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901A - 태양전지용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용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901A
KR20110098901A KR1020117011978A KR20117011978A KR20110098901A KR 20110098901 A KR20110098901 A KR 20110098901A KR 1020117011978 A KR1020117011978 A KR 1020117011978A KR 20117011978 A KR20117011978 A KR 20117011978A KR 20110098901 A KR20110098901 A KR 2011009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olar cell
resin
sealing shee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아라이
아유코 나카지마
쿠사토 히로타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8Oxygen-containing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1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과제) 내광성 및 전기절연성의 일지표인 부분방전 전압이 우수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태양전지 이면 밀봉용 보호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와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수지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유량이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로 함으로써 종래로보다 뛰어난 내광성 및 전기절연성의 일지표인 부분방전 전압이 얻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용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FILM FOR BACKSIDE SEALING SHEET FOR SOLAR CELLS}
본 발명은 장기에 걸친 가혹한 옥외 환경 하에서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내광성, 전기절연성의 특성을 갖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 석탄을 비롯한 화석연료의 고갈이 위험시되어, 이들 화석연료에 의해 얻어지는 대체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개발이 급선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자력 발전, 수력 발전, 풍력 발전, 태양광 발전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어 실제의 이용에 이르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것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은 반영구적이고 무공해의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서 실용화되고 있고, 실제로 이용되는데에 있어서의 가격성능비의 향상이 눈부시고, 깨끗한 에너지원으로서 매우 기대가 높다.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심장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실리콘 등으로 대표되는 반도체로 만들어져 있다. 그 구조로서는 태양전지 소자를 직렬, 병렬로 배선하고, 20년 정도의 장기간에 걸쳐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패키징이 실시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이 패키지에 장착된 유닛은 태양전지 모듈이라 불리고, 일반적으로 태양광이 닿는 면을 유리로 덮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충전재에 의해 간극을 메우고, 이면을 밀봉시트로 보호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충전재로서는 투명성이 높고, 내습성에도 뛰어나다고 하는 이유에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이하, EVA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이면 밀봉시트에는 기계강도, 내후성, 내열성, 내수성, 내광성, 내화학성, 광반사성, 수증기 차단성, EVA 수지로 대표되는 충전재와의 열접착성이라고 하는 특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자외선광에 폭로되기 때문에 내광성에 뛰어나고, 또한 태양전지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락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전기절연성에도 뛰어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이면 밀봉시트 필름으로서는 백색의 폴리불화비닐 필름[듀퐁(주), 상품명:테들라(등록상표)]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필름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샌드위치한 적층 구성의 이면 밀봉시트는 해당 용도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내후성,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적층한 시트도 이면 밀봉시트로서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태양전지의 이면 밀봉시트에는 태양전지 모듈을 전압 인가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셀의 발전 용량에 맞춰 부분방전 전압 700V 또는 1000V의 내성이 요구되어 부분방전 전압을 향상시키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부분방전 전압 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전기절연성을 갖는 필름이나 발포층을 포함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2-10078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253264호 공보
그러나, 상기 폴리불화비닐 필름은 내후성이 우수한 필름이지만, 한편으로 기계적 강도도 약하고, 태양전지 모듈 제작시에 가해지는 140∼150℃의 열프레스의 열에 의해 연화되어 태양전지 소자 전극부의 돌기물이 충전재층을 관통할 경우가 있다.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태양전지 모듈의 저가격화의 점에서도 장해가 된다. 또한, 전기절연성에 관해서 말하면, 수지 필름의 부분방전 전압은 필름의 두께에 의존하기 때문에 후막으로 되어 재단시의 작업성 악화와 함께 필연적으로 비용이 비싸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발포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에는 발포층을 갖는 필름은 벽개(응집파괴)하기 쉽기 때문에에 접합하는 필름간의 밀착강도가 얻어지지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태양전지 모듈이 지상면에 비스듬히 기대어 세우기형으로 설치될 경우도 많고, 그러한 케이스에서는 지표면으로부터의 반사 자외선광에 장기에 걸쳐 폭로됨으로써 이면 밀봉시트의 외층면은 황변하여 필름 외관의 미려성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극단적일 경우에는 밀봉시트에 크랙 등이 발생하여 전기절연성이나 수증기 차단성 등 시트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의 특성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와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수지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유량이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인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2) 상기 대전방지제가 양이온성 대전방지제 및/또는 무기 고체 도전재료인 (1)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3) 상기 대전방지제가 무기 고체 도전재료이며, 이 무기 고체 도전재료가 바늘 형상의 무기섬유에 도전층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2)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4) 상기 무기섬유가 산화티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3)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5) 상기 수지층이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및 방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6)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에 적어도 1종의 다른 필름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7)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필름이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의 상기수지층과 반대측에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6)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8) (6)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와, 태양전지 모듈의 실리콘 셀 충전재층 면을 접착해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모듈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내광성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실리콘 셀 충전재층과의 밀착력, 높은 광선 반사율에 뛰어나며, 태양전지 모듈의 성능을 향상시켜 유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와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수지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유량이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로 함으로써 종래보다 뛰어난 내광성 및 전기절연성이 얻어지는 것이다.
[기재 필름]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의 기재 필름에는 여러 가지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필름, 이들 수지를 혼합한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강도, 치수안정성, 열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 또한 저렴하기 때문에 PET나 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공중합체여도 좋고,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디올 성분,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아제라인산, 세바신산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은 내광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구성에 있어서 외기(습도, 온도)나 지표면으로부터의 반사 자외선광에 직접 노출되는 최외층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외기에 직접 노출되는 최외층에 사용하는 관점으로부터 기재 필름으로서는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은 모노머를 축합 중합시킨 소위 폴리머를 원료로 해서 제막되는 것이지만, 모노머와 폴리머의 중간에 위치가 부여되는 올리고머가 1.5∼2질량% 정도 포함되어 있다. 올리고머의 대표적인 것은 환상 3량체이며, 그 함유량이 많은 필름은 옥외 등의 장기 폭로에 있어서 기계적 강도의 저하나, 빗물 등에 의한 가수분해의 진행에 수반되는 균열, 재료파괴 등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대하여 내가수분해성 필름에 있어서는 고상중합법으로 중합해서 얻어지는 환상 3량체의 함유량이 1.0질량%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원료로 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제막함으로써 고온 고습도 하에서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내열성 및 내후성에도 뛰어난 필름이 얻어진다. 상기 환상 3량체 함유량의 측정은, 예를 들면 폴리머 100㎎을 오르토클로로페놀 2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이용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함으로써 수지 중량에 대한 함유량(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구해진다.
