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939A -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939A
KR20110103939A KR1020117011805A KR20117011805A KR20110103939A KR 20110103939 A KR20110103939 A KR 20110103939A KR 1020117011805 A KR1020117011805 A KR 1020117011805A KR 20117011805 A KR20117011805 A KR 20117011805A KR 20110103939 A KR20110103939 A KR 2011010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ane
window
assembly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문트 아쉬무타트
가브리엘레 랑게
올라프 크리제
토마스 잘호프
베르너 스탬베르거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ublication of KR2011010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9Permanence of use
    • E05Y2800/692Temporary use, e.g. removabl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4Specific positions
    • E05Y2800/742Specific positions abnorm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를 위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에 있어서,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2)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조절될 창유리(F)로 전달하기 위한 가요성 당김 수단(3), 상기 창유리(F)가 캐리어(5)를 통해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되도록, 한편으로는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묶여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창유리(F)가 고정되어 있는 상기 캐리어(5), 및 안내 수단(R1, R2)에 의해 정의된 조절 경로(V)를 따라 상기 창유리(F)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5)로부터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어 있는 상기 안내 수단(R1, R2)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수단(R1, R2) 상에서 안내되는 상기 창유리(F)에 의해 직접적으로 상기 창유리(F)에 구동력이 인가되면,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연장된 안내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상기 캐리어(5)가,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된 것에 더하여, 상기 조절 경로를 따른 이동을 상기 캐리어(5)에 강요하지 않으면서, 상기 창유리(F)가 상기 캐리어(5)와 함께 상기 조절 경로에서 이동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는, 상기 창유리(F)의 상기 조절 경로(V) 밖에 놓여 있는 홀더(10)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5)가, 조절될 상기 창유리(F)를 설치 동안에 상기 캐리어(5)와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윈도우 조립체가 설치될 때, 상기 홀더(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캐리어(5)는, 상기 캐리어(5)가 상기 홀더(10)에 배치되면 상기 조절 경로(V)로 돌출되는 연장부(6, 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WINDOW LIFTER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를 위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에 있어서,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2)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조절될 창유리(F)로 전달하기 위한 가요성 당김 수단(3), 상기 창유리(F)가 캐리어(5)를 통해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되도록, 한편으로는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묶여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창유리(F)가 고정되어 있는 상기 캐리어(5), 및 안내 수단(R1, R2)에 의해 정의된 조절 경로(V)를 따라 상기 창유리(F)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5)로부터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어 있는 상기 안내 수단(R1, R2)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 및 상기 캐리어(5)를 통해 상기 창유리(F)에 구동력이 인가되면, 상기 창유리(F)가 상기 캐리어(5)와 함께 상기 조절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캐리어(5)가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된 것에 더하여,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연장된 안내 디바이스와 결합됨이 없이,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른 이동이, 상기 안내 수단(R1, R2) 상에서 안내되는 상기 창유리(F)에 의해 상기 캐리어(5)에 직접적으로 강요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및 자동차를 위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특히 제1항에 따른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2)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조절될 창유리(F)로 전달하기 위한 가요성 당김 수단(3)이 제공되는 단계, b) 상기 창유리(F)를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시키는 캐리어(5)가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캐리어(5)로부터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는 안내 수단(R1, R2) 내에 있는 조절 경로(V)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창유리(F)가 구비되는 단계, 및 d)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고정되는 상기 캐리어(5)와 상기 창유리를 결합시키고 상기 창유리를 상기 캐리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 수단(R1, R2)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상기 창유리(F)가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5)가, 조립 목적을 위해 상기 창유리(F)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조절 경로(V) 밖에 있는 고정 홀더(10)에 배치되고, 연장부(6, 7)가 상기 캐리어(5)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창유리(F)는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른 이동 동안에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5)는, 상기 창유리(F)가 상기 연장부(6, 7)와 결합된 후에, 상기 홀더(10)에서의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조립 위치와 다른 상기 창유리(F)에서의 작용 위치로 이송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는,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 토크를 조절될 모터 차량의 창유리로 전달하기 위한 가요성 당김 수단, 및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며, 캐리어는 한편으로는 가요성 당김 수단에 묶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캐리어에, 창유리가 캐리어를 통해 가요성 당김 수단에 연결되도록, 창유리가 고정된다.
그러한 윈도우 리프터는 케이블 또는 당김 수단 윈도우 리프터로 지칭된다. 따라서, 조절 섹션이라고 지칭되는 가요성 당김 수단의 섹션은, 예를 들면 편향기를 사용하여, 조절될 창유리의 조절 방향을 따라 안내되고,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를 작동시키는 동안에 섹션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가요성 당김 수단에 더욱 정확하게는 가요성 당김 수단의 조절 섹션에 묶인 캐리어 역시 조절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취해진다. 조절될 창유리가 이제 의도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면, 상기 창유리는 그 조절 방향을 따라 캐리어와 함께 조절되며, 즉, 예를 들면, 구동 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윈도우 개구를 폐쇄 또는 릴리스하기 위해 상승 또는 하강된다.
이제, 캐리어와는 상이하며 캐리어로부터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는 안내 수단이, 창유리를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해 정의되는 (정칙 곡선의(regularly curved)) 조절 경로를 따라 안내하기 위해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에 구비되며, 구동력이 가요성 당김 수단 및 캐리어를 통해 창유리에 전달될 때, 창유리는 상기 조절 경로 상에서 캐리어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 안내 수단은, 조절될 창유리가 측방향 에지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측방향 프레임 부품일 수 있다. 안내 수단의 다른 수정 역시 가능하여, 안내 수단이, 창유리를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의 가요성 당김 수단에 연결시키는 캐리어와 다르며, 캐리어가 상기 안내 수단과 결합되지 않고 즉 상기 안내 수단으로부터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조절 이동 동안에 창유리가 따라서 이동되는 조절 경로가, 하나 이상의 캐리어와 다르며 상기 캐리어로부터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는 안내 수단에 의해 직접, 즉, 이제, 조절 경로를 따른 이동을 캐리어에 부여하기 위해, 캐리어가 조절 경로를 따라 연속하는 안내 방향에서 가요성 당김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도록 결합되지 않으면서, 창유리에 부여되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윈도우 리프터는, 안내 트랙이 윈도우 리프터의 각각의 캐리어에 배치되는 트랙 고정 캐리어를 가진 윈도우 리프터와 대조적으로, "트랙 없는 윈도우 리프터"라고 지칭되며, 캐리어는 창유리를 위해 구비되는 조절 경로를 따라 상기 안내 트랙에 의해 안내된다. 트랙 안내 캐리어를 가진 윈도우 리프터의 경우에, 캐리어는, 안내 트랙의 코스에 의해 판정되는 조절 경로를 따른 이동을,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는 대응 창유리에 부여한다. 따라서, 창유리는, 상기 창유리가 안내 트랙 및 상기 안내 트랙에 의해 안내되는 캐리어에 의해 판정되는 조절 경로를 따를 수 있도록, 상기 창유리의 측방향 에지와 함께 안내된다.
대조적으로, (트랙 없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캐리어는 이제 자유롭게 안내되며, 그것은, 캐리어가 결합될 안내 디바이스(예를 들면 안내 트랙 형태의)가 상기 캐리어에 할당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고, 상기 안내 디바이스는 조절 경로를 따른 이동을 캐리어에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윈도우 리프터를 작동시킬 때에, 상기 창유리가, 가요성 당김 수단 및 캐리어에 의해 전달되는 대응 윈도우 리프터의 구동 토크에 의해 시동되어, 조절 방향으로 대응 안내 수단을 따라 이동될 때에, 조절 경로를 따른 조절 이동은 창유리 자체에 의해 직접 캐리어에 부여되는데, 예를 들면 다른 윈도우 리프터 개념이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는 DE 102004 043004 A1과 비교된다.
트랙 없는(자유로운) 안내된 캐리어를 가진 윈도우 리프터의 경우에, 창유리를 캐리어에 고정시키고 따라서 창유리를 윈도우 리프터의 가요성 당김 수단에 연결하려는 목표를 가진 캐리어와 창유리의 조립(설치)은 정기적으로 방해된다. 조립은 통상적으로, 대응 안내 수단 예를 들면 윈도우 프레임에 있는 측방향 안내 채널에 의해 안내되는 창유리가 그 조절 경로를 따라 이동(하강)되고, 따라서 대응 캐리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트랙 안내된 캐리어는, 조절 경로를 따라 하강될 때 창유리가 그 하부 에지를 통해 소정 시간에 캐리어와 강제로 결합되고, 적절한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창유리의 조절 경로(조절 트랙에 있음을 뜻함)의 소정 위치에 간단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윈도우 리프터의 가요성 당김 수단에 이미 연결된 캐리어를 대응 안내 트랙 따라서 창유리의 조절 경로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의 자체 잠김 수정예가 사용될 수 있다.
트랙 없는 안내된 캐리어의 경우에, 창유리의 조절 경로/조절 트랙 내의 그러한 간단한 위치 설정은 가능하지 않은데, 그것은 캐리어를 운반하는 가요성 당김 수단의 조절 섹션이, 캐리어를 대응 창유리에 묶기 전에 규칙적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창유리의 통상적으로 구부러진 조절 경로를 따라 연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조립 목적으로 창유리를 캐리어에 결합시키려는 목표로 창유리의 구부러진 조절 경로를 따라 하강시키는 동안에, 창유리가 캐리어를 피해 갈(bypass)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수단에 의해 창유리를 하나 이상의 대응 캐리어에 조립할 수 있게 하는, 트랙 없는 안내된 캐리어를 가지는 상술한 종류의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창유리(F)의 조절 경로(V) 밖에 놓여 있는 홀더(10)를 더 포함하고, 캐리어(5)가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되기 전에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홀더(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5)가 상기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홀더(10)에 배치될 때, 상기 창유리(F)를 포착하기 위해 상기 조절 경로(V)로 돌출되는 연장부(6, 7)가 상기 캐리어(5)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5)는, 상기 연장부(6, 7)에 의해 상기 창유리(F)를 포착한 후에,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조립 위치와 다른 작용 위치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작용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는 의도한 대로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따라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는, 창유리의 조절 경로 밖에 놓이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바람직하게 가요성 당김 수단 또는 더욱 정확하게는 가요성 당김 수단의 조절 섹션에 이미 묶임)는, 상기 캐리어를 소정 방식으로 조립 목적을 위해 창유리와의 결합을 위해 위치시키기 위해, 캐리어가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을 따라 홀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홀더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캐리어는 또한, 캐리어가 홀더에 배치되면, 특히 캐리어가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을 따라 홀더에 의해 지지되면, 창유리의 조절 경로로 돌출된다.
