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036A -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036A
KR20080022036A KR1020070079865A KR20070079865A KR20080022036A KR 20080022036 A KR20080022036 A KR 20080022036A KR 1020070079865 A KR1020070079865 A KR 1020070079865A KR 20070079865 A KR20070079865 A KR 20070079865A KR 20080022036 A KR20080022036 A KR 2008002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banknote
space
paper
flexib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라 노미야마
리이찌 가또오
신지 시바따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65H29/2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65H83/025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onto and from the same side of the pile or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9Other means designated for special purpose
    • B65H2404/694Non driven means for pressing the handled material on forwarding or guiding elements
    • B65H2404/6942Non driven means for pressing the handled material on forwarding or guiding elements in sliding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3Edges trail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지폐의 집적 및 분리 성능을 고신뢰로 유지한 상태로 집적 분리 기구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지폐를 수납하는 공간과, 이 공간으로의 지폐의 도입과 이 공간으로부터의 송출을 행하는 지폐 반송 수단과, 상기 도입과 송출시의 상기 지폐를 안내하는 지폐 가이드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지폐를 압박하는 지폐 규제 수단을 구비한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 규제 수단은 상기 지폐 가이드의 상기 공간측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강하하고, 이 강하된 상기 지폐 규제 수단을 밀어올려 강성을 상기 지폐에 부여하는 지폐 변형 부여 부재를 구비했다.
지폐 입출금 장치, 지폐 판별부, 수납 방출고, 지폐 규제 수단, 제어부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PAPER SHEET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엽류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 기관에서 사용되는 지엽류의 자동 거래 장치에 내장되는 지엽류 취급 장치(이하, 지폐 취급 장치를 대표예로 하여 설명함)에는 수납 방출고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수납 방출고는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는 동시에, 수납된 지폐를 출금용으로서 방출하는(소위 지폐의 환류 이용) 것이다. 이 수납 방출고에는 지폐를 도입하기(이하, 집적이라 함) 위한 지폐 도입구와 지폐를 송입(이하, 분리라 함)하기 위한 지폐 방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지폐 도입구와 지폐 방출구를 공통화함으로써 공간 절약화나 부품 개수 절약화가 가능하게 되어, 수납 방출고의 소형화로 이어진다. 이 수납 방출고는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이 수납부에 수납하는 지폐가 집적되는 집적 공간과, 이 집적 공간에 지폐를 집적 또는 수납부로부터 지폐를 분리하는 집적 분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폐 취급 장치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집적 공간에 집적되는 집적 지폐의 선단부가 집적 완료된 지폐와 간섭하지 않고, 또한 집적 지폐의 후단부가 후속의 지폐의 선단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접힘 경 향이나 컬 경향이 생겨버린 지폐를 취급하는 경우나, 지폐 취급 장치가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 있는 경우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인 수단으로서, 회전하는 임펠러를 지폐 도입구 부근에 배치하여, 집적한 지폐의 후단부를 두들겨 떨어뜨리는 구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임펠러가 회전할 때에 소음을 발생하는 것이나 임펠러가 회전하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의 장벽으로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여기서 말하는 임펠러는 후술하는 시트 롤러임).
