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208B1 -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208B1
KR101619208B1 KR1020150182646A KR20150182646A KR101619208B1 KR 101619208 B1 KR101619208 B1 KR 101619208B1 KR 1020150182646 A KR1020150182646 A KR 1020150182646A KR 20150182646 A KR20150182646 A KR 20150182646A KR 101619208 B1 KR101619208 B1 KR 10161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needle
pin
attached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5018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208B1/ko
Priority to PCT/KR2016/007235 priority patent/WO20171112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61B50/36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 및 이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하고 난 주사기를 니들의 분리장소까지 정확하게 운반 투입한 후 주사기와 니들을 분리수거하는 일련의 과정을 완전 자동화로 구현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게시된 니들 분리수거기는 니들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하는 작업불량이 발생함은 물론 미처 니들이 제거되지 않은 주사기가 분리수거된 주사기에 섞이게 되어 이를 재분리수거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결국에는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며, 분리수거의 근본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무용지물로 변모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사기 클램프에 사용하고난 주사기를 1차 투입하면 상기 주사기 클램프가 하강하면서 드로우 버켓의 중심까지 주사기를 운반한 후 자동으로 벌어지면서 쥐고 있던 주사기를 놓아 드로우 버켓의 중심에 정확하게 2차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Needle auto segregate collector using lift type syringe provider}
본 발명은 사용하고 난 주사기를 니들의 분리장소까지 정확하게 운반 투입한 후 주사기와 니들을 분리수거하는 일련의 과정을 완전 자동화로 구현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의 사용은 지정된 약제의 정확한 투입과 병원균의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염성 폐기물로 분류하여 재사용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주사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약액의 수납을 위하여 실린더의 형태로 구성된 주사기 본체와, 그 주사기 본체에 삽입된 피스톤을 이용하여 약액을 빨아들인 후 피스톤을 다시 밀어줌으로써 주사기 본체의 전방으로 형성된 니들을 통하여 약액을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니들은 의사 및 간호사나 폐기물 취급자의 찔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사기로부터 탈부착 가능토록 되어 별도로 분리시켜서 폐기처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니들을 폐기처분 할 때에는 주사기 본체에 결합된 니들이 금속제의 침으로 형성되어 수거시에 봉투 및 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운반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처를 입혀 2차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사기 본체에서 니들을 분리시켜 수거하고 있으나, 이 또한 현재까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작업시 주사기 본체와 니들이 견고하게 결착되어 있어서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에 상기 주사기에서 니들을 전혀 감염 없이 분리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417752호, 명칭/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픽아웃 버켓에 주사기를 투입하면 자동으로 이동 프레서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니들을 고정 프레서에 압착 고정한 후 상기 픽아웃 버켓이 회전하면서 니들로부터 주사기를 빼내어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완성된 제품의 경우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주사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픽아웃 버켓을 원활하게 회전작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픽아웃 버켓의 상측으로 충분한 회전공간을 확보하여야만 함으로써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판과 픽아웃 버켓의 사이에는 상하 고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도차로 인해 주사기를 상기 픽아웃 버켓의 중심에 정확하게 투입할 수 없어 니들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하는 작업불량이 발생함은 물론 미처 니들이 제거되지 않은 주사기가 분리수거된 주사기에 섞이게 되어 이를 재분리수거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결국에는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며, 분리수거의 근본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무용지물로 변모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사기 클램프에 사용하고난 주사기를 1차 투입하면 상기 주사기 클램프가 하강하면서 드로우 버켓의 중심까지 주사기를 운반한 