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117A - 렌즈 및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렌즈 및 성형 금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7117A KR20110117117A KR1020117017541A KR20117017541A KR20110117117A KR 20110117117 A KR20110117117 A KR 20110117117A KR 1020117017541 A KR1020117017541 A KR 1020117017541A KR 20117017541 A KR20117017541 A KR 20117017541A KR 20110117117 A KR20110117117 A KR 201101171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lens
- end surface
- region
- optical ax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38—Feed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Optical Head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NA의 렌즈에서 성형 시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성형할 수 있는 성형 금형을 제공한다. 렌즈 OE는, 광축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1 단부면 영역 OE11b와 제2 단부면 영역 OE21b는 겹치지 않으므로, 성형 금형에 있어서 가장 조여지는 조임부의 면적이 감소하여 사출 성형 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광학면 OE11a에 맥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NA 0.75 이상, NA 0.9 이하의 렌즈 및 그것을 성형하는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파장 400nm 정도의 청자색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여,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하, 「기록 및/또는 재생」을 「기록/재생」이라고 기재한다)을 할 수 있는 고밀도 광 디스크 시스템의 연구, 개발이 급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일례로서, NA 0.85, 광원 파장 405nm의 사양으로 정보 기록/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소위 Blu-ray Disc(이하, BD라고 한다)에서는, DVD(NA 0.6, 광원 파장 650nm, 기억 용량 4.7GB)와 동일한 크기인 직경 12cm의 광 디스크에 대하여, 1층당 23 내지 27GB의 정보 기록이 가능하다. 이 광 디스크를 본 명세서에서는 고밀도 광 디스크라고 한다.
이러한 고밀도 광 디스크용의 광 픽업 장치에 사용하는 대물 렌즈로서, 수지의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NA 0.8 이상의 대물 렌즈는 일반적으로 축상(軸上) 두께가 두꺼워지는데, 그것에 의해 광로 길이가 길어져 광 픽업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축상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는 렌즈 설계를 행할 수도 있지만, 그것에 의해 대물 렌즈의 테두리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테두리 두께를 얇게 한 렌즈에 대하여 본 발명자가 검토를 행했더니, 광학면에 맥리(흐림이나 왜곡)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고NA의 렌즈에 있어서 성형 시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성형할 수 있는 성형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는, 수지를 소재로 하여 성형되는 NA 0.75 이상, NA 0.9 이하의 렌즈에 있어서, 제1 광학면과, 상기 제1 광학면에 대하여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제2 광학면과, 상기 렌즈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광학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광축에 거의 직교하는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광학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광축에 거의 직교하는 제2 단부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의 광축 방향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광축 방향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고, 또한 광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은 전혀 겹치지 않거나 일부만이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볼록 렌즈에서 가장 얇은 테두리 두께와 가장 두꺼운 축상 두께의 비율을 편육비(偏肉比)로 했을 때, 편육비가 큰 렌즈에서는, 금형의 캐비티 용량에 대하여 테두리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게이트를 통과하는 수지의 단위 시간당 유속이 빨라져, 캐비티 내에 급격하게 수지가 사출됨으로써, 게이트 부근의 광학면에 맥리가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NA 0.75 이상의 렌즈의 경우, 광학면 주변의 곡률이 심해지기 때문에 수지의 유동성이 방해받고, 이것에 의해 현저한 맥리 등이 발생하여 외관 불량이나 광학 성능의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는,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이 전혀 겹치지 않거나 일부만이 겹치게 함으로써,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을 전사 형성하는 성형 금형의 전사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켜, 수지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수지의 유동성을 높여 맥리 등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상도한 것이다.
