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186A - 단자 피팅 - Google Patents

단자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186A
KR20110099186A KR1020110018647A KR20110018647A KR20110099186A KR 20110099186 A KR20110099186 A KR 20110099186A KR 1020110018647 A KR1020110018647 A KR 1020110018647A KR 20110018647 A KR20110018647 A KR 20110018647A KR 20110099186 A KR20110099186 A KR 2011009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ece
tub
wal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스즈키
야스아키 나카야마
요헤이 구구미야
가즈유키 이와시타
히로토미 네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되더라도 터브와 탄성 접촉편 사이의 접촉압이 확보되는 단자 피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자 피팅은, 대략 각통형의 본체부(11)에는, 터브(51)의 삽입 공간(15)에 면하도록 배치된 캔틸레버형의 탄성 접촉편(32)과, 탄성 접촉편(32)을 사이에 두고 삽입 공간(15)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캔틸레버형의 탄성 보강편(35)이 마련되어 있다. 터브(51)의 삽입 상태에서는, 탄성 접촉편(32)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탄성 보강편(35)의 연장 단부(35E)가 탄성 접촉편(32)에서의 탄성 변형시의 변위 영역에 접촉한다. 접점부(33)가 터브(51)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단부(32E)가, 본체부(11)를 구성하는 벽형상부[중앙벽(21)]에 있어서 탄성 보강편(35)과는 비대응의 위치에 접촉한다.

Description

단자 피팅{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단자 피팅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대략 각통형을 이루는 본체부의 내부에 탄성 접촉편을 수용하고, 본체부 내에 삽입된 상대측 단자의 터브에 탄성 접촉편을 탄성 접촉시키도록 한 단자 피팅이 기재되어 있다. 이 단자 피팅에서는, 탄성 접촉편과 터브 사이의 접촉압을 높일 목적으로, 탄성 보강편을 탄성 접촉편에 붙이는 구조가 채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접촉편의 탄성 복원력을 탄성 보강편으로 보강하여 접촉압을 높이는 구성은, 단자 피팅이 소형화됨에 따라서 탄성 접촉편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는 것이 우려되는 경우에 유효한 대책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79747호 공보
상기 종래의 단자 피팅에서는, 탄성 접촉편이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그 연장 단부(자유 단부)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와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탄성 보강편으로 탄성 접촉편을 보강하더라도, 충분한 접촉압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소형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터브와 탄성 접촉편 사이에서 충분한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은, 대략 각통형을 이루고, 상대측 단자의 터브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삽입 공간에 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에 대한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을 따라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터브에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는 탄성 접촉편과, 상기 탄성 접촉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삽입 공간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로부터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을 따라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연장 단부를 상기 탄성 접촉편에서의 탄성 변형시의 변위 영역과 대응시킨 탄성 보강편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공간 내에 상기 터브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브가 상기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탄성 접촉편이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된 상기 탄성 접촉편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 보강편이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는 단자 피팅으로서,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는,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에서 상기 탄성 보강편과는 비대응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터브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와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가 접촉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은, 상기 삽입 공간에 대한 상기 터브의 삽입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강편의 연장 단부는, 상기 접점부 또는 그 근방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과 대략 평행한 접음선을 통해 복수의 벽형상부를 연결한 형태이고, 상기 벽형상부에는, 다른 벽형상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벽형상부 사이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여 상기 본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방향과 상기 탄성 보강편의 연장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고, 상기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벽형상부에,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벽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
삽입 공간에 삽입된 터브와 접점부가 접촉하여 탄성 접촉편이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가 벽형상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탄성 접촉편은 그 기단부와 연장 단부의 2점에서 벽형상부에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접촉편이 2점 지지되는 형태와, 탄성 보강편이 탄성 접촉편의 탄성 복원력을 보강하는 형태에 의해, 탄성 접촉편의 탄성 복원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터브와 탄성 접촉편 사이에서 큰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
삽입 공간에 대한 터브의 삽입 자세가 기울어지더라도, 그 터브가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에 부딪힐 우려가 없다.
<청구항 3의 발명>
탄성 접촉편이 탄성 변형되었을 때, 탄성 보강편의 연장 단부가 접점부 또는 그 근방 위치에 접촉하기 때문에, 접점부의 변위량이 안정된다. 이에 따라, 탄성 접촉편과 터브의 접촉압도 안정된다.
