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395A - 공구 교체가 용이한 패키징 제조 기계용 잔부 방출 유닛 - Google Patents

공구 교체가 용이한 패키징 제조 기계용 잔부 방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395A
KR20120013395A KR1020117027650A KR20117027650A KR20120013395A KR 20120013395 A KR20120013395 A KR 20120013395A KR 1020117027650 A KR1020117027650 A KR 1020117027650A KR 20117027650 A KR20117027650 A KR 20117027650A KR 20120013395 A KR20120013395 A KR 2012001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unit
sleeve
stripping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989B1 (ko
Inventor
조반니 콤파노네
글렌 꼬르망뵈프
Original Assignee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2001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36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ll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8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revolving, e.g. cylinder,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66By fluid current
    • Y10T83/207By su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096Means to move product out of contact with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096Means to move product out of contact with tool
    • Y10T83/2098With means to effect subsequent conveying or gui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65Cutting motion of tool has component in direction of moving work
    • Y10T83/4766Orbital motion of cutting blade
    • Y10T83/4795Rotary tool
    • Y10T83/483With cooperating rotary cutter or backup
    • Y10T83/4838With anvil backup
    • Y10T83/4841With resilient anvi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57Joint or connection
    • Y10T83/9464For rotary tool
    • Y10T83/9466Flexible sleevelike t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징 제조를 위한 기계(1)의 잔부 방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16) 및 2 개의 상호적으로 맞물리는 회전형 공구(17, 18)를 포함하고, 2 개의 공구(17, 18)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맨드릴(27) 및 제거 가능한 슬리브(28)가 형성되고, 이 공구는 맨드릴(27)에 의해 삽입되고(I), 고정되고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구 교체가 용이한 패키징 제조 기계용 잔부 방출 유닛{WASTE EJECTION UNIT WITH EASY TOOL CHANGING FOR A MACHINE FOR PRODUCING PACKAGING}
본 발명은 평평한 기재를 절단함으로써 발생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어떤 스트리핑 공구의 교체도 용이하게 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절단 유닛과 잔부 스트리핑 유닛을 순서대로 연속해서 포함하는 패키징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패키징 제조 기계는 접기와 접착을 통해 패키징을 형성하게 되는 상자의 생산을 위한 것이다. 이 기계에서, 연속된 스트립 형태의 판지와 같은 최초의 평평한 기재는 인쇄 유닛 형태의 하부 유닛으로 자체 구성된 인쇄 유닛에 의해 풀리면서 인쇄된다. 스트립은 그리고 나서 절단 유닛으로 전달된다.
절단 후, 얻어진 블랭크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안으로 분리되어 폐기되는 잔부 영역을 갖게 되어, 상자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블랭크는 그 다음 개별화된 상자를 만들기 위해 분리기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잔부를 스트리핑하는 유닛은 절단 유닛 뒤에 장착된다. 스트리핑 유닛은 정교하고 신속한 잔부의 스트리핑을 가능하게 한다. 스트리핑 유닛 동작의 정밀성은 또한 잔부로 인한 막힘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스트리핑 유닛은 서로 상호 작용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2 개의 회전형 실린더의 형태를 갖는 2 개의 공구를 포함한다. 블랭크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통로를 따라 2 개의 실린더 사이로 이동한다.
실린더 또는 공구 중 하나인, 하부 실린더는 각각의 잔부 안으로 가압되는 반경 방향 니들을 갖는다. 니들은 니들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잔부를 떼어냄으로써 블랭크로부터 잔부를 분리시킨다. 이들 잔부는 실린더가 회전하는 동안 이들 반경 방향 니들로부터 제거된다. 고정 빗 형태의 방출기가 실린더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반경 방향 니들은 따라서 다음 번 블랭크의 절단 영역을 다음에 통과할 때, 자유롭게 풀려 다른 잔부를 가압할 것이다.
다른 실린더 또는 공구인, 상부 실린더는 이격된 연속 링 내에 배열된 예를 들어, 발포재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작된 스트립이나 또는 예를 들어, 가황 처리한 고무 타입의 가요성 재료로 제작된 전체 덮개를 형성하는 단일 스트립 중 하나를 그 표면 상에 구비한다. 버전에 따라 발포 스트립의 실린더 외부에 또는 가황 처리층 내에 구멍이 천공된다. 구멍의 위치는 니들의 위치에 대응한다. 이들 니들은 2 개의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구멍 안으로 수용되어, 잔부를 효과적으로 관통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실린더는 블랭크를 운반하여 잔부가 찍힐 때 블랭크를 잡아 준다.
미국특허공보 제 2,899,871호 및 유럽특허공보 제 1.057.596호는 절단 잔부 스트리핑 시스템의 예를 보여 준다.
그러나, 스트리핑 실린더의 교체와 관련된 작업은 시간이 길어지고 지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는 짧게 연속되는 형태로 인쇄 및 절단하고자 하는 그들 고객의 점차 엄격해 지는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스트리핑 실린더를 개량함으로써 극히 신속한 작업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원한다.
무엇보다, 작업자는 니들 유지 실린더를 기계적으로 분리하여, 그 구동 메카니즘으로부터 니들 유지 실린더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스트리핑 유닛으로부터 그리고 기계장치로부터 실린더를 떼어낸다. 그 다음, 작업자는 블랭크를 나타내는 패턴에 따라 새 실린더의 표면에 형성된 드릴 구멍 안으로 스트리핑 니들을 하나씩 차례로 정교하게 안내한다. 끝으로, 작업자는 새 실린더를 그 구동부에 재연결함으로써 스트리핑 유닛 내에 새 실린더를 교체해 넣게 된다.
