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155A -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155A
KR20120047155A KR1020100108870A KR20100108870A KR20120047155A KR 20120047155 A KR20120047155 A KR 20120047155A KR 1020100108870 A KR1020100108870 A KR 1020100108870A KR 20100108870 A KR20100108870 A KR 20100108870A KR 20120047155 A KR20120047155 A KR 2012004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cylinder
fixing
clamp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923B1 (ko
Inventor
안병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풍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풍금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풍금속
Priority to KR102010010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9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로드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상부실린더; 이면에 제1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핀에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의 마운팅브라켓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고정블록; 상단부가 제1상부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고정블록에 힌지링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회전하여 제1고정핀에 삽입지지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일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제1클램프;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실린더; 상면에 제2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핀에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의 마운팅브라켓의 타단부가 삽입지지되는 가이드블록; 후단부가 제2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가이드블록에 힌지링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가 회전하여 제2고정핀에 삽입지지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타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제2클램프; 및 브레이크페달과 접촉 및 간섭으로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 위치를 알려주는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제1 및 제2클램프에 의해 고정하고, 브레이크페달이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상기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면 스톱램프스위치를 이용하여 규격치에 맞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zig apparatus for brake pedal assembly}
본 발명은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페달의 유격 및 풀스트로크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제동장치는 주행중의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대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공기중으로 발산함으로써 제동을 수행한다.
상기한 차량의 제동장치는 크게 주행중에 차량의 감속 및 정지를 위해 사용되는 주 브레이크와 차량을 주차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로 나뉘는데, 상기 주 브레이크는 이용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때 발생하는 답력(踏力)을 각 차륜에 전달하는 기구에 따라, 기계식과 유압식 및 공기식으로 분류되며, 이중 유압식의 브레이크가 제동력이 모든 바퀴에 균등하게 전달되어 마찰손실이 적고 조작력을 적게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는 이용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때 발생하는 답력을 직접 각 바퀴로 전달하는 직접식과, 진공에 의한 부압(負壓) 또는 공기압을 이용해 페달의 답력을 배력(培力)하여 각 바퀴로 전달하는 배력식이 있으며, 이중 배력식의 제동장치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써 큰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어 근래에 들어 그 채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 배력식 유압제동장치는 페달마운팅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운전자의 발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답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페달과, 상기 브레이크페달의 소정위치에 핀을 매개로 체결되는 클레비스와, 상기 클레비스에 연결되어 브레이크페달로부터의 답력을 전달받아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를 통해 전달된 답력을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의 흡입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 또는 진공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압(부압)을 이용해 배력하는 브레이크부스터와, 상기 브레이크부스터에서 배력된 답력을 유압으로 변환하여 각 차륜의 휠실린더로 전달하는 마스터실린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푸시로드를 통해 브레이크부스터에 답력이 전달되고, 브레이크부스터에서 진공압에 의해 답력이 배력되고, 상기 배력된 답력이 마스터실린더에서 유압으로 변환되어 휠실린더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휠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브레이크 조작기구, 예를 들면 마찰패드가 작동하여 휠디스크를 감속 및 정지시킨다.
한편,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을 최대로 밟았을 때 뒤로 후퇴하는 브레이크페달의 위치와 브레이크페달에서 발을 완전히 떼었을 때 앞으로 전진하는 브레이크페달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full stroke)라고 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에서 발을 완전히 뗀 상태에서 마스터실린더를 작동시키지 않을 정도의 약한 힘으로 브레이크페달을 살짝 밟으면 브레이크페달이 뒤로 약간 이동하고, 다시 발을 떼면 브레이크페달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데, 이때 약한 힘에 의해 브레이크페달이 앞뒤로 약간 이동할 수 있는 간격을 유격이라고 한다.
