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474A -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474A
KR20110093474A KR1020100013543A KR20100013543A KR20110093474A KR 20110093474 A KR20110093474 A KR 20110093474A KR 1020100013543 A KR1020100013543 A KR 1020100013543A KR 20100013543 A KR20100013543 A KR 20100013543A KR 20110093474 A KR20110093474 A KR 2011009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otavirus
rotavirus infection
preven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461B1 (ko
Inventor
이우송
노문철
류영배
박수진
장종선
권형준
김하현
정형재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461B1/ko
Priority to US13/578,528 priority patent/US20130041023A1/en
Priority to EP11742504.1A priority patent/EP2535056A4/en
Priority to CN2011800176253A priority patent/CN102821772A/zh
Priority to PCT/KR2011/000940 priority patent/WO2011099812A2/ko
Publication of KR2011009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항로타바이러스의 효과를 가지고,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에 대해 살바이러스 및 세포변성 억제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므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rotavirus infection comprising glycyrrhiza uralensis}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로타바이러스 (rotavirus)는 전 세계적으로 어린 동물 (소, 돼지, 및 염소)과 영유아에서 심한 설사를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체 중 하나이며, 심한 설사 외에도 뇌염, 중이염, 괴사성 대장염, 간농양, 장중첩 등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ster, M. K. Rotaviruses and Their Replication in Fields Virology. pp. 1747-1785, 2001). 로타바이러스는 레오바이러스과 (reoviridae)에 속하며, 직경 70 mm의 11개로 분절화된 이중쇄 RNA 게놈을 3층의 캡시드 층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3층의 캡시드 층 중에서 가장 외부에 있는 층은 VP4 및 VP7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VP4 단백질은 숙주의 단백분해효소 (protease)에 의해 VP5와 VP8로 분할되기 때문에 그 혈청형을 P type이라고 하며, VP7 단백질은 당화 (glycosylation)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혈청형을 G type이라 한다 (Ciarlet, M. and Ester, M. K. Rotaviruses: basic biology, epidemiology and methodologies in encyclopedia of envirionmental microbiology. pp. 2753-2773, 2002). VP4 및 VP7 단백질은 중화 항체를 유발함으로써 숙주의 방어에 중요하게 관여한다.
혈청형은 중간층 캡시드 단백질인 VP6에 대한 혈청형에 의해 A-G까지 총 7개의 종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중 혈청형 A 로타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매년 전 세계적으로 1억 3천만 명에게 장염을 유발하며, 이 중 87만 3천명은 사망에 이르는 매우 중요한 전염성 원인체로 알려져 있다.
혈청형 A 로타바이러스는 각각의 숙주에 특이적인 G 및 P type이 보고되어 있다. 사람에서는 G1-G3, G9과 P[4] 및 P[8]의 조합이 가장 우세하게 발생하고 있다 (Kapikian et al., 2001). 돼지의 경우 G3-G5, G11과 P[6] 및 P[7]의 조합이 가장 우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Gouvea and Timenetsky, 1994). 소는 G6, G8, G10과 P[1], P[5], 및 P[11]의 조합이 유리하게 나타난다 (Alfieri et al., 2004). 하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유사하게, 동물과 물리적 접촉이 빈번한 나라의 사람에게서는 사람과 동물의 각기 다른 혈청형 A 로타바이러스가 혼합적으로 감염됨에 따라, 재조합 바이러스가 발생하여 사람에게 감염되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jain et al., 2001). 또한, 브라질이나 미국에서는 사람에게서만 주로 발생하는 G9 로타바이러스가 돼지에게서도 발생하였다 (Paul et al., 1988). 이와 같이 동물로부터 유래된 로타바이러스가 사람에게서 검출되는 것은 이것이 “인수공통전염병 원인체”라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가축들 사이에도 서로 전파될 수 있는 축종 간의 전파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바이러스 질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상피세포로의 흡착 저해, 세포로의 침입 저해, 유전자의 전사 및 복제 저해, 단백질의 합성 저해, 세포로부터의 방출 억제와 같은 방법들을 생각할 수 있으며, 각각 항바이러스의 표적으로 보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현재까지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명확한 표적은 밝혀져 있지 않다.
