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656A - 안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656A
KR20120069656A KR1020127001548A KR20127001548A KR20120069656A KR 20120069656 A KR20120069656 A KR 20120069656A KR 1020127001548 A KR1020127001548 A KR 1020127001548A KR 20127001548 A KR20127001548 A KR 20127001548A KR 20120069656 A KR20120069656 A KR 2012006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phthalmic composition
component
vitamin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817B1 (ko
Inventor
아키토 오다카
치에코 이노우에
마나부 핫토리
노부히토 타부치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3Retinoic acids ;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A) 비타민A와, (B)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과, (C) 피마자유, 대두유, 참기름, 낙화생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소맥배아유, 옥수수유, 유채유, 해바라기유, 정제 라놀린 및 겔 탄화 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Description

안과용 조성물{OPHTHALM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타민A를 배합하고, 드라이아이 치료 효과를 갖는 안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에어컨의 보급에 의한 실내의 건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VDT 작업의 증가, 콘택트 렌즈 사용자의 증가 등, 다양한 생활?사회 환경의 변화에 수반하여, 드라이아이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드라이아이는, 누액(淚液)의 질적 또는 양적 이상(異常)에 의해, 안구 표면상의 각결막이 장해를 받은 상태인 것을 말한다. 누액은 유층, 수층 및 무틴층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3층 구조의 질적 양적 밸런스가 파괴됨으로써 누액이 불안정하게 되어, 각막에 장해가 생겨, 드라이아이가 야기된다. 드라이아이 치료에서는, 이 누액의 유층, 수층, 무틴층의 3층 구조를 회복시키는 것 및 각막 장해(障害)를 치료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일본 특개2008-222638호 공보
비타민A는, 상피(上皮) 세포의 증식?분화에 필수적인 물질로서 알려져 있고, 무틴 산생(産生)을 촉진하는 작용이나, 각막 창상(創傷)을 치유하는 작용이 있다. 이와 같이, 비타민A는, 「누액무틴층의 회복」 및 「각결막 장해의 치료」에 효과를 발휘하는 드라이아이 치료에 유용한 약물로서 기대된다.
또한, 비타민A는 지용성이기 때문에, 수성 제형(劑型)의 안과용 조성물에 배합하면, 누액의 유층 및 수층도 보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비타민A 배합 안과용 조성물은, 드라이아이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누액의 유층, 수층, 무틴층의 3층 구조를 회복시키는 것 및 각막 장해 치료에 대해 유효하여 알맞은 점안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비타민A만으로 누액의 유층의 보충에 충분히 족할 수 있는지는 분명하지가 않고, 비타민A를 안과용 조성물에 많이 배합하면 눈(眼) 자극 등의 부작용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타민A가 누액의 유층을 보충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성성분(油性性分)을 보조적으로 배합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그 배합에는 필연적으로 계면활성제가 증가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눈 자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비타민A를 배합한 조성물에 있어서, 누액 유층의 보충이 충분히 될 수 있는 정도의 유성성분을 배합하고, 또한 눈 자극이 생기지 않는 드라이아이 치료에 효과적인 안과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비타민A를 유성 점안제나 안연고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누액의 유분을 보충하는데는, 유성 점안제나 안연고를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유성성분을 직접 눈에 투여하면, 그 특유한 자극이나 점성(粘性) 때문에, 「통증」이나 「부예짐」 「침침함」 등의 시야의 불량,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택트 렌즈 장용자(裝用者)에 있어서는, 유분은 콘택트 렌즈의 흐림이나 오염의 원인이 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성성분은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에 가용화, 또는 유화(乳化)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대부분은 계면활성제를 비교적 소량 사용하여 유화한 유백색의 제제이고, 이 제제에서는, 눈 자극이 낮은 메리트가 있는 것이지만, 장기간 보존하면, 유성성분이 분리하는 등의 안정성,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다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유분을 가용화한 등명(燈明)한 점안제에서는, 