또한, 수지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활제, 충전제, 착색 안료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한 수지 필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기재 필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백색 안료를 혼련한 수지 원료를 제막한 필름도 들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수분해성에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필름은 백시트(backseat)까지 입사되어 온 광을 반사시켜서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의 에너지 변환을 보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셀에 가까운 층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태양광을 반사시켜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파장 λ=550㎚의 반사율이 5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그 구성단위의 80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그 구성단위의 80몰% 이상이 에틸렌나프탈레이트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나, 그 구성단위의 80몰% 이상이 폴리락트산인 폴리락트산 필름 등으로 대표되지만,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공중합체여도 좋고,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디올 성분,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아제라인산, 세바신산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백색 안료로서는 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을 이용할 수 있고, 혼련함으로써 백색도가 80% 이상, 불투명도가 80% 이상인 백색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밀봉시트의 내전압 특성, 비용 등을 감안하면 25∼2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필름에는 수증기 장벽을 부여할 목적으로 증착법 등에 의해 적어도 1층의 무기산화물층이 형성되어 있는 수증기 차단성 필름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증기 차단성 필름」이란 JIS K7129(2000년판)에 기재된 B법으로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율이 5g/(㎡·day) 이하의 수지 필름이다. 수증기 차단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증착법 등에 의해 적어도 1층의 무기산화물층을 형성한 필름을 들 수 있다. 증착 등에 의해 무기산화물층이 형성된 필름의 가스 배리어성은 적어도 기재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의 열치수 안정성에 기인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은 2축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증기 차단성 수지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무기산화물층을 형성할 때의 안정성이나 비용 등의 이유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100㎛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의 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 정도가 실용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형성되는 무기산화물층을 구성하는 무기산화물로서는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질화산화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무기산화물층은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플라즈마 기상성장법(CVD)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단, 생산성을 고려하면 현시점에서는 진공증착법이 가장 뛰어나다. 진공증착법에 의한 진공증착장치의 가열 수단으로서는 전자선 가열 방식, 저항 가열 방식 및 유도 가열 방식이 바람직하다. 무기산화물층을 구성하는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알류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산화주석, 산화인듐 합금 및 산화규소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또한 금속 질화산화물로서는 산화질화규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수증기 차단성 및 생산 효율의 점 등으로부터 산화알류미늄, 산화규소 및 산화질화규소 등의 무기산화물나 이것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무기산화물층의 막두께는 사용되는 무기물의 종류나 구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2∼3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3∼100㎚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의 범위이다. 막두께가 300㎚를 초과하면 특히 금속 산화물층의 경우에는 그 플렉시빌리티(유연)성이 저하하고, 제막 후(후가공 공정 등에 있어서)의 절곡, 인장 등의 외력에 의해 박막에 균열이나 핀홀 등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고, 수증기 차단성이 현저하게 손상될 경우가 있다. 또한, 무기물층의 형성 스피드가 저하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저하시킬 경우가 있다. 한편, 2㎚ 미만의 막두께에서는 균일한 막이 얻어지기 어렵고, 또한 막두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수증기 차단성의 기능을 충분하게 발현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의 열치수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되도록,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은 2축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이나 플라즈마 방전 등의 방전 처리, 또는 산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해도 좋다.
[수지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에 적층하는 수지층은 (1)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 및 (2) 대전방지제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수지층에 자외선광 컷 성능을 부여하고,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단독으로, 또는 복수종을 혼합해서 바인더 수지에 섞고, 또한 광에 의해 여기되는 라디칼을 실활시키는 메커니즘에 의해 광안정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광안정화제(HALS)가 병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인더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화제를 후첨가해서 형성한 수지층에서는, 고온 가습 환경 하, 또는 자외선광 수광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화제가 도막 속으로부터 도막 표면으로 블리드아웃하여 젖음성, 도막 표면의 밀착력 등이 변화될 뿐만 아니라 당초 발현되어 있었던 자외선광 컷 성능이 소실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과 비교하여 비교적 내광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를 바인더 수지로서 사용한다. 또한, 기재 필름과의 밀착력 향상, 또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을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는 태양전지 모듈 제조공정에 있어서 고온 처리에 노출되기 때문에 도막의 내열성 향상을 목적으로, 적절한 가교구조를 도입 가능하도록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특히 아크릴폴리올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고정시키는 공중합 모노머로서는 아크릴계, 스티렌계 등의 비닐계 모노머가 범용성이 높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모노머 중에서도 스티렌계 비닐 모노머는 방향족환을 갖고 있기 때문에 황변하기 쉽고, 내광성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비닐 모노머와의 공중합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하나의 중합 모노머 성분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불포화 카르복실산, 불포화 탄화수소 및 비닐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 중 1개 이상의 불포화 화합물이다.
사용할 수 있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푸말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그 밖의 단량체로서는 부타디엔,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이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중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가 범용성, 가격, 대광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막의 내열성 향상을 목적으로 도입하는 가교구조의 기점이 되는 수산기를 도입하여 아크릴폴리올계 수지로 하기 위한 중합 모노머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크릴 수지에 수산기를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중합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비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화합물의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조합시켜서 선택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상기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공중합시키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계의 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벤조페논계의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히드록시-5-벤조일페닐)메탄, 벤조트리아졸계의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기타로서,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등이나 이것들의 변성물, 중합물,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안정화제]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공중합시키는 광안정화제로서는 힌다드아민계 등의 광안정화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데칸2산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등이나 이것들의 변성물, 중합물,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 또한 이것들에 힌다드아민(HALS)계 반응성 모노머를 공중합한 수지는 박막이어도 자외선을 흡수하는 효과가 높아 바람직하다.
광안정화제와 자외선 흡수제와 아크릴폴리올의 공중합 수지의 제조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2-90515의 [0019]∼[0039]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 모노머와 자외선 흡수제의 공중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할스하이브리드(등록상표)[(주)니폰 쇼쿠바이 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의 부분방전 전압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배합한다. 상기와 같이,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의 요구 특성에 내전압 특성이 있고, 제품 규격의 하나로 부분방전 전압이 있다. 태양전지 모듈에는 시스템 전압에 따르고 싶은 부재의 선정·사용이 정해져 있고, 보다 높은 부분방전 전압을 나타내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쪽이 넓은 범위에서의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코팅층에 대전방지제를 배합하면 코팅 필름, 즉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의 부분방전 전압이 향상된다. 부분방전 전압 향상의 메커니즘은 현시점에서 명확하지는 않지만, 도전성의 부여에 의해 필름 표면의 전위가 평준화되어 있는 것이 기여하고 있는 것이라 추측된다. 부분방전 전압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코팅층 표면의 표면저항값이 1×107Ω/㎝∼5×1012Ω/㎝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7Ω/㎝∼1×1012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7Ω/㎝ 이상 1×1010Ω/㎝ 이하이다.
