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363A -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 Google Patents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363A
KR20120044363A KR1020127004022A KR20127004022A KR20120044363A KR 20120044363 A KR20120044363 A KR 20120044363A KR 1020127004022 A KR1020127004022 A KR 1020127004022A KR 20127004022 A KR20127004022 A KR 20127004022A KR 20120044363 A KR20120044363 A KR 20120044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lastic optical
resin
fiber cabl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사쇼
하지메 무네쿠니
히데아키 가이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이-매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이-매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이-매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42Multicore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반복적인 굴곡에 강하고, 또한 굽힘 반경 2㎜ 로 굽혔을 때의 광 손실이 적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제공한다.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7 이상 10000 이하의 코어, 및 그 코어를 둘러싸고 그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보다 굴절률이 낮은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 층의 시스층으로 이루어지는 도부, 및 그 도부를 둘러싸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해부로 이루어지는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 그리고 그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을 둘러싸는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서, 시스층 또는 해층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수지가 쇼어 D 경도 25 이상 55 이하인 수지이고, 피복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굽힘 탄성률이 500MPa 이상 2000MPa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Description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FLEXIBLE PLASTIC OPTICAL FIBER CABLE}
본 발명은, 단거리의 광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개폐하기 위한 힌지 구조부를 갖는 2 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자 기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모바일 컴퓨터에 있어서, 그 힌지 구조부를 통해 광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광섬유는, 석영계 광섬유에 비해, 가요성이 풍부하고, 또한 대구경이며 고 (高) 개구수인 것을 제조함으로써 단면 (端面) 처리나 접속이 용이한 점 등에서, 주로 단거리의 광신호 전송이나 센서와 같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실용화되어 있는 플라스틱 광섬유로는, 코어재로 메타크릴산 메틸을 주체로 한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도가 높은 수지를 사용하고, 시스재로 불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또는 불화 메타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 (素線) 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은, 흠집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시스층의 외측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아미드 등의 피복층을 피복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 플라스틱 광섬유를, 힌지 구조부를 갖는 2 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2 개의 케이스체 간의 신호 접속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의 외경이 0.7㎜ 인 기존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있어서는, 굽힘 반경이 2㎜ 로 ±90°굽힘 시험을 실시한 경우에 10 만회 이내에서 단선된다는 성능상의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굽힘 시험에 대한 내굴곡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의 외경을 작게 함과 함께, 복수의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을 묶어 광량 감소를 보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아이디어에 기초한 시판되는 케이블로는, 외경 0.265㎜ 정도의 단일 코어가 가는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을 4 개 번들로 하여 폴리에틸렌으로 피복하여 케이블로 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가는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을 번들로 하여 묶어도, 접속시에는 피복층을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각각이 1 개 1 개씩 제각기 흩어져 접속하기 어려운 데다가 접속에 의한 광 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80 ? 110℃ 정도의 고온 영역의 환경에 견디는 다 (多) 코어 플라스틱 광섬유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의 코어 수지와,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과 헥사플로로프로펜으로 이루어지는 3 원 공중합체로서 쇼어 D 경도의 값이 30 ? 55 의 범위에 있는 시스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나선 (裸線) 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또, 내열성, 난연성, 내유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서, 코어와 시스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의 외측에 함불소 폴리올레핀 수지를 피복하여 나일론 12 수지를 피복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44295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5048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776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적인 굴곡에 강하고, 또한 굽힘 반경 2㎜ 로 굽혔을 때의 광 손실이 적은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가 상기 과제를 검토한 결과,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으로서 다코어 구조이며 유연한 수지를 시스층 또는 해 (海) 부에 사용한 소선에, 피복층으로서 굽힘 탄성률이 큰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 1 은,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7 개 이상 개 10000 이하의 코어, 및 그 코어를 둘러싸고 그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보다 굴절률이 낮은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 층의 시스층으로 이루어지는 도 (島) 부, 및 그 도부를 둘러싸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해부로 이루어지는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 그리고 그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을 둘러싸는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서, 시스층 또는 해부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수지가 쇼어 D 경도 25 이상 55 이하인 수지로서, 피복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굽힘 탄성률이 500MPa 이상 2000MPa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있어서는,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가 쇼어 D 경도 25 이상 55 이하인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과 헥사플로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해부를 구성하는 수지가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가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해부를 구성하는 수지가 쇼어 D 경도 25 이상 55 이하인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과 헥사플로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피복층이 나일론 12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의 외경이 0.1㎜ 이상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2 는, 케이스체 내에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 기판과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 기판과 디스플레이부를 본 발명 1 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이다.
