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823B1 -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823B1
KR102305823B1 KR1020200040284A KR20200040284A KR102305823B1 KR 102305823 B1 KR102305823 B1 KR 102305823B1 KR 1020200040284 A KR1020200040284 A KR 1020200040284A KR 20200040284 A KR20200040284 A KR 20200040284A KR 102305823 B1 KR102305823 B1 KR 10230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anknotes
residual
loading
b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성
전재완
고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카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카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카트로
Priority to KR102020004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2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faulty articles from the main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27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the nip between moving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8Diverting into different paths or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2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detecting or indicating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는,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부; 상기 지폐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의 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 상기 이송라인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된 지폐가 세워져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이송라인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되지 못한 지폐가 반출되는 반출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부로부터 낙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를 받아들여 수납하는 수납고;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평상 시에는 적재부에 적재된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지폐를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고자 할 때에는 지폐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는 스테이지; 및 상기 적재부에서 지폐가 적재되는 방향의 안쪽면에 구비되어 적재부에 세워져 적재되는 지폐가 적재부에 밀착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지폐기립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가 개방 시 지폐기립수단에 의해 다량의 지폐가 적재부에 접촉되거나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는 등의 방해없이 적재부와 밀접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여 수납고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Banknote deposi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 계수기에 설치되어 카운팅이 끝난 지폐를 하방의 수납고로 투입하는 종래 협지(挾持) 피딩 방식의 지폐 수납장치를 자유 낙하 방식으로 개선하여, 상기 협지 피딩 방식에서 빈번히 발생되던 지폐의 잼(jam)이나 상기 잼 또는 지폐를 협지 후 피딩롤러를 이용하여 수납고로 강제 피딩함에 따른 지폐의 훼손을 방지하고, 수백장 이상의 대량 지폐 다발도 자유 낙하 방식으로 한번에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처리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를 많이 다루는 사업체나 금융기관, 대형 마트 등에서는 지폐 수납장치를 이용하여 그날 들어온 지폐를 정확하게 계수한 후, 상기 지폐를 하단에 구비된 지폐 수납고(수납 카세트)에 바로 수납함으로써 일 매출의 정산 및 지폐의 도난 및 분실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지폐 수납장치의 일례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지폐 수납장치는, 박스체(1)와, 박스체(1)에 설치되어 복수의 지폐(P)가 재치되는 재치부(20)와, 재치부(20)에 재치된 복수의 지폐(P)를 1매씩 박스체(1) 내에 받아들이는 수용부(25)와, 수용부(25)에 의해 받아들여진 지폐(P)를 반송하는 반송부(30)와, 반송부(30)에 의해 반송된 지폐(P)를 집적하는 집적부(60)와, 반송부(30)에 설치되고, 당해 반송부(30)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P)의 금종이나 진위 등을 식별함과 함께 계수하는 식별부(40)와, 집적부(60)에 집적된 지폐(P)를 받아들여서 수납하는 수납고(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수용부(2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치부(20)에 재치된 복수의 지폐(P) 중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지폐(P)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키커 롤러(26)와, 지폐(P)의 조출 방향에 있어서 키커 롤러(26)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키커 롤러(26)에 의해 차내진 지폐(P)의 박스체(1)의 내부로의 조출을 행하는 피드 롤러(27a)를 가지고 있다. 또, 피드 롤러(27a)에 대향하여 게이트 롤러(역전 롤러)(27b)가 설치되어 있고, 피드 롤러(27a)와 게이트 롤러(27b) 사이에 게이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30)는, 지폐(P)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31), 반송 롤러(3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반송부(30)의 최하류부로, 집적부(60) 근방에는, 반송부(30)에 의해 반송된 지폐(P)를 1매마다 날개(35a) 사이에서 받아들여서 집적부(60)에 정렬 집적시키는 스태킹 휠(35)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부(60)는, 집적 지폐(P)를 전면 측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집적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반송부(30)로부터 보내진 지폐(P)를 지지부(64)로 지지시킴으로써, 전면 측으로 경사지게 한 스탠딩 상태로 지폐(P)를 집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전면 측이란, 조작자가 지폐(P)를 재치부(20)에 재치하거나, 후술하는 전면 개구부(61)를 통해 집적부(60)로부터 지폐(P)를 꺼내는 측을 의미하며, 도 2의 우측을 의미하고 있다.
