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769B1 - 장갑 및 그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장갑 및 그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769B1
KR100976769B1 KR1020057003134A KR20057003134A KR100976769B1 KR 100976769 B1 KR100976769 B1 KR 100976769B1 KR 1020057003134 A KR1020057003134 A KR 1020057003134A KR 20057003134 A KR20057003134 A KR 20057003134A KR 100976769 B1 KR100976769 B1 KR 10097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thumb
bones
main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586A (ko
Inventor
타쿠야 미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3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 가능하며 전후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한 장갑의 편성방법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의 편성을 행하고,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에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4본동의 편목을, 공침으로의 눈옮김과 침상의 랙킹동작에 의해, 4본동을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목이 계지된 편침을 향하여 돌리도록 회전동작을 행한 후에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을 행한다.

Description

장갑 및 그 편성방법{Gloves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전후 1쌍의 침상(針床)을 가지고, 전후 침상(針床)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 가능하며, 전후 침상 사이에 편목(編目)의 눈옮김(目移)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이용하여 편성(編成)되는 장갑 및 그 편성방법(編成方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작업용 장갑 등 지대(指袋). 즉 손가락싸개와 4본동(四本胴)과 5본동(五本胴)이 연속하여 편성되는 장갑은, 전용 장갑편기로 편성되어 그 대부분이 좌우겸용(左右兼用) 타입으로 되어있다.
그런데, 종래의 좌우겸용형의 장갑은 통상(通常),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은손가락(小指)(1), 약손가락(藥指)(2), 가운데손가락(中指)(3), 둘째손가락(人差指)(4), 엄지손가락(親指)(5)의 지대(指袋), 즉 손가락싸개와 5본동의 편성부가 손등쪽(甲側) 또는 손바닥측(掌側)에서 동일평면(同一平面)이 되도록 편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장갑은 우선 작은손가락(1)의 지대(指袋)로부터 짜기 시 작하여, 약손가락(2), 가운데손가락(3), 둘째손가락(4)의 순으로 각 손가락 지대가 짜진 후, 작은손가락(1)으로부터 둘째손가락(4)까지를 하나의 통상체(筒狀體)로하여 4본동을 편성한다.
그리고, 4본동(四本胴)을 편성하고, 엄지손가락(5)의 편성이 행해진 후, 엄지손가락(5)에 앞서 짜진 4본동을 하나로 하여 5본동이 편성되고, 손머리부(手首部)의 편성이 이루어지면 작업이 종료된다.
또한, 지대를 편성할 때, 예컨데 장갑전용 장갑편기(手袋編機)를 이용하여 장갑을 편성할 경우에는 통상(通常)은 "가미소리"라 불리워지는 억지간(抑止杆)을 이용하고, 이 "가미소리"에 의해 앞서 편성된 지대의 편목(編目)중, 다음에 편성하는 지대에 가까운 측의 2~3눈(目)을 눌러서 편침(編針)에 계지(係止)시킨 상태로 하며, 이 편목(編目)이 계지된 편침(編針)을 다음의 지대의 편성에도 사용하여 다음의 지대를 편성한다.
이 동작이 작은손가락(1)으로부터 둘째손가락(4)까지의 각 손가락정강이부(指股部)에서 행해지도록 "가미소리"의 위치를 그만큼 이동시켜간다.
그리고, 엄지손가락(5)을 제외하고 모든 지대의 편성이 행해진 후에, 부작용상태(不作用狀態)로 하고있던 편목을 작용상태로 하고, 편목이 겹쳐합친 상태로 편사를 주위로 돌려서 4본동을 편성하며, 이와 같은 손가락정강이부의 편성은 4본동과 엄지손가락(5)과의 사이에서도 행해진다.
그러므로, 종래(從來)의 장갑편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손가락(1), 약손가락(2), 가운데손가락(3), 둘째손가락(4), 엄지손가락(5)의 지대 및 5본동의 편성 부가 손등측(甲側) 또는 손바닥측(掌側)에서 동일평면이 되도록 편성된다.
그러나, 실제로 사람의 손바닥은 바닥 전체에 대해 엄지손가락이 붙은 뿌리부분이 손바닥 측으로 튀어나와있어 엄지손가락이 다른 손가락보다도 손바닥 앞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엄지손가락의 손 끝이 향하는 방향과 손톱(爪)이 향하는 방향이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의 손가락 끝이 향하는 방향과 이들 손톱의 방향과는 다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편성된 장갑에서는 장갑 착용시 손등 측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서 압박감을 주기도 하고, 장갑이 손에 꼭 맞기 어려워 손등측의 편목(甲側編目)을 넓게 하면 외관이 나빠진다고 하는 불합리가 있어왔다.
더우기, 장갑을 착용하였을 때, 엄지손가락의 배부분에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되는 손가락끝 커브라인X의 양단 뭉침부Y가 닿게되어, 장착시 위화감(違和感)이 발생하므로 작업성이 나빠지게 되는 불합리가 있어왔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따라서 장갑착용시의 압박감을 경감(輕減)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제 손의 형상에 맞는 3차원적인 형상을 가지는 장갑 및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갑착용시 엄지손가락에서의 위화감을 없애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갑의 편성방법 및 편성된 장갑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장갑의 편성방법은 좌우 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1쌍의 침상(針床)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 가능하며, 전후 침상 사이에서 편목(編目)의 눈옮김(目移)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이용하는 장갑의 편성방법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四本胴)의 편성을 행하고,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地袋)를 접합하기 전에 편침(編針)에 계지되어 있는 4본동의 편목을 공침(空針)으로의 눈옮김(目移)과 침상의 랙킹동작으로, 4본동을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목이 계지되는 편침으로 향하여 돌려서 회전동작을 행하고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엄지의 지대의 편목을 공침(空針)으로의 눈옮김과 침상의 랙킹동작에 의해 1/4주(周)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동작을 행한 후,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4본동에 대한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개소(接合箇所)를 실제 사람손의 형상에 맞는 위치로 할 수 있고, 장갑 전체를 3차원적인 형상으로 할 수가 있으므로, 장갑착용시 손등(甲)의 엄지손가락 뿌리부분에서 생기게 되는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가 있어서 장갑이 손에 꼭 맞게 착용되기 쉽게 된다.
