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9013A - 점착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9013A
KR20050019013A KR1020040061901A KR20040061901A KR20050019013A KR 20050019013 A KR20050019013 A KR 20050019013A KR 1020040061901 A KR1020040061901 A KR 1020040061901A KR 20040061901 A KR20040061901 A KR 20040061901A KR 20050019013 A KR20050019013 A KR 2005001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film
adhesive
shee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카다가츠히로
사사키야스유키
스즈키세이시
구니야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0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Abstract

점착제층으로부터의 액상 성분의 이행에 의해 지지체가 팽화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양호한 가공성을 갖는 점착 시이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점착 시이트는 담지 필름의 한면에 엘라스토머 필름을 갖고, 상기 엘라스토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이 제공되며,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며, 아크릴계 중합체와 상용(相容)가능하고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상용가능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담지 필름의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에서 3.0% 내지 4.5%이며, 가로 방향에서 1.2% 내지 4.2%이다.

Description

점착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 시이트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의료용 및 위생 재료용으로 사용되는 점착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및 위생 재료용 점착 테이프는, 외부로부터의 물, 세균, 바이러스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으며 피부의 곡면 및 움직임을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점착 테이프의 지지체는 높은 고무 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엘라스토머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용 및 위생 재료용의 점착 테이프, 예컨대 드레싱재 등으로는 피부로부터의 발한에 의한 수분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도록 투습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투습성이 나쁘면 피부로부터 발생한 수분이 피부와 점착제층 사이에 고여 점착제층의 점착력 저하를 야기하여 점착 시이트의 고정 기능이 상실되거나, 또는 피부면에 고인 수분에 의해 피부가 침연(浸軟) 현상을 일으켜 피부 장애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드레싱재 등의 지지체로는 낮은 응력이고 극히 얇은 엘라스토머 필름이 사용되고 대략 50% 신장시의 모듈러스가 10N/㎟ 이하, 두께가 70㎛ 이하의 엘라스토머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응력이면서 극히 얇은 엘라스토머 필름을 이용한 점착 시이트는 제조시의 가공성 및 부착시의 조작성이 뒤떨어진다. 그리하여, 엘라스토머 필름을 보조할 목적으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16258호 공보에는 합성 수지 필름, 종이 등의 담지 필름에 엘라스토머 필름을 임시 부착하여 담지시킨 점착제층/엘라스토머 필름/담지 필름의 3층 구조의 점착 시이트가 제안되어 있다.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접착성 및 투습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대한 화학적 자극이 낮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점착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점착제는 접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를 피부로부터 박리할 때에 아픔을 느끼게 하거나 피부의 각질층 또는 표피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동일 부위에 반복하여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 출혈을 동반한 피부 손상을 일으키기도 하여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에 대한 물리적 자극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4-2302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1994-319793호 공보에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 중에 이 중합체와 상용가능한 액상 성분을 대량으로 함유시키고 가교 처리하여 겔 형상으로 만든 점착제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점착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가 갖는 높은 접착성을 유지하면서 박리시 피부면에 주는 응력을 완화시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부에 대한 물리적 자극이 적고, 각질 등의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경피 흡수형 테이프 제제 및 의료 수술용 테이프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점착제를 상기 담지 필름에 의해 임시 부착 담지시킨 엘라스토머 필름에 적층하여 점착 테이프를 형성하면, 점착제 중의 액상 성분이 엘라스토머 필름 및 담지 필름으로 이행하여 필름이 팽윤하여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점착 시이트의 펀칭 가공 등의 가공성이 극단적으로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제층으로부터의 액상 성분의 이행에 의해 지지체가 팽화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는 양호한 가공성 및 보존성을 갖는 점착 시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담지 필름의 한면에 엘라스토머 필름을 갖고 상기 엘라스토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이 제공된 점착 시이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상용가능하고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상용가능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담지 필름의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에서 3.0% 내지 4.5%이고, 가로 방향에서 1.2% 내지 4.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의 제조방법은, 담지 필름 및 엘라스토머 필름을 적층하고, 박리 시이트상에 별도로 형성한 점착제층을 엘라스토머 필름면에 포개어 부착한 후, 가교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지지체상에 점착제층을 갖는다. 지지체는 엘라스토머 필름의 한쪽 면에 담지 필름을 갖는다. 엘라스토머 필름은 피부와의 추종성이 양호하고, 신체 등의 굴곡 등에 따른 피부의 요철 및 신축 등에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엘라스토머 필름의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아크릴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엘라스토머 필름은 피부로부터의 발한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형성된 필름은 수증기 투과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특히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 폴리에터폴리우레탄, 폴리에터폴리에스터, 폴리에터폴리아마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과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반응시켜 수득된다.