임펠러를 이용하지 않고 지폐의 후단부를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캠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6014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지폐를 집적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캠 형상의 지폐 지지 수단을 동작시키고 있다. 그러나 제어 에러 등의 원인으로 지폐를 집적하는 타이밍과 지폐 지지 수단을 동작시키는 타이밍이 어긋나면 지폐가 캠 형상의 지폐 지지 수단에 충돌하여 집적 불량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령 지폐 지지 수단의 동작이 정상이라도 캠 형상의 지폐 지지 수단이 지폐를 개방한 후 후속의 집적 지폐가 집적 공간에 집적할 때까지의 동안에, 지폐 지지 수단이 규제하고 있었던 지폐의 접힘 경향 형상이 복원되어 버려 복원된 지폐가 지폐 도입구에 개재되어 후속의 집적 지폐와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된 지폐의 집적 및 분리를 행할 수 있는 소형의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수납하는 공간으로의 지엽류의 도입과 공간으로부터의 송출을 행하는 지엽류 반송 수단과, 상기 도입과 송출시의 상기 지엽류를 안내하는 지엽류 가이드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는 지엽류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이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가이드의 상기 공간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돌출한 상기 지폐 규제 수단은 상기 공간에 수납된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가이드의 상기 공 간측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돌출하고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가이드의 상기 공간측 방향으로 탄성 부재를 통해 돌출하고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수납하는 공간으로의 지엽류의 도입과 공간으로부터의 송출을 행하는 지엽류 반송 수단과, 상기 도입과 송출시의 상기 지엽류를 안내하는 지엽류 가이드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는 지엽류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이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가이드의 상기 공간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돌출한 상기 지폐 규제 수단을 밀어 올리는 강성력을 상기 지엽류에 부여하는 지엽류 변형 부여 부재를 구비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수납하는 공간으로의 지엽류의 도입과 공간으로부터의 송출을 롤러로 행하는 지엽류 반송 수단과, 상기 도입과 송출시의 상기 지엽류를 안내하는 지엽류 가이드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는 지엽류 규제 수단과, 상기 공간 내의 상기 지폐를 보유 지지하는 압박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지엽류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의 지엽류와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이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엽류 변형 부여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지엽류의 도입에는,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가 반송되어 올 때까지는 상기 공간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머물러 상기 공간 내의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고, 상기 지엽류가 상기 공간에 도입되면 상기 수납 지 엽류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지엽류의 상기 공간으로부터의 송출에는,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지엽류의 도입이며,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변형 부여 부재에 의해 강성이 부여된 상기 지엽류로 밀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지엽류의 송출이며, 상기 공간 내에는 상기 지엽류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압박판을 구비하고, 이 압박판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수납 완료된 지엽류와 상기 접촉하여 밀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지엽류의 도입이며, 상기 지엽류 변형 부여 부재는 상기 지엽류 가이드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지엽류의 송출에 있어서는 상기 지엽류 가이드로부터 퇴피하도록 출몰 가능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된 지폐의 집적 및 분리를 행할 수 있는 소형의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는 지폐를 수납 방출고에 집적하는 경우, 시트 롤러(이하, 임펠러라 함)로 지폐를 두들기도록 하여 수납하고 있었다. 이것은 지폐에 접힘 경향이나 장기간 사용에 의해 강성이 약해진 지폐를 수납고에 압박하면서 집 적시키기 위해서이다. 이 임펠러는 롤러의 외주에 복수매의 필름 시트로 이루어지는 날개가 방사형으로 설치된 것이고, 이 날개는 복원력이 높은 소재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임펠러는 좁은 공간에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폐를 항상 압박할 뿐만 아니라,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좁은 공간에서 날개가 변형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시트 자체에 변형 경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유지 상태에 있어서의 변형 경향을 회피하기 위해 임펠러가 수납되는 공간을 크게 취하면, 수납 방출고의 대형화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지폐 취급 장치의 대형화로 되어 버린다.
바꾸어 말하면,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방출고(7) 내의 수납 지폐를 압박하는 수단으로서 임펠러(98)가 주류이지만, 본 발명은 임펠러(98)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선부(99)의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지폐 취급 장치의 소형화의 장해로 되고 있었다. 따라서, 도18의 임펠러(98) 대신에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폐 규제 수단(704)을 집적 분리 가이드(705)측에 설치함으로써 지폐 취급 장치 전체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을 다양하게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실시예를 얻은 것이다.
또한, 이 임펠러(98)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방사형으로 설치된 날개는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반 원호 분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지폐를 집적할 때 반 원호 분의 날개로 지폐의 후단부를 압박하는 역할을 하지만, 지폐를 방출할 때에는 날개가 지폐의 진행에 장해로 되기 때문에 날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 다. 따라서, 이 임펠러(98)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집적과 분리에 따른 동작 제어가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일반적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에 있어서,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는, 고객의 거래 카드나 거래 명세표를 처리하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와 통장을 처리하는 통장 처리 기구(103)와 케이싱(104)과 거래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 조작부(105)와 지폐 입출금 장치(1)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106은 본체의 제어부이다.