연장부는, 조립 목적을 위해 창유리의 조절 경로를 따라 하강되고 따라서 조절 경로 밖에 배치되는 캐리어를 지나가려고 하는 창유리를 캐리어가 포착하여, 캐리어와 창유리 사이의 첫번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캐리어의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가 창유리(특히 창유리의 하부 에지)를 조립 위치로서 지정된 위치에 포착할 수 있고, 캐리어와 창유리는, 상기 조립 위치에, 창유리의 조절 경로에 대해 횡방향인 방향을 따라, 창유리가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는 작용 위치로서 서로를 향한 다른 상대적 위치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연장부는, 대응 홀더에서의 캐리어의 배치에 대해, 창유리의 조절 경로에 대해 횡방향인 방향을 따라서 보면, 조립 위치에서 조절 경로를 따라 하강될 창유리를 상기 캐리어가 포착할 수 있도록, 캐리어로부터 멀리 돌출되며, 캐리어는, 창유리의 조절 경로에 대해 횡방향이며 상기 캐리어가 의도한 바와 같이 창유리에 고정되는 작용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된다.
창유리를 연장부에 의해 캐리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포착한 후, 캐리어는 조립 위치로부터, 조립 위치와는 다르며 상기 캐리어가 의도한 바와 같이 창유리에 고정되는 작용 위치로 이송(예를 들면 이동)된다.
홀더에서 캐리어는 조립 목적을 위해 창유리의 조절 경로 밖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홀더는, 창유리가 하강 동안에 의도한 바와 같이 캐리어와 결합될 때, 소정 위치를 얻기 위해 캐리어를 지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멈춤부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립시에 캐리어가 이미 묶인 가요성 당김 수단에 의해 추가적 유지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한 멈춤부는, 창유리 리프터 조립체가 장착되는 예를 들면 도어 벽 또는 모듈 캐리어와 같은 자동차의 지지부에 구비될 수 있다.
홀더는 창유리의 조절 경로를 따라서 또는 조절될 창유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조절 경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캐리어와 함께 이동되지 않도록, 창유리 리프터 조립체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창유리가 창유리 및 캐리어와 함께 가요성 당김 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조절 경로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정규적으로는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캐리어는 홀더에 의해, 조절 경로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결 라인을 따라 보면, 이들 2개의 단부들 사이에 있고 연결 라인을 따라 상기 2개의 단부들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은, 상기 캐리어가 조립 동안에 하강되는 창유리를 연장부에 의해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체를 위한 캐리어를 조절 경로의 임의의 위치 그러나 상기 경로로부터 이격되는 조절 경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가 조립 목적을 위한 대응 홀더에 배치될 때, 캐리어가 위치되는 위치는, 조절 경로의 2개의 단부들 사이 예를 들면 2개의 단부 각각으로부터 각각의 거리의 적어도 약 20% 만큼 이격되는 연결 라인의 대략 중앙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캐리어는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가 대응 홀더에 배치되는 동안에, 상기 창유리가 조립 목적을 위해 조절 경로를 따라 이동될 때, 창유리에 대해 캐리어의 조립 위치와는 다르고 상기 캐리어가 창유리를 포착하는 작용 위치에서 창유리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창유리에 대한 캐리어의 조립 위치 및 작용 위치는 조절 경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창유리를 포착한 후에 캐리어를 조립 위치로부터, 창유리와 캐리어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작용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캐리어는 그 연장부에, 창유리와 캐리어가 서로에 대해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전이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이 영역은 기본적으로 창유리의 조절 경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이 영역은 조절 경로를 향해 실질적으로 90°의 예각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조절 경로를 따른 창유리의 이동은 전이 영역에 의해, 캐리어를 창유리에 대해 조립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조절 경로에 대해 횡방향인 컴포넌트를 가진 창유리에 대해 캐리어의 상대 이동으로 실현될 수 있다.
조절 경로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는 연장부가 캐리어의 기저 본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면, 창유리가 상기 연장부와 캐리어의 추가적 암 사이에서 캐리어의 작용 위치에 수용되도록, 연장부는, 창유리를 향해 연장부를 따라 이동되는 창유리의 효과에 의해 접힐 수 있다.
이것을 위해 트리거 부재는 캐리어의 연장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창유리가 연장부의 전이 영역을 따라 이동되어 연장부의 피봇 이동이 시동되면, 트리거 부재를 통해, 연장부는, 캐리어의 추가적 컴포넌트에 접촉되고 창유리에 의해 타격된다.
트리거 부재는, 예를 들면 로우프 형태 같은 길이방향 가요성 부재일 수 있거나, 탄성 또는 플라스틱 변형 가능 길이방향 부재일 수 있거나, 힌지가 구비되는 길이방향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에 구비되는 연장부는 특히, 상기 창유리가 조립 목적을 위해 이동(하강)될 때, 창유리가 캐리어의 연장부와 창유리의 하부 에지의 영역과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창유리는 캐리어와 직접 결합될 필요가 없고, 창유리 특히 창유리의 하부 에지에 어댑터가 고정될 수 있으며, 어댑터를 통해, 창유리가 캐리어와 결합되고 또한 옵션으로서 작용 위치에서 캐리어에 고정된다.
연장부의 전이 영역을 따라 창유리를 조립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이송할 때, 창유리는 반드시 전이 영역과 접촉될 필요가 없고 또한 어댑터를 통해 전이 영역과 접촉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예를 들면 창유리가 전이 영역을 따라 조립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캐리어에 지정되는 트리거 부재와 접촉되면, 전이 영역을 따라 조립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이송되는 동안에 창유리가 상기 전이 영역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창유리에 대한 캐리어의 작용 위치에서, 이들 2개의 컴포넌트의 서로에 대한 고정은, 적절한 고정 또는 연결 수단, 예를 들면 볼트 연결 또는 리벳 연결 형태, 스냅-인 연결 형태, 클램프 연결 등을 통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은, 창유리(F)의 조절 경로(V) 밖에 놓여 있는 홀더(10)를 더 포함하고, 캐리어(5)가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되기 전에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홀더(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5)가 상기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홀더(10)에 배치될 때, 상기 창유리(F)를 포착하기 위해 상기 조절 경로(V)로 돌출되는 연장부(6, 7)가 상기 캐리어(5)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5)는, 상기 연장부(6, 7)에 의해 상기 창유리(F)를 포착한 후에,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조립 위치와 다른 작용 위치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작용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는 의도한 대로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에 의해 특징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상세사항 및 이점은 도면에 의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된다.
도 1a는, 조절될 창유리에 캐리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트랙 없는 안내된 캐리어를 가진 윈도우 리프터를 가진 자동차 도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b는, 캐리어를 창유리에 고정한 후의, 도 1a에 도시된 종류의 윈도우 리프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는, 조립 목적을 위해 상기 창유리가 그 조절 경로를 따라 하강될 때 대응 창유리를 포착하기 위해 캐리어가 연장부를 포함하는, 도 1a에 따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캐리어를 창유리에 고정시키는 것과 관련된, 도 2에 따른 배열의 상세도이다.
도 3b 내지 도 3e는, 캐리어를 창유리에 고정시키는 것과 관련된, 도 3a의 배열의 네가지 수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a의 배열의 추가적 수정예를 여러 가지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g 내지 도 4i는, 도 3a의 배열의 추가적 수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캐리어를 창유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의 면에서 추가적인 실시예를 베이스로 한, 캐리어를 대응 창유리에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피봇되어 장착된 연장부를 가진 캐리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b는, 조절될 창유리를 향해 연장부를 피봇시킨 후의 도 6a의 캐리어의 도면이다.
도 7a는 도 6a의 캐리어의 수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6a의 캐리어의 추가적 수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a의 캐리어의 추가적 수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캐리어가 조립 위치에 있는, 도 6a의 배열의 수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조립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캐리어의 전이 동안의 도 10a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는, 캐리어의 작동 위치에 도달한 후의 도 10a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a 내지 도 10c의 배열의 변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사이에 도어 케이싱 형태의 습한 영역을 정의하는 도어 외피(TAH)와 도어 내피(TIH)를 가진 자동차 도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차 도어의 소위 건조한 영역은 도어 외피(TAH)와 대향하는 도어 내피(TIH)의 쪽에 위치되어, 자동차의 내부를 향한다.
도어 내피(TIH)는, 도어 모듈 캐리어(1)(방습성임)에 의해 덮이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자동차 도어의 여러 가지 기능적 컴포넌트 예를 들면 도어 록, 확성기 및/또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는, 도어 모듈 캐리어가 도어 내피 내의 대응 리세스를 덮도록 도어 모듈 캐리어가 도어 모듈 캐리어에 사전 조립되는 컴포넌트와 함께 자동차 도어 내로 삽입되기 전에, 그러한 도어 모듈 캐리어에 사전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될 윈도우 리프터 그룹의 다음의 수정은, 윈도우 리프터 그룹이 자동차 도어 내로 설치되기 전에 이미 도어 모듈 캐리어에 사전 조립되는지 또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가 자동차 도어의 부품으로서 도어 내피 또는 도어 내벽에 직접 통합되는지에 무관하다. 따라서 다음에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의 캐리어는 집합 캐리어(aggregate carrier)라고 지칭되며, 이러한 정의는, 도어 모듈 캐리어에 사전 조립되는 기능적 컴포넌트와 함께 자동차 도어 내에 조립되는 도어 모듈 캐리어, 및 도어 내피 또는 도어 내벽을 포함하고, 집합 캐리어는, 할당되는 기능적 컴포넌트와는 개별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로서 장착된다.
