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217A -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217A
KR20110125217A KR1020117018617A KR20117018617A KR20110125217A KR 20110125217 A KR20110125217 A KR 20110125217A KR 1020117018617 A KR1020117018617 A KR 1020117018617A KR 20117018617 A KR20117018617 A KR 20117018617A KR 20110125217 A KR20110125217 A KR 2011012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knitting
knitted
stitch
st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029B1 (ko
Inventor
노부오 후나키
다카히로 야마시타
이사오 유미바
다카시 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2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1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one or more convex or concave portions of limited extension, e.g. domes or pouches

Abstract

본 발명은, 횡편기에 의하여 무봉제로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아 착용부위의 입체적인 형상에도 어울리기 쉬운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은,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의 단부에 웨일방향이 연속되어, 코스방향으로는 왕복을 반복하면서 편성된다. 코스방향에는, 중간에 스티치 열을 편성하고, 양측에 접합용의 스티치가 되는 걸림루프(8, 9)를 각각 부가한다. 걸림루프(8, 9)를 결합하는 편침이 다르게 되도록 스티치 열의 위치를,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의 편단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비키어 놓는다.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을,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의 선단으로부터 되돌리도록 편성할 때에, 걸림루프(8, 9) 사이를 연결하도록 스티치 열을 형성한다. 도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는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엄지용 손가락부(11)를 형성한 후에, 편사를 코스방향으로 주회시키는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5개 손가락의 손바닥(14)의 편성에 의하여 장갑(1)을 완성한다.

Description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TUBE-SHAPED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무봉제(無縫製)로 편성되는 통 모양 편성포(tube-shaped knitted fabric) 및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는, 양쪽 니들베드에 걸쳐서 편사(編絲)를 주회(周回)시키면, 각 니들베드에서 각각 편성되는 편성포가 편성폭의 양단에서 니들베드갭을 넘어서 연결되어 전체로서 통 모양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하, 이러한 통 모양 편성포를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라고 한다.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를 응용하여, 장갑이나 양말을 비롯하여 스웨터 등의 의복을 무봉제로 일체로 편성할 수 있다.
벙어리 장갑을, 엄지를 수용하는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엄지용 손가락부를 편성폭 내에 접합한 상태에서, 횡편기에 의하여 일체로 편성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 기술에서는, 엄지용 손가락부용의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를, 4개 손가락의 손바닥용의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와 떨어진 위치에서 병행되어 형성한다.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는 양쪽 니들베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2개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에 사용되는 편침이 중복되면 대피가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2개의 통 모양 편성포는 떨어진 위치에서 형성된 후에 2개의 통 모양 편성포가 겹치도록 이동되고, 겹치는 편성포의 내측 상호간을 코 빼기에 의하여 접합하여야 한다.
무봉제의 통 모양 편성포는, 편사를 주회시키지 않고 되돌림 편성을 반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기부(基部)로부터 선단까지의 제1방향에서는 편성폭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편성포 단부의 양단에 접합용의 스티치를 남기고, 선단으로부터 기부까지의 제2방향에서는 제1방향에서 남긴 접합용의 스티치의 사이에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편성폭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 손가락부 등의 통 모양 편성포를 형성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이하, 이러한 편성포를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라고 부른다. 다만 종래로부터의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는, 통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통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있어, 양말의 손가락부 또는 발뒤꿈치 등에는 적용할 수 있어도, 장갑의 손가락부에는 적용이 어렵다.
미국 특허 제6216494호 명세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121152호 공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떨어진 위치에서 편성된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접합하는 방법에 의하여 엄지용 손가락부를 4개 손가락의 손바닥의 편성폭 내에 접합한 장갑에는, 코 빼기 처리에 의한 접합부가 내측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엄지용 손가락부와 4개 손가락의 손바닥과의 내측의 경계부의 미려함이 나빠지고, 신장(伸張)도 적어져서 단단하게 되어, 착용감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엄지용 손가락부가 편성폭 내에 접합되는 장갑은, 비교적 고급품으로서 패션성이 중시되어 경계부의 미려함이 나빠지면 상품가치가 떨어져 버린다. 따라서 이러한 장갑은, 횡편기에서는 일체적으로는 편성되지 않고, 엄지용 손가락부와 다른 부분이 되는 베이스 편성포를 별도로 편성하고, 후공정의 봉제작업에 의하여 접합하고 있다. 베이스 편성포에는, 엄지용 손가락부의 단부(端部)를 부착하는 구멍을 준비하여 두고, 구멍과 단부의 스티치 상호간을 수작업에 의하여 편성하도록 하여, 엄지용 손가락부를 베이스 편성포에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베이스 편성포와 장갑의 손가락 선단 등을 조합시키는 통 모양 편성포는, 횡편기에서 일체로 편성하는 것은 가능하더라도 접합부분의 미려함을 양호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한편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편성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성이기 때문에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의 도중에 부가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에서,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깊이가 되는 통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기단(基端)에서의 통 폭을 넓게 하여둘 필요가 있다. 통 폭을 일정하게 하여 통 길이를 증가시키는 부분에서는,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제2방향측의 편성포를 연결할 수 없어, 구멍이 열려서 외관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에서는, 통 길이를 길게 함과 아울러 통 폭을 증가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양말의 발가락부 등에는 적용할 수 있더라도 장갑의 손가락부 등을 형성하면 미려함이 나쁘고, 통 폭을 일정하게 하고 통 길이를 길게 할 수 없어, 인체에서 입체적으로 돌출되는 부위 등에 피트시키는 것도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횡편기에 의하여 무봉제로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착용부위의 입체적인 형상에도 어울리기 쉬운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무봉제(無縫製)로 편성되는 통(筒) 모양 편성포로서,
코스방향(course 方向)의 왕복편성을 반복하는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웨일방향(wale 方向)으로 연속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중간에 되돌림부가 형성되고,
되돌림부에서 되돌려지는 웨일방향의 일방측(一方側)의 편성포와 타방측(他方側)의 편성포가 대향(對向)하고,
일방측의 편성포의 코스방향의 단부(端部)와, 상기 단부와 대향하는 타방측의 편성포의 코스방향의 단부와의 연결부분은, 트랜스퍼(transfer)에 의한 더블루프(double loop)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연결부분에 각 편성포에서 인접하는 영역에서 3코스 이상 스티치(stitch)가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나란하게 되어 있는, 동일한 직경의 통이 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 중 적어도 일방의 웨일방향의 단부의 일부는, 다른 편성포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다른 편성포와 상기 단부의 일부와의 경계부(境界部)에서는,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사이의 연결부분에, 바대가 되는 편성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는, 코스 수 또는 대응하는 코스의 스티치 수 중 적어도 일방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연결에 의하여 장갑 또는 양말에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수용하는 손가락부 또는 발가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연결에 의하여, 양말에서 발의 발뒤꿈치를 수용하는 발뒤꿈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치를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코스방향으로의 왕복편성의 반복에 의하여 스티치 열(stitch 列)이 형성되는 되돌림 편성포를,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하는 도중에 되돌리고, 되돌림에 이르는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되돌림으로부터의 제2방향측의 편성포를 대향시켜서,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제2방향측의 편성포를, 대향하고 있는 편성폭의 단부에서 연결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제1방향측의 편성포는,
연결용의 스티치를, 이미 편성한 스티치 열의 단부에 부가한 연결용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과는 다른 편침에 결합하도록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면서, 스티치 열의 단부에 부가하여 편침에 결합하는 것을 반복하여 편성하고,
제2방향측의 편성포는,
연결용의 스티치가 단부에 부가되어 있는 제1방향측의 편성포의 스티치 열에 미리 대응되어 있는 스티치 열을 편성할 때에, 단부를 상기 연결용의 스티치에 트랜스퍼에 의하여 포개어서 연결시킴과 아울러,
제1방향측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이동을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방향측의 편성포는, 베이스 편성포가 되는 다른 편성포를 편성하는 도중에, 상기 베이스 편성포의 편성을 정지하는 상태에서 편성을 시작하고,
