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602A -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602A
KR20110125602A KR1020110044480A KR20110044480A KR20110125602A KR 20110125602 A KR20110125602 A KR 20110125602A KR 1020110044480 A KR1020110044480 A KR 1020110044480A KR 20110044480 A KR20110044480 A KR 20110044480A KR 20110125602 A KR20110125602 A KR 20110125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write
writing
display
prog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567B1 (ko
Inventor
유스께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화소의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이, 구동 전압을 복수회 인가하는 동작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전회의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입 상태 판단 공정과, 기입 상태 판단 공정에서, 하나의 화소에 대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고,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전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후,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는 기입 제어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DEVICE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1조의 대향 전극판 사이에, 1개 또는 복수 종류의 전기 영동 입자와 전기 영동 분산매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분산액을 밀봉함으로써 구성된다. 2개의 전극 간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기 영동 입자가 전기 영동 분산매 중을 이동하여, 그 분포가 변함으로써 광학적 반사 특성이 변화하여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한쪽의 측의 전극을 복수로 분할된 화소 전극에 의해 구성해 두면, 각각의 화소 전극의 전위를 제어함으로써, 화소마다의 입자의 분포에 차이가 생겨,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는 데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시를 재기입할 때에는, 복수 프레임을 이용하여 재기입을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표시의 재기입에서, 액정 표시 장치 등과 같이, 한 번 전체 화면에서 기입을 시작하게 되면, 수프레임 동안, 새로운 기입을 시작할 수 없기 때문에 외관의 레스펀스가 낮아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분 영역의 단위로 파이프라인 처리를 행함으로써 기입을 행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화면 상의 서로 겹치지 않는 2개의 부분 영역에 연속하여 화상을 기입하는 경우, 먼저 기입을 개시한 부분 영역의 기입 동작이 완료되지 않아도, 후에 기입을 개시하는 부분 영역의 기입 동작을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속도가 향상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1615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식의 경우, 부분 영역끼리가 일부에서 겹치게 되면, 후에 기입 개시한 부분 영역에 대해서는, 먼저 기입 개시한 부분 영역의 기입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구동을 대기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표시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혹은, 부분 영역끼리가 겹치지 않도록,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매우 번잡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체감적인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중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이, 구동 전압을 복수회 인가하는 동작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재기입 판단 공정과, 상기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전회의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입 상태 판단 공정과, 상기 기입 상태 판단 공정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 공정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전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는 기입 제어 공정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해, 화소의 단위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기입이 종료된 화소로부터 수시 신규의 기입 동작을 개시해 갈 수 있으므로, 화상의 재기입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표시 장치의 경우라도, 화상 표시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입 정보를 제1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기입 정보 갱신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표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제2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표시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과, 진행 중인 기입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정 화상의 데이터를 제3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에서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이 개시되는 타이밍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의 화소 데이터를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로 치환하고, 상기 재기입 판단 공정에서는, 상기 제2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와 상기 제3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예정 화상의 화소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화상 데이터와 예정 화상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 한,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 화소로서 검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불필요한 기입 동작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는, 상기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상기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기입 정보와, 상기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상기 제2 표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기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정보는,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경우, 그 기입 동작에서 이미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된 횟수에 수반하여 변동하는 값이고, 그 기입에서의 최후의 상기 구동 전압 인가 후에는, 상기 기입 정보가,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간이한 처리로 기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중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이, 구동 전압을 복수회 인가하는 동작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재기입 판단부와, 상기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전회의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입 상태 판단부와,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전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는 기입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해, 화소의 단위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기입이 종료된 화소로부터 수시 신규의 기입 동작을 개시해 갈 수 있으므로, 화상의 재기입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표시 장치의 경우라도, 화상 표시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입 정보를 제1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기입 정보 갱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화상 데이터를 제2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표시 화상 데이터 갱신부와, 진행 중인 기입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정 화상의 데이터를 제3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이 개시되는 타이밍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의 화소 데이터를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로 치환하고, 상기 재기입 판단부는, 상기 제2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와 상기 제3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예정 화상의 화소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화상 데이터와 예정 화상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 한,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 화소로서 검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불필요한 기입 동작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는, 상기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상기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기입 정보와, 상기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상기 제2 표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기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정보는,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경우, 그 기입 동작에서 이미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된 횟수에 수반하여 변동하는 값이고, 그 기입에서의 최후의 상기 구동 전압 인가 후에는, 상기 기입 정보가,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간이한 처리로 기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메모리성을 갖는 표시 소자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예를 들면 전기 영동 소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중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이, 구동 전압을 복수회 인가하는 동작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전회의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입 상태 판단부와,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전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는 기입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해, 화소의 단위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기입이 종료된 화소로부터 수시 신규의 기입 동작을 개시해 갈 수 있으므로, 화상의 재기입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표시 장치의 경우라도, 화상 표시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입 정보를 제1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기입 정보 갱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표시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표시부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각 화소 구동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컨트롤러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개략 동작의 플로우차트.
