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739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739A
KR20120049739A KR1020100111151A KR20100111151A KR20120049739A KR 20120049739 A KR20120049739 A KR 20120049739A KR 1020100111151 A KR1020100111151 A KR 1020100111151A KR 20100111151 A KR20100111151 A KR 20100111151A KR 20120049739 A KR20120049739 A KR 2012004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unit
paper
image forming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948B1 (ko
Inventor
김정환
경명호
배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948B1/ko
Priority to US13/137,219 priority patent/US8824004B2/en
Publication of KR2012004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04N1/506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일반 인쇄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화상 형성부로 인쇄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이송부,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기능성 인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능성 인쇄가 수행되도록 화상 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일반 인쇄는 인쇄 용지에 수행되는 인쇄이며, 기능성 인쇄는,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수행되는 인쇄이며, 제어부는, 지간 구간에 기능성 인쇄가 불가능하면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하도록 용지 이송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과정 중에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고속 엔진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분당 출력매수를 증가시키는 추세이다. 그러나 고속 회전에 대한 엔진 내부 프로세스 구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용지들 간의 간격인 지간 거리를 짧게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지간 거리가 너무 짧아지는 경우, 지간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전사 롤러 클리닝 블레이드 보호 띠 형성, 열화된 토너를 배출하는 동작 등의 시간이 확보가 안 되어 용지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중에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일반 인쇄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로 인쇄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이송부, 및, 상기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판단부, 기능성 인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능성 인쇄가 수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인쇄는 인쇄 용지에 수행되는 인쇄이며, 상기 기능성 인쇄는,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수행되는 인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간 구간에 상기 기능성 인쇄가 불가능하면 상기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상기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용지 이송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능성 인쇄는, 토너 농도 보정을 위한 토너 띠 인쇄,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 인쇄, 전사 벨트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 기능을 위한 토너 띠 인쇄, 및 열화된 스트레스 토너 배출을 위한 인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지 이송부는, 인쇄 용지 적재함의 인쇄 용지를 용지 이송 경로로 이동시키는 픽업 클러치, 인쇄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 공급하는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 및, 상기 픽업 클러치에서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까지 인쇄 용지를 이송하는 피드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간의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상이 되도록, 상기 픽업 클러치,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 및 상기 피드 클러치 중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길이는, 전사 롤러의 원주 길이의 1배 내지 1.4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화상 형성부는, 감광매체,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하는 노광부,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부, 및, 상기 현상된 현상제를 인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화상 형성부는,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면, 상기 지간 구간 내에 토너 띠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시점에 토너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의 전압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 및 동일한 극성이 교번적으로 상기 전사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광부 및 상기 현상부는,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지간 구간 내에서 전원이 차단되고,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면, 상기 지간 구간 내에 전원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일반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이 확보되도록 인쇄 용지를 지연하여 공급하는 단계, 및,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반 인쇄는 인쇄 용지에 수행되는 인쇄이며, 상기 기능성 인쇄는,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수행되는 인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는 경우,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이 확보되도록 인쇄 용지를 지연하여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기능성 인쇄는, 토너 농도 보정을 위한 토너 띠 인쇄,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 인쇄, 전사 벨트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 기능을 위한 토너 띠 인쇄, 및 열화된 스트레스 토너 배출을 위한 인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쇄 용지를 지연하여 공급하는 단계는, 지간의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상이 되도록, 픽업 클러치,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 및 피드 클러치 중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길이는, 전사 롤러의 원주 길이의 1배 내지 1.4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간 구간 내에 토너 띠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띠가 전사부를 통과하는 시점에 토너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상기 전사부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의 전압이 상기 전사부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 및 동일한 극성이 교번적으로 상기 전사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기능성 인쇄 중 지간 구간 내에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를 형성하는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인쇄인 지간 구간 내의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를 형성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