후 자동으로 벌어지면서 쥐고 있던 주사기를 놓아 드로우 버켓의 중심에 정확하게 2차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우 버켓에 주사기가 투입되면 고정 플라이어와 이동 플라이어가 니들을 물어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드로우 버켓이 회전하면서 주사기를 뽑아서 니들을 자동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우 버켓이 회전하면서 주사기를 뽑을 때 밀핀이 주사기의 니들허브를 밀어주면서 드로우 버켓으로부터 주사기가 완벽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배치된 주사기 클램프와 드로우 버켓의 사이에 고도차가 발생함에도 상기 주사기 클램프는 주사기를 드로우 버켓의 중심까지 정확하게 운반하여 투입함으로써 상기 드로우 버켓에 주사기를 투입할 때 발생하던 오작동을 방지하여 항상 니들을 완벽하게 제거함은 물론 작업불량을 획기적으로 해소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품질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기와 니들을 각각 분리수거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분리시에 니들에 의한 상처로 감염되는 위험을 제거하여 안전하게 운반 및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된 니들만을 폐기처리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폐기처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의료용 폐기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기를 뽑기 위한 드로우 버켓의 회전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드로우 버켓의 내부로 돌출되는 밀핀이 주사기의 니들허브를 자동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드로우 버켓의 내부에 끼인 주사기를 드로우 버켓으로부터 완벽하게 탈거하여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리프트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주사기 클램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사기 클램프가 벌어지는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사기 클램프에 주사기를 1차 투입하는 상태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사기 클램프가 주사기를 드로우 버켓에 2차 투입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사기 클램프가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니들 분리수거기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례에 따른 니들 분리수거기의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례에 따른 니들 분리수거기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 도 13의 A-A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도 13의 B-B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주사기 탈거장치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드로우 버켓에 의한 주사기의 분리상태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주사기 탈거장치의 작동상태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의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리프팅 모터(110), 타이밍벨트(120), 리프트(130), 가이드 브라켓(140), 클램핑 모터(150), 나사블럭(160), 링크 앗세이(170), 한 쌍의 주사기 클램프(180)(180a)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리프팅 모터(110)는 지주프레임(101)의 하부 측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리프팅 모터(110)의 모터축과 일체로 연결된 원동축(111) 및 종동축(112)은 상기 지주프레임(101)의 측면 상하에 부착된 유니트 베어링(113)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동축(111) 및 종동축(112)의 외측에 일체로 각각 결합된 밸트풀리(121)에는 타이밍벨트(1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리프팅 모터(110)의 작동에 따라 타이밍벨트(120)는 정역회전 하면서 타이밍벨트(120)와 일체화 연결된 리프트(130)를 하강하거나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프레임(101)의 상, 하판(102)(103)에는 가이드봉(104)이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104)의 외측에 리프트(13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130)의 후면 중앙에는 타이밍벨트(120)가 밀착상태로 일체화 연결됨으로써 상기 타이밍벨트(1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리프트(130)는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리프트(130)는 타이밍벨트(120)에 지지된 상태에 불과하므로 회전이나 처짐 발생의 우려가 있음을 고려하여 상기 리프트(130)의 후면에는 체결구(141)를 이용하여 상호 간격을 두고 앵글형의 가이드 브라켓(140)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14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핀(142)이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핀(142)은 지주프레임(101)에 상하로 길게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홀(10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핀(142)의 머리부(142a)는 지주프레임(101)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가이드 브라켓(104)의 수평회전을 