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88B1 -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 Google Patents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88B1
KR101484988B1 KR20080051434A KR20080051434A KR101484988B1 KR 101484988 B1 KR101484988 B1 KR 101484988B1 KR 20080051434 A KR20080051434 A KR 20080051434A KR 20080051434 A KR20080051434 A KR 20080051434A KR 101484988 B1 KR101484988 B1 KR 10148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knitting
toe
stitch
st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5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620A (ko
Inventor
아쓰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10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Glove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성완료 시에 각 손가락부가 손가락 연결부에서 항상 겹친 상태가 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겹치도록 접합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이다. 이 편성방법에서는, 우선, 인접하는 2개의 통 모양부에 있어서 편성폭 방향의 동일한 측의 경계부를 전후 중의 어느 하나의 일방의 니들베드에, 나머지의 경계부를 타방의 니들베드에 배치한 상태에서, 2개의 통 모양부를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에 있어서 접합하여 2개의 통 모양부를 1개로 합친 새로운 통 모양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2개의 통 모양부를 포갠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접합하는 접합 스티치를, 그 스티치의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와 포개어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 후에, 이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는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 접합 스티치에 포개진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는, 서로 손가락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대각방향의 위치에 있는 스티치를 선택한다.

Description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METHOD OF KNITTING SOCKS OR GLOVES WITH FINGER PORTIONS AND SOCKS OR GLOVES WITH FINGER PORTIONS}
본 발명은, 손가락부(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편성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손가락부는 경우에 따라 발가락부를 지칭하거나 또는 그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손가락과 발가락, 엄지(엄지 손가락) 등과 엄지 발가락 등과의 관계에서도 동일하다.)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특히 5개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에 관한 것이다.
양말이나 장갑은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이나 장갑은, 각 손가락부를 손가락 선단으로부터 손가락 연결부까지 1개의 통 모양체로서 편성한다. 장갑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새끼 손가락, 약지, 중지, 검지의 각 손가락부를 편성하여 이들 손가락부를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에서 상호 접합하면서 하나의 통 모양체로서 4지(指) 몸통을 편성한다. 다음에 엄지 손가락부를 편성하고 엄지 손가락부와 4지 몸통을 접합하여 하나로 합친 5지 몸통을 편성한다.
또한 양말의 편성에 있어서는, 엄지, 검지, 중지, 약지의 발가락부를 편성한 후에, 이들 발가락부를 발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에서 엄지와 검지의 발가락부를 접합하여 2지 몸통을 형성하고, 중지의 발가락부와 2지 몸통을 접합하여 3지 몸통을 형성하고, 3지 몸통과 약지의 발가락부를 접합하여 4지 몸통을 형성한 후에, 새끼 발가락의 발가락부를 편성하고, 이 새끼 발가락의 발가락부와 4지 몸통을 접합하여 양말을 편성하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또한 3개의 손가락부를 접합하여 3지 몸통을 형성한 후에, 3지 몸통에 다른 손가락부를 1개 접합하여 4지 몸통을 형성하고, 또한 나머지의 손가락부를 4지 몸통에 접합하여 5지 몸통을 형성함으로써 장갑을 편성하는 경우도 있다(특허문헌2를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39950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20064호 공보
이들 특허문헌에서는, 각 손가락부 간의 기저(基底)가 되는 손가락 연결부에서 인접하는 통 모양부(각 손가락부 및 2지 몸통, 3지 몸통, 4지 몸통)를 접합할 때에, 각 통 모양부의 접합장소 근방의 스티치를 포개는 연결부 포개기가 실시되고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5개 손가락의 장갑에 있어서, 검지 손가락부, 중지 손가락부 및 약지 손가락부를 1개로 합친 3지 몸통과 새끼 손가락부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3지 몸통의 스티치 중에서 새끼 손가락부 측의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의 여러 스티치와, 새끼 손가락부의 스티치 중에서 3지 몸통 측의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의 여러 스티치를 포개는 연결부 포개기를 실시한다. 그리고 연결부 포개기를 실시한 상태에서 주회편성을 하여 4지 몸통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편성된 종래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은,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장갑과 같이, 편성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손가락부의 손가락 선단이 벌어져버린다. 그런데 목장갑 등의 작업용 장갑을 제외한, 소위 패션 장갑은 시장에 출하될 때에,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다. 이 프레스 가공은, 검지의 손가락부가 손등 측에 있어서 최상(맨 위)에 위치하도록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의 손가락부가 겹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패션성을 가지는 양말의 경우에도,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엄지가 최상에 위치하도록, 엄지, 검 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의 손가락부가 겹치도록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렇게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여도, 편성포의 스티치는 형상을 안정되게 하려고 하여 원래의 상태, 즉 손가락 선단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손가락부의 겹침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그 결과, 양말 또는 장갑을 장기보관 하는 경우에는, 프레스 가공 시의 형상이 서서히 풀어져 간다. 또한 장갑 또는 양말을 세탁한 후에는 프레스 효과가 없어지므로, 편성종료 상태와 같은 손가락 선단이 벌어진 상태로 된다.
또한 프레스 작업을 하는 경우에, 손가락부의 겹침 상태를 수작업으로 균일하게 한 후에 프레스 하기 때문에, 프레스 작업이 번잡스럽게 되는 난점도 있다.
본 발명은, 편성완료 시에 각 손가락부가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항상 겹친 상태로 하여, 형상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프레스 작업을 경감시킬 수 있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및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 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손가락 선단으로부터 편성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겹치도록 접합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으로서, 이하의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방법이다.