여기서,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를 조립한 후 운전자의 취향과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유격 및 풀스트로크를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브레이크페달의 유격 및 풀스트로크를 수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기존의 브레이크페달의 유격 및 풀스트로크 조절시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를 고정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의 유격 및 풀스트로크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스톤로드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상부실린더;
이면에 제1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핀에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의 마운팅브라켓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고정블록;
상단부가 제1상부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고정블록에 힌지링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회전하여 제1고정핀에 삽입지지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일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제1클램프;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실린더;
상면에 제2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핀에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의 마운팅브라켓의 타단부가 삽입지지되는 가이드블록;
후단부가 제2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가이드블록에 힌지링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가 회전하여 제2고정핀에 삽입지지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타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제2클램프; 및
브레이크페달과 접촉 및 간섭으로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 위치를 알려주는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를 포함하고,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를 조립한 후 마운팅브라켓을 제1 및 제2클램프에 의해 고정하고, 브레이크페달이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상기 로케이터에 접촉하지 않으면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고,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에 장착된 스톱램프스위치를 이용하여 규격치에 맞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가 제1 및 제2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과 로케이터 사이에 갭이 발생하면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고, 브레이크페달이 로케이터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에 맞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를 별도로 측정하지 않고 고정핀에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제1 내지 제4클램프로 고정한 후, 브레이크페달의 페달부재가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와의 접촉 여부, 상기 로케이터에 의해 눌려지는지 여부를 통해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가 정해진 규격에 맞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정해진 규격에 맞지 않는 경우에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를 스톱램프스위치를 이용하여 정해진 규격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2.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를 클램프에 의해 고정한 상태에서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를 이용하여 정해진 규격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
도 8은 도 7에서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가 지그장치에 장착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도 5에서 제1실린더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3면도
도 11은 도 5에서 제2실린더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3면도
도 13은 도 5에서 제3실린더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3면도
도 15는 도 5에서 제4실린더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3면도
도 17은 도 5에서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3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브레이크페달의 풀스트로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를 조립한 후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 및 유격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하우징을 고정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는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회전되는 브레이크페달(11), 진공압에 의해 답력을 배력시키는 부스터(12), 배력된 답력을 유압으로 변환하여 휠실린더에 전달하는 마스터실린더(14),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을 차체에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마운팅브라켓(15)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은 운전자가 직접 발로 밟아 답력이 발생되는 페달부재(16)와, 상기 페달부재(16)가 하단에 고정되는 페달아암(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페달아암(17)의 하단에 페달부재(16)가 부착되고, 페달아암(17)의 상단부가 힌지축(1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운전자가 페달부재(16)를 밟으면 페달부재(16)에서 발생된 답력에 의해 페달아암(17)이 힌지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15)은 좌우측면의 폭이 좁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ㄷ" 단면형상으로 절곡된 판 구조이고, 차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브라켓(15)의 상단부 양측 가장자리부는 부스터(12)의 배면과 볼트로 조립된다.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을 통해 운전자의 답력을 부스터(12)에 전달하기 위해 페달아암(17)의 상단에 클레비스(21)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클레비스(21)는 대체로 "U"자 형상을 가지며, 클레비스(21)의 저면(U자형상에서 막힌쪽)에 부스터(12)의 푸시로드(20)가 너트(13)에 의해 나사체결된다.
상기 부스터(12)는 높이 대비 직경이 큰 원통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의 흡입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 또는 진공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압(부압)을 이용하여 답력을 상승시킨다.
상기 부스터(12)의 배면에는 주름진 형태의 주름부(19)가 설치되고, 주름부(19)의 중심부에 푸시로드(2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20)의 상단부는 클레비스(21)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브레이크페달부재(16)가 눌려지면 페달아암(17)이 힌지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페달아암(17)의 상단부가 부스터(12)쪽으로 클레비스(21)를 누르면서 푸시로드(20)가 부스터(12)의 주름부(19)를 가압한다.
상기 부스터(12)는 브레이크페달(11)로부터 푸시로드(20)를 통해 답력을 전달받아 진공압을 이용하여 배력시킨다.
상기 마스터실린더(14)의 내부에는 오일이 저장되고, 부스터(12)에 의해 배력된 답력을 유압으로 변환한 다음, 각 차륜의 휠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한다.
또한,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페달(11)가 최대로 눌려지는 위치에 멈추게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운팅브라켓(15)의 내부에 스톱퍼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을 원래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브레이크페달아암(17)에 스프링(22)이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22)의 일단부는 마운팅브라켓(15)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스프링(22)의 타단부는 페달아암(17)에 고정되어, 페달부재(16)에서 운전자의 답력이 해제되면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페달아암(17)이 원래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톱램프스위치(23)를 제공한다.