한편, 4본동의 회전동작은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의 상태로부터 1/10주(周), 즉 4본동을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목이 계지되는 편침으로 향하여 1/10바퀴(周)만큼 회전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삭제
이 방법에 따르면,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회전동작으로,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배부분에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손끝 커브라인의 양단뭉침부가 닿지 않도록 할 수가 있고, 장갑 착용시의 위화감 또는 거북함이 없어지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엄지손가락의 회전동작은,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의 상태로부터, 엄지손가락에서의 4본동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편목이 손바닥측에 돌아들어가는 방향으로 3/20주~1/4주(周)의 범위 내에서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되는 장갑의 편성방법은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에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1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가능하고, 전후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는 장갑의 편성방법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의 편성을 행한다.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에 편침에 계지되는 엄지의 지대의 편목을, 공침으로의 눈옮김과 침상의 랙킹동작에 의해 1/4주(周)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동작을 한 후, 4본동에서의 손바닥측에서 둘째손가락측 단부로부터 소정(所定)의 눈수(目數)를 가진 여러개의 편목(編目)에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목의 일부를 겹쳐 합치고, 겹쳐 합친 편목을 복목처리(伏目處理)한 후 5본동(五本胴)을 편성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4본동에 대한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개소(接合箇所)를 실제 사람손 형상에 맞는 위치로 할 수가 있고, 장갑 전체를 3차원적인 형상으로 할 수가 있으므로, 장갑 착용시 손의 갑(甲)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생기게 되는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가 있어, 장갑이 손에 꼭 맞게 된다.
삭제
이 방법에 따르면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회전동작으로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배부분에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손가락 끝 커브라인의 양끝 중간뭉침부분이 닿지않도록 할 수 있고, 장갑착용시의 위화감이 없게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서도 엄지손가락의 회전동작은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의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에의 4본동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편목이 손바닥측으로 돌려들어가는 방향으로 3/20주(周)부터 1/4주의 범위 내에서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의 편성방법은,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 가능하며, 전후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는 장갑의 편성방법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성을 행하고,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을 행한 후 5본동을 편성할 때 손의 등쪽의 편목에 대하여 손바닥쪽의 편목이 적어지도록 편목을 줄여서 5본동을 편성하고, 손바닥쪽의 편지부분에 엄지의 지대가 돌출된 상태에서, 손바닥쪽의 편지부에 대하여 엄지의 지대의 방향, 또는 향하는 것이 회전된 상태로 장갑을 편성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5본동에서 손바닥측의 편지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만으로, 장갑의 형상을 4본동의 손바닥면에서 엄지손가락이 지대가 돌출된 실제의 사람손의 형상에 맞는 3차원적인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갑 착용시에 손등(甲)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생기던 압박감을 줄일 수 있어 장갑이 손에 꼭 맞게 된다.
더우기, 5본동에서 4본동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손바닥측의 엄지손가락측 단부로부터 5본동에서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에 소정 코-스마다 겹쳐 합치게하면서 5본동을 편성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손바닥의 내측에 줄임눈(減目)의 선이 나타나도, 손바닥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형성되는 곡(谷) 사이의 선을 따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장갑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에 4본동의 엄지손가락측에서 편목을 늘이므로써 편폭을 늘이는 편성을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장갑의 4본동의 폭방향칫수(幅方向寸法), 즉 넓게할 수 있고, 장갑 착용시에 손등(甲)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서의 압박감을 더욱 양호하게 줄일 수 있으며, 편목이 넓어지므로 인해 외관이 나쁘게되는 불합리 또한,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가 접합된 후에, 5본동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사람 손의 형상에 보다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고, 4본동의 편폭을 늘리더라도 손 머리부분이 느슨해지지 않는다.
더우기 5본동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과, 5본동에 있어서 4본동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소정 코-스마다 겹쳐 합쳐지게하면서 5본동을 편성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손바닥 내측에 줄임눈(減目)의 선이 나타나도, 손바닥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형성되는 곡(谷) 사이의 선을 따라가는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을 양호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은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 가능하고, 전후의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된 장갑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갖추고, 4본동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의 지대가 접합되는 위치함과 아울러, 엄지의 지대가 그 1/4주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4본동과 엄지의 지대와의 접합이 행해져 편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은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 가능하고, 전후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된 장갑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삼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갖추고, 4본동에 있어서 손바닥측에서 둘째손가락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눈(目) 수만큼의 다수의 편목에 엄지손가락의 지대가 해당지대의 1/4주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편목의 일부가 중합되어 복목처리가 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은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 가능하고, 전후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된 장갑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갖추고 4본동과 엄지의 지대가 접합된 후에 5본동을 편성할 때 손의 등쪽의 편목에 대하여 손바닥쪽의 편목이 적어지도록 편목을 줄여서 5본동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손바닥쪽의 편지부분에 엄지의 지대가 돌출된 상태로 손바닥측의 편지부에 대하여 엄지의 지대가 향하는 것, 즉 방향이 회전한 상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전술한 여러가지 장갑에 있어서, 장갑의 4본동에 대한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개소가 실제 사람의 손의 형상에 맞는 위치로 되고, 장갑 전체를 3차원적인 형상으로 하는것이 가능하므로 장갑착용시에 손등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생겼던 압박감이 경감 가능하게 되고, 장갑이 손에 꼭 맞게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장갑 및 그 편성방법에 대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후침상이 좌우로 랙킹 가능하고, 게다가 전후의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소위 2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장갑을 편성한다.
2매 베드의 횡편기는, 통상(筒狀)의 장갑을 편성하는 경우, 전후의 각 침상(베드)에서 각각 1본(本) 두기(걸러) 침을 이용해서 편성을 행하므로써, 예컨데 전침상의 홀수번째의 침(針)을 주로 장갑의 손바닥측 부분의 편지를 편성하기 위하여 이용하고, 후침상의 짝수번째의 침(針)을 주로 장갑의 손등부분(甲側部分)을 편성하기 위해 이용한다.
또한, 전후 침상은 한쪽의 침상의 편성용(編成用)에 이용되는 침에 대향하는 다른 쪽 침상의 침을 공침(空針)으로 해놓고, 그 공침을 눈옮김(目移)이나 리브편 등을 행하기 위해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공침을 이용하므로써, 링크스, 가터(garter), 리브 등의 표목(表目)과 이목(裏目)이 혼재(混在)한 조직의 무늬를 편성하기도 하고, 편목을 코-스 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2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할 경우, 전후침상의 한쪽 또는 양쪽의 상위(上位)에 트랜스퍼잭을 배열설치한 트랜스퍼잭 베드를 설치하여 편지(編地)를 편성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2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장갑을 편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상부전침상(上部前針床), 하부전침상(下部前針床), 상부후침상(上部後針床), 그리고 하부후침상(下部後針床)으로 이루어지는 4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4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데 하부전침상과 상부후침상에서 전측편지(前側編地)를 편성하고, 하부후침상과 상부전침상에서 후측편지(後側編地)를 편성하여 전측편지를 편성할 때에는 후측편지의 루-프(loop)를 모두 하부후침상의 침에 계지시키고, 후측편지를 편성할 때에는 전측편지의 루-프를 모두 하부전침상의 침에 계지시켜 편성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2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 엄지손가락의 지대와,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접합되는 4본동과, 4본동 및 엄지손가락의 지대가 접합되는 5본동이 이음눈(繼目)이 없는 연속된 통상(筒狀)으로 되도록 이음없이(seamless) 편성된다.
