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237A - 안과용 제품 및 점도 저하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안과용 제품 및 점도 저하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237A
KR20190065237A KR1020197002869A KR20197002869A KR20190065237A KR 20190065237 A KR20190065237 A KR 20190065237A KR 1020197002869 A KR1020197002869 A KR 1020197002869A KR 20197002869 A KR20197002869 A KR 20197002869A KR 20190065237 A KR20190065237 A KR 20190065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nclosure
castor oil
hydrochloride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오쿠무라
카나 나이토
레이코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 및
(D) 하기 (D-1) 및 (D-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등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과,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는 안과용 제품으로서, 포위체 내에 산소 흡수제를 동봉하는 등의 수단을 사용한 안과용 제품.

Description

안과용 제품 및 점도 저하 억제 방법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점도 저하가 억제된 안과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안과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의 향상이나 청량감의 지속을 위해 고분자 화합물 등의 점조제를 배합하여 눈 표면에서의 약물 체류성을 높이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유효 성분의 눈 표면에서의 체류성의 향상은 비타민A 등의 눈 표면의 각막 상피 세포에 작용하는 유효 성분에 있어서 특히 유익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청량감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멘톨 등의 청량화제가 사용된다. 또한, 비타민A나 멘톨 등의 청량화 성분은 지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이들의 성분을 수성 점안제에 배합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도 동시에 배합되는 경우가 많다.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의 점도 저하 억제를 위해 참깨유 등의 식물유를 배합하는 방법(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5-206598호 공보)이나, 피마자유를 배합하는 방법(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5-206599호 공보), 만니톨이나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방법(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평 11-71478호 공보)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분자 화합물 배합의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저하는 여러 가지 배합 성분에 의한 영향을 받아서 생기는 것이며, 비타민A나 멘톨 등의 지용성 성분의 배합 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했을 때에는 점도 저하가 특히 생기기 쉬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점도 저하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는 않았다.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는 약제의 유효성이나 청량화제의 지속성 향상에 크게 기여함과 아울러 점도로부터 생기는 사용감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예를 들면, 지나치게 높은 점도는 끈적거림이나 달라붙음, 사용 후의 시계의 희미해지는 느낌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제제의 설계 점도를 극력 변화시키는 일 없이 유지하는 것은 안과용 조성물의 품질 유지에 있어서 유효성의 면으로부터도 사용감의 면으로부터도 매우 중요하며, 그러한 높은 점도 안정화 방법이 요망되어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2005-20659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5-20659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 11-71478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A와 같은 지용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고분자 화합물 배합의 안과용 조성물은 경시에 의한 점도 저하가 생기기 쉽고,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또는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했을 경우에 특히 현저한 것을 찾아냈다. 따라서, 이러한 점도 저하를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검토한 결과, 고분자 화합물, 계면활성제 및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에 있어서 특정 성분을 배합하고, 특정 포장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점도 저하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찾아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안과용 조성물은 점안 시에 높은 체류성을 발휘하여 촉촉한 느낌의 지속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를 제공한다.
[1].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 및
(D) 하기 (D-1) 및 (D-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과,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는 안과용 제품으로서,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한 안과용 제품.
[2]. [1]에 있어서, (D)성분이 (D-1)군으로부터 1종 이상 및 (D-2)군으로부터 1종 이상인 안과용 제품.
[3]. [1] 또는 [2]에 있어서, (A)성분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히알루론산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안과용 제품.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성분이 레티놀팔미트산에스테르, 아세트산d-α-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멘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안과용 제품.
[5].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과,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고,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한 안과용 제품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조성물에,
(D) 하기 (D-1) 및 (D-2)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저하 억제 방법.
[6].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에 있어서,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고,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함과 아울러 상기 안과용 조성물에,
(D) 하기 (D-1) 및 (D-2)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저하 억제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고분자 화합물, 계면활성제 및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높은 점도 저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A)성분]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히프로멜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비닐피롤리돈(포비돈),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히알루론산 및 그 염,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조성물에 점도를 부여하고, 배합된 유효 성분의 눈 표면에서의 체류성을 향상시켜 눈 표면에 체류함으로써 눈 표면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히알루론산 및 그 염이 바람직하고,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수용성이란 수용액에 용해가능한 고분자이며, 그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5,000,000이 바람직하고, 10,000~2,50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 컬럼을 사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으로 구할 수 있다.