상기 브레이크페달아암(17)의 상단에는 "ㄱ"자 형상의 고정브라켓(24)이 고정되어, 브레이크페달아암(17)과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스톱램프스위치(23)는 스위치본체(25)와, 스위치본체(25)의 저면에서 돌출형성된 체결볼트(26)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15)의 일측에는 스위치고정브라켓(27)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체결볼트(26)가 스위치고정브라켓(27)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너트(28)에 의해 스위치고정브라켓(27)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스톱램프스위치(23)의 체결볼트(26)는 페달아암(17)에 부착된 고정브라켓(24)에 접촉함으로써, 답력 해제시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브레이크페달(11)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램프스위치(23)는 스위치본체(25)를 잡고 체결볼트(26)를 회전조작하여 스위치고정브라켓(27)을 관통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체결볼트(26)에 의해 정지된 고정브라켓(24)의 위치를 조정하여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가 지그장치에 장착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와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50)가 제공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15)의 일단부의 양측면에는 제1절곡부(31)가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31)에 제1고정홀(35)이 각각 한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브라켓(15)의 타단부에는 제2절곡부(32)가 형성되고, 이 제2절곡부(32)에 두개의 제2고정홀(36)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터실린더(14)의 일측에는 실린더고정브라켓(39)이 조립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일측에는 제3절곡부(33)가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제3절곡부(33)의 하단에 제3고정홀(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타측에는 제4절곡부(34)가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4절곡부(34)의 하단부에 제4고정홀(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홀(35,36)은 상대적으로 위쪽에 그리고 마운팅브라켓(15)의 좌우측(지그장치(50) 앞에 서서 작업자가 브레이페달 어셈블리(10)를 바라볼때를 기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및 제4고정홀(37,38)은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그리고 마스터실린더(14)의 우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홀(35~38)은 지그장치(50)의 각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된다.
상기 지그장치(50)는 평판형태의 작업대(51)와, 상기 작업대(51) 위에서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각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대(51)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고, 작업대(51)의 하부는 사각프레임(52)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고, 사각프레임(52)의 각 모서리 저면은 다리부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이때,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는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지그장치(50)를 용이하게 운반 및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클램프 및 실린더의 배치방향에 대한 설명에서 작업자가 작업대(51) 앞에서 서서 작업대(51)를 바라보는 입장에서 작업대(51)의 길이가 긴쪽을 좌우측 길이방향이고, 작업대(51)의 길이가 짧은 쪽을 전후 폭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클램프는 마운팅브라켓(15)의 제1절곡부(31)를 고정하는 제1클램프(53)와, 마운팅브라켓(15)의 제2절곡부(32)를 고정하는 제2클램프(54)와,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3절곡부(33)를 고정하는 제3클램프(55)와,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4절곡부(34)를 고정하는 제4클램프(56)를 포함한다.
첨부한 도 9는 도 5에서 제1실린더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3면도이다.
상기 실린더는 제1클램프(53)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실린더(57)와, 제2클램프(5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실린더(58)와, 제3클램프(55)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3실린더(59)와, 제4클램프(56)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4실린더(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린더(57)는 피스톤로드가 제1클램프(53)와 연결되어 제1클램프(53)를 작동시키는 제1상부실린더(61)와, 상기 제1상부실린더(61)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하부실린더(6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실린더(62)는 T자형 지지플레이트(63)에 의해 수평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63)는 "ㄴ"자형 상부지지프레임(64)의 이면에 상방향으로 세워지게 조립되고, 상기 상부지지프레임(64)은 "ㄷ"자형 하부지지프레임(64)의 상면에 적층결합되며, 상기 하부지지프레임(64)은 작업대(51)의 좌측단 상면에 세워지게 설치된다.
상기 제1하부실린더(62)는 앞쪽 단부가 지지플레이트(63)에 의해 수평하게 고정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서 전후진작동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앞쪽 단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블록(65)과, 상기 고정블록(65)의 양단부를 좌우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바(6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65)의 이면에는 두개의 제1고정핀(69)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핀(69)이 마운팅브라켓(15)의 제1고정홀(35)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블록(65)의 상부에는 제1상부실린더(61)가 수평지지부재(67)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클램프(53)는 T자를 거꾸로 세워놓은 형태의 제1클램프몸체(53a)와, 상기 제1클램프몸체(53a)의 하측 양단부에 고정되어 고정블록(65)의 고정핀을 가압하는 가압부재(53b)로 구성된다.