또, 집적부(60)의 전면 측에는, 집적된 지폐(P)를 외부로부터 꺼내기 위한 전면 개구부(61)(도 2 참조)와, 당해 전면 개구부(61)를 개폐하기 위한 전면 셔터부(62)(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면 셔터부(62)는, 후술하는 제어부(50)에 의해, 적어도 협지 반송 기구(10)(후술)에 의해 지폐(P)를 수납고(70)로 반송하고 있을 때에 개방 불가능하게 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부(60)에는, 당해 집적부(60)에 집적된 지폐(P)의 표면을 협지하고, 그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당해 지폐(P)를 반송함으로써 수납고(70)로 지폐(P)를 수납시키는 협지 반송 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협지 반송 기구(10)는, 집적부(60)에 집적된 복수의 지폐(P) 중 가장 전면측에 위치하는 지폐(P)의 표면과 가장 후면 측에 위치하는 지폐(P)의 표면을 협지하고, 당해 복수의 지폐(P)를 일괄하여 수납고(70)로 반송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도 2의 화살표 A1 참조).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 반송 기구(10)는, 집적부(60)에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의 스탠딩 상태로 집적된 지폐(P)의 하단(下端)을 지지하고, 당해 지폐(P)를 수납고(70)로 수납시킬 때에 슬라이드하여 열리는 슬라이드부(13)와, 슬라이드부(13)가 슬라이드하여 열렸을 때에 복수의 지폐(P) 중 가장 후면 측에 위치하는 지폐(P)의 표면에 맞닿는 제1 맞닿음 반송부(11)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부(13)가 슬라이드하여 열렸을 때에 복수의 지폐(P) 중 가장 전면 측에 위치하는 지폐(P)의 표면에 맞닿음과 함께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 맞닿음 반송부(12)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제1 맞닿음 반송부(11)는, 집적 지폐(P)의 하방 부분에 맞닿는 제1 상부 롤러(11a), 후술하는 수납고(70)의 슬릿 개구부(71)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1 하부 롤러(11b), 및 그들 롤러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벨트(11c) 등으로 구성되고, 집적 지폐(P)를 하방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맞닿음 반송부(12)는, 제1 상부 롤러(11a)에 대향하는 제2 상부 롤러(12a)와, 제1 하부 롤러(11b)에 대향하는 제2 하부 롤러(12b)로 구성되고, 제2 상부 롤러(12a)와 제2 하부 롤러(12b)는 각각, 집적 지폐(P)를 하방으로 반송하도록, 당해 집적 지폐(P)에 구동력을 부여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13)와 제1 맞닿음 반송부(11) 사이에는, 집적 지폐(P)의 하부를 회피한 위치에 있어서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14)가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부(13)가 전면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도 3(b) 참조], 제1 맞닿음 반송부(11)가 전면 측으로 잡아당겨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맞닿음 반송부(11)가 전면 측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제1 맞닿음 반송부(11)와 제2 맞닿음 반송부(12) 사이에서 복수의 지폐(P)가 협지되게 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고(70)에는, 협지 반송 기구(10)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P)를 받아들이기 위한 슬릿 형상의 슬릿 개구부(71)와, 당해 슬릿 개구부(71)를 개폐하기 위한 슬릿 셔터부(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고(70)는, 록 부재(76)에 의해 록 가능한 수납 박스체(75) 내에 자유롭게 꺼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수납장치는, 수용부(25)에 의해 받아들여진 지폐(P)를 반송부(30)에 의해 반송하면서 식별부(40)에 의해 금종, 진위 등을 식별한 후에 집적부(60)로 반송시키고, 당해 집적부(60)로 반송된 지폐(P)를 협지 반송 기구(10)에 의해 수납고(70)로 반송시키는 수납 모드와, 수용부(25)에 의해 받아들여진 지폐(P)를 반송부(30)에 의해 반송하면서 식별부(40)에 의해 금종, 진위 등을 식별한 후에 집적부(60)로 반송시키고, 협지 반송 기구(10)를 작동시키지 않고, 당해 집적부(60)로 반송된 지폐(P)를 전면 개구부(61)를 통해 외부로부터 꺼낼 수 있게 하는 계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50)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체(1)에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과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입력부(5)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30)에는, 이상 시에, 집적부(60)로 반송되지 않는 지폐(P)가 반송되는 리젝트부(6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종래 지폐 수납장치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종래 협지(挾持) 피딩 방식의 지폐 수납장치는 지폐의 구김 상태나 매수에 상관없이 반드시 제1 맞닿음 반송부와 제2 맞닿음 반송부 사이에 지폐(P)를 눌러 협지한 상태로 제2 상부 롤러와 제2 하부 롤러가 지폐 표면에서 구름 접촉되면서 하방으로 한 장씩 밀어내기 때문에 많이 구겨진 노후 지폐이거나 한번에 많은 양의 지폐가 협지된 경우, 상기 제2 상,하부 롤러가 구름 접촉이 원활히 작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지폐가 롤러 사이에 끼이게 되는 잼(jam)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잼 발생에 의해 지폐가 심하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 때에는, 주변에 있던 관리 요원이 매번 지폐 수납장치의 케이싱을 열고 롤러 사이에 잼(jam)되어 있거나 롤러가 닿지 않는 부분에 이탈되어 있는 잔류지폐를 일일이 손으로 제거해야만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둘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협지(挾持) 피딩 방식의 지폐 수납장치는 지폐를 수납고에 수납 시 반드시 제1 맞닿음 반송부와 제2 맞닿음 반송부가 지폐를 눌러 협지한 후 제2 상,하부 롤러를 이용하여 지폐를 한 장씩 아래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수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폐의 매수가 많은 경우(예로, 200장 이상)에는 지폐 다발의 두께로 인해 제1 맞닿음 반송부와 제2 맞닿음 반송부 사이의 협지력이 증대되어 매우 빡빡한 상태가 되므로 제2 상,하부 롤러의 구름 접촉에 의해 많은 수의 지폐를 하방으로 빠르게 밀어내기가 힘들고, 한번에 밀어내기 위해 협지력을 다시 느슨하게 조정하는 과정에서도 오작동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96382호 (2014.05.12.