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01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014A
KR20170032014A KR1020150129739A KR20150129739A KR20170032014A KR 20170032014 A KR20170032014 A KR 20170032014A KR 1020150129739 A KR1020150129739 A KR 1020150129739A KR 20150129739 A KR20150129739 A KR 20150129739A KR 20170032014 A KR20170032014 A KR 2017003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cpu
data
operation mode
sleep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익
김동욱
윤현규
허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2014A/ko
Priority to CN201680037055.7A priority patent/CN107851030A/zh
Priority to US15/259,334 priority patent/US20170075412A1/en
Priority to PCT/KR2016/010112 priority patent/WO2017047985A1/en
Priority to EP16188630.4A priority patent/EP3142425B1/en
Publication of KR2017003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데이터 처리 흐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프로세서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저 전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CPU를 포함하는 CPU 서브 시스템;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device}
개시된 발명은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기능을 가지는 전자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이란, 인간과 사물, 서비스 세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이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 기능을 도입한 전자제품의 경우, 기존의 전자제품에 새로운 구성을 부가하여야 하므로, 소비전력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시된 발명은 데이터 처리 흐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프로세서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저 전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CPU를 포함하는 CPU 서브 시스템;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PU는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한 후, 상기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PU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이 슬립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CPU가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ZigBee 모듈 및 Z-wav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PU 서브 시스템은 플래시 메모리 및 DD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CPU를 연결하는 USB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 상기 USB 허브 및 상기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통신 모듈이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모듈과 CPU 서브 시스템 내의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상기 CPU로 전달하고, 상기 CPU가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PU가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CPU가 상기 통신 모듈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CPU를 연결하는 USB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모듈과 CPU 서브 시스템 내의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USB허브 및 상기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PU가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상기 USB 허브를 경유하여 상기 CPU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PU는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USB허브를 경유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CPU가 상기 USB 허브 및 상기 통신 모듈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PU가 상기 USB 허브 및 상기 통신 모듈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 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개시된 발명은 데이터 처리 흐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프로세서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저 전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텔레비전(Television, TV)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니터(Monito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본체(101)를 포함한다.
본체(101)의 하부에는 본체(101)를 지지하는 스탠드(102)가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102)에 의하여 본체(101)는 평면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1)는 브라켓 등에 의하여 벽면 등의 수직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50)와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7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구성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150),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음향 및 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부(120),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70), 음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6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 서브 시스템(110)을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버튼은 음향 출력부(160)에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 버튼, 통신부(120)에 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채널을 변경하는 채널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전원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버튼은 사용자의 가압을 감지하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와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버튼은 사용자의 특정한 동작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원격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는 사용자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는 셋톱 박스(set top box), 멀티 미디어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멀티 미디어 재생 장치(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121), 복수의 커넥터(121) 가운데 컨텐츠를 수신할 경로를 선택하는 수신 경로 선택부(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21)는 안테나로부터 컨텐츠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RF coaxial cable connector), 셋톱 박스 또는 멀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커넥터, 컴포넌트 비디오 커넥터(component video connector), 컴포지트 비디오 커넥터(composite video connector), 디-서브(D-sub)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경로 선택부(122)는 앞서 설명한 복수의 커넥터(121) 가운데 데이터를 수신할 커넥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수신 경로 선택부(122)는 데이터가 수신된 커넥터(121)를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사용자의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데어터를 수신할 커넥터(121)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방송채널을 선국할 수 있는 튜너(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에서 통신부(120)는 기타 다른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의 통신 모듈(123)은 이하 도 4 및 5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표시부(17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72), 디스플레이 패널(172)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72)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따라 영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72)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가 되는 화소(pixel)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는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패널(172)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가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되어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72) 에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72)은 각각의 화소가 광학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72)은 화소 스스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디스플레이, 백 라이트 등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단하거나 투과시키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외부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거나 흡수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72)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패널(172)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72)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는 CPU 서브 시스템(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72)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는 디스플레이 패널(172)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각각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는 짧은 시간 이내에 디스플레이 패널(172)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의 화소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월 주사 방식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브(171)는 복수의 화소 가운데 홀수 번째 가로 열에 포함되는 화소와 짝수 번째 가로 열에 포함된 화소에 번갈아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순사 주사 방석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브(171)는 가로 열 단위로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소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71)가 디스플레이 패널(172)을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각각의 화소는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하고, 각각의 화소가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되어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72)에 표시된다.