본 실시형태는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에 맞게, 4본동에 대한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개소를 실제 사람의 손의 형상에 맞게 위치시켜 장갑 전체를 3차원적인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편성방법으로 편성된 장갑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編成工程圖)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루-프의 형성에 사용하는 침 사이에 눈옮김용 공침을 배치한 침을 뺀 편성을 행하지만, 도 3, 도 4 그리고 후술하는 제 3실시형태의 도 8, 도 9에 있어서는, 루-프의 형성에 사용되는 침(針)만을 나타내고, 루-프의 형성에 사용되는 침 사이에 배치된 눈옮김에 이용되는 침을 생략하여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는 7게이지(gauge), M사이즈의 장갑의 예를 나타낸다. 작은손가락(1)은 각 베드(침상) 9침(전후 베드 합하여서 18침)을 사용하여 지대가 편성되고, 약손가락(2)은 앞베드 9침, 후베드 10침(전후 베드 합하여서 19침), 가운데손가락(3)은 각 베드 10침(전후 베드 합하여서 20침), 둘째손가락(4)은 앞베드 11침, 후베드 10침(전후 베드 합하여서 21침), 그리고 엄지손가락(5)은 각 베드 11침(전후베드 합하여서 22침)이 사용된다.
또한, 앞베드(FB)에서는 홀수번째의 침을 루-프(loop)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하고, 후베드(BB)의 짝수번째의 침을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한다.
우선, 작은손가락(1), 약손가락(2), 가운데손가락(3), 둘째손가락(4)의 지대를 편성한다. 각 지대의 편지(編地)는 손바닥쪽으로 되는 전측편지를 앞베드(FB)의 편침에서 편성하고, 손등(甲)쪽이 되는 후측편지를 후베드(BB)의 편침으로 편성한다. 그리고, 각 지대의 편성이 완료되면 도 3에 나타난 단계 1의 상태로 된다. 작은손가락(1), 약손가락(2), 가운데손가락(3), 둘째손가락(4)의 각각의 전측편지 및 후측편지는 서로 이웃하는 편지의 단부(端部)가 도 3과 같이 1침 분량으로 비도록 편침에 계지되어 있다.
그리고, 단계 2와 같이, 약손가락(2), 가운데손가락(3), 둘째손가락(4)의 지대의 지고(指股), 즉, 손가락정강이의 편성을 행한다. 지고의 편성은 후베드에서의 후측편지 사이의 비어있는 침(짝수침)과, 앞베드에서의 전측편지 사이의 비어있는 침(홀수침)에 늘임눈(增目)을 하면서 둘째손가락(4), 가운데손가락(3), 약손가락(2)의 순서로 후측편지를 1 코-스 연속편성하므로써 가셋트(gusset)를 가지는 둘째손가락(4)과 가운데손가락(3)의 사이의 지고 A, 가운데손가락(3)과 약손가락(2)의 사이의 지고(指股)B가 편성된다.
이 상태로부터, 둘째손가락(4), 가운데손가락(3), 약손가락(2)가 연결된 하나의 통상(筒狀)으로 되도록 1 코-스 1주시켜 편성하면 단계 3과 같은 3본동(三本胴)(6)이 편성되기 시작한다. 단계 3의 상태에서 3본동(6)은 전후 각 베드의 침에 각각 32눈(目)씩 계합된 상태로 되어있다.
단계 3의 3본동(6)의 편성으로 둘째손가락(4), 가운데손가락(3), 약손가락(2)의 지대가 3본동(6)에 접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3본동(6)의 편성은, 단계 3~4의 사이에 둘째손가락(4)의 편목과 가운데손가락(3)의 편목을 각각 약손가락(2) 쪽에 이동시키면서, 둘째손가락(4)과 가운데손가락(3)의 경계에서 4눈(目) 줄이고, 가운데손가락(3)과 약손가락(2)의 경계에서 4눈(目) 줄여서, 전후 각 베드의 침에 각각 24눈(目)이 계지된 단계 4와 같은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선 앞베드에 대하여 가운데손가락(3)과 둘째손가락(4)의 편목 전체와 두개의 늘임눈(增目)을 후베드의 공침(空針)에 눈옮김하고, 후베드에서 3본동(6)의 약손가락(2)측 단부(端部)의 편목을 앞베드의 공침으로 눈옮김하고, 후베드를 좌우방향으로 랙킹하고, 약손가락(2)와 가운데손가락(3)의 사이에 형성된 늘임눈(增目)을 눈옮김하여 약손가락(2)의 단부의 편목에 겹치고, 즉, 후베드를 오른쪽 방향으로 랙킹하며,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편목 전체를 앞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하며, 가운데손가락(3)의 단부의 편목을 약손가락(2)의 단부의 편목에 겹쳐 합쳐치게 한다.
다음으로 후베드에 대하여 가운데손가락(3)과 둘째손가락(4)의 편목 전체와 두개의 늘임눈(增目)을 앞베드의 공침(空針)에 눈옮김하고, 후베드를 왼쪽 방향으로 랙킹하고, 가운데손가락(3)과 약손가락(2)의 사이에 이루어진 늘임눈을 가운데손가락(3)의 단부의 편목에 눈옮김하여 겹쳐 합쳐지게 하고, 또한, 후베드를 왼쪽 방향으로 랙킹하고 앞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가운데손가락(3)의 편목의 전체를 후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하며, 약손가락(2)의 단부의 편목에 가운데손가락(3)의 단부의 편목을 겹쳐 합쳐지게함과 동시에, 앞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3본동(6)의 약손가락(2)측 단부의 편목을 후베드에 눈옮김한다.
또한, 후베드를 왼쪽 방향으로 랙킹하고, 앞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가운데손가락(3)과 둘째손가락(4)의 사이에 형성된 늘임눈을 후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하고, 가운데손가락(3)의 단부의 편목에 늘임눈을 겹쳐 합쳐지게함과 동시에, 앞베드의 3본동(6)의 약손가락(2)측 단부의 편목을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다.
그리고, 후베드를 왼쪽방향으로 랙킹하고, 앞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둘째손가락(4)의 전체의 편목을 후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하고, 가운데손가락(3)의 단부의 편목에 둘째손가락(4)의 단부의 편목을 겹쳐 합쳐지게 한다.
다음으로, 앞베드의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둘째손가락(4)의 전체편목과 가운데손가락(3)과 둘째손가락(4) 사이에 형성된 늘임눈을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하고, 후베드를 오른쪽방향으로 랙킹하고, 가운데손가락(3)의 단부의 편목에 늘임눈을 겹쳐 합쳐지게 함과 동시에,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3본동(6)의 약손가락(2)측 단부의 편목을 앞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한다.
그리고, 후베드를 오른쪽방향으로 랙킹하고,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둘째손가락(4)의 전체편목을 앞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하고, 가운데손가락(3)의 단부의 편목에 둘째손가락(4)의 단부의 편목을 겹쳐 합쳐지게 한다.
