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032A -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032A
KR20120068032A KR20127010118A KR20127010118A KR20120068032A KR 20120068032 A KR20120068032 A KR 20120068032A KR 20127010118 A KR20127010118 A KR 20127010118A KR 20127010118 A KR20127010118 A KR 20127010118A KR 20120068032 A KR20120068032 A KR 20120068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block
band saw
saw blade
mov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474B1 (ko
Inventor
도루 도키와
마사토시 다나카
스스무 쓰지모토
유지 나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머신 툴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16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882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1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75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1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75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16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75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16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45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049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582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머신 툴,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머신 툴
Publication of KR2012006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23D55/082Devices for guiding strap saw bl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07By endless band or chain knife
    • Y10T83/7264With special blade guid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톱날(band saw blade) 안내 장치에 구비된 고정 인서트 블록(insert block)(9)과 가동(可動)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를 협지(挾持)할 때,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21)에 포함되는 복귀 허용 수단(33)을 복귀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여 가동 인서트 블록(15)의 이동을 행하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한 후, 복귀 허용 수단(33)을 포함하는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21) 전체를 기계적 고정 수단(45)에 의해 부동(不動) 상태로 고정시키고, 이 고정 상태에 있어서 복귀 허용 수단(33)의 복귀 허용 작동에 의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한다.

Description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METHOD OF HOLDING BAND SAW BLADE BY MEANS OF BAND SAW BLADE GUIDE DEVICE, AS WELL AS BAND SAW BLADE GUIDE DEVICE}
본 발명은, 띠톱(band saw)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挾持)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띠톱날 안내 장치에 구비된 고정 인서트 블록(insert block)과 가동(可動) 인서트 블록에 의해 띠톱날의 보디부를 협지하여 안내할 때, 띠톱날에서의 보디부의 두께가 띠톱날의 종류마다 변경되는 경우라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의 간극을 항상 적정한 간극으로 유지할 수 있는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띠톱 기계에는, 세로형 스탠드형 띠톱 기계와 가로형 띠톱 기계가 있고, 상기 양 띠톱 기계에는, 띠톱날에 의해 공작물의 절단을 행할 때, 공작물에 근접한 양측 위치에서 띠톱날의 보디부를 협지하여 안내하는 띠톱날 안내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띠톱날 안내 장치는, 띠톱날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배면측 지지 부재와, 띠톱날의 보디부를 협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 및 가동 인서트 블록과,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인서트 블록 압압(押壓)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 상기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은, 편심(偏心) 캠을 회동(回動)시켜 가동 인서트 블록을 압압하는 구성이나, 소형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가동 인서트 블록을 압압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상기 편심 캠을 이용한 구성에 있어서는, 가동 인서트 블록을 고정 인서트 블록측으로 이동하는 위치는 항상 일정하므로, 보디부의 얇은 띠톱날에 대응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의 간극이 적정 간극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보디부가 두꺼운 띠톱날인 경우에는,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에 의해 띠톱날의 보디부를 견고하게 협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보디부가 두꺼운 띠톱날에 대응하여 상기 간극을 설정하면, 보디부가 얇은 띠톱날인 경우에는, 띠톱날과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에 큰 간극이 생겨, 띠톱날이 경사져 쉽게 절곡(切曲)되는 문제가 있었다.
소형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가동 인서트 블록을 압압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띠톱날에서의 보디부의 두께에 관계없이,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에 의해 띠톱날의 보디부를 항상 견고하게 협지하여 안내하는 구성이므로, 양 인서트 블록의 마모가 심해지고, 또한 띠톱날을 구동하는 동력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에 의해 띠톱날의 보디부를 견고하게 협지한 후에, 가동 인서트 블록을 약간 되돌리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태양이 그에 해당한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인서트 블록(1051)을 유압 실린더(1053)에 의해 레버(1054)를 통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1055) 측으로 이동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1055)과 가동 인서트 블록(1051)에 의해 띠톱날(1057)의 보디부를 견고하게 협지한 후에, 상기 유압 실린더(1053) 내의 압유(壓油)를 부스터(booster)(1059)의 소(小) 실린더(1061) 내로 흡인하여, 가동 인서트 블록(1051)을 약간 되돌리는 구성이다. 따라서, 띠톱날(1057)에서의 보디부의 두께에 상관없이 고정 인서트 블록(1055)과 가동 인서트 블록(1051)과의 사이의 간극을 적정한 간극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1055)과 가동 인서트 블록(1051)과의 간격 치수로부터 띠톱날(1057)의 두께 치수를 감산할 때의 간격 치수의 값이 0.05㎜의 경우를 적정 간극이라고 가정하고,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을 실제의 띠톱 기계에 적용하는 것을 상정(想定)하여, 상기 레버(1054)의 레버비를 1:2로 하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1055)과 가동 인서트 블록(1051)에 의해 띠톱날(1057)을 견고하게 협지한 후에,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051)을 0.05㎜ 후퇴하려면, 상기 유압 실린더(1053)의 피스톤을 0.1㎜ 후퇴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압 실린더(1053)의 직경을 10㎜, 원압(元壓)을 50kgf로 하면, 가동 인서트 블록(1051)에 의한 클램프력은, 0.785㎠(실린더 단면적)×50kgf/㎠(원압)×2(레버비)= 78.5kgf로 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 실린더(1053)의 피스톤을 0.1㎜ 후퇴시키기 위한 오일량은, 0.01cm×0.785㎠= 0.00785㎤= 0.785cc로 된다. 즉, 상기 유압 실린더(1053)로부터 약 0.8cc의 압유를 배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78.5kgf/㎠의 압력에 의해 띠톱날(1057)을 협압(挾壓)한 후, 0.8cc 정도의 미량의 압유를 배출해도, 압력이 저하될 뿐, 띠톱날(1057)의 협압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유압 기구에 사용되는 압유에는, 공기 등의 미량의 기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상기 미량의 기체의 체적이 팽창하는 것에 불과한 경우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구성에 있어서는,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340640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그 목적은, 띠톱날에서의 보디부의 두께가 띠톱날의 종류마다 변경되는 경우라도,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의 간극을 항상 적정한 간극으로 유지할 수 있는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으로서, 이하의 단계에 의해 구성된다: 띠톱날 안내 장치에 구비된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에 의해 띠톱날의 보디부를 협지할 때,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을 고정 인서트 블록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해 압압 이동되는 압압력 전달 부재와,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의 이동에 의해 수동적(受動的)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수동 부재를 구비한 복귀 허용 수단을 복귀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의 이동을 행하는 단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에 의해 띠톱날을 견고하게 협지하는 단계; 상기 복귀 허용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 또는 상기 수동 부재의 한쪽을 기계적 고정 수단에 의해 부동(不動)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귀 허용 수단의 복귀 허용 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을 미리 설정된 복귀량만큼 되돌려,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태양으로부터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상기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정 간극은, 띠톱날의 폭 치수를 L로 하고,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간격 치수로부터 띠톱날의 두께 치수를 감산한 값을 S라고 했을 때, S/L가 1/1000~1/110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로서, 띠톱날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배면측 지지 부재, 띠톱날의 보디부를 협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 및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에 대향하여 구비된 가동 인서트 블록을 구비한 본체 블록; 상기 가동 블록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가동 블록과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 및 상기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에 포함되고,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에 띠톱날을 견고하게 협지한 가동 인서트 블록의, 미리 설정된 복귀량만큼 복귀를 허용하기 위한 복귀 허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허용 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직접 압압되는 압압력 전달 부재와,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의 이동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수동 부재를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복귀 허용 수단의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 또는 상기 수동 부재를 고정 가능한 기계적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전술한 제1 태양 내지 제3 태양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인서트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와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에, 가동 인서트 블록을 고정 인서트 블록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이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에, 가동 인서트 블록의 복귀를 허용하는 복귀 허용 수단을 구비하고, 이 복귀 허용 수단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기계적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 인서트 블록을 항상 일정량만큼 되돌아오는 것을 허용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띠톱날 안내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간극 치수와 절곡과의 관계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이다.
도 3의 (A), 도 3의 (B) 및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다.
도 4는 기계적 고정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의 (A), 도 5의 (B) 및 도 5의 (C)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6의 (A), 도 6의 (B) 및 도 6의 (C)는, 제3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7의 (A), 도 7의 (B) 및 도 7의 (C)는, 제4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8의 (A), 도 8의 (B) 및 도 8의 (C)는, 제5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9의 (A), 도 9의 (B) 및 도 9의 (C)는, 제6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0의 (A), 도 10의 (B) 및 도 10의 (C)는, 제7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1의 (A), 도 11의 (B) 및 도 11의 (C)는, 제8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2의 (A), 도 12의 (B) 및 도 12의 (C)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다.