음향 출력부(160)는 CPU 서브 시스템(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신한 데이터 가운데 음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향 출력부(160)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하나 또는 2이상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CPU 서브 시스템(110) 및 제어부(130)에 관해서는 도 4및 5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외부 전자기기(500)는 인터넷 공유기(200), 스마트폰(300), 센서(400) 및 그 밖에 TV, 데스크 탑 모니터, 태블릿PC, PC, STB(Set Top Box), SBB(Set Back Bo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전자기기(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전자기기(50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전자기기(500)의 연결에 관한 일 예로, 인터넷 공유기(200)는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우드 서버와 인터넷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 공유기(200)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역으로, 인터넷 공유기(200)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공유기(200)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3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3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장치 USIM(미 도시)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통신 모듈(123)을 통해 수신하여 텔레비전 USIM(미 도시)의 개인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USIM(미 도시)의 개인정보를 통신 모듈(123)을 통해 스마트폰(300)에 전송하여 모바일장치 USIM의 개인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현재 사용하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입할 경우, USIM만을 새로 구입한 디지털 텔레비전에 장착함으로써 이전에 사용하던 사용자 환경으로 갱신할 수도 있다. 또한, 가입자 인증을 위한 인증서를 새로 설정 등록할 필요 없이 USIM에 저장된 가입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시에서 스마트폰(3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사물과 사물간의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종 센서(40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400)는 도어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진동 센서, 가스 누출 센서 또는 스마트 플러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400)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RF모듈 또는 공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00)는 상기 센서(400)에서 검출된 결과값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 서브 시스템(110),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123) 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외부 전자기기(50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모듈(123)은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123a), 무선 랜(LAN)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파이 모듈(123b), 가정, 사무실 등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 내지 20m 내외의 저 전력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ZigBee 모듈(123c) 및 Z-wave 모듈(123d)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3)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신 모듈(123)은 상기 모듈 중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모듈 외에 다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모듈(123)의 각 모듈은 통신 모듈(123)의 동작을 제어하는 펌웨어(미 도시),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입력부(미 도시) 및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CPU 서브 시스템(110)은 플래시 메모리(111), DDR(112) 및 CPU(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서 CPU 서브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구성을 통합하여 지칭하는 프로세서이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구성을 묶어서 표현하는 모듈이면 충분하다.
플래시 메모리(111)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도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지 않은 채 유지되는 저장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111)는 CPU 서브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 메모리의 예시로서, CPU 서브 시스템(110)에 포함되는 메모리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롬(ROM, Read 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다른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DDR(112)은 캐시에 사용되는 휘발성 메모리(RAM)의 일종으로 S램, D램에 비해 데이터 처리속도가 향상된 메모리이다. DDR(112)은 CPU 서브 시스템(110)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메모리의 예시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CPU(113)는 플래시 메모리(111)에 복사되어 있는 코드(code)를 실행(execute)하여, 코드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CPU(113)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 (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 (Multi-Cor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13)는 듀얼 코어 (Dual-Core), 쿼드 코어 (Quad-Core), 헥사 코드 (Hexa-Co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CPU(113)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캐시 메모리 (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PU(113)는 도면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CPU 서브 시스템(110)안에 포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CPU(113)는 통신 모듈(123)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CPU(113)은 통신 모듈(123)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서 CPU(113)의 동작은 도 6 내지 도 12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CPU 서브 시스템(1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억, 제어 및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 모듈(123)과 CPU(113)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시킨다. 제어부(130)는 CPU 서브 시스템(110) 및 통신 모듈(123)과 별도의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PU 서브 시스템(110)안에 CPU(113)와 함께 단일의 칩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서 제어부(130)의 동작은 이하 자세히 후술한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 허브(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4에서 이미 언급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USB 허브(140)는 통신 모듈(123)과 CPU(113)를 연결한다. 통신 모듈(123)은 블루투스 모듈(123a), 와이파이 모듈(123b), ZigBee 모듈(123c) 및 Z-wave 모듈(123d)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USB 허브(140)는 통신 모듈(123)의 여러 모듈들과 CPU(113)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USB 허브(140)는 반드시 용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신 모듈(123)과 CPU(113)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용어를 가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USB 허브(140)는 도 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CPU 서브 시스템(110)과 통신 모듈(123) 사이에 별도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CPU(113)가 USB 허브(140)의 기능을 포함하면서 단일 칩으로 형성될 수 있다. USB 허브(140)의 동작은 도 10 내지 12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통신 모듈(123)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123)이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는 것은 통신 모듈(123)의 펌웨어 및 수신부 일부에만 전원이 제한적으로 인가되는 상태로서 외부의 이벤트 신호의 수신만이 가능하고 외부로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유효한 이벤트 수신 시,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통신 모듈(123)은 모듈 내 펌웨어의 판단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제어부(130)의 판단 및 제어에 따라 송신부 등 나머지 부분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기능이 구축된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벤트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면 되고,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를 감지한 외부 전자기기(500)가 검출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한다. 이벤트와 관련된 일 예는 도 13에서 후술한다.
