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683A -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683A
KR20150055683A KR1020130137867A KR20130137867A KR20150055683A KR 20150055683 A KR20150055683 A KR 20150055683A KR 1020130137867 A KR1020130137867 A KR 1020130137867A KR 20130137867 A KR20130137867 A KR 20130137867A KR 20150055683 A KR20150055683 A KR 2015005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compound
influenza
virus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근
양준리
김은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683A/ko
Publication of KR2015005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세포내 감염을 저해하는 효과가 뛰어나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장품, 건강식품, 동물사료, 동물약품 산업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s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ld, Avian influenza, or Swine influenza}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소믹소'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Orthomyxovirus)로서 A, B, C형으로 분류된다. A형은 사람에게 주로 감염이 확인되며 B, C형에 비하여 돼지, 기타 포유류 및 다양한 야생조류에서 감염이 확인되고 있는 바이러스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돼지 인플루엔자(Swine influenza) 및 신종플루(Novel flu) 등은 모두 A형 바이러스에 속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에는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A)과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라는 두 가지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HA는 16종이 있고 NA는 9종이 있으므로 16×9=144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발생할 수 있다. 조류에서의 인플루엔자 감염은 주로 H5형이나 H7형 및 H9형에 관련되며, 3종류의 헤마글루티닌(H1, H2, H3)과 2가지 형태의 뉴라미니데이즈(N1과 N2)만이 인간에서 인플루엔자 감염을 일으키므로 원칙적으로 인간은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최근의 조류 인플루엔자는 조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전자 재조합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사람에게 전파된 예도 발생하고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는 닭과 오리, 칠면조 등 가금류를 접촉하는 것 이외에도 야생조류와 우리나라에 온 철새들을 통해서 빠르게 전파된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한 동남아로부터 주기적으로 유입되어 전파되며 특히 봄철 황사를 통해 중국으로부터도 전염된다.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동물 바이러스 질환인 조류 인플루엔자는 국내에서 1996년 이후 발생해 530만 마리의 닭, 오리가 도살되는 등 1,500억 원 이상의 직접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아시아에서도 조류 인플루엔자를 통해 2억 마리 이상의 축산물이 도살되어 양계산업의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
2013년도에 발생하여 현재까지 중국 전역을 공포에 빠지게 한 신종 H7N9형 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는 특이하게 조류에서 인간으로 전파가 가능한 바이러스이다. 이 바이러스는 인간에 있어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2013년 4월 28일까지 총 감염 AI 환자는 118명 중 사망자가 24명으로 치사율이 20% 이상에 달할 정도로 강력한 질병이다. 현재까지 중국에서 환자가 발견된 성(省)도 중국 31개 성, 시 중 3분의 1가량인 10개로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으며, 특히 우려할 일은 바이러스의 유전자 변이가 이미 시작됐고, 바이러스 아미노산 위치 변이가 한 단계 더 진행될 때 사람 사이 전염도 가능하다는 주장이 최근 제기되었다. 중국의 바이러스 학자는 의학전문지 랜싯(The Lancet)에 “신종 AI 바이러스의 유전자 아미노산 위치 변화가 이미 세 차례 발생했고, 한 차례 더 진행될 경우 안정적인 유전자 구조가 파괴돼 사람 간 전염이 일어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돼지 인플루엔자(Swine influenza)는 1918년에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보통 돼지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인플루엔자 수용체(N-acetylneuraminic acid α2,6 galactose)와 조류들이 갖고 있는 인플루엔자 수용체(N-acetylneuraminic acid α2,3 galactose)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돼지의 몸 안에서 재조합(reassortment) 또는 적응(adaptation)을 통하여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 혼합용기(mixing vessels)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2009년 멕시코에서 처음 발병하여 전세계로 퍼지고 있는 신종플루(Novel influenza)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1N1이 돼지에게 감염되어 인간에게 전염이 가능한 질환으로 변이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종플루는 기본적으로 감기처럼 고열,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현재 상태보다 인간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집계하는 신종플루의 감염자 수는 2009년 10월 초까지 그 수가 34만 3200명에 달하였고, 사망자는 4,000명을 넘어섰으며, 2010년 세계보건기구는 신종플루의 현황을 6단계인 대유행 상태로 격상하였다. 신종플루의 일반적인 증상은 일반 독감과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신종플루는 일반 독감과 비슷하게 발열, 인후통, 기침, 콧물 또는 코막힘의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의 신종플루 관련 보고에 의하면 일반독감보다 심한 치명적인 폐 손상을 유발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므로 신종플루의 예방 및 치료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백신의 확보가 필수적이나 예방적 차원의 국가적 백신 대책으로 매번 항원변이가 일어나는 RNA 바이러스를 모두 예방하는 백신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신종플루 또는 최악의 발병 가능성인 조류 인플루엔자와 신종플루가 섞인 새로운 병원체의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이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현재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신종플루의 유일한 치료제는 바이러스 기원의 뉴라미니데이즈에 선택적인 저해물질로 개발된 경구용 치료제인 타미플루(oseltamivir phosphate)와 흡입형인 리렌자(zanamivir) 등이 있다. 경구용 치료제로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타미플루의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신경계나 정신계의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일본의 경우 타미플루를 승인 후 확인된 소아환자의 사망예가 15건이 될 정도로 부작용을 갖고 있다. 한편, 경구용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타미플루에 대한 내성 바이러스가 발병할 경우를 대비할 필요성이 있는데, 최근에 이미 신종플루의 확산에 치명적인 타미플루에 대한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이 보고되고 있으며,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의 인간 대 인간 전염조차도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바이러스 치료제의 개발은 인간의 보건안전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감기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병으로서, 통상적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형, B형, C형, 아데노 바이러스(adenovirus),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 라이노 바이러스(rhinovirus), RS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어 치료나 예방, 백신 제조 등이 쉽지 않은 질병에 속한다. 따라서, 감기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반적인 바이러스의 증식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와 만나서 숙주세포에 들어가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 과정을 부착과 침투의 과정(adsorption and penetration)이라고 부른다. 일단 숙주세포에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바이러스는 게놈(genome)을 제외한 모든 구조물들을 제거하고(uncoating), 노출된 게놈을 이용하여 새로운 게놈을 복제하는 과정과 이 게놈을 둘러쌀 단백질들을 생산하는 증식과정(multiplication)을 거쳐 바이러스의 새로운 게놈과 새로운 단백질들을 대량 생산하게 된다. 이 후, 새로이 만들어진 게놈과 단백질을 이용하여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만들어내는 조합과 성숙 과정(assembly and maturation)과 바이러스 입자가 숙주세포에서 세포 밖으로 나가는 방출과정(release)을 거쳐 새로운 바이러스로 탄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분의 약제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 약제를 실험적으로 변형시키는 것보다는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 약제들로부터 새로운 활성 성분을 찾는 것이 여러가지 면에서 장점이 많다. 특히 이러한 활성 성분들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약물들에 의한 독성 염려가 적다. 이러한 사실은 신종플루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타미플루도 출발물질은 중국의 토착식물인 '스타아니스' 열매를 주원료로 개발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두릅나무과의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뿌리를 주로 약용부위로 사용하고 있으며, 뿌리의 잔뿌리를 제거하고 말려서 사용하거나 식물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백삼(白蔘:생 것), 홍삼(紅蔘:찐 것), 미삼(尾蔘:가는 뿌리)으로 구분하여 약효에 따라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야생삼도 장뇌와 산삼으로 구별한다. 중국에서는 인삼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말하며 원삼(재배삼), 홍삼, 산삼(야생삼)으로 구별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듯한(甘苦微溫)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인삼을 수경 재배하여 일정한 시간 내에 지상부와 지하부를 모두 포함하는 인삼을 재배하여 시판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수경재배 인삼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식품원료로서 사용가능성을 타진받고 있는 상태로, 일반적으로 조사포닌의 함량이 뿌리보다 잎과 줄기에 현저히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숙주세포에 감염시킨 후 감염세포의 생존도를 비교하는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cytopathic effect reduction assay, CPE reduction assay)를 사용하여 상기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는,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특정 물질이 1) 바이러스의 증식, 복제, 방출과정을 직접적으로 저해하거나 2) 인접 세포로부터 바이러스를 퇴치가능한 물질(인터페론 등)을 증가시키거나 3) 감염된 세포의 기능강화에 따른 자연치유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가 살아남을 것이라는 원리를 이용하는 실험방법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35463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37595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855409호와 [J. Med. Food., 2012, 15(10), 855-862]에는 가공인삼의 한 종류인 흑삼의 추출물,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미국산 인삼 분획물 등이 조류 인플루엔자나 감기 독감 등에 효과가 있다고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들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는 것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35463호 (흑삼 가공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011.05.11.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2009-0037595호 (항-조류독감 바이러스 조성물, 2009.04.16.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855409호 (미국산 인삼 분획물을 만드는 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생산물, 및 면역 조절제로서 미국산 인삼 분획물의 이용, 2008.08.25. 등록)
Yoo, D.G. et al, Protect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the infections by H1N1 and H3N2 influenza viruses in mice. J. Med. Food., 2012, 15(10), 855-862.