이와 같이, 4눈을 줄인 상태에서 전후베드에서 1 코-스 편성하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하여 4눈을 줄여 1 코-스 편성하고, 단계 4와 같은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단계 5에 나타나 있듯이, 3본동(6)과 작은손가락(1)의 사이의 지고 C를 편성한다. 이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이, 후베드에서 후측편지 사이의 비어있는 편침과, 앞베드에서 전측편지 사이의 비어있는 편침에 늘임눈을 하면서, 3본동(6)에서 작은손가락(1)의 순으로 후측편지를 1 코-스 연속편성하므로써 가셋트(gusset)를 가지는 지고 C가 편성된다.
이 상태로부터, 3본동(6)과 작은손가락(1)이 연결된 하나의 통상(筒狀)으로 되도록 1 코-스 1주(周)시켜 편성하면 단계 6에 나타난 4본동(7)이 편성되기 시작한다. 단계 6의 상태에서는, 4본동(7)은 전후 각 베드의 침에 각각 34눈(目)씩 계지(係止)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단계 6의 4본동(7)의 편성으로 3본동(6)과 작은손가락(1)의 지대가 접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4본동(7)의 편성은, 단계 6~7의 사이에, 3본동(6)의 편목을 작은손가락(1)측에 이동시키면서 3본동(6)과 작은손가락(1)의 경계에서 3눈 줄여서, 전후 각 베드의 침에 각각 31눈(目)씩 계지시킨 단계 7에 나타난 상태로 된다.
단계 7의 상태로부터, 도 4의 단계 8에 나타나 있듯이 4본동(7)의 편지는 후베드를 랙킹시켜 전후베드에 계지되는 편지의 단부의 편목을 대향하는 베드에 계지된 편지단부의 가로의 편침에 눈옮김을 하고 회전동작을 행하면서 4본동(7)의 회전동작 후, 4본동(7)의 편폭(編幅)을 늘임눈(增目)으로 늘려서 1주편성하는 동작을 소정 코-스 반복하므로써 단계 9의 상태로 한다.
또한, 회전동작의 방향은 엄지손가락(5)의 지대가 손바닥 중앙에 가깝도록 돌리므로써 늘임눈은 엄지손가락(5)이 접합된 쪽의 단부(단계 9에서 4본동의 왼쪽 끝)의 편목을 늘려간다.
또한, 도 3~도 4에 나타난 장갑의 편성공정(編成工程)은 오른쪽손용 장갑의 편성공정도로써, 오른쪽손용 장갑을 편성하는 경우는 단계 8과 같은 회전동작의 방향은 전측편지의 엄지손가락측 단부가 후베드에 회전되도록 왼쪽으로 돌려 회전동작을 행한다.
회전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베드를 오른쪽으로 랙킹하고 4본동(7)에서 후측편지의 오른쪽 끝 편목을 전측편지의 오른쪽 끝의 편목의 오른쪽으로 눈옮김하고, 동시에 전측편지의 왼쪽 끝 편목을 후측편지의 왼쪽 끝 편목의 왼쪽으로 눈옮김하여 1눈(目)만큼의 회전동작을 행한다.
이어서, 후베드를 오른쪽으로 랙킹하고, 후베드 위에 계지된 오른쪽 끝의 루-프를 앞베드 위에 계지된 오른쪽 끝의 루-프의 오른쪽의 침으로 눈옮김하고, 동시에 앞베드 위에 계지된 왼쪽 끝의 루-프를 후베드 위에 계지된 왼쪽 끝의 루-프의 왼쪽의 침에 눈옮김하여 1눈(目)만큼 회전동작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후베드와 앞베드의 각각에 계지된 편지의 오른쪽 끝과 왼쪽 끝에서 1눈씩을 전후베드 사이에 이동시키면서 1눈만큼을 돌리는 회전동작을 1회(回)로 하고, 회전동작을 반복하여 회수를 조정하므로써, 4본동(7)에 대한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접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4본동(7)의 회전동작은 4본동(7)의 편목을 1/10주, 도 4의 단계 8에 있어서 침 7본(本)만큼 회전동작을 하고있다.
그리고, 4본동(7)의 편폭을 늘리는 편성을 행한 후에,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편성을 행함에 있어서, 엄지손가락(5)의 통상편지와 4본동(7)의 통상편지가 전후 베드에서 편침 1본(本)을 빈 상태로 편성되어, 단계 10의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단계 11에서와 같이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편지를 회전동작함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엄지손가락(5)의 편지의 편목에 대하여 각 베드에 계지된 편지의 단부의 편목를 대향하는 베드의 편침에 눈옮김을 하면서, 후베드를 랙킹시키는 동작을 소정의 핏치(pitch)수 반복하므로써, 회전동작을 행한다.
또한,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편성하는 단계 10에 나타난 최종 코-스에서는, 회전동작을 행하는 눈(目)수만큼, 눈옮김했을 때 비틀림이 해소되도록 미리 비틀리게 루-프를 편성한다.
즉, 회전동작의 방향은, 엄지손가락(5)의 4본동(7)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편목이 손바닥측으로 돌아들어가는 방향으로 1/4주(周) 이하의 범위 내에서 회전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4주, 도 4에서는 침 6본(本)만큼 회전시킨다.
또한, 엄지손가락(5)의 회전동작은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의 상태에서, 엄지손가락(5)에서의 4본동(7)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편목이 손바닥쪽으로 돌아들어가는 방향으로 3/20주에서 1/4주의 범위 내에서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계 12에서와 같이,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사이의 지고(指股) D를 편성한다. 지고 D의 편성은, 후베드에서의 엄지손가락(5)과 4본동(7)의 후측편지 사이의 비어있는 편침과, 앞베드에서의 엄지손가락(5)과 4본동(7)의 전측편지 사이의 비어있는 편침에 늘임눈을 함과 동시에, 각각의 늘임눈의 침의 양측의 침은 터크(tuck)하고, 엄지손가락(5)에서 4본동(7)의 순서로 후측편지를 1 코-스 연속편성하므로써 가셋트를 가지는 지고 D가 편성된다.
그리고, 단계 12의 편성 후에, 단계 13에서와 같이 늘임눈이 된 침(*으로 표시한 위치)에 그 양측의 편목을 눈옮김하고, 늘임눈에 두개의 편목을 겹치게하여 모든 편목을 서로 이웃하는 침에 눈옮김한다.
눈옮김한 후, 단계 14에서와 같이 전후 베드에 걸쳐 1 코-스 편성하고, 또한 단계 15에서와 같이 늘임눈이 된 침에 그 양측의 편목을 눈옮김하여, 늘임눈에 두개의 편목을 겹쳐지도록 모든 편목을 서로 이웃하는 침에 눈옮김한다. 그리고, 단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후 베드에 걸쳐 1 코-스 편성하여 지고 D의 편성을 완료한다. 단계 16의 상태에서는, 5본동(8)은 전후 각 베드의 침에 각각 42눈씩 계합된 상태로 되어있다.