또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광학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재료 등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광학 소자로서의 가공성을 고려하면, 아크릴 수지, 환상 올레핀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3559호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대물 렌즈는, 광축 직교 방향으로 광학면으로부터 순서대로, 단부면 영역,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고, 플랜지부의 광축 방향 거리가 단부면 영역간의 광축 방향 거리에 비해서 길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지부의 제1 광학면측의 면이 광 픽업 장치에 설치할 때의 기준면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1 중의 「일부만이 겹쳐 있기」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1 단부면 영역이 제2 단부면 영역보다 짧고, 제1 단부면 영역의 전체 영역이 제2 단부면 영역의 일부와 겹쳐 있는 상태는 포함되지 않는다. 청구항 1 중의 「일부만이 겹쳐 있기」위해서는, 어디까지나 제1 단부면 영역의 (전부가 아니고) 「일부」와 제2 단부면 영역의 (전부가 아니고) 「일부」가 겹치는 경우만이 포함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렌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 중 한쪽의 외주는 다른 쪽의 외주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을 전사 형성하는 성형 금형의 전사면 사이의 저항을 더욱 감소시켜 수지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렌즈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 영역의 내주가 상기 제2 광학면의 외주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거나 혹은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의 내주가 상기 제1 광학면의 외주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유효 직경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렌즈를 대직경화하지 않고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이 전혀 겹치지 않거나 일부만이 겹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렌즈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편육비를 3 이상, 10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육비를 3배 이상, 10배 이하로 하는 렌즈에서 특히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편육비」는 렌즈의 축상 두께와 테두리 두께의 비율을 말하고, 「테두리 두께」란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의 광축 방향의 거리를 말하고, 일반적으로는 렌즈에 있어서 가장 얇은 광축 방향의 두께를 말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렌즈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의 광축 방향의 거리를 Δ1, 상기 플랜지부의 광축 방향의 두께를 Δ2로 했을 때에, Δ2/Δ1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렌즈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광축 방향 단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광학면 혹은 상기 제2 광학면의 면 정점보다도 광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의 광축 방향 단부면 중 한쪽은, 상기 제1 광학면과 상기 제2 광학면의 면 정점보다도 광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성형 금형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렌즈를 성형하기 위해서, 상기 제1 광학면과, 상기 제2 광학면과,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과,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을 전사하는 전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NA의 렌즈에 있어서 성형 시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렌즈 및 그러한 렌즈를 성형할 수 있는 성형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렌즈를, 성형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성형 금형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비교예의 렌즈 OE'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술한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된 본 실시 형태의 렌즈 OE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렌즈 OE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렌즈 OE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성형 금형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비교예의 렌즈 OE'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술한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된 본 실시 형태의 렌즈 OE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렌즈 OE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렌즈 OE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BD용 광 픽업 장치에 사용하는 NA 0.75 이상, NA 0.9 이하의 렌즈를, 성형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성형 금형의 확대도이다. 성형 금형은 제1 형(型)(10)과 제2 형(20)을 포함하고, 양자가 형 체결된 상태에서 복수의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의 캐비티 형상은 개략적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형(10)은, 중심축 X를 중심으로 하여 렌즈의 제1 광학면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1 광학 전사면(11a)과, 거기에 계속되는 제1 단부면 영역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1 영역 전사면(11b)과, 거기에 계속되는 제1 천이 영역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1 천이 전사면(11c)과, 거기에 계속되는 플랜지부의 제1 단부면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1 플랜지 단부 전사면(11d)과, 거기에 직교하는 플랜지부의 둘레면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1 플랜지 둘레 전사면(11e)을, 각각 복수개 갖는다. 제1 영역 전사면(11b)과 제1 플랜지 단부 전사면(11d)은 제1 광학 전사면(11a)의 중심축 X(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고, 제1 천이 전사면(11c)은 중심축 X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 있다. 또한, 제1 플랜지 단부 전사면(11d)과 제1 플랜지 둘레 전사면(11e)의 교차부에, 모따기부를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형(20)은, 중심축 X를 중심으로 하여, 렌즈의 제2 광학면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2 광학 전사면(21a)과, 거기에 계속되는 제2 단부면 영역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2 영역 전사면(21b)과, 거기에 계속되는 제2 천이 영역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2 천이 전사면(21c)과, 거기에 계속되는 플랜지부의 제2 단부면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2 플랜지 단부 전사면(21d)과, 거기에 직교하는 플랜지부의 둘레면을 전사 형성하기 위한 제2 플랜지 둘레 전사면(21e)을, 각각 복수개 갖는다. 제2 영역 전사면(21b)과 제2 플랜지 단부 전사면(21d)은 제2 광학 전사면(21a)의 중심축 X(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고, 제2 천이 전사면(21c)은 중심축 X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 있다. 제1 플랜지 둘레 전사면(11e)의 광축 방향 길이는 제2 플랜지 둘레 전사면(21e)의 광축 방향 길이보다 길고, 또한 양자는 탈형 구배를 고려하여, 중심축 X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약간 기운 원추 형상면이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제2 플랜지 단부 전사면(21d)과 제2 플랜지 둘레 전사면(21e)의 교차부에도 모따기부를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또, 중심축 X를 따라 보았을 때에, 제1 영역 전사면(11b)과 제2 영역 전사면(21b)은 겹쳐 있지 않고, 양면의 중심축 X 방향을 따른 거리 Δ1은 제1 플랜지 단부 전사면(11d)과 제2 플랜지 단부 전사면(21d)의 거리 Δ2보다 작게 되어 있다. 제1 천이 전사면(11c)과 제2 천이 전사면(21c)은 중심축 X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기울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형(10)에는 게이트(입구 유로) GT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렌즈의 성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형(20)에 대향하도록 하여 제1 형(10)을 세트한다. 그 후,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형(20)에 대하여 제1 형(10)을 상대적으로 접근시키고 밀착시켜 소정의 보유 압력으로 형 체결을 행한다. 이때, 제1 플랜지 둘레 전사면(11e)과, 거기에 대향하는 제2 플랜지 둘레 전사면(21e)의 맞댄 단부끼리가, 각각 일치하게 된다.