본 발명 3 은, 케이스체 내에 카메라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갖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카메라부와 데이터 처리 회로 기판을 본 발명 1 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이다.
본 발명 4 는, 폴딩 동작이 가능한 힌지 구조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체와 제 2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그 힌지 구조부에 본 발명 1 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통하여 제 1 케이스체 내의 제 1 모듈과 제 2 케이스체 내의 제 2 모듈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이다.
본 발명 5 는, 회전 동작과 폴딩 동작이 가능한 힌지 구조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체와 제 2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그 힌지 구조부에 본 발명 1 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제 1 케이스체 내의 제 1 모듈과 제 2 케이스체 내의 제 2 모듈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다코어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이기 때문에, 굽힘 반경을 2㎜ 로 굽혔을 때의 광 손실이 적다. 또, 특정한 수지를 시스층 또는 해부에 사용하고, 굽힘 탄성 계수가 특정 범위인 열가소성 수지를 피복층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굴곡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특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폴딩 동작을 하는 힌지 구조부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의 연결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면 중, 1 은 코어, 2 는 시스층, 3 은 도부, 4 는 해부이고, 또한 피복층 (5) 을 형성한 것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6)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어는 투명 수지이다. 그 투명 수지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높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코어의 수는 7 개 이상 10000 개 이하가 바람직하고, 37 개 이상 3000 개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코어가 7 개 이상이면, 굽혔을 때의 광 손실이 적고, 10000 개 이하이면 전체 광량의 손실이 적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란, 모노머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 메틸을 80 질량% 이상 함유하는 투명한 중합체로서, 메타크릴산 메틸의 단독 중합체 이외에,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성분 이상과 메타크릴산 메틸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로는, 멜트플로우 인덱스가, 230℃, 하중 3.8Kg, 오리피스의 직경 2㎜, 길이 8㎜ 의 조건에서, 0.1 ? 45g/10 분의 범위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층은 코어를 둘러싸고, 코어에 사용한 투명 수지보다 굴절률이 낮은 투명 수지로 이루어진다. 코어를 구성하는 수지가 상기 서술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인 경우, 시스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투명한 불소 수지이거나, 또는 투명한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투명한 불소 수지로는, 비닐리덴플로라이드계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비닐리덴플로라이드계 투명 수지란,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헥사플로로아세톤의 2 원 공중합체, 이들 2 원 공중합체의 성분에 추가로 트리플로로에틸렌, 테트라플로로에틸렌, 또는 그 양방을 첨가한 3 원 이상의 공중합체,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헥사플로로프로필렌의 2 원 공중합체, 이들 2 원 공중합체의 성분에 추가로 트리플로로에틸렌, 테트라플로로에틸렌, 또는 그 양방을 첨가한 3 원 이상의 공중합체,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테트라플로로에틸렌의 2 원 공중합체, 및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트리플로로에틸렌의 2 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부는, 시스층으로 주위를 둘러싼 코어, 즉 도부 7 ? 10000 개를 둘러싸고,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을 구성한다. 해부를 구성하는 수지 (이하 「해 (海) 수지」라고도 한다) 로서는, 상기 투명한 불소 수지, 또는 상기 투명한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가 바람직하고, 상기 비닐리덴플로라이드계 투명 수지, 및 그 투명 수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투명한 불소 수지, 및 투명한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는, 멜트플로우 인덱스가 230℃, 하중 3.8Kg, 오리피스의 직경 2㎜, 길이 8㎜ 의 조건 하에서 1 ? 200g/10 분의 범위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스층의 두께는, 1㎛ ? 50㎛ 가 바람직하다. 또, 시스층은 1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소선의 단면에 있어서의 코어 수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은 50% ? 