(A)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1~10%(W/V%(질량/용적%, g/100mL 이하 동일))가 바람직하고, 0.05~3%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배합하는 경우는 조성물 중 0.05~5%가 바람직하고, 0.1~3%가 보다 바람직하고, 0.1~0.5%가 더욱 바람직하다. 메틸셀룰로오스를 배합하는 경우는 조성물 중 0.05~5%가 바람직하고, 0.1~3%가 보다 바람직하고, 0.1~1%가 더욱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배합하는 경우는 조성물 중 0.05~5%가 바람직하고, 0.1~3%가 보다 바람직하고, 0.1~1%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배합하는 경우는 조성물 중 0.01~10%가 바람직하고, 0.05~5%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3%가 더욱 바람직하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배합하는 경우는 조성물 중 0.01~5%가 바람직하고, 0.05~3%가 보다 바람직하고, 0.1~1%가 더욱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 및 그 염을 배합하는 경우는 조성물 중 0.01~3%가 바람직하고, 0.01~1%가 보다 바람직하고, 0.02~1%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점도의 부여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지나치게 많으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눈 표면에서의 유동성이 나빠 희미해짐, 달라붙음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B)성분]
(B)성분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이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POE 경화 피마자유)로서는 수첨한 피마자유에 부가 중합하는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에 의해 몇가지의 종류가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수치는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 이하 동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2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3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8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안전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로서는 모노라우르산POE(20)소르비탄(POE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치는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 이하 동일), 모노팔미트산POE(20)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 40), 모노스테아르산POE(20)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 60), 트리스테아르산POE(20)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 65), 모노올레산POE(20)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모노올레산POE(20)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 80)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POE 피마자유)로서는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3~60몰의 범위 내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3(수치는 산화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 이하 동일),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1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2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35,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50,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60을 들 수 있다. 에틸렌옥시드 부가 몰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는 다른 성분이다.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로서는 스테아르산폴리옥실 10(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10), 수치는 에틸렌글리콜의 평균 부가 몰수, 이하 동일), 스테아르산폴리옥실 40, 스테아르산폴리옥실 45, 스테아르산폴리옥실 55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스테아르산폴리옥실 40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와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과 모노올레산POE(20)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 80)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성분의 배합량은 (B)성분의 총량으로서 조성물 중 0.01~7%가 바람직하고, 0.05~5%가 보다 바람직하고, 0.1~3%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C)성분 등을 보다 안정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B)성분에 의한 자극감의 우려가 없다.
[(C)성분]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이며, 이 지용성 성분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비타민A에는 각막 상처 치유 효과 등이 있고, 비타민A 그것 자체 외에 비타민A유 등의 비타민A 함유 혼합물, 비타민A 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비타민A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티놀팔미트산에스테르, 레티놀아세트산에스테르, 레티놀, 레티노산, 레티노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레티놀팔미트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비타민A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안과용 조성물 100mL 중 5,000~500,000국제단위(IU)가 바람직하고, 10,000~100,000국제단위(IU)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00~75,000국제단위(IU)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한값 이상에서 비타민A에 의한 각막 상처 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상한값 이하에서 비타민A의 안정성을 보다 얻을 수 있다.
비타민E로서는 아세트산토코페롤(아세트산dl-α-토코페롤, 아세트산d-α-토코페롤(비타민E)), 숙신산 토코페롤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산d-α-토코페롤이 바람직하다.
비타민E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안과용 조성물 중 0.005~0.5%가 바람직하고, 0.01~0.1%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효과와 안정성을 보다 도모할 수 있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안과용 조성물 중 0.001~0.05%가 바람직하고, 0.003~0.01%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효과와 안정성을 보다 도모할 수 있다.
