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992B1 -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992B1
KR102226992B1 KR1020190053482A KR20190053482A KR102226992B1 KR 102226992 B1 KR102226992 B1 KR 102226992B1 KR 1020190053482 A KR1020190053482 A KR 1020190053482A KR 20190053482 A KR20190053482 A KR 20190053482A KR 102226992 B1 KR102226992 B1 KR 10222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za virus
virus infection
diarylheptanoid
comp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288A (ko
Inventor
김승현
성종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9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고량강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인 뉴라미니데이즈에 대해 탁월한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확산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neuraminidase comprising diarylheptanoids from Alpinia officinarum}
본 발명은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량강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는 오르소믹소 계(Family: 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A, B, C형 등 3가지 혈청형이 알려져 있다. 그 중 B형과 C형은 사람에서만 감염이 확인되고 있으며, A형은 사람, 말, 돼지, 기타 포유류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가금과 야생조류에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표면에 햄어글루티닌(hemagglutinin: HA),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의 두가지 특징적인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HA와 NA의 항원성에 따라 여러가지 아형으로 구분되며, HA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체세포에 부착하는 역할을 하며, NA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심각한 보건위생상의 위험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는 조류독감과 신종인플루엔자는 모두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의해 유발된다.
A형으로 분류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수 공통 전염병 바이러스로, 병원성에 따라 닭에 감염시 가벼운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비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1~30% 내외의 폐사와 산란 저하를 유발하는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그리고 95% 이상의 높은 치사성을 보이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조류독감) 등 크게 3가지 병형으로 구분하며, 특히 1997년 최초로 조류독감의 인간에서의 감염과 높은 치사율이 보고되었다. 사람에서의 인플루엔자는 20세기 동안 크게 3차례의 인플루엔자 대유행이 있었으며, 스페인 독감(1918년-1920년)에 의해 2천만명에서 5천만명의 사람이 사망하였고, 2차 대유행(1957년-1958년)은 중국에서 시작하였으며 약 1백만병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3차 대유행(1968년-1969년)은 홍콩에서 유래되어 급속히 전파되었으며, 21세기에 들어와서는 신종 인플루엔자(H1N1)가 2009년 3월 미국에서 처음 검출되어 전 세계에서 13만명 이상의 감염자와 3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호흡기에 감염되어 전신증상을 일으키고, 주기적으로 모습을 바꿀 뿐 아니라, 숙주를 죽이지 않고 숙주가 죽기 전에 다른 숙주로 이동할 수 있다. 현재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바이러스의 변이를 따라잡지 못하는 실정이며,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환자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당 가수분해효소 중 NA는 세포 표면에 있는 당복합체 특히 당단백체의 말단에 있는 시알산(sialic acid)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NA는 당단백의 구성요소인 갈락토즈와 시알산의 아세탈결합을 가수분해하며, 구체적으로 α 2-3 위치 및 α 2-6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한다. NA는 고등진핵세포와 많은 종류의 병원성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 분포하며, NA에 의한 시알산의 가수분해는 세포-세포신호전달 및 세포-세포인자 상호작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경우 감염된 숙주세포에서 증식된 바이런(viron)이 세포의 당단백의 말단에 있는 시알산과 접합되어 있으며, NA에 의해 시알산과 바이런이 가수분해되면 새로운 세포로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이러한 NA 기능을 억제하면 바이러스의 확산을 저해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항인플루엔자 제제들인 자나미비르(zanamivir)와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NA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자나미비르와 오셀타미비르는 A형과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모두 효과적이다. 그러나 자나미비르는 흡입 또는 정맥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오셀타미비르는 경구투여가 가능하나 최근 내성 바이러스 출현이 보고되고 있고 경구투여 시 구토와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항인플루엔자 치료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고량강(高良薑, Alpinia officinarum Hance)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의 뿌리줄기로서, 방향성 건위, 진통, 진토약으로서 소화불량, 구토, 복통, 하리에 널리 응용하고 있는 생약재이다. 고량강의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로는 췌장 지방 분해 효소(pancreatic lipase)의 억제 작용, 지방산 합성 억제작용, 항산화 효과, 활성산소종 유도 세포독성과 DNA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 COX-2(cyclooxgenase-2) 저해작용,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생합성 저해 효과 및 항염증 작용 등이 보고 되어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정유(volatile oi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다이아릴헵타노이드(diarylheptanoid) 계열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고 효과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고량강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다양한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들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인 NA에 대해 탁월한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삭제
Rie Sawamura et al., J Nat Med., 64(1):117-20, 2010 Katsuhiko Konno et al., J Nat Med.,67(4):773-81, 2013 Ze Tian et al., Cancer Chemother Pharmacol., 63(6):1131-9,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따르면,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고량강(A. officinarum) 유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NA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량강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인 NA에 대해 탁월한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NA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확산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고량강 추출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고량강 분획물에서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분리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과 커큐민의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6
[화학식 3]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7
[화학식 4]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8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46757182-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0
[화학식 3]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1
[화학식 4]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고량강(A. officinarum)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는, 도 1의 모식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탄올을 이용하여 고량강을 추출한 다음, 고량강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산(Hexane), 다이클로로메테인(Dichloromethane; 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및 부탄올(Butanol; BuOH) 분획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그 다음 도 2의 모식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이클로로메테인 분획물에서 화합물 1 및 화합물 4를, 에틸에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화합물 2를, 부탄올 분획물에서 화합물 3을 각각 수득하였다.
