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327A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327A
KR20120030327A KR1020117002280A KR20117002280A KR20120030327A KR 20120030327 A KR20120030327 A KR 20120030327A KR 1020117002280 A KR1020117002280 A KR 1020117002280A KR 20117002280 A KR20117002280 A KR 20117002280A KR 20120030327 A KR20120030327 A KR 2012003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holding
gear
pair
retain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2561B1 (ko
Inventor
토모나리 우마코시
신지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3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electrically 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6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출력축과 스풀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클러치 기구의 동작성이 높으며, 또한 클러치 기구의 구조가 간단한 웨빙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클러치의 입력 기어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연결 폴에 간섭부(152)가 간섭하는 간섭편(140)은, 기부(142)가 기어박스(52)에 형성된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로 끼워 들어감으로써,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와 내측 유지링(148)의 외주부에 기부(142)가 압입접촉하고 있다.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 및 내측 유지링(148)의 외주부와 기부(142) 사이의 최대 정지 마찰력을 초과하는 가압력이 연결 폴로부터 간섭부(152)에 부여될 때까지, 간섭부(152)는 연결 폴에 계속 간섭하며, 이에 따라 연결 폴을 회동시킨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를 구성하는 웨빙 벨트를 감아 격납하기 위한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차량 전방의 장해물까지의 거리가 소정값 미만이 된 경우에 모터를 작동시켜, 이 모터의 구동력으로 스풀(spool)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탑승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있는 웨빙 벨트(webbing belt)를 감고, 웨빙 벨트가 약간 느슨해지는, 소위 「슬랙(slack)」을 제거하는 웨빙 권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모터의 출력축과 스풀 사이에는 클러치가 개재(介在)되어 있다. 클러치는 모터의 구동력이 전해져 회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회전반(回轉盤)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반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가 권취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폴(pawl)이 회전반에 설치된 가압편에 가압되고 회동하여, 스풀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한 어댑터의 외부 기어에 폴이 걸림결합한다. 이에 따라,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어댑터를 통해 스풀에 전해져 스풀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웨빙 권취 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기구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면, 브레이크편이 클러치의 마찰 링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마찰 링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한다. 권취 방향으로의 마찰 링의 회전이 억제되면, 상기 회전반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모터의 구동력으로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된 회전반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하여, 상기와 같이 폴이 어댑터의 외부 기어에 서로 맞물리도록 회동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42788호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통상시에는 모터의 출력축과 스풀을 분리하여, 모터가 구동했을 때에 모터의 출력축과 스풀을 연결하기 위한 클러치나, 이 클러치의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이 복잡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기구에 요구되는 부품 개수가 많아 비용이 고가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모터의 출력축과 스풀 사이에 개재하는 클러치 기구의 동작성이 높고, 또한 클러치 기구의 구조가 간단한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띠 형상(band-shaped)의 웨빙 벨트(webbing belt)의 길이 방향 기단(基端)측이 걸림고정되고, 권취 방향(winding direction)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웨빙 벨트를 그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감는 스풀(spool)과, 상기 스풀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과, 작동함으로써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출력축의 회전이 전해져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변위함으로써 상기 스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상기 스풀에 전하는 회전 전달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유지 수단과, 상기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으로 상기 한 쌍의 유지부에 압입접촉한 상태로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른 소정 크기 이상의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한 쌍의 유지부로 안내되어 상기 회전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회전 전달 수단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 전달 수단에 간섭하여, 또는 상기 회전 전달 수단에 대한 간섭을 해소하여, 상기 스풀에 대하여 연결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전달 수단의 변위를 허용하는 간섭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모터가 작동하면 모터의 출력축이 회전한다.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은 회전체에게 전해져 회전체를 회전시킨다. 회전체에는 회전 전달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회전 전달 수단이 회전체와 함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스풀을 지지하는 프레임에는 유지 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유지 수단에는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지부 사이에 간섭 수단이 끼워 들어가 유지되어 있다. 간섭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전달 수단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간섭 수단이 회전 전달 수단에 간섭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간섭 수단의 초기 상태라면, 회전체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전달 수단이 간섭 수단에 간섭되어 변위 허용 상태가 된다. 이에 반하여, 간섭 수단이 회전 전달 수단에 간섭하고 있는 상태가 간섭 수단의 초기 상태라면, 회전체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전달 수단에 대한 간섭 수단의 간섭이 해소되어 변위 허용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간섭 수단이 초기 상태로부터 변위 허용 상태로 되면, 회전체에 대한 회전 전달 수단의 변위가 허용되어 회전체에 대하여 회전 전달 수단이 변위함으로써 회전 전달 수단이 스풀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회전 전달 수단이 스풀에 연결됨으로써, 회전체가 회전 전달 수단을 통해 스풀에 연결되며, 회전체의 회전력이 스풀에 전해져, 스풀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스풀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있는 웨빙 벨트가, 그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스풀에 감겨, 웨빙 벨트가 근소하게 느슨해지는, 소위 「슬랙(slack)」이 제거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체의 회전력을 스풀에 전하기 위한 회전 전달 수단을 스풀에 연결하기 위하여, 회전 전달 수단을 변위시키기 위한 구성은,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대향한 한 쌍의 유지부를 가지는 유지 수단과 간섭 수단으로 구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개수도 적으며,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간섭 수단은 유지 수단의 유지부에 압입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체와 함께 회전 전달 수단이 회전하면, 간섭 수단이 확실하게 회전 전달 수단에 간섭하며, 이에 따라 회전 전달 수단이 회전체에 대하여 변위하여, 스풀에 연결되므로 동작성도 좋다.
게다가, 간섭 수단은 한 쌍의 유지부에 압입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간섭 수단과 한 쌍의 유지부 사이의 최대 정지 마찰력을 초과하는 크기로 회전 전달 수단이 간섭 수단을 권취 방향으로 가압하면, 간섭 수단은 한 쌍의 유지부로 안내되어 회전하므로, 회전 전달 수단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 나아가서는, 회전체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특별히 규제되지 않는다.