도 13의 (A), 도 13의 (B) 및 도 13의 (C)는, 제10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4의 (A), 도 14의 (B) 및 도 14의 (C)는, 제11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의 (A) 및 도 18의 (B)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9의 (A), 도 19의 (B) 및 도 19의 (C)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다.
도 20의 (A), 도 20의 (B) 및 도 20의 (C)는, 제15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21의 (A), 도 21의 (B) 및 도 21의 (C)는, 제16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22의 (A) 및 도 22의 (B)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18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24는 제19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개념적이고,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1)는, 본체 블록(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블록(3)에는, 일반적인 세로형 스탠드형 띠톱 기계, 가로형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와 마찬가지로, 띠톱날(5)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롤러 또는 블록 등과 같은 적절한 배면측 지지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띠톱날(5)의 보디부를 협지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9)을 내측에 일체로 구비한 고정측 인서트 암(1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과 대향하는 가동측 인서트 암(13)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가동측 인서트 암(13)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대향하여 상기 띠톱날(5)을 협지 안내하는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본체 블록(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회동) 가능하며 또한 근접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을 이동 가능하게 관통한 슬라이드 로드(slide rod)(17)의 선단부(先端部)가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로드(17)의 기단측(基端側)에 구비된 플랜지부(flange portion)(17F)와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과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19)가 탄성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압압 이동시키기 위한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21)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 블록(3)에 구비된 브래킷(23)에 추축(樞軸)(25)을 통하여 요동(搖動) 레버(27)가 요동 가능하게(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요동 레버(27)의 선단부(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17)에서의 플랜지부(17F)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 레버(27)를 요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예를 들면, 유체압(流體壓) 실린더 등과 같은 직동형(直動形)의 액츄에이터(2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직동형 액츄에이터(29)에 있어서 왕복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 등과 같은 왕복 작동자(作動子)(31)와 상기 요동 레버(27)의 상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의 근소한 복귀를 허용하는 복귀 허용 수단(3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직동형 액츄에이터(29)를 작동시키고, 복귀 허용 수단을 통하여 요동 레버(27)를,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요동 레버(27)의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로드(17)를 탄성 부재(1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를 견고하게 협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한 상태에 있어서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의 절단을 행하면, 절곡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양 인서트 블록(9, 15)과 띠톱날(5)과의 마찰이 크고, 또한 양 인서트 블록(9, 15)의 마모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에서의 보디부의 두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적정 간극[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 치수로부터 띠톱날(5)의 두께 치수를 감산할 때의 간격 치수]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다. 즉, 상기 복귀 허용 수단(33)은, 상기 액츄에이터(29)의 압압력을 상기 요동 레버(27)에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귀 허용 수단(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협지)한 후에,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약간 되돌아오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귀 허용 수단(33)은, 도 3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통형(筒形)의 중공(中空) 슬라이더(35)를 구비하고 있고, 이 중공 슬라이더(35) 내에는, 도 3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한 피스톤 등과 같은 슬라이더(3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37)에는, 상기 중공 슬라이더(35)의 양단 측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 등과 같은 슬라이드 로드(3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로드(39)의 일단부(도면에 있어서 좌단부)는, 상기 왕복 작동자(31)의 선단부에 접촉 가능하며, 슬라이드 로드(39)의 타단부는, 상기 요동 레버(27)에 구비된 조절 나사 등과 같은 접촉 부재(41)에 접촉 가능하다.
상기 본체 블록(33)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중공 슬라이더(35)를, 상기 액츄에이터(29) 방향으로 항상 압압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예를 들면, 판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적절한 탄성 부재(4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3)에는, 상기 복귀 허용 수단(33)을 포함하는 상기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21) 전체를 부동 상태로 고정 가능한 기계적 고정 수단(4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계적 고정 수단(45)의 구성으로서는 공지이지만, 만약을 위해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이다. 즉, 기계적 고정 수단(45)은, 통형의 고정 본체(47)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정 본체(47) 내에는, 예를 들면, 로드 등과 같은 이동체(49)를 체결할 수 있는 콜릿(collet)(5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콜릿(51)의 직경을 확장 또는 축소하기 위해, 상기 콜릿(51)의 외주면의 테이퍼면과 끼워맞추어져 내주면이 테이퍼면인 통형의 피스톤(53)이 스러스트(thrust)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이 피스톤(53)과 고정 본체(47)와의 사이에는, 피스톤(53)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리턴 스프링(55)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입구(57)로부터 고정 본체(47) 내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고, 도 4에 있어서, 피스톤(53)을, 리턴 스프링(5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콜릿(51)이 축경(縮徑)되어, 콜릿(51) 내의 이동체(49)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동 유체를 배출하면 리턴 스프링(55)의 작용에 의해 피스톤(53)이 초기의 위치로 복귀되어, 콜릿(51)에 의한 이동체(49)가 체결이 해제되어, 이동체(49)는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크게 이반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의 보디부를 배치하고, 띠톱날(5)의 배면측을 배면측 지지 부재(7)에 맞닿게 한다.
그 후, 액츄에이터(29)를 작동시키고, 도 3의 (A)에 있어서, 왕복 작동자(3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복귀 허용 수단(33)에서의 슬라이드 로드(39)를 통하여 요동 레버(27)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슬라이드 로드(17),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복귀 허용 수단(33)에서의 슬라이더(37)의 우단부가 중공 슬라이더(35)에 맞닿으면, 상기 중공 슬라이더(35)는, 탄성 부재(4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일체로 이동한다. 따라서, 띠톱날(5)은,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견고하게 협압(협지)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했을 때, 기계적 고정 수단(45)에 의해, 중공 슬라이더(35)를 본체 블록(3)에 부동 상태로 고정시킨다[도 3의 (B) 참조]. 그 후, 액츄에이터(29)를 원래의 초기 상태로 되돌리면 탄성 부재(19)의 작용에 의해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21) 및 복귀 허용 수단(33)에서의 슬라이드 로드(39) 등은, 중공 슬라이더(35) 내에서의 슬라이더(37)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 약간 되돌려지게 된다.
따라서,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한 상태로부터, 띠톱날(5)의 협압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약간(예를 들면, 0.05㎜ 정도) 되돌려지게 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값의 간극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로드(39)는, 상기 액츄에이터(29)에 의해 직접 압압 이동되어, 액츄에이터(29)의 압압력을 상기 요동 레버(27)에 전달하는 압압력 전달 부재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공 슬라이더(35)는,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로서의 슬라이드 로드(39)에 구비된 슬라이더(37)가 맞닿으면, 수동적으로 일체로 이동되는 수동 부재를 이루는 것이다. 이 수동 부재로서의 중공 슬라이더(35)는,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슬라이더(3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간극은, 복귀 허용 수단(33)에서의 상기 슬라이더(37)에 대한 상기 중공 슬라이더(35)의 상대적인 이동 가능량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복귀 허용 수단(33)은, 기계적 고정 수단(45)에 의해 본체 블록(3)에 부동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가동 인서트 블록(15)의 근소한 복귀를 허용하는 것이며, 상기 액츄에이터(29)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액츄에이터(29)의 복귀를 제어 또는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즉, 복귀 허용 수단(33)의 복귀 동작은, 액츄에이터(29)로부터 독립된 형태에 있어서 행해지고, 복귀 허용 수단(33)과 액츄에이터(29)는 분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액츄에이터(29)의 작동계에 문제가 생긴 경우라도,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조절된 간극이 보다 크게 되지는 않는다.
