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167A - 첩부재 - Google Patents

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167A
KR20120035167A KR1020117031470A KR20117031470A KR20120035167A KR 20120035167 A KR20120035167 A KR 20120035167A KR 1020117031470 A KR1020117031470 A KR 1020117031470A KR 20117031470 A KR20117031470 A KR 20117031470A KR 20120035167 A KR20120035167 A KR 20120035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ctive hydrogen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650B1 (ko
Inventor
에이사쿠 사토
류지 사이토
카즈토시 하라구치
요시코 코이케
토모노리 이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기술 연구소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기술 연구소,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악 기술 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2003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우수한 점착특성과 투습성을 양립시킨 첩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습도가 3,000g/m2?day 이상인 지지체와, 투습도가 5,000g/m2?day 이상인 점착제층을 구비한 첩부재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1) 수평균 분자량 5,000 이상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2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2) 수평균 분자량 1,500~5,000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1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및 (3)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점착제를 얻는데 사용된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평균 관능기수가 2~2.6이면서, 상기 점착제 중의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함유량이 3~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첩부재{PATCH MATERIAL}
본 발명은 주로 피부의 상처 부위에 적용되는 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첩부재, 특히 드레싱재는, 외부로부터의 물,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이 체내에 침입되는 것을 저지함과 동시에, 피부의 곡면이나 움직임을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 및 추종성(followability) 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첩부재의 지지체로는, 피부와 유사한 낮은 탄성률을 갖는 박층의 엘라스토머 필름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피부로부터의 발한(發汗)으로 인한 수분이 첩부재 외부로 증산되도록, 투습성이 우수한 것도 첩부재에 요구된다.
또한, 투습성이 나쁘면, 피부로부터 발생한 수분이 피부와 점착제층 사이에 저류(貯留)되고, 점착력의 저하를 일으켜서 첩부재의 고정기능이 약해지므로 쉽게 박리되고, 또한 물의 저류에 따른 상재균총(resident flora)의 증식 등으로 인해 피부 장애가 쉽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의료용 첩부재에 대해서는, 고투습성을 부여하는 것도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다.
고투습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투습성이 있는 필름 기재에 점착제를 격자형상이나 다이아몬드 등의 형상으로 패턴 코팅한 의료용 첩부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첩부재는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부분이 있음으로 인해 주변부가 쉽게 박리되고, 또한, 점착제가 도포된 부분에 대해서는 투습성이 낮으므로 피부가 불어 주름이 생기고 피부의 세포간의 결합이 약해지고 각질 박리량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고투습성의 첩부재로서, 지지체로 투습성이 있는 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필름 또는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점착제로 실온에서 페이스트 형상의 액체가 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 피부 첩부제도 개발되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3-19020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2005-21849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2의 첩부재에는, 우수한 점착특성을 유지하면서 고투습성을 부여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우수한 점착특성과 고투습성을 양립시킨 첩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투습도가 3,000g/m2?day 이상인 지지체와, 투습도가 5,000g/m2?day 이상인 점착제층을 구비한 첩부재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1) 수평균 분자량 5,000 이상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2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2) 수평균 분자량 1,500~5,000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1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및
(3)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점착제를 얻는데 사용된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평균 관능기수가 2~2.6이면서, 상기 점착제 중의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함유량이 3~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이, 평균 관능기수 2~3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인 상기 첩부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점착제층이 지지체의 1면 전체를 본질적으로 덮은 상태로서, 투습도가 2,000~4,000g/m2?day를 나타내는 상기 첩부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투습도가 5,000g/m2?day 이상인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1) 수평균 분자량 5,000 이상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2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2) 수평균 분자량 1,500~5,000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1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및
(3)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여기서, 상기 점착제를 얻는데 사용된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평균 관능기수가 2~2.6이면서, 상기 점착제 중의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함유량이 3~8중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우수한 점착특성과 고투습성을 양립시킨 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첩부재의 일 예의 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첩부재는, 예를 들면, 상기 소정 투습도의 지지체에 관용의 수법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 투습도의 점착제층을 마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재는 추가로 담지체 및/또는 박리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담지체는, 지지체의 점착제층이 마련된 면의 반대쪽 면에 박리 가능한 상태로 마련된다. 박리체는, 점착제층의 지지체가 마련된 면의 반대쪽 면에 박리 가능한 상태로 마련된다. 즉, 본 발명의 첩부재는, 담지체, 지지체, 점착제층 및 박리체를, 이 순서로 구비할 수도 있다(도 1).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담지체와 지지체 사이, 지지체와 점착제층의 사이 및/또는 점착제층과 박리체 사이에 다른 층을 1층 이상 개재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착성이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 하도제층이나 접착제층, 또는 박리제층을 마련할 수도 있고, 혹은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이들 적층체를 개재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지지체에 패턴 코팅, 예를 들어, 격자 형상이나 다이아몬드 등의 형상으로 코팅되어 마련될 수도 있으나, 피부에 대한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 점착제층이 지지체의 1면 전체를 본질적으로 덮은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첩부재를 피부로부터 박리했을 때 각질 박리량이 감소한다는 점, 피부와 점착제층 사이에 저류된 수분으로 인한 고정성의 저하를 억제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첩부재의 투습도는 2,000~4,000g/m2?day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투습도의 측정은 JIS Z-0208에 준거하도록 한다. 투습도가 높을수록, 지지체 등의 통기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고투습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JIS Z-0208에 준거한 시험에서는 2,000g/m2?day 이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지지체는, 상술한 과제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투습도가 3,000g/m2?day 이상이고, 4,000g/m2?day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의 투습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약 10,000g/m2?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8,000g/m2?day 이하이다. 이 같은 투습도를 갖는 지지체는, 부직포, 편포(編布)에서는 용이하게 달성되지만, 특히 드레싱재로서 유용한 우레탄 수지의 지지체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으며(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H7-231910호 공보), 시판되고 있다.