통신 모듈(123)은 외부 전자기기(500)로부터 발신 된 데이터를 수신한다(1010).
통신 모듈(123)의 펌웨어(미 도시)가 데이터를 판단한다(1020).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123)은 수신된 데이터가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할 유효한 데이터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1020).
통신 모듈(123)에서 이벤트가 유효한지 판단하는 구성은 펌웨어(Firmware, 미 도시)이다. 펌웨어는 입력된 데이터를 판단,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일종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펌웨어는 통신 모듈(123)의 각각의 모듈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모듈(123a), 와이파이 모듈(123b), ZigBee 모듈(123c) 및 Z-wave 모듈(123d)은 모두 하나 이상의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펌웨어는 데이터가 유효한지 판단한다. 여기서 유효한 데이터란 통신모듈(123)이 전송받은 여러 신호 또는 데이터 중에서 미리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외부 전자기기(5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펌웨어는 간단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한, 펌웨어는 수신된 신호가 미리 저장된 신호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데이터가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와이파이 모듈(123c)은 인터넷 공유기(2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무선 공유기 및 와이파이 모듈(123c)는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안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보안 암호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에 확인이 이루어진 후, 와이파이 모듈(123c)은 인터넷 공유기(200)와 서로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와이파이 모듈(123c)은 보안 암호가 일치하는 인터넷 공유기(200)이 외에도 다른 공유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모듈(123c)이 수신한 신호 중 암호가 일치하지 않은 신호는 인터넷 서버와 연결할 수 없는 무효한 신호가 된다. 즉, 와이파이 모듈(123c)의 펌웨어는 신호가 전송되고, 보안 암호가 일치하는 인터넷 공유기(200)가 보내는 신호만을 유효한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유효한 데이터 판단 여부는 통신모듈(123)의 펌웨어가 판단하는 과정의 일 예에 불과하며, 펌웨어가 판단하는 데이터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고, 제한이 없다.
데이터를 수신한 통신 모듈(123)은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1030).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분야에서 사용되는 인터럽트란 프로세서가 사용자가 지정한 상황을 기억해 두었다가 지정한 상황이 발생하면 현재의 작업을 중단하고 발생한 상황을 우선 처리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통신 모듈(123)이 전송하는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는 제어부(130)가 동작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의미한다.
일 예로 통신 모듈(123)이 전송하는 인터럽트 신호는 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신호일 수 있다. GPIO는 대부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채용되고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GPIO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해 입,출력 핀에 전송되는 신호이다.
다만, 인터럽트는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어부(130)가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신호이면 충분하고, 제한은 없다.
통신 모듈(123)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외부 전자기기(5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를 판단하고,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면 및 설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통신 모듈(123)이 전달한 인터럽트 신호를 받은 제어부가 통신 모듈(123) 및CPU(113)를 순차적으로 전환시키는 동작 흐름도이다.
통신 모듈(123)이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2010).