상기 중공 슬라이더(35)는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가동 인서트 블록(15)의 복귀는, 탄성 부재(19)의 축세력(畜勢力)에 의해 기계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므로, 상기 슬라이드 로드(39)로부터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이르는 압압력의 전달계에 유체압 기구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복귀 동작은 기계적인 동작으로서, 복귀 동작이 원활하며, 또한 적정 간극 조절 후에는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계적 고정 수단(45)의 구성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동(單動) 실린더에서의 피스톤 로드에 의해 중공 슬라이더(35)를 본체 블록(3)에 압압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체결 나사의 선단부에서 중공 슬라이더(35)를 본체 블록(3)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복귀 허용 수단(33)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기계적 고정 수단으로서는 각종 변형 형태에 따라 실시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1)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압압하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17)의 부분에, 복귀 허용 수단(59)을 구성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 블록(3)에서의 가동측 인서트 암(13)에, 기계적 고정 수단(45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계적 고정 수단(45A)의 구성은, 상기 기계적 고정 수단(45)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기계적 고정 수단(45A)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기계적 고정 수단(45A)에는, 록 칼라(lock collar)(61)가 이동 가능하고 또한 부동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록 칼라(61)에서의 플랜지부(61F)와 상기 기계적 고정 수단(45A)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63)가 탄성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록 칼라(61) 내를, 상기 슬라이드 로드(17)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로드(17)는, 슬라이드 로드(17)의 플랜지부(17F)와 록 칼라(61)의 플랜지부(61F)가 맞닿은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드 로드(17)의 선단부가 록 칼라(61)의 선단부로부터, 예를 들면, 0.05㎜ 정도, 약간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29)에 의해 간접적으로 압압되는 압압력 전달 부재로서 슬라이드 로드(17)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로드(17)의 이동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동되는 수동 부재로서 상기 록 칼라(61)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배치한 후, 액츄에이터(9)를 작동시켜, 요동 레버(27)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요동)시키면, 슬라이드 로드(17) 및 록 칼라(61)가, 탄성 부재(6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 5의 (A)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즉,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압압 협지하게 된다[도 5의 (B)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기계적 고정 수단(45A)을 작동시켜, 록 칼라(61)를 부동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 후, 액츄에이터(29)의 작동을 해제하면,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상기 록 칼라(61)의 선단부와 맞닿도록,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15)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약간(예를 들면, 0.05㎜ 정도) 넓어지게 되어, 띠톱날(5)의 견고한 협지(협압)가 해제되게 된다[도 5의 (C) 참조].
따라서,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된다. 또한, 복귀 허용 수단(59)의 복귀 허용 동작 시 및 상기 간극을 적정 간극으로 유지하는 동작 중에는, 복귀 허용 수단(59)과 상기 액츄에이터(29)는 분리된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체압 기구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추축(25)의 부분에, 복귀 허용 수단(65)을 강구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29)에서의 왕복 작동자(31)를, 기계적 고정 수단(45)에 의해 부동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추축(25)에 상당하는 추축(25A)에 있어서 요동 레버(27)에 끼워맞춘 부분에는 편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축(25A)을 회동시키면, 상기 편심부의 회동에 의해, 요동 레버(27)의, 추축(25A)에 지지된 부분은, 본체 블록(3)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도 6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미소(微少) 이동하게 된다.
상기 추축(25A)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추축(25A)에는 레버(67)가 장착되어 있고, 이 레버(67)의 선단부에는, 본체 블록(3)에 구비된 유체 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 이동용의 액츄에이터(69)에서의 피스톤 로드 등과 같은 왕복 작동자(71)의 선단부가 연동(連動)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배치한 상태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29)를 작동시켜, 요동 레버(29)를, 도 6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은 견고하게 협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기계적 고정 수단(45)에 의해 왕복 작동자(31)를 부동 상태로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 레버(27)의 상부측이 왕복 작동자(31)에 가압된 상태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69)를 작동시켜, 추축(25A)을 회동시키면, 추축(25A)의 편심부의 위치가, 본체 블록(3)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된다. 따라서, 요동 레버(27)는, 왕복 작동자(31)에 가압되어 있는 부분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도 6의 (B)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요동 레버(27)의 하단부는, 슬라이드 로드(17)의 압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약간(예를 들면, 0.05㎜ 정도) 이동하게 되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된다. 즉,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에 관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로드(17)의 부분에, 복귀 허용 수단(73)을 강구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귀 허용 수단(73)의 구성으로서, 슬라이드 로드(17) 대신에, 소형의 유체압 실린더(75)를, 본체 블록(3)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이 유체압 실린더(75)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 로드 등과 같은 압압 작동자(77)에 의해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압압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귀 허용 수단(73)에서의 압압 작동자(77)가, 유체압 실린더(75)에 대하여 우측 방향[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간극 내에 띠톱날(5)을 배치한다.
그 후, 유체압 실린더(75)에 대하여 압압 작동자(77)를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약간(예를 들면, 0.05㎜ 정도) 이동시키고, 또한 액츄에이터(29)를 작동시켜, 요동 레버(27)를, 도 7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 레버(27)를 회동시키면,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유체압 실린더(75)를 통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한 상태에 있을 때, 기계적 고정 수단(45)을 작동시켜, 액츄에이터(29)의 왕복 작동자(31)를 부동 상태로 고정시킨다[도 7의 (B) 참조]. 그 후, 복귀 허용 수단(73)에서의 유체압 실린더(75) 내의 작동 유체를 배출하면 유체압 실린더(75)에 대하여 압압 작동자(77)가 도 7의 (B)에 있어 우측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견고한 협압(협지)이 해제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요동 레버(27)에 의해 유체압 실린더(75)를 압압하고, 압압 작동자(77)에 의해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압압하는 취지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압압 작동자(77)에 의해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압압할 것인가, 유체압 실린더(75)에 의해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압압할 것인가 하는 것은 상대적인 것이다. 즉, 유체압 실린더(75)의 방향을, 도 7에 나타낸 상태와 좌우 역방향의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체압 실린더(75)의 방향을 반대로 한 경우에는, 요동 레버(27)에 의해 압압 작동자(77)를 압압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29)에서의 왕복 작동자(3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 로드(79)를 본체 블록(3)에 구비하고, 이 보조 로드(79)와 요동 레버(27)와의 사이에 복귀 허용 수단(81)을 구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요동 레버(27)는, 본체 블록(3)에 구비된 오목부(3A) 내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고, 이 요동 레버(27)와 본체 블록(3)과의 사이에는, 요동 블록(27)을, 도 8의 (A)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83)가 탄성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액츄에이터(29)의 왕복 작동자(31)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보조 로드(79)가 구비되어 있고, 이 보조 로드(79)는, 내장한 탄성 부재(85)에 의해 요동 레버(27)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85)의 가압력은, 상기 탄성 부재(8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요동 레버(27)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도록 작은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보조 로드(79)를 부동 상태로 고정 가능한 기계적 고정 수단(4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 로드(79)에 대응하여, 요동 레버(27)에는, 유체압 실린더(87)가 구비되어 있고, 이 유체압 실린더(87)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 로드 등과 같은 왕복 작동자(89)의 선단부가 상기 보조 로드(79)의 선단부와 맞닿아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탄성 부재(83)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 레버(27)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또한 왕복 작동자(89)가 유체압 실린더(87) 내로 들어가 축소된 상태에 있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간극 내에 띠톱날(5)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87)로부터 왕복 작동자(89)가 돌출되어 신장된 상태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29)를 작동시켜, 요동 레버(27)를, 도 8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유체압 실린더(87), 왕복 작동자(89)의 같은 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하여, 보조 로드(79)는, 도 8의 (A)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이 견고하게 협지된다[도 8의 (B) 참조].
그 후, 기계적 고정 수단(45)을 작동시켜 보조 로드(79)를 부동 상태로 고정시키고, 또한 액츄에이터(29)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복귀 허용 수단(81)에서의 유체압 실린더(87)로부터 작동 유체를 배출하면 탄성 부재(83)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 레버(27)가, 도 8의 (B)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동되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견고한 협압이 해제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6 실시예는, 전술한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상당하는 것으로, 가동 인서트 블록(15)과 요동 레버(27)와의 연결부에 복귀 허용 수단(91)을 강구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일체로 구비한 돌출 브래킷(93)은, 요동 레버(27)의 하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레버(27)에 대하여 상기 돌출 브래킷(93)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돌출 브래킷(93)에는 원형상의 관통공(9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95) 내에는, 상기 요동 레버(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캠축(97)에 일체로 구비된 긴 원형 상태(타원 형상)의 캠(99)이 끼워맞추어져 있다. 상기 캠축(97)에는, 캠축(97)을 회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10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귀 허용 수단(91)에서의 상기 캠(99)의 장축(長軸)이 상기 돌출 브래킷(93)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평행 상태에 있고, 상기 관통공(95)에서의 내주면의 가동 인서트 블록(15) 측의 부분에 접촉된 상태로 있고, 또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간극 내에 띠톱날(5)을 배치한다[도 9의 (A) 참조]. 그 후, 액츄에이터(29)를 작동시켜 요동 레버(27)를, 도 9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한다.
이 때, 압압 작동자(79)는, 요동 레버(27)의 회동에 추종하여, 도 9의 (A)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압압 작동자(79)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고, 또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한 상태에 있을 때, 기계적 고정 수단(45)에 의해 보조 로드(79)를 부동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조작 레버(101)를 회동 조작시켜, 캠(99)에서의 단축(短軸)이 돌출 브래킷(93)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회동하면, 캠(99)에서의 장축과 단축의 차분만큼(예를 들면, 0.05㎜ 정도),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9의 (C) 참조].