도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에 있어서,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통장 처리 기구(103), 고객 조작부(105) 및 지폐 입출금 장치(1)는 버스(110)를 통해 본체 제어부(106)와 접속되어 있고, 본체 제어부(106)의 제어 하에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상기한 것 외에 인터페이스부(107)와 직원 조작부(108)와 외부 기억 장치(109)도 버스(110)에 접속되어 필요한 데이터의 교환이 행해진다(상세한 설명은 생략함). 또한, 상기 각 기구 구성 부분은 전원부(111)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도3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에 실장되는 지폐 입출금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있어서, 지폐 입출금 장치(1)는, 지폐를 출납하는 입출금구(2)와 지폐의 지폐 종류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3)와 입금된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의 동안에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일시 보관부(4)와 지폐 입출금 장치(1)의 각 구성 요소가 연결되고,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5)와 지폐 입출금 장치(1)에서 취급하는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 카세트를 갖는다.
또한, 지폐 카세트는 그 역할에 따라서 분류된다. 입금고는, 예를 들어 출금 지폐로서 이용하지 않는 지폐나 접힘 등이 생겨서 출금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금고이다. 수납 방출고는, 입금 및 출금을 위해 지폐를 지폐 종류별로 수납 및 방출하는 금고이다. 예를 들어 하나를 천엔 지폐용, 다른 하나를 만엔 지폐용의 수납 방출고로 함으로써 천엔 지폐, 만엔 지폐의 입출금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금고(6)와 수납 방출고(7)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 방출고(7)에 본 발명의 지폐 취급 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도4는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에 있어서, 제어부(9)는 본체 제어부(106)와 버스(110)를 통해 접속되고, 본체 제어부(106)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상태 검출에 따라서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제어를 행하여 상태 정보를 필요에 따라서 본체 제어부에 보낸다.
이하, 도5, 도6을 이용하여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입금 동작에 대해 서술한다.
도5는 지폐 입출금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6은 지폐 입출금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5, 도6에 있어서, 입출금구(2)에 투입된 지폐는 반송로(5)에 조출된다. 반송로(5)에 조출된 지폐는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되고, 지폐 판별부(3)에서 지폐 종류 및 매수를 확정하여 일시 보관부(4)에 일단 수납된다. 계속해서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보관부(4)에 수납된 지폐를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하고, 지폐 판별부(3)에서 지폐 상태를 판별하고, 리젝트 지폐이면 입금고(6)에 수납한다. 정상이라고 판단된 지폐는, 지폐 종류마다 수납 방출고(7)에 수납한다.
다음에, 도7을 이용하여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출금 동작에 대해 서술한다.
도7은 도6의 지폐 입출금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7에 있어서, 수납 방출고(7)에 수납하고 있는 지폐 중 출금하는 지폐를 반송로(5)에 조출한다. 반송로(5)에 조출된 지폐는 지폐 판별부(3)에서 지폐 종류 및 매수가 판별된 후, 입출금구(2)에 반송 집적된다.
다음에, 수납 방출고(7)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지폐 반송 수단은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피드 롤러(701)와 백업 롤러(702)에 상당하고, 상기한 지폐 가이드는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집적 분리 가이드(705)에 상당한다.
[제1 실시예]
도8은 지폐 입출금 장치(1)에 탑재하는 수납 방출고(7)의 정면도이다.
도9는 수납 방출고(7)에 지폐를 도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0은 수납 방출고(7)로부터 지폐를 방출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8, 도9, 도10에 있어서, 수납 방출고(7)는 지폐를 수평 자세에서 집적하는 세로 배치형의 지폐 카세트이고, 지폐의 수납과 조출을 행한다. 수납 방출고(7)는 주로 피드 롤러(701)와 백업 롤러(702)와 게이트 롤러(703)와 집적 지폐에 변형을 부여하는 변형 부여 부재(709)(도11에 도시함)와 지폐의 후단부를 규제하는 역할을 갖는 지폐 규제 수단(704)과 픽업 롤러(711)와 집적 분리 가이드(705)와 압박판(706)과 측판(708)과 가동 측판(710)과 측벽(713)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드 롤러(701)는 모터 등의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기어를 통해 구동되는 롤러이고, 집적 방향 및 분리 방향으로 회전한다. 백업 롤러(702)는 피드 롤러(701)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무구동의 롤러이다. 게이트 롤러(703)는 일 방향 클러치를 통해 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폐 집적 방향(도9 중의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하지만, 지폐 분리 방향(도9 중의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을 하지 않는다.
