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145A - 산업용 와이프 - Google Patents

산업용 와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145A
KR20110095145A KR1020110011451A KR20110011451A KR20110095145A KR 20110095145 A KR20110095145 A KR 20110095145A KR 1020110011451 A KR1020110011451 A KR 1020110011451A KR 20110011451 A KR20110011451 A KR 20110011451A KR 20110095145 A KR20110095145 A KR 20110095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heat
thermal fusion
d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928B1 (ko
Inventor
도모노리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66Natural fib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H1/425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흡액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면서, 린트 발생량이 적은 산업용 와이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는, 코튼 섬유와 합성 섬유를 혼합 상태에서 또한 5 : 5 ∼ 7 : 3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단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 섬유로서, 다른 섬유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비열융착 섬유와, 상기 코튼 섬유 및 상기 비열융착 섬유 중 적어도 일방과 열융착된 부분 및 다른 섬유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복합형 열융착 섬유를, 4 : 6 ∼ 6 : 4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와이프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산업용 와이프{INDUSTRIAL WIPE}
본 발명은, 각종 산업에 있어서의 실험실, 제조실, 실험 기구, 제조 기구, 제품, 부품 등에 부착된 먼지·티끌·수분·유분을 닦아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산업용 와이프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와이프의 닦아내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다양한 것이 있는데, 특히 영향이 큰 주요 인자로서 흡액성 및 유연성이 있다. 흡액성이 낮으면 대상물에 부착된 수분이나 유분을 다 닦아내지 못하고 남기기 쉬워지고, 유연성이 부족하면 대상물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쉬워, 다 닦아내지 못하고 잔류물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흡액성 및 유연성이 매우 우수한 산업용 와이프로서 종래 코튼 100 % 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산업용 와이프에 있어서는 린트(lint) (섬유 분말) 가 적을 것도 요구되고 있어, 코튼 100 % 의 부직포로는 그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
린트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술로는, 복수의 기재 시트를 적층시키고 엠보스를 부여하거나, 열융착 섬유를 사용하여 섬유 상호를 결합시키거나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4 참조), 유연성이 저하되기 쉽거나, 제조 비용이 많아지거나 하는 문제점도 있어, 그 점에서는 일회용 제품인 산업 와이프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해결책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606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459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167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388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4905호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흡액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면서, 린트 발생량이 적은 산업용 와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하기와 같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
코튼 섬유와 합성 섬유를 혼합 상태에서 또한 5 : 5 ∼ 7 : 3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단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 섬유로서, 다른 섬유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비열융착 섬유와, 상기 코튼 섬유 및 상기 비열융착 섬유 중 적어도 일방과 열융착된 부분 및 다른 섬유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복합형 열융착 섬유를, 4 : 6 ∼ 6 : 4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와이프
(작용 효과)
본 발명에서는, 합성 섬유를 혼합하여, 린트 발생원인 코튼 섬유를 감량하는 것, 및 합성 섬유의 일부로서 복합형 열융착 섬유를 함유시키는 것의 상승 작용에 의해 린트 발생량이 격감된다. 게다가, 코튼 섬유를 5 할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합성 섬유가 소수성이어도, 흡수성이 거의 저하되지 않고, 물론 흡유성도 저하되지 않는다. 또, 열융착 섬유만으로 린트 발생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열융착 섬유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유연성의 저하가 적다. 그 결과, 코튼의 좋은 점을 충분히 남기면서 린트 발생량이 억제된 와이프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튼 섬유란 천연 섬유를 의미하고, 재생 섬유나 반 (半) 합성 섬유와 같은 화학 섬유는 포함하지 않는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
상기 코튼 섬유는, 섬도 1.38 ∼ 1.52 dtex 또한 섬유 길이 20 ∼ 30 ㎜ 의 것이고,
상기 비열융착 섬유는, 섬도 1.38 ∼ 1.52 dtex 또한 섬유 길이 30 ∼ 40 ㎜ 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이고,
상기 열융착 섬유는, 섬도 2.15 ∼ 2.41 dtex, 섬유 길이 34 ∼ 42 ㎜, 코어가 폴리에스테르, 또한 시스가 코어보다 저융점인 폴리에틸렌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코어 시스 구조의 복합형 열융착 단섬유인 청구항 1 에 기재된 산업용 와이프.
(작용 효과)
이와 같은 섬도 및 섬유 길이의 코튼 섬유, 비열융착 섬유 및 열융착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균질한 혼합, 교락이 가능해져, 흡액성, 유연성 및 린트 억제 모두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 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
평량 (坪量) 이 25 ∼ 35 g/㎡, 및 두께가 300 ∼ 320 ㎛ 인 청구항 2 에 기재된 산업용 와이프.
