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814A - 클러치 및 모터 - Google Patents

클러치 및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814A
KR20120028814A KR1020110090461A KR20110090461A KR20120028814A KR 20120028814 A KR20120028814 A KR 20120028814A KR 1020110090461 A KR1020110090461 A KR 1020110090461A KR 20110090461 A KR20110090461 A KR 20110090461A KR 20120028814 A KR20120028814 A KR 20120028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driven
drive
sid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506B1 (ko
Inventor
토모키 야마시타
히로시 고쿠부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16D67/02Clutch-brake comb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Abstract

고리형상의 클러치 하우징과, 구동측 회전체와, 제어면을 갖는 종동측 회전체와, 그 클러치 하우징의 내주면과 그 제어면 사이에 배치된 회전체를 구비하는 클러치를 제공한다. 그 제어면은 그 클러치 하우징 내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있다. 그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시에 그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 구동력이 그 종동측 회전체로 전달된다. 그 전동체는, 그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구동시에는 그 종동측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고, 그 구동측 회전체의 비회전 구동시에는 그 클러치 하우징의 내주면과 그 제어면에 협지되며, 그리하여 그 종동측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한다. 그 종동측 회전체는, 그 구동측 회전체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종동측 연결부를 구비한다. 그 종동측 연결부와 그 제어면은, 축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Description

클러치 및 모터{Clutch and Motor}
본 발명은,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종동축으로 전달하는 한편 종동축으로부터의 회전력을 구동축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클러치, 및 그 클러치를 구비한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윈도우 장치 등의 구동원으로서 이용되는 모터는, 회전구동되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에 클러치를 통하여 연결되는 감속기구를 구비한다. 그 클러치는, 회전축의 회전구동력을 감속기구의 웜축으로 전달하는 한편, 웜축으로부터의 회전력을 구동축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작동한다.
예를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39223호 공보에 기재된 모터에 구비되는 클러치는, 고리형상(環狀)의 클러치 하우징을 구비한다. 그 클러치 하우징 내에는,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측 회전체와, 웜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축 회전체 및 전동체가 배치되어 있다. 종동측 회전체는, 축부와 해당 축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착 돌부를 구비한다. 결착 돌부의 직경 방향 외측 말단면에는 제어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어면과 클러치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회전방향으로 연하여 변화한다. 상기 전동체는, 클러치 하우징과 제어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의 회전구동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가 회전되면, 그 구동측 회전체는 종동측 회전체의 결착 돌부와 원주 방향으로 결착한다. 따라서, 회전축의 회전구동력은, 구동측 회전체 및 종동측 회전체를 통하여 웜축으로 전달된다. 한편, 회전축의 비회전 구동시에는, 전동체가 결착 돌부의 제어면과 클러치 하우징 사이에 끼워넣어져, 이에 의해 종동측 회전체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웜축의 회전력은 회전축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일본 특허공개 2002-39223호 공보에 기재된 클러치는, 회전축의 회전구동시에 구동측 회전체와 결착하는 회전축의 비회전 구동시에 클러치 하우징과 함께 전동체를 협지(挾持)하는 종동측 회전체의 결착 돌부가, 축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결착 돌부는 클러치를 직경 방향으로 대형화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2-39223호 일본 특허공개 2002-392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 가능한 클러치와, 그 클러치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고리형상의 클러치 하우징과, 구동측 회전체와, 제어면을 갖는 종동측 회전체와, 그 클러치 하우징의 내주면과 그 제어면 사이에 배치된 전동체를 구비하는 클러치를 제공한다. 그 제어면은 그 클러치 하우징 내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다. 그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시에 그 구동체 회전체의 회전구동력이 그 종동측 회전체에 전달된다. 그 전동체는, 그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 구동시에는 그 종동측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고, 그 구동측 회전체의 비회전 구동시에는 그 클러치 하우징의 내주면과 그 제어면에 협지되며, 그에 의해 그 종동측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한다. 그 종동측 회전체는, 그 구동측 회전체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종동측 연결부를 구비한다. 그 종동측 연결부와 그 제어면은, 축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이나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실시예의 방식으로 설명되는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종동측 회전체(35)가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되기 때문에, 클러치(3)를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목적 및 효과와 함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의 단면도,
도 2은, 도 1의 모터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클러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동측 회전체의 사시도,
도 5는, 맞붙은 상태에서의 도 3의 서포트부재 및 구동측 회전체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6a는, 도 2의 6A-6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b는, 도 2의 6B-6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회전축의 회전 구동시에 있어서의 도 6a 및 도 6b의 클러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회전축의 회전 구동시에 있어서의 도 6a 및 도 6b의 클러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10a는, 도 9의 10A-10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b는, 별도 실시예의 클러치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11-11 선을 따른 단면도.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모터는, 예를들면 파워 윈도 장치의 구동원으로서 이용된다, 이 모터는, 모터부(1), 감속부(2) 및 클러치(3)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부(1)는, 저부를 갖는 통형상의 요크 하우징(이하, 간단히 '요크'라 함)(4)을 구비한다. 요크(4)의 내주면에는, 한쌍의 마그넷(5)이 상호 대향하도록 고착되어 있다. 마그넷(5) 내에는 전기자(6)가 배치되어 있다. 전기자(6)는, 요크(4)의 중앙부에 배치된 회전축(7)(구동축)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7)의 기단부 (도 1에 있어서 상측 말단부) 는, 요크(4)의 저부 중앙에 설치된 축수(8)로서 축지지되어 있다. 동일한 회전축(7)의 선단측의 부위에는, 원통 형상의 정류자(9)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7)의 선단부에는, 원기둥체로 평행한 한쌍의 평면부를 형성하게 되는 연결부(7a)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7a)의 선단부는 곡면 형상 (구면의 일부) 을 이루고 있다.
요크(4)는 개구부를 갖는 개구단(開口端)을 구비하며, 그 개구단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연이은 플랜지부(4a)가 형성되어 있다. 동일한 요크(4)의 개구부에는 플랜지 홀더(10)가 감합되어 있다. 이 플랜지 홀더(10)는, 요크(4)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형상의 홀더 본체(10a)와, 요크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커넥터부(1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10a)는 한쌍의 플랜지(11)를 유지하고 있다. 해당 한쌍의 플랜지(11)는 상기 정류자(9)와 접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으로 커넥터부(10b)와 접속되어 있다. 홀더 본체(10a)의 중앙에는 축수(12)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축수(12)는, 회전축(7)에서 정류자(9)와 연결부(7a) 사이의 부위를 축지지하고 있다. 커넥터부(10b)를 통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플랜지(11)에 공급된 전력은, 정류자(9)를 통하여 전기자(6)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전기자(6) (회전축(7)) 가 회전구동, 즉 모터부(1)가 회전구동 된다.
상기 감속부(2)는, 수지재의 기어 하우징(21)과, 그 기어 하우징(21) 내에 수용된 감속기구(22) 등을 구비한다. 기어 하우징(21)은, 모터부(1)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 (도 1에 있어서 상측의 말단부) 에, 그 기어 하우징(21)을 모터부(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21a)는, 요크(4)가 플랜지부(4a)의 외형과 같은 모양의 외형을 가짐과 동시에, 동일 고정부(21a)에는, 요크(4)로 향하여 개방되는 감합 요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요부(21b) 내에는 플랜지 홀더(10)의 본체(10a)가 감함(嵌合)된 상태에서, 고정부(21a)와 해당 고정부(21a)에 접촉한 플랜지부(4a)가 나사(23)로 고정되며, 이에 의해, 기어 홀더(21)에 요크(4)가 고정되며, 모터부(1)와 감속부(2)가 일체화되어 있다.