실린더의 무게는 30㎏ 내지 50㎏이며, 니들을 구비한 하부 실린더가 절단날을 구비한 상부 실린더와 합체된 경우 900㎏까지 나갈 수 있다. 실린더를 떼어내기 위해, 작업자는 호이스트 (hoist) 를 사용하여 실린더를 들어올린다.
상당히 무거운 무게로 인해, 실린더 교체는 매우 신속하게 진행될 수 없다. 다수의 상이한 상자를 생산하기 위해 작업 전환 및 그에 따른 공구의 교체가 필요하다. 빈번한 실린더 취급 작업은 따라서 시간이 지연되고 지루하게 된다.
니들이 박힌 실린더는 작업자에게 부상 위험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실린더는 사용 준비가 된 때, 잔부 스트리핑 유닛 내에 대체되도록 취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패키징 제조 기계용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을 개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두 번째 목적은 패키징 제조 기계의 외부에 스트리핑 공구 또는 공구들이 준비되도록 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을 생산하는 데 있다. 세 번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스트리핑 공구에 대한 어떤 교체도 단순화하고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또한, 네 번째 목적은 당해 기술 상태의 문제점을 회피하는 잔부 스트리핑을 얻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류의 절단 유닛 뒤에 합체되어 있으며 폭넓은 사용 융통성을 제공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을 갖는 패키징 제조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 1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재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하는 패키징 제조 기계 내의 잔부 스트리핑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유닛은 프레임 및 서로 상호 작용하는 2 개의 회전형 공구를 포함한다. 2 개의 공구 중 적어도 하나는 맨드릴에 의해 고정 및 회전 구동되고, 삽입 및 추출이 가능한 제거 가능한 슬리브와 맨드릴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일련의 니들 또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보유한 제거 가능한 슬리브를 또 다른 일련의 니들 또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트립을 보유한 또 다른 제거 가능한 슬리브와 교체함으로써, 작업 전환은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하부 맨드릴을 구비한 하부 슬리브는 하부 공구를 형성하고/하거나 상부 맨드릴을 구비한 상부 슬리브는 상부 공구를 형성한다. 2 개의 공구는 저가이고 최대 단 2 개의 슬리브만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제거 가능한 슬리브의 무게는 18㎏보다 작은데, 이 무게는 전체 공구의 무게와 비교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있어서, 패키징 제조 기계는 이하 설명되고 특허청구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절단 유닛 하류에 위치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을 포함한다.
상류 및 하류 방향은 패키징 제조 기계를 관통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기재의 변위 방향을 참조로 하여 결정된다. 길이 방향은 중앙 길이 방향 축선을 따르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및 패키징 제조 기계 내에서의 평평한 기재의 변위 방향을 참조로 하여 결정된다. 가로 방향은 평평한 기재의 변위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서 결정된다. 전방 및 후방 위치는 각각 작업자 쪽과 작업자 반대쪽으로서 가로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잔부 스트리핑 유닛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잔부 스트리핑 유닛은 패키징 제조 기계 내에서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재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한다. 슬리브는 맨드릴에 의해 고정 및 구동이 교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형 공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형 공구는 가요성 재료로 제작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제공되는 다른 회전형 공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슬리브는 벽 안으로 맞물림되고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잔부 스트리핑 니들을 구비한 외부면이 있는 벽을 갖는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맨드릴에 의해 고정과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패키징 제조 기계 내의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재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하여, 외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가요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구비한 외부면이 있는 벽을 갖고, 잔부 스트리핑 니들을 구비한 회전형 공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회전형 공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슬리브를 저장하고, 드릴 가공하여 니들을 도입함으로써 슬리브를 맞추고, 그에 따라 공구를 제조하는 최소한의 기반 설비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잔부 스트리핑 유닛용 잔부 스트리핑 카세트는 패키징 제조 기계 내의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재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한다. 잔부 스트리핑 카세트는 서로 상호 작용하는 2 개의 회전형 공구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공구 중의 하나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가요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구비한다. 2 개의 공구 중 적어도 하나는 맨드릴에 의해 고정과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삽입 및 및 제거가 가능한 제거 가능한 슬리브와 맨드릴로 형성된다.
하나 또는 2 개의 슬리브 및 잔부 스트리핑 유닛에 의해, 유닛과 기계장치를 설정하고 유지할 책임이 있는 작업자는 접근,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인간환경 공학적인 스트리핑 유닛에 의하면, 니들 안내 오류의 위험성이 크게 줄어 드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최적의 질에 이르지 못하거나 최적의 질을 갖지 못한 블랭크 또는 상자의 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은 보다 잘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장점 및 서로 다른 특징이 제한이 아닌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과 같은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잔부 스트리핑 유닛이 끼워지는 패키징 제조 기계의 개략 측면도;
도 2 는 2 개의 공구 중 하나의 맨드릴이 추출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잔부 스트리핑 카세트의 사시도;
도 3 은 제 2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잔부 스트리핑 카세트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7 은 스트리핑 공구를 형성하기 위해 슬리브를 도입하는 상이한 단계를 도시한 도 2 의 카세트의 전면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8 및 도 9 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잔부 스트리핑 공구의 종단면도.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징 제조 기계(1)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평평한 판지인 연속 스트립(2) 상태로 기재 또는 재료를 처리한다. 패키징 제조 기계(1)는 예를 들어, 다이커팅 평압 프레스(3)와 같은 변형 유닛을 포함한다. 프레스(3)의 상류에서, 패키징 제조 기계(1)는 인쇄 유닛, 품질과 등록을 검사하는 수단, 엠보싱 유닛 등(미도시)과 같은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스트립(2)은 그 상류의 가로 방향 측으로부터 프레스(3) 안으로 들어온다. 프레스(3)는 스트립(2)을 절단하고 평평한 판지로 제작된 블랭크(4)의 형태로 기재를 공급한다. 블랭크(4)는 그 하류의 가로 방향 측으로 프레스(3)에서 출력된다. 길이 방향으로의 블랭크(4) 및 스트립(2)의 진행 또는 전진 방향(화살표 F)은 하류 방향 및 상류 방향을 가리킨다.
