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233A - 현금 자동 거래 장치 - Google Patents

현금 자동 거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233A
KR20120033233A KR1020110081948A KR20110081948A KR20120033233A KR 20120033233 A KR20120033233 A KR 20120033233A KR 1020110081948 A KR1020110081948 A KR 1020110081948A KR 20110081948 A KR20110081948 A KR 20110081948A KR 20120033233 A KR20120033233 A KR 2012003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storage space
withdrawal
impeller
c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055B1 (ko
Inventor
도시후미 미쯔야마
쇼오 미즈노
마사노리 데라오
미노루 가도와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65H29/2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지엽류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정연하게 정렬된 상태로 지엽류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용자의 거래시에 장해가 되는 일 없이, 이물질 등이 혼입되지 않는 입출금구를 갖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용자가 출금 지폐의 취출을 행하는 지폐 방출구와, 상기 지폐 방출구 내에 상기 출금 지폐를 1매씩 수납하는 수납 공간과,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될 때에 상기 출금 지폐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상기 수납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을 갖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출금 지폐를 상기 수납 공간에 집적할 때에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출금 지폐를 방출할 때에는 상기 측벽 내에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현금 자동 거래 장치{AUTOMATIC CASH TRANS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로로부터 송출된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 기구와 이용자가 거래를 행하기 위한 입출금구를 갖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관하여, 설치 장소의 다양화나 메인터넌스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기구의 소형화나 지폐의 수납 가능 매수의 증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소형화나 저비용화를 위한 기구의 간소화도 개발의 중요 항목 중 하나이다.
한편, 세계 각국의 지폐를 취급하는 것도 필요해지고 있다. 세계 각국의 지폐는 화폐종별로 치수가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다. 또한 세계 각국의 지폐 중에는, 유통 횟수가 많아진 결과, 지폐의 접힘이나 구김이 증가하여, 지폐 다발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증대되어 있는 지폐도 존재한다. 그러한 치수가 다른 지폐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증대되어 버린 지폐를, 일괄적으로 정연하게 집적하여 수납하는 것도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관하여 중요한 개발 항목으로 되어 있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중에는, 이용자가 지폐의 거래를 행하는 입출금구라 불리는 유닛이 있다. 이 유닛은, 이용자가 입금한 지폐를 1매씩 현금 자동 거래 장치 내로 보내기 위한 분리 기구와, 출금을 위해 금고 내로부터 1매씩 보내진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집적 기구를 갖고 있다.
그런데, 집적 기구 중에는, 기구의 소형화나 간소화를 위해 취급하는 지폐를 입위(立位) 상태로 집적하는 기구(이하, 입위 집적 기구라 칭함)가 있다.
이 입위 집적 기구는, 지폐의 하단부를 자중에 의해 바닥면에 충돌시킴으로써 정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장점이 있다. 또한 이용자가 취하기 쉬운 자세인 입위 상태로 집적한 지폐를 그대로 이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특히 이용자에의 전달을 행하는 입출금구에서 이용하는 것에 있어서 큰 장점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8586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87752호 공보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입출금구에 있어서의 집적 기구에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과 같은 것이 있다. 이것은, 보내져 온 지폐를 임펠러(이하, 시트 롤러라 함)의 탄성 날개(이하, 시트라 함)에 의해 안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집적 공간을 확보하고, 지폐를 입위 상태로 정연하게 집적하는 것이 가능한 기구이다. 이 시트는 시트 롤러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복수매 장착된 것이며, 시트 롤러의 회전에 의해 지폐의 하방을 침으로써 지폐를 밀어 넣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해외 지폐의 경우, 화폐종별의 지폐 치수가 다종 있으므로, 가장 치수가 작은 지폐의 하방을 시트가 친 경우, 지폐의 하방만이 밀어 넣어져 버려, 지폐의 상부가 집적구의 방향으로 쓰러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집적구를 지폐가 폐색해 버리면 후속 지폐의 진행에 장해를 발생시켜 버린다.
