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967A - 내시경용 가위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967A
KR20120065967A KR1020117031363A KR20117031363A KR20120065967A KR 20120065967 A KR20120065967 A KR 20120065967A KR 1020117031363 A KR1020117031363 A KR 1020117031363A KR 20117031363 A KR20117031363 A KR 20117031363A KR 20120065967 A KR20120065967 A KR 20120065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pair
stopper
pieces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906B1 (ko
Inventor
미유키 니시무라
마코토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유겐카이샤 리버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카이샤 리버세이코 filed Critical 유겐카이샤 리버세이코
Publication of KR2012006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1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1Manipulators operated by drive c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19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 A61B2017/29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connection of actuating rod to handle, e.g. ball end in re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12Bla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6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61B2090/035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preventing further ro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가위 편의 개방각을 규제할 수 있어, 가위 편의 과잉 개방과 폐지가 억제된 안전성이 높은 내시경용 가위를 제공한다.
내시경용 가위(1)는, 회동축(지지핀(13))에 의해 서로 축지지되어 개방 상태와 폐지 상태로 회동 변위하는 한 쌍의 가위 편(10, 11)을 구비하는 처치부(5)와, 처치부(5)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3)와, 조작 와이어(3)를 진퇴 조작하여 가위 편(10, 11)을 개방 상태와 폐지 상태로 변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개방 상태에서 한 쌍의 가위 편(10, 11)의 개방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며, 또한 폐지 상태에서 한 쌍의 가위 편(10, 11)의 폐지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14)가 처치부(5)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내시경용 가위{SCISSORS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의 처치구 안내 관로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체강 내의 유착 부위나 점막 조직 등의 생체 조직을 절개하거나, 혹은 절제하기 위한 내시경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내시경의 처치구 안내 관로 내에 삽입통과되어, 체강 내의 유착 부위나 점막 조직 등의 생체 조직 부위를 절개하거나, 혹은 절제하기 위한 처치 도구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내시경용 가위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내시경용 가위는, 기단(基端)에 설치되는 조작부와, 이 조작부에 연결되는 삽입부와, 이 삽입부의 선단(先端)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 가능한 가위 편을 구비한 처치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내시경용 가위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삽입부 내에 설치된 조작 와이어를 밀고 당겨 조작함으로써, 가위 편을 개폐하는 것이다. 가위 편의 개폐에는, 가위 편과 조작 와이어 사이에 배치된 링크 기구를 이용한다. 그리고, 가위 편을 체강 내의 유착 부위 등에 접촉시켜, 가위 편을 개폐시킴으로써, 체강 내의 유착 부위 등을 절개 혹은 절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204998호
그렇지만, 종래의 내시경용 가위는, 가위 편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가위 편을 개방할 때, 도 10과 같이 가위 편(100a, 100b)의 선단 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개방되거나, 또한 가위 편(100a, 100b)을 폐지할 때, 도 11과 같이 가위 편(100a와 100b)이 교차하여 선단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가위 편의 선단 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개방되거나 가위 편의 선단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하면, 절제 대상이 되는 생체 조직 부위 이외의 부분에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접촉하는 등의 염려가 있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01)를 지나치게 끌어 당기면(가위 편(100a, 100b)을 지나치게 폐지), 링크 기구(102)를 구성하는 링크 부재(102a)의 길이 방향이 조작 와이어(101)와 평행, 즉 링크 기구(102)를 구성하는 지지핀(102b), 회동핀(102c), 슬라이드핀(102d)이 조작 와이어(101)와 일직선상으로 정렬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가위 편(100a, 100b)을 개방하기 위하여 조작 와이어(101)의 밀어넣기 조작을 행하는데 큰 힘이 필요하거나, 밀어넣어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거나 하여 파손의 원인이 된다.
