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671A - 아이솔레이터 - Google Patents

아이솔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671A
KR20110098671A KR1020110017069A KR20110017069A KR20110098671A KR 20110098671 A KR20110098671 A KR 20110098671A KR 1020110017069 A KR1020110017069 A KR 1020110017069A KR 20110017069 A KR20110017069 A KR 20110017069A KR 20110098671 A KR20110098671 A KR 20110098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xhaust hole
exhaust
auxiliary work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831B1 (ko
Inventor
야스히코 요코이
아키후미 이와마
신지 후쿠이
아츠시 나카오
히로시 야마모토
지로 오니시
히로노부 스나야마
간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부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12M37/04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4Incubators; Climatic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09Incubators or racks or holders for culture plates or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과제] 아이솔레이터에 있어서, 진애의 세포 등으로의 혼입을 방지하여, 진애가 세포의 조작 등의 배양작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외부로부터 작업자가 손을 넣어 작업실(16) 내에서 세포의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글로브(19A, 19B, 19C, 19D)를 작업실(16) 내에 대략 가로로 일렬로 구비한 아이솔레이터(10)에 있어서, 작업실(16) 내가 적어도 세포의 조작 에어리어(25)와 보조기구를 개봉하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로 구별되고, 조작 에어리어(25)에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기체가 공급되며, 아래쪽으로 흐른 기체를 글로브(19A, 19B)의 근방에서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을 향하여 흘리는 기류제어수단을 구비하고, 기류제어수단이 각 에어리어의 작업판(42)에 마련되어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공부(45)를 구비하며,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의 총개구면적을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의 총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형성했다.

Description

아이솔레이터{ISOLATOR FOR CELL CULTURE}
본 발명은 아이솔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균(無菌)환경에 있는 작업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아이솔레이터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아이솔레이터 내에서는 인체, 동물 혹은 식물의 세포나 미생물의 배양, 조작 및 관찰 등의 배양작업이 작업자에 의해서 행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표2001-518816호 공보
그런데, 아이솔레이터 내에서는 세포의 배양작업에 부수(附隨)하여, 실험용의 기구나 약품의 개봉작업 등의 보조작업이 행해지며, 이 보조작업시에는 진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보조작업시에 발생한 진애가 세포 등에 혼입하여 배양작업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아이솔레이터에서 진애의 세포 등으로의 혼입을 방지하여, 진애가 세포의 조작 등의 배양작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작업자가 손을 넣어 작업실 내에서 세포의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글로브(glove)를 상기 작업실 내에 대략 가로로 일렬로 구비한 아이솔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 내가 적어도 세포의 조작 에어리어와 세포의 조작에 사용하는 포장된 보조기구를 개봉하는 보조작업 에어리어로 구별되고, 적어도 상기 조작 에어리어 내에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기체가 공급되며, 상기 아래쪽으로 흐른 기체를 상기 글로브의 근방에서 세포의 조작 에어리어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을 향하여 흘리는 기류(氣流)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류제어수단이 각 에어리어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위쪽으로부터의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공(排氣孔)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의 배기공부의 총개구면적을 상기 조작 에어리어 측의 배기공부의 총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작업자가 손을 넣어 작업실 내에서 세포의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글로브를 상기 작업실 내에 대략 가로로 일렬로 구비한 아이솔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 내가 적어도 세포의 조작 에어리어와, 세포의 조작에 사용하는 포장된 보조기구를 개봉하는 보조작업 에어리어로 구별되고, 적어도 상기 조작 에어리어 내에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기체가 공급되며, 상기 아래쪽으로 흐른 기체를 상기 글로브의 근방에서 세포의 조작 에어리어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을 향하여 흘리는 기류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류제어수단이 적어도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위쪽으로부터의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공부로부터의 기체를 배기하는 흡입구를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가 상기 배기공부로부터의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덕트의 흡입구라도 된다.
또, 상기 흡입구가 상기 배기공부로부터의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용 블로어의 흡입구로서, 이 배기용 블로어를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의 하면의 아래쪽에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조작 에어리어 측의 하면에,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의 하면에 마련된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와 총개구면적이 동일한 조작 측 배기공부를 구비하여도 된다.
또, 세포를 배양하는 배양실을 상기 조작 에어리어 측에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에서는 진애의 세포 등으로의 혼입을 방지하여, 진애가 세포의 조작 등의 배양작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아이솔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아이솔레이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의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제4 실시형태의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제5 실시형태의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제6 실시형태의 아이솔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아이솔레이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은 제7 실시형태의 아이솔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아이솔레이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6은 작업실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아이솔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터(10)는 내부가 무균상태로 유지되는 글로브박스(11)와, 글로브박스(11)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12)과, 글로브박스(11)의 상면에 마련되는 흡기용 블로어(13) 및 배기용 블로어(14)와, 글로브박스(11)의 내부를 제염(除染)가스로 제염하는 제염유니트(1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글로브박스(11)의 내부의 공간은 세포추출 및 세포배양 등의 생체유래재료(生體由來材料)를 대상으로 하는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실(16)로 되어 있다. 글로브박스(11)는 일면이 개구한 상자형의 케이스(17)와, 케이스(17)의 개구를 폐색하는 장방형(長方形)의 유리나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판(18)을 가지고, 글로브박스(11)의 전면(前面)의 대략 전체에 설치된 투명판(18)을 통하여 작업실(16) 내가 시인(視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글로브박스(11)는 폭방향이 가장 긴 직방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명판(18)에는 작업실(16) 내로 연장하는 복수의 글로브(19A, 19B, 19C, 19D)가 설치되어 있고, 세포의 조작이나 배양 등을 행하는 작업자는 글로브박스(11)의 외측으로부터 글로브(19A, 19B, 19C, 19D)에 손을 넣음으로써, 작업실(16) 내에서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각 글로브(19A, 19B, 19C, 19D)는 글로브박스(11)의 높이의 중간부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글로브(19A, 19B, 19C, 19D)는 4개 설치되어 있고, 서로 대략 등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대략 가로로 일렬로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있다. 즉, 글로브박스(11)에서는 4개의 글로브(19A, 19B, 19C, 19D)가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으로 가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2명의 작업자가 각자의 양손을 각 글로브(19A, 19B, 19C, 19D)에 넣어, 2명이 동시에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글로브박스(11)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세포를 배양하는 인큐베이터(21)(배양실), 작업실(16) 내로의 물품의 출입에 이용되는 패스박스(22), 인큐베이터(21)가 장착되는 조인트박스(23) 및 원심분리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박스(23)는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일단 측의 일측 측면(24A)에 설치되며, 일측 측면(24A)의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조인트박스 도어(23A)를 가지고 있다. 조인트박스(23)에는 인큐베이터(2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인큐베이터(21)는 세포의 배양에 적절한 환경을 내부에 형성하는 상자형의 배양실이며, 내부의 온도 및 CO2 농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내부를 제염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인큐베이터(21)에는 내부를 밀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도어(21A)가 설치되어 있다. 인큐베이터(21)는 도어(21A)가 조인트박스 도어(23A)에 면하는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조인트박스(23)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실(16) 내로부터 인큐베이터(21)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조인트박스 도어(23A)를 열고, 그 후, 도어(21A)를 여는 것으로 인큐베이터(21) 내에 손을 뻗어 샬레 등에 수용된 세포를 인큐베이터(21) 내에 출입할 수 있다. 또, 조인트박스(23)로부터 인큐베이터(21)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조인트박스 도어(23A)가 닫혀져 있어 작업실(16) 내와 외부와의 밀폐상태가 유지된다.