그것에 대해, 특허 문헌 2와 같이, 지폐 상부도 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집적 기구도 존재한다. 이 구성을 도 21에 도시한다. 이 기구에서는, 지폐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의 시트 롤러(51)에 의해 쳐서, 상술한 쓰러짐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식을 입출금구의 집적 기구에 적용하는 경우, 다종 치수(작은 치수의 지폐부터 큰 치수의 지폐까지)를 동시에 취급할 필요가 있으므로, 특히 상단부를 치는 시트 롤러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발명자들의 경험으로는 직경 40㎜ 이상의 롤러가 필요). 그러한 시트 롤러를 사용하는 경우, 독립된 구동원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 등, 기구가 복잡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구조는 상단부를 치는 임펠러(51)를 탑재하기 위해 측벽(13)에 절결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23)이 개방될 때에, 절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버린다. 이러한 상태이면,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 위치를 오해할(절결부에 지폐를 투입해 버리는 등) 가능성이나, 장치 내에 이물질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정연하게 정렬된 상태로 지폐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용자의 거래시에 장해로 되는 일 없이 이물질 등이 혼입되지 않는 입출금구를 갖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이용자가 출금 지폐의 취출을 행하는 지폐 방출구와, 이 지폐 방출구 내에 상기 출금 지폐를 1매씩 수납하는 수납 공간과, 이 수납 공간에 수납될 때에 상기 출금 지폐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상기 수납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을 갖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출금 지폐를 상기 수납 공간에 집적할 때에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출금 지폐를 방출할 때에는 상기 측벽 내에 수납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측벽의 대기 위치가, 상기 출금 지폐를 상기 수납 공간에 집적할 때와, 상기 출금 지폐를 방출할 때에 다르도록 상기 측벽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안내 부재의 돌출과 수납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안내 부재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해 돌출과 수납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지폐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로와, 이 반송로로부터 반입된 지폐를 저판 상에 입위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 공간과, 상기 지폐를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반송로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의 방향으로 압출력을 부여하기 위한 날개를 구비한 임펠러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수납시의 상기 지폐가 상기 임펠러로부터 받는 압출력의 작용 방향으로, 수납 공간 내에 수납 완료된 지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이 지지 부재가 지폐의 수납 중에 지폐를 지지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퇴피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지지 부재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의 퇴피시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임펠러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의 축 방향에 대해,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임펠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입위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높이 방향이며, 대상으로 하는 지폐의 높이보다도 낮고, 또한 대상으로 하는 지폐의 무게 중심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수납 완료된 지폐가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입위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높이 방향이며, 상기 임펠러는 지폐의 하단부를 치는 구성이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정연하게 정렬된 상태로 지폐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용자의 거래시에 장해로 되는 일 없이, 이물질 등이 혼입되지 않는 입출금구를 갖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 내의 집적 기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 내의 집적 기구의 상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폐를 집적하는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폐를 집적하는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폐를 집적하는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폐를 집적하는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폐를 집적하는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폐를 집적한 후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6은 집적 완료 지폐(Ps)와 돌입하는 지폐(P)의 접촉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접촉각 θ와 접촉력 F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
도 8은 집적 기구에 돌입하였을 때의 지폐(P)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집적 리브(11)의 배치를 나타내기 위한 집적 기구의 정면도.
도 10은 지폐(P)가 돌입하였을 때의 집적 기구의 측면도.
도 11은 두께가 증대된 지폐를 취급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입금 거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지폐 분리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지폐 집적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출금 거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회수 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일반적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일반적인 지폐 취급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종래의 지폐 집적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0은 종래의 지폐 집적 기구의 과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1은 지폐 상부를 치는 종래 방식의 지폐 집적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2는 지폐 상부를 치는 종래 방식의 지폐 집적 기구의 과제를 나타내는 개략도.
우선, 본 발명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 사용되는 지폐 집적 기구의 개요에 대해 도 19,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종래의 지폐 집적 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지폐 집적 기구가 갖는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에 있어서, 본 도면은 유로 지폐와 같이 치수가 크게 다른 지폐를 동시에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 지폐 집적 기구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루프 시트 롤러(16)를 집적 가이드(17)와 오버랩하는 회전 위상에서 정지시켜 두고, 수납 공간(1)에 도면 중 A의 방향으로 진입한 지폐(P)를 오버랩부의 접촉 저항력에 의해 정지시키고, 그 후, 정지한 지폐를 루프 시트 롤러(16)에 의해 소정량 회전시킴으로써, 접촉 저항력을 해제하는 동시에 지폐 하단부를 쳐서 이동시켜 집적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지폐를 집적하는 기구이다. 이 기구는, 집적 동작에 필요한, 진입해 온 지폐의 정지와 정지 후의 지폐의 이동을 하나의 루프 시트 롤러(16)에 의해 행하므로, 간소한 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구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프 시트 롤러(16)가 지폐의 하단부를 치는 구성이므로, 집적 완료 지폐(Ps)가 집적구의 방향으로 쓰러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집적 완료 지폐(Ps)가 집적구 방향으로 쓰러져 버리면, 도면 중 A의 방향으로 진입해 오는 후속 지폐의 집적의 장해로 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지만,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일반적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개략과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지폐 취급 기구의 구성을, 도 17,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일반적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장치의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1001)의 상부 정면판(1001a)에는 카드 슬롯(1002a)과 연통되어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 명세표를 인쇄하여 방출하는 카드ㆍ명세표 처리 기구(1002)와, 통장 슬롯(1003a)과 연통되어 이용자의 통장을 처리하는 통장 처리 기구(1003)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01)의 하부에는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취급 기구(1006)를 구비하고 있고,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지폐를 화폐종별로 수납하는 카세트나 화폐종 혼합으로 수납하는 카세트, 또는 식별 불능이라 판정된 지폐나 손상된 지폐 혹은 취출 망각 지폐 등을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 카세트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01)의 중간부에는,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을 위한 고객 조작ㆍ표시부(10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폐의 입출금을 행하는 지폐 입출금구(1004)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기구는 제어부(1007)에 의해 제어된다.