청량화제로서는 멘톨, 캄퍼, 쿨민트, 게라니올, 박하수, 보르네올, 유칼립투스유, 회향유, 장미유, 베르가모트유,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리날롤, 아네톨, 오이게놀, 시네올, N-에틸-p-메탄-카르복시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청량화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멘톨이 바람직하고, 2종 이상을 조합하는 경우, 멘톨과 다른 청량화제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량화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안과용 조성물 중 0.001~0.5%가 바람직하고, 0.005~0.3%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효과와 점안 시의 양호한 청량감을 얻을 수 있다.
[(D)성분]
(D) 하기 (D-1) 및 (D-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D)성분의 배합에 의해 상기 (A), (B)성분을 병용하는 것에 의한 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또는 그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2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5아세트산, 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3아세트산, 에데트산나트륨(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나트륨),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2나트륨), 이들의 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시리진산 또는 그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2칼륨, 글리시리진산2나트륨, 글리시리진산2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그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다황산에스테르, 콘드로이틴황산에스테르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아스파르트산 또는 그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L-아스파르트산나트륨, L-아스파르트산칼륨, L-아스파르트산마그네슘, L-아스파르트산칼슘, L-아스파르트산마그네슘·칼륨(L-아스파르트산마그네슘과 L-아스파르트산칼륨의 등량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D-1)성분: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D-2)성분으로서는 알란토인, 판테놀,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이 바람직하다.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는 경우는 (D-1)군으로부터 1종 이상 및 (D-2)군으로부터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배합량은 안과용 조성물 중 0.001~10%가 바람직하고, 0.005~5%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3%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A), (B)성분을 병용하는 것에 의한 점도 저하 성분을 병용하는 것에 의한 점도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각 성분의 안과용 조성물 중의 보다 바람직한 배합량을 하기에 나타낸다. 트로메타몰은 0.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이다. 프로필렌글리콜은 0.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이다.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또는 그 염은 0.00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5%이다.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은 0.001~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이다.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은 0.01~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이다. 알란토인은 0.00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이다. 글리시리진산 또는 그 염은 0.00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이다.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은 0.001~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0.1%이다. 피리독신염산염은 0.00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이다. 판테놀은 0.00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이다.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그 염은 0.00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이다. 염화나트륨은 0.0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1%이다.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은 0.0001~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0.1%이다. 황산아연은 0.00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5~1%이다.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은 0.0001~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1%이다. 시아노코발라민은 0.001~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0.1%이다. 아스파르트산 또는 그 염은 0.0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2%이다. 아미노에틸술폰산은 0.0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2%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에는 안과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배합 성분으로서는 약물, 완충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항산화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적량을 배합할 수 있다.
약물로서는 예를 들면, (D)성분 이외의 충혈 제거 성분, 안근 조절약 성분, 항염증약 성분 또는 수렴약 성분, 항히스타민약 성분 또는 항알레르기약 성분,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항균약 성분 또는 살균약 성분, 당류, (A)성분 이외의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 다가 알코올, 국소마취약 성분, 스테로이드 성분, 녹내장 치료 성분, 백내장 치료 성분, 산동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를 하기에 나타낸다.