상기 제1방향측이 되는 편성포에서의 스티치 열의 이동은, 베이스 편성포의 편성폭 외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상기 제2방향측의 편성포를 편성하여 연결을 할 때까지, 두께를 부여하는 편성포를 부가하여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방향측의 편성포 또는 상기 제2방향측의 편성포 중 적어도 일방은, 편성한 스티치 열에 대하여 증가 또는 감소를 하는 성형편성에 의하여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되돌림부에서 되돌려지는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가 대향하고, 코스방향의 단부가 트랜스퍼에 의한 더블루프에 의하여 연결되어 통 모양 편성포가 형성된다. 각 편성포는 각각 코스방향의 왕복편성을 반복하는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횡편기의 앞뒤의 니들베드의 일방만에서도 무봉제로 편성될 수 있어, 양방의 니들베드를 사용하는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의 도중에 부가하는 것도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부가되는 통 모양 편성포는,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가 아니라 통 길이를 길게 하더라도 통 폭을 넓힐 필요는 없기 때문에, 미려함을 희생하지 않고, 부가되는 부분의 경계부에 두께를 부여하거나 하여 입체적인 착용부위의 형상에도 어울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3코스 이상 연속하여 편성폭이 일정하게 되도록 하여,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연결부분에 구멍이 생기지 않게 미려함이 좋고 동일한 직경의 통이 되는 부분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통 모양 편성포와 다른 편성포가 연속되어 있는 경계부에서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경계부의 미려함을 좋게 하여 착용부위로의 피트도 좋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통 모양 편성포의 웨일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과의 사이의 연결부분에 바대가 되는 편성포를 구비하기 때문에, 움직임이나 돌출이 있는 부위 등으로의 착용 시에, 두께를 갖게 하여 여유를 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통 모양 편성포의 되돌림부를 사이에 두고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가 코스 수 또는 대응하는 코스의 스티치 수 중 적어도 일방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기 때문에, 관절부분 등으로의 착용 시에, 휘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 등을 주는 입체적인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장갑 또는 양말에서, 미려함이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수용할 때에 착용감이 양호하게 되는 손가락부 또는 발가락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양말의 발뒤꿈치를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통 길이가 길고 또한 미려함이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를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고, 코스방향으로의 왕복편성의 반복에 의하여 편성되는 되돌림 편성포를 웨일방향의 도중에 되돌려서 단부를 연결하여,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할 수 있다. 제1방향측의 편성포의 편성에서는, 연결용의 스티치를 부가하는 스티치 열을 단부에 포함시켜 둔다. 연결용의 스티치가 다른 편침에 결합되도록 편성된 스티치 열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제2방향측의 편성포에서는, 제1방향측의 연결용의 스티치에, 미리 대응되어 있는 스티치 열의 단의 스티치를 트랜스퍼에 의하여 포개어서 연결하여, 제1방향측에서의 이동을 되돌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통 모양이 되는 편성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통 모양 편성포는, 앞뒤에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일방측의 니들베드만을 사용하더라도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무봉제로 다른 편성포에 연속되어 있는 경계부의 미려함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계부에서는 코 빼기 처리 등에 의한 통 모양 편성포 상호간의 접합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성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을 정지하고 있는 베이스 편성포로부터 떨어진 방향에 있는, 스티치의 결합에 사용되지 않고 있는 편침을 사용하여 스티치의 이동을 따르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을 한다. 니들베드갭 하방으로의 낮추기 등에 관한 것으로서, 결합 중의 베이스 편성포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태에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되돌림부를 사이에 두는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제2방향측의 편성포와의 연결을, 바대 등의 두께를 부여하는 편성포를 부가하여 하기 때문에, 통 모양 편성포에 여유를 갖게 하여 편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되돌림부를 사이에 두는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제2방향측의 편성포 중 적어도 일방을 성형편성에 의하여 편성하기 때문에, 착용하는 부위에 피트되는 입체적인 형상을 미려함이 양호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장갑(1)을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간략화 한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을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편성도이다.
도3은, 도1의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으로부터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을, 횡편기에 의하여 되돌려서 형성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편성도이다.
도4는, 도1의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을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편성도이다.
도5는, 도1의 장갑(1)에서, 엄지용 손가락부(11)를 손목부(15)측으로 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장갑(1)의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손가락부(2)와 스티치 열의 이동을 수반하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엄지용 손가락부(11)를, 스티치를 비교하는 상태에서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편성포(21)의 외관 구성을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으로서의 양말(31)을 종래로부터의 양말(33)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4로서의 양말(41)의 일부를, 실시예3의 양말(31)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0은, 도9(a)의 양말(41)을 편성하는 순서의 도중에서의 편성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0의 편성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도이다.
도12는, 도9(a)의 양말(4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5로서의 장갑(51)의 일부의 편성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도13의 편성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도이다.
도15는, 도13의 장갑(51)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으로서의 장갑(61)의 일부의 편성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도16의 장갑(61)의 편성순서를, 실시예1로서의 장갑(1)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도16의 장갑(61)의 엄지 손가락부(62)에 관한 편성상태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19는, 도16의 장갑(6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장갑(1)의 엄지용 손가락부(11)를 베이스 편성포(base 編成布)가 되는 손바닥측에 부가하더라도, 경계부가 미려함을 손상시키지 않는 통 모양 편성포(tube-shaped knitted fabric)로서,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일체로 편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서는,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장갑(1)을 횡편기에 의하여 일체로 편성하는 개략적인 순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다. 횡편기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적어도 한 쌍 구비하고, 니들베드 사이의 트랜스퍼(transfer) 또는 니들베드를 서로 비키어 놓는 래킹(racking)의 기능도 구비하는 것을 사용한다. 장갑(1)의 편성은, 하방의 손가락부(2, 3, 4, 5)로부터 4개 손가락의 손바닥(four-finger palm)(6)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진행된다.
도1(a)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을 편성한 상태를 나타낸다(여기에서 제1방향측이라는 것은,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의 단부(端部)로부터 엄지용 손가락부(11)의 선단으로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은, 4개 손가락의 손바닥(6)과 후술하는 5개 손가락의 손바닥(14)을 베이스 편성포로 하여, 손바닥의 편성폭 내로 되돌림 편성포로서 편성된다. 엄지를 제외한 다른 4개의 손가락을 각각 수용하는 손가락부(2, 3, 4, 5)와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은, 편사를 코스방향(course 方向)으로 주회(周回)시키는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된다.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은,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의 단부에 웨일방향(wale 方向)이 연속되어, 코스방향으로는 왕복을 반복하면서 편성된다.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에서는, 중간에 복수의 스티치(stitch)를 코스방향으로 구비되는 스티치 열(stitch 列)을 편성하고, 스티치 열의 양측에 연결되도록 접합용의 스티치가 되는 걸림루프(8, 9)를 각각 부가한다. 걸림루프(8, 9)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이더라도 좋다. 부가하는 걸림루프(8, 9)를 결합하는 편침이 다르게 되도록 스티치 열의 위치를,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의 단부로부터 떨어지는 측을 향하여 비키어 놓는다. 스티치 열의 양측에 연결되는 걸림루프(8, 9) 또는 스티치의 형성은, 스티치 열을 결합하고 있는 니들베드 또는 결합하고 있지 않은 니들베드 중 어느 쪽이더라도 좋지만, 교차사의 관계에 의하여 가까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b)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을,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의 선단으로부터 되돌리도록 편성한 상태를 나타낸다(여기에서 제2방향측이라는 것은, 엄지용 손가락부(11)의 선단으로부터 4개 손가락의 손바닥(6)로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의 편성을 진행시키면,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의 편성에 의하여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스티치 열이, 도면의 우측으로 되돌려진다.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의 각 코스는, 대향하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의 각 코스에서 스티치 열의 양측에 형성되어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루프(8, 9) 사이를 연결하도록 스티치 열을 형성하고, 형성되는 방향을 코스마다 반전시켜서 왕복시키는 것을 반복한다.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과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은, 각 되돌림 편성포의 코스방향의 양측이 각각 스티치를 포개어서 연결되어, 전체로서 통 모양 편성포가 된다.