점안액중에서 유성성분이 안정에 존재한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지만, 계면활성제는 각막 또는 결막에 대해 자극성이 있고, 드라이아이의 예방 또는 개선에는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한, 콘택트 렌즈 장착시에서는, 이들 문제점이 더욱 현저하였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드라이아이 개선 효과를 갖고, 눈 자극이 억제되고, 외관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안과용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드라이아이 개선 효과를 갖는것과 함께, 눈 자극이 억제되고, 외관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안과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A) 비타민A 외에 (C) 식물유 등의 유성성분을 배합함에 의해, 누액중의 유층을 충분히 보충함으로써, 드라이아이 개선 효과를 향상시킴과 함께, 눈 자극이 억제되는 것을 지견하였다. 또한, (B)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을 배합함에 의해, 본 발명의 (A)성분과 (C)성분을 병용한 안과용 조성물을 등명하게 할 수 있고, 외관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켜서, 드라이아이 개선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음을 지견하였다. 또한, (D) 항산화제를 배합함에 의해, 외관 보존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 또한, (E)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량 배합함에 의해, 눈 자극이 생기는 일 없이, 등명하고 외관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안과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이루는데 이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안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 (A) 비타민A와, (B)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과, (C) 피마자유, 대두유, 참기름, 낙화생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소맥배아유, 옥수수유, 유채유, 해바라기유, 정제 라놀린 및 겔 탄화 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2]. (A)성분이, 레틴올팔미틴산 에스테르, 레틴올아세트산 에스테르 또는 레티노인산인 [1]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3]. (B)성분의 함유량이, 0.1 내지 20W/V%인 [1] 또는 [2]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4]. (C)성분의 함유량이, 0.01 내지 5W/V%인 [1], [2] 또는 [3]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5]. 또한, (D)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6]. (D)성분이, 비타민E 또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인 [5]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7]. 또한, (E)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0.001 내지 0.5W/V%를 함유하는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8]. (B)성분 및 (E)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1.1W/V% 이상인 [7]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9]. 방부제 무배합인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10]. 콘택트 렌즈용 점안제인 [1]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과용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아이 개선 효과를 갖음과 함께, 눈 자극이 억제되고, 외관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안과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A) 비타민A와, (B)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과, (C) 피마자유, 대두유, 참기름, 낙화생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소맥배아유, 옥수수유, 유채유, 해바라기유, 정제 라놀린 및 겔 탄화 수소로 이루어지는 군(群)에서 선택되는 유성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이다.
(A) 비타민A
비타민A로서는, 비타민A 그 자체 외에, 비타민A유(油) 등의 비타민A 함유 혼합물, 비타민A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타민A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틴올팔미틴산 에스테르, 레틴올아세트산 에스테르, 레틴올, 레티노인산, 레티노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레틴올팔미틴산 에스테르, 레틴올아세트산 에스테르, 레티노인산이 바람직하다. 레틴올팔미틴산 에스테르는 통상 100만 내지 180만 국제단위(이하, 단위 또는 I.U.로 약기하다)의 것이 시판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로슈?비타민?재팬주식회사제 레틴올팔미틴산 에스테르(170만I.U./g) 등이 있다.