지폐 규제 수단(704)은 수납 방출고(7) 내의 수납 지폐를 압박하는 역할을 갖고, 그 회전축을 집적 분리 가이드(705)에 구비하고,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지폐 규제 수단(704)은, 그 자중(혹은 스프링 등을 구비함으로써, 자중 + 스프링력)의 힘에 의해 수납 지폐에 접힘 경향 등이 있어도 그들 지폐를 압박할 수 있을 정도로 크고, 또한 후술하는 변형 부여 부재(709)(도11에 도시함)에서 외관의 강성을 강하게 한 집적 지폐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질 정도로 작은 힘을 수납 지폐에 미치는 부재이다. 지폐 규제 수단(704)은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의 좌우를 압박하기 위해 두 개(혹은 그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업 롤러(711)는 피드 롤러(701)와 연결되어 있어, 집적 방향 및 분리 방향으로 회전한다.
측벽(713) 및 가동 측판(710)은 지폐의 사이즈에 맞추어 설치 위치의 설정을 할 수 있다. 측벽(713)의 폭은, 지폐의 폭 방향 사이즈보다 2 ㎜ 내지 10 ㎜ 정도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측판(708)과 가동 측판(710)의 사이의 거리가, 지폐 입출금 장치(1)가 취급하는 지폐의 치수보다 2 ㎜ 정도 크게 되도록 가동 측판(710)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변형 부여 부재(709)(도11에 도시함)는 지폐를 집적할 때, 반송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고, 대향하는 집적 분리 가이드(705)와 겹치는 것에 의해 집적 반송 중인 지폐에 변형을 부여하여, 지폐의 외관의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지폐를 방출할 때에는, 반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상태가 될 때까지 퇴피시켜, 지폐를 지체 없이 외부로 반송한다.
다음에, 수납 방출고(7)의 지폐 수납 동작을 설명한다.
처음으로, 집적 분리 가이드(705)가 도9에 도시하는 각도가 될 때까지 압박판(706)을 하강시킨다. 이 동작에 의해 집적 분리 가이드(705)와 수납 지폐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지폐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수납 방출고(7)에 반송되어 온 지폐를, 피드 롤러(701)-백업 롤러(702) 사이, 피드 롤러(701)-게이트 롤러(703) 사이에서 끼움 지지 반송하여, 집적 분리 가이드(705)와 수납 지폐의 사이의 공간에 도입한다.
여기서, 도11의 (a) 내지 도11의 (d)를 이용하여 지폐 수납 동작 중의 지폐 규제 수단(704)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11에서는, 지폐 규제 수단(704)은 자중으로 지폐를 압박하는 기구이지만,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규제 수단(704)을 스프링(730)으로 인장함으로써 지폐를 압박하는 힘을 조정해도 좋다.
도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규제 수단(704)은 수납 방출고(7)에 새롭게 지폐가 반송되어 올 때까지는 수납 공간 내의 수납 지폐의 단부를 압박하고 있다. 즉, 지폐 규제 수단(704)은 게이트 롤러(703)로부터 상방을 향해 일부가 돌출하여, 피드 롤러(701)와 가운데 끼인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11의 (b) 내지 도11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800)가 반송되어 오면 지폐(800)는 변형 부여 부재(709)에 의해 변형되면서 수납 방출고(7) 내에 반송된다. 이 변형 상태를 도12에 도시하면, 피드 롤러(701)로부터 게이트 롤러(703) 사이에서 화살표(811)의 방향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지폐(800)에 집적 분리 가이드(705)의 반력(812)과 변형 부여 부재(709)의 반력(813)이 부여되는 것이 되는 것에 의해, 지폐(800)에는 변형력이 부여되면서 수납 방출고(7) 내에 반송할 수 있다.
이 변형에 의해 지폐(800)에는 강성력이 가해지고, 수납 공간에 반송될 때, 수납 지폐(800)를 자중으로 압박하고 있었던 지폐 규제 수단(704)을 그 강성력으로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수납 방출고(7) 내에 진입한다. 이 변형 부여 부재(709)는 지폐를 집적하고 있는 동안 돌출하여 지폐에 변형을 부여해도 좋고, 예를 들어 지폐가 통과하고 있을 때만 돌출하고, 지폐가 통과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퇴피하도록 지폐 1매마다 돌출과 퇴피를 행해도 좋다.