방지하면서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리프트(130)의 전면에는 주사기 클램프(180)(180a)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지지대(151)가 일체로 부착되고, 클램프 지지대(151)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를 벌리거나 조이는 조작을 제어하는 클램핑 모터(150)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 모터(150)의 모터축과 직결된 나사축(152)의 외측에는 나사블럭(160)이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나사블럭(160)은 클램프 지지대(151)의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홀(153)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나사블럭(160)의 하단에는 클램프 지지대(151)의 저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구(161)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나사축(152)의 회전작동에 따라 나사블럭(160)은 가이드홀(15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나사블럭(160)에는 링크 앗세이(170)가 일체화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링크 앗세이(170)는 나사블럭(160)의 하부에 한 쌍의 제1 링크(171)(171a)의 일측이 각각 회전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링크(171)(171a)의 타측은 링크핀(172)을 매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링크(173)(173a)의 일측과 회전자유롭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173)(173a)의 타측은 클램프 지지대(151)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링크핀(174)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173)(173a)의 타측에는 클램프 받침대(175)(175a)가 연장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링크핀(172)은 클램프 지지대(15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곡선 가이드홀(154)을 따라 안내 이동하고, 상기 링크핀(172)의 하단에는 클램프 지지대(151)의 저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구(176)가 결합됨으로써 링크핀(172)이 상부로 유동함을 방지하여 링크 앗세이(170)의 작동에 따른 원활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받침대(175)(175a)의 상단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주사기 클램프(180)(180a)가 각각 안착 설치되고,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는 내부 중앙에 주사기 고정홀(181)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주사기 고정홀(18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 고정홀(181)은 상부의 내경(181a)이 하부의 내경(181b)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 하부의 내경(181a)(181b) 사이에는 콘 형상의 경사면(181c)이 형성됨으로써 주사기(1)의 크기에 관계없이 더욱 간편하게 투입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주사기(1)의 니들(2)을 뽑는 역할을 수행하는 드로우 버켓(220)과 주사기 클램프(180)(180a) 간에 상하 고도차가 발생함에도 상부에 위치하는 주사기 클램프(180)(180a)에 직접 주사기를 1차적으로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는 외주면에 상호 마주하는 니들 감지센서(183)가 부착되고, 상기 니들 감지센서(183)는 주사기 클램프(180)(180a)의 내외부로 관통 형성된 감지홀(184)과 상호 연통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됨으로써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의 내부에 1차적으로 정확한 위치로 주사기(1)가 투입된 상태임을 확인하여야만 주사기(1)의 운반작업이 이루어져 니들(2)의 분리수거에 따른 오작동을 더욱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에 정확하게 투입된 주사기(1)는 주사기 고정홀(181)에 삽입되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리프팅 모터(110)의 작동에 따라 하강하는 리프트(130)와 함께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의 하측에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드로우 버켓(220)의 상부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하면서 주사기(1)를 드로우 버켓(220)의 중심까지 정확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운반된 주사기(1)는 상기 클램핑 모터(15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나사축(152)에 의해 나사블럭(160)이 이동하면서 제2 링크(173)(173a)에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 받침대(175)(175a) 및 주사기 클램프(180)(180a)가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고정력이 해제됨으로써 하부로 낙하하여 상기 드로우 버켓(220)의 중심에 정확하게 2차적으로 자동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는 일시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주사기(1)를 드로우 버켓(220)에 원활하게 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방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드로우 버켓(220)이 회전할 때 