(A)성분의 함유량은, 안과용 조성물 전량에 대해 50,000 내지 500,000단위/100㎖이 바람직하고, 50,000 내지 300,000단위/1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0 내지 200,000단위/100㎖이 더욱 바람직하다. W(질량)/V(체적)%(g/100㎖)로 표시하면, 배합하는 비타민A의 단위에도 의하지만, 상기 비타민A를 포함하는 성분으로서 0.03 내지 0.3W/V%가 바람직하고, 0.03 내지 0.18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6 내지 0.12W/V%가 더욱 바람직하다. 비타민A는, 각막?결막 손상 치료 효과, 드라이아이 개선, 눈의 피로?침침한 눈의 개선 효과를 갖고 있지만, 50,000단위/100㎖ 미만이면, 각막?결막 손상의 개선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고, 드라이아이 치료 효과도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500,000단위/100㎖을 초과하면, 부작용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B)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은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의약품 첨가물 규격(약첨규(藥添規))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중합도는 4 내지 200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200이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옥시드의 평균 중합도는 5 내지 100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70이 보다 바람직하고, 블록 공중합체라도 랜덤 중합체이라도 좋다. (B)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B)성분의 특정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A)성분과 (C)성분을 병용한 안과용 조성물을 등명하게 할 수 있고, 외관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드라이아이 개선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또한, (B)성분의 양을 많이 배합하여도, 눈 자극이 생기기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200) 폴리옥시프로필렌(70) 글리콜 : Lutrol F127(BASF사제), 유니루브70DP-950B(일본유지(주)제) 등, 폴리옥시에틸렌(120) 폴리옥시프로필렌(40) 글리콜(푸루로닉F-87), 폴리옥시에틸렌(160) 폴리옥시프로필렌(30) 글리콜(푸루로닉F-68, 별명 포로쿠사마188) : 프로논#188P(일본유지(주)) 등, 폴리옥시에틸렌(42) 폴리옥시프로필렌(67) 글리콜(푸루로닉P123, 별명 포로쿠사마403), 폴리옥시에틸렌(54) 폴리옥시프로필렌(39) 글리콜(푸루로닉P85) : 프로논#235P(일본유지(주)) 등,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20) 글리콜(푸루로닉L-44), 테토로닉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200) 폴리옥시프로필렌(70)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160) 폴리옥시프로필렌(30)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54) 폴리옥시프로필렌(39)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B)성분의 함유량은, 안과용 조성물 전량에 대해 0.1 내지 20W/V%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15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10W/V%가 더욱 바람직하고, 1.1 내지 10W/V%가 특히 바람직하고, 3 내지 10W/V%가 가장 바람직하다. 0.1W/V% 미만이면, 유성성분의 가용화가 곤란해지고, 20W/V%를 초과하면 눈 자극이 생길 우려가 있지만, (B)성분은 양을 많이 배합해도, 눈 자극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B)성분을 가용화제로서 단독으로 배합하는 경우, 0.4W/V% 이상으로 함에 의해, 유성성분의 가용화가 용이해진다.
(C) 유성성분
유성성분으로서는, 피마자유, 대두유, 참기름, 낙화생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소맥배아유, 옥수수유, 유채유, 해바라기유, 정제 라놀린 및 겔 탄화 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성분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피마자유, 참기름, 올리브유, 대두유, 낙화생유가 바람직하고, 피마자유, 참기름, 대두유, 낙화생유가 보다 바람직하고, 피마자유, 참기름, 대두유가 더욱 바람직하다. (A) 비타민A와 (C) 유성성분을 병용함에 의해, 드라이아이 개선 효과가 향상한다.
(C)성분의 함유량은, 드라이아이 개선과 외관 안정성의 점에서, 안과용 조성물 전량에 대해 0.01 내지 5W/V%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3W/V%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W/V% 미만이면, 양호한 사용감을 얻는 것이 곤란하고, 5W/V%를 초과하면 등명한 점안제를 얻을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D) 항산화제
비타민A의 보존 안정성 향상 및 외관 보존 안정성 향상의 점에서, 항산화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산화제로서는, d-α-토코페롤, d-β-토코페롤, d-γ-토코페롤, d-δ-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β-토코페롤, 아세트산 dl-γ-토코페롤, 아세트산 dl-δ-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의 비타민E 및 그 유도체,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의 지용성 항산화제, 비타민C, 히드로퀴논, 시스테인, 글루타티온 등의 수용성 항산화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비타민E 등의 지용성 항산화제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d-α-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d-α-토코페롤 더욱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안과용 조성물 전량에 대해 0.001 내지 0.5W/V%가 바람직하고, 0.005 내지 0.3W/V%가 보다 바람직하다.
(E)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에는, 외관 보존 안정성 향상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배합하면 좋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E.O.)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1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2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6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100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모노라우릴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20),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폴리소르베이트65)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60이 바람직하다.
(E)성분은 눈 자극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그 함유량은, 안과용 조성물 전량에 대해 0.001 내지 0.5W/V%가 바람직하고, 0.01 내지 0.4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내지 0.3W/V%가 더욱 바람직하다.
