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542A - 포장지 제조용 기계에서 용이한 공구 조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 - Google Patents

포장지 제조용 기계에서 용이한 공구 조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542A
KR20120007542A KR1020117028539A KR20117028539A KR20120007542A KR 20120007542 A KR20120007542 A KR 20120007542A KR 1020117028539 A KR1020117028539 A KR 1020117028539A KR 20117028539 A KR20117028539 A KR 20117028539A KR 20120007542 A KR20120007542 A KR 2012000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unit
frame
tool
to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991B1 (ko
Inventor
조반니 콤파노네
글렌 꼬르망뵈프
Original Assignee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1391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0754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2000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36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ll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21B31/103Manipulators or carriag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31B2160/102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btained from essentially rectangula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포장지 제조 기계 (1) 의 잔부 배출 유닛은 절단 유닛 (3) 의 하류에 위치되고, 프레임 (16) 및 서로 상호 작동 하는 두 개의 로터리 공구 (17, 18) 를 포함하고, 제 1 공구 (17) 에 방사상으로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잔부 배출 니들이 제공된다. 두 개의 공구 (17, 18) 는 제거 가능한 카세트 (22) 에 장착되고, 상기 카세트 (22) 는 상기 두 개의 공구 (17, 18) 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제공되는 프레임 (23) 을 포함하고, 그리고 프레임 (16) 에 도입되고, 부착되고, 그리고 프레임 (16) 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지 제조용 기계에서 용이한 공구 조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WASTE EJECTION UNIT WITH EASY TOOL ADJUSTMENT IN A MACHINE FOR PRODUCING PACKAGING}
본 발명은 평평한 기판의 절단에 의해 얻어진 잔부 배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어떤 배출 공구 조정도 용이하게 하는 잔부 배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순서대로 그리고 이어서, 절단 유닛과 잔부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 기계에 관한 것이다.
포장지 제조 기계는 접기 및 접착 이후에 포장을 형성하는, 박스의 제조를 위해 의도된다. 이 기계에서, 판지의 연속된 스트립 (strip) 과 같은 처음의 평평한 기판은 감김이 풀리고 그 자체로 프린팅 유닛의 형태의 서브 유닛으로 이루어진 프린트 유닛에 의해 프린트된다. 그런 다음에 스트립은 절단 유닛으로 전달된다.
절단 이후에, 얻어진 블랭크는 그 다음에 박스 생성이 가능하도록, 분리되고 잔부 배출 유닛 내에 버려지는 잔부 영역을 갖는다. 그런 다음에 블랭크는 개별 박스를 얻기 위해 분리기에서 분리된다.
이 잔부의 배출용 유닛은 절단 유닛 다음에 장착된다. 배출 유닛은 정확하고 빠른 잔부 배출을 보장한다. 배출 유닛의 정확한 작동은 또한 잔부가 잼 (jam) 을 유발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배출 유닛은 서로 상호 작동하도록, 두 개의 로터리 실린더 형태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두 개의 공구를 포함한다. 블랭크는 두 개의 실린더 사이를 실질적으로 수평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실린더 중 하나인, 하부 실린더는 각각의 잔부에 눌리는 방사상의 니들 (needle) 을 갖는다. 니들은 니들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잔부를 운반해가는 것에 의해 블랭크로부터 잔부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에 이 잔부는 실린더의 회전 도중에 이 방사상의 니들로부터 제거된다. 고정된 벌집형상부 (comb) 의 형태의 배출기는 실린더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그러므로 방사상의 니들은 해방되고 다음 블랭크의 절단 영역에 다음으로 지나가면 다른 잔부에 눌려질 것이다.
실린더의 다른 하나인, 상부 실린더는, 간격을 두고 떨어진 연속적인 링에 배열된 플렉서블 재료, 예를 들어 폼으로 만들어진 스트립, 또는 플렉서블 재료, 예를 들어 가황 고무 타입 (vulcanized rubber type) 으로 만들어진 완전한 피막을 형성하는 단일 스트립 중 어느 하나를 그 표면에 갖는다. 홀은, 버전에 따라, 실린더에서 폼 스트립의 외부에 또는 가황 층에 형성된다. 홀의 위치는 니들의 위치에 대응한다. 이 니들은 두 개의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홀에 수용되어, 니들이 잔부를 효과적으로 관통하게 한다. 상부 실린더는 잔부가 박히면 블랭크를 수송하고 유지한다.
특허 문서 US-2.899.871 과 EP-1.057.596 은 절단된 잔부 배출 시스템의 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배출 실린더의 교체와 관련된 작업은 길고 지루함이 드러난다. 사용자는, 소규모의 일련의 프린팅과 절단에 대해 그들의 고객의 증가하는 까다로운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배출 실린더를 수정하는 것에 의해 극도로 빠른 작업 교체가 가능하기를 원한다.