따라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견고한 협지가 해제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되는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7 실시예에 있어서는, 랙, 피니언 및 나사 기구를 통하여 가동 인서트 블록(15)의 이동을 행하고, 또한 복귀 허용 수단을 랙, 피니언 부분에 구비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블록(3)에서의 가동측 인서트 암(13)의 측면에 피니언 케이싱(103)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이 피니언 케이싱(103) 내에는, 피니언(105)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도 10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약간(예를 들면, 0.05㎜)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피니언(105)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복귀 허용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피니언(105)에는 볼트(107)가 동심(同心)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볼트(107)는,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일체로 구비되고, 또한 본체 블록(3)의 가동측 인서트 암(13)에, 도 10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너트(109)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정(定)위치에 있어서 피니언(105)을 정역 회전시키면, 볼트(107)와 너트(109)와의 나사 결합 관계에 의해,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너트(109)와 볼트(107)와의 관계는 상대적인 것이므로, 피니언(105)에 너트(109)를 구비하고,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볼트(107)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니언(105)을 회전시키기 위해, 이 피니언(105)에 서로 맞물린 랙(111)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랙(111)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 등과 같은 액츄에이터(113)가 본체 블록(3)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105)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부동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기계적 고정 수단으로서, 록 실린더(115)가 상기 피니언 케이싱(103)에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록 실린더(115)는, 상기 피니언(105)과 동심 상에 구비되어 있고, 이 록 실린더(115)에 있어서 왕복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117)의 선단부는, 상기 피니언(105)에 형성한 오목부(105A) 내에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17)의 선단부에는, 상기 오목부(105A)의 출입구의 부분의 내측 플랜지(105F)에 걸림 가능한 플랜지부(117F)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109)에 볼트(107)가 깊게 나사삽입된 상태에 있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간극 내에 띠톱날(5)을 배치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13)에 의해 랙(111)을 작동시켜, 피니언(105), 볼트(107)를 회전시켜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시키면, 반력(反力)에 의해 피니언(105)이, 도 10의 (A)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록 실린더(115) 내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고, 피스톤 로드(117)를 돌출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117)의 선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부(117F)를 피니언(105)에서의 오목부(105A)의 내벽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피니언(105)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105), 볼트(107)를 회동시켜,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시키면, 띠톱날(5)은,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견고하게 협지된다[도 10의 (B)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한 후, 록 실린더(115)에서의 피스톤 로드(117)를 인입(引入) 작동시키면, 피스톤 로드(117)의 플랜지부(117F)가 피니언(105)의 내측 플랜지(105F)에 맞닿고, 피니언(105)을, 도 10의 (B)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그리고, 피니언(105)이 피니언 케이싱(103)에 맞닿으면, 피니언(105)은, 상기 플랜지부(117F)와 피니언 케이싱(103)에 의해 부동 상태로 협압되어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105)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볼트(107), 너트(109)를 통하여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일체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견고한 협지가 해제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되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8 실시예에 있어서는, 요동 레버(27)를 요동하는 구성에 나사 기계를 채용하고, 이 나사 기구의 부분에 복귀 허용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블록(3)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121)에, 너트 부재(123)를, 도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너트 부재(123)에는, 상기 요동 레버(27)에 구비된 접촉 부재(41)에 선단부가 맞닿아 압압 가능한 나사 부재(125)가, 도 11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 부재(125)의 후단부는, 액츄에이터(29)에서의 왕복 작동자(31)에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 부재(125)는, 액츄에이터(29)의 왕복 작동자(31)에 의해, 도 11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압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너트 부재(123)를 압압하여 부동 상태로 고정 가능한 기계적 고정 수단으로서의 록 실린더(127)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나사 부재(125)에 구비된 레버(129)를 푸시풀(push-pull)하여 나사 부재(125)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체압 실린더 등과 같은 나사 회전 액츄에이터(131)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간극 내에 띠톱날(5)을 배치한다. 그 후, 액츄에이터(29)를 작동시키고, 상기 나사 부재(125)를 통하여 요동 레버(27)를 압압하고, 상기 요동 레버(27)를, 도 11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가동 인서트 블록(15)와 고정 인서트 블록(9)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하게 된다[도 11의 (B)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한 상태에 있을 때, 록 실린더(127)를 작동시켜, 너트 부재(123)를 가이드 부재(121)에 압압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사 회전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켜, 나사 부재(125)를 좌측 주위(또는 우측 주위)로 회동하면, 나사 부재(125)는, 너트 부재(123)에 대하여, 도 11의 (B)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요동 레버(27)의 복귀가 허용되게 되고, 요동 레버(27)는,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동하여 되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약간(예를 들면, 0.05㎜) 이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견고한 협지(협압)가 해제되게 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한 간극으로 조절되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격 치수로부터 띠톱날(5)의 두께 치수를 감산한 간극 치수인 적정 간극에 대하여 검토하는데, 띠톱날(5)의 폭 치수가 54㎜의 일반적인 띠톱날로서, 상기 적정 간극을 0.05㎜로 한 경우, 띠톱날(5)은,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정 간극 0.05㎜의 범위에 있어서 경사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띠톱날(5)이 경사진 상태에 있어서, 높이 치수가 400㎜의 공작물[피삭재(被削材)]을 절단하면, 계산 상으로는, 공작물의 하단부는 0.37㎜의 절곡으로 된다. 그리고, 적정 간극이 0.1㎜인 경우에는 0.7㎜의 절곡으로 된다. 즉, 적정 간극의 치수가 작을수록 고정밀도의 절단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띠톱날(5)의 폭 치수와 적정 간극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해 절곡의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띠톱, 즉 밴드 소(band saw)는,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머신 툴의 PCSAW 430, 띠톱날은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머신 툴의 SGLB: 54W×1.6t×6100L×2/3P, 피삭재는, SUS304(JIS)φ300, 절삭 조건 1: 블레이드 속도 45m/min, 1컷 절단 시간 15.7min, 절삭 조건 2: 블레이드 속도 57m/min, 1컷 절단 시간 8.8min, 상기 띠톱날을 협지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9), 가동 인서트 블록(15)의 좌우 방향(띠톱날의 주행 방향)의 치수 및 상하 방향의 치수는, 띠 폭 치수가 54㎜의 띠톱날에 대응한 일반적인 고정 인서트 블록, 가동 인서트 블록을 사용하였다.
상기 절삭 조건 1에서의 실험 결과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절삭 조건 2에서의 실험 결과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상기 실험 결과는, 피삭재의 절단면의 절곡 치수를 실측한 값이다. 또한, 절곡은, 제품이 짧아지는 방향에 대한 절곡이므로 -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건 1의 경우에는, 적정 간극[클리어런스(clearance)량]이 0.1㎜의 경우라도, 실측값의 절곡은 약 0.3㎜이며, 조건 2의 경우의 실측값의 절곡은 약 0.7㎜이다. 따라서, 실측값의 절곡을 약 0.5㎜ 이하로 규제하려면, 클리어런스량은 0.00㎜~0.08㎜의 범위로 된다. 조건 2의 경우, 클리어런스량이 0.05㎜로부터 0.06㎜로 되면, 실측값의 절곡은 -0.2㎜~-0.4㎜로 변화되어 있다.