패스박스(22)는 글로브박스(11) 내에 물품을 출입할 때에 이용되는 전실(前室)이며, 글로브박스(11)의 전면 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도어(22A)와, 글로브박스(11)의 측면의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내부도어(22B)를 가지고,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타단 측의 타측 측면(24B)에 설치되어 있다. 또, 패스박스(22)는 제염유니트(15)에 접속되어 있다.
글로브박스(11)에 물품을 반입할 때에는, 외부도어(22A)를 열어 물품을 패스박스(22)에 넣어 외부도어(22A)를 닫고, 이 상태에서 제염유니트(15)에 의해서 물품을 제염하며, 그 후, 글로브(19C, 19D)를 사용하여 내부도어(22B)를 열고, 물품을 취출함으로써 물품을 글로브박스(11)에 반입할 수 있다.
패스박스(22)를 사용하여 글로브박스(11)에 반입되는 물품으로서는 배양작업에 이용되는 기구 등을 들 수 있으며, 일례로서는 주사기를 들 수 있다. 이 주사기 등의 기구는 무균상태로 관리된 포장 내에 수용되어 있다.
글로브박스(11)는 세포의 배양, 조작 및 관찰 등의 배양작업이 행해지는 조작 에어리어(25)와, 배양작업의 보조작업을 하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로 구별되어 있다. 보조작업으로서는 배양작업에 사용되는 기구나 약품의 포장의 개봉작업이나, 원심분리기(20)의 조작 등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에어리어(25)는 글로브박스(11)에서의 인큐베이터(21)가 배치된 측의 일측 반부(半部)이며, 보조작업 에어리어(35)는 글로브박스(11)에서의 패스박스(22) 측의 타측 반부이다. 또, 조작 에어리어(25)와 보조작업 에어리어(35)와의 경계부(S)는, 도 1에 상하로 연장하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측의 2개의 글로브(19B, 19C)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인큐베이터(21) 측의 2개의 글로브(19A, 19B)는 조작 에어리어(25)의 작업에 이용되고, 패스박스(22) 측의 2개의 글로브(19C, 19D)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작업에 이용된다. 또, 중앙의 2개의 글로브(19B, 19C)를 좌우의 손으로 각각 사용하여, 조작 에어리어(25)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 걸쳐서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실(16) 내의 인큐베이터(21) 측을 세포의 조작 등의 배양작업이 행해지는 조작 에어리어(25)로 했기 때문에, 배양작업에서 사용한 세포를 글로브(19A, 19B)를 사용하여 그대로 인큐베이터(21)에 출입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 작업실(16) 내의 패스박스(22) 측을 보조작업 에어리어(35)로 했기 때문에, 패스박스(22)로부터 취출한 기구 등을 글로브(19C, 19D)를 사용하여 개봉하고, 이 기구 등을 조작 에어리어(25)에 공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원심분리기(20)는 세포의 분리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것으로,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에어리어(25) 측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의 양쪽으로부터 원심분리기(20)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글로브박스(11) 내의 조작 에어리어(25)에는 디스플레이(26)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26)는 투명판(18)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작업자에 대해서 배양작업의 작업순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아이솔레이터(1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용 블로어(13) 및 배기용 블로어(14)는 글로브박스(11)의 위쪽에 전후로 늘어놓아서 설치되며, 흡기용 블로어(13)는 투명판(18) 측의 전부(前部)에 배치되고, 배기용 블로어(14)는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용 블로어(13)에는 흡기용 촉매(28) 및 흡기량을 조정하는 흡기용 밸브(29)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용 블로어(14)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를 정화하는 배기용 촉매(31) 및 배기량을 조정하는 배기밸브(30)가 접속되어 있다.
흡기용 블로어(13)와 배기용 블로어(14)는 상하로 연장하는 구획부(32)(도 2)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흡기용 블로어(13)의 아래쪽에는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완전하게) 연장하는 흡기챔버(33)가 설치되고, 흡기챔버(33)와 작업실(16)과의 사이에는 흡기 중의 진애를 포집(捕集)하는 흡기필터(3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배기용 블로어(14)의 아래쪽에는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배기챔버(36)가 설치되고, 배기챔버(36)와 작업실(16)과의 사이에는 배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배기필터(37)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글로브박스(11) 내에는 글로브박스(11) 내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장하고, 글로브박스(11) 내를 구획하는 내벽판(40)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벽판(40)에 의해서, 글로브박스(11) 내의 하부 및 배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내벽판(40)은 한 장의 판재를 굴곡시키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7)의 저면(41A)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작업실(16)의 저면부를 구성하는 작업판(42)(하부)과, 케이스(17)의 배면(41B)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작업실(16)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판(43)과, 배면판(43)의 상단과 작업실(16)의 상면을 연결하는 구획판(4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업판(42)은 저면(41A)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에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배기공부(45)를 각각 가지고 있다. 배면판(43)은 작업판(42)의 뒤쪽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배면(41B)과 평행하게 위쪽으로 연장해 있다. 구획판(44)은 배면판(43)의 위쪽 가장자리로부터 전면 측으로 경사져 연장하고, 구획부(32)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작업판(42), 배면판(43) 및 구획판(44)과, 케이스(17)의 저면(41A) 및 배면(41B)과의 사이의 공간은 배기통로(46)로서 기능하며, 작업실(16)로부터의 배기는 배기통로(46)를 통과하여 배기용 블로어(14) 측으로 흐른다. 배기통로(46)는 작업판(42)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하부덕트(46A) 및 하부덕트(46A)에 연속하고, 케이스(17)의 배면(41B)과 배면판(43)과의 사이를 위쪽으로 연장하는 상부덕트(46B)(배기덕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부덕트(46B)의 아래쪽 끝단이 상부덕트(46B)의 흡입구(46C)가 된다.