주사기(1)가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회전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를 이용하여 니들 분리수거기(200)의 드로우 버켓(220)에 주사기를 정확하게 투입하여 항상 니들(2)을 확실하게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실시례의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의 전방에는 니들 분리수거기(200)의 베이스판(201)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201)의 상단 양측에는 한 쌍의 측면판(202)(202a)이 이격 설치되며, 상기 측면판(202)(202a)의 사이에는 격판(203)이 설치되며, 이 격판(203) 및 측면판(202a)의 사이 상하에는 한 쌍의 가이드봉(210)이 일체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일측의 측면판(202)은 상단에 고정 플라이어(2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라이어(230)의 상부에는 다양한 규격의 주사기(1)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로 노출된 니들(2)을 고정 플라이어(230)와 이동 플라이어(240)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선택적인 회전작동을 통해 물림 고정상태의 니들(2)로부터 주사기(1)를 뽑아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드로우 버켓(2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드로우 버켓(220)의 내부 중앙에는 주사기 지지홀(221)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되, 주사기 지지홀(221)은 주사기(1)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에는 콘 형상의 경사면(221a)이 형성되고, 다양한 규격의 니들(2)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니들(2)의 규격에 구애받지 않고 주사기(1)를 상기 드로우 버켓(220)에 투입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봉(210)의 외측에는 이동 플라이어(240)의 상, 하부가 각각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봉(210)을 따라 이동 플라이어(240)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동 플라이어(24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프레서(241)는 격판(203)을 관통하여 주사기(1)의 니들(2)을 상기 고정 플라이어(230)와 함께 물어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판(202a)의 외면에는 감속회전 기능을 구비한 프레싱 모터(251)가 부착되고, 상기 프레싱 모터(251)의 모터축에는 스크류축(250)의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축(250)의 타측은 이동 플라이어(240)에 형성된 나사홀(242)을 관통하여 일체로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싱 모터(251)의 회전작동에 따라 스크류축(250)은 정역회전 함은 물론 상기 스크류축(250)과 나사결합된 이동 플라이어(240)는 고정 플라이어(230)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 플라이어(230)와의 사이에 위치한 니들(2)을 상호 고정 플라이어(230)와 함께 강하게 물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 플라이어(230)는 이동 플라이어(240)의 프레서(241)와 대응하는 면에 클로 홈(23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프레서(241)의 선단에는 클로 홈(231)에 삽입되는 클로(24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클로(243)는 도 17과 같이 니들(2)을 클로 홈(231)에 밀어 넣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주사기(1)를 뽑아 니들(2)을 분리수거할 때 니들(2)을 더욱 강력하게 물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드로우 버켓(220)은 저면에 고정 플라이어(230)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회전브라켓(222)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회전브라켓(222) 및 고정 플라이어(230)는 힌지축(223)으로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축(223)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켓 모터(260)는 측면판(202)(202a)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된 후면판(204)의 외면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브라켓(222)에는 버켓 모터(260)의 모터축이 상기 힌지축(223)과 동일축선상으로 일체화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버켓 모터(260)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드로우 버켓(220)이 정역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 플라이어(24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고정 플라이어(230)의 사이에 니들(2)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드로우 버켓(2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니들(2)로부터 주사기(1)를 뽑아내어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주사기(1)를 하향으로 투척하여 별도로 마련되는 수거통으로 주사기(1)를 자동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으며, 상기 주사기(1)와 니들(2)이 분리된 후 상기 이동 플라이어(24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 자연적으로 니들(2)이 하향으로 낙하하여 베이스판(201)에 형성된 니들 배출공(205)을 통과하여 별도의 수거통으로 자동 