표면저항값이 1×107Ω/㎝ 미만인 경우에는 저항치가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필름 표면에서의 도전 현상을 발생시키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어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의 실용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경우가 있다. 한편, 표면저항값이 5×1012Ω/㎝보다 클 경우에는 부분방전 전압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필름 표면의 전위가 평준화되지 않아 부분방전 전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대전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이온계 대전방지제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트, 소르비트 등의 다가알코올 및/또는 그 지방산 에스테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또는 그 지방산 에스테르나, 고급 알코올, 다가알코올, 알킬페놀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부가물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또는 그 지방산 에스테르가 대전방지제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다가알코올은 그대로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지방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지방산 에스테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산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라우르산(C12), 팔미트산(C16), 스테아르산(C18), 베헨산(C22) 등의 포화지방산이나, 팔미톨레산, 올레산, 에루스산, 리놀레산 등의 불포화지방산 등이 비용 상 유리하게 사용된다.
또한, 야자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우지 지방산, 정어리유 지방산 등, 및 천연물 유래의 혼합 지방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가알코올이 이들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될 경우에는 다가알코올의 분자구조단위당 적어도 1개의 수산기가 잔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또는 그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에틸렌옥시드의 반복단위가 4∼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0∼8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000∼6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대전방지제로서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화하는 경우에는 말단의 수산기를 잔존시켜도, 말단의 수산기를 잔존시키지 않아도 좋다.
대전방지제로서 고급 알코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부가물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가물을 사용할 경우, 고급 알코올은 탄소수 6 이상의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공업적으로 입수하기 쉬운 대표적인 것으로서 노닐알코올, 데실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올레일알코올 등의 제 1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말향 알코올이나 호호바 알코올 등의 혼합물이나, 우지 알코올, 및 야자 알코올 등의 환원 알코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전방지제로서 알킬페놀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부가물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가물을 사용할 경우, 알킬페놀로서는 노닐페놀, 도데실페놀, 옥틸페놀, 옥틸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제로서 이온계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경우 이온계의 대전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린술폰산염, 알킬디페닐술폰산염 등의 술폰산염계 대전방지제, 알킬인산 에스테르, 알킬아인산염, 알킬포스폰산염, 알킬포스폰산 에스테르 등의 함인계 대전방지제 등의 음이온계 대전방지제나, 제4급 암모늄클로라이드, 제4급 암모늄설페이트, 제4급 암모늄나이트레이트 등의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또한 비이온계의 대전방지제를 들 수 있다. 어느쪽의 이온성 대전방지제도 사용 가능하며, 음이온계 대전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사 제 플라이서프(등록상표) M208F나 니치유사 제 퍼소프트(등록상표) EDO, 마찬가지로 퍼소프트(등록상표) EL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대전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노프코사 제 노프코스타트(등록상표) SN A-2,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사 제 카티오겐(등록상표) ES-L, 니치유사 제 엘레간(등록상표) 264WAX, 네오스사 제 프터젠트(FTERGENT)(등록상표) 310, 소켄 카가쿠사 제 일레콘드(등록상표) PQ-50B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대전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사 제 노이겐(등록상표) TDS-30, 마찬가지 노이겐(등록상표) ET-189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폴리머 화합물도 도전 성분으로서 배합함으로써 수지층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폴리아세틸렌계 폴리머, 폴리피롤계 폴리머, 폴리티오펜계 폴리머, 폴리아닐린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화합물계 대전방지제, 이온계 대전방지제 또는 도전성 폴리머 화합물을 대전방지제로서,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재료를 조합시켜서 사용할 경우에는, 그 배합량을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로 한다. 또한, 100질량부에 대하여 5∼25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재료가 도전 네트워크를 충분하게 형성할 수 없어 대전방지 성능이 발현되기 어려워 불충분한 것으로 된다. 한편, 대전방지제의 배합량이 30질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층에 차지하는 수지 비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성능이 크게 저하되고, 도막의 유연성이 소실되어 버려 물러질 뿐만 아니라, 기재 필름과의 밀착력이 저하되고, 대전방지제 자체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황변하기 때문에, 필름 외관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등, 코트 필름의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 후에 있어서도 초기의 부분방전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탄소계 재료, 금속계 재료 등의 도전성 입자, 필러라고 하는 무기 고체 도전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 카본블랙, 흑연, 풀러렌, 카본나노튜브 등의 탄소계 재료나, 산화인듐, 산화아연, 산화주석, 티탄산 칼륨, 산화티탄 등의 무기산화물계 화합물의 표면을 도전성을 갖는 주석-안티몬계 산화물, 인듐-주석계 산화물, 안티몬-주석계 산화물 등으로 피복한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그들 재료 중에서도 바늘 형상의 무기 고체 도전성 재료가 바람직하다. 바늘 형상의 도전성 재료로서는 카본 섬유나 금속 섬유가 알려져 있다. 특히, 안정성이 우수한 보강제로서 유용한 산화티탄의 형상을 섬유화함으로써 도막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성 및 도전성 부여 효과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전재료 자체의 형상을 바늘 형상으로 했을 경우, 구상의 도전성 재료와 비교하여 동일한 양을 수지층에 배합했을 경우에 바늘 형상의 도전재료 쪽이 입자끼리가 접촉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같은 배합량이면 구상의 도전재료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높은 부분방전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는, 소량의 배합량이어도 충분한 도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상의 도전재료를 사용할 경우보다 적은 배합량으로 동등 이상의 부분방전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늘 형상의 도전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도막 중에 차지하는 도전재료의 배합량을 소량화할 수 있고,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의 도막에서의 비율이 많아짐으로써 충분한 내광성을 얻을 수 있을 수 있어 부분방전 전압과 내광성의 양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바늘 형상의 도전성 재료로서는 섬유 형상의 산화티탄의 표면을 도전성 금속 화합물로 피복한 소재를 예시할 수 있다. 표면을 피복하는 금속으로서는 안티몬, 인듐, 및 니오브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로 이루어지는 금속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금속 화합물을 1∼30중량% 함유하고, 잔부가 실질적으로 산화주석으로 구성되는 피복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안티몬, 인듐, 니오브의 피복층에서의 함유량이 1중량% 미만에서는 도핑 효과가 부족하여 고도전성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한에 대해서는 본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함유량이 30중량%를 초과해도 그 이상의 도전성 향상 효과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가인 이들 재료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바늘 형상 산화티탄의 표면의 피복량으로서는 지나치게 적으면 균질하게 피복되지 않아 도전성이 충분하게 발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아도 입상(粒狀), 괴상(塊狀)의 형태로 부착되어 균질한 피복이 이루어지지 않아 도전성 또는 형상의 특성이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피복량은 전체 비율로서 약 5∼7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늘 형상의 무기 고체 도전성 재료의 제조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07-53217호 공보의 [0019]∼[0022]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오츠카 카가쿠사 제 도전성 세라믹스 재료 덴탈(등록상표) "WK-500B"를 예시할 수 있다.