도 5는 멀티 패스 방식에서의 본 실시 예가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탠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본 실시 예가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보통 인쇄 동작과 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인쇄 과정에서의 화상 형성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저장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결정부(140), 용지 이송부(150), 화상 형성부(160), 판단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유선 방식뿐만 아니라 무선 방식으로 인쇄 제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생성된 PCL(Printer Command Language), PS(PostScript) 언어로 작성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 GDI(Graphic Device Interface) 데이터, XPS 파일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형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파일 자체가 직접 화상형성장치에 전달되는 다이렉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저장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저장부(120)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저장부(120)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 명령어 처리를 위한 구분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
결정부(140)는 인쇄 데이터의 화상 형성과 관련된 인쇄 속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결정부(140)는 인쇄 용지의 종류(구체적으로, 정작 요구 시간) 및 인쇄 엔진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화상 형성과 관련된 인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부(140)는 결정된 인쇄 속도에 기초하여 지간 거리 및 지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간은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용지 이송부(150)는 용지 이송 경로에 따라 화상 형성부(160)로 인쇄 용지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용지 이송부(150)는 인쇄 용지 적재함의 인쇄 용지를 용지 이송 경로로 이동시키는 픽업 클러치, 인쇄 용지를 화상 형성부(160)에 공급하는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 픽업 클러치에서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까지 인쇄 용지를 이송하는 피드 클러치를 이용하여, 결정부(140)에서 결정된 인쇄 속도 및 지간 거리에 따라 인쇄 용지를 화상 형성부(160)로 공급할 수 있다.
용지 이송부(150)는 후술할 판단부(170)의 판단 결과 또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화상 형성부(160)로 공급되는 인쇄 용지를 지연하여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지 이송부(150)는 상술한 픽업 클러치,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 및 피드 클러치 중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지연하여, 인쇄 용지간의 거리인 지간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60)는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160)는 감광매체, 노광부, 현상부, 전사부 구성을 이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일반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160)에 구비되는 각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일반 인쇄는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통상적인 인쇄 작업이다.
그리고 화상 형성부(160)는 기능성 인쇄를 수행한다. 여기서, 기능성 인쇄는 토너 농도 보정을 위한 토너 띠 인쇄,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 인쇄, 전사 벨트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 기능을 위한 토너 띠 인쇄 및 열화된 스트레스 토너 배출을 위한 인쇄와 같은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수행되는 인쇄 작업이다. 이와 같은 기능성 인쇄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판단부(170)는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70)는 신규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농도 보정이 필요한 경우, 토너 농도 보정을 위한 기능성 인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70)는 인쇄 영역별 인쇄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 회수가 일정 이상이 되면, 감광매체 또는 전사 벨트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 기능인 기능성 인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70)는 현상부 내의 열화된 토너가 증가하였을 경우 판단되면 열화된 토너 배출을 위한 기능성 인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3가지 경우의 기능성 인쇄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기능성 인쇄 이외에도 지간 구간 내에 수행되는 인쇄 작업인 경우에도 본원은 적용이 가능하다.
판단부(170)는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는 경우, 기능성 인쇄가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서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인쇄는 역시 토너를 이용하는 인쇄 동작이라는 점에서, 기능성 인쇄 과정에서의 토너는 전사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사부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지간 거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판단부(170)는 현재의 지간 거리가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전사 롤러의 원주 길이의 1배 내지 1.4배(바람직하게는 1.3배))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 용지에 인쇄되도록 화상 형성부(160)를 제어하고, 화상 형성부(160)에 인쇄 용지가 공급되도록 용지 이송부(150)를 제어한다. 그리고 판단부(170)에서 기능성 인쇄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되고,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지간 구간 동안 기능성 인쇄가 수행되도록 화상 형성부(160)를 제어한다.
한편, 지간 구간에 기능성 인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하도록 용지 이송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기능성 인쇄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간 거리를 갖도록 인쇄 용지를 공급하는바,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부(160)는 감광매체(161), 노광부(162), 현상부(163), 전사부(165), 클리닝 블레이드(166) 및 대전부(167)를 포함한다.