도 18은 지폐 취급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 있어서, 지폐 취급 기구는 입출금구(2001), 일시 보관고(2002), 지폐 감별기(2003), 장전 회수고(2004), 입금고(2005), 지폐 수납 방출고(2006)로 구성된다.
다음에, 지폐 취급 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입금 거래시에는, 입출금구(2001)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지폐 판별부(2003)에 의해 지폐의 화폐종, 진위를 판정하고, 일시 보관고(2002)에 일단 수납한다. 이때, 지폐 판별부(2003)에서 판별할 수 없었던 지폐나, 기울기나 간격이 비정상으로 된 지폐는, 직접 입출금구(2001)로 반송하여, 이용자에게 반환한다. 입금 거래의 성립 후에는, 지폐를 일시 보관고(2002)로부터 반출하고, 다시 지폐 판별부(2003)에서 지폐의 상태를 확인한 후, 해당되는 지폐 수납 방출고(2006)에 수납한다.
출금 거래시에는, 해당되는 지폐 수납 방출고(2006)로부터 출금 지폐를 소정의 매수만큼 조출하고, 지폐 판별부(2003)에서 판별하고, 입출금구(2001)로 반송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지불한다. 출금 동작 중, 사용 불능인 지폐를 발견한 경우는, 그 지폐를 일단 일시 보관고(2002)에 수납하고, 그것을 대신하는 지폐를 새롭게 지폐 수납 방출고(2006)로부터 조출한다. 그 후, 사용 불능인 지폐를 일시 보관고(2002)로부터 반출하고, 사용 불능인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2005)로 반송, 수납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입출금구의 동작에는, 입금 거래시에 이용자가 투입한 복수매의 지폐를 1매씩 기구 중에 도입하는 지폐 분리 동작, 출금 거래시에 지폐 수납 방출고 내로부터 1매씩 보내져 온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집적 동작이 있다.
우선, 분리 동작에 필요한 기구를 설명한다.
분리 동작을 위해, 이용자가 투입한 복수매의 지폐를 최상부로부터 1매씩 조출하기 위한 송출 롤러(32)와, 이 송출 롤러(32)에 대향하여 복수매의 지폐의 조출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 롤러(30)와, 송출 롤러(32)와 저항 롤러(30)로 이루어지는 지폐 조출 부분에 지폐를 송입하기 위한 조출 롤러(31)와, 지폐를 지지하여 조출 롤러(31)에 압박하기 위한 동작판(14)과,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저판(15)이 구비되어 있다. 이 기구에 의해, 입금 공간(3)에 존재하는 지폐를 도면 중 B의 방향을 따라 기구 내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집적 동작에 필요한 기구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 내의 집적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 내의 집적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2, 도 3의 입위 집적 기구에 있어서, 지폐는 도면 중 A의 방향으로 반송되고 수납 공간(1)에 수납된다. 본 집적 기구는, 지폐를 반송하기 위해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 수단에 의해 상시 회전하는 구동 롤러(19)가 있고, 이 구동 롤러(19)와 압접하여 종동 회전하는 종동 롤러(18)를 구비하고 있다. 통과 센서(22)는 반송로(21) 중에 설치되어, 지폐가 반송로(21)를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루프 시트 롤러(16)가 종동 롤러(18)와 동축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루프 시트 롤러(16)와 대향하여 서로 오버랩되어 배치되는 집적 가이드(17)가 설치되어 있다.
지폐는 반송로(21)를 통과하여 집적 가이드(17)에 유도되고, 수납 공간(1) 내에 집적된다. 이 수납 공간(1)은 측벽(13)과 동작판(14)과 상판(2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 공간(1)은 지폐의 집적 매수에 따라서 동작판(14)을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움직이게 함으로써, 공간을 확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납 공간(1)의 저판(15)은 지폐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판(23)은 수납 공간(1)의 상부를 덮는 것이다.