여기서, 띠톱날(5)의 폭 치수가 54㎜이며, 적정 간극이 0.05㎜일 때, 높이 치수 400㎜의 피삭재의 절단을 행했을 때의 절곡은 0.37㎜이므로, 54:0.05≒400:0.37≒1080:1로 된다. 즉, 띠톱날(5)의 폭 치수를 L로 하고, 적정 간극을 S로 하면, S/L=1/1080로 된다. 따라서, 도 2의 (A), 도 2의 (B)의 실험 결과를 고려하면, S/L는 1/1000~1/1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201)는, 본체 블록(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블록(3)에는, 일반적인 세로형 스탠드형 띠톱 기계, 가로형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와 마찬가지로, 띠톱날(5)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롤러 또는 블록 등과 같은 적절한 배면측 지지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띠톱날(5)의 보디부를 협지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9)을 내측에, 상기 띠톱날(5)의 방향으로 미동(微動) 가능하게 구비한 고정측 인서트 암(1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과 대향하는 가동측 인서트 암(13)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가동측 인서트 암(13)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대향하여 상기 띠톱날(5)을 협지 안내하는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본체 블록(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회동) 가능한 동시에 근접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을 이동 가능하게 관통한 슬라이드 로드(217)의 선단부가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로드(217)의 기단측에 구비된 플랜지부(217F)와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과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219)가 탄성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221)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 블록(3)에 구비된 브래킷(223)에 추축(225)을 통하여 요동 레버(227)가 요동 가능하게(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요동 레버(227)의 선단부(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217)에서의 플랜지부(217F)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 레버(227)를 요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 등과 같은 직동형의 액츄에이터(22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직동형 액츄에이터(229)에 있어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 등과 같은 왕복 작동자(231)의 선단부는, 상기 요동 레버(227)의 기단부 측(상단부 측)에 구비된 피(被)접촉 부재(233)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직동형 액츄에이터(229)를 작동시키고, 왕복 작동자(231)에 의해 요동 레버(227)를, 도 1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요동 레버(227)의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로드(217)를 탄성 부재(21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를 견고하게 협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한 상태에 있어서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의 절단을 행하면, 절곡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양 인서트 블록(9, 15)과 띠톱날(5)과의 마찰이 크고 또한 양 인서트 블록(9, 15)의 마모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에서의 보디부(5B)의 두께에 대응하여 적정 간극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 블록(3)에서의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에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의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 측으로, 예를 들면, 0.01㎜ 정도의 미소량 이동시키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 미동 수단(23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 미동 수단은, 액압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액츄에이터 본체(237)는, 압력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압유 등의 작동 유체(액체)의 공급을 받는 챔버(239)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 본체(237)가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맞닿은 접촉 벽부(241)는, 상기 챔버(239) 내로 공급된 작동 유체의 압력에 의해 쉽게 탄성 변형되도록,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협지)했을 때,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상기 협압 위치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동 인서트 블록 정지 상태 유지 수단(243)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 정지 상태 유지 수단(243)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229)에서의 상기 왕복 작동자(231)를 부동 상태로 록 가능한 록 실린더(245)가 상기 본체 블록(3)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 실린더(245)는, 상기 왕복 작동자(231)를 체결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공지의 구성이지만,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이다. 즉, 환형의 실린더 본체(245A) 내에, 상기 왕복 작동자(231)를 고정 가능한 테이퍼형의 콜릿(245B)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콜릿(245B)을 체결하여 작동시키기 위한 환형의 피스톤(245C)을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록 실린더(245)가 비동작 상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229)에서의 왕복 작동자(231)는, 도 12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록 실린더(245)를 작동시키면, 콜릿(245B)에 의해 왕복 작동자(231)가 체결되므로, 왕복 작동자(231)는, 부동 상태로 고정되어 정지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간격)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양 인서트 블록(9, 15) 사이에 띠톱날(5)을 배치하고, 또한 띠톱날(5)의 배면측을 배면측 지지 부재(7)에 맞닿게 한다. 또한, 고정 인서트 블록 미동 수단(235)에서의 챔버(239) 내에 압유를 공급하여, 접촉 벽부(241)를 외측 방향으로 철형(凸形)으로 만곡시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고정 인서트 블록(9)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의 기준 위치로부터 가동 인서트 블록(15) 측으로, 예를 들면, 0.01㎜ 정도 미동시킨다[도 12의 (B) 참조].
그 후, 액츄에이터(229)를 작동시키고, 왕복 작동자(231)를 통하여 요동 레버(227)를, 도 12의 (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슬라이드 로드(217)를 통하여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이 밀착되도록 견고하게 협압(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서로 밀착되도록 견고하게 협지 고정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 정지 상태 유지 수단(243)인 록 실린더(245)를 작동시키면, 록 실린더(245)에 구비된 콜릿(245B)에 의해 왕복 작동자(231)가 부동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요동 레버(227) 및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이 저해된 상태에 있고,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협압(협지)한 위치에 정지된다[도 12의 (B) 참조]. 그 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 미동 수단(235)에서의 챔버(239)로부터 압유를 배출하면 고정 인서트 블록(9)은 원래의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약간 넓어지게 되고,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협지력이 약해진다. 환언하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두께에 적합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되게 되므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 및 가동 인서트 블록(15)과 띠톱날(5)과의 사이의 마찰이 경감되고, 또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있어서 띠톱날(5)이 크게 경사지는 것이 방지되어, 공작물의 절단 시에 있어서의 절곡이 억제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10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제9 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10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 미동 수단(235)의 구성으로서, 피스톤 로드(247P)가 미동하는 유체압 실린더(247)를 채용하고 있다. 즉, 제10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체압 실린더(247)를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247P)에 의해 고정 인서트 블록(9)을, 기준 위치로부터 가동 인서트 블록(15) 측으로 미동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제1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 미동 수단(235)의 구성으로서, 압전(壓電) 액츄에이터(249)를 채용한 구성이다.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249)는, 다수의 압전 소자를 적층하여 봉형으로 형성한 압전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봉형의 축심에 평행한 방향(압전 소자의 적층 방향)의 변위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249)에는, 전압 인가 수단(251)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압 인가 수단(251)은,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249)의 변위량을 제어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다이얼 조작 등에 의해 다수 적층된 압전 소자를 모두, 또는 원하는 개수의 압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의 인가를 해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전압 인가 수단(251)을 조작하여, 전압을 인가해야 할 압전 소자의 개수를 선택함으로써, 기준 위치로부터 가동 인서트 블록(15) 측으로의 고정 인서트 블록(9)의 미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보다, 보다 적합한 간극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만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그 외의 형태라도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동 인서트 블록 정지 상태 유지 수단(243)으로서, 왕복 작동자(231)를 체결할 수 있는 콜릿(245B)을 구비한 록 실린더(245)를 채용한 경우를 예시했다. 그러나, 가동 인서트 블록 정지 상태 유지 수단(243)은,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한 위치에,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록 실린더(245)를, 피스톤 로드에 의해 왕복 작동자(231)를 압압 고정시키는 유체압 실린더에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왕복 작동자(231)를 고정시키는 구성 대신에,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의해 슬라이드 로드(217)를 압압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 블록(3)와 요동 레버(227)와의 사이에 쐐기 부재를 걸어맞춤 및 이탈 가능하게 개재(介在)하여, 요동 레버(227)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종 변형 태양으로 실시 가능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301)는, 본체 블록(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블록(3)에는, 띠톱날(5)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배면측 지지 부재(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띠톱날(5)의 보디부를 협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9)을 일체로 지지한 고정측 암(11)이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가동측 암(13)이 상기 고정측 암(11)에 대향하여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측 암(13)에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의 사이에 상기 띠톱날(5)의 보디부를 협지 가능한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가동측 암(13)에는, 선단부를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일체로 연결한 슬라이드 로드(317)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로드(317)의 기단부 측에 구비된 플랜지부(317F)와 상기 가동측 암(13)과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적절한 탄성 부재(319)가 탄성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태(常態)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착탈(着脫) 교환이 용이하도록, 비교적 큰 간격으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간격)을 크게 개방한 상태에 있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압압하기 위해, 상기 본체 블록(3)의 측면에는,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321)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 블록(3)의 측면에 설치한 브래킷(323)에 추축(325)을 통하여 요동 레버(327)가 요동(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요동 레버(327)의 선단부(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로드(317)의 플랜지부(317F)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321)으로서의 상기 요동 레버(327)에 압압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액츄에이터(32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329)는, 다수의 압전 소자를 적층하여 봉형으로 형성한 압전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봉형의 축심에 평행한 방향(압전 소자의 적층 방향)의 변위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329)에는, 전압 인가 수단(331)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압 인가 수단(331)은,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329)의 변위량을 제어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다이얼 조작 등에 의해 다수 적층된 압전 소자의 모두에, 또는 원하는 개수의 압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의 인가를 해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요동 레버(327)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329)에 대응한 위치에는,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329)에 의해 압압되는 피(被)가압 부재(333)가 구비되어 있다. 이 피가압 부재(333)는, 예를 들면, 상기 요동 레버(327)에 나사장착한 조절 나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요동 레버(327)로부터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329) 방향에 대한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329)의 변위량이 작은 경우라도, 상기 요동 레버(327)에서의 하단부의 동작 범위의 위치를, 도 15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간극 내에 띠톱날(5)을 삽입하고, 띠톱날(5)의 배면측을 배면측 지지 부재(7)에 맞닿게 한다. 그 후, 압전 액츄에이터(329)에서의 모든 압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압전 액츄에이터(329)는 크게 변위되므로,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요동 레버(327)를 통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지한다.
그 후, 전압 인가 수단(331)의 제어 하에 소수의 적정 수의 압전 소자로의 전압의 인가를 해제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329)의 변위량이 작아지므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협지력을 약하게 또는 영(零)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압전 액츄에이터(329)에서의 모든 압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한 후, 소수의 적정 수의 압전 소자에 대한 전압의 인가를 해제하여, 띠톱날(5)의 협지력을 약하게 또는 영으로 하는 취지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최초로부터 원하는 개수의 압전 소자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최초로부터 약한 협지력으로, 또는 협지력을 영으로 하여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협지할 수도 있다.