글로브박스(11)의 외부의 공기(기체)는 흡기용 촉매(28)를 통과한 후, 흡기용 밸브(29)를 통하여 흡기챔버(33)로 유입하고, 흡기챔버(33)의 폭방향의 전체에 고르게 퍼져. 흡기필터(34)를 통과하여 진애가 제거되어, 작업실(16) 내에 위쪽으로부터 유입한다. 작업실(16) 내로 유입한 공기는 작업실(16) 내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흐르고, 작업판(42)의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의 각 배기공부(45)로부터 하부덕트(46A)에 도달하며, 상부덕트(46B) 내를 위쪽으로 흘러, 배기필터(37)를 통과하여·배기챔버(36)로 유입한다. 배기챔버(36)로 유입한 공기는 배기용 블로어(14)에 의해서 흡출(吸出)되고, 배기밸브(30) 및 배기용 촉매(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도 3 및 도 4는 작업실(16)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조인트박스 도어(23A)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4에서는 조인트박스 도어(23A)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인트박스 도어(23A)는 아래쪽 가장자리에 힌지(23B)(도 1)를 가지고, 힌지(23B)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부터 작업실(16) 측으로 아래쪽으로 넘어짐으로써 열림상태가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에어리어(25) 측의 작업판(42)에는 아래쪽으로 오목한 대략 직사각형의 도어수용용 오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수용용 오목부(47)는 조인트박스 도어(23A)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박스 도어(23A)가 열림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그 오목부에 조인트박스 도어(23A)를 수용한다. 또, 조인트박스 도어(23A)가 도어수용용 오목부(47)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조인트박스 도어(23A)의 상면은 작업판(42)의 상면에 일치하여, 작업판(42)의 일부가 된다.
즉, 배양작업을 행할 때에는, 조인트박스 도어(23A)는 열림상태에서 사용되어, 작업용의 받침대로서 기능한다. 배양작업은 주로 조인트박스 도어(23A)상에서 행해진다. 이와 같이, 조인트박스 도어(23A)를 아래쪽으로 넘어뜨려 열림상태로 하고, 도어수용용 오목부(47)에 수용하기 때문에, 조인트박스 도어(23A)가 디스프레이(26)의 표시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인트박스 도어(23A)를 작업용의 받침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어수용용 오목부(47)와 하부덕트(46A)와의 사이에는 벽부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수용용 오목부(47)는 하부덕트(46A)에 직접 연통하지 않는다.
원심분리기(20)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20A)에 의해서 덮이고, 작업판(4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덮개부(20A)는 작업판(42)의 일부이며, 작업판(42)과 동일면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어수용용 오목부(47)의 끝단(47A)은 원심분리기(20)보다도 인큐베이터(21) 측에 위치하며, 원심분리기(20)의 배치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기공부(45)는 작업판(42)의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에 따라서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으로 띠모양으로 연장하며, 작업판(42)을 관통하는 복수의 대략 동일 지름의 구멍이 대략 균등하게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배기공부(45)는 작업판(42)의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공부(45)가 배양작업 및 보조작업의 방해가 되는 것이 없다. 여기서, 배기공부(45)는 작업판(42)에 구멍이 직접 마련되어 형성되어도 되고, 또, 펀칭메탈(punching metal)이나 망상의 판이 작업판(42)의 전후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부덕트(46B) 및 하부덕트(46A)는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배기공부(45)는 조작 에어리어(25)에 설치되는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조작 에어리어 측의 배기공부)와,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 설치되는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보조작업 에어리어 측의 배기공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에는 그 일부에 도어수용용 오목부(47)가 겹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수용용 오목부(47)와 겹치는 부분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세하게는 뒤쪽 가장자리 측의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는 경계부(S)의 근방에만 마련되어 있다. 앞쪽 가장자리 측의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에서는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는 경계부(S)로부터 인큐베이터(21) 측까지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 앞쪽 가장자리 측의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에서는, 도어수용용 오목부(47)에 따르는 부분에서는 구멍의 수가 다른 배기공부(45)보다도 적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는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의 양측에서 경계부(S)로부터 패스박스(22)(도 1)의 측까지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즉,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에서는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보다도 많은 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공부(45)에서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의 구멍의 총개구면적은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의 구멍의 총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보다도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의 측에 작업실(16) 내의 공기가 흐르기 쉽게 되어, 작업실(16) 내에서는, 공기는 상류 측의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하류 측의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른다. 즉, 작업실(16) 내의 기류는 배기공부(45)에 의해서 제어되어 있으며, 배기공부(45)는 기류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고, 작업실(16) 내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4에서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X)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용 블로어(13)에 의해서,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흡기챔버(33)로부터 작업실(16) 내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새로운 공기가 공급되고, 이 공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배기공부(45)로 빨아 들기도록 하여 아래쪽으로 흐른다.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서는 곧게 아래쪽으로 흘러, 전후의 각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로 흐른다. 조작 에어리어(25)에서는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 중 대부분이 글로브(19A, 19B)의 근방까지는 곧게 아래쪽으로 흐르고, 글로브(19A, 19B)의 아래쪽에서는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로 빨아 들여지도록 하여 작업판(42)의 근방에서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굴곡하여 흘러, 각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로 유입한다. 조작 에어리어(25)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는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로 유입한다. 그 후,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 및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로 유입한 공기는 하부덕트(46A) 및 상부덕트(46B)를 거쳐 배기용 블로어(14)로부터 배기된다.