의료용 테이프에 사용하는 경우의 지체는, 투습도가 3,000g/m2?day 이상, 특히 4,000g/m2?day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인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편포, 필름 등을 들 수 있는데,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 시트 등, 또는 이들 복합소재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적층으로 할 수도 있다. 현 상황에서, 투습성이 낮은 필름에 대해서는, 탄산칼슘 등을 함유한 다공질 필름이나, 천공(perforation) 등에 의해 가공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수팽윤성이 낮은 첩부재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지지체로서는 부직포, 직포 및 편포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체로서, 특히 드레싱재용 지지체로는, 우레탄 수지로 제조하는 지지체, 예를 들어, 필름 등이 적합하고, 유연하고 적당한 강도를 가지며 특히 피부에 대한 첩부재의 고정성을 높이거나 첩부 중의 위화감을 감소시키는 등의 관점으로부터는 수팽윤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를 우레탄 수지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투습도를 갖고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및 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수팽윤성이 낮다는 점에서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이들 소정의 투습도를 갖는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는, BASF사 등을 통해 입수할 수 있다.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를 제조하려면, 예를 들어, 종래부터 이용해 온 원샷(one shot)법 또는 프리폴리머법을 이용하여 중합할 수 있다. 또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벌크 중합을 행해도 되고, 점도 저감을 위해 용액중에서 중합을 행해도 된다. 이들 중합법에 의해 제작되는 필름은, DINTEX FT1080-PE, DINTEX FT1881-PE(Unipolymer Co., Ltd.제), SANPRENE HMP-17A(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 등이 있으며, 각각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지지체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자외선흡수제, 노화방지제, 충진제, 안료, 착색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그 종류에 따라 통상의 양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지지체의 두께는, 첩부재로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10㎛ 이상, 특히 15㎛ 이상이 바람직하며, 또한, 고투습의 지지체를 제조하기 쉬워져서,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10㎛ 이하, 특히 5~10㎛인 경우에는, 지지체로서 너무 얇아 취급성이 곤란해지므로, 담지체의 조정, 예를 들어, 담지체의 강성을 지지체보다 높이거나, 탭편(a piece for detaching) 등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의 담지체는, 지지체를 보강함으로써, 본 발명의 첩부재의 제조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담지체는 첩부시에 첩부 부위가 확인될 만한 시인성을 고려했을 때, 투명 혹은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담지체는,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률을 가지고서, 지지체에 대해 3~20배 정도의 탄성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지체를 지지체에 적층시키는 면에는, 지지체와 적당한 접착성을 유지하여 적층될 필요가 있으므로, 각종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처리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매트 처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담지체가 지지체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담지체의 중앙부 부근에 틈(gap)을 마련해도 되고, 담지체끼리의 틈 간격을 두고서 담지체를 2매로 해도 된다. 또한, 추가로 담지체의 틈 상부에 테이프 또는 필름을 적층하여, 파지편(把指; a piece for holding;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탭부(a part for detaching)를 마련해도 된다. 탭부는 필름, 부직포, 직포, 또는 이들 적층체로 할 수도 있으며, 점착 테이프로 할 수도 있고, 착색도 가능하다. 담지 필름의 단부는 파형 또는 복수의 커팅을 넣은 상태로 할 수도 있고, 지지체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첩부재를 롤 형상으로 한 경우에도, 담지 필름을 벗겨내기 쉽고 취급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하다.
상기 담지체로서 사용되는 것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단체의 담지체 뿐만 아니라, 종이, 부직포, 직포, 편포, 금속박과 적층된 복합체의 담지체인 경우도 무방하지만, 이러한 담지체에는, 시인성이나 비용 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상술한 과제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투습도가 5,000g/m2?day 이상이고, 7,000g/m2?day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투습도의 상한치는 8,000g/m2?day 이하여도 되지만, 투습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며,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의 투습도 조정은 공지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H7-23191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2005-58288호 공보 참조).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중의 에틸렌옥사이드(EO라고도 함) 단위를 많게 함으로써 고투습성을 얻을 수 있지만, EO 단위가 너무 많으면, 수분 흡수시에 팽윤이 발생하여 끈적임이나, 물성치의 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가소제 첨가에 의해 투습성이나 점착성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가소제 첨가에 의해,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의 내부 응집력 부족이 발생하여 점착력의 저하가 발생하거나, 박리시에, 피부 표면에 대한 점착제의 잔류물을 생성시킨다. 또한, 이들 가소제의 화학성분에 의한 자극으로 인해 발진(rash)이나 피부염증의 원인이 된다고도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가소제 등을 첨가하지 않고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중의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EO 단위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우수한 점착특성과 고투습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중의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EO 단위 함유량은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전체에 대하여 3~8중량%이고, 특히 4~6%중량으로 함으로써, 더욱 고투습성이고 우수한 점착특성을 갖는 피부에 우수한 점착제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투습도가 5,000g/m2?day 이상이더라도, 점착층의 두께가 25㎛이고, 지지체의 두께가 20㎛일 때의 우레탄 지지체인 경우에, 후술하는 시험법에 따른 베이클라이트(Bakelite) 점착력이 0.5~2.0N/15mm, 바람직하게는 1.0~1.7N/15mm일 수도 있고, 또한, 후술하는 시험법에 따른 프로브택(Probe tack)이, 0.2~1.0N/5mmφ, 바람직하게는 0.5~1.0N/5mmφ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인체 피부 점착력은, 24시간 첩부에서 0.5~1.5N/15mm, 특히 0.7~1.2N/15mm 부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체 피부 점착력에 대하여, 수치를 「부근」이라고 한 이유는, 개체차 혹은 계절변동에 따른 수치의 불균일(예를 들어, 여름에는 낮은 경향을, 겨울에는 높은 경향을 보임)이 커서, 피험자 10명의 평균값이 상술한 수치 부근이 되는 것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한편, 점착력의 조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관용의 방법을 통해 할 수 있지만, 점착제층이나 지지체의 두께에 따라서도 조정될 수 있다. 즉, 점착제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는 점착력이 높아지고, 얇게 한 경우에는 점착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지지체를 두껍게 한 경우에는 첩부재로서의 강성이 높아져서 점착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지지체를 얇게 한 경우에는 점착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지지체 자체의 강연도(剛軟度)에 영향을 받으므로, 모든 경우에 해당된다고는 할 수 없지만 예를 들면, 부직포나 직포로 한 경우에서, 점착력은 우레탄의 경우와 거의 같은 경향이 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는, 분자구조로서 비교적 긴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게 함으로써 유연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이다.