게다가, 간섭 수단을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부는 모두 유지 수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 유지부 사이의 치수 오차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간섭 수단과 한 쌍의 유지부 사이의 최대 마찰력의 크기에 큰 격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각 독립한 복수의 부재에 간섭 수단을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이러한 부재의 조립이 종료될 때까지 간섭 수단이 확실하게 유지되지 않고, 조립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간섭 수단을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부는 모두 유지 수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유지부에 간섭 수단을 유지시킨 상태로 유지 수단을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어, 조립 시의 작업성도 좋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끼워 들어감으로써 자신의 탄성에 저항하여 벤딩되어 길이 방향 양단측이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어느 일방에 압입접촉하는 판 형상의 압입접촉부와, 두께 방향이 상기 압입접촉부의 두께 방향을 따른 판 형상으로, 상기 압입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 전달 수단에 대하여 간섭 가능한 간섭부를 포함하여 상기 간섭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 의하면,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압입접촉부가 벤딩되어 끼워 들어간 간섭 수단은, 간섭부가 회전체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전달 수단과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전달 수단에 간섭 수단이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회전체와 함께 회전 전달 수단이 회전하여 회전 전달 수단이 간섭 수단의 간섭부에 간섭되면, 간섭 수단의 간섭부는 회전 전달 수단에 가압 된다.
그렇지만, 압입접촉부가 한 쌍의 유지부의 어느 일방에 압입접촉하고 있으므로, 회전 전달 수단이 간섭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크기가, 압입접촉부와 일방의 유지부 사이의 최대 정지 마찰력을 상회할 때까지 간섭 수단이 회전 전달 수단에 가압되어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섭 수단의 이동이 발생할 때까지 간섭 수단의 간섭부가 회전 전달 수단에 계속 간섭하여 간섭부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회전 전달 수단이 회전체에 대하여 변위하고, 이에 따라 회전 전달 수단이 스풀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또는 회전 전달 수단과 스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연결이 해소된다.
여기서, 미리 압입접촉부가 벤딩되도록 압입접촉부를 성형하여,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압입접촉부가 끼워 들어가는 구성에서는, 압입접촉부의 벤딩 상태에 의해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압입접촉부가 끼워 들어간 상태로 압입접촉부가 일방의 유지부를 가압하는 힘의 크기가 변경되며, 나아가서는, 압입접촉부와 일방의 유지부 사이의 최대 정지 마찰력의 크기가 변경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서는, 압입접촉부의 벤딩 상태를 관리해야만 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간섭 수단의 압입접촉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끼워 들어감으로써 압입접촉부는 스스로의 탄성에 저항하여 벤딩되며, 이 벤딩에 의해 한 쌍의 유지부의 어느 일방에 압입접촉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끼워 들어가기 전 상태에서 압입접촉부는 평판 형상이므로, 특별한 관리가 불필요하고, 불량도 발생하기 어려워, 비용이 염가로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유지부를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서의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의 세워 설치된 방향측의 선단(先端)에 면이 접하는 접촉부를 상기 간섭 수단에 설치하며, 또한,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세워 설치된 방향 선단측으로의 방향과 반대 방향측의 상기 간섭 수단의 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에서의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선단과의 접촉면까지의 상기 세워 설치된 방향을 따른 길이를,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상기 세워 설치된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짧게 설정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 의하면, 유지 수단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끼워 들어가는 간섭 수단에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한 쌍의 유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선단(즉, 유지 수단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유지부의 세워 설치된 방향측의 선단)에 접촉부가 접촉한다.
여기서, 간섭 수단이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끼워 들어간 상태에서, 유지 수단으로부터의 한 쌍의 유지부의 세워 설치된 방향 선단측과는 반대 방향측의 간섭 수단의 단부로부터, 접촉부의 유지부에 접촉하는 면까지의 유지부의 세워 설치된 방향을 따른 길이는, 유지 수단으로부터의 유지부의 세워 설치된 치수(유지 수단으로부터의 유지부의 높이)보다 짧다. 이 때문에, 접촉부가 유지부에 접촉함으로써, 간섭 수단은 유지부의 기단측에서 유지 수단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간섭 수단이 회전 전달 수단에 가압되어 회전하여도,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서 간섭 수단이 유지 수단에 걸리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클러치 기구의 동작성이 높고, 또한, 클러치 기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회전 전달 수단이 변위하여 스풀에 회전을 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한 측면도이다.
도 4는 간섭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간섭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간섭 수단을 유지 수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간섭 수단을 유지 수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유지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9는 회전 전달 수단이 변위하여 스풀에 회전을 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에 대응한 측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10)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10)는, 예를 들면, 차량의 골격 부재나 보강 부재 등의 차체 구성 부재에 고정되는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2)은 차체에 대한 설치 상태에서, 대략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레그판(14, 16)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레그판(14, 16) 사이에는 스풀(18)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18)은 축방향이 레그판(14)과 레그판(16)의 대향 방향을 따른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18)에는 긴 띠 형상(elongated band shape)으로 형성된 웨빙 벨트(20)의 길이 방향 기단부가 걸림고정되어 있다. 스풀(18)은 그 중심 축선 주위의 일방인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웨빙 벨트(20)를 그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감아 격납하며, 예를 들면, 탑승자가 신체에 웨빙 벨트(20)를 장착할 때에, 웨빙 벨트(20)를 잡아 당기면, 스풀(18)에 감겨 있는 웨빙 벨트(20)가 인출(引出)되면서, 권취 방향과는 반대인 인출 방향으로 스풀(18)이 회전한다.