무엇보다, 기계가 멈추자마자, 오퍼레이터는 그 구동 메커니즘으로부터 니들 유지 실린더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을 끊는다. 그런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실린더를 배출 유닛과 기계 밖으로 꺼낸다. 그 다음, 오퍼레이터는 블랭크를 나타내는 패턴에 따라, 배출 니들을 새 실린더의 표면에 제공되는 드릴-홀 (drill-hole) 에 연이어 정확하게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오퍼레이터는 실린더의 드라이브에 실린더를 재연결함에 의해 배출 유닛에 새 실린더를 교체한다.
그러나, 이 작업은 실린더 구동을 위한 모든 기계적 링크의 연결을 끊고 그런 다음에 다시 연결시켜야 하는 필요 때문에 긴 시간이 걸린다. 이 시간 동안, 모든 기계 제조는 정지된다.
더군다나, 두 개의 실린더의 위치는 잔부 배출 유닛에서 반드시 정확해야 한다. 두 개의 실린더가 서로에 대해 조정될 뿐만 아니라, 유닛의 프레임에 대해서도 둘 다 조정 되어야 한다. 양쪽의 경우에, 두 개의 실린더 사이에, 간격 (spacing), 평행 얼라인먼트 (parallel alignment), 그리고 수평과 수직 평면의 상대적 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
실린더의 무게는 30 kg ~ 50 kg 이거나 또는 절단 블레이드를 갖는 상부 실린더와 결합된 니들을 갖는 하부 실린더의 경우에는 심지어 최대 900 kg 이다. 이것을 밖으로 꺼내기 위해, 오퍼레이터는 호이스트 (hoist) 를 사용하여 이를 들어올린다.
상당히 무거운 무게 때문에, 실린더 교체는 매우 빠르게 실행될 수 없다. 그러므로 작업 교체과 공구 교체는 많은 다른 박스를 얻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빈번한 실린더 조작 작업은 길고 지루함이 드러난다.
니들이 박힌 실린더는 오퍼레이터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실린더는, 사용할 준비가 되면, 잔부 배출 유닛에서 교체되기 위해 조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표는 포장지 제조 기계용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된 잔부 배출 유닛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 2 목표는 기계가 정지됨 없이 기계 밖에서 배출 공구(들)가 준비되는 것을 허용하는 잔부 배출 유닛을 생산하는 것이다. 제 3 목표는 하나 이상의 배출 공구의 교체를 간단하게 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제 4 목표는 잔부 배출의 정확성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거기에 제 5 목표는 종래 기술 상황의 문제를 회피하는 잔부의 배출을 얻는 것이다. 거기에 다른 목표는 상류의 절단 유닛 다음에 일체화되고 사용의 넓은 유연성을 제공하는 잔부 배출 유닛을 갖는 포장지 제조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포장지 제조 기계에서,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된 잔부 배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유닛은 프레임과 서로 상호 작동하는 두 개의 로터리 공구 (rotary tool) 를 포함한다. 제 1 공구에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잔부 배출 니들이 제공된다. 두 개의 공구는 제거 가능한 카세트 (cassette) 에 장착되고, 이 카세트는 이 두 개의 공구를 지지하는 베어링 (bearing) 이 제공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 프레임에 도입되고, 고정되고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오퍼레이터는 잔부 배출 유닛 밖, 따라서 포장지 제조 기계 밖에서, 카세트로 잔부 배출 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 카세트는 작업자가 쉽게 요구 사항에 따라 즉, 블랭크 및/또는 박스의 수준에 있는 잔부의 위치에 따라 뒤이은 작업을 위한 잔부 배출 유닛을 준비할 수 있게 한다.
그 목적에 소용된 카세트는 유닛으로부터, 그러므로 기계로부터 추출된다. 그 다음에, 미리 준비된 새 카세트가 즉시 배출 유닛 내로 도입된다. 기계가 한번 다시 제조에 들어가면, 그 목적에 소용된 공구와 카세트는 분해되고 차후의 사용을 위해 다시 한번 준비된다. 그러므로 기계 정지 시간은 오로지 카세트를 교체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절대적으로 최소화된다.
공구 준비 단계에서 배출 유닛은 더 이상 모든 포장지 제조를 느리게 하는 평평한 기판(들)의 변형을 위한 요소가 아니다. 제조에 쓰이는 제 1 카세트와 준비에 쓰이는 제 2 카세트인 두 개의 교환 가능한 카세트에 의해 잔부 배출 유닛의 작동은 거의 대부분 방해없이 계속된다.
카세트와 카세트의 프레임은 알맞게 치수가 정해지고 이들의 인체 공학적 부분은 잔부 배출 유닛의 프레임에 카세트의 도입, 부착 그리고 프레임으로부터 추출이 단일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 가능하기에 알맞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포장지 제조 기계는 이하에 기술되고 청구된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을 포함하고, 이 유닛은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된다.
상류와 하류의 방향은 기판의 이동의 방향에 대해, 잔부 배출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리고 포장지 제조 기계를 관통하여 정의된다. 길이 방향은 잔부 배출 유닛과 기계의 평평한 기판의 이동 방향에 대해, 기판의 중간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정의된다. 횡방향은 평평한 기판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된다. 정면과 후면 위치는 횡방향에 대해, 각각 오퍼레이터 측과 오퍼레이터의 대향측으로 정의된다.
