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713A - 부착물의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부착물의 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713A
KR20110128713A KR1020100075570A KR20100075570A KR20110128713A KR 20110128713 A KR20110128713 A KR 20110128713A KR 1020100075570 A KR1020100075570 A KR 1020100075570A KR 20100075570 A KR20100075570 A KR 20100075570A KR 20110128713 A KR20110128713 A KR 20110128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reatment tank
pipe
deposit
process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오 마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카네미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카네미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카네미야
Publication of KR2011012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0Stationary drums with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기재에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된 부착물을 유효하게 박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착물이 기재에 재부착하는 위험성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수지 등이나 세라믹스, 석고 등의 소재의 재이용(리사이클)에 충분히 공헌할 수 있는 신규한 부착물의 박리장치를 제공한다.
피처리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와, 상기 부착물이 박리된 기재가 배출되는 기재 배출로(69)에 각각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상기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처리조(31)와, 이 처리조(31) 내에 배치되고 구동 모터(21)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72)과, 기단이 상기 회전축(72)에 각각 고정되고, 선단은 상기 처리조(31)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날개(81···84)와, 상기 처리조(31)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부착물이 통과하는 개구(32d)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조(31)의 하방에는, 이 처리조(31)의 길이방향에 걸쳐 복수의 받이 부재(15A, 15B, 15C)가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들 받이 부재의 하단에는 이 받이 부재와 연통되어 있는 흡인 호스(16A, 16B, 16C)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흡인 호스(16A, 16B, 16C)에는 기단이 흡인장치(112)에 접속된 접속 파이프(17)의 한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부착물의 박리장치{REMOVAL DEVICE FOR REMOVING ADHERENT}
본 발명은,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물이 부착된 피처리물로부터, 상기 부착물을 박리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기재에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물이 부착된 피처리물로부터 부착물을 박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포장재(기재)에 포장된 식품 등의 부착물이 부착된 피처리물을, 내부에서 기재와 부착물로 분리하고, 이것들을 별개로 배출하는 처리장치(특허문헌 1 참조)가 이용되어 있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는, 피처리물이 투입되는 공급구멍(투입구)과, 이 투입구에 연통되어 있는 드럼(처리조)과, 이 처리조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처리조 내에서 회전 구동하는 파쇄날개(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로부터 처리조 내로 이동한 피처리물은 회전하는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구동에 의해 파쇄되고, 이 결과, 기재와 부착물이 분리되는 처리장치로서, 회전날개의 회전구동에 의해 기재를 파쇄함과 아울러, 기재로부터 부착물을 분리(박리)하는 것인데, 기재에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된 부착물은 확실하게 박리되지 않으므로, 상기 회전날개의 선단부에 복수의 오목부가 병렬된 빗형상체를 고정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장치는, 복수의 회전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날개와 처리조의 내측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병렬하여 이루어지는 빗형상체와, 이 빗형상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절단날이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피처리물은 처리조 내에 수용되고, 이 처리조 내에서 회전구동되는 회전날개에 맞닿아 처리조 내를 회전하면 함께 원심력에 의해 처리조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빗형상체와 절단날에 의하여, 기재는 강제적으로 복수 개소에서 절단되고, 이들 절단된 기재에 분사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여, 기재로부터 부착물을 분리(박리)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0-16742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7-021284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부착물이 기재에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피처리물의 경우에는, 포장재(기재)에 의해 포장된 식품 등(부착물)에 비해 밀착성이 높은 층 형상의 부착물이 일정한 범위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빗형상체와 절단날에 의하여, 기재는 복수 개소에서 절단되고, 절단편의 일부분이 절곡되고, 이 때, 이들 절단부 또는 절곡부의 근방에 부착된 일부의 부착물은 박리되지만 대부분은 잔류함과 아울러, 그 후의 세정수에 의한 분사에서도 거의 박리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서는,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수지 등의 기재나, 박리된 세라믹스, 석고 등의 부착물을 새로운 제품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등, 자원을 재이용할 수 없다. 또, 상기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처리조나 회전날개와 처리물이 접촉함으로써 정전기가 발생하고, 일단 기재로부터 박리된 처리물이 다시 기재에 부착된 상태로 배출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장치가 갖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기재에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된 부착물을 유효하게 박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착물이 기재에 재부착되는 위험성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수지 등이나 세라믹스, 석고 등의 소재의 재이용(리사이클)에 충분히 공헌할 수 있는 신규한 부착물의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제 1 발명(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물이 부착되어 있는 피처리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부착물이 박리된 기재가 배출되는 기재 배출로에 각각 연통되어 있고 내부에서 상기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처리조와, 이 처리조 내에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과, 기단이 상기 회전축에 각각 고정되고, 선단은 상기 처리조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처리조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물이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조의 하방에는, 이 처리조의 길이방향에 걸쳐 복수의 받이 부재가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들 받이 부재의 하단에는 이 받이 부재와 연통되어 있는 관부(管部)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관부에는, 기단이 흡인장치에 접속된 흡인관의 한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 1 발명에서는, 투입구로부터 투입되고 유입구를 통하여 처리조 내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이 처리조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됨과 아울러, 이 회전날개나 처리조의 내측면에 충돌하고, 불규칙·부정형으로 절곡되어(피처리물의 기재의 단단함이나 회전날개의 회전속도에 따라, 처리조 내에서) 불규칙·부정형으로 파괴되어 절단된다. 이러한 피처리물의 절곡이나 절단시 또는 처리조의 내측면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상기 부착물의 일부는 기재로부터 박리된다. 그리고, 불규칙하게 절단된 피처리물은, 또한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 또는 그 원심력에 의해, 처리조의 내주면으로 내던져지듯이 이동함과 아울러, 이 처리조의 내주면과 서로 스치고, 미끄럼 접촉하면서 처리조의 내주를 이동한다. 다른 한편, 상기 처리조 내에서 기재로부터 박리된 부착물은, 상기 처리조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로부터 각 받이 부재 내에, 자중과 흡인장치의 흡인력에 의해 낙하함과 아울러 흡인된다. 즉, 이 부착물의 박리 장치에서는, 상기 흡인장치에 의해 처리조 내는 부압이 되어, 공기는 투입구나 기재 배출로로부터 이 처리조 내에 유입된 후에, 상기 각 흡인관을 통하여 흡인장치에 흡인되고, 이 결과, 피처리물을 구성하는 부착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흡인관을 통하여 흡인장치에 흡인되는 한편, 기재는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피처리물에 밀려 기재 배출로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 제 1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박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처리조 내에서 회전날개나 처리조의 내측면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했다고 해도, 부착물은, 기재에 다시 부착되지 않고, 기재만을 상기 기재 배출로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고, 또 상기 부착물만을 흡인관을 통하여 처리조 내에서 배출시킬 수 있다.