스풀(18)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샤프트(torsion shaft)가 설치되어 있다. 비틀림 샤프트는 축방향이 스풀(18)의 축방향을 따른 막대 형상의 부재로 되어 있다. 비틀림 샤프트는 레그판(14)측의 단부보다 레그판(16)측에서 스풀(18)에 대하여 동축으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스풀(1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레그판(14)의 레그판(16)과는 반대측에는 락(lock) 수단으로서의 락 기구(22)의 하우징(24)이 레그판(14)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비틀림 샤프트의 레그판(14)측의 단부는 스풀(18)의 중심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2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24)의 내측에는,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작동하며, 작동함으로써 비틀림 샤프트의 레그판(14)측의 단부가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소위 「VSIR 기구」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나, 비틀림 샤프트가 급격하게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하며, 작동함으로써 비틀림 샤프트의 레그판(14)측의 단부가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소위 「WSIR 기구」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게다가, 레그판(14)의 레그판(16)과는 반대측에는 강제 인장(引張) 수단으로서의 프리텐셔너(26; pretensioner)가 설치되어 있다. 프리텐셔너(26)는 차량 급감속 상태에서 작동하며, 작동함으로써 상기 비틀림 샤프트의 레그판(14)측의 단부 또는 스풀(18)에 대해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여, 스풀(18)을 강제적으로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레그판(14)과 레그판(16) 사이의 스풀(18)의 하측에는 모터(40)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4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으로서의 ECU를 통해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와,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이나, 차량 전방의 장해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더 장치 등의 전방 감시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방 감시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이나 차량 전방의 장해물까지의 거리가 일정 값 미만이 되었다고 ECU가 판정하면, ECU가 모터(40)를 작동시킨다. 모터(40)는 출력축(42)의 축방향이 스풀(18)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출력축(42)의 선단측은 레그판(16)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레그판(16)의 외측(레그판(16)의 레그판(14)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게다가, 레그판(16)의 레그판(14)과는 반대측에는 구동력 전달 기구(5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 기구(50)는 레그판(16)의 레그판(14)과는 반대측에서 레그판(16)에 장착된 유지 수단으로서의 기어 박스(52)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 박스(52)는 레그판(16)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 박스(52)의 바닥부에는 구멍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레그판(16)의 구멍부를 통과한 모터(40)의 출력축(42)이 구멍부(54)를 통과하여 기어 박스(52)의 내측으로 끼워 들어가 있다.
기어 박스(52)에 끼워 들어간 출력축(42)의 선단측에는, 외부 기어로 평 기어(56; spur gear)가 출력축(42)에 대해 동축이며,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기어(56)의 측방에서는, 기어 박스(52)의 바닥부에 지지축(5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58)은 축방향이 출력축(42)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지지축(58)에는 2단 기어(60)가 지지축(58)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단 기어(60)는 외부 기어로 평 기어의 대(大)직경 기어(62)를 구비하고 있다. 대 직경 기어(62)는 기어(56)보다 대직경이고, 기어(56)보다 톱니 수가 많게 설정되어 있으며, 기어(56)에 서로 맞물려 있다. 대직경 기어(62)의 축방향 측방에는, 대직경 기어(62)보다 소(小)직경으로 된 외부 기어로 평 기어의 소직경 기어(64)가 대직경 기어(62)에 대하여 동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2단 기어(60)의 회전 반경 방향 측방에서는, 기어 박스(52)의 바닥부에 지지축(6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68)은 축방향이 출력축(42)이나 지지축(58)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지지축(68)에는 2단 기어(70)가 지지축(68)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단 기어(70)는 외부 기어로 평 기어의 대직경 기어(72)를 구비하고 있다. 대직경 기어(72)는 소직경 기어(64)보다 대직경이며, 소직경 기어(64)보다 톱니 수가 많게 설정되어 있으며, 소직경 기어(64)에 서로 맞물려 있다. 대직경 기어(72)의 축방향 측방에는, 대직경 기어(72)보다 소직경으로 된 외부 기어로 평 기어의 소직경 기어(74)가 대직경 기어(72)에 대해 동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2단 기어(70)의 회전 반경 방향 측방에서는, 기어 박스(52)의 바닥부에 지지축(78)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78)은 축방향이 출력축(42)이나 지지축(58, 68)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지지축(78)에는 외부 기어로 평 기어의 기어(80)가 지지축(78)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80)는 소직경 기어(74)보다 대직경이고, 소직경 기어(74)보다 톱니 수가 많게 설정되어 있으며, 소직경 기어(74)에 서로 맞물려 있다.
기어(80)의 회전 반경 방향 측방에는 클러치(90)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90)는 회전체로서의 입력 기어(92)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기어(92)는 바닥벽부(94)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벽부(94)에는 원형 구멍(96)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 구멍(96)에 대응하여 기어 박스(52)에 바닥부에는 링 형상의 지지부(98)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구멍(96)은 입력 기어(92)의 바닥부로부터 레그판(14)과는 반대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98)는, 그 중심 축선이 상기 스풀(18)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대략 동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98)는 원형 구멍(96)을 관통하고 있으며, 바닥벽부(94), 즉 입력 기어(92)를 지지부(98)의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바닥벽부(94)의 외주부에는, 외부 기어로 평 기어의 기어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100)는 바닥벽부(94)의 원형 구멍(96)에 대하여 동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의 기어(80)보다 대직경이고, 기어(80)보다 톱니 수가 많으며, 기어(80)에 서로 맞물려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어(80)는 2단 기어(70, 60)를 통해 모터(40)의 출력축(42)에 설치된 기어(5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40)가 작동하여, 그 구동력으로 출력축(42)이 회전하면, 출력축(42)의 회전이 감속되어 기어부(100)에 전해져, 기어부(100), 즉 입력 기어(92)가 회전한다.