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미만인 경우에는 우레탄 결합농도가 커지고, 점착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평균 분자량 15,000 이하, 특히 12,000 이상이, 얻어지는 점착제의 점착력이 커지거나, 잔류물(첩부재를 피부로부터 박리했을 때의 피부에 점착제가 잔존하는 것)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 양호한 점착특성(예를 들어, 핑거-택(finger-tack) 관능시험에 의한 경도(hardness), 택감(tack sense), 점착력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은 수평균 분자량이 5,000~1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평균 관능기수(F)는, 2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3이 바람직하다. 응집력이 상승하여, 잔류물 등의 문제가 줄어든다는 점에서는, 평균 관능기수 2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집력이 지나치게 강력해지지 않고, 점착력이 상승할 수 있다는 점이나 점착제 제작시의 겔화를 억제한다는 점에서는, 평균 관능기수 3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F=2와 F=3의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혼합비율을 변경함으로써, 논리상 F는 2~3 사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로서,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을 부분 에스테르 변성된 에테르에스테르폴리올 및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알킬렌(예를 들어,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옥사이드디아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폴리에테르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평균 관능기수가 2인 것으로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개환 중합시킨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및 이들을 공중합시킨 폴리에테르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글리콜, 평균 관능기수가 3 이상인 것으로서, 글리세린, 트리메틸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솔비톨, 슈크로스 등 활성수소기를 3 이상 갖는 것을 개시제로 하여,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개환 중합시킨 폴리에틸렌폴리올, 폴리프로필렌폴리올,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 혹은 이들 2 또는 3 이상의 평균 관능기수를 갖는 폴리올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의 SANNIX 시리즈, Mitsui Chemicals Polyurethanes, Inc.의 ACTCOL 시리즈, Asahi Denka Co., Ltd.의 ADEKA 폴리에테르 시리즈, Lyondell사의 Acclaim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단체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수평균 분자량, 평균 관능기수, 모노머 단위의 종류 등에서 상이한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는, 점착력을 떨어뜨리는 일 없이, 높은 투습도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상기 (2)의 수평균 분자량 1,500~5,000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1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 상기 (2)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1,500~5,000, 바람직하게는 2,000~5,000이다.
특히, 수평균 분자량 5,000 이상, 그 중에서도 5,000~12,000인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과, 상기 (2)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고분자량, 예를 들면 2,000~5,000의 상기 (2)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는, 점착력 및 투습도가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는, 가소제를 사용하거나 하지 않고도 투습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가소제의 사용 등에 따라 발생하는 끈적임 등이 억제된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2)의 활성수소 화합물로서,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 및 폴리알킬렌(예를 들어, 에틸렌 등)옥사이드모노아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로서, 예를 들어, 알킬모노올을 개시제로 하여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개환 중합시킨 알킬폴리옥시에틸렌/폴리프로필렌모노올, 알킬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모노올, 또 혹은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2)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단체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수평균 분자량이나 모노머 단위의 종류 등에서 상이한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제조할 때의 상기 (2)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우수한 점착력 및 투습도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상기 (1)의 활성수소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5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활성수소 화합물은, 우수한 점착물성을 얻기 위해서, 상기 (1) 및 (2)의 활성수소 화합물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모노올이나 폴리올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점착특성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모노올이나 폴리올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로서, 아크릴모노올이나 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얻는데 사용된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평균 관능기수란, 상기 (1) 및 (2)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포함시킨, 상기 (3)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 모든 활성수소 화합물에 대하여, 활성수소 화합물마다의 평균 관능기수와 그 첨가 중량 비율과의 곱을 총합하여 구해지는 것이다. 이 평균 관능기수는, 우수한 점착특성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2~2.6이고, 바람직하게는 2.05~2.4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의 구성 분자인 알킬렌옥사이드, 즉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상기 (1) 및 (2)의 활성수소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고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이것을 세그먼트에 가지는 폴리우레탄 또한 안전성이 높으므로, 의료용 고분자 재료로서 실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1) 및 (2)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세그먼트의 친수성, 소수성 균형을 조절할 수 있고, 우레탄 결합에 의한 분자의 유연성(flexibility)이 더해져서, 투명도가 높으며 피부에 대해 밀착성이 좋고, 유연하여 잘 붙고, 저자극성인 점착제가 된다. 따라서, 인체에 첩부하는 용도로 적합하며, 의료용 첩부재용 점착제로서 적합하다. 이 경우, 점착성, 안전성, 재료로서의 안정성, 경제성 등을 모두 충족한 신규 점착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에 이용되는 상기 (3)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lysine)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화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그리고 이들 혼합물 등의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지만, 이들 일부를 우레탄화, 우레트디온화, 또는 카르보디이미드화 등에 의해 변성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로 프리폴리머화된 이소시아네이트프리폴리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활성수소 화합물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NCO/OH 몰비는, 반응에서의 겔화가 억제되어, 점착력이 상승되므로, 0.7/1.00~1.00/1.00이 바람직하다. 