또한 다른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잔부 배출 유닛용 잔부 배출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유닛은 포장지 제조 기계의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판의 절단을 위한 절단 유닛의 하류에 위치된다. 카세트는 서로 상호 작동하는 두 개의 로터리 공구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제공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 1 공구는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잔부 배출 니들이 제공된다. 카세트는 잔부 배출 유닛의 프레임에 도입, 부착, 및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첨부된 개략도를 참고하여, 제한없는 전형적인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되고 그의 다양한 장점과 다른 특징들도 더 분명해진다.
도 1 은 잔부 배출 유닛이 장착된 포장지 제조 기계의 개략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 는 두 개의 공구 중 하나의 맨드릴이 추출된 위치에 있는 것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잔부 배출 카세트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 은 제 2 대안의 실시예에 따른 잔부 배출 카세트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 및 도 5 는 유닛 내로 도입될 준비가 되고 그리고 도입된 도 2 의 카세트와 함께, 유닛의 부분적으로 절취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 은 유닛 내로 도입된 카세트 정면의 부분적으로 절취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 은 도 3 의 카세트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및
도 8 은 유닛 내에 도입된 카세트의 부분적으로 절취된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이 도시한 대로, 포장지 제조 기계 (1) 는 연속적인 스트립 (2) 의 기판 또는 재료를 가공하는데 이 경우에는 평평한 판지이다. 기계 (1) 는 변형 유닛, 예를 들어 다이절단 플래튼 프레스 (3) 를 포함한다. 프레스 (3) 의 상류에서, 기계 (1) 는 프린팅 유닛, 품질 확인과 등록을 위한 수단, 엠보싱 유닛 등의 유닛 (도시되지 않음) 을 가질 수 있다.
스트립 (2) 은 프레스의 상류의 횡방향 측으로부터 프레스 (3) 내로 들어간다. 프레스 (3) 는 스트립 (2) 을 자르고 평평한 판지로 만들어진 기판을 블랭크 (4) 형태로 이송한다. 블랭크 (4) 는 프레스의 하류의 횡방향 측에 의해 프레스 (3) 를 떠난다. 길이 방향의 스트립 (2) 과 블랭크 (4) 의 진행 (progress) 또는 전진 (advance) 의 방향 (화살표 F) 은 상류 방향과 하류 방향을 표시한다.
기계 (1) 는 프레스 (3) 의 하류에 배열된 구동 장치 (6) 를 포함한다. 이 장치 (6) 는 우선적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 구동 롤러 (7) 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에 장치 (6) 는 하나 또는 일련의 작은 압력 롤러 (8) 를 포함하고, 이 압력 롤러 (8) 는 롤러 (7) 의 상부에 배열되고 이 롤러 (7) 로 떠받쳐진다. 블랭크 (4) 는 롤러 (7) 와 작은 롤러(들) (8) 사이에서 맞물리고, 유지되고, 그리고 구동된다. 장치 (6) 는 블랭크 (4) 를 차례로 연이어, 프레스 (3) 밖으로, 길이 방향 (F) 으로, 상류로부터 하류로 방출하기 위해 블랭크 (4) 의 능동 전달을 보장한다.
기계 (1) 는 블랭크 (4) 용 전달 장치 (9) 를 포함한다. 장치 (9) 는 블랭크 (4) 를 하류로, 차례로 연이어, 장치 (6) 로부터, 길이 방향 (F) 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기계 (1) 는 제 1 수송 조립체를 포함하고, 이는 더 구체적으로 제 1 진공 수송부 (11) 이고, 그리고 전달 장치 (9) 의 하류에 배열된다. 이 제 1 진공 수송부 (11) 는 오리피스가 있는 하나 이상의 무한 벨트 (12) 를 갖는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진공원 (vacuum source) 에 연결된 진공 챔버 (13) 는 벨트 (12) 에 맞대어 블랭크 (4) 를 누른다.
블랭크 (4) 는 벨트 (12) 의 상부면에, 차례로, 그 사이에 짧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제 1 진공 수송부 (11) 는 블랭크 (4) 의 능동 전달을 보장한다. 벨트 (12) 는 길이 방향 (F) 으로, 상류로부터 하류로 블랭크 (4) 를 유도한다.
그런 다음에 기계 (1) 는 잔부 배출 유닛 (14) 을 포함하고, 이 유닛은 프레스 (3) 의 하류에 그리고 제 1 진공 수송부 (11) 다음에 위치된다. 이 유닛 (14) 은 블랭크 (4) 로부터 미리 잘린 판지 잔부의 제어된 제거를 허용한다.