게다가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하여 조작자는, 조작력에 의해 가위 편(100a, 100b)의 개방각을 미세 조정하면서 개폐 조작을 행해야 하므로, 조작자에 대한 부담이 크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가위 편의 개방각을 규제하여, 가위 편의 과잉 개방과 폐지가 억제된 안전성이 높은 내시경용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동축에 의해 서로 축지지되어 개방 상태와 폐지(閉止) 상태로 회동 변위하는 한 쌍의 가위 편을 구비하는 처치부와, 상기 처치부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와,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 조작하여 상기 가위 편을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지 상태로 변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가위로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개방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며, 또한 상기 폐지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폐지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가 상기 처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 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폐지 상태에서, 진퇴 조작되는 상기 조작 와이어가, 상기 가위 편에 대해 상기 회동축 주위의 하중 성분을 부여하는 것을 제 2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가 상기 한 쌍의 가위 편 중 적어도 일방(一方)에 설치되어, 상기 폐지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가 타방(他方)의 가위 편 중 상기 회동축보다 선단 내측에 형성된 블레이드부(刃部)에 걸림결합하며,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타방의 가위 편 중 상기 회동축보다 후단 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 아암에 걸림결합하는 것을 제 3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의 1 측면인 제 1 측면이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후방 연장 아암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결합하며, 또한 상기 제 1 측면과 인접하는 제 2 측면이 상기 폐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부를 따라 걸림결합하는 것을 제 4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가,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양방(兩方)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제 5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가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양방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제 6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가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양방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제 7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처치부가, 상기 조작 와이어와 상기 가위 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의 진퇴 이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을 각각 축회동시키는 링크 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톱퍼가 상기 링크 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 8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 9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0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5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2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6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3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7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4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8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5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9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6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0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7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1 특징의 내시경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제 18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내시경용 가위에 의하면, 한 쌍의 가위 편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스톱퍼가 부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가위 편을 개방했을 때나 폐지했을 때 소정의 각도로 가위 편의 개방각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개방 상태에서 가위 편의 선단이 외측으로 지나치게 개방되거나, 반대로 폐지 상태에서 가위 편끼리 교차하여 선단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절개 또는 절제 대상이 되는 생체 조직 부위 이외의 부분에 대한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내시경용 가위의 전체 외관도.
도 2는 처치부의 폐지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처치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처치부의 확대 평면도.
도 5는 처치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스톱퍼를 변경한 제일 변형예에 따른 처치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링크 기구를 이용하지 않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처치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링크 기구에 스톱퍼가 설치된 제 3 변형예에 따른 처치부의 폐지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제 3 변형예에 따른 처치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종래예에 따른 처치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종래예에 따른 처치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가위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내시경용 가위(1) 전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처치부의 폐지 상태를 도시하며, 도 3은 그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처치부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5는 그 확대 사시도이다.
처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내시경용 가위(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내시경용 가위(1)는, 회동축(지지핀(13))에 의해 서로 축지지되어 개방 상태와 폐지 상태로 회동 변위하는 한 쌍의 가위 편(10, 11)을 구비한 처치부(5)와, 처치부(5)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3)와, 조작 와이어(3)를 진퇴 조작하여 가위 편(10, 11)을 개방 상태와 폐지 상태로 변위시키는 조작부(4)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시경용 가위(1)는, 개방 상태에서 한 쌍의 가위 편(10, 11)의 개방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며, 또한 폐지 상태에서 한 쌍의 가위 편(10, 11)의 폐지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14)가 처치부(5)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내시경용 가위(1)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시경용 가위(1)는, 가요성의 시스(2; sheath)와, 시스(2) 내에 삽입통과되는 조작 와이어(3)와, 시스(2)의 기단(2c)에 설치되는 조작부(4)와, 시스(2)의 선단(2b) 및 조작 와이어(3)의 선단(3b)에 연결되는 처치부(5)로 구성된다.
시스(2)는, 가요성을 가지며, 스테인리스 선 등의 금속을 밀착하여 감은 코일 파이프(2a)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 파이프(2a)의 외표면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시스 외피(7)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시스 외피(7)는, 절연성의 가요성 튜브로 이루어진다. 시스(2)는,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의 처치구 안내 관로 내에 삽입통과되어 이용된다.
또한, 시스 외피(7)는, 코일 파이프(2a)의 선단(2b)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선단 페룰(8; ferrule)의 외주(外周)에 긴박(緊縛) 혹은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시스(2)의 내부에는, 단선 혹은 연선(撚線)으로 이루어진 조작 와이어(3)가 헐겁게 삽입통과되어 있어, 도 1에 도시하는 시스(2)의 기단(2c)에 연결된 조작부(4)의 조작에 의해 축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으며, 또한 축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 대신에, 코일 파이프(2a)를 이용하지 않고, 시스(2)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EEK(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에틸렌,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가요성 튜브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조작부(4)는, 조작부 본체(40)와, 조작부 본체(4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조작 와이어(3)의 기단(3a)이 연결되는 슬라이더(41)로 구성된다.
조작부 본체(40)에는, 소정 길이에 걸쳐 홈(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40a)에 슬라이더(41)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축방향(동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 본체(40)의 손잡이측 단부에는 손가락 걸이부(40b)가 설치되며, 슬라이더(41)에는 좌우(동 도면에서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손가락 걸이부(41a, 4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41)에는, 고주파 전원 코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41b)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접속 단자(41b)와 외부 전원 장치(미도시)를 접속하여, 조작 와이어(3)를 통해 처치부(5)에 고주파 전류를 통전할 수 있다.