기계(1)는 프레스(3)의 하류에 배열된 구동 구성물(6)을 포함한다. 이 구성물(6)은 먼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하부 구동 롤러(7)를 포함한다. 구성물(6)은 따라서 롤러(7)의 위에 배열되고 롤러를 지탱하는 하나 또는 일련의 소형 가압 롤러(8)를 포함한다. 블랭크(4)는 롤러(7)와 소형 롤러(8) 사이에 맞물리고 유지되고 구동된다. 구성물(6)은 블랭크(4)의 활발한 전달을 보장하여, 상류에서 하류까지 길이 방향(F)으로 프레스(3)로부터 차례로 연속해서 블랭크(4)를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기계(1)는 블랭크(4)용 전달 장치(9)를 포함한다. 전달 장치(9)는 길이 방향(F)으로, 하류의 구성물(6)로부터 차례로 연속해서 블랭크(4)를 전달하도록 의도된다.
기계(1)는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진공 운반기(11)이며, 전달 장치(9)의 하류에 배열된 제 1 운반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 제 1 진공 운반기(11)는 오리피스(12)를 갖는 하나 이상의 무한 벨트를 구비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진공원에 연결된 진공 챔버(13)는 블랭크(4)를 벨트(12)에 대해 가압한다.
블랭크(4)는 이들 간에 짧은 틈새를 두고 벨트(12)의 상면 위에 차례로 배열된다. 제 1 진공 운반기(11)는 블랭크(4)의 활발한 전달을 보장한다. 벨트(12)는 길이 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로 블랭크(4)를 몰아간다.
기계(1)는 따라서 프레스(3) 하류에 진공 운반기(11) 뒤에 위치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14)을 포함한다. 이 유닛(14)은 블랭크(4)로부터 미리 절단된 판지 잔부의 제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잔부 스트리핑 유닛(14)은 지지구조 또는 프레임(16)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유닛(14)이 블랭크(4)를 위한 제 1 운반 조립체 즉, 제 1 진공 운반기(1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은 전달 장치(9) 및 이 제 1 진공 운반기(11)가 그 내부에 유리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다.
유닛(14)의 중앙부는 제 2의 원통형 상부 회전형 공구(18)와 상호 작용하는 제 1의 원통형 하부 회전형 공구(17)를 포함한다. 2 개의 공구(17 및 18)는 위아래로 서로 평행하게 프레임(16)을 가로질러 유닛(14)까지 부착된다. 제 1 운반 조립체 즉, 제 1 진공 운반기(11)는 2 개의 회전형 공구(17 및 18)의 상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 에서 알 수 있듯이, 하부 공구(17)는 상부 공구(18)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반경 방향 니들(19)을 구비한다. 이들 니들(19)은 스트립(2)의 절단으로 인해 잔부가 발생되는 장소에서 하부 공구(17)의 표면 상에 적절히 위치한다. 따라서, 이들 니들(19)은 각각의 잔부 영역 안으로 찍혀 들어가 하부 공구(17)의 근처에 부착된 빗모양 부분(comb)을 사용하여 잔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 공구(18)는 하부 공구(17)를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일련의 발포 스트립(20)을 구비한다. 이들 스트립(20)은 하부 공구(17)에 대응하는 니들(19)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 상부 공구(18)의 표면 상에 위치한다.
기계(1)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진공 운반기(21)이며 잔부 스트리핑 유닛(14)의 하류에 배열되는 제 2 운반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 2 운반 조립체(21)는 오리피스를 갖는 무한 벨트(12) 및 진공 챔버(13)로 볼 때 제 1 운반 조립체(11)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유닛(14)은 블랭크(4)를 위한 이 제 2 운반 조립체 즉, 제 2 진공 운반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2 진공 운반기(21)는 2 개의 회전형 공구(17 및 18)의 하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 2 운반 조립체(21)는 프레임(16)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기계(1)는 그 후 제 2 운반 조립체(21)의 뒤의 잔부 스트리핑 유닛(14)의 하류에 배열되는 분리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블랭크(4) 상에 그리고 상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새김눈 (nick) 은 분리기에 의해 파단되며 블랭크(4)는 따라서 상자로 변형된다.
잔부 스트리핑 유닛(14)은 도 2 내지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유리하게는 제거 가능한 카세트(22)를 포함한다. 제거 가능한 카세트(22)는 지지 구조 또는 프레임(23)을 가질 수 있다. 유닛(14)은 제 1 공구 즉, 하부 공구(17)를 위해 하부 전방 베어링(24) 및 하부 후방 베어링을, 제 2 공구 즉, 상부 공구(18)를 위해 상부 전방 베어링(26) 및 상부 후방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공구(17 및 18)의 회전을 보장하면서 이들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 및 상부 베어링(24 및 26) 2 개 모두는 프레임(23) 높이에서 삽입된다.
제거 가능한 카세트(22)는 프레임(16) 안으로 도입되고, 프레임에 부착되고 이 프레임(16)으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카세트(22)는 제 1 운반 조립체(11)와 제 2 운반조립체(21) 사이에, 프레임(16)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 하우징 안으로 횡으로 들어간다. 카세트(22)는 캐리지 상에 설치되며 작업자는 카세트를 가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그 하우징 안으로 삽입하고, 카세트를 프레임(16)에 잠금한다. 작업자가 유닛(14)으로부터 카세트(22)를 꺼낼 때의 움직임은 역순이다.