로타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사람에 대해서는 사람과 동물의 로타바이러스를 재조합하여 만든 동물-사람 재조합바이러스 백신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소의 로타바이러스주인 WC3를 바탕으로 인간 로타바이러스주 혈청형의 특이성을 가진 VP4에 해당하는 유전자를 끼워 넣은 백신으로서, 로타텍 (RotaTeq, Merk 社)의 경우에는 2006년 미국의 FDA 승인을 거쳐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은 장중첩 (intrussusception)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으로는 다양한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에 대한 예방을 할 수 없다는 큰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백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로타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천연소재들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Takahashi 등은 스테비아의 열수 추출물이 항로타바이러스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Takahashi, K et al., Antiviral Res. 49, 15, 2001).
이에 본 연구팀은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이 로타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며,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억제 효과 및 세포변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5]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로타바이러스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로타바이러스에 대해 살바이러스와 세포변성 억제효과를 동시에 나타내기 때문에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로타바이러스 감염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로타바이러스는 인간 (Human), 돼지 (Pocine), 소 (Bovine), 또는 염소 (Goat) 로타바이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타바이러스는 장염, 설사,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의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초 (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국 북부, 시베리아, 이태리 남부, 만주, 몽고 등지에 자생 또는 재배된다. 감초는 모든 한약처방에서 독성을 줄이는 성분으로 들어가고 진해제로 쓰이는 약초 중 하나이며 (Rauchensteiner F. et al., JPharmBiomedAnal., 38(4), pp.594-600, 2005), 유럽에서는 담배나 껌 그리고 사탕 등에 단맛을 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감초는 신장의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키며 (Yokozawa T. etal., FreeRadicRes., 39(2), pp.203-211, 2005) 카드뮴에 의해 손상되는 간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Kim SC.et al., Toxicology., 197(3), pp.239-251, 2004).
본 발명에서 감초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직접 채취 또는 재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초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감초를 분쇄하여 얻은 감초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4의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는 감초의 건조중량의 2~2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감초 건조물을 세절한 후 추출용기에 넣고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넣고 일정기간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여과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추출은 상온에서 1주 동안 방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감초 분획물은 상기에서 얻은 감초 추출물로부터 분획하여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초 분획물은 감초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각각 분획함으로써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화학식 2]
Figure pat00007
[화학식 3]
Figure pat00008
[화학식 4]
Figure pat00009
[화학식 5]
Figure pat0001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감초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활성성분으로, 상기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감초를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감초 추출물을 얻는다 (단계 1). 상기 감초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을 얻는 단계는 건조된 감초를 음건 세절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말상태로 만든 후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한 양의 알코올을 첨가하고, 이를 상온에서 5일 동안 방치한 후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감초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감초 분획물을 얻는다 (단계 2). 이때, 통상의 분별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별 깔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초 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얻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감초 분획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화합물을 분리하고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1 내지 5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단계 3). 상기 화합물 분리를 위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경우, 이동상으로는 n-헥산,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ㆍ아세톤 혼합용매 및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되는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n-헥산ㆍ아세톤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n-헥산ㆍ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의 부피비는 50 : 1 ~ 1 : 5 부피비가 바람직하며, 클로로포름ㆍ아세톤 혼합용매일 경우에는 150 : 1 ~ 1 : 4 부피비가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단일 화합물이 정제될 때까지 1회 내지 수 회에 걸쳐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재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각각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 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한편, 본 발명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발명 또는 발병 가능성이 있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로타바이러스는 인간 (Human), 돼지 (Pocine), 소 (Bovine), 또는 염소 (Goat) 로타바이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타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장염, 설사,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로타바이러스에 이미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인간 로타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로타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로타바이러스로 감염된 돼지, 소, 또는 염소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로타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화학식 3]