도1(c)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과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에서 통 모양 편성포가 되는 엄지용 손가락부(11)를 형성한 후에, 편성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엄지용 손가락부(11)와 베이스 편성포의 경계는, 외측 경계부(12) 및 내측 경계부(13)가 된다. 내측 경계부(13)에서는, 4개 손가락의 손바닥(6)과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에서 웨일방향으로 스티치가 연속된다. 외측 경계부(12)로부터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의 웨일방향으로 스티치가 연속되도록 편사를 코스방향으로 주회시켜서 5개 손가락의 손바닥(14) 및 손목부(15)를 통 모양으로 편성하여, 장갑(1)으로서 완성시킨다. 내측 경계부(13)에서는, 코 빼기 처리 등은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려함을 양호하게 하여 편성시간의 단축도 도모할 수 있다.
도2, 도3 및 도4는, 도1의 엄지용 손가락부(11)를,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할 때의 더 상세한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다. 각 도면에서, B 및 F는 뒤쪽 니들베드 및 앞쪽 니들베드를 각각 나타낸다. 네모줄칸은 각각의 편침을 나타낸다. 네모줄칸이 공백인 것은 빈 바늘인 것을 나타낸다. 네모줄칸 내의 검은색 동그라미 표시는 새롭게 형성되는 스티치를 나타낸다. 네모줄칸 내의 흰색 동그라미 표시는 편침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나타낸다. 네모줄칸 내의 V 표시는 빈 바늘에 대해서는 걸림루프,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에 대해서는 턱(tuck)을 나타낸다. 새롭게 형성되는 걸림루프 또는 턱은 V 표시를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V 표시의 방향은, 앞쪽 니들베드(F)와 뒤쪽 니들베드(B)가 역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네모줄칸 내의 2중 동그라미 표시는 더블루프(double loop)를 나타낸다. 네모줄칸 내의 화살표는 트랜스퍼(transfer)를 나타낸다. 우측의 화살표는 코스의 스티치를 편성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 사용하는 편침의 개수나 편성하는 코스의 수는 편의적인 것이며, 실제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수가 사용된다. 또한 새끼 손가락용의 손가락부(5)로부터 검지용의 손가락부(2)까지를 앞뒤 니들베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손바닥측을 뒤쪽 니들베드(B)에서, 손등측을 앞쪽 니들베드(F)에서 편성하고, 엄지용 손가락부(11)는 주로 뒤쪽 니들베드(B)의 편침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2는, 도1의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을 편성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a0 코스는, 앞뒤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을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편침은, 기본적으로 드로오프(draw-off) 상태에서 사용한다. a1 코스는, 우측방향으로의 급사(給絲)에 의하여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의 최종코스의 스티치 열을 뒤쪽 니들베드(B)에 형성하고, 최후에 앞쪽 니들베드(F)의 편성폭의 우단(右端)에 걸림루프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a2 코스는, a1 코스와는 역방향인 좌측방향으로의 급사에 의하여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이 되는 1코스째의 스티치 열을, 뒤쪽 니들베드(B)의 우측 3개의 편침에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1코스째의 스티치 열에 대하여 우측이 되는 걸림루프는, a1 코스에서 먼저 형성되어 있다. a3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의 우측 3개의 편침에 형성된 스티치를 앞쪽 니들베드(F)의 빈 바늘로 트랜스퍼 한 상태를 나타낸다. a4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를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하여 좌측으로 편침 2개분 비키어 놓는 래킹을 하고, a3 코스에서 트랜스퍼 된 스티치를 앞쪽 니들베드(F)로부터 뒤쪽 니들베드(B)로 트랜스퍼에 의하여 되돌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a3 코스로부터 a4코스에서, 뒤쪽 니들베드(B)의 우측 3개의 편침에 형성된 스티치 열은, 편침 2개분만큼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스티치 열과 이동을 하지 않은 스티치 열의 사이에는, 빈 바늘이 발생한다. a5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의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한 어긋남을 되돌리고, 우측방향으로의 급사에 의하여 빈 바늘을 이용하여 걸림루프를 형성한다. 좌측에서의 걸림루프의 형성에 계속하여,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의 2코스째가 되는 스티치 열을 편성한다. 2코스째가 되는 스티치 열의 우측에서는, 앞쪽 니들베드(F)에 걸림루프를 형성한다. 이 걸림루프는, a1 코스에서 1코스째의 우측이 되도록 형성된 걸림루프보다 우측이 되는 빈 바늘에 형성된다.
a6 코스에서는, a5 코스와는 역방향인 좌측방향으로의 급사에 의하여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의 3코스째가 되는 스티치 열을 형성한다. a7 코스에서는, a6 코스에서 형성된 스티치를, 뒤쪽 니들베드(B)로부터 앞쪽 니들베드(F)로 트랜스퍼 한다. a8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를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하여 좌측으로 편침 2개분 비키어 놓고, a7 코스에서 트랜스퍼 한 스티치를 앞쪽 니들베드(F)로부터 뒤쪽 니들베드(B)로 되돌려서, 빈 바늘을 발생시킨다. a9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의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한 어긋남을 되돌리고, 빈 바늘을 이용하여 걸림루프를 형성한다. 걸림루프에 계속하여,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의 4코스째가 되는 스티치의 열을 형성하고, 우측에서는 앞쪽 니들베드(F)의 빈 바늘에 걸림루프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순서 중에서 a2 코스, a5 코스, a6 코스 및 a9 코스에서 형성되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의 스티치의 열은, 편성폭이 일정하고, 연결부에 인접하는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4코스분의 편성포가 된다. 종래의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에서는, 편성폭을 일정하게 하면 연결용의 스티치를 연속하는 복수 코스분 형성할 수 없고, 동일 편성폭의 스티치 열을 3코스 이상 편성하면 연결부분에 구멍이 나버린다. 또 실시예1에서는, 스티치 열의 편성을 뒤쪽 니들베드(B)에서 하고, 연결용의 양측의 스티치를 좌측은 뒤쪽 니들베드(B)에, 우측은 앞쪽 니들베드(F)에 형성하고 있다. 각 연결용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편침에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도 빈 바늘이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빈 바늘에 연결용의 스티치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스티치 열과 동일한 니들베드에서 인접하는 빈 바늘에 연결용의 스티치를 형성한 후에, 트랜스퍼를 하더라도 좋다.
도3은, 도1(b)에 나타나 있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으로부터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으로 되돌릴 때에, 스티치 열을 이동하지 않는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엄지용 손가락부(11)의 손가락 선단을 둥글게 만드는 편성순서를 나타낸다. b0 코스는, 도2의 순서를 반복하여, 뒤쪽 니들베드(B)의 우측 3개의 편침에 형성되는 스티치 열에 대하여, 좌측이 되는 걸림루프가 뒤쪽 니들베드(B)에, 우측이 되는 걸림루프가 앞쪽 니들베드(F)에 각각 다른 편침에서 5개씩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되돌리면, 코스방향으로 3스티치의 통 폭이고, 웨일방향으로 5스티치의 통 길이이고, 일정한 지름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형성할 수 있다. 코스방향의 스티치 열의 스티치 수를 변경하면 통 폭을, 걸림루프의 수를 변경하면 통 길이를 각각 조정할 수 있다.