이와 같이, 글로브박스(11)에서는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의 구멍의 총개구면적을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의 구멍의 총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공기가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르도록 했기 때문에,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서의 보조작업시에 진애가 발생했다고 해도 이 진애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서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으로 흐른다. 이 때문에, 조작 에어리어(25) 측의 배양작업이 행해지는 장소에 진애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 에어리어(25)에서는 글로브(19A, 19B)에 근방에 아래쪽으로 흐른 공기가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에 의해서 빨아 들여지고, 글로브(19A, 19B)의 아래쪽의 작업판(42)의 근방에서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굴곡하여 흐르기 때문에,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공기를 흘려 가능한 한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하면서, 작업판(42)의 근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굴곡시켜 진애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글로브(19A, 19B) 및 글로브(19C, 19D)를 각 작업자가 사용하여, 2인이 조작 에어리어(25)와 보조작업 에어리어(35)로 분담하여 동시에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좋고, 이 경우에,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서 기구 등의 포장을 개봉했다고 해도 포장에 기인하는 진애가 조작 에어리어(25)로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에어리어(25)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가 배기공부(45)의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에 의해서, 글로브(19A, 19B)의 근방에서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을 향하여 흘려지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작업실(16) 내에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하면서,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기체를 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서 개봉된 포장에 기인하는 진애는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르는 기류에 의해서,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로 흘러가기 때문에, 진애의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 진애가 세포의 조작 등의 배양작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 에어리어(25)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작업판(42)에 마련된 배기공부(45)에 의해서 공기의 흐름이 제어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작업판(42)의 근방에서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고,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공기를 흘려 작업실(16) 내에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하면서,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공기를 흘릴 수 있다. 또,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의 구멍의 총개구면적을 조작 에어리어(25) 측의 구멍의 총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의 부품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큐베이터(21)를 조작 에어리어(25) 측에 마련했기 때문에, 조작 에어리어(25)에서 조작한 세포를 인큐베이터(21)에 간단하게 출입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 인큐베이터(21) 내에 진애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적용한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실(16) 내는 조작 에어리어(25)와 보조작업 에어리어(35)로 구별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작업실(16) 내는 적어도 조작 에어리어(25)와 보조작업 에어리어(35)로 구별되고 있으면 되며, 예를 들면,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 인접하여, 기구 등을 보관하는 보관 에어리어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진애는 포장의 개봉에 기인하는 진애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패스박스(22)를 열었을 때에 침입한 진애라도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흡입구(46C)는 배기용 블로어(14)에 연결되는 상부덕트(46B)의 아래쪽 끝단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흡입구는 기체를 배기하는 수단에 연통하는 연통구이면 된다. 예를 들면, 흡입구는 아이솔레이터(10)의 외부에 마련된 배기 블로어 등의 배기수단에 연결되는 덕트와 배기공부(45)와의 사이의 연통구라도 된다.
또, 그 외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도어수용용 오목부(47)가 마련되지 않은 점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작업실(16)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조인트박스 도어(도시생략)는 가로열림으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26)의 측으로 회전하여 열리기 때문에, 작업판(42)에는 제1 실시형태의 도어수용용 오목부(47)가 마련되지 않는다. 작업판(42)은, 인큐베이터(21) 측으로 연장하는 조작 에어리어 측 작업면(55)을 가지고 있다. 조작 에어리어 측 작업면(55)은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작업판(42)과 동일면으로 형성되며, 조작 에어리어 측 작업면(55)에는 배기공부(45)가 마련되지 않는다. 조작 에어리어 측 작업면(55)의 끝단(55A)은 원심분리기(20)보다도 인큐베이터(21) 측에 위치하고 있다. 배양작업은 주로 조작 에어리어 측 작업면(55)상에서 행해진다.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는 작업판(42)상에서 경계부(S)의 근방에만 마련되어 있다. 또,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는 경계부(S)로부터 패스박스(22)(도 1)의 측까지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기공부(45)가 마련되지 않은 조작 에어리어 측 작업면(55)을 조작 에어리어(25)에 마련함으로써,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B)의 구멍의 총개구면적을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5A)의 구멍의 총개구면적보다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조작 에어리어(25)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로 공기를 흘리도록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공부(145)의 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점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의 작업실(16)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작업판(42)에 대신하여, 인큐베이터(21) 측으로부터 패스박스(22) 측으로 연장하는 작업판(142)(하면)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조인트박스 도어(도시생략)는 가로열림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업판(142)의 상면은 전면(全面)에 걸쳐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기공부(145)는 작업판(142)의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에 따라서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며, 띠모양으로 형성된 배기공부(145)의 폭은 인큐베이터(21) 측으로부터 패스박스(22) 측으로 감에 따라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면시에서는, 각 배기공부(145)는 패스박스(22) 측으로부터 인큐베이터(21) 측에 걸쳐 끝이 가늘어지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조작 에어리어(25) 측에 형성된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145A)의 구멍의 총개구면적보다도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형성된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145B)의 구멍의 총개구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기공부(145)의 면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145B)의 구멍의 총개구면적을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145A)의 구멍의 총개구면적보다도 크게 하여, 조작 에어리어(25)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로 공기를 흘리도록 기류를 제어하여도 된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4 실시형태에서 상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하부덕트(46A)에 연속하는 상부덕트(146B) 및 그 아래쪽 끝단의 흡입구(146C)의 형상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상부덕트(46B) 및 흡입구(46C)와 차이가 있다.
도 7은 제4 실시형태의 작업실(16)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작업판(42)에 대신하여, 인큐베이터(21) 측으로부터 패스박스(22) 측으로 연장하는 작업판(242)(하면)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조인트박스 도어(도시생략)는 가로열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업판(242)의 상면은 전면에 걸쳐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기공부(245)는 작업판(242)의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에 따라서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각각 연장하며, 띠모양으로 형성된 배기공부(245)의 폭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7)의 배면(41B)과 내벽판(40)의 배면판(43)(도 2)과의 사이의 상부덕트(146B) 및 그 흡입구(146C)가 인큐베이터(21) 측으로부터 패스박스(22) 측으로 감에 따라서 글로브박스(11)의 깊이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실(16) 내의 공기는 패스박스(22) 측으로 흐르기 쉬워져, 도 7에 화살표(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공기가 흐른다. 이와 같이, 상부덕트(146B)의 크기를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갈수록 크게 함으로써,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르도록 기류를 제어하여도 된다.