분리수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를 이용하여 니들 분리수거기(200a)의 드로우 버켓(220)에 주사기를 정확하게 투입하여 항상 니들(2)을 확실하게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실시례의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제2 실시례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는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상기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의 전방에 배치된 니들 분리수거기(200a)의 베이스판(201) 상단 양측에 이격 설치된 측면판(202)(202a)의 사이에 격판(203) 및 지지브라켓(206)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격판(203) 및 지지브라켓(206)의 사이 상하에 연결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봉(210a)과;
상기 측면판(20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 플라이어(2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주사기 지지홀(2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드로우 버켓(220)과;
상기 가이드봉(210a)을 타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돌출 형성된 프레서(241)가 격판(203)을 관통하여 주사기(1)의 니들(2)을 상기 고정 플라이어(230)와 함께 물어 고정하는 이동 플라이어(240)와;
상기 측면판(202)(202a)의 사이에 연결된 후면판(204)의 외면에 부착된 프레싱 모터(251)의 모터축에 결합된 원동기어(272)와 치합되고, 상기 격판(203)에 연결된 회전지지판(207)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 플라이어(240)를 왕복직선 운동시키는 캠기어(270)와;
상기 후면판(204)에 부착되고, 모터축이 상기 드로우 버켓(220)의 저면에 부착된 회전브라켓(222)에 결합되어 상기 드로우 버켓(220)을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버켓 모터(26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제2 실시례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는 이동 플라이어(240)를 구동하기 위한 기술구성이 다소 상이할 뿐 나머지의 기술구성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드로우 버켓(220)이 회전하면서 니들(2)로부터 주사기(1)를 뽑아내는 과정에서 주사기(1)의 니들허브(3)가 주사기 지지홀(221)에 끼어 외부로 탈거되지 않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주사기 탈거장치(300)의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주사기 탈거장치(300)의 기술구성은 상기 드로우 버켓(220)의 일측 외면에 핀홀(311)이 형성된 핀 홀더(310)가 체결구(312)로 관통하여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핀홀(311) 및 이와 연통하도록 드로우 버켓(220)에 형성된 핀홀(311a)에는 밀핀(320)의 양측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밀핀(32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스프링 지지돌기(321) 및 핀홀(311a)의 사이에는 밀핀(320)을 드로우 버켓(220)의 외부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330)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201)의 상단에는 드로우 버켓(220)의 회전작동시 상기 핀 홀더(3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밀핀(320)을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밀핀 푸셔(3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우 버켓(220)이 회전하면서 주사기를 뽑아줄 때 상기 밀핀(320)은 밀핀 푸셔(340)의 상단에 접지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밀핀(320)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돌출핀(322)은 상기 드로우 버켓(220)에 형성된 핀홀(311a)을 관통하여 드로우 버켓(220)의 내부로 돌출되면서 주사기 지지홀(221)에 끼인 주사기(1)의 니들허브(3)를 밀어줌으로써 주사기(1)를 드로우 버켓(220)으로부터 확실하게 탈거하여 분리수거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1: 주사기 2: 니들
100: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 101: 지주프레임
104: 가이드봉 105, 153: 가이드홀
110: 리프팅 모터 111: 원동축
112: 종동축 120: 타이밍벨트
130: 리프트 140: 가이드 브라켓
142: 가이드핀 150: 클램핑 모터
151: 클램프 지지대 152: 나사축
154: 곡선 가이드홀 160: 나사블럭
170: 링크 앗세이 171, 171a: 제1 링크
172, 174: 링크핀 173, 173a: 제2 링크
175, 175a: 클램프 받침대 180, 180a: 주사기 클램프
181: 주사기 고정홀 183: 니들 감지센서
184: 감지홀 200, 200a: 니들 분리수거기
201: 베이스판 202, 202a: 측면판
203: 격판 204: 후면판
206: 지지브라켓 210, 210a: 가이드봉
220: 드로우 버켓 221: 주사기 지지홀
223: 회전브라켓 230: 고정 플라이어
240: 이동 플라이어 241: 프레서
250: 스크류축 251: 프레싱 모터
260: 버켓 모터 270: 캠기어
272: 원동기어 300: 주사기 탈거장치
310: 핀홀더 311, 311a: 핀홀
320: 밀핀 321: 스프링 지지돌기
330: 스프링 340: 밀핀 푸셔

Claims (9)

  1. 지주프레임(101)의 하부 측면에 부착된 리프팅 모터(110)와;
    상기 리프팅 모터(110)의 원동축(111) 및 상기 지주프레임(101)의 상측에 설치된 종동축(1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타이밍벨트(120)와;
    상기 지주프레임(101)의 상하에 연결 설치된 가이드봉(104)을 타고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 중앙에 상기 타이밍벨트(120)가 일체로 연결된 리프트(130)과;