또, 제 2 발명(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흡인관의 기단은 상기 흡인장치에 고정된 접속 파이프에 각각 고정되고, 이들 접속 파이프에는, 이 흡인관의 흡인력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조절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의 구성요소인 받이 부재가, 상기 처리조의 길이방향에 걸쳐 복수의 받이 부재가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받이 부재에 접속된 각 흡인관의 기단이 고정된 각각의 접속 파이프에는, 각각 이 흡인관의 흡인력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조절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가장 투입구에 가까운 흡인관으로부터의 흡인력을 높이고, 가장 기재 배출로에 가까운 흡인관으로부터의 흡인력을 약화시키는 등의 조절을 함으로써, 보다 효율 좋게 부착부를 흡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흡인관의 흡인력에 의해 기재의 배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3 발명(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의 선단에는, 이 회전날개의 길이방향에 걸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처리조에는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한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 3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되고 유입구를 통하여 처리조 내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이 처리조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됨과 아울러, 이 회전날개나 처리조의 내측면에 충돌하고, 불규칙·부정형으로 절곡되어(피처리물의 기재의 단단함이나 회전날개의 회전속도에 따라, 처리조 내에서) 불규칙·부정형으로 파괴되어 절단된다. 이 때, 상기 제 3 발명을 구성하는 각 절단날은 처리조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오목부는 회전날개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처리물을 구성하는 기재는, 상기 오목부와 절단날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됨과 아울러, 부착물이 박리된 후의 기재는 상기 기재 배출로로부터 배출된다.
제 1 발명(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따른 부착물의 박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처리조 내에서 회전날개나 처리조의 내측면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했다고 해도, 부착물은, 기재에 다시 부착되지 않고, 기재만을 상기 기재 배출로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고, 또 상기 부착물만을 흡인관을 통하여 처리조 내에서 배출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수지 등이나 세라믹스, 석고 등의 소재의 재이용(리사이클)에 충분히 공헌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의 구성요소인 받이 부재가, 상기 처리조의 길이방향에 걸쳐 복수의 받이 부재가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받이 부재에 접속된 각 흡인관의 기단이 고정된 각각의 접속 파이프에는, 각각 이 흡인관의 흡인력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조절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가장 투입구에 가까운 흡인관으로부터의 흡인력을 높이고, 가장 기재 배출로에 가까운 흡인관으로부터의 흡인력을 약화시키는 등의 조절을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부착부를 흡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흡인관의 흡인력에 의해 기재의 배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3 발명(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각 절단날은 처리조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오목부는 회전날개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처리물을 구성하는 기재는, 상기 오목부와 절단날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됨과 아울러, 부착물이 박리된 후의 기재는 상기 기재 배출로로부터 배출된다. 즉, 피처리물을 구성하는 기재의 두께나 단단함에 따라, 회전날개의 회전만으로는 기재가 절단되지 않는 경우이어도, 상기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하여 배출로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물의 박리장치를 구비한 박리설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박리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박리설비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물의 박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의 처리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의 내부구조의 좌측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의 내부구조의 우측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날개와 절단날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의 내부구조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흡인장치에 접속된 접속 파이프의 구조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부착물의 박리장치(이하, 박리장치라고 한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따른 박리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설비(110)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선, 이 박리설비(110)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 후에, 박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박리설비(110) 및 후술하는 박리장치(1)는 기재로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일면(편면)에, 부착물로서의 세라믹스층이 형성되어 있는 피처리물(이하, 그린시트라고 한다.)의 이 세라믹스층을 박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이하, 이 박리설비(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박리설비(1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장치(1)와, 이 박리장치(1)를 구성하는 후술의 호퍼(23)에 상기 그린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111)와, 상기 박리장치(1)에 후술하는 3개의 흡인 호스(본 발명의 흡인관)(16A, 16B, 16C)를 통하여 접속된 흡인장치(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111)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장치(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우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그린시트를 투입 가능한 투입구(114)와, 이 투입구(114)에 투입된 상기 그린시트를 재치 가능하고 회전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115)를 구비하고, 이 컨베이어 벨트(115)에 재치된 그린시트를 박리장치(1)의 후술하는 호퍼(23) 내에 이송 가능하게 경사지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5)는 표면에 재치된 그린시트가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거는 걸음편(116)이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그린시트가 재치되는 상면측이 상승하도록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115)에 재치된 그린시트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의 호퍼(23) 내로 이송된다.
또, 흡인장치(1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장치(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진공펌프를 구비하고, 이 진공펌프에 도 11에 도시하는 접속 파이프(17)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접속 파이프(17)에는 3개의 흡인 호스(16A, 16B, 16C)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들 흡인 호스(16A, 16B, 16C)는 도 4에 도시하는 박리장치(1)의 3개소에 배치된 받이 부재(15A, 15B, 15C)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흡인 호스(16A, 16B, 16C) 및 접속 파이프(17)를 통하여, 박리장치(1)의 후술하는 처리조(31)의 내부(도 8 참조)는 부압으로 되고, 이 처리조(31) 내에서 그린시트로부터 박리된 세라믹스는 상기 흡인 호스(16A, 16B, 16C) 및 접속 파이프(17)를 통하여 흡인장치(112)에 흡인된다.