루프 시트 롤러(16)는 탄성 부재(예를 들어, 고무나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루프 시트 롤러(16)는 진입하는 지폐에 브레이크력을 작용시켜 정지시키는 역할을 갖는 루프부(161)와, 지폐를 수납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시트부(16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루프부(161)와 시트부(162)의 조합(이하, 루프 시트라 함)을 120°간격으로 총 3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루프 시트 롤러(16)와 집적 가이드(17)가 오버랩되는 양(도면 중 δ)은 루프 시트 롤러축(16p)에 구비되어 있는 위상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관리되어 있다. 그로 인해, 루프 시트 롤러(16)는 지폐가 집적 기구로 진입할 때에 반드시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한다[이하, 이 루프 시트 롤러(16)의 정지 위치를 집적 대기 위치라 칭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가 집적 기구로 진입할 때마다 120°씩 회전하여 3개의 루프 시트 중 어느 하나가 집적 대기 위치에 존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벽(13)에는, 회전 지지점(11p)을 중심으로 독립된 회전 동작이 가능한 집적 리브(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집적 리브(11)는 집적 중인 지폐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 집적 후에 지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집적 리브(11)는 접촉부(11c)를 통해 퇴피 기구(12)와 접촉하고 있다. 그 퇴피 기구(12)는 압박 스프링(12s)과 연결되어 있고, 도면 중 X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집적 리브(11)는 회전 지지점(11p)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비틀림 스프링(11s)을 갖고 있고, 도면 중 Y방향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의 힘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그 비틀림 스프링(11s)의 힘에 의해, 집적 리브(11)는 접촉부(11c)를 통해 퇴피 기구에 압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집적 리브(11)는 퇴피 기구(12)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퇴피 기구(12)가 도면 중 X방향으로 움직이는 것과 동기하여, 집적 리브(11)는 도면 중 Y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도 5를 사용하여 상기 구성에 의해 복수의 지폐가 연속으로 집적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집적되는 지폐를 진입하는 순으로 P1, P2, P3 …으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폐를 소정 매수(여기서는 N매로 함) 집적하는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실시예에 의해 지폐를 소정 매수(N매) 집적한 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루프 시트 롤러(16)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집적 대기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여기서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3개의 루프 시트 중, 초기 상태에서 집적 가이드(17)와 오버랩되어 있는 것을 루프 시트 a로 하고, 이 루프 시트 a를 기준으로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루프 시트 b, 루프 시트 c로 한다.
우선, 도 4a와 같이, 첫 번째 지폐(P1)가 반송로(21)를 통해, 집적 기구 내로 진입한다. 그 후, 도 4b와 같이, 구동 롤러(19)의 반송력에 의해, 첫 번째 지폐(P1)가, 루프 시트 a의 루프부(161a)를 휘게 함으로써 루프부(161a)와 집적 가이드(17) 사이로 돌입한다. 여기서 루프부(161a)는 그 마찰 계수가 충분히 낮아, 지폐는 좌굴(buckling)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구동 롤러(19)와 종동 롤러(18)의 끼움 지지점으로부터 그 하단부가 빠졌을 때, 첫 번째 지폐(P1)는 정지하고 있는 루프부(161a)와 집적 가이드(17)로부터 받는 반송 저항력에 의해 정지한다. 또한, 이때 첫 번째 지폐(P1)의 선단부는 집적 리브(11)에 접촉하여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집적 리브(11)는 지폐(P1)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다.
계속해서, 도 4c와 같이, 두 번째 지폐(P2)가 반송로(21)를 통해, 집적 기구로 진입한다. 이때, 통과 센서(22)에 의해 두 번째 지폐(P2)의 선단이 검지된다. 지폐 선단을 검지한 순간에, 루프 시트 롤러(16)는 도면 중 ω방향으로 회전하고, 루프 시트 b가 집적 대기 위치로 온 시점에서 정지한다. 그때, 루프 시트 b의 시트부(162b)가 첫 번째 지폐(P1)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첫 번째 지폐(P1)는 도면 중 Z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도 4d와 같이, 두 번째 지폐(P2)는 루프부(161b)와 집적 가이드(17) 사이에 돌입하고, 루프부(161b)와 집적 가이드(17)에 끼움 지지되어 정지한다. 그때, 집적 완료된 첫 번째 지폐(P1)와 집적 리브(11)의 접촉점에 있어서, 두 번째 지폐(P2)의 선단이, 첫 번째 지폐(P1)와 접촉한다. 그리고 집합 완료된 첫 번째 지폐(P1)가 미동함으로써, 두 번째 지폐(P2)의 선단이 집적 리브(11)와 집적 완료된 첫 번째 지폐(P1) 사이로 들어간다.