잔존 NCO량이 낮다면, 경시 안정성 등이 양호해지므로, 1.05/1.00 이하, 특히 1.00/1.00 이상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또한, 0.7/1.00 이상인 경우, 잔존 활성수소 화합물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에, 흡출(bleed out)의 가능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의 제조는, 예를 들어, 용융상태로 반응시키는 벌크중합(고형반응)법, 용액중합법 등의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용액중합법에서 사용하는 용제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셀로솔브, 카르비톨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등, 이에 더하여 이들 혼합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제조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촉매 및 첨가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촉매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질소함유 화합물,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옥틸산주석, 스테아린산주석 등의 유기금속 화합물 등 일반적인 우레탄화 촉매를 들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치환 벤조트리아졸류 등의 자외선 흡수제, 페놀 유도체 등의 산화 방지제 및 가수분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잔류물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상기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의 제조에 사슬(鎖) 연장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슬 연장제의 사용몰수의 합계는, 계 전체에서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몰수의 합계 이하, 특히 그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사슬 연장제의 사용몰수의 합계가 계 전체에서의 활성수소 화합물의 몰수의 합계 이하, 특히 그 1/2 이하인 경우, 응집력이 강한 우레탄 결합량이 감소하여 기계특성이 악화되지만, 점착력이 상승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병용하여, 점착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병용에 따른 응집력의 향상은, 잔류물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데 유효하다. 또한, 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첨가량을 변경함으로써, 최종적인 점착제의 물성을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이는 경우에는 첨가량을 높이고, 점착제의 택(tack)을 높이는 경우에는 첨가량을 저하시킨다. 경화제로서 이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상기 (3)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과 2관능 이상의 폴리올의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의 폴리올 부가물이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메릭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제의 CORONATE L, CORONATE HL, CORONATE 3041, CORONATE 2030, CORONATE 2031, CORONATE HX, MILLIONATE MTL, MILLIONATE MR 등을 들 수 있다. 그 사용량은, 상기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모두 고형분으로서)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CORONATE L의 경우에는 1~3중량부(모두 고형분으로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첩부재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이외의 점착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계 점착제의 독특한 악취나 피부자극성 등의 염려가 거의 없는 첩부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재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피부에 대한 고정성을 담보하고 지지체 두께와의 균형을 위한 점에서는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점착제층이 너무 두꺼워지면 투습도가 저하된다는 점에서는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를 덮는 용도로서, 첩부재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3~7㎛ 부근으로 하는 경우에는, 첩부재로서의 피부에 대한 추종성, 눈에 띄기 어려움 등의 효과를 첩부재에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체로서 첩부재의 분야에서 관용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이형 처리한 상질지(woodfree paper), 글라신 페이퍼(glassine paper) 등의 종이기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체의 직물 무게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 50~150g/m2 정도가 바람직하고, 60~100g/m2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체의 대략 중심부에, 그 외형을 분단하는 선형상의 박리 라이너 분단부를 1개 또는 2개 이상 마련함으로써, 한쪽의 박리체를 벗겨도, 다른 쪽의 박리체가 남아, 점착면에 닿지 않고 첩부작업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첩부재를 롤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특히 박리체를 벗겨내기 쉬우므로, 취급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하다. 또한, 2매 이상의 박리체를 점착제로부터 쉽게 박리되도록, 박리체를 한 쪽으로 덮어 씌우거나 접도록 배치해도, 취급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첩부재는, 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패드는, 가제나 레이온,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의 부직포 등에서 무게가 2~100g/m2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적합하게는 점착제 도포면의 중앙부에 놓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 나타난 상한치 및 하한치로 나타내는 수치범위는, 그것을 임의로 좁힘으로써 일부 제외할 수도 있는데(또한, 그 범위내의 한 점 또는 몇 점을 제외할 수도 있고), 제외한 후의 범위에서도, 제외하기 전과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부' 및 '%'는, 원칙적으로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1.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의 조제
온도계, 교반기 및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용기에,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테르폴리올 A〔글리세린을 개시제로 한 EO 단위와 프로필렌옥사이드(PO)단위의 공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10,000, F=3, 폴리에테르폴리올 B(EO 단위와 PO 단위의 공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4,000, F=2), 폴리에테르폴리올 C(PO 단위의 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10,000, F=2), 폴리에테르모노올 D(메탄올을 개시제로 한 PO 단위의 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3,500, F=1), 폴리에테르폴리올 E(PO 단위의 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3,000, F=2), 폴리에틸렌글리콜 A(수평균 분자량 11,000, F=2), 아크릴모노올 A(수평균 분자량 1,400, F=1), 폴리에테르폴리올 F(글리세린을 개시제로 한 PO 단위의 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10,000, F=3), 또는 폴리에테르모노올 G(메탄올을 개시제로 한 PO 단위의 중합체, 수평균 분자량 5,000, F=1)의 소정량에, 톨루엔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고형분 50%가 되도록 조정하고, 이어서 우레탄화 촉매로서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를 상기 고형분에 대하여 0.02% 첨가하고, 40℃에서 혼합하고 나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프리폴리머(Mw 600, F=2)를, 몰비가 활성수소 화합물 중의 수산기 100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프리폴리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90가 되도록 첨가하고, 8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에 의해 발열이 일어나 내온이 약 80℃가 되었고, 점도도 시간과 함께 상승하였다. 적당한 때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희석하면서 80℃로 유지하여 7시간 반응시킴으로써, 균일 투명한 액체로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A)~(J)를 얻었다. 최종적인 고형분 및 점도는 표 1에 나타내는 값이 되었다.