이제, 가요성 당김 수단(3)을 가진 도어 모듈 캐리어 형태의 집합 캐리어(1)에 조립될 기능적 컴포넌트의 일부로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만 도시되어 있는데, 가요성 당김 수단(3)은,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2개의 편향기(4o, 4u)(예를 들면, 편향 롤러의 형태임)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가요성 당김 수단(3)의 조절 섹션(30)이 기본적으로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연장되도록 안내되며, 수직 자동차 축(z)은 동시에,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에 의해 조절될 자동차 도어의 창유리(F)의 주 조절 방향을 형성한다.
캐리어(5)는 예를 들면 로우프 형태의 가요성 당김 수단(3) 더욱 정확하게는 가요성 당김 수단(3)의 조절 섹션(30)에 묶이며, 조절될 창유리(F)는 상기 캐리어에 고정된다.
윈도우 리프터를 작동시킬 때, 즉, 가요성 당김 수단이 대응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에 의해 이동되면, 가요성 당김 수단은, 특히 가요성 당김 수단(3)의 조절 섹션(30)이 조절될 창유리의 조절 방향(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요성 당김 수단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가요성 당김 수단(3)에 묶이는 캐리어(5)는,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의 구동 방향에 따라, 조절 방향(z)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조절될 창유리(F)가 캐리어(5)에 고정되면, 상기 창유리는, 창유리(F)가, 조절 구동기의 구동 방향에 따라, 대응 윈도우 개구를 폐쇄시키기 위해 상승되거나 윈도우 개구를 릴리스시키기 위해 하강되도록, 캐리어(5)를 통해 조절 방향(z)을 따른 가요성 당김 수단(3)의 조절 섹션(30)의 이동 동안에 픽업된다.
따라서, 창유리는 주 조절 방향으로서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직선으로 규칙적으로 이동되지 않고, 오히려 수직 자동차 축(z)으로부터 편향되고 지속적으로 구부러지는 조절 경로(V)를 따라 직선으로 규칙적으로 이동되며, 상기 조절 경로는 상부 조절 위치(Vo)와 하부 조절 위치(Vu)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창유리(F)의 상부 및 하부 조절 위치(Vo, Vu)는, 각각의 경우에 창유리(F)의 하부 에지(U)에 대해, 조절될 창유리(F)의 주 조절 방향을 뜻하는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되지만, 조절될 창유리(F)가 조절 이동(상승 또는 하강) 동안에 실제로 따라서 이동되는 조절 경로(V)는 2개의 조절 위치(Vo, Vu)들 사이의 가장 짧은 연결 라인에 대응하지 않는다. 실제로, 실제 조절 경로(V)는, 조절될 창유리(F)가 배치되는 측방향 자동차 본체 또는 측방향 자동차 도어의 디자인에 적응되기 위해 규칙적으로 구부러진다.
트랙 안내되는 캐리어를 가진 종래의 윈도우 리프터의 경우에, 구부러진 안내 경로를 따른 이동은, 윈도우 리프터(형상 고정 및 따라서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음)의 캐리어가, 캐리어 및 따라서 캐리어에 고정되는 창유리를 소정(구부러진) 조절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할당된 안내 트랙과 결합되도록, 통상적으로 조절될 창유리에 부여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안내 트랙은, 따라서 구부러지는 안내 경로를 따라 지속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윈도우 리프터는 소위 트랙 없는 윈도우 리프터이며, 트랙 없는 윈도우 리프터에서, 정의된 조절 경로를 따른 이동이 캐리어(5)에 부여되게 하는 안내 디바이스는 캐리어(5)에 할당되지 않는다. 실제로, 캐리어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2)의 2개의 편향기 부재(4o, 4u)들 사이에서 가요성 당김 수단(3) 또는 가요성 당김 수단(3)의 조절 섹션(30)에 의해 안내된다. 그것은, 캐리어(5)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창유리(F)에 아직 묶이지 않으면, 캐리어는 작동 동안에, 할당된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를 2개의 편향 부재(4o, 4u)들 사이에서 직선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대조적으로 트랙 없는 안내된 캐리어(5)가 할당된 창유리(F)에 연결되면, 상기 캐리어가 할당된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의 작동 동안에, 조절될 창유리(F)의 주 조절 방향을 따라 창유리(F)에 의해 이동될 때, 소정 조절 경로(V)를 따른 조절 이동은 캐리어(5)에 부여되며, 상기 조절 경로는 창유리(F)에 할당되는 측방향 안내 수단에 의해 정의된다.
창유리(F)의 측방향 안내 수단의 경우에, 예를 들면 윈도우 프레임의 프레임 부품이 사용될 수 있고, 창유리(F)는 창유리(F)의 측방향 에지에 의해 안내된다. 이것을 위해 프레임 부품은 각각 안내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내 채널 내로, 창유리가 측방향 윈도우 에지에 의해 결합된다. 변환 가능 차량의 소위 프레임 없는 도어의 경우에, 그러한 프레임 부품은 도어 케이싱(습한 룸(room)(N)) 내의 도어 트립 아래에서 지속될 수 있다.
트랙 없는 안내된 캐리어를 가진 그러한 윈도우 리프터의 경우에, 2개의 컴포넌트 즉 창유리(F)와 캐리어(5)를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창유리(F)와 캐리어(5)의 조립은, 창유리(F)가 이것을 위해 그 조절 경로(V)를 따라 통상적 방식으로 하강되면, 방해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편향 부재(4o, 4u)들 사이에 배치되는 캐리어(5)를 하강시키는 동안에 창유리(F)가 피해 갈 것이며, 따라서 창유리(F)의 점선으로 표시된 조절 경로(V)는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 거리(d) 만큼 캐리어(5)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특히,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서 볼 때, 캐리어(5)가 하부 편향기 부재(4u)의 영역에 따라서 하부 조절 위치(Vu)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오히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 편향기 부재(4o, 4u) 사이 또는 창유리(F)의 상부와 하부 조절 위치(Vo, Vu) 사이에서 조절 경로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면, 유효하다. 이것은, 조절 경로의 이러한 중앙 영역에서, 2개의 편향기 부재(4o, 4u)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안내되는 캐리어(5)와 조절 경로(V) 사이의 (수평) 거리가 통상적으로 특히 크기 때문이다.
도 1b는, 창유리 하부 에지(U)의 영역에서 할당된 캐리어(5)에 대한 조절될 창유리(F)의 연결 후의, 도 1a의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는 도 1a에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캐리어 형태의 집합 캐리어(1)에 배치되며, 구동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구동 모터 또는 크랭크 드라이브 형태의 구동기 집합체(20), 및 가요성 당김 수단(3)을 구동기 집합체(20)에 결합시키기 위해 구동기 모터(20)의 하류에 배치되는 전달 장치(조절 전달 장치(25))를 포함한다. 구동기 집합체(20)는 알려진 방식으로 예를 들면 로우프 드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로우프 드럼은,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2)가 작동될 때, 로우프 드럼이 회전되어 가요성 당김 수단(3)이 이동되도록,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의해 포착된다.
구동기 모터(20)의 구동 방향에 따라, 따라서 조절 전달 장치(25)의 로우프 드럼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요성 당김 수단(3)은, 가요성 당김 수단의 조절 섹션(30)에 묶이는 캐리어(5)가 주 조절 방향(z)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따라서 캐리어(5)에 고정되는 창유리(F)가 창유리(F)에 할당되는 자동차의 윈도우 개구를 폐쇄 또는 릴리스시키기 위해 픽업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창유리(F)는 윈도우 프레임의 프레임 부품(R1, R2) 형태의 할당되는 안내 수단 내에서 창유리의 측방향 윈도우 에지에 의해 안내되며, 프레임 부품(R1, R2)에 각각의 경우에 안내 채널이 구비되며, 안내 채널 내로, 창유리(F)가 그 각각의 측방향 윈도우 에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프레임 부품 형태의 안내 수단(R1, R2)은, 창유리(F)가 주 조절 방향(z)을 따라 캐리어(5)에 의해 이동되면, 정의되는 소정 조절 경로(V)((도 1a)(구부러짐)와 비교하기 바람)를 창유리(F)에 부여하도록, 연속된다. 다시 말해서, 창유리(F)는 수직 자동차 축(z)에 대응하는 직선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오히려 코스 특히 측방향 안내 수단(R1, R2)의 곡선에 의해 판정되는 (구부러진 직선에 대해 조절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도 1a 및 도 1b에 의해, 트랙 없는 캐리어을 가진 윈도우 리프터가 각각의 경우에 소위 단일 연선(stranded) 윈도우 리프터의 예에 의해 설명되며, 단일 연선 윈도우 리프터에서, 가요성 당김 수단은 각각의 경우에, 주 조절 방향(z)을 따라 연장되는 조절 섹션(30)만 포함한다. 그러나, 앞의 설명은 다중 연선 윈도우 리프터 특히 가요성 당김 수단(3)의 2개(또는 그 이상)의 조절 섹션(30)이 각각의 경우에 조절될 창유리(F)의 주 조절 방향(z)을 따라 연장되는 이중 연선 윈도우 리프터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유효하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편향기 부재 및 편향기 부재에 묶일 캐리어는, 가요성 당김 수단(3)의 대응 조절 섹션(30) 각각에 배치되며, 가요성 당김 수단(3)의 각각의 조절 섹션(30)은 조절될 창유리(F)에 상기 캐리어를 통해 연결된다.
조립 동안에 도 1b에 도시된 안내 수단에 의해 정의되는 창유리(F)의 조절 경로(V)를 따라 창유리(F)가 하강되는 동안에, 창유리(F)(그 하부 에지(U)의 영역)이 할당된 캐리어(5)에 의해 포착될 수 있어서 상기 캐리어를 회피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캐리어(5)가 조절 경로 밖에 배치되는 경우 즉 캐리어(5)가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즉 소위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름) 조절 경로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는, 캐리어(5)는 도 2에 따라, 창유리(F)의 조절 경로(V) 내로 돌출되는 연장부(6)(굽힘 단부 섹션(65)을 가짐)을 포함한다.