충혈 제거 성분: α-아드레날린 작동약,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 유도체(나파졸린, 테트라히드로졸린 등), β-페닐에틸아민 유도체(페닐레프린, 에피네프린, 에페드린, 메틸에페드린 등), 및 그들의 약학상 또는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예를 들면, 나파졸린염산염, 나파졸린질산염, 질산테트라히드로졸린, 페닐레프린염산염, 염산에피네프린, 에페드린염산염, 메틸에페드린염산염 등의 무기산염; 주석산수소에피네프린 등의 유기산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안근 조절약 성분: 아세틸콜린과 유사한 활성 중심을 갖는 콜린에스테라아제 저해제, 트로픽아미드, 아트로핀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약 성분 또는 수렴약 성분: 프라노프로펜,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디클로페낙나트륨, 피록시캄, 멜록시캄, 아스피린, 메페남산, 인도메타신파르네실, 아세메타신, 이부프로펜, 티아프로펜산, 록소프로펜나트륨, 염산티아라미드, 아연염(예를 들면, 염화아연, 락트산아연 등), 리소자임, 리소자임염산염, 살리실산메틸, 아줄렌술폰산나트륨, 베르베린 염화물, 베르베린 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항히스타민약 성분 또는 항알레르기약 성분: 예를 들면, 케토티펜, 아시타자노라스트, 디펜히드라민, 레보카바스틴, 크로모글릭산, 트라닐라스트, 이부딜라스트, 암렉사녹스, 페미로라스트 및 그들의 약학상 또는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염(디펜히드라민염산염, 케토티펜푸말산염, 크로모글릭산나트륨 등)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 티아민, 나이아신, 비타민D, 비타민K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류: 예를 들면, 류신, 이소류신, 발린, 메티오닌, 트레오닌, 알라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리신, 글리신, 세린, 프롤린, 티로신, 시스테인, 히스티딘, 오르니틴, 히드록시프롤린, 히드록시리신, 글리실글리신, γ-아미노부티르산, 글루탐산 등을 들 수 있다.
항균약 성분 또는 살균약 성분: 술폰아미드류(예를 들면, 술파메톡사졸, 술피속사졸, 술피소미딘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술파메톡사졸나트륨, 술피소미딘나트륨 등) 등), 아크리놀, 알킬폴리아미노에틸글리신, 뉴퀴놀론제(로메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오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염산염 등), β락탐계 항균약(슬베니실린, 세프메녹심 등),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균약(카나마이신, 젠타마이신, 토브라마이신, 시소마이신, 디베카신, 베카나마이신, 미크로노마이신 등), 테트라사이클린계 항균약(옥시테트라사이클린 등), 매크롤라이드계 항균약(에리스로마이신 등), 클로람페니콜계 항균약(클로람페니콜 등), 폴리펩티드계 항균약(콜리스틴 등) 등. 또한, 항바이러스약(이독수리딘, 아시클로비르, 아데닌아라비노시드, 간시클로비르, 포스카넷, 발라시클로비르, 트리플루오로티미딘, 시도포비르, 카르보사이클릭·옥세타노신G 등), 항진균류약(피마리신, 플루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미코나졸, 플루시토신, 암호테리신B 등) 등을 들 수 있다.
당류로서는 락툴로오스, 라피노오스, 풀루란,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시클로덱스트린, 크실리톨, 만니톨,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 아라비아검, 카라야검, 크산탄검, 캐롭검, 구아검, 과이액지 퀸스씨드, 담마검, 트라가간트, 벤조인검, 로커스트빈검, 카세인, 한천, 알긴산, 덱스트린, 덱스트란, 카라기난, 젤라틴, 콜라겐, 펙틴, 전분, 폴리갈락투론산(알긴산), 키틴 및 그 유도체, 키토산 및 그 유도체, 엘라스틴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국소마취약 성분: 클로로부탄올, 리도카인, 옥시부프로카인, 디부카인, 프로카인, 아미노벤조산에틸, 메프릴카인, 메피바카인, 부피바카인, 코카인 및 그들의 염(리도카인염산염, 옥시부프로카인염산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스테로이드 성분: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코르티솔, 메틸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파라메타손, 베타메타손 및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녹내장 치료 성분: 디스티그민 브롬화물, 티몰롤말레산염, 카르테올롤염산염, 베탁솔롤염산염, 라타노프로스트, 이소프로필우노프로스톤, 디피베프린염산염, 아프라클로니딘염산염, 필로카르핀염산염, 카르바콜, 도르졸라미드염산염, 아세타졸아미드, 메타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백내장 치료 성분: 피레녹신, 글루타티온, 침샘 호르몬, 티오프로닌, Dihydro azapentacene disulfonate 및 그들의 염(예를 들면, Sodium 5,12-dihydro azapentacene disulfonate 등) 등을 들 수 있다.