다음에 박리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박리장치(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에는, 4개의 캐스터(2)를 구비하고,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성형된 케이싱(3)을 외측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며, 이 케이싱(3)의 정면의 중앙보다도 약간 좌측에는, 정면 커버(4)가 착탈가능하게 배열 설치되고(도 6 참조), 이 정면 커버(4)의 우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가능한 정면측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정면 우측에는, 배출관부(7)가 형성되고, 이 배출관부(7)는 상기 케이싱(3) 내에 배열 설치된 후술하는 처리조(31)의 기재 배출로(69)에 연통되어 있는 것으로(도 5 참조), 선단측 하면에는, 하방을 향한 배출구(7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정면 커버(4)의 배면측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배면 커버(9)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그 좌측에는, 배면측 개폐 도어(5, 6)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박리장치(1)의 좌측 상부에는, PET 필름에 의해 성형된 기재의 면에, 세라믹스에 의해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된 부착물이 박리처리되는 도시하지 않은 그린시트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투입구(1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케이싱(3)의 상면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이며 호퍼(2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케이싱(3)의 좌측판(3a)이며, 상기 투입구(11)의 약간 하방에는, 좌개폐 도어(14)가 형성되고, 이 좌개폐 도어(14)에 폐색된 부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반이나 스위치류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좌개폐 도어(14)의 근방에는, 상기 제어반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박리장치(1)의 구동을 개시하는 도시하지 않은 시동 스위치 및 정지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정면 커버(4)와 배면 커버(9)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21)가 재치대(22) 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21)는 상기 제어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이 구동 모터(21)의 상방에는, 상기 투입구(11)가 연통되어 있는 호퍼(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호퍼(23)는 상기 정면 커버(4)와 대향하는 도시하지 않은 정면측판부와, 상기 배면 커버(9)와 대향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면측판부와, 바닥판부(23a)과, 상기 좌측판(3a)에 대향하고 있는 칸막이(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부(23a)는, 도 4에 도시하는 우방향측에 걸쳐서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제 1 경사 바닥판부(23b)와, 이 제 1 경사 바닥판부(23b)의 우방향측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뻗어 있는 수하판부(垂下板部)(23c)와, 이 수하판부(23c)의 하단으로부터 우방향측에 걸쳐서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제 2 경사 바닥판부(23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경사 바닥판부(23d)의 하단(후술하는 처리조(31) 측단부)은 수직판부(27)가 연속해 있고, 이 수직판부(27)의 상단측 중도부에는, 후술하는 회전축(72)이 삽입통과된 개구부(부호는 생략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도 6,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 내이며, 도시하지 않은 정면측 개폐 도어과 배면측 개폐 도어 사이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처리조(31)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처리조(31)는 상방이 개방되어 있는 처리조 본체(32)와, 이 처리조 본체(32)에 경첩(41)을 통하여 개폐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처리조 본체(32)의 상방을 폐색하는 덮개(33)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처리조 본체(32)와 덮개(33)를 합친 전체 형상은,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 본체(32)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바닥판부(32a)와, 좌측(투입구(11)측)에 배치되고 반원 형상으로 성형된 좌측 반원판부(32b)와, 이 좌측 반원판부(32b)에 대향하고 있는 제 1 우측 반원판부(32c)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덮개(33)는, 반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천판부(33a)와, 폐색됨으로써 상기 처리조 본체(32)를 구성하는 제 1 우측 반원판부(32c)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 2 우측 반원판부(33b)와, 이 우측 반원판부(33b)보다 좌측에 이 덮개(33)의 좌우 길이의 약 5분의 1의 폭에 걸쳐서 형성된 기재 배출로(6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24)의 하방에는, 상기 덮개(33)의 곡률에 대응한 곡률을 갖는 반원 형상의 개구부(25)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5)의 주위에는, 상기 덮개(33)가 처리조 본체(32)를 폐색한 상태에서 처리조(31) 내에 약간 돌출한 원호 형상의 돌출편(2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로부터 투입된 그린시트(피처리물)는 자중에 의해 상기 호퍼(23) 내를 통과하고, 상기 칸막이판(24)에 형성된 개구부(25)를 통하여, 상기 처리조(31) 내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처리조 본체(32)는, 정면측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 수평판부(36a)가 상단에 절곡 형성된 정면측 수직고정판(36)에 의해 지지고정되고, 배면측에 있어서는, 배면측 수평판부(37a)가 상단에 절곡 형성된 배면측 수직고정판(37)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덮개(33)의 정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면측 수평판부(36a)와 동일한 폭으로 성형되고 이 정면측 수평판부(36a) 위에 재치되는 덮개측 수평판부(38a)와, 이 덮개측 수평판부(38a)의 기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기 덮개(33)의 정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부(38b)와, 상기 덮개측 수평판부(38a)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이 덮개(33)를 개폐 조작할 때의 손잡이(39)가 용접되어 있는 수하판부(38c)로 구성되고, 측면 형상이 크랭크 형상으로 성형된 손잡이 고정 부재(38)가 용접되어 있다.