상기 고량강 추출물에서 분리한 화합물 1 내지 4에 대한 분광학적 분석 및 구조 분석을 수행한 결과, 화합물 1은 (S)-7-(3,4-dihydroxyphenyl)-5-hydroxy-1-phenylheptan-3-one인 [화학식 1], 화합물 2는 (S)-5-hydroxy-7-(4-hydroxy-3-methoxy phenyl)-1-(4-hydroxyphenyl)heptan-3-one인 [화학식 2], 화합물 3은 (S)-1-(3,4-dihydroxyphenyl)-5-hydroxy-7-(4-hydroxy-3-methoxyphenyl)heptan-3-one인 [화학식 3], 화합물 4는 (E)-1,7-bis(4-hydroxy-3-methoxyphenyl)hept-1-ene-3,5-dione인 [화학식 4]로 결정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3
[화학식 2]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4
[화학식 3]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5
[화학식 4]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6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서 분리한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의 뉴라미니데이즈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뉴라미니데이즈 저해활성은 양성대조군인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및 망기페린(Mangiferin) 각각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 억제 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모두 유의하게 뉴라미니데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화합물 3은 강력한 뉴라미니데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다이아릴헵타노이드인 커큐민(curcumin)과 본 발명의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의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비교한 결과,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커큐민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뉴라미니데이즈 억제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인 뉴라미니데이즈에 대해 탁월한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확산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이미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감염된 닭 또는 돼지를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원료 조성물 중 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1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육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분리
1-1 : 고량강 추출물 제조
고량강은 건조된 뿌리줄기 7.0 ㎏을 경동시장에서 2017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식물 표본을 연세대학교 약학대학에 기탁하였다 (YIPS-AO-170203).
고량강의 건조된 뿌리줄기 7.0 ㎏을 80% 메탄올 6.5ℓ을 처리하여 2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으며, 3회 반복 수행한 뒤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총 520g의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수득한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다음, 헥산(Hexane), 다이클로로메테인(Dichloromethane; 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및 n-부탄올(n-butanol; BuOH)로 연속적으로 분할하여 헥산 분획물 36.14 g, 다이클로로메테인 분획물 83.07 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4.71 g 및 부탄올 분획물 70.27 g을 각각 수득하였다.
1-2 : 고량강 추출물로 부터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분리
먼저, 다이틀로로메테인 분획물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Kieselgel 40 - 60 및 230 - 400 mesh, Merck, 독일)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메탄올(CHCl3-MeOH ; 40:1 -> 1:1, v/v)의 구배로 용출시켜 총 8개의 소분획물(C1 내지 C8)을 수득하였다. 이 중 C1 분획물을 다시 헥산-아세톤(hexane-acetone; 5:1 -> 2:1)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두개의 분획 C1A 및 C1B를 수득한 다음, C1B 분획을 35%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유속 3 ㎖/min 조건으로 prep-HPLC(J’sphere ODS H-80 column 이용)를 실시하여 화합물 1(3.1 mg)을 수득하였다.
상기 C1 내지 C8의 소분획물 중에서 C6 분획물을 다시 헥산-아세톤(hexane-acetone; 3:1 -> 2.5:1)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두개의 분획 C6A 및 C6B를 수득한 다음, C6B 분획을 38%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유속 3 ㎖/min 조건으로 prep-HPLC(J’sphere ODS H-80 column 이용)를 실시하여 화합물 4(3.5 mg)를 수득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클로로포름-메탄올(CHCl3-MeOH ; 40:1 -> 1:1, v/v)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총 7개의 소분획물(E1 내지 E7)을 수득하였다. 이 중 E4 분획물을 다시 헥산-아세톤(hexane-acetone; 3:1 -> 2.5:1)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두개의 분획 E4A 및 E4B를 수득한 다음, E4A 분획을 58%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유속 3 ㎖/min 조건으로 prep-HPLC(J’sphere ODS H-80 column 이용)를 실시하여 화합물 2(4.2 mg)을 수득하였다.