도 7은 컨트롤러의 동작의 플로우차트.
도 8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의 (A)∼도 16의 (C)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표시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1), 컨트롤러(제어 장치)(2), CPU(표시 화상 데이터 갱신부)(3), VRAM(제2 기억 영역)(4), RAM(제1 기억 영역, 제3 기억 영역)(5)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1)는, 메모리성을 갖는 표시 소자를 갖고 있어, 기입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표시 상태가 유지되는 표시 디바이스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1)는, 메모리성을 갖는 표시 소자로서 전기 영동 소자를 구비하는, 전기 영동 방식에 의한 화상 표시 디바이스이며,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는, 표시부(1)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 그 밖에 각종 신호(클럭 신호 등)를 출력함으로써 표시부(1)를 제어한다.
CPU(3)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이며, 특히, 표시부(1)에 표시시키는 화상 데이터를 VRAM(4)에 기억시킨다.
VRAM(4)은, 프레임 버퍼이며, CPU(3)의 제어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5)은, 기입 정보 기억 영역(제1 기억 영역)(6)과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제3 기억 영역)(7)을 포함한다.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은, 각각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입 정보를 기억한다.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은, 현재 각각의 화소에 대하여 행해지고 있는 기입이 완료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예정의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표시부(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도 2∼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표시부(1)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는, 대별하여 제1 기판(10), 전기 영동층(20), 제2 기판(30)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기판(10)은,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절연성 기초 기판으로서의 가요성 기판(11) 상에 박막 반도체 회로층(12)이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기판(11)은,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이다. 이 가요성 기판(11) 상에, 접착층(11a)을 개재하여 반도체 회로층(12)이 적층되어 있다. 가요성 기판(11)으로서는, 경량성, 가요성, 탄성 등이 우수한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기판(11) 대신에, 가요성을 갖지 않는 글래스 기판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기판 상에 접착층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반도체 회로층(12)이 형성된다.
박막 반도체 회로층(12)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각각 복수 배열된 배선 군, 화소 전극군, 화소 구동 회로, 접속 단자, 구동 화소를 선택하는 행 디코더(51) 및 열 디코더(도시 생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화소 구동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의 회로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군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 전극(13a)을 포함하고 있고, 화상 표시 영역을 형성한다. 박막 반도체 회로층(12)에는, 각 화소 전극(13a)에 개별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 전극(14)은, 제2 기판(30)의 투명 전극층(32)과 제1 기판(10)의 회로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박막 반도체 회로층(12)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기 영동층(20)은, 화소 전극(13a) 상 및 그 외주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전기 영동층(20)은, 바인더(22)에 의해 고정된 다수의 마이크로 캡슐(2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캡슐(21) 내에는 전기 영동 분산매, 전기 영동 입자가 포함되어 있다. 바인더(22)에 의해 고정된 마이크로 캡슐(21)과, 화소 전극(13a)과의 사이에, 접착층이 더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기 영동 입자는 인가 전압에 따라서 전기 영동 분산매 중을 이동하는 성질을 갖고, 1종류 이상(여기서는 2종류)의 전기 영동 입자가 사용된다. 전기 영동층(20)은, 전술한 마이크로 캡슐(21)을 바인더(22) 중에 원하는 유전율 조절제와 함께 혼합하고,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공지의 코팅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영동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메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외에, 각종 에스테르류나 다양한 오일류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계면 활성제 등을 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전기 영동 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분산매 중에서 전위차에 의한 전기 영동을 행하여 원하는 전극 측으로 이동하는 성질을 갖는 입자(고분자 혹은 콜로이드)이다. 예를 들면, 아닐린 블랙이나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 이산화티탄이나 산화 알루미늄 등의 백색 안료 외에, 황색 안료, 적색 안료, 청색 안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입자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함께 이용해도 된다.
마이크로 캡슐(21)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계의 화합물이나 우레탄계의 화합물 등의 유연성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22)로서는, 마이크로 캡슐(21)과 친화성이 양호하고 전극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며, 또한 절연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제2 기판(30)은, 하면에 투명 전극층(32)이 형성된 박막 필름(31)으로 이루어지고, 전기 영동층(20) 상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투명 전극층(32)은, 복수의 화소 전극(13a)에 대향하는 공통 전극이다.
박막 필름(31)은, 전기 영동층(20)의 밀봉 및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박막 필름(31)은 절연성의 투명재에 의해 형성된다.
투명 전극층(32)은, 예를 들면, 주석이 도프된 산화 인듐막(ITO막) 등의 투명 도전막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기판(10)의 회로 배선과 제2 기판(30)의 투명 전극층(32)은, 전기 영동층(20)의 형성 영역의 외측에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전극층(32)과 박막 반도체 회로층(12)의 접속 전극(14)이 도전성 접속체(23)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도 3은 표시부(1)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컨트롤러(2)는, 화상 표시 영역(55)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 화상 재기입 시의 리세트를 행하기 위한 리세트 데이터, 그 밖에 각종 신호(클럭 신호 등)를 생성하고, 주사선 구동 회로(53) 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54)에 출력한다.