계속해서 도 4e와 같이, 세 번째 지폐(P3)가 반송로(21)를 통해 집적 기구로 진입한다. 이때, 세 번째 지폐(P3)의 선단이 통과 센서(22)에 의해 검지된다. 검지된 순간, 루프 시트 롤러(16)는 도면 중 ω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때, 루프 시트 c의 시트부(162c)가 두 번째의 지폐(P2)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두 번째 지폐(P2)는 도면 중 Z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세 번째 지폐(P3)가 P1, P2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집적되는 이상의 동작을 N매 수납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한다.
도 5는 지폐를 소정 매수(N매) 집적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집적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동작판(14)은 집적 공간을 넓히는 방향(도면 중 α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다. 이 동작에 의해 집적 지폐 매수에 맞춘 적정한 집적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동작은 지폐가 소정 매수 집적될 때마다 행해지고, 매회 일정량 동작한다. 적정한 집적 공간이 확보된 후, 상술한 집적 동작이 재개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필요한 매수만큼 지폐를 집적한다. 그 동안 집적 리브(11)에는 집적 완료 지폐에 의한 쓰러짐력 F1이 작용하지만, 퇴피 기구(12)에 설치되어 있는 압박 스프링(12s)에 의한 스프링력은 쓰러짐력 F1보다도 크기 때문에, 지폐의 쓰러짐에 관해서는, 집적 리브(11)는 초기 위치로부터 부동이다. 그로 인해, 집적 중인 지폐의 상부가 집적구의 방향으로 쓰러지는 일은 없어, 집적구를 지폐가 폐색해 버리는 문제는 회피된다.
다음에 집적 리브(11)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집적 완료 지폐(Ps)와 돌입하는 지폐(P)의 접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집적 완료 지폐(Ps)와 돌입하는 지폐(P)의 접촉각을 θ로 하고, 특히 집적 리브(11)가 없는 경우의 접촉각을 θ1로 한다. 또한, 돌입하는 지폐(P)의 돌입각[저판(15)으로부터의 앙각(仰角)]을 ψ로 한다.
도 6에 있어서, 돌입각 ψ는 집적 가이드(17)의 경사각에 의해 결정되고, 집적 리브(11)의 유무에는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갖는다. 그것에 대해 접촉각 θ는 집적 리브(11)의 존재에 의해 변화되고, 집적 리브(11)가 있는 경우의 쪽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값으로 된다. 또한, 집적 완료 지폐(Ps)와 돌입하는 지폐(P)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력을 F로 하고, 특히 집적 리브(11)가 없는 경우의 접촉력을 F1로 한다. 지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력 F는 집적 완료 지폐의 자세를 악화시키거나, 혹은 돌입하는 지폐가 좌굴되는 원인으로 되므로 그 값은 작을수록 좋다.
도 7은 발명자들이 조사한 접촉각 θ와 접촉력 F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에 있어서, 이 결과로부터, 집적 리브(11)에 의해 집적 완료 지폐(Ps)와 돌입하는 지폐(P) 사이의 접촉각 θ를 저감함으로써, 지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 적합한 집적 리브(11)의 구성을 도 8, 도 9로 설명한다.
도 8은 집적 기구에 돌입하였을 때의 지폐(P)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집적 리브(11)의 위치를 도시하기 위한 집적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P)는 그 길이 방향(도면 중 횡방향)에 관하여, 루프 시트 롤러(16)의 위치에서 볼록해지도록 파형 변형된다. 집적시에 집적 리브(11)는 지폐(P)의 돌입시에 저항으로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P)의 돌입의 저항으로 되지 않기 위해서는, 집적 리브(11)는 지폐(P)의 파형 변형을 가능한 한 무너뜨리지 않는 위치에 있을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집적 리브(11)는 지폐가 변형되었을 때의 볼록부의 정점 부근이 아닌, 볼록부의 정점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 중 사선부로 나타내는 루프 시트 롤러(16) 사이의 영역 B에 집적 리브(11)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지폐의 집적 중에, 지폐(P)가 돌입하였을 때의 집적 기구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있어서, 여기서 hr은 저판(15)으로부터 집적 완료된 지폐(Ps)와 집적 리브(11)의 접촉점[여기서는 집적 리브(11)의 정점]까지의 높이를 나타내고, 집적시에 허용하는 지폐의 쓰러짐 각도를 φ로 한다. 대상 지폐 중에서 최소 사이즈의 지폐의 입위 방향(짧은 방향)의 길이를 L로 하면, 이 hr의 값이
Lcosφ>hr>Lcosφ/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점의 높이 hr이 상기 범위이면, 반드시 집적 완료 지폐(Ps)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접촉 위치가 집적 완료 지폐(Ps)의 무게 중심 높이(LcosΦ/2)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음으로써, 집적 완료 지폐(Ps)에는, 돌입 지폐(P)로부터의 접촉력 F와 그 자중 W 사이에서 도 8 중 M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집적 완료 지폐(Ps)의 선단이 미동함으로써, 돌입 지폐(P)의 선단이 집적 리브(11)와 집적 완료 지폐(Ps) 사이로 들어가기 쉽다.