감광매체(161)는 노광부(162)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노광부(162)는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감광매체(161)에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노광부(162)는 기설정된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161)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현상부(163)는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한다. 구체적으로, 현상부(163)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161)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현상할 수 있다.
전사부(165)는 현상된 현상제를 인쇄 용지에 전사한다. 구체적으로 전사부(165)는 감광매체(161)에 현상된 토너를 인쇄 용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166)는 전사부(165)를 통과하였음에도 감광매체(161)에 잔류되어 있는 토너를 제거한다. 그리고 대전부(167)는 기설정된 전위로 감광매체(161)를 대전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참고하여 기능성 인쇄 동작을 설명한다.
기능성 인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용지들 사이인 지간 구간에 수행된다. 이와 같이 기능성 인쇄는 지간 구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감광매체(161)에 현상된 토너는 전사부(165)를 오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 과정에서 전사부(165)는 토너의 극성과 다른 극성으로 감광 매체(161) 상에 현상된 토너를 자신 쪽으로 당기는 동작을 수행하나, 지간 구간에서 전사부(165)가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경우, 토너가 전사부(165)에 직접 전달되어, 전사부(165)는 오염된다.
따라서, 기능성 인쇄 과정 중 현상부(163)에서 형성된 토너 띠가 전사부(165)를 통과하는 시점에 전사부(165)가 토너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갖도록 하여 전사부(165)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토너 띠가 짧은 구간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감광매체 내의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토너띠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마모 방지를 위한 충분한 토너 공급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사부(165)의 클리닝 동작은 전사 롤러의 한바퀴(③) 동안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클리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사부(165)의 전압 이동 시간(②, ④)이 추가로 요구된다. 또한, 순간적인 용지 반송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용지선/후단 마진이 쉽게 뒤틀릴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구적 마진(①,⑤)도 요구된다. 이와 같은 내용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용지 선/후단 마진 및 고압 라이징/폴링 지연 등의 제반 여건으로 인해 전사 롤러 표면의 클리닝을 위한 지간 거리는 전사 롤러의 원주 길이의 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클리닝 기간이 전사 롤러의 세 바퀴, 네 바퀴 동안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클리닝 기간이 증가하게 되면, 전사 롤러와 맞닿아 있는 감광매체의 동반 회전을 요구하므로, 감광매체의 수명 확보차원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사 롤러의 원주 길이의 1배 내지 1.4배(바람직하게는 1.3배) 정도의 적정한 클리닝 기간을 갖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도 3을 참고하여, 이와 같은 충분한 지간 거리를 갖는 경우와 지간 거리를 갖지 못하는 경우의 기능성 인쇄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기능성 인쇄 중 지간 구간 내에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를 형성하는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가, 클리닝 블레이드(166)의 접합부로 이동되어, 클리닝 블레이드의 윤활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사 닙을 경유하는 토너 띠의 양이 많아야 한다. 즉, 지간 내에 형성되는 토너 띠가 전사 롤러로 이동되는 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토너 띠의 극성 (-) 과 동일한 극성 (-)의 바이어스를 전사 롤러에 인가해야만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 극성을 갖는 토너를 이용하는 경우를 상정하였는바, 전사부(165)는 전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갖고 있던 (+) 극성이 (-) 극성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전사 롤러로 이동되는 토너 띠의 양은 (-) 극성 바이어스의 고압 크기가 클수록 줄어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압 폴링 시간을 고려하여 토너 띠 형성 시점(Timing)을 제어하게 된다.
도 3(a)와 같이 지간 거리가 충분하면 (-) 바이어스가 안정화된 시점에 토너 띠가 전사 납을 경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에 효과적이게 되며, 더불어 상기 토너 띠에 의한 전사 롤러 표면의 오염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
반면에 도 3(b)와 같이 지간 구간이 용지 선/후단 마진 및 고압 라이징/폴링 지연 등의 제반 여건을 고려한 거리 이상을 갖지 않는 경우, 충분한 전압 라이징 및 전압 폴링이 충족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지 공급의 지연이 요구된다.