표시 영역(55)은, X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데이터선과, Y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주사선과, 이들 데이터선과 주사선의 각교점에 배치되는 화소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각 화소 구동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화소 구동 회로에서는, 트랜지스터(61)의 게이트가 주사선(64)에 접속되고, 소스가 데이터선(65)에 접속되며, 드레인이 화소 전극(13a)에 접속되어 있다. 축적 용량(63)은, 전기 영동 소자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선(65)은, 각 화소 구동 회로에 포함되는 화소 전극(13a)과 투명 전극층(32)에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전기 영동층(20)의 전기 영동 입자를 영동시켜, 화상 표시를 행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53)는, 표시 영역(55)의 각 주사선과 접속되어 있고, 이들 주사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주사선에 소정의 주사선 신호 Y1, Y2, …, Ym을 공급한다. 이 주사선 신호 Y1, Y2, …, Ym은, 액티브 기간(H 레벨 기간)이 순차적으로 시프트하는 신호로 되어 있고, 각 주사선에 출력됨으로써, 각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 구동 회로가 순차적으로 온 상태로 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54)는, 표시 영역(55)의 각 데이터선과 접속되어 있고, 주사선 구동 회로(53)에 의해 선택된 각 화소 구동 회로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 X1, X2, …, Xn을 공급한다. 선택 상태로 되어 있는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에는, 데이터선으로부터 트랜지스터(61)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다. 화소에 포함되는 축적 용량(63)에는, 화소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서 전하가 축적되고, 화소 전극(13a)의 전위는, 그 전하에 따른 전위로 된다. 이 화소 전극(13a)의 전위와, 투명 전극층(32)의 전위와의 전위차(전압)에 따라서 전기 영동 입자가 양 전극 간을 이동하여, 표시가 행해진다.
주사선 구동 회로(53)가, 각 주사선을 1회씩 선택하는 기간을 「프레임 기간」이라고 부른다(또는 간단히 「프레임」이라고도 부른다). 따라서, 각 주사선은, 1프레임에 1회씩 선택되고, 각 화소에는 1프레임에 1회씩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다.
도 5는 컨트롤러(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는, 재기입 판단부(201), 기입 상태 판단부(202), 기입 제어부(203), 기입 정보 갱신부(204),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재기입 판단부(201), 기입 상태 판단부(202), 기입 제어부(203), 기입 정보 갱신부(204), 및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205)는, 컨트롤러(2)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 블록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의 개략 동작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CPU(3)는, 표시부(1)에 표시시키는 표시 화상 데이터를 VRAM(4)에 보존한다(스텝 S1).
컨트롤러(2)의 재기입 판단부(201)는,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VRAM(4)에 보존되어 있는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와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에 보존되어 있는 예정 화상의 화소 데이터를 비교하고, 양자가 상이한 경우에는, 그 화소에 대하여 VRAM(4)에 보존되어 있는 표시 화상 데이터를 반영시키기 위한 기입(이하, 신규의 기입이라고 기재함)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스텝 S2 : 재기입 판단 공정).
컨트롤러(2)의 기입 상태 판단부(202)는,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에 보존되어 있는 기입 정보를 참조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 : 기입 상태 판단 공정).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에는, 각 화소에 대한 기입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억할 수 있다. 기입 상태 판단부(202)는, 임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는 것을 나타내는 값(플래그 ON : 제1 데이터)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하고,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플래그 OFF : 제2 데이터)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또한, 스텝 S2와 S3의 실행 순서는 어느 쪽이 먼저이어도 되고, 동시에 행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2에서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스텝 S2 : 아니오), 또한 스텝 S3에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스텝 S3 : 아니오), 기입 제어부(203)는 그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을 개시한다(스텝 S4). 이때, 기입 정보 갱신부(204)는, 그 화소의 기입 정보를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갱신한다. 또한,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205)는,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에 보존되어 있는 그 화소의 예정 화상 데이터를, VRAM(4)에 보존되어 있는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로 덮어쓰기한다.
스텝 S2에서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스텝 S2 : 아니오), 또한 스텝 S3에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스텝 S3 : 예), 기입 제어부(203)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한다(스텝 S5).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이 종료되면, 기입 정보 갱신부(204)는,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에 보존되어 있는 기입 정보를,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갱신한다. 상기 스텝 S4, S5는, 기입 제어 공정에 대응한다.