그런데, 지폐는 그 상태가 환경이나 유통 횟수에 따라 크게 변화된다. 예를 들어, 유통 횟수가 많은 지폐 등은, 그 두께가 증대되어 집적 공간을 크게 차지해 버린다. 그러한 지폐를 취급하는 경우, 취급 가능한 지폐의 매수가 감소한다. 특히 집적 리브(11)가 존재하면, 그 집적 리브(11)의 돌출량만큼 집적 공간이 감소해 버리므로 대책이 필요하다.
도 11은 그러한 두께가 증대된 지폐를 취급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지폐는 집적 기구에 수납될 때,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수납된다. 그로 인해, 집적 리브(11)는 집적 완료 지폐(Ps)로부터 압축력 Fc를 받는다. 여기서 집적 리브(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퇴피 기구(12)를 통과시켜 도면 중 Y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집적 완료 지폐(Ps)의 압축력 Fc에 의해 집적 리브(11)가 퇴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집적 리브(11)가 퇴피하는 양만큼 집적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어, 취급 가능한 지폐의 매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집적 리브(11)는 퇴피시에 퇴피 한계 스토퍼(20)가 접촉하는 위치(도면 중 Yc)만큼 이동하지만, 집적 리브(11)를 측벽(13)에 의해 완전히 가리지 않고, 적량 돌출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돌입 지폐(P)의 돌입시에, 측벽(13)으로부터 받는 마찰 저항력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집적 리브(11)에 작용하는 퇴피 기구(12)의 압박 스프링(12s)이 발생하는 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압박 스프링(12s)에 의해 집적 리브(11)의 선단에 발생하는 힘은, 집적 완료 지폐의 쓰러짐력 F1보다도 강하고, 두께가 증대된 지폐가 발생하는 압축력 FP보다도 약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집적 완료 지폐(Ps)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또한 두께가 증대된 지폐를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 설명한 지폐 집적 기구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이면, 지폐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또한 지폐 다발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증대되어 있는 지폐라도 취급 가능 매수를 줄이는 일 없이 정연하게 정렬된 상태로 지폐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입출금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입금 거래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있어서, 이용자가 입금할 때에는, 각 롤러는 노출되지 않는 쪽이 좋다. 그로 인해, 전방판(33)이, 전방판 회전축(33p)을 중심으로 도시하지 않은 회전 스프링에 의해 도 12 중 γ방향으로 회전하여, 저판(15)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정지함으로써, 조출 롤러(31)와 송출 롤러(32)와 저항 롤러(30)를 덮어 가리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측벽(13)은 집적 동작시의 대기 위치보다도 도면 중 β방향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대기함으로써(이 위치를 지폐 투입 위치라 함), 반송 롤러(19)와 종동 롤러(18)와 루프 시트 롤러(16)를 덮어 가리고 있다. 이때, 집적 리브(11)는 비틀림 스프링(11s)의 힘에 의해 퇴피 한계 스토퍼(20)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측벽(13) 내에 퇴피하여 수납된다. 집적 리브(11)를 측벽(13) 내로 수납함으로써, 이용자가 지폐(Ps)를 투입할 때에 집적 리브(11)가 장해로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동작판(14)은 측벽(13)과 간극이 없는 상태에서 접촉하고 있어, 이용자는 실수하는 일 없이 입금 공간(3)에 지폐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지폐 분리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이용자가 지폐를 투입한 것을 확인한 후에 상판(23)이 폐쇄된다. 그 후, 전방판(33)이 도 12 중 γ방향으로 퇴피됨으로써 조출 롤러(31)와 송출 롤러(32)와 저항 롤러(30)가 노출된다. 그리고 동작판(14)이 조출 롤러(31)에 투입 완료 지폐(Ps)를 압박하여 분리 동작이 개시된다.