(작용 효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평량 및 두께의 와이프에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면서 린트 발생량이 매우 적어지는 등의 이점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산업용 와이프는, 코튼 섬유와 합성 섬유를 혼합 상태에서 또한 5 : 5 ∼ 7 : 3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단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코튼 섬유로는, 천연 섬유인 한 (요컨대 재생 섬유나 반합성 섬유와 같은 화학 섬유는 포함하지 않는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섬도는 1.38 ∼ 1.52 dtex, 특히 1.42 ∼ 1.48 dtex 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가 지나치게 가늘면, 섬유의 절단에 의해 린트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지나치게 굵으면 유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코튼 섬유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구성 섬유와의 교락성이 양호해진다는 관점에서 20 ∼ 30 ㎜, 특히 25 ∼ 3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튼 섬유의 함유율은 중량비 (코튼 섬유 : 합성 섬유) 로 5 : 5 ∼ 7 : 3 이 되는데, 특히 6 : 4 ∼ 7 :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튼 섬유의 혼합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흡액성, 유연성이 부족해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린트 발생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강도도 약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코튼 섬유에는 탈지된 것과 미탈지된 것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성의 관점에서는 탈지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업용 와이프에 있어서의 합성 섬유로는, 다른 섬유와 열융착되지 않은 비열융착 섬유와, 코튼 섬유 및 비열융착 섬유 중 적어도 일방과 열융착되는 부분 및 다른 섬유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복합형 열융착 섬유를, 4 : 6 ∼ 6 : 4 의 중량비로 함유한다.
비열융착 섬유에 사용되는 폴리머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중합체,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아크릴니트릴계 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사슬형 올레핀 중합체나, 시클로올레핀계 중합체, 시클로올레핀계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물 및 기름과의 친화력이 양호하기 때문에 액체의 함침이 용이하고, 습윤시에는 매우 부드러운 질감을 갖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나, 탄성률이 높고, 부직포 시트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성도 양호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에 사용되는 폴리머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다른 모노머, 예를 들어 에틸렌 등의 α-올레핀이나 카르복실산기, 에스테르기, 술폰산기, 에틸렌기, 실란기, 실란올기, 아민기, 암모늄기 등의 관능기 중 어느 하나 또는 2 개 이상 갖는 모노머와 공중합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또 그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카르복실산비닐계 중합체의 비누화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는데, 이 경우의 비누화도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통상적으로 비누화도 85 ∼ 99.9 몰%, 바람직하게는 96 ∼ 99.9 몰% 의 것이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프탈산, α,β-(4-카르복시페녹시)에탄, 4,4'-디카르복시디페닐,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디올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합성되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락트산 등의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구성 단위의 80 중량%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 또는,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비열융착 섬유로는, 일반적인 원형 단면 섬유 외에, 이형 단면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비열융착 섬유로는, 단성분 섬유 외에, 열처리에 의해 융착되지 않는 부분도 포함하는 2 종류 이상의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코어 시스형,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할섬 (割纖) 형 등의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비열융착 섬유는 친수성 섬유여도 되고 소수성 섬유여도 되며, 친수성 섬유인 경우에는 원료 폴리머 자체가 친수성을 갖는 것 외에, 친수화제를 도포한 것, 친수성 수지를 원료에 혼련한 것, 친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갖는 복합 섬유로 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비열융착 섬유의 섬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38 ∼ 1.52 dtex, 특히 1.42 ∼ 1.48 dtex 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가 지나치게 가늘면, 섬유의 절단에 의해 린트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지나치게 굵으면 유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비열융착 섬유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구성 섬유와의 교락성이 양호해진다는 관점에서 30 ∼ 40 ㎜, 특히 38 ∼ 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합형 열융착 섬유로는, 열처리에 의해 융착되지 않는 부분도 포함하는 2 종류 이상의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를 사용한다. 