따라서, 판단부(170)는 현재의 지간 구간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설정된 거리를 갖는지를 판단하고, 현재의 지간 구간이 기설정된 거리를 갖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하도록 용지 이송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인쇄 용지를 화상 형성부에 공급하는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지연시켜, 인쇄 용지의 화상 형성부(160)로의 공급을 지연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인쇄 용지 적재함의 인쇄용지를 용지 이송 경로로 이동시키는 픽업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지연시켜, 화상 형성부(160)로의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픽업 클러치에서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까지 인쇄용지를 이송하는 피드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지연시켜, 화상 형성부(160)로의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인쇄인 지간 구간 내의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를 형성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현상제(또는 토너)는 특정의 주극성이 있으며, 앞선 설명에서는 현상제의 주극성이 (-) 극성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토너 띠를 구성하는 토너 입자의 대부분의 극성은 (-)가 된다. 그러나 현상제 내부에는 (+) 극성을 갖는 토너 입자도 존재하며, 이러한 역극성 (+) 토너 입자가 상당량 존재하는 경우, 전사 롤러의 1회전 주기 이내에 역극성 토너입자와 동일 극성 (+)의 바이어스를 전사 롤러에 인가해 줄 필요가 있다.
도 4에서 토너 띠(A)는 클리닝 블레이드로 이동하는 주극성의 (-) 토너 띠이고, 토너 띠 (B)는 감광매체로 재회수되는 전사 롤러 표면을 기오염시킨 역극성의 (+) 토너 띠이다.
이와 같이 감광매체의 토너 띠가 전사 닙을 통과하는 시점에는 토너 띠의 주극성과 동일한 (-) 극성이 전사부(165)에 인가됨으로써, 토너 띠의 대부분은 전사 롤러를 오염시키지 않고 클리닝 블레이드(166)에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토너 띠 안에 존재하는 역극성 (+) 토너는, 반대 극성을 갖는 전사 롤러의 표면에 붙게 되어 전사 롤러를 오염시키기 된다. 역극성 토너량이 상당히 많은 경우, (-) 바이어스의 크기가 클수록 전사 롤러 표면을 오염시키는 역극성 토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사 롤러 표면에 부착된 상당량의 역극성 토너가 전사 닙을 재경유하는 시점(=토너 띠가 전사 닙을 경유한 시점으로부터 전사 롤러 1회전 시점)에, (+) 토너를 제거할 수 있도록 (+) 극성을 전사부(165)에 인가하여 전사 롤러 표면을 깨끗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시점에 토너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전사부(165)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토너 띠가 전사부(165)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사부(165)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의 전압이 전사부(165)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한 번의 바이어스 전압 변화만을 수행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사부(165)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 및 동일한 극성이 교번적으로 전사부(165)에 인가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a)와 같이 지간 거리가 충분한 경우, 토너 띠(B)가 전사 롤러에서 클리닝할 수 있도록 전사 롤러에 변화된 바이어스 전압 인가가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도 4(b)와 같이 지간 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고압의 라이징 타임 마진이 협소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부(170)는 현재의 지간 구간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설정된 거리를 갖지 않는 지를 판단하고, 현재의 지간 구간이 기설정된 거리를 갖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하도록 용지 이송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은 모노(mono) 엔진에서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컬러 엔진에서도 동일하게 용지반송 타이밍 제어를 통한 최소 지간 거리를 확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컬러 엔진에서의 본 실시 예에 적용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멀티 패스 방식에서의 본 실시 예가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멀티 패스 방식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제1 전사부(251)의 닙에의해서 토너 이미지가 중간전사벨트(ITB, 240) 상에 순차적으로 중첩 전사되며, 중첩 전상된 토너이미지는 제2 전사부(252)의 닙에서 인쇄 용지로 일괄 전사된다.