유닛(14)은 프레임(16) 내에서 제거 가능한 카세트(22)의 가로 방향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조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정은 블랭크(4) 잔부의 니들(19)에 의한 찍힘에 대하여 횡 방향 등록을 설정 또는 조정하는 데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잔부 스트리핑 유닛(14)은 맨드릴(27) 및 제거 가능한 슬리브(28)에 의해 형성된 하부 공구(17) 및/또는 상부 공구(18)인 2 개의 공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슬리브(28)는 맨드릴(27)에 의해 고정 및 회전 구동되고, 삽입되거나(도 2 및 도 5의 화살표(I)) 또는 제거될 수 있다(도 5의 화살표(O)).
맨드릴(27)은 공구(17 및 18)용 회전축을 형성하는 중앙 몸체(29), 전방 저널(31), 및 후방 저널(32)로 형성된다. 전방 및 후방 저널(31 및 32)은 전방 및 후방 베어링(24 및 26)에 의해 각각 유지된다. 하부 공구(17)와 상부 공구(18)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해, 하부 공구(17) 또는 상부 공구(18) 각각의 후방 저널(32)은 후방 기어에 접합된다. 이 후방 기어에는 카세트(22)가 유닛(14) 내에 맞물림될 때, 전기 모터 구동부(미도시)의 피니언과 치합된다.
슬리브(28)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오래된 슬리브(28)를 맨드릴(27) 위로 미끄럼 이동시켜(O) 이를 제거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역순으로 맨드릴(27) 위로 새로운 슬리브(28)를 미끄럼 이동시켜(I) 이를 삽입한다.
하부 공구(17)에 특히 유리하게(도 8 및 도 9), 슬리브(28,28a,28b)는 잔부 스트리핑 니들(19)을 구비한 외부면이 있는 벽(33a 및 33b)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스트리핑 니들(19)은 이 슬리브(28)의 벽(33a 및 33b) 안으로 맞물림될 수 있다. 이들 니들(19)은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슬리브(28)의 벽(33a 및 33b)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드러날 수 있다.
상부 공구(18)에 특히 유리하게(도 2 및 도 5), 슬리브(28)는 가요성 재료(20)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이 경우에는 8 개의 스트립을 구비한 외부면이 있는 벽(33)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스트립은 슬리브(28)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슬리브(28)는 맨드릴(27) 상에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그리고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도 8 참조), 공구(17a)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제거 가능한 단편(3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단편(34)은 전방 저널(31)을 형성한다. 이 전방 단편(34)은 동축 상으로 테이퍼져 있으며, 따라서 슬리브(28a)의 전방 경사면을 보완하는 후방 경사면을 갖는다. 전방 단편(24)은 맨드릴(27)의 몸체(29a) 상에 나사 결합된다.
제 1 실시예에서, 공구(17a)는 후방에 위치한 제 2의 고정 대향 단편(36)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단편(36)은 후방 저널(32)을 형성한다. 후방 단편(36)은 동축 상으로 테이퍼져, 슬리브(28a)의 후방 경사면을 보완하는 전방 경사면을 갖는다. 후방 단편(36)은 맨드릴(27)의 후방 저널(32)과 몸체(29a)에 접합된다.
역원추형을 형성하는, 전방 단편(34)은 원추형을 형성하는 후방 단편(36)에 대해 슬리브(28a)를 민다(화살표(T)). 전방 단편(34)의 추력(T)은 이 슬리브(28a)를 맨드릴(27) 상에 고정시키도록 실현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9 참조), 공구(17b)는 가압된 유체, 이 경우에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채널(37)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37)은 후방 저널(32)을 통과하고 가압 유체 공급원으로 연결된다. 맨드릴(27)의 몸체(29b)는 전방 저널(31)과 후방 저널(32)에 부착된 실린더를 가진다. 몸체(29b)의 실린더는 천공되고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채널(37)을 통과하는 가압된 유체는 압력 하에서 슬리브(28b) 벽(33b)을 위치시킬 수 있다. 슬리브(28b)의 벽(33b)은 약간 팽창하여 몸체(29b)로부터 이 슬리브(28b)를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압력이 끊긴 때, 슬리브(28b)는 몸체(29b) 상에 고정된다.
자체의 제거 가능한 슬리브(28)를 구비한 공구(17 및 18)는 자체의 베어링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하부 공구(17) 및 상부 공구(18)의 전방 베어링(24 및 26)은 바람직하게는 슬리브(28)의 추출을 허용하는 위치와 슬리브(28)의 유보를 허용하는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역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유닛(14),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세트(22)는 하부 전방 베어링(24)을 지지할 수 있는 하부 아암(38)과, 상부 전방 베어링(26)을 지지할 수 있는 상부 아암(39)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하부의 2 개의 아암(38 및 39)은 자물쇠와 유사한 브래킷의 형태로 되어 있다. 아암(38 및 39)은 카세트(22)의 전방면과 같은 높이에 구비되며, 이 전방면(41)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하부 전방 베어링(24)은 하부 아암(38)의 단부 중 한 곳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부 전방 베어링(26)은 상부 아암(39)의 제 1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2 개의 아암(38 및 39)은 직각을 이루는 그 중간 영역에 부착 베어링(42)을 포함한다.
카세트(22)는 유닛(14)과 카세트(22)의 전방을 향하여, 전방면(41)으로부터 돌출된 상부 피벗(44)과 하부 피벗(43)을 가진다. 하부 아암(38)은 하부 피벗(43) 상에, 상부 아암(39)은 상부 피벗(44) 상에 그 각각의 부착 베어링(42)에 의해 장착된다.