다음에 출금 거래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지폐 집적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있어서, 이때, 집적 리브(11)는 접촉부(11c)를 통해 압박 스프링(12s)을 갖는 퇴피 기구(12)에 접촉하는 위치(이 위치를 지폐 집적 위치라 함)에서 대기하므로, 집적 리브(11)는 퇴피 기구(12)에 의해 압출되어, 측벽(13)보다 돌출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집적 동작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출금 거래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있어서, 필요한 매수만큼 지폐를 집적한 후, 측벽(13)이 도 15 중 β방향으로 움직이고, 소정의 위치에서 대기함으로써(이 위치를 지폐 방출 위치라 함), 집적된 지폐(Ps)를 압출하여 압축한다. 그 상태에서 상판(23)을 개방함으로써, 이용자가 지폐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퇴피 기구(12)는 측벽(13)의 동작에는 추종하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무른다. 그로 인해, 집적 리브(11)에는 퇴피 기구(12)의 압박 스프링(12s)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집적 리브(11)는 비틀림 스프링(11s)의 힘에 의해 퇴피 한계 스토퍼(20)가 접촉하는 위치까지 측벽(13) 내로 퇴피한다. 이상의 동작과 같이, 집적 리브(11)가 측벽(13) 내에 수납되므로, 이용자가 지폐(Ps)를 취출할 때에 집적 리브(11)가 장해로 되는 일은 없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출금구의 회수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있어서, 회수 동작은, 이용자가 출금시에 지폐를 취출하는 것을 망각하였을 때에 실시한다. 이때, 동작판(14)이 퇴피하고, 측벽(13)이 지폐(Ps)를 조출 롤러(31)에 압박하고, 그 상태에서 이 조출 롤러(31)가 회전함으로써 지폐가 조출되어, 장치 내에 수납된다. 이때, 집적 리브(11)는 비틀림 스프링(11s)의 힘에 의해 퇴피 한계 스토퍼(20)가 접촉하는 위치까지 측벽(13) 내에 퇴피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지폐(Ps)의 분리 동작의 장해로 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거래시에 장해로 되는 일 없이, 이물질 등이 혼입되지 않는 입출금구를 갖는 현금 지동 거래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집적 공간
11 : 집적 리브
11p : 회전 지지점
11s : 비틀림 스프링
11c : 접촉부
12 : 퇴피 기구
12s : 압박 스프링
13 : 측벽
14 : 동작판
15 : 저판
16 : 루프 시트 롤러
161 : 루프부
162 : 시트부
17 : 집적 가이드
18 : 종동 롤러
19 : 구동 롤러
20 : 퇴피 한계 스토퍼
21 : 반송로
22 : 통과 센서
23 : 상판
24 : 퇴피 규제 부재
1001 : 하우징
1002 :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
1003 : 통장 처리 기구
1004 : 지폐 입출금구
1005 : 고객 조작ㆍ표시부
1006 : 지폐 취급 기구
1007 : 제어부
2001 : 입출금구
2002 : 일시 보관고
2003 : 지폐 감별기
2004 : 장전 회수고
2005 : 입금고
2006 : 지폐 수납 방출고

Claims (8)

  1. 이용자가 출금 지폐의 취출을 행하는 지폐 방출구와, 이 지폐 방출구 내에 상기 출금 지폐를 1매씩 수납하는 수납 공간과, 이 수납 공간에 수납될 때에 상기 출금 지폐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상기 수납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을 갖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출금 지폐를 상기 수납 공간에 집적할 때에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출금 지폐를 방출할 때에는 상기 측벽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대기 위치가, 상기 출금 지폐를 상기 수납 공간에 집적할 때와, 상기 출금 지폐를 방출할 때에 다르도록 상기 측벽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안내 부재의 돌출과 수납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해 돌출과 수납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4. 지폐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로와, 이 반송로로부터 반입된 지폐를 저판 상에 입위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 공간과, 상기 지폐를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반송로로부터 상기 수납 공간의 방향으로 압출력을 부여하기 위한 날개를 구비한 임펠러를 갖는 지폐 처리 기구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
    수납시의 상기 지폐가 상기 임펠러로부터 받는 압출력의 작용 방향으로, 수납 공간 내에 수납 완료된 지폐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이 지지 부재가 지폐의 수납 중에 지폐를 지지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퇴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의 퇴피시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의 축 방향에 대해,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임펠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입위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높이 방향이며,
    대상으로 하는 지폐의 높이보다도 낮고, 또한 대상으로 하는 지폐의 무게 중심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수납 완료된 지폐가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입위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높이 방향이며,
    상기 임펠러는 지폐의 하단부를 치는 구성이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KR1020110081948A 2010-09-29 2011-08-18 현금 자동 거래 장치 KR101240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8947 2010-09-29
JP2010218947A JP5342530B2 (ja) 2010-09-29 2010-09-29 現金自動取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233A true KR20120033233A (ko) 2012-04-06
KR101240055B1 KR101240055B1 (ko) 2013-03-06

Family

ID=4598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948A KR101240055B1 (ko) 2010-09-29 2011-08-18 현금 자동 거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42530B2 (ko)
KR (1) KR101240055B1 (ko)
CN (1) CN102436691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1466A (zh) * 2014-05-23 2014-08-06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纸币存取款机构及现金自动交易装置
KR20160045309A (ko) *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20180032725A (ko) * 2016-09-22 2018-04-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집적장치
CN111145426A (zh) * 2020-01-02 2020-05-1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集积分离装置及现金循环处理设备
KR102305823B1 (ko) * 2020-04-02 2021-09-30 주식회사 메카트로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085B2 (ja) * 2011-11-14 2015-11-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KR101330914B1 (ko) * 2012-04-16 2013-1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집적 품질을 향상시킨 지폐 집적 장치