즉,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격(간극)을 최대로 개방한 상태에서의 상기 간격 치수가 기지(旣知)이며, 또한 상기 요동 레버(327)에 있어서 슬라이드 로드(317)의 플랜지부(317F)를 압압하는 위치로부터 추축(325)까지의 치수 및 상기 피가압 부재(333)로부터 상기 추축(325)까지의 치수가 기지이며, 또한 띠톱날(5)에서의 보디부의 두께가 기지이므로,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329)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해야 할 압전 소자의 개수를 설정하고, 이 설정한 압전 소자의 개수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띠톱날(5)을 약한 협지력 또는 협지력을 영으로 하여 협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를 협지했을 때의 협지력의 허용 범위를, 띠톱날(5)에서의 보디부의 두께마다 미리 실험적으로 구하고, 또한 상기 협지력에 대응하여 전압을 인가해야 할 압전 소자의 개수를 미리 구하고, 띠톱날(5)에서의 보디부의 두께의 데이터 또는 띠톱날(5)의 데이터와, 협지력의 데이터와, 인가해야 할 압전 소자의 개수의 데이터를 관련지어, 전압 인가 수단(331)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미리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할 띠톱날(5)의 보디부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선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요 개수의 압전 소자에 전압을 자동적으로 인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전압 인가 수단(331)에 띠톱날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이 띠톱날 선택 수단에 의해 사용하는 띠톱날(5)을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압전 액츄에이터(329)를 자동적 작동시키고,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협지력, 환언하면 양 인서트 블록(9, 15) 사이의 간극 치수를 적정값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띠톱날 안내 장치에 있어서의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방향으로 이동하여 띠톱날(5)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협지 안내할 때, 다수의 압전 소자를 적층한 구성의 압전 액츄에이터에서의 원하는 개수의 압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 인서트 블록(9, 15)에 의한 협지력 또는 양 인서트 블록(9, 15)의 간극 치수를 원하는 적정한 값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간단한 구성에 의해 띠톱날(5)을 협지할 때의 협지력 및/또는 양 인서트 블록(9, 15)의 간극을 용이하게 적정값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401)는, 본체 블록(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블록(3)에는, 일반적인 세로형 스탠드형 띠톱 기계, 가로형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와 마찬가지로, 띠톱날(5)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롤러 또는 블록 등과 같은 적절한 배면측 지지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띠톱날(5)의 보디부를 협지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9)을 내측에 일체로 구비한 고정측 인서트 암(1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과 대향하는 가동측 인서트 암(13)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가동측 인서트 암(13)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대향하여 상기 띠톱날(5)을 협지 안내하는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본체 블록(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회동) 가능한 동시에 근접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을 이동 가능하게 관통한 슬라이드 로드(17)의 선단부가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로드(417)의 기단측에 구비된 플랜지부(417F)와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과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419)가 탄성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421)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 블록(3)에 구비된 브래킷(423)에 추축(425)을 통하여 요동 레버(427)가 요동 가능하게(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요동 레버(427)의 선단부(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417)에서의 플랜지부(417F)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 레버(427)를 요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 등과 같은 직동형의 액츄에이터(42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직동형 액츄에이터(429)에 있어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 등과 같은 왕복 작동자(431)의 선단부는, 상기 요동 레버(427)의 기단부 측(상단부 측)에 구비된 피접촉 부재(433)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직동형 액츄에이터(429)를 작동시키고, 왕복 작동자(431)에 의해 요동 레버(427)를, 도 18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요동 레버(427)의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로드(417)를 탄성 부재(41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를 견고하게 협압(협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한 상태에 있어서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의 절단을 행하면, 절곡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양 인서트 블록(9, 15)과 띠톱날(5)과의 마찰이 크고, 또한 양 인서트 블록(9, 15)의 마모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에서의 보디부(5B)의 두께에 대응하여 적정 간극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421)에서의 상기 요동 레버(427)를 압압 작동하는 압압 작동 수단의 일례로서의 상기 액츄에이터(429)는, 미리 실험적으로 정해진 일정한 압압력에 의해 상기 요동 레버(429)를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429)가,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유체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일정압의 작동 유체(압유)가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429)가, 예를 들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볼나사 기구 등과 같은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토크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압 작동 수단으로서의 상기 액츄에이터(429)를 작동시켜, 상기 요동 레버(427)를, 도 18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협압(협지)하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협지력은, 미리 설정된 적정한 협지력으로 된다. 따라서, 고정 인서트 블록(9) 및 가동 인서트 블록(15)과 띠톱날(5)과의 사이의 마찰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적정한 협지력(협압력)으로 압압 협지(협압)했을 때, 이 압압 협지 위치(압압 위치)에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정지 유지시키기 위한 인서트 블록 정지 유지 수단(435)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인서트 블록 정지 유지 수단(435)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429)에서의 상기 왕복 작동자(431)를 부동 상태로 록 가능한 록 실린더(437)가 상기 본체 블록(3)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 실린더(437)는, 상기 왕복 작동자(431)를 체결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공지의 구성이지만,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이다. 즉, 환형의 실린더 본체(437A) 내에, 상기 왕복 작동자(431)를 고정 가능한 테이퍼형의 콜릿(437B)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콜릿(437B)을 체결 작동시키기 위한 환형의 피스톤(437C)을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록 실린더(437)가 비동작 상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429)에서의 왕복 작동자(431)는, 도 18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록 실린더(437)를 작동시키면, 콜릿(437B)에 의해 왕복 작동자(431)가 체결되므로, 왕복 작동자(431)는, 부동 상태로 고정되어 정지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간격)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양 인서트 블록(9, 15) 사이에 띠톱날(5)을 배치하고, 또한 띠톱날(5)의 배면측을 배면측 지지 부재(7)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압압 작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액츄에이터(429)를 작동시키면, 도 18의 (A)에 있어서, 요동 레버(427)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협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액츄에이터(429)의 압압력은, 실험적으로 미리 설정된 압압력이므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필요 이상으로 견고하게 협지(협압)하도록 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적정한 압압력으로 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협지했을 때는,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간격)은,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협지한 상태에 있을 때, 인서트 블록 정지 유지 수단(435)인 록 실린더(437)를 작동시키면, 액츄에이터(429)에서의 왕복 작동자(431)가 부동 상태로 록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띠톱날(15)을 압압 협지한 압압 위치(협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협지력은 적정한 협지력이며, 또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고정 인서트 블록(9) 및 가동 인서트 블록(15)과 띠톱날(5)과의 사이의 마찰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고, 또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 내에 있어서 띠톱날(5)이 크게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3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그 외의 형태라도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서트 블록 정지 유지 수단(435)으로서, 왕복 작동자(431)를 체결할 수 있는 콜릿(437B)을 구비한 록 실린더(437)를 채용한 경우를 예시했다. 그러나, 인서트 블록 정지 유지 수단(435)은,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적정한 협지력에 의해 협지한 위치에,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록 실린더(437)를, 피스톤 로드에 의해 왕복 작동자(431)를 압압 고정시키는 유체압 실린더에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왕복 작동자(431)를 고정시키는 구성 대신에,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의해 슬라이드 로드(417)를 압압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 블록(3)과 요동 레버(427)와의 사이에 쐐기 부재를 걸어맞춤 이탈 가능하게 개재하여, 요동 레버(427)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종 변형 태양에 의해 실시 가능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501)는, 본체 블록(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블록(3)에는, 일반적인 세로형 스탠드형 띠톱 기계, 가로형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와 마찬가지로, 띠톱날(5)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롤러 또는 블록 등과 같은 적절한 배면측 지지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띠톱날(5)의 보디부를 협지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9)을 내측에 일체로 구비한 고정측 인서트 암(1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과 대향하는 가동측 인서트 암(13)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가동측 인서트 암(13)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대향하여 상기 띠톱날(5)을 협지 안내하는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본체 블록(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회동) 가능한 동시에 근접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에 형성한 가이드 오목부(517) 내에, 슬라이드 부재(519)가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부재(519)와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예를 들면, 고정 나사 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 연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압압 이동시켜,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협지하므로,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의 상기 가이드 오목부(517)에 대응한 위치에는, 압압 나사 부재(521)가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압 나사 부재(521)의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519)에 맞닿아 있다.
또한, 압압 나사 부재(521)에는, 상기 압압 나사 부재(521)를 부동 상태로 록하기 위한 록 수단의 일례로서의 록 너트(523)가 나사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압 나사 부재(521)를 부동 상태로 록하기 위한 록 수단의 구성으로서는, 압압 나사 부재(521)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나사공을 본체 블록(3)에 형성하고, 이 나사공에 나사삽입한 세트 스크루(set screw)의 선단부를 상기 압압 나사 부재(521)에 견고하게 압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띠톱날 안내 장치(1)에서의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간극(간격)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양 인서트 블록(9, 15) 사이에 띠톱날(5)을 삽입하고, 띠톱날(5)의 배면측을 배면측 지지 부재(7)에 맞닿게 한다. 그 후, 압압 나사 부재(521)를 우측 회전(정회전)시켜 체결하면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의 보디부를 견고하게 압압 협지한다. 즉, 띠톱날(5)은,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협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압압 협지(협압)하면, 서로 밀착되어 양 인서트 블록(9, 15)과 띠톱날(5)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영으로 된다. 그 후, 상기 압압 나사 부재(521)를, 예를 들면 1/4 회전, 1/2 회전 등 적절한 회전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약간, 예를 들면, 0.01㎜ 정도 되돌리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협지력이 약해진다.