또한 제1 형(10)과 제2 형(20)을 도시하지 않은 히터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형 체결 시점에서의 광학 전사면(11a, 21a)을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 후, 도시하지 않은 노즐로부터 러너(22) 및 게이트 GT를 통하여 임의의 압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수지를 공급한다(도 1의 (c) 참조). 이때, 도시하지 않은 에어 벤트로부터 캐비티 CB 내에 잔존하고 있는 공기가 빠지므로, 캐비티 CB 내에 에어 정체가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어, 전사면에 수지가 고정밀도로 밀착될 수 있다.
이어서, 용융된 수지가 전사면(11a 내지 11e, 21a 내지 21e)의 형상을 전사한 상태에서 고화된 후, 형 온도를 저하시켜 수지를 냉각하여 고화시킨다.
그 후, 제1 형(10)과 제2 형(2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형 개방을 행하면, 렌즈 OE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1 형(10)에 부착된 상태에서 노출된다. 이러한 성형품으로부터 렌즈 OE를 분리함으로써, 단체의 렌즈 OE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비교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 형태의 렌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비교예의 렌즈 OE'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는 상술한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된 본 실시 형태의 렌즈 OE이며, 일점쇄선으로 유효 직경의 최근접 내측 방향을 통과하는 광속의 외측 테두리 L을 나타내고 있다. 즉, 광속의 외측 테두리 L이 제1 광학면 OE11a, 제2 광학면 OE21a와 교차하는 위치가, 각각 유효 직경이 된다.
도 4에서, 렌즈 OE는, 광축 X를 중심으로 하여, 광축 X를 포함하는 원형의 제1 광학면 OE11a와, 거기에 계속되는 윤대 형상의 제1 단부면 영역 OE11b와, 거기에 계속되는 윤대 형상의 제1 천이 영역 OE11c와, 그것에 이어 가장 외측이 되는 환상의 플랜지부 OEF의 제1 단부면 OE11d와, 거기에 직교하는 플랜지부 OEF의 둘레면 OE11e와, 또한 제1 광학면 OE11a에 동축으로 대향하는 원형의 제2 광학면 OE21a와, 거기에 계속되는 윤대 형상의 제2 단부면 영역 OE21b와, 거기에 계속되는 윤대 형상의 제2 천이 영역 OE21c와, 거기에 계속되는 플랜지부의 제2 단부면 OE21d를 갖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광 픽업 장치에 조립했을 때, 제1 광학면 OE11a가 광원측이 되고, 제2 광학면 OE21a가 광 디스크측이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렌즈 OE는, 광축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1 단부면 영역 OE11b와 제2 단부면 영역 OE21b가 겹쳐 있지 않고, 특히 제1 광학면 OE11a 측과 제2 광학면 OE21a 측의 유효 직경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1 단부면 영역 OE11b를, 제2 단부면 영역 OE21b보다도 광축 직교 방향 외측에 위치시키고 있고, 따라서 제2 단부면 영역 OE21b의 내주는 제1 광학면 OE11a의 외주보다도 광축에 근접하고 있다. 또, 양면의 광축 방향의 거리(Δ1)는 플랜지부 OEF의 단부면 OE11d, OE21d의 거리(Δ2)보다 작게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Δ2/Δ1≤2이다. 덧붙여, 렌즈 OE의 축상 두께를 Δ3로 했을 때에, 편육비 Δ3/Δ1은 3 이상, 10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지부 OEF의 제1 단부면 OE11d는 제1 광학면 OE11a와 광축 X의 교점보다도 제2 광학면 OE21a 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제2 단부면 OE21d는 제2 광학면 OE21a와 광축 X의 교점보다도 제1 광학면 OE11a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광학면 OE11a는 제1 단부면 OE11d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단부면 OE11d를 평면 상에 접지시킬 수는 없지만, 제2 광학면 OE21a는 제2 단부면 OE21d보다 들어가 있기 때문에, 제2 단부면 OE21d 전체를 접지시키도록 하여 렌즈 OE를 평면 상에 적재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제2 광학면 OE21a에 흠이 생기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렌즈 OE를 적재하기 위한 부재가 제2 광학면 OE21a에 접촉하지 않도록 중앙이 오목해져 있어 제2 단부면 OE21d만이 접촉 가능한 형상이면, 제2 단부면 OE21d를 제2 광학면 OE21a보다도 광축 방향 내측에 위치시켜도 된다.
또한, 제1 광학면 OE11a가 제1 단부면 OE11d보다 들어가 있고, 제2 광학면 OE21a가 제2 단부면 OE21d보다 돌출되어 있는 형상의 렌즈여도 되고, 제1 광학면 OE11a 및 제2 광학면 OE21a가 함께 제1 단부면 OE11d 및 제2 단부면 OE21d보다 들어가 있는 형상의 렌즈여도 된다.