또, 이 손잡이 고정 부재(38)를 구성하는 수하판부(38c)의 좌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걸음부(부호는 생략한다.)가 고정되고, 상기 정면측 수직고정판(36)에는, 이 걸음부에 걸어지는 걸음편을 가지고 상기 덮개(33)와 처리조 본체(32)를 로킹하는 로킹용 금구(40, 40)가 좌우 각각 배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용 금구(40, 40)에 의한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39)를 파지하면서 덮개(33)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이 덮개(33)는, 상기 경첩(41)을 통하여 회동하고, 이러한 조작에 의해 처리조 본체(3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된다. 또, 상기 로킹용 금구(40, 40)의 근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리미트 스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는 덮개(33)가 폐색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검지 수단으로서, 상기 도시하지 않은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위험방지를 위해 상기 덮개(33)의 개방시에 구동 모터(21)가 작동하는 것을 막거나, 또는, 이 구동 모터(21)가 작동중에 상기 덮개(33)를 개방한 경우에 이 구동 모터(21)를 긴급 정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처리조 본체(32)를 구성하는 반원통 형상의 바닥판부(32a)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원 형상의 개구(32d)가, 후술하는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의 회전에 의해 절단되어 이동하는 그린시트의 기재로부터 박리된 부착물(세라믹스)이 배출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린시트는, 상기 회전날개(81···84)의 회전 또는 그 원심력에 의해, 처리조 본체(32) 및 덮개(33)의 내주면으로 내던져지듯이 이동함과 아울러, 처리조 본체(32) 및 덮개(33)의 내주면과 서로 스치고 미끄럼 접촉하면서 이 처리조 본체(32) 및 덮개(33)의 내주를 이동하므로, 처리조 본체(32)의 내주면과 서로 스치고 미끄럼 접촉하는 그린시트의 기재에 부착된 부착물은 개구(32d)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들 개구(32d)의 하방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조(31)의 길이방향에 걸쳐 3개소에 받이 부재(15A, 15B, 15C)가 동일한 구성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받이 부재(15A)의 구성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도 8에는 받이 부재(15C)의 구성을 나타냄), 판재에 의해 상단측이 대직경의 중공 추 형상으로 성형된 중공 추형부(15a)와, 판재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중공 추형부(15a)의 하단 소경부와 연이어 설치된 원통부(15b)로 구성되고, 큰 직경의 상단부가 정면측 수직고정판(36) 및 배면측 수직고정판(37)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받이 부재(15A, 15B, 15C)의 각 원통부(15b)에는, 상기 흡인장치(112)의 도시하지 않은 진공펌프와 후술하는 접속 파이프(17)를 통하여 연통하는 3개의 흡인 호스(16A, 16B, 16C)의 한 단부가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이 흡인 호스(16A, 16B, 16C)의 타단부는 도 11에 도시하는 접속 파이프(17)의 제 1 내지 제 3 접속 파이프(18, 19, 2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접속 파이프(17)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접속 파이프(18)의 한 단부가 상기 흡인장치(112)의 진공펌프에 고정되고, 이 제 1 접속 파이프(18)의 도중에, 제 2 접속 파이프(19)와 제 3 접속 파이프(20)의 기단이 각각 연통하도록(이 제 1 접속 파이프(18)로부터 분기된 상태에서) 접속되고, 이들 제 1 내지 제 3 접속 파이프(18, 19, 20)에는, 상기 흡인 호스(16A, 16B, 16C) 내의 흡인력을 각각 독립하여 조절하는 흡인력 조절기구(본 발명의 조절 부재)(26, 26, 26)가 각각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흡인력 조절기구(26, 26, 26)는 동일한 구성이며, 제 2 접속 파이프(19)에 배열 설치된 흡인력 조절기구(26)에 의해 설명한다. 이 제 2 접속 파이프(19)의 원호 형상의 정상부와 바닥부에는, 회동축(28)이 회동 자유롭게 떠받쳐져 있고, 이 회동축(28)의 상단부(부호는 생략함)는 상기 제 2 접속 파이프(19)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축(28)의 상기 제 2 접속 파이프(19)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후술하는 칸막이 밸브(29)가 삽입통과 가능한 장방형의 구멍(부호는 생략함)이 형성되고, 이 장방형의 구멍 내에, 상기 제 2 접속 파이프(19)의 내경보다도 약간(간신히) 짧은 직경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칸막이 밸브(29)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동축(28)의 외부로 돌출한 상단부에는, 조작 레버(34)가 고정되어 있고, 이 조작 레버(34)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동축(28)과 함께 상기 칸막이 밸브(29)가 회동되고, 제 2 접속 파이프(19) 내를 유통하는 공기량이 조절됨으로써, 흡인 호스(16A) 내의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 흡인력 조절기구(2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접속 파이프(18, 19, 20)가 각각 배열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인 호스(16A, 16B, 16C) 내의 흡인력을 각각 독립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 레버(34)는 중심부에 원반 형상의 원반부(34a)가 형성되고, 이 원반부(34a)의 외측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회동 조작하기 위한 회동 조작부(34c)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원반부(34a)에는 회동축(28)과 동일 축심의 약 1/4원의 긴 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34b) 내에는, 고정나사(35)의 축부가 삽입통과되고, 그 도시되지 않은 수나사부가 제 2 접속 파이프(19)에 나사식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고정나사(35)의 조임에 의해 상기 조작 레버(34)의 회동을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헐겁게 함으로써 회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고정나사(35)는, 상기 긴 구멍(34b)의 각 단부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칸막이 밸브(29)가 약 90도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34)의 원반부(34a)에는, 도시하지 않은 동일한 각도의 눈금이 설치되고, 이 동일한 각도의 눈금에 의해 상기 칸막이 밸브(29)의 현재의 회동 각도(흡인력)를 시인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나사(35)는 나비 볼트 등이어도 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34)의 긴 구멍(34b)의 한 단부가 고정나사(35)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밸브(29)의 평면이 상기 제 2 접속 파이프(19) 내의 측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결정된 경우에는, 이 제 2 접속 파이프(19) 내의 공기는 대략 100% 유통되고, 이 상태로부터, 상기 조작 