상기 E1 내지 E7 소분획물 중에서 E7 분확물을 다시 아세톤-물(acetone-water; 1:2)로 YMC ODS-18 역상 크로마토그래피(YMC ODS-18 resins; 150 - 200 μm, Fuji Silysia Chemical, 일본)를 실시하여 두개의 분획 E7A 및 E7B를 수득한 다음, E7A 분획을 25%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유속 3 ㎖/min 조건으로 prep-HPLC (J'sphere ODS H-80 column 이용)를 실시하여 화합물 3(5.6 mg)을 수득하였다.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분석
2-1 : 분광학적 분석
모든 NMR 스펙트럼은 600/150 MHz에서 작동되는 Bruker 600-MR NMR 분광기 및 400/100 MHz에서 작동되는 Agilent 400-MR-NMR 분광기를 이용하였다. 데이터는 MestReNova ver.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R-ESI-MS 스펙트럼은 1290 Infinity binary pump, 1290 Infinity auto-sampler 및 1290 Infinity PDA detector가 장착된 AGILENT 6550 iFunnel Q-TOF LC/MS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데이터는 MassHunter 데이터 수집 및 정성 분석 소프트웨어(MassHunter Data acquisition and Qualitative analysis software; Agil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SI 수행 조건은 다음과 같다: 네뷸라이저 압력(pressure of nebulizer) 35 psi; 건조가스 온도(drying gas temperature) 325℃; 건조 가스 유동(drying gas flow) 11.0 ℓ/min; 쉬스 가스 온도(sheath gas temperature) 400℃; 쉬스 가스 유동(sheath gas flow) 11.0 ℓ/min; 모세관 전압(capillary voltage) 4000 V; FV(Fragmentor Voltage) 175 V; 스키머(skimmer) 65 V; 및 OCT 1 RF Vpp 750 V.
각 화합물에 대한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화합물 1
Brown powder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7
: -5.6 (c=0.08 in MeOH)
Molecular formula: C19H22O4
HR-ESI-MS m/z 338.1480 [M+Na+H]+ (calcd for C19H23O4Na, 338.1494)
1H (CD3OD, 600 MHz): δ 1.67 (m, H-6), 2.53 (m, H-4a, 7), 2.81 (m, H-1, 2, 4b), 4.02 (m, H-5), 6.49 (dd, H-6˝), 6.62 (d, H-2˝), 6.66 (d, H-5˝), 7.16 (m, H-2´, 6´, 4´), 7.24 (t, H-3´, 5´)
13C NMR (CD3OD, 150 MHz): 표 1
화합물 2
Yellow amorphous powder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8
: -4.7 (c=0.08 in MeOH)
Molecular formula: C20H24O5
HR-ESI-MS m/z 368.1556 [M+Na+H]+ (calcd for C20H25O5Na, 368.1599)
1H (CD3OD, 600 MHz): δ 1.68 (m, H-6), 2.50 - 2.66 (m, H-4, 7), 2.76 (m, H-1, 2), 3.82 (d, 3˝-OMe), 4.02 (q, H-5), 6.61 (dt, H-2˝), 6.68 (dt, H-3´, 5´), 6.76 (t, H-6˝), 7.00 (m, H-2´, 6´)
13C NMR (CD3OD, 150 MHz): 표 1
화합물 3
Brown oil
Figure 112019046757182-pat00019
: -2.2 (c=0.08 in MeOH)
Molecular formula: C20H24O6
HR-ESI-MS m/z 383.1147 [M+Na]+ (calcd for C20H24O6Na, 383.1470)
1H (CD3OD, 600 MHz): δ 1.68 (m, H-6), 2.46 - 2.61 (m, H-4, 7), 2.72 (m, H-1), 2.77 (m, H-2), 3.82 (s, 3˝-OMe), 4.02 (m, H-5), 6.51 (m, H-2˝), 6.63 (m, H-2´, 6˝), 6.69 (m, H-3´, 3˝), 6.77 (dd, H-6´)
13C NMR (CD3OD, 150 MHz): 표 1
화합물 4
Yellow amorphous powder
Molecular formula: C19H16O4
HR-ESI-MS m/z 309.1123 [M+H]+ (calcd for C19H17O4, 309.1126)
1H (DMSO-d 6 , 400 MHz): δ 2.62 (m, H-2), 2.77 (m, H-1), 3.69 (s, 3˝-OMe), 3.78 (s, 3´-OMe), 5.83 (s, H-4), 6.55 - 6.63 (m, H-6, 5´, 6´), 6.74 - 6.77 (m, H-2´, 5˝), 7.07 (dd, H-6˝), 7.25 (d, H-2˝), 7.44 (d, H-7), 8.67 (s, 4˝-OH), 9.59 (s, 4´-OH)
13C NMR (CD3OD, 100 MHz): 표 1
화합물 1 내지 4에 대한 13C NMR 데이터
Pos 1 2 3 5
1 30.6 30.3 30.3 30.7
2 46.1 46.8 46.4 41.6
3 211.6 211.9 212.1 199.5
4 51.3 51.3 51.3 100.5
5 68.4 68.3 68.4 178.3
6 40.5 40.5 40.5 120.0
7 32.2 32.5 32.3 140.5
142.6 134.9 134.1 131.9
129.5 130.3 121.8 112.8
129.4 116.2 116.6 148.3
127.1 156.7 144.3 145.1
129.4 116.2 146.2 116.0
129.5 130.3 113.2 120.6
135.0 134.1 135.0 126.7
116.6 121.8 120.7 111.4
146.2 148.9 116.4 147.8