본 발명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ginsenoside Rd,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b1(ginsenoside Rb1,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b2(ginsenoside Rb2, 화합물 3), 진세노사이드 F3(ginsenoside F3,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F5(ginsenoside F5,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Rg1(ginsenoside Rg1, 화합물 6), 진세노사이드 Re(ginsenoside Re, 화합물 7), 및, 진세노사이드 Rh18(ginsenoside Rh18, 화합물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약품이나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천연소독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들은 통상의 방법으로 합성 가능하며, 인삼(인삼 뿌리, 잎 또는 줄기) 또는 인삼 가공물(홍삼 또는 흑삼 등) 중량의 2~50배(w/v)의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의 추출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의 추출물은 유기용매(알코올, 알코올 수용액,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디아이온 HP-20 레진과 같은 흡착수지 사용방법,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된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들을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의 추출물에 상기 추출물 중량의 2~50배(w/v)의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이를 정제 분획한 뒤,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는 화합물들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에는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의 활성 측정은, 상기 진세노사이드를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9N2)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1N1)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세포에 처리한 후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가 포함된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및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동물약품이나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동물약품이나 사료 첨가제는 동물과 인간에게서 공통적으로 발병하는 인플루엔자 질환에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F3, 진세노사이드 F5, 진세노사이드 Rg1,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Rh1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저해하는 효과가 뛰어나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장품, 건강식품, 동물사료, 동물약품 산업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진세노사이드 Rh18(ginsenoside Rh18, 화합물 8)의 C13 NMR 결과 및 HMBC 분석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H1N1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본 발명의 화합물 진세노사이드 Rb2(화합물 3, 도 2A), 진세노사이드 F3(화합물 4, 도 2B), 진세노사이드 Rg1(화합물 6, 도 2C) 및 진세노사이드 Re(화합물 7, 도 2D)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MDCK 세포주에서 나타나는 세포의 생존도를 농도별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은 H1N1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숙주세포인 MDCK 세포주에서 진세노사이드 Rb1(도 3D), 진세노사이드 Re(도 3E), 진세노사이드 Rh18(도 3F)을 5㎍/㎖의 농도로 처리시 나타나는 세포의 회복도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인삼잎으로부터 활성 화합물의 용매 추출조건 확인>
본 발명에 이용된 인삼잎(인삼의 잎부위)은 광주의 지역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인삼잎을 건조한 후, 건조된 인삼잎 10g을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 200㎖을 사용하여 4시간 동안 3회에 걸쳐 초음파 추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 후, 고형분을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각 추출물 당 0.35~4.40g의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실시예 4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를 참고하면, 인삼잎 추출물은 인삼잎 추출물은 50% 에탄올 수용액부터 90% 에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조건에서 그 활성이 매우 좋았으며, 이에 70% 에탄올 수용액을 최적 추출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추출물 추출량
(건조시료 10g당 추출량g)
활성측정농도
(㎍/㎖)
H1N1 감염군에 대한
각 추출물의 세포생존도
3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02g 20 8.67%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40g 20 25.06%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21g 20 40.23%
9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4.01g 20 35.06%
7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 3.89g 20 41.85%
에탄올 추출물 3.13g 20 7.85%
메탄올 추출물 3.06g 20 2.50%
아세톤 추출물 0.86g 20 2.53%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0.75g 20 3.45%
클로로포름 추출물 0.35g 20 4.28%
증류수 추출물 4.36g 20 3.75%
< 실시예 2. 인삼잎 추출물로부터 사포닌계 화합물의 분리>
인삼잎 5kg에 70% 에탄올 수용액 10ℓ를 가하여 실온에서 추출하였으며, 이 과정을 총 3회 수행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농축하여 건조물로 제조하였고, 건조된 70% 에탄올 추출물(550g)을 5ℓ의 물에 현탁시킨 후, 각각 4ℓ씩의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각각의 분획단계는 3번 반복하였다.
이 후, 상기 부탄올 분획물(245g)을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10:1 → 0:1)의 용매구배 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20×60㎝; 63~200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TLC 패턴에 따라 나뉘어진 7개의 소분획물을 얻었다(F1-F7). 소분획물 F1(12.7g)의 일부(110㎎)를 메탄올-물(62:38)을 이동상으로 HPLC[YMC J-sphere ODS-H80 column 10×250㎜; 10μm 입자 크기 2㎖/min; UV detection: 205nm]를 실시하여 화합물 8(16㎎)을 얻었으며, 화합물 5(35㎎)는 소분획물 F3(16.0g)의 일부(983㎎)를 메탄올-물(66:34)을 이동상으로 HPLC[YMC J-sphere ODS-H80 column 10×250㎜; 10μm 입자 크기 2㎖/min; UV detection: 205nm]를 실시하여 얻었다.
한편, 소분획물 F5(30.5g)를 세파덱스 엘에취-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7×30㎝)에서 메탄올을 용매조건으로 7개의 소분획물을 얻었다(F5.1-F5.7). 소분획물F5.3(3.2g)을 메탄올-물(1:2→1:0)의 용매구배 조건으로 다시 역상(RP-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5.0×30㎝; LiChroprep RP-18 40~63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였으며, 이 때 얻은 소분획물 중 F5.3.8(323㎎)을 메탄올-물(66:34)을 이동상으로 HPLC[YMC J-sphere ODS-H80 column 10×250㎜; 10μm 입자 크기 2㎖/min; UV detection: 205nm]를 실시하여 화합물 4(12.5㎎)와 화합물 6(102.1㎎)을 얻었다. 화합물 1(1.2g)은 인삼잎의 주 화합물로 소분획물 F5.5(2.1g)를 메탄올-물(1:4→11:1)의 용매구배 조건으로 역상(RP-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5.0×30㎝; LiChroprep RP-18 40~63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얻었으며, 화합물 7(111.6㎎)은 화합물 1을 분획한 조건과 동일한 칼럼에서 메탄올-물(1:2→1:0)의 조건에서 분리하였다.