    상기 리프트(130)의 후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일측면에 결합된 가이드핀(142)이 지주프레임(101)에 형성된 가이드홀(105)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140)과;
    상기 리프트(130)의 전면에 부착된 클램프 지지대(151)의 일측에 설치된 클램핑 모터(150)와;
    상기 클램핑 모터(150)의 모터축과 직결된 나사축(152)의 외측에 나사결합되고, 클램프 지지대(151)에 형성된 가이드홀(15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나사블럭(160)과;
    상기 나사블럭(160)의 하부에 일측이 회전자유롭게 결합된 한 쌍의 제1 링크(171)(171a)의 타측에 각각 링크핀(172)을 매개로 한 쌍의 제2 링크(173)(173a)의 일측이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173)(173a)의 타측은 클램프 지지대(151)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된 링크핀(174)에 회전 자유롭게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링크 앗세이(170)와;
    상기 제2 링크(173)(173a)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클램프 받침대(175)(175a)에 각각 안착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주사기 고정홀(18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주사기 클램프(180)(18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와;
    상기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의 전방에 배치된 니들 분리수거기(200)의 베이스판(201) 상단 양측에 이격 설치된 측면판(202)(202a)의 사이에 격판(203)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203) 및 측면판(202a)의 사이 상하에 연결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210)과;
    상기 측면판(20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 플라이어(2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주사기 지지홀(2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드로우 버켓(220)과;
    상기 가이드봉(210)을 타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돌출 형성된 프레서(241)가 격판(203)을 관통하여 주사기(1)의 니들(2)을 상기 고정 플라이어(230)와 함께 물어 고정하는 이동 플라이어(240)와;
    상기 측면판(202a)의 외면에 부착된 프레싱 모터(251)의 모터축과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 플라이어(24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된 스크류축(250)과;
    상기 측면판(202)(202a)의 사이에 연결된 후면판(204)에 부착되고, 모터축이 상기 드로우 버켓(220)의 저면에 부착된 회전브라켓(222)에 결합되어 상기 드로우 버켓(220)을 선택적으로 정역회전 시키는 버켓 모터(2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111) 및 종동축(112)은 지주프레임(101)의 측면 상하에 부착된 유니트 베어링(113)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측에 각각 결합된 밸트풀리(121)에 상기 타이밍벨트(120)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핀(172)은 클램프 지지대(15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곡선 가이드홀(154)을 따라 안내 이동하고, 하단에는 클램프 지지대(151)의 저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구(176)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주사기 고정홀(18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 고정홀(181)은 상부의 내경(181a)이 하부의 내경(181b)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 하부 내경(181a)(181b) 사이에는 콘 형상의 경사면(181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클램프(180)(180a)는 외주면에 상호 마주하는 니들 감지센서(183)가 부착되고, 상기 니들 감지센서(183)는 주사기 클램프(180)(180a)의 내외부로 관통 형성된 감지홀(184)과 상호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6. 삭제
  7. 지주프레임(101)의 하부 측면에 부착된 리프팅 모터(110)와;
    상기 리프팅 모터(110)의 원동축(111) 및 상기 지주프레임(101)의 상측에 설치된 종동축(1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타이밍벨트(120)와;
    상기 지주프레임(101)의 상하에 연결 설치된 가이드봉(104)을 타고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면 중앙에 상기 타이밍벨트(120)가 일체로 연결된 리프트(130)과;
    상기 리프트(130)의 후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일측면에 결합된 가이드핀(142)이 지주프레임(101)에 형성된 가이드홀(105)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140)과;
    상기 리프트(130)의 전면에 부착된 클램프 지지대(151)의 일측에 설치된 클램핑 모터(150)와;
    상기 클램핑 모터(150)의 모터축과 직결된 나사축(152)의 외측에 나사결합되고, 클램프 지지대(151)에 형성된 가이드홀(15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나사블럭(160)과;