감합 요부(21a)의 저부 중앙에는, 클러치 수용 요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그 클러치 수용 요부(21c)의 저부 중앙에는, 회전축(7)의 축선 방향으로 연하여 연장되는 웜축 수용부(21d)가 요설되어 있다. 웜축 수용부(21d)의 측방향 (도 1에 있어서 우측) 에는, 호일 수용부(21e)가 요설되어 있다. 이 호일 수용부(21e)는, 웜축 수용부(21d)의 축방향 (장 방향) 의 중앙부에서 상기 웜축 수용부(21d)와 결착되어 있다.
상기 웜축 수용부(21d)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웜축(24)이 수용되어 있다. 웜축(24)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축방향의 중앙부에는 나사 기어 형상의 웜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웜축 수용부(21d)의 축방향의 양 말단부에는, 금속재로 원통 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축수(25, 26)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웜축(24)의 축방향의 양 말단부는, 각각 그 한쌍의 축수(25, 26)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웜축(24)은 상기 회전축(7)과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축(7)의 중심축선(L1)과 웜축(24)의 중심축선(L2)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참조).
상기 휠 수용부(21e)에는, 원판 형상의 웜휠(27)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웜휠(27)은, 웜축(24)의 웜부(24a)와 치합되며, 웜축(24)과 함께 감속기구(22)를 형성하고 있다. 웜휠(27)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동일 웜휠(27)의 축방향 (도 1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 으로 연하여 동일 웜휠(27)과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축(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출력축(28)에는,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공지의 윈도 레귤레이터 (도시 생략) 가 구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수용 요부(21c) 내에는, 상기 회전축(7)과 웜축(24)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3)가 수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3)는, 클러치 하우징(31), 구동측 회전체(32), 서포트부재(33), 전동체(34) 및 종동측 회전체(35)를 구비한다.
클러치 하우징(31)은,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동일 클러치 하우징(31)의 축방향의 일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하여 모자챙 형상의 고정 플랜지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하우징(31)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부위의 외경은 클러치 수용 요부(21c)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다. 고정 플랜지부(31a)의 외경은 클러치 수용 요부(21c)의 내경보다 더 크다. 고정 플랜지부(31a)에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 각도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4 개소에, 고정 요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 요부(31b)는, 고정 플랜지부(31a)를 축방향으로 관통함과 동시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31)은, 고정 플랜지부(31a)가 감합 요부(21b)의 저면에 접촉할 때까지 클러치 수용 요부(21c) 내에 삽입되며, 그리하여 고정 플랜지(31a)가 기어 하우징(21)에 고정된다. 상술하면, 감합 요부(21b)의 저면에 있는 클러치 수용 요부(21c)의 개구부의 주위에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 각도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4 개소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돌기(21f)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 돌기(21f)는, 수지재의 기어 하우징(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돌기(21f)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고정 플랜지부(31a)의 두께보다도 크다. 4개의 고정돌기(21f)는, 감합 요부(21b)의 저면에 접촉한 고정 플랜지부(31a)의 4개의 고정 요부(31b) 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고, 고정 플랜지부(31a)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고정돌기(21f)의 선단부는 열압착에 의해 가공되어 있고, 이에 의해, 클러치 하우징(31)은, 기어 아우징(2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며 게다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더욱이, 기어 하우징(21)에 고정된 클러치 하우징(31)은, 회전축(7) 및 웜축(24)과 동일 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측 회전체(32)는, 대체로 원기둥 형상의 구동축 연결부(41)를 구비한다. 구동축 연결부(41)의 외경은, 상기 클러치 하우징(31)의 내경보다도 작다. 구동축 연결부(41)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그 구동축 연결부(4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 삽입공(42)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 삽입공(42)은, 상기 회전축(7)의 연결부(7a)의 단면(斷面) 형상에 대응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즉, 구동축 삽입공(42)의 내주면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떨어져 상호 평행을 이룸과 함께 축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평면(42a)와, 이들 한쌍의 평면(42a)의 이웃하는 말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면(42b)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 삽입공(42)은, 축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에, 평면(42a)과 평행한 방향이 장 방향, 평면(42a)과 직교하는 방향이 단 방향으로 되는 대략 트랙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구동축 삽입공(42)에 연결부(7a)가 압입되는 것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32)는 회전축(7)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이, 회전축(7)과, 그 회전축(7)에 연결된 구동측 회전체(32)는, 동일 축상에 있다 (즉, 상호 중심축선이 일치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 연결부(41)에 있어서 감속부(2) 측의 축방향의 말단부 (도 2에서 하단부) 에는, 구동측 연결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측 연결부(43)는, 구동축 연결부(41)의 상기 하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대략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동측 연결부(43)의 외형은, 구동축 삽입공(42)보다도 크게 형성된다. 그 구동측 연결부(43)에는, 그 구동측 연결부(43)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종동축 삽입공(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축 삽입공(44)의 내주면은, 직경 방향으로 떨어져 상호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구동측 전달면(44a)과, 이들 한쌍의 구동측 전달면(44a)의 이웃하는 말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면(44b)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구동측 전달면(44a)은 축방향과 평행한 평면 형상을 이룸과 함께, 각 연결면(44b)은 원호 형상의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종동축 삽입공(44)은,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구동측 전달면(44a)과 평행한 방향이 장(長) 방향, 구동측 전달면(44a)과 직교하는 방향이 단(短) 방향으로 되는 대략 트랙 형상을 이루고 있다. 종동축 삽입공(44)의 중심 축선은, 구동축 삽입공(42)의 중심 축선과 일치한다, 종동축 삽입공(44)은, 구동축 삽입공(42)에 대하여 구동측 회전체(32)의 회전 방향 (즉, 회전축(7)의 회전 방향과 동일함) 으로 90°어긋나 있다. 즉, 구동축 삽입공(42)의 평면(42a)과 종동축 삽입공(44)의 구동측 전달면(44a)은, 구동측 회전체(32)의 중심 축선 (클러치(3)가 모터에 끼워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축(7)의 중심 축선(L1)과 동일함) 을 중심으로 90°어긋나 있다. 따라서, 구동측 회전체(32)를 축방향으로 보면, 구동축 삽입공(42)의 단 방향의 중앙을 통하여 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동축 삽입공(42)의 중심선(M1)은, 종동축 삽입공(44)의 단 방향의 중앙을 통하여 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동축 삽입공(44)의 중심선(M2)와 직교하고 있다.
각 구동측 전달면(44a)에는, 고무재료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완충부재(45)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부재(45)는, 각 구동측 전달면(44a)에 있어서 종동축 삽입공(44)의 중심선(M2) 방향으로 떨어진 2 개소에 형성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구동측 전달면(44a)의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4 참조). 각 완충부재(45)는, 구동측 전달면(44a) 보다도 종동축 삽입공(44) 내로 약간 돌출하여 있다. 더욱이, 완충부재(45)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종동측 전달면(74, 75)이 각 구동측 전달면(44a)에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다.