조작자는, 손가락 걸이부(40b)에 엄지를 걸며, 손가락 걸이부(41a, 41a)에 집게 손가락과 중지를 걸어, 조작부 본체(40)에 대해 슬라이더(41)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시스(2) 내에서 조작 와이어(3)를 축방향으로 진퇴시킨다. 도 1은, 손가락 걸이부(40b)에 대해 슬라이더(41)를 이간(離間)시키는 방향(도 1에서의 A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처치부(5)를 개방한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반대로, 슬라이더(41)를 손가락 걸이부(40b)에 근접하는 방향(도 1에서의 B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처치부(5)를 폐지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슬라이드 조작에 의한 처치부(5)의 개폐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처치부(5)는, 선단 페룰(8)에 대해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지지 프레임(9)을 포함하고 있다. 이 선단 지지 프레임(9)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9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9a)에 제 1 가위 편(10)과 제 2 가위 편(11) 및 링크 기구(12)를 지지하고 있어, 이들 한 쌍의 가위 편(10, 11)과 링크 기구(12)와 선단 지지 프레임(9)에 의해 처치부(5)가 구성되어 있다.
선단 지지 프레임(9)은, 스테인리스 강재(鋼材) 또는 세라믹스재 또는 내열성이 높은 플라스틱재(PEEK,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등)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 지지 프레임(9)의 선단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핀(13)이 회동축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핀(13)에 제 1 가위 편(10)과 제 2 가위 편(11)의 대략 중간 부분이 겹쳐진 상태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부착(軸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위 편(10, 11)에 링크 기구(12)가 연결되어, 조작부 본체(40) 및 슬라이더(41)의 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제 1, 제 2 가위 편(10, 11)은 박판(薄板) 형상의 갈고리형으로 형성된다. 이 제 1, 제 2 가위 편(10, 11)의 지지핀(13)의 축부착 부분으로부터 후단측을 후방 연장 아암(10a, 11a)이라고 한다. 각 후방 연장 아암(10a, 11a)의 단부는, 회동핀(15a, 15b)에 의해 링크 기구(12)에 연결되어 있다. 즉, 회동핀(15a, 15b)은, 가위 편(10, 11)에 대한 하중 부여점이다. 그리고, 회동핀(15a, 15b)을 조작 와이어(3)에 의해 기단 측으로 끌어당기면, 지지핀(13)을 중심으로 가위 편(10, 11)이 회동하며 서로의 선단이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처치부(5)는 폐지 상태가 된다. 반대로, 회동핀(15a, 15b)을 조작 와이어(3)에 의해 선단 측으로 밀어내면, 지지핀(13)을 중심으로 가위 편(10, 11)이 회동하며 선단끼리 상대적으로 이간하여, 처치부(5)는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가위 편(10, 11)의 지지핀(13)에 의한 축부착 부분으로부터 선단측은, 서로 내측으로 만곡(彎曲) 형성된 가위부(10b, 11b)로 되어 있다. 가위부(10b, 11b)는, 생체 조직을 끼움지지하며, 또한 이를 절단 또는 소작(燒灼)하는 부위이다.
가위부(10b, 11b)에는, 서로 겹쳐지는 면(이하, 내면이라 함)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 내면으로부터 겹쳐지는 면과는 반대측 면(이하, 외면이라 함)에 걸쳐, 예리하게 경사지는 블레이드부(10c, 1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위부(10b, 11b)에서의 블레이드부(10c, 11c)와는 반대측 가장자리부(배부(背部))는, 블레이드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선단 근방이 원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10c, 11c)의 선단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10d, 11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10d, 11d)에는 블레이드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처치부(5)에는, 개방 상태의 가위 편(10, 11)의 선단 사이가 더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며, 반대로 폐지 상태의 가위 편(10, 11)의 선단 사이가 더 폐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처치부(5) 중 가위 편(10, 11)에 스톱퍼(14)가 설치되어 있는 양태를 예로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 대신에, 스톱퍼(14)를 링크(16a, 16b)나 회동핀(15a, 15b) 등의 링크 기구(12)에 설치해도 된다(도 8, 도 9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스톱퍼(14)를 공통으로 이용하여, 개방 상태와 폐지 상태에서 가위 편(10, 11)의 회동을 각각 규제하는 양태를 예로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 대신에, 개방 상태의 가위 편(10, 11)의 선단 사이가 더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스톱퍼와, 폐지 상태의 가위 편(10, 11)의 선단 사이가 더 폐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스톱퍼를 다른 위치에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스톱퍼(14)는 복수 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톱퍼(14)는, 한 쌍의 가위 편(10, 11) 중 적어도 일방(도시는 가위 편(1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톱퍼(14)는, 폐지 상태에서, 타방의 가위 편(10) 중 회동축(지지핀(13))보다 선단 내측에 형성된 블레이드부(10c)에 걸림결합한다(도 2 참조). 또한, 스톱퍼(14)는, 개방 상태에서, 타방의 가위 편(10) 중 회동축(지지핀(13))보다 후단 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 아암(10a)에 걸림결합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제 1, 제 2 가위 편(10, 11)의 최대 및 최소 개방각이 규제된다.