Figure pat00013
[화학식 4]
Figure pat00014
[화학식 5]
Figure pat00015

즉,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6
[화학식 2]
Figure pat00017
[화학식 3]
Figure pat00018
[화학식 4]
Figure pat00019
[화학식 5]
Figure pat00020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경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로타바이러스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접촉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로타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유기체, 조직 또는 세포 배양체, 생물학적 물질 시료 (혈액, 혈청, 뇨, 뇌척수액, 눈물, 가래, 타액, 조직 시료 등) 등이 포함되며, 대개 바이러스와 같은 병인성 유기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시료들은 물 및 유기 용매/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어떠한 배지 내에 담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후에 항로타바이러스 활성을 진단하는 직접 또는 간접 방법을 포함한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관찰될 수 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 억제 활성을 진단하는 정량적인, 정성적인 또는 세미-정량적인 방법들 모두가 사용 가능하며, 살아있는 유기체의 생리학적인 특성을 관찰하는 등 다른 어떠한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들은 로타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에 대해 살바이러스 및 세포변성 억제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므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감초 추출물의 제조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에서 구입한 감초 뿌리 2 kg에 100 %의 에탄올 (EtOH) 10 ℓ를 가하여 실온에서 3일 동안 방치하고, 이를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 (13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감초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폴리페놀성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감초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로 얻은 갈색 분말 134 g 에 물 1ℓ를 넣어 현탁시켰다. 이를 분별 깔대기에 넣고, n-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순서대로 이용하여 분별 추출하여 n-헥산 가용추출물 (1.3 g), 클로로포름 가용추출물 (45 g),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35 g) 및 물 가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클로로포름 가용추출물 중 20 g을 100 % 클로로포름,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용매 (40 : 1 ~ 1 : 1)를 이동상으로 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500 g, 70 ~ 230 메쉬 (mesh))를 수행하여 10개의 분획물 (Fr.1~10)로 분리하였다. 이들 중 세 번째 분획물 (Fr.3, 3 g)은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40 : 1 ~ 2 : 1 (v/v))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7 g, 230 ~ 400 메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30개의 분획물 (Fr.3-1~30)을 수득하였다. 그 중에서 Fr.3-18~20 분획물 (0.11 g)에 대해 제조용 TLC (preparative TLC)를 실시하였고, 이때 이동상으로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4 : 1 (v/v) 용매를 사용하여 화합물 5 (13 ㎎)를 수득하였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17 g을 100 %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 (60 : 1 ~ 1 : 4)를 이동상으로 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500 g, 70 ~ 230 메쉬 (mesh))를 수행하여 14개의 분획물 (Fr.1~14)로 분리하였다. 이들 중 두 번째 분획물 (Fr.2, 1.5 g)은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50 : 1 ~ 2 : 1 (v/v))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30 g, 230 ~ 400 메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10개의 분획물 (Fr.3-1~10)을 얻었다. 그 중에서 Fr.3-4 분획물 (0.21 g)에 대해 Sephadex-LH20을 이용하여 컬럼을 실시하여 화합물 4 (32 mg)을 수득하였으며, Fr.3-8 분획물에 대해서도 동일한 칼럼크로마토그리피법을 실시하여 화합물 1 (13 mg)을 수득하였다.
또한, 클로로포름 가용추출물의 열 번째 분획물 (Fr.10, 1.2 g)에 대해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30 : 1 ~ 1 : 2)을 이동상 용매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40 g, 230 ~ 400 메쉬)를 수행하여 20개의 분획물 (Fr.10-1~20)을 얻었다. 그 중에서 Fr.10-12~15 분획물에 대해 다시 한번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 1 (14 mg) 및 화합물 2 (54 mg)를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클로로포름 가용추출물의 분획물 Fr.10-15~20에 대하여 Sephadex-LH20 및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연속적으로 병행 실시하여 화합물 3 (2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화합물의 구조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화합물의 분자량 및 분자식을 VG 고분해능 GC/MS 분광기 (VG high resolution GC/MS spectrometer, Election Ionization MS, Autospec-Ultima)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핵자기공명 (NMR) 분석 (Bruker AM 300, 500)을 통한 1H NMR, 13C NMR의 분광학 자료를 이용하여 분자구조를 결정하였다.