소분획물 F6(70.6g)을 클로로포름-메탄올(40:1→0:1)의 용매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10×70㎝; 63~200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소분획물 F6.9(6.8g)를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F6.9(6.8g)를 메탄올-물(1:3→1:0)의 용매구배 조건으로 역상(RP-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5.0×60㎝; LiChroprep RP-18 40~63μm particle size)를 실시하여 F6.9.18을 얻었다. 항바이러스 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소분획물 F6.9.18(293㎎) 일부를 메탄올-물(66:34→70:30)을 이동상으로 HPLC[YMC J-sphere ODS-H80 column 10×250㎜; 10μm 입자 크기 2㎖/min; UV detection: 204nm]를 실시하여 화합물 2(25㎎)와 화합물 3(36㎎)을 얻었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화학구조 분석>
상기 인삼잎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의 질량분석 및 핵자기공명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다.
실시예 3-1. 진세노사이드 Rd ( ginsenoside Rd , 화합물 1)
ESI-MS m/z: 947 [M+H]+
1H-NMR (400 MHz, d 5-pyridine): 0.81 (1H, m, H-1a), 1.55 (1H, m, H-1b), 1.85 (1H, m, H-2a), 2.21 (1H, m, H-2b), 3.27 (1H, dd, J = 7.5, 4.5 Hz, H-3), 0.68 (1H, br d, J = 12.5 Hz, H-5), 1.28 (1H, m, H-6a), 1.50 (1H, m, H-6b), 1.20 (1H, m, H-7a), 1.46 (1H, m, H-7b), 1.65 (1H, m, H-9), 2.04 (1H, m, H-11a), 1.50 (1H, m, H-11b), 4.12 (1H, m, H-12), 1.96 (1H, d, J = 10.8 Hz, H-13), 1.62 (1H, m, H-15a), 1.04 (1H, m, H-15b), 1.73 (1H, m, H-16a), 1.26 (1H, m, H-16b), 2.47 (1H, m, H-17), 1.16 (3H, s, H-18), 1.01 (3H, s, H-19), 1.58 (3H, s, H-21), 2.37 (1H, td, J = 13.0, 3.2 Hz, H-22a), 1.79 (1H, td, J = 12.5, 5.0 Hz, H-22b), 2.46 (1H, m, H-23a), 2.21 (1H, m, H-23b), 5.24 (1H, t, J = 7.5 Hz, H-24), 1.58 (3H, s, H-26), 1.58 (3H, s, H-27), 2.05 (3H, s, H-28), 1.59 (3H, s, H-29), 0.80 (3H, s, H-30); 3-Glc: 4.92 (1H, d, J = 6.5 Hz, H-1'), 4.25 (1H, dd, J = 6.9, 4.6 Hz, H-2'), 4.30 (1H, t, J = 4.2 Hz, H-3'), 4.24 (1H, t, J = 4.1 Hz, H-4'), 3.93 (1H, d, J = 4.4 Hz, H-5'), 4.55 (1H, dd, J = 11.0, 4.5 Hz, H-6'a), 4.32 (1H, dd, J = 10.8, 4.1 Hz, H-6'b); 2'-Glc: 5.40 (1H, d, J = 7.8 Hz, H-1"), 4.13 (1H, dd, J = 7.7, 4.3 Hz, H-2"), 4.31 (1H, t, J = 4.8 Hz, H-3"), 4.15 (1H, t, J = 4.2 Hz, H-4"), 3.90 (1H, d, J= 4.7 Hz, H-5"), 4.48 (1H, dd, J = 11.1, 4.3 Hz, H-6"a), 4.36 (1H, dd, J = 11.1, 3.2 Hz, H-6"b); 20-Glc: 5.15 (1H, d, J = 7.5Hz, H-1"'), 3.98 (1H, t, J = 8.5 Hz, H-2"'), 4.23 (1H, m, H-3"'), 4.17 (1H, m, H-4"'), 3.91 (1H, m, H-5"'), 4.47 (1H, dd, J = 12.0, 2.5 Hz, H-6"'a), 4.31 (1H, m, H-6"'b).
13C-NMR (100 Hz, d 5-pyridine): 39.1 (C-1), 27.2 (C-2), 89.0 (C-3), 39.7 (C-4), 56.4 (C-5), 18.4 (C-6), 35.2 (C-7), 39.8 (C-8), 50.6 (C-9), 37.0 (C-10), 31.0 (C-11), 70.7 (C-12), 49.6 (C-13), 50.7 (C-14), 30.5 (C-15), 26.8 (C-16), 51.7 (C-17), 17.7 (C-18), 17.7 (C-19), 83.5 (C-20), 22.5 (C-21), 36.1 (C-22), 23.0 (C-23), 126.0 (C-24), 131.0 (C-25), 25.9 (C-26), 18.0 (C-27), 31.9 (C-28), 16.5 (C-29), 17.5 (C-30); 3-Glc: 105.0 (C-1'), 83.5 (C-2'), 78.2 (C-3'), 72.0 (C-4'), 78.1 (C-5'), 63.1 (C-6'); 2'-Glc: 106.1 (C-1"), 77.1 (C-2"), 78.5 (C-3"), 71.7 (C-4"), 78.0 (C-5"), 62.9 (C-6"); 20-Glc: 98.3 (C-1"'), 75.3 (C-2"'), 78.9 (C-3"'), 71.7 (C-4"'), 78.2 (C-5"'), 62.5(C-6"').