단성분 섬유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적은 열융착 성분으로 충분한 린트 억제 효과, 섬유 결합 및 강도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복합 구조로는, 코어 시스형,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할섬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융착성이 양호한 점에서 코어 시스형이 바람직하다. 융착 성분과 융착되지 않는 부분의 융점차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융착 섬유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6 나일론/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6 나일론/66 나일론, 고밀도 폴리에스테르/저밀도 폴리에스테르 등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열융착 섬유로는, 코어가 폴리에스테르, 또한 시스가 코어보다 저융점인 폴리에틸렌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코어 시스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 중의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은, 중량비 (비열융착 섬유 : 열융착 섬유) 로 4 : 6 ∼ 6 : 4 가 되는데, 특히 4.5 : 5.5 ∼ 5.5 : 4.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한 섬유 결합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린트 억제가 불충분해짐과 함께 강도도 저하되고, 지나치게 많으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코튼을 사용하는 것의 의의가 약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산업용 와이프의 제법으로는, 공지된 부직포 제조 방법을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섬유 웨브의 형성 방법으로는, 카드법, 에어레이법, 스펀본드법 등의 건식법이나 습식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섬유 웨브는, 랜덤 웨브, 세미랜덤 웨브, 패럴렐 웨브, 크로스 랩 웨브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코튼 섬유 및 합성 섬유 (비열융착 섬유 및 열융착 섬유) 를 균일하게 혼합한 원료를 사용하여, 카드법 혹은 에어레이법 등에 의해 웨브를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웨브의 교락 방법으로는, 스펀레이스법, 니들 펀치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린트 발생이 적고, 린트를 씻어내는 효과도 있는 점에서 스펀레이스법이 바람직하다. 스펀레이스법을 사용하는 경우, 오리피스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을 사용하여, 부직포 전체에 걸쳐 주상 수류 (柱狀 水流) 를 분사하여 섬유끼리의 3 차원적인 교락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처리 조건은 적절히 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평량이 25 ∼ 35 g/㎡ 정도인 부직포일 때에는, 구멍 직경 0.05 ∼ 0.5 ㎜ 의 오리피스가 0.3 ∼ 1.5 ㎜ 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웨브의 상방 20 ∼ 80 ㎜ 의 높이에 배치된 노즐로부터, 수압 2 ∼ 50 ㎫, 특히 5 ∼ 50 ㎫ 의 주상 수류를 섬유 웨브의 표리 양면측으로부터 각각 1 ∼ 4 회씩 분사하면 된다.
수류에 의해 교락시킨 후에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시킨다. 이 건조시에 또는 그 후, 섬유 웨브는 열융착 섬유를 융착시키기 위해, 열융착 섬유에 있어서의 열융착 부분만이 용융되는 온도 (요컨대 열융착 부분 (성분) 의 융점 이상, 비열융착 부분 (성분) 의 융점 이하의 온도) 에서 열처리된다. 열처리의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열풍 처리, 열 캘린더 처리, 열 엠보스 처리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열융착 섬유가 균일하게 용융된다는 관점에서, 특히 열풍 처리 또는 열 캘린더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융착 처리 조건은 적절히 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열융착 섬유가 전술한 섬도, 섬유 길이의 범위의 폴리에스테르 (코어)/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시스) 의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인 경우, 예를 들어 온도 120 ∼ 140 ℃ 의 열풍 처리를 60 ∼ 70 초 정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업용 와이프의 평량은, 25 g/㎡ ∼ 35 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보액성,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지나치게 두꺼워져 쥐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사용 용이성의 관점에서 두께는 300 ∼ 32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업용 와이프에 있어서의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건조 인장 강도는 종방향 1500 ∼ 3000 cN/25 ㎜, 횡방향 600 ∼ 900 cN/25 ㎜ 정도, 특히 종방향 2300 ∼ 3000 cN/25 ㎜, 횡방향 700 ∼ 900 cN/2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습윤 인장 강도는 종방향 1500 ∼ 3000 cN/25 ㎜ , 횡방향 500 ∼ 800 cN/25 ㎜ 정도, 특히 종방향 2300 ∼ 3000 cN/25 ㎜, 횡방향 600 ∼ 800 cN/2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업용 와이프는, 엠보스를 부여하지 않아도 린트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긁어냄성이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엠보스를 부여할 수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종 와이프 샘플 (치수 : 세로 250 ㎜ × 가로 250 ㎜) 을 제조하여, 인장 강도, 흡수량, 린트량 (발진량) 을 측정하고, 유연성을 포함시켜 평가하였다.
또한, 원료 및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특별히 명기하고 있지 않은 조건 등 (예를 들어 스펀레이스 수압, 건조 온도) 은 각 예에서 공통되며, 일반적인 것이다.
코튼 섬유 : 섬도 1.38 ∼ 1.52 dtex, 섬유 길이 20 ∼ 30 ㎜.
비열융착 섬유 : 섬도 1.45 dtex, 섬유 길이 38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열융착 섬유 : 섬도 2.28 dtex, 섬유 길이 38 ㎜, 성분이 폴리에스테르 (코어)/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시스) 인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섬유 웨브 형성법 : 카드법.