단계 12로부터 단계 16까지의 5본동(8)의 편성으로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지대가 접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단계 16에 의해,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지대가 접합된 후에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한다.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은, 5본동(8)에서의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에, 5본동(8)에서의 4본동(7)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소정 코-스마다 겹쳐지게하면서 5본동(8)을 편성해가므로써 행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5본동(8)에서의 4본동(7)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손바닥쪽의 엄지손가락측 단부에서 5본동(8)에서의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에 소정 코-스마다 겹쳐지게하면서 5본동(8)을 편성하여, 단계 17의 상태로 5본동(8)의 편성이 완료된다.
그리고, 5본동(8)에 연속하여 손머리부분을 리브편으로 편성하여 장갑의 편성을 완료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장갑은, 이상과 같이, 4본동(7)의 편목을 1/10주, 도 4의 단계 8에서 침 7본(本)만큼 회전동작하고, 또한 엄지손가락(5)의 편목도 1/4주, 도 4의 단계 11에서 침 6본(本)만큼 회전동작한 후에 엄지손가락(5)과 4본동(7)을 접합하는 편성을 행하므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붙은 뿌리부분이 5본동(8)에서 손바닥 중심에 가깝게 접합된 형상으로 하여, 실제 사람의 손의 형상에 맞는 3차원적인 장갑의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면서 엄지손가락(5)에서 지대의 손가락끝 끝단부의 편목이 1/4주 회전된 상태로 5본동(8)에 접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그 결과, 4본동(7)을 회전동작한 후에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을 접합하므로써, 실제 사람의 손의 형상에 맞는 삼차원적인 장갑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장갑착용시에 손등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종래 생겨왔던 압박감이 경감될 수 있고 장갑이 손에 꼭 맞게된다.
즉, 엄지손가락(5)의 회전동작으로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배부분에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되는 손가락 끝 커브라인 X의 양끝 중간뭉침부분 Y가 닿지않게 되고, 장갑장착시의 위화감이 없게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을 접합하기 전에, 4본동(7)의 편폭을 늘리는 편성을 하여 장갑의 4본동(7)의 폭방향칫수를 넓게 할 수 있으므로 편목이 벌어지지 않아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장갑 착용시에 손등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압박감을 또한 양호하게 제거해 준다.
또한,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이 접합된 후에,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하므로써, 사람손의 형상에 보다 맞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4본동(7)의 편폭을 늘린다 하더라도 손 머리부분이 느슨해지지 않는다.
특히,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데 있어서는, 5본동(8)에서 엄지손가락(5)에 연속하는 편목과 4본동(7)에 연속하는 편목 사이에서 눈을 줄이도록 편성하므로써 손바닥 내측에 줄임눈(減目)의 선(線)(도 1 및 도 2의 E로 표시된 선)이 나타나도, 손바닥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형성된 곡(谷) 사이의 선을 따른 상태로 되어, 외관을 양호히 할 수 있다.
또한,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은, 손바닥 중앙쪽에서 눈을 줄이지 않고, 손바닥의 엄지손가락쪽 단부에서 눈을 줄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엄지손가락(5)의 지대와 4본동(7)의 양쪽에서 회전동작을 행하였지만, 엄지손가락(5)만으로 회전동작을 행하거나, 또는 4본동(7)만으로 회전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편성 및 회전동작을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형태로 행함과 동시에, 도 5에서와 같이 엄지손가락(5)의 4본동(7)과의 접합위치를 손바닥 중앙쪽으로 하는 편성을.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도 6에 나타냄)를 이용하여 이하의 편성순서로 행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장갑을 편성함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1부터 단계 7까지는 같은 편성을 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는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사이에 지고 D를 형성하기 전에, 4본동(7)의 편폭을 늘임눈에 의해 늘린다. 이 늘임눈은, 엄지손가락(5)이 접합되는 쪽의 단부의 편목을 늘려간다.
그리고, 4본동(7)의 편성이 완료된 후 도 6에 나타난 단계 8a에서와 같이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편성을 행한다. 그리고, 단계 9a에서와 같이,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편지를 회전동작하므로써, 제 1 실시형태의 단계 11과 같이하여 엄지손가락(5)의 편지의 편목에 대해서 각 베드에 계지된 편지의 단부의 편목을, 대향하는 베드의 편침에 눈옮김을 하면서, 후베드를 랙킹시킨 동작을 소정의 핏치(pitch)수 반복하므로써 회전동작을 행한다.
한편, 도 6에 나타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8a에서 엄지손가락(5)의 편성이 행해진 직후의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앞베드와 후베드와의 경계선을 51a, 51b로 나타내고, 또한 4본동(7)의 앞베드와 후베드와의 경계선을 71a, 71b로 나타내며, 이 엄지손가락(5)의 경계선(51a, 51b)를 기준으로하여 회전동작의 회전량을 결정한다.
회전동작의 방향은, 엄지손가락(5)에의 4본동(7)에서 먼 쪽의 측단부의 편목(경계선 51a)이 4본동(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또한 손바닥쪽으로 돌아들어가도록 1/4주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4주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단계 10a에서와 같이, 4본동(7)에의 손바닥측에서 둘째손가락측 단부(경계선 71a)에서 소정의 눈수를 가진 다수의 편목에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편목의 일부를 겹쳐지게하므로써, 우선 4본동(7)의 앞베드에 계지되어 있는 편목 전체를 후베드에 계지되어 있는 편목 사이의 공침에 눈옮김함과 동시에, 엄지손가락(5)의 후베드에 계지되어 있는 편목 전체를 앞베드에 계지되어 있는 편목 사이의 공침에 눈옮김한다.
그리고, 엄지손가락(5)의 편목의 일부와 4본동(7)의 편목의 일부가 겹쳐질때 까지 후베드의 랙킹동작을 행하고, 엄지손가락(5)의 편목의 일부와 4본동(7)의 편목의 일부가 겹쳐지는 부분에 있어서, 4본동(7)에의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전측편목을 엄지손가락(5)의 편목이 계지되어 있는 편침에 눈옮김을 하고, 겹쳐 합쳐진 편목(編目)만을(점선부분 D) 복목처리(伏目處理)하여 단계 11a의 상태로 한다.
이 단계 11a의 복목처리(伏目處理)에 의해, 도 5에 나타난 엄지손가락(5)과 4본동(7)과의 사이에 지고 D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4본동(7)의 후베드에 있어, 단계 10a에서 공침에 눈옮김한 편목전체를 앞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함과 동시에, 엄지손가락(5)의 앞베드에의 단계 11a에서 공침에 눈옮김한 편목 전체를 후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하여 단계 12a의 상태로 한다.
단계 12a의 상태에서 5본동(8)을 편성하고, 이 5본동(8)의 편성으로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지대가 접합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단계 13a에서와 같이,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지대가 접합된 후에,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한다.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은, 5본동(8)에서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에 5본동(8)에의 4본동(7)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소정 코-스마다 겹치게하면서 5본동(8)을 편성해가는 것으로 한다. 즉,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은, 손바닥 중앙측에서 눈을 줄이는 것이 아니고, 손바닥의 엄지손가락측 단부에서 눈을 줄이도록 해도 좋다.