잔부 배출용 덕트 (15) 는 잔부 배출 유닛 (14) 의 후면 (도 4 및 도 5 참조) 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므로, 이 예에서, 이 배출은 흡입에 의해 이뤄진다. 잔부 배출 유닛 (14) 은 지지 구조 또는 프레임 (16) 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유닛 (14) 은 블랭크 (4) 용 제 1 수송 조립체, 즉 제 1 진공 수송부 (11) 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장치 (9) 와 이 제 1 진공 수송부 (11) 는 그에 맞춰 치수가 맞춰진 프레임 (16) 에 유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
유닛 (14) 의 중앙 부분은 제 2 원통형 상부 로터리 공구 (18) 와 상호 작동하는 제 1 원통형 하부 로터리 공구 (17) 를 포함한다. 두 개의 공구 (17, 18) 는 서로 평행하게,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프레임 (16) 과 그리고 유닛 (14) 에 횡방향으로 장착된다. 제 1 수송 조립체, 즉 제 1 진공 수송부 (11) 가 두 개의 로터리 공구 (17, 18) 의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공구 (17) 에 상부 공구 (18) 를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방사상 니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이 제공된다. 이 니들은 하부 공구 (17) 의 표면에 스트립 (2) 절단이 잔부를 만드는 부위에 적당하게 위치된다. 그러므로, 이 니들은 하부 공구 (17) 에 근접하게 장착된 벌집형상부를 사용하여 잔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잔부 영역에 박힌다.
바람직하게, 상부 공구 (18) 에 적어도 하나의 폼-타입 (foam-type) 의 가요성 재료 (20) 의 스트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트립(들)은 방사상으로 외부로, 하부 공구 (17) 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 스트립 (20) 은 상부 공구 (18) 의 표면에 대응하는 니들이 없는 부위에 위치된다.
기계 (1) 는 제 2 수송 조립체를 포함하고, 더 구체적으로, 이는 제 2 진공 수송부 (21) 이고 잔부 배출 유닛 (14) 의 하류에 배열된다. 제 2 수송 조립체 (21) 는 실질적으로 오리피스가 있는 무한 벨트 (12) 와 진공 챔버 (13) 를 갖는 제 1 수송 조립체 (11) 와 동일하다.
유닛 (14) 은 이 플랭크 (4) 용 제 2 수송 조립체, 즉 제 2 진공 수송부 (21)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2 진공 수송부 (21) 는 두 개의 로터리 공구 (17, 18) 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수송 조립체 (21) 는 프레임 (16) 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기계 (1) 는 분리기 (도시되지 않음) 를 포함하고, 이 분리기는 잔부 배출 유닛 (14) 의 하류에, 제 2 수송 조립체 (21) 이후에 배열된다. 블랭크 (4) 에 그리고 박스 사이에 있는 닉 (nick) 이 분리기에 의해 부서지고, 그리고 이런 식으로 블랭크 (4) 가 박스로 변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잔부 배출 유닛 (14) 은 제거 가능한 카세트 (22) 를 포함한다. 제 1 대안 (도 2, 도 4 ~ 도 6, 및 도 8) 또는 제 2 대안 실시예 (도 3 및 도 7) 에서, 제거 가능한 카세트 (22) 는 프레임 (16) 에 도입되어서 (도 4 의 화살표 E) 프레임 (16) 에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반대로, 이 프레임 (16) 으로부터 분리되고 추출될 수 있다 (도 5 의 화살표 O).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진공 수송부 (11) 는 카세트 (22) 의 상류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 2 진공 수송부 (21) 는 카세트 (22) 의 하류에 위치된다.
제거 가능한 카세트 (22) 는 지지 구조 또는 프레임 (23) 을 포함한다. 도 2 ~ 도 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구, 즉 하부 공구 (17) 를 지지하는 하부 정면 베어링 (24) 과 하부 후면 베어링 (26) 이 프레임 (23) 에 제공된다. 제 2 공구, 즉 상부 공구 (18) 를 지지하는 상부 정면 베어링 (27) 과 상부 후면 베어링 (28) 이 프레임 (23) 에 제공된다.
유닛 (14) 은 프레임 (16) 에 형성된 횡단 하우징 (29) 을 우선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29) 은 제 1 수송 조립체 (11) 와 제 2 수송 조립체 (21) 사이에서 형성된다. 카세트 (22) 는 이 횡단 하우징 (29) 내로 프레임 (16) 에 관해 횡방향으로 도입 (화살표 E) 될 수 있다. 반대로, 카세트 (22) 는 이 횡단 하우징 (29) 밖으로 프레임 (16) 에 관해 횡방향으로 추출 (화살표 O) 될 수 있다.
카세트 (22) 의 이동 (화살표 E, O) 을 위해, 두 개의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수평한 레일 (31) 이 프레임 (16) 에 횡방향으로, 유닛 (14) 의 정면과 후면 사이에, 그리고 횡단 하우징 (29) 의 하부 부분의 양쪽에 장착된다. 카세트 (22) 에 작은 롤러 (32) 가 장착되고, 이 롤러는 프레임 (23) 의 하부 횡단 직립부에 위치된다. 이 작은 롤러 (32) 덕분에, 카세트 (22) 는 두 개의 레일 (31) 을 따라, 정면에서부터 후면으로 그리고 그 역으로 (화살표 E, O) 구른다.