무기계 도전재료를 수지층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배합할 경우에는 그 배합량을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로 한다. 또한, 100질량부에 5∼25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도전재료의 배합량이 1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재료가 도전 네트워크를 충분하게 형성할 수 없어 대전방지 성능이 발현되기 어려워 불충분한 것으로 된다. 한편, 무기 도전재료의 배합량이 30질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층에 차지하는 수지 비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도막의 유연성이 소실되어 물러질 뿐만 아니라, 기재 필름과의 밀착력이 저하하는 등 코트 필름의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유기 화합물계 대전방지제, 이온계 대전방지제 또는 도전성 폴리머 화합물 등의 유기계 대전방지제와 무기계 도전재료를 병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그 합계의 배합량을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로 하고, 5∼25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1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재료가 도전 네트워크를 충분하게 형성할 수 없어 대전방지 성능이 발현되기 어려워 불충분한 것으로 된다. 한편, 무기 도전재료의 배합량이 30질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층에 차지하는 수지 비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도막의 유연성이 소실되어 물러질 뿐만 아니라, 기재 필름과의 밀착력이 저하하는 등 코트 필름의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이 예시할 수 있는 각종 대전방지제 또는 도전재료 중, 제4급 암모늄클로라이드, 제4급 암모늄설페이트, 제4급 암모늄나이트레이트 등의 양이온계 대전방지제나 무기계 고체 도전재료가 내열성이나 내습열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내습열성에 추가해서 내자외선성도 고려하면 무기계 고체 도전재료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한 각종 대전방지재나 도전성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개 이상의 복수재료를 목적에 따라서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아크릴폴리올용 가교제]
또한, 상기와 같이 수지층의 특성 향상의 목적으로 아크릴폴리올의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를 배합해도 좋다.
가교제를 병용했을 경우에는 기재 필름과 수지층 사이의 밀착력의 향상, 또는 가교구조의 도입에 수반되는 수지층의 내용제성, 내열성 향상이라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이 최외층에 위치하도록 태양전지 이면 밀봉용 시트의 설계를 실시했을 경우에는 태양전지 모듈 제조공정, 구체적으로는 유리 라미네이트 공정(셀 충전 공정)에 있어서 수지층이 최대 150℃ 정도의 고온 하에서, 길 경우에는 30분 이상의 열처리에 노출되기 때문에 특히 내열성이 요구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공정에서는 모듈 조립 후에 세정 작업으로서 에탄올이나 그 밖의 유기용매에 의한 닦아내기 작업이 있기 때문에 내용제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밀착성, 내용제성, 내열성의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하면 가교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분방전 전압의 향상과 밀착성·내용제성·내열성의 향상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가교제를 배합한다.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대전방지제로서 유기계 도전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에 요구되는 부분방전 전압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교제를 배합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바늘 형상의 무기계 도전재료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가교제를 배합시켰을 경우에서의 부분방전 전압의 저하는 있지만, 가교제를 배합해도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에 요구되는 부분방전 전압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수지가 갖는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가교제의 사용이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를 경화제로서 사용하여 우레탄 결합(가교구조)의 생성을 재촉하는 처방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로서는 방향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원료로 하는 수지이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원료가 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m- 또는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4,4'-, 2,4'- 또는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2,4- 또는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및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원료가 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1,3- 또는 1,4-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나, 1,3- 또는 1,4-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등이 예시된다.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원료가 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 2,4'- 또는 2,2'-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수소첨가 MDI), 메틸-2,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6-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3- 또는 1,4-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수소첨가 XDI) 등이 예시된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원료가 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 2,3- 또는 1,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4- 또는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원료로서는,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복수종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수지골격 중에 자외선역의 광의 흡수대를 갖는 방향환을 함유하는 수지는 자외선 조사에 따라 황변하기 쉽기 때문에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및 방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자외선에 의한 접착강도의 저하가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지층의 도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두께는 0.2∼5㎛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특히 바람직하게는 3∼4㎛이다. 이 수지층을 도포방법에 의해 형성할 경우, 수지층의 두께가 0.2㎛ 미만이면 도포시에 얼룩이나 막 절단이라는 현상을 발생시키기 쉬워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재 필름에 대한 밀착력, 무엇보다 자외선 컷 성능이 충분하게 발현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한편, 수지층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자외선 컷 성능은 충분히 발현되지만, 도포 방식에 제약을 보이고(후막 도포가 가능한 특이 프로세스, 장치 제약), 생산 비용이 비싸지며, 반송 롤로의 도막 점착이나 그것에 수반되는 도막의 박리 등을 발생시키기 쉬워지는 등의 점이 우려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을 도포 용법에 의해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의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메탄올, 에탄올 및 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코팅액의 성상으로서는 에멀션형 및 용해형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수지층을 기재 필름 상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어야 할 것은 아니고, 공지의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 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롤 코팅법, 딥 코팅법, 바 코팅법, 다이 코팅법 및 그라비아 롤 코팅법 등이나, 이것들을 조합시킨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그라비아 롤 코팅법은 코팅층 형성 조성물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이유에서 바람직한 방법이다.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과 다른 수지 필름을 적층함으로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가 얻어지지만, 필름을 적층시켜서 시트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을 이용할 수 있다.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을 이용한 수지 필름의 접합에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폭시계 수지 등을 주제(主劑)로 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를 경화제로 하는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이들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접착제층에는 접착강도가 장기간의 옥외 사용에서 열화되는 것에 기인하는 디라미네이션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 광선 반사율의 저하로 연결되는 황변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 등이 필요하다. 또한 접착제층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5㎛의 범위이다. 1㎛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강도가 얻어지지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한편, 5㎛를 초과하면 접착제 도포의 스피드가 오르지 않고, 접착력을 발현시킬(주제 및 경화제간의 가교반응을 촉진할) 목적으로 행하는 에이징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 또한 접착제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 등을 이유로 생산 비용이 오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는 주제 및 가교제의 2개의 수지를 희석 용매로 희석해서 조합한 것이 사용되지만, 가교제로서는 활성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풍부하고, 그 반응속도 및 초기밀착력의 발현이 빠른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폴리머를 사용하는 처방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이점에 추가해서, 기재 필름과의 접착강도가 높고, 또한 그 접착강도의 항온 안정성, 장기 내구성에도 뛰어나는 접착성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폴리머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주제 수지로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계 등의 우레탄계 수지나 에폭시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고, 상세한 요구 특성, 가공조건 적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의 구성에 따라서는 상기 접착제층에도 UV광이 도달하여 수지의 광열화를 유인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한 관점으로부터, 접착제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함유량이 적은 지방족계 수지 또는 지환족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에는 수증기 차단성, 광반사성, 장기 내습열·내광 내구성, 대셀 충전제 밀착력, 전기 절연성 등으로 대표되는 여러 가지의 특성이 요구된다. 현재, 이들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능 분할의 사고방식에 준하고, 여러 가지 기능성 필름, 증착, 웨트 코팅 등의 가공 기술을 조합시킨 각사 각양의 시트 설계(적층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에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필름, 백색 필름, 무기산화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 EVA와의 열접착성을 갖는 필름 중, 기재 필름과는 다른 필름을 1개 이상 적층함으로써 각종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용 보호시트를 얻는다. 특히, 태양전지 모듈에 장착할 때에 외측으로 되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용 시트의 부분에는 상기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 하고, 이 기재 필름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을 형성한 내가수분해성·내광성 코팅 필름을 배치하는 설계가 바람직하다.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그것보다 내층측에 위치하는 층(접착제층, 필름층 등)은 가수분해로부터 지켜진다. 또한, 최외층측에 자외선 컷 성능을 갖는 수지층이 위치하기 때문에 이 수지층보다 내측의 층은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기재 필름의 수지층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면에는 백색 필름, 무기산화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 EVA와의 열접착성을 갖는 필름 중 1종류 이상의 필름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도레이 제 "루미러" E20F, MX01, 폴리불화비닐 필름인 듀퐁제 "테들라" PV2001, 폴리불화비닐리덴 필름인 알케머 제 "Kynar" 302-PGM-T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무기산화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기재 위에 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산화물 증착층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도레이 필름 카코 제 "배리어록스" 1011HG, 1011HGTSC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EVA와의 열접착성을 갖는 필름으로서는 폴리올레핀 필름인 도레이 필름 카코 제 "토레이판 NO" ZK93K, 4801, 4806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백색 필름을 적층했을 경우에는 광반사성이 부여되어, 무기산화물 증착층을 갖는 필름을 적층했을 경우에는 수증기 차단성이 부여되고, 또한 EVA와의 열접착성을 갖는 필름을 적층했을 경우에는 대셀 충전재층 밀착력이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에 적층하는 필름은 반드시 1장일 필요는 없고, 부여하고 싶은 특성에 따라 적당하게 각 부재 필름을 조합하여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를 설계하면 좋다.