5본동(8)의 편성 후에, 5본동(8)에 연속하여 손 머리부분을 리브편으로 편성하여 장갑의 편성을 완료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4본동(7)과 엄지손가락(5)과의 접합 전에 4본동(7)의 편폭을 늘리고, 4본동(7)과 엄지손가락(5)과의 접합 후에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도록 하였으나, 4본동(7)의 편폭을 늘리지 않고,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일 없이 장갑을 편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경우는, 손바닥쪽의 편지의 편폭을 줄이도록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엄지손가락(5)과 4본동(7)과의 경계부분이 되는 개소에서 눈을 줄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엄지손가락(5)의 회전동작으로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배부분에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선단부에 형성된 손가락끝 커브라인 X의 양끝 중간뭉침부분 Y가 닿지않게 되므로 장갑장착시의 위화감이 없게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4본동(7)의 손바닥쪽의 편지부분에서 둘째손가락쪽 단부(경계선 71a)에 엄지손가락(5)이 겹쳐지도록 엄지손가락(5)과 4본동 사이의 지고 D를 형성하므로써, 실제 사람 손의 형상에 맞는 장갑으로 할 수 있고, 장갑착용시에 생기던 손등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의 압박감을 경감할 수가 있으며, 장갑이 손에 꼭 맞게 된다.
즉,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을 접합하기 전에, 4본동(7)의 편폭을 늘리는 편성을 하여 장갑의 4본동(7)의 폭방향칫수를 넓게할 수 있으므로, 장갑착용시에 손등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생기던 압박감을 양호히 제거할 수 있고 편목이 넓어져 외관이 나쁘게 되는 불합리도 해소될 수 있다.
또한,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을 접합한 후에,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하므로써, 사람손의 형상에 보다 맞는 형상으로 할 수 있고, 4본동(7)의 편폭을 줄이더라도 손 머리부분이 늘어지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엄지손가락(5)의 회전동작을 행하였지만, 엄지손가락(5)의 회전동작을 하지 않고, 4본동(7)에 대한 엄지손가락(5)의 접합위치를 손바닥 중앙쪽으로 하여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을 접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제 2 실시형태도, 4본동과 엄지손가락 지대의 접합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엄지손가락 이외의 각 지대끼리를 접합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는, 5본동(8)에서 손바닥쪽의 편지의 편폭을 줄이면서 5본동(8)을 편성하여 장갑을 편성하는 것으로, 5본동(8)에서 4본동(7)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손바닥쪽의 엄지손가락쪽 단부에서부터 5본동(8)에서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에, 소정 코-스마다 겹쳐지게하면서 5본동을 편성해가도록 하고, 도 7에서와 같이, 완성된 장갑의 엄지손가락(5)의 4본동(7)에의 접합위치가 손바닥 중앙쪽으로 되도록 한다.
제 3 실시형태의 장갑을 편성하는 데 있어서는,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도 8 및 도 9에 나타냄)를 이용하여 이하의 편성순서로 행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3에 나타난 단계 1부터 단계 7까지는 같은 편성을 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는,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사이에 지고 D를 형성하기 전에, 도 8의 단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4본동(7)의 편폭을 늘임눈에 의해 늘인다. 이 늘임눈은, 엄지손가락(5)이 접합되는 쪽의 단부의 편목을 늘려간다.
그리고, 4본동(7)의 편성이 완료된 후, 단계 9b와 같이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편성을 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10b와 같이, 4본동(7)과 엄지손가락(5) 사이의 지고 D를 편성한다. 지고 D의 편성은, 후베드에서 엄지손가락(5)과 4본동(7)의 후측편지 사이의 비어있는 편침과, 앞베드에서 엄지손가락(5)과 4본동(7)의 전측편지 사이의 비어있는 편침에 늘임눈을 함과 동시에, 각각의 늘임눈의 침의 양쪽의 침에서 터크(tuck)하면서, 엄지손가락(5)에서 4본동(7)의 순으로 후측편지를 1 코-스 연속편성하므로써 가셋트를 가지는 지고 D가 편성된다.
그리고, 단계 10b의 편성 후에, 단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늘임눈이 된 침에 그 양쪽의 편목을 눈옮김하고, 늘임눈에 2개의 편목을 겹쳐지도록, 모든 편목을 서로 이웃하는 침에 눈옮김한다.
눈옮김한 후, 단계 12b에서와 같이 전후 베드에 걸쳐 1 코-스 편성하고, 또한 단계 13b에서와 같이 늘임눈이 된 침에 그 양쪽의 편목을 눈옮김하며, 늘임눈에 2개의 편목을 겹쳐지도록 모든 편목을 서로 이웃하는 침에 눈옮김한다. 그리고, 단계 14b에서와 같이, 전후 베드에 걸쳐 1 코-스 편성하여 지고 D의 편성을 완료한다.
단계 10b에서 단계 14b에 나타난 5본동(8)의 편성으로,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지대가 접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단계 14b에 의해,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의 지대가 접합된 후에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하므로써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4본동(7)과 의 접합위치를 손바닥 중앙에 가깝게 하면서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방향을 회전시켜간다.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은 단계 15b에서 단계 1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5본동(8)에서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5본동(8)에서의 4본동(7)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에 있어서의 손바닥쪽의 엄지손가락쪽 단부의 편목에 소정 코-스마다 겹쳐지게하면서 5본동(8)을 편성해간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15b와 같이, 5본동(8)에서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 중에서, 앞베드에 계지된 편목 전체를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하여 후베드를 오른쪽으로 랙킹시키고, 후베드에서의 공침에 눈옮김한 편목 전체를 앞베드의 편침에 눈옮김하므로써, 엄지손가락(5)쪽의 편목이 4본동(7)쪽의 편목에 겹쳐지게 되어, 단계 16b의 상태로 된다. 이 단계 16b의 상태로 전후 베드에서 1 코-스 편성한다.
다음으로, 단계 17b에서와 같이, 5본동(8)에서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 중에서, 앞베드에 계지된 편목 전체를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하고, 후베드를 오른쪽으로 랙킹시켜, 후베드의 공침에 눈옮김한 편목 전체와 후베드의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엄지손가락쪽 단부의 편목을 앞베드에 눈옮김하므로써, 엄지손가락(5)쪽의 편목이 4본동(7)의 편목에 겹쳐지게되어, 단계 18b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단계 17b에서 단계 18b의 동작을 소정 코-스 반복하여 단계 19b의 5본동(8)의 편성이 완료된 상태로 되어, 5본동(8)에 연속해서 손머리부분을 리브편으로 편성하여 장갑의 편성을 완료한다.