144.3 145.6 145.8 149.5
116.3 121.9 148.9 115.7
120.7 113.2 116.2 123.3
3´-OMe 55.9
3˝-OMe 56.4 56.4 55.9
2-2 : 구조결정
고량강에서 분리한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의 분광학적 분석결과를 문헌과 비교 하여 각각 하기와 같이 결정하였다.
화합물 1 : (S)-7-(3,4-다이하이드록시페닐)-5-하이드록시-1-페닐헵탄-3-원 [(S)-7-(3,4-dihydroxyphenyl)-5-hydroxy-1-phenylheptan-3-one]
[화학식 1]
Figure 112019046757182-pat00020
화합물 2 : (S)-5-하이드록시-7-(4-하이드록시-3-메톡시 페닐)-1-(4-하이드록시페닐)헵탄-3-원 [(S)-5-hydroxy-7-(4-hydroxy-3-methoxyphenyl)-1-(4-hydroxyphenyl)heptan-3-one]
[화학식 2]
Figure 112019046757182-pat00021
화합물 3 : (S)-1-(3,4-다이하이드록시페닐)-5-하이드록시-7-(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헵탄-3-원 [(S)-1-(3,4-dihydroxyphenyl)-5-hydroxy-7-(4-hydroxy-3-methoxyphenyl)heptan-3-one]
[화학식 3]
Figure 112019046757182-pat00022
화합물 4 : (E)-1,7-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헵트-1-엔-3,5-다이원 [(E)-1,7-bis(4-hydroxy-3-methoxyphenyl)hept-1-ene-3,5-dione]
[화학식 4]
Figure 112019046757182-pat00023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의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 효능 확인
3-1 : 커큐민(curcumin) 분리
본 발명에서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다이아릴헵타노이드인 커큐민(curcumin)과 본 발명의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의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커큐민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량강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분리하였다. 부탄올 분획물은 메탄올(25, 50, 75 및 100 %)를 함유하는 물(H2O)로 순차적으로 용출시키면서 HP-20 컬럼(Diaion HP-20 column)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개의 하위 분획물(B1 ~ B4)을 수득하였다. 이중 이중 B3 분획물을 헥산-아세톤(hexane-acetone; 3:1 -> 2.5:1)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두개의 분획 B3A 및 B3B를 수득한 다음, B3A분획을 60%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유속 3 ㎖/min 조건으로 prep-HPLC(J'sphere ODS H-80 column 이용)를 실시하여 커큐민(4.3mg)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커큐민은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커큐민인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19046757182-pat00024
커큐민
Orange powder
Molecular formula: C21H20O6
HR-ESI-MS m/z 3691338 [M+H]+ (calcd for C21H21O6, 3691338)
1H (CD3OD, 600 MHz): δ 3.92 (s, 3´, 3˝-OMe), 6.64 (d, H-2, 6), 683 (d, H-5´, 5˝), 7.11 (dd, H-6´, 6˝), 7.22 (d, H-2´, 2˝), 7.58 (d, H-1, 7)
13C NMR (CD3OD, 150 MHz): 표 2
커큐민 대한 13C NMR 데이터
Pos 1
1 142.2
2 122.3
3 184.8
4 101.3
5 184.8
6 122.3
7 142.2
128.6
111.8
149.5
150.6
116.6
124.2
128.6
111.8
149.5
150.6
116.6
124.2
3´-OMe 56.5
3˝-OMe 56.5
3-2 :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 효능 확인
본 발명에서 분리한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및 상기 실시예 3-1에서 분리한 커큐민의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뉴리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 활성은 효소 분석 키트(Amplex® Red neuraminidase (Sialidase) enzyme assay Kit; Invitrogen detection Technologies)를 사용하여 메뉴얼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은 Amplex® Red (10-acetyl-3,7-dihydroxyphenoxazine)를 이용하여 NA 작용의 최종산물인 탈시아릴화 갈락토오즈(desialylated galactose)의 갈락토오스 산화효소 산화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H2O2)를 검출한다. 과산화수소는 HRP(horseradish peroxidase)의 존재하에, Amplex® Red 시약과 반응하여 적색형광 생성물인 레조루핀(resorufin; 형광 방출 최대는 약 563 nm임)을 생성하고, 이는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형광 측정법으로 검출된다 (Karar MGE, et al., Food & function, 7(4):2052-2059, 2016).