    상기 나사블럭(160)의 하부에 일측이 회전자유롭게 결합된 한 쌍의 제1 링크(171)(171a)의 타측에 각각 링크핀(172)을 매개로 한 쌍의 제2 링크(173)(173a)의 일측이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173)(173a)의 타측은 클램프 지지대(151)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된 링크핀(174)에 회전 자유롭게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링크 앗세이(170)와;
    상기 제2 링크(173)(173a)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클램프 받침대(175)(175a)에 각각 안착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주사기 고정홀(18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주사기 클램프(180)(18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와;
    상기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100)의 전방에 배치된 베이스판(201)의 상단 양측에 이격 설치된 측면판(202)(202a)의 사이에 격판(203) 및 지지브라켓(206)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격판(203) 및 지지브라켓(206)의 사이 상하에 연결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봉(210a)과;
    상기 측면판(20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 플라이어(2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중앙에 주사기 지지홀(2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드로우 버켓(220)과;
    상기 가이드봉(210a)을 타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돌출 형성된 프레서(241)가 격판(203)을 관통하여 주사기(1)의 니들(2)을 상기 고정 플라이어(230)와 함께 물어 고정하는 이동 플라이어(240)와;
    상기 측면판(202)(202a)의 사이에 연결된 후면판(204)의 외면에 부착된 프레싱 모터(251)의 모터축에 결합된 원동기어(272)와 치합되고, 상기 격판(203)에 연결된 회전지지판(207)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 플라이어(240)를 왕복직선 운동시키는 캠기어(270)와;
    상기 후면판(204)에 부착되고, 모터축이 상기 드로우 버켓(220)의 저면에 부착된 회전브라켓(222)에 결합되어 상기 드로우 버켓(220)을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버켓 모터(2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 버켓(220)에는 주사기 탈거장치(300)가 설치되고, 상기 주사기 탈거장치(300)는,
    상기 드로우 버켓(220)의 일측 외면에 핀 홀더(310)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핀 홀더(310)의 내부 및 드로우 버켓(220)에 연통하여 형성된 핀홀(311)(311a)에는 밀핀(32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밀핀(32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스프링 지지돌기(321) 및 핀홀(311a)의 사이에는 밀핀(320)을 드로우 버켓(220)의 외부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330)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201)의 상단에는 드로우 버켓(220)의 회전작동시 상기 핀 홀더(3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밀핀(320)을 밀어주는 밀핀 푸셔(3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핀(320)은 밀핀 푸셔(340)에 접지시 일측 선단에 형성된 돌출핀(322)이 상기 드로우 버켓(220)의 내부로 돌출되면서 주사기 지지홀(221)에 끼인 주사기(1)의 니들허브(3)를 밀어주어 주사기(1)를 탈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KR1020150182646A 2015-12-21 2015-12-21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KR101619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646A KR101619208B1 (ko) 2015-12-21 2015-12-21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PCT/KR2016/007235 WO2017111230A1 (ko) 2015-12-21 2016-07-05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646A KR101619208B1 (ko) 2015-12-21 2015-12-21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208B1 true KR101619208B1 (ko) 2016-05-11

Family

ID=5602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646A KR101619208B1 (ko) 2015-12-21 2015-12-21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9208B1 (ko)
WO (1) WO201711123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230A1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KR101848868B1 (ko) 2016-05-26 2018-04-13 (주) 굿모닝 바이오 지방 줄기 세포 자동 세척 및 분리장치
KR101893575B1 (ko) * 2018-02-05 2018-08-30 주식회사 뮨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KR101893574B1 (ko) 2017-12-08 2018-10-04 주식회사 뮨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KR20190117088A (ko) * 2018-04-06 2019-10-16 최영철 포터블 니들 자동 분리기
CN112870493A (zh) * 2021-01-19 2021-06-01 杨万礼 一种血液科专用注射器回收装置
CN112893419A (zh) * 2021-03-03 2021-06-04 河南省儿童医院郑州儿童医院 一种医疗处置废物小车