스텝 S2에서 신규의 기입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스텝 S2 : 아니오), 그 화소의 처리를 종료하고, 다음 화소의 처리로 이행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컨트롤러(2)의 동작의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는,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에는 각 화소의 표시 상태를 흑(제1 표시 상태)으로부터 백(제2 표시 상태)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기입 정보와, 각 화소의 표시 상태를 백으로부터 흑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기입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각 화소의 표시 상태를 백으로부터 흑, 또는 흑으로부터 백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은,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시 상태를 백으로부터 흑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은, 화소에 대하여, 흑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복수회 공급하는 동작(즉 복수의 프레임의 각각에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도 7은 이 중 1개의 프레임에서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 기입 정보는, 그 기입 동작에서 이미 구동 전압이 인가된 횟수에 수반하여 변동하는 값이고, 그 기입에서의 최후의 구동 전압 인가 후에는, 기입 정보가,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입 정보는, 기입이 종료될 때까지의 남은 인가 횟수로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남은 인가 횟수 0은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플래그 OFF : 제2 데이터)에 상당하고, 0 이외의 값은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값(플래그 ON : 제1 데이터)에 상당한다.
우선, 기입 상태 판단부(202)는,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에 보존되어 있는 제1 및 제2 기입 정보(남은 인가 횟수)를 참조한다(스텝 S11 : 기입 상태 판단 공정). 적어도 한쪽의 남은 인가 횟수가 0 이외이면(예) 스텝 S12로 이행하고, 양방의 남은 인가 횟수가 0이면 스텝 S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2(기입 제어 공정)에서는, 기입 제어부(203)가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기입 정보 갱신부(204)는, 1회 전압 인가를 행할 때마다 남은 인가 횟수를 1씩 줄인다(스텝 S14 : 기입 정보 갱신 공정). 또한, 남은 인가 횟수가 0인 경우에는 감산은 행하지 않는다.
스텝 S13에서, 재기입 판단부(201)는 해당 화소의 VRAM(4)에 보존되어 있는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와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에 보존되어 있는 예정 화상의 화소 데이터를 비교하고, 양자가 상이한 경우에는(아니오), 기입 정보 갱신부(204)가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에, 기입 동작에 요하는 전압 인가 횟수를 등록한다(스텝 S15 : 기입 정보 갱신 공정).
다음으로,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205)가 해당 화소의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에 보존되어 있는 예정 화상 데이터를, VRAM(4)에 보존되어 있는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로 덮어쓰기하고(스텝 S16 :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 기입 제어부(203)가 기입 동작을 개시한다(스텝 S17 : 기입 제어 공정).
이상의 동작을 모든 화소에 대하여 행한 후, 현재의 프레임의 구동 파형을 표시부(1)에 송신한다(스텝 S18).
또한, 도 8∼도 15를 참조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의 동작을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도 15에서, A는, 표시부(1)에 현시점에서 실제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Pij(i는 행 번호, j는 열 번호를 나타냄)는 1화소를 나타내고 있다. 각 화소 Pij에는 0(흑)부터 7(백)의 8단계로 표현되는 계조가 표시되어 있다.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에는, 각 화소의 표시 상태를 흑으로부터 백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과, 각 화소의 표시 상태를 백으로부터 흑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을 포함한다.
VRAM(4),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 및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에는, 표시부(1)의 화소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 Mij가 형성되어 있다. VRAM(4)의 기억 영역 Mij에는,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계조)가 기억되어 있고,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기억 영역 Mij에는, 예정 화상의 화소 데이터(계조)가 기억되어 있다.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의 기억 영역 Mij에는, 해당 화소가 백 표시될 때까지 필요한 전압 인가 횟수(0∼7)가 기억되어 있고,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기억 영역 Mij에는, 해당 화소가 흑 표시될 때까지 필요한 전압 인가 횟수(0∼7)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전압 인가 횟수는, 해당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프레임수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 8의 상태에서는, 표시 화상 A로부터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에 기억되어 있는 예정 화상에의 재기입이 진행 중이다. 도 8에 도시한 대로, 화소 P11, 12, 21, 22는 흑으로부터 백으로 재기입하기 위해서,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의 기억 영역 M11, 12, 21, 22에 남은 횟수 7이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 P33, 34, 43, 44는 백으로부터 흑으로 재기입하기 위해서,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기억 영역 M33, 34, 43, 44에 남은 횟수 7이 설정되어 있다.
도 9는, 1회의 기입 동작(전압 인가), 즉 1프레임분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P11, 12, 21, 22는 1계조분 백의 방향으로 변조되어 있고, 화소 P33, 34, 43, 44는 1계조분 흑의 방향으로 변조되어 있다. 또한,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의 기억 영역 M11, 12, 21, 22의 남은 횟수와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기억 영역 M33, 34, 43, 44의 남은 횟수는, 1씩 줄어서 6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1회의 기입 동작이 행해질 때마다, 화소 Pij의 계조가 1단계씩 변조되고,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남은 횟수도 1씩 감산된다.