실시예 3-2. 진세노사이드 Rb1 ( ginsenoside Rb1 , 화합물 2)
ESI-MS m/z: 1109 [M+H]+
1H-NMR (400 MHz, d 5-pyridine): 0.79 (1H, m, H-1a), 1.55 (1H, m, H-1b), 1.85 (1H, m, H-2a), 2.21 (1H, m, H-2b), 3.29 (1H, dd, J = 7.6, 4.5 Hz, H-3), 0.68 (1H, br d, J = 12.0 Hz, H-5), 1.28 (1H, m, H-6a), 1.50 (1H, m, H-6b), 1.20 (1H, m, H-7a), 1.44 (1H, m, H-7b), 1.65 (1H, m, H-9), 2.04 (1H, m, H-11a), 1.51 (1H, m, H-11b), 4.12 (1H, m, H-12), 1.96 (1H, d, J = 10.4 Hz, H-13), 1.62 (1H, m, H-15a), 1.04 (1H, m, H-15b), 1.75 (1H, m, H-16a), 1.26 (1H, m, H-16b), 2.47 (1H, m, H-17), 1.16 (3H, s, H-18), 1.01 (3H, s, H-19), 1.60 (3H, s, H-21), 2.37 (1H, td, J = 13.0, 3.5 Hz, H-22a), 1.80 (1H, td, J = 12.5, 5.0 Hz, H-22b), 2.46 (1H, m, H-23a), 2.21 (1H, m, H-23b), 5.21 (1H, t, J = 7.8 Hz, H-24), 1.58 (3H, s, H-26), 1.59 (3H, s, H-27), 2.05 (3H, s, H-28), 1.59 (3H, s, H-29), 0.82 (3H, s, H-30); 3-Glc: 4.93 (1H, d, J = 5.8 Hz, H-1'), 4.23 (1H, dd, J = 7.0, 4.6 Hz, H-2'), 4.30 (1H, t, J = 4.5 Hz, H-3'), 4.24 (1H, t, J = 4.1 Hz, H-4'), 3.93 (1H, d, J = 4.3 Hz, H-5'), 4.55 (1H, dd, J = 10.8, 4.5 Hz, H-6'a), 4.32(1H, dd, J = 11.1, 4.1 Hz, H-6'b); 2'-Glc: 5.42 (1H, d, J = 7.8 Hz, H-1"), 4.13 (1H, dd,J = 7.7, 4.3 Hz, H-2"), 4.31 (1H, t, J = 4.8 Hz, H-3"), 4.14 (1H, t, J = 4.2 Hz, H-4"), 3.90 (1H, d, J= 4.7 Hz, H-5"), 4.48 (1H, dd, J = 11.1, 4.3 Hz, H-6"a), 4.36 (1H, dd, J = 11.0, 3.2 Hz, H-6"b); 20-Glc: 5.16 (1H, d, J=7.1 Hz, H-1"'), 3.98 (1H, t, J = 8.5Hz, H-2"'), 4.23 (1H, m, H-3"'), 4.17 (1H, m, H-4"'), 3.91 (1H, m, H-5"'), 4.65 (1H, dd, J = 12.0, 2.5 Hz, H-6"'a), 4.31 (1H, m, H-6"'b); 6"'-Glc: 5.32 (1H, d, J = 6.8 Hz, H-1""), 4.01 (1H, t, J = 8.5Hz, H-2""), 4.20 (1H, m, H-3""), 4.17 (1H, m, H-4""), 3.91 (1H, m, H-5""), 4.35 (1H, dd, J = 12.0, 2.5 Hz, H-6""a), 4.31 (1H, m, H-6""b).
13C-NMR (100 Hz, d 5-pyridine): 39.0 (C-1), 27.2 (C-2), 89.0 (C-3), 39.7 (C-4), 56.4 (C-5), 18.4 (C-6), 35.1 (C-7), 39.8 (C-8), 50.6 (C-9), 37.0 (C-10), 31.0 (C-11), 70.8 (C-12), 49.6 (C-13), 50.8 (C-14), 30.5 (C-15), 26.8 (C-16), 51.7 (C-17), 17.7 (C-18), 17.7 (C-19), 83.4 (C-20), 22.5 (C-21), 36.1 (C-22), 23.1 (C-23), 126.0 (C-24), 131.0 (C-25), 25.9 (C-26), 18.1 (C-27), 31.9 (C-28), 16.5 (C-29), 17.5 (C-30); 3-Glc: 105.3 (C-1'), 83.5 (C-2'), 78.5 (C-3'), 72.0 (C-4'), 78.1 (C-5'), 63.1 (C-6'); 2'-Glc: 106.1 (C-1"), 77.1 (C-2"), 78.5 (C-3"), 71.9 (C-4"), 78.0 (C-5"), 62.9 (C-6"); 20-Glc: 98.0 (C-1"'), 75.3 (C-2"'), 78.9 (C-3"'), 71.7 (C-4"'), 78.2 (C-5"'), 68.7 (C-6"'); 6"'-Glc: 106.0 (C-1""), 77.1 (C-2""), 78.5 (C-3""), 71.9 (C-4""), 78.0 (C-5""), 63.0 (C-6"")
실시예 3-3. 진세노사이드 Rb2 ( ginsenoside Rb2 , 화합물 3)
ESI-MS m/z: 1101 [M+Na]+
1H-NMR (400 MHz, d 5-pyridine): 0.83 (1H, m, H-1a), 1.55 (1H, m, H-1b), 1.85 (1H, m, H-2a), 2.21 (1H, m, H-2b), 3.27 (1H, dd, J = 7.5, 4.7 Hz, H-3), 0.68 (1H, br d, J=12.5 Hz, H-5), 1.28 (1H, m, H-6a), 1.50 (1H, m, H-6b), 1.23 (1H, m, H-7a), 1.46 (1H, m, H-7b), 1.65 (1H, m, H-9),2.04 (1H, m, H-11a), 1.52 (1H, m, H-11b), 4.12 (1H, m, H-12), 1.96 (1H, d, J = 10.8 Hz, H-13), 1.62 (1H, m, H-15a), 1.06 (1H, m, H-15b), 1.73 (1H, m, H-16a), 1.26 (1H, m, H-16b), 2.47 (1H, m, H-17), 1.16 (3H, s, H-18), 1.00 (3H, s, H-19), 1.58 (3H, s, H-21), 2.37 (1H, td, J = 13.0, 3.2 Hz, H-22a), 1.79 (1H, td, J = 11.6, 5.0 Hz, H-22b), 2.46 (1H, m, H-23a), 2.21 (1H, m, H-23b), 5.25 (1H, t, J = 7.5Hz, H-24), 1.58 (3H, s, H-26), 1.60 (3H, s, H-27), 2.05 (3H, s, H-28), 1.59 (3H, s, H-29), 0.80 (3H, s, H-30); 3-Glc: 4.95 (1H, d, J = 6.6 Hz, H-1'), 4.25 (1H, dd, J = 6.9, 4.6 Hz, H-2'), 4.30 (1H, t, J = 4.2 Hz, H-3'), 4.24 (1H, t, J = 4.4 Hz, H-4'), 3.93 (1H, d, J = 4.7 Hz, H-5'), 4.55 (1H, dd, J = 11.0, 4.5 Hz, H-6'a), 4.32 (1H, dd, J = 10.8, 4.1 Hz, H-6'b); 2'-Glc: 5.42 (1H, d, J = 7.8 Hz, H-1"), 4.13 (1H, dd, J = 7.7, 4.3 Hz, H-2"), 4.31 (1H, t, J = 4.8 Hz, H-3"), 4.15 (1H, t, J = 4.2 Hz, H-4"), 3.92 (1H, d, J= 4.7 Hz, H-5"), 4.48 (1H, dd, J = 11.1, 4.3 Hz, H-6"a), 4.36 (1H, dd, J = 11.1, 3.2 Hz, H-6"b); 20-Glc: 5.10 (1H, d, J = 7.2 Hz, H-1"'), 3.93 (1H, m, H-2"'), 4.13 (1H, m, H-3"'), 4.00 (1H, m, H-4"'), 4.01 (1H, m, H-5"'), 4.65 (1H, d, J = 10.0Hz, H-6"'a), 4.30 (1H, m, H-6"'b), 6"'-Ara: 5.02 (1H, d, J = 5.6 Hz, H-1""), 4.14 (1H, m, H-2""), 4.28 (1H, m, H-3""), 4.40 (1H, m, H-4""), 3.90 (1H, m, H-5""), 4.35 (1H, m, H-5"").