종동축 삽입공(44)의 각 연결면(44b)에는, 고무재료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재(46)는, 각 연결면(44b)의 원주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연결면(44b)의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4 참조). 각 탄성부재(46)는, 연결면(44b) 보다도 종동축 삽입공(44) 내로 돌출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측 연결부(43)의 기단부 (도 2 및 도 4에 있어서 상측의 말단부) 에 있어 구동축 연결부(41)의 상기 하단부와 이웃하는 부위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대략 원고리 형상의 모자챙부(47) (접촉부)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모자챙부(47)의 외경은, 클러치 하우징(31)의 내경 보다도 약간 크다. 모자챙부(47)에 있어서, 종동축 삽입공(44)의 단 방향 (도 6에서 중심선(M2)과 직교하는 방향) 의 양측에는, 모자챙부(47)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확인공(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연결부(43)에 있어서 종동축 삽입공(44)의 장 방향 (도 6에 있어서 중심선(M2) 방향과 동일함) 의 양측, 즉 연결면(44b)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전동체 해제부(49)가 동일 구동측 연결부(43)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전동체 해제부(49)는 원주 방향으로 180° 간격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구동축 연결부(41)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전동체 해제부(49)의 원주 방향의 양 말단부에는, 고무재료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부재(5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각각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부재(50), 상기 완충부재(45) 및 상기 탄성부재(46)는, 구동측 회전체(32)에 있어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위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각 전동체 해제부(49)의 선단부에는, 구동측 결착부(51)가 전동체 해제부(4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구동측 결착부(51)에서 직경 방향 외측의 측면은, 전동체 해제부(49)의 그것 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각 구동측 결착부(51)에서 직경 방향 외측의 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착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결착홈(51a)은, 구동측 결착부(51)의 직경 방향 외측의 측면에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요설됨과 동시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결착홈(51a)은, 구동측 결착부(51)의 원주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결착홈(51a)은, 구동측 회전체(32)의 중심 축선 (클러치(3)가 모터에 끼워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축(7)의 중심 축선(L1)과 동일함) 상에 곡율 중심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착홈(51a)의 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동일 결착홈(51a)의 내주면은 직경 방향 내측에 오목한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측 회전체(32)에 있어서, 구동축 연결부(41) 및 구동측 연결부(43)는, 클러치 하우징(31)의 내부 (상세하게는, 클러치 하우징(31)과 플랜지 홀더(10)의 사이) 에 배치되는 한편, 2개의 전동체 해제부(49)는, 클러치 하우징(31) 내에 삽입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31) 내에 배치된 각 전동체 해제부(49)의 직경 방향 외측의 측면은,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서포트부재(33)는 원고리 형상의 링부(61)를 구비한다. 링부(61)의 외경은, 상기 구동측 회전체(32)의 모자챙부(47)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이 링부(61)의 축방향의 양 말단면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연하여 연장하는 접촉 돌조부(當接突條部)(6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링부(61)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 (본 실시형태에서는, 180° 간격을 이루는 2개소) 에는, 그 링부(61)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내연부(內延部)(6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내연부(63)에는, 각각 한쌍의 전동체 서포터(6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쌍의 전동체 서포터(64) 끼리는, 내연부(63)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또한, 2쌍의 전동체 서포터(64)의 이웃하는 선단부 끼리는, 원호 형상으로 연장하는 보강부(6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 쌍의 전동체 서포터(64)의 선단부에는, 상호 대향하여 돌출 (원주 방향으로 돌출) 한 지지조(保持爪)(6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각 보강부(65)의 원주 방향의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링부(61)를 향하여 연장하는 연설부(延設部)(67)가 형성되어 있다. 연설부(67)는 보강부(65)에 연하여 만곡된 원호 형상의 판상을 이룬다. 해당 연설부(67)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서포터측 결착부(68)가 해당 연설부(6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서포터측 결착부(68)는, 보강부(65)에 연하여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터측 결착부(68)의 선단면은, 서포터측 결착부(68)의 장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체(32)에 형성된 결착홈(51a)에 대응하도록 직경 방향 내측으로 부풀어오르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쌍의 전동체 서포터(64)에는, 상기 전동체(34)가 삽입되어 있다. 각 전동체(34)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전동체(34)는 대응하는 한쌍의 전동체 서포터(6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두 개의 회전체(34)가 서포트부재(33)에 의해, 회전가능 (전동체(34)의 중심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 하게 게다가 서로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등각도 간격 (본 실시형태에서는 180° 간격) 으로 유지된다. 각 전동체(34)의 서포트부재(33)에 대한 축방향의 이동은, 내연부(63)와 지지조(66)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두 개의 회전체(34)를 유지하는 서포트부재(33)는, 2개의 서포터측 결착부(68)와 2개의 구동측 결착부(51)의 결착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32)에 대하여 끼워 맞추어진다. 2개의 서포터측 결착부(68)와 2개의 구동측 결착부(51)는, 2개의 전동체 해제부(49)를 링부(61) 내로 삽입한 후에, 2개의 서포터측 결착부(68)의 선단부를 2개의 결착홈(51a)으로 각각 계입(係入)하는 것에 의해 상호 결착되어 있다 (도 5 참조). 2개의 전동체 해제부(49)를 링부(61) 내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각 쌍의 전동체 서포터(64)의 사이에 전동체 해제부(49)가 각각 배치된다 (도 6a 참조). 상호 결착된 구동측 결착부(51) 및 서포터측 결착부(68)에 의해, 서포트부재(33)와 구동측 회전체(32)의 사이의 축방향의 상대이동이 저지된다. 한편, 구동측 회전체(32)와 서포트부재(33)는, 서포터측 결착부(68)의 선단면과 결착홈(51a)의 내주면을 접촉시키면서 원주 방향으로 상대회전 가능하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트부재(33)에 대하여 구동측 회전체(32)가 회전하면, 각 전동체 해제부(49)는 구동측 회전체(32)의 회전 방향 (원주 방향) 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동체 서포터(64)에 접촉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부(61)의 축방향의 양 단면에는 접촉 돌조부(6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회전체(32)에 서포트부재(33)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는, 링부(61)와 모자챙부(47)가 축방향으로 대향함과 동시에, 링부(61)의 단면 중에서 모자챙부(47)와 축방량으로 대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접촉 돌조부(62)가 모자챙부(47)에 접촉되어진다. 모자챙부(47)에 형성된 상기 확인공(48)을 통하여 전동체(34)가 구동축 연결부(41)로 향하여 노출된다.
도 2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체(34)가 삽입된 전동체 서포터(64)는, 전동체 해제부(49)와 함께 클러치 하우징(31) 내에 삽입된다. 링부(61)는, 클러치 하우징(31)의 외부에서 동일한 클러치 하우징(31)과 모자챙부(47)의 사이에 배치된다. 링부(61)의 단면 중에서 클러치 하우징(31)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말단면에 형성된 접촉 돌조부(62)는, 클러치 수용 요부(31c)의 개구부측의 말단면에 접촉되어 있다. 클러치 하우징(31) 내에 배치된 전동체(34)의 외주면은,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에 접촉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동측 회전체(35)는, 상기 웜축(24)의 기단부 (도 2에서 상측의 말단부) 에 그 웜축(2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회전체(35)는, 축방향으로 늘어서는 종동측 제어부(71) 및 종동측 연결부(72)를 구비하고 있다.