도 10은 3회째의 기입 동작 종료 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타이밍에서, CPU(3)에 의해 VRAM(4)의 화상 데이터가 도면에 도시한 대로 변경된 경우를 생각한다.
기입 상태 판단부(202)는, 각 화소 Pij에 대하여,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 및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남은 횟수를 참조한다. 그 결과, 화소 P11, 12, 21, 22, 33, 34, 43, 44에 대해서는 기입 동작 진행 중, 그 밖의 화소에 대해서는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다(기입 상태 판단 공정).
재기입 판단부(201)는, 각 화소 Pij에 대하여, VRAM(4)의 기억 영역 Mij에 보존되어 있는 화소 데이터와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기억 영역 Mij에 보존되어 있는 화소 데이터를 비교한다. 그 결과, 화소 P21, 22, 23, 24, 31, 32, 43, 44에 대해서는 양자가 상이하고 판단되고, 그 밖의 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다고 판단된다(재기입 판단 공정).
이상의 점으로부터,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화소 P11, 12, 21, 22, 33, 34, 43, 44에 대해서는, 기입 제어부(203)에 의해 현재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이 계속된다(기입 제어 공정).
또한, 현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고, 또한 VRAM(4)과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화상이 상이한 화소 P23, 24, 31, 32에 대해서는, 기입 정보 갱신부(204)에 의해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이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소 P23, 24, 31, 32에 대해서는, 백으로부터 흑으로의 재기입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기억 영역 M23, 24에 7이 설정된다(기입 정보 갱신 공정).
또한,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205)가 화소 P23, 24, 31, 32에 대하여,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기억 영역 Mij를, VRAM(4)의 기억 영역 Mij의 데이터로 덮어쓰기한다(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
이 결과,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은 도 11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기입 제어부(203)는, 갱신 후의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정보에 따라서, 화소 P11, 12, 21, 22, 33, 34, 43, 44에 대해서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화소 P23, 24, 31, 32에 대해서는 신규의 기입 동작을 개시한다(기입 제어 공정).
도 12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4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시점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P11, 12, 21, 22, 33, 34, 43, 44에 대해서는 기입 동작이 종료되어 있고, 화소 P23, 24, 31, 32에 대해서는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다.
여기서, 화소 P11, 12, 21, 22, 33, 34, 43, 44는, 기입 상태 판단부(202)에 의해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다(기입 상태 판단 공정). 또한, 화소 P21, 22, 43, 44에 대해서는, 재기입 판단부(201)에 의해, VRAM(4)의 기억 영역 Mij의 화소 데이터와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기억 영역 Mij의 화소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재기입 판단 공정).
따라서, 화소 P21, 22, 43, 44에 대해서는, 기입 정보 갱신부(204)에 의해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이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소 P21, 22에 대해서는, 백으로부터 흑으로의 재기입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기억 영역 M21, 22에 7이 설정된다. 또한, 화소 P43, 44에 대해서는, 흑으로부터 백으로의 재기입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의 기억 영역 M43, 44에 7이 설정된다(기입 정보 갱신 공정). 또한,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205)가 화소 P21, 22, 43, 44에 대하여,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기억 영역 Mij를, VRAM(4)의 기억 영역 Mij의 데이터로 덮어쓰기한다(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
이 결과,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은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기입 제어부(203)는, 갱신 후의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6A),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6B)의 정보에 따라서, 화소 P23, 24, 31, 32에 대해서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화소 P21, 22, 43, 44에 대해서는 신규의 기입 동작을 개시한다(기입 제어 공정).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3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시점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P23, 24, 31, 32에 대해서는 기입 동작이 종료되어 있고, 화소 P21, 22, 43, 44에 대해서는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태로부터 3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시점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P21, 22, 43, 44에 대해서도 기입 동작이 종료되어, VRAM(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묘화가 완료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소의 단위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기입이 종료된 화소로부터 수시 신규의 기입 동작을 개시해 가도록 하였으므로, 화상의 재기입에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화상 표시의 체감적인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부분 영역의 단위로 기입 동작을 행하는 방식의 경우, 부분 영역끼리가 일부에서 겹치게 되면, 후에 기입 개시한 부분 영역에 대해서는, 먼저 기입 개시한 부분 영역의 기입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구동을 대기해야만 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에 기입 개시한 부분 영역에 대해서도, 먼저 기입 개시한 부분 영역과 겹쳐 있지 않은 부분의 화소에 대해서는 바로 기입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복수 도형이 겹치도록 하는 표시라도, 후에 기입을 개시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앞의 기입의 종료를 대기하지 않고 기입이 개시되기 때문에, 체감적인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CPU(3)는 