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협지(挾持) 피딩 방식에서 빈번히 발생되던 지폐의 잼(jam)이나 상기 잼 또는 지폐를 협지 후 피딩롤러를 이용하여 수납고로 강제 피딩함에 따른 지폐의 훼손을 방지하고, 수백장 이상의 대량 지폐 다발도 자유 낙하 방식으로 한번에 신속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처리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부; 상기 지폐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의 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 상기 이송라인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된 지폐가 세워져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이송라인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되지 못한 지폐가 반출되는 반출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부로부터 낙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를 받아들여 수납하는 수납고;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평상 시에는 적재부에 적재된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지폐를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고자 할 때에는 지폐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는 스테이지; 및 상기 적재부에서 지폐가 적재되는 방향의 안쪽면에 구비되어 적재부에 적재되는 지폐가 세워지면서 적재부에 밀착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지폐기립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가 개방 시 지폐기립수단에 의해 다량의 지폐가 적재부에 접촉되거나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는 등의 방해없이 적재부와 밀접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여 수납고로 수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는 리드스크류가 부가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스테이지가 지폐 적재방향으로 정밀하게 슬라이딩 구동되면서 개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폐기립수단은 한쌍의 지폐 지지편이 탄발 스프링에 의해 눌림이 지지되는 구성을 가지며, 적재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양에 비례하여 상기 지폐 지지편이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눌러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재부에는 자유 낙하하지 못한 잔류지폐가 적재부에 남아있는지 인식하는 센서; 및 스테이지의 적재부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잔류지폐가 인식된 경우 상기 잔류지폐를 구름 접촉함에 의해 강제로 하방으로 피딩하는 잔류지폐 강제 피딩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잔류지폐 강제 피딩수단은, 스테이지의 적재부 반대쪽 일측에 구비되어 센서가 잔류지폐 인식 시 적재부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및 적재부에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와 마주보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가 잔류지폐를 압박하면 상기 잔류지폐에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는 강제 피딩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는, 잔류지폐와 접촉되는 아이들 롤러; 상기 아이들 롤러가 힌지 결합되는 어셈블리 바디; 상기 어셈블리 바디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가 적재부 쪽으로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리니어 가이드; 및 상기 리니어 가이드 상에서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며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의 슬라이딩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와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사이에는 적재부 쪽으로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를, 스테이지가 리드스크류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지폐 적재 방향 반대쪽으로 후퇴할 때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이동 전 위치로 반환하기 위한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복귀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토퍼수단은, 전기력이 인가됨에 따라 지폐의 적재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입,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인입출 구동에 따라 함께 인입,출 구동되며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의 걸고리에 끼워져 잠금되거나 걸고리에서 빠져나와 잠금해제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와 플런저 사이에는 인입,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링크부재가 