제어부(130)는 통신 모듈(123)이 전달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다(20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저 전력으로 유지되며, 항시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통신 모듈(123))이 전송하는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 모듈(123)로부터 전달받은 인터럽트 신호를 판단한다(2030).
즉, 제어부(130)는 인터럽트 신호가 제어부(130)에 저장된 신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통신 모듈(123)이 전달하는 신호가 저장된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 모듈(123), CPU(113) 등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키지 않고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인터럽트 신호가 저장된 신호와 일치한다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 모듈(123)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2040).
여기서 동작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전원이 완전히 인가되어,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23)의 동작 모드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 이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CPU(113)의 동작 모드는 CPU(113)가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내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내의 구성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통신 모듈(123)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 후, 제어부(130)는 CPU(113)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2050). 제어부(130)는 CPU(113)를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 후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통신 모듈(123) 및 CPU(113)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제어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내 다른 구성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동작 모드로 전환된 통신 모듈(123) 및 CPU(113)가 외부 전자기기(5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30)가 통신 모듈(123) 및 CPU(113)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30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123)은 슬립 모드가 아닌, 동작 모드상태이므로 다른 구성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송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모듈(123)의 구성에도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통신 모듈(123)은 수신한 데이터를 CPU(113)로 전달한다(3020).
동작 모드로 전환된 CPU(113)는 통신 모듈(123)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고, 통신 모듈(123)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한다(3030). CPU(113)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전달받은 데이터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동작 모드로 전환된 CPU(113)가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시 통신 모듈(13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500)와 소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PU(113)가 통신 모듈(123)이 전달한 데이터를 처리한다(4010).
CPU(113)가 처리된 데이터를 통신 모듈(123)로 전달한다(4020). 데이터를 전달받는 통신 모듈(123)은 블루투스 모듈(123a), 와이파이 모듈(123b), ZigBee 모듈(123c) 및 Z-wave 모듈(123d)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 모듈(123)은 반드시 외부 전자기기(5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이 아닐 수 있다.
CPU(113)는 데이터를 전달받은 통신 모듈(123)이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4030). 통신 모듈(123)이 송신할 도착지인 외부 전자기기(500)는 반드시 처리 전 데이터를 송신한 외부 전자기기(500)가 아닐 수 있으며, CPU(113)의 제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신 모듈(123)이 외부 전자기기(500)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CPU(113)는 통신 모듈(123)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4040).
CPU(113)는 통신 모듈(123)을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 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4050). CPU(113)가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것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스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동작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모듈 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123) 및 데이터 처리하는 CPU(113)는 순차적으로 슬립 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다시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동작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게 된다.
도 10내지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내지 12는 통신 모듈(123)과 CPU(113)를 연결하는 USB 허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여, 통신 모듈(123)이 전달한 인터럽트 신호를 받은 제어부가 통신 모듈(123), USB 허브(140) 및CPU(113)를 순차적으로 전환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를 감지한 외부 전자기기(500)가 검출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한다. 통신 모듈(123)은 외부 전자기기(500)로부터 발신 된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모듈(123)의 펌웨어(미 도시)가 데이터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가 유효하다면, 통신 모듈(123)이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통신 모듈(123)이 전달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다(5010).
제어부(130)는 통신 모듈(123)로부터 전달받은 인터럽트 신호를 판단한다(5020). 제어부(130)는 인터럽트 신호가 제어부(130)에 저장된 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통신 모듈(123)이 전달하는 신호가 아니라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 모듈(123), USB허브(140) 및CPU(113) 등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키지 않고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인터럽트 신호가 저장된 신호와 일치한다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 모듈(123)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5030).
통신 모듈(123)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 후, 제어부(130)는 USB허브(140)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5040).
USB허브(140)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 후, 제어부(130)는 CPU(113)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5050).
제어부(130)는 CPU(113)를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 후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제어부(130)는 통신 모듈(123), USB 허브(140) 및 CPU(113)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제어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내 다른 구성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동작 모드로 전환된 통신 모듈(123), USB 허브(140) 및 CPU(113)가 외부 전자기기(5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30)가 통신 모듈(123), USB 허브(140) 및 CPU(113)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60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SB 허브(140) 는 수신 모드가 아닌, 동작 모드상태이므로 다른 구성으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상태이다.