캐리어(5)는 특히 홀더(10)(집합 캐리어(1)에 구비됨)에 배치되며, 홀더(10)는, 특히 창유리(F)가 조절 경로(V)를 따라 하강할 때 캐리어(5)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6)를 때리면(창유리(F)의 하부 에지(U)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을 따라 홀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캐리어(5)를 수용한다. 따라서, 캐리어(5)를 위한 홀더(10)는 하나 이상의 멈춤/지지 섹션을 정의하며, 멈춤/지지 섹션에 의해, 캐리어(5)는, 상기 캐리어가 조립의 목적으로 창유리(F)를 하강시키는 동안에 정의된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창유리(F)(그 하부 에지(U)에 의해)가 캐리어(5)의 연장부(6)를 때리면 이러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5)의 위치는, 편향기 부재(4o, 4u)들 사이에서 거의 팽팽하게 연속되는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이미 묶여 추가적으로 안정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홀더는, 예를 들면 자동차 도어의 집합 캐리어(1) 또는 다른 컴포넌트로서, 예를 들면 도어 부재의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0) 및 캐리어(5)는 이제, 창유리(F)의 수직 자동차 축(z) 또는 주 조절 방향을 따라서 볼 때, 실질적으로 조절 경로(V)의 양쪽 단부(Vo, Vu)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실시예에서 대략 조절 경로(V)의 2개의 단부(Vo, Vu) 사이 또는 편향기 부재(4o, 4u) 사이의 중앙에 위치된다.
캐리어(5)의 연장부(6)는, 캐리어(5)가 할당된 홀더(10) 내에 있을 때, 창유리(F)를 창유리(F)의 조절 경로(V)를 따라 하강시킬 때 창유리(F)를 포착하는 작용을 가진다. 따라서, 연장부(6)는, 캐리어(5)가 창유리(F)에 대해 창유리(F)를 포착할 때 조립 위치에 있도록, 캐리어(5)에 형성되며, 조립 위치는 창유리(F)의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이고, 즉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르며, 작용 위치로부터 이격되고, 작용 위치에서, 창유리(F)와 캐리어(5)는 의도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조립 개구(15)는 도 2에 따른 마지막 조립 단계를 위해 집합 캐리어(1) 내에 구비된다.
창유리를 캐리어의 조립 위치에 포착하는 것 및 창유리에 대해 캐리어를 창유리(F)와 캐리어(5)가 의도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작용 위치로 후속적으로 이송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 상세사항은 다음에서 도 3a의 상세도에 의해 설명한다.
따라서, 도 3a의 상세도는, 홀더(10)에 배치되는 캐리어(5)의 영역에서의 도 2의 단순한 인용이 아니고, 캐리어(5)를 의도한 바와 같이 창유리(F) 특히 창유리(F)의 하부 에지(U)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에 관한 추가적 상세사항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에 따라, 캐리어(5)를 위한 홀더(10)로서 리세스가 집합 캐리어(1)에 구비되며, 상기 리세스는 멈춤 또는 지지 섹션(11a, 11b, 12a, 12b)을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가 홀더(10)에 배치될 때 캐리어(5)는 멈춤 또는 지지 섹션(11a, 11b, 12a, 1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멈춤 또는 지지 섹션(11a, 11b)은, 집합 캐리어(1)의 조립 개구(15) 아래에 배치되는 제1 멈춤 그룹(11)을 형성하고, 추가적 멈춤 또는 지지 섹션(12a, 12b)은, 상기 조립 개구(15) 위에 구비되는 상부 멈춤 그룹(12)을 형성한다.
이들 멈춤 또는 지지 섹션에 의해, 캐리어(5)는 적어도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상하로 지지되고, 또한 추가적으로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라 조절 경로(V)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지된다.
대응 멈춤 섹션(11a, 11b, 12a, 12b)을 형성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방향으로 캐리어(5)가 할당된 홀더(10)에 지지되어야 하는가 하는 것은 각각의 경우의 요구사항에 의존한다. 그러한 지지는, 창유리(F)가 조립 목적을 위해 조절 경로를 따라 홀더를 향해 하강되는 동안에, 캐리어가 한편으로는 홀더(10)에 정의된 위치에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고(도 2와 비교하기 바람), 창유리(F)가 하강 동안에 이러한 목적으로 캐리어(5)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6)와 최종적으로 결합될 때 발생하는 힘이 멈춤 또는 지지 섹션을 통해 흡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또한, 예를 들면 소위 케이블 단부 하부(31, 32) 및 캐리어에 할당되는 단부 하부 챔버를 통해 캐리어(5) 자체가 묶이는 가요성 당김 수단(3)도 기여한다. 마지막으로, 또한, 캐리어(5)를 홀더(10)에서 정의된 위치에 안정시키기 위해 조립 툴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5)를 홀더(10)에서 정의된 위치에 위치시키고, 창유리(F)가 연장부(6)를 때릴 때 발생하는 힘을 흡수하기 위해, 홀더(10)의 하부 멈춤 섹션(11a)에 의해 확실하게 되는, 예를 들면 도 3a에서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른 하향으로의 캐리어(5)의 지지가 적절하지만 아래에서 더욱 설명하듯이 강제조항은 아니다.
연장부(6)는, 창유리(F)가 캐리어(5)의 수직 위치에 도달할 때(수직 자동차 축(z)을 따름), 창유리(F)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경로를 따라 하강하는 동안에 상기 연장부(6)를 때리도록(창유리(F)의 하부 에지(U)에 의해), 캐리어(5)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면 캐리어(5)는 창유리(F)에 대해 조립 위치에 있는데, 조립 위치에서, 캐리어(5)는,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름), 창유리(F)로부터, 의도한 바와 같이 캐리어(5)를 창유리(F)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직 가능하지 않은 거리에 있다.
이것을 위해, 캐리어는 창유리(F)에 대해 작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방향을 따라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즉, 수평 자동차 축(y)을 따름) 창유리(F) 또는 캐리어(5)와 대향하는 창유리(F)의 표면에 더 가까이 와야 한다. 따라서, 아직 완전히 팽팽하지 않은 당김 수단(3)의 가요성이 사용되며, 그것은 창유리(F)를 향한 방향으로의 캐리어(5)의 소정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필요한 캐리어(5)에 대한 파워 충격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비되는 집합 캐리어(1)의 조립 개구(15)를 통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창유리(F)에 대한 캐리어(5)의 조립 위치는, 상기 창유리가 조립 목적을 위해 창유리의 조절 경로(V)를 따라 이동되고 캐리어(5)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비되는 홀더(10)에 배치되는 동안에 창유리가 캐리어(5)의 연장부(6)와 결합될 때, 창유리(F)에 대해 캐리어(5)가 점유하는 위치이다.
창유리(F)에 대한 캐리어(5)의 작용 위치는 대조적으로, 캐리어(5)가 의도한 바와 같이 창유리(F)에 고정되는 위치로서 정의된다.
홀더에 할당되는 팽창 부재(90)(팽창 플러그) 및 할당되는 삽입 부재(91)(볼트 또는 스크루) 형태의 도 3의 실시예의 고정 수단(9)은 후자의 목적을 위해 작용하며, 팽창 부재(90)는 상기 삽입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팽창될 수 있다. 윈도우 구멍(L)은 창유리(F) 쪽에서 상기 고정 수단(9)에 할당되며, 캐리어가 의도한 바와 같이 창유리에 대해 조립 위치에 위치되면, 팽창 부재(90)는 상기 윈도우 구멍과 결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캐리어(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당김 수단(3)의 가요성을 사용하여 창유리(F)(실시예에서, 할당되는 안내 수단(R1, R2)에 의해 정의된 조절 경로를 따라 안내됨, 도 1과 비교)에 더 가까이 온다.
도 3a에 도시되지 않은 작용 위치에 도달한 후에, 캐리어(5)는 창유리(F)와 함께 조절 경로(V)에 위치된다. 그러면, 창유리(F)는 그 하부 에지(U)가, 원래 창유리(F)의 조절 경로(V) 내에 있지 않는 캐리어(5)의 하부 영역(50)에 대향하는 상태로 놓인다.
캐리어(5)를, 도 3a에 도시된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캐리어가 의도한 바와 같이 창유리(F)에 고정될 창유리(F)에 대한 작용 위치로 이송할 때, 창유리(F)는(그 하부 에지에 의해) 캐리어(5)의 연장부(6)에 구비되는 전이 영역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캐리어의 작용 위치에 도달할 때, 창유리(F)는 그 표면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비되는 캐리어(5)의 암(51)에 대향하는 상태로 놓이고, 창유리(F)는 그 하부 에지가(직접적으로 또는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댑터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한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에 대해 평행하게 볼 때, 연장부(6) 또는 전이 영역(60)에 인접하는 캐리어(5)의 하부 영역(50)에 의해 지지된다. 창유리의 하부 에지(U)에 할당되고 창유리에 대향하는 캐리어(5)의 이러한 하부 영역(50)은, 캐리어(5)가 아직 홀더(10)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로부터 이격되는(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을 따름) 한, 조절 경로(V)를 따라 하강될 창유리(F)의 조절 트랙에 아직 놓이지 않는다(도 2와 비교).
따라서, 창유리(F)는, 조립의 목적을 위해 조절 경로(V)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캐리어(5)의 연장부(6)에 의해 처음으로 포착되며, 연장부(6)는, 조립 목적을 위한 창유리의 이동 동안에, 창유리의 하부 에지(U)를 위한 멈춤부 및 연장부(6)에 구비되는 어댑터를 형성하지만, 상기 연장부는 캐리어(5)가 작용 위치로 이송된 뒤에는 더 이상 창유리 하부 에지(U)와 대향하지 않는다. 그러면, 창유리 하부 에지(U)는, 연장부(6)에 인접하는 캐리어(5)의 하부 영역(50)과 대향한다. 연장부(6)와 실제 캐리어(5) 특히 캐리어(5)의 하부 영역(50) 사이의 경계는 도 3a에서 일점쇄선의 경계선(G)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었다.