유닛 (14) 의 정면에서, 두 개의 레일 (31) 각각은 프레임 (16) 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부 (33) 에 의해 돌출된다. 두 개의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수평한 연장부 (33) 는 레그 조립체 (34) 에 의해 바닥에 유지된다. 연장부 (33) 덕분에, 카세트 (22) 는 프레임 (16) 과 유닛 (14) 을 완전히 떠난다. 오퍼레이터는 손으로 카세트 (22) 가 횡방향으로 구르도록 야기시켜 밀거나 또는 당기는 것에 의해 하우징 (29) 내로 그리고 밖으로 카세트 (22) 를 넣고 (화살표 E) 제거한다 (화살표 O).
그런 다음에 카세트 (22) 는 외부 이동식 캐리지로 전달될 수 있고, 캐리지의 상부 베어링 표면은 레일 (31) 및 연장부 (33) 와 정렬 상태이고 높이가 같게 위치된다. 그러므로 카세트 (22) 는 정비소 (maintenance workshop) 로 전달된다. 인체 공학적인 이유로, 기계 (1) 가 제조중이면, 연장부 (33) 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와 레그 조립체 (34) 가 접히고 유닛 (14) 의 프레임 (16) 에 끼워넣어진다.
오퍼레이터가 카세트 (22) 를 그 하우징 (29) 내로 밀면, 카세트의 프레임 (23) 의 후면 (36) 의 하부 부분이 고무 범퍼가 제공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플런저 실린더 (37) (도 4 참조) 를 누른다. 플런저 실린더 (37) 는 수평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유닛 (14) 의 후면으로부터, 하우징 (29) 의 하부 부분의 내에서 돌출된다.
유닛 (14) 은 매우 바람직하게 카세트 (22) 이동용 횡단 수단 (38)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손으로 도입된, 카세트 (22) 이동용 횡단 수단 (38) 은 유닛 (14) 에서 카세트 (22) 의 작동을 위한 카세트 (22) 의 최종 위치에서 카세트 (22) 를 맞추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어질 수 있다. 카세트 (22) 이동용 수단 (38) 은 또한 카세트 (22) 의 횡방향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용 수단 (38) 은 카세트 (22) 에 장착된 랙 (39) 을 포함할 수 있다. 랙 (39) 은 수평면에 그리고 카세트 (22) 의 프레임 (23) 의 정면 (41) 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된 러그 형태를 취한다. 랙 (39) 의 치형부 (42) 는 하향이다. 랙 (39) 은 피니언 (pinion; 43) 과 상호 작동할 수 있고, 피니언의 치형부는 상향으로 치형부 (42) 와 맞물린다. 피니언 (43) 은 프레임 (16) 에 있는 전기 모터 (44) 에 의해 구동된다.
유닛 (14) 과 기계 (1) 의 중간 길이 방향 축선 (Centerline® 으로 알려진 센터링 시스템) 까지 카세트 (22) 의 배치를 끝내기 위해, 모터 (44) 가 랙 (39) 을 통해 카세트 (22) 를 횡방향으로 구동한다. 정밀한 조정 또는 제조 도중 셋팅을 위해, 잔부 배출 니들을 위한 바람직한 위치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랙 (39) 을 통해 카세트 (22) 를 횡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 (44) 를 제어한다.
아날로그 셀 (45) 은 카세트 (22) 의 횡방향 위치를 검출한다. 후면 크로스 멤버 (46) 는 카세트 (22) 의 최대 횡방향 이동 (화살표 E) 을 위한 경계부 (abutment) 를 이룬다. 카세트 (22) 의 프레임 (23) 의 후면 (36) 의 하부 부분은 후면 크로스 멤버 (46) 에 접한다.
유닛 (14) 은 카세트 (22) 의 길이 방향 위치 고정용 수단 (47) 을 포함하고, 이 수단은 유닛 (14) 의 후면 (도 7 및 도 8) 과 정면 (도 5) 에 위치해있다. 유닛 (14) 의 후면에서, 후면 핀 (48) 은 프레임 (16) 에 고정되고 하우징 (29) 의 하부 부분 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으로 배치된다. 후면 포크 (49) 는 수평면에서 하우징 (29) 의 하부 부분의 후면을 향해, 그리고 카세트 (22) 의 후면 (36) 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후면 핀 (48) 은 후면 포크 (49) 의 두 개의 치형부 사이에 맞물린다.
유닛 (14) 의 정면에서, 정면 포크 (51) 는 프레임 (16) 에서 정면에 고정되고 수직면에서 상향으로 연장된다. 정면 핀 (52) 은 카세트 (22) 의 정면 (41) 에서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으로 배치된다. 정면 핀 (52) 은 포크 (51) 의 두개의 치형부 사이에 맞물린다.
카세트 (22) 의 프레임 (16) 으로의 잠금은 랙 (39) 에서 작동하는 피니언 (41) 을 고정함으로써 가장 먼저 이뤄진다. 그런 다음에 잠금은 레일 (31) 의 상부 면에 대해 카세트 (22) 의 프레임 (23) 의 하부 면의 면대면 베어링에 의해 이뤄진다. 이 베어링은 레일 (31) 에 알맞게 형성된 그루브 (53) (도 4 참조) 에 작은 롤러 (32) 가 맞물리면 얻어지고, 그렇게 해서 카세트 (22) 를 낮추고 위치시킨다.