<청구항 4의 발명>
유지부의 걸림 작용에 의해, 벽형상부 사이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여 본체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터브가 삽입되었을 때의 탄성 접촉편이나 탄성 보강편의 탄성 변형량이 안정되어, 접촉압도 안정된다.
<청구항 5의 발명>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가 연결되는 벽형상부가, 탄성 접촉편보다 외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탄성 보강편이 연결되는 벽형상부에 유지부를 형성했다. 이에 따라, 1개의 유지부만으로,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의 위치와,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의 위치를 모두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 터브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자 피팅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단자 피팅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단자 피팅의 좌측면도.
도 4는 단자 피팅의 우측면도.
도 5는 단자 피팅의 평면도.
도 6은 터브를 삽입한 상태의 단자 피팅의 정면도.
도 7은 단자 피팅의 정면도.
도 8은 단자 피팅의 전개도.
도 9는 하우징에 단자 피팅을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단자 피팅(10)은,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상대측 단자(50)와의 접속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늘고 긴 암형의 단자이다. 단자 피팅(10)의 전단(前端)측 부분은, 내부에 탄성 접촉편(32)이 수용된 대략 각통형의 본체부(11)가 되어 있고, 후단측 부분은, 전선(12)을 압착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오픈 배럴형의 전선 접속부(13)가 되어 있고, 본체부(11)의 후단과 전선 접속부(13)의 전단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연결부(14)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11)의 내부 공간 중 탄성 접촉편(32)보다 하방의 공간은, 본체부(11)의 전방으로부터 상대측 단자(50)의 터브(5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공간(15)이 되어 있다.
본체부(11)는, 복수의 벽형상부를 전후 방향의 접음선을 통해 연결하여 각통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복수의 벽형상부는, 하면벽(16)과, 하면벽(16)의 좌우 양측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세워지는(연결되는) 좌우 양측면벽(17, 18)과, 하면벽(16)과 평행을 이루는 상면벽(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면벽(19)은, 좌측면벽(17)의 상단 가장자리(기립단 가장자리)의 전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전방부벽(20)과, 좌측면벽(17)의 상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전방부벽(20)보다 후방의 위치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중앙벽(21)과, 좌측면벽(17)의 후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후방부벽(22)과, 우측면벽(18)의 상단 가장자리의 전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지지벽(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부벽(2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의 후단부로부터는, 전방으로의 돌기형 클로부를 갖는 전방부 유지편(24)(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유지부)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고, 이 전방부 유지편(24)이 우측면벽(18)의 전방부 절결부(25)에 끼워 맞춰지고 있다. 중앙벽(21)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는, 전방으로의 돌기형 클로부를 갖는 중앙 유지편(26)(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유지부)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고, 이 중앙 유지편(26)이 우측면벽(18)의 중앙 절결부(27)에 끼워 맞춰지고 있다. 후방부벽(22)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는, 전방으로의 돌기형 클로부를 갖는 후방부 유지편(28)(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유지부)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고, 이 후방부 유지편(28)이 우측면벽(18)의 후방부 절결부(29)에 끼워 맞춰지고 있다.