한편, 단계 17b 이후에 있어서는, 눈옮김 하기 전의 후베드의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엄지손가락쪽 단부의 편목은, 눈옮김하기 전에 1 코-스 편성할 때에, 눈옮김에 의해 비틀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비틀려지도록 루-프가 형성되도록 편성해 놓는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5본동(8)의 편성이 완료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엄지손가락(5)의 지대와 4본동(7)과의 접합부분이 손바닥 중앙으로 향하여 보내어 들어간 상태로 되고,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선단부분의 짜나옴 되돌이 부분이 손바닥쪽으로 돌려진 상태가 된다.
또한, 도 7에서는, 실선으로 표시된 엄지손가락(5)의 상태는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넓힌 상태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한 엄지손가락(5)의 상태는 엄지손가락(5)의 지대를 손바닥쪽으로 꺾어 돌린 상태를 나타낸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5본동(8)을 손바닥쪽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하므로써, 4본동(7)의 손바닥쪽의 편지 부분에서 엄지손가락의 안쪽에 엄지손가락(5)이 접합되도록 장갑을 편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사람 손의 형상에 맞는 장갑의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장갑착용시에 생기던 손등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의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어, 장갑이 손에 꼭 맞게 된다.
또한, 5본동(8)을 손바닥쪽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하므로써, 엄지손가락(5)의 회전동작이 행해지고,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배부분에 엄지손가락(5)의 지대의 손가락끝 커브라인이 닿지 않게되므로, 장갑착용시의 위화감이 없어지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을 접합하기 전에, 4본동(7)의 편폭을 늘리는 편성을 행하여 장갑의 4본동(7)의 폭방향칫수를 넓게할 수 있으므로, 장갑착용시에 손등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의 압박감을 더욱 양호하게 경감할 수 있고, 편목이 넓어져서 외관이 나빠지는 불합리도 해소될 수 있다.
또한, 4본동(7)과 엄지손가락(5)을 접합한 후에,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하므로, 사람 손 형상에 보다 맞는 형상으로 할 수 있고, 4본동(7)의 편폭을 늘리더라도 손 머리부분이 느슨해지지 않는다.
특히, 5본동(8)의 편폭을 줄이는 데에 있어서는, 5본동(8)의 엄지손가락(5)에 연속하는 편목과 4본동(7)에 연속하는 편목의 사이에서 눈을 줄이도록 편성하므로써 손바닥 안쪽에 줄임눈의 선이 나타나더라도, 손바닥의 엄지손가락 붙은 뿌리부분에 형성된 곡(谷) 사이의 선을 따라가는 상태로 되므로, 외관을 양호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술한 각 실시형태는, 작업용 장갑에 대한 설명이지만 본 발명의 장갑 및 그 편성방법은 패션용의 장갑에도 적용되고, 즉, 5본지(五本指)의 장갑뿐만 아니라 소위 벙어리(mitten) 타입의 장갑이나, 손가락끝이 커트(cut)된 지절(指切) 타입의 장갑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편지의 편성을 평면적인 편성으로 행하였지만, 본 발명은 리브편이나 조직편(組織編) 등의 다른 편성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둘째손가락과 가운데손가락의 사이, 가운데손가락과 약손가락의 사이, 약손가락과 작은손가락의 사이의 지고부(指股部), 즉 손가락정강이부의 편성을 도 3의 단계 2에 나타난 편성방법으로 행하고, 엄지손가락과 4본동과의 사이의 지고부(指股部)의 편성을 도 4의 단계 12에 나타난 편성으로 행하였지만, 장갑을 편성할 때의 각 지고부의 편성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지고부의 가셋트를 작게 할 경우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2의 편성방법으로 지고부를 편성하고, 지고부의 가셋트를 크게 할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난 단계 12의 편성방법으로 지고부를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상의 장갑의 제 1 실시형태로서, 손바닥측에서 본 엄지손가락을 연 상태를 나타낸 그림.
도 2는 본 발명상의 장갑의 제 1 실시형태로서, 손바닥측에서 본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측으로 접어 굽힌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장갑의 제 2 실시형태로서 손바닥측에서 본 엄지손가락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장갑의 제 3 실시형태로서, 손바닥측에서 본 상태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장갑을 편성하기 위한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 10은 종래장갑의 평면도.

Claims (12)

  1.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針床)을 가지고, 전후 침상(針床)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가능하고, 전후의 침상 사이에서 편목(編目)의 눈옮김(目移)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이용하는 장갑의 편성방법(編成方法)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四本胴)의 편성을 행하고,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指袋)를 접합하기 전에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4본동의 편목을 공침(空針)으로의 눈옮김과 침상의 랙킹동작으로, 4본동을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목이 계지되는 편침으로 향하여 돌리도록 회전동작 및 편침에 계지되는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목을 공침으로의 눈옮김과 침상의 랙킹동작으로 1/4주(周)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동작을 행한 후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을 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의 편성방법.
  2. 삭제
  3.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가능하고, 전후의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는 장갑의 편성방법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의 편성을 행하고,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에, 편침에 계지되어 있는 엄지의 지대(指袋)의 편목을 공침(空針)으로의 눈옮김과 침상의 랙킹동작에 의해 1/4주(周)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동작을 한 후, 4본동의 손바닥쪽에서 둘째손가락쪽 단부로부터 소정의 눈수(目數)를 가진 다수의 편목에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목의 일부를 겹치게하고, 겹쳐진 편목을 복목처리(伏目處理) 한 후, 5본동을 편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의 편성방법.
  4. 삭제
  5.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가능하고, 전후의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는 장갑의 편성방법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편성을 행하고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의 접합을 행한 후에, 5본동을 편성할 때 손등쪽의 편목에 대해 손바닥쪽의 편목이 적어지도록 편목을 줄여서 5본동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손바닥쪽의 편지부분에 엄지의 지대가 돌출된 상태로 손바닥쪽의 편지부에 대하여 엄지의 지대의 방향이 회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5본동을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의 편성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5본동에서 4본동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손바닥쪽의 엄지손가락쪽 단부에서 5본동의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에, 소정 코-스마다 겹쳐지게 하면서 5본동을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의 편성방법.
  7. 제 1항, 제 3항, 제 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접합하기 전에, 4본동의 엄지손가락쪽의 편목을 늘리므로써 편폭을 늘리는 편성을 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의 편성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가 접합된 후에, 5본동의 편폭을 줄이는 편성을 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의 편성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5본동에서의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형성하는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과, 5본동에서의 4본동의 편목과 웰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을 소정 코-스마다 겹쳐지게하면서 5본동을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의 편성방법.