유닛 (14) 은 프레임 (16) 의 후면에 장착된 구동 수단 (54) 을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8 참조). 이 유닛용 구동 수단 (54) 은 카세트 (22) 의 결합된 구동 수단 (56) 과 상호 작동이 가능할 수 있고, 두 개의 공구 (17, 18) 를 회전 구동할 목적이다.
유닛 (14) 의 구동 수단 (54) 은 우선적으로 모터 피니언 (58) 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 (57) 의 형태를 취한다 (도 5 및 도 7 참조). 전기 모터 (57) 는 유닛 (14) 의 프레임 (16) 에 부착된 브라켓 (59) 에 설치된다.
카세트용 구동 수단 (56) 은 제 1 공구 (17) 용 제 1 피니언 (61) 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 참조). 이 제 1 피니언 (61) 은 제 2 공구 (18) 용 제 2 피니언 (62) 및 모터 피니언 (58) 과 맞물릴 수 있다.
카세트 (22) 에서, 제 1 피니언 (61) 은 이미 제 2 피니언 (62) 과 맞물린다. 카세트 (22) 의 도입 (화살표 E) 은 제 1 피니언 (61) 의 치형부가 모터 피니언 (58) 의 치형부와 맞물리게 한다. 모터 피니언 (58) 에 근접하고 같은 측으로 한 제 2 피니언 (62) 의 배열 때문에, 제 1 피니언 (61) 이 더 큰 두께를 갖는다.
유리하게 (도 2 참조), 두 개의 공구 (17, 18) 의 적어도 하나, 이 경우에는 제 2 공구 (18) 는 맨드릴 (mandrel; 63) 과 제거 가능한 슬리브 (sleeve; 64) 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64) 는 공구 (17, 18) 의 맨드릴 (63) 에 의해 삽입 (도 2 의 화살표 I) 되고, 고정되고 그리고 회전 구동 될 수 있다. 슬리브 (64) 는 풀리고, 그런 다음에 제거될 수 있다 (도 2 의 화살표 R).
맨드릴 (63) 로 접근과 슬리브 (64) 의 삽입 (화살표 I) 및 제거 (화살표 R) 를 허용하기 위해, 하부 공구 (17) 의 하부 정면 베어링 (24) 은 슬라이딩과 피벗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하부 아암 (arm; 66) 내에 삽입되고 상부 공구 (18) 의 상부 정면 베어링 (27) 은 슬라이딩과 피벗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상부 아암 (67) 내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기술 및 예시된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 구성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수정될 수 있다.

Claims (14)

  1. 절단 유닛 (3) 의 하류에 위치된 포장지 제조 기계 (1) 의 잔부 배출 유닛으로서, 프레임 (16) 과 서로 상호 작동하는 두 개의 로터리 공구 (17, 18) 를 포함하고, 제 1 공구 (17) 에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잔부 배출 니들이 제공되고, 두 개의 공구 (17, 18) 는 제거 가능한 카세트 (22) 에 장착되며, 상기 카세트 (22) 는 상기 두 개의 공구 (17, 18) 를 지지하는 베어링 (24, 26, 27, 28) 이 제공된 프레임 (23)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카세트 (22) 는 프레임 (16) 에 도입되고, 부착되고, 그리고 프레임 (16) 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잔부 배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공구 (18) 에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20) 이 제공되는 잔부 배출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16) 에 형성된 횡단 하우징 (29) 을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22) 는 상기 프레임 (16) 에 대해 횡방향으로 도입되고 추출되는 잔부 배출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카세트용 결합된 구동 수단 (56) 과 상호 작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두 개의 공구 (17, 18) 를 회전 구동시킬 목적의 유닛용 구동 수단 (54) 을 포함하는 잔부 배출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유닛용 구동 수단 (54) 은 전기 모터 (57) 와 모터 피니언 (58) 의 형태를 취하고, 그리고 카세트용 구동 수단 (56) 은 제 2 공구 (18) 용 제 2 피니언 (62) 및 모터 피니언 (58) 과 맞물리는 제 1 공구 (17) 용 제 1 피니언 (61) 의 형태를 취하는 잔부 배출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세트 (22) 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38) 을 포함하는 잔부 배출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이동 수단 (38) 은 랙 (39) 을 포함하고, 상기 랙 (39) 은 상기 카세트 (22) 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 (16) 에 있는 모터 (44) 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 (43) 과 맞물릴 수 있는 잔부 배출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세트 (22) 의 상류에 위치된 평평한 기판 (4) 용 제 1 전달 조립체 (11) 와 카세트 (22) 의 하류에 위치된 평평한 기판 (4) 용 제 2 전달 조립체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달 조립체 (11, 21) 가 프레임 (16) 에 장착되는 잔부 배출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공구 (17, 18) 중 적어도 하나는 맨드릴 (63) 및 제거 가능한 슬리브 (64) 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맨드릴 (63) 에 의해 삽입 (화살표 I) 되고, 고정되고, 그리고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잔부 배출 유닛.