(B)성분 및 (E)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외관 보존 안정성 향상의 점에서 1.1W/V% 이상이 바람직하고, 2W/V%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눈 자극의 점에서, 25W/V%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아이 개선 및 눈 자극 억제 때문에 (E)성분은 0.5W/V%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안과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각종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의 성분으로서는, 다가알코올, (B)성분 및 (E)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완충제, 점조제, 당류, pH 조정제, 방부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청량화제, 약물(藥物), 물(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고, 적량을 배합할 수 있다.
다가알코올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다가알코올의 함유량은, 안과용 조성물중 0.01 내지 5W/V%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W/V%이다.
(B)성분 및 (E)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를 병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등의 글리신형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알킬4급암모늄염(구체적으로는,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등의 양(陽)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함유량은, 안과용 조성물중 0.0001 내지 10W/V%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W/V%이다.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 또는 그 염(붕사 등), 구연산 또는 그 염(구연산 나트륨 등), 인산 또는 그 염(인산 1수소나트륨 등), 주석산 또는 그 염(주석산 나트륨 등), 글루콘산 또는 그 염(글루콘산 나트륨 등), 아세트산 또는 그 염(아세트산 나트륨 등), 각종 아미노산 등(입실론-아미노카프론산, 아스파라긴산 칼륨, 아미노에틸술폰산, 글루타민산, 글루타민산 나트륨 등), 트로메타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저자극, 그리고 조성물의 방부 효과의 점에서, 트로메타몰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산, 붕사를 병용하면, 특히 높은 방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붕산, 트로메타몰, 구연산 또는 그 염을 배합하면, 더욱 비타민A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완충제의 함유량은, 안과용 조성물중 0.001 내지 10W/V%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W/V%이다.
점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배합함에 의해, 체류성이 높아져서 각막?결막 손상 치유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점조화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0.00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W/V%이다.
당류로서는, 글루코스, 시클로덱스트린, 크실리톨, 소르비톨, 만니톨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d체(體), l체 또는 dl체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당류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0.00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W/V%이다.
pH 조정제로서는, 무기산 또는 무기 알칼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무기산으로서는 (묽은)염산을 들 수 있다. 무기 알칼리제로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염산, 수산화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의 pH(20℃)는, 4.0 내지 9.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이다. 또한, pH의 측정은 20℃에서 pH 침투압계(HOSM-1, 동아디케케(주))를 이용하여 행한다. pH 조정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0.0000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W/V%이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소르빈산 또는 그 염,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티메로살, 페닐에틸알코올, 염산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염산 폴리헥사니드, 염화 폴리드로늄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눈 자극의 점에서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방부제 무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아이 개선의 점에서는,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으로부터 선택되는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일부는 카티온성 방부제),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 및 클로로부탄올로부터 선택되는 소수성 방부제의 함유량을, 0.004W/V%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3W/V%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이들을 함유하지 않고서, 무배합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이 각막?결막 손상 치료 효과를 저해하는 기구는 분명하지 않지만, 하기와 같이도 생각된다. (B)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은, EO쇄(鎖)를 외측, PO쇄를 내측으로 하여 비타민A를 감싸 미셀을 형성한다. 이 미셀이 각막 표면에 흡착하고, 각막 내부에 비타민A가 흡수된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 기능에 의해, 또한 소수성 방부제는 소수성이 높음에 의해, 미셀 표면의 상태를 바꾸어 버리기 때문에, 비타민A의 각막에의 흡착이 저해되고, 그 결과, 각막?결막 손상 치료 효과 및 드라이아이 개선을 저해하는 것이 생각된다. 한편, 소르빈산 또는 그 염 등의 친수성이 높은 것은, 미셀 표면의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비타민A의 흡수 촉진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성분은 방부제의 일부이지만, 방부제 무배합으로 한 경우의 방부력은, 에데트산 나트륨, 붕산 및 트로메타몰로부터 1종 이상, 알맞게는 2종 이상 조합시켜서 배합하면 좋다. 또한, 유닛 도즈 용기, 필터 부착 용기로 한 경우에도, 방부제 무배합으로 할 수 있다.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0.001 내지 5W/V%,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W/V%이다.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 나트륨, 시클로덱스트린, 아황산염,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안정화제를 배합하면, 더욱 비타민A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안정화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0.001 내지 5W/V%,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W/V%이다.