이들 폴리우레탄계 점착제(A)~(J)의 구성원료 및 그 비 그리고 특성 값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2. 첩부재의 제작
(실시예 1)
상기에서 조제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A) 100부와 CORONATE L(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제) 2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뒤 탈포하고, 박리처리를 실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박리체, 두께 50㎛) 상에 나이프코터(knife coater)를 사용하여 건조막 두께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어서 120℃에서 3분간 경화건조시켰다. 얻어진 점착제층 위에, 두께 20㎛의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의 필름 기재(지지체, 투습도 3,300g/m2?day)와 두께 40㎛ 폴리에스테르 필름(담지체)의 적층체를, 그 필름 기재면을 향해 붙인 후, 열풍건조기 안에 50℃의 분위기하에서 5일간 보존하여 점착제층의 가교반응을 완결시켜, 첩부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B)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실시예 3)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실시예 4)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Seiko Chemical Co., Ltd.제, LUCKSKIN US2268)을, 편면 실리콘 처리한 7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실리콘 처리한 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지지체(투습도 5,150g/m2?day)로 하였다. 이 지지체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층 상에, 상기에서 조제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A) 100부와 CORONATE L(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제) 2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뒤 탈포한 것을, 나이프코터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해당 점착제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어서 120℃에서 3분간 경화 건조시켰다. 얻어진 점착제층 성에, 따로 편면 실리콘 처리한 7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실리콘 처리한 면을 향해 붙이고, 이어서 재단하여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실시예 5~8)
각 실시예들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단, 건조 후의 점착제 두께가, 실시예 5에서는 10㎛, 실시예 6에서는 15㎛, 실시예 7에서는 20㎛, 실시예 8에서는 2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비교예 1)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c)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2)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D)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3)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4)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F)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5)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H)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6)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I)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7)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A) 대신 상기에서 조제된 (J)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재를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4에서 제작한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에, 아크릴계 점착제(아크릴산2-에틸헥실/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85/11/4중량%의 아세트산에틸 용액)를 건조 후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어서 얻어진 점착제층 상에, 편면 실리콘 처리한 7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실리콘 처리한 면을 향해 붙이고, 이어서 재단하여 첩부재를 작성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시판품 a)
시판중인 의료용 점착 테이프로서 OpSite IV-3000(주식회사 Smith & Nephew제 #4973, Lot0510, Plant No 9285)을 사용하였다.
3. 첩부재의 특성?관능성 평가
상기 얻어진 실시예 1~3 및 비교예 1~7의 첩부재에 대하여 대 베이클라이트 점착력, 프로브택, 유지력, 투습도, 핑거택(관능성)을 아래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시험편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첩부재를 롤 흐름 방향이 장변(MD방향)이 되도록 15mm폭×60mm 길이로 잘라 제작한다.
또한, 첩부재로부터 담지체와 박리체를 박리하여 측정한다.
(1) 베이클라이트(Bakelite)에 대한 점착력
JIS Z-0237에 따라, 25℃의 분위기하에서 베이클라이트 패널(페놀 수지판, Sumitomo Bakelite Company Ltd.제, PL-1102)에 15mm 폭의 시험편을 첩부하고, 2kg의 고무롤을 이용해 300mm/분의 속도로 1 왕복 압착하고, 20분 방치 후, 박리각도 90도 또는 180도, 박리속도 300mm/분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2) 프로브택
ASTM D-2979에 준거하여, 25℃의 분위기하에서 NS 프로브택 테스터(Nichiban Co., Ltd. 제)를 이용하여, 원주형상 접촉자(프로브)의 직경; 5mm, 압압 0.98N/cm2, 접촉시간; 1초, 필링(peeling) 속도; 10mm/sec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3) 유지력
카튼(carton) 테이프로 첩부재를 덮어, JIS Z-0237에 따라, 25℃의 분위기하에서 양면 점착 테이프[산업용](Nichiban Co., Ltd. 제)를 첩부하고, 그 위에 IPPANYUPO FPG 130(Yupo Corporation 제)을 붙인 유리판에 12mm(수평방향)×20mm(수직방향)의 면적이 되도록 첩부하고, 2kg의 고무롤로 300mm/분의 속도하에 1왕복 압착하였다. 20분 방치 후, 첩부재가 수직으로 늘어지도록 매달고, 200g의 하중을 가하여, 30분 후 또는 60분 후의 이동길이(mm)를 측정하였다.
(4) 투습도
일정 시간에 단위면적의 시험편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양으로 투습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40℃의 분위기 하에서 시험편에 의해 격리되는 한쪽 공간의 상대습도를 90%로 하고, 다른 한쪽 공간을 흡습제에 의해 건조 상태로 유지했을 때에, 24시간 동안 시험편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질량(g)을 측정하여 시험재료 1m2 당으로 환산하였다. 측정은 JIS Z-0208에 따라 실시하고, 컵의 내경보다 약 10mm 큰 직경의 원형 시험편을 약 16g의 염화칼슘 흡습제를 넣은 컵에 씌우고, 그 다음, 시험편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무 패킹과 링을 씌어 나사로 고정하였다. 점착제층의 투습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의 투습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그물코(mesh)가 거친 나일론 네트로 측정해야 할 점착제층을 지지시켜 시험편을 제작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 시험편의 총 질량을 측정한 후, 40℃, 90% RH 분위기하의 항온항습조에 넣고, 일정 시간마다 질량의 변화를 측정한 다음, 이하의 식에 따라 투습도를 구하였다:
투습도(g/m2?day)=W×24000/S
[식 중, S는 투습면적(cm2)을, W는 1시간당 질량 증가(g/hr)를 나타낸다.]
(5) 핑거택[관능시험]
첩부재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여, 엄지손가락으로 점착제층을 직접 접촉하여서, 점착제의 관능평가(경도, 택감, 점착력)를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a) 경도
지지체측에 집게손가락이, 점착제측에 엄지손가락이 각각 접하도록 첩부재를 끼워 넣고, 점착제를 향해 엄지손가락을 눌렀다 떼어냈을 때 손가락 끝으로 느끼는 점착제의 경도를 아래의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우수: 엄지손가락을 눌렀을 때, 점착제의 경도가 적당해진다.
양호: 엄지손가락을 눌렀을 때, 점착제가 살짝 딱딱하거나 살짝 부드럽다.
적당: 엄지손가락을 눌렀을 때, 점착제가 딱딱하거나 부드럽다.
b) 택감
상기 경도 평가와 동일한 조작으로, 택감을 아래의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여기서, 「신속히」란, 0.5초 이하의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정도의 박리 시간을 말한다.
우수: 점착제로부터 엄지손가락을 신속히 떼어낼 때에, 적당한 저항을 느낀다.
양호: 점착제로부터 엄지손가락을 신속히 떼어낼 때에, 살짝 강하거나 살짝 약한 저항을 느낀다.
적당: 점착제로부터 엄지손가락을 신속히 떼어낼 때에, 강하거나 약한 저항을 느낀다.
c)점착력
상기 경도의 평가와 동일한 조작으로, 점착력을 아래 기준으로 조사하였다.여기서, 「천천히」란, 1~2초 정도의 시간을 말한다.