스톱퍼(14)는, 한 쌍의 가위 편(10, 11)의 양방에 부착되어 있다. 즉, 도시하지 않지만, 가위 편(11)의 가위부(11b)의 내면과 마찬가지로, 가위 편(10)의 가위부(10b)의 내면에는 다른 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스톱퍼는, 제 1 및 제 2 가위 편(10, 11)을 폐지할 때 제 2 가위 편(11)의 블레이드부(11c)에 걸림결합하며, 또한 제 1 및 제 2 가위 편(10, 11)을 개방할 때 제 2 가위 편(11)의 후방 연장 아암(11a)에 걸림결합한다.
스톱퍼(14)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일측면인 제 1 측면(14a)이 개방 상태에서 후방 연장 아암(10a)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결합한다(도 3 참조). 그리고, 제 1 측면(14a)과 인접하는 제 2 측면(14b)이, 폐지 상태에서 블레이드부(10c)를 따라 걸림결합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제 1 측면(14a)이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결합하는 것은, 제 1 측면(14a)이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능선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여, 상기 능선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가장자리에 걸림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측면(14b)이 블레이드부(10c)를 따라 걸림결합하는 것은, 제 2 측면(14b)이 블레이드부(10c)를 따라 연장되는 능선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여, 상기 능선의 일부 또는 전부가 블레이드부(10c)에 걸림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스톱퍼(14)를 설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가위 편(10, 11)은 개방각이 규제되어, 스톱퍼(14)와 걸림결합하는 위치 및 각도 내에서 개폐가 행해진다.
여기서, 스톱퍼(14)를 조작부(4)나 조작 와이어(3)가 아닌, 처치부(5)에 설치함으로써, 가위 편(10, 11)의 개방 상태와 폐지 상태의 재현성이 양호하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41)의 진퇴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를 조작부(4)에 설치한 경우에는, 가위 편(10, 11)의 개폐 동작을 이 스톱퍼로 완전하게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왜냐하면, 만곡한 체강(體腔)에 삽입통과된 내시경의 처치구 안내 관로에 시스(2)를 삽입한 경우, 만곡한 관로의 내측과 외측에서 경로 길이가 상이하여, 시스(2)의 선단에 고정된 지지핀(13)과, 시스(2)의 내측에 있는 조작 와이어(3)가 상대 변위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조작 와이어(3)가 조작부(4)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도, 지지핀(13)이 상대적으로 진퇴함으로써 가위 편(10, 11)은 회동한다. 환언하면, 조작 와이어(3) 또는 그 기단측에서 조작 와이어(3)를 고정했다고 하여도, 처치부(5)의 개방각을 바람직하게 규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내시경용 가위(1)의 경우, 스톱퍼(14)를 처치부(5)에 설치함으로써, 시스(2)의 만곡 형상에 의하지 않고, 가위 편(10, 11)의 개방각을 원하는 대로 규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톱퍼(14)를 가위 편(10, 11)에 설치한 경우에는, 처치부(5)의 기구 부분에 닿는 링크 기구(12)를 손상하지 않고, 반복 조작에 대해서도 안정된 개폐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톱퍼(14)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위 편(10, 11)에 대한 걸림결합을 모든 면에서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위 편(10, 11)의 회동을 규제할 때 스톱퍼(14)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어, 가위 편(10, 11)의 블레이드부(10c, 11c)를 손상하지 않는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위부(10b, 11b) 각각에 스톱퍼(14)를 부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가위부(10b, 11b) 중 어느 일방에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한 쌍의 가위 편(10, 11)의 양방에 각각 스톱퍼(14)를 설치함으로써, 스톱퍼(14)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파손하기 어려우며, 또한 안전성이 높은 내시경용 가위(1)를 얻을 수 있다.