산동 성분: 시클로펜톨레이트염산염, 트로픽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각 약물의 유효한 적성량을 선택할 수 있지만, 눈에의 자극성, 조성물의 안정성 등의 점으로부터 안과용 조성물 중 0.000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붕산, 붕사, 인산,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칼륨,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빙초산,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3~4%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γ-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3~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1~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산화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히드로퀴논, 갈산프로필,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1~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클로로부탄올,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파라벤류, 염화폴리드로늄, 염산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벤조산나트륨,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중 0.0001~0.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0.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각막 상처 치유 효과 등을 갖는 비타민A를 (C)성분으로 해서 배합하는 경우 등 각막에의 자극성을 보다 저감하여 보다 안전한 조성물로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방부제는 배합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잔부를 물로 해서 공지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성분을 멸균 정제수, 이온 교환수 등의 물, 또는 물과의 혼합 용매 등에 용해시켜서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성분 등의 지용성 성분을 (B)성분의 계면활성제에 용해한 후, 다른 수용액 성분을 용해한 고온(70~95℃)의 수용액에 투입한 후, pH를 조정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삼투압 등을 pH 조정제, 등장화제에 의해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pH 조절제로서는 염산, 황산, 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의 pH(20℃)는 3.5~8.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7.7, 더욱 바람직하게는 5.5~7.5이다. pH가 지나치게 낮아도 지나치게 높아도 자극감이 강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pH의 측정은 20℃에서 pH 삼투압계(HSMO-1, DKK-TOA CORPORATION)를 사용하여 행한다. pH 조정제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염산 등이 바람직하다.
[안과용 조성물]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액체가 바람직하고, 20℃에 있어서의 점도는 1~400mPa·s가 바람직하고, 1~10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1~60mPa·s가 더욱 바람직하고, 1~30mPa·s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점도의 측정 방법은 B형 점도계 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눈에 적용하는 의약품, 의약부외품 외, 콘택트렌즈 케어에 사용하는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안제(일반용 점안제, 인공누액, 콘택트렌즈 착용 중에 점안가능한 점안제 등을 포함함), 세안제(洗眼劑)(맨눈에 사용하는 세안제, 콘택트렌즈 착용 중에 세안가능한 세안제, 콘택트렌즈를 빼낸 후에 사용하는 세안제 등을 포함함), 콘택트렌즈 장착액, 콘택트렌즈 제거액, 콘택트렌즈 케어용제(콘택트렌즈 소독제, 콘택트렌즈용 보존제, 콘택트렌즈용 세정제, 콘택트렌즈용 세정 보존제 등을 포함함), 이식용의 적출 각막의 보존제, 안연고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안제, 세안제 및 콘택트렌즈 장착액은 본 발명의 안과 조성물의 적합한 제제 형태이며, 특히 점안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지 콘택트렌즈로 표기하는 경우에는 하드콘택트렌즈, 소프트콘택트렌즈를 포함하는 모든 콘택트렌즈를 포함한다.
[안과용 제품]
본 발명은 안과용 조성물과,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는 안과용 제품으로서, 안과용 조성물 중의 산소 농도가 저감된 상태에서 보존되는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A), (B)성분을 병용하는 것에 의한 점도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수단으로서는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상기 (A), (B)성분을 병용하는 것에 의한 점도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위체는 용기를 밀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로서는 플라스틱제 용기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염화비닐 등의 재질 또는 이들 재질의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용기의 산소 투과 계수는 10cc/㎡·24hr·atm 이상이 바람직하다. 제품 중의 안과용 조성물의 양은 제품 및 그 사용 방법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점안제의 경우, 2~20mL가 바람직하고, 5~20mL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의 용량은 충전하는 안과용 조성물의 양에 따라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전하는 안과용 조성물의 양에 대해 100~150%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점안제의 경우, 2~30mL가 바람직하다. 점안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멀티도즈 점안제이어도 디스포저블 점안제이어도 좋다.