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을 구성하는 폴리올 성분은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터폴리올을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터폴리올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뷰틸렌 옥사이드 등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1종 이상 중합시켜 수득할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터폴리올은 분자량이 50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 성분으로는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터폴리올에, 다른 폴리올, 예컨대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또는 뷰테인다이올, 헵테인다이올, 헥세인다이올, 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등의 폴리올을 일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터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을 사용하여 형성된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은 후술하는 카복실산 에스터로부터 수득된 점착제에 비해 흡수성이 낮다.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폴리에터폴리우레탄 중에 극성이 높은 폴리에터 구조가 존재하면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은, 예컨대 탄소수 16 이상의 카복실산 에스터와 같이 소수성이 큰 카복실산 에스터와의 친화성이 저하됨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을 구성하는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종래의 공지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의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의 2량체, 3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의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트릴렌아이소시아네이트, 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수첨 자일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아이소포론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수첨 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뷰테인-1,4-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2,2,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2,4,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세인-1,4-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4,4-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아이소시아네이트메틸)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m-테트라메틸자일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2량체, 3량체 및 폴리페닐메테인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3량체로서는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뷰렛형, 알로파네이트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쇄 연장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쇄 연장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지만,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뷰테인다이올 등의 다이올류, 에틸렌다이아민, 트릴렌다이아민, 아이소포론다이아민 등의 다이아민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통상 필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충전제, 안료, 착색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그 종류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은, 예컨대 원숏(one-shot)법 또는 프레폴리머(prepolymer)법을 이용하여 중합할 수 있다. 또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벌크 중합이라도 점도 저감을 위해 용액중에서 중합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 벌크 중합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응 용기에 폴리올을 투입하고 온도가 50 내지 80℃가 되도록 조정하고 교반하면서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우레탄화시킨다. 추가로 쇄 연장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반응 생성물을 트레이로 이동시켜 100 내지 150℃에서 4시간 이상 유지하고 반응을 완결시킴으로써 괴상의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을 수득할 수 있다.
폴리에터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필름은, 괴상의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을 분쇄하여 펠렛화하고, 이 수지 펠렛을 용융시킨 후 T 다이 압출기나 인플레이션 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시이트 형상으로 압출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시이트 형상으로 압출된 필름은 통상 권취된다. 또는, 캘린더 가공에 의해 2개의 가열된 롤 사이에서 폴리에터우레탄 수지를 압연, 연신하여 시이트화함으로써 폴리에터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필름이 형성되고 필름은 필요에 따라 권취된다. 또한, 수지 펠렛을 N,N-다이메틸아미드(DMF) 등의 용제로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바 코터 등을 이용하여,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박리 라이너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폴리에터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엘라스토머 필름의 두께는 의료용 및 위생 재료용으로 사용되는 점착 시이트인 경우 10 내지 15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70㎛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피부에 접착하거나 박리할 때에 찢어질 수 있어 취급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필름의 두께가 150㎛보다 두꺼우면 수증기 투과성이 충분히 수득되지 않거나 피부로의 추종성이 뒤떨어질 수 있다. 점착 시이트가 드레싱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엘라스토머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6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엘라스토머 필름에 담지 필름을 적층시킨 것을 지지체로서 사용한다. 담지 필름을 적층시킴으로써 점착 시이트의 제조시의 가공성 및 부착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 시이트를 피부에 부착할 때, 점착 시이트의 위에서 피부의 점착 부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담지 필름 및 엘라스토머 필름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지 필름은, 엘라스토머 필름에 높은 탄성률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상온 상습에서의 인장 시험에 의한 50% 신장시의 모듈러스가 2N/㎟ 내지 200N/㎟인 것이 바람직하고, 8N/㎟ 내지 50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담지 필름은,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에서 3.0% 내지 4.5%, 가로 방향에서 1.2% 내지 4.2%이어야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특정 카복실산 에스터를 함유하는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점착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 열가교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가교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 담지 필름은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의 가열 수축률을 가져야 한다.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에서 3.0% 미만, 가로 방향에서 1.2% 미만이면, 점착제 중의 액상 성분이 엘라스토머 필름을 통과하여 담지 필름으로 이행하며, 지지체가 팽윤하여 변형이 생긴다. 또한,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에서 4.5% 보다 크고, 가로 방향에서 4.2% 보다 크면, 담지 필름의 가열 수축률이 필요 이상으로 커져 제조성이 저하된다.