한 쌍의 가위 편(10, 11)의 블레이드부(10c, 11c)는, 각각 도전성이다. 그리고, 블레이드부(10c, 11c)를 제외하고, 스톱퍼(14)를 포함하는 처치부(5)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다. 그리고, 내시경용 가위(1)는, 블레이드부(10c, 11c)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41b)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10c, 11c)의 가장자리부에 선 형상의 도전부(19)가 전극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조작 와이어(3), 연결 부재(18), 링크(16a, 16b)를 통해, 가위 편(10, 11)에는 동일한 위상의 고주파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가위 편(10, 11)은 모노폴라(monopolar)형 고주파 전극이 되어, 생체 조직을 선 형상으로 소작할 수 있다.
가위 편(10, 11)에는, 도전부(19)를 제외한 표면에 불소 수지 코팅 등의 절연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처치부(5) 표면의 대략 전체를 절연성으로 함으로써, 소작되는 생체 조직이 처치부(5)에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톱퍼(14)의 표면도 절연성이므로, 소작된 생체 조직이 스톱퍼(14)에 부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폐지 상태 및 개방 상태에서의 가위 편(10, 11)의 위치가 변동하지 않고, 환언하면 생체 조직의 부착에 의해 스톱퍼(14)의 기능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톱퍼(14)를 직육면체로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제 1 변형예와 같이, 스톱퍼(20)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게다가, 스톱퍼(14)의 부착 위치, 크기 등을 변경함으로써, 임의의 개방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톱퍼(14, 20)가 가위 편(10, 11)에 대해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톱퍼(14, 2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개방 상태에서의 가위 편(10, 11)의 최대 개방각이 증감 조정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위부(10b, 11b)에 홈 등을 형성하고, 스톱퍼(14, 20)를 가위부(10b, 10c)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거나 하는 등, 스톱퍼(14, 20)의 부착 위치를 사용 양태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가위 편(10, 11)에 연결되는 링크 기구(12)는, 가위 편(10, 11)의 각 일부를 이루는 후방 연장 아암(10a, 11a)과, 링크(16a, 16b)와, 지지핀(13), 회동핀(15a, 15b) 및 슬라이드핀(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링크(16a)는, 가위 편(10)을 구성하는 후방 연장 아암(10a)의 기단에 회동핀(15a)을 통해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16b)는, 가위 편(11)을 구성하는 후방 연장 아암(11a)의 기단에 회동핀(15b)을 통해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핀(17)은, 이들 링크(16a, 16b)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핀(17)에는, 조작 와이어(3)의 선단에 고정된 연결 부재(18)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18)는, 슬라이드핀(17)을 지지하며, 또한 선단 지지 프레임(9)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림결합되어 있다.
링크 기구(12)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18)를 선단 지지 프레임(9)을 따라 슬라이드 가세(付勢)함으로써, 연결 부재(18)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핀(17)이 일체로 진퇴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각 링크(16a, 16b)의 단부를 추종시킨다. 이에 대해 선단 지지 프레임(9)의 선단에 지지핀(13)이 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핀(17)의 지지핀(13)에 대한 간격이 원근 변동한다.
이로부터, 제 1 가위 편(10)을 구성하는 후방 연장 아암(10a) 및 회동핀(15a)을 통해 링크(16a)와 이루는 각도와, 제 2 가위 편(11)을 구성하는 후방 연장 아암(11a) 및 회동핀(15b)을 통해 링크(16b)와 이루는 각도는 서로 확대 축소 변동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가위 편(10)과 제 2 가위 편(11)은 서로 개방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져 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용 가위(1)는, 조작자가, 손가락 걸이부(40b)에 엄지를 걸고, 손가락 걸이부(41a, 41a)에 집게 손가락과 중지를 걸어 조작한다. 조작부 본체(40)에 대해 슬라이더(41)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손가락 걸이부(40b)에 대해 슬라이더(41)는 이간하는 방향(도 1에서의 A방향)으로 밀려나온다. 슬라이더(41)가 밀려 나오면, 슬라이더(41)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3)가 밀려나와, 시스(2) 내부를 이동한다. 그리고, 조작 와이어(3)가 밀려나옴으로써, 조작 와이어(3)의 선단(3b)에 연결된 연결 부재(18)가 선단 지지 프레임(9)을 따라 이동하고, 슬라이드핀(17)의 지지핀(13)에 대한 간격이 넓어져 제 1 및 제 2 가위 편(10, 11)이 개방되게 된다. 또한 반대로, 슬라이더(41)를 손가락 걸이부(40b)에 근접하는 방향(도 1에서의 B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 1 및 제 2 가위 편(10, 11)을 폐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폐지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진퇴 조작되는 조작 와이어(3)는, 가위 편(10, 11)에 대해 회동축(지지핀(13)) 주위의 하중 성분을 부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지 상태에서, 가위 편(10, 11)에 대한 하중 부여점(회동핀(15a, 15b))과 회동축(지지핀(13))을 연결하는 방향이, 조작 와이어(3)의 진퇴 방향에 대해 교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처치부(5)가 폐지된 상태에서 링크 기구(12)가 데드 포인트(dead point)에 빠지지 않는다. 환언하면, 링크(16a, 16b)가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스톱퍼(14)의 제 2 측면(14b)이 가위 편(10)의 가위부(10b)와 걸림결합한다. 이 때문에, 가위 편(10, 11)의 폐지 상태(도 2)로부터 조작 와이어(3)을 선단 측으로 밀어넣는 것만으로 이들을 개방 상태(도 3)로 변위시킬 수 있다.