포위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셀로판, 폴리염화비닐 필름, 알루미늄박, 알루미늄을 증착한 폴리비닐알코올계·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을 코팅한 필름 또는 라미네이트 필름 등, 이들의 복합, 다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포위체의 산소 투과 계수는 10cc/㎡·24hr·atm 이하(즉, 0~10cc/㎡·24hr·atm)의 산소 비투과성 포위체가 바람직하다.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불활성 가스로서는 질소, 헬륨, 네온, 아르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질소 가스가 바람직하다. 불활성 가스의 농도는 포위체와 플라스틱제 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 용적 중 바람직하게는 50용적%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용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용적% 이상이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용적% 이하이다. 이러한 농도로 하기 위해서는 포위체와 플라스틱제 용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면 좋다.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구체적으로는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의 AGELESS(등록상표)(FX, SP, SS, SPE, ZP, Z-PT, Z-PKC, GLS, GL-M, Z-20PK 등), PharmaKeep, (주) Tokiwa Sangyo제의 바이타론, Hakuyo,inc.제의 SANSORESU, Powertech Co., Ltd.제의 WonderKeep, IRISFINEPRODUCTS Co., Ltd.제의 SANSO-CU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구체적으로는 Toyo Seikan Co., Ltd.제의 OXYBLOCK,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의 Oxy Vanish 등을 사용할 수 있다.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구체적으로는 Kyodo Printing Co., Ltd.제의 Oxy Catch(등록상표) ICA, Sealed Air Japan G.K.제의 Cryovac(등록상표) OS 필름, 스타플라스틱코교(주)제의 하이스타-O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의 AGELESS OMAC, Toyo Seikan Co., Ltd.제의 OXYDE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적당히 조합할 수 있고, (2), (4)가 바람직하고, (1)+(2), (1)+(4)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과,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고,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한 안과용 제품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조성물에,
(D) 하기 (D-1) 및 (D-2)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저하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적합한 것, 양, 등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에 있어서,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고,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함과 아울러 상기 안과용 조성물에,
(D) 하기 (D-1) 및 (D-2)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저하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적합한 것, 양 등은 상기 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성의 W/V%는 g/100mL이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에 나타내는 조성의 안과용 조성물을, 지용성 성분을 (B)성분에 용해한 후, 다른 수용액 성분을 용해한 고온(70~95℃)의 수용액에 투입함으로써 하기 표에 나타내는 조성의 안과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안과용 조성물(15mL)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점안제 용기(16mL)에 충전한 후, 산소 흡수제(AGELESS: Z-20PK 등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를 동봉한 필름 포장(포위체)을 실시했다. 또한, 비교예 4 및 실시예 4-1~4-4, 및 비교예 6 및 실시예 6-1~6-3에 대해서는 산소 흡수능을 갖는 필름(AGELESS OMAC: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을 사용하여 포장(포위체)을 실시했다. 또한, 포위체의 산소 투과 계수는 10cc/㎡·24hr·atm 이하이다. 보존 전의 점도를 B형 점도계(디지털 점도계 DV2T, EKO Instruments제)로 점도를 측정하고, 50℃·75% RH 환경 하에서 2개월 보존했다. 보존 후, 점안제를 상온(20℃)으로 되돌리고, 보존 전과 마찬가지로 측정했다. 얻어진 점도로부터 하기 식에 의거하여 각 실시예의 점도 유지율(%)을 구하고, 이하와 같이 점도 유지율 증강 효과(%)를 산출했다.