우수: 점착제로부터 엄지손가락을 천천히 떼어낼 때에, 적당한 저항을 느낀다.
양호: 점착제로부터 엄지손가락을 천천히 떼어낼 때에, 살짝 강하거나 살짝 약한 저항을 느낀다.
적당: 점착제로부터 엄지손가락을 천천히 떼어낼 때에, 강하거나 약한 저항을 느낀다.
Figure pct00002
4. 첩부재의 실용 평가
실시예 1및 시판품 a에 대하여, (6) 피부 점착력, (7) 부착상태, (8) 박리시의 통증, (9) 점착제의 잔류, (10) 피부 자극지수, (11) 각질 박리량, 및 (12) 피부 재첩부성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한편, 하기 평가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피험자는 성인 10명으로 하고, 시험편은 첩부재를 롤 흐름 방향이 장변(MD 방향)이 되도록 15mm폭×60mm길이로 커트한 것으로 한다. 또한, 첩부재로부터 담지체와 박리체를 벗겨 측정한다.
(6) 피부 점착력
피험자는, 첩부 20분 전에 25℃, 50%RH 조건하의 측정실에 입실하고, 시험편으로부터 박리체를 벗겨 1인 2매씩 팔뚝 내측부에 횡방향으로 첩부하고, 이어서 담지체를 박리하였다. 첩부 6시간 후 및 24시간 후에, 인스트론형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90°의 박리 각도하에 100mm/min의 인장속도로 벗겨내어 피부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7) 부착 상태
(6)에서 첩부 24시간 후의 피부 점착력을 측정하기 전의 시험편의 피부에 대한 부착상태를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점을 매겼다.
5점: 전체면 부착, 4점: 첩부재 주변부의 박리, 3점: 25% 정도 박리, 2점: 50% 정도 박리, 1점: 탈락
(8) 박리시의 통증
첩부 24시간 후, (6)에서 피부 점착력을 측정했을 때에 박리시의 통증에 대해서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점을 매겼다
4점: 거의 없음, 3점: 약간의 통증은 있지만 문제 없음, 2점: 통증이 있으므로 문제 있음, 1점: 격한 통증이 있으므로 문제 있음
(9) 점착제의 잔류
첩부 24시간 후, (6)에서 피부 점착력 시험 후의 피부 상의 점착제의 잔류성(잔류물)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점을 매겼다
4점: 거의 없음, 3점: 약간 있음, 2점: 전체 면에 약간 있음, 1점: 전체 면에 많이 있음
(10) 피부 자극지수
시험편이 첩부된 부분의 피부반응을, 첩부 24시간 후에 시험편을 박리하여, 박리 1시간 후와 24시간 후의 시험편의 첩부 부위의 피부자극을 일본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여기서, 일본 기준이란, 일본 패치테스트 연구그룹(our patch test studying group)의 기준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 ±, +, ++, +++ 및 ++++를 각각 0, 0.5, 1, 2, 3 및 4점으로 수치화하였으며, 아래 식에 따라, 각 피험자의 평가 결과의 평균값을 100배 하여, 피부 자극지수로 하였다.
- : 반응 없음,
± : 가벼운 홍반,
+ : 홍반,
++ : 홍반+부종,
+++ : 홍반+부종+구진,
++++ : 홍반+부종+구진, 장액성 구진, 소수포.
피부 자극지수=(평점 총합/피험자 수)×100
피부 자극지수는, 10 전후가 자극이 적은 것이고, 30 전후가 자극이 강하고, 50 이상이 자극이 큰 것이다.
(11) 각질 박리량
시험편을 피험자에 24시간 첩부한 뒤 박리하여, 이 시험편을 이하의 염색액에 24시간 침지하여 염색하고,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박리한 후 시험편의 점착면으로 이행한 각질량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각화 세포의 박리량을 전체에 차지하는 면적(%)으로 계측하였다. 각질 박리량이 100%인 경우에는, 각화 세포가 점착제 전체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염색액 조성: Gentian Violet 1.0%
Brillian Green 0.5%
증류수 98.5%
(12) 피부 재(再)첩부성
15mm×70mm로 커트한 시험편을 준비하여, 피부의 특정 부위(시험부위)에 첩부하고, 바로 다른 피부 표면에 다시 붙인 경우의 첩부성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점을 매겼다. 첩부재의 점착면에 피부의 각질이 이행하는 양이 많으면, 재첩부성이 저하되고 피부에 대한 물리적인 자극성이 높아진다.