13C-NMR (100 Hz, d 5-pyridine): 39.1 (C-1), 27.2 (C-2), 89.0 (C-3), 39.8 (C-4), 56.4 (C-5), 18.4 (C-6), 35.2 (C-7), 39.8 (C-8), 50.6 (C-9), 37.0 (C-10), 31.1 (C-11), 70.7 (C-12), 49.6 (C-13), 50.7 (C-14), 30.5 (C-15), 26.8 (C-16), 51.6 (C-17), 17.7 (C-18), 17.7 (C-19), 83.5 (C-20), 22.5 (C-21), 36.1 (C-22), 23.0 (C-23), 126.0 (C-24), 131.0 (C-25), 25.9 (C-26), 18.1 (C-27), 31.9 (C-28), 16.5 (C-29), 17.5 (C-30); 3-Glc: 105.0 (C-1'), 83.5 (C-2'), 78.3 (C-3'), 72.0 (C-4'), 78.1 (C-5'), 63.1 (C-6'); 2'-Glc: 106.1 (C-1"), 77.1 (C-2"), 78.5 (C-3"), 71.7 (C-4"), 78.0 (C-5"), 62.9 (C-6"); 20-Glc: 98.5 (C-1"'), 75.1 (C-2"'), 79.4 (C-3"'), 72.0 (C-4"'), 77.0 (C-5"'), 69.0 (C-6"'); 6'-Ara: 104.9 (C-1""), 72.3 (C-2""), 74.2 (C-3""), 68.9 (C-4""), 66.2 (C-5"").
실시예 3-4. 진세노사이드 F3 ( ginsenoside F3, 화합물 4)
ESI-MS m/z: 771 [M+H]+
1H-NMR (400 MHz, d 5-pyridine): 1.71 (1H, m, H-1a), 0.95 (1H, m, H-1b), 1.90 (1H, m, H-2a), 1.80 (1H, m, H-2b), 3.46 (1H, dd, J = 12.0, 5.1 Hz, H-3), 1.25 (1H, d, J = 11.4 Hz, H-5), 4.47 (1H, t, J = 10.8 Hz, H-6), 2.02 (1H, m, H-7a), 1.94 (1H, m, H-7b), 1.65 (1H, m, H-9), 2.07 (1H, m, H-11a), 1.49 (1H, m, H-11b), 4.15 (1H, m, H-12), 1.93 (1H, t, J = 11.0 Hz, H-13), 1.65 (1H, m, H-15a), 1.01 (1H, m, H-15b), 1.71 (1H, m, H-16a), 1.27 (1H, m, H-16b), 2.46 (1H, m, H-17), 1.14 (3H, s, H-18), 1.00 (3H, s, H-19), 1.61 (3H, s, H-21), 2.33 (1H, m, H-22a), 1.78 (1H, m, H-22b), 2.55 (1H, m, H-23a), 2.30 (1H, m, H-23b), 5.30 (1H, t, J = 7.0 Hz, H-24), 1.60 (3H, s, H-26), 1.62 (3H, s, H-27), 2.01 (3H, s, H-28), 1.60 (3H, s, H-29), 0.80 (3H, s, H-30); 20-Glc: 5.10 (1H, d, J = 7.2 Hz, H-1'), 3.92 (1H, m, H-2'), 4.13 (1H, m, H-3'), 4.00 (1H, m, H-4'), 4.01 (1H, m, H-5'), 4.66 (1H, d, J = 10.0 Hz, H-6'a), 4.30 (1H, m, H-6'b), 6'-Ara: 5.02 (1H, d, J = 5.6 Hz, H-1"), 4.13 (1H, m, H-2"), 4.28 (1H, m, H-3"), 4.40 (1H, m, H-4"), 3.90 (1H, m, H-5"), 4.35 (1H, m, H-5").
13C-NMR (100 MHz, d 5-pyridine): 39.1 (C-1), 28.1 (C-2), 78.6 (C-3), 40.5 (C-4), 62.3 (C-5), 69.0 (C-6), 48.1 (C-7), 40.1 (C-8), 50.2 (C-9), 39.8 (C-10), 31.0 (C-11), 70.5 (C-12), 49.5 (C-13), 50.9 (C-14), 30.7 (C-15), 26.8 (C-16), 51.9 (C-17), 17.7 (C-18), 17.6 (C-19), 83.5 (C-20), 22.2 (C-21), 36.1 (C-22), 23.2 (C-23), 126.1 (C-24), 131.0 (C-25), 25.7 (C-26), 18.0 (C-27), 32.0 (C-28), 16.5 (C-29), 17.2 (C-30); 20-Glc: 98.4 (C-1'), 75.1 (C-2'), 79.4 (C-3'), 72.0 (C-4'), 77.0 (C-5'), 69.0 (C-6'); 6'-Ara: 104.9 (C-1"), 72.4 (C-2"), 74.2 (C-3"), 68.9 (C-4"), 66.0 (C-5").
실시예 3-5. 진세노사이드 F5 ( ginsenoside F5, 화합물 5)
ESI-MS m/z: 771 [M+H]+
1H-NMR (400 MHz, d 5-pyridine): 1.70 (1H, m, H-1a), 0.96 (1H, m, H-1b), 1.90 (1H, m, H-2a), 1.80 (1H, m, H-2b), 3.47 (1H, dd, J = 11.0, 4.5 Hz, H-3), 1.25 (1H, d, J = 11.4 Hz, H-5), 4.45 (1H, t, J = 10.4 Hz, H-6), 2.03 (1H, m, H-7a), 1.96 (1H, m, H-7b), 1.63 (1H, m, H-9), 2.07 (1H, m, H-11a), 1.50 (1H, m, H-11b), 4.15 (1H, m, H-12), 1.93 (1H, t, J = 11.0 Hz, H-13), 1.65 (1H, m, H-15a), 1.02 (1H, m, H-15b), 1.71 (1H, m, H-16a), 1.27 (1H, m, H-16b), 2.46 (1H, m, H-17), 1.14 (3H, s, H-18), 1.00 (3H, s, H-19), 1.60 (3H, s, H-21), 2.33 (1H, m, H-22a), 1.78 (1H, m, H-22b), 2.56 (1H, m, H-23a), 2.30 (1H, m, H-23b), 5.30 (1H, t, J = 7.0 Hz, H-24), 1.60 (3H, s, H-26), 1.63 (3H, s, H-27), 2.03 (3H, s, H-28), 1.60 (3H, s, H-29), 0.79 (3H, s, H-30); 20-Glc: 5.09 (1H, d, J = 8.0 Hz, H-1'), 3.92 (1H, m, H-2'), 4.15 (1H, m, H-3'), 4.00 (1H, m, H-4'), 3.99 (1H, m, H-5'), 4.65 (1H, d, J = 10.0 Hz, H-6'a), 4.31 (1H, m, H-6'b), 6'-Ara: 5.65 (1H, s, H-1"), 4.86 (1H, m, H-2"), 4.80(1H, t, J = 4.8 Hz, H-3"), 4.73 (1H, m, H-4"), 4.30 (1H, m, H-5"), 4.19 (1H, m, H-5").
13C-NMR (100 MHz, d 5-pyridine): 39.3 (C-1), 28.1 (C-2), 78.7 (C-3), 40.5 (C-4), 62.2 (C-5), 69.0 (C-6), 48.0 (C-7), 40.1 (C-8), 50.1 (C-9), 39.8 (C-10), 31.0 (C-11), 70.4 (C-12), 49.5 (C-13), 50.9 (C-14), 30.5 (C-15), 26.8 (C-16), 51.7 (C-17), 17.7 (C-18), 17.7 (C-19), 83.5 (C-20), 22.2 (C-21), 36.1 (C-22), 23.0 (C-23), 126.1 (C-24), 131.0 (C-25), 25.9 (C-26), 18.0 (C-27), 31.9 (C-28), 16.5 (C-29), 17.3 (C-30); 20-Glc: 98.4 (C-1'), 75.1 (C-2'), 79.2 (C-3'), 72.2 (C-4'), 76.4 (C-5'), 68.5 (C-6'); 6'-Ara: 110.2 (C-1"), 83.4 (C-2"), 78.9 (C-3"), 86.0 (C-4"), 62.7 (C-5").