더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라, 지폐투입부로 투입된 지폐를 이송라인에서 이송 간 계수함과 동시에 지폐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함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된 지폐는 적재부로 적재하고, 비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된 지폐는 반출부로 반출하는 계수 및 적재 모드; 상기 계수 및 적재 모드 후, 적재부의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스테이지가 개방되면서 적재부에 적재된 지폐가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여 수납고로 수납되는 자유 낙하 수납 모드; 및 상기 자유 낙하 수납 모드 후, 적재부에 남아있는 잔류지폐가 센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여 수납고로 수납하는 잔류지폐 제거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재부에 지폐가 적재될 때에는 소정의 지폐기립수단에 의해 지폐가 적재부에 세워질 때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지 않도록 지폐와 적재부 사이의 간격이 유지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유 낙하 수납 모드와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잔류지폐의 제거 시까지 교대로 반복해서 수행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적재부에 남아있는 잔류지폐에 강제 피딩롤러가 접촉한 후 상기 잔류지폐에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여 제거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적재부에 남아있는 잔류지폐에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가 접근하여 적재부쪽으로 눌러 압박한 후 적재부에 구비된 강제 피딩롤러가 상기 잔류지폐에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여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협지(挾持) 피딩 방식을 자유 낙하 방식으로 개선한 지폐 수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협지 피딩 방식에서 빈번히 발생되던 지폐의 잼(jam)이나 상기 잼 또는 지폐를 협지 후 피딩롤러를 이용하여 수납고로 강제 피딩함에 따른 지폐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협지(挾持) 피딩 방식은 지폐를 협지한 후 피딩롤러를 이용하여 지폐를 차례차례로 하방으로 투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장치는 수백장 이상의 대량 지폐 다발도 잼 등의 불량없이 자유낙하에 의해 한번에 신속하게 수납고로 투입하므로 지폐 수납의 처리성능이 대폭 향상되는 유익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지폐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지폐 수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방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지폐 수납장치의 협지 반송 기구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측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일 실시에에 따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4a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스토퍼수단만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5a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에서 지폐가 적재되는 상태(계수 및 적재 모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6a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에서 지폐가 자유 낙하되는 상태(자유 낙하 수납 모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6a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에서 잔류지폐가 강제 피딩되는 상태(잔류지폐 제거 모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6a의 종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일 실시에에 따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4a의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는 케이싱(100)과, 지폐(B)가 투입되는 지폐투입부(110)와, 상기 지폐투입부(110)로 투입된 지폐(B)를 이송하는 이송라인(120)과, 지폐를 한 장씩 적재하기 위한 스택휠(130)과, 상기 이송라인(120)의 후반부에는 이송라인에서 이송되는 정상 지폐(B)가 적재되는 적재부(140)와, 비정상 지폐가 반출되는 반출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라인(120)의 전반부에는 지폐(B)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 및 지폐(B)의 수량을 계수하는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송라인(120)을 통해 이송되는 지폐(B)의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도면 미도시)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B)로 판별되면 적재부(140)로 이송된 후, 상기 정상 지폐(B)는 적재부(140)에 차례로 세워진 상태로 적재되고, 만약 상기 지폐가 손상되거나 가짜 지폐 등 비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되면 반출부(150)로 반출되어진다.
또한, 상기 적재부(140)의 하부에는 적재부(140)로부터 낙하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지폐(B)를 받아들여 수납하는 수납고(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적재부(140)의 저면에는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스테이지(200)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평상 시에는 상기 스테이지(200)가 폐쇄되어 적재부(140)의 저면(바닥면)을 막고 있는 상태로서 상기 스테이지(200)에 의해 적재(140)부 내에 적재된 지폐(B)의 하단이 지지된다.