또한 도 3a에, 캐리어(5)의 하부 영역(50)이 감쇄 목적을 위해 배치되는 감쇄 부재를 가지는 리세스에 의해 옵션으로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b 내지 도 3e에, 도 3a의 배치의 네가지 다른 수정예가, 즉 캐리어를 각각의 작용 위치에서 할당된 창유리(F)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에 대한 가지 다른 수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 내지 도 3e 및 도 3a는, 조절 경로(V)를 따른 하강 동안에 캐리어(5)가 창유리(F)를 포착하는 캐리어(5)의 조립 위치에 있는 캐리어(5) 및 창유리(F)를 도시하고 있다(도 2와 비교). 캐리어의 작용 위치 및 조립 위치와 작용 위치 사이의 전이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되어 있고 아래에서 더욱 설명된다.
도 3b에 따라, 캐리어(5)로부터 연장되는 스냅 부재(92) 형태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정 후크의 형태인 고정 부재(9)가 캐리어(5)에 구비되며, 상기 스냅 부재는, 캐리어(5)가 의도한 바와 같이 창유리(F)에 대해 작용 위치에 배치되면, 창유리(F)의 할당되는 윈도우 구멍(L)과 결합될 수 있으며, 작용 위치에서, 윈도우는, 고정 부재(9)가 연장되는 캐리어(5)의 측방향 암(51)에 대향하여 놓인다.
도 3c 및 도 3d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 부재(9)는 각각의 경우에 치형부 부재 형태의 스냅 부재(93)로서 형성되며, 치형부 부재에, 창유리(F)의 하부 에지(U)의 영역에 고정되는 어댑터(100)의 대향 치형부(102) 또는 단일 치형부(101)가 구비되는 개구(O)가 할당된다. 캐리어(5) 쪽의 고정 부재(9)는 여기에서 각각의 경우에 창유리(F) 자체와 직접 상호작용하지 않고, 적절한 연결 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를 통해 창유리(F)의 하부 에지(U) 영역에 고정되는 어댑터(100) 형태의 추가적 부재와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조립의 목적을 위해 창유리(F)를 그 조절 경로(V)를 따라 이동(하강)시킬 때, 창유리(F) 자체는 캐리어(5)의 연장부(6)에 의해 직접 포착되지 않고 어댑터(100)에 의해 포착된다. 그 후에, 창유리(F)에 대한 캐리어(5)의 횡방향 이동은 조립 동안에,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름) 일어나며, 그 때에, 캐리어(5)가 스냅 부재(93) 형태의 고정 부재(9) 및 할당되는 스냅 개구(O)를 통해 창유리(F)에 고정되고, 창유리(F)가 어댑터(100)를 통해 캐리어(5)의 측방향 암(51)에 대향하여 놓일 때까지, 창유리는 연장부(6)의 미끄럼 영역(60)을 따라 어댑터(100)를 넘어 창유리의 하부 에지(U)의 영역에서 미끄러진다.
도 3e의 실시예의 경우에, 캐리어 쪽의 고정 부재(9)는, 어댑터(100)의 할당되는 스냅 개구(O) 내로 스냅될 수 있는 탄성 클립핑 부재(94)로서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i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되는 도 3a의 배치의 추가적 수정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a의 배치의 제1 수정예와 관련된다. 도 4a는 도 3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캐리어(5)의 조립 위치에서의 대응 사시도이며, 창유리(F)가 이미 캐리어(5)의 연장부(6)로 하강되어 있다. 도 4c는 작용 위치로의 이송 후의 캐리어(5)를 도시하고 있다. 도 4d 내지 도 4f는, 캐리어(5)가 조립 위치에 있는 경우에 도 4a 및 도 4b의 상류의 창유리(F)의 하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d는 분해도이고, 도 4e 내지 도 4f에, 캐리어(5)를 위한 홀더(10)를 가진 집합 캐리어(1)의 일부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f의 배치에 따라, 캐리어(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조립 위치에서,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라서만 대응 홀더(10) 또는 멈춤/지지 섹션(11b, 12b)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캐리어(5)는 이미 조립 위치에서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추가로 묶여 있기 때문에, 작용 위치에서의 캐리어(5)의 충분히 안정한 위치설정은 이를 통해 이미 달성될 수 있다.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른 홀더(10)에 의한 캐리어(5)의 지지로 인해, 특히 창유리(F) 또는 창유리(F)에 구비되는 어댑터(100)가 캐리어(5)의 연장부(6)를 때릴 때 발생하는 힘의 충격에 의한 캐리어(5)의 경사(자동차 길이방향 축(x) 주위로의 경사)를 피할 수 있다.
홀더(10)는, 도 4a 및 도 4b에 따라, 캐리어(5)를 위한 멈춤/지지 섹션(11b, 12b)이 정의되는 단순한 지지 표면(집합 캐리어(1)의)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의 일부분(11b)은 기본적으로 조립체 개구(15) 아래에 위치되고, 다른 부분(11b)은 기본적으로 조립체 개구(15)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홀더(10)를 형성하는 지지 표면은, 이 실시예에서 대조적으로, 집합 캐리어(1)의 다른 영역(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름)으로 약간 창유리(F)를 향하여 돌출된다.
창유리(F)에 할당되는 어댑터(100)는 여기에서 L자형이며, 어댑터(100)의 굽혀진(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보면, 어댑터(100)의 하부의) 암(105)은, 도 4d 내지 도 4f에 도시되었듯이 조립의 목적을 위해 창유리(F)를 하강시키는 동안에, 도 4a 및 도 4b에 의해 도시되었듯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비되는 캐리어(5)의 연장부(6)와 결합된다.
따라서, 어댑터의 굽혀진 암(105)은, 캐리어(5)를 후에 작용 위치에서 창로 이송할 때, 상기 암이 캐리어(5)의 암(51)과 충돌하지 않도록, 어댑터(100)에 형성되고 도 4a의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즉, 자동차 길이방향 축(x)을 따름) 위치된다(도 4c와 비교). 도 4b에 따라, 굽혀진 암(105)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2개의 암 섹션(105a, 105b)에 의해 한정되는 오목부(105c)를 포함한다.
도 4a에 의해 명백하게 되듯이, 어댑터(100)는, 케이싱(107)을 가지는 윈도우 구멍(L)을 통해 도달하며, 캐리어(5)를 창유리(F)에서 작용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싱(107) 내로, 캐리어 쪽의 스크루 형태의 고정 부재(91)가 나사체결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자체 절단 스크루일 수 있으며, 상기 스크루의 나사산은 케이싱(107) 내로의 나사체결 동안에 대응 카운터 나사산(counter-thread)을 형성한다. 대안으로서, 내부 나사산은 이미, 캐리어 쪽의 스크루 형태의 고정 부재(91)가 나사체결되는 케이싱(107)에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조립 위치로부터 도 4c에 도시된 창유리(F)에서 작용 위치로 이송할 때, 가요성 당김 수단(3)은 원래의 평면(E)으로부터 더욱 바깥으로 편향되어 추가로 팽팽하게 될 수 있어, 상기 당김 수단은 윈도우 리의 작동 동안에 의도한 인장을 가진다.
도 4g에 도시된 실시예는, 윈도우 구멍(L)과 결합되며 캐리어 쪽의 스크루 형태의 고정 수단(91)과 나사체결될 때 팽창될 수 있는 팽창 플러그(108)가 어댑터(100)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4a 내지 도 4f에 따른 배치와 다르다. 여기에서, 팽창 플러그(108)는, 상기 플러그를 창유리(F)에서 윈도우 구멍(L)의 에지에 스냅될 수 있게 하여 이와 동시에 어댑터(100) 역시 창유리(F)에 유지(형상 맞춤)되게 하는 클립핑 부재를 더 포함한다.
도 4h는 도 4g의 수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4h에 따라, 어댑터(100)는 기본적으로 T자형이며, 캐리어(5)와 대향하는 창유리(F)의 표면 앞에 위치되고, 도 4a 내지 도 4g의 경우의 상기 어댑터는 각각의 경우에, 캐리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창유리(F)의 표면 앞에 배치된다.
또한 여기에서, 추가적 컴포넌트(100a)가, 캐리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창유리(F)의 표면에 배치되며, 추가적 컴포넌트(100a)는 처음에는 어댑터의 일부로서 보일 수 있고, 동시에 캐리어 쪽의 스크루 형태의 고정 수단(91) 및 윈도우 쪽의 케이싱(108)을 통해 캐리어(5)를 창유리(F)에 고정시킨 후에 제2 캐리어 암으로서 작용하여, 창유리(F)는 제1 캐리어 암(51)과 상기 제2 캐리어 암(100a) 사이에 수용된다.
또한, 도 4h에 따라, 도 4a 내지 도 4g의 배치와 대조적으로, 캐리어(5)를 위한 추가적 지지부(11a)가, 수직 자동차 축(z)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홀더(10)에 구비된다.
도 4i의 실시예에서, 창유리(F)를 그 하부 에지(U)의 영역에서 둘러싸며 특히 하부 에지(U)에 접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어댑터가 창유리(F)에 배치된다.
어댑터(100)는, 창유리 하부 에지(U) 아래에 내부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109)을 가지며, 내부 나사산 내로, 캐리어를 창유리(F)에 고정시키기 위해, 캐리어 쪽의 스크루 형태의 고정 수단(91)이 나사체결될 수 있다.
도 5a에, 캐리어(5)를 위한 홀더(10), 캐리어(5), 및 창유리(F)의 하부 에지(U)의 영역에 배치되는 어댑터(100)를 가진 창유리(F)를 가진 도어 모듈 캐리어(1)의 단면이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홀더(10)는, 캐리어(5)가 그 암(51)을 통해 홀더(10) 내에 형상 록킹되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도록, 캐리어(5) 실시예에서 특히 캐리어(5)의 암(51)의 외부 윤곽과는 대조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리어는, 5개의 공간 방향을 따라, 즉,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상하로,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자동차 길이방향 축(x)을 따라, 및 창유리(F)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라 형성되는 멈춤부(11a, 11b, 11c, 11d, 및 12a, 12b, 12c, 12d)에 지지될 수 있다.