청량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멘톨, 캄퍼, 보르네올, 게라니올, 시네올, 리날로올 등을 들 수 있다. 청량화제의 함유량은, 안과용 조성물중 , 화합물의 총량으로서, 0.0001 내지 5W/V%가 바람직하고, 0.001 내지 2W/V%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5 내지 1W/V%가 더욱 바람직하고, 0.007 내지 0.8W/V%가 특히 바람직하다.
약물(약학적 유효 성분)로서는, 예를 들면, 충혈 제거제(예를 들면, 염산 나파졸린, 염산 테트라히드로졸린, 염산 페닐레프린, 에피네프린, 염산 에페드린, dl-염산 메틸에페드린, 질산 테트라히드로졸린, 질산 나파졸린 등), 소염?수렴제(예를 들면, 메틸황산 네오스티그민, ε-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염화 베르베린, 황산 아연, 젖산 아연, 염화 리소자임, 글리시리진산 2칼륨, 글리시리진산 암모늄, 글리시레틴산, 살리실산 메틸, 트라넥삼산, 아즐렌술폰 나트륨 등), 항히스타민제(예를 들면, 염산 이프로헵틴, 염산 디펜히드라민, 디펜히드라민, 염산 이소티펜딜,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등), 항알레르기제(예를 들면, 크로모글릭산 나트륨 등), 수용성 비타민(활성형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B12 등), 아미노산(예를 들면, L-아스파라긴산 칼륨, L-아스파라긴산 마그네슘, 아미노에틸술폰산, 콘드로이틴황산 나트륨, 글루타티온 등), 술퍼제, 살균제(예를 들면, 유황,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히노키티올 등), 국소 마취 제(예를 들면, 리도카인, 염산 리도카인, 염산 프로카인, 염산 디부카인 등), 산동제(散瞳劑)(예를 들면, 트로피카미드 등)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안과용 조성물중의 이들의 성분의 배합량은 제제의 종류, 약물의 종류 등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되고, 각종 성분의 배합량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미 알고 있다. 예를 들면, 제제 전체에 대해 0.0001 내지 30W/V%,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W/V%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성분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안과용 조성물에 관해 이하와 같다.
충혈 제거제라면, 예를 들면, 0.0001 내지 0.5W/V%,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0.3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W/V%이다. 소염?수렴제라면, 예를 들면, 0.000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W/V%이다. 항히스타민제라면, 예를 들면, 0.000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W/V%이다. 수용성 비타민이라면, 예를 들면, 0.0001 내지 1W/V%,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5W/V%이다. 아미노산이라면, 예를 들면, 0.000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W/V%이다. 술퍼제, 살균제라면, 예를 들면, 0.0000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W/V%이다. 국소 마취제라면, 예를 들면, 0.001 내지 1W/V%,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W/V%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그대로 액제(液劑)로 하여도 좋고, 현탁제, 겔제 등으로 조제하여도 좋다. 안과용 조성물로서는, 점안제, 세안제 등을 들 수 있고, 콘택트 렌즈용으로서 알맞다. 그리고, 「콘택트 렌즈용」이란, 콘택트 렌즈 장착중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안제(콘택트 렌즈 착용중에 점안 가능한 콘택트 렌즈용 점안제를 포함한다), 세안제(콘택트 렌즈 착용중에 세안 가능한 콘택트 렌즈용 세안제를 포함한다)를 들 수 있고, 콘택트 렌즈용 점안제가 바람직하다. 콘택트 렌즈로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하드 콘택트 렌즈, 산소 투과성 하드 콘택트 렌즈, 소프트 콘택트 렌즈, 1회용 콘택트 렌즈,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A를 고농도로 배합함에 의해, 각막 손상 치료용 안과용 조성물이나, 드라이아이 치료제로서 알맞다. 