상기 제1클램프몸체(53a)의 중간부는 힌지링크(68)에 의해 수평지지부재(6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클램프몸체(53a)의 상단부는 제1상부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 단부와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상부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가 작동함에 따라 제1클램프몸체(53a)의 하단에 고정된 가압부재(53b)가 회전하면서 제1고정홀(35)을 통해 고정핀이 삽입된 마운팅브라켓(15)의 제1절곡부(31)를 가압하여 클램핑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실린더(61)는 실질적으로 제1클램프(53)를 작동시켜 마운팅브라켓(15)의 제1절곡부(31)를 클램핑하고, 상기 제1하부실린더(62)는 마운팅브라켓(15)의 길이에 맞게 고정블록(65)의 제1고정핀(69)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서 제2실린더(58)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3면도이다.
상기 제2실린더(58)는 실린더본체와 실린더본체에 전후진가능하게 장착된 피스톤로드로 구성되고, 실린더본체의 상단부가 지지부재(70)에 의해 지지되어 피스톤로드가 실린더본체에서 상하방향으로 작동된다.
상기 지지부재(70)는 지지플레이트(71)의 이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71)는 "ㄴ"자형 지지프레임(72)의 이면에 세워지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프레임(72)은 작업대(51)의 우측단 상면에 세워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71)의 상단에는 제1가이드블록(73)이 장착고정되어 있고, 제1가이드블록(73)의 상면에 2개의 제2고정핀(74)이 나란하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클램프(54)는 중간부가 힌지링크(68)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부재(70)의 상단에 결합되고, 후단부가 제2실린더(58)의 피스톤로드의 단부와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전단부의 양측면에 가압부재(53b)가 고정되어, 제2실린더(58)가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면 제2클램프(54)의 가압부재(53b)가 회전하면서 제2고정홀(36)을 통해 고정핀이 삽입된 마운팅브라켓(15)의 제2절곡부(32)를 눌러 클램핑한다.
첨부한 도 13은 도 5에서 제3실린더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3면도이다.
상기 제3실린더(59)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서 상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피스톤로드로 구성되고, 실린더본체의 상단부가 지지부재(80)의 하단에 지지되어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작동한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지지플레이트(81)의 이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81)는 "ㄴ"자형 지지프레임(82)의 이면에 세워지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82)은 작업대(51)의 상면에 세워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81)의 이면에는 제2가이드블록(83)이 전후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가이드블록(83)의 이면에는 제3고정핀(84)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핀(84)이 제3고정홀(37)을 통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블록(83)은 지지플레이트(81)의 배면 상단에 장착된 수평가이드실린더(85)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클램프(55)는 "ㄴ"자형태로 이루어지고, 제3클램프(55)의 하단부는 제3실린더(59)의 피스톤로드에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제3클램프(55)의 중간부는 지지부재(80)의 상단에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제3클램프(55)의 상단부는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3실린더(59)의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면 제3클램프(55)의 상단부가 제3고정홀(37)을 통해 고정핀이 삽입된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3절곡부(33)를 가압하여 클램핑한다.
첨부한 도 15는 도 5에서 제4실린더(60)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3면도이다.
상기 제4실린더(60)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서 전후진 작동가능하게 장착된 피스톤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본체는 지지부재(90)에 의해 대략 45도 각도로 지지되어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작동한다.
이때, 상기 제4실린더(60)의 실린더본체가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한 것은 제4고정핀(95)이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4고정홀(38)에 삽입되는 방향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에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상기 제4실린더(60)의 배치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90)는 경사형 지지블록(91)의 일측면에 직각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블록(91)은 지지플레이트(92)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92)는 베이스플레이트(93)의 상면에서 엘엠가이드(9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3)는 작업대(5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블록(91)의 상면 중앙에는 제4고정핀(95)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4고정핀(95)은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4고정홀(38)에 삽입된다.