이들 전후 3조의 유지편(24, 26, 28)과 절결부(25, 27, 29)의 끼워 맞춤에 의해, 전방부벽(20)과 우측면벽(18)이 개방되도록 상대 변위하는 것, 중앙벽(21)과 우측면벽(18)이 개방되도록 상대 변위하는 것, 후방부벽(22)과 우측면벽(18)이 개방되도록 상대 변위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이 3곳에서의 상대 변위의 규제에 의해, 본체부(11)는 각통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11)의 외면(상면) 중 중앙벽(21)과 후방부벽(22) 사이의 부분은, 본체부(11)의 외부로 개방된 걸림 구멍(30)이 되어 있다. 걸림 구멍(30)은, 본체부(11)의 상면의 전폭에 걸쳐 절결되고, 우측면벽(18)과 좌측면벽(17)의 상단 가장자리부도 절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0)의 캐비티(41) 내에 후방으로부터 단자 피팅(10)을 삽입했을 때에는, 캐비티(41)의 내벽을 따라서 형성한 랜스(42)가 걸림 구멍(30)에 걸리게 됨으로써, 단자 피팅(10)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11)의 후방부벽(22)의 후단 가장자리는, 연결부(14)의 상면측으로의 개구부에 면하는 걸림 가장자리부(31)가 되어 있다. 캐비티(41) 내에 단자 피팅(10)을 삽입한 상태에서는, 하우징(40)에 설치한 리테이너(43)가 걸림 가장자리부(31)에 걸리게 되고, 이 걸림 작용에 의해 단자 피팅(10)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단자 피팅(10)은, 랜스(42)와 리테이너(43)에 의한 이중 걸림 작용에 의해 확실하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32)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벽(23)으로부터 후방(도 1의 우측)으로, 즉 삽입 공간(15)에 대한 터브(51)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이 지지벽(23)에 연결되는 기단부(32B)(전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삽입 공간(15)에 대한 터브(51)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32)의 전후 방향[터브(51)의 삽입 인출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은 터브(51)와의 접촉 수단인 접점부(33)로 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32)은, 측방[터브(51)의 삽입 방향 및 탄성 접촉편(32)의 탄성 변위 방향 모두에 대하여 교차하는 폭방향]에서 봤을 때, 접점부(33)가 가장 낮은 위치가 되도록[가장 하면벽(16)에 접근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즉, 탄성 접촉편(32) 중 기단부(32B)에서 접점부(33)까지는 후방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경사지고, 접점부(33)에서 연장 단부(32E)(후단부)까지는 후방을 향하여 올라가도록 경사져, 탄성 접촉편(32)의 전체적으로는 삽입 공간(15)을 향하여 팽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단부(32E)[터브(51)의 삽입 방향에서는 전단측의 단부]는, 터브(51)의 삽입 인출 방향에서 중앙벽(2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터브(51)가 삽입 공간(15)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 접촉편(32)은 탄성 변형되지 않고, 도 2에 나타내는 후퇴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단부(32E)는 중앙벽(21)과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한, 탄성 접촉편(32)이 후퇴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하면벽(16)에 형성한 전후 방향의 리브형으로 돌출된 받침부(34)와, 접점부(33)와의 사이의 상하 방향[탄성 접촉편(32)의 변형편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의 간격은, 터브(51)의 두께보다 조금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본체부(11)에는, 탄성 접촉편(32)의 탄력을 보강하여 터브(51)와 접점부(33) 사이의 접촉압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보강편(35)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보강편(35)은, 탄성 접촉편(32)보다 상방, 즉 탄성 접촉편(32)을 사이에 두고 삽입 공간(15)과는 상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보강편(35)은, 중앙벽(21)[즉, 탄성 접촉편(32)이 연결되는 지지벽(23)과는 상이한 벽형상부]으로부터 전방[삽입 공간(15)에 대한 터브(51)의 삽입 방향에서의 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터브(51)의 삽입 인출 방향에서, 탄성 보강편(35)의 연장 방향은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탄성 보강편(35)의 측방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기단부(35B)로부터 전방의 연장 단부(35E)를 향하여[즉, 탄성 보강편(35)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탄성 보강편(35)의 연장 단부(35E)(전단부)는, 탄성 접촉편(32)의 접점부(33)의 근방이며 접점부(33)보다 조금 전방[터브(51)의 삽입 방향에서는 후방]의 위치[즉, 탄성 접촉편(32)이 탄성 변형되었을 때의 탄성 접촉편(32)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변위 영역 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단부(32E)는, 탄성 보강편(35)의 기단부(35B)보다 조금 후방[터브(51)의 삽입 인출 방향에서는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터브(51)가 삽입 공간(15)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탄성 접촉편(32)이 탄성 변형되지 않고 후퇴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 보강편(35)은, 탄성 변형되지 않고, 도 2에 나타내는 대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32)이 후퇴 위치에 있고, 탄성 보강편(35)이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 보강편(35)의 연장 단부(35E)는 탄성 접촉편(32)의 접점부(33)와는 접촉하고 있지 않고, 탄성 보강편(35)은 그 전체 영역에 걸쳐 탄성 접촉편(32)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전방부벽(20)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하방[단자 접속부(32)측]으로 굴곡된 형태의 과도 변형 규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과도 변형 규제부(36)는, 탄성 보강편(35)의 전단부[연장 단부(35E)]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탄성 접촉편(32)이 후퇴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변위했을 때에는, 그 탄성 접촉편(32)의 탄성 변형이 탄성 한도의 범위내인 동안에 탄성 접촉편(32)에서의 접점부(33)보다 조금 전방의 부분이 과도 변형 규제부(36)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탄성 접촉편(32)의 상방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성 접촉편(32)에 소성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터브(51)가 삽입 공간(15) 내에 삽입되면, 터브(51)의 전단부가 접점부(33)의 근방에 접촉하고, 그 후에는, 터브(51)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터브(51)가 탄성 접촉편(32)을 밀어 올린다. 