종동측 제어부(71)는, 웜축(24)의 기단부에 해당 웜축(24)과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웜축(24)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종동측 제어부(71)의 중심축선은 웜축(24)의 중심축선(L2)와 일치한다. 즉, 종동측 제어부(71)는 웜축(24)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제어부(71)의 외경은, 웜축(24)의 최대 외경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측 제어부(71)의 외경은, 웜축(24)에서 축수(25)로 축지지된 부위 (이하, '축지지부') 의 외경과 동일하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종동측 제어부(71)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제어면(7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어면(73)은, 종동측 제어부(71)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 (본 실시형태에서는 180° 간격) 으로 이루어지는 2개소에 형성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평행한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더욱이, 한쌍의 제어면(73)은, 상호 평행을 이룸과 동시에, 각 제어면(73)의 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전동체(34)의 그것 보다도 크다. 2개의 제어면(73)은,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웜축(24)의 상기 축지지부의 외형 보다도 내측 (직경 방향 내측) 에 위치한다. 즉, 각 제어면(73)과 웜축(24)의 중심축선(L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축지지부에 있어서 외경의 1/2 보다 작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동측 연결부(72)는, 종동측 제어부(71)에 있어서 웜축(24)과 반대의 축방향의 말단부에 종동측 제어부(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연결부(72)는 종동측 제어부(71)와, 따라서, 제어면(73)과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종동측 연결부(72)와 종동측 제어부(71)는,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늘어서 있음과 동시에, 상호 사이에 별도의 부위가 개재되어 있지 않고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지 않다. 종동측 연결부(72)는, 웜축(24)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둥 형상을 이룬다. 종동측 연결부(72)의 중심축선은 웜축(24)의 중심축선(L2)과 일치하고 있다. 즉, 종동측 연결부(72)는 웜축(24)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연결부(72)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구동측 연결부(43)에 형성된 종동축 삽입공(44)의 그것 보다도 약간 크다. 종동측 연결부(72)의 외경은, 웜축(24)의 최대 외경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동측 연결부(72)의 외경은 웜축(24)의 상기 축지지부의 외경보다도 작다 (즉, 종동측 제어부(71)의 외경보다도 작다). 더욱이, 종동측 연결부(72)는, 상기 종동축 삽입공(44) 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측 연결부(72)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그 단면 형상은, 축방향에서 일정하다. 종동측 연결부(72)를 축방향으로부터 보면, 그 종동측 연결부(72)의 장 방향은 제어면(73) (도 6a) 과 평행함과 동시에, 그 종동측 연결부(72)의 단 방향 (종동측 연결부(72)의 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은, 제어면(73)과 직교한다. 종동측 연결부(72)의 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구동측 전달면(44a)의 그것보다도 약간 크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측 연결부(72)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 및 한쌍의 제2 종동측 전달면(75)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은, 타방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8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은, 각각 축방향과 평행한 평면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상호 평행을 이루고 있다. 2개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의 사이의 간격은, 구동측 회전체(32)의 종동축 삽입공(44)에 설치된 한쌍의 구동측 전달면(44a)의 사이의 간격과 같다. 각 제2 종동측 전달면(75)은, 2개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제2 종동측 전달면(75)은, 타방의 제2 종동측 전달면(75)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18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2 종동측 전달면(75)은, 각각 축방향과 평행한 평면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상호 평행을 이루고 있다. 2개의 제2 종동측 전달면(75)의 사이의 간격은, 구동측 회전체(32)의 종동축 삽입공(44)에 설치된 한쌍의 구동측 전달면(44a)의 사이의 간격과 같다. 제1 종동측 전달면(74) 및 제2 종동측 전달면(75)은, 축방향에 있어서, 종동측 연결부(72)의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계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동측 회전체(35)는, 구동측 회전체(32)와 반대측으로부터 클러치 하우징(31) 및 서포트부재(33) 내로 삽입되어 있다. 종동측 연결부(72)는, 종동축 삽입공(44) 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종동측 제어부(71)는, 2개의 전동체(34) 사이에 배치된다. 종동측 회전체(35)는, 클러치 하우징(31), 구동측 회전체(32) 및 서포트부재(33)와 동일 축 상에 배치된다.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 (즉, 종동측 회전체(35)에 있어서 웜축(24)과 반대의 축방향의 말단면) 은, 구동측 회전체(32) 내에 있어서, 구동축 삽입공(42) 내에 압입된 회전축(7)의 연결부(7a)의 선단부와 축방향으로 접촉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측 연결부(72)는, 구동측 회전체(32)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게다가 구동측 연결부(43)와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종동축 삽입공(44) 내에 헐렁하게 끼워져 있다.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종동측 연결부(72)의 외주면과 종동축 삽입공(44)의 내주면 사이에는, 탄성부재(46) 및 완충부재(45)가 개재되어 있다. 한쌍의 탄성부재(46)는, 종동축 삽입공(44) 내에서 종동축 삽입공(44)의 장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종동측 연결부(72)에 접촉된다. 4개의 완충부재(45)는, 2개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 및 2개의 제2 종동측 전달면(75)과 구동측 전달면(44a)과의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다. 구동측 회전체(32)가 종동측 회전체(35)에 대하여 중심 축선 주위로 회전하면, 구동측 회전체(32)의 (따라서, 구동측 전달면(44a)의) 회전 방향에 응하여, 상기 한쌍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 및 상기 한쌍의 제2 종동측 전달면(75) 중의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한쌍의 종동측 전달면에, 대향하는 구동측 전달면(44a)이 회전 방향에 대해 접촉한다. 이때, 구동측 전달면(44a)은, 구동측 전달면(44a)과 그 한쌍의 종동측 전달면과의 사이에 각각 개재된 완충부재(45)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그 한쌍의 종동측 전달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32)와 종동측 회전체(35)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즉, 구동측 회전체(32)와 종동측 회전체(35)가 회전 방향으로 결착(係合)되어 구동측 회전체(32)의 회전구동력을 종동측 회전체(35)로 전달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측 제어부(71)는, 각 제어면(73)과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각각 전동체(34)가 개재되도록, 서포트부재(33) 내에 삽입되어 있다. 각 제어면(73)과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거리 (제어면(73)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간격) 는, 종동측 회전체(35)의 회전방향에 연하여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면(73)과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의 거리는, 각 제어면(73)의 원주 방향의 중앙에서 최대로 크고, 각 제어면(73)의 원주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원주 방향의 양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게 된다. 제어면(73)의 원주 방향의 중앙과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전동체(34)의 외경 보다도 크다. 또한, 각 제어면(73)의 원주 방향의 말단부와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의 거리는, 전동체(34)의 외경 보다도 작다.