지폐 규제 수단(704)은 지폐(800)로 들어 올려지기 직전까지 수납 방출고(7) 내의 수납 지폐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지폐의 단부가 지폐(800)의 단부와 충돌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지폐(800)의 후단부가 피드 롤러(701)로부터 게이트 롤러(703) 사이를 빠져나가면[도11의 (e)에 도시함] 지폐 규제 수단(704)은 하방으로 강하하여, 지폐(800)의 후단부를 압박한다[도11의 (f)에 도시함]. 도11의 (e)의 상태는 지폐 규제 수단(704)이 하강하기 직전의 상태이다.
지폐 규제 수단(704)이 지폐의 후단부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후속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지폐 규제 수단(704)이 하방으로 강하하는 타이밍은 지폐(800)의 강성이나 지폐 규제 수단(704)의 형상에 의해 변화된다. 그로 인해, 지폐(800)의 후단부가 피드 롤러(701)-게이트 롤러(703) 사이를 빠져나가기 전에 지폐 규제 수단(704)이 아래로 내려가도 좋다.
지폐(800)의 집적이 계속되면 머지않아 집적 분리 가이드(705)와 수납 지폐의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지폐 규제 수단(704)이 하방으로 강하할 수 없게 되어, 후속 지폐를 도입할 수 없게 된다. 그로 인해 지폐 수납 동작 중에 있어서의 집적 분리 가이드(705)의 각도를 센싱해 두고, 수납 지폐가 집적 분리 가이드(705)를 밀어올리면 이것을 검지하고, 집적 분리 가이드(705)가 소정의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도9에 나타내는 각도)가 될 때까지 압박판(706)을 하강시켜 집적 분리 가이드(705)와 수납 지폐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한다(이 제어 흐름을 도13에 나타냄).
다음에, 수납 방출고(7)의 지폐 방출 동작을 설명한다.
변형 부여 부재(709)는 반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방 출 동작에 있어서는 변형 부여 부재(709)는 지폐(800)가 충돌하지 않는 위치까지 퇴피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10에 도시한 압박판(706)은 도10 중의 상방으로 구동시킨다. 이 압박판(706)은 수납 지폐(800)가 집적 분리 가이드(705) 및 지폐 규제 수단(704)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픽업 롤러(711)가 상면의 지폐(800)와 접촉할 때까지 계속 압박하고, 접촉을 확인한 시점에서 일단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단, 지폐 규제 수단(70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 지폐(800)로 들어 올려지는 구조가 아닌,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으로 퇴피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 후, 픽업 롤러(711) 및 피드 롤러(701)를 분리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 지폐(800)는 1매씩 수납 방출고(7)의 외부로 분리 반송되는 것이 된다.
그런데, 게이트 롤러(703)는 일 방향 클러치의 효과에 의해 정지하고 있고, 픽업 롤러(711)에 의해 최상면의 지폐(800)를 분리 반송할 때에 2매째 이후의 지폐(800)에 브레이크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지폐(800)가 겹쳐서 수납 방출고(7)의 외부로 방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 방출 동작시에 집적 분리 가이드(705)의 각도를 따라서 압박판(706)의 상승/하강을 제어하고 있었지만, 지폐 규제 수단(704)의 위치에 따라서 압박판(706)을 제어해도 좋다. 즉, 지폐를 계속 도입하여, 집적 분리 가이드(705)와 수납 지폐의 사이에 있는 지폐가 지폐 규제 수단(704)을 밀어 올리고 있는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0.5초)을 넘으면, 지폐 규제 수단(704)이 집적 분리 가이드(705)로부터 소정량(예를 들어 5 ㎜) 돌출할 때까지 압박판(706)을 하강시켜도 좋다. 또한, 집적 분리 가이드(705)의 각도와 지폐 규제 수단(704) 의 위치의 양방의 상태에 따라서 압박판(706)을 제어해도 좋다. 이 제어 흐름을 도14에 나타낸다.