이어서, 상기 적재부(140)에 적재된 지폐(B)를 하방의 수납고(300)에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지폐(B)의 적재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지(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적재부(140)의 저면이 개방되어진다. 이 때, 상기 스테이지(200)의 일측에는 리드스크류(210)가 부가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1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스테이지(200)가 지폐(B)의 적재 방향으로 정밀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스테이지(200)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적재부(140)에서 지폐(B)가 적재되는 방향의 안쪽면에는 탄발력을 갖는 일정 형태의 지폐기립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폐기립수단은 적재부(140)에 세워져 적재되는 지폐(B)가 적재부(140)에 밀착 또는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지 않도록 적재부(140)와 지폐(B) 사이의 간격을 세밀하게 유지한다.
즉, 상기 스테이지(200)가 지폐(B)의 수납을 위해 개방될 때 상기 지폐기립수단이 지폐(B)를 탄력적으로 기립시켜 상기 지폐(B)가 적재부(140)의 안쪽면에 접촉되거나 정전력 등에 의해 부착되지 않도록 세밀한 간격을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폐기립수단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한쌍의 지폐 지지편(241)이 탄발 스프링(도면 미도시)의 탄발력에 의해 눌림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지지편(241)은 적재부(140)에 적재된 지폐(B)의 양에 비례하여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눌러지게 된다.
따라서, 적재부(140)에 적재가 시작될 때 지폐(B)의 수량이 적으면 상기 지폐 지지편(241)이 살짝 눌러진 상태로 지폐(B)들이 세워지고, 적재된 지폐(B)의 수량이 많으면 상기 지폐 지지편(241)은 적재된 지폐(B)의 무게로 인해 많이 눌러져 적재부(140) 내로 깊게 요입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적재부(140)에 기립된 상태로 적재된 다량의 지폐(B) 다발들은 어떠한 접촉이나 부착 등의 방해를 받지않고 바르게 세워져야만 본 발명이 목적한 지폐의 자유 낙하를 통한 수납이 방해받지 않고 불량없이 지폐 다발이 동시에 깔끔하게 낙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적재부(140)에는 상기 적재부(140) 곳곳에 센서(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자유 낙하하지 못한 잔류지폐(B2, 도 8 참조)가 적재부(140)에 남아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도면 미도시)에 의해 잔류지폐(B2)가 감지되면 스테이지(200)의 적재부(140) 반대쪽에 구비된 잔류지폐 강제 피딩수단이 잔류지폐(B2)에 접근한 후 상기 잔류지폐(B2)를 눌러 압박한 상태로 구름 접촉함으로써 잔류지폐(B2)를 강제로 하방으로 피딩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잔류지폐 강제 피딩수단은, 스테이지(200)의 적재부(140) 반대쪽 일측에 구비되어 센서(도면 미도시)가 잔류지폐(B2, 도 8 참조)의 인식 시 적재부(140)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와, 적재부(140)에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와 마주보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가 잔류지폐(B2)를 압박하면 상기 잔류지폐(B2)에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B2)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는 강제 피딩롤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는, 잔류지폐(B2)와 접촉되는 아이들 롤러(231)와, 상기 아이들 롤러(231)가 힌지 결합되는 어셈블리 바디(232)와, 상기 어셈블리 바디(23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231) 및 어셈블리 바디(232)가 적재부(140) 쪽으로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리니어 가이드(233)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233) 상에서 아이들 롤러(231) 및 어셈블리 바디(232)가 적재부(140)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며 아이들 롤러(231) 및 어셈블리 바디(232)의 슬라이딩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스토퍼수단(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210)와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 사이에는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복귀수단(270)이 구비되는데,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복귀수단(270)은 적재부 쪽으로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를, 지폐(B) 적재 방향으로 전진된 스테이지(200)가 리드스크류(2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지폐(B) 적재 방향 반대쪽으로 후퇴할 때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도 슬라이딩 이동 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복귀수단(270)의 세부 구성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리니어 가이드(233)를 따라 지폐 적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스테이지의 후퇴 시 함께 후퇴될 수 있도록 일정 너비의 장공(271)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271) 내에는 스테이지(200)에 형성된 걸림돌기(도면 미도시)가 끼워져 걸림되어져 있음에 따라 스테이지(200)가 지폐(B) 적재 방향 반대쪽으로 후퇴(스테이지 폐쇄)할 때 상기 스테이지(200)의 걸림돌기(도면 미도시)가 장공(271)의 오른쪽 끝단을 밀어 함께 후퇴시킴에 따라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5는 도 4에서 스토퍼수단만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5a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수단(250)은, 전기력이 인가됨에 따라 지폐(B)의 적재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입,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251)와, 상기 솔레노이드(251)의 인입출 구동에 따라 함께 인입,출 구동되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의 일측에 형성된 걸고리(234)에 끼워져 잠금되거나 상기 걸고리(234)에서 빠져나와 잠금해제되는 플런저(253)와, 상기 솔레노이드(251)와 플런저(253) 사이에는 링크부재(252)가 구비되어 솔레노이드(251)의 인입,출 동작을 플런저(253)로 전달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솔레노이드(251)의 구성이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예를 들어 한 개의 솔레노이드(251)가 좌우 양측의 플런저(253)를 구동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링크부재(252)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며,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 방법은, 크게 지폐의 계수 및 적재 모드, 자유 낙하 수납 모드 및 잔류지폐 제거 모드의 3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에서 지폐가 적재되는 상태(계수 및 적재 모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6a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장치의 계수 및 적재 모드에서는, 지폐투입부(110)로 투입된 지폐를 이송라인(120)에서 이송 간 계수함과 동시에 지폐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함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된 지폐는 적재부(140)로 적재된다.