또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의 구성중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 상을 제외하는 장소이면, 어느 층에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하는 증착층, 스퍼터층, 웨트 코팅층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중에서 「부」라는 것은 특별히 주석이 없는 한 「질량부」인 것을 의미한다.
<특성의 평가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한 특성의 평가방법은 하기와 같다.
(1) 도포량 측정
내광성 코팅층(수지층)의 도포량은 코팅층 형성 후에 500㎠의 면적으로 잘라내고, 그 시험편의 질량을 질량(1)이라 했다. 다음에 그 시험편으로부터 수지층을 메틸에틸케톤에 용해시키고 박리하여 다시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하고, 질량(2)라 했다. 계속해서, 하기 식에 의거하여 단위면적당의 도포량을 산출했다. 이 도포량 측정을 3개의 시험편에 대해서 행하고, 그 평균치를 도포량으로 했다.
식 도포량[g/㎡]={(질량(1))-(질량(2))}×20.
(2) 내용제성 평가
내광성 코팅층의 내용제성은 샘플을 에탄올 속에 5분간 담그고, 그 후 킴와이프(등록상표)를 사용해서 50회 문지른 후, 부분방전 전압을 측정했다. 또한 도막의 상태를 관찰하고, 하기 분류로 했다.
○ 처리 전과 도막 상태 변화 없슴
× 기재와 도막의 박리가 보임.
(3) 수증기 투과율의 측정
온도 40℃, 습도 90%RH의 조건에서 미국, 모콘(MOCON)사 제의 수증기 투과율측정장치[기종명, 퍼머트란(등록상표) W3/31]를 사용해서 JIS K7129(2000년판)에 기재된 B법(적외센서법)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또한, 2장의 시험편에 대해서 각각 측정을 1회 행하고, 2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수증기 투과율의 값으로 했다.
(4) 자외선 컷 성능의 평가(분광 스펙트럼 측정)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의 자외선 컷 성능은 JIS K 7105(2006년도판)에 의거하여 시마즈 세이사쿠쇼사 제 자외가시근적외 분광광도계 UV-3150을 사용해 분광 스펙트럼의 측정을 실시했다. UV광 영역의 광선 컷 성능에 대해서 특히 360㎚의 파장의 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5) 기재 필름/코팅층(수지층) 사이의 밀착강도 평가
제작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의 기재 필름과 코팅층(수지층) 사이의 밀착력(도막 밀착력)에 대해서 JIS K 5400(1990년판)에 기재된 방법에 의거하여 크로스컷 시험을 실시하고, 하기의 특성 분류를 했다.
○ 100셀 도막 잔존/100셀 중
△ 81∼99셀 도막 잔존/100셀 중
× 80셀 이하의 도막 잔존/100셀 중.
(6) 표면저항값의 측정
미쓰비시 카가쿠 제 표면저항율계 MCP-HT450을 사용하고, 23℃, 65%RH의 환경 하에서 표면저항값의 측정을 행하였다. 코팅층(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샘플 에 대해서는 코팅면에 프로브 전극부를 접촉시켜서 측정했다. 측정은 3장의 시험편에 대해서 행하고, 측정치의 평균치를 표면저항값으로 했다.
(7) 부분방전 전압의 측정
기쿠스이 덴시 고교사 제 부분방전 시험기 KPD2050을 사용하고, 23℃, 65%RH의 환경 하에서 부분방전 전압의 측정을 행하였다. 코팅층(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샘플에 대해서는 코팅층 면에서 전압을 가하여 측정했다. 코팅층이 없을 경우에는 기재 필름 면에서 전압을 가하여 측정했다. 측정은 5장의 시험편에 대해서 각 1회씩 측정을 행하는 방법으로 5개의 데이터를 채취하고, 최대값, 최소값을 제외한 3개의 측정치의 평균을 부분방전 전압으로 했다.
(8) 내자외선성 평가
이와사키 덴키사 제 아이수퍼UV테스터 SUV-W151을 이용하여 60℃×50%RH 분위기에서 자외선 강도 100mW/㎠로 72시간 자외선 조사 후의 표색계 b값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용 필름에 대해서는 자외선 컷 성능의 평가, 기재 필름/코팅 수지층간의 밀착강도 평가에 대해서도 그들 특성의 내자외선성 평가의 목적으로 실시했다.
(9) 내습열성 평가
에스펙사 제 프레셔 쿠커 TPS-211을 이용하여 120℃, 100%RH의 환경 하에서 48Hr의 열처리를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에 실시했다. 그 후,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의 (8) 내자외선성의 평가, 기재 필름/코팅층 사이의 (5) 밀착강도 평가에 대해서 그들 특성의 내습열성 평가의 목적으로 실시했다.
(10) 광선 반사율
제작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를 이용하여 유사 태양전지 모듈 샘플을 제작하고, 유리측에서 광을 입사하고, 이면 밀봉시트의 내층측(기재 필름의 코팅층을 적층한 면과는 반대면)에 대해서 광선 반사율의 측정을 시마즈 세이사쿠쇼(주) 제 분광광도계 MPC-3100을 사용해 행하였다. 반사율의 측정치로서는 600㎚의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대표해서 적는다. 시험한 유사 태양전지 모듈 샘플은 제작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의 내층측(기재 필름의 코팅층을 적층한 면과는 반대면)면에 EVA 시트를 겹치고, 또한 그 위에 두께 0.3㎜의 반강화유리를 겹치며, 시판의 유리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진공처리 후에 135℃ 가열 조건 하, 3Kgf/㎠ 하중으로 15분 프레스 처리를 한 것을 사용했다. EVA 시트는 산빅(주) 제 500㎛ 두께 시트를 사용했다.