다음, 상기한 모터의 동작을, 클러치(3)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부(1)의 정지 시, 즉 회전축(7) 및 구동측 회전체(32)의 비회전 구동 시에는, 부하측 (즉 윈드 글라스 측) 으로부터 출력축(28)으로 부하가 다다르면, 그 부하에 의해 종동측 회전체(35) (웜축(24)) 가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측 회전체(35)의 각 제어면(73)이, 각 제어면(73)과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전동체(34)에 접촉함과 동시에,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 함께 전동체(34)를 협지한다. 더욱이, 도 6a에서는, 종동측 회전체(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경우의 클러치(3)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31)은 기어 하우징(2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하우징(31) 및 전동체(34)에 의해, 종동측 회전체(35)가 그 이상 회전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웜축(24)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기 위해, 웜축(24) 측으로부터 회전축(7)이 회전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면(73)에서 전동체(34)에 접촉하는 부위는, 제어면(73)의 원주 방향의 중앙 보다도 제어면(73)의 원주 방향의 말단부에 가까운 위치이다. 도 6a에는, 종동측 회전체(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종동측 회전체(3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식으로 그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한편, 모터부(1)의 구동 시, 즉 회전축(7)의 회전구동 시에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회전체(32)가 회전축(7)의 중심축선(L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7)과 일체로 회전 구동된다 (도 2 참조). 더욱이,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에서는, 회전축(7) 및 구동측 회전체(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 경우의 클러치(3)를 도시하고 있다. 정지하고 있는 서포트부재(33)에 대하여 구동측 회전체(32)가 회전한다. 구동측 회전체(32)의 각 전동체 해제부(49)가, 각 전동체 해제부(49)의 회전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동체 서포터(64)에 각각 접촉하여, 그 전동체 서포터(64)를 회전방향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전동체 서포터(64)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전동체(34)는,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 제어면(73)과의 사이로부터 압출되어,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 제어면(73)에 의해 협지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종동측 회전체(35)의 록크가 해제된다. 더욱이, 이 때,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회전체(32)의 구동측 전달면(44a)은, 종동측 회전체(35)의 제1 종동측 전달면(74)에는 접촉하지 않고, 종동측 회전체(35)는 정지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7)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32)가 더 회전구동되면, 구동측 전달면(44a)은, 구동측 전달면(44a)과 제1 종동측 전달면(74)과의 사이에 개재된 완충부재(45)를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키는 채로, 제1 종동측 전달면(74)에 회전방향으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전달면(44a) 및 제1 종동측 전달면(74)을 통하여 구동측 회전체(32)로부터 종동측 회전체(35)로 회전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동측 회전체(35)가 구동측 회전체(32)와 함께 중심축선 (웜축(24)의 중심축선(L2)과 동일함) 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이때,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체 해제부(49)에 의해 압압된 것에 의해 서포트부재(33)가 구동측 회전체(3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전동체(34)도 서포트부재(33)로 인내되면서 종동측 회전체(35)와 함께 회전한다. 상세히는, 각 전동체(34)는, 각각 제어면(73)의 원주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 제어면(73)에 의해 협지되는 것이 아니고, 서포트부재(33)에 의해 유지되면서 해당 종동측 회전체(35)의 중심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종동측 회전체(35)의 회전에 수반하여 웜축(24)이 회전되면, 그 회전은, 웜부(24a) 및 웜휠(27)로서 감속되어 출력축(28)으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출력축(28)에 구동연결되는 윈드 레귤레이터가 작동하고, 윈드 글래스가 개폐 (승강) 된다. 더욱이,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에서는, 구동측 회전체(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의 클러치(3)를 도시하고 있으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같은 식으로 구동측 회전체(32)로부터 종동측 회전체(35)로 회전구동력이 전달된다. 다만,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에 있어서, 구동측 회전체(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구동측 전달면(44a)은 제2 종동측 전달면(75)에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 종동측 회전체(35)에 있어서, 구동측 회전체(32)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측 연결부(72)와, 구동측 회전체(32)의 비회전 구동시에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 함께 전동체(34)를 협지하는 제어면(73)이 축방향에서 상이한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 즉, 종동측 연결부(72)와 제어면(73)은 축방향으로 겹쳐져 있지 않다. 따라서, 종동측 회전체(35)에 있어서, 종동측 연결부(72) 및 제어면(73)이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이웃한다고 하였던 것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종동측 회전체(35)가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종동측 회전체(35)가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되기 때문에, 클러치(3)를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종동측 연결부(72)와 제어면(73)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측 회전체(35)가 축방향으로 길게 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3)의 축방향의 대형화가 억제될 수 있다.
(3) 구동측 회전체(32)의 회전운동시에 구동측 전달면(44a)이 제1 종동측 전달면(74) 또는 제2 종동측 전달면(75)에 회전 방향에서 접촉된다. 이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32)의 회전구동력을 종동측 회전체(35)에 효율좋게 전달히는 것이 가능하다.
(4) 구동측 전달면(44a)이 제1 종동측 전달면(74) 또는 제2 종동측 전달면(75)에 접촉할 대의 충격은, 완충부재(45)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측 전달면(44a)과 제1 종동측 전달면(74) 및 제2 종동측 전달면(75)이 접촉하는 경우의 이상한 음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5) 종동측 회전체(35)의 종동측 연결부(72)는, 구동측 회전체(32)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게다가 구동측 회전체(32)와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구동측 회전체(32)에 헐렁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구동측 회전체(32) 및 종동측 회전체(35) (종동측 연결부(72)) 에 있어서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부위 끼리의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46)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측 회전체(32)의 중심축선과 종동측 회전체(35)의 중심축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더라도, 탄성부재(46)가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해당 어긋남이 보정 (흡수) 가능하다.
(6) 2개의 전동체(34)는, 서포트부재(33)에 유지되는 것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쉬이 안정된다. 서포트부재(33)는, 구동측 회전체(32)의 모자챙부(47)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해당 모자챙부(47)에 의해 그 이상의 구동측 (즉 모터부(1) 측) 에로의 이동이 규제 가능하다. 더욱이, 모자챙부(47)는 구동측 회전체(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포트부재(33)의 구동측에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품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더라도 좋다. 따라서, 부품 개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7) 클러치(3)의 외부로부터 확인공(48)을 통하여 전동체(34)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러치(3)가 조립될 때에 확인공(48)을 통하여 전동체(34)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전동체(34) 등의 조립 오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8) 구동측 결착부(51)와 서포터측 결착부(68)를 결착하는 것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32)와 서포트부재(33)를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러치(3)가 조립될 때에는, 구동측 회전체(32)와 서포트부재(33)를 일체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클러치(3)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9) 구동측 회전체(32)의 회전구동의 개시 시에는, 전동체 해제부(49)에 의해 (전동체 서포터(64)를 통하여) 전동체(34)가 클러치 하우징(31)의 원주방향으로 압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과 제어면(73)에 의해 전동체(34)의 협지가 용이하게 해제가능하다. 또한, 구동측 회전체(32)의 구동측 결착부(51)는, 전동체 해제부(49)에 일체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종동축 삽입공(44)삽입된 종동측 연결부(72)는, 구동축 삽입공(42)에 삽입된 회전축(7)의 연결부(7a)와 축방향으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종동축 삽입공(44) 및 구동축 삽입공(42)은, 어느 것도 구동측 회전체(32)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축(7)과 종동측 회전체(35)의 축방향의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다.
(11) 구동축 삽입공(42)의 평면(42a)과 종동축 삽입공(44)의 구동측 전달면(44a)은, 구동측 회전체(32)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90° 어긋나 있다. 그 때문에, 구동축 삽입공(42)에 삽입된 회전축(7)과, 종동축 삽입공(44)에 삽입된 종동측 연결부(72)를 갖는 종동측 회전체(35)와의 축방향에 대한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2)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억제될 수 있는 종동측 회전체(35)를 준비한 본 실시형태의 클러치(3)는,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시키고 있다. 직경 방향으로 소형화된 클러치(3)를 준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모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동측 연결부(72)와 제어면(73)이 축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클러치(3)를 모터에 조립할 때에, 웜축(24)에서 종동측 회전체(35) 측의 축방향의 말단부를 축지지하는 축수(25)와 제어면(73)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웜축(24)이 기울어져 있더라도, 제어면(73)의 기울어짐 (종동측 회전체(35)에 있어서 제어면(73)이 형성된 부위의 축 어긋남) 이 억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면(73)과 클러치 하우징(31)의 내주면이 전동체(34)를 확실하게 협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웜축(24)의 기울어짐이 클러치(3)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3)의 동작이 쉬이 안정된다.
(13) 제어면(73) 및 종동측 연결부(72)는, 축방향으로부터 웜축(24)의 외형보다도 내측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종동측 회전체(35)를 직경 방향으로 보다 확실하게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14) 전동체 해제부(49)의 원주 방향의 양측에 충격 흡수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동측 회전체(32)의 회전구동의 개시 시에 전동체 해제부(49)가 전동체 서포터(64)에 접촉할 때의 이상한 음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2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더욱이, 본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모터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클러치 '3'에 대신하여 클러치 '90'을 구비한다. 클러치(90)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구동측 회전체 '32'에 대신하여 구동측 회전체 '91'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측 회전체(91)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구동측 회전체(32)와 비교하여, 회전축(7)의 연결부(7a)와 종동측 연결부(72)가 축방향으로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완충부재(92)를 더 구비한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 회전체(91)는 구동축 연결부(41)를 구비한다. 구동축 연결부(41)에 있어서 구동측 연결부(43) 측의 축방향의 단면(41a) (도 10a에 있어서 하단면) 에는, 한쌍의 완충요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완충요부(41b)는, 구동축 삽입공(42)에 있어서 종동축 삽입공(44) 측의 개구부(42d)의 주위에 있고, 구동축 삽입공(42)의 단 방향의 양측으로 이루어지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완충요부(41b)는, 축방향으로 요설된 종동축 삽입공(44)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각 완충요부(41b)는, 개구부(42d)의 양측에서 각각 연결면(44b)에 연하여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쌍의 완충요부(41b) 내에는, 각각 고무재료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제2 완충부재(9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2 완충부재(92)는, 완충부재(45) 및 탄성부재(46)와 동일한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9 내지 도 11에 있어서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된 완충부재(45), 탄성부재(46) 및 제2 완충부재(92)를 나타낸 부분에 미세한 점들을 부가하였다.