레버(34)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이 조작 레버(34)의 긴 구멍(34b)의 타단부가 상기 고정나사(35)에 맞닿은 경우에는, 상기 칸막이 밸브(29)의 평면이 상기 제 2 접속 파이프(19) 내의 측면과 직교하는 상태(파이프 내의 유로를 차단하는 상태)가 되어, 이 제 2 접속 파이프(19) 내의 공기의 유통은 거의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속 파이프(19) 내의 공기의 유통량은 상기 조작 레버(34)의 조작에 의해 상기 대략 100% 유통과 거의 차단되는 상태 사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인 호스(16A, 16B, 16C) 내의 흡인력을 각각 독립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투입구(11)에 가까운 도 4에 도시하는 흡인 호스(16A)로부터의 흡인력을 높이고, 가장 기재 배출로(69)에 가까운 흡인 호스(16C)로부터의 흡인력을 약화시키는 등의 조절을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부착부를 흡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흡인관(16A, 16B, 16C)의 흡인력에 의해 기재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 상기 덮개(33)의 내주에는, 도 6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안내 리브(61···66)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제 1 내지 제 6 안내 리브(61···66)는 후술하는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 및 제 1 내지 제 4 송풍 날개(86···89)의 회전에 의해 투입구(11)로부터 흡입되는 상기 처리조(31) 내의 공기가 도 6, 도 9에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안내되도록,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배면측단부보다도 정면측단부가 우측에 위치하여 약간 경사져 있다. 또한, 이들 제 1 내지 제 6 안내 리브(61···66)는 덮개(33)에 대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이러한 제 1 내지 제 6 안내 리브(61···66)가 부착된 상기 덮개(33)의 도 9에 도시하는 우측에는, 처리조(31) 내에서 절단되어 부착물(세라믹스)이 박리된 기재(PET 필름)가 통과하여 배출되는 기재 배출로(69)의 기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 기재 배출로(69)의 기단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처리조(31)와 연통되어 있는 것이며, 선단은 정면측으로 돌출해 있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 개폐 도어(42)가 폐색됨으로써, 이 정면측 개폐 도어(42)에 형성된 배출관부(7)의 기단측에 삽입되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기재 배출로(69)의 후방 및 상방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원 형상의 배출구멍(69a)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처리조(31) 내에서 배출되는 기재가 공기의 흐름에 의해 기재 배출로(69) 내를 통과할 때에, 이 기재에 부착되어 있던 잔류 부착물이 이들 배출구멍(69a)으로부터 케이싱(3) 내로 효과적으로 박리 또는 분리되어, 배출되는 기재를 보다 리사이클에 알맞은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처리조(31) 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21)의 출력축(21a)에 연결 부재(71)를 통하여 연결된 회전축(72)이 수평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이 회전축(72)은 좌측 중도부가 상기 수직판부(27)의 좌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일방의 베어링(73)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우측은, 우측 수직판(43)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타방의 축받이(74)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좌측 중도부는 상기 수직판부(27)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개구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이 박리장치(1)에서는, 상기 수직판부(27)의 상단(제 2 경사 바닥판부(23d)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축(72)까지의 거리는 다소 이간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가 수평으로 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사 바닥판부(23d)의 하단으로부터 이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까지의 단차(낙차)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72)에는, 상기 처리조(31) 내에서, 도 4, 도 7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구동하는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의 기단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도 4,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송풍 날개(86···89)의 기단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72)은,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 및 제 1 내지 제 4 송풍 날개(86···89)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의 안정성이 유지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는, 도 7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72)의 사각형상부이며 회전방향으로 90도씩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볼트(부호는 생략한다.)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회전날개(81···84)의 회전축(72)측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각각의 길이(폭)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이들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의 선단측(처리조(31)의 내주면측)에는,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가 각각 볼트(부호는 생략한다.)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들 빗 형상체(76···79)의 선단측에는, 대략 U자 형상의 다수의 오목부(76b···79b)가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들 오목부(76b···79b)의 양측의 볼록부(부호는 생략함)로 요철을 이루는 빗 형상으로 각각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빗 형상체(76···79)의 회전에 의해 각 선단측이 통과하는 근방이며, 도 7에 도시하는 정면측 수직고정판(36)의 상단부에는, 처리조 본체(32)의 도 7에 도시하는 좌측 상단부를 통하여, 다수의 절단날(95a)(도 10 참조)이 형성되어 있는 절단공구(9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절단공구(95)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빗 형상체(76···79)의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76b···79b) 방향에 대향하여 돌출한 다수의 절단날(9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개구부(25)로부터 처리조(31) 내에 송입된 그린시트(피처리물)는 처리조(31) 내에서 회전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선단부에 충돌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각 오목부(76b···79b)와, 도 10에 도시하는 절단공구(95)의 각 절단날(95a)과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이 그린시트는 불규칙·부정형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불규칙·부정형으로 파괴되어 절단된다. 