그렇게 하면, 탄성 접촉편(32)은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변위되고,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단부(32E)가 중앙벽(21)의 하면에 접촉한다. 그 후, 터브(51)의 삽입이 더 진행되면, 탄성 접촉편(32)은, 그 측면에서 본 형상이 변형되면서 접점부(33)가 상방으로 변위되도록 전체적으로 탄성 변형되고, 터브(51)는 탄성 접촉편(32)의 접점부(33)와 받침부(34)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또한, 터브(51)가 탄성 접촉편(32)을 상방으로 압박하여 탄성 변위시키는 동안, 탄성 접촉편(32)의 접점부(33)의 근방 부분이 탄성 보강편(35)의 연장 단부(35E)에 접촉하여, 이 연장 단부(35E)를 상방으로 압박한다. 이 탄성 접촉편(32)으로부터의 압박 작용에 의해, 탄성 보강편(35)은 그 기단부(35B)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탄성 변형된다.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단부(23E)가 중앙벽(21)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탄성 접촉편(32)이 전후 2곳[기단부(32B)와 연장 단부(32E)]에서 상면벽(19)에 지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캔틸레버 상태인 경우에 비하면, 탄성 접촉편(32)의 탄력(탄성 복원력)은 커진다. 또한, 탄성 보강편(35)이 탄성 변형되면, 탄성 보강편(35)의 탄성 복원력이 탄성 접촉편(32)에 대하여 반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그만큼 탄성 접촉편(32)의 탄력(탄성 복원력)이 증강된다. 이와 같이, 탄성 접촉편(32)의 탄성 복원력이 증대됨으로써, 접점부(33)와 터브(51) 사이의 접촉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터브(51)와 탄성 접촉편(32) 사이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탄성 접촉편(32)은, 삽입 공간(15)에 대한 터브(51)의 삽입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공간(15)에 대한 터브(51)의 삽입 자세가 기울어지더라도, 그 터브(51)가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단부(32E)에 부딪힐 우려가 없다.
또한, 탄성 접촉편(32)이 탄성 변형되었을 때, 탄성 보강편(35)의 연장 단부(35E)가 접점부(33) 근방 위치에 접촉하기 때문에, 접점부(33)의 변위량이 안정된다. 이에 따라, 탄성 접촉편(32)과 터브(51)의 접촉압도 안정된다.
또한, 본체부(11)가, 터브(51)의 삽입 인출 방향과 대략 평행한 접음선을 통해 복수의 벽형상부를 연결한 형태라는 점에 착안하여, 복수의 벽형상부 중 상면벽(19)에는, 우측면벽(18)에 걸림으로써, 상면벽(19)과 우측면벽(18) 사이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여 본체부(11)의 형상을 유지하는 유지부[전방부 유지편(24), 중앙 유지편(26), 후방부 유지편(28)]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터브(51)가 삽입 공간(15)에 삽입되었을 때의 탄성 접촉편(32)이나 탄성 보강편(35)의 탄성 변형량이 안정되기 때문에, 터브(51)와 접점부(33)[탄성 접촉편(32)] 사이의 접촉압도 안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보강편(35)의 기단부(35B)가 연결되는 중앙벽(21)이, 탄성 접촉편(32)보다 외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탄성 보강편(35)이 연결되는 중앙벽(21)에 중앙 유지편(26)을 형성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중앙 유지편(26)만으로, 탄성 보강편(35)의 기단부(35B)의 위치와, 탄성 접촉편(32)의 연장 단부(32E)의 위치를 모두 안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내용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터브가 탄성 접촉편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가 벽형상부와 접촉하고 있지 않도록 했지만, 터브가 탄성 접촉편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가 벽형상부와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터브가 탄성 접촉편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 보강편의 연장 단부가 탄성 접촉편과 접촉하고 있지 않도록 했지만, 터브가 탄성 접촉편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 규제편의 연장 단부가 탄성 접촉편과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보강편의 연장 단부가, 탄성 접촉편에서의 접점부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접촉하도록 했지만, 탄성 보강편의 연장 단부는, 탄성 접촉편에서의 접점부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고, 접점부 또는 그 근방 위치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보강편이, 그 연장 단부에서만 탄성 접촉편에 접촉하도록 했지만, 탄성 보강편은, 그 연장 단부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영역에서도 탄성 접촉편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접촉 형태로는, 점접촉, 선접촉, 면접촉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접촉편이 후방(터브의 삽입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형태였지만, 탄성 접촉편은 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형태이어도 좋다. 이 경우, 탄성 보강편은, 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형태, 후방으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형태 중 어느 형태이어도 좋다.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접촉편의 연장 방향과 탄성 보강편의 연장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었지만, 탄성 접촉편의 연장 방향과 탄성 보강편의 연장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해도 좋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접촉편과 탄성 보강편이 서로 다른 벽형상부(지지벽과 중앙벽)로부터 연장된 형태로 했지만, 탄성 접촉편과 탄성 보강편이 동일한 벽형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접촉편을 벽형상부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판형상 부분을 꺾어 접은 형태로 하고, 동일한 벽형상부의 일부를 잘라내어 세움으로써 단자 유지부를 형성하면 된다.