2개의 제2 완충부재(92)는, 한쌍의 완충요부(41b) 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개구부(42d)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2 완충부재(92)는, 개구부(42d)에 있어서 종동축 삽입공(44)의 장 방향의 양측으로 이루어지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2 완충부재(92)는,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연결면(44b)에 연함과 동시에 개구부(42d)를 위요(圍繞)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2개의 제2 완충부재(92)는, 종동축 삽입공(44)에 삽입된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 (즉 종동측 회전체(35)에 있어서 웜축(24)과 반대의 축방향의 단면) 과 각각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있다.
각 제2 완충부재(92)는, 완충요부(41b)의 개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있고, 단면(41a) 보다도 종동축 삽입공(44)을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2개의 제2 완충부재(92)는, 종동축 삽입공(44)에 삽입된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에 각각 접촉한다. 각 제2 완충부재(92)에 있어서 단면(41a)으로부터의 축방향의 돌출량은, 웜휠(27) (도 1 참조) 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웜축(24)이 회전축(7)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될 때의, 종동측 회전체(35)와 회전축(7) 사이의 간극(S)의 폭(W) (축방향의 폭) 과 동일하든가 약간 크다.
여기에서, 간극(S)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90)는, 구동측 회전체(91) 내에서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과, 구동축 삽입공(42) 내에 압입된 회전축(7)의 연결부(7a)의 선단부가 축방향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터는, 웜휠(27)이 치합하는 윔부(24a)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윔부(24a)로부터 웜휠(27)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원할하게 행하기 위해, 종동측 연결부(72)와 일체로 형성된 웜축(24)의 미세한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클러치(90)를 구비한 모터에서는, 웜휠(27)로부터 윔부(24a)로, 웜축(24)을 회전축(7)과는 반대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종동측 연결부(72)와 연결부(7a) 사이에 미세한 간극(S)이 생긴다.
도 10a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2 완충부재(92)는, 그 제2 완충부재(92)와 축방향으로 이웃하는 완충부재(45) 및 탄성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들과 연결되어 있다. 상세히는, 각 제2 완충부재(92)는, 각 제2 완충부재(92)와 축방향으로 이웃하는 완충부재(45) 및 탄성부재(46)에 있어서 구동축 연결부(41) 측의 축방향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제2 완충부재(92)는, 구동측 회전체(91)에 있어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위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완충부재(92)는, 완충부재(45), 탄성부재(46) 및 충격 흡수 부재(50)를 형성함과 동시에 형성된다.
다음, 본 제2 실시형태의 클러치(90)의 동작을 설명한다. 클러치(90)는, 회전축(7)의 비구동시에 있어서 종동측 회전체(35)의 회전의 저지, 및 회전축(7)의 구동시에 있어서 종동측 회전체(35)로의 회전구동력의 전달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클러치(3)와 같은 방식으로 행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모터는, 모터부(1)의 정지 시, 즉 회전축(7) 및 구동측 회전체(91)의 비회전 구동시에는, 웜축(24)은, 웜휠(27)에 의해 회전축(7)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눌려져 있다. 따라서,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과 연결부(7a)의 선단면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회전체(35) 및 웜축(24)은,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에 접촉한 제2 완충부재(92)에 의해 회전축(7)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다.
모터부(1)가 기동되면, 모터부(1)의 정지시에 웜휠(27)이 회전하도록 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부하가 출력축(28) 및 웜휠(27)에 가해진다. 회전축(7)의 회전구동의 개시 시에는, 윔부(24a)가 웜휠(27)로부터 받는 항력에 의해 종동측 회전체(35) 및 웜축(24)이 회전축(7)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종동측 회전체(35) 및 웜축(24)은, 종동측 연결부(72)와 구동축 연결부(41) 사이에서 제2 완충부재(92)를 변형시키면서 회전축(7)의 방향으로 완만하게 이동한다. 따라서, 회전축(7)의 연결부(7a)와 종동측 연결부(72)가 접촉할 때의 충격이 제2 완충부재(92)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연결부(7a)와 종동측 연결부(72)는 완만하게 접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1) 내지 (11)의 이점에 더하여,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5) 회전축(7)의 연결부(7a)과 종동측 연결부(72)가 접촉할 때의 충격이 제2 완충부재(92)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연결부(7a)와 종동측 연결부(72)가 접촉할 때의 이상한 음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16) 제2 완충부재(92)는, 개구부(42d)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7)과 종동측 연결부(72)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면서, 회전축(7)과 종동측 연결부(72)가 접촉할 때의 이상한 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7) 제2 완충부재(92)는, 해당 제2 완충부재(92)와 축방향으로 이웃하는 완충부재(45) 및 탄성부재(46)를 일체로 형성시키며, 그들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45) 및 탄성부재(46)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 완충부재(9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형하여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3, 90)는 모터에 구비되어 있고, 동시에 모터에 구비되는 동일 축상에 배치된 회전축(7)과 웜축(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클러치(3, 90)는, 동일 축상에 배치된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에 배치된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종동축으로 전달하는 한편 종동축으로부터 구동축으로의 회전력의 전달을 저지하도록 작동하기 때문이라면, 모터 이외의 장치에 설치되는 것도 좋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2 완충부재(92)에 있어서 구동축 연결부(41)의 말단면(41a)으로부터의 축방향의 돌출량은, 간극(S)의 폭(W)과 동일하든가 약간 크다. 그러나, 해당 축방향의 돌출량은 간극(S) 보다 작아도 좋다.