섬유 웨브 형태 : 랜덤 웨브.
교락법 : 스펀레이스법.
건조·열융착 방법 : 열풍 처리. 열융착 섬유를 함유시킨 샘플에 있어서는, 섬유 웨브의 건조와 동시에, 열융착 섬유를 충분히 융착시켰다.
또, 평가 방법의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조 인장 강도>
JIS P 8113 에 준거하여 측정한 측정값 [cN/25 ㎜] 이며, 종방향 (섬유의 배향과 평행 방향) 과 횡방향 (섬유의 배향에 직각 방향) 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값이 종 2300, 횡 700 초과인 경우를 ◎ 로 하고, 종 1500 ∼ 2300, 횡 600 ∼ 700 인 경우를 ○ 로 하고, 종 1000 ∼ 1500, 횡 500 ∼ 600 인 경우를 △ 로 하고, 종 1000, 횡 500 미만인 경우를 × 로 하였다.
<습윤 인장 강도>
JIS P 8135 에 준거하여 측정한 측정값 [cN/25 ㎜] 이며, 종방향 (섬유의 배향과 평행 방향) 과 횡방향 (섬유의 배향에 직각 방향) 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값이 종 2300, 횡 600 초과인 경우를 ◎ 로 하고, 종 1500 ∼ 2300, 횡 500 ∼ 600 인 경우를 ○ 로 하고, 종 1000 ∼ 1500, 횡 400 ∼ 500 인 경우를 △ 로 하고, 종 1000, 횡 400 미만인 경우를 × 로 하였다.
<흡수량>
샘플을 세로 100 ㎜ × 가로 100 ㎜ 로 재단하고, 표면과 이면을 교대로 4 장 포갠 상태에서 물에 3 분간 담그고 꺼내어, 망 형상의 수평대 상에 30 초 방치한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증가 중량을 산출한 산출값 [g/㎡] 이다. 또한, 측정값이 600 초과인 경우를 ◎ 로 하고, 400 ∼ 600 인 경우를 ○ 로 하고, 300 ∼ 400 인 경우를 △ 로 하고, 300 미만인 경우를 × 로 하였다.
<린트량>
JIS B 9923 에 준거하여 측정한 측정값 [개/sec] 이며, 샘플 250 ㎜ × 250 ㎜ 에 대해, 입경 0.3 ∼ 25 ㎛ 의 입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값이 500 미만인 경우를 ◎ 로 하고, 500 ∼ 1000 인 경우를 ○ 로 하고, 1000 ∼ 1500 인 경우를 △ 로 하고, 1500 초과인 경우를 × 로 하였다.
<유연성>
관능 평가로서, 시험자가 손으로 만진 결과, 매우 유연하고 대상물 표면의 요철에 대해서도 극히 간극없이 밀착되어 닦아낼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 로 하고, 보통으로 유연하고 간극없이 대상물 표면을 닦아낼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 로 하고, 유연하기는 하지만 대상물 표면의 요철에 대한 추종성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 로 하고, 지나치게 딱딱하고 대상물 표면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진다고 생각되는 것을 × 로 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샘플은, 린트량이 현저하게 적음에도 불구하고, 흡수량 및 유연성이 저해되지 않았고, 강도도 높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각종 산업에 있어서의 실험실, 제조실, 실험 기구, 제조 기구, 제품, 부품 등에 부착된 먼지·티끌·수분·유분을 닦아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산업용 와이프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코튼 섬유와 합성 섬유를 혼합 상태에서 또한 5 : 5 ∼ 7 : 3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단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 섬유로서, 다른 섬유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비열융착 섬유와, 상기 코튼 섬유 및 상기 비열융착 섬유 중 적어도 일방과 열융착된 부분 및 다른 섬유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복합형 열융착 섬유를, 4 : 6 ∼ 6 : 4 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와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튼 섬유는, 섬도 1.38 ∼ 1.52 dtex 또한 섬유 길이 20 ∼ 30 ㎜ 의 것이고,
    상기 비열융착 섬유는, 섬도 1.38 ∼ 1.52 dtex 또한 섬유 길이 30 ∼ 40 ㎜ 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이고,
    상기 열융착 섬유는, 섬도 2.15 ∼ 2.41 dtex, 섬유 길이 34 ∼ 42 ㎜, 코어가 폴리에스테르, 또한 시스가 코어보다 저융점인 폴리에틸렌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코어 시스 구조의 복합형 열융착 단섬유인 산업용 와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평량이 25 ∼ 35 g/㎡, 및 두께가 300 ∼ 320 ㎛ 인 산업용 와이프.