상기 제4클램프(56)는 일단부가 제4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와 힌지핀을 매개로 결합되고, 중간부가 지지부재(90)의 상단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 돌출부가 고정핀의 상부를 누름가능하게 돌출형성되어, 제4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가 경사진 방향 작동하면, 제4클램프(56)의 돌출부가 회전함으로써 제4고정홀(38)을 통해 고정핀이 삽입된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4절곡부(34)를 눌러서 클램핑한다.
도 17은 도 5에서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3면도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토로크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업대(51)의 상면에는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100)가 제공된다.
상기 풀스토로크 조정용 로케이터(100)는 원통형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로케이터(100)는 지지플레이트(101)의 상단에 작업대(51)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장착되고, 로케이터(100)의 일단부에 헤드부가 바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1)는 "ㄴ"자형 지지프레임(102)의 이면에 장착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2)은 작업대(5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작업대(51)의 앞쪽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실린더(57~60)를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핸들이 제공된다.
상기 조작핸들은 제1실린더(57)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조작핸들(103)과, 제2실린더(58)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조작핸들(104)과, 상기 제3실린더(59)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3조작핸들(105)과, 상기 제4실린더(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4조작핸들(10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조작핸들(103,104)은 작업대(51)의 좌측에 수직지지부재(107)의 앞쪽면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제1실린더(57)와 제2실린더(58)가 전후진 작동하고, 제1 및 제2클램프(53,54)가 각각 작동하여 마운팅브라켓(15)의 제1절곡부(31)와 제2절곡부(32)를 클램핑한다.
상기 제3 및 제4조작핸들(105,106)은 작업대(51)의 우측에 수직지지부재(107)의 앞쪽면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제3실린더(59)와 제4실린더(60)가 전후진 작동하고, 제3 및 제4클램프(55,56)가 각각 작동하여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3절곡부(33)와 제4절곡부(34)를 클램핑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주행 중 차량 전방에 장애물 등을 발견하고 차속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킬 경우에 브레이크페달(11)을 밟는다.
상기 운전자가 발로 브레이크페달부재(16)를 밟으면 브레이크페달부재(16)에서 답력이 발생하고, 답력에 의해 페달부재(16)가 눌림 회전되면서 페달아암(17)의 상단부가 힌지축(18)을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전한다.
계속해서, 페달아암(17)의 상단부에 연결된 클레비스(21)가 전진이동하고, 클레비스(21)에 결합된 푸시로드(20)가 부스터(12)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부스터(12)는 푸시로드(20)를 통해 운전자의 답력을 전달받아 배력시키고, 마스터실린더(14)는 배력된 답력을 유압으로 변환하여 각 차륜의 휠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한다.
상기 유압에 의해 브레이크 조작기구(마찰패드)가 작동하면서 휠을 감속 및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는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브레이크페달(11)이 최대로 눌려지는 위치와 상기 답력이 해제된 경우 브레이크페달(11)이 복귀하는 위치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상기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브레이크페달(11)이 눌려질 때 마운팅브라켓(15)에 장착된 스톱퍼(미도시)에 의해 브레이크페달아암(17)이 걸려 정지되고, 상기 답력이 해제될 경우에는 페달아암(17)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된 고정브라켓(24)이 스톱램프스위치(23)의 체결볼트(26) 또는 체결볼트(26)에 체결된 너트(28)에 걸려지면서 페달아암(17)이 정지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는 스톱퍼와 스톱램프스위치(23)에 의해 제한되며, 본 발명에서는 스톱램프스위치(23)의 체결볼트(26)를 회전시켜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가 조립되고 나면,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각부를 지그장치(50)의 클램프에 의해 장착고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된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를 지그장치(50)에 장착하기 위해 조작핸들을 회전조작하여 제1 내지 제4클램프(53~56)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1실린더(57) 중 제1상부실린더(61)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제1상부실린더(61)의 실린더본체에 인입되고, 제1클램프(53)의 상단부가 제1상부실린더(61)에 의해 당겨지며, 제1클램프(53)의 하단부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하부실린더(62)에 고정된 고정블록(65)의 고정핀에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2실린더(58)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제2실린더(58)의 실린더본체에 인입되고, 제2클램프(54)의 후단부가 제2실린더(58)에 의해 당겨지며, 제2클램프(54)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핀에서 상승한다.