3점: 재첩부 가능, 2점: 점착성이 살짝 저하되지만 가능, 1점: 점착성이 없으므로 불가능
5. 첩부제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정도(Inconspicuity)
온도 25℃, 상대습도 65%의 항온실에서, 건강한 30대~40대 성인 남성 3명의 팔뚝 내측부에, 15mm×50mm의 크기로 재단한 첩부제를 첩부하고, 1시간 후의 외관으로부터 눈에 잘 띄지 않는 정도를 각 첩부제 별로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A: 3명이 눈에 잘 띄지 않음
B: 2명이 눈에 잘 띄지 않음
C: 1명이 눈에 잘 띄지 않음
Figure pct00003
실시예 1의 첩부재의 투습도는 2,556g/m2?day인 한편, 시판품 a의 투습도는 2,572g/m2?day였다. 시판품 a는 점착제를 격자 형상 패턴으로 도포함으로써 높은 투습도를 실현하고 있지만, 실시예 1의 첩부재는 점착제층을 우레탄 수지 필름의 1면 전체를 덮은 상태에서도 매우 우수한 투습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별도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의료용 점착 테이프의 각질 박리량에 대해서 몇 가지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모두 50% 이상이었다. 시판품 a에서는, 점착제 도포 부분에서의 각질 박리량이 80% 확인되었으며, 점착제 도포부분에서는 거의 전체면에 가까운 상태에서 각질이 벗겨졌다. 또한, 점착제의 잔류가 실시예 1의 첩부재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많았으며, 전체 면에 잔류가 확인된 피험자도 있었다. 한편, 실시예 1의 첩부재의 각질 박리량은 25%로 훨씬 적고, 점착제의 잔류도 없어, 피부에 우수한 첩부재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첩부재는, 고투습성 및 적당한 접착력을 가지며, 통증도 없고, 점착제의 잔류도 확인되지 않으며, 피부자극이 적고, 각질 박리량이 적으면서 피부 재첩부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Figure pct00004
표 4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8은, 비교예 8과 비교했을 때, 대용 특성 및 피부 점착력이 동등 이상이면서, 각질 박리량이 1/6 이상이면서, 투습도가 약 1.7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4~8은 실용적인 특성이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첩부재는, 피부 등에 적용되며, 예를 들면 의료용으로서, 예를 들면 의료 위생 분야나 외용 용도 등의 분야에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반창고, 점착포대, 드레싱재, 외과 수술용 서지칼(surgical) 테이프, 경피 흡수제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재는, 사용 태양에 맞추어, 필름형상, 시트형상, 판형상, 띠형상, 테이프형상 등의 임의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롤형상으로 보관되어, 사용시 적당히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일 예로, 소정 시간의 첩부에 견딜 수 있고, 투습성이 우수하며, 그리고 박리시의 통증, 피부자극성 및 각질 박리량도 적은 첩부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
1 담지체
2 지지체
3 점착제층
4 박리체

Claims (12)

  1. 투습도가 3,000g/m2?day 이상인 지지체와, 투습도가 5,000g/m2?day 이상인 점착제층을 구비한 첩부재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1) 수평균 분자량 5,000 이상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2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2) 수평균 분자량 1,500~5,000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1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및
    (3)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점착제를 얻는데 사용된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평균 관능기수가 2~2.6이면서, 상기 점착제 중의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함유량이 3~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1)의 활성수소 화합물이, 평균 관능기수 2~3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지지체의 1면 전체를 본질적으로 덮은 상태로서, 투습도가 2,000~4,000g/m2?day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가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두께가 5~10㎛이고, 점착제층의 두께가 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필름 또는 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점착제층이 마련된 면의 반대쪽 면에, 박리 가능한 상태로 담지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명의 인체 피부 점착력의 평균값이, 24시간 첩부시 0.7~1.2N/15mm 부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드레싱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
  11. 투습도가 5000g/m2?day 이상인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서,
    (1) 수평균 분자량 5,000 이상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2 이상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2) 수평균 분자량 1,500~5,000이면서 평균 관능기수 1인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수소 화합물; 및
    (3)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점착제(여기서, 상기 점착제를 얻는데 사용된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평균 관능기수가 2~2.6이면서, 상기 점착제 중의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함유량이 3~8중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점착제 중의 전체 활성수소 화합물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함유량이 4~6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KR1020117031470A 2009-05-29 2010-05-28 첩부재 KR101715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1349 2009-05-29
JPJP-P-2009-131349 2009-05-29
PCT/JP2010/059123 WO2010137699A1 (ja) 2009-05-29 2010-05-28 貼付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167A true KR20120035167A (ko) 2012-04-13
KR101715650B1 KR101715650B1 (ko) 2017-03-13

Family

ID=4322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470A KR101715650B1 (ko) 2009-05-29 2010-05-28 첩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71808A1 (ko)
EP (1) EP2436380B1 (ko)
JP (1) JP5457446B2 (ko)
KR (1) KR101715650B1 (ko)
CN (1) CN102448449B (ko)
HK (1) HK1169319A1 (ko)
WO (1) WO201013769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60B1 (ko) * 2013-06-18 2015-02-17 주식회사 티앤엘 개선된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KR20190003768A (ko) * 2016-07-29 2019-01-09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190075578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드레싱 필름용 조성물 및 항균 드레싱 필름
KR20190075577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드레싱 필름용 조성물 및 드레싱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78927C (en) 2007-02-19 2011-09-27 Ray Arbesman Precut adhesive body support articles and support system
RU2573104C2 (ru) * 2011-09-01 2016-01-20 Нитто Денко Корпорейшн Лейкопластырь и клейкий препарат
JP2014008288A (ja) * 2012-06-29 2014-01-20 Kiribai Kagaku Kk 発熱具
WO2014148582A1 (ja) * 2013-03-21 2014-09-25 ニチバン株式会社 無溶剤型のポリウレタン系粘着剤
US10486451B1 (en) * 2013-08-26 2019-11-26 Transcendia, Inc. Printable overlaminate for attachment to a substrate
JP6399697B2 (ja) * 2014-12-05 2018-10-03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付被着体
TWD179958S (zh) 2015-04-20 2016-12-01 思拜德泰克有限公司 縫合帶之離型紙
KR101747963B1 (ko) 2015-12-29 2017-06-27 주식회사 라파스 미세구조체 패치의 미세구조체 분리방법
WO2017170935A1 (ja) * 2016-03-31 2017-10-05 ニチバン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
JP6830768B2 (ja) * 2016-06-16 2021-02-17 株式会社Cysay 創傷被覆剤及び創傷被覆用シート
US20190292347A1 (en) * 2016-11-30 2019-09-26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Two-part curable urethane composition
CN110114064A (zh) * 2016-12-28 2019-08-09 久光制药株式会社 贴剂
EP3348592B1 (en) * 2017-01-11 2019-08-14 Hubergroup Italia Polyurethane being suitable as binder for a modular printing ink system
JP6323580B1 (ja) * 2017-02-14 2018-05-1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871666B2 (ja) * 2017-08-02 2021-05-12 株式会社トクヤマ 家畜の乳頭口用当て物、及び家畜の乳頭口用当て物組品