캐리어(5)를 창유리(F)에 고정시키기 위해, 캐리어(5)의 치형부 영역 형태의 2개의 스냅 영역(96)이 고정 부재(9)로서 구비되며, 고정 부재(9)는 자동차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캐리어(5)로부터 더욱 정확하게는 캐리어(5)의 암(51)으로부터 연장되며, 창유리(F)의 하부 에지(U)의 영역에 배치되는 어댑터(100)의 할당되는 대향하는 치형부(106)과 결합될 수 있다(역시 도 5b와 비교).
창유리가 조립의 목적을 위해 창유리의 조절 경로를 따라 하강되는 동안에 캐리어(5)의 연장부(6)에 의해 포착되고, 그 후에 캐리어(5)가 창유리(F)에 대해 작용 위치로 이송된 후의 도 5a 및 도 5b의 배치가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도 5c 및 도 5d는 또한, 작용 위치에서 창유리(F)와 어댑터(100)에 대한 캐리어(5)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캐리어 쪽의 스냅 치형부(96) 형태의 고정 부재(9)는 어댑터(100)에서 대응 대향하는 치형부(106)와 결합된다.
또한, 창유리(F)는, 어댑터(100)를 통해, 캐리어(5)의 대응 암(51)에 기대어 놓이고, 창유리 하부 에지(U)는, 창유리(F)의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즉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름) 캐리어의 연장부(6)에 인접하는 캐리어(5)의 하부 영역(50)에 대향한다(도 2와 비교). 따라서, 창유리(F)는 그 하부 에지(U)에 의해 상기 하부 영역(50)에 직접 기대어 놓이지 않고, 어댑터(100)를 통해 상기 하부 영역(50)에 기대어 놓인다. 스냅 치형부(96)를 구비하는 캐리어(5)의 돌출부는, 대향 치형부(106)를 구비하는 캐리어(5)의 돌출부와 창유리 하부 에지(U) 사이에 수용되어, 캐리어 쪽의 스냅 치형부(96)와 윈도우 쪽의 대향 치형부(106)는 서로 결합되게 된다.
도 2 내지 도 5d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에, 연장부(6)는 각각의 경우에 대응 캐리어(5)로부터 견고하게 연장되며, 기본적으로 할당되는 창유리(F)의 인접 경로(V)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특히 도 2와 비교). 도 6a 내지 도 8b에 의해, 캐리어(5)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부(7)를 가지는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a에 따라, 캐리어(5)는 기저부 본체로서 암(51)을 포함하며, 암(51)에, 연장부(7)가 (힌지 형태의 저장 위치(57)를 통해) 접힐 수 있게 힌지되고, 캐리어(5)와 연장부(7)는, 무었보다도 예를 들면 탄성 링 형태의 탄성 유지 부재(58)를 통해, 도 6a에 도시된 피봇 위치에 유지되며, 피봇 위치에서, 연장부(7)는 조립 목적을 위해 하강될 창유리(F)의 조절 트랙으로 돌출되도록, 캐리어(5)에 대해 외향으로 접힌다. 캐리어(5)와 연장부(7)는 또한, 여기에서 로우프(80) 형태인 트리거(trigger) 부재(8)를 통해 하강될 창유리(F)와 대면하도록 캐리어(5)와 연장부(7)의 상부 단부의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며, 로우프(80)는 제1 고정 위치(18)에서는 연장부(7)에 고정되고 제2 고정 위치(82)에서는 캐리어(5)에 고정된다. 트리거 부재(8)는, 탄성 유지 부재(58)가 연장부(7)를 캐리어(5)에 대해 경사진 도 6a에 도시된 경사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며, 경사 위치에서, 연장부(7)는 하강될 창유리(F)의 조절 트랙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연장부(7)는 조절 트랙(V)에 대해 또는 조절 경로(V) 내에 있는 창유리(F)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상태로 지속된다.
또한, 캐리어(5) 더욱 정화하게는 캐리어(5)의 암(51) 중 하나, 및 연장부(7)는 그들의 내면에 감쇄 삽입부(55)(예를 들면 고무로 됨)가 구비되며, 감쇄 삽입부(55)를 통해, 캐리어(5) 또는 캐리어(5)의 하나의 함(51) 및 연장부(7)는 최종적으로 창유리(F)의 각각의 측면에 기대어 놓일 것이다(도 6b와 비교).
창유리(F)를 그 조절 경로를 따라 하강시킬 때, 상기 창유리(F)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7) 더욱 정확하게는 연장부(7)의 내부 미끄럼 표면 또는 캐리어(5)로 연장되는 캐리어(5)의 내부 고무 삽입부(55)를 때린다. 그러나, 창유리(F)가 하강 동안에 (창유리의 하부 에지(U)를 통해) 연장부(7) 또는 삽입부(55)의 국부 영역을 때리기 전에, 상기 창유리는 먼저 로우프(80) 형태의 트리거 부재(8)에 작용하고 트리거 부재(8)의 중앙 섹션을 따라 가며, 트리거 부재(8)에 의해 베어링 위치(57) 주위의 연장부(7)의 접힘 이동이 시동되고, 연장부(7)는 캐리어(5)의 대향 암(51)을 향해 점점 접히며, 캐리어(5)와 창유리(F)는 연장부(7)의 전이 영역(70)을 따라, 도 6a에 도시된 조립 위치로부터 도 6b에 도시된 작용 위치로 이송된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창유리(F)에 대한 캐리어(5)의 조립 위치는, 원래 창유리의 조절 경로 밖에 있던 캐리어의 암(51)이 이제 창유리(F)의 표면에 기대어 있는 도 6b에 도시된 작용 위치에 캐리어(5)가 있는 동안에, 조절 경로(V) 상에 있는 창유리(F)가, 조절 경로를 따라서 보면, 캐리어의 피봇되거나 접힌 연장부(7)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작용 위치에서, 캐리어(5)는 먼저, 앞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듯이, 할당된 홀더 내에 위치되고, 홀더로부터, 상기 캐리어는 이송되는 동안에 도 6b에 도시된 작용 위치로 창유리(F)를 향해 이동된다.
창유리(F)를 향한 캐리어(5)의 이러한 전진은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서 자동적으로 일어나며, 창유리(F)가 연장부(7)의 전이 영역(70)을 따라 미끄러지는 동안에, 연장부(7)는 캐리어(5)의 대향 암(51)을 향해 피봇된다.
최종 작용 위치에서, 도 6b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창유리(F)는, 캐리어(5)의 하나의 암(51)과, 캐리어(5)에 접힌 연장부(7) 사이에서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수용된다. 그러면, 연장부(7)는 캐리어(5)의 제2 암으로서 작용하며, 제1 암(51)과 함께 삽입부(55)를 통해 창유리(F)를 클램핑 방식으로 수용한다.
또한, 캐리어와 창유리 사이의 견고한 접착 연결은, 예를 들면 조립 직전에 삽입부(55)에 접착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 6a의 배치의 수정예가 개략적 단면도 및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기본적인 차이점은, 도 7a 및 도 7b에 따르면, 트리거 부재(8)가 (탄성 또는 플라스틱) 가변형 부재(80')에 의해 형성되고, 가변형 부재(80')는 한쪽에서는 연장부(7)에서 위치(81)에 고정되며, 다른 쪽에서는 캐리어(5)에서 위치(82)에 고정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트리거 부재(8)는 동시에, 캐리어 암(51)과 연장부(7)를 각각 창유리(F)의 표면에 기대어 놓일 수 있게 하는 삽입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캐리어(5)가 창유리(F)에 대해 작용 위치(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지 않음)를 점유하고, 앞에서 도 6b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암(51)과 상기 연장부(7) 사이에 클램핑 방식으로 수용되면, 캐리어(5) 또는 더 정확하게는 캐리어(5)의 하나의 암(51) 및 연장부(7)를 서로에 대해 인장될 수 있게 하는 할당된 너트를 가진 스크루 형태의 인장 패스너 부재(85)가 구비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 6a의 배치의 추가적 수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트리거 부재(8)는 동시에 그 작용 위치(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창유리(F)를 위한 삽입부로서 작용한다. 트리거 부재(8)는, 창유리의 충격 동안에 캐리어(5)의 대향 암(51)을 향한 연장부(7)의 접힘을 시동하기 위해, 필름 힌지 형태의 힌지(83)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시에 힌지가 장착되는 길이방향 부재(80") 형태의 삽입부로서 작용하는 트리거 부재(8)는 이제, 창유리(F)가 트리거 부재(8)에 작용하는 동안에, 연장부(7)의 전이 영역(70)에 독킹될 수 있도록, 연장부(7)의 연장 핀(75) 쪽에 있는 고정 영역(81)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도 9에 최종적으로 캐리어(5)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캐리어의 연장부(7)는 한편으로는 할당된 창유리(F)의 조절 경로(V)에 대해 또한 창유리(F) 자체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지속하고, 상기 창유리의 연장부(7)는 다른 한편 기본적으로 캐리어(5)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그것은 연장부(7)가 삽입된 창유리를 향해 접힐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이제, 캐리어(5)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캐리어 암(51, 52)을 포함하며, 2개의 캐리어 암(51, 52) 중 하나의 암(51)은 연장부(7)와 대향하고, 다른 암(52)은, 수직 자동차 축(Z)을 따라 보면, 연장부(7)에 상향 인접한다. 캐리어(5)의 상기 제2 암(52)에 스냅 부재(95)가 고정 부재(9)로서 구비되며, 스냅 부재(95)는, 창유리(F)에 대한 캐리어(5)의 작용 영역에서, 창유리(F)의 하부 에지(U)의 영역에 구비되는 창유리 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감쇄 부재는 캐리어(5)의 하부 영역(50)에 배치되며, 감쇄 부재는 캐리어(5)의 작용 위치에서, 창유리(F)의 하부 에지(U)와 대향한다.
도 10a는, 피봇 가능하게 저장되는 연장부(7)를 가지는 캐리어이 추가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캐리어(5)는 할당된 창유리(F)를 수용하는 영역에서 기본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리어(5)는 도 10a 도시된 조립 위치에서 제1 암(51)을 통해 홀더(10)에 기대어 놓이며, 홀더(10)는 집합 캐리어(1)의 지지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라 (상기 제1 암(51)을 통해) 캐리어(5)를 지지할 수 있다.