이상의 기기분석 결과를 발표된 문헌의 것과 비교 분석한 결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리퀴리티제닌 (isoliquiritigenin), 하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2-메톡시이소리퀴리티제닌 (2-methoxyisoliquitin),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리코쿠마론,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글라이아스퍼린 C,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리코플라보놀임을 확인하였다(J. Agric . Food Chem . 7408-7414, 2005; Phytochemistry, 287-293, 1998; Chem . Nat . Comp., 389, 1972; Chem . Pharm . Bull ., 1286-1292, 2000).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화합물 1 : 이소리퀴리티제닌
[화학식 1]
Figure pat00021
1) 물성 : 노란색 고형 (m.p. 206-210 ℃)
2) 분자량 : 256
3) 분자식 : C15H12O4
4) 1H-NMR (methanol-d3, 500 ㎒) δ 6.28, 6.41, 6.83, 7.59, 7.61, 7.78, 7.95. 13C-NMR (methanol-d3, 125 ㎒) δ 193.7, 167.7, 166.6, 161.7, 145.8, 133.5, 131.9 , 128.0, 118.5, 117.0, 114.8, 109.3, 103.9.
화합물 2 : 2- 메톡시이소리퀴리티제닌
[화학식 2]
Figure pat00022
1) 물성 : 노란색 고형 (m.p. 89-92 ℃)
2) 분자량 : 270
3) 분자식 : C16H14O4
4) 1H-NMR (methanol-d3, 500 ㎒) δ 3.78, 6.37, 6.78, 7.49, 7.86, 7.87. 13C-NMR (methanol-d3, 125 ㎒) δ 56.5, 100.4, 109.7, 116.76, 117.2, 119.9, 131.9, 132.1, 132.5, 141.7, 162.6, 163.6, 164.0, 192.1.
화합물 3 : 리코쿠마론
[화학식 3]
Figure pat00023
1) 물성 : 노란색 고형 (m.p. 183-185 ℃)
2) 분자량 : 340
3) 분자식 : C20H20O5
4) 1H-NMR (acetone-d6, 300 ㎒) δ 1.65, 1.79, 3.42, 5.27, 6.50, 6.57, 6.78, 7.31, 7.69. 13C-NMR (acetone-d6, 75 ㎒) δ 158.2, 155.2, 153.8, 153.3, 151.1, 150.6, 129.5, 127.1, 124.1, 114.7, 113.6, 110.1, 107.4, 103.1, 101.0, 92.4, 59.5, 25.0, 22.5, 17.0.
화합물 4 : 글라이아스퍼린 C
[화학식 4]
Figure pat00024
1) 물성 : 흰색 분말
2) 분자량 : 356
3) 분자식 : C21H24O5
4) 1H-NMR (methanol-d4, 300 ㎒) δ 1.50, 1.59, 2.60, 2.71, 3.08, 3.19, 3.51, 3.76, 4.01, 5.04, 5.93, 6.10, 6.16, 6.72. 13C-NMR (methanol-d4, 75 ㎒) δ 18.3, 24.0, 26.3, 27.2, 33.2, 61.3, 71.4, 100.4, 103.9, 108.5, 109.0, 115.5, 120.7, 126.0, 129.2, 131.2, 155.2, 156.2, 157.6, 158.4, 158.8.
화합물 5 : 리코플라보놀
[화학식 5]
Figure pat00025
1) 물성 : 노란 분말
2) 분자량 : 354 (m.p. 120-130 ℃)
3) 분자식 : C20H18O6
4) 1H-NMR (acetone-d6, 300 ㎒) δ 1.66, 1.78, 3.31, 5.24, 6.42, 6.89, 8.07. 13C-NMR (acetone-d6, 75 ㎒) δ 18.0, 22.3, 26.1, 93.7, 104.4, 112.3, 116.4, 123.7, 124.0, 130.7, 132.0, 137.2, 147.8, 156.3, 159.2, 160.6, 163.6, 177.4.