b1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에서 우측의 3개의 편침에 스티치를 형성한다. b2 코스에서는, b1 코스에서 형성된 스티치 중 좌측의 스티치를 턱 편성하고, 다른 2개의 편침에 스티치를 형성한다. b3 코스에서는, 2개의 편침 중 우측에서 결합되어 있었던 스티치를 턱 편성한다. b4 코스에서는, 3개의 편침에 스티치를 형성한다. 3개의 편침 중 좌우의 편침에서는, 턱 편성에 의한 더블스티치로 스티치를 형성하고, 1스티치의 통상의 스티치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를 부가하여 중앙부의 스티치를 많게 하고, 양단의 스티치를 적어지게 하는 방법은, 손가락 선단을 둥글게 만들기 시작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4는, 도1의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을 편성하면서, 엄지용 손가락부(11)를 통 모양으로 형성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c1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의 우측 3개의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를, 앞쪽 니들베드(F)로 트랜스퍼 한다. c2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를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하여 우측으로 편침 2개분 비키어 놓고, c1 코스에서 트랜스퍼 한 스티치를 앞쪽 니들베드(F)로부터 뒤쪽 니들베드(B)로 되돌려서, 걸림루프의 열의 우단과 스티치의 열의 좌단(左端)을 포갠다. c3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를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하여 좌측으로 편침 1개분 비키어 놓은 상태로 되돌리고, 앞쪽 니들베드(F)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루프의 열의 우단을 뒤쪽 니들베드(B)로 트랜스퍼 하여 스티치의 열의 우단에 포갠다. c4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의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한 어긋남을 되돌리고, 뒤쪽 니들베드의 우측 3개의 편침에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되돌린 최초의 스티치 열이 연결된다. 즉 연결부분을, 트랜스퍼에 의한 더블루프에 의하여 형성한다. 이 스티치 열의 양측에는, 4개씩의 걸림루프가 남는 상태가 된다.
c5 코스, c6 코스, c7 코스 및 c8 코스에서는, c1 코스, c2 코스, c3 코스 및 c4 코스와 각각 마찬가지로 스티치와 걸림루프를 포개어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 스티치 열의 양측에는, 3개씩의 걸림루프가 남는 상태가 된다. 이하, c9 코스, c10 코스 및 c11 코스는, c1 코스, c2 코스 및 c3 코스와 각각 동일한 동작을 하여, 뒤쪽 니들베드(B)에서 우측의 3개의 편침에 스티치를 형성하는 위치를 좌측으로 되돌리도록 이동시키면서,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에서 형성된 걸림루프(8, 9) 사이를 스티치 열에서 연결한다. 최종적으로는, c12 코스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열을 형성하는 3개의 편침의 위치는, a0 코스의 뒤쪽 니들베드(B)의 편성폭 내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엄지용 손가락부(11)는, 제1방향측을, 스티치 열의 편성, 걸림루프, 트랜스퍼를 조합하여 스티치 열을 이동시키면서 양측에 걸림루프를 형성하도록 코스방향을 왕복하면서 편성한다. 선단에서 되돌리는 제2방향측에서도 코스방향을 왕복하면서, 트랜스퍼에 의하여 더블루프를 형성하여 걸림루프 사이를 연결하고, 이동하고 있는 스티치 열을 되돌려서 선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통 모양의 편성포를 형성한다.
도5는, 도1의 장갑(1)에서, 엄지용 손가락부(11)를 손목부(15)측으로 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은, 4개 손가락의 손바닥(6)과 웨일방향으로 스티치가 연속하도록 편성되기 때문에, 내측 경계부(13)의 미려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6은, 도1의 장갑(1)에 있어서의 엄지용 손가락부(11)의 선단 부근의 스티치 구조를, 검지용의 손가락부(2)의 선단 부근과 나란하게 하여 나타낸다. 손가락부(2)는, 선단의 편성시작부(2a)에 이어져서 코스(2c)가 주회되도록 편성되고, 웨일(2w)은 편성시작부(2a)로부터 손가락부(2)의 기단측(基端側)으로 향한다. 엄지용 손가락부(11)에서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으로부터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의 방향으로 웨일(11w)이 되돌려져서 연속된다.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 및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의 코스(7c, 10c)는 걸림루프(8)에서 연결되도록 왕복된다. 걸림루프(8)에서 연결되어 있는 경계부분의 양측에서,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 및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의 편성포는, 3코스 이상의 스티치가 웨일방향(11w)으로 각각 연속되어 있는 동일한 직경의 통 모양 편성포로 되어 있다.
(실시예2)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포켓 부착 편성포(2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포켓 부착 편성포(21)에서는, 베이스 편성포(22)가 편사를 코스방향으로 주회시켜서 통 모양으로 편성되는 도중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포켓(23)의 통 모양 편성포가 부가된다.
도7(a)에서는, 포켓 부착 편성포(21)를 편성할 때의 웨일의 방향을 2점 쇄선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다. 베이스 편성포(22)의 전반측(前半側)(22a)은, 웨일방향(22aw)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 모양으로 편성된다. 포켓(23)을 부가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베이스 편성포(22)의 편성을 정지하고, 포켓(23)을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포켓(23)은, 제1방향측(23a)과 제2방향측(23b)을, 웨일방향(23aw, 23bw)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단에서 되돌리도록 편성된다. 제1방향측(23a)에서는, 코스방향의 양단에 걸림루프를 남기도록 스티치 열을 이동시키면서 편성하고, 제2방향측(23b)에서는, 걸림루프를 연결하도록 이동된 스티치 열을 되돌리면서 편성한다. 포켓(23)의 편성이 종료되면, 베이스 편성포(22)의 후반측(後半側)(22b)을, 웨일방향(22bw)으로 편사를 주회시켜서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또 베이스 편성포(22)의 코스방향의 중간에 포켓(23)과 같은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니들베드의 일방측을 빈 바늘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편성포(22)를 코스방향의 일방측에서 결합하는 편침으로부터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돌려 넣도록 하여, 포켓(23)을 형성하는 스티치 열을 단부로 이동하면 좋고, 필요에 따라 포켓(23)의 형성 후에 되돌리면 좋다.
도7(b)는, 포켓(23)을 베이스 편성포(22)의 내측에 압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베이스 편성포(22)와 포켓(23)의 외측 경계부(24)에는, 장식이 되는 무늬뜨기를 부가하고 있지만, 스티치는 웨일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내측 경계부(25)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되는 상태가 된다.
또 베이스 편성포(22)로서 주회편성에 의하여 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편성포의 예를 단순하게 나타내지만, 횡편기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상반신이나 하반신 혹은 전신에 장착되는 의복에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의복의 부분품으로서 편성되는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나 통 모양이 아닌 편성포를 베이스 편성포로 하여, 통 모양 편성포를 부가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3)
도8은, (a)의 본 발명의 실시예3으로서의 양말(31)을, (b)의 종래로부터의 양말(33)과 비교하여 나타낸다. 양말(31, 33)은 발뒤꿈치(32, 34)를 각각 구비한다. 발뒤꿈치(32, 34)는, 베이스 편성포가 되는 양말(31, 33)을 발부리측(31a)으로부터 발목측(31b)으로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는 도중에 편성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발뒤꿈치(32)는 편성폭 일정부분(32a)을 포함한다.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기 때문에, 편성폭 일정부분(32a)을 되돌림 편성을 사용하더라도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할 수 있다. 편성폭 감소부분(32b)은, 통폭 일정부분(32a)의 제1방향측의 편성포를 편성한 상태에서,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지 않는 종래로부터의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할 수 있다. 통폭 일정부분(32a)의 제2방향측은, 통폭 감소부분(32b)의 편성 후에, 제1방향측에서 이동된 스티치 열을 되돌리도록 하여 편성한다. 발뒤꿈치(34)는 전체를 종래로부터의 되돌림 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한다.
발뒤꿈치(32, 34)로서 필요한 통 길이를 A라고 하면, 발뒤꿈치(32)에서는 통 길이(A) 중의 B를 통폭 일정부분(32a)으로 편성하기 때문에, 발뒤꿈치(32)의 선단의 통 폭(Ca)을 넓게 잡아서 발뒤꿈치부에 여유의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발뒤꿈치(33)에서는 통 길이(A)의 전체에 걸쳐서 편성폭을 감소시키면서 되돌림 편성을 하기 때문에, 발뒤꿈치(34)의 선단의 통 폭(Cb)이 좁아져 버린다.
(실시예4)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4로서의 양말(41)의 일부를, 실시예3의 양말(31)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9(a)에 나타나 있는 양말(41)은, 도9(b)에 나타나 있는 양말(31)의 발뒤꿈치(32)에 바대(42)를 부가하고 있다. 즉 발뒤꿈치(32)를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는 도중에서 연결하기까지에 바대(42)가 되는 스티치를 편성에 포함하여, 통 모양 편성포의 제1방향측과 제2방향측을 연결하는 부분에 바대(42)를 삽입시키고 있다.