85% 가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시스층과 해부의 조합에 있어서는,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가 쇼어 D 경도 25 이상 55 이하인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과 헥사플로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공중합체이고, 해 수지가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인 경우, 또는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가 비닐리덴플로라이드와 데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이고, 해 수지가 쇼어 D 경도 25 이상 55 이하인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과 헥사플로로프로필렌과 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공중합체인 경우 중 어느 하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복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굽힘 탄성률이 500MPa 이상 2000MPa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굽힘 탄성률은 ASTM D-790 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굽힘 탄성률이 500MPa 보다 작으면 반복적인 굽힘 특성이 열화되고, 2000MPa 보다 크면 작은 굽힘 반경에서 굽히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리덴플로라이드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그 비닐리덴플로라이드계 수지는, 비닐리덴플로라이드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수지로서, 전술한 비닐리덴플로라이드계 투명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불화 비닐리덴의 단독 중합체, 불화 비닐리덴과 클로로트리플로로에틸렌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또, 그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나일론 12, 나일론 6-12 공중합체, 또는 나일론 11 이 적합하다. 이들 중에서도 나일론 12 가 피복층에 사용되는 수지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피복층에 사용하는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왁스 등의 첨가물을 미량 첨가해도 된다. 또한, 피복층의 두께는 50㎛ ? 300㎛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의 외경은, 0.1㎜ 이상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코어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의 외경이 0.1㎜ 보다 작으면 피복층을 피복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고, 0.7㎜ 보다 크면 반복적인 굽힘의 내구성이 작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제조시에, 플라스틱 광섬유 소선 (이하, 단순히 「소선」이라고도 한다) 의 외측에 피복층을 피복하는 데에 있어서는, 크로스 헤드 다이에 의해 열용융시킨 상기 투명 수지를 소선에 피복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는, 휴대 전화, PDA, 노트북 컴퓨터, 휴대 게임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 기판과 디스플레이부를 접속하는 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에 있어서, 카메라부와 데이터 처리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도에 있어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노이즈 방지를 위해서 전선 주위를 실드로 피복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의 광섬유 케이블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고속 신호이어도 실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세선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폴딩 동작이 가능한 힌지 구조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체와 제 2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그 힌지 구조부를 통하여 제 1 케이스체 내의 제 1 모듈과 제 2 케이스체 내의 제 2 모듈을 접속하는 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그 힌지 구조부는, 볼 조인트 등의 구조에 의해 회전 동작과 폴딩 동작이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폴딩 동작을 하는 힌지 구조부를 구비한 휴대 전자 기기의 연결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2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힌지 구조부 (9) 를 갖는 제 1 케이스체 (7) 와 제 2 케이스체 (8) 는, 회전축 (12)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체 (7) 내의 제 1 모듈 (10) 과 제 2 케이스체 (8) 내의 제 2 모듈 (11) 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6) 에 의해 광통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폴더식 휴대 전화의 경우, 제 1 케이스체와 제 1 모듈은 각각 표시부를 갖는 상측 케이스체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고, 제 2 케이스체와 제 2 모듈은 각각 조작부를 갖는 하측 케이스체와 제어 모듈 (프린트 배선판) 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테트라플로로에틸렌 35 질량% 와 헥사플로로프로필렌 19 질량% 와 비닐리덴플로라이드 46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45), 해 수지로서 비닐리덴플로라이드 72 질량% 와 테트라플로로에틸렌 28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59) 를 사용하여, 1 개의 파이버 중의 코어수가 37 인 소선을 제조하였다. 이들을 3 층 동시에 복합 방사하는 다이에서 240℃ 에서 방사하고, 2.0 배로 연신 열처리하여, 소선의 외경 (해경) 500㎛ (단면에서의 코어 수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75%, 시스층의 두께 2㎛) 의 소선을 얻었다.
이어서, 피복층으로서 굽힘 탄성률 1000MPa 의 나일론 12 를 크로스 헤드 다이에 의해 피복 온도 210℃ 에서 상기 소선에 피복하여, 외경이 1.0㎜ 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형성하였다.
먼저,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 굽힘에 의한 광 손실을 측정 하였다.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길이가 3m 가 되도록 절단하고, 굴곡 지점을 중간점으로 하였다.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의 양 단에 커넥터를 설치하여, 일단으로부터 657㎚ 의 적색 LED 광원의 광을 넣고, 타단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모니터하였다. 굽힘 반경 2㎜ 로 90˚굽혔을 때를 굽히지 않았을 때와 비교한 광 손실은 0.1dB 이었다.
다음으로, 굽힘 반경 2㎜, 굽힘 각도 ±90˚, 굴곡 속도 1 회 (사이클)/초, 온도 25℃, 하중 125g 의 조건에서, 반복적으로 굴곡 시험하였다.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10 만회의 상기 반복적인 굴곡 시험 후에도 단선되지 않고, 광 손실에도 변화는 없었다.