간략하게, 96웰 플레이트의 한 웰당 2배 농도의 워킹 솔루션(100 μM Amplex Red reagent, 0.2 U/㎖ HRP, 4 U/㎖ galactose oxidase 및 500 ㎍/㎖ fetuin) 50 ㎕ 및 50 ㎕의 뉴라미니데이즈를 첨가하였다. 상기 웰에 각각에 농도를 동일하게 맞춘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1 내지 4, 양성 대조군인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St Louis, 미국) 및 망기페린(Mangiferin)을 10 ㎕를 첨가하였다. 블랭크(Blank)에는 10 ㎕의 DMSO를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듀얼실린지 펌프(dual syringe pump)가 설치된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fluorescence plate reader; FLUOstar Omega, BMG Labtech)를 이용하여 37℃에서 90분간 형광을 측정하였다.
뉴라미니데이즈 저해 활성은 양성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 억제 비율로 결정되었으며,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수행하였다.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의 NA 활성
  Absolute fluorescence Activity relative
tooseltamivir
Activity relative
tomangiferin
Oseltamivir 45219 1 0
Mangiferin 21608 0 1
화합물 1 21950 2.060 0.984
화합물 2 24992 1.809 0.865
화합물 3 10378 4.357 2.082
화합물 4 23867 1.895 0.905
커큐민 27577 1.640 0.784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뉴라미니데이즈 저해활성은 양성대조군인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및 망기페린(Mangiferin) 각각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 억제 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모두 유의하게 뉴라미니데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화합물 3은 강력한 뉴라미니데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커큐민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뉴라미니데이즈 억제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고량강 유래 4종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Claims (10)

  1.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21015927911-pat0002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21015927911-pat00032
    .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은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90053482A 2019-05-08 2019-05-08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222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82A KR102226992B1 (ko) 2019-05-08 2019-05-08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82A KR102226992B1 (ko) 2019-05-08 2019-05-08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88A KR20200129288A (ko) 2020-11-18
KR102226992B1 true KR102226992B1 (ko) 2021-03-11

Family

ID=7369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482A KR102226992B1 (ko) 2019-05-08 2019-05-08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9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1497A1 (ja) 2008-11-27 2010-06-03 学校法人日本大学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1497A1 (ja) 2008-11-27 2010-06-03 学校法人日本大学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Chemother. Pharmacol., 63, 1131-1139, 2009.*
J. Nat, Med., 64, 117-120, 2010.*
J. Nat. Med., 67, 773-781,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8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920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170121866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분리된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087759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138461B1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9823B1 (ko)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US9174925B2 (en) Phorbol type diterpene compou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viral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same
WO200915117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iral diseases containing rhodiola extracts, fractions, the isolated flavonoid compounds therefrom, derivatives compounds thereof or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50055683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9872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26992B1 (ko) 고량강 유래 다이아릴헵타노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1530652B1 (ko) 참오동나무 유래 제라닐레이티드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US10136663B2 (en) Curcuminoid-based compound/stevioside-containing complex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 influenza virus infection
KR101011454B1 (ko) 고삼 추출물, 고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테로카판계 및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00351B1 (ko) 고삼 추출물, 고삼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테로카판계 및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15063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6425B1 (ko) 땅콩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9822B1 (ko) 쿠마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02460B1 (ko) 곰우단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파라터페닐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6550A (ko) 골담초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458465B1 (ko) 참오동나무 유래 신규한 토멘틴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1520428B1 (ko)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0981296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