가열 수축률은, 측정 대상물인 담지 필름을 100mm× 100mm의 크기의 정방형으로 절단하고 노기스를 이용하여 세로(또는 가로)의 길이(Ll)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잘라낸 기재(정방형의 담지 필름)을 130℃에서 15분간 가열하고, 가열 후의 세로(또는 가로)의 길이(L2)를 동일하게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가열 수축률을 산출한다.
사용되는 담지 필름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의 폴리아마이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지지체상에 점착제층을 갖고, 구체적으로는 지지체의 상기 엘라스토머 필름상에 점착제층을 갖는다.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 이 아크릴계 중합체와 상용가능한 카복실산 에스터, 및 가교제를 혼합하여 가교 처리함으로써 수득된다.
여기서, 아크릴계 중합체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주성분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이다. (메트)아크릴산에스터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이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 내지 18인 것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메트)아크릴산의 에틸에스터, 프로필에스터, 뷰틸에스터, 펜틸에스터, 헥실에스터, 옥틸에스터, 노닐에스터, 데실에스터, 도데실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 알킬에스터 쇄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터와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뷰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스타이렌 및 스타이렌의 유도체, 아세트산비닐, N-비닐-2-피롤리돈 등의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메트)아크릴산에스터와 공중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가 260°K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260°K 이하로 함으로써, 피부 접착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게 되어, 의료용 및 위생 재료용의 점착 시이트의 점착제층으로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컨대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공지의 중합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과산화물계 화합물 및 아조계 화합물 등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라디칼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에 혼합되는 카복실산 에스터는 탄소수가 16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사용되는 카복실산 에스터는 왁스 상 등의 고상인 것은 제외된다. 고상의 카복실산 에스터를 혼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면 점착제층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중합체, 카복실산 에스터 및 가교제를 혼합하여 일부 이상에서 가교체를 형성함으로써 겔 형상의 점착제층을 수득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점착제층은, 미소 변형 영역에서의 탄성률을 저하시킬 수 있어 피부면의 요철에 대하여 점착제층 표면의 밀착성(젖음성)을 향상시켜 피부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이트를 박리할 때에는, 피부면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박리시 피부면에 대하여 물리적 자극을 거의 주지 않고 피부면의 각질의 박리 등도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피부의 손상도 매우 적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카복실산 에스터로서는, 예컨대 미리스트산 에틸,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아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뷰틸, 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프탈산 다이에틸, 프탈산 다이옥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올레산 옥틸도데실, 다이메틸옥테인산 헥실데실, 2-에틸헥산산 세틸, 2-에틸헥산산 아이소세틸, 2-에틸헥산산 스테아릴, 석신산 다이옥틸 등의 1가 알코올을 이용한 에스터 및, 다이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다이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다이아이소스테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라이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라이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라이라우르산 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라이올레인산 글리세릴, 트라이-2-에틸헥산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등의 2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에스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복실산 에스터 중 1종 이상을 아크릴계 중합체 중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카복실산 에스터를 30 내지 100질량부의 범위 내에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 특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상기 카복실산 에스터를 용해시킨 아크릴계 중합체의 일부에 가교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가교 처리가 실시되고, 예컨대 유기과산화물,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금속염, 금속킬레이트 화합물, 에폭시기 함유 화합물 등을 이용하여 화학적 가교 처리가 실시될 수도 있고, 전리성 방사선을 이용하여 물리적 가교 처리가 실시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가소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또는 흡수성의 수지, 로신계, 터펜계, 석유계 등의 점착 