도10은, 도9(a)의 양말(41)을 편성하는 순서의 도중에서의 편성포의 상태를 나타낸다. 바대(42)는 발뒤꿈치(32)를 제1방향측과 제2방향측으로 편성하면서, 동시 진행에 의하여 복수의 부분(42a, 42b, 42c, 42d)으로 나누어서 편성할 수 있다. 바대(42)의 부분(42a, 42b, 42c, 42d)을 편성할 때에는, 주회편성을 하여 발뒤꿈치(32)가 되는 편성포도 형성함과 아울러, 발등측의 편성포의 일부도 형성한다. 또한 발뒤꿈치(32)의 제1방향측을 편성한 후에 바대(42)의 전체를 정리하여 편성하고, 연속하여 발뒤꿈치(32)의 제2방향측을 편성할 수도 있다. 바대(42)의 형상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도11은, 도10을 따르는 편성순서의 일부를 편성도로서 나타낸다. 편성도로서는, 기본적으로 도2, 도3 및 도4와 마찬가지로 나타내지만, 편침의 수는 다르게 한다. 또한 연결에 관계되는 편침에는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고, 바대를 형성하는 편침에는 우측으로 내려가는 사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연결이나 바대에 관련되는 편침의 위치에는, 좌측에는 a∼j, 우측에는 q∼z의 부호를 붙여서 나타낸다.
양말(41)은, 횡편기의 앞뒤의 니들베드의 양방을 사용하는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발부리측(31a)을 편성하는 도중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열의 전체에 웨일방향으로 각각 연속되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발뒤꿈치(42)를 편성한다. 발부리측(31a)의 발바닥의 편성포를 결합하는 뒤쪽 니들베드(B)의 편성폭의 전체를 사용하여 발뒤꿈치(42)의 통 폭분을 편성하는 점에서, 편성폭의 일부를 사용하는 실시예1의 엄지용 손가락부(11)와는 다르다. 이와 같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d1 코스에는, 발부리측(31a)에 관한 도2의 a0 코스와 동일한 상태로부터, 단부로의 걸림루프의 형성과 스티치의 이동을 반복하여, 뒤쪽 니들베드(B)에서 발뒤꿈치(32)의 제1방향측을 편성하면서 도달할 수 있다. d1 코스는, 앞쪽 니들베드(F)의 위치(g, i)의 편침에는 좌측의 연결용이 되는 걸림루프가 결합되고, 뒤쪽 니들베드(B)의 위치(x, z)의 편침에는 우측의 연결용이 되는 걸림루프가 결합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의 d2 코스에서는, 앞쪽 니들베드(F)에 우측방향의 급사를 하여, 위치(g, i)의 편침에는 바대(42)의 부분(42a)의 일부가 되는 스티치를 형성한다. 위치(j)보다 우측의 편침에서는, 발뒤꿈치(32)의 제1방향측이 되는 스티치 열을 형성한다. 다음의 d3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에 좌측방향의 급사를 하여, 위치(z, x)의 편침에 바대(42)의 부분(42a)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다음의 d4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에 우측방향의 급사를 하여, 위치(x)의 편침에는 턱하고, 위치(z)의 편침에는 바대(42)의 부분(42a)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다음의 d5 코스에서는, 앞쪽 니들베드(F)에 좌측방향의 급사를 하여, 위치(i, g)의 편침을 포함하여 발뒤꿈치(32)의 제1방향측의 스티치 열과 바대(42)의 부분(42a)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다음의 d6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에 우측방향의 급사를 하여, 위치(g)의 편침에 좌측의 연결용이 되는 걸림루프를 형성하고, 위치(h)로부터 위치(v)까지의 편침에 의하여 발뒤꿈치(32)의 제1방향측의 스티치 열 편성한다.
이상과 같은 d2 코스로부터 d6 코스에 나타나 있는 순서에서,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대(42)의 부분(42a)을, 좌우에 2스티치에 의하여 2코스분까지를 편성할 수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바대(42)의 부분(42b)을, 예를 들면 좌우에 4스티치에 의하여 2코스분 편성하면, 삼각형의 바대(42)의 제1방향측을 포함하는 발뒤꿈치(32)의 제1방향측을 편성할 수 있다. 부분(42a, 42b)에서, 스티치의 수를 2스티치와 4스티치로 다르게 되어 있지만, 동일한 수로 하면 사각형의 바대를 형성할 수 있다.
d7 코스는, 뒤쪽 니들베드(B)로의 좌측방향의 급사에 의하여, 도10에 나타나 있는 발뒤꿈치(32)의 제1방향측의 최종코스까지 편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의 코스에서는, 되돌려서 뒤쪽 니들베드(B)로의 우측방향의 급사에 의하여 발뒤꿈치(32)의 제2방향측의 최초코스를 편성한다. d8 코스는, 위치(q)보다 좌측으로 뒤쪽 니들베드(B)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2피치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위치(r)의 편침에 더블루프를 형성하여, 스티치 열의 좌단을 제1방향측과 연결한다. 스티치의 이동은, 뒤쪽 니들베드(B)로부터 일단 앞쪽 니들베드(F)로 트랜스퍼 하고, 뒤쪽 니들베드(B)를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하여 좌측으로 2피치분 비키어 놓고, 앞쪽 니들베드(F)로 트랜스퍼 한 스티치를 뒤쪽 니들베드(B)로 다시 트랜스퍼 하여 되돌리는 것으로 한다. 앞쪽 니들베드(F)의 위치(a)의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루프는, 뒤쪽 니들베드(B)의 위치(d)의 편침에 결합되는 스티치에 포개어져서, 스티치 열의 우단을 제1방향측과 연결한다. 뒤쪽 니들베드(B)는, 앞쪽 니들베드(F)에 대하여 우측으로 2피치분 되돌린다. 이러한 스티치의 이동은, 급사를 따르지 않고, 캐리지를 복수 코스 주행시켜서 한다.
d9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로의 우측방향의 급사에 의하여 발뒤꿈치(32)의 제2방향측의 스티치 열을 형성함과 아울러, 우측의 위치(t, v, x, z)의 편침에 바대(42)의 부분(42c)의 1코스분이 되는 4스티치의 스티치 열을 형성한다. d10 코스에서는, 앞쪽 니들베드(F)로의 좌측방향의 급사에 의하여 발뒤꿈치(32)의 제2방향측의 스티치 열을 형성함과 아울러, 좌측의 위치(i, g, e, c)의 편침에 바대(42)의 부분(42c)의 1코스분이 되는 4스티치의 스티치 열을 형성한다. d11 코스에서는, d8 코스와 마찬가지로 하여 발뒤꿈치(32)의 제2방향측에서의 스티치 열의 이동에 의한 위치(t, f)의 편침에서의 연결을 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발뒤꿈치(32)의 제2방향측의 편성과 바대(42)의 부분(42c, 42d)의 편성을 스티치 열의 이동에 의한 되돌리기와, 단부에서의 연결을 수반하면서 하여, 바대(42)를 연결부에 삽입시킨 발뒤꿈치(32)의 편성을 할 수 있다.
도12는, 도9(a)의 양말(4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는 발부리측(31a)을 베이스 편성포로 하여,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는 발뒤꿈치(32)를 부가하도록 형성하고, 연결부분에 바대(42)를 삽입시켜서, 베이스 편성포의 나머지가 되는 발목측(31b)을 형성하고 있다. 발의 입체적인 형상에 적합한 양말(41)을 얻을 수 있다.
또 발뒤꿈치(32) 등에서는, 편성폭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형이 아니라, 좌우 비대칭으로 편성할 수도 있다. 편성 후의 발뒤꿈치(32)에서는, 고어 라인(gore line)의 각도나 깊이가 좌우 대칭의 상태로부터 변화되어, 좌우 비대칭인 발의 형상에 더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5)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5로서의 장갑(51)의 일부 편성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다. 실시예5에서는, 실시예1의 장갑(1)에서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으로부터 5개 손가락의 손바닥(14)을 편성하는 도중에 부가하는 엄지 손가락부(11)에 대신하여, 엄지 손가락부(52)를 부가한다. 엄지 손가락부(52)는, 제1방향측(52a)과 제2방향측(52b)과 함께 코늘임 스티치부(52c)를 편성한다. 코늘임 스티치부(52c)는 예를 들면 제1방향측(52a)에 부가되고, 통 모양 편성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되돌리기 전후에서, 웨일방향의 스티치 수에 차이를 둘 수 있다.