이러한 그린시트의 절곡이나 절단 시에, 부착물은 확실하게 박리된다. 또한, 불규칙하게 절단된 그린시트는 상기 회전날개(81···84) 및 빗 형상체(76···79)의 회전 또는 그 원심력에 의해, 처리조 본체(32) 및 덮개(33)의 내주면에 내던져지듯이 이동함과 아울러, 이 처리조 본체(32) 및 덮개(33)의 내주면과 서로 스치고 미끄럼 접촉하면서 처리조 본체(32) 및 덮개(33)의 내주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송풍 날개(86···89)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72)의 타단측(기재 배출로(69)측)에서 회전방향으로 90도씩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볼트(부호는 생략한다.)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72)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각각의 길이(폭)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 송풍 날개(86···89)의 선단부에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판(101···104)이 볼트(부호는 생략한다.)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박리장치(1)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시동 스위치를 온 조작하면, 도 4에 도시하는 구동 모터(21)의 구동이 개시되고, 이것에 따라 이 구동 모터(21)와 연결 부재(71)에 의해 연결된 회전축(72)과 함께, 처리조(31) 내에 설치된 도 7,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와 제 1 내지 제 4 송풍 날개(86···89)가 도 7 및 도 8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들 중, 상기 회전날개(81···84)의 회전에 의해 이 회전날개(81···84)의 각각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공기는 원심방향 및 이 원심방향과 직교하는 정면방향 및 이것들 사이를 향하여 소정의 풍속 및 풍력에 의해 유동하고, 처리조(31)의 처리조 본체(32) 및 덮개(33)의 내주면에 내던져짐과 아울러, 도 7에 있어서 이 처리조 본체(32) 및 덮개(33)의 내주면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타방의 상기 송풍 날개(86···89)의 회전에 의해 이 송풍 날개(86···89)의 각각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공기는 원심방향 및 이 원심방향과 직교하는 정면방향 및 이것들 사이를 향하여 소정의 풍속 및 풍력에 의해 유동하고, 처리조(31)의 처리조 본체(32), 덮개(33) 및 기재 배출로(69)의 내주면에 내던져짐과 아울러, 도 8에 있어서 이 처리조 본체(32), 덮개(33) 및 기재 배출로(69)의 내주면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처리조(31) 내의 공기는, 도 9에 도시하는 안내 리브(61···66)에 안내되어 기재 배출로(69)를 향하여 처리조(31) 내를 회전하도록 이동하지만, 이러한 이동에 더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받이 부재(15A, 15B, 15C), 흡인 호스(16A, 16B, 16C), 및 도 11에 도시하는 접속 파이프(17)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접속 파이프(18, 19, 20)를 각각 통하여, 도 1에 도시하는 흡인장치(112)의 흡인력에 의해, 도 9에 도시하는 처리조 본체(32)의 개구(32d)를 통과한다. 이러한 공기의 통과에 따라 그린시트(피처리물)는 이 개구(32d)의 내주측에 눌리고 마찰저항을 받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박리장치(1)에서는, 상기 흡인장치(112)에 의해 처리조(31) 내는 부압이 되고, 공기는 투입구(11)나 기재 배출로(69)로부터 이 처리조(31) 내에 유입한 후에, 상기 각 흡인 호스(16A, 16B, 16C) 등을 통하여 흡인장치(112)에 흡인되고, 이 결과, 그린시트(피처리물)를 구성하는 부착물은 각 흡인 호스(16A, 16B, 16C) 등을 통하여 흡인장치(112)에 흡인되는 한편, 기재는 투입구(11)로부터 투입된 그린시트에 밀려 기재 배출로(69)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그린시트(피처리물)가, 도 1에 도시하는 컨베이어 장치(111)에 의해 이송되고, 도 4에 도시하는 호퍼(23)의 투입구(11)로부터 투입되면, 이 그린시트는, 제 1 경사 바닥판부(23b) 위 및 제 2 경사 바닥판부(23d) 위를 미끄러지고, 또는, 호퍼(23) 내의 공중을 거쳐, 도 6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개구부(25)로부터 처리조(31) 내로 끌어 넣어지도록 하여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그린시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회전날개(81···84)와 함께 회전되는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선단측에 직접 충돌하거나, 상기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선단부에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의 각 오목부(76b···79b)와, 도 10에 도시하는 절단공구(95)의 각 절단날(95a) 사이에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빗 형상체(76···79) 혹은 회전날개(81···84)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들 중, 상기 빗 형상체(76···79)의 선단측에 직접 충돌한 그린시트는 불규칙·부정형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불규칙·부정형으로 파괴되어 절단된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각 오목부(76b···79b)와, 상기 절단공구(95)의 각 절단날(95a) 사이에 끼워진 그린시트는 일방의 절단공구(95)는 정면측 수직고정판(36)에 고정되고, 타방의 빗 형상체(76···79)는 회전되므로, 보다 확실하게 불규칙·부정형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보다 확실하게 불규칙·부정형으로 파괴되어 절단된다. 이러한 그린시트의 절곡이나 절단 시에, 상기 부착물은 기재로부터 충격에 의해 박리되고, 상기 처리조 본체(32)의 개구(32d)로부터 각 흡인 호스(16A, 16B, 16C) 등을 통하여 흡인장치(112)에 흡인된다.
그리고, 불규칙하게 절단된 그린시트는, 또한 상기 회전날개(81···84)와 빗 형상체(76···79)와의 회전력, 원심력 또는 풍력에 의해, 도 7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처리조(31)의 처리조 본체(32) 또는 덮개(33)의 내주면에 내던져지고(이 때에도, 일부의 부착물은 충격에 의해 박리됨) 반시계방향(도 7 참조)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처리조 본체(32) 또는 덮개(33)의 내주면과 서로 스치고 미끄럼 접촉하면서 처리조(31)의 내주를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처리조 본체(32)의 내주면과 서로 스치고 미끄럼 접촉하는 그린시트의 기재에 부착된 부착물(세라믹스)은, 처리조 본체(32)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32d)를 통과하려고 하는 공기에 의해 처리조 본체(32)의 내주면에 눌려짐과 아울러, 이 처리조 본체(32)의 개구(32d)의 코너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깎여지고 이 개구(32d)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각 흡인 호스(16A, 16B, 16C) 등을 통하여 흡인장치(112)에 흡인된다.