JP6981112B2 (ja) * 2017-09-05 2021-12-15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US10946613B2 (en) * 2017-11-02 2021-03-16 Source One Tactical, Inc. Field expedient textile repair patch
JP2018131629A (ja) * 2018-04-02 2018-08-2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CN108742750B (zh) * 2018-06-21 2020-09-22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组织封堵材料及其制备方法和封堵制品
JPWO2020175220A1 (ja) * 2019-02-28 2021-12-23 Agc株式会社 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粘着剤、貼付材、粘着テープ、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キット
JP7304185B2 (ja) * 2019-03-27 2023-07-06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貼付剤
US20210038759A1 (en) * 2019-08-09 2021-02-11 Delstar Technologies, Inc. Low trauma wound dressings and adhesives for same
JP6744512B1 (ja) * 2020-02-12 2020-08-19 久光製薬株式会社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貼付剤
JP6761553B1 (ja) * 2020-02-12 2020-09-23 久光製薬株式会社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貼付剤
JP6744511B1 (ja) * 2020-02-12 2020-08-19 久光製薬株式会社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貼付剤
JP6866957B1 (ja) * 2020-10-27 2021-04-2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剤、硬化物およ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US11872320B2 (en) 2021-02-25 2024-01-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thod for treating osteoarthritis
WO2023189337A1 (ja) * 2022-03-30 2023-10-05 Agc株式会社 貼付回路及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741A (ja) * 1991-12-27 1993-07-20 Takiron Co Ltd 生体用粘着材
JP2003190205A (ja) 2001-12-28 2003-07-08 Nitto Denko Corp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8496A (ja) 2004-02-03 2005-08-18 Nitto Denko Corp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KR20050084464A (ko) * 2002-12-27 2005-08-26 가부시키가이샤 가헤이 폴리우레탄 발포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적층체 시트의제조 방법
KR20060052075A (ko) * 2004-10-08 2006-05-1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593A (en) * 1972-06-06 1975-03-11 Minnesota Mining & Mfg Stretch-oriented porous films and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2899808B2 (ja) * 1989-03-02 1999-06-02 タキロン株式会社 生体用粘着剤
US5045601A (en) * 1989-06-13 1991-09-03 Biointerface Technologies, In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suitable for medical uses
JP3032871B2 (ja) * 1990-05-02 2000-04-17 タキロン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用粘着剤
NZ248977A (en) * 1992-11-09 1995-06-27 Squibb & Sons In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a polyurethane having excess hydroxyl functionality; medical articles comprising a layer of such adhesive
JPH07231910A (ja) 1994-02-23 1995-09-05 Tac Syst Kk 高透湿性接着性ドレッシング
DE59911016D1 (de) * 1998-07-10 2004-12-09 Sanyo Chemical Ind Ltd Neue polyoxyalkylenpolyo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mers mit ringöffnung
US6133400A (en) * 1999-01-20 2000-10-17 H. B. Fuller Licensing, Inc. High moisture vapor transmission hot melt moisture cure polyurethane adhesive with excellent hydrolysis resistance
JP2002060456A (ja) * 2000-08-21 2002-02-26 Kyoeisha Chem Co Ltd ウレタンオリゴマー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粘着剤用基剤
JP4013618B2 (ja) * 2002-04-02 2007-11-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JP2005058288A (ja) 2003-08-19 2005-03-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医療用粘着テープのための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4943676B2 (ja) * 2005-07-25 2012-05-30 タキロン株式会社 経皮薬貼付用基材
ATE494914T1 (de) * 2006-11-07 2011-01-15 Hartmann Paul Ag Mehrschichtige, absorbierende wundauflage mit einer hydrophilen wundkontaktschicht
US7829116B2 (en) * 2006-11-14 2010-11-09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Adhesive-forming composition and blend of adhesives obtained therefrom
GB0700889D0 (en) * 2007-01-17 2007-02-2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Tobacco, tobacco derivative and/or tobacco substitute product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JP5769929B2 (ja) * 2010-03-17 2015-08-26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樹脂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741A (ja) * 1991-12-27 1993-07-20 Takiron Co Ltd 生体用粘着材
JP2003190205A (ja) 2001-12-28 2003-07-08 Nitto Denko Corp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4464A (ko) * 2002-12-27 2005-08-26 가부시키가이샤 가헤이 폴리우레탄 발포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적층체 시트의제조 방법
JP2005218496A (ja) 2004-02-03 2005-08-18 Nitto Denko Corp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KR20060052075A (ko) * 2004-10-08 2006-05-1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60B1 (ko) * 2013-06-18 2015-02-17 주식회사 티앤엘 개선된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KR20190003768A (ko) * 2016-07-29 2019-01-09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190075578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드레싱 필름용 조성물 및 항균 드레싱 필름
KR20190075577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드레싱 필름용 조성물 및 드레싱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6380A1 (en) 2012-04-04
CN102448449A (zh) 2012-05-09
WO2010137699A1 (ja) 2010-12-02
EP2436380B1 (en) 2014-11-19
EP2436380A4 (en) 2013-12-18
CN102448449B (zh) 2014-05-14
KR101715650B1 (ko) 2017-03-13
US20120071808A1 (en) 2012-03-22
JPWO2010137699A1 (ja) 2012-11-15
HK1169319A1 (en) 2013-01-25
JP5457446B2 (ja)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5167A (ko) 첩부재
CA2108734C (en) Poly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KR100630015B1 (ko) 감압성 점착 시이트
US20050169975A1 (en) Film base material for adhesive skin patch and adhesive skin patch
JP4511341B2 (ja) 熱可塑性シリコーン含有ポリマーを含む剥離被膜
KR102193820B1 (ko) 코팅 및 접착제 응용을 위한 공중합체 조성물
TW201641087A (zh) 貼附材及使用於該貼附材的貼附材用支撐體
JP4766947B2 (ja) 粘着シート
JP6270818B2 (ja) 無溶剤型のポリウレタン系粘着剤
KR20050019013A (ko) 점착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20372345A1 (en) Adhesive primer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CN113574131A (zh) 促进与有机硅粘合剂粘结的粘接层化学品
JP2023142406A (ja)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JP6866957B1 (ja) 皮膚貼付用粘着剤、硬化物およ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JP6607756B2 (ja) 臍ヘルニア治療材固定用貼付材
WO1996026966A1 (en) Water soluble polymer additives for polyurethane-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