[제5 실시형태]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하부덕트(46A)에 연속하는 상부덕트(246B) 및 그 아래쪽 끝단의 흡입구(246C)의 형상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상부덕트(46B) 및 흡입구(46C)와 차이가 있다.
도 8은 제5 실시형태의 작업실(16)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작업판(42)에 대신하여, 인큐베이터(21) 측으로부터 패스박스(22) 측으로 연장하는 작업판(24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조인트박스 도어(도시생략)는 가로열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업판(242) 상면은 전면에 걸쳐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기공부(245)는 작업판(242)의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에 따라서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각각 연장하며, 띠모양으로 형성된 배기공부(245)의 폭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7)의 배면(41B)과 내벽판(40)의 배면판(43)(도 2)과의 사이의 상부덕트(246B) 및 그 흡입구(246C)가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실(16) 내의 공기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르기 쉬워져, 도 8에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공기가 흐른다. 이와 같이, 배면(41B) 측의 배기통로(246)를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치우쳐 배치함으로써,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르도록 기류를 제어하여도 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서는, 상부덕트(246B)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만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부덕트(246B)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조작 에어리어(25)에도 상부덕트(246B)의 일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6 실시형태]
이하, 도 9 ~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6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흡기용 블로어(13)가 조작 에어리어(25) 측에 설치되고, 배기용 블로어(14)가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설치된 점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다.
도 9는 제6 실시형태의 아이솔레이터(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아이솔레이터(100)의 측면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0은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글로브박스(11)의 일단 측에는 조인트박스(23)를 통하여 인큐베이터(21)가 설치되고, 조인트박스(23)에는 디스플레이(26)의 측으로 회전하여 열리는 가로열림의 조인트박스 도어(12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터(100)는 글로브박스(11)를 가지고, 흡기용 블로어(13)와 배기용 블로어(14)와의 사이는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된 구획부(132)에 의해서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구획부(132)는 경계부(S)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흡기용 블로어(13)에는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일측으로부터 구획부(132)까지 연장하는 흡기챔버(133) 및 흡기필터(134)가 접속되어 있다. 흡기필터(134)는 흡기챔버(133)와 작업실(16)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배기용 블로어(14)에는 구획부(132)로부터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타단까지 연장하는 배기챔버(136) 및 배기필터(137)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필터(137)는 배기챔버(136)와 작업실(16)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아이솔레이터(100)에서는 조작 에어리어(25) 측의 위쪽의 흡기용 블로어(13)로부터 작업실(16) 내로 공기가 공급되어,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위쪽의 배기용 블로어(14)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또, 흡기필터(134) 및 배기필터(137)는 아이솔레이터(100)의 전면 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서는 흡기용 블로어(13) 및 배기용 블로어(14)를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으로 가로로 늘어서 마련하고, 흡기필터(134) 및 배기필터(137)를 아이솔레이터(100)의 전면 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성이 좋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11) 내에는 글로브박스(11) 내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하고, 글로브박스(11) 내를 구획하는 내벽판(140)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벽판(140)에 의해서, 글로브박스(11) 내의 하부 및 배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내벽판(140)은 케이스(17)의 저면(41A)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작업실(16)의 저면부를 구성하는 작업판(342)(하면)과, 케이스(17)의 배면(41B)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작업실(16)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판(143)과, 배면판(143)의 상단과 작업실(16) 상면을 연결하는 구획판(14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작업실(16)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판(342)은 저면(41A)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에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배기공부(345)를 각각 가지고 있다. 배면판(143)은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측에 치우쳐서 설치되고, 작업판(342)의 뒤쪽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배면(41B)과 평행하게 위쪽으로 연장해 있다. 구획판(144)은 배면판(143) 위쪽 가장자리로부터 전면 측으로 경사져 연장하여, 작업실(16)의 상면의 앞쪽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구획판(144)은 배기필터(137)를 아래쪽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업판(342), 배면판(143) 및 구획판(144)과, 케이스(17)의 저면(41A) 및 배면(41B)과의 사이의 공간은 배기통로(346)로서 기능하고, 작업실(16)로부터의 배기는 배기통로(346)를 통과하여 배기용 블로어(14)로 흐른다. 배기통로(346)는 작업판(342)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하부덕트(46A)와, 하부덕트(46A)에 연속하고, 케이스(17)의 배면(41B)과 배면판(143)과의 사이를 위쪽으로 연장하여 배기필터(137)에 연통하는 상부덕트(346B)(배기덕트)를 가지고 있다. 상부덕트(346B)는 하부덕트(46A) 및 배기공부(345)만을 통하여 작업실(16)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상부덕트(346B)의 아래쪽 끝단이 상부덕트(346B)의 흡입구(346C)가 된다.