또한, 상기 이송라인(120)의 전반부에는 지폐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하고 지폐의 이미지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한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이송라인(120)의 전반부를 지나는 지폐는 상기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도면 미도시)에 의해 정상 지폐 여부를 판별한 후 상기 지폐가 정상 지폐(B)로 판별된 경우 스택휠(130)에 의해 한 장씩 정렬되어 적재부(140)에 차례로 적재됨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적재부(140)에 지폐(B)가 적재될 때에는 상술한 탄발 스프링(도면 미도시)이 내설된 지폐 지지편(241, 도 4 참조)에 의해 지폐(B)가 적재부(140)에 접촉되거나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지 않도록 지폐(B)와 적재부(1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지폐 지지편(24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지폐(B)가 적재부(140)의 안쪽면에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거나 접촉, 간섭되지 않음에 따라 후술하는 지폐(B)의 자유 낙하 수납 모드에서 자유 낙하되지 않고 적재부(140)에 남아있게 되는 잔류지폐(B2, 도 8 참조)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에서 지폐가 자유 낙하되는 상태(자유 낙하 수납 모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6a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장치의 자유 낙하 수납 모드는, 상기 계수 및 적재 모드를 수행 완료한 후, 적재부(140)의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스테이지(200)가 개방되면서 적재부(140)에 적재된 지폐(B)가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여 수납고(300)로 수납되는 과정이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스테이지(200)의 개방에 의해 200장 이상 다량의 지폐(B) 다발도 한번에 자유 낙하가 가능하며, 상기 다량의 지폐가 자유 낙하되는 동안 적재부(140)에 접촉이나 부착, 간섭되지 않으면서 자유 낙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한번의 자유 낙하 동작으로 200장 이상 다량의 지폐를 일괄적으로 동시에 수납고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일일이 지폐를 강제 피딩하였던 협지 피딩 방식 대비 지폐의 수납 속도가 월등히 빨라짐은 물론, 지폐의 훼손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에서 잔류지폐가 강제 피딩되는 상태(잔류지폐 제거 모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도 6a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장치의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상기 자유 낙하 수납 모드를 수행한 후, 센서(도면 미도시)에 의해 적재부(140)에 남아있는 잔류지폐(B2)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적재부(140)에 남아있는 잔류지폐(B2)에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230)가 접근하여 잔류지폐(B2)를 적재부(140)쪽으로 눌러 압박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부(140)에 구비된 강제 피딩롤러(220)가 상기 잔류지폐(B2)에 닿아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B2)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여 제거한다. 이 때, 하방으로 강제 피딩된 잔류지폐(B2)는 수납고(300)로 수납되어진다.