KR1020110011451A 2010-02-17 2011-02-09 산업용 와이프 KR10176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2307 2010-02-17
JP2010032307A JP5610786B2 (ja) 2010-02-17 2010-02-17 産業用ワイ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145A true KR20110095145A (ko) 2011-08-24
KR101764928B1 KR101764928B1 (ko) 2017-08-03

Family

ID=4446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451A KR101764928B1 (ko) 2010-02-17 2011-02-09 산업용 와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10786B2 (ko)
KR (1) KR101764928B1 (ko)
CN (1) CN1021621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3139B (zh) * 2013-12-12 2015-11-11 潍坊志和无纺布有限公司 热粘合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04562452B (zh) * 2015-01-07 2017-09-05 厦门延江新材料股份有限公司 超柔蓬松无纺布
CN109072512A (zh) * 2016-04-04 2018-12-21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低毛绒以及高流体吸收性和释放特性的清洁产品
KR101778066B1 (ko) 2017-03-21 2017-09-27 (주)에스피에이치 필드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0415166B2 (en) * 2017-05-15 2019-09-17 Jacob Holm & Sons Ag Hydroentangled airlaid process and industrial wipe products
CN108085869A (zh) * 2017-12-21 2018-05-29 3M中国有限公司 保温絮片材料及其制备方法、保温制品
CN108977978B (zh) * 2018-09-17 2020-12-22 临沂市美添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去污面料及加工工艺
CN112941722A (zh) * 2019-11-26 2021-06-11 江苏盛纺纳米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绵柔抑菌热风非织造布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507B2 (ko) * 1972-10-11 1979-08-14
JPS5423507A (en) * 1977-07-22 1979-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oducing apparatus of magnetic recording media
JPH07126971A (ja) * 1993-11-02 1995-05-16 Unitika Ltd 再生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JP3358356B2 (ja) * 1994-12-26 2002-12-16 王子製紙株式会社 開孔模様を有する複合不織布および複合不織布の製造方法
JPH09313417A (ja) * 1996-05-28 1997-12-09 Daiwabo Co Ltd ワイピングクロス
JPH105162A (ja) * 1996-06-27 1998-01-13 Unitika Ltd ハンドワイパー
JPH11276400A (ja) * 1998-03-31 1999-10-12 Toray Ind Inc ワイピング材
JP3309075B2 (ja) * 1998-07-15 2002-07-29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US20020193029A1 (en) * 1999-11-30 2002-12-19 Yukihiro Kihara Wiping cloth made of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824882B2 (ja) * 2001-05-24 2011-1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層シート
SG128436A1 (en) * 2002-02-08 2007-01-30 Kuraray Co Nonwoven fabric for wiper
JP2004313425A (ja) * 2003-04-16 2004-11-11 Unitika Tsusho Ltd 拭き取りシート
JP2005245715A (ja) * 2004-03-03 2005-09-15 Unitika Ltd 主として台所用に適した拭き布
JP4683957B2 (ja) * 2005-02-25 2011-05-18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CN101258278A (zh) * 2005-09-09 2008-09-03 株式会社三科 抹布
CN101310063A (zh) * 2005-11-15 2008-11-19 金星制纸株式会社 食品提取用气流铺置片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2173B (zh) 2015-03-04
JP5610786B2 (ja) 2014-10-22
KR101764928B1 (ko) 2017-08-03
JP2011167284A (ja) 2011-09-01
CN102162173A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5145A (ko) 산업용 와이프
JP5592937B2 (ja) 不織布
US20060009106A1 (en) Wiping sheet
JP2003301359A (ja) ワイパー用不織布
JP2011167284A5 (ko)
JP4804118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05310A1 (en) Cleansing sheets,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 thereof
TW510784B (en) Cleaning sheet
KR20130109183A (ko)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
JP4722736B2 (ja) 床用清掃シート
JP2019508597A (ja) 手触りが改善された不織布
JP5401713B2 (ja) 不織布
JP2007284838A (ja) 水流交絡不織布およびワイパー
JP2001279570A (ja) 複合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78065A (ja) フローリングワイパー
JP3699332B2 (ja) 湿潤シート
JP2003520307A (ja) 不織積層拭取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67848B2 (ja) 清掃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63043A (ja) ワイピング用不織布
EP1696063A1 (en) Cleansing sheets,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 thereof
JP4881578B2 (ja) ワイピングシート
JP2003089955A (ja) 極細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53351A (ja)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62884A (ja) ワイパー
JP7050281B2 (ja) 積層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