  10. 포장지 제조 기계로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잔부 배출 유닛 (14) 이 절단 유닛 (3) 의 하류에 위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 기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순서대로, 상류로부터 하류로, 다이절단 플래튼 프레스 (3), 구동 장치 (6), 전달 장치 (9), 제 1 진공 수송부 (11), 유닛 (14), 및 제 2 진공 수송부 (21) 를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 기계.
  12. 잔부 배출 유닛 (14) 용 잔부 배출 카세트로서, 포장지 제조 기계 (1) 에서 하나 이상의 평평한 기판 (4) 절단용 절단 유닛 (3) 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카세트는 서로 상호 작동하는 두 개의 로터리 공구 (17, 18) 를 지지하는 베어링 (24, 26, 27, 28) 이 제공되는 프레임 (23) 을 포함하고, 제 1 공구 (17) 에 방사상으로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잔부 배출 니들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카세트는 잔부 배출 유닛 (14) 의 프레임 (16) 에 도입되고, 부착되고, 그리고 프레임 (16) 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잔부 배출 카세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공구 (18) 에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20) 이 제공되는 잔부 배출 카세트.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공구 (17, 18) 중 적어도 하나는 맨드릴 (63) 및 제거 가능한 슬리브 (64) 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맨드릴 (63) 에 의해 삽입 (화살표 I) 되고, 고정되고, 그리고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잔부 배출 카세트.
KR1020117028539A 2009-05-13 2010-05-12 포장지 제조용 기계에서 용이한 공구 조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 KR101419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006447 2009-05-13
EP09006447.8 2009-05-13
PCT/EP2010/002930 WO2010130436A1 (fr) 2009-05-13 2010-05-12 Unite d'ejection des dechets a reglage d'outil facilite dans une machine de production d'emball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42A true KR20120007542A (ko) 2012-01-20
KR101419991B1 KR101419991B1 (ko) 2014-07-15

Family

ID=4113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539A KR101419991B1 (ko) 2009-05-13 2010-05-12 포장지 제조용 기계에서 용이한 공구 조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45743B2 (ko)
EP (1) EP2429781B1 (ko)
JP (1) JP5591918B2 (ko)
KR (1) KR101419991B1 (ko)
CN (1) CN102413992B (ko)
ES (1) ES2587138T3 (ko)
WO (1) WO20101304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242B1 (ko) 2022-05-25 2022-11-30 장정석 절삭 공구 포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5690A1 (fr) * 2010-11-19 2012-05-24 Bobst Sa Dispositif pour une unite d'ejection des dechets dans une machine de production d'emballages
CN104044185A (zh) * 2014-05-25 2014-09-17 钟国麟 一种切割和钻孔的设备
CN104369215A (zh) * 2014-09-15 2015-02-25 南通凯迪自动机械有限公司 裁切机刀座组
JP6421244B2 (ja) * 2014-12-04 2018-11-07 ボブスト メ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工具ホルダヘッド、輸送キャリッジ、並びに平坦基材変換用ユニットのための工具を取り付ける及び取り外すための方法
WO2016087048A1 (fr) * 2014-12-04 2016-06-09 Bobst Mex Sa Montant porte-outil, groupe de transformation d'un support plan, et procedes de demontage et montage d'un outil rotatif dans un groupe de transformation
JP6755869B2 (ja) * 2014-12-04 2020-09-16 ボブスト メ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Bobst Mex SA 平坦基材を変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ステーション
US20190016551A1 (en) 2017-07-14 2019-01-17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Reel editor for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0642551B2 (en) 2017-07-14 2020-05-05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Engine for generating control plans for digital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1520544B2 (en) 2017-07-14 2022-12-06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Waste determination for generating control plans for digital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1449290B2 (en) 2017-07-14 2022-09-20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Control plan for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1485101B2 (en) 2017-07-14 2022-11-01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Controls for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CN110248488B (zh) * 2019-06-27 2020-05-22 西安理工大学 一种印刷电路板保护胶带的剥离装置
CN111016281B (zh) * 2019-12-30 2021-06-04 豪德机械(上海)有限公司 一种柔性自动化纸箱废料去除装置
CN111300879B (zh) * 2020-02-21 2021-11-02 哈尔滨新三力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瓦楞纸盒的表面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871A (en) 1959-08-18 Stripper mechanism
GB745990A (en) * 1954-03-02 1956-03-07 Cyril Joseph Feeny Mechanism for automatically removing waste material from die-cut sheets of carton blanks
US3090264A (en) * 1959-01-16 1963-05-21 Kelsey Hayes Co Apparatus for rolling disks
US3204443A (en) * 1962-11-19 1965-09-07 Mesta Machine Co Rolling mill structures