한편, 기어부(100) 내측에는 한 쌍의 지지축(102)이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축(102)은 축방향이 원형 구멍(96)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며, 입력 기어(92)의 바닥벽부(94)로부터 레그판(16)과는 반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축(102)은 원형 구멍(96)의 중심을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축(102)에는 회전 전달 수단으로서의 연결 폴(110)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연결 폴(110)에는 원형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 구멍(112)에는 상기 지지축(102)이 통과하고 있으며, 각 연결 폴(110)은 대응하는 원형 구멍(112)에 의해 원형 구멍(112)의 중심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부(100)의 내측에는 래칫 기어(114; rachet gear)가 설치되어 있다. 래칫 기어(114)는 바닥벽부(94)의 원형 구멍(96)을 통과하여 기어부(100)의 내측에 끼워 들어가는 어댑터(116)에 장착되어 있다. 어댑터(116)는 상술한 비틀림 샤프트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비틀림 샤프트의 레그판(16)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래칫 기어(114)는 어댑터(116)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어댑터(116)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칫 기어(114)는 어댑터(116) 및 비틀림 샤프트를 통해 스풀(18)에 대한 동축적인 상대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간접적으로 스풀(18)에 연결되어 있다.
이 래칫 기어(114)의 외주부에는 외부 톱니의 래칫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 폴(110)에는 맞물림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폴(110)은 원형 구멍(112)를 관통하는 지지축(102) 주위의 일방으로 회동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외주부에 접근하고,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맞물림부(122)가 서로 맞물린다.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맞물림부(122)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입력 기어(92)가 지지부(98) 주위로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입력 기어(92)와 함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를 권취 방향으로 가압하여, 래칫 기어(114)를 입력 기어(92)와 함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일방의 지지축(102)에 대해 타방의 지지축(102)은, 입력 기어(92)의 회전 중심 주위로 180도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래칫 기어(114)에 형성된 외부 기어의 래칫 톱니는 홀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방의 지지축(102)에 지지된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서로 맞물리면, 타방의 지지축(102)에 지지된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는, 래칫 기어(114)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른 래칫 톱니의 경사면의 중간부에 접하여 래칫 톱니에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래칫 톱니의 형성 간격의 절반의 각도만 래칫 기어(114)가 회전하면, 어느 하나의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서로 맞물린다.
한편, 상기 지지축(102)에 대한 입력 기어(92)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른 인출 방향측에서는, 바닥벽부(94)에 지지핀(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핀(124) 각각에는 리턴 스프링(126; return spring)이 장착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126)은 중간부가 코일 형상으로 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그 일단은 바닥벽부(94)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걸림고정부에 걸림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턴 스프링(126)의 타단측은 연결 폴(110)의 스프링 접촉부(128)에 압입접촉되어 있어, 지지축(102) 주위의 타방, 즉 맞물림부(122)를 래칫 기어(114)의 외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연결 폴(110)을 가압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90)는 각각이 간섭 수단으로서의 한 쌍의 간섭편(14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섭편(140)은 압입접촉부로서의 기부(142; 基部)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142)는 폭 방향이 간섭편(140)의 높이 방향, 다시 말해 스풀(18)의 축방향을 따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142)의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는 굴곡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144)는 기부(142)의 두께 방향 일방측을 곡율의 중심으로서 기부(142)의 폭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 기부(142)를 굴곡 또는 벤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기부(142)에 대응하여 상기 기어 박스(52)의 바닥부에는 유지부로서의 외측 유지링(146)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유지링(146)은 상기 지지부(98)에 대하여 동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레그판(16)과는 반대측을 향해 기어 박스(52)의 바닥부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외측 유지링(146)의 내측에는 유지부로서의 내측 유지링(148)이 외측 유지링(146)에 대하여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유지링(148)은 외경 치수가 외측 유지링(146)의 내경 치수보다 소직경의 링 형상이며, 레그판(16)과는 반대측을 향해 기어 박스(52)의 바닥부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는, 기부(142)의 두께 방향 일방측(즉, 굴곡부(144)의 곡율의 중심이 위치하는 측)이 내측 유지링(148)의 외주부와 대향하도록 간섭편(140)의 기부(142)가 끼워 들어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14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내측 유지링(148)의 외주부에 접하는 가상 접선(S; 도 7 참조)의 일단측에서의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와의 교점으로부터 타단측에서의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와의 교점까지의 길이(L1)가, 기부(14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방측에서의 굴곡부(144)의 굴곡 부분으로부터 타방측에서의 굴곡부(144)의 굴곡 부분까지의 길이(L2)보다 짧다.
이 때문에,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끼워 들어가고 있는 기부(142)는, 그 탄성에 저항하여 폭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로 기부(142)보다 외측 유지링(146)의 중심측이 곡율의 중심이 되도록 벤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부(142)의 길이 방향 중앙부 및 그 근방에서는, 기부(142)가 내측 유지링(148)의 외주부에 압입접촉하며, 기부(142)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굴곡부(144)의 굴곡 부분이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에 압입접촉하고 있다.
또한, 기부(142)의 폭방향 일단부, 즉 기부(142)가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끼워 들어간 상태로 지지부(98)의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기부(142)의 폭방향 단부에는 접촉부로서의 숄더편(150; shoulder piece)이 형성되어 있다. 숄더편(150)은 두께 방향이 대체로 기부(142)의 폭방향을 따른 평판 형상이며, 간섭편(140)을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모재(母材)를 기부(142)의 두께 방향 일방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142)를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끼워 들어가게 하여, 간섭편(140)을 지지부(98)에 장착한 상태로, 숄더편(150)은 그 두께 방향 일방의 면, 즉 지지부(98)의 바닥부측을 향하는 면이 내측 유지링(148)의 선단(즉, 지지부(98)의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내측 유지링(148)의 단부)에 접한다.