VRAM(4)에 화상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만으로, 컨트롤러(2)가 표시부(1)의 표시에 반영되므로, 전기 영동 표시 장치용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종래보다도 효율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용 컨트롤러와 같이 기입 영역의 지정이나 묘화 개시 명령을 행하지 않고, 액정이나 CRT 등의 일반적인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을 개시할 때,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내용을 VRAM(4)의 내용으로 덮어쓰기하도록 하였으므로, VRAM(4)과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 한, 재기입 대상으로서 검출되는 일이 없어 불필요한 기입 동작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진행 중인 기입이 있기 때문에 신규 기입의 개시가 뒤로 미뤄진 화소에 대해서는, 진행 중인 기입 종료 시점에서 다시 VRAM(4)의 화소 데이터와 비교되기 때문에, 항상 최신의 VRAM(4)의 상태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2)는 재기입 판단부(201)와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205)를 갖고 있지만, 재기입 판단부(201)와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205)는, CPU(3)의 기능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컨트롤러(2)는 VRAM(4)의 내용을 참조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전기 영동 입자로서, 한쪽이 양전하, 다른 쪽이 음전하를 갖는 흑백 2종류의 전기 영동 입자를 이용하여 흑백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흑백의 표시뿐만 아니라, 농도의 차에 의한 적백이나 청흑 등, 2방향의 농도 변화에 의한 표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의 구성은 도 1∼도 3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기 영동층은, 다수의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전기 영동 분산매와 전기 영동 입자가 포함되는 구성 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전기 영동 방식에 의한 표시부(1)를 구비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표시부(1)의 표시 방식은 전기 영동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1)의 표시 방식은, 비교적 저속의 표시 방식으로서, 표시 완료까지 복수 프레임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 일렉트로 크로믹, 전자 분류체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소 전극의 전위만을 고전위와 저전위로 제어함으로써, 전기 영동류 입자를 이동시키는 방식(양극 구동)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도,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의 양방을 고전위와 저전위로 제어하는 방식(편극 구동)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와 CPU(3)는 상이한 디바이스에 실장되어 있어도 되고, SoC(System-on-a-chip)와 같이, 1개의 칩 상에 실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입 정보로서, 기입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의 남은 전압 인가 횟수를 이용하였지만,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입 정보 기억 영역(6)의 전압 인가 횟수가 모두 0으로 되고, VRAM(4)의 내용과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의 내용이 일치하였을 때, 즉 당분간 전압 인가의 필요가 없어졌을 때,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보내어져 올 때까지, 예를 들면 전력 절약화 상태와 같은, 다른 상태로 이행해도 된다.
신규 기입이 행해질 때마다(예를 들면 CPU(3)에 의해 VRAM(4)의 화상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플래그가 ON으로 된 화소가 포함되는 사각형 영역의 좌표를 기억해 놓고, 기억한 사각형 영역에 대응하는 기입이 종료되었을 때에, 그 후의 신규 기입에 의해 새롭게 설정된 사각형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부분만 플래그를 OFF로 리세트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사각형 영역은, 원형 영역이나 타원 영역 등,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1프레임의 기입이 종료될 때마다 디크리먼트를 행하지 않고, 1회의 디크리먼트에 대하여 규정 횟수분(규정 프레임분) 동일한 구동을 반복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메모리 통신 대역을 절약할 수 있다.
편극 구동에서, 1프레임의 기입이 종료될 때마다 디크리먼트를 행하지 않고, 1회의 디크리먼트에 대하여 규정 횟수분(규정 프레임분) 동일한 구동을 반복해도 된다. 백 기입용의 전압을 규정 횟수 인가한 후에 흑 기입용의 전압을 규정 횟수 인가해도 되고, 흑백의 전압을 교대로 규정 횟수만큼 인가해도 된다. 또한, 백 기입용의 전압의 인가 횟수와 흑 기입용의 전압의 인가 횟수의 비율을 변화시켜도 된다.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보내어져 왔을 때(예를 들면 CPU(3)에 의해 VRAM(4)의 화상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에), 프레임마다 기입 횟수나 예정 화상의 계산을 행하지 않고, 규정 횟수의 프레임마다 계산을 행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입 정보 기억 영역(6),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을 독립된 상이한 면으로서 구성하고 있지만(플래너 방식), 기입 정보 기억 영역(6),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7)은, 각각 다른 면으로서 취급하지 않고, 모두를 하나로 합친 상태에서 1면을 구성해도 된다(팩트 픽셀 방식).
도 16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적용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전자 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전자 북(1000)은, 북 형상의 프레임(1001)과, 이 프레임(100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개폐 가능한) 커버(1002)와, 조작부(1003)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된 표시부(100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의 (B)는 손목 시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손목 시계(1100)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된 표시부(110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의 (C)는 전자 페이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전자 페이퍼(1200)는, 종이와 마찬가지의 질감 및 유연성을 갖는 리라이터블 시트로 구성되는 본체부(1201)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된 표시부(12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적용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에,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 전화 등, 대전 입자의 이동에 수반되는 시각상의 색조의 변화를 이용한 장치를 널리 포함하는 것이다.