인접하는 2개의 통 모양부에 있어서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2개의 통 모양부를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까지 편성하는 스텝.
이들 2개의 통 모양부에 있어서의 편성폭 방향의 동일한 측의 경계부를 전후 중의 어느 하나의 일방의 니들베드에, 나머지의 경계부를 전후 타방의 니들베드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통 모양부의 스티치를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에 포개어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연속하는 접합 스티치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통 모양부를 1개로 합친 새로운 통 모양부를 편성하는 스텝.
새로운 통 모양부의 전후 일방의 편성포부에 위치하는 접합 스티치와, 접합 스티치의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를 포개어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
새로운 통 모양부의 전후 타방의 편성포부에 위치하는 접합 스티치와, 이 접합 스티치의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로서 상기 일방의 접합 스티치 에 포개지는 스티치에 대하여 손가락 연결부를 사이에 둔 위치에 있는 스티치를 포개어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
상기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는 다음 코스 이후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 모양부라 함은,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의 손가락부, 2지 몸통, 3지 몸통, 4지 몸통, 5지 몸통을 말한다. 또한 경계부라 함은, 통 모양부를 전후의 편성포부로 나누었을 때의 경계를 가리키고, 경계부의 스티치라 함은,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스티치를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전후의 편성포부의 접합 스티치에 포개지는 스티치는, 손가락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대각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통 모양부의 접합 스티치를 그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와 포갤 때에는,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로서, 접합되는 2개의 통 모양부에 있어서의 경계부 중에서 손가락 연결부 측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새로운 통 모양부의 스티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손가락 연결부 측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스티치는,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2개 있는데, 이 2개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더라도 좋지만,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스티치를 선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으로, 엄지 발가락부, 검지 발가락부, 중지 발가락 부, 약지 발가락부, 새끼 발가락부의 5개의 발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을 편성하는 경우는, 5개의 발가락부는, 엄지 발가락부가 발등측에 있어서 최상위치가 되고, 이웃하는 발가락부가 발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겹치도록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최상위치로부터 엄지 발가락부, 검지 발가락부, 중지 발가락부, 약지 발가락부, 새끼 발가락부의 순서로 각 발가락부가 발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겹치도록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 엄지 손가락부, 검지 손가락부, 중지 손가락부, 약지 손가락부, 새끼 손가락부의 5개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장갑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의 손가락부에 대해서, 검지 손가락부가 다른 손가락부에 대하여 손등측에 있어서 최상위치가 되고,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겹치도록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최상위치로부터 검지 손가락부, 중지 손가락부, 약지 손가락부, 새끼 손가락부의 순서로 각 손가락부가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겹치도록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편성방법에 의하여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을 편성함으로써, 2개 이상의 손가락부를 구비하고, 손가락 선단으로부터 편성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겹치도록 접합된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양말 또는 장갑은, 인접하는 2개의 통 모양부를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에서 1개로 합친 새로운 통 모양부를 구비한다. 이 새로운 통 모양부는 대향하는 2개의 편성포부로 이루어지고, 이 편성포부의 각각에, 2개의 통 모양부를 접합하는 접합 스티치 및 이 접합 스티치와 접합 스티치의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를 포갠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스티치를 구비한다. 접합 스티치는, 2개의 통 모양부를 접합할 때에, 2개의 통 모양부의 스티치를 포개어 형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연속하는 스티치이다. 또한 새로운 통 모양부가 대향하는 편성포부에 있어서, 접합 스티치에 포개지는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는, 서로 손가락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대각방향의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은, 상기한 편성방법에 의하여 각 손가락부가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겹친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양말 또는 장갑은, 편성이 완성된 상태에서부터 이미 각 손가락부가 겹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손가락부를 포개기 위한 프레스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또한 착용을 반복하거나 세탁하거나 하여도 항상 손가락부가 겹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형상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프레스 작업을 경감시킬 수 있으면서 손가락부가 겹쳐진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겉보기도 양호한 양말 또는 장갑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편성과정에 있어서, 접합부의 스티치에 포개지 는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를, 접합되는 2개의 통 모양부의 경계부 중에서 손가락 연결부 측의 경계부의 스티치에 웨일 방향으로 연속하여 새로운 통 모양부를 형성하는 스티치로 함으로써, 접합하는 2개의 손가락부의 겹친 상태를 인체의 손발의 형상에 맞는 양말 또는 장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양말을 편성할 때에, 양말의 발가락부의 중첩을, 엄지 발가락을 삽입하는 발가락부를 발등측의 최상위치로 함으로써 인체의 발의 형상에 따른 양말로 할 수 있다. 또한 장갑을 편성할 때에, 장갑의 손가락부의 겹치기를,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부를 손등측의 최상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검지 손가락부, 중지 손가락부, 약지 손가락부, 새끼 손가락부로 함으로써 인체의 손의 형상에 따른 장갑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뒤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또한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소위 2베드의 횡편기를 사용하여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을 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2베드의 횡편기는, 선단에 훅(hook)을 구비한 바늘 본체와, 2장의 박판(薄板)을 포개어 구성한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니들(주식회사 시마세이키세이사쿠쇼의 등록상표)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주식회사 시마세이키세이사쿠쇼 제품인 SWG021을 사용한다. 또 횡편기는, 상기 슬라이드 니들을 구비한 횡편기 뿐만 아니라 래치 바늘을 구비한 횡편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횡편기로서, 4베드 횡편기나 트랜스퍼잭 베드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니들을 구비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베드이면서 공침(空針)을 두지 않고 모든 바늘을 사용하여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니들을 구비하는 횡편기에서는, 일방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슬라이드 니들의 슬라이더에 의하여 스티치를 타방의 니들베드로 진출시켜, 타방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슬라이드 니들의 슬라이더에 스티치를 걸어 두도록 한다(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438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스티치 홀딩 방법).