또, 흡기필터(134)는 상부덕트(346B)에 의해서 덮이지 않고, 흡기용 블로어(13)는 흡기필터(134)를 통하여 작업실(16) 내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배기용 블로어(14)에 접속되어 있는 상부덕트(346B) 및 그 아래쪽 끝단의 흡입구(346C)가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측에 치우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실(16) 내의 공기는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른다. 즉, 작업실(16) 내의 기류는 상부덕트(346B)의 위치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고, 상부덕트(346B)는 기류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배기공부(345)는 복수의 대략 동일 지름의 구멍이 대략 균등하게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형성되며, 작업실(16)의 전폭에 걸쳐 대략 동일 폭을 가지는 띠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배기공부(345)는 조작 에어리어(25)에 마련되는 조작 측 배기공부(345A)와,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 마련되는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345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배기공부(345)는 작업실(16)의 전폭에 걸쳐 대략 동일 폭이기 때문에, 조작 측 배기공부(345A)의 구멍의 총개구면적은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345B)의 구멍의 총개구면적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총개구면적이 동일하다는 것은 조작 측 배기공부(345A) 및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345B)의 총개구면적의 차이가 작업실(16)의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9 ~ 도 11을 참조하여, 작업실(16) 내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9 ~ 11에서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X)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용 블로어(13)에 의해서, 흡기챔버(133)로부터 흡기필터(134)를 통하여 작업실(16)의 조작 에어리어(25)의 상부에 새로운 공기가 공급되고, 이 공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배기공부(345)에 빨아 들여지도록 하여 아래쪽으로 흐른다.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측 배기공부(345A)로 빨아 들여지도록 하여, 글로브(19A, 19B)의 근방까지 곧게 아래쪽으로 흐르고, 일부의 공기는 글로브(19A, 19B)의 아래쪽에서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345B)로 빨아 들여지도록 하여 작업판(342)의 근방에서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굴곡하여 흘러,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345B)로 유입한다. 그리고, 나머지의 공기는 그대로 아래쪽으로 흘러 조작 측 배기공부(345A)로 유입한다. 그 후,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345B) 및 조작 측 배기공부(345A)로 유입한 공기는 하부덕트(46A) 및 흡입구(346C)로부터 상부덕트(346B)를 거쳐 배기용 블로어(14)로부터 배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제6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실(16)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통로(346)의 상부덕트(346B) 및 그 아래쪽 끝단의 흡입구(346C)를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치우쳐 배치함으로써, 공기가 상부덕트(346B) 측으로 흐르기 때문에,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공기를 흘릴 수 있어, 진애의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 에어리어(25) 측의 작업판(342)에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345B)와 총개구면적이 동일한 조작 측 배기공부(345A)를 구비함으로써, 조작 에어리어(25)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배기공부(345)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조작 에어리어(25)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양쪽에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흐르는 기류를 형성하여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 상부덕트(346B)를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마련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기류를 제어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공기를 흘릴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실(16)의 전폭에 걸쳐 배기공부(345)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배기공부(345)는 적어도 작업실(342)의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에어리어(25) 측의 작업판(342)에 조작 측 배기공부(345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조작 에어리어 측 작업면(155)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흡기용 블로어(13)에 의해 공급되어 작업실(16) 내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치우쳐서 배치된 상부덕트(346B)로 빨아 들여지고, 도 12에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345B)로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공기를 흘릴 수 있어, 진애의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서는 조인트박스 도어(123A)는 가로열림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조인트박스 도어(123A)를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작업실(16) 측에 아래쪽으로 넘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조인트박스 도어(123A)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작업판(342)에 마련하고, 조인트박스 도어(123A)를 작업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이하, 도 13 ~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7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7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어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배기용 블로어(14)가 작업실(16)의 아래쪽에 설치된 점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다.
도 13은 제7 실시형태의 아이솔레이터(2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아이솔레이터(200)의 측면 단면도이다.
글로브박스(11)의 일단 측에는 조인트박스(23)를 통하여 인큐베이터(21)가 설치되고, 조인트박스(23)에는 디스플레이(26)의 측으로 회전하여 열리는 가로열림의 조인트박스 도어(12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터(200)는 글로브박스(11)를 가지고, 흡기용 블로어(13)는 글로브박스(11)의 위쪽에 설치되며, 배기용 블로어(14)는 글로브박스(1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흡기용 블로어(13)는 흡기챔버(233) 및 흡기필터(234)를 통하여 작업실(16)에 접속되어 있다. 흡기용 블로어(13), 흡기챔버(233) 및 흡기필터(234)는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며, 경계부(S)보다도 인큐베이터(21)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배기용 블로어(14)는 배기챔버(236) 및 배기필터(237)(흡입구)를 통하여 케이스(17)의 저면(41A)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배기용 블로어(14), 배기챔버(236) 및 배기필터(237)는 글로브박스(11)의 축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경계부(S)보다도 패스박스(22) 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아이솔레이터(200)에서는 조작 에어리어(25) 측의 위쪽의 흡기용 블로어(13)로부터 작업실(16) 내에 공기가 공급되고,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아래쪽의 배기용 블로어(14)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또, 흡기필터(234) 및 배기필터(237)는 아이솔레이터(200)의 전면(前面) 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좋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11) 내에는 글로브박스(11)의 하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작업판(442)(하면)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판(442)은 케이스(17)의 저면(41A)과 간격을 두고 저부(41A)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며, 작업실(16)의 저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 15는 작업실(16) 내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판(442)은 저면(41A)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앞쪽 가장자리 및 뒤쪽 가장자리에 글로브박스(1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배기공부(445)를 각각 가지고 있다.