1 : 표시부
2 : 컨트롤러
3 : CPU
4 : VRAM
5 : RAM
6 : 기입 정보 기억 영역
6A : 백 기입 정보 기억 영역
6B : 흑 기입 정보 기억 영역
7 : 예정 화상 데이터 기억 영역
10 : 제1 기판
11 : 가요성 기판
12 : 박막 반도체 회로층
13a : 화소 전극
14 : 접속 전극
20 : 전기 영동층
21 : 마이크로 캡슐
22 : 바인더
23 : 도전성 접속체
30 : 제2 기판
31 : 박막 필름
32 : 투명 전극층
51 : 행 디코더
53 : 주사선 구동 회로
54 : 데이터선 구동 회로
55 : 화상 표시 영역
61 : 트랜지스터
63 : 축적 용량
64 : 주사선
65 : 데이터선
100 : 전기 영동 표시 장치
201 : 재기입 판단부
202 : 기입 상태 판단부
203 : 기입 제어부
204 : 기입 정보 갱신부
205 :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
1000 : 전자 북
1001 : 프레임
1002 : 커버
1003 : 조작부
1004 : 표시부
1100 : 손목 시계
1101 : 표시부
1200 : 전자 페이퍼
1201 : 본체부
1202 : 표시부
A : 표시 화상
Mij : 기억 영역
Pij : 화소

Claims (14)

  1.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중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이, 구동 전압을 복수회 인가하는 동작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재기입 판단 공정과,
    상기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전회의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입 상태 판단 공정과,
    상기 기입 상태 판단 공정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 공정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전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는 기입 제어 공정
    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입 정보를 제1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기입 정보 갱신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력된 표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제2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표시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과,
    진행 중인 기입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정 화상의 데이터를 제3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 공정에서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이 개시되는 타이밍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의 화소 데이터를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로 치환하고,
    상기 재기입 판단 공정에서는, 상기 제2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와 상기 제3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예정 화상의 화소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는,
    상기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상기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기입 정보와,
    상기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상기 제2 표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기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정보는,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경우, 그 기입 동작에서 이미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된 횟수에 수반하여 변동하는 값이고, 그 기입에서의 최후의 상기 구동 전압 인가 후에는, 상기 기입 정보가,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되어 있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6.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중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이, 구동 전압을 복수회 인가하는 동작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재기입 판단부와,
    상기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전회의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입 상태 판단부와,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전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는 기입 제어부
    를 구비한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입 정보를 제1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기입 정보 갱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표시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화상 데이터를 제2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표시 화상 데이터 갱신부와,
    진행 중인 기입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예정 화상의 데이터를 제3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정 화상 데이터 갱신부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이 개시되는 타이밍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의 화소 데이터를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로 치환하고,
    상기 재기입 판단부는, 상기 제2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표시 화상의 화소 데이터와 상기 제3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예정 화상의 화소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제2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표시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는,
    상기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상기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기입 정보와,
    상기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상기 제2 표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기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입 정보는,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 경우, 그 기입 동작에서 이미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된 횟수에 수반하여 변동하는 값이고, 그 기입에서의 최후의 상기 구동 전압 인가 후에는, 상기 기입 정보가,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되어 있는 표시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메모리성을 갖는 표시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전기 영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과,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중의 하나의 화소의 표시 상태를 제1 표시 상태로부터 제2 표시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기입이, 구동 전압을 복수회 인가하는 동작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신규의 기입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전회의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입 상태 판단부와,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한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진행 중인 기입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전회의 기입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상기 신규의 기입을 개시하는 기입 제어부
    를 구비한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기입 정보를 제1 기억 영역에 보존하는 기입 정보 갱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입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기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기입 동작이 진행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제어 장치.