또, 래치 바늘의 2베드의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전후의 각 니들베드에 있어서 각각 하나 건너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을 하면 좋다. 이 경우에, 대향하는 전후의 니들베드에서 각각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로 코이동 할 수 있도록, 공침을 확보해 둔다.
이하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는, 통 모양부가 되는 손가락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통 모양으로 편성하고, 이들 손가락부 중에서 2개의 손가락부를 접합함으로써 2지 몸통이 되는 통 모양부를 형성하고, 접합한 통 모양부에 다음의 손가락부를 접합하여 보다 큰 통 모양부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3지 몸통, 4지 몸통, 5지 몸통을 형성해 간다.
<제1실시예>
도1은, 5개의 발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오른발용)의 평면도이다.
제1실시예에서 편성되는 양말1은 5개의 발가락부를 구비하고, 도1에 있어서 정면측이 발등측 편성포부1A(앞측 편성포)가 되고, 배면측이 발바닥측 편성포부1B(뒤측 편성포)가 된다. 또한 양말1은, 발가락 선단부의 위치가 제1발가락부21이 가장 돌출되어 있고, 제1발가락부21, 제2발가락부22, 제3발가락부23, 제4발가락부24, 제5발가락부25의 순서로 발가락 선단부의 위치가 내려가고 있다. 제1발가락부21은 엄지에 대응하고, 제2발가락부22는 검지, 제3발가락부23은 중지, 제4발가락부24는 약지, 제5발가락부25는 새끼 발가락에 각각 대응된다.
또한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의 사이에 제1발가락 연결부31이, 제2발가락부22와 제3발가락부23의 사이에 제2발가락 연결부32가, 제3발가락부23과 제4발가락부24의 사이에 제3발가락 연결부33이, 제4발가락부24와 제5발가락부25의 사이에 제4발가락 연결부34가 형성된다. 제1발가락 연결부31, 제2발가락 연결부32, 제3발가락 연결부33, 제4발가락 연결부34의 위치도, 제1발가락 연결부31로부터 순차적으로 발목 측으로 내려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발가락부21로부터 제2발가락부22, 제3발가락부23, 제4발가락부24, 제5발가락부25의 순서로, 각 발가락부를 개별로 통 모양으로 편성해 간다.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를 편성한 후에,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를 제1발가락 연결부31로 접합하여 2지 몸통41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3발가락부23을 편성하고 제3발가락부23과 2지 몸통41의 제2발가락부22 부분을 제2발가락 연결부32로 접합하여 3지 몸통51을 형성한다. 제4발가락부24를 편성하고 제4발가락부24와 3지 몸통51의 제3발가락부23 부분을 제3발가락 연결부33으로 접합하여 4지 몸통61을 형성한다. 제5발가락부25를 편성하고 제5발가락부25와 4지 몸통61의 제4발가락부24 부분을 제4발가락 연결부34로 접합하여 5지 몸통71을 형성한다. 5지 몸통71을 발삽입구11까지 편성하여 양말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발가락부21, 제2발가락부22, 제3발가락부23, 제4발가락부24, 제5발가락부25, 2지 몸통41, 3지 몸통51, 4지 몸통61, 5지 몸통71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 모양부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양말의 발등측 편성포부1A를, 주로 앞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양말의 발바닥측 편성포부1B를, 주로 뒤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다만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서는 각 발가락부는, 발가락 연결부 형성위치까지 편성한 시점에 있어서의 발등측 편성포부(장갑에 있어 서는 손등측 편성포부)와 발바닥 편성포부(장갑에 있어서는 손바닥측 편성포부)의 경계부를 미리 설정하고 있다. 각 발가락부를 통 모양으로 편성하는 데에 있어서는, 실의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후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대략 같은 수로 하여 편성한다.
제1실시예에 관한 양말1의 발삽입구11 이외의 부분의 편성조직 및 후술하는 제2실시예의 장갑의 손삽입구 이외의 부분의 편성조직은, 설명의 편의상 평편성의 무지(無地)로 하고 있지만, 자카드(Jacquard)나 리브(rib) 등의 조직 패턴(structure pattern)이어도 좋다.
우선, 양말의 제1발가락부와 제2발가락부를 접합하고 2지 몸통을 형성하는 편성방법, 또한 2지 몸통과 제3발가락부를 접합하여 3지 몸통을 형성하는 편성방법에 대하여 도2∼4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2∼3의 편성 공정도에 있어서, 좌측의 숫자는 편성공정의 스텝을 나타내고, 좌측의 FB는 앞 니들베드를, BB는 뒤 니들베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접합하기 전에 있어서의 각 통 모양부의 발등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굵은 원으로 나타내고, 발바닥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가는 원으로 나타낸다. 또한 각 스티치에 대하여 a∼x까지의 알파벳을 붙여 스티치를 특정하고 있다. 한편 도4에는, 도2∼3의 스텝3, 스텝5, 스텝10, 스텝11 시의 편성포부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2에 있어서, 우선,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를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스텝1). 양쪽 발가락부21, 22는, 일방을 발가락부의 끝으로부터 제1 발가락 연결부31이 되는 위치까지 편성한 후에, 타방도 발가락부의 끝으로부터 제1발가락 연결부31이 되는 위치까지 편성하도록 하여 형성하면 좋다.