CN113203602A (zh) * 2021-05-24 2021-08-03 重庆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用于医学检验的取样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4187A (zh) * 2019-03-21 2019-07-02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注射器用针刺伤安全防护复帽装置
CN112957136B (zh) * 2021-01-25 2023-06-27 孟凡英 一种倾斜悬挂切割医用利器盒
CN113069112B (zh) * 2021-03-16 2023-07-04 四川省肿瘤医院 一种自动采血系统
CN114848976B (zh) * 2022-05-17 2023-06-16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输血管临时收集的针头隐藏装置
CN117139338B (zh) * 2023-11-01 2024-01-02 常州市武进人民医院(常州市第八人民医院) 一种废弃注射器的无害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340A1 (ja) * 2009-10-08 2011-04-14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鋏
KR101417752B1 (ko) * 2013-12-16 2014-07-14 마이다스시스템주식회사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KR101462118B1 (ko) * 2014-07-11 2014-12-09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주사용 캐눌라 제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553U (ko) * 1996-03-20 1997-10-13 이평환 일회용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 회수장치
ITBO20110360A1 (it) * 2011-06-22 2012-12-23 Health Robotics Srl Apparecchiatura per la rimozione di aghi di siringhe
KR101619208B1 (ko) * 2015-12-21 2016-05-11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340A1 (ja) * 2009-10-08 2011-04-14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鋏
KR101417752B1 (ko) * 2013-12-16 2014-07-14 마이다스시스템주식회사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KR101462118B1 (ko) * 2014-07-11 2014-12-09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주사용 캐눌라 제거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230A1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KR101848868B1 (ko) 2016-05-26 2018-04-13 (주) 굿모닝 바이오 지방 줄기 세포 자동 세척 및 분리장치
KR101893574B1 (ko) 2017-12-08 2018-10-04 주식회사 뮨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WO2019112305A1 (ko) * 2017-12-08 2019-06-13 주식회사 뮨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KR101893575B1 (ko) * 2018-02-05 2018-08-30 주식회사 뮨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KR20190117088A (ko) * 2018-04-06 2019-10-16 최영철 포터블 니들 자동 분리기
KR102056002B1 (ko) 2018-04-06 2019-12-13 최영철 포터블 니들 자동 분리기
CN112870493A (zh) * 2021-01-19 2021-06-01 杨万礼 一种血液科专用注射器回收装置
CN112893419A (zh) * 2021-03-03 2021-06-04 河南省儿童医院郑州儿童医院 一种医疗处置废物小车
CN113203602A (zh) * 2021-05-24 2021-08-03 重庆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用于医学检验的取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230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208B1 (ko) 리프트형 주사기 투입기를 이용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장치
KR101619207B1 (ko) 주사기의 탈거가 확실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KR101417752B1 (ko)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WO2018209906A1 (zh) 自动配药装置
KR101685459B1 (ko) 피펫이 포함된 시료용기를 이용한 자동 도말장치
CN102728428B (zh) 试管废液自动收集设备
CN110631878B (zh) 一种液基细胞自动制片医疗设备的样本移送机构
BRPI0800197B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embutir agulhas em placas de agulhas para máquinas de feltração
JPH11230967A (ja) 自動開栓装置
KR20180052197A (ko) 피펫이 포함된 시료용기를 이용한 세포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도말장치
JP2013067454A (ja) 残糸除去装置
CN112170023B (zh) 一种离心机
CN116622494A (zh) 自动化分子诊断检测设备及方法
CN109622092A (zh) 一种微柱凝胶法自动配血装置
CN110596408B (zh) 一种全自动干式免疫分析设备
KR101462118B1 (ko) 주사용 캐눌라 제거기
CN107381468B (zh) 一种油桶自动拧盖装置及其拧盖工艺
CN111346682B (zh) 液体精确抽吸配比系统
CN208766022U (zh) 一种用于微孔滤膜转移的微孔滤膜杯收集装置
KR20130091396A (ko) 절단된 필름의 자투리 부분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190135835A (ko) 자동 도말기의 수거 장치
CN108693008A (zh) 一种用于微孔滤膜转移的微孔滤膜杯收集装置
CN116478808B (zh) 移液机器人、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219616154U (zh) 一种断针检测装置
CN218841666U (zh) 一种试管开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