그리고, 드라이아이이란, 누액의 질적 또는 양적 이상에 의해, 안구 표면상의 각결막이 장해를 받은 상태인 것을 말한다. 누액은 유층, 수층 및 무틴층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3층 구조의 질적 양적 밸런스가 파괴됨으로써 누액이 불안정하게 되고, 각막에 장해가 생기고, 드라이아이가 야기된다. 드라이아이 치료에서는, 이 누액의 유층, 수층, 무틴층의 3층 구조를 회복시키는 것 및 각막 장해를 치료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콘택트 렌즈 사용자는 드라이아이가 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용 점안제, 콘택트 렌즈를 빼어낸 후에 사용한 세안제, 콘택트 렌즈 장착액, 콘택트 렌즈 배내는 액(液) 등으로서 알맞다. 드라이아이 치료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1회 30 내지 60㎕, 1일 3 내지 6회를 점안함에 의해, 그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과용 조성물을 등명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등명」이란, 탁해짐이 없고 비쳐 보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액상이고, 그 점도는, 점안제인 경우, 1 내지 50mPa?s가 바람직하고, 1 내지 2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5mPa?s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점도 측정은 20℃에서 E형 점도계(VISCONIC ELD-R, 도쿄계기(주))를 이용하여 행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그 조제 방법에 관해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비타민A를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에 의해 정제수에 가용화하고, 뒤이어, 각 배합 성분을 가하고 pH를 조정하여 얻을 수 있다. 그 후, 적당한 용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용기 등에 무균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표중의 양은, 기타는 성분의 순분량(純分量)이다.
[실시예 1 내지 44, 비교예 1 내지 4]
표 1 내지 8에 표시하는 조성의 안과용 조성물(점안제)을 하기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비타민A,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및 유(油)성분(필요에 응하여 항산화제)을 85℃에서 예비 용해하였다. 이 예비 용해물을 85℃로 가온한 정제수에 가용화하였다. 냉각 후, 수용성 배합 성분을 가하였다. 얻어진 안과용 조성물(점안제)에 관해, 하기에 나타내는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중에 병기한다. 또한, 안과용 조성물의 pH(20℃)를, pH 침투압계(HOSM-1, 동아디케케(주))를 이용하여 행하고, 결과를 표중에 표시한다. 그리고, 실시예의 안과용 조성물은 전부 등명하였다.
<외관 안정성>
안과용 조성물 20㎖을 유리제 앰플(20㎖용)에 충전하고, 70℃?7일간 보존 후의 외관의 변화를 관찰하고,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5 : 액은 등명하고, 변색이 거의 없다
4 : 액은 등명하지만, 점점 변색하고 있다
3 : 액은 등명하지만, 약간 변색하고 있다
2 : 액이 등명하지 않다
1 : 액이 분리 또는 침전 등이 생기고 있다
<드라이아이 개선 1>
드라이아이 증상(중증도(重症度) 레벨 1 : The Ocular Surface, Vol5, No. 2, 2007 참조)을 호소하는 자에 대해, 안과용 조성물을 50㎕ 점안하고(2시간 간격으로 3회), 3회째 점안 30분 후의 드라이아이 개선의 정도(눈의 건조감)를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5 : 매우 개선
4 : 개선
3 : 약간 개선
2 : 어느쪽이라고도 말할 수가 없다
1 : 개선되지 않는다
<드라이아이 개선 2>
드라이아이 증상(중증도 레벨 4)을 호소하는 자(3명)에 대해, 안과용 조성물을 50㎕ 점안하고(2시간 간격으로 3회), 3회째 점안 30분 후의 드라이아이 개선의 정도(눈의 건조감)를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는, 3명의 평균치(소수점 제 1자리를 사사오입)를 나타낸다.