(11) 충전재와의 접착강도의 측정
JIS K 6854에 의거하여 EVA 시트와의 접착력을 측정했다. 시험을 행한 유사 태양전지 모듈 샘플은 제작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의 내층측(기재 필름의 코팅층을 적층한 면과는 반대면)면에 EVA 시트를 겹치고, 또한 그 위에 두께 0.3㎜의 반강화유리를 겹치며, 시판의 유리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진공처리 후에 135℃ 가열 조건 하, 3Kgf/㎠ 하중으로 15분 프레스 처리를 한 것을 사용했다. EVA 시트는 산빅(주)제 500㎛ 두께 시트를 사용했다. 접착강도 시험의 시험편의 폭은 10㎜로 하고, 2개의 시험편에 대해서 각각 측정을 1회 행하며, 2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접착강도의 값으로 했다. 접착강도는 100N/50㎜ 이상인 것이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이라 판단한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
(주)니폰 쇼쿠바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의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HALS)가 아크릴폴리올 수지에 가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제인 할스하이브리드 폴리머(등록상표) BK1(고형분 농도 : 40질량%) 100질량부에, 대전방지제로서 헥사플루오로프로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양이온성 대전방지제인 네오스사 제 프터젠트(등록상표) 310을 5질량부,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인 스미카 바이엘사 제 데스모듈(등록상표) N3200(고형분 농도 : 100질량%)을 5질량부, 및 아세트산 에틸 140질량부를 칭량하고, 15분간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20질량%(수지 고형분 농도)의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을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2의 조정)
대전방지제로서 양이온계 아크릴형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양이온성 대전방지제인 소켄 카가쿠사 제 일렉콘드(등록상표) PQ-50B를 10질량부 배합하는 이외는,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용 도료 2를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3의 조정)
대전방지제로서 폴리올계 수지, 리튬염으로 이루어지는 양이온계 대전방지제인 산코 카가쿠 고교사 제 산코놀(등록상표) PEO-20R을 20질량부 배합하는 이외는,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용 도료 3을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4의 조정)
대전방지제로서 양이온성 대전방지제인 소켄 카가쿠사 제 일렉콘드(등록상표) PQ-50B를 10질량부와, 폴리올계 수지, 리튬염으로 이루어지는 양이온계 대전방지제인 산코 카가쿠 고교사 제 산코놀(등록상표) PEO-20R을 10질량부 배합하는 이외는,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용 도료 4를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5의 조정)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아세트산 에틸의 배합량을 120질량부로 해서 고형분 농도 20질량%(수지 고형분 농도 )를 조합한 이외는, 내광성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트 수지층 형성용 도료 5를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6의 조정)
대전방지제로서 바늘 형상 무기 고체 산화물계 대전방지제인 오오츠카 카가쿠 제 덴탈(등록상표) WK-500을 7질량부 및 아세트산 에틸을 148질량부로 해서 배합하는 이외는,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용 도료 6을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7의 조정)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아세트산 에틸의 배합량을 128질량부로 해서 고형분 농도 20질량%(수지 고형분 농도)를 조합한 이외는, 내광성 코팅층 형성용 도료 6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트 수지층 형성용 도료 7을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8의 조정)
양이온성 대전방지제인 네오스사제 프터젠트(등록상표) 310을 배합하지 않는 이외는,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용 도료 8을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9의 조정)
대전방지제로서 양이온성 대전방지제인 네오스사 제 프터젠트(등록상표) 310을 0.5질량부 배합하는 이외는,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용 도료 9를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10의 조정)
대전방지제로서 양이온성 대전방지제 소켄 카가쿠사 제 일렉콘드(등록상표) PQ-50B를 35질량부 배합하는 이외는,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용 도료 10을 얻었다.
(코팅층 형성용 도료 11의 조정)
할스하이브리드 폴리머(등록상표) BK1(고형분 농도 : 40질량%)을 사용하는 대신에, 메틸메타크릴산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원료로 하는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코팅제(고형분 농도 : 40질량%)를 사용하는 이외는,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의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용 도료 11을 얻었다.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의 조정)
DIC(주) 제 드라이 라미네이트제 딕드라이(등록상표) LX-903을 16부, 경화제로서 다이니폰 잉크 카가쿠 고교(주) 제 KL-75을 2질량부, 및 아세트산 에틸을 29.5질량부를 칭량하고, 15분간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20%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얻었다.
(접착층 형성용 도료의 조정)
미츠이 카가쿠 폴리우레탄(주) 제 드라이 라미네이트제 타케랙(등록상표) A-310(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을 12질량부, 미츠이 카가쿠 폴리우레탄(주) 제의 방향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인 타케네이트(등록상표) A-3을 1질량부, 및 아세트산 에틸을 212질량부 칭량하고, 15분간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질량%의 접착층 형성용 도료를 얻었다.
(열접착성 수지층 형성용 도료의 조정)
츄오 리카 코교(주) 제의 EVA계 3원 공중합 수지 함유 수성 에멀션 도료인 아쿠아텍스(등록상표) MC-3800을 20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10.8질량부, 및 물을 22.6질량부 칭량하고, 15분간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15질량%의 열접착성 수지층 형성용 도료를 얻었다.
(실시예 1)
기재 필름으로서 도레이(주) 제의 환상 3량체의 함유량이 1중량% 이하인 내가수분해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루미러(등록상표) X10S(125㎛)를 준비했다. 이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코팅층 형성용 도료 1을 도포하고, 150℃에서 30초간 건조하고, 건조 후 도포량이 3.0g/㎡가 되도록 코팅층(수지층)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을 제조했다.
(실시예 2)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2를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2를 제조했다.
(실시예 3)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3을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3을 제조했다.
(실시예 4)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4를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4를 제조했다.
(실시예 5)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5를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5를 제조했다.
(실시예 6)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6을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6을 제조했다.
(실시예 7)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7을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7을 제조했다.
(비교예 1)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8을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8을 제조했다.
(비교예 2)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9를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9를 제조했다.
(비교예 3)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10을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0을 제조했다.
(비교예 4)
코팅층 형성용 도료 1 대신에 코팅층 형성용 도료 11을 도포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1을 제조했다.
(비교예 5)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고, 루미러(등록상표) X10S[도레이(주) 제, 125㎛]를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2라고 했다.