여기서, 기부(142)의 폭치수, 다시 말하면, 숄더편(150)의 두께 방향 일방의 면으로부터 기부(142)의 폭방향 타단부(기부(142)가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끼워 들어간 상태로 지지부(98)의 바닥부측을 향하는 기부(142)의 폭방향 단부)까지의 기부(142)의 폭방향을 따른 치수는, 지지부(98)의 바닥부로부터의 내측 유지링(148)의 돌출 치수(즉, 지지부(98)의 바닥부측의 내측 유지링(148)의 단부로부터 지지부(98)의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내측 유지링(148)의 단부까지의 내측 유지링(148)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측 유지링(148)의 선단에 숄더편(150)이 접촉함으로써, 기부(142)의 숄더편(150)과는 반대측의 단부(즉, 지지부(98)의 바닥부측을 향하는 기부(142)의 폭방향 단부)는 지지부(98)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기부(142)의 폭방향 일단부에서의 기부(142)의 길이 방향 중앙측으로부터는 간섭부(152)가 연장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섭부(152)에 대응하여 입력 기어(92)의 바닥벽부(94)에는 관통 구멍(15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54)은 지지축(102)에 지지된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기부(142)가 배치된 간섭편(140)은, 간섭부(152)가 관통 구멍(154)을 통과하고 있어, 특히 간섭편(140)의 초기 상태에서는 입력 기어(92)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른 맞물림부(122)의 권취 방향측에서 간섭부(152)가 맞물림부(122)와 대향하고 있다. 입력 기어(92)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른 간섭부(152)의 중간부보다 인출 방향측은 벤딩부(156)로 되어 있다. 벤딩부(156)는 간섭부(152)의 폭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로 간섭부(152)를 약 U자 형상으로 벤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섭부(152)의 기부(142)와는 반대 측에는 숄더편(158)이 형성되어 있다. 숄더편(158)은 간섭편(140)의 높이 방향을 따른 간섭부(152)의 중간부보다 선단측(기부(142)와는 반대측)을, 간섭부(152)의 폭방향(기부(142)의 길이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로 굴곡 또는 벤딩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숄더편(158)의 두께 방향은, 대체로 간섭편(140)의 높이 방향, 즉 스풀(18)의 축방향을 따르고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박스(52)의 레그판(16)과는 반대측의 개구단측에는 블로킹판(162; 閉止板)이 설치되어 있다. 블로킹판(162)은 도시하지 않은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기어 박스(52)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기어 박스(52)에 장착된 블로킹판(162)은 기어 박스(52)의 레그판(16)과는 반대측의 개구를 블로킹하고, 2단 기어(60, 70) 및 기어(80)나 입력 기어(92)(클러치(90))의 탈락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기어 박스(52)에 장착된 블로킹판(162)은 기어 박스(52)의 개구를 블로킹할 뿐만 아니라, 입력 기어(92)에서의 연결 폴(110)이나 리턴 스프링(126)을 수용하고 있는 측을 블로킹하고 있어, 입력 기어(92) 내로부터의 연결 폴(110)이나 리턴 스프링(126)의 탈락을 규제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부(142)로부터의 간섭부(152)의 연장 치수나 숄더편(158)의 형성 위치 등은, 숄더편(150)이 내측 유지링(148)에 접한 상태에서의 스풀(18)의 축방향을 따른 숄더편(158)과 블로킹판(162)의 간격이, 기부(142)의 폭방향 타단부(지지부(98)의 바닥부측을 향한 기부(142)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숄더편(150)까지의 스풀(18)의 축방향을 따른 간격보다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블로킹판(162)에는 블로킹판(16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1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풀(18)에 대해 동축적으로 어댑터(116)로부터 돌출 형성된 축부(166)가 관통 구멍(164)을 통과하여 블로킹판(16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블로킹판(162)의 외측(블로킹판(162)의 기어 박스(52)와는 반대측)에는 스프링 하우징(172)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하우징(172)은 기어 박스(5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관통 구멍(164)을 통과한 축부(166)는 스프링 하우징(172)의 내측으로 끼워 들어가고, 스프링 하우징(172) 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하우징(172)에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의 코일 방향 외측의 단부는 스프링 하우징(17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걸림고정되며, 코일 방향 내측의 단부가 스프링 하우징(172)에 끼워 들어간 축부(16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걸림고정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은, 축부(166)가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단단하게 감겨, 축부(166)를 권취 방향으로 가압한다. 통상의 상태에서 스풀(18)로부터 인출된 웨빙 벨트(20)를 스풀(18)에 감아 격납할 때에는, 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스풀(18)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웨빙 권취 장치(1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전방 감시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이나, 차량 전방의 장해물까지의 거리가 일정값 미만이 되었다고 ECU가 판정하면, ECU가 모터(40)를 통전하여 모터(40)를 작동시킨다. 모터(40)가 작동함으로써 출력축(42)이 회전하면, 출력축(42)에 설치된 기어(56)가 출력축(42)의 회전을 2단 기어(60)의 대직경 기어(62)에 전해 2단 기어(60)를 회전시킨다. 게다가, 2단 기어(60)의 소직경 기어(64)는 2단 기어(70)의 대직경 기어(72)에 서로 맞물리고 있으므로, 2단 기어(60)의 회전은 2단 기어(70)에 전해져 2단 기어(70)가 회전한다. 이 2단 기어(70)의 회전은, 소직경 기어(74)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80)에 전해지고, 또한 기어(80)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100)에 감속하여 전해지며, 이에 따라 입력 기어(92)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입력 기어(92)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입력 기어(92)의 바닥벽부(94)에 형성된 지지축(102)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지지축(102)에 지지되어 있는 연결 폴(110)이 입력 기어(92)와 함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폴(110)을 구성하는 맞물림부(122)의 권취 방향측에는, 초기 상태에서의 간섭편(140)의 간섭부(152)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입력 기어(92)와 함께 연결 폴(11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림부(122)가 간섭부(152)의 벤딩부(156)에 접하여 벤딩부(156)를 권취 방향으로 가압한다.