도14는, 도13의 편성순서의 일부를 기본적으로는 도11과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다만 도13에서는, 코늘임 스티치부(52c)를 제1방향측(52a)의 뒤에 정리하여 부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편성순서에서는, 코늘임 스티치부(52c)는 분산되어 제1방향측(52a)의 편성 도중에 삽입되는 모양으로 편성된다. e1 코스까지는, 엄지 손가락부(52)의 제1방향측(52a)의 편성을,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라 단부에 연결용의 걸림루프를 남기면서 한다. e1 코스로부터 e4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로의 되돌림 급사에 의하여 위치(f, v) 사이의 편침에 코늘임 스티치부(52c)의 스티치 열을 형성한다. 다만 코늘임 스티치부(52c)의 스티치 열은 제2방향측(52b)의 단부와는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좌측의 단부의 위치(f, h)나 우측의 단부의 위치(v)의 편침에는 반드시 매회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고 턱 등을 하여,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되돌림의 전후에서, 연결부에 구멍이 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e5 코스로부터 e7 코스까지는, 제1방향측(52a)을 스티치 열을 이동하여 단부에 연결용의 걸림루프를 남기면서 편성하는 순서의 일부를 나타낸다. e8 코스로부터 e11 코스까지는, 이동을 되돌려서, 단부를 제1방향측(52a)과 연결하면서 제2방향측의 스티치 열을 편성하는 순서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15는, 도13의 장갑(51)의 일부를 나타낸다. 엄지 손가락부(52)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되돌리기 전후에서, 웨일방향의 스티치 수가 4개 손가락의 손바닥(6)에 계속되는 제1방향측이 5개 손가락의 손바닥(14)에 계속되는 제2방향측보다 많아지도록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의 입체적인 형상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6)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으로서의 장갑(61)의 일부의 편성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다. 장갑(61)의 몸통부 등의 베이스 편성포(61a, 61b)로부터 엄지 손가락부(62)를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할 때에는, 횡편기에서 알려져 있는 각종 성형편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도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방향측에서 편성폭을 감소시키고 제2방향측에서 편성폭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도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방향측에서 편성폭을 증가시키고 제2방향측에서 편성폭을 감소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편성폭을 도중에 증감시킬 수도 있다. 편성폭의 증감에 의한 성형의 처리를 편성폭의 단부로부터 떨어진 내측에서 하면, 편성폭의 단부의 스티치는 웨일방향으로 연속시킬 수 있다. 도1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증가시키는 것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한 성형은, 손가락부에는 반드시 적당하지 않지만, 실시예2의 포켓 부착 편성포(21)의 포켓(23) 또는 인체가 부풀어서 커진 부위를 덮는 것과 같은 경우 등에는 이용할 수 있다.
도17은, 도16의 장갑(61)의 편성순서를 실시예1로서의 장갑(1)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17(a)에 나타나 있는 장갑(61)에서는, 4개 손가락의 손바닥이 되는 베이스 편성포(61a)로부터 엄지 손가락부(62)의 제1방향측(62a, 62b)을 편성하고, 되돌려서 제2방향측(62c, 62d)을 편성한다. 제1방향측(62a) 및 제2방향측(62d)은 통 폭이 일정한 상태로 편성되지만, 제1방향측(62b) 및 제2방향측(62c)에서는 성형편성에 의하여 감소시키기 및 증가시키기를 각각 한다. 도17(b)에 나타나 있는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7)과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10)에서는, 성형편성은 하지 않는다.
또한 도17(a)에 나타나 있는 장갑(61)에서는, 엄지를 제외한 다른 손가락을 수용하는 손가락부(72, 73, 74, 75)를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예를 들면 약지용의 손가락부(74)의 기단(基端)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편성한 후에, 3개 손가락을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고, 새끼 손가락용의 손가락부(75)를 편성하여 4개 손가락의 손바닥(76)의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에 연속시킨다. 최초의 손가락부(74)의 편성 시에, 편사의 실 넣기(yarn-in)를 하기 때문에 끝실(74a)이 발생하지만, 다른 손가락부나 몸통은 이전에 편성된 부분의 단부에 연속하여 편성을 시작하면서 편성하기 때문에, 다른 것에는 끝실을 생기게 하지 않고 베이스 편성포(61a)를 편성할 수 있다.
도17(b)에 나타나 있는 장갑(1)에서는, 각 손가락부(2, 3, 4, 5)를 각각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할 때에 선단에서의 실 넣기와 기단에서의 실 빼기(yarn-out)를 하기 때문에, 끝실(2a, 2b ; 3a, 3b ; 4a, 4b ; 5a, 5b)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장갑(1)에서는,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손가락부(2, 3, 4, 5) 상호간이나 4개 손가락의 손바닥(6)과의 연결부분인 손가락 가랑이의 부분에 여유가 부족하다. 도17(a)에 나타나 있는 장갑(61)에서는, 손가락 가랑이의 부분에서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각 손가락 사이에 두께(77)가 형성되어, 여유를 갖게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5개 손가락의 손바닥이 되는 베이스 편성포(61b)에서는, 엄지 손가락부(62)의 제2방향측(62d)에 웨일방향으로 스티치가 연속되는 부분(64a)을 순차적으로 스티치 삭감하여 성형하여, 손바닥 부분(64b)을 따라 손의 입체형상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도18은, 도17의 장갑(61)의 손가락부에 대한 성형편성을 따르는 편성상태를 공정도로서 나타낸다. 스티치의 수나 코스의 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실제의 편성포의 편성에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f0 코스에서는, 주회편성 통 모양 편성포를 베이스 편성포로 하여, 앞쪽 니들베드(F)와 뒤쪽 니들베드(B)에 각각 드로오프 상태에서 8스티치씩 결합하여 둔다. 각 니들베드에서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에 대향하는 편침은 빈 바늘로서 둔다. 이하, 스티치의 이동 등의 피치는 편침 2개분을 1피치분으로 하여 설명한다.
f1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의 8스티치의 스티치 중 좌측의 6스티치의 스티치를 좌측으로 1피치분 이동시킨 후에 좌측방향으로 급사하면서, 빈 바늘이 된 편침에 걸림루프를 형성하여, 걸림루프의 좌측의 6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2 코스에서는, 우측방향으로 급사하여, 앞쪽 니들베드(F)의 좌측의 빈 바늘에 걸림루프를 형성하고, 뒤쪽 니들베드(B)의 6스티치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3 코스에서는, f2 코스에서 새롭게 형성된 6스티치의 스티치 중 우측 3스티치를 1피치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좌단의 스티치를, 이동되지 않고 남은 좌측 3스티치의 우단의 스티치와 포개어서 1스티치를 감소시킨다. 또한 좌측방향으로 급사하여, 우측 3스티치의 스티치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발생하는 빈 바늘에 걸림루프를 형성하고, 걸림루프의 좌측의 5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4 코스에서는, 우측방향으로 급사하여, 앞쪽 니들베드(F)의 좌측의 빈 바늘에 걸림루프를 형성하고, 뒤쪽 니들베드(B)의 5스티치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5 코스에서는, f4 코스에서 새롭게 형성된 5스티치의 스티치를 전체적으로 1피치분만큼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좌측방향으로 급사하면서, 빈 바늘이 된 편침에 걸림루프를 형성하여, 걸림루프의 좌측의 5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6 코스에서는, f5 코스에서 새롭게 형성된 5스티치의 스티치 중 좌측 3스티치를 1피치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우단의 스티치를, 이동되지 않고 남은 우측 2스티치의 좌단의 스티치와 포개어서 1스티치를 감소시킨다. 또한 우측방향으로 급사하여, 앞쪽 니들베드(F)의 좌측의 빈 바늘에 걸림루프를 형성하고, 뒤쪽 니들베드(B)의 4스티치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7 코스에서는, f6 코스에서 새롭게 형성된 4스티치의 스티치를 전체적으로 1피치분만큼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좌측방향으로 급사하면서, 빈 바늘이 된 편침에 걸림루프를 형성하여, 걸림루프의 좌측의 4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8 코스에서는, 우측방향으로 급사하여, 앞쪽 니들베드(F)의 좌측의 빈 바늘에 걸림루프를 형성하고, 뒤쪽 니들베드(B)의 4스티치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8 코스에서, 제1방향측의 편성을 종료한다.