부여제, 각종 연화제, 충전제, 안료 등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특히, 카복실산 에스터로서 불포화 결합을 갖는 것을 이용한 경우에는, 대기 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 열화에 의해서 물성의 변화가 발생하여 목적하는 특성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공지된 산화 방지제를 수지 조성물 중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80㎛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피부에 점착 중 충분한 접착성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80㎛를 초과하면 피부 부착용 점착 시이트에 요구되는 수준의 수증기 투과성이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점착 시이트를 이용하여 반창고 등의 의료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점착 시이트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반창고를 형성하거나, 또는 반창고 부분을 피복하는 피복재, 외과 수술 후의 보호재, 카테터(catheter)의 니들 또는 거즈 등의 커버재 등의 의료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형성하거나, 점착 시이트에 다른 기재 등을 조합시켜 고정용 테이프 및 기구 유지 테이프 등의 의료용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름"은 시이트를 포함하고, "시이트"는 필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접착력을 갖고 박리시에 피착체에 부여하는 물리적 자극을 억제할 수 있어서, 피부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는 점착 시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층으로부터의 액상 성분의 이행에 의해 지지체가 팽화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양호한 가공성 및 보존성을 갖는 점착 시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폴리에터폴리우레탄(다이이치세이카 공업(주) 제품, 「레자민(RESAMIN) P-210」)을 2축 스크류형 혼련기로 가열 용융시킨 후, T 다이식 압출기를 이용하여 두께가 30㎛가 되도록 압출하여 엘라스토머 필름을 형성했다.
담지 필름으로서,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4.5%, 가로 방향 4.2%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SILFAN) MTO」, 두께 4㎛)을 준비하고, 이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위에, 형성한 엘라스토머 필름을 고무 롤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지지체를 수득했다.
다음으로, 아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중량 분률이 65 : 30 : 5인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 100부(고형분 중량)에 대해,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트라이카프르산 글리세릴 60부, 및 추가로 가교제 성분으로서 3작용성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0.075부를 톨루엔 중에서 혼합 용해하여 점착제 용액을 제작했다. 수득된 점착제 용액을 박리 시이트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이 점착제층면을, 형성한 지지체의 엘라스토머 필름면에 포개어 고무 롤을 이용하여 점착했다. 그 후, 60℃의 분위기 하에서 3일간 저장하여 점착제층의 가교 반응을 완결시켜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담지 필름을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3.0%, 가로 방향 1.2%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 MTO」, 두께 40㎛)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담지 필름을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3.4%, 가로 방향 1.3%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 MTO」, 두께 40㎛)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담지 필름을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2.6%, 가로 방향 0.3%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 MTO」, 두께 40㎛)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담지 필름을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2.6%, 가로 방향 0.5%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 MTO」, 두께 40㎛)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담지 필름을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2.8%, 가로 방향 0.5%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 MTO」,두께 40㎛)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담지 필름을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3.0%, 가로 방향 0.7%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 MTO」, 두께 40㎛)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담지 필름을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2.6%, 가로 방향 0.5%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 MTO」, 두께 40㎛)으로 대체하고, 점착제층의 가교 처리를 23℃ 분위기 하에서 3일간 저장함으로써 가교 반응을 완결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담지 필름을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 2.6%, 가로 방향 0.5%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군제(주) 제품, 「실팬 MTO」, 두께 40㎛)으로 대체하고, 점착제층의 가교 처리를 40℃ 분위기 하에서 3일간 저장함으로써 가교 반응을 완결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시이트를 제작했다.