간섭편(140)은 자신의 탄성에 저항하여 기부(142)가 벤딩된 상태에서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의 사이에 끼워 들어가 있고, 기부(142)의 길이 방향 중간부가 내측 유지링(148)에 압입접촉하며, 기부(142)의 길이 방향 양단측(즉, 굴곡부(144)의 굴곡 부분)이 외측 유지링(146)에 압입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부(142)와 외측 유지링(146)의 접촉 부분 및 기부(142)와 내측 유지링(148)의 접촉 부분에서의 최대 정지 마찰력을 상회하는 크기의 힘으로 기부(142)가 가압되지 않으면, 기부(142)가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를, 그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가 간섭편(140)의 벤딩부(156)로부터의 가압 반력을 받음으로써, 리턴 스프링(12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지지축(102) 주위로 회동하며, 맞물림부(122)는 래칫 기어(114)의 외주부에 접근한다. 각 연결 폴(110)이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서로 맞물리면,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를 권취 방향으로 가압 한다.
게다가, 이 상태에서는, 연결 폴(110)은 더 이상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가 간섭편(140)의 벤딩부(156)를 계속해서 가압함으로써, 간섭편(140)의 벤딩부(156)에 부여되는 권취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기부(142)와 외측 유지링(146)의 접촉 부분 및 기부(142)와 내측 유지링(148)의 접촉 부분에서의 최대 정지 마찰력을 상회하면, 간섭편(140)은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으로 안내되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입력 기어(92)가 권취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권취 방향으로의 입력 기어(92)의 회전이 연결 폴(110)을 통해 래칫 기어(114)에 전해져, 래칫 기어(114)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래칫 기어(114)는 어댑터(116) 및 비틀림 샤프트를 통해 스풀(18)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스풀(18)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래칫 기어(114)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풀(18)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스풀(18)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웨빙 벨트(20)가 스풀(18)에 감겨,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있는 웨빙 벨트(20)가 약간 느슨해지는, 소위 「슬랙」이 제거된다.
그런데, 본 웨빙 권취 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간섭편(140)에 대해 입력 기어(92)가 권취 방향으로 상대 회전함으로써, 간섭편(140)의 벤딩부(156)가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를 가압하며, 이에 따라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를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서로 맞물리게 한다. 그렇지만,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기부(142)가 외측 유지링(146) 및 내측 유지링(148)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기어(92)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입력 기어(92)에 대해 간섭편(140)이 상대 회전한다. 이 때문에, 입력 기어(92)에 대한 간섭편(140)의 상대 회전을 일으키기 위한 특별한 브레이크 기구가 불필요하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기어(92)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를 인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블로킹판(162)과 입력 기어(92)의 바닥벽부(94)로 클램핑하여, 이러한 클램핑에 의해 가압 부재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입력 기어(92)에 대해 가압 부재가 상대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기어 박스(52)에 대한 입력 기어(92)의 조립 오차나 기어 박스(52)에 대한 블로킹판(162)의 조립 오차 등에 의해 가압 부재에 발생하는 마찰의 크기에 변화가 생긴다.
이에 대해,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간섭편(140)의 기부(142)와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외측 유지링(146) 및 내측 유지링(148)은 모두 기어 박스(52)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유지링(146)이나 내측 유지링(148)의 형상,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오차가 적다. 이 때문에, 자신의 탄성(스프링성)에 저항하여 벤딩된 상태로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배치된 기부(142)와 외측 유지링(146)이나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의 크기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간섭편(140)에 숄더편(150, 158)이나 벤딩부(156), 또한 굴곡부(144)가 형성되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간섭편(140)이 평판 형상이므로, 예를 들면, 금속 평판의 펀칭에 의해 용이하게 간섭편(1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펀칭과 함께 숄더편(150, 158)이나 벤딩부(156), 또한 굴곡부(144)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도 염가이다.
게다가, 예를 들면,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기부(142)를 배치하기 전 상태에서, 기부(142)가 벤딩되도록 성형되면,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기부(142)를 배치했을 때의 마찰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기부(142)의 벤딩 상태를 관리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에 기부(142)를 배치하기 전 상태에서, 굴곡부(144)를 제외하고 기부(142)는 벤딩되지 않은 평판 형상이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특별한 관리가 불필요하며, 이 점에서의 불량품이 발생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 의미에서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기부(142)에 굴곡부(144)를 형성하고 있으며, 굴곡부(144)의 굴곡 부분이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에 접하고 있어, 기부(142)의 길이 방향 양단면(단부)의 엣지(모서리부)는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에 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와의 사이의 마찰이 과잉으로 커지지 않으며, 또한 외측 유지링(146) 및 내측 유지링(148)으로 안내되어 간섭편(140)이 회전함으로써, 기부(142)의 길이 방향 양단면(단부)의 엣지(모서리부)가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부에 걸려 기부(142)의 길이 방향 양단측에서 불필요한 벤딩이 발생하거나 외측 유지링(146)의 내주면이 커팅되거나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클러치(90)의 양호한 동작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기부(142)의 폭치수는 지지부(98)의 바닥부로부터의 내측 유지링(148)의 돌출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어, 숄더편(150)이 내측 유지링(148)의 선단에 접함으로써, 기부(142)의 숄더편(150)과는 반대측의 단부(즉, 지지부(98)의 바닥부측을 향하는 기부(142)의 폭방향 단부)가 지지부(98)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에 가압되어 간섭편(140)이 회전해도, 기부(142)의 숄더편(150)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엣지가 기어 박스(52)의 바닥부에 걸리지 않아,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에 가압된 간섭편(140)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에 대해, 간섭편(140)의 간섭부(152)는 벤딩부(156)가 접촉하는 구성이다. 벤딩부(156)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벤딩되어 있으므로, 연결 폴(110)이 지지축(102) 주위로 회동함으로써 맞물림부(122)에서의 벤딩부(156)와의 접촉 부위의 방향이 변화해도, 간섭부(152)의 단부의 엣지 등이 맞물림부(122)에 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벤딩부(156)로부터의 가압 반력을 받은 연결 폴(110)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숄더편(150)이 내측 유지링(148)에 접한 상태에서, 숄더편(158)과 블로킹판(162)의 간격이, 기부(142)의 폭방향 타단부(지지부(98)의 바닥부측을 향하는 기부(142)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숄더편(150)까지의 스풀(18)의 축방향을 따른 간격보다 짧다. 