다른 한편 상기 빗 형상체(76···79) 혹은 회전날개(81···84)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으로 이동한 그린시트는 상기 회전날개(81···84)와 빗 형상체(76···79)와의 회전력, 원심력 또는 풍력에 의해, 도 7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처리조(31)의 처리조 본체(32) 또는 덮개(33)의 내주면에 내던져지고(이 때에도, 일부의 부착물은 충격에 의해 박리됨) 반시계방향(도 7 참조)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처리조 본체(32) 또는 덮개(33)의 내주면과 서로 스치고 미끄럼 접촉하면서 처리조(31)의 내주를 이동한다. 이 경우의 이동에 있어서도, 그린시트의 부착물은, 상기 빗 형상체(76···79)의 선단측의 요철부에 직접 충돌한 경우, 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각 오목부(76b···79b)와, 상기 절단공구(95)의 각 절단날(95a) 사이에 끼워진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처리조 본체(32)의 개구(32d)의 코너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깎여져 이 개구(32d)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각 흡인 호스(16A, 16B, 16C) 등을 통하여 흡인장치(112)에 흡인된다. 그리고, 상기 그린시트는, 상기 빗 형상체(76···79) 및 회전날개(81···84)의 회전력, 원심력 또는 풍력에 의해 도 9에 내보이는 안내 리브(61···66)에 안내되어, 기재 배출로(69)를 향하여 처리조(31) 내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호퍼(23)로부터 투입된 그린시트는 처리조(31) 내에서 불규칙·부정형으로 절곡되고, 불규칙·부정형으로 파괴되어 절단되고, 처리조 본체(32) 또는 덮개(33)의 내주면에 내던져지고, 처리조 본체(32) 또는 덮개(33)의 내주면과 서로 스치고 미끄럼 접촉하면서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처리조 본체(32)의 내주면과 빗 형상체(76···79)에 시달리고, 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다수의 오목부(76b···79b)와, 상기 절단공구(95)의 다수의 절단날(95a) 사이에 끼워져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이것들을 반복하면서, 부착물은 기재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처리조 본체(32)의 개구(32d) 또는 기재 배출로(69)의 배출구멍(69a)으로부터 배출되고, 부착물이 박리된 후의 기재는 기재 배출로(69)를 거쳐 도 5에 도시하는 배출관부(7)의 배출구(7a)로부터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기재 회수상자 내에 회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리장치(1)에 의하면, 도 9에 도시하는 처리조 본체(32)의 개구(32d) 또는 기재 배출로(69)의 배출구멍(69a)으로부터 배출되는 부착물(세라믹스)은,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받이 부재(15A, 15B, 15C), 흡인 호스(16A, 16B, 16C), 및 접속 파이프(17)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접속 파이프(18, 19, 20)를 각각 사이에 두고(통하여) 흡인장치(112)에 흡인되므로, 상기 처리조(31) 내에서, 상기 빗 형상체(76···79), 회전날개(81···84), 처리조(31)의 내주면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했다고 해도, 부착물은 기재에 다시 부착되지 않아, 일방의 부착물만을 상기 흡인장치(112)에 회수할 수 있고, 또한, 타방의 기재만을 상기 기재 배출로(69)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조(31)의 하방에는, 이 처리조(31)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받이 부재(15A, 15B, 15C)가 연속해서 배치되고, 이들 받이 부재(15A, 15B, 15C)에는, 흡인 호스(16A, 16B, 16C)의 한 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이들 흡인 호스(16A, 16B, 16C)의 타단부에는, 흡인력 조절기구(26)가 각각 배열 설치된 제 1 내지 제 3 접속 파이프(18, 19, 20)가 각각 접속되고, 이들 제 1 내지 제 3 접속 파이프(18, 19, 20)는 접속 파이프(17)를 통하여 상기 흡인장치(112)의 진공펌프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인력 조절기구(26)의 조절에 의해, 예를 들면, 가장 투입구(11)에 가까운 도 4에 도시하는 흡인 호스(16A)로부터의 흡인력을 높이고, 가장 기재 배출로(69)에 가까운 흡인 호스(16C)로부터의 흡인력을 약화시키는 등의 조절을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부착부를 흡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흡인관(16A, 16B, 16C)의 흡인력에 의해 기재의 배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각 오목부(76b···79b)와, 상기 절단공구(95)의 각 절단날(95a) 사이에 끼워진 그린시트는, 일방의 절단공구(95)은 도 7에 도시하는 정면측 수직고정판(36)에 고정되고, 타방의 빗 형상체(76···79)는 회전되므로, 그린시트(피처리물)을 구성하는 기재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빗 형상체(76···79)의 각 오목부(76b···79b)와, 상기 절단공구(95)의 각 절단날(95a)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됨과 아울러, 부착물이 박리된 후의 기재는 상기 기재 배출로(69)로부터 배출된다.
1 박리장치
3 케이싱
11 투입구
15A, 15B, 15C 받이 부재
16A, 16B, 16C 흡인 호스
17, 18, 19, 20 접속 파이프
21 구동 모터
26, 26, 26 흡인력 조절기구
28 회동축
29 칸막이 밸브
31 처리조
32 처리조 본체
32a 바닥판부
32d 개구
33 덮개
34 조작 레버
69 기재 배출로
72 회전축
76···79 빗 형상체
76b···79b 오목부
81···84 회전날개
95 절단공구
95a 절단날
112 흡인장치

Claims (3)

  1.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층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물이 부착되어 있는 피처리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부착물이 박리된 기재가 배출되는 기재 배출로에 각각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상기 피처리물이 수용되는 처리조와,
    이 처리조 내에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과,
    기단이 상기 회전축에 각각 고정되고, 선단은 상기 처리조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처리조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물이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조의 하방에는, 이 처리조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복수의 받이 부재가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들 받이 부재의 하단에는 이 받이 부재와 연통되어 있는 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관부에는, 기단이 흡인장치에 접속된 흡인관의 한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인관의 기단은 상기 흡인장치에 고정된 접속 파이프에 각각 고정되고, 이들 접속 파이프에는 이 흡인관의 흡인력을 독립하여 조절하는 조절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의 선단에는, 이 회전날개의 길이방향에 걸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처리조에는,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한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의 박리장치.