(평가 시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점착 시이트에 관해 하기에 나타낸 평가 시험을 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변형률
가교 반응을 실시하기 전의 점착 시이트로부터, 100㎜×100㎜ 크기의 시료편을 잘라내어 노기스를 이용하여 세로(또는 가로)의 길이(L1)를 측정해 둔다. 다음으로, 이 시료편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에 나타낸 가교 반응을 실시하여 가교 반응 후의 시료편의 세로(또는 가로)의 길이(L2)를 측정한다. 측정한 L1 및 L2를 하기 식에 대입하여 변형률을 구한다.
(2) 이행량
박리 시이트가 부착된 점착 시이트로부터 박리 시이트를 벗기고, 다음으로 이 점착 시이트의 점착제층 면을 알루미늄판에 부착한 상태로, 엘라스토머 필름으로부터 담지 필름을 박리하여 담지 필름만을 수득한다. 이 담지 필름으로부터 30㎜×40㎜ 크기의 시료편을 잘라내고, 이 시료편을 50cc의 아세트산 에틸에 24시간, 상온에서 침지하여 추출했다. 침지 후의 추출액을 캐필러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장치에 주입하여, 크로마토 그램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담지 필름에 이행된 액상 성분량을 정량했다.
(3) 제조성
가교 처리를 실시한 점착 시이트에 관해서, 박리 시이트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부상(浮上) 상태 및 점착 시이트의 변형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를 했다.
평가 기준:
「○」···박리 시이트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부상도, 점착 시이트의 변형도 전혀 관찰되지 않은 경우
「×」···박리 시이트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부상이 관찰되거나, 또는 점착 시이트의 변형이 관찰된 경우
(4) 보존성
점착 시이트를 50℃의 항온기 내에서 1개월 보존한 후, 박리 시이트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부상 상태, 점착 시이트의 변형 상태, 점착 시이트가 컬 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를 했다.
평가 기준:
「○」···박리 시이트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부상도, 점착 시이트의 변형도 전혀 관찰되지 않고, 또한 점착 시이트에 컬이 생기지 않은 경우
「×」···박리 시이트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부상이 관찰되거나, 점착 시이트의 변형이 관찰되거나, 또는 점착 시이트에 컬이 생긴 경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점착 시이트는, 변형률도 작고, 제조성 및 보존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점착제의 액상 성분의 이행량도 작은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4의 점착 시이트는, 변형률이 크고 제조성이 뒤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 내지 6의 점착 시이트는, 점착제의 액상 성분의 이행량이 적고 변형률도 작지만, 보존 중에 점착제의 액상 성분이 이행하여 박리 시이트로부터의 점착제층의 부상, 점착 시이트의 변형, 및 점착 시이트의 컬이 관찰되어 점착 시이트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한 담지 필름을 갖는 지지체를 이용하여 점착 시이트를 제조함으로써 점착 시이트 제조시에 점착제층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액상 성분이 지지체로 이행했다고 해도 지지체의 팽화 변형을 매우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제조성 및 보존성이 우수한 점착 시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피부의 곡면 및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것으로, 예컨대 반창고로서 손가락 등에 점착하여 굴곡 운동을 해도 벗겨짐 등이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18)

  1. 담지 필름의 한면에 엘라스토머 필름을 갖고, 상기 엘라스토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이 제공된 점착 시이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상용가능하고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상용가능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담지 필름의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에서 3.0% 내지 4.5%이고, 가로 방향에서 1.2% 내지 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필름이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 폴리에터폴리우레탄, 폴리에터폴리에스터 및 폴리에터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필름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필름이, 상온 상습에서의 인장 시험에 의한 50% 신장시의 모듈러스가 2N/㎟ 내지 20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가능 성분이 카복실산 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에스터가 탄소수 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용가능 성분을 30질량부 내지 100질량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가 260°K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터폴리우레탄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이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터폴리올을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필름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필름이, 상온 상습에서의 인장 시험에 의한 50% 신장시의 모듈러스가 2N/㎟ 내지 20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가능 성분이 카복실산 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에스터가 탄소수 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용가능 성분을 30질량부 내지 100질량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가 260°K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
  16. 담지 필름 및 엘라스토머 필름을 적층하고, 박리 시이트 상에 별도로 형성한 점착제층을 엘라스토머 필름면에 포개어 부착한 후, 가교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필름의 가열 수축률이 세로 방향에서 3.0% 내지 4.5%, 가로 방향에서 1.2% 내지 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필름이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 폴리에터폴리우레탄, 폴리에터폴리에스터 및 폴리에터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이트의 제조방법.