이 때문에, 숄더편(158)이 블로킹판(162)에 접할 때까지 간섭편(140)이 기어 박스(52)의 바닥부로부터 이격하도록 이동해도, 기부(142)는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이 주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기어 박스(52)의 바닥부로부터 기부(142)가 이격하도록 간섭편(140)이 이동해도, 기부(142)가 외측 유지링(146)과 내측 유지링(148) 사이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기 때문에, 간섭편(140)의 양호한 동작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유지링(146) 및 내측 유지링(148)을 기어 박스(52)의 바닥부에 형성한 구성이었지만, 외측 유지링(146) 및 내측 유지링(148)을 블로킹판(162)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간섭편(140)의 초기 상태로 벤딩부(156)가 맞물림부(122)(연결 폴(110))의 권취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어, 입력 기어(92)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림부(122)가 벤딩부(156)에 간섭되어 벤딩부(156)로부터의 가압 반력에 의해 연결 폴(110)이 회동하는 구성이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간섭 수단으로서의 간섭편(140)이 초기 상태에서 회전 전달 수단으로서의 연결 폴(110)에 간섭하여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며, 입력 기어(92)와 함께 연결 폴(11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연결 폴(110)에 대한 간섭편(140)의 간섭이 해소되어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에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일례를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 도 8 및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190)의 주요부의 구성을 확대한 측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웨빙 권취 장치(190)는 연결 폴(110)을 구비하지 않고, 대신에 회전 전달 수단으로서의 연결 폴(192)이 각 지지축(102)에 장착되어 있다. 연결 폴(192)은 맞물림부(122)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결 폴(110)과 동일하지만, 스프링 접촉부(128)를 구비하지 않으며, 이 스프링 접촉부(128) 대신에 피간섭부(19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웨빙 권취 장치(190)는 리턴 스프링(126)을 구비하지 않고, 대신에 연결 가압 스프링(202)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가압 스프링(202)은 리턴 스프링(126)과 마찬가지로, 중간부가 코일 형상으로 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그 코일 형상으로 된 부분이 각 연결 폴(192)의 지지축(102)에 장착되어 있다. 이 연결 가압 스프링(202)의 일단은 바닥벽부(94)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걸림고정부에 걸림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 가압 스프링(202)의 타단측은 연결 폴(192)의 맞물림부(122)에 압입접촉하고 있어, 맞물림부(122)를 래칫 기어(114)의 외주부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연결 폴(192)를 가압하고 있다.
게다가, 본 웨빙 권취 장치(190)는 간섭편(140)을 구비하지 않고, 대신에 간섭 수단으로서의 간섭편(210)을 구비하고 있다. 간섭편(210)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간섭편(140)과 동일한 구성이지만, 간섭편(140)에서는 간섭부(152)의 중간부보다 인출 방향측으로 벤딩부(156)를 설정했지만, 간섭편(210)에서는 간섭부(152)의 중간부보다 권취 방향측으로 벤딩부(156)가 설정되어 있다. 이 간섭편(210)은, 관통 구멍(154)을 관통한 간섭부(152)는 연결 폴(192)의 피간섭부(194)의 인출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간섭편(210)의 초기 상태에서는 벤딩부(156)가 피간섭부(194)에 간섭하여, 연결 가압 스프링(20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연결 폴(192)의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외주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연결 폴(192)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기어(92)와 함께 연결 폴(192)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간섭부(194)가 간섭편(210)의 벤딩부(156)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간섭편(210)의 벤딩부(156)로부터의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까지 입력 기어(92)와 함께 연결 폴(192)이 회전하면, 연결 폴(192)은 연결 가압 스프링(202)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 기어(114)의 외주부에 형성된 래칫 톱니에 맞물림부(122)가 서로 맞물린다.
한편, 이와 같이 래칫 기어(114)의 래칫 톱니와 맞물림부(122)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입력 기어(92)가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 폴(192)의 피간섭부(194)가 간섭편(210)의 벤딩부(156)에 접한다. 이 상태에서 입력 기어(92)와 함께 연결 폴(192)이 인출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폴(110)의 맞물림부(122)가 간섭편(140)의 벤딩부(156)을 가압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간섭편(210)의 벤딩부(156)를 인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연결 폴(192)의 피간섭부(194)가 간섭편(210)의 벤딩부(156)로부터의 가압 반력을 받는다.
이와 같이, 연결 폴(192)의 피간섭부(194)가 간섭편(140)의 벤딩부(156)로부터의 가압 반력을 받음으로써, 연결 가압 스프링(20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지지축(102) 주위로 회동하며, 맞물림부(122)가 래칫 기어(114)의 외주부로부터 이격되어, 이 상태로 간섭편(140)의 벤딩부(156)에 유지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동작을 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간섭편(210)은 간섭부(152)에서의 벤딩부(156)의 형성 위치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간섭편(140)과는 다르지만, 실질적으로 간섭편(140)과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웨빙 권취 장치 12 : 프레임
18 : 스풀 20 : 웨빙 벨트
40 : 모터 42 : 출력축
52 : 기어박스(유지 수단) 92 : 입력 기어(회전체)
110 : 연결 폴(회전 전달 수단) 140 : 간섭편(간섭 수단)
142 : 기부(압입접촉부) 146 : 외측 유지링(유지부)
148 : 내측 유지링(유지부) 150 : 숄더편(접촉부)
152 : 간섭부 190 : 웨빙 권취 장치
192 : 연결 폴(회전 전달 수단) 210 : 간섭편(간섭 수단)

Claims (3)

  1. 띠 형상의 웨빙 벨트(webbing belt)의 길이 방향 기단(基端)측이 걸림고정되고, 권취(倦取)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웨빙 벨트를 그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감는 스풀(spool)과,
    상기 스풀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과,
    작동함으로써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출력축의 회전이 전해져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변위함으로써 상기 스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상기 스풀에 전하는 회전 전달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유지 수단과,
    상기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으로 상기 한 쌍의 유지부에 압입접촉한 상태로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른 소정 크기 이상의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한 쌍의 유지부로 안내되어 상기 회전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회전 전달 수단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권취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 전달 수단에 간섭하여, 또는 상기 회전 전달 수단에 대한 간섭을 해소하여, 상기 스풀에 대하여 연결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전달 수단의 변위를 허용하는 간섭 수단을 구비하는, 웨빙 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유지부 사이에 끼워 들어감으로써 자신의 탄성에 저항하여 벤딩되어 길이 방향 양단측이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어느 일방에 압입접촉하는 판 형상의 압입접촉부와,
    두께 방향이 상기 압입접촉부의 두께 방향을 따른 판 형상으로, 상기 압입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 전달 수단에 대하여 간섭 가능한 간섭부를 포함하여 상기 간섭 수단을 구성한, 웨빙 권취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유지부를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서의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의 세워 설치된 방향측의 선단(先端)에 면이 접하는 접촉부를 상기 간섭 수단에 설치하며,
    또한,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세워 설치된 방향 선단측으로의 방향과 반대 방향측의 상기 간섭 수단의 단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에서의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선단과의 접촉면까지의 상기 세워 설치된 방향을 따른 길이를, 상기 한 쌍의 유지부의 상기 세워 설치된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짧게 설정한, 웨빙 권취 장치.