작업판(442)의 아래쪽에는 배기통로(44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기통로(446)는 저면(41A)과 작업판(442)과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배기통로(446)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설치된 배기필터(237)를 통하여 배기용 블로어(14)에 접속되어 있다. 즉, 배기필터(237)는 글로브박스(11)에서의 배기용 블로어(14)의 흡입구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배기공부(445)는 복수의 대략 동일 지름의 구멍이 대략 균등하게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형성되며, 작업실(16)의 전폭에 걸쳐 대략 동일 폭을 가지는 띠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배기공부(445)는 조작 에어리어(25)에 마련되는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A)와,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 마련되는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배기공부(445)는 작업실(16)의 전폭에 걸체 대략 동일 폭이기 때문에,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A)의 구멍의 총개구면적은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B)의 구멍의 총개구면적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총개구면적이 동일하다는 것은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A)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B)의 총개구면적의 차이가 작업실(16)의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로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배기용 블로어(14)가 글로브박스(11)의 아래쪽에서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수반하여 흡입구로서의 배기필터(237)가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배기통로(446)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실(16) 내의 공기는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른다. 즉, 작업실(16) 내의 기류는 배기필터(237)의 위치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고, 배기필터(237)는 기류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3 ~ 도 15를 참조하여, 작업실(16) 내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3 ~ 15에서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X)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용 블로어(13)에 의해서, 흡기챔버(233)로부터 흡기필터(234)를 통하여 작업실(16)의 조작 에어리어(25)의 상부에 새로운 공기가 공급되고, 이 공기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배기공부(445)에 빨아 들여지도록 하여 아래쪽으로 흐른다.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는,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A)로 빨아 들여지도록 하여, 글로브(19A, 19B)의 근방까지 곧게 아래쪽으로 흐르고, 일부의 공기는 글로브(19A, 19B)의 아래쪽에서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B)로 빨아 들여지도록 하여 작업판(442)의 근방에서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굴곡하여 흘러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B)로 유입한다. 그리고, 나머지의 공기는 그대로 아래쪽으로 흘러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A)로 유입한다. 그 후,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B) 및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A)로 유입한 공기는 배기통로(446)을 거쳐 배기필터(237) 및 배기챔버(236)를 통과하여 배기용 블로어(14)로부터 배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제7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의 작업판(442)의 아래쪽에 설치한 배기용 블로어(14)의 흡입구로서의 배기필터(237)를 향하여 작업실(16) 내의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배기용 블로어(14)의 배치위치에 의해서,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흐르도록 기류를 제어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작업실(16) 내의 기류를 제어하여, 진애의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A)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B)의 개구면적이 동일하고, 조작 에어리어(25) 측 및 보조작업 에어리어(35)의 양쪽으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양 에어리어에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흐르는 기류를 형성하여 균일하게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실(16)의 전폭에 걸쳐 배기공부(445)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배기공부(445)는 적어도 작업판(442)의 보조작업 에어리어(35)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에어리어(25) 측의 작업판(442)에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조작 에어리어 측 작업면(255)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흡기용 블로어(13)에 의해 공급되어 작업실(16) 내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는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에 배치된 배기용 블로어(14)의 배기필터(237)로 빨아 들여져, 도 16에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445B)로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부터 보조작업 에어리어(35) 측으로 공기를 흘릴 수 있어, 진애의 조작 에어리어(25) 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형태에서는 조인트박스 도어(123A)는 가로열림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조인트박스 도어(123A)를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작업실(16) 측에 아래쪽으로 넘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조인트박스 도어(123A)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작업판(442)에 마련하고, 조인트박스 도어(123A)를 작업대로서 이용할 수 있다.
10, 100, 200 아이솔레이터 14 배기용 블로어
16 작업실 19A, 198, 19C, 19D 글로브
21 인큐베이터(배양실) 25 조작 에어리어
35 보조작업 에어리어 42, 142, 242, 342, 442 작업판(하면)
45, 145, 245, 345, 445 배기공부(기류제어수단)
45A, 145A 조작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
45B, 145B 보조작업 에어리어 측 배기공부
46B, 146B, 246B 상부덕트(배기덕트)
46C, 146C, 246C, 346C 흡입구
237 배기필터(흡입구) 345A 조작 측 배기공부
345B 보조작업 측 배기공부 346B 상부덕트(배기덕트)

Claims (8)

  1. 작업자가 손을 넣어 세포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가로로 늘어서 배열된 복수의 글로브(glove)를 가지는 작업실로서, 세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에어리어와, 세포를 조작하기 위해 이용되는 포장된 보조기구를 개봉하기 위한 보조작업 에어리어를 적어도 가지는 작업실과,
    당해 작업실 내의 기체가 상측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당해 기체를 작업실 내로 공급하는 기체공급 유니트와,
    상기 글로브 근방에서 상기 아래쪽 방향으로 흐르는 기체가 상기 조작 에어리어로부터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로 흐르도록 당해 기체의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제어 유니트를 가지고, 이 기류제어 유니트는 기체가 통과하는 개구 에어리어를 가지며, 적어도 보조작업 에어리어의 하측에 마련되어 당해 보조작업 에어리어 내의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공(排氣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부는 상기 조작 에어리어 및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의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의 상기 배기공부의 상기 개구 에어리어는 상기 조작 에어리어 측의 상기 배기공부의 상기 개구 에어리어에 대해 총개구면적이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부로부터의 기체를 배기하는 보조작업 측에 배치된 흡입구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가 상기 배기공부로부터의 기체를 배기하는 배기덕트의 흡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부로부터의 기체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블로어를 더 가지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배기블로어의 흡입구이며, 당해 배기블로어는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의 하측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부는 상기 조작 에어리어 및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의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보조작업 에어리어의 상기 배기공부의 상기 개구 에어리어는 상기 조작 에어리어 측의 상기 배기공부의 상기 개구 에어리어에 대해 총개구면적이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부는 상기 작업실의 폭방향으로 연장하고, 복수 개의 구멍을 가지는 띠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에어리어에 인접하여 배치된 세포배양을 위한 배양실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KR1020110017069A 2010-02-26 2011-02-25 아이솔레이터 KR101240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3551A JP5399297B2 (ja) 2010-02-26 2010-02-26 アイソレータ