점도 유지율(%)=보존 후의 점도/보존 전의 점도×100
점도 유지율 증강 효과(%)=[각 실시예의 점도 유지율(%)/각 실시예에 대응하는 비교예의 점도 유지율(%)-1]×100
또한, 각 실시예에 대응하는 비교예란 (D)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를 말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A), (B)성분 배합에 의한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저하를 (D)성분의 첨가에 의해 억제하여 유효 성분이나 청량화제 등의 눈 표면에서의 체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처방예]
하기 표에 나타내는 조성의 안과용 조성물을 본 발명 기재의 용기에 충전하고, 본 발명 기재의 포장 형태로 포장한 안과용 제품은 경시에 의한 점도 저하가 억제되어 유효성이나 청량감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또한 촉촉한 느낌의 지속성이 우수한 점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처방예 3, 5, 10~12는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도 점안가능한 콘택트용 점안제로서 적합하다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상기 예에서 사용한 원료를 하기에 나타낸다. 또한 특별히 명기가 없는 한, 표 중의 각 성분의 양은 순분 환산량이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METOLOSE 60SH-4000, 일본약국방, Shin-Etsu Chemical Co., Ltd., 중량 평균 분자량 약 30만(g/mol)
·메틸셀룰로오스: METOLOSE SM-4000, 일본약국방, Shin-Etsu Chemical Co., Ltd., 중량 평균 분자량 약 36만(g/mol)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EC-CF-V, 의약품 첨가물 규격, SUMITOMO SEIKA CHEMICALS CO.,LTD.,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00만(g/mol)
·폴리비닐피롤리돈: Kollidon 90F, 일본약국방, BASF(주), 중량 평균 분자량 100만(g/mol)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Carbopol(등록상표) 971PNF, 의약품 첨가물 규격, The Lubrizol Corporation
·히알루론산나트륨: 바이오히알루론산나트륨, Shiseido Company, Limited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HCO60, 의약품 첨가물 규격, NIPPON SURFACTANT INDUSTRIES CO., LTD.
·모노올레산POE(20)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 80): RHEODOL TW-0120V, Kao Corporation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35: NIKKOL CO-35, Nikko Chemicals Co., Ltd.
·스테아르산폴리옥실 40: NIKKOL MYS-40MV, Nikko Chemicals Co., Ltd.
·레티놀팔미트산에스테르: 레티놀팔미트산에스테르, 일본약국방, DSM Nutrition Japan
·아세트산d-α-토코페롤: 리켄 E 아세테이트α, 일본약국방외 의약품 규격, RIKEN VITAMIN CO., LTD.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의약품 첨가물 규격, 와코쥰야쿠코교(주)
(D)성분 및 그 외의 임의 성분은, 공정서(일본약국방, 일본약국방외 의약품 규격, 의약품 첨가물 규격 등) 규격에 적합한 각종 원료를 사용했다.

Claims (6)

  1.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 및
    (D) 하기 (D-1) 및 (D-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과,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는 안과용 제품으로서,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한 안과용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D)성분이 (D-1)군으로부터 1종 이상 및 (D-2)군으로부터 1종 이상인 안과용 제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성분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히알루론산 및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안과용 제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성분이 레티놀팔미트산에스테르, 아세트산d-α-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멘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안과용 제품.
  5.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과,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고,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한 안과용 제품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조성물에,
    (D) 하기 (D-1) 및 (D-2)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저하 억제 방법.
  6. (A)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B)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C) 비타민A, 비타민E,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청량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에 있어서,
    이 안과용 조성물이 충전된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는 포위체를 갖고, (1) 포위체 내에의 불활성 가스 주입, (2) 포위체 내에의 산소 흡수제의 동봉, (3) 산소 흡수능을 갖는 용기 또는 (4) 산소 흡수능을 갖는 포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사용함과 아울러 상기 안과용 조성물에,
    (D) 하기 (D-1) 및 (D-2)
    (D-1) 트로메타몰, 프로필렌글리콜
    (D-2)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유도체염, 염산테트라히드로졸린,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판테놀,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염, 염화나트륨, 네오스티그민메틸황산염, 황산아연,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시아노코발라민,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에틸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저하 억제 방법.