본 스텝1에 있어서, BB에 결합되는 스티치가 뒤측 편성포(발바닥측의 편성포부1B, 손바닥측의 편성포부10B)의 스티치를 나타내고, FB에 결합되는 스티치가 앞측 편성포(발등측의 편성포부1A, 손등측의 편성포부10A)의 스티치를 나타내고 있다. 즉, 스티치a와 l의 사이 및 스티치f와 g의 사이가 제1발가락부21의 경계부가 되고, 스티치m과 x의 사이 및 스티치r과 s의 사이가 제2발가락부22의 경계부가 된다.
스텝1에서 발가락 연결부 형성위치까지 편성한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의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좌측단부의 스티치 2개를 BB로 돌림과 아울러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우측단부의 스티치 2개를 FB로 돌려 양쪽 발가락부21, 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2). 이 스텝2에 의하여 인접하는 2개의 발가락부21, 22의 좌측의 경계부가 BB에 배치되고, 동(同) 발가락부21, 22의 우측의 경계부가 FB에 배치된다.
또, 스텝2의 상태로 하기 위해서,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좋고, 일방을 시계방향으로 타방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발가락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코스를 편성한 시점에서 각 발가락부를 회전시켜 두고, 그 상태에서 각 발가락부를 발가락 연결부까지 편성하면, 스텝2의 상태로부터 편성을 시작하게 된다.
다음에 제2발가락부22에 있어서 FB에 결합되는 앞측 편성포의 스티치 전체를 BB의 슬라이더에 걸어두고, BB를 도면의 좌측으로 래킹 한 후에, BB의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는 제2발가락부22의 앞측 편성포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FB의 바늘로 코이동 한다. 이 코이동에 의하여 제1발가락부21의 FB의 스티치e에 제2발가락부22의 스티치v가 포개진다. 그리고 BB에 결합되어 있는 제2발가락부22의 뒤측 편성포의 스티치 전체를 FB의 슬라이더에 걸어두고, BB를 도면의 우측으로 래킹 한 후에, FB의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는 제2발가락부22의 뒤측 편성포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BB의 바늘로 코이동 한다. 이 코이동에 의하여 제1발가락부21의 BB의 스티치d에 제2발가락부22의 스티치w가 포개진다(스텝3). 스텝3의 스티치의 포개기에 의하여 뒤측 편성포의 더블 스티치83과 앞측 편성포의 더블 스티치84로 발가락 연결부31이 형성된다. 즉, 이 더블 스티치83, 84가 발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이다.
상기한 스텝2, 3에 의하여,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의 좌측의 경계부(굵은 원과 가는 원의 경계)는 BB측에 배치되고 양쪽 통 모양부21, 22의 우측의 경계부는 FB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양쪽 통 모양부21, 22가 접합된다. 즉,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발가락부21의 좌측 경계부의 스티치a, l이 BB측에 배치되고, 제2발가락부22의 우측 경계부의 스티치s, r이 FB측에 배치되어, 제1발가락부21의 뒤측 편성포와 제2발가락부22의 앞측 편성포가 접합된 상태가 된다. 이 때에, 제1발가락부21의 우측 경계부의 스티치g, f가 FB에 있어서 발가락 연결부의 스티치84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발가락부22의 좌측 경계부의 스티치x, m이 BB에 있어서 발가락 연결부의 스티 치83의 근방에 배치된다.
다음에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가 접합된 상태로부터, 제1발가락 연결부31의 위치에 구멍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결부 닫기 편성(스텝4)을 한 후에, 주회편성을 한다(스텝5). 이 때의 주회편성은, 앞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스텝3에 있어서 포개진 앞측 편성포의 더블 스티치84에도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하고, 뒤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스텝3에 있어서 포개진 뒤측 편성포의 더블 스티치83에도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한다. 스텝5의 주회편성에 의하여 2지 몸통41의 기부(基部)를 편성한다(도4(B)를 함께 참조).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2지 몸통41에는, 이들 발가락부21, 22와 마찬가지로 경계부가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2지 몸통41의 좌측의 경계부는 제1발가락부21의 좌측의 경계부와 일치하고, 2지 몸통41의 우측의 경계부는 제2발가락부22의 우측의 경계부와 일치한다.
2지 몸통41은, 설명의 편의상, BB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좌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새롭게 알파벳을 붙여 A∼K로 하고, 마찬가지로 FB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우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알파벳을 붙여 L∼V로 한다. 여기에서 스티치B, C, R 및 S는, 각각 제1발가락부21의 스티치l, a, f 및 g에 대하여 웨일 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이며, 스티치G, H, M 및 N은, 각각 제2발가락부22의 스티치x, m, r 및 s에 대하여 웨일 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이다. 즉, 2지 몸통41의 좌측 경계부가 BB에, 우측 경계부가 FB에 배치되고 또한 제1발가락부21의 우측 경계부에 연속하는 스티치S, R이 FB에 있어서 제1발가락 연결부31 근방에 배치되고, 제2발가락부22의 좌측 경계부에 연속하는 스티치G, H가 BB에 있어서 발가락 연결부31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스티치F는 더블 스티치83에 대하여 웨일 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이며, 스티치Q는 더블 스티치84에 대하여 웨일 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이다. 즉, 양쪽 스티치F, Q는, 발가락 연결부의 스티치83, 84에 연속하여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를 접합하는 접합 스티치이다.