  10.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가능하고, 전후의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되는 장갑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갖추고,
    4본동에서의 엄지손가락의 지대가 접합되는 위치가 4본동의 손바닥쪽에서, 둘째손가락쪽 단부로부터 손바닥 중심 사이에 위치되도록 엄지의 지대가 그 1/4주(周)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와의 접합이 행하여져 편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11.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가능하고, 전후의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되는 장갑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갖추고, 4본동에서의 손바닥쪽에서 둘째손가락쪽 단부로부터 소정의 여러 눈수(目數)를 가진 다수의 편목에 엄지손가락 지대가 해당 지대의 1/4주 이하의 범위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편목 일부가 겹쳐지게되어 복목처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12. 좌우방향으로 뻗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가능하고, 전후의 침상 사이에서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되는 장갑으로서,
    작은손가락, 약손가락, 가운데손가락, 둘째손가락이 삽입되는 4본동과 엄지손가락의 지대를 갖추고, 4본동과 엄지의 지대가 접합된 후에 5본동을 편성할 때 손의 등쪽의 편목에 대하여 손바닥쪽의 편목이 적어지도록 편목을 줄여서 5본동이 형성됨으로써 손바닥쪽의 편지부분에 엄지의 지대가 돌출된 상태로 손바닥쪽의 편지부에 대하여 엄지의 지대의 방향이 회전된 상태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KR1020057003134A 2002-08-28 2003-08-26 장갑 및 그 편성방법 KR100976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49288 2002-08-28
JP2002249288 2002-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586A KR20050037586A (ko) 2005-04-22
KR100976769B1 true KR100976769B1 (ko) 2010-08-18

Family

ID=3197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134A KR100976769B1 (ko) 2002-08-28 2003-08-26 장갑 및 그 편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81392B2 (ko)
EP (2) EP2048270B1 (ko)
JP (1) JP4219896B2 (ko)
KR (1) KR100976769B1 (ko)
CN (2) CN100404742C (ko)
AU (1) AU2003261738A1 (ko)
WO (1) WO2004020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9053B2 (ja) * 2003-10-10 2010-10-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高サポート特性を有するシームレス手袋。
EP1882763B1 (en) * 2005-04-12 2014-07-23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KR101287867B1 (ko) * 2005-11-11 2013-07-1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 장갑의편성방법 및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장갑
US20080053157A1 (en) * 2006-08-31 2008-03-06 Anne Capelli Golding Knit Gloves
CN101680138B (zh) * 2007-05-18 2011-11-16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三维织物的编成方法及使用它的三维织物
DE102007063148A1 (de) * 2007-12-29 2009-07-02 Medi Gmbh & Co. Kg Nahtloses Kompressionsgestric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2333912B (zh) * 2009-02-25 2013-10-16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筒状针织物及其编织方法
US9149086B2 (en) * 2009-10-07 2015-10-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knitted elements
US9295298B2 (en) * 2009-10-07 2016-03-29 Nike, Inc. Footwear uppers with knitted tongue elements
EP2492383B1 (en) * 2009-10-23 2016-04-20 Shima Seiki Mfg. Ltd. Knit designing device, designing method, and designing program
JP5618742B2 (ja) * 2010-10-04 2014-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立体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立体編地
CN104160080B (zh) * 2012-03-01 2016-06-08 尚和手套株式会社 手套制造方法、涂层手套制造方法、手套和涂层手套
US10299531B2 (en) * 2013-05-14 2019-05-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for a heel portion of an upper
JP6552878B2 (ja) * 2015-06-05 2019-07-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手袋
CN110290717B (zh) * 2017-02-09 2022-07-26 安塞尔有限公司 薄涂层支撑手套
CN108660597A (zh) * 2018-05-03 2018-10-16 宁夏荣昌绒业集团有限公司 一种羊绒手套制造方法
CN111270396A (zh) * 2020-03-13 2020-06-12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成型分指的手套编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757A (ja) 1997-10-20 1999-05-11 Shima Seiki Mfg Ltd 吊りバンド付筒状体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1270782A1 (en) 2000-01-26 2003-01-02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EP1283290A1 (en) 2000-05-17 2003-02-12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4Z2 (ko) * 1956-06-04
US2877635A (en) * 1955-05-26 1959-03-17 Ralph C Powell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seamless gloves
US3115760A (en) * 1960-08-23 1963-12-31 Ralph C Powell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seamless gloves
US3788103A (en) * 1972-11-13 1974-01-29 Matsuya Tekkoshe Kk Method of knitting gloves
JPS531862B2 (ko) * 1973-06-11 1978-01-23
JP2747914B2 (ja) 1988-09-21 1998-05-06 株式会社 島精機製作所 編地及び編地端部処理方法
JPH07111022B2 (ja) * 1991-03-08 1995-11-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手袋および手袋編成における端縁部の処理方法
JP3009842B2 (ja) 1995-12-28 2000-02-14 ニットグローブ株式会社 筒状編み地の端部処理方法及び弾性糸による端部処理を施してなる筒状編み地
JP3009854B2 (ja) 1996-11-11 2000-02-14 ニットグローブ株式会社 筒状立体編み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3164528B2 (ja) * 1997-02-17 2001-05-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編地の接合編成方法
JP3009868B2 (ja) 1997-11-17 2000-02-14 ニットグローブ株式会社 伏せ目処理したリブ編み地及びリブ編み用伏せ目方法
DE19833392A1 (de) 1998-07-24 2000-01-27 Stoll & Co 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KR100768349B1 (ko) * 2000-12-27 2007-10-1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 장갑
CN1277968C (zh) * 2001-03-02 2006-10-0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具有开口部的针织物及其编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757A (ja) 1997-10-20 1999-05-11 Shima Seiki Mfg Ltd 吊りバンド付筒状体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1270782A1 (en) 2000-01-26 2003-01-02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EP1283290A1 (en) 2000-05-17 2003-02-12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0516A (zh) 2008-07-30
US6981392B2 (en) 2006-01-03
EP1541733A1 (en) 2005-06-15
JP4219896B2 (ja) 2009-02-04
KR20050037586A (ko) 2005-04-22
AU2003261738A1 (en) 2004-03-19
CN1678781A (zh) 2005-10-05
CN101230516B (zh) 2010-06-16
EP2048270A1 (en) 2009-04-15
WO2004020719A8 (ja) 2005-01-20
CN100404742C (zh) 2008-07-23
JPWO2004020719A1 (ja) 2005-12-15
WO2004020719A1 (ja) 2004-03-11
US20050235701A1 (en) 2005-10-27
EP1541733B1 (en) 2013-08-07
EP2048270B1 (en) 2016-01-06
EP1541733A4 (en)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769B1 (ko) 장갑 및 그 편성방법
KR101232703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484988B1 (ko)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KR20110125217A (ko)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JP4848378B2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JP4374310B2 (ja) 編地の編成方法
JP5548918B2 (ja) 筒状編地の開口部形成方法、筒状編地製品、袋状編地製品、及び、靴下
KR20050061461A (ko) 통상편지 및 편성방법
JP6195867B2 (ja) 指袋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464842B2 (ja) くつ下
JP2008115475A (ja) 指股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6111995A (ja) シームレス手袋、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13529256B (zh) 手套及手套的编织方法
JP6920696B2 (ja) くつ下及びくつ下製造方法
JP2006188779A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指袋部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