한편, 자유 낙하 수납 모드를 1회 수행함에 의해 지폐(B2) 다발이 자유 낙하하여 수납고(300)로 한번에 원활히 수납되어짐이 일반적이라 하겠으나, 통상 적재부(140) 등의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적재부(140)의 안쪽 표면에 정전기 등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이 때는 센서(도면 미도시)가 잔류지폐(B2)를 감지한 경우 잔류지폐 제거 모드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상기 자유 낙하 수납 모드와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잔류지폐의 제거 시까지, 즉 센서에 잔류지폐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적재부(140)의 센서(도면 미도시)에 잔류지폐(B2)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상술한 지폐(B)의 자유 낙하 수납 모드만 수행한 후 모든 수납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지폐 수납장치는 다량의 지폐를 한번에 수납하는 자유 낙하 방식의 구성 및 잔류지폐 제거 모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종래 보편적으로 이용되어온 협지 피딩 방식의 문제점, 즉, 수납 처리속도의 저하 문제와 피딩 롤러 등에 잼(jam) 발생 시 지폐가 심각하게 훼손되는 문제점 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아울러 상기 잼 등의 오류 발생 시 잔류지폐를 주변 인력이 일일이 손으로 빼서 처리할 수 밖에 없었던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 차별화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0 : 케이싱 110 : 지폐투입부
120 : 이송라인 130 : 스택휠
140 : 적재부 150 : 반출부
200 : 스테이지 210 : 리드스크류
220 : 강제 피딩롤러 230 :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241 : 지폐 지지편 250 : 스토퍼수단
270 :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복귀수단 300 : 수납고

Claims (14)

  1.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부;
    상기 지폐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의 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
    상기 이송라인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된 지폐가 세워져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이송라인의 후반부에 구비되어 지폐감지센서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되지 못한 지폐가 반출되는 반출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부로부터 낙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를 받아들여 수납하는 수납고;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평상 시에는 적재부에 적재된 지폐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지폐를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고자 할 때에는 지폐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는 스테이지; 및
    상기 적재부에서 지폐가 적재되는 방향의 안쪽면에 구비되어 적재부에 적재되는 지폐가 세워지면서 적재부에 밀착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지폐기립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가 개방 시 지폐기립수단에 의해 다량의 지폐가 적재부에 접촉되거나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는 등의 방해없이 적재부와 밀접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여 수납고로 수납되되,
    상기 적재부에는 자유 낙하하지 못한 잔류지폐가 적재부에 남아있는지 인식하는 센서; 및 스테이지의 적재부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잔류지폐가 인식된 경우 상기 잔류지폐를 구름 접촉함에 의해 강제로 하방으로 피딩하는 잔류지폐 강제 피딩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잔류지폐 강제 피딩수단은,
    스테이지의 적재부 반대쪽 일측에 구비되어 센서가 잔류지폐 인식 시 적재부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및 적재부에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와 마주보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가 잔류지폐를 압박하면 상기 잔류지폐에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는 강제 피딩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는,
    잔류지폐와 접촉되는 아이들 롤러; 상기 아이들 롤러가 힌지 결합되는 어셈블리 바디; 상기 어셈블리 바디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가 적재부 쪽으로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리니어 가이드; 및 상기 리니어 가이드 상에서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며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의 슬라이딩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는,
    지폐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는 리드스크류가 부가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스테이지가 지폐 적재방향으로 정밀하게 슬라이딩 구동되면서 개방되는,
    지폐 수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기립수단은 한쌍의 지폐 지지편이 탄발 스프링에 의해 눌림이 지지되는 구성을 가지며, 적재부에 지폐가 적재되는 양에 비례하여 상기 지폐 지지편이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눌러지는,
    지폐 수납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와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사이에는 적재부 쪽으로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를, 스테이지가 리드스크류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지폐 적재 방향 반대쪽으로 후퇴할 때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이동 전 위치로 반환하기 위한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복귀수단이 더 구비되는,
    지폐 수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전기력이 인가됨에 따라 지폐의 적재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인입,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인입출 구동에 따라 함께 인입,출 구동되며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의 걸고리에 끼워져 잠금되거나 걸고리에서 빠져나와 잠금해제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지폐 수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와 플런저 사이에는 인입,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링크부재가 더 구비되는,
    지폐 수납장치.