통신 모듈(123)은 수신한 데이터를 USB 허브(140)로 전달한다(6020).
동작 모드로 전환된 USB 허브(140)는 통신 모듈(123)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고, CPU(113)로 전달받은 데이터를 다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를 전달 받은 USB 허브(140)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CPU(113)로 전달한다(6030).
동작 모드로 전환된 CPU(113)는 USB 허브(14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고, 통신 모듈(123)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한다(6040).
도 12는 동작 모드로 전환된 CPU(113)가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시 USB허브(140) 및 통신 모듈(123)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500)와 소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PU(113)가 USB허브(140)가 전달한 데이터를 처리한다(7010).
CPU(113)가 처리된 데이터를 USB허브(140)로 전달한다(7020). USB허브(140)는 동작 모드 상태이므로, CPU(113)가 전달하는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USB허브(140)가 CPU(113)의 제어에 따라, 처리된 데이터를 지정된 통신 모듈(123)로 전달한다(4030). 데이터를 전달받는 통신 모듈(123)은 블루투스 모듈(123a), 와이파이 모듈(123b), ZigBee 모듈(123c) 및 Z-wave 모듈(123d)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 모듈(123)은 반드시 외부 전자기기(5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이 아닐 수 있다.
CPU(113)는 데이터를 전달받은 통신 모듈(123)이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7040).
통신 모듈(123)이 외부 전자기기(500)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CPU(113)는 통신 모듈(123)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7050).
CPU(113)는 통신 모듈(123)을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 후, USB허브(140)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7060).
CPU(113)는 통신 모듈(123) 및 USB 허브(140)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 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7070).
도 10 내지 12를 참고하면,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123), 데이터 처리하는 CPU(113), CPU(113) 및 통신 모듈(123)과 이를 연결하는 USB허브(140)는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해 순차적으로 슬립 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다시 CPU(113)의 제어를 통해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다른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물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더욱이, 도 13은 사용자가 사물 인터넷 시스템을 도어록과 휴대폰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동시킨 상황에 대한 예시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문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가 부착된 도어(400),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인터넷 공유기(200) 및 스마트 폰(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CPU서브 시스템(110), USB 허브(140), 제어부(130) 및 통신 모듈(123)은 앞서 언급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101)에 내장된 것이며, 디스플레이의 표시부(170)의 디스플레이 패널(172)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가 부착된 도어(400)가 개방된다. 도어 센서는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고, 내장된 통신 수단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전송한다.
사용자는 미리 도어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는 통신 모듈(123)을 ZigBee 모듈(123c)로 설정한다. 따라서 도어 센서가 신호를 전송하면, 수신 모드 상태에 있는 ZigBee 모듈(123c)은 상기 신호를 수신한다.
ZigBee 모듈(123c)의 펌웨어(미 도시)는 수신한 신호가 설정된 이벤트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ZigBee 모듈(123c)의 펌웨어는 수신된 신호가 설정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30)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유효한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인터럽트 신호가 저장된 신호와 일치한다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통신 모듈(123)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 동작 모드로 전환된 ZigBee 모듈(123c)은 USB 허브(130)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3)이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30)는 USB 허브(140)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 USB 허브(140)이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30)는 CPU(113)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시킨다.
ZigBee 모듈(123c)이 데이터를 USB 허브(140)를 통해 CPU 서브 시스템(110)의 CPU(113)로 전달한다. CPU(113)는 전달 받은 데이터를 처리한다.
CPU(113)가 데이터를 처리한 후, CPU(113)는 USB 허브(140)를 통해 데이터를 와이파이 모듈(123b)로 전달한다.