환언하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이 약간 넓게 벌어져, 상기 간극은, 띠톱날(5)에서의 보디부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그 후에, 록 수단의 일례로서의 록 너트(523)를 체결하여, 압압 나사 부재(521)를 부동 상태로 록함으로써,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압 나사 부재(521)를 체결하도록 회전 조작하는 것, 및 느슨해지도록 회전 조작할뿐인 간단한 기계적 구성에 의해, 띠톱날 안내 장치(1)에서의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하여 적정 간극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5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 블록(3)에 형성한 상하 방향의 관통공(525) 내에, 힌지핀(527)을 통하여 요동 레버(529)를 요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 요동 레버(529)의 하단부의 요동 방향은, 상기 압압 나사 부재(521)에 의해 압압되는 방향, 즉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요동 레버(529)의 하단부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519)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요동 레버(529)의 하단부를,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요동 레버(529)와 상기 관통공(525)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531)가 탄성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제15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4 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하여 적정한 간극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압압 나사 부재(521)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될 때, 상기 탄성 부재(53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5)으로부터 적극적이고 또한 능동적으로 이반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6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제16 실시예에 있어서는, 요동 레버(529)의 하단부에,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압압하는 방향으로 미동 가능한 중간 부재(533)를 구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 부재(533)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519)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요동 레버(529)의 하단부에 미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동 레버(529)에 대하여 상기 중간 부재(533)를,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압압하는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중간 부재(533)에는 원형상의 관통공(535)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535) 내에는, 상기 요동 레버(52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537)에 고정된 긴 원형상 또는 편심 캠 등과 같은 캠 부재(539)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37)에는, 조작 레버(54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 레버(541)를 조작하여 캠 부재(539)를 회동시키면, 상기 관통공(535)에서의 내주면에서의 가동 인서트 블록(15) 측의 부분에 대한 캠 부재(539)의 외주면의 접촉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중간 부재(533)는, 요동 레버(529)에 대하여, 도 21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미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2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539)의 직경의 큰 부분이 관통공(535)의 내주면의 슬라이드 부재(519) 측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또한 크게 개방된 상태의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배치하고, 압압 나사 부재(521)를 체결하면, 요동 레버(529), 중간 부재(533)를 통하여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을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협압한다. 그 후, 록 수단인 록 너트(523)를 체결하여 압압 나사 부재(521)를 부동 상태로 록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541)를 조작하여, 상기 캠 부재(539)의 직경 작은 부분이 상기 관통공(535)의 내주면의 슬라이드 부재(519) 측에 맞닿도록 회동하면, 가동 인서트 블록(15)은 띠톱날(5)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0.01㎜ 정도의 미소량 이동하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한 띠톱날(5)의 협지력을 약하게 하여 띠톱날(5)을 협지하게 된다. 즉,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하여 적정 간극으로 용이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4 실시예 내지 제16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그 외의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압압 나사 부재(521), 중간 부재(533)에 의해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직접 압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개념적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601)는, 본체 블록(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블록(3)에는, 일반적인 세로형 스탠드형 띠톱 기계, 가로형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와 마찬가지로, 띠톱날(5)의 배면측(5A)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롤러 또는 블록 등과 같은 적절한 배면측 지지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띠톱날(5)의 보디부(5B)를 협지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9)을 내측에 일체로 구비한 고정측 인서트 암(1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과 대향하는 가동측 인서트 암(13)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가동측 인서트 암(13)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대향하여 상기 띠톱날(5)을 협지 안내하는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본체 블록(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은, 상기 고정측 인서트 암(11)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회동) 가능한 동시에 근접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을 이동 가능하게 관통한 슬라이드 로드(617)의 선단부가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로드(617)의 기단측에 구비된 플랜지부(617F)와 상기 가동측 인서트 암(13)과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으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619)가 탄성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621)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 블록(3)에 구비된 브래킷(623)에 추축(625)을 통하여 요동 레버(627)가 요동 가능하게(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요동 레버(627)의 선단부(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617)에서의 플랜지부(617F)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 레버(627)를 요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블록(3)에는,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 등과 같은 직동형의 액츄에이터(62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직동형 액츄에이터(629)에 있어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 등과 같은 왕복 작동자(631)의 선단부는, 상기 요동 레버(627)의 기단부 측(상단부 측)에 구비된 피접촉 부재(633)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직동형 액츄에이터(629)를 작동시키고, 왕복 작동자(631)에 의해 요동 레버(627)를, 도 2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요동 레버(627)의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로드(617)를 탄성 부재(61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를 견고하게 협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견고하게 협압한 상태에 있어서 공작물(도시하지 않음)의 절단을 행하면, 절곡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양 인서트 블록(9, 15)과 띠톱날(5)과의 마찰이 크고, 또한 양 인서트 블록(9, 15)의 마모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에서의 보디부(5B)의 두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간극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인서트 블록 압압 수단(621)의 동작 위치를 제한하는 동작 위치 제한 수단(635)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동작 위치 제한 수단(635)은, 상기 요동 레버(627)로부터 상기 본체 블록(3) 측으로의 돌출 길이를 조절 가능한 동시에 상기 본체 블록(3)에 선단부가 접촉 가능한 조절 나사 등과 같은 스토퍼(stopper) 부재(637)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637)의 선단부가 본체 블록(3)에 맞닿아 요동 레버(627)의 동작이 규제되어 제한되면,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고정 인서트 블록(9)에 필요 이상으로 근접하는 것이 제한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5B)를 견고하게 협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하여 적정 간극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띠톱날(5)에 의한 공작물의 절단 시의 절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또한 고정 인서트 블록(9), 가동 인서트 블록(15)과 띠톱날(5)과의 마찰을 작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동작 위치 제한 수단(635)은, 띠톱날(5)의 보디부(5B)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적정 간극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간극 조절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5B)를 협지하여 안내할 때의,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서는, 상기 피접촉 부재(633)를 조절 나사로 구성하고, 상기 피접촉 부재(633)의 상기 왕복 작동자(631) 측으로의 돌출 길이를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피접촉 부재(633)를, 동작 위치 제한 수단(간극 조절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에 대하여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크게 이반되어,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크게 개방한 상태에 있을 때, 환언하면, 가동 인서트 블록(15)이 기준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에 띠톱날(5)의 보디부(5B)를 배치하고, 띠톱날(5)의 배면측(5A)을 배면측 지지 부재(7)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 위치 제한 수단(635)의 일례로서의 상기 피접촉 부재(조절 나사)(633) 또는 스토퍼 부재(조절 나사)(637) 중 적어도 한쪽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을 협지하여 안내할 때의, 상기 양 인서트 블록(9, 15) 사이의 간극을 미리 설정한다. 그 후, 직동형 액츄에이터(629)를 작동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 레버(627)를 요동시켜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고정 인서트 블록(9) 측으로 이동시킬 때, 요동 레버(627)의 동작 범위는, 상기 동작 위치 제한 수단(635)에 의해 미리 설정한 위치로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닫아서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에 의해 띠톱날(5)의 보디부(5B)를 협지했을 때의,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은, 미리 설정한 적정의 간극으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의 절단 시에 있어서의 절곡이 억제되고, 또한 고정 인서트 블록(9), 가동 인서트 블록(15)과 띠톱날(5)과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그 외의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601)는, 동작 위치 제한 수단(635)의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블록(3)에 구비된 브래킷(639)에 편심 캠(641)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편심 캠(641)의 편심부를 요동 레버(627)의 상부측에 구비된 긴 구멍 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편심 캠(641)을 회동시키면, 요동 레버(627)가 추축(625)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 캠(641)의 회동 위치를 조절하고, 록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록함으로써, 띠톱날(5)을 협지했을 때의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한 간극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관한 띠톱날 안내 장치(601)는, 동작 위치 제한 수단(635)의 구성으로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레버(627)의 선단측에, 슬라이드 로드(617)를 압압하는 가압 부재(643)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압 부재(643)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는, 요동 레버(627)의 선단측에 편심 캠(645)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편심 캠(645)의 편심부를 가압 부재(643)에 구비된 긴 구멍 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편심 캠(645)을 회동시킴으로써 가압 부재(643)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편심 캠(645)의 편심부에 의해 슬라이드 로드(617)를 직접 압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 블록(3)에, 회동 중심으로부터 각 변까지의 치수가 각각 상이한 다각형상의 편심 캠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편심 캠에 의해 요동 레버(627)의 상부측을 압압하여, 요동 레버(627)의 요동 범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띠톱날(5)을 협지하여 안내할 때의 고정 인서트 블록(9)과 가동 인서트 블록(15)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5)의 두께에 대응하여 미리 조절하여 적정 간극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띠톱날(5)을 협지했을 때의 가동 인서트 블록(15)을, 기계적으로 부동 상태로 고정 가능하므로, 띠톱날 안내 장치(601)의 전체적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 특허 출원 제2010-004917호(2010년 1월 13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41594호(2009년 10월 20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41596호(2009년 10월 20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41603호(2009년 10월 20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41609호(2009년 10월 20일 출원)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41615호(2009년 10월 20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그 외에 각종 태양으로 실시 가능하다.