상기 제3실린더(59)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제3실린더(59)의 실린더본체에 인입되고, 상기 제3클램프(55)의 하단부가 제3실린더(59)에 의해 당겨지며, 제3클램프(55)의 상단부가 뒤쪽으로 회전하여 지지플레이트(81)의 상단에 고정된 제3고정핀(84)에서 이격된다.
상기 제4실린더(60)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제4실린더(60)의 실린더본체에 인입되고, 상기 제4클램프(56)의 하단부가 제4실린더(60)에 의해 당겨지며, 제4클램프(56)의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블록(91)의 상면에 고정된 제4고정핀(95)에서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4클램프(53~56)가 고정핀에서 분리 및 개방되면, 마운팅브라켓(15)의 제1절곡부(31)는 제1고정홀(35)을 통해, 마운팅브라켓(15)의 제2절곡부(32)는 제2고정홀(36)을 통해,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3절곡부(33)는 제3고정홀(37)을 통해,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제4절곡부(34)는 제4고정홀(38)을 통해 상응하는 고정핀에 각각 끼워 거치한다.
그 다음, 조작핸들을 회전조작하여 제1 내지 제4클램프(53~56)를 닫음으로써 제1 내지 제4절곡부(31~34)를 고정시킨다.
이때, 제1실린더(57) 중 제1상부실린더(61)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제1상부실린더(61)의 실린더본체에 인출되고, 제1클램프(53)의 상단부가 제1상부실린더(61)에 의해 밀려지며, 제1클램프(53)의 하단부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하부실린더(62)의 고정블록(65)의 고정핀에 걸린 제1절곡부(31)를 클램핑한다.
상기 제2실린더(58)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제2실린더(58)의 실린더본체에 인출되고, 제2클램프(54)의 후단부가 제2실린더(58)에 의해 밀려지며, 제2클램프(54)의 전단부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핀에 걸린 제2절곡부(32)를 클램핑한다.
상기 제3실린더(59)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제3실린더(59)의 실린더본체에 인출되고, 상기 제3클램프(55)의 하단부가 제3실린더(59)에 의해 밀려지며, 제3클램프(55)의 상단부가 앞쪽으로 회전하여 지지플레이트(81)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핀에 걸린 제3절곡부(33)를 클램핑한다.
상기 제4실린더(60)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가 제4실린더(60)의 실린더본체에 인출되고, 상기 제4클램프(56)의 하단부가 제4실린더(60)에 의해 밀려지며, 제4클램프(56)의 상단부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블록(91)의 상면에 고정된 제4고정핀(95)에 걸린 제4절곡부(34)를 클램핑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제1 내지 제4절곡부(31~34)가 제1 내지 제4클램프(56)에 의해 고정된 다음에는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정치에 맞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별도의 측정장치로 측정하지 않고, 작업대(51) 위에 설치된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100)를 이용하여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에 맞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가 지그장치(50)에 장착고정되면 작업대(51) 상에 설치된 로케이터(100)는 미리 규격치에 맞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측정장치로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측정하지 않아도 된다.
바꿔말하면, 상기 로케이터(100)는 자(ruler) 역할을 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부재(16)가 로케이터(100)에 의해 눌리지 않고 로케이터(100)에 닿으면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에 맞는 것이다.
만약,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가 장착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부재(16)가 로케이터(100)에 닿지 않으면, 즉 페달부재(16)와 로케이터(100) 사이에 갭이 발생하면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보다 작은 경우이고, 페달부재(16)가 로케이터(100)에 의해 눌리게 되면,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보다 더 큰 경우이다.