실험예 1 : 감초 추출물,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저해 효과 측정
먼저, 감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소 로타바이러스 NCDV (G6P[1]) 및 돼지 로타바이러스 KJ205 (G5P[7])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과 (Virucidal effect) 및 세포변성효과 (CPE reduction effect)를 측정하기 위하여, 원숭이의 신장세포주인 TF-104 (Fetal rhesus monkey kidney)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96 well microplate에 TF-104 세포를 각 well 당 4 X 104/ well이 되도록 넣고, 배지 alpha-MEM (penicillin 100 units, streptomycin 100 mg, 5% FBS)으로 배양하였다. TF-104 세포가 monolayer가 되었을 때, 항생제만 포함된 alpha-MEM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NCDV 및 KJ205을 각각 0.01 MOI가 되도록 희석하여 EP 튜브에 담아 두었다. 여기에 DMSO (dimethylsulfoxide)로 희석한 감초 추출물 및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농도별로 각 튜브에 넣은 후 4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시간 후 미리 세척해둔 TF-104 세포에 하나의 농도당 3 well에 각각 접종하였다 (이하, 샘플 처리군이라 함). 한편, 비감염+비투여 대조군 (Control, NCDV 또는 KJ205를 감염시키지 않고,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군) 및 감염+비투여 대조군 (Virus control, NCDV 또는 KJ205를 감염시킨 후,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군)을 동일한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TF-104 세포에 접종하여 37 ℃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후, plate의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시킨 후, 항생제와 1 mg/mL 트립신 (trypsin)이 첨가된 alpha-MEM 배지를 각 well에 100 mL씩 분한 후, 37 ℃에서 5 ~ 6일 배양하였다. 감염+비투여 대조군에서 완전히 세포변성효과 (Cytopathic effect, CPE)가 나올 때까지 5 ~ 6일 배양하였다. 도립현미경으로 매일 세포 상태를 관찰하였다. 배양 5 ~ 6일 후 세포의 생존률을 알아보기 위해 neutral red solution (Sigma, UK)을 각 well당 1 mL씩 넣은 후, 37℃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배지액을 제거하고 destaining soultion (1 % glacial acetic acid, 49 % DDW, 50 % EtOH)을 각 well에 100 mL 씩 넣고 15분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비감염+비투여 대조군 및 감염+비투여 대조군과 본 발명의 감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나타내는 살바이러스 효과 (저해도(%))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비교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6
상기 식에서, O.D 값은 54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의미한다.
한편, 감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소 로타바이러스 NCDV (G6P[1])와 돼지 로타바이러스 KJ205 (G5P[7])에 대한 세포변성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항생제만 포함된 alpha-MEM 배지로 2회 세척한 TF-104 세포에 바이러스를 접종하여 1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접종한 바이러스액을 모두 제거하고, 감초 추출물 및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농도별로 바이러스가 접종된 TF-104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감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나타내는 세포변성억제효과 (저해도(%))를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비교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살바이러스 효과 (Virucidal effect)
NCDV (G6P[1]) KJ205 (G5P[7])
CC50 1 ) (μM) EC50 2 ) (μM) S.I.3) CC50 (μM) EC50 (μM) S.I.
에탄올 추출물 368.6 - - 368.6 22.4 16.4
화합물 3 - - - 59.6 26.1 2.3
화합물 4 39.1 26.2 1.5 39.1 18.7 2.1
시료 세포변성억제효과 (CPE inhibition effect)
NCDV (G6P[1]) KJ205 (G5P[7])
CC50 (μM) EC50 (μM) S.I. CC50 (μM) EC50 (μM) S.I.