하부 피벗(43)과 상부 피벗(44)은 슬라이드를 형성하며 부착 베어링(42)은 슬라이더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이 2 개의 하부 및 상부 아암(38 및 39)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 그 역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도 7 및 도 8의 화살표(S)) 가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2 개의 아암(38 및 39)의 미끄럼 이동(S)은 공구(17 및 18)의 회전축 즉, 맨드릴(27)의 저널(31)을 잠글 수 있는 위치로부터, 이 공구(17 및 18)의 회전축 즉, 맨드릴(27)의 저널(31)을 해제할 수 있는 위치로의 또 그 역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하부 아암(38)의 미끄럼 이동은 하부 공구(17)의 전방 저널(31)로부터 하부 전방 베어링(24)을 기계적으로 연결을 끊고 추출해 낼 수 있도록 해준다.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하부 아암(38)의 미끄럼 이동은 하부 공구(17)의 전방 저널(31)로부터 하부 전방 베어링(24)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삽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상부 아암(39)의 미끄럼 이동은 (도 8 참조) 상부 공구(18)의 전방 저널(31)로부터 상부 전방 베어링(26)을 기계적으로 연결을 끊고 추출해 낼 수 있도록 해준다.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상부 아암(39)의 미끄럼 이동(S)은 (도 7 참조) 상부 공구(18)의 전방 저널(31)의 상부 전방 베어링(26)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삽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부 피벗(43)과 상부 피벗(44)은 또한 부착 베어링(42)에 대한 경사 축선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2 개의 하부 및 상부 아암(38 및 39)은 피벗 가능하게 된다. 베어링 또는 베어링들(24 및 26)의 연결을 끊기 위해 아암 또는 아암들(38 및 39)의 미끄럼 이동(S)이 사전에 발생한 경우에만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하부 아암(38)은 상부에서 하부로 또 그 역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피벗된다. 상부아암(39)은 하부에서 상부로 또 그 역으로 상부에서 하부로(도 6 및 도 7의 화살표(R)) 피벗된다. 2 개의 아암(38 및 39)의 회전(R)은 공구(17 및 18)의 회전축 즉, 저널(31)을 잠글 수 있는 위치로부터, 이 공구(17 및 18)의 이 회전축 즉, 저널(31)을 해제할 수 있는 위치로의, 또 그 역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상부에서 하부로의, 하부 아암(38)의 회전은, 하부 공구(17)의 맨드릴(27) 위로 슬리브(28)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이 슬리브를 추출할(O) 수 있게 하기 위해, 슬리브(28)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간을 비울 수 있게 한다.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의, 하부 아암(38)의 회전은, 하부 공구(17)의 전방 저널(31)을 향하도록 하부 전방 베어링(24)을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하부에서 상부로의, 상부 아암(39)의 회전(R)은(도 7 참조), 상부 공구(18)의 맨드릴(27) 위로 이 슬리브(28)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슬리브를 추출할(O) 수 있게 하기 위해 슬리브(28)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간을 비울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상부에서 하부로의, 상부 아암(39)의 회전(R)은, 상부 공구(18)의 전방 저널을 향하도록 전방 베어링(26)을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제 2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잔부 스트리핑 카세트에서(도 3 참조), 상부에서 하부로의, 하부 아암(38)의 회전은, 하부 공구(17)의 맨드릴 위로 이 슬리브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슬리브를 추출할(O) 수 있게 하기 위해 슬리브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간을 비울 수 있게 한다.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의, 하부 아암(38)의 회전은, 하부 공구(17)의 전방 저널(31)을 향하도록 하부 전방 베어링(24)을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이 제 2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부에서 하부로의, 상부 아암(39)의 회전(R)은, 상부 공구(18)의 맨드릴(27) 위로 이 슬리브(28)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슬리브를 추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슬리브(28)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간을 비울 수 있게 한다.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의, 상부 아암(39)의 회전(R)은, 상부 공구(18)의 전방 저널을 향하도록 전방 베어링(26)을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닛(14), 따라서 카세트(22)는 하부 공구(17)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부 공구(18)를 변위시키는 수단(46)을 포함할 수 있다. 변위 수단(46)은 레버(47) 상에 작용한다. 레버(47)는 상부 피벗(44)에 피벗되도록 접합된다. 변위 수단(46)은 예를 들어, 레버(47)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공압식 실린더이다. 변위 수단(46) 및 레버(47)는 카세트(22)의 후방면과 전방면(41) 상에 구비된다.
변위 수단(46)은 레버(47)를 끌어당겨 상부 공구(18)가 하부 공구(17)를 향하게 한다. 변위 수단(46)은 상부 공구(18)를 지레 작용에 의해 움직이는 데 사용되고, 슬리브(28,28a, 및 28b)를 추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변위 수단(46)은 또한 판지가 막힌 경우에 방출 밸브로서의 역할도 한다.
유리하게는, 유닛(14), 및 따라서 카세트(22)는 상부 공구(18)와 하부 공구(17)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수단(48)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수단(48)은 레버(47) 상에 작용한다. 조정 수단(48)은 예를 들어 레버(47)와 접촉하여 접합부를 이루는 캠의 형태를 갖는다.
변위 수단(46)은 레버(47)를 밀어 하부 공구(17)로부터 상부 공구(18)를 이격시키도록 되어 있다. 조정 수단(48)은 블랭크(4)의 통과를 위해 이 하부 공구(17)와 이 상부 공구(18) 사이에 있는 틈새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조정 수단(48)은 상부 공구(18)의 슬리브(28)의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20)이 하부 및 상부 공구(17 및 18) 사이를 지나는 블랭크(4)에 닿도록 설정된다.