KR1020197002869A 2016-10-07 2017-10-05 안과용 제품 및 점도 저하 억제 방법 KR20190065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9036 2016-10-07
JP2016199036 2016-10-07
PCT/JP2017/036293 WO2018066651A1 (ja) 2016-10-07 2017-10-05 眼科用製品及び粘度低下抑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237A true KR20190065237A (ko) 2019-06-11

Family

ID=6183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869A KR20190065237A (ko) 2016-10-07 2017-10-05 안과용 제품 및 점도 저하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120018B2 (ko)
KR (1) KR20190065237A (ko)
TW (1) TWI746662B (ko)
WO (1) WO2018066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0113B2 (ja) * 2017-10-04 2023-07-19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吸着抑制方法
JP2019214560A (ja) * 2018-06-08 2019-12-19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洗眼剤組成物
US11406658B2 (en) * 2018-07-18 2022-08-09 Atg 20 S.R.L. Composition comprising glycyrrhizin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uses thereof
CN114533652A (zh) * 2018-09-25 2022-05-27 沈阳兴齐眼科医院有限公司 药物组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JP2020196672A (ja) * 2019-05-31 2020-12-10 小林製薬株式会社 ビタミンb12類含有組成物
JP2022099573A (ja) * 2020-12-23 2022-07-05 小林製薬株式会社 洗眼用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478A (ja) 1997-08-29 1999-03-16 Santen Pharmaceut Co Ltd 粘度低下防止方法
JP2005206598A (ja) 2003-12-26 2005-08-04 Rohto Pharmaceut Co Ltd 粘度低下が防止された組成物
JP2005206599A (ja) 2003-12-26 2005-08-04 Rohto Pharmaceut Co Ltd 粘度低下が防止された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3490A (ja) * 1997-01-06 1998-07-28 Mitsubishi Gas Chem Co Inc 水性液状物質の包装方法
JP2003113078A (ja) * 2001-09-28 2003-04-18 Lion Corp 眼科用製剤
JP2004123634A (ja) * 2002-10-03 2004-04-22 Lion Corp 眼科用組成物
JP2006187636A (ja) * 2006-02-01 2006-07-20 Terumo Corp ビタミンb1類含有水性製剤の安定化方法
JP2011021002A (ja) * 2009-06-16 2011-02-03 Lion Corp 眼科用組成物
US9119827B2 (en) * 2009-06-30 2015-09-01 Lion Corporation Ophthalmic composition
JP2013237638A (ja) * 2012-05-15 2013-11-28 Lion Corp 眼科組成物
KR102068858B1 (ko) * 2012-06-08 2020-01-21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점막용 조성물
JP6260230B2 (ja) * 2013-11-28 2018-01-17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組成物
CN104127377A (zh) * 2014-08-04 2014-11-05 珠海亿胜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不含抑菌剂的双氯芬酸钠滴眼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478A (ja) 1997-08-29 1999-03-16 Santen Pharmaceut Co Ltd 粘度低下防止方法
JP2005206598A (ja) 2003-12-26 2005-08-04 Rohto Pharmaceut Co Ltd 粘度低下が防止された組成物
JP2005206599A (ja) 2003-12-26 2005-08-04 Rohto Pharmaceut Co Ltd 粘度低下が防止された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11328A (ja) 2022-07-29
TW201813669A (zh) 2018-04-16
JP7120018B2 (ja) 2022-08-17
JPWO2018066651A1 (ja) 2019-08-08
WO2018066651A1 (ja) 2018-04-12
TWI746662B (zh) 202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5237A (ko) 안과용 제품 및 점도 저하 억제 방법
JP2005330276A (ja) 防腐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水性組成物
JPWO2010150378A1 (ja) 眼科用組成物
KR101858590B1 (ko) 안과용 조성물
JP7314986B2 (ja) 眼科用製品及び粘度低下抑制方法
JP5729109B2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眼科組成物
JP2024061871A (ja) 眼科組成物
JP2005343894A (ja) 抗菌点眼剤
JP5013735B2 (ja) 眼粘膜適用製剤
JP5584336B2 (ja) 防腐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水性組成物
JP5083502B2 (ja) 眼科用組成物
JP7313181B2 (ja) 眼科組成物
KR102665052B1 (ko) 안과용 제품 및 점도 저하 억제 방법
JP7380772B2 (ja) 眼科用製品及びマスキング方法
JP2019189607A (ja) 眼科組成物
JP2009079032A (ja) 眼科用組成物及びジフェンヒドラミンの安定化方法
JP4683835B2 (ja) 防腐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水性組成物
JP7379913B2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眼科組成物及び眼科用製品
JP2010111705A (ja) 防腐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水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