와이파이 모듈(123b)은 CPU(113)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도 13에서 와이파이 모듈(123b)은 인터넷 공유기(200)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버(미 도시)로 처리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스마트 폰(300)으로 도어가 개방되었다는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123b)이 데이터를 전송하면, CPU(113)는 통신 모듈(123)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후, CPU(113)는 USB 허브(140)를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
통신 모듈(123)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된 후, CPU(113)는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스스로 전환된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CPU 서브 시스템
111: 플래시 메모리 112: DDR
113: CPU 120: 통신부
121:커넥터 122:수신 경로 선택부
123: 통신 모듈 123a: 블루투스 모듈
123b: 와이파이 모듈 123c: ZigBee 모듈
123d: Z-wave 모듈 130: 제어부
140: USB 허브 150: 입력부
160: 음향출력부 170: 표시부
17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172: 디스플레이 패널
200: 인터넷 공유기 300: 스마트 폰
400: 도어 센서를 구비한 도어 500: 외부 전자기기

Claims (19)

  1.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CPU를 포함하는 CPU 서브 시스템;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한 후, 상기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이 슬립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CPU가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ZigBee 모듈 및 Z-wav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PU 서브 시스템은 플래시 메모리 및 DD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CPU를 연결하는 USB 허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 상기 USB 허브 및 상기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통신 모듈이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모듈과 CPU 서브 시스템 내의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상기 CPU로 전달하고, 상기 CPU가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PU가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CPU가 상기 통신 모듈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CPU를 연결하는 USB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모듈과 CPU 서브 시스템 내의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USB허브 및 상기 CPU를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순차적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CPU가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상기 USB 허브를 경유하여 상기 CPU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USB허브를 경유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CPU가 상기 USB 허브 및 상기 통신 모듈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CPU가 상기 USB 허브 및 상기 통신 모듈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 후, 동작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29739A 2015-09-14 2015-09-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2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739A KR20170032014A (ko) 2015-09-14 2015-09-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680037055.7A CN107851030A (zh) 2015-09-14 2016-09-08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5/259,334 US20170075412A1 (en) 2015-09-14 2016-09-0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6/010112 WO2017047985A1 (en) 2015-09-14 2016-09-0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6188630.4A EP3142425B1 (en) 2015-09-14 2016-09-13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739A KR20170032014A (ko) 2015-09-14 2015-09-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014A true KR20170032014A (ko) 2017-03-22

Family

ID=5708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739A KR20170032014A (ko) 2015-09-14 2015-09-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75412A1 (ko)
EP (1) EP3142425B1 (ko)
KR (1) KR20170032014A (ko)
CN (1) CN107851030A (ko)
WO (1) WO20170479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4997A1 (ko) * 2022-07-26 2024-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1057B (zh) * 2018-05-31 2020-12-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4869A (en) * 1994-10-04 1998-05-1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the CPU and on-board system devices of personal computers
KR101039617B1 (ko) * 2008-05-02 201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101096662B1 (ko) * 2009-07-14 2011-12-21 주식회사 디에스텍 소비 전류 감소 기능이 구비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EP2341738B1 (en) * 2009-12-29 2017-03-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Wi-Fi module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and providing an AP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id terminal
JP5640451B2 (ja) * 2010-05-13 2014-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装置
US8918148B2 (en) * 2011-02-23 2014-12-23 Lg Electron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nsor devices in mobile devices
US8824346B2 (en) * 2011-02-2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Remote wakeup of application processor of mobile device
US20120324516A1 (en) * 2011-06-14 2012-12-20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 consumer electronics system with improved functionality
KR20130039195A (ko) * 2011-10-11 201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45779B1 (ko) * 2012-09-20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크 온 무선랜을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9141181B2 (en) * 2012-09-26 2015-09-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power event processing for sensor controllers
KR101947652B1 (ko) * 2012-09-28 2019-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저전력 근거리 통신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175103B1 (ko) * 2014-02-21 2020-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구동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4997A1 (ko) * 2022-07-26 2024-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75412A1 (en) 2017-03-16
CN107851030A (zh) 2018-03-27
EP3142425A1 (en) 2017-03-15
WO2017047985A1 (en) 2017-03-23
EP3142425B1 (en)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3763B2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49171B2 (en) Electronic device, peripheral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766849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201701809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9357257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dia data replay system
US10096237B2 (en)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US9948979B2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313420A1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1436918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336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파워 제어 방법
US11463244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etwork system thereof
KR10250814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컬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20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7108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ui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01105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5307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39551A (ko) 마스터 디바이스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간의 미러링 상태 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KR10200486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2490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20015135A (ko) 입력 기반 스트리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80119022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