이상에서 얻어진 실시예 1∼7, 비교예 1∼5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방법에 의해 특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7과 비교예 1∼3의 비교)
비교예 1에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8의 코팅층에는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표면저항값은 1014Ω/㎠로 실시예 1∼7에서 얻어지는 내광성 필름 1∼7과 비교해서 높고, 또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8의 부분방전 전압은 723V로 실시예 1∼7에서 얻어지는 내광성 필름 1∼7과 비교해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에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5의 코팅층에는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교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 점만이 다른 실시예 1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부분방전 전압이 얻어지고 있다. 이것은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아크릴폴리올 수지 중의 수산기가 미반응인 채로 도막 중에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도막 표면의 친수성이 높아 물을 흡착하기 쉽기 때문에 표면저항값이 작아지고, 부분방전 전압도 향상되어 있는 것이라 추측되지만, 부분방전 전압의 향상과 교체로 내용제성이 나빠져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6, 실시예 7의 바늘 형상의 무기계 고체 대전방지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쪽이 높은 부분방전 전압이 얻어지고 있다. 한편으로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것이나 내용제성이 떨어지는 결과로 되어 있다. 실시예 6에서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배합함으로써 도막의 내용제성이 향상되어 내용제 시험 후의 부분방전 전압에도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비교예 2에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9는 내광성 코팅층에 대전방지제 0.5질량부를 포함하지만, 코팅층의 도전성, 표면저항값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불충분한 배합량이기 때문에 내광성 필름 7의 부분방전 전압은 향상되는데에 이르지 않는다. 한편, 비교예 3에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0은 내광성 코팅층에 대전방지제 35질량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코팅층에 차지하는 수지 비율이 크게 낮아지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성능이 크게 저하하여 파장 360㎚의 광선투과율이 높아지고, 자외선 조사에 따르는 필름 외관(색조)의 변화가 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7과 비교예 4의 비교)
비교예 4에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1의 코팅층에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하나인 아크릴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가 가교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코팅층은 자외선광 컷 성능을 갖고 있지 않아 자외선광의 조사에 따라 코팅층이 수지 열화하고, 기재 필름과 코팅층 사이의 밀착력이 불충분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기재 필름이 수지 열화, 황변하여 버렸다.
(실시예 1∼7과 비교예 5의 비교)
비교예 5에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2(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루미러(등록상표) X10S 필름 바로 그것)는, 자외선광 컷 성능이 없고, 또한 부분방전 전압을 향상시키는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층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그 부분방전 전압은 707V로 낮고, 자외선광의 조사에 따라 수지 열화, 황변이 발생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은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의 코팅층과는 반대측의 필름 표면에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80℃에서 45초간 건조해서 3.5㎛의 접착제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접착제층에 광반사성 필름으로서 도레이(주) 제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루미러(등록상표) E20F(50㎛)를 핸드 롤러를 이용하여 접합시켰다. 또한, 이 라미네이트 필름의 내광성 코팅층과는 반대측의 필름 표면에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80℃에서 45초간 건조해서 3.5㎛의 접착제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다음에 접착제층에 수증기 배리어성 필름을 갖는 도레이 필름 카코(주) 제 산화알루미늄 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배리어록스(등록상표) 1031HGTS(12㎛)의 산화알루미늄 증착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착층 형성용 도료 및 열접착성 수지층 형성용 도료를 하기 조건으로 2헤드의 탠덤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순차, 도포한 필름의 산화알루미늄 증착 층 면이 접착제층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핸드 롤러를 이용하여 접합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필름 3장으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40℃로 가열한 오븐 내에서 3일간 에이징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1을 얻었다.
·접착층 도포조건 : 건조 막두께 0.2㎛, 건조 오븐 설정온도 120℃
·열접착성 수지층 도포조건 : 건조 막두께 1.0㎛, 건조 오븐 설정온도 100℃
·도포 스피드 : 100m/min
·에이징 : 도포·권취 후, 40℃ 하에서 2일간 에이징.
(실시예 9)
수증기 배리어성 필름 대신에 EVA 시트와의 밀착력이 우수한 도레이 필름 카코(주) 제 폴리에틸렌 필름(50㎛)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8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2를 얻었다.
(실시예 10)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 대신에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6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8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3을 얻었다.
(실시예 11)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 대신에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6을 사용하고, 수증기 배리어성 필름, 광반사성 필름 대신에 도레이 필름 카코(주) 제 백색 폴리에틸렌 필름(100㎛)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8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4를 얻었다.
(비교예 6)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 대신에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8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8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5를 얻었다.
(비교예 7)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 대신에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1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8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6을 얻었다.
(비교예 8)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 대신에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12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8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7을 얻었다.
(실시예 8∼11과 비교예 6의 비교)
실시예 8∼11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1∼4는 어느 것이나 1000V 이상의 높은 부분방전 전압을 나타내어, 높은 시스템 전압의 태양전지 모듈용 이면 밀봉시트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 구성에 있어서 외층측에 위치하는 코팅층측으로의 자외선 조사에 수반되는 기재 필름과 코팅층 사이의 밀착력의 저하는 보이지 않고, 또한 코팅층 및 기재 필름의 황변은 매우 적다. 한편, 비교예 6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5는 최외층의 코팅층에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850V로 부분방전 전압은 낮은 값을 나타내어, 높은 시스템 전압의 요구되는 태양전지 모듈 용도에서의 사용은 곤란하다.
(실시예 8∼10과 비교예 7의 비교)
비교예 7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6은 최외층의 코팅층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가 가교되어 있지 않은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최외층에 자외선광 컷 성능을 갖고 있지 않아 부분방전 전압은 높은 값을 나타내지만, 자외선광의 조사에 따라 수지 열화 및 황변이 발생하고, 장기에 걸쳐 필드 설치형의 설치방법으로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의 반사된 자외선에 노출되어 극단적인 케이스에서는 필름에 균열, 핀홀 등이 생겨서 전기절연성, 수증기 차단성 등 밀봉시트에 요구되는 기능이 소실되어 버릴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모듈의 동작에도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설치 형태를 상정한 태양전지 모듈의 용도에는 이면 밀봉시트로서 사용할 수는 없다.
(실시예 8∼10과 비교예 8의 비교)
비교예 8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7은 그 최외층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즉 자외선광 컷성 코팅층, 또는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방전 전압 및 내자외선성은 어느 것이나 낮다. 따라서, 높은 시스템 전압이 요구되는 태양전지 모듈 용도, 및 필드 설치형 등 지표면 등으로부터의 반사된 자외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설치 형태를 상정한 태양전지 모듈의 용도에는, 이면 밀봉시트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내광성 및 전기절연성의 일지표인 부분방전 전압이 우수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태양전지 이면 밀봉용 보호시트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실리콘 셀 충전재층과의 밀착력, 광선반사율 또는 수증기 차단 성능에 뛰어나고, 태양전지 모듈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유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가 얻어진다. 또한 동시에,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를 사용하는 태양전지 모듈은 높은 광선 반사율에 기인하는 뛰어난 발전 효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 내구성에도 뛰어난 태양전지 모듈이다.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표 3)
Figure pct00004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용 시트는 내광성 및 전기절연성의 일지표인 부분방전 전압에 뛰어나고 있어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태양전지 이면 밀봉용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은 유용하다.

