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ッド支持構造
TWI712520B (zh) * 2019-06-20 2020-12-11 品睿綠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動機車充電結構
TWI732613B (zh) * 2020-06-30 2021-07-01 三陽工業股份有限公司 跨坐型機車
FR3121397A1 (fr) * 2021-03-30 2022-10-07 Ze Way Véhicule léger électrique à batterie interchangeable comportant un logement de réception de batterie ventil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9554A (ja) 1988-05-27 1989-12-04 Honda Motor Co Ltd 電動車椅子
JPH0337771U (ko) 1989-08-24 1991-04-11
JPH0345001U (ko) 1989-09-11 1991-04-25
JP3172952B2 (ja) 1991-10-18 2001-06-0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動二輪車
JPH05105144A (ja) 1991-10-18 1993-04-27 Yamaha Motor Co Ltd 電動二輪車
JP3336529B2 (ja) 1992-10-26 2002-10-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動スクータ
JP3347433B2 (ja) 1993-10-19 2002-1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コード収納構造
JPH11321753A (ja) 1998-05-18 1999-11-24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における充電器の配置構造
DE20014260U1 (de) 2000-08-17 2001-01-18 Acheron Internat Inc Ag & Co K Zweirad mit Elektroantrieb (Elektro-Mofa)
JP4274759B2 (ja) * 2002-08-16 2009-06-1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動二輪車
JP4372564B2 (ja) 2004-01-20 2009-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ロック解除操作子配設構造
JP4463639B2 (ja) 2004-08-06 2010-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冷却構造
JP4401286B2 (ja) 2004-12-28 2010-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二輪車のハーネス構造
JP2007118628A (ja) 2005-10-24 2007-05-17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5072328B2 (ja) * 2006-11-22 2012-1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057795B2 (ja) 2007-02-13 2012-10-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5119858B2 (ja) 2007-10-26 2013-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充電口構造
JP5103221B2 (ja) 2008-02-27 2012-12-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構造
TWM354530U (en) 2008-10-07 2009-04-11 Sanyang Industry Co Ltd Charger allocation structure for electric motor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98031B (zh) 2015-04-22
EP2479094A1 (en) 2012-07-25
CN102498031A (zh) 2012-06-13
ES2567319T3 (es) 2016-04-21
KR101293362B1 (ko) 2013-08-05
EP2479094B1 (en) 2016-03-16
US20120199409A1 (en) 2012-08-09
EP2479094A4 (en) 2013-04-17
US8662232B2 (en) 2014-03-04
IN2012DN01766A (ko) 2015-06-05
WO2011033967A1 (ja)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362B1 (ko) 전동 이륜차
KR101429833B1 (ko) 전동 차량
JP5220926B2 (ja) 電動二・三輪車
JP5680431B2 (ja) 自動二輪車
JP5237230B2 (ja) 電動二輪車
US9193410B2 (en)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WO2012085977A1 (ja) 電動二輪車
WO2013061880A1 (ja) 電動車両
EP2479091B1 (en) Electrically powered two- or three-wheeled vehicle with a special wiring structure
JP5254164B2 (ja) 電動二輪車
JP2011063065A5 (ko)
WO2013094597A1 (ja) 鞍乗型電動車両
CN116323299A (zh) 具有充电入口组件的两轮车辆
WO2013094651A1 (ja) 鞍乗型電動車両
JP5461123B2 (ja) 自動二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