[실시예 2]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의 테트라플로로에틸렌 35 질량% 와 헥사플로로프로필렌 28 질량% 와 비닐리덴플로라이드 37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35), 해 수지로서 비닐리덴플로라이드 72 질량% 와 테트라플로로에틸렌 28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59) 를 사용하여, 1 개의 파이버 중의 코어수가 37 인 소선을 제조하였다. 이들을 3 층 동시에 복합 방사하는 다이에서 240℃ 에서 방사하고, 2.0 배로 연신 열처리하여, 소선의 외경 (해경) 400㎛ (단면에서의 코어 수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74%, 시스층의 두께 2㎛) 의 소선을 얻었다.
이어서, 피복층으로서 굽힘 탄성률 1000MPa 의 나일론 12 를 크로스 헤드 다이에 의해 피복 온도 210℃ 에서 상기 소선에 피복하여, 외경이 0.7㎜ 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형성하였다.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굽힘에 의한 광 손실을 측정한 결과, 광 손실은 0.1dB 이하였다. 또, 하중을 80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적인 굴곡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10 만회의 상기 반복적인 굴곡 시험 후에도 단선되지 않고, 광 손실에도 변화는 없었다.
[실시예 3]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테트라플로로에틸렌 35 질량% 와 헥사플로로프로필렌 19 질량% 와 비닐리덴플로라이드 46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45), 해 수지로서 비닐리덴플로라이드 72 질량% 와 테트라플로로에틸렌 28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59) 를 사용하여, 1 개의 파이버 중의 코어수가 37 인 소선을 제조하였다. 이들을 3 층 동시에 복합 방사하는 다이에서 240℃ 에서 방사하고, 2.0 배로 연신 열처리하여, 소선의 외경 (해경) 300㎛ (단면에서의 코어 수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72%, 시스층의 두께 2㎛) 의 소선을 얻었다.
이어서, 피복층으로서 굽힘 탄성률 1000MPa 의 나일론 12 를 크로스 헤드 다이에 의해 피복 온도 210℃ 에서 상기 소선에 피복하여, 외경이 0.7㎜ 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형성하였다.
상기 광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굽힘에 의한 광 손실을 측정한 결과, 광 손실은 0.1dB 이하였다. 또, 하중을 45g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적인 굴곡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10 만회의 상기 반복적인 굴곡 시험 후에도 단선되지 않고, 광 손실에도 변함이 없었다.
[실시예 4]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테트라플로로에틸렌 57 질량% 와 헥사플로로프로필렌 13 질량% 와 비닐리덴플로라이드 30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54), 해 수지로서 비닐리덴플로라이드 72 질량% 와 테트라플로로에틸렌 28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59) 를 사용하여, 1 개의 파이버 중의 코어수가 37 인 소선을 제조하였다. 이들을 3 층 동시에 복합 방사하는 다이에서 240℃ 에서 방사하고, 2.0 배로 연신 열처리하여, 소선의 외경 (해경) 500㎛ (단면에서의 코어 수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75%, 시스층의 두께 2㎛) 의 소선을 얻었다.
이어서, 피복층으로서 굽힘 탄성률 1000MPa 의 나일론 12 를 크로스 헤드 다이에 의해 피복 온도 210℃ 에서 상기 소선에 피복하여, 외경이 1.0㎜ 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형성하였다.
상기 광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굽힘에 의한 광 손실을 측정한 결과, 광 손실은 0.1dB 이하였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적인 굴곡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10 만회의 상기 반복적인 굴곡 시험 후에도 단선되지 않고, 광 손실에도 변함이 없었다.
[실시예 5]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테트라플로로에틸렌 35 질량% 와 헥사플로로프로필렌 19 질량% 와 비닐리덴플로라이드 46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45), 해 수지로서 비닐리덴플로라이드 72 질량% 와 테트라플로로에틸렌 28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59) 를 사용하여, 1 개의 파이버 중의 코어수가 37 인 소선을 제조하였다. 이들을 3 층 동시에 복합 방사하는 다이에서 240℃ 에서 방사하고, 2.0 배로 연신 열처리하여, 소선의 외경 (해경) 500㎛ (단면에서의 코어 수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75%, 시스층의 두께 2㎛) 의 소선을 얻었다.
이어서, 피복층으로서 굽힘 탄성률 1500MPa 의 나일론 12 를 크로스 헤드 다이에 의해 피복 온도 210℃ 에서 상기 소선에 피복하여, 외경이 1.0㎜ 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형성하였다.