일단 베어링(24 및 26)이 각각의 전방 저널(31) 내에 맞물림되면, 아암(38 및 39)은 고정된다. 하부 아암(38)의 고정은 카세트(22)의 전방면(41)의 고정된 접합부(49)에 대하여 하부 아암(38)의 제 2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얻어진다. 상부 아암(39)의 고정은 레버(47) 상에 존재하는 접합부(51)에 대하여 상부 아암(39)의 제 2 단부를 가압 및 고정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은 설명 및 예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허청구범위의 세트의 내용으로 정해지는 한계를 어떻게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재(4)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3)의 하류에 위치하는 패키징 제조 기계(1)의 잔부 스트리핑 유닛에 있어서, 서로 상호 작용하는 2 개의 회전형 공구(17,18) 및 프레임(16)을 포함하며, 2 개의 공구(17,18)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맨드릴(27)과 이 맨드릴(27)에 의해 삽입되고(I), 고정 및 회전 구동되는 제거 가능한 슬리브(28,28a,28b)가 형성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8,28a,28b)는 벽(33a,33b) 안으로 맞물림되고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잔부 스트리핑 니들(19)을 구비한 외부면이 있는 벽(33a,33b)을 가지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8)는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20)을 구비한 외부면이 있는 벽을 가지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7,18)는 압력 하에서 슬리브(28b)의 벽(33b)을 위치시켜, 맨드릴(27)로부터 상기 슬리브(28b)를 방출하도록 되어 있는 가압 유체 공급 채널(37)을 포함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7,18)는 제 2 대향 단편(36)에 대해 슬리브(28a)를 밀어 상기 슬리브(28a)를 맨드릴(27) 상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동축 제거 가능한 단편(34)을 포함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8)의 추출을 허용하는 위치와 슬리브(28)의 유보를 허용하는 위치 사이에서, 또 그 역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공구(17,18)용 전방 베어링(24,26)을 포함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8)의 회전축(31,32)을 잠금하는 위치와 상기 공구(18)의 상기 회전축(31,32)을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또 그 역으로 피벗되고(R), 가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며(S), 그 단부 중 하나에서 전방 베어링(24,26)을 지지하는 아암(39)을 포함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구(17)와 상기 상부 공구(18) 사이의 틈새를 설정하는 조정 수단(48)을 포함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구(17)에 대하여 상부 공구(18)를 변위시키는 수단(46)을 포함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회전형 공구(17,18)의 상류에 위치하는 평평한 기재(4)를 위한 제 1 운반 조립체(11)와, 상기 2 개의 회전형 공구(17,18)의 하류에 위치하는 평평한 기재(4)를 위한 제 2 운반 조립체(21)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운반 조립체(11,21)는 프레임(16) 내에 장착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회전형 공구(17,18)를 지지하는 베어링(24,26)을 구비한 프레임(23)을 가지는 제거 가능한 카세트(22)를 포함하며, 이 카세트는 프레임(16)으로 도입되고, 부착되고,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22)의 가로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
  13. 절단 유닛(3)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잔부 스트리핑 유닛(14)을 포함하는 패키징 제조 기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류에서 하류로 다이커팅 평압 프레스(3), 구동 구성물(6), 전달 장치(9), 제 1 진공 운반기(11), 유닛(14), 및 제 2 진공 운반기(21)를 차례로 포함하는 패키징 제조 기계.
  15. 패키징 제조 기계(1) 내에서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재(4)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3)의 하류에 위치하며, 맨드릴(27)에 의해 고정 및 회전 구동되어 회전형 공구(17)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벽(33a,33b) 내에 맞물림되고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잔부 스트리핑 니들(19)을 구비한 외부면이 있는 벽(33a,33b)을 가지며,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20)을 구비한 회전형 공구(18)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용 슬리브.
  16. 패키징 제조 기계(1) 내에서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재(4)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3)의 하류에 위치하며, 맨드릴(27)에 의해 고정 및 회전 구동되어 회전형 공구(18)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20)을 구비하는 외부면이 있는 벽을 가지며, 잔부 스트리핑 니들(19)을 구비한 회전형 공구(17)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용 슬리브.
  17. 패키징 제조 기계(1) 내에서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재(4)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3)의 하류에 위치하며, 서로 상호 작용하는 2 개의 회전형 공구(17,18)를 지지하는 베어링(24,26)을 구비한 프레임(16)을 포함하며, 공구 중의 하나(17)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잔부 스트리핑 니들(19)을 구비하고, 공구 중 다른 하나(18)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20)을 구비하며, 2 개의 공구(17,18)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맨드릴(27)과 제거 가능한 슬리브(28)가 형성되고, 이 공구는 맨드릴(27)에 의해 삽입되고, 고정 및 회전 구동되는 잔부 스트리핑 유닛(14)용 잔부 스트리핑 카세트.