에탄올 추출물 368.6 118.7 3.1 368.6 27.4 13.5
화합물 1 - - - 137.9 35.3 3.9
화합물 2 - - - 279.9 24.0 11.7
화합물 3 - - - 59.6 26.1 2.3
[주] 1) 세포독성 농도로부터의 50 % 농도 값, 2) 억제효과 농도로부터 50 % 농도 값, 3) 선택지수, CC50/EC5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이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주에 대해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3 및 4의 경우, 살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선택지수 (seletive index, SI)가 1.5 내지 16.4로 매우 우수한 살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었다. 화합물 3은 돼지 로타바이러스에서만 선택적으로 살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화합물 4는 소와 돼지 로타바이러스에서 모두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감초에서 분리한 추출물 및 화합물들은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초 추출물은 소 로타바이러스에서는 선택지수 3.1 및 돼지 로타바이러스에서는 선택지수 13.5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세포변성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로부터 화합물 1 내지 3은 돼지 로타바이러스에 대하여 뛰어난 세포변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화합물 2는 CC50이 279.9 μM, EC50이 24.0 μM, 선택지수는 11.7로 독성이 매우 낮고, 바이러스 저해 효과는 높게 나타나는 매우 뛰어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감염되기 전 바이러스에 직접 작용하는 살바이러스 효과와, 바이러스가 세포에 감염된 후 복제 과정을 억제하는 세포변성억제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로타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화합물 1 내지 5의 급성 독성 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화합물들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 (SPF, specific pathogens free) C57BL/6J 마우스를 암수 각각 12 마리씩 4군 (암수 각각 3마리/실험군)으로 나누어, 온도 22 ± 3 ℃, 습도 55 ± 10 %, 조명 12L/12D의 동물실 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하기 전 약 1주일간 순화시켰다. 실험동물용 사료 (마우스 및 랫트용, (주)제일제당, 서울, 대한민국) 및 음수는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 섭취시켰다.
대표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합물 2를 0.5 % 트윈 80 (tween 80)에 50 mg/mL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 g 당 0 mL, 0.04 mL (100 mg/kg), 0.2 mL (500 mg/kg) 및 0.4 mL (1,000 mg/kg)씩 각 군에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는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7일 동안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 당일에는 투여 후 1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후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7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회 이상씩 일반적인 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모든 시료를 투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폐사된 마우스도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마우스에서 1,000 m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50)이 1,000 m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을 함유한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식품의 예를 설명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감초 추출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여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2 ~ 10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2-3. 밀가루 식품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1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4. 스프 및 육즙 ( gravies )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1 ~ 1.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5. 그라운드 비프 ( ground beef )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6. 유제품 ( dairy products )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1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된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된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 (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종실류 (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의 건조분말 (1 중량%),
영지 (0.5 중량%),
지황 (0.5 중량%)
2-8.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 ~ 0.3 %, 카라멜 0.005 ~ 0.02 %, 비타민 C 0.1 ~ 1 %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 94 %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시럽을 85 ~ 98 ℃에서 20 ~ 180초 동안 살균하여 냉각수와 1 : 4의 비율로 혼합시킨 다음, 탄산가스를 0.5 ~ 0.82 % 주입하여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9.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 (0.5 %), 올리고당 (2 %), 설탕 (2 %), 식염 (0.5 %), 물 (75 %)과 같은 부재료와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2-10. 야채쥬스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2-11. 과일쥬스의 제조
감초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6)

  1.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바이러스는 인간 (Human), 돼지 (Pocine), 소 (Bovine), 또는 염소 (Goat) 로타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바이러스는 장염, 설사,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의 질환을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7

    [화학식 2]
    Figure pat00028

    [화학식 3]
    Figure pat00029

    [화학식 4]
    Figure pat00030

    [화학식 5]
    Figure pat0003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바이러스는 인간 (Human), 돼지 (Pocine), 소 (Bovine), 또는 염소 (Goat) 로타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바이러스는 장염, 설사,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의 질환을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00013543A 2010-02-12 2010-02-12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543A KR101138461B1 (ko) 2010-02-12 2010-02-12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3/578,528 US20130041023A1 (en) 2010-02-12 2011-02-1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otavirus Infection Comprising Licorice Extract