생체 조직 부위의 절제는, 조작부 본체(40) 및 슬라이더(41)의 조작에 의해 가위 편(10, 11)을 개방하고, 가위 편(10, 11) 사이에 생체 조직 부위를 위치시켜, 조작부 본체(40) 및 슬라이더(41)를 조작하여 가위 편(10, 11)을 폐지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위부(10b, 11b)에서의 블레이드부(10c, 11c)와는 반대측의 가장자리 선단 근방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시경의 처치구 안내 관로로부터 처치부(5)를 체강 내로 돌출시킬 때, 절제 대상이 되는 생체 조직 부위 이외의 부분에 접촉해도 상처를 내지 않아 안전하다.
또한, 블레이드부(10c, 11c)의 선단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10d, 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생체 조직 부위를 절제할 때, 돌기부(10d, 11d)가 생체 조직 부위를 누르기 때문에, 생체 조직 부위가 전방으로 밀려나와 처치부(5)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전부(19)는, 가위 편(10, 11) 중 블레이드부(10c, 11c)로부터 돌기부(10d, 11d)에 이르기까지, 만곡한 갈고리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위 편(10, 11)으로 생체 조직을 절제하는 경우, 블레이드부(10c, 11c)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와 돌기부(10d, 11d)로 눌려진 생체 조직의 둘레 전체를, 도전부(19)로 둘러싸고 소작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처치부(5)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링크 기구(12)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제 2 변형예와 같이, 제 1 및 제 2 가위 편(10, 11)에 구멍(31a, 31b)를 각각 천공하고, 이 구멍(31a, 31b)에 조작 와이어(30a, 30b)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8은, 링크 기구(12)에 스톱퍼(14)가 설치된 제 3 변형예에 따른 처치부(5)의 폐지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그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처치부(5)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 와이어(3)와 가위 편(10, 11) 사이에 설치되어 조작 와이어(3)의 진퇴 이동에 의해 한 쌍의 가위 편(10, 11)을 각각 축회동시키는 링크 기구(12)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내시경용 가위(1)에서는, 스톱퍼(14)가 링크 기구(12)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톱퍼(14)가 링크(16b)에 설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의 스톱퍼(14)는, 폐지 상태(도 8)에서, 링크(16a)에 대해 폐지측(도면에서 하방)에서 맞닿는다. 그리고, 스톱퍼(14)는, 개방 상태(도 9)에서, 가위 편(10)의 후방 연장 아암(11a)에 대해 개방측(도면에서 우측)에서 맞닿는다. 본 변형예의 스톱퍼(14)는, 링크(16b)에 돌출되어 설치된 삼각기둥 형상의 돌기부이며, 처치부(5)의 폐지 상태와 개방 상태에서, 상이한 측면에 의해 링크 기구(12)의 동작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처치부(5)에 설치되는 스톱퍼(14)의 구체적인 위치는 가위 편(10, 11)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를 링크 기구(12)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스톱퍼(14)를 링크 기구(12)에 설치할 때에는, 링크(16a, 16b) 뿐만 아니라, 지지핀(13)이나 회동핀(15a, 15b) 또는 슬라이드핀(17)에 스톱퍼(14)를 설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핀의 단면 형상과, 가위 편(10, 11)이나 링크(16a, 16b)의 축 구멍의 형상을 각각 비(非)원형으로 하여, 가위 편(10, 11)의 개방 상태와 폐지 상태에서 핀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양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내시경용 가위
2 : 시스
2b : 선단
2c : 기단
3 : 조작 와이어
3a : 기단
3b : 선단
4 : 조작부
5 : 처치부
10 : 제 1 가위 편
10a : 후방 연장 아암
10c : 블레이드부
11 : 제 2 가위 편
11a : 후방 연장 아암
11c : 블레이드부
13 : 지지핀
14 : 스톱퍼
14a : 제 1 측면
14b : 제 2 측면

Claims (18)

  1. 회동축에 의해 서로 축지지되어 개방 상태와 폐지(閉止) 상태로 회동 변위하는 한 쌍의 가위 편을 구비하는 처치부와,
    상기 처치부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와,
    상기 조작 와이어를 진퇴 조작하여 상기 가위 편을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지 상태로 변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가위로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개방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며, 또한 상기 폐지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폐지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가 상기 처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지 상태에서, 진퇴 조작되는 상기 조작 와이어가, 상기 가위 편에 대해 상기 회동축 주위의 하중 성분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가, 상기 한 쌍의 가위 편 중 적어도 일방(一方)에 설치되어,