상기 광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굽힘에 의한 광 손실을 측정한 결과, 광 손실은 0.1dB 이하였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적인 굴곡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10 만회의 상기 반복적인 굴곡 시험 후에도 단선되지 않고, 광 손실에도 변함이 없었다.
[실시예 6]
코어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테트라플로로에틸렌 35 질량% 와 헥사플로로프로필렌 19 질량% 와 비닐리덴플로라이드 46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45), 해 수지로서 비닐리덴플로라이드 72 질량% 와 테트라플로로에틸렌 28 질량% 의 공중합체 (쇼어 D 경도 59) 를 사용하여, 1 개의 파이버 중의 코어수가 37 인 소선을 제조하였다. 이들을 3 층 동시에 복합 방사하는 다이에서 240℃ 에서 방사하고, 2.0 배로 연신 열처리하여, 소선의 외경 (해경) 500㎛ (단면에서의 코어 수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75%, 시스층의 두께 2㎛) 의 소선을 얻었다.
이어서, 피복층으로서 굽힘 탄성률 750MPa 의 나일론 6-12 공중합체를 크로스 헤드 다이에 의해 피복 온도 210℃ 에서 상기 소선에 피복하여, 외경이 1.0㎜ 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형성하였다.
상기 광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굽힘에 의한 광 손실을 측정한 결과, 광 손실은 0.1dB 이하였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적인 굴곡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10 만회의 상기 반복적인 굴곡 시험 후에도 단선되지 않고, 광 손실에도 변함이 없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과 동일한 소선을 사용하여, 피복층으로서 굽힘 탄성률 30MPa 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크로스 헤드 다이에 의해 피복 온도 140℃ 에서 상기 소선에 피복하여, 외경이 1.0㎜ 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형성하였다.
상기 광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적인 굴곡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3 만회의 상기 반복적인 굴곡 시험 후부터 광파워가 감소되기 시작하여, 5 만회에서 단선되어 도광되지 않게 되었다.
[비교예 2]
시스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쇼어 D 경도 90 의 불화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구성의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을 형성하였다.
상기 광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 굴곡 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은 3 만회의 상기 반복적인 굴곡 시험 후에 단선되어, 도광되지 않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단거리의 광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 특히 휴대 전화, 혹은 모바일 컴퓨터 등 반복적으로 굴곡되는 휴대 전자 기기 용도로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어 2 : 시스층
3 : 도부 4 : 해부
5 : 피복층 6 :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7 : 제 1 케이스체 8 : 제 2 케이스체
9 : 힌지 구조부 10 : 제 1 모듈
11 : 제 2 모듈 12 : 회전축

Claims (1)

  1.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
KR1020127004022A 2007-09-19 2007-09-19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KR20120044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8133 WO2009037742A1 (ja) 2007-09-19 2007-09-19 耐屈曲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669A Division KR20100004980A (ko) 2007-09-19 2007-09-19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363A true KR20120044363A (ko) 2012-05-07

Family

ID=404675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669A KR20100004980A (ko) 2007-09-19 2007-09-19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KR1020127004022A KR20120044363A (ko) 2007-09-19 2007-09-19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669A KR20100004980A (ko) 2007-09-19 2007-09-19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72768B2 (ko)
EP (1) EP2189830A4 (ko)
KR (2) KR20100004980A (ko)
WO (1) WO20090377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2551A (zh) * 2013-09-13 2013-12-25 大连第一互感器有限责任公司 一种在环氧树脂浇注体内置入塑料光缆的方法
US10545303B2 (en) 2017-01-03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cable and optical cable assembly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595A2 (ko) * 2009-01-30 2010-08-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광변조 물체
EP2474847B1 (en) * 2009-08-31 2018-12-19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Optical rotary joint
CN102096147A (zh) * 2010-12-31 2011-06-15 北京交通大学 一种可熔接的对称结构多芯光纤及其制作方法
US8909015B2 (en) * 2012-07-18 2014-12-09 Ls Cable & System Ltd. Composition for high strength loose tube type fiber optic cable with excellent flexibility and impact resistance
JP5707539B2 (ja) * 2012-08-09 2015-04-30 宇部エクシ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ユニット抱合用繊維
JP6460321B2 (ja) * 2013-04-02 2019-01-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及び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458497B2 (ja) * 2013-05-02 2019-01-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センサ及び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巻取用ボビン
US10663666B2 (en) * 2013-12-05 2020-05-26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exible, low profile kink resistant fiber optic splice tension sleeve