이때, 상기 페달부재(16)가 로케이터(100)에 의해 눌린 경우라면 페달아암(17)에 부착된 고정브라켓(24)이 스톱램프스위치(23)의 체결볼트(26) 또는 너트(28)와 떨어질 것이기 때문에, 고정브라켓(24)과 스톱램프스위치(23) 사이의 갭을 통해 페달부재(16)가 로케이터(100)에 의해 눌린 것을 알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확인한 결과, 그 측정값이 규정치보다 큰 경우에는 스위치고정브라켓(27)의 상면에 체결된 너트(28)를 고정한 상태에서 스톱램프스위치(23)의 체결볼트(26)를 일방향(스위치고정브라켓(27)에 잠그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너트(28)를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너트(28)를 관통한 체결볼트(26)의 상단부가 고정브라켓(24)을 밀어올려 페달아암(17)을 누름으로써, 페달부재(16)가 답력의 작용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규정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브페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 측정값이 규정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위치고정브라켓(27)의 상면에 체결된 너트(28)를 고정한 상태에서 스톱램프스위치(23)의 체결볼트(26)를 타방향(스위치고정브라켓(27)에서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너트(28)를 관통한 체결볼트(26)의 상단부가 하강하면서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브라켓(24) 및 페달아암(17)이 페달의 복귀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페달부재(16)가 답력의 반대작용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규정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를 조절한 다음, 브레이크 페달의 유격을 조절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유격은 아주 작은 힘에 의해 브레이크페달(11)을 미세하게(예, 약 5mm 정도) 움직일 수 있는 간격이다.
상기 푸시로드(20)의 상단부는 클레비스(21)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너트(13)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상기 푸시로드(20)를 회전조작하는 경우에 푸시로드(20)를 부스터(12)쪽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의 유격이 육안으로 봤을 때 규정치보다 클 경우 푸시로드(20)를 일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부스터(12)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페달(11)의 유격을 규정치에 맞게 좁힐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브레이크페달(11)의 유격이 규정치보다 작을 경우 푸시로드(20)를 타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부스터(12)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페달(11)의 유격을 규정치에 맞게 넓힐 수 있다.
10 :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 11 : 브레이크페달
12 : 부스터 13 : 너트
14 : 마스터실린더 15 : 마운팅브라켓
16 : 페달부재 17 : 페달아암
18 : 힌지축 19 : 주름부
20 : 푸시로드 21 : 클레비스
22 : 스프링 23 : 스톱램프스위치
24 : 고정브라켓 25 : 스위치본체
26 : 체결볼트 27 : 스위치고정브라켓
28 : 너트 31 : 제1절곡부
32 : 제2절곡부 33 : 제3절곡부
34 : 제4절곡부 35 : 제1고정홀
36 : 제2고정홀 37 : 제3고정홀
38 : 제4고정홀 39 : 실린더고정브라켓
50 : 지그장치 51 : 작업대
52 : 사각프레임 53 : 제1클램프
53a : 제1클램프본체 53b : 가압부재
54 : 제2클램프 55 : 제3클램프
56 : 제4클램프 57 : 제1실린더
58 : 제2실린더 59 : 제3실린더
60 : 제4실린더 61 : 제1상부실린더
62 : 제1하부실린더 63 : 지지플레이트
64 : 지지프레임 65 : 고정블록
66 : 가이드바 67 : 수평지지부재
68 : 힌지링크 69 : 제1고정핀
70 : 지지부재 71 : 지지플레이트
72 : 지지프레임 73 : 제1가이드블록
74 : 제2고정핀 80 : 지지부재
81 : 지지플레이트 82 : 지지프레임
83 : 제2가이드블록 84 : 제3고정핀
85 : 수평가이드실린더 90 : 지지부재
91 : 지지블록 92 : 지지플레이트
93 : 베이스플레이트 94 : 엘엠가이드
95 : 제4고정핀 100 :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
101 : 지지플레이트 102 : 지지프레임
103 : 제1조작핸들 104 : 제2조작핸들
105 : 제3조작핸들 106 : 제4조작핸들
107 : 수직지지부재

Claims (4)

  1. 피스톤로드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상부실린더(61);
    이면에 제1고정핀(69)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핀(69)에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마운팅브라켓(15)의 일단부가 삽입지지되는 고정블록(65);
    상단부가 제1상부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고정블록(65)에 힌지링크(68)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회전하여 제1고정핀(69)에 삽입지지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15)의 일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제1클램프(53);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실린더(58);
    상면에 제2고정핀(74)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핀(74)에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마운팅브라켓(15)의 타단부가 삽입지지되는 가이드블록;
    후단부가 제2실린더(58)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상기 가이드블록에 힌지링크(68)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부가 회전하여 제2고정핀(74)에 삽입지지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15)의 타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제2클램프(54); 및
    브레이크페달(11)과 접촉 및 간섭으로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에 맞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실린더(59);
    이면에 제3고정핀(84)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핀(84)에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일측이 삽입지지되는 제2가이드블록(83);