    상기 폐지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는, 타방(他方)의 가위 편 중 상기 회동축보다 선단 내측에 형성된 블레이드부(刃部)에 걸림결합하며,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타방의 가위 편 중 상기 회동축보다 후단 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 아암에 걸림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의 일측면인 제 1 측면이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후방 연장 아암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결합하며, 또한 상기 제 1 측면과 인접하는 제 2 측면이 상기 폐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부를 따라 걸림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양방(兩方)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양방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양방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부가, 상기 조작 와이어와 상기 가위 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의 진퇴 이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을 각각 축회동시키는 링크 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톱퍼가 상기 링크 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 편의 블레이드부가 각각 도전성이며,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외하고, 상기 스톱퍼를 포함하는 상기 처치부 표면의 대략 전체가 절연성이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가위.
KR1020117031363A 2009-10-08 2010-10-05 내시경용 가위 KR101713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4668 2009-10-08
JP2009234668 2009-10-08
PCT/JP2010/067453 WO2011043340A1 (ja) 2009-10-08 2010-10-05 内視鏡用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967A true KR20120065967A (ko) 2012-06-21
KR101713906B1 KR101713906B1 (ko) 2017-04-13

Family

ID=4385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363A KR101713906B1 (ko) 2009-10-08 2010-10-05 내시경용 가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20420B2 (ko)
EP (1) EP2486876B1 (ko)
JP (1) JP5463363B2 (ko)
KR (1) KR101713906B1 (ko)
CN (1) CN102573673B (ko)
AU (1) AU2010304282B2 (ko)
BR (1) BR112012000687A8 (ko)
ES (1) ES2806255T3 (ko)
WO (1) WO2011043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8844A (ja) * 2011-12-08 2013-07-18 River Seikoo:Kk 内視鏡用高周波焼灼切開鋏装置
US9402644B2 (en) * 2013-03-13 2016-08-02 Covidien Lp Reverse seam ripper dissector
JP6180785B2 (ja) * 2013-05-17 2017-08-16 株式会社リバーセイコー 内視鏡用高周波焼灼切開鋏
JP6390358B2 (ja) * 2014-11-06 2018-09-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用鋏
CN105266855B (zh) * 2014-11-11 2018-05-15 上海菲捷实业有限公司 双头内镜用软管式取样钳
EP3222238A4 (en) * 2014-11-19 2018-07-11 Kyushu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igh-frequency forceps
US9763685B2 (en) * 2015-01-09 2017-09-19 Gyrus Acmi, Inc. Combination medical device
CN104799909B (zh) * 2015-03-19 2016-06-29 哈尔滨医科大学 消化内镜微创手术用双关节镰状刀
EP3075340B1 (de) * 2015-03-30 2023-08-02 Erbe Elektromedizin GmbH Gewebeschere für biologisches Gewebe
KR101619208B1 (ko) * 2015-12-21 2016-05-11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CN113813018B (zh) * 2016-02-02 2023-10-31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处置器具
CN105711001B (zh) * 2016-03-20 2018-04-20 贵州大学 一种简易割膜器
WO2018083807A1 (ja) * 2016-11-04 2018-05-11 株式会社永木精機 切断工具
WO2018092290A1 (ja) * 2016-11-21 2018-05-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鋏鉗子
CA3075603A1 (en) * 2017-09-11 2019-03-14 Sumitomo Bakelite Co., Ltd. High frequency treatment device, high frequency treatment device knife, and high frequency treatment device distal treatment instrument
JP6988287B2 (ja) * 2017-09-11 2022-01-0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用ナイフ、及び、医療用の高周波処置具
WO2019099752A1 (en) 2017-11-15 2019-05-23 United States Endoscopy Group, Inc. End effectors actuation platform
US20190150967A1 (en) * 2017-11-15 2019-05-23 United States Endoscopy Group, Inc. Avulsion forceps
WO2019199827A1 (en) 2018-04-10 2019-10-1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rticulable medical devices having flexible wire routing
US11419665B2 (en) 2018-10-26 2022-08-23 Covidien Lp Electrosurgical forceps
CN109381244A (zh) * 2018-11-16 2019-02-26 深圳市罗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提拉臂及其控制方法
US11304743B2 (en) 2019-01-30 2022-04-19 Covidien Lp Electrosurgical forceps
US11510725B2 (en) 2019-01-30 2022-11-29 Covidien Lp Electrosurgical forceps