<평가 기준>
7 : 극히 개선
6 : 매우 개선
5 : 꽤 개선
4 : 개선
3 : 약간 개선
2 :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가 없다
1 : 개선되지 않는다
<눈 자극성>
안과용 조성물 5㎖을 세안용 컵에 취하여, 30초간 세안하였다. 세안중에 느끼는 눈 자극을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세안은 위를 보는 상태에서, 세안액이 세안용 컵으로부터 넘치고 떨어지지 않도록 행하고, 5초에 1회의 간격으로 눈을 깜빡이고, 세안액이 눈 표면 전체를 덮는 조건으로 행하였다.
<평가 기준>
5 : 자극을 느끼지 않는다
4 :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가 없다
3 : 자극을 약간 느낀다
2 : 자극을 느낀다
1 : 매우 자극을 느낀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5]
Figure pct00005
[표 6]
Figure pct00006
[표 7]
Figure pct00007
[표 8]
Figure pct0000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드라이아이 증상(중증도 레벨 4)과 중한 증상에 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였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원료를 하기에 나타낸다.
*1 : 유니루브70DP-950B, 약첨규, 일유(주) 또는 Lutrol F127, 약첨규, BASF
*2 : 프로논#188P, 약첨규, 일유(주)
*3 : 프로논#235P, 약첨규, 일유(주)

Claims (10)

  1. (A) 비타민A와, (B)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과, (C) 피마자유, 대두유, 참기름, 낙화생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소맥배아유, 옥수수유, 유채유, 해바라기유, 정제 라놀린 및 겔 탄화 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성분이, 레틴올팔미틴산 에스테르, 레틴올아세트산 에스테르 또는 레티노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B)성분의 함유량이, 0.1 내지 20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C)성분의 함유량이, 0.01 내지 5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D)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D)성분이, 비타민E 또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E)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0.001 내지 0.5W/V%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B)성분 및 (E)성분의 합계 함유량이, 1.1W/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부제 무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용 점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
KR1020127001548A 2009-06-30 2010-06-29 안과용 조성물 KR101690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4862 2009-06-30
JP2009154862 2009-06-30
PCT/JP2010/061005 WO2011001951A1 (ja) 2009-06-30 2010-06-29 眼科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656A true KR20120069656A (ko) 2012-06-28
KR101690817B1 KR101690817B1 (ko) 2016-12-28

Family

ID=4341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548A KR101690817B1 (ko) 2009-06-30 2010-06-29 안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9827B2 (ko)
JP (1) JP5673531B2 (ko)
KR (1) KR101690817B1 (ko)
TW (1) TWI463978B (ko)
WO (1) WO20110019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8715A1 (ja) * 2011-07-08 2013-01-17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水性眼科組成物
WO2013183778A1 (ja) * 2012-06-08 2013-12-12 ライオン株式会社 粘膜用組成物
JP6179204B2 (ja) * 2012-06-08 2017-08-16 ライオン株式会社 粘膜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155863B2 (ja) * 2012-06-08 2017-07-05 ライオン株式会社 粘膜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462201B2 (ja) * 2012-06-14 2019-01-30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水性眼科組成物
JP5984531B2 (ja) * 2012-06-27 2016-09-06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水性眼科組成物
JP5988855B2 (ja) 2012-06-27 2016-09-07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水性眼科組成物
JP5873573B2 (ja) * 2012-12-04 2016-03-01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水性眼科組成物
WO2018003796A1 (ja) * 2016-06-30 2018-01-04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製品及び粘度低下抑制方法