제2 완충부재(92)의 위치 및 형상은,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위치 및 형상에 한하지 않는다. 제2 완충부재(92)는, 구동측 회전체(91)에 있어서,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이 축방향으로부터 접촉가능한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좋다. 예를들면, 제2 완충부재(92)는, 구동축 삽입공(42)의 개구부(42d)의 주위에 해당 개구부(42d)를 위요하는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하나만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제2 완충부재(92)는, 구동축 삽입공(42)의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하여 계속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2 완충부재(92)는, 구동측 회전체(91)에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완충부재(92)는,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에, 구동축 연결부(41)의 단면(41a)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제2 완충부재(92)는, 구동측 회전체(91)와 종동측 연결부(72)의 선단면과의 양방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2 완충부재(92)는, 그 제2 완충부재(92)와 축방향으로 이웃하는 완충부재(45) 및 탄성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들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완충부재(92)는 반드시 완충부재(45) 및 탄성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좋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모터부(1)의 정지시에는, 웜축(24)은, 웜휠(27)에 의해 회전축(7)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눌려져 있다. 그러나, 모터부(1)의 정지시에, 웜휠(27)에 의해 웜축(24)이 회전축(7)을 향하여 눌려져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모터부(1)의 정지시에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측 회전체(35) 및 웜축(24)은, 종동측 연결부(72)와 구동축 연결부(41) 사이에서 제2 완충부재(92)를 변형시키면서 회전축(7)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모터부(1)의 정지시에는, 연결부(7a)와 종동측 연결부(72)가 접촉한다. 모터부(1)가 구동되면, 회전축(7)의 회전방향에 응하여, 웜휠(27)로부터 받은 힘에 의하여 종동측 회전체(35) 및 웜축(24)은 회전축(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후, 모터부(1)가 정지되면, 종동측 회전체(35) 및 웜축(24)은 웜휠(27)에 눌려 회전축(7)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종동측 회전체(35) 및 웜축(24)은 종동측 연결부(72)와 구동축 연결부(41) 사이에서 재2 완충부재(92)를 변형시키면서 회전축(7)의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연결부(7a)와 종동측 연결부(72)가 접촉할 때의 충격이 제2 완충부재(92)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연결부(7a)와 종동측 연결부(72)는 천천히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형태의 (15)와 마찬가지의 이점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축 삽입공(42)의 평면(42a)과 종동축 삽입공(44)의 종동축 전달면(44a)은, 구동측 회전체(32 또는 9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90° 어긋나 있다. 그러나, 평면(42a)과 종동축 전달면(44a)은 90° 이외의 각도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또한, 평면(42a)과 종동축 전달면(44a)이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구동축 삽입공(42)의 형상은, 상기 각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하지 않는다. 구동축 삽입공(42)은, 회전축(7)과 구동측 회전체(32 또는 91)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가능한 형상이라면 좋다. 즉, 회전축(7)은 구동축 삽입공(42)에 반드시 압입되지 않더라도 좋고, 구동측 회전체(32 또는 91)가 회전축(7)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회전축(7)이 구동축 삽입공(42)에 삽입 (압입 및 헐렁하게 끼움을 포함) 된다면 좋다. 또한, 종동축 삽입공(44)은, 상기 각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하지 않는다. 종동축 삽입공(44)은, 구동측 회전체(32 또는 91)와 종동측 회전체(35)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가능한 형상이라면 좋다. 즉, 구동측 회전체(32 또는 91)가 종동측 회전체(35)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종동측 회전체(35)가 종동축 삽입공(44)에 삽입 (압입 및 헐렁하게 끼움을 포함) 된다면 좋다.
구동측 회전체(32)에 있어서, 구동축 삽입공(42)과 종동축 삽입공(44)은 반드시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종동축 삽입공(44)에 삽입된 종동측 연결부(72)는, 구동축 삽입공(42)에 삽입된 회전축(7)의 연결부(7a)과 반드시 축방향으로 접촉하지 않더라도 좋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측 결착부(51)는, 전동체 해제부(49)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측 결착부(51)는, 구동측 회전체(32)에 있어서 전동체 해제부(49)와는 다른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구동측 회전체(32)와 서포트부재(33)를 축방향으로 상호 결착시키는 한편, 구동측 회전체(32)와 서포트부재(33)의 구동측 회전체(32)의 중심축선 주변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는 결착부를, 구동측 회전체(32) 및 서포트부재(33)는 별도의 부품으로 설계하더라도 좋다. 또한, 클러치(3)는, 결착부 (구동측 결착부(51) 및 서포트측 결착부(68))를 반드시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것은, 상기 제2 실시형태의 클러치(9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클러치(3, 90)는, 반드시 서포트부재(33)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측 회전체(32, 91)의 모자챙부(47)에는, 확인공(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모자챙부(47)는, 반드시 확인공(48)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트부재(33)가 충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원고리 형상의 모자챙부(47)를 구동측 회전체(32, 91)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접촉부는, 해당 접촉부에 충방향으로 접촉하는 서포트부재(33)의 그 이상의 구동측 (모터부(1) 측) 으로의 이동을 규제가능한 형상이라면, 반드시 원고리 형상이 아니더라도 좋다. 예를들면, 모자챙부(47)에 대신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하여 봉 형상의 접촉부를 구동측 회전체(32, 91)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구동측 회전체(32, 91)는, 반드시 모자챙부(47)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종동측 연결부(72)는, 구동측 회전체(32, 91)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동측 회전체(32, 91)와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헐렁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구동측 회전체(32, 91) 및 종동측 연결부(72)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 끼리의 사이에는, 탄성부재(46)가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측 회전체(32, 91)로부터 탄성부재(46)를 생략하고, 종동축 삽입공(44)에 종동측 연결부(72)를 끼워넣더라도 좋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측 회전체(32)의 종동축 삽입공(44)에, 종동측 회전체(35)의 종동측 연결부(72)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32)와 종동측 회전체(35)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구동측 회전체(32, 91)와 종동측 회전체(35)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기구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종동측 연결부(72)에 삽입 요부를 설치하고, 해당 삽입 요부에 기둥 형상의 구동측 연결부(43)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구동측 회전체(32)와 종동측 회전체(35)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더라도 좋다. 이때, 구동측 회전체(32) 및 종동측 연결부(72)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 끼리의 사이에 탄성부재(46)를 개재(介在)시킨 형태에서, 종동측 연결부(72)의 삽입요부에 기둥 형상의 구동측 연결부(43)를 헐렁하게 끼우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상기 제1 실시형태의 (5)와 마찬가지의 이점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측 회전체(32, 91)는, 반드시 완충부재(45)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측 회전체(32, 91)의 회전구동시에는, 종동축 전달면(44a)이 종동측 연결부(72)의 종동측 전달면(74) 또는 제2 종동측 전달면(75)에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접촉한다. 그러나, 구동측 회전체(32, 91) 및 종동측 연결부(72)에 있어서, 구동측 회전체(32, 91)의 회전 구동 시에, 상호 접촉하는 부위는, 반드시 평면 형상이 아니더라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종동측 회전체(35)에 있어서, 종동측 연결부(72)와 제어면(73)은, 축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라면, 축방향으로 떨어져 형성되더라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3, 90)는, 전동체(34)를 2개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클러치(3, 90)는, 전동체(34)를 하나 또는 3개 이상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전동체(34)의 개수에 응하여, 제어면(73)의 개수, 서포트부재(33)의 전동체 서포터(64)의 개수, 전동체 해제부(49)의 개수, 확인공(48)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체(34)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반드시 원기둥 형상이 아니더라도 좋다. 예를들면, 전동체(34)는 구 형상이더라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측 회전체(32, 91)는, 회전축(7)과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종동측 회전체(35)는, 웜축(2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웜축(24)과는 다른 몸체로 웜축(24)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되더라도 좋다.