캐리어(5)의 제2 암(52)은 제1 캐리어 암(51)과 대향되며,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라 상기 암으로부터 이격된다. 창유리(F)에 의도한 바와 같이 배치되는 캐리어(5)의 경우에, 상기 창유리는 창유리 하부 에지(U)에서 캐리어(5)의 2개의 암(51, 52)들 사이에 수용되고, 창유리 하부 에지(U)는, 2개의 암(51, 52)을 연결하는 캐리어(5)의 하부 영역(50)과 대향한다.
이제, 연장부(7)는, 연장부(7)에서 레버 암(7a, 7b)이 저장 위치(57)의 양쪽에 형성되도록, 캐리어(5)에 더욱 정확하게는 실시예에서 제2 캐리어 암(52)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캐리어(5)가 그 조립 위치에 있고 아직 할당된 창유리(F)에 고정되지 않는, 도 10a에 도시된 시작 위치에서, 연장부(7)는 수직 자동차 축(z)에 대해 계속 경사되며, 연장부(7)의 하나의 레버 암(7a)은, 조립을 위해 하강될 창유리(F)의 조절 경로로 돌출되고, 제2 레버 암(7b)은 연장부(7)를 사전 세팅된 피봇 가능 위치에 소정 경사로 유지하기 위해, 캐리어 쪽 멈춤부(58)와 상호작용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목적을 위해 하강될 때 창유리(F)가 연장부(7)의 제1 레버 암(7a)를 때리면, 연장부(7)는 먼저, 캐리어 쪽 멈춤부(58)와 제2 레버 암(7b)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사전 세팅된 피봇 위치에 유지되고, 창유리(F)와 캐리어(5)는 연장부(7)에서 전이 영역(70)을 따라 서로를 향해 상대 이동된다. 따라서, 캐리어(5)는, 도 10a로부터 도 10b로의 전이에 따라, (가요성 당김 수단(3)의 추가적 인장에 의해) 창유리(F)를 향해 수평 자동차 축(y)을 따라 홀더(1)에서 조립 위치로부터 나온다.
연장부(7)의 전이 영역(70)을 따른 캐리어(5)와 창유리(F)의 상대 이동 동안에, 창유리는 최종적으로 저장 위치(57)를 넘어 가고, 그에 의해, 연장부(7)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유리(F)가 제2 레버 암(7b)에 작용하기(창유리의 하부 에지(U) 또는 하부 에지(U)의 영역에 구비되는 창유리 어댑터를 통해) 시작하도록, 캐리어(5)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통해, 연장부(7)에 작용하는 토크의 방향은 회전되고, 상기 연장부는, 집합 캐리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 창유리(F)의 표면을 향해 저장 위치 주위로 접히며, 창유리(F)는, 도 10b로부터 도 10c로의 전이에 따라, 캐리어(5)의 2개의 암(51, 52) 사이의 수용 영역으로 이동된다.
2개의 레버 암(7a, 7b)을 가지도록 연장부(7)를 수정함으로 인해, 제1 레버 암(7a)은 전이 영역(70)을 정의하도록 작용하고, 전이 영역(70)을 따라, 캐리어(5)는, 즉 상기 제1 레버 암(7a)에 대한 창유리(F)의 충격에 의해 자동적으로, 그 조립 위치로부터 창유리(F)를 향해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당김 수단(3)은 동시에 점점 팽팽하게 된다.
창유리(F)에서 캐리어(5)의 작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창유리는(그 하부 에지(U) 또는 어댑터를 통해) 연장부(7)의 제2 레버 암(7b)에 기대게 되고, 그를 통해 자동적으로, 연장부(7)의 피봇 이동이 시동되며, 상기 연장부는 창유리(F)를 향해 접힌다. 이를 통해, 창유리(F)는 캐리어(5)의 수용 영역(캐리어의 2개의 암(51, 52)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다. 완전한 조립 프로세스는, 연장부(7)에 대한 창유리(F)의 충격에 의해(직접적으로 또는 어댑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또한 그로 인해 작용하는 힘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지속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 10a 내지 도 10c의 실시예의 수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기본적인 차이점은 연장부(7)의 제1 레버 암(7a)의 공간 방향 및 할당된 홀더에 의한 캐리어(5)의 지지에 있다.
연장부(7)의 제1 레버 암(7a)은 시작 위치에서 밖으로 연장되고, 시작 위치에서, 상기 암은, 조립 목적을 위해 창유리의 조절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창유리를, 수직 자동차 축(z)에 대해 또는 캐리어(5)로부터 조절될 창유리(F)의 조절 경로에 대해 기본적으로 직각으로 포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그것은 암이 기본적으로 수평 자동차 횡방향 축(y)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뜻한다.
또한, 추가적 멈춤/지지 섹션(11a)이, 집합 캐리어(1)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영역에 추가하여, 홀더(10)에 구비되며, 멈춤/지지 섹션(11a)을 통해, 캐리어(5)는 수직 축(z)을 따라 그 조립 위치에 하향 지지될 수 있다.
3: 가요성 당김 수단
5: 캐리어
6, 7: 연장부
F: 창유리
R1, R2: 안내 수단

Claims (24)

  1. 자동차를 위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에 있어서,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2)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조절될 창유리(F)로 전달하기 위한 가요성 당김 수단(3),
    상기 창유리(F)가 캐리어(5)를 통해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되도록, 한편으로는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묶여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창유리(F)가 고정되어 있는 상기 캐리어(5), 및
    안내 수단(R1, R2)에 의해 정의된 조절 경로(V)를 따라 상기 창유리(F)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5)로부터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어 있는 상기 안내 수단(R1, R2)
    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 및 상기 캐리어(5)를 통해 상기 창유리(F)에 구동력이 인가되면, 상기 창유리(F)가 상기 캐리어(5)와 함께 상기 조절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캐리어(5)가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된 것에 더하여,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연장된 안내 디바이스와 결합됨이 없이,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른 이동이, 상기 안내 수단(R1, R2) 상에서 안내되는 상기 창유리(F)에 의해 상기 캐리어(5)에 직접적으로 강요되며,
    상기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는, 상기 창유리(F)의 상기 조절 경로(V) 밖에 놓여 있는 홀더(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5)가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되기 전에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홀더(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5)가 상기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홀더(10)에 배치될 때, 상기 창유리(F)를 포착하기 위해 상기 조절 경로(V)로 돌출되는 연장부(6, 7)가 상기 캐리어(5)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5)는, 상기 연장부(6, 7)에 의해 상기 창유리(F)를 포착한 후에,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조립 위치와 다른 작용 위치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작용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는 의도한 대로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상기 창유리(F)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의해 상기 캐리어(5)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조절 경로(V)는, 제1 및 제2 단부(Vo, Vu)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어(5)는, 상기 홀더(10)에 위치되는 동안에, 상기 조절 경로(V)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Vo, Vu) 사이의 연결 라인을 따라 볼 때, 2개의 상기 단부(Vo, Vu) 사이에 놓여 있고 상기 연결 라인을 따라 2개의 상기 단부(Vo, Vu)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가 상기 홀더(10)에 배치될 때 위치되는 위치는, 상기 조절 경로(V)의 2개의 상기 단부(Vo, Vu) 각각으로부터, 2개의 상기 단부(Vo, Vu) 사이의 상기 연결 라인의 전체 길이의 20% 이상에 대응하는 길이 만큼 이격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는 의도한 바와 같이, 상기 창유리(F)에 대한 상기 캐리어(5)의 상기 조립 위치와는 다른 상기 작용 위치에서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되며,
    상기 작용 위치에서, 상기 창유리(F)는, 상기 캐리어(5)가 상기 홀더(10)에 배치되는 동안에 상기 창유리(F)가 조립을 위해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이동되면, 상기 캐리어(5)로부터 연장된 상기 연장부(6, 7)와 결합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의 상기 연장부(6, 7)는, 상기 캐리어(5)를 상기 홀더(10)에 배치할 때, 상기 캐리어(5)가 상기 작용 위치로부터 상기 창유리(F)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격되는 동안에, 상기 캐리어가 조립 목적을 위해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창유리(F)를 상기 연장부(6, 7)에 의해 포착할 수 있도록 멀리 상기 캐리어(5)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작용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5)는 의도한 대로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6, 7)는 전이 영역(60, 70)을 포함하며,
    상기 전이 영역(60, 70)을 따라, 상기 캐리어(5)와 상기 창유리(F)가, 상기 캐리어(5)를 상기 창유리(F)에 대해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창유리(F)에 있는 상기 작용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의 상기 조립 위치 및 상기 캐리어(5)의 상기 작용 위치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창유리(F)에 대해, 상기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60)은 기본적으로 상기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70)은 상기 조절 경로(V)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경사진 상기 전이 영역(70)으로 인해,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른 상기 창유리(F)의 이동은, 상기 캐리어(5)를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작용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조절 경로(V)에 대해 횡방향인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창유리(F)에 대한 상기 캐리어(5)의 상대 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7)는 상기 캐리어(5)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7)는, 상기 홀더(10)에 배치된 상기 캐리어(5)에 대해 상기 창유리(F)가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연장부가 상기 창유리(F)의 영향 하에 상기 창유리(F)의 표면을 향해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5)에 연결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F)는, 상기 캐리어(5)의 상기 연장부(7)와 추가적 암(51) 사이에서 상기 캐리어(5)의 상기 작용 위치에 수용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7)를 상기 캐리어(5)에 접촉시키는 트리거 부재(8)가 상기 연장부(7)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어(5)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상기 연장부(7)와 상기 창유리가 결합할 때 상기 창유리(F)가 상기 트리거 부재(8)에 작용하여, 상기 연장부(7)의 피봇 이동이 시동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6, 7)는, 상기 창유리가 조립을 위해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창유리가 그 하부 에지(U)를 통해 또는 상기 하부 에지(U)의 영역에 배치된 어댑터(100)를 통해 상기 캐리어(5)의 상기 연장부(6, 7)와 결합되도록, 상기 캐리어(5)에 배치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6. 제6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가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작용 위치로 이송될 때, 상기 창유리(F)는 그 하부 에지(U)를 통해 또는 상기 하부 에지(U)의 영역에 배치된 어댑터(100)를 통해 상기 전이 영역(60, 70)에 기대어 놓이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를 위한 상기 홀더(10)는, 상기 창유리의 조립 동안에 상기 캐리어(5)가 지지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멈춤부(11a, 11b, 11c, 11d; 12a, 12b, 12c, 12d)를 포함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상기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의 추가적 컴포넌트(2, 3, 4o, 4u)가 조립되어 있는 집합 캐리어(1)에 구비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조립 위치에서 상기 홀더(10)에 배치되는 동안에, 상기 캐리어(5)가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묶이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가 상기 창유리(F)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고정 수단(9)은 상기 캐리어(5)에 및/또는 상기 창유리(F)에 구비되어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9)은, 다음의 연결부들, 즉,
    a) 볼트 연결부(91, 107, 109),
    b) 리벳 연결부,
    c) 대응 팽창성 수단(91)을 가진 하나 이상의 팽창성 부재(90, 108)의 착탈 가능 연결부, 및
    d) 특히 치형부 부재를 가진 스냅-인 연결부(L, 92; 93, 101, 102; 96, 106)