스텝5의 상태로부터,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가 발가락 연결부에서 겹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편성을 한다. 우선, 스텝5의 상태로부터 BB를 우측방향으로 2피치 래킹 한 후(스텝6)에, FB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L∼R을 대향하는 BB의 슬라이더, 구체적으로는 스티치I∼C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니들의 슬라이더에 걸어둔다(스텝7).
다음에 BB를 좌측방향으로 2피치 래킹 한 후에, BB의 슬라이더에 걸어두었던 스티치L∼R을 대향하는 FB의 바늘로 코이동 한다(스텝8). 이 코이동에 의하여 2지 몸통41의 앞측 편성포의 스티치R이 동(同) 편성포부의 스티치T에, 동(同) 편성포부의 스티치Q가 스티치S에 포개진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3의 편성 블록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BB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A∼G를 대향하는 FB의 슬라이더, 구체적으로는 스티치V∼N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니들의 슬라이더에 걸어둔다.
그리고 BB를 좌측방향으로 2피치 래킹 한 후에, FB의 슬라이더에 걸어두었던 스티치A∼G를 대향하는 BB의 바늘로 코이동 한다(스텝10). 이 코이동에 의하여 2지 몸통41의 뒤측 편성포의 스티치G가 동(同) 편성포부의 스티치I에, 동(同) 편성포부의 스티치F가 스티치H에 포개진 상태가 된다.
접합 스티치Q(84)에 포개진 스티치S는, 제1발가락부21의 우측 경계부의 스티치g에 웨일 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이며, 접합 스티치F (83)에 포개진 스티치H는 제2발가락부22의 좌측 경계부의 스티치m에 웨일 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이다. 즉, 발가락 연결부31을 사이에 두고 대각위치에 있는 스티치H 및 S를 각각 접합 스티치F 및 Q에 포개어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고, 도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지 몸통41의 전후의 편성포부가, 각각의 접합 스티치F, Q의 근방에서 역Z자 모양으로 접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2지 몸통41 중에서 제1발가락 연결부31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좌측의 영역이 제1발가락부21의 실질적인 삽입구가 되고, 우측의 영역이 제2발가락부22의 실질적인 삽입구가 된다. 또한 전후의 편성포부를 접은 길이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2지 몸통41 중에서 각 발가락부21, 22의 실질적인 삽입구가 되는 2개의 영역의 어느 일방이 극단적으로 좁아지는 것 같은 경우가 없다.
다음에 2지 몸통41을 제2발가락 연결부32의 위치까지 주회편성 한다(스텝11). 이 스텝11에 의하여 2지 몸통41의 전후의 편성포부에 있어서 역Z자 모양으로 접힌 부분에 형성되는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여 스티치가 형성된다. 그 결과, 도4(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지 몸통41의 편성폭단부 의 위치에 2지 몸통41의 경계부를 배치했을 때에, 발가락 연결부31의 스티치83, 84의 위치가 편성폭 방향의 좌우로 어긋난 상태로 고정된다. 그 때문에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가, 제1발가락 연결부31의 위치에서 겹친 상태로 접합된 2지 몸통41이 형성된다. 이 때, 도4(C)의 시점에서는 전후의 편성포부를 각 편성포부의 발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의 근방에서 되돌리고 있지만, 도4(D)의 시점에서는 그 접힌 부분이 통의 내부로 돌출하지 않는다. 즉, 2지 몸통41에 있어서의 각 발가락부21, 22의 실질적인 삽입구의 위치에 장해가 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양말을 착용할 때에 발가락부에 원활하게 발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2지 몸통41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도1에 나타내는 양말1의 3지 몸통51, 4지 몸통61, 5지 몸통71을 아래와 같이 편성한다. 2지 몸통41을 주회편성 하는 회수를 변경함으로써, 제1발가락 연결부31과 제2발가락 연결부32의 발목으로부터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어, 실제의 발의 형상에 맞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발가락부23을 제2발가락 연결부32의 형성위치까지 편성하고, 제1발가락부21과 제2발가락부22의 접합과 마찬가지로, 제3발가락부23의 좌측 경계부가 BB에, 우측 경계부가 FB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에, 2지 몸통41의 좌측 경계부는 이미 BB에, 우측 경계부는 F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2지 몸통41을 회전시킬 필요는 없다. 이 스텝12 이후의 편성은, 도2, 3의 스텝3∼10과 동일한 편성을 하고, 접합 스티치의 근방에서 편성포부가 접힌 부분을 구비하는 3지 몸통을 편성한다.