KR1020100075570A 2010-05-24 2010-08-05 부착물의 박리장치 KR20110128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8682A JP5222319B2 (ja) 2010-05-24 2010-05-24 付着物の剥離装置
JPJP-P-2010-118682 2010-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713A true KR20110128713A (ko) 2011-11-30

Family

ID=4497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570A KR20110128713A (ko) 2010-05-24 2010-08-05 부착물의 박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87697A1 (ko)
JP (1) JP5222319B2 (ko)
KR (1) KR20110128713A (ko)
TW (1) TW201141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10B1 (ko) * 2016-02-03 2016-11-04 김진모 회로 기판의 프레스 공정에서 사용하는 쿠션 필름의 펄프 박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8198B4 (de) * 2012-09-04 2016-05-25 Windmöller & Hölscher Kg Vorrichtung zum Absaugen von Abfallprodukten einer Produktionsmaschine mit einem Absaugelement
JP6061965B2 (ja) * 2015-02-12 2017-01-18 株式会社大貴 叩解装置
EP3463693A1 (de) * 2016-05-24 2019-04-10 Barnstedt Dir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scheidung von leichtgut aus einem transportluftstrom
CN106269618A (zh) * 2016-08-25 2017-01-04 无锡市太湖同步带轮厂 加工件碎屑清理设备
CN106625092B (zh) * 2016-12-01 2018-08-03 重庆永高塑业发展有限公司 管材清理装置
CN107876153A (zh) * 2017-09-19 2018-04-06 长兴谐达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打碎功能的生物质造粒用除杂装置
CN108018941B (zh) * 2017-12-03 2019-12-06 广州市白云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下水道防堵自动疏通连接管道
CN110102363B (zh) * 2019-04-26 2020-09-29 安徽省华腾农业科技有限公司经开区分公司 一种块状建筑垃圾分类回收设备
CN111012330B (zh) * 2019-12-31 2023-01-20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具备防尘功能的无线心电检测仪
CN111495559A (zh) * 2020-05-09 2020-08-07 吴健华 一种固体废弃物处理装置
WO2022201994A1 (ja) * 2021-03-26 2022-09-29 政和 内田 金属膜・樹脂分離方法とその分離装置
CN113524324A (zh) * 2021-08-24 2021-10-22 广东鑫球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精度滤芯的高效静电除屑装置及静电除屑方法
CN114771082B (zh) * 2022-04-12 2023-10-03 华懋(厦门)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帘式气囊耳片的全自动薄膜分离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1685A (en) * 1968-01-31 1971-02-09 Wedco Center fed mill with arcuate discharge screens
JPS51142874A (en) * 1975-06-04 1976-12-0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Pulverizing and classifying apparatus of city garbage
US4657192A (en) * 1984-06-01 1987-04-14 Browning James N Paper shredder
JP3450726B2 (ja) * 1998-12-03 2003-09-29 株式会社モキ製作所 分離装置
JP3962174B2 (ja) * 1999-03-29 2007-08-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スチック樹脂表面の剥離装置
JP2002316104A (ja) * 2001-02-19 2002-10-29 Hitachi Zosen Corp プラスチックの乾式洗浄方法および装置
JP3867906B2 (ja) * 2002-05-07 2007-01-17 株式会社カネミヤ 包装食品自動分別処理装置
JP2003320264A (ja) * 2002-05-07 2003-11-11 Kanemiya:Kk 包装食品自動分別処理装置
JP4183178B2 (ja) * 2003-08-20 2008-11-19 株式会社カネミヤ 包装材用洗浄装置
JP2005081614A (ja) * 2003-09-05 2005-03-31 Kayaba Ind Co Ltd 樹脂フィルムの洗浄機
JP4274551B2 (ja) * 2004-05-28 2009-06-10 株式会社カネミヤ 樹脂製シート又は樹脂製包装材の洗浄装置
JP4079438B2 (ja) * 2004-09-17 2008-04-23 株式会社カネミヤ 樹脂製シート又は樹脂製包装材の洗浄装置
JP2006159083A (ja) * 2004-12-07 2006-06-22 Kanemiya:Kk 包装食品の分離装置
JP4027942B2 (ja) * 2005-02-21 2007-12-26 株式会社カネミヤ 樹脂製シート又は包装食品の処理装置
JP4611825B2 (ja) * 2005-07-12 2011-01-12 株式会社カネミヤ 包装材洗浄処理装置
JP5198907B2 (ja) * 2008-03-07 2013-05-15 株式会社カネミヤ 付着物の剥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10B1 (ko) * 2016-02-03 2016-11-04 김진모 회로 기판의 프레스 공정에서 사용하는 쿠션 필름의 펄프 박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87697A1 (en) 2011-11-24
JP2011245655A (ja) 2011-12-08
JP5222319B2 (ja) 2013-06-26
TW201141614A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8713A (ko) 부착물의 박리장치
JP5422822B1 (ja) 廃プラスチック類の切断洗浄装置
CA2198524A1 (en) Blowing and suc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a vacuum device for picking up and shredding leaves and similar material
CA2712387C (en) Pipe cleaning tool
EP1348516A2 (en) Apparatus and mehtod for recirculating machine tool coolant and removing ferrous debris therefrom
KR101662767B1 (ko) 폐기물의 페인트 박리장치
JP2012106162A (ja) 破砕分別装置
JP4611825B2 (ja) 包装材洗浄処理装置
JP5198907B2 (ja) 付着物の剥離装置
KR200404908Y1 (ko) 감자 박피기
JP5538273B2 (ja) 除袋機
JP5156054B2 (ja) 風力選別装置
JP4155015B2 (ja) 破砕乾燥処理装置
JP2987275B2 (ja) 分離装置
FI118917B (sv) Skalare
CN214242385U (zh) 一种抗粘自清功能的垃圾传输装置
JP7157436B2 (ja) 透明カバー層分離回収装置
KR100896603B1 (ko) 집진기 수분혼합 장치
JP4079438B2 (ja) 樹脂製シート又は樹脂製包装材の洗浄装置
JP4593701B2 (ja) 切りくず破砕装置および切りくず処理システム
CN218424667U (zh) 一种可快速脱标的塑料瓶脱标机
JP2007296474A (ja) 破砕分別装置
KR20200036547A (ko) 날개형 다공성 필터의 분진 제거장치
KR101673110B1 (ko) 회로 기판의 프레스 공정에서 사용하는 쿠션 필름의 펄프 박리 장치
US11786908B1 (en) Autogenous impact mill that reduces size of friabl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