KR1020117027650A 2009-05-13 2010-05-12 공구 교체가 용이한 패키징 제조 기계용 잔부 방출 유닛 KR101419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006437 2009-05-13
EP09006437.9 2009-05-13
PCT/EP2010/002922 WO2010130429A1 (fr) 2009-05-13 2010-05-12 Unité d'éjection de déchets a changement d'outil facilité pour une machine de production d'emball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395A true KR20120013395A (ko) 2012-02-14
KR101419989B1 KR101419989B1 (ko) 2014-07-15

Family

ID=4115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650A KR101419989B1 (ko) 2009-05-13 2010-05-12 공구 교체가 용이한 패키징 제조 기계용 잔부 방출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83144B2 (ko)
EP (1) EP2429782B1 (ko)
JP (1) JP5580884B2 (ko)
KR (1) KR101419989B1 (ko)
CN (1) CN102413993B (ko)
ES (1) ES2587203T3 (ko)
WO (1) WO20101304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08889A1 (en) * 2013-05-29 2016-04-21 Jinhwan Kim Blade angle control apparatus of wind power generator and wind power generator hav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10445A1 (it) * 2011-05-19 2012-11-20 Tecnau Srl "equipaggiamento per perforazioni trasversali di lunghezze variabili, ad alta velocita, su moduli continui in movimento"
DK2911890T3 (da) * 2012-10-29 2019-05-06 Esanastri S R L Anordning og fremgangsmåde til udtynding af en flerlaget bane omfattende en støtte-liner og mindst en klæbefilm, der er forbundet med lineren
JP6195632B2 (ja) * 2013-03-07 2017-09-13 ボブスト メ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平坦な支持物を加工するための調整可能な装置、これを装備したカセット、ユニット及び機械
ES2630370T3 (es) * 2013-03-08 2017-08-21 Bobst Mex Sa Dispositivo de recorte y de eyección de los residuos, unidad, y máquina así equipada
JP6755869B2 (ja) * 2014-12-04 2020-09-16 ボブスト メ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Bobst Mex SA 平坦基材を変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ステーション
WO2017033046A1 (en) 2015-08-26 2017-03-02 Highcon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3d ojbect from layers of pre-stripped substrate
CN105313171B (zh) * 2015-11-19 2017-04-12 武汉沃亿生物有限公司 一种切片机自动定位积屑盒
US10239222B2 (en) 2016-07-14 2019-03-26 Roto-Die Company, Inc. Insert and pin for pin ejector system for a rotary cutting die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s
US11520544B2 (en) 2017-07-14 2022-12-06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Waste determination for generating control plans for digital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20190016551A1 (en) 2017-07-14 2019-01-17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Reel editor for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0642551B2 (en) 2017-07-14 2020-05-05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Engine for generating control plans for digital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1449290B2 (en) 2017-07-14 2022-09-20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Control plan for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1485101B2 (en) 2017-07-14 2022-11-01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Controls for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CN112976156B (zh) * 2021-02-06 2022-06-21 山东丰澳医疗科技有限公司 医用敷料生产线废边循环处理装置
CN114103247B (zh) * 2021-11-22 2023-12-26 浙江中包派克包装有限公司 一种旋转裁切的瓦楞纸板裁切机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871A (en) 1959-08-18 Stripper mechanism
US1832481A (en) * 1930-03-10 1931-11-17 Gebhart Folding Box Company Box making machine
US2161502A (en) * 1936-05-18 1939-06-06 Fibre Proc Ltd Fiber finishing machine
US2792060A (en) * 1954-06-17 1957-05-14 Stamco Inc Apparatus for slitting and coiling lines
US2933772A (en) * 1957-08-29 1960-04-26 Hattori Stripping rolls for carding engines
US3320864A (en) * 1964-10-30 1967-05-23 Zerand Corp Self-combing pin type stripper for blank forming apparatus
US3404607A (en) * 1967-01-09 1968-10-08 Harris Intertype Corp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3643553A (en) * 1969-10-16 1972-02-22 Hideo Morimoto Strip machine
JPS4922075Y1 (ko) * 1970-08-20 1974-06-13
JPS5014231Y1 (ko) * 1973-09-20 1975-05-02
US3877353A (en) * 1973-11-12 1975-04-15 Rockwell International Corp Stripping device
GB1581233A (en) * 1976-06-02 1980-12-10 Drg Uk Ltd Printing press
US4158429A (en) * 1977-03-28 1979-06-19 Honshyuseishi Kabushiki Kaishya Apparatus for feeding elongate sheet materials
US4158128A (en) * 1977-06-20 1979-06-12 Ivanovsky Nauchno-Issledo-Valetelsky Experimentalnokonstruktorsky Mashinostroitelny Institut Roller for applying uniform load across the width of processed sheet material
JPS5895000A (ja) * 1981-11-30 1983-06-06 株式会社磯輪鉄工所 ダイカツト装置
JPS6150797A (ja) * 1984-08-01 1986-03-13 レンゴ−株式会社 シ−ト打抜き屑処理装置
DE3500547A1 (de) * 1985-01-10 1986-07-10 Focke & Co (GmbH & Co), 2810 Ver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zuschnitten fuer verpackungen
US4613321A (en) * 1985-09-06 1986-09-23 Preston Engravers, Inc. Diecutting roll system with improved scrap disposal capability
US5138923A (en) * 1988-11-18 1992-08-18 Atlas Die, Inc. Rotary die cutter
US5233813A (en) * 1989-04-28 1993-08-10 Ag (Patents) Limited Manufacturing infusion packages
US4989487A (en) * 1989-07-24 1991-02-05 Staley John P Anvil assembly for a slitting machine
US4985012A (en) * 1989-09-19 1991-01-15 Marquip Inc. Apparatus for stripping scrap from die cut blanks
US5087237A (en) * 1990-10-26 1992-02-11 Nunley Forrest E Adjustable rotary waste removal system for rolls of die cut paperboard
US5189935A (en) * 1990-11-09 1993-03-02 Richard Rosemann Rotary cutting die assembly
DE4340915A1 (de) * 1993-02-23 1994-08-25 Heidelberger Druckmasch Ag Auswechselbare Andrückhülse
US5300009A (en) * 1993-06-15 1994-04-05 Bittenbender Dan L Paperboard waste stripping apparatus
US5802975A (en) * 1993-12-03 1998-09-08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Device for manipulating sleeves on cylinders
JPH07214700A (ja) * 1994-02-09 1995-08-15 Umetani Seisakusho:Kk プリンターダイカッター
DE4432817A1 (de) * 1994-09-15 1996-03-21 Roland Man Druckmasch Formzylinder
CN2226022Y (zh) * 1995-09-27 1996-05-01 孟庆昆 排废机
FR2775922B1 (fr) * 1998-03-12 2000-05-05 Komori Chambon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de decorticage pour flans de cartons decoupes
EP0947717A3 (en) * 1998-03-30 1999-11-17 Fameccanica. Data S.p.A. A processing unit for advancing articles
US7111534B1 (en) * 1998-04-03 2006-09-26 Container Graphics Corporation Resilient scrap stripper for a corrugated board rotary cutting die
IT1299666B1 (it) * 1998-05-05 2000-03-24 Uteco Spa Roto Flexo & Convert Macchina rotativa flessografica a tamburo centrale a piu' colori
DE19833324A1 (de) * 1998-07-24 2000-01-27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Querteilen von Bändern oder Blechen in der Walz- bzw. Transportlinie
US7344325B2 (en) * 1999-01-25 2008-03-18 Fargo Electronics, Inc. Identification card printer having ribbon cartridge with cleaner roller
CH693169A5 (fr) 1999-06-01 2003-03-27 Bobst Sa Dispositif pour régler la position entre un éjecteur de déchets et un cylindre de découpage.