KR1020040061901A 2003-08-08 2004-08-06 점착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190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0237 2003-08-08
JP2003290237A JP2005058341A (ja) 2003-08-08 2003-08-08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013A true KR20050019013A (ko) 2005-02-28

Family

ID=3355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901A KR20050019013A (ko) 2003-08-08 2004-08-06 점착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31860A1 (ko)
EP (1) EP1505136A3 (ko)
JP (1) JP2005058341A (ko)
KR (1) KR20050019013A (ko)
AU (1) AU2004203535A1 (ko)
CA (1) CA2476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358A (ja) * 2005-05-17 2006-11-30 Nitto Denko Corp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4766947B2 (ja) * 2005-08-05 2011-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US7678959B2 (en) 2007-02-27 2010-03-16 Nitto Denko Corporation Film base material for adhesive skin patch and adhesive skin patch
US20110198024A1 (en) * 2007-04-05 2011-08-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for Applying Heat Transfer Labels
US8282754B2 (en) 2007-04-05 2012-10-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shrink label
MX2009010792A (es) * 2007-04-05 2009-12-14 Avery Dennison Corp Etiqueta contractil sensible a presion.
US8241260B2 (en) 2008-04-21 2012-08-14 Enzysurge Ltd. Liquid streaming devices for treating wounds, method of making such devices, and method of using such devices for treating wounds
US8021505B2 (en) 2008-05-21 2011-09-20 The Wall Doctorx, Llc Drywall joint compound applicator for seam and patch surfacing
US9376600B2 (en) * 2008-06-27 2016-06-28 Liberman Disbributing and Manufacturing Co. Extendable self-supporting material
RU2553960C2 (ru) 2010-01-28 2015-06-20 Авери Деннисон Корпорейшн Ленточная система нанесения этикеток
EP2909270A1 (en) 2012-10-22 2015-08-26 Avery Dennison Corporation Hybrid material of crosslinked microgel particles dispersed in an adhesive
JP5519889B1 (ja) * 2013-03-01 2014-06-11 ピアック株式会社 医療用粘着シートおよび医療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US9308291B2 (en) 2013-03-01 2016-04-12 Piac Co., Ltd.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8771B2 (ja) * 2001-12-28 2006-08-16 日東電工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03535A1 (en) 2005-02-24
EP1505136A3 (en) 2005-10-12
JP2005058341A (ja) 2005-03-10
CA2476256A1 (en) 2005-02-08
EP1505136A2 (en) 2005-02-09
US20050031860A1 (en) 200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015B1 (ko) 감압성 점착 시이트
US20050169975A1 (en) Film base material for adhesive skin patch and adhesive skin patch
CA2108734C (en) Poly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P5457446B2 (ja) 貼付材
US6297421B1 (en) Medica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JP4766947B2 (ja) 粘着シート
KR20050019013A (ko) 점착 시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EP3281996B1 (en) Adhesive skin patch material and roll body of adhesive skin patch material
KR20190039939A (ko) 피부 첩부재 및 피부 첩부재 권회체
JP2005218496A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US6653427B2 (en) Hydrophilic polymer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coatings
CN113316437A (zh) 皮肤粘贴材料
EP1529541B1 (en)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212988B2 (ja)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5110856B2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4353721B2 (ja) 医療用粘着シート
JP2006320358A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4601366B2 (ja) 医療用粘着シート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8495A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2023142406A (ja)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JP2005218494A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