이후는, 2지 몸통41의 편성 및 3지 몸통51의 편성과 마찬가지로, 4지 몸통61, 5지 몸통71의 편성을 하고, 5지 몸통71을 발삽입구11까지 주회편성 하여 양말1이 완성된다. 구체적으로는, 4지 몸통61을 편성할 때에는, 도3의 스텝12에 있어서의 2지 몸통41을 3지 몸통으로 치환하고 제3발가락부23을 제4발가락부로 치환하여 편성하면 된다. 5지 몸통71도 같은 방법으로 편성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발가락부를 접합해 감으로써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가 삽입되는 제1발가락부21이 최상위치가 되도록 각 발가락부가 발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포개진 상태가 되어,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각 발가락부가 똑바로 신장된 상태가 되어 보기가 좋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양말1은, 각 발가락부를 접합해 가는 과정에서 접합되는 통 모양부(41, 51, 61, 71)의 편성폭이 줄어들어 간다. 예를 들면 2지 몸통41의 둘레의 길이는, 제1발가락부21의 둘레의 길이와 제2발가락부22의 둘레의 길이의 합계보다도 작다. 또한 다른 통 모양부51, 61, 71에 대해서도, 2지 몸통41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둘레의 길이의 관계는 실제의 발의 형상과 일치하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양말1은 장착했을 때의 발의 형상에 딱 맞는다. 여기에서 특허문헌1의 양말의 경우에도 접합되는 통 모양부의 편성폭은 줄어들어 가지만, 이 문헌의 양말에서는 접합할 때 에 포갠 스티치의 수 밖에 편성폭이 줄어들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실제의 발의 형상에 일치시키기 위해서, 특허문헌1의 양말 등에서는 의도적으로 편성폭을 더 감소시키는 편성을 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양말1은, 각 발가락부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접합 스티치 근방에 있어서의 편성포부를 접어서 편성폭을 감소시키고 있으므로, 종래의 양말에 있어서 발의 형상에 맞추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었던 편성폭을 감소시키는 편성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발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1은, 도2,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몸통부(41, 51, 61, 71) 중에서 각 발가락부21∼25에 대한 발가락의 실질적인 삽입구가 되는 부분이 극단적으로 좁아지지 않고, 당해 부분에 장해가 되는 돌출도 없기 때문에 장착성이 좋다.
또, 도2의 스텝2와 도3의 스텝11에 있어서의 통 모양부의 회전을 할 때에는, 일방의 니들베드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로 스티치를 코이동 할 때에 스티치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코이동을 하기 전의 편성공정에 있어서, 회전하는 스티치를, 코이동에 의해 뒤틀림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미리 뒤틀어서 형성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스티치를 코이동 했을 때에 뒤틀림이 해소되도록 미리 뒤틀어 둠으로써, 회전을 하여도 스티치에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기타, 3개 이상의 통 모양부(발가락부)를 동시에 접합하는 경우에도, 도2,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성방법에 따라 접합하면 된다. 예를 들면 3개의 발가락부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3개의 발가락부를 발가락 연결부 형성위치까지 편성한 후에, 3개의 발가락부를 회전시켜서 발가락 연결부에서 접합하고 주회편성 함으로써 3지 몸통의 기부를 편성한다. 그리고 도2, 3의 스텝6∼10과 마찬가지로, 3지 몸통의 접합 스티치에 대하여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고 또한 접합 스티치 부분에서 3지 몸통의 전후의 편성포부를 역Z자 모양으로 접고, 이 접힌 부분을 고정시키는 편성을 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3지 몸통의 경계부를 편성폭 방향 단부에 배치했을 때에, 각 발가락 연결부에 연속하는 3지 몸통의 스티치가 편성폭 방향의 좌우로 어긋난 상태로 고정되어, 각 발가락부가 발가락 연결부에서 포개지는 3지 몸통이 형성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서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장갑10(오른손용)의 편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실시예는 도2,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양말에 대한 실시예이지만, 이 도2, 3에 나타내는 편성방법은 도5에 나타내는 장갑의 편성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장갑10은 5개의 손가락부21∼25를 구비하고, 도5에 있어서 정면측이 손등측 편성포부10A(앞측 편성포)가 되고, 배면측이 손바닥측 편성포부10B(뒤측 편성포)가 된다. 이 장갑10은, 중지 손가락부23의 선단이 가 장 돌출하여 있고, 다음에 검지 손가락부22,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 엄지 손가락부21의 순서로 손가락 선단부의 위치가 내려가는 상태이다. 또한 검지 손가락부22가 손등측의 가장 상위에 있고, 이 검지 손가락부22 밑에 중지 손가락부23이 겹치고, 중지 손가락부23 밑에 약지 손가락부24가 겹쳐 있다. 또한 약지 손가락부24 밑에 새끼 손가락부25가 겹쳐 있다.
엄지 손가락부21과 검지 손가락부22의 사이에 제1손가락 연결부31을,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의 사이에 제2손가락 연결부32를, 중지 손가락부23과 약지 손가락부24의 사이에 제3손가락 연결부33을, 약지 손가락부24와 새끼 손가락부25의 사이에 제4손가락 연결부34를 형성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되는 위치가, 제2손가락 연결부32, 제3손가락 연결부33, 제4손가락 연결부34, 제1손가락 연결부31의 순서로 손목 측으로 내려가고 있다. 또, 검지와 중지 사이의 연결부와, 중지와 약지 사이의 연결부의 위치가 대략 같은 손을 가진 사람도 많으므로, 제2손가락 연결부32와 제3손가락 연결부33에 있어서 손목으로부터의 거리를 동일하게 한 장갑이더라도 좋다.
제2실시예는,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 엄지 손가락부21의 순서로 개별적으로 손가락부를 편성해 간다. 그리고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으로 2지 몸통42가 형성되고, 2지 몸통42와 약지 손가락부24로 3지 몸통52가 형성되고, 3지 몸통52와 새끼 손가락부25로 4지 몸통62가 형성되고, 또한 4지 몸통62와 엄지 손가락부21로 5지 몸통7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엄지 손가락부21,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 2지 몸통42, 3지 몸통52, 4지 몸통62, 5지 몸통72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 모양부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갑의 손등측 편성포부10A를 주로 앞 니들베드FB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장갑의 손바닥측 편성포부10B를 주로 뒤 니들베드BB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그리고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을 편성한 후에,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을, 도2, 3에 나타내는 편성방법에 따라 제2손가락 연결부32로 접합하여 2지 몸통42를 형성한다.