DE20006554U1 (de) * 2000-04-08 2001-08-16 Web Tech Licensees B V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bedruckten Verpackungen o.dgl. Substraten
CH694985A5 (fr) * 2002-01-24 2005-10-31 Bobst Sa Dispositif pour le montage d'une cassette, comportant des outils cylindriques, dans une machine de façonnage rotatif d'une matière en bande ou en feuille.
US6949059B2 (en) * 2002-09-18 2005-09-27 Winkler + Dunnebier, Ag Two cylinder one piece pin stripping device
US6926653B2 (en) * 2002-12-04 2005-08-09 Winkler + Dunnebier, Ag Two piece pin and sleeve stripping system
US6925918B1 (en) * 2003-08-14 2005-08-09 Container Graphics Corporation Scrap stripper for a rotary cutting device for cutting corrugated board
US7171147B2 (en) * 2003-11-20 2007-01-30 Eastman Kodak Company Double-sleeved electrostatographic roller
JP2005193322A (ja) * 2004-01-05 2005-07-21 O M Ltd ロータリー式打抜装置
US7248812B2 (en) * 2004-01-26 2007-07-24 Eastman Kodak Company Cleaning member
ITFI20040202A1 (it) * 2004-09-30 2004-12-30 Perini Fabio Spa Camicia intercambiabile per rulli goffratori o simili,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e rullo comprendente detta camicia
WO2006116954A1 (de) * 2005-05-03 2006-11-09 Blickle Sondermaschine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rotativen bearbeiten von rollenware
ES2273604B1 (es) * 2005-10-31 2007-12-16 Comexi, S.A. Maquina impresora flexografica.
US20080067717A1 (en) * 2006-09-15 2008-03-20 Michael Lampignano Apparatus for creating textured concrete surfaces
JP2008213877A (ja) * 2007-03-02 2008-09-18 Gunze Ltd ロータリカッタ、及び製袋装置
CN201158055Y (zh) * 2008-03-07 2008-12-03 北京哈德模具机械制造有限公司 全自动排废圆辊模切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08889A1 (en) * 2013-05-29 2016-04-21 Jinhwan Kim Blade angle control apparatus of wind power generator and wind power generator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0429A1 (fr) 2010-11-18
CN102413993B (zh) 2015-02-25
EP2429782A1 (fr) 2012-03-21
JP5580884B2 (ja) 2014-08-27
CN102413993A (zh) 2012-04-11
KR101419989B1 (ko) 2014-07-15
EP2429782B1 (fr) 2016-07-20
US20120055301A1 (en) 2012-03-08
JP2012526009A (ja) 2012-10-25
US8783144B2 (en) 2014-07-22
ES2587203T3 (es)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3395A (ko) 공구 교체가 용이한 패키징 제조 기계용 잔부 방출 유닛
KR101419991B1 (ko) 포장지 제조용 기계에서 용이한 공구 조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
CN103221190B (zh) 用于在生产包装的机器中的废料排出单元的装置
JP6195632B2 (ja) 平坦な支持物を加工するための調整可能な装置、これを装備したカセット、ユニット及び機械
US6723948B2 (en) Device for processing printed packaging or similar substrates
JP6137651B2 (ja) 2つのツール間の半径方向間隙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支持物を加工するための装置、これを装備したカセット、ユニット及び機械
KR102539810B1 (ko) 편평한 지지부의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작업 스테이션
EP3581381A1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sheets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and digital printing line
EP2832652A1 (en) A method of handling a web-like labelling material in an automated labelling process, labelling machine vacuum drum and labelling machine
CN115103748A (zh) 用于印张分离的装置及方法
EP0839719A1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erpackungen aus dünnem Verpackungsmaterial
US20150108716A1 (en) Machine for processing elements in sheet form, including a feed board fitted with conveying means
EP1205386A1 (d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führen eines Flächengebildes, insbesondere eines Coupons
JP7072525B2 (ja) 衛生用吸収性物品の側方フラップを供給するためのユニットおよび供給ユニットのフォーマット変更のための方法
EP190282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schneiden von Wellpappe o. dgl. Verpackungsmitteln
JP2016040062A (ja) カットオフ装置及びシート加工装置
US9481123B2 (en) Labeling device for a thermoforming system and method
JP5575918B2 (ja) 切断ユニットの下流側に配置されたプレカット基材を分離するためのユニット
KR101710414B1 (ko) 타발기
JP2004238006A (ja) Ptp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ポケット部製造装置
SE518566C2 (sv) Stansenhet
JP2010100357A (ja) シート材無停止自動接合装置及び方法
US200702000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a material web to a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