    하단부가 제3실린더(59)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회전하여 제3고정핀(84)에 삽입지지되는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일측을 눌러 고정하는 제3클램프(5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스톤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4실린더(60);
    상면에 제4고정핀(95)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4고정핀(95)에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의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타측이 삽입지지되는 지지블록(91);
    일단부가 제4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전하여 제4고정핀(95)에 사입지지되는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39)의 타측을 눌러 고정하는 제4클램프(5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스트로크 조정용 로케이터(100)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10)가 제1 및 제2클램프(53,54)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11)과 로케이터(100) 사이에 갭이 발생하면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고, 브레이크페달(11)이 로케이터(100)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11)의 풀스트로크가 규격에 맞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KR1020100108870A 2010-11-03 2010-11-03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KR10123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70A KR101237923B1 (ko) 2010-11-03 2010-11-03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70A KR101237923B1 (ko) 2010-11-03 2010-11-03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155A true KR20120047155A (ko) 2012-05-11
KR101237923B1 KR101237923B1 (ko) 2013-02-28

Family

ID=4626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870A KR101237923B1 (ko) 2010-11-03 2010-11-03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9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3491A (zh) * 2016-06-24 2016-11-16 广州新晖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脚踏板装配机
KR20170033007A (ko) 2015-09-16 2017-03-24 정진규 펜 뒤에 끼워 쓸 수 있는 뚜껑형 수정테이프
CN110270950A (zh) * 2019-07-18 2019-09-24 江苏理工学院 一种电主轴工装夹具
CN111251225A (zh) * 2020-02-25 2020-06-09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身尾门y向尺寸装配定位工具
WO2023171892A1 (ko) * 2022-03-07 2023-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시스템의 자동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4912A (zh) * 2016-11-09 2017-05-10 安徽千禧精密轴承制造有限公司 一种新式轴承夹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908B2 (ja) * 1989-12-27 1998-10-22 マツダ株式会社 治具の製作方法
JPH0420836A (ja) * 1990-05-15 1992-01-24 Mazda Motor Corp 車両のブレーキテスト方法
JPH10235494A (ja) * 1997-02-25 1998-09-08 Mazda Motor Corp クランプ治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007A (ko) 2015-09-16 2017-03-24 정진규 펜 뒤에 끼워 쓸 수 있는 뚜껑형 수정테이프
CN106113491A (zh) * 2016-06-24 2016-11-16 广州新晖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脚踏板装配机
CN110270950A (zh) * 2019-07-18 2019-09-24 江苏理工学院 一种电主轴工装夹具
CN111251225A (zh) * 2020-02-25 2020-06-09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身尾门y向尺寸装配定位工具
WO2023171892A1 (ko) * 2022-03-07 2023-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시스템의 자동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923B1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923B1 (ko)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US6296082B1 (en) Scooter rear wheel brake
KR10123792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
CN112738702A (zh) 测试工装和检测设备
JP5364772B2 (ja) ブレーキ装置
KR101154226B1 (ko)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용 지그 장치
TW201437084A (zh) 具有訂製的運動性質且對寬與窄的輪緣有廣範圍調整性的煞車
KR200482761Y1 (ko) 브레이크 캘리퍼 어셈블리
CN210912385U (zh) 脚制动连杆机构
CN220842647U (zh) 一种脚轮刹车结构及推车
US11970241B2 (en) Brake handle structure for bicycle
KR101446543B1 (ko)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CN212353463U (zh) 脚轮制动装置
JPH035192Y2 (ko)
CN205131228U (zh) 双制动脚刹机构
CN217560854U (zh) 一种快速换型的制动卡钳驻车力测试装置
CN216153567U (zh) 一种控制汽车油门踏脚板的装置
CN216915816U (zh) 一种手自一体的刹车装置
TW201817998A (zh) 汽車煞車之卡鉗結構
CN217969532U (zh) 一种手柄、制动控制器及机车
CN216702873U (zh) 手术台位移刹车装置
JPS589807Y2 (ja) 宙乗機のブレ−キ装置
JP3071624U (ja) キックボードのブレーキ構造
JPH08159179A (ja) 立式リーチフォークリフトの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20010037161A (ko) 차량용 제동장치의 페달과 브레이크부스터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