실시예 3-6. 진세노사이드 Rg1 ( ginsenoside Rg1 , 화합물 6)
ESI-MS m/z: 823 [M+Na]+
1H-NMR (500 MHz, d 5-pyridine): 1.70 (1H, m, H-1a), 0.98 (1H, m, H-1b), 1.94 (1H, m, H-2a), 1.84 (1H, t d, J = 12.5, 4.5 Hz, H-2b), 3.49 (1H, dd, J = 11.5, 4.5 Hz, H-3), 1.40 (1H, d, J = 10.5 Hz, H-5), 4.40 (1H, td, J = 10.5, 3.0 Hz, H-6), 2.47 (1H, m, H-7a), 1.91 (1H, m, H-7b), 1.50 (1H, m, H-9), 2.05 (1H, m, H-11a), 1.50 (1H, m, H-11b), 4.12( 1H, m, H-12), 1.96 (1H, d, J = 10.5 Hz, H-13), 1.62 (1H, m, H-15a), 1.04 (1H, m, H-15b), 1.72 (1H, m, H-16a), 1.26 (1H, m, H-16b), 2.47 (1H, m, H-17), 1.14 (3H, s, H-18), 1.01 (3H, s, H-19), 1.58 (3H, s, H-21), 2.37 (1H, td, J = 13.0, 3.5 Hz, H-22a), 1.79 (1H, td, J = 12.5, 4.5 Hz, H-22b), 2.46 (1H, m, H-23a), 2.21 (1H, m, H-23b), 5.24 (1H, t, J = 7.0 Hz, H-24), 1.58 (3H, s, H-26), 1.58 (3H, s, H-27), 2.05 (3H, s, H-28), 1.59 (3H, s, H-29), 0.79 (3H, s, H-30); 6-Glc: 5.00 (1H, d, J = 7.5 Hz, H-1'), 4.08 (1H, m, H-2'), 4.25 (1H, m, H-3'), 4.21 (1H, m, H-4'), 3.92 (1H, m, H-5'), 4.51 (1H, dd, J = 11.5, 2.5 Hz, H-6'a), 4.35 (1H, m, H-6'b); 20-Glc: 5.15 (1H, d, J = 7.5 Hz, H-1"), 3.98 (1H, t, J = 8.5 Hz, H-2"), 4.22 (1H, m, H-3"), 4.16 (1H, m, H-4"), 3.91 (1H, m, H-5"), 4.47 (1H, dd, J = 12.0, 2.5 Hz, H-6"a), 4.33 (1H, m, H-6"b).
13C-NMR (100 MHz, d 5-pyridine): 39.1 (C-1), 28.0 (C-2), 78.8 (C-3), 40.4 (C-4), 61.4 (C-5), 80.1 (C-6), 45.1 (C-7), 41.1 (C-8), 50.0 (C-9), 39.7 (C-10), 30.9 (C-11), 70.4 (C-12), 49.2 (C-13), 51.4 (C-14), 30.6 (C-15), 26.6 (C-16), 51.8 (C-17), 17.6 (C-18), 17.6 (C-19), 83.4 (C-20), 22.3 (C-21), 36.3 (C-22), 23.2 (C-23), 126.1 (C-24), 131.1 (C-25), 25.8 (C-26), 17.9 (C-27), 31.8 (C-28), 16.4 (C-29), 17.5 (C-30); 6-Glc: 106.0 (C-1'), 75.5 (C-2'), 79.7 (C-3'), 71.9 (C-4'), 78.2 (C-5'), 63.1 (C-6'); 20-Glc: 98.3 (C-1"), 75.1 (C-2"), 79.3 (C-3"), 72.3 (C-4"), 76.6 (C-5"), 68.9 (C-6").
실시예 3-7. 진세노사이드 Re ( ginsenoside Re , 화합물 7)
ESI-MS m/z:947 [M+H]+
1H-NMR(500 MHz, d 5-pyridine): 1.62 (1H, m, H-1a), 0.90 (1H, m, H-1b), 1.81 (1H, m, H-2a), 1.74 (1H, m, H-2b), 3.44 (1H, m, H-3), 1.36 (1H, d, J = 11.0 Hz, H-5), 4.63 (1H, m, H-6), 2.21 (1H, m, H-7a), 1.94 (1H, m, H-7b), 1.47 (1H, m, H-9), 2.02 (1H, m, H-11a), 1.47 (1H, m, H-11b), 4.08 (1H, m, H-12), 1.91 (1H, m, H-13), 1.46 (1H, m, H-15a), 0.84 (1H, m, H-15b), 1.73 (1H, m, H-16a), 1.24 (1H, m, H-16b), 2.45 (1H, m, H-17), 1.14 (3H, s, H-18), 0.93 (3H, s, H-19), 1.55 (3H, s, H-21), 2.34 (1H, m, H-22), 1.71 (1H, m, H-22), 2.45 (1H, dd, J = 19.5, 10.5 Hz, H-23), 2.20 (1H, m, H-23), 5.24 (1H, m, H-24), 1.58 (3H, s, H-26), 1.58 (3H, s, H-27), 2.08 (3H, s, H-28), 1.33 (3H, s, H-29), 0.92 (3H, s, H-30); 6-Glc: 5.22 (1H, d, J = 7.5 Hz, H-1'), 4.34 (1H, m, H-2'), 4.31 (1H, m, H-3'), 4.18 (1H, m, H-4'), 3.97 (1H, m, H-5'), 4.48 (1H, m, H-6'a), 4.34 (1H, m, H-6'b), 20-Rha: 6.45 (1H, br s, H-1"), 4.76 (1H, m, H-2"), 4.65 (1H, m, H-3"), 4.30 (1H, m, H-4"), 4.90 (H, td, J = 12.5, 6.5 Hz, H-5"), 1.74 (3H, d, J = 6.0 Hz, H-6"), 20-Glc: 5.13 (1H, d, J = 8.0 Hz, H-1"'), 3.96 (1H, m, H-2"'), 4.20 (1H, m, H-3"'), 4.16 (1H, m, H-4"'), 3.87(1H, m, H-5"'), 4.43 (1H, m, H-6"'a), 4.30 (1H, m, H-6"'b).
13C-NMR (100 MHz, d 5-pyridine): 39.4 (C-1), 28.0 (C-2), 78.8 (C-3), 40.4 (C-4), 61.4 (C-5), 80.1 (C-6), 45.1 (C-7), 41.1 (C-8), 50.0 (C-9), 39.7 (C-10), 30.6 (C-11), 70.4 (C-12), 49.2 (C-13), 51.4 (C-14), 30.6 (C-15), 26.6 (C-16), 51.8 (C-17), 17.7 (C-18), 17.6 (C-19), 83.4 (C-20), 22.3 (C-21), 36.3 (C-22), 23.2 (C-23), 126.1 (C-24), 131.0 (C-25), 25.8 (C-26), 17.9 (C-27), 31.8 (C-28), 16.4 (C-29), 17.5 (C-30); 6-Glc: 101.6 (C-1'), 79.4 (C-2'), 78.9 (C-3'), 72.7 (C-4'), 78.3 (C-5'), 63.5 (C-6'); 2'-Rha: 102.2 (C-1"'), 72.3 (C-2"'), 72.5 (C-3"'), 74.2 (C-4"'), 69.5 (C-5"'), 18.9 (C-6"'); 20-Glc: 98.3 (C-1"), 75.1 (C-2"), 79.3 (C-3"), 72.5 (C-4"), 76.6 (C-5"), 69.0 (C-6").