WO2018035469A1 (en) 2016-08-19 2018-02-22 Akrivista, LLC Methods of diagnosing and treating dry eye syndrome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 human eye
JP7120018B2 (ja) * 2016-10-07 2022-08-17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製品及び粘度低下抑制方法
GB201618175D0 (en) * 2016-10-27 2016-12-14 Warneford Healthcare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O2018194119A1 (ja) * 2017-04-21 2018-10-25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組成物
CN111295169A (zh) 2017-08-18 2020-06-16 阿克里维斯塔有限责任公司 诊断和治疗干眼综合症的方法和用于治疗人类眼睛的组合物
JP6904289B2 (ja) * 2018-03-19 2021-07-14 ライオン株式会社 水性眼科用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656A (ja) * 2004-09-27 2006-05-11 Rohto Pharmaceut Co Ltd ヒアルロン酸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粘膜適用組成物
JP2008222638A (ja) 2007-03-13 2008-09-25 Teika Seiyaku Kk 油成分含有眼用組成物
JP2008308450A (ja) * 2007-06-15 2008-12-25 Teika Seiyaku Kk 眼科用剤およびレチノールパルミチン酸エステルの安定性向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3010A1 (en) * 1992-05-13 1993-11-25 Sandoz Ltd.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a cyclosporin
TW274516B (ko) * 1993-11-12 1996-04-21 Ciba Geigy Ag
IT1307281B1 (it) * 1999-11-25 2001-10-30 Simonelli Giuseppe Uso di ubichinone q10 per il trattamento locale e la prevenzione dipatalogie oftalmologiche secondarie alla terapia fotorefrattiva,
JP2002154989A (ja) 2000-11-14 2002-05-28 Lion Corp 眼科用組成物、及び生体粘膜への薬物の滞留性向上組成物
US20040185068A1 (en) * 2003-03-18 2004-09-23 Zhi-Jian Yu Self-emulsifying compositions, methods of use and preparation
JP5748385B2 (ja) 2006-01-13 2015-07-15 大正製薬株式会社 O/w型エマルション水性点眼剤
JP5176132B2 (ja) * 2006-09-14 2013-04-03 大正製薬株式会社 眼科用剤
JPWO2008096804A1 (ja) * 2007-02-07 2010-05-27 テイカ製薬株式会社 ラタノプロスト含有点眼剤
US9034843B2 (en) 2007-09-14 2015-05-19 Rohto Pharmaceutical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US20100249062A1 (en) 2007-09-28 2010-09-30 Yasuko Matsumura Ophthalmic composition
JP5549669B2 (ja) * 2009-06-25 2014-07-16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組成物、ドライアイ治療剤及びビタミンaの安定化方法
WO2010150812A1 (ja) * 2009-06-25 2010-12-29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組成物及び白濁・沈殿抑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656A (ja) * 2004-09-27 2006-05-11 Rohto Pharmaceut Co Ltd ヒアルロン酸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粘膜適用組成物
JP2008222638A (ja) 2007-03-13 2008-09-25 Teika Seiyaku Kk 油成分含有眼用組成物
JP2008308450A (ja) * 2007-06-15 2008-12-25 Teika Seiyaku Kk 眼科用剤およびレチノールパルミチン酸エステルの安定性向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3531B2 (ja) 2015-02-18
TW201110961A (en) 2011-04-01
JPWO2011001951A1 (ja) 2012-12-13
WO2011001951A1 (ja) 2011-01-06
US9119827B2 (en) 2015-09-01
US20120108658A1 (en) 2012-05-03
TWI463978B (zh) 2014-12-11
KR101690817B1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3531B2 (ja) 眼科用組成物
JP5549669B2 (ja) 眼科用組成物、ドライアイ治療剤及びビタミンaの安定化方法
JP5736635B2 (ja) ドライアイ治療剤
JP6757435B2 (ja) 眼科用水性組成物
JP5842593B2 (ja) 眼科用組成物
KR101858590B1 (ko) 안과용 조성물
JP2009173638A (ja) 眼科用組成物及びビタミンa類の安定化方法
WO2010150812A1 (ja) 眼科用組成物及び白濁・沈殿抑制方法
JP5800072B2 (ja) 眼科用組成物及び白濁・沈殿抑制方法
JP2013237638A (ja) 眼科組成物
WO2019230834A1 (ja) 涙液層安定化剤及びマイバム分泌促進剤、ならびに眼科用組成物
JP2011246383A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用者用疲れ目改善用眼科製剤
JP5041761B2 (ja) 眼粘膜適用製剤
KR20190071674A (ko) 안과용 제제 및 안과용 약
WO2020138135A1 (ja) 眼科用組成物
JP7192489B2 (ja) 眼科用組成物
JP2005289899A (ja) プラノ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液状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