다음에 약지 손가락부24를 편성하고, 이 약지 손가락부24와 2지 몸통42의 중지 손가락부23 부분을 도2, 3에 나타내는 편성방법에 따라 제3손가락 연결부33으로 접합하여 3지 몸통52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약지 손가락부24는, 2지 몸통42의 전후의 편성포부 중에서 검지 손가락부22가 접합되는 쪽과 반대측의 편성포부에 접합된다.
또, 제2손가락 연결부32와 제3손가락 연결부33에 있어서 손목으로부터의 거리를 동일하게 한 장갑이라면,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과 약지 손가락부34를 동시에 접합한 3지 몸통52를 형성하고, 그 후에 새끼 손가락부25와 엄지 손가락부21을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장갑을 완성시키면 된다.
3지 몸통52의 편성에 이어서 새끼 손가락부25를 편성하고 새끼 손가락부25와 3지 몸통52의 약지 손가락부24 부분을 제4손가락 연결부34로 접합하여 4지 몸통62를 형성한다. 새끼 손가락부25는, 3지 몸통52의 전후의 편성포부 중에서 중지 손가락부23이 접합되는 쪽과 반대측의 편성포부에 접합된다.
또한 엄지 손가락부21을 편성하고 엄지 손가락부21과 4지 몸통62의 검지 손가락부22 부분을 제1손가락 연결부31로 접합하여 5지 몸통72를 형성한다. 엄지 손가락부21을 4지 몸통62에 접합할 때에는, 4지 몸통62의 경계부를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부21 만을 니들베드 상에서 회전시켜 접합한다. 이렇게 4지 몸통62와 엄지 손가락부21을 접합함으로써 엄지 손가락부21이 장갑10의 손바닥측으로 돌출하도록 접합되므로, 실제의 손의 형상에 따른 장갑10으로 할 수 있다.
최후에, 5지 몸통72를 손삽입구12까지 편성하여 장갑10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손가락부를 접합해 감으로써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검지가 삽입되는 검지 손가락부22가, 장갑10의 손등측에 있어서의 최상위치가 되고, 이하,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의 순서로, 인접하는 각 손가락부가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포개진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검지 손가락부22로부터 새끼 손가락부25까지의 4개의 손가락부가 똑바로 신장된 상태가 되어서 보기가 좋아진다. 또한 이 장갑10은, 제1실시예의 양말과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몸통부(42, 52, 62) 중에서 각 손가락부에 대한 손가락의 실 질적인 삽입구가 되는 부분에 장해가 되는 것 같은 돌출 장소가 없기 때문에, 장착성이 좋다. 또한 이 장갑10은, 손가락 연결부 근방의 4지 몸통62의 편성폭이, 손의 손가락 연결부 근방의 둘레의 길이에 적당한 길이가 되므로, 장착했을 때에 착용감이 좋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횡편기를 사용하여 무봉제(無縫製)로 편성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을 편성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1은, 제1실시예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양말의 평면도이다.
도2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공통되는 통 모양부의 편성 공정도이다.
도3은, 도2에 계속되는 편성 공정도이다.
도4는, 도2∼3의 편성과정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스텝일 때의 편성포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도면으로서, (A)는 도2의 스텝3일 때의 편성포부의 상태를, (B)는 도2의 스텝5일 때의 편성포부의 상태를, (C)는 도3의 스텝10일 때의 편성포부의 상태를, (D)는 도3의 스텝12일 때의 편성포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5는, 제2실시예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장갑의 평면도이다.
도6은, 종래의 장갑의 손가락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말 1A 발등측 편성포부
1B 발바닥측 편성포부 10 장갑
10A 손등측 편성포부 10B 손바닥측 편성포부
11 발삽입구 12 손삽입구
21 제1손가락부, 엄지 손가락부(제1발가락부, 엄지 발가락부)
22 제2손가락부, 검지 손가락부(제2발가락부, 검지 발가락부)
23 제3손가락부, 중지 손가락부(제3발가락부, 중지 발가락부)
24 제4손가락부, 약지 손가락부(제4발가락부, 약지 발가락부)
25 제5손가락부, 새끼 손가락부(제5발가락부, 새끼 발가락부)
31 제1손가락 연결부(제1발가락 연결부)
32 제2손가락 연결부(제2발가락 연결부)
33 제3손가락 연결부(제3발가락 연결부)
34 제4손가락 연결부(제4발가락 연결부)
41, 42 2지 몸통 51, 52 3지 몸통
61, 62 4지 몸통 71, 72 5지 몸통
83 뒤측 편성포의 더블 스티치(연결부의 스티치)
84 앞측 편성포의 더블 스티치(연결부의 스티치)

Claims (5)

  1.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손가락 선단으로부터 편성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겹치도록 접합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편성물의 편성방법으로서,
    인접하는 2개의 통 모양부에 있어서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2개의 통 모양부를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까지 편성하는 스텝과,
    이들 2개의 통 모양부에 있어서의 편성폭 방향의 동일한 측의 경계부를 전후 중의 어느 하나의 일방의 니들베드에, 나머지의 경계부를 전후 타방의 니들베드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통 모양부의 스티치를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에서 포개어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과,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연속하는 접합 스티치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통 모양부를 1개로 합친 새로운 통 모양부를 편성하는 스텝과,
    새로운 통 모양부의 전후 일방의 편성포부에 위치하는 접합 스티치와, 이 접합 스티치의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를 포개어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과,
    새로운 통 모양부의 전후 타방의 편성포부에 위치하는 접합 스티치와, 이 접합 스티치의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로서 상기 일방의 접합 스티치에 포개지는 스티치에 대하여 손가락 연결부를 사이에 둔 위치에 있는 스티치를 포개어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는 다음 코스 이후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편성물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를, 손가락 연결부 측의 경계부의 스티치에 연속하는 스티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편성물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물이, 엄지 발가락부, 검지 발가락부, 중지 발가락부, 약지 발가락부, 새끼 발가락부의 5개의 발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로서,
    5개의 발가락부는, 엄지 발가락부가 발등 측에 있어서 최상위치가 되고, 이웃하는 발가락부가, 순차적으로 발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겹치도록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편성물의 편성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물이, 엄지 손가락부, 검지 손가락부, 중지 손가락부, 약지 손가락부, 새끼 손가락부의 5개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장갑으로서,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의 손가락부에 대해서, 검지 손가락부가 다른 손가락부에 대하여 손등 측에 있어서 최상위치가 되고,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순차적으로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겹치도록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편성물의 편성방법.