실시예 3-8. 진세노사이드 Rh18 ( ginsenoside Rh18 , 화합물 8)
ESI-MS m/z: 967[M+Na]+
1H-NMR (400 MHz, d 5-pyridine): 1.52 (1H, m, H-1a), 0.87 (1H, brd, J = 12.0 Hz, H-1b), 1.80 (1H, m, H-2a), 1.72 (1H, m, H-2b), 3.43 (1H, dd, J = 11.2, 5.2 Hz, H-3), 1.36 (1H, overlap, H-5), 4.37 (1H, t, J = 10.4 Hz, H-6), 2.24 (1H, m, H-7a), 1.86 (1H, m, H-7b), 1.37 (1H, m, H-9), 1.86 (1H, m, H-11a), 1.34 (1H, m, H-11b), 3.85 (1H, m, H-12), 1.47 (1H, m, H-13), 1.42 (1H, m, H-15a), 0.93 (1H, m, H-15b), 1.96 (1H, m, H-16a), 1.48 (1H, m, H-16b), 2.66 (1H, m, H-17), 1.23 (3H, s, H-18), 1.01 (3H, s, H-19), 1.32 (3H, s, H-21), 2.57 (1H, m, H-22a), 2.18 (1H, m, H-22b), 4.54 (1H, t, J = 8.7 Hz, H-23), 5.49 (1H, t, J = 7.8 Hz, H-24), 1.59 (3H, s, H-26), 1.64 (3H, s, H-27), 2.08 (3H, s, H-28), 1.54 (3H, s, H-29), 0.96 (3H, s, H-30); 6-Glc: 5.23 (1H, d, J = 6.8 Hz, H-1'), 4.34 (1H, t, J = 8.2 Hz, H-2'), 4.29 (1H, t, J = 8.2 Hz, H-3'), 4.24 (1H, t, J = 8.4 Hz, H-4'), 3.97 (1H, m, H-5'), 4.50 (1H, brd, J = 10.6 Hz, H-6'a), 4.62 (1H, m, H-6'b), 20-Glc: 5.16 (1H, d, J = 7.6 Hz, H-1"), 4.24 (1H, m, H-2"), 4.32 (1H, m, H-3"), 4.32 (1H, m, H-4"), 3.94 (1H, m, H-5"), 4.45 (1H, brd, J = 10.6 Hz, H-6"a), 4.34 (1H, m, H-6"b), 2'-Rha: 6.46 (1H, brs, H-1"'), 4.77 (1H, br s, H-2"'), 4.66 (1H, m, H-3"'), 4.38 (1H, m, H-4"'), 4.94 (1H, m, H-5"'), 1.76 (1H, d, J = 6.0 Hz, H-6"').
13C-NMR (100 MHz, d 5-pyridine): 39.7 (C-1), 27.8 (C-2), 78.6 (C-3), 40.1 (C-4), 60.8 (C-5), 74.2 (C-6), 46.6 (C-7), 41.4 (C-8), 50.7 (C-9), 39.5 (C-10), 30.2 (C-11), 79.4 (C-12), 49.7 (C-13), 50.9 (C-14), 33.1 (C-15), 25.6 (C-16), 46.2 (C-17), 17.1 (C-18), 17.4 (C-19), 81.3 (C-20), 25.6 (C-21), 51.1 (C-22), 72.5 (C-23), 129.5 (C-24), 131.0 (C-25), 25.8 (C-26), 18.3 (C-27), 32.1 (C-28), 17.6 (C-29), 18.1 (C-30); 6-Glc: 101.8 (C-1'), 79.4 (C-2'), 78.9 (C-3'), 72.7 (C-4'), 78.3 (C-5'), 63.2 (C-6'); 20-Glc: 98.1 (C-1"), 75.6 (C-2"), 79.0 (C-3"), 71.9 (C-4"), 78.5 (C-5"), 63.0 (C-6"); 2'-Rha: 102.0 (C-1"'), 72.3 (C-2"'), 72.5 (C-3"'), 74.2 (C-4"'), 69.5 (C-5"'), 18.8 (C-6"').
한편, 화합물 813C-NMR 및 HMBC 스펙트럼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9N2 ) 및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를 이용한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 >
본 발명 화합물들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바이러스로 인해 세포병변이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는 세포병변효과 회복 어세이(cytopathic effect reduction assay, CPE reduction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CPE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세포 모양의 변화(morphological change)를 나타내며, 세포 모양의 퇴행성 변화는 바이러스의 감염과 관련이 있다(Semin. Neurol., 1999, 19, 113~127 ; J. Virol. Methods, 2002, 106, 71~79).
이를 위해 MDCK(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에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chicken/Korea/01310/2001, H9N2) 및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Sw/Kor/CAN1/04, H1N1, KCTC 11165BP)(중앙백신연구소 제공)를 감염시키고 각각의 화합물을 처리하였다.
먼저 96-웰(well) 플레이트에 1×10⁴세포/웰의 밀도로 MDCK 세포를 분주하여 5% FBS(fetal bovine serum), 1% PS(penicillin+streptomycin) 및 L-글루타민(L-glutamine, 500㎖ 배지 기준 2㎖ 첨가)을 포함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양액에서 하루 동안 증식시킨 뒤 배양액을 PBS(phosphate buffer saline)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후, 감염 배지(infection media:DMEM+0.5% BSA+1㎍/㎖ trypsin)에 각각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50 TCID50/100㎕/well의 농도로 100㎕를 접종한 후 화합물 1~8을 처리하고, 5일간 추가적으로 배양하였으며, 배양한지 5일이 지난 후 MDCK 세포의 생존여부를 현미경 관찰 및 MT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M-2128 1G) 시약은 담황색의 기질로서, 살아 있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 효소를 이용하여 암청색의 포마잔(formazan)을 생성한다.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죽은 MDCK 세포나 물질 자체의 세포독성 때문에 죽은 세포에서는 포마잔 생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포마잔의 농도를 측정(550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면, 본 발명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효
능을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예비 실험을 통해 화합물에 의한 MDCK 세포독성이 없는 화합물의 농도를 구하였으며(2 또는 10㎍/㎖), 상기 농도에서,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조류 인플루엔자의 바이러스에 의한 MDCK 세포의 변성차이를 측정하였다.