한편, 도 3의 비교예의 렌즈 OE'는, 광축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1 단부면 영역 OE11b가 제2 단부면 영역 OE21b에 완전하게 겹쳐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겹쳐 있는 부분을 해칭으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하는 렌즈 OE'는, 사출 성형 시에, 성형 금형의 스풀과 러너를 통해서 공급된 수지가, 평행으로 광축 방향으로 겹쳐 있는 제1 단부면 영역 OE11b와 제2 단부면 영역 OE21b의 전사면 사이를 통과할 때에 큰 저항을 받고, 이에 따라 제1 광학면 OE11a에 맥리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 도 3의 점선 DL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부면 영역 OE11b와 제2 단부면 영역 OE21b의 전사면 사이를 확장하여 사출 성형 시의 수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에 따라 전사면이 제1 광학면 OE11a와 간섭해 버려, 광학 기능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렌즈 OE에 의하면, 광축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1 단부면 영역 OE11b와 제2 단부면 영역 OE21b는 겹치지 않으므로, 성형 금형에 있어서 가장 조여지는 조임부의 면적이 감소하여, 사출 성형 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광학면 OE11a에 맥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렌즈 OE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축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1 단부면 영역 OE11b와 제2 단부면 영역 OE21b는 일부만이 겹쳐 있고, 특히 제1 광학면 OE11a 측과 제2 광학면 OE21a 측의 유효 직경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2 단부면 영역 OE21b의 외경을, 제1 단부면 영역 OE11b의 내경보다 크고 그의 외경보다 작게 하고 있다. 겹쳐 있는 부분을 해칭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성형 금형에서 가장 조여지는 조임부의 면적이 감소하므로, 사출 성형 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광학면 OE11a에 맥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렌즈 OE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축을 따라 보았을 때에, 제1 단부면 영역 OE11b와 제2 단부면 영역 OE21b는 일부만이 겹쳐 있고, 특히 제1 단부면 영역 OE11b의 외경을, 제2 단부면 영역 OE21b의 내경보다 크고 그의 외경보다 작게 하고 있다. 겹쳐 있는 부분을 해칭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성형 금형에 있어서 가장 조여지는 조임부의 면적이 감소하므로, 사출 성형 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광학면 OE11a에 맥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적절히 변경, 개량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제1 형
11a: 제1 광학 전사면
11b: 제1 영역 전사면
11c: 제1 천이 전사면
11d: 제1 플랜지 단부 전사면
11e: 제1 플랜지 둘레 전사면
20: 제2 형
21a: 제2 광학 전사면
21b: 제2 플랜지 전사면
21b: 제2 영역 전사면
21c: 제2 천이 전사면
21d: 제2 플랜지 단부 전사면
21e: 제2 플랜지 둘레 전사면
22: 러너
CB: 캐비티
DL: 점선
L: 외측 테두리
OE: 렌즈
OE11a: 제1 광학면
OE11b: 제1 단부면 영역
OE11c: 제1 천이 영역
OE11d: 제1 단부면
OE11e: 플랜지부 둘레면
OE21a: 제2 광학면
OE21b: 제2 단부면 영역
OE21c: 제2 천이 영역
OE21d: 제2 단부면
OEF: 플랜지부
X: 중심축(광축)
GT: 게이트
11a: 제1 광학 전사면
11b: 제1 영역 전사면
11c: 제1 천이 전사면
11d: 제1 플랜지 단부 전사면
11e: 제1 플랜지 둘레 전사면
20: 제2 형
21a: 제2 광학 전사면
21b: 제2 플랜지 전사면
21b: 제2 영역 전사면
21c: 제2 천이 전사면
21d: 제2 플랜지 단부 전사면
21e: 제2 플랜지 둘레 전사면
22: 러너
CB: 캐비티
DL: 점선
L: 외측 테두리
OE: 렌즈
OE11a: 제1 광학면
OE11b: 제1 단부면 영역
OE11c: 제1 천이 영역
OE11d: 제1 단부면
OE11e: 플랜지부 둘레면
OE21a: 제2 광학면
OE21b: 제2 단부면 영역
OE21c: 제2 천이 영역
OE21d: 제2 단부면
OEF: 플랜지부
X: 중심축(광축)
GT: 게이트
Claims (7)
- 수지를 소재로 하여 성형되는 NA 0.75 이상, NA 0.9 이하의 렌즈에 있어서,
제1 광학면과,
상기 제1 광학면에 대하여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제2 광학면과,