Claims (3)

  1. 띠톱날(band saw blade) 안내 장치에 구비된 고정 인서트 블록(insert block)과 가동(可動) 인서트 블록에 의해 띠톱날의 보디부를 협지(挾持)할 때,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을 고정 인서트 블록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해 압압(押壓) 이동되는 압압력 전달 부재와,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의 이동에 의해 수동적(受動的)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수동 부재를 구비한 복귀 허용 수단을 복귀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의 이동을 행하는 단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에 의해 띠톱날을 견고하게 협지한하는 단계;
    상기 복귀 허용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 또는 상기 수동 부재의 한쪽을 기계적 고정 수단에 의해 부동(不動)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귀 허용 수단의 복귀 허용 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을 미리 설정된 복귀량만큼 되돌려,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의 간극을 띠톱날의 두께에 대응한 적정 간극으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간극은, 상기 띠톱날의 폭 치수를 L로 하고,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과의 간격 치수로부터 띠톱날의 두께 치수를 감산한 값을 S로 했을 때, S/L가 1/1000~1/1100의 범위인,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3. 띠톱날의 배면측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배면측 지지 부재, 띠톱날의 보디부를 협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고정 인서트 블록 및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에 대향하여 구비된 가동 인서트 블록을 구비한 본체 블록;
    상기 가동 블록을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가동 블록과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 인서트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 및
    상기 인서트 블록 이동 수단에 포함되고, 상기 고정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에 띠톱날을 견고하게 협지한 가동 인서트 블록의, 미리 설정된 복귀량만큼 복귀를 허용하기 위한 복귀 허용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허용 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직접 압압되는 압압력 전달 부재와,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의 이동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수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귀 허용 수단의 상기 압압력 전달 부재 또는 상기 수동 부재를 고정 가능한 기계적 고정 수단을 구비한, 띠톱 기계에 있어서의 띠톱날 안내 장치.
KR1020127010118A 2009-10-20 2010-10-05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 KR101331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1603A JP2011088230A (ja) 2009-10-20 2009-10-20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JP-P-2009-241603 2009-10-20
JPJP-P-2009-241596 2009-10-20
JP2009241596A JP5427545B2 (ja) 2009-10-20 2009-10-20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2009241594A JP5427544B2 (ja) 2009-10-20 2009-10-20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2009241609A JP5427546B2 (ja) 2009-10-20 2009-10-20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2009241615A JP5524566B2 (ja) 2009-10-20 2009-10-20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JP-P-2009-241615 2009-10-20
JPJP-P-2009-241609 2009-10-20
JPJP-P-2009-241594 2009-10-20
JPJP-P-2010-004917 2010-01-13
JP2010004917A JP5525829B2 (ja) 2010-01-13 2010-01-13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PCT/JP2010/067455 WO2011048943A1 (ja) 2009-10-20 2010-10-05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032A true KR20120068032A (ko) 2012-06-26
KR101331474B1 KR101331474B1 (ko) 2013-11-20

Family

ID=4390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118A KR101331474B1 (ko) 2009-10-20 2010-10-05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89837B2 (ko)
EP (1) EP2492036B1 (ko)
KR (1) KR101331474B1 (ko)
CN (1) CN102574225B (ko)
TW (1) TWI436842B (ko)
WO (1) WO20110489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9195B2 (ja) 2012-05-10 2016-03-08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帯鋸刃案内装置
CN103624328B (zh) * 2013-12-02 2016-04-27 无锡华联精工机械有限公司 锯带导向机构
CN204450733U (zh) * 2015-01-15 2015-07-08 青岛金岭电器有限公司 无工具化快速定位调整的上下三导机构
DE102016111545A1 (de) 2016-06-23 2017-12-28 Keuro Besitz Gmbh & Co. Edv-Dienstleistungs Kg Sägemaschine und Führungseinrichtung für ein Sägeband oder Sägeblatt einer Sägemasschine
CN107234299A (zh) * 2017-06-20 2017-10-10 武威市津威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切割机
CN108500378B (zh) * 2018-06-04 2019-11-12 浙江仁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带锯床上的液压导向头及其使用方法
CN110773801B (zh) * 2019-10-31 2020-11-03 河南汇丰管业有限公司 一种钢管自动生产线
CN111001877B (zh) * 2019-11-27 2021-09-28 山西平阳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立式带锯床锯条防卡死装置
US11351693B1 (en) * 2020-09-03 2022-06-07 Richard Karas Slicer blade guide with wear inser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5637A (en) * 1950-10-05 1954-11-30 Kearney & Trecker Corp Band sawing machine
JPS5730024Y2 (ko) * 1978-09-16 1982-07-01
JPS5822291B2 (ja) * 1979-11-07 1983-05-07 株式会社 アマダ 帯鋸盤における鋸刃ガイド調整方法及び装置
JPH0634898Y2 (ja) * 1987-02-18 1994-09-14 株式会社アマダ 帯鋸刃案内装置
US5271306A (en) * 1987-02-18 1993-12-21 Amada Company, Ltd. Vibration prevention device for bandsaw machines
JP3138022B2 (ja) * 1991-10-18 2001-02-26 株式会社アマダ 帯鋸盤における鋸刃ガイド装置
JP3426268B2 (ja) * 1992-10-23 2003-07-14 株式会社アマダ 帯鋸刃案内装置
JP4460095B2 (ja) 1999-12-21 2010-05-12 株式会社アマダエンジニアリングセンター 帯鋸盤
JP4280461B2 (ja) * 2002-05-24 2009-06-17 株式会社アマダエンジニアリングセンター 帯鋸盤
JP2005066713A (ja) * 2003-08-26 2005-03-17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帯鋸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2754521B1 (en) * 2003-11-06 2015-09-23 Amada Company, Limited Band saw machine, and saw blade driv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36842B (zh) 2014-05-11
EP2492036A4 (en) 2017-01-04
CN102574225A (zh) 2012-07-11
EP2492036A1 (en) 2012-08-29
TW201114527A (en) 2011-05-01
EP2492036B1 (en) 2018-06-20
KR101331474B1 (ko) 2013-11-20
CN102574225B (zh) 2014-05-07
WO2011048943A1 (ja) 2011-04-28
US9289837B2 (en) 2016-03-22
US20120204700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474B1 (ko) 띠톱날 안내 장치에 의한 띠톱날 협지 방법 및 띠톱날 안내 장치
EP2168719B1 (en) Clamping device for rotary index device of machine tool
EP2983844B1 (en) Punch apparatus
EP1829637B1 (en) Material holding device and material guide device
JP2001179535A (ja) 帯鋸盤
US9610666B2 (en) Lifting apparatus having a toggle lever mechanism
EP0411543A2 (en) Peristaltic pump
EP2177320A1 (en) Irreversible-type toggle-lever drive device
KR20190082836A (ko) 타이어 성형 장치 및 타이어 구성요소의 결합 또는 절단 방법
JPH0985527A (ja) 丸鋸切断機
JP5525829B2 (ja)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5427544B2 (ja)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2018525236A (ja) 工具への部品のクランプ装置
JP2965912B2 (ja) 鉄筋折曲げ機
JP7220485B2 (ja) プレス装置
JP2516670B2 (ja) 型締装置
JP5524566B2 (ja)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H07112469A (ja) 型締装置
JPH08281751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2011088230A (ja) 帯鋸刃案内装置による帯鋸刃挟持方法及び帯鋸刃案内装置
JP2023122372A (ja) クランプ装置
JPH08318389A (ja) レーザ加工機のクランプ装置
JPH0124616B2 (ko)
TW202027883A (zh) 卡盤裝置
JPH10311308A (ja) クランプ装置及びクランプレバーへの駆動力入力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