32 : 구동측 회전체 35 : 종동측 회전체
41 : 구동축 연결부 43 : 구동측 연결부

Claims (16)

  1. 고리형상의 클러치 하우징과,
    구동측 회전체와,
    제어면을 갖는 종동측 회전체이고, 그 제어면은 상기 클러치 하우징 내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있고,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시에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 구동력이 상기 종동측 회전체로 전달되는, 종동측 회전체와,
    상기 클러치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어면 사이에 배치된 회전체이고,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구동시에는 상기 종동측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비회전 구동시에는 상기 클러치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어면에 협지되며, 그리하여 상기 종동측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는, 전동체
    를 구비한 클러치로서,
    상기 종동측 회전체는, 상기 구동측 회전체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종동측 연결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종동측 연결부와 상기 제어면은, 축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측 연결부와 상기 제어면은, 축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클러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체는 구동측 전달면을 갖고, 상기 종동측 연결부는 종동측 전달면을 갖고, 상기 구동측 전달면은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 구동시에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방향에서 상기 종동측 전달면에 접촉하는 클러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전달면 및 상기 종동측 전달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완충부재는, 상기 구동측 전달면이 상기 종동측 전달면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클러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체 및 상기 종동측 회전체는 동일 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측 회전체 및 상기 종동측 연결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구동측 회전체 및 상기 종동측 연결부의 다른 쪽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더구나 축방향으로 겹치도록, 그 다른 쪽에 헐렁하게 끼움되어 있고,
    상기 구동측 회전체 및 상기 종동측 연결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 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클러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복수의 전동체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전동체를 유지하는 서포트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측 회전체는, 상기 서포트부재가 축방향으로부터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갖는 클러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체는, 상기 서포트부재에서 상기 구동측 회전체 측의 축방향의 말단부를 덮도록 직경 방향으로 연설된 모자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자챙부는 확인공을 가지며, 상기 전동체는 상기 확인공을 통하여 확인가능한 클러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복수의 전동체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전동체를 유지하는 서포트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측 회전체 및 상기 서포트부재는, 각각 결착부를 구비하고, 그 결착부는, 상기 구동측 회전체 및 상기 서포트부재의 축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구동측 회전체의 중심축선 주위에서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도록, 상호 결착(係合)하는 클러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체는,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결착부와 일체로 형성된 전동체 해제부를 더 구비하고, 그 전동체 해제부는,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회전구동의 개시 시에, 상기 전동체를 압압하고, 그에 의해 상기 클러치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어면에 의해 상기 전동체의 협지를 해제하는 클러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체는, 구동측 삽입공과, 그 구동축 삽입공과 축방향으로 연속하는 종동축 삽입공을 더 구비하고, 구동축 삽입공에는, 구동축이 구동측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고, 종동축 삽입공에는, 상기 종동축 연결부가 구동측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종동축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종동축 연결부는, 상기 구동축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구동축과 축방향으로 접촉하는 클러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삽입공 및 상기 종동축 삽입공은, 통 형상의 내주면을 각각 구비하며, 각 내주면은, 직경 방향으로 떨어져 상호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평면과, 그 평면 끼리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면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 삽입공의 상기 평면과 상기 종동축 삽입공의 상기 평면은, 상기 구동측 회전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90° 어긋나 있는 클러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회전체 및 상기 종동축 회전체 중의 적어도 한쪽은, 제2 완충부재를 구비하며, 그 제2 완충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측 연결부가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클러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기 구동축 삽입공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 및 상기 종동측 연결부는, 상기 종동측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축의 외형 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설치되는 클러치.
  15. 구동축을 갖는 모터부와,
    상기 구동축과 동일축 상에 배치된 상기 구동축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는 종동축을 갖는 감속부이고, 전달된 회전구동력을 감속하여, 감속된 회전구동력을 출력하는 감속부와,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 사이에 설치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러치
    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측 회전체는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동측 회전체는 상기 종동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모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면 및 상기 종동측 연결부는, 상기 종동축의 외형 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
KR1020110090461A 2010-09-15 2011-09-07 모터 KR101614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6720 2010-09-15
JPJP-P-2010-206720 2010-09-15
JPJP-P-2011-171163 2011-08-04
JP2011171163A JP5885959B2 (ja) 2010-09-15 2011-08-04 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814A true KR20120028814A (ko) 2012-03-23
KR101614506B1 KR101614506B1 (ko) 2016-04-21

Family

ID=4576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461A KR101614506B1 (ko) 2010-09-15 2011-09-07 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8125B2 (ko)
JP (1) JP5885959B2 (ko)
KR (1) KR101614506B1 (ko)
CN (2) CN104682620B (ko)
DE (1) DE102011113437B4 (ko)
FR (1) FR2964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5959B2 (ja) * 2010-09-15 2016-03-1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6536015B2 (ja) 2014-11-12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ョイント構造、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6493035B2 (ja) * 2015-07-06 2019-04-03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
CN105471169A (zh) * 2015-11-29 2016-04-06 綦江永跃齿轮有限公司 带缓冲减震结构的减速机
JP6583075B2 (ja) * 2016-03-17 2019-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ッチ、モータ及びパワーウインド装置
CN109844344B (zh) * 2016-09-30 2020-08-18 株式会社电装 离合器以及电动机
CN106533050A (zh) * 2016-11-18 2017-03-22 温州兴机电器有限公司 一种离合电机
WO2018168686A1 (ja) * 2017-03-17 2018-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6828536B2 (ja) * 2017-03-17 2021-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6828535B2 (ja) * 2017-03-17 2021-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6828537B2 (ja) * 2017-03-17 2021-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7029972B2 (ja) 2018-02-07 2022-03-04 Nokクリューバー株式会社 潤滑グリース組成物、クラッチおよびパワーウィンドウモーター
JP7210909B2 (ja) * 2018-06-08 2023-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ッチ、モータ、及びクラッチの製造方法
CN111285312B (zh) * 2018-12-10 2022-06-24 宝群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西林瓶处理设备
CN110792761A (zh) * 2019-11-12 2020-02-14 人水有限公司 整合式离合传动装置
US20220282549A1 (en) * 2021-03-05 2022-09-08 Albany Magneto Equipment, Inc., dba A.M. Equipment, Inc. Universal rotary actuato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85B1 (ko) 1998-08-03 2007-07-13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클러치 및 그 클러치를 구비한 구동장치
JP4159214B2 (ja) * 1999-11-17 2008-10-01 Ntn株式会社 逆入力防止クラッチ
US6390264B2 (en) * 2000-02-02 2002-05-21 Asmo Co., Ltd. Clutch and motor including such clutch
JP4245778B2 (ja) * 2000-05-30 2009-04-02 アスモ株式会社 クラッチ、及びモータ
US6481550B2 (en) * 2000-07-25 2002-11-19 Asmo Co., Ltd. Motor having clutch provided with stopper
JP3592618B2 (ja) 2000-07-28 2004-11-24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FR2826319B1 (fr) * 2001-06-21 2003-09-19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irreversib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JP4697784B2 (ja) * 2005-08-01 2011-06-08 Ntn株式会社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07100846A (ja) * 2005-10-04 2007-04-19 Asmo Co Ltd 回転力伝達装置及びモータ
JP4668804B2 (ja) 2006-02-16 2011-04-13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5885959B2 (ja) * 2010-09-15 2016-03-1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01037B (zh) 2015-04-22
JP2012082952A (ja) 2012-04-26
CN102401037A (zh) 2012-04-04
JP5885959B2 (ja) 2016-03-16
CN104682620B (zh) 2017-10-20
FR2964713A1 (fr) 2012-03-16
US20120061200A1 (en) 2012-03-15
CN104682620A (zh) 2015-06-03
US8708125B2 (en) 2014-04-29
DE102011113437B4 (de) 2021-10-21
FR2964713B1 (fr) 2017-02-10
KR101614506B1 (ko) 2016-04-21
DE102011113437A1 (de)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814A (ko) 클러치 및 모터
US9856943B2 (en) Reduction motor
US6727613B2 (en) Motor having rotatable shaft coupled with worm shaft
RU2555289C2 (ru) Ручная машина с приводным двигателем и передаточным механизмом
JP6428867B2 (ja) モータ
EP3549844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20120110080A (ko) 클러치 및 모터
US6481550B2 (en) Motor having clutch provided with stopper
US7605507B2 (en) Motor apparatus
CN108603544B (zh) 离合器、电动机以及电动窗装置
JP2002364713A (ja) モータ
US11047433B2 (en) Clutch and motor
US10087997B2 (en) Clutch and motor
KR20180078050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CN112424500B (zh) 离合器以及马达
JP5480080B2 (ja) クラッチ及びモータ
US20180062476A1 (en) Motor and motor assembly device
JP5081601B2 (ja) ブレーキ装置及び減速機構付モータ
JP7215374B2 (ja) モータ
US11892071B2 (en) Bearing unit and speed reducer-equipped motor
JP6728819B2 (ja) クラッチ、モータ及び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20160125680A (ko) 스텝엑츄에이터용 모터
JP2018132120A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06312976A (ja) 摩擦ローラ式変速機
JP2009278846A (ja) ロータ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