US20150341113A1 (en) * 2014-05-20 2015-11-26 The Boeing Company Lighting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emotely located lighting array
CN114252953A (zh) * 2017-08-31 2022-03-29 旭化成株式会社 塑料光纤、塑料光纤线缆、带有连接器的塑料光纤线缆、光通信系统、和塑料光纤传感器
US11515433B2 (en) 2018-01-09 2022-11-29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Semiconducting materials with surrounding radial p-n diodes
JP2020190717A (ja) * 2019-05-17 2020-11-26 東レ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7009A (ja) * 1985-03-22 1986-09-26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ラスチツク光フアイバ
JP3004845B2 (ja) 1993-09-09 2000-01-31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難燃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0248137B1 (ko) * 1994-05-24 2000-03-15 야마모토 카즈모토 광 신호 전송용 다심 플라스틱 광 파이버
JPH10111427A (ja) * 1996-10-08 1998-04-28 Olympus Optical Co Ltd イメージファイバ及びイメージファイバを用いた観察システム
JP3850962B2 (ja) * 1997-09-19 2006-11-29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多芯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裸線、これを用いた素線及びケーブル
JP4002022B2 (ja) * 1997-12-19 2007-10-31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光信号伝送用耐熱多芯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素線及びケーブル
US6453104B1 (en) * 1999-12-28 2002-09-17 Mitsubishi Rayon Co., Ltd. Optical fiber cable and optical fiber cable with plug
US6931190B2 (en) * 2002-02-18 2005-08-16 Fujikura Ltd. Optical fiber unit for air blown fiber installation
JP2003244295A (ja) 2002-02-19 2003-08-29 Nec Saitama Ltd 携帯電話装置
JP2003315643A (ja) * 2002-04-25 2003-11-06 Mitsubishi Rayon Co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敷設方法
JP2004252401A (ja) 2002-12-27 2004-09-09 Mitsubishi Rayon Co Ltd マルチコア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及びマルチコア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
FR2849929B1 (fr) * 2003-01-09 2005-04-15 Sagem Cable a fibres optiques avec gaine de maintien
JP2005332883A (ja) * 2004-05-18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ファイバ内蔵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型無線通信機器
US7272277B2 (en) * 2004-12-23 2007-09-18 Intel Corporation Data exchange architecture using optical links
PT2183631T (pt) * 2007-07-30 2019-02-21 Prysmian Spa Cabo de telecomunicação equipado com fibras óticas tamponadas cerrada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2551A (zh) * 2013-09-13 2013-12-25 大连第一互感器有限责任公司 一种在环氧树脂浇注体内置入塑料光缆的方法
CN103472551B (zh) * 2013-09-13 2015-04-22 大连第一互感器有限责任公司 一种在环氧树脂浇注体内置入塑料光缆的方法
US10545303B2 (en) 2017-01-03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cable and optical cable assembly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7742A1 (ja) 2009-03-26
EP2189830A4 (en) 2012-12-12
EP2189830A1 (en) 2010-05-26
US20100135622A1 (en) 2010-06-03
US8472768B2 (en) 2013-06-25
KR20100004980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4363A (ko) 내굴곡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
US6295401B1 (en) Optical fiber ribbon cables
US6463198B1 (en) Micro composite fiber optic/electrical cables
US6249628B1 (en) Fiber optic cable units
US5615293A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thereof in a structure
CN103492922B (zh) 光纤互连线缆
CA2456576C (en) Fiber optic cable with composite polymer/metallic armor
EP1014387A2 (en) Composite cable units
JP5495932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素線及びケーブル
JP4102448B2 (ja) 光信号伝送用多芯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
US9020313B2 (en) Optical cable
US5412749A (en) Dual fiber optic illumination bundle
JP457563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プラグ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7249111A (ja) 耐屈曲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095328B2 (ja) 光送信モジュール
JP5185893B2 (ja) 多芯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素線、ライトガイド、それを用いた光源装置、及びライトガイドの製造方法
JP3850961B2 (ja) 高na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素線及びケーブル
JP5058916B2 (ja) 電子機器及び光接続方法
JP5047816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テープ
JPH11237513A (ja) 光信号伝送用耐熱多芯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素線及びケーブル
JP200503764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207281357U (zh) 一种新型的特种防水光纤跳线
JPH10307218A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素線及び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7065686A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素線とそ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992352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