이때 중간전사벨트 상의 지간 구간에서 형성되는 중간전사벨트 클리닝블레이드 보호 띠는, 토너 잔량이 충분한 하나 이상의 현상기에서 선택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지간 구간에서 형성된다는 점은 모노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멀티 패스 방식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서도, 현재의 지간 구간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설정된 거리를 갖지 않는 지를 판단하고, 현재의 지간 구간이 기설정된 거리를 갖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하도록 용지 이송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탠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본 실시 예가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탠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제1 전사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나, 지간 구간 사이에 보호 띠는 제2 전사부의 닙을 경유하여 제2 전사 롤러 표면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앞서 화상형성장치 시스템과 동일하다.
따라서,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서도, 현재의 지간 구간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설정된 거리를 갖지 않는 지를 판단하고, 현재의 지간 구간이 기설정된 거리를 갖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하도록 용지 이송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보통 인쇄 동작과 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인쇄 과정에서의 화상 형성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통상적인 인쇄 작업인 일반 모드일 때, 비화상 구간에서 노광부 및 현상부는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반면에 기능성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특수 모드일 때, 비화상 구간에서 노광부 및 현상부는 토너 띠를 형성하여야 하는바 전원이 차단되지 않고 동작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 전위를 갖는 토너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 전위를 갖는 토너를 이용하는 시스템에도 본원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도 7에 도시된 극성들은 반대로 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인쇄 데이터가 수신하면(S 810), 화상 형성과 관련된 인쇄 속도를 결정한다(S 820). 구체적으로, 인쇄 용지의 종류(구체적으로, 정작 요구 시간), 인쇄 엔진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인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인쇄 속도에 기초하여 지간 거리 및 지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S 830).
그리고 결정된 인쇄 속도, 지간 거리 및 지간 속도에 따라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840). 이와 같은 인쇄 작업은 통상적인 인쇄 작업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인쇄 과정 중에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S 850). 구체적으로, 신규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농도 보정이 필요한 경우, 감광매체 또는 전사 벨트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토너 배출을 위한 인쇄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지 않은 경우(S 850-N), 다음 인쇄 용지에 대한 인쇄를 계속한다(S 860-Y).
반면에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면,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한 경우, 바로 기능성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S880).
그러나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전사부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최소의 길이, 예를 들어, 전사 롤러의 원주 길이의 1배 내지 1.4배(바람직하게는 1.3배)가 보장되도록 인쇄 용지의 투입을 지연하여(S870), 기능성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S880).
한편, 기능성 인쇄 작업이 수행되면, 다음 페이지에 대한 인쇄 작업을 계속한다(S89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은, 기능성 인쇄가 수행되는 경우, 기능성 인쇄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지간 거리를 갖도록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키는바,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과 같은 화상형성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저장부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결정부 150: 용지 이송부
160: 화상 형성부 170: 판단부
180: 제어부

Claims (18)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일반 인쇄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로 인쇄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이송부; 및
    상기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판단부;
    기능성 인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능성 인쇄가 수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인쇄는 인쇄 용지에 수행되는 인쇄이며, 상기 기능성 인쇄는,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수행되는 인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간 구간에 상기 기능성 인쇄가 불가능하면 상기 인쇄 용지의 공급을 지연시켜 상기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용지 이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인쇄는,
    토너 농도 보정을 위한 토너 띠 인쇄,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 인쇄, 전사 벨트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 기능을 위한 토너 띠 인쇄, 및 열화된 스트레스 토너 배출을 위한 인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이송부는,
    인쇄 용지 적재함의 인쇄 용지를 용지 이송 경로로 이동시키는 픽업 클러치;
    인쇄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 공급하는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 및
    상기 픽업 클러치에서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까지 인쇄 용지를 이송하는 피드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간의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상이 되도록, 상기 픽업 클러치,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 및 상기 피드 클러치 중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길이는,
    전사 롤러의 원주 길이의 1배 내지 1.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감광매체;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하는 노광부;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부; 및
    상기 현상된 현상제를 인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면, 상기 지간 구간 내에 토너 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는 시점에 토너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의 전압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 및 동일한 극성이 교번적으로 상기 전사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 및 상기 현상부는,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지간 구간 내에서 전원이 차단되고,
    기능성 인쇄가 요구되면, 상기 지간 구간 내에 전원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일반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인쇄에 필요한 지간이 확보되도록 인쇄 용지를 지연하여 공급하는 단계; 및