f9 코스로부터는 되돌림 후의 제2방향측을 편성한다. f8 코스에서 앞쪽 니들베드(F)의 좌측에 형성된 걸림루프를 트랜스퍼에 의하여 뒤쪽 니들베드(B)의 4스티치의 스티치 중 좌단에 포개어서 연결한 후에, 좌측방향으로 급사하여 뒤쪽 니들베드(B)의 4스티치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10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의 4스티치의 스티치 중 우측의 2스티치를 1피치분만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측방향으로 급사하여 좌측의 2스티치와 우측의 2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좌측의 2스티치와 우측의 2스티치의 사이에는 빈 바늘로 되어 있다. 좌측의 2스티치 중 우단에서는, 스플릿 스티치를 하여, 증가된 스티치를 이웃의 빈 바늘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좌측에서 1스티치의 스티치를 증가시킨다.
f11 코스에서는, f6 코스에서 앞쪽 니들베드(F)의 좌측에 형성된 걸림루프를 트랜스퍼에 의하여 뒤쪽 니들베드(B)의 5스티치의 스티치 중 좌단에 포갠 후에 좌측방향으로 급사하여, 뒤쪽 니들베드(B)의 5스티치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f12 코스에서는, 5스티치의 스티치를 전체적으로 1피치분만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5스티치 중 우단은, f5 코스에서 형성된 걸림루프에 겹쳐서 연결된다. 다음에 우측방향으로 급사하여, 5스티치의 스티치에 새롭게 스티치를 형성한다.
f13 코스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의 5스티치의 스티치 중 좌측의 2스티치를 1피치분만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좌단의 스티치에 f4 코스에서 형성된 걸림루프를 포개어서 연결한다. 다음에 좌측방향으로 급사하여 좌측의 2스티치와 우측의 3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좌측의 2스티치와 우측의 3스티치의 사이에는 빈 바늘로 되어 있다. 우측의 3스티치 중 좌단에서는, 스플릿 스티치를 하여, 증가된 스티치를 이웃의 빈 바늘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우측에서 1스티치의 스티치를 증가시킨다. f14 코스에서는, 6스티치의 스티치를 전체적으로 1피치분만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6스티치 중 우단은, f3 코스에서 형성된 걸림루프에 겹쳐서 연결된다. 다음에 우측방향으로 급사하여 6스티치의 스티치에 새롭게 스티치를 형성한다. f15 코스 이후에도, 얀피더(80)로부터 급사하는 편사(81)에 의하여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을 계속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편성으로서, f3 코스와 f6 코스에서 삭감을, f10 코스와 f13 코스에서 증가를 각각 하고 있다.
도19는, 도16의 장갑(6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엄지 손가락부(62) 또는 다른 손가락부(72, 73, 74, 75)를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는 통 모양 편성포로 하여, 성형편성을 포함하도록 편성함으로써 장갑(61)은 손의 입체적인 형상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성형편성에 의한 편성폭의 증감은 편성폭의 단부로부터 떨어진 내측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부(62) 또는 다른 손가락부(72, 73, 74, 75)에서는,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제2방향측의 편성포의 연결부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각각 연속하여 나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편성폭을 변경하기 위한 스티치의 삭감이나 증가는, 손가락부의 단부 근방에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실시예1, 실시예5, 실시예6에서 설명한 장갑(1, 51, 61) 또는 실시예2에서 설명한 포켓 부착 편성포(21), 실시예3, 실시예4에서 설명한 양말(31, 41) 이외에도 다양한 편성포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7의 베이스 편성포(22)에서 두부(頭部)를 덮는 모자라고 하면, 포켓(23)에 상당하는 부분을 2개 구비하여 귀를 덮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켓(23) 등의 통 모양 편성포는, 베이스 편성포(22)의 웨일방향의 도중이 아니라, 시단(始端) 또는 종단(終端)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는 통 모양 편성포는, 통 폭이나 통 길이는 임의이고, 접속위치나 개수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2매 베드의 횡편기에서 드로오프 편성(draw-off 編成)을 하고 있지만, 4매 베드의 횡편기 또는 2매 베드에서도 편침에 슬라이더에 의한 홀딩(holding)이 가능한 복합바늘을 사용하면, 총침 편성(total needle 編成)도 가능하다.
1, 51, 61 : 장갑
7 : 엄지용 손가락부 제1방향측
8, 9 : 걸림루프
10 : 엄지용 손가락부 제2방향측
11, 52, 62 : 엄지용 손가락부
12, 24 : 외측접합부
13, 25 : 내측접합부
21 : 포켓 부착 편성포
22, 71a, 71b : 베이스 편성포
23 : 포켓
31, 41 : 양말
31a : 발부리측
31b : 발목측
32 : 발뒤꿈치
32a : 편성폭 일정부분
32b : 편성폭 감소부분
42 : 바대
72, 73, 74, 75 : 손가락부

Claims (11)

  1.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무봉제(無縫製)로 편성되는 통(筒) 모양 편성포로서,
    코스방향(course 方向)의 왕복편성을 반복하는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웨일방향(wale 方向)으로 연속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중간에 되돌림부가 형성되고,
    되돌림부에서 되돌려지는 웨일방향의 일방측(一方側)의 편성포와 타방측(他方側)의 편성포가 대향(對向)하고,
    일방측의 편성포의 코스방향의 단부(端部)와, 상기 단부와 대향하는 타방측의 편성포의 코스방향의 단부와의 연결부분은, 트랜스퍼(transfer)에 의한 더블루프(double loop)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연결부분에 각 편성포에서 인접하는 영역에서 3코스 이상 스티치(stitch)가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나란하게 되어 있는, 동일한 직경의 통이 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 중 적어도 일방의 웨일방향의 단부의 일부는, 다른 편성포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다른 편성포와 상기 단부의 일부와의 경계부(境界部)에서는,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사이의 연결부분에, 바대가 되는 편성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는, 코스 수 또는 대응하는 코스의 스티치 수 중 적어도 일방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연결에 의하여 장갑 또는 양말에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수용하는 손가락부 또는 발가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일방향의 일방측의 편성포와 타방측의 편성포와의 연결에 의하여, 양말에서 발의 발뒤꿈치를 수용하는 발뒤꿈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편성포(base 編成布)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
  8. 스티치를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코스방향으로의 왕복편성의 반복에 의하여 스티치 열(stitch 列)이 형성되는 되돌림 편성포를,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하는 도중에 되돌리고, 되돌림에 이르는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되돌림으로부터의 제2방향측의 편성포를 대향시켜서,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제2방향측의 편성포를, 대향하고 있는 편성폭의 단부에서 연결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제1방향측의 편성포는,
    연결용의 스티치를, 이미 편성한 스티치 열의 단부에 부가한 연결용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과는 다른 편침에 결합하도록 스티치 열의 이동을 따르면서, 스티치 열의 단부에 부가하여 편침에 결합하는 것을 반복하여 편성하고,
    제2방향측의 편성포는,
    연결용의 스티치가 단부에 부가되어 있는 제1방향측의 편성포의 스티치 열에 미리 대응되어 있는 스티치 열을 편성할 때에, 단부를 상기 연결용의 스티치에 트랜스퍼에 의하여 포개어서 연결시킴과 아울러,
    제1방향측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이동을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측의 편성포는, 베이스 편성포가 되는 다른 편성포를 편성하는 도중에, 상기 베이스 편성포의 편성을 정지하는 상태에서 편성을 시작하고,
    상기 제1방향측이 되는 편성포에서의 스티치 열의 이동은, 베이스 편성포의 편성폭 외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측의 편성포와 상기 제2방향측의 편성포를 편성하여 연결을 할 때까지, 두께를 부여하는 편성포를 부가하여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측의 편성포 또는 상기 제2방향측의 편성포 중 적어도 일방은, 편성한 스티치 열에 대하여 증가 또는 감소를 하는 성형편성에 의하여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17018617A 2009-02-25 2010-02-20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101414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2612 2009-02-25
JPJP-P-2009-042612 2009-02-25
JP2009239863 2009-10-16
JPJP-P-2009-239863 2009-10-16
PCT/JP2010/001113 WO2010098052A1 (ja) 2009-02-25 2010-02-20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217A true KR20110125217A (ko) 2011-11-18
KR101414029B1 KR101414029B1 (ko) 2014-07-01

Family

ID=4266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617A KR101414029B1 (ko) 2009-02-25 2010-02-20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34331B2 (ko)
EP (1) EP2402489B1 (ko)
JP (1) JP5596014B2 (ko)
KR (1) KR101414029B1 (ko)
CN (1) CN102333912B (ko)
WO (1) WO20100980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444B1 (ko) * 2012-08-31 2015-03-0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파일편성방법, 파일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2489B1 (en) * 2009-02-25 2016-04-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Tube-shaped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JP5828653B2 (ja) * 2011-03-26 2015-12-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手袋
JP5774354B2 (ja) * 2011-04-13 2015-09-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844578B2 (ja) * 2011-09-01 2016-01-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引き返し編成方法、および編地