KR1020117002280A 2009-06-19 2010-06-18 웨빙 권취 장치 KR101312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6463A JP5364463B2 (ja) 2009-06-19 2009-06-19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JP-P-2009-146463 2009-06-19
PCT/JP2010/060403 WO2010147223A1 (ja) 2009-06-19 2010-06-18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327A true KR20120030327A (ko) 2012-03-28
KR101312561B1 KR101312561B1 (ko) 2013-09-30

Family

ID=4335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280A KR101312561B1 (ko) 2009-06-19 2010-06-18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70086B2 (ko)
EP (1) EP2311693B1 (ko)
JP (1) JP5364463B2 (ko)
KR (1) KR101312561B1 (ko)
CN (1) CN101927750B (ko)
WO (1) WO20101472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1294A (zh) * 2012-04-10 2012-09-12 魏建峰 一种无叶风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4463B2 (ja) * 2009-06-19 2013-12-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EP2497693B1 (en) * 2009-11-04 2014-08-06 Autoliv Development AB Seatbelt retractor
JP5452186B2 (ja) * 2009-11-24 2014-03-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係合部材支持構造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9168891B2 (en) * 2010-07-09 2015-10-27 Wooshin Safety Systems Co., Ltd. Retractor for a seat belt, and clutch used in same
DE102015011765A1 (de) * 2015-09-15 2017-03-16 Trw Automotive Gmbh Kupplung für einen Gurtstraffer
US10471929B2 (en) * 2016-07-07 2019-11-12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take-up device
JP2018002086A (ja) *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12389363B (zh) * 2019-08-16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用卷绕器及其离合机构、车辆
DE102020204423A1 (de) * 2019-12-03 2021-06-10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Kupp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Gurtaufroller sowie Gurtaufroller mit Kupplungseinrichtungen
JP7313305B2 (ja) * 2020-03-24 2023-07-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2549394B1 (ko) * 2021-06-04 2023-07-03 (유)삼송 프리텐셔너의 벨트 웨빙 장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7688B2 (ja) * 1999-01-19 2010-05-2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3964750B2 (ja) * 2002-07-11 2007-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924213B2 (ja) 2002-07-11 2007-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及びクラッチ機構
JP3924221B2 (ja) * 2002-08-12 2007-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EP1495926A1 (de) * 2003-07-10 2005-01-12 Delphi Technologies, Inc. Sicherheitsgurtvorrichtung
JP2005029014A (ja) * 2003-07-14 2005-02-03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0344435B4 (de) * 2003-09-25 2006-06-01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DE10347992A1 (de) * 2003-10-15 2005-05-12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CA2562973A1 (en) * 2004-04-01 2005-10-20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winder
JP4571427B2 (ja) * 2004-04-01 2010-10-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571428B2 (ja) * 2004-04-01 2010-10-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408403B2 (ja) * 2004-09-02 2010-02-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モータリトラクタ
JP4698273B2 (ja) * 2005-04-04 2011-06-0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7145239A (ja) * 2005-11-29 2007-06-14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135604B2 (ja) * 2007-09-25 2013-02-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364463B2 (ja) * 2009-06-19 2013-12-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452186B2 (ja) * 2009-11-24 2014-03-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係合部材支持構造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1294A (zh) * 2012-04-10 2012-09-12 魏建峰 一种无叶风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0086B2 (en) 2011-12-06
US20110006147A1 (en) 2011-01-13
CN101927750A (zh) 2010-12-29
KR101312561B1 (ko) 2013-09-30
JP5364463B2 (ja) 2013-12-11
JP2011000988A (ja) 2011-01-06
EP2311693B1 (en) 2014-11-26
WO2010147223A1 (ja) 2010-12-23
EP2311693A1 (en) 2011-04-20
EP2311693A4 (en) 2013-04-10
CN101927750B (zh)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561B1 (ko) 웨빙 권취 장치
KR101012915B1 (ko) 웨빙 권취 장치
US8256699B2 (en) Webbing take-up device
KR20070012431A (ko) 웨빙 권취 장치
KR101060300B1 (ko) 웨빙 권취 장치
KR20130143496A (ko) 웨빙 권취 장치
JP2006282097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WO2011055763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CN101349309B (zh) 旋转体的输入输出装置
US8292209B2 (en) Webbing retractor
KR102008058B1 (ko) 웨빙 권취 장치
KR20070010043A (ko) 웨빙 권취 장치
JP5452186B2 (ja) 係合部材支持構造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33104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9298215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137005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07145239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886687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JP2014046854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4046855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955151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4046856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4153929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5911794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0100243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