    용지 이송 경로 상에서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반 인쇄는 인쇄 용지에 수행되는 인쇄이며, 상기 기능성 인쇄는, 인쇄 용지들 간의 거리인 지간 구간 내에 수행되는 인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인쇄는,
    토너 농도 보정을 위한 토너 띠 인쇄, 감광매체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를 위한 토너 띠 인쇄, 전사 벨트의 클리닝 블레이드 뒤집힘 방지 기능을 위한 토너 띠 인쇄, 및 열화된 스트레스 토너 배출을 위한 인쇄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용지를 지연하여 공급하는 단계는,
    지간의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상이 되도록, 픽업 클러치,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 및 피드 클러치 중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길이는,
    전사 롤러의 원주 길이의 1배 내지 1.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간 구간 내에 토너 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띠가 전사부를 통과하는 시점에 토너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상기 전사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의 전압이 상기 전사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띠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전사부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의 극성 및 동일한 극성이 교번적으로 상기 전사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KR1020100111151A 2010-11-09 2010-11-0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177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151A KR101772948B1 (ko) 2010-11-09 2010-11-0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13/137,219 US8824004B2 (en) 2010-11-09 2011-07-28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performance of a functional printing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151A KR101772948B1 (ko) 2010-11-09 2010-11-0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739A true KR20120049739A (ko) 2012-05-17
KR101772948B1 KR101772948B1 (ko) 2017-09-01

Family

ID=4601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151A KR101772948B1 (ko) 2010-11-09 2010-11-0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24004B2 (ko)
KR (1) KR101772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7400A1 (en) 2011-11-02 2013-05-10 Jeffrey Aldred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ransparent enclosure for submersible camera
US9479677B2 (en) * 2012-09-05 2016-10-25 Intel Corproation Protocol for communications between platforms and image devices
JP6071497B2 (ja) * 2012-12-04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46956B2 (ja) * 2014-09-30 2019-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395658B2 (en) 2014-12-09 2016-07-1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60599B2 (en) 2015-05-29 2018-08-28 Integrated Illumination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grammable light fixtures
JP6836333B2 (ja) * 2016-04-22 2021-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808A (ja) 1995-02-07 1996-08-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88669B2 (ja) * 1996-03-27 2003-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写機
NL1009374C2 (nl) * 1998-06-11 1999-12-15 Oce Tech Bv Ontwikkeleenheid voor een reproductie-apparaat en reproductie-apparaat voorzien van een dergelijke ontwikkeleenheid.
US6712464B1 (en) * 1999-04-09 2004-03-30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1356556A (ja) * 2000-06-15 2001-12-26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091096A (ja) * 2000-09-13 2002-03-27 Casio Electronics Co Ltd 画像濃度制御装置
JP3953763B2 (ja) * 2001-09-14 2007-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59538B2 (ja) * 2004-03-09 2009-11-04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方法、カラー画像形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60269301A1 (en) 2005-05-31 2006-11-30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ing method
JP2007052211A (ja) * 2005-08-17 2007-03-01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5031451B2 (ja) * 2007-06-18 2012-09-19 株式会社リコー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0333B2 (ja) * 2009-06-10 2014-12-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71829B2 (ja) * 2009-06-24 2013-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79100B2 (ja) * 2009-09-14 2015-03-04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3442A1 (en) 2012-05-10
KR101772948B1 (ko) 2017-09-01
US8824004B2 (en) 201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9739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6237209B2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8273141A (ja) 印刷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65216B2 (ja) 画像形成装置
JP6784011B2 (ja) 画像形成装置
US97468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69326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ページ順番変更プログラム
JP201407782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10858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59438A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5859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485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304823A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09674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206867A (ja) 印刷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43779B2 (ja) 画像形成装置
US107667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ance method
JP5824890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02245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0158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28485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30043A (ja) 印刷システム
JP20160660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6786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740825B2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