US11497545B2 (en) 2019-02-14 2022-11-15 Covidien Lp Electrosurgical forceps
JP7286067B2 (ja) * 2019-03-29 2023-06-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内視鏡用マイクロ波照射器具
CN110313976A (zh) * 2019-07-09 2019-10-11 广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广州呼吸中心) 一种输尿管镜用组织剪刀
DE102019121099A1 (de) * 2019-08-05 2021-02-11 Karl Storz Se & Co. Kg Medizinisches instrument
CN110811702A (zh) * 2019-12-03 2020-02-21 贵州中医药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支气管镜智能活检钳
JP7479921B2 (ja) 2020-05-12 2024-05-09 真 小林 内視鏡用処置具
CN113712604A (zh) * 2021-06-03 2021-11-30 上海威尔逊光电仪器有限公司 一种大开口360度包裹切割、避免撕扯出血的活检钳
WO2023129448A1 (en) * 2021-12-28 2023-07-06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electrical and fluid isolation featu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619A (ja) * 1993-04-19 1994-10-25 Olympus Optical Co Ltd 鉗 子
JPH10179602A (ja) * 1996-12-25 1998-07-07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内視鏡用処置具における処置部の構造
JP2003299669A (ja) * 2002-04-09 2003-10-21 Pentax Corp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止血鉗子
JP2005204998A (ja) 2004-01-23 2005-08-04 Olympus Corp 内視鏡用鋏鉗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98A (ja) 1988-06-23 1990-01-09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の片面順次めっき装置
US7458969B2 (en) * 2002-05-06 2008-12-02 Olympus Corporation Therapeutic device for tissue from living body
JP4436698B2 (ja) 2004-02-25 2010-03-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CN2862977Y (zh) * 2005-11-22 2007-01-31 常州市久虹医疗器械有限公司 剪切型活检钳钳头
US7935130B2 (en) * 2006-11-16 2011-05-0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Two-piece end-effectors for robotic surgical tools
JP4726014B2 (ja) * 2007-10-03 2011-07-20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鋏型高周波処置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619A (ja) * 1993-04-19 1994-10-25 Olympus Optical Co Ltd 鉗 子
JPH10179602A (ja) * 1996-12-25 1998-07-07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内視鏡用処置具における処置部の構造
JP2003299669A (ja) * 2002-04-09 2003-10-21 Pentax Corp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止血鉗子
JP2005204998A (ja) 2004-01-23 2005-08-04 Olympus Corp 内視鏡用鋏鉗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00687A8 (pt) 2017-07-11
AU2010304282A1 (en) 2012-02-02
CN102573673B (zh) 2014-09-03
JP5463363B2 (ja) 2014-04-09
US8920420B2 (en) 2014-12-30
EP2486876A4 (en) 2014-02-19
BR112012000687A2 (pt) 2016-02-16
EP2486876A1 (en) 2012-08-15
ES2806255T3 (es) 2021-02-17
AU2010304282B2 (en) 2015-09-03
CN102573673A (zh) 2012-07-11
WO2011043340A1 (ja) 2011-04-14
KR101713906B1 (ko) 2017-04-13
JPWO2011043340A1 (ja) 2013-03-04
EP2486876B1 (en) 2020-04-15
US20120197253A1 (en)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5967A (ko) 내시경용 가위
JP7191141B2 (ja) 流体移送用及び電子的外科手術用の医療装置
EP3694435B1 (en) Electrosurgical resector tool
US9314297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a knife blade stop
EP2433582A1 (en)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JP5290658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13138844A (ja) 内視鏡用高周波焼灼切開鋏装置
US9186168B2 (en) Med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cutting a tissue using the medical instrument
JP2012075805A (ja) 内視鏡用高周波鋏
US20230096889A1 (en) Electrosurgical resector tool
JP5312868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10136941B2 (e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creating the same
JP2017225515A (ja) 医療処置装置用操作部
JP7151142B2 (ja) 高周波処置具
JP6988287B2 (ja) 高周波処置具用ナイフ、及び、医療用の高周波処置具
US9198722B2 (en) Med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performing a surgical procedure with the medical instrument
JP2019126424A (ja) はさみ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