상기 렌즈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광학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광축에 거의 직교하는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광학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광축에 거의 직교하는 제2 단부면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의 광축 방향의 거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광축 방향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고, 또한 광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은 전혀 겹치지 않거나 일부만이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 중 한쪽의 외주는 다른 쪽의 외주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 영역의 내주가 상기 제2 광학면의 외주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거나, 혹은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의 내주가 상기 제1 광학면의 외주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육비(偏肉比)를 3 이상, 10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의 광축 방향의 거리를 Δ1, 상기 플랜지부의 광축 방향의 두께를 Δ2로 했을 때에, Δ2/Δ1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광축 방향 단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제1 광학면 혹은 상기 제2 광학면의 면 정점보다도 광축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 상기 제1 광학면과, 상기 제2 광학면과, 상기 제1 단부면 영역과, 상기 제2 단부면 영역과,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을 전사하는 전사면을 가지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019247 | 2009-01-30 | ||
JP2009019247 | 2009-01-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7117A true KR20110117117A (ko) | 2011-10-26 |
Family
ID=4239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7541A KR20110117117A (ko) | 2009-01-30 | 2009-12-01 | 렌즈 및 성형 금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279904A1 (ko) |
EP (1) | EP2385397A1 (ko) |
JP (1) | JPWO2010087068A1 (ko) |
KR (1) | KR20110117117A (ko) |
CN (1) | CN102292657A (ko) |
WO (1) | WO201008706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43310A1 (ja) * | 2010-09-30 | 2012-04-05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光ピックアップ装置用の対物レンズ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WO2012105692A1 (ja) * | 2011-02-04 | 2012-08-09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対物レンズ及び対物レンズ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金型 |
JP5716755B2 (ja) * | 2011-02-04 | 2015-05-13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対物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 |
CN103443857B (zh) * | 2011-02-17 | 2016-07-06 |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 物镜及光拾取装置 |
WO2012133578A1 (ja) * | 2011-03-28 | 2012-10-04 |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 対物レンズ及び対物レンズ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金型 |
TWI476453B (zh) * | 2012-05-18 | 2015-03-11 | Largan Precision Co Ltd | 光學塑膠透鏡 |
TWI487951B (zh) * | 2013-05-27 | 2015-06-11 | Largan Precision Co Ltd | 塑膠透鏡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62410A (ja) * | 2000-08-22 | 2002-02-28 | Sony Corp | 光学素子、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
JP4595184B2 (ja) * | 2000-10-02 | 2010-12-08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対物レンズ |
US6919996B2 (en) * | 2001-01-24 | 2005-07-19 | Konica Corporation | Objective lens for use i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
JP4485717B2 (ja) | 2001-09-04 | 2010-06-23 | 三井化学株式会社 | 熱可塑性材料組成物、及びそれを含んで構成される光学部品 |
JP2003215310A (ja) * | 2001-11-15 | 2003-07-30 | Konica Corp | 光学レンズ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
US7426078B2 (en) * | 2002-11-26 | 2008-09-16 | Hitachi Maxell, Ltd. | Plastic len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roduction tracing management method thereof, and optical pickup device |