US9510636B2 (en) 2012-02-20 2016-12-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n integral knit tongue
US8448474B1 (en) 2012-02-20 2013-05-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 tongue
US11319651B2 (en) 2012-02-20 2022-05-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n integral knit tongue
US10260178B2 (en) 2012-03-01 2019-04-16 Showa Glove Co. Method for manufacturing glove,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glove, glove, and coated glove
JP5995535B2 (ja) * 2012-06-01 2016-09-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2014043666A (ja) * 2012-07-31 2014-03-13 Kitai:Kk 靴下
JP6177247B2 (ja) * 2012-09-25 2017-08-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フットウェア、および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JP6084047B2 (ja) * 2013-01-24 2017-02-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方法とニットデザイン装置
TWI596249B (zh) * 2013-04-04 2017-08-21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鞋襪類之編織方法
WO2014171300A1 (ja) * 2013-04-15 2014-10-2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シューズアッパーの製造方法、およびシューズアッパー
DE102013207153B4 (de) * 2013-04-19 2019-11-07 Adidas Ag An die Fußform angepasster Schuh
JP2015010298A (ja) * 2013-06-27 2015-01-19 岡本株式会社 レッグウェア
DE102014220087B4 (de)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JP6097831B2 (ja) * 2014-11-17 2017-03-15 タビオ株式会社 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JP6150836B2 (ja) 2015-03-31 2017-06-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サポーター、およびサポーターの編成方法
JP6195867B2 (ja) * 2015-05-15 2017-09-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指袋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05113076A (zh) * 2015-09-17 2015-12-02 南通强生安全防护科技有限公司 抗静电纱线及手套的制备方法
CN105442166A (zh) * 2015-11-04 2016-03-30 南通杰克拜尼服帽有限公司 一种横机织造无缝圆筒针织帽
CN105420902A (zh) * 2015-11-04 2016-03-23 南通杰克拜尼服帽有限公司 一种鱼鳞提花针织帽
ITUB20159196A1 (it) * 2015-12-16 2017-06-16 Tecnoguanti Italia S R L Guanto con protezione contro le temperature elevate, il taglio e le temperature molto basse
CA3023539A1 (en) * 2016-05-12 2017-11-16 Magic Leap, Inc. Distributed light manipulation over imaging waveguide
JP6667830B2 (ja) * 2016-10-03 2020-03-18 岡本株式会社 筒状編地、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靴下
CN108729002A (zh) * 2018-08-23 2018-11-02 福建荣荣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体编织成型的立体织物及其编织方法
DE202018106294U1 (de) 2018-11-05 2020-02-06 Julius Zorn Gmbh Medizinisches Gestrickteil
CN110592789B (zh) * 2019-10-12 2020-10-16 珠海建轩服装有限公司 空气层面料、空气层提花面料及其编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7635A (en) * 1955-05-26 1959-03-17 Ralph C Powell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seamless gloves
US3115760A (en) * 1960-08-23 1963-12-31 Ralph C Powell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seamless gloves
US5737943A (en) * 1996-07-26 1998-04-14 Creative Care, Inc. Seamless pedorthic sock and method of knitting same
JP3650268B2 (ja) * 1998-07-15 2005-05-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リブ編みを含む両面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DE19833392A1 (de) 1998-07-24 2000-01-27 Stoll & Co 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US6158253A (en) * 1999-09-17 2000-12-12 Knit-Rite, Inc. Seamless, form fitting foot sock
WO2002090637A1 (fr) 2001-05-08 2002-11-14 Shima Seiki Mfg., Ltd. Vetement pourvu d'un col tricote a l'aide d'une tricoteuse rectiligne, et procede de tricotage de ce vetement
US6981392B2 (en) * 2002-08-28 2006-01-03 Shima Seiki Mfg., Ltd. Gloves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JP4233409B2 (ja) * 2003-08-01 2009-03-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くり違いのある衣類の編成方法及びニットデザイン装置
JP4344210B2 (ja) * 2003-10-08 2009-10-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ラグラン袖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およびラグラン袖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
JP4353765B2 (ja) * 2003-10-10 2009-10-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4559053B2 (ja) * 2003-10-10 2010-10-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高サポート特性を有するシームレス手袋。
JP4408708B2 (ja) * 2004-01-14 2010-02-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パンツの編成方法、ニットパンツ、および横編機にパンツを編成させるための編成プログラム
JP2006109782A (ja) 2004-10-15 2006-04-27 San J Industry:Kk 漁礁およびアワビの養殖方法
JP4374310B2 (ja) * 2004-12-01 2009-12-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4336298B2 (ja) * 2004-12-09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編地を編成させるための編成プログラム
JP4336307B2 (ja) * 2004-12-28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二重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WO2006109782A1 (ja) 2005-04-12 2006-10-19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08115475A (ja) 2006-10-31 2008-05-22 Shima Seiki Mfg Ltd 指股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8121152A (ja) 2006-11-13 2008-05-29 Shima Seiki Mfg Ltd 指袋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222734B2 (ja) * 2006-12-22 2013-06-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靴下踵部の編成方法
JP2010037701A (ja) 2008-08-08 2010-02-18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
EP2402489B1 (en) * 2009-02-25 2016-04-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Tube-shaped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444B1 (ko) * 2012-08-31 2015-03-0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파일편성방법, 파일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029B1 (ko) 2014-07-01
EP2402489B1 (en) 2016-04-06
US8434331B2 (en) 2013-05-07
WO2010098052A1 (ja) 2010-09-02
EP2402489A4 (en) 2014-12-10
EP2402489A1 (en) 2012-01-04
CN102333912A (zh) 2012-01-25
CN102333912B (zh) 2013-10-16
JP5596014B2 (ja) 2014-09-24
JPWO2010098052A1 (ja) 2012-08-30
US20120000252A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5217A (ko)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101232703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484988B1 (ko)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KR101287867B1 (ko)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 장갑의편성방법 및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장갑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20070087591A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KR101329124B1 (ko) 되돌림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20130002259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EP1835058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fabric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KR101013363B1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KR101844254B1 (ko)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JP6934246B2 (ja) 横編機による編成部分同士の編み継ぎ一体化方法
EP2208814B1 (en) End-connecting method for doubly-cylindrical fabric
KR20090065441A (ko) 손가락부가 있는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20050061461A (ko) 통상편지 및 편성방법
KR101377442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2012233279A (ja)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20200041266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2021017674A (ja) 袋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袋状編地
JP2012031529A (ja) 指袋付き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