또한, 일단 수납 공간에 들어간 지폐의 후단부가, 다시 상승하여 후속의 지폐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17에 도시하는 지폐 보유 지지 수단(731)을 구비해도 좋다. 이 지폐 보유 지지 수단(731)은, 압박판의 하강 등에 의해 지폐가 지폐 보유 지지 수단(731)의 아래에 위치한 경우, 그 후에 지폐 단부가 후속의 집적 지폐와 간섭하지 않도록, 지폐 단부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이 지폐 보유 지지 수단(731)은, 지폐를 외부로 분리할 때에는 퇴피하는 구조가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지폐 규제 수단(704)은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했지만, 도시하지 않은 지폐 검지 수단을 이용하여 지폐의 도입 타이밍을 계측하고, 그 타이밍에 맞추어 구동 제어시키는 기구라도 좋다. 예를 들어, 지폐가 수납 공간에 들어가기 직전에 지폐 규제 수단(704)을 퇴피시키거나, 지폐가 수납 공간에 소정량(예를 들어, 지폐의 진행 방향 길이의 3분의 2) 진입한 시점에서 지폐 규제 수단(704)을 돌출시켜 지폐를 압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지폐 상태 검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지폐의 강성 등을 파악하고, 소정의 강성 이하의 경우에만 지폐 규제 수단(704)을 구동하고, 그것 이외의 강성이 강한 지폐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 자체가 지폐 규제 수단(704)을 들어올리도록 제어해도 좋다.
지폐 규제 수단(704)을 구동하는 경우,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규 제 수단(704)은 상하로 돌출하는 기구가 아닌, 예를 들어 원 궤적을 그리도록 움직이는 부재라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취급 대상을 지폐로 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엽류 전반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1. 수납하는 공간으로의 지폐의 도입과 공간으로부터의 송출을 행하는 지엽류 반송 수단과, 상기 도입과 송출시의 상기 지엽류를 안내하는 지엽류 가이드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는 지엽류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이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가이드의 상기 공간측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강하하고, 강하된 상기 지폐 규제 수단을 밀어올리는 강성력을 상기 지엽류에 부여하는 지엽류 변형 부여 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2. 수납하는 공간으로의 지폐의 도입과 공간으로부터의 송출을 롤러로 행하는 지엽류 반송 수단과, 상기 도입과 송출시의 상기 지엽류를 안내하는 지엽류 가이드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는 지엽류 규제 수단과, 상기 공간 내의 상기 지폐를 보유 지지하는 압박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압박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폐를 압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의 지엽류와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이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엽류 변형 부여 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3. 상기 지엽류의 도입에는,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가 반송되어 올 때까지는 상기 공간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머물러 상기 공간 내의 상기 지엽 류를 압박하고, 상기 지엽류가 상기 공간에 도입되면 상기 수납 지엽류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지엽류의 상기 공간으로부터의 송출에는,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4. 상기 지폐의 도입이며, 상기 지폐 규제 수단은 상기 지폐 변형 부여 부재에 의해 강성이 부여된 상기 지폐로 밀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5. 상기 지폐의 송출이며, 상기 공간 내에는 상기 지폐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압박판을 구비하고, 이 압박판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폐 규제 수단은 상기 수납 완료된 지폐와 상기 접촉하여 밀어 올려지도록 한 것이다.
6. 상기 지폐의 도입에 있어서는 상기 변형 부여 부재는 상기 지폐 가이드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지폐의 송출에 있어서는 상기 지폐 가이드로부터 퇴피하도록 출몰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지폐 입출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제1 실시예의 지폐 입출금 장치의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제1 실시예의 입금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제1 실시예의 입금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제1 실시예의 출금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지폐 입출금 장치에 탑재되는 수납 방출고의 상면도.