10 : 단자 피팅
11 : 본체부
15 : 삽입 공간
16 : 하면벽(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
17 : 좌측면벽(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이며,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벽형상부)
18 : 우측면벽(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
19 : 상면벽(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
21 : 중앙벽(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가 접촉하는 벽형상부이며,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가 연결되는 벽형상부)
23 : 상면벽(탄성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는 벽형상부)
24 : 전방부 유지편(유지부)
26 : 중앙 유지편(유지부)
28 : 후방부 유지편(유지부)
32 : 탄성 접촉편
32E :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
33 : 접점부
35 : 탄성 보강편
35E : 탄성 보강편의 연장 단부
50 : 상대측 단자
51 : 터브

Claims (7)

  1. 대략 각통형을 이루고, 상대측 단자의 터브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삽입 공간에 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에 대한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을 따라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터브에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는 탄성 접촉편과,
    상기 탄성 접촉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삽입 공간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로부터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을 따라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연장 단부를 상기 탄성 접촉편에서의 탄성 변형시의 변위 영역과 대응시킨 탄성 보강편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공간 내에 상기 터브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터브가 상기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탄성 접촉편이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된 상기 탄성 접촉편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 보강편이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는 단자 피팅으로서,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는,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에서 상기 탄성 보강편과는 비대응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터브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와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벽형상부가 접촉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피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은, 상기 삽입 공간에 대한 상기 터브의 삽입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피팅.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강편의 연장 단부는, 상기 접점부 또는 그 근방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피팅.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과 대략 평행한 접음선을 통해 복수의 벽형상부를 연결한 형태이고,
    상기 벽형상부에는, 다른 벽형상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벽형상부 사이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여 상기 본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피팅.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방향과 상기 탄성 보강편의 연장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고,
    상기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벽형상부에,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벽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피팅.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터브의 삽입 인출 방향과 대략 평행한 접음선을 통해 복수의 벽형상부를 연결한 형태이고,
    상기 벽형상부에는, 다른 벽형상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벽형상부 사이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여 상기 본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피팅.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방향과 상기 탄성 보강편의 연장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고,
    상기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벽형상부에, 상기 탄성 접촉편의 연장 단부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탄성 보강편의 기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벽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피팅.