    중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고정 부재들로부터 선택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9)은 상기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의 조립 개구(15)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23. 자동차를 위한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특히 제1항에 따른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2)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을 조절될 창유리(F)로 전달하기 위한 가요성 당김 수단(3)이 제공되는 단계,
    b) 상기 창유리(F)를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시키는 캐리어(5)가 가요성 당김 수단(3)에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캐리어(5)로부터 접촉되지 않게 이격되는 안내 수단(R1, R2) 내에 있는 조절 경로(V)를 따라 안내되는 상기 창유리(F)가 구비되는 단계, 및
    d) 상기 가요성 당김 수단(3)에 고정되는 상기 캐리어(5)와 상기 창유리를 결합시키고 상기 창유리를 상기 캐리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 수단(R1, R2)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라 상기 창유리(F)가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5)가, 조립 목적을 위해 상기 창유리(F)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조절 경로(V) 밖에 있는 고정 홀더(10)에 배치되고,
    연장부(6, 7)가 상기 캐리어(5)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창유리(F)는 상기 조절 경로(V)를 따른 이동 동안에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5)는, 상기 창유리(F)가 상기 연장부(6, 7)와 결합된 후에, 상기 홀더(10)에서의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조립 위치와 다른 상기 창유리(F)에서의 작용 위치로 이송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제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사용하는,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20117011805A 2008-12-01 2009-11-25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KR201101039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60407A DE102008060407A1 (de) 2008-12-01 2008-12-01 Fensterheberbaugruppe
DE102008060407.0 2008-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939A true KR20110103939A (ko) 2011-09-21

Family

ID=4171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805A KR20110103939A (ko) 2008-12-01 2009-11-25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44209B2 (ko)
JP (2) JP5438126B2 (ko)
KR (1) KR20110103939A (ko)
DE (1) DE102008060407A1 (ko)
WO (1) WO2010063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6438B2 (en) * 2009-03-10 2014-07-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Door module for installation in a motor vehicle door
DE202010012567U1 (de) * 2010-09-08 2011-12-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eilumlenkstück für einen Seilfensterheber
DE102011001383C5 (de) 2011-03-18 2021-08-19 Küster Holding GmbH Mitnehmer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sowie Mitnehmer mit einer Fensterscheibe
DE102011054212A1 (de) * 2011-10-05 2013-04-11 Küster Holding GmbH Verfahren zum Festlegen einer Fensterscheibe an einem Mitnehmer eines Fensterhebers und Fensterheber
DE102011085742B4 (de) * 2011-11-04 2017-01-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Bahngesteuerte Verstellvorrichtung mit einer mehrteiligen Trägerbaugruppe
CN105517825B (zh) * 2013-09-02 2017-09-1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门
JP6509535B2 (ja) * 2014-12-01 2019-05-0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US10001347B2 (en) 2015-05-05 2018-06-19 Hardwire, Llc Ballistic resistant vehicle window insert
DE102015214377A1 (de) * 2015-07-29 2017-02-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und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Fahrzeug-Fensterscheibe
JP6493078B2 (ja) * 2015-08-07 2019-04-03 Agc株式会社 車両窓用部品
USD887926S1 (en) 2017-01-17 2020-06-23 Angel Armor, Llc Transparent armor
US10273733B2 (en) * 2017-05-15 2019-04-30 Hsin Chong Machinery Works Co. Ltd. Adjustable glass gripping device for a vehicle window regulator
US10352660B2 (en) 2017-07-27 2019-07-16 Gary R. Trott Vehicle security shields and related methods
CN108005520A (zh) * 2017-11-14 2018-05-0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玻璃升降系统及具有其的车辆
DE102018200925A1 (de) * 2018-01-22 2019-07-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Mitnehmer mit schwenkbarem Klemmteil und Montageverfahren
CN109162572B (zh) * 2018-11-05 2024-01-16 宁波南星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智能防夹无框车门玻璃升降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952C5 (de) 1991-12-28 2005-10-06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Fahrzeugtür mit Scheibenheber-Modul
DE4426670A1 (de) * 1994-07-28 1996-02-0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DE4433052A1 (de) * 1994-09-16 1996-03-2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DE29503036U1 (de) * 1995-02-23 1995-04-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96450 Coburg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JP3355863B2 (ja) * 1995-04-20 2002-12-09 株式会社ニフコ ガラスホルダー及び該ガラスホルダーを用いた窓ガラスの取付方法
DE19819910C1 (de) * 1998-05-05 1999-06-17 Brose Fahrzeugteile Mitnehmer zur Anbindung einer Fensterscheibe an einen Fensterheber
FR2781006B1 (fr) 1998-07-08 2000-10-0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ispositif de leve-vit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DE10044112C2 (de) * 1999-09-15 2002-09-12 Kuester Automotive Door Sys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WO2002075090A1 (fr) * 2001-03-19 2002-09-26 Nippon Cable System Inc. Structure de soutien pour vitre incurvee et gouverneur d'enroulement
DE10147452A1 (de) 2001-09-19 2003-04-03 Brose Fahrzeugteile Fensterheber
FR2830894B1 (fr) 2001-10-16 2004-04-1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eve-vitre avec blocage de curseur et procede d'assemblage correspondant
ES1055444Y (es) * 2003-08-26 2004-03-01 Castellon Melchor Daumal Pinza de sujecion para cristales en elevalunas de automoviles.
US7409797B2 (en) * 2003-10-02 2008-08-12 Arvinmeritor Technology, Llc Self-fastening glass attachment clip
US7861462B2 (en) * 2003-12-05 2011-01-04 Magna Closures Inc. Vehicle window regulator having a floating window carrier
DE102004017645A1 (de) 2004-04-02 2005-11-0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ensterheb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nsterscheibe
DE102004043000A1 (de) 2004-09-01 2006-03-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Fahrzeugtür
DE102005061009B3 (de) 2005-12-19 2007-08-2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ensterheberanordnung,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nsterheberanordnung
DE102006030238B4 (de) 2006-06-30 2012-10-1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Mitnehmer für eine Fensterheberanordnung
DE102006036534A1 (de) 2006-07-31 2008-02-07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Türmodul mit Fensterhebereinrichtung
DE102006060097B4 (de) * 2006-12-18 2012-04-26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ensterheberanordnung, Mitnehmer,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Fensterheberanordnung
JP2007278061A (ja) 2007-07-04 2007-10-25 Hi-Lex Corporation キャリアプレートとウインドガラス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DE202007014817U1 (de) 2007-10-22 2009-03-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eil-Fensterheber
DE202007018213U1 (de) * 2007-12-28 2009-05-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chienenloser Seil-Fensterheber
US20100088964A1 (en) * 2008-10-10 2010-04-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nap-in glass retention for a vehicle door
JP2010120541A (ja) * 2008-11-20 2010-06-03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ドア
US8146293B2 (en) * 2009-06-16 2012-04-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uble acting snap-in glass retention for a vehicl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53562B2 (ja) 2015-07-22
JP2012510574A (ja) 2012-05-10
JP2014005727A (ja) 2014-01-16
US20110225888A1 (en) 2011-09-22
US8544209B2 (en) 2013-10-01
DE102008060407A1 (de) 2010-06-02
WO2010063628A1 (de) 2010-06-10
JP5438126B2 (ja)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939A (ko) 윈도우 리프터 조립체
US9649914B2 (en) Shading device for a window pane of an automotive vehicle
US8069610B2 (en) Adjustable window lifter guide rail
JP4365585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10876344B2 (en) Carrier with pivotable clamping part and assembly method
US7950185B2 (en) Window regulator and method of assembly of a window regulator
US20060284447A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7766401B2 (en) Rod set clip for vehicle door
US8104822B2 (en) Blinds for vehicles
US20080067839A1 (en) Wind Deflector
CA2944961A1 (en) Rear spoiler device for a vehicle
KR20110126710A (ko) 자동차 문 설치용 도어 모듈
CN101302914B (zh) 用于车门集成滑槽调节器的玻璃滑槽
CN100480485C (zh) 具有至少一个在翼扇和固定边框之间的可控密封元件的滑窗或滑门
US20080202031A1 (en) Force Transmission Element, Window Lifter and Motor Vehicle Door with a Window Lifter
US7527328B2 (en) Modular roof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20030222480A1 (en) Device for guiding airflow around a vehicle roof opening
KR930008801B1 (ko) 차량의 창문 조절장치
JP2007506877A (ja) 自動車ウィンドウリフト装置の偏位装置
US20090193718A1 (en) Snap-in Lifter Plate
HU221686B1 (hu) Motorhajtású vagy kézi hajtású szekcionált kapu
US20070296245A1 (en)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US11286705B1 (en) Cable guide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US20030214158A1 (en) Sliding-tilt roof module and cover for a vehicle roof
US9233599B2 (en) Door module with an aggregate carrier with guide sections form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