JP4551646B2 (ja) * | 2002-11-26 | 2010-09-29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US7440382B2 (en) * | 2002-12-26 | 2008-10-21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Objective optical element with multiple diffractive surfaces and optical pickup device |
US6819508B2 (en) * | 2002-12-30 | 2004-11-16 | Largan Precision Co., Ltd. | Insertion type lens assembly for an optical system |
JP2004318055A (ja) * | 2003-03-28 | 2004-11-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成形型及び光学素子成形方法 |
JP2005010307A (ja) * | 2003-06-17 | 2005-01-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光学素子 |
JP2005100539A (ja) * | 2003-09-25 | 2005-04-14 | Nissin Kohki Co Ltd | 光ヘッド装置 |
JP2005170711A (ja) * | 2003-12-09 | 2005-06-30 | Fujinon Corp | 光学素子及びその成形方法 |
US7554736B2 (en) * | 2004-04-02 | 2009-06-30 | Konica Minolta Opto, Inc. | Objective lens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
WO2007069499A1 (ja) * | 2005-12-13 | 2007-06-2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
JP2007334930A (ja) | 2006-06-12 | 2007-12-27 | Konica Minolta Opto Inc | 光ディスク用レンズ |
JP4874084B2 (ja) * | 2006-12-22 | 2012-02-08 | 三洋電機株式会社 | 光学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複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接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09
- 2009-12-01 EP EP09839256A patent/EP2385397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9-12-01 KR KR1020117017541A patent/KR201101171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12-01 WO PCT/JP2009/070160 patent/WO201008706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2-01 US US13/146,236 patent/US2011027990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12-01 CN CN2009801552355A patent/CN102292657A/zh active Pending
- 2009-12-01 JP JP2010548371A patent/JPWO2010087068A1/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292657A (zh) | 2011-12-21 |
WO2010087068A1 (ja) | 2010-08-05 |
EP2385397A1 (en) | 2011-11-09 |
US20110279904A1 (en) | 2011-11-17 |
JPWO2010087068A1 (ja) | 2012-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17117A (ko) | 렌즈 및 성형 금형 | |
US8842376B2 (en) | Plastic optical lens | |
KR20110131233A (ko) | 렌즈 | |
JP4661841B2 (ja) | 対物レンズ製造方法及び対物レンズ製造用金型 | |
JP4480794B2 (ja) | プラスチックレンズ | |
JP5120525B2 (ja) | 光学素子の製造方法及び光学素子 | |
JP2007331311A (ja) | 光学素子成形方法 | |
JP4551646B2 (ja) | 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JP5057298B2 (ja) | 対物レンズ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JP2010014983A (ja) | 樹脂レンズおよび樹脂レンズの成形方法 | |
JP2004191948A5 (ko) | ||
JP2006327147A (ja) |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成形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 |
JP2002154139A (ja) | 光学素子、光学素子の製造方法及び光学素子用金型 | |
JP5892993B2 (ja) | 樹脂レンズおよび樹脂レンズの製造方法 | |
JP2008239406A (ja) | 光学素子成形方法および光学素子 | |
WO2011093165A1 (ja) | 対物レンズ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JP2011118964A (ja) | 光ピックアップ装置用の対物レンズ及び成形金型 | |
JP5416633B2 (ja) | 樹脂レンズおよび樹脂レンズの製造方法 | |
JP2002148412A (ja) | 光学素子及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
JP2003211497A (ja) | プラスチックレンズ製造用金型 | |
JP2011079320A (ja) | 対物レン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