CN102930639B (zh) * 2012-11-09 2014-10-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页类堆叠装置
JP6052059B2 (ja) * 2013-05-24 2016-12-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6036559B2 (ja) * 2013-06-10 2016-11-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6072631B2 (ja) * 2013-07-08 2017-02-0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03700182B (zh) * 2013-12-24 2016-01-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收纳装置
KR101502129B1 (ko) 2014-01-14 2015-03-24 (주)메카이시스 개선된 접객부 구조를 갖는 환류식 지폐 입출금기
KR101671572B1 (ko) * 2014-06-20 2016-11-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CN104077837A (zh) * 2014-07-01 2014-10-01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现金自动存取装置
CN104077838B (zh) 2014-07-23 2016-05-1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联动装置
JP6430298B2 (ja) * 2015-03-11 2018-11-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6591787B2 (ja) * 2015-06-03 2019-10-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CN107256588A (zh) * 2017-08-14 2017-10-17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收发装置
CN107578532A (zh) * 2017-08-21 2018-01-1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币处理装置
CN107481452A (zh) * 2017-09-30 2017-12-1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自助设备及自助设备的取出装置
CN111627147B (zh) * 2020-05-28 2022-12-2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出入钞装置和现金处理设备
JP7392198B2 (ja) * 2021-02-22 2023-12-0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13120437B (zh) * 2021-03-24 2022-08-3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取票轮、票据发放箱与票据发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5799B2 (ja) * 1998-09-17 2007-08-2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3183288B2 (ja) * 1998-10-12 2001-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幣入出金装置
JP3075284B2 (ja) * 1998-10-12 2000-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集積装置
JP3914807B2 (ja) * 2001-09-11 2007-05-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US7357305B2 (en) * 2004-06-29 2008-04-15 Nautilus Hyosung Inc. Bill delivery apparatus for wall-type automated-teller machine
JP4446249B2 (ja) * 2004-12-08 2010-04-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7041826A (ja) * 2005-08-03 2007-02-1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100754050B1 (ko) * 2006-06-30 2007-08-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가이드장치
JP5169612B2 (ja) * 2008-08-18 2013-03-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332512B2 (ja) * 2008-10-29 2013-11-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構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1466A (zh) * 2014-05-23 2014-08-06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纸币存取款机构及现金自动交易装置
KR20160045309A (ko) *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20180032725A (ko) * 2016-09-22 2018-04-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집적장치
CN111145426A (zh) * 2020-01-02 2020-05-1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集积分离装置及现金循环处理设备
CN111145426B (zh) * 2020-01-02 2022-05-3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集积分离装置及现金循环处理设备
KR102305823B1 (ko) * 2020-04-02 2021-09-30 주식회사 메카트로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36691B (zh) 2014-11-05
CN102436691A (zh) 2012-05-02
JP5342530B2 (ja) 2013-11-13
JP2012073875A (ja) 2012-04-12
KR101240055B1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055B1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JP5340030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984533B1 (ko) 지엽류 집적 장치
EP2043059A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paper sheet handling system,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368141B1 (ko) 소용돌이형 날개차식 집적 장치
EP3211609B1 (en) Multi-banknote cassette with movable stopper and banknote stacking method thereof
WO2014199711A1 (ja) 媒体保護装置及び媒体分離集積装置
JP6052059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20080022036A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5732367B2 (ja) 紙幣取扱装置
KR20020062148A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2000048234A (ja) 紙葉類収納機構
JP4178132B2 (ja) 紙葉類集積分離装置
JP2012027545A (ja) 紙葉類取引装置
JP5274303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07091436A (ja) 紙幣入出金装置を備えた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9007133A (ja) 紙葉類集積装置
JP5329259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110183B2 (ja) 紙幣収納放出庫
JP6536071B2 (ja) 媒体繰出カセット及び媒体引渡装置
JP5208802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6866806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7035801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WO2016136093A1 (ja) 媒体引渡装置及び媒体集積受渡機構
KR20170112336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