KR1020110044480A 2010-05-13 2011-05-12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KR101803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0881 2010-05-13
JP2010110881A JP5640451B2 (ja) 2010-05-13 2010-05-13 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602A true KR20110125602A (ko) 2011-11-21
KR101803567B1 KR101803567B1 (ko) 2017-11-30

Family

ID=4445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480A KR101803567B1 (ko) 2010-05-13 2011-05-12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495917B2 (ko)
EP (1) EP2387025A3 (ko)
JP (1) JP5640451B2 (ko)
KR (1) KR101803567B1 (ko)
CN (2) CN102243844B (ko)
TW (1) TWI540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0451B2 (ja) 2010-05-13 2014-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装置
JP5786292B2 (ja) * 2010-08-18 2015-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640552B2 (ja) * 2010-08-23 2014-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891722B2 (ja) 2011-11-10 2016-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5948811B2 (ja) 2011-11-21 2016-07-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6102059B2 (ja) * 2012-02-22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966444B2 (ja) * 2012-03-01 2016-08-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958003B2 (ja) 2012-03-23 2016-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3426407A (zh) * 2012-05-25 2013-12-04 北京凡达讯科技有限公司 多灰阶动态显示刷新加速方法、驱动电子纸显示屏的装置
CN103258505B (zh) * 2013-05-13 2015-05-13 福州瑞芯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电子墨水屏的刷新方法及其对应的电子设备
TWI515714B (zh) * 2013-10-30 2016-01-01 矽創電子股份有限公司 更新記憶體陣列的方法、驅動電路及顯示器
JP6015786B2 (ja) * 2015-02-05 2016-10-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70032014A (ko) * 2015-09-14 201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42016B1 (ko) * 2016-11-29 2024-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007751A (ja) * 2017-06-21 2019-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及び制御方法
CN111540321A (zh) * 2020-05-18 2020-08-1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控制方法及装置
CN112509524B (zh) * 2020-11-18 2021-10-29 深圳市慧为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水墨屏快速刷新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772A (en) * 1984-12-28 1987-06-02 Rca Corporatio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for progressive scan television system
US5266937A (en) * 1991-11-25 1993-11-30 Copytele, Inc. Method for writing data to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JPH11167096A (ja) * 1997-12-02 1999-06-22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6559852B1 (en) * 1999-07-31 2003-05-0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Z test and conditional merger of colliding pixels during batch building
US6831651B2 (en) * 2001-02-15 2004-12-14 Sony Corporation Checkerboard buffer
JP3951950B2 (ja) * 2002-05-31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
EP1564715A3 (en) * 2004-02-12 2006-11-08 Seiko Epson Corporatio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device
TW200625223A (en) 2004-04-13 2006-07-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rapid drawing mode waveform
JP4609168B2 (ja) * 2005-02-28 2011-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462234B2 (ja) * 2006-05-26 2010-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887930B2 (ja) 2006-06-23 2012-02-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時計
JP2008111930A (ja) * 2006-10-30 2008-05-15 Seiko Epson Corp 情報表示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5478255B2 (ja) * 2006-11-30 2014-04-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電気泳動セルについての駆動方法及び電気泳動装置
JP5183950B2 (ja) * 2007-03-30 2013-04-17 三菱鉛筆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制御装置、表示変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542381B (zh) * 2007-06-15 2012-02-29 株式会社理光 电子纸显示器上的视频回放
US8279232B2 (en) 2007-06-15 2012-10-02 Ricoh Co., Ltd. Full framebuffer for electronic paper displays
KR20090014448A (ko) * 2007-08-06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JP5315797B2 (ja) * 2008-02-07 2013-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面表示制御装置
JP2009204813A (ja) * 2008-02-27 2009-09-10 Seiko Epson Corp 画像書き換え制御装置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5504632B2 (ja) * 2008-03-05 2014-05-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装置、電気泳動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US8564530B2 (en) * 2008-04-09 2013-10-22 Seiko Epson Corporation Automatic configuration of update operations for a bistable, electro-optic display
US8373649B2 (en) * 2008-04-11 2013-02-12 Seiko Epson Corporation Time-overlapping partial-panel updating of a bistable electro-optic display
JP4793425B2 (ja) 2008-11-10 2011-10-1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充電式電動工具
WO2010104392A1 (en) * 2009-03-12 2010-09-16 Polymer Vision Limite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electrofluidic cells
TW201035942A (en) * 2009-03-18 2010-10-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20110001748A1 (en) 2009-07-02 2011-01-06 Firstpaper Llc Electronic display controller
JP5640451B2 (ja) 2010-05-13 2014-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装置
JP5712534B2 (ja) 2010-09-15 2015-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4816A1 (en) 2015-02-26
EP2387025A2 (en) 2011-11-16
EP2387025A3 (en) 2012-05-23
JP5640451B2 (ja) 2014-12-17
US20110279432A1 (en) 2011-11-17
TWI540551B (zh) 2016-07-01
JP2011237709A (ja) 2011-11-24
CN202126824U (zh) 2012-01-25
US9495917B2 (en) 2016-11-15
CN102243844B (zh) 2016-06-29
CN102243844A (zh) 2011-11-16
TW201214382A (en) 2012-04-01
KR101803567B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5602A (ko)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JP5262211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58770B1 (ko) 전기영동 표시 장치, 전기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기억성 표시 장치
JP4811715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電子機器、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コントローラ
US83104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US8922475B2 (en)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KR20110053199A (ko)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컨트롤러, 전자 기기
JP2007206267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623429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電子機器、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コントローラ
CN102402950B (zh) 显示装置的控制装置、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WO2009101851A1 (ja) 表示装置
JP2012237960A (ja) 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691302B2 (ja)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5184382A (ja) 電気泳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5115830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コントローラ、および電子機器
JP2012194344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5158530A (ja) 制御装置、表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24461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電子機器、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コントローラ
JP5115831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コントローラ、および電子機器
JP2012220917A (ja) 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2194345A (ja) 電気光学装置の制御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5127820A (ja)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