FR1414043A (fr) * 1964-09-01 1965-10-15 Parsons & Whittemore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machines coupeuses refouleuses, utilisées notamment dans l'industrie du carton ondulé
FR1499945A (fr) * 1966-04-25 1967-11-03 Spidem Ste Nle Dispositif de démontage et de remontage des cylindres dans un laminoir quarto
US3451244A (en) * 1967-01-26 1969-06-24 Mesta Machine Co Automatic work roll changers
GB1241639A (en) * 1969-06-03 1971-08-04 Davy & United Eng Co Ltd A pit cover
US3643553A (en) * 1969-10-16 1972-02-22 Hideo Morimoto Strip machine
BE759861A (fr) * 1969-12-05 1971-05-17 Morgan Construction Co Appareil destine a changer les cylindres de
GB1376605A (en) * 1971-04-15 1974-12-11 Wean United Inc Rolling mill with roll change arrangement
GB1363142A (en) * 1971-07-10 1974-08-14 Deritend Eng Co Stripping apparatus as used in the production of cardboard and like blanks
JPS5014231Y1 (ko) * 1973-09-20 1975-05-02
FR2360391A1 (fr) * 1976-08-05 1978-03-03 Chambon Machines Machine de decoupage d'une nappe de materiau
FR2374101A1 (fr) * 1976-12-17 1978-07-13 Secim Cage pour train continu de laminage de profiles
JPS62246412A (ja) * 1986-04-18 1987-10-27 Sakai Kohan Kogyo Kk ライン内複数台配置によるカツタ−スタンドの交換方法
JPH089159B2 (ja) * 1993-04-28 1996-01-31 收 三宅 打ち抜きシートの分離方法及び装置
DE19701235A1 (de) * 1997-01-16 1998-07-23 Schloemann Siemag Ag Walzstraße
FR2769525B1 (fr) * 1997-10-10 1999-12-31 Kvaerner Metals Clecim Dispositif de changement des cylindres de travail et/ou des cylindres intermediaires d'une cage de laminoir, et ratelier de stockage pour un tel dispositif
CH693169A5 (fr) 1999-06-01 2003-03-27 Bobst Sa Dispositif pour régler la position entre un éjecteur de déchets et un cylindre de découpage.
DE20006554U1 (de) * 2000-04-08 2001-08-16 Web Tech Licensees B V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bedruckten Verpackungen o.dgl. Substraten
US6408667B1 (en) * 2000-10-26 2002-06-25 Bethlehem Steel Corporation Four-high mill stand roll change device, a method of retrofit, and a roll change device therefrom
CN1358452A (zh) * 2000-12-13 2002-07-17 谭振平 内调味豆制品
CH694985A5 (fr) * 2002-01-24 2005-10-31 Bobst Sa Dispositif pour le montage d'une cassette, comportant des outils cylindriques, dans une machine de façonnage rotatif d'une matière en bande ou en feuille.
US6949059B2 (en) 2002-09-18 2005-09-27 Winkler + Dunnebier, Ag Two cylinder one piece pin stripping device
US20050092155A1 (en) * 2003-09-17 2005-05-05 Phillips William J. Power tool and components therefor
US7204793B2 (en) 2005-03-17 2007-04-17 Hedin Lagan Ab Device for moving die tools and moulds in a press
WO2006116954A1 (de) * 2005-05-03 2006-11-09 Blickle Sondermaschine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rotativen bearbeiten von rollenwa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242B1 (ko) 2022-05-25 2022-11-30 장정석 절삭 공구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91918B2 (ja) 2014-09-17
KR101419991B1 (ko) 2014-07-15
CN102413992A (zh) 2012-04-11
CN102413992B (zh) 2014-11-19
EP2429781A1 (fr) 2012-03-21
EP2429781B1 (fr) 2016-07-20
JP2012526661A (ja) 2012-11-01
WO2010130436A1 (fr) 2010-11-18
US20120053039A1 (en) 2012-03-01
ES2587138T3 (es) 2016-10-20
US10245743B2 (en)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991B1 (ko) 포장지 제조용 기계에서 용이한 공구 조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
KR101419989B1 (ko) 공구 교체가 용이한 패키징 제조 기계용 잔부 방출 유닛
CN103221190B (zh) 用于在生产包装的机器中的废料排出单元的装置
KR101628207B1 (ko)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KR101653598B1 (ko) 박스 판지 인쇄용 플렉서의 자동공급장치
US20120247352A1 (en) Hot stamping printing device
EP3581381A1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sheets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and digital printing line
WO2019117278A1 (ja) 段ボール箱の分割装置及び段ボール箱の製造装置
EP3305697B1 (en) Sheet stacking device, counter ejector and box making machine
JP3887223B2 (ja) 加工機への平坦要素の供給及び放出装置
CN101863044A (zh) 平压模切机装置
JP4012899B2 (ja) 積層鉄心の製造装置
JP5791483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バッチ分割装置、およびバッチ分割機能を備えたカウンタエジェクタ
JP3779911B2 (ja) ラミネータおよびラミネータの使用方法
CN218538587U (zh) 底抽式厚纸输送机构
JP4091954B2 (ja) コンベア装置
KR200263594Y1 (ko)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
CN216763783U (zh) 一种码垛输送装置及应用该装置的模切机
KR100431632B1 (ko)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
JP2004230873A (ja) 紙絞り機
KR101673934B1 (ko) 차량 부착용 후부반사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30084755A (ko) 톰슨 절단기를 위한 자동급지장치
KR20220112957A (ko) 마스크 자동 포장기
KR20220077999A (ko) 생산성 향상을 위한 포장용기 제조장치
JPH06285795A (ja) 積層体の打ち抜き装置用型準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