JPJP-P-2010-043551 2010-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71A true KR20110098671A (ko) 2011-09-01
KR101240831B1 KR101240831B1 (ko) 2013-03-07

Family

ID=4416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069A KR101240831B1 (ko) 2010-02-26 2011-02-25 아이솔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96010B2 (ko)
EP (1) EP2363255B1 (ko)
JP (1) JP5399297B2 (ko)
KR (1) KR101240831B1 (ko)
CN (1) CN1021887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3862A (zh) * 2017-09-07 2018-01-19 重庆开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活菌培养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4862A (ja) * 2011-09-30 2013-04-25 Panasonic Healthcare Co Ltd アイソレータ
CN102500434A (zh) * 2011-11-08 2012-06-20 上海东富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菌检测工艺隔离器
WO2013125374A1 (ja) 2012-02-21 2013-08-29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
CN103507084A (zh) * 2012-06-25 2014-01-15 威格高纯气体设备科技(苏州工业园区)有限公司 一种手套箱除尘装置
EP2979762A4 (en) * 2013-03-29 2016-04-06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ISOLATOR SYSTEM
JP6028088B2 (ja) 2013-03-29 2016-11-16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JP5869737B2 (ja) * 2013-09-30 2016-02-24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用チャンバー
JP5903532B2 (ja) 2013-09-30 2016-04-13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用チャンバー
WO2015046410A1 (ja) 2013-09-30 2015-04-02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JP6386228B2 (ja) * 2014-01-27 2018-09-05 澁谷工業株式会社 無菌作業システム
JP6465268B2 (ja) * 2014-06-30 2019-02-06 澁谷工業株式会社 培養装置
JP6402853B2 (ja) * 2014-07-29 2018-10-10 澁谷工業株式会社 遠心機
JP6440432B2 (ja) 2014-09-26 2018-12-19 公立大学法人横浜市立大学 細胞培養システム
JP6402028B2 (ja) * 2014-12-25 2018-10-10 澁谷工業株式会社 無菌作業システムおよび無菌作業システムにおける物品搬入方法
JP6868552B2 (ja) * 2015-03-18 2021-05-1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培養細胞製品の製造装置
JP2016198035A (ja) * 2015-04-09 2016-12-01 澁谷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システム
JP2018020964A (ja) * 2016-08-01 2018-02-08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治療剤の調製方法
CN106514721B (zh) * 2016-12-26 2018-11-13 河南华瑞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手套箱过渡舱
SG11201907406WA (en) * 2017-02-27 2019-09-27 Koji Tanabe Cell processing system and cell processing device
WO2019092813A1 (ja) * 2017-11-08 2019-05-16 株式会社Ihi 細胞培養装置用接続ユニット、インキュベータ装置及び細胞培養装置
JP6975373B2 (ja) * 2017-12-27 2021-12-01 澁谷工業株式会社 無菌作業システム
JP6530874B1 (ja) * 2019-03-20 2019-06-12 剛士 田邊 細胞処理システム及び細胞処理装置
JP6530577B1 (ja) * 2019-03-20 2019-06-12 剛士 田邊 細胞処理システム及び細胞処理装置
JP7090337B2 (ja) * 2019-03-20 2022-06-24 アイ ピー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細胞処理システム及び細胞処理装置
FR3104474B1 (fr) * 2019-12-17 2021-12-24 Jce Biotechnology Isolateur
CN111774100B (zh) * 2020-07-10 2022-02-08 无锡市康华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监测用的生物安全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1776A (en) * 1958-02-19 1962-02-20 Barber Colman Co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lating laboratory fume hoods
JPS559119Y2 (ko) * 1976-09-10 1980-02-28
US4262091A (en) * 1979-04-27 1981-04-14 Anaerobe Systems Preparation of contaminant free containers of culture medium
JPS5647741U (ko) * 1979-09-19 1981-04-28
JP3038052B2 (ja) * 1991-07-05 2000-05-08 株式会社大氣社 気圧勾配制御装置
JPH09168992A (ja) 1995-12-19 1997-06-30 Toshiba Corp グローブボックス
US5851143A (en) * 1996-05-10 1998-12-22 Thermal Industries Disk drive test chamber
US5792435A (en) 1997-04-08 1998-08-11 Steris Corporation Vapor phase decontaminant isolator apparatus with integral vapor phase decontaminant generator system
US5997399A (en) * 1997-05-09 1999-12-07 La Calhene, Inc. Isolation chamber air curtain apparatus
JP2001129414A (ja) * 1999-11-08 2001-05-15 Sanyo Electric Co Ltd 安全キャビネット
CN1362600A (zh) * 2000-12-27 2002-08-07 株式会社三协精机制作所 清洁工作舱和清洁通道
TWI289645B (en) * 2003-07-29 2007-11-11 Alps Electric Co Ltd Clean bench
GB2407048B (en) * 2003-10-15 2007-07-11 Biotrace Internat Plc Laboratory apparatus
JP2006263688A (ja) * 2005-03-25 2006-10-05 Seiko Epson Corp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クリーンブース
DE202005005902U1 (de) * 2005-04-07 2005-06-16 M + W Zander Facility Engineering Gmbh Gerät zur Handhabung und/oder Behandlung von Erzeugnissen
JP4516519B2 (ja) * 2005-12-15 2010-08-0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安全キャビネット
KR100789181B1 (ko) * 2006-06-20 2008-01-02 (주)엠오텍 Hid 램프 제작용 글로브 박스구조
JP2008149290A (ja) * 2006-12-20 2008-07-03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安全キャビネット
CN101646466A (zh) * 2007-03-28 2010-02-10 三洋电机株式会社 无菌环境维持装置
JP5209354B2 (ja) * 2008-03-24 2013-06-12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
JP4911632B2 (ja) * 2008-03-24 2012-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
CN102065909B (zh) * 2008-08-20 2014-01-29 松下健康医疗器械株式会社 隔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3862A (zh) * 2017-09-07 2018-01-19 重庆开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活菌培养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831B1 (ko) 2013-03-07
US20110212513A1 (en) 2011-09-01
JP5399297B2 (ja) 2014-01-29
CN102188731A (zh) 2011-09-21
EP2363255B1 (en) 2020-04-08
EP2363255A1 (en) 2011-09-07
CN102188731B (zh) 2013-11-13
US8796010B2 (en) 2014-08-05
JP2011177091A (ja)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831B1 (ko) 아이솔레이터
JP2014198079A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US9895689B2 (en) Aseptic processing workstation
CN101987205A (zh) 灭菌箱
JP6323859B1 (ja) 陰陽圧両用作業フード
US20110189649A1 (en) Laboratory Apparatus for a Controlled Environment
JP5903532B2 (ja) 作業用チャンバー
EP3406978B1 (en) Clean air device
JP5421203B2 (ja) 細胞培養施設
JP6636626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およびアイソレータ
JP2005334771A (ja) 清浄作業台
CN102500434A (zh) 一种无菌检测工艺隔离器
US10072861B2 (en) Clean work device
CN203440380U (zh) 一体化零泄漏气体正负压兼容微生物隔离操作柜
JP2007111596A (ja) 遠心分離機を組み込んだ安全キャビネット及びバイオクリーンベンチ
IT201800000749A1 (it) Impianto compatto a contaminazione controllata per il trattamento di linee cellulari
CN103295658A (zh) 热室
US20180272329A1 (en) Cell treatment apparatus
EP2966162B1 (en) Work chamber
JP7084754B2 (ja) インキュベータ格納装置
JP2012063056A (ja) パスボックス及びこのパスボックスを備えたアイソレーター装置
JP6919859B2 (ja) アイソレータ
KR102571571B1 (ko) 버섯 종균 접종장치
US11633730B2 (en) Cell sorter in a sealed system under controlled atmosphere
ITMI20101157A1 (it) Cappa a flusso laminare per laboratori di ricer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