KR1020110018647A 2010-03-01 2011-03-02 단자 피팅 KR20110099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4178A JP2011181330A (ja) 2010-03-01 2010-03-01 端子金具
JPJP-P-2010-044178 2010-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186A true KR20110099186A (ko) 2011-09-07

Family

ID=4397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647A KR20110099186A (ko) 2010-03-01 2011-03-02 단자 피팅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41077B2 (ko)
EP (1) EP2363921B1 (ko)
JP (1) JP2011181330A (ko)
KR (1) KR20110099186A (ko)
CN (1) CN1021951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2292B2 (en) * 2012-03-16 2015-08-18 Makita Corporation Terminal structure
US8974256B2 (en) * 2012-04-26 2015-03-1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5505471B2 (ja) * 2012-07-27 2014-05-2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JP2014160545A (ja) * 2013-02-19 2014-09-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2014170709A (ja) * 2013-03-05 2014-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CN105284010B (zh) 2013-06-07 2019-06-21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线缆连接器
US9972932B2 (en) * 2013-08-19 2018-05-1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retention force
CN105934855B (zh) 2013-12-03 2020-01-17 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连接器和用于这种连接器的插针接收接触件
JP6269309B2 (ja) * 2014-05-14 2018-01-3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
JP6211563B2 (ja) * 2015-07-31 2017-10-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6781934B2 (ja) * 2017-04-26 2020-11-1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JP6784650B2 (ja) * 2017-07-24 2020-11-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接触片を有する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2019057423A (ja) * 2017-09-21 2019-04-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雌端子及びコネクタ
MX2020009647A (es) 2018-03-16 2021-02-26 Fci Usa Llc Conectores electricos de alta densidad.
JP6865198B2 (ja) * 2018-07-17 2021-04-2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DE102018125964A1 (de) * 2018-10-18 2020-04-2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Buchsenkontaktelement für eine elektrisch leitende Verbindung
JP7176372B2 (ja) * 2018-11-27 2022-11-22 I-Pex株式会社 端子
JP7435362B2 (ja) * 2020-08-25 2024-02-2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および連鎖端子
JP7487674B2 (ja) * 2021-01-18 2024-05-2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CN113922126A (zh) * 2021-10-14 2022-01-11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一种矩形冲制插孔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930U (ja) * 1983-12-27 1985-07-27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雌形電気接触子
JP2731432B2 (ja) 1989-10-12 1998-03-25 コニカ株式会社 一括送信機能を有するファクシミリ装置
JPH03126370U (ko) * 1990-04-05 1991-12-19
JP3126370B2 (ja) 1990-09-14 2001-01-22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制御用端末器
JP2002063961A (ja) *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JP2004164859A (ja) * 2002-11-08 2004-06-10 Union Machinery Co Ltd 防水型コネクタの接続端子
JP2004014505A (ja) * 2003-02-03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4069780B2 (ja) * 2003-03-28 2008-04-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36899A (ja) * 2005-02-28 2006-09-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用端子金具
JP4683287B2 (ja) 2005-12-26 2011-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2006009075A1 (de) * 2006-02-28 2007-08-30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innen liegender Blattfeder
JP4858293B2 (ja) * 2007-05-08 2012-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2010160960A (ja) * 2009-01-08 2010-07-2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DE102009057819A1 (de) * 2009-01-08 2010-09-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Anschlußpaßstück und Verfahren zum Bilden desselben
JP5262729B2 (ja) * 2009-01-08 2013-08-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3921B1 (en) 2015-07-29
JP2011181330A (ja) 2011-09-15
CN102195182A (zh) 2011-09-21
EP2363921A1 (en) 2011-09-07
US20110212656A1 (en) 2011-09-01
US8241077B2 (en) 2012-08-14
CN102195182B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9186A (ko) 단자 피팅
EP1801922B1 (en) A terminal fitting
US10069233B2 (en) Female terminal having an outwardly bulging lance locking portion on a folded U-shaped plate
JP4483601B2 (ja) 雌端子金具
US7371132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KR101568886B1 (ko)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US7374465B2 (en) Connector
JP6342708B2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EP2852004A1 (en) Terminal fitting
KR101221769B1 (ko)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JP5999510B2 (ja) 雌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99188A (ko) 커넥터
EP2056408B1 (en) An electrical terminal fitting and forming method therefor
JP4706760B2 (ja) 端子金具
JP2014203699A (ja) コネクタ
JP4661664B2 (ja) 雌端子金具
JP6447272B2 (ja) 端子金具
CN103022778B (zh) 连接器
KR101774681B1 (ko) 커넥터
CN112582822B (zh) 阳端子及阳连接器
CN111355071B (zh) 阴端子
JP2005216810A (ja) コネクタ
JP5125431B2 (ja) 端子金具
JP6103372B2 (ja) コネクタ
JP4683287B2 (ja) 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