Claims (8)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와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수지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유량이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를 공중합시킨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3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양이온성 대전방지제 및/또는 무기 고체 도전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무기 고체 도전재료이며, 이 무기 고체 도전재료가 바늘 형상의 무기섬유에 도전층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섬유는 산화티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및 방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6. 제 5 항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에 1종 이상의 다른 필름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다른 필름은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의 상기 수지층과 반대측에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
  8. 제 6 항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밀봉시트와 태양전지 모듈의 실리콘 셀 충전재층 면을 접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0117011978A 2008-11-28 2009-11-13 태양전지용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KR20110098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3719 2008-11-28
JPJP-P-2008-303719 2008-11-28
JPJP-P-2009-000182 2009-01-05
JP2009000182 2009-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901A true KR20110098901A (ko) 2011-09-02

Family

ID=4222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978A KR20110098901A (ko) 2008-11-28 2009-11-13 태양전지용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59389A1 (ko)
EP (1) EP2355168A4 (ko)
JP (1) JPWO2010061738A1 (ko)
KR (1) KR20110098901A (ko)
CN (1) CN102227818A (ko)
WO (1) WO2010061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5014B (zh) * 2009-09-17 2016-08-11 東洋油墨製造股份有限公司 太陽電池用背面保護片、其製造方法、及太陽電池模組
WO2011068067A1 (ja) * 2009-12-03 2011-06-09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用フィルム
JP5690583B2 (ja) * 2010-12-28 2015-03-25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接着剤
JP2012140494A (ja) * 2010-12-28 2012-07-26 Henkel Japan Ltd 屋外用ウレタン接着剤
ITVI20110227A1 (it) * 2011-08-05 2013-02-06 Coveme S P A Back-sheets per moduli fotovoltaici
CN102632669B (zh) * 2012-05-11 2014-10-08 杭州联合新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光反射功能的氟素薄膜背板
JP2013237183A (ja) * 2012-05-15 2013-11-28 Suzhou Quanlin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JP6115106B2 (ja) * 2012-12-07 2017-04-19 Dic株式会社 硬化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積層ポリエステル樹脂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
EP2749617A1 (en) * 2012-12-26 2014-07-02 Nitto Denko Corporation Sealing sheet
TWI648892B (zh) * 2013-12-26 2019-01-2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Sheet-like sealing material, sealing sheet, electronic device sealing body, and organic EL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453B2 (ja) * 1988-04-12 1995-05-31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クリルポリオールの製造方法
JPH0753217A (ja) 1993-08-12 1995-02-28 Otsuka Chem Co Ltd 導電性酸化チタン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樹脂組成物
DE69429245T2 (de) * 1993-09-30 2002-06-27 Canon Kk Sonnenzellenmodul mit einem oberflächen-überzugsstoff von dreischichtenstruktur
EP0962486B1 (en) * 1998-06-05 2003-12-17 Teijin Limited Antistatic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335479B1 (en) * 1998-10-13 2002-01-01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tective sheet for solar battery modul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solar battery module
JP2002026354A (ja) * 2000-07-11 2002-01-25 Toray Ind Inc 太陽電池裏面封止用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
WO2002004996A1 (fr) * 2000-07-12 2002-01-17 Toray Industries, Inc. Pellicule blanche pour elements reflecteurs de lumieres de surface
JP3870731B2 (ja) 2000-07-12 2007-01-24 東レ株式会社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JP2002100788A (ja) 2000-09-20 2002-04-05 Mitsubishi Alum Co Ltd 太陽電池カバー材用バック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2192658A (ja) * 2000-12-27 2002-07-10 Kimoto & Co Ltd 印刷用フィルム
JP2002307591A (ja) * 2001-04-12 2002-10-23 Nippon Shokubai Co Ltd Frp防水構造体およびそれに用いる塗料用樹脂組成物
JP2003040937A (ja) * 2001-07-27 2003-02-13 Ipposha Oil Ind Co Ltd 高分子光安定剤
JP2003152206A (ja) * 2001-11-13 2003-05-23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用裏面保護シ−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太陽電池モジュ−ル
JP2005314561A (ja) * 2004-04-28 2005-11-10 Chuden Kogyo Kk 帯電防止塗料組成物
JP4367704B2 (ja) * 2004-10-21 2009-11-18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6253264A (ja) 2005-03-09 2006-09-21 Toppa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6319250A (ja) * 2005-05-16 2006-11-24 Keiwa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6326971A (ja) * 2005-05-25 2006-12-07 Toray Ind Inc 耐候性樹脂フィルム
JP4977991B2 (ja) * 2005-09-30 2012-07-18 凸版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裏面保護シート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その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
JP5140919B2 (ja) * 2005-11-01 2013-02-13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07072944A1 (ja) * 2005-12-22 2007-06-28 Bridgestone Corporation 太陽電池用封止膜及びこの封止膜を用いた太陽電池
ATE518255T1 (de) * 2006-08-30 2011-08-15 Keiwa Inc Benutzung einer rückplatte für photovoltaikmodule und photovoltaikmodule damit
JP2008177181A (ja) * 2007-01-16 2008-07-31 Dueller Corp 集光シート型太陽電池
WO2011068067A1 (ja) * 2009-12-03 2011-06-09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用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5168A1 (en) 2011-08-10
EP2355168A4 (en) 2012-06-20
CN102227818A (zh) 2011-10-26
WO2010061738A1 (ja) 2010-06-03
JPWO2010061738A1 (ja) 2012-04-26
US20110259389A1 (en)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8901A (ko) 태양전지용 이면 밀봉시트용 필름
KR101624928B1 (ko) 태양전지 이면 밀봉재용 필름, 태양전지 이면 밀봉재 및 태양전지 모듈
JP565531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540840B2 (ja) 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
US20110108086A1 (en) Backing sheet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method for repairing same
US10224445B2 (en) Back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olar cell modul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lar cell
JP2009200398A (ja) 太陽電池用裏面封止用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20115214A (ko) 태양전지 이면 밀봉 시트용 필름
JP201325142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裏面封止シート用フィルム
KR20140015359A (ko) 태양 전지용 보호 시트와 그 제조 방법, 태양 전지용 백 시트 부재, 태양 전지용 백 시트 및 태양 전지 모듈
JP5692706B2 (ja) 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用フィルム
JPWO2010106907A1 (ja) 太陽電池裏面封止材用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裏面封止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40059197A (ko)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태양 전지 이면 밀봉 시트 및 태양 전지 모듈
JP2011204842A (ja) 太陽電池裏面封止材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718348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シート
JP2013207181A (ja) 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043571A (ja) 塗工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JP2012019124A (ja) 太陽電池表面保護材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4933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15474A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