이에, 각 화합물 농도 10㎍/㎖(진세노사이드 Rb1은 세포독성을 고려하여 2㎍/㎖에서 측정)에서의 CPE 회복 활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확인한 바(표 2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 1~8이 모두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처리농도 바이러스 CPE 회복 활성
(cell survial, %)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d (10㎍/㎖) H1N1 39.8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b1 (2㎍/㎖)* H1N1 41.2
화합물 3 진세노사이드 Rb2 (10㎍/㎖) H1N1 58.4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F3 (10㎍/㎖) H1N1 54.7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F5 (10㎍/㎖) H1N1 42.3
화합물 6 진세노사이드 Rg1 (10㎍/㎖) H1N1 58.5
화합물 7 진세노사이드 Re (10㎍/㎖) H1N1 76.7
화합물 8 진세노사이드 Rh18 (10㎍/㎖) H1N1 39.8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d (10㎍/㎖) H9N2 35.4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b1 (2㎍/㎖)* H9N2 38.5
화합물 3 진세노사이드 Rb2 (10㎍/㎖) H9N2 55.4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F3 (10㎍/㎖) H9N2 50.4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F5 (10㎍/㎖) H9N2 39.5
화합물 6 진세노사이드 Rg1 (10㎍/㎖) H9N2 55.3
화합물 7 진세노사이드 Re (10㎍/㎖) H9N2 70.7
화합물 8 진세노사이드 Rh18 (10㎍/㎖) H9N2 41.2
타미플루 (10μM) H1N1 92.3
타미플루 (10μM) H9N2 90.1
*Rb1은 세포독성을 고려하여 2㎍/㎖에서 활성을 측정함.
또한, 이 화합물 중에서, 진세노사이드 Rb2(화합물 3, 도 2A), 진세노사이드 F3(화합물 4, 도 2B), 진세노사이드 Rg1(화합물 6, 도 2C) 및 진세노사이드 Re(화합물 7, 도 2D)를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확인한 바,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H1N1 및 H9N2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도 3A(바이러스 무처리군)와 비교하여, MDCK 세포주에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처리된 세포는 대부분 세포 형태가 이상하거나 죽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도 3B), 상기 조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2(진세노사이드 Rb1, 도 3D),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 도 3E) 및 화합물 8(진세노사이드 Rh18, 도 3F)을 5㎍/㎖로 처리한 군에서는 타미플루 10μM 처리군(도 3C)과 유사한 세포 형태 및 생존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함을 입증할 수 있다.
< 실시예 5. 독성실험>
실시예 5-1. 급성독성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의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 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20마리를 준비하였고, 각 군별로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30% PEG-400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을 1.0g/㎏의 농도로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1.0g/㎏ 농도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모두 생존하였다.
실시예 5-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장기 독성 실험은 C57BL/6J 생쥐를 대상으로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을 1.0g/㎏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과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특이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 사용예 1. 약학적 제제예 >
사용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사용예 1-2.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 사용예 2. 식품 제조예 >
사용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을 0.2~10 중량%로 조리용 양념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사용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을 0.1~5.0 중량%로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사용예 2-3.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을 0.1~1.0 중량%로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사용예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을 0.1~1.0 중량%로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 사용예 3. 음료 제조예 >
사용예 3-1.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사용예 3-2.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 0.1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 사용예 4. 사료첨가제 제조예 >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 10.0g을 사료용 부형제 50.0g과 섞어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사료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사용예 5. 소독물의 제조예 >
본 발명의 화합물 7(진세노사이드 Re) 3.0g을 첨가한 후 정제수를 1,000㎖에 가하여 무방부제용 천연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ginsenoside Rd,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b1(ginsenoside Rb1,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b2(ginsenoside Rb2, 화합물 3), 진세노사이드 F3(ginsenoside F3,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F5(ginsenoside F5,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Rg1(ginsenoside Rg1, 화합물 6), 진세노사이드 Re(ginsenoside Re, 화합물 7), 및, 진세노사이드 Rh18(ginsenoside Rh18, 화합물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2.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ginsenoside Rd,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b1(ginsenoside Rb1,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b2(ginsenoside Rb2, 화합물 3), 진세노사이드 F3(ginsenoside F3,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F5(ginsenoside F5,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Rg1(ginsenoside Rg1, 화합물 6), 진세노사이드 Re(ginsenoside Re, 화합물 7), 및, 진세노사이드 Rh18(ginsenoside Rh18, 화합물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03
  3.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ginsenoside Rd,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b1(ginsenoside Rb1,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b2(ginsenoside Rb2, 화합물 3), 진세노사이드 F3(ginsenoside F3,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F5(ginsenoside F5,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Rg1(ginsenoside Rg1, 화합물 6), 진세노사이드 Re(ginsenoside Re, 화합물 7), 및, 진세노사이드 Rh18(ginsenoside Rh18, 화합물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 약품.
    [화학식 1]
    Figure pat00004
  4.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ginsenoside Rd,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b1(ginsenoside Rb1,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b2(ginsenoside Rb2, 화합물 3), 진세노사이드 F3(ginsenoside F3,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F5(ginsenoside F5,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Rg1(ginsenoside Rg1, 화합물 6), 진세노사이드 Re(ginsenoside Re, 화합물 7), 및, 진세노사이드 Rh18(ginsenoside Rh18, 화합물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 사료 첨가제.
    [화학식 1]
    Figure pat00005
  5. 하기 화학식 1의 진세노사이드 Rd(ginsenoside Rd,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b1(ginsenoside Rb1,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b2(ginsenoside Rb2, 화합물 3), 진세노사이드 F3(ginsenoside F3,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F5(ginsenoside F5,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Rg1(ginsenoside Rg1, 화합물 6), 진세노사이드 Re(ginsenoside Re, 화합물 7), 및, 진세노사이드 Rh18(ginsenoside Rh18, 화합물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소독제.
    [화학식 1]
    Figure pat00006






KR1020130137867A 2013-11-13 2013-11-13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5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867A KR20150055683A (ko) 2013-11-13 2013-11-13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867A KR20150055683A (ko) 2013-11-13 2013-11-13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88A Division KR20150095605A (ko) 2015-08-03 2015-08-03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683A true KR20150055683A (ko) 2015-05-22

Family

ID=5339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867A KR20150055683A (ko) 2013-11-13 2013-11-13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6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792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셀투인 점막용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WO2019098787A1 (ko) * 2017-11-17 2019-05-23 한국화학연구원 아르보바이러스 감염 저해제
KR20220056529A (ko) 2020-10-28 2022-05-06 아레즈 주식회사 페길화 알부민 결합 스테로이드 진세노사이드 유도체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220059157A (ko) 2020-11-02 2022-05-10 아레즈 주식회사 페길화 알부민 결합 스테로이드 진세노사이드 유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SARS-CoV-2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792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셀투인 점막용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WO2019098787A1 (ko) * 2017-11-17 2019-05-23 한국화학연구원 아르보바이러스 감염 저해제
KR20220056529A (ko) 2020-10-28 2022-05-06 아레즈 주식회사 페길화 알부민 결합 스테로이드 진세노사이드 유도체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220059157A (ko) 2020-11-02 2022-05-10 아레즈 주식회사 페길화 알부민 결합 스테로이드 진세노사이드 유도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SARS-CoV-2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441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21830B1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334143B1 (ko) 폴리갈라 카렌시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잔톤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신종플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62334B1 (ko) 울금으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0950445B1 (ko)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271601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5683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6528B1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9823B1 (ko)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150095605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감기, 조류 인플루엔자 또는 돼지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7096B1 (ko)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6124B1 (ko) 감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1848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스테비오사이드 함유 복합체
KR101369100B1 (ko) 아이비엽 및 황련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56749B1 (ko) 울금 (Curcuma longa)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3328A (ko) 흑삼 가공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26851A (ko) 드리나리아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KR101637476B1 (ko) 청고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20220076565A (ko) 백지(Angelica dahurica), 울금(Curcuma longa) 및 송지(Resina Pin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5063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36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20046353A1 (en) Cleistocalyx operculatus-derived compounds havi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vian and swine influenza viruses or novel influenza virus
KR102570597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천연 추출물 및 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