  10. 지폐투입부로 투입된 지폐를 이송라인에서 이송 간 계수함과 동시에 지폐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함에 의해 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된 지폐는 적재부로 적재하고, 비정상적인 지폐로 판별된 지폐는 반출부로 반출하는 계수 및 적재 모드;
    상기 계수 및 적재 모드 후, 적재부의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스테이지가 개방되면서 적재부에 적재된 지폐가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여 수납고로 수납되는 자유 낙하 수납 모드; 및
    상기 자유 낙하 수납 모드 후, 적재부에 남아있는 잔류지폐가 센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여 수납고로 수납하는 잔류지폐 제거 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부에는 자유 낙하하지 못한 잔류지폐가 적재부에 남아있는지 인식하는 센서; 및 스테이지의 적재부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잔류지폐가 인식된 경우 상기 잔류지폐를 구름 접촉함에 의해 강제로 하방으로 피딩하는 잔류지폐 강제 피딩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잔류지폐 강제 피딩수단은,
    스테이지의 적재부 반대쪽 일측에 구비되어 센서가 잔류지폐 인식 시 적재부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 및 적재부에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와 마주보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가 잔류지폐를 압박하면 상기 잔류지폐에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는 강제 피딩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는,
    잔류지폐와 접촉되는 아이들 롤러; 상기 아이들 롤러가 힌지 결합되는 어셈블리 바디; 상기 어셈블리 바디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가 적재부 쪽으로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한쌍의 리니어 가이드; 및 상기 리니어 가이드 상에서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며 아이들 롤러 및 어셈블리 바디의 슬라이딩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는,
    지폐 수납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 지폐가 적재될 때에는 소정의 지폐기립수단에 의해 지폐가 적재부에 정전력에 의해 부착되지 않도록 지폐와 적재부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는,
    지폐 수납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낙하 수납 모드와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잔류지폐의 제거 시까지 교대로 반복해서 수행되는,
    지폐 수납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적재부에 남아있는 잔류지폐에 강제 피딩롤러가 접촉한 후 상기 잔류지폐에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여 제거하는 것인,
    지폐 수납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지폐 제거 모드는, 적재부에 남아있는 잔류지폐에 아이들 롤러 어셈블리가 접근하여 적재부쪽으로 눌러 압박한 후 적재부에 구비된 강제 피딩롤러가 상기 잔류지폐에 구름 접촉되면서 잔류지폐를 하방으로 강제 피딩하여 제거하는 것인,
    지폐 수납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40284A 2020-04-02 2020-04-02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0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84A KR102305823B1 (ko) 2020-04-02 2020-04-02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84A KR102305823B1 (ko) 2020-04-02 2020-04-02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823B1 true KR102305823B1 (ko) 2021-09-30

Family

ID=7792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84A KR102305823B1 (ko) 2020-04-02 2020-04-02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8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148A (ja) * 1998-12-14 2000-06-30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入金装置
JP2008129987A (ja) * 2006-11-24 2008-06-0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KR20120033233A (ko) * 2010-09-29 2012-04-06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KR101396382B1 (ko) 2009-11-05 2014-05-19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금 장치
KR102094231B1 (ko) * 2018-10-12 2020-03-30 주식회사 푸른기술 에스크로 기능을 갖는 입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148A (ja) * 1998-12-14 2000-06-30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入金装置
JP2008129987A (ja) * 2006-11-24 2008-06-0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KR101396382B1 (ko) 2009-11-05 2014-05-19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입금 장치
KR20120033233A (ko) * 2010-09-29 2012-04-06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KR102094231B1 (ko) * 2018-10-12 2020-03-30 주식회사 푸른기술 에스크로 기능을 갖는 입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1609B1 (en) Multi-banknote cassette with movable stopper and banknote stacking method thereof
JP2010044717A (ja) 紙葉類処理装置
TWI694417B (zh) 給紙托盤,給紙裝置,以及回流式紙片處理裝置
KR101085380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970006031B1 (ko) 지폐 자동지불장치
KR102305823B1 (ko) 지폐 수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308216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965857B1 (ko) 매체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2361651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101775779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CN108961535B (zh) 纸币处理装置
WO201317208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H08198493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2001084424A (ja) 紙幣入金処理機における紙幣挿入口装置
JPH0746395B2 (ja) 紙幣出納装置
KR10167259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CN213211153U (zh) 出入钞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KR10125268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시스템
JP3220887B2 (ja) 紙葉類取扱装置
CN211979752U (zh) 薄片类介质集积分离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CN211979754U (zh) 入币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CN107430796B (zh) 纸币处理装置
KR20170094218A (ko) 지폐 처리 장치
JP2985343B2 (ja) 紙幣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