  5.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손가락부를 구비하고, 손가락 선단으로부터 편성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에서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겹치도록 접합된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편성물로서,
    인접하는 2개의 통 모양부를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에서 포개어 1개로 합친 새로운 통 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새로운 통 모양부는, 대향하는 2개의 편성포부로 이루어지고,
    각 편성포부에서 상기 2개의 통 모양부를 접합하도록, 2개 통 모양부의 스티치를 포개어 형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접합 스티치와,
    일방의 편성포부의 접합 스티치와 이 접합 스티치의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를 포갠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와,
    타방의 편성포부의 접합 스티치와, 이 접합 스티치의 편성폭 방향 근방의 스티치로서 일방의 편성포부의 접합 스티치에 포개지는 스티치에 대하여 손가락 연결부를 사이에 둔 위치에 있는 스티치를 포개어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스티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편성물.
KR20080051434A 2007-06-12 2008-06-02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KR101484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5708A JP4969326B2 (ja) 2007-06-12 2007-06-12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JPJP-P-2007-00155708 200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20A KR20080109620A (ko) 2008-12-17
KR101484988B1 true KR101484988B1 (ko) 2015-01-21

Family

ID=4018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1434A KR101484988B1 (ko) 2007-06-12 2008-06-02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69326B2 (ko)
KR (1) KR101484988B1 (ko)
CN (1) CN1013240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8783B2 (ja) 2012-03-01 2017-08-09 ショーワグローブ株式会社 手袋製造方法、コーティング手袋製造方法、手袋及びコーティング手袋
CN102578714A (zh) * 2012-03-19 2012-07-18 上海丽娜时装有限公司 一种立体五趾袜及其编织方法
JP6025484B2 (ja) * 2012-10-03 2016-11-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伏目方法、および編地
JP6211482B2 (ja) * 2014-08-08 2017-10-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CN104264355B (zh) * 2014-08-27 2016-04-06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由双针床横编机编织金属线织物的方法
WO2018142584A1 (ja) * 2017-02-03 2018-08-09 株式会社アドヴァンシング くつ下及びくつ下製造方法
JP6989077B2 (ja) * 2017-05-24 2022-01-05 武田レッグウェアー株式会社 ニット手袋
JP7252147B2 (ja) * 2020-01-10 2023-04-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手袋編機
CN112064185B (zh) * 2020-09-17 2021-10-22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手套机的手套编织装置及编织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064A (ja) 1999-01-29 2000-08-08 Shima Seiki Mfg Ltd 手袋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0239950A (ja) 1999-02-18 2000-09-05 Shima Seiki Mfg Ltd 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022B2 (ja) * 1991-03-08 1995-11-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手袋および手袋編成における端縁部の処理方法
CN101310054B (zh) * 2005-11-11 2011-08-17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带指袋的袜子或手套的编织方法以及带指袋的袜子或手套
JP2007131983A (ja) * 2005-11-11 2007-05-31 Shima Seiki Mfg Ltd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064A (ja) 1999-01-29 2000-08-08 Shima Seiki Mfg Ltd 手袋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0239950A (ja) 1999-02-18 2000-09-05 Shima Seiki Mfg Ltd 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4007B (zh) 2011-10-05
CN101324007A (zh) 2008-12-17
JP4969326B2 (ja) 2012-07-04
JP2008308773A (ja) 2008-12-25
KR20080109620A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988B1 (ko)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KR101232703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5596014B2 (ja)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330233B2 (ja) 3次元編物の編成方法とこれを用いた3次元編物
KR101287867B1 (ko)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 장갑의편성방법 및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장갑
KR100768349B1 (ko) 편성 장갑
CN101435131A (zh) 带指袋针织物及其编织方法
KR100976769B1 (ko) 장갑 및 그 편성방법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7131983A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US7047768B2 (en) Tubular knit fabric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JP2008115475A (ja) 指股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4066075B2 (ja) 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の製造方法及び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
JP2006348428A (ja) 靴下の編成方法
CN113529256B (zh) 手套及手套的编织方法
JP2006111995A (ja) シームレス手袋、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3056820U (ja) 新規な靴下類
JP2006188779A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指袋部の編成方法
JP2002013049A (ja) 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