도9는 수납 방출고에 지폐를 수납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0은 수납 방출고로부터 지폐를 방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1은 지폐 규제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지폐가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실시예의 압박판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실시예의 압박판의 다른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스프링력을 부여한 지폐 규제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지폐 보유 지지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종래의 임펠러를 이용한 지폐 압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지폐 규제 수단을 이용한 지폐 압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 입출금 장치
3 : 지폐 판별부
7 : 수납 방출고
9 : 제어부
101 : 현금 자동 거래 장치
704 : 지폐 규제 수단
709 : 변형 부여 부재

Claims (7)

  1. 지엽류를 수납하는 공간에 대해 지엽류의 도입과 송출을 행하는 지엽류 반송 수단과, 상기 공간에 대해 지엽류를 도입할 때나 송출할 때에 상기 지엽류를 안내하는 지엽류 가이드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지엽류를 압박하는 지엽류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지엽류를 상기 공간에 도입할 때에 상기 공간 내의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반송 수단에 접촉할 수 없게 될 정도로 상기 지엽류 반송 수단을 덮도록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이 상기 지엽류 가이드로부터 상기 공간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엽류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가이드로부터 상기 공간으로 자중에 의해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가이드로부터 상기 공간으로 탄성 부재를 통해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돌출한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을 상기 지엽류 가이드측으로 이동시키는 정도의 힘을 지엽류에 부여하는 지엽류 변형 부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엽류가 반송되어 올 때까지는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공간으로 돌출한 상태로 머무르고, 지엽류가 상기 공간에 도입되면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상기 지엽류 가이드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도입되는 지엽류로부터 힘을 받음으로써 상기 지엽류 가이드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의 지엽류를 송출할 때에, 상기 지엽류 규제 수단은 지엽류로부터 힘을 받음으로써 상기 지엽류 가이드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070079865A 2006-09-05 2007-08-09 지엽류 취급 장치 KR200800220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9695 2006-09-05
JP2006239695A JP2008063025A (ja) 2006-09-05 2006-09-05 紙葉類取扱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036A true KR20080022036A (ko) 2008-03-10

Family

ID=3892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865A KR20080022036A (ko) 2006-09-05 2007-08-09 지엽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54559A1 (ko)
EP (1) EP1897832A3 (ko)
JP (1) JP2008063025A (ko)
KR (1) KR20080022036A (ko)
CN (1) CN1011390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410803A1 (en) * 2018-03-13 2020-12-31 Shandong New Beiyang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Banknote collection and separation apparatus and cash recycling and handl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2512B2 (ja) * 2008-10-29 2013-11-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構
JP5585169B2 (ja) * 2010-03-31 2014-09-10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5363531B2 (ja) * 2011-06-13 2013-12-1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渦型羽根車式集積装置
JP2013239075A (ja) * 2012-05-16 2013-11-28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CN103400442B (zh) 2013-08-05 2015-11-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金融自助设备及其叶轮式纸币分离装置
CN104599395B (zh) * 2015-01-26 2017-12-1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升降机构及其工作方法
CN108573566B (zh) * 2017-03-13 2021-01-1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钞箱及使用该钞箱的钞票处理装置
JP6968692B2 (ja) * 2017-12-27 2021-11-17 日立チャネ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47056A (en) * 1964-02-11 1966-11-02 Leipziger Buchbindereimaschi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stacking folded sheets
JPS5960594A (ja) * 1982-09-29 1984-04-06 富士通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H0756278Y2 (ja) * 1989-12-28 1995-12-25 エイム工業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JP2762336B2 (ja) * 1992-09-17 1998-06-0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の収納繰り出し装置
EP0967581A3 (en) * 1998-06-26 2004-06-09 Hitachi, Ltd.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JP2005010967A (ja) * 2003-06-18 2005-01-13 Hitachi Ltd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410803A1 (en) * 2018-03-13 2020-12-31 Shandong New Beiyang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Banknote collection and separation apparatus and cash recycling and handling device
US11881071B2 (en) * 2018-03-13 2024-01-23 Shandong New Beiyang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Banknote collection and separation apparatus and cash recycling and hand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9051A (zh) 2008-03-12
EP1897832A2 (en) 2008-03-12
EP1897832A3 (en) 2008-07-23
JP2008063025A (ja) 2008-03-21
US20080054559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530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20080022036A (ko) 지엽류 취급 장치
KR100330326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JP5340030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292012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861007B2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7062918A (ja) 紙葉類堆積装置
JP2003160271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5010967A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830770B1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KR20090117621A (ko) 지폐 입출금 장치, 현금 자동 거래장치, 지폐 집적 방법, 및 지폐 집적 프로그램
JP2000048234A (ja) 紙葉類収納機構
JP201622486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JP4446249B2 (ja) 紙幣入出金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6021860A (ja) 紙葉類集積分離装置
KR20090054058A (ko) 지폐입출금장치 및 지폐입출금방법
CN108961535B (zh) 纸币处理装置
JP2010052884A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516871B1 (ko) 용지류 집적 장치 및 용지류 취급 장치
JP2007041826A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CN109920123B (zh) 纸片类收纳装置、纸片类处理装置
JP2009007133A (ja) 紙葉類集積装置
JP5563523B2 (ja) 紙葉類収納カセット繰出負荷低減機構
JP2007091436A (ja) 紙幣入出金装置を備えた現金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