EP11742504.1A EP2535056A4 (en) 2010-02-12 2011-02-1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OTAVIRUS INFECTION CONTAINING A LICORICE EXTRACT
CN2011800176253A CN102821772A (zh) 2010-02-12 2011-02-11 包含甘草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轮状病毒感染的组合物
PCT/KR2011/000940 WO2011099812A2 (ko) 2010-02-12 2011-02-11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543A KR101138461B1 (ko) 2010-02-12 2010-02-12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474A true KR20110093474A (ko) 2011-08-18
KR101138461B1 KR101138461B1 (ko) 2012-04-26

Family

ID=4436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543A KR101138461B1 (ko) 2010-02-12 2010-02-12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41023A1 (ko)
EP (1) EP2535056A4 (ko)
KR (1) KR101138461B1 (ko)
CN (1) CN102821772A (ko)
WO (1) WO20110998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562A (ko) * 2015-11-19 2017-05-29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Nrf-2 활성증진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4954A (zh) * 2012-12-28 2013-04-24 青岛爱维互动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感冒中药组成
CN111084772A (zh) * 2019-12-30 2020-05-01 李世� 一种粗毛甘草素c的医药新用途
WO2023060027A1 (en) * 2021-10-07 2023-04-13 Matregenix, Inc. Electrospun nanofibrous polymer membrane for use in air filtration applications
CN115192556B (zh) * 2022-05-06 2023-06-16 黑龙江八一农垦大学 异甘草素在制备抗猪流行性腹泻病毒的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942A (ja) * 1987-12-28 1989-07-12 Sanyo Kokusaku Pulp Co Ltd 抗ウイルス性医薬用組成物
KR100355490B1 (ko) * 1999-10-13 2002-10-09 주식회사태창물산 로타바이러스에 대해 감염 억제활성을 갖는 지각 추출물
WO2001066123A2 (en) * 2000-03-09 2001-09-13 Yale University Composition consisting of phy906 and chemotherapeutic agents
CN1377674A (zh) * 2001-04-04 2002-11-06 陕西师范大学 治疗小儿腹泻的中药冲剂
KR100496146B1 (ko) * 2002-06-12 2005-06-20 주식회사 뉴로넥스 감초, 강황 및 소엽의 추출물을 함유한 위염 및 위궤양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516194B1 (ko) * 2002-12-27 2005-09-21 김성호 항종양활성을 갖는 생약 추출물
KR100601823B1 (ko) * 2004-02-27 2006-07-19 김용욱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생약추출 조성물
JP2010502655A (ja) 2006-09-07 2010-01-28 士▲栄▼ 楼 抗ウィルス治療・予防用薬物調製におけるセイタカアワダチソウの応用
TWI317635B (en) * 2006-12-25 2009-12-01 Nat Defense Medical Ct Herbal extract having anti- influenza virus activity and preparation of same
KR20080106789A (ko) * 2007-06-04 2008-12-09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동물의 면역능을 증강시키는 감초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16883A (ko) * 2007-08-13 2009-02-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5481A (ko) * 2008-01-04 2009-07-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0947920B1 (ko) * 2008-02-26 2010-03-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유용성분을 분리하는 추출방법
JP5334448B2 (ja) * 2008-05-09 2013-11-06 丸善製薬株式会社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およびグルタチオンの欠乏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治療剤
CN101273778A (zh) * 2008-05-13 2008-10-01 罗海滨 金银花凉茶及其制备方法
CN101474330B (zh) * 2009-01-19 2011-04-13 河南天方药业中药有限公司 一种止泻口服液及其制备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562A (ko) * 2015-11-19 2017-05-29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Nrf-2 활성증진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41023A1 (en) 2013-02-14
WO2011099812A3 (ko) 2011-12-29
KR101138461B1 (ko) 2012-04-26
EP2535056A2 (en) 2012-12-19
WO2011099812A2 (ko) 2011-08-18
EP2535056A4 (en) 2013-10-02
CN102821772A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441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4822386A (zh) 从东北婆婆纳中分离的含有大量活性成分的纯化提取物、其制备以及包含该提取物作为活性成分用于预防或治疗炎症、过敏和哮喘的组合物
KR101138461B1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2051B1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087759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128088B1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189823B1 (ko)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427096B1 (ko)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1848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스테비오사이드 함유 복합체
KR100999872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86473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011454B1 (ko) 고삼 추출물, 고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테로카판계 및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78365B1 (ko)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15063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705760B1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2226992B1 (ko)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1189822B1 (ko) 쿠마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126254A (ko) 고삼 추출물, 고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테로카판계 및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436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9974B1 (ko) 감초 및 노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