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870A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870A
KR20110086870A KR1020117014520A KR20117014520A KR20110086870A KR 20110086870 A KR20110086870 A KR 20110086870A KR 1020117014520 A KR1020117014520 A KR 1020117014520A KR 20117014520 A KR20117014520 A KR 20117014520A KR 20110086870 A KR20110086870 A KR 2011008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load
pressure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239B1 (ko
Inventor
도모타케 아오노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8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Abstract

입력 장치(10)는, 표시부(32)에 표시되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34), 입력부(34)에 대한 압력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검출부(40), 및 압력 하중이 하중 기준을 충족했을 때에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갖는다. 제어부(20)는, 복수의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이 제1의 하중 기준 및 상기 제1의 하중 기준보다 더 높은 제2의 하중 기준으로 상이하게 설정되도록 제어하고, 제1의 하중 기준을 가진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의 압력 하중이 제2의 하중 기준을 충족했을 경우에, 압력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INPUT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8년 12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331272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청구하며, 그 개시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 단말에 대해, 단말을 조작하기 위해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입력 장치가 각 단말의 기능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많은 경우, 입력 장치가 본체의 표면에 미리 배열된 기계식의 키 또는 버튼을 가짐으로써, 유저가 손가락 등을 키에 직접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 조작을 실시한다.
단말의 입력 장치의 기계적인 키(예를 들면, 숫자 키패드)는, 단말의 주요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보통 미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키의 물리적 배치는, 일단 규정되면, 나중에 변경할 수 없다.
최근에는, 소형의 휴대 단말에 다종다양한 기능이 통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 및 음악 재생기 기능을 갖는다. 휴대 전화와 같이, 단말의 주요한 용도 이외에 많은 보조적인 기능이 통합되어 있는 휴대 단말이 있고, 1개의 단말로서 스케줄 관리, 주소록 등과 같은 복수의 주요한 용도를 갖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정보 단말)가 있다. 이러한 단말은 고정 배치된 키를 갖고, 특정 기능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유저를 상당히 불편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표시부를 구성하는 액정 표시 화면의 전면에 투명한 입력부가 중첩하여 배치되도록, 설계된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는,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의 표시 화면상에, 조작 키 및 버튼의 그래피컬 이미지(graphical image)(이하, “입력 오브젝트(input object)”로 칭함)를 표시한다.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를 유저가 누르면, 입력부가 터치 패널의 대응 위치에서 입력을 받아들인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접이식 휴대 전화기는, 터치 패널의 표시 화면상에 임의로 배열된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여,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고, 그래서 키 배치가 요구대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휴대 전화기는, 단말의 각 기능이 전환될 때마다, 기능에 적합하도록 요구에 따라 입력 오브젝트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수한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휴대 전화기에 구현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때는, 이 휴대 전화기는, 터치 패널상에 디지털 카메라용의 조작부를 구성하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여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이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메시지에 있어서의 문자를 입력할 때는, 이 휴대 전화기는, 터치 패널상에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키보드를 구성하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여,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 패널을 갖추는 이 휴대 전화기는, 1개의 입력 장치를 복수의 기능의 각각에 적합하도록 최적화시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또,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는, 표시부상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에 유저의 손가락 등의 직접 접촉(터치) 형태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유저는 그것을 고도로 직감적인 조작할 수 있다. 즉, 유저는, 터치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 안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에 손가락 등으로 직접 터치하는 것으로 입력 장치를 조작한다. 따라서, 유저는, 화면에 표시된 유도에 따라 직감적인 조작을 통해 극도로 용이하게 단말을 조작시킬 수가 있고, 그것은 결과적으로 오조작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제공한다.
최근에, 터치 패널을 갖춘 휴대 단말은 상기와 같이, 유저로 하여금, 통상의 휴대 전화의 통화를 하고 메시지 작성을 위한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터넷 및 웹사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의 시청(브라우즈)하도록 조작 입력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는, 휴대 단말에 대해서만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은행 등의 ATM(Automatic Teller Machine; 현금 자동 예입 지불기), 및 기차역의 매표기에 대해서도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패스트 푸드점 등의 점포에 있어서는,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기 위해 종업원에 의해 상기와 같은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를 갖춘 단말장치가 이용된다. 입력 장치로서 터치 패널을 채용될 때, 키보드등의 기계식의 조작 버튼 및 키는 더 이상 필수의 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단말 장치에 기계식의 버튼 등을 배치하기 위해 적은 영역만이 요구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 전반의 소형화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그것은 점포 및 기차역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의 설치 장소의 더 넓은 선택을 제공한다.
또, 입력 장치로서 채용된 터치 패널은, 종래 장치의 일반적인 설계와 같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를, 별개로 가질 필요성을 제거하며, 정보 표시부와 입력부를 동일 화면상에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터치 패널상에 키보드의 키를 구성하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시켜 유저에 의한 입력을 받아들이면서, 입력의 결과를 터치 패널상의 키보드 근처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유저는, 동일 화면상에서 조작 입력과 그 입력의 결과의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은, 입력부와 표시부를 동일 화면상에 구성시킬 수 있고, 또한 조작 입력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메리트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입력 장치를 갖는 단말 장치의 개수가 더욱 더 증가되었다.
그렇지만,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는, 입력부와 표시부를 동일 화면상에 갖고 직관적인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그 구성으로 인해서, 특유의 문제를 갖는다. 즉, 터치 패널이 입력 오브젝트를 요구대로 배치해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을지라도, 입력부의 표면이 통상적으로 평탄하기 때문에, 입력 오브젝트와 다른 영역간의 경계를, 촉각에 의해 판정하는 것이 유저에게는 곤란하다. 또, 터치 패널에 대해서 입력하기 위해서, 유저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로 입력부를 직접적으로 터치하기 때문에, 압력 입력의 순간에 입력 오브젝트가 덮어져, 유저가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입력 오브젝트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유저는, 손가락의 느낌으로는, 손가락이 입력 오브젝트를 터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위치를 누를 가능성이 항상 있다. 즉, 의도하는 위치로부터 약간 벗어난 다른 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의도하는 입력 오브젝트 이외의 위치를 누를 위험성, 또는 의도된 입력 오브젝트의 근처의 다른 입력 오브젝트를 누를 위험성이 있다. 입력 오브젝트를 손가락으로 누를 때, 입력 오브젝트가 손가락으로 덮여지므로, 의도하지 않은 입력의 위험성이 더 높아진다.
또,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입력이 입력 장치에 의해 받아들여지면, 이 입력에 응답하여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유저는, 의도하지 않는 동작을 정지(캔슬)하기 위해 추가의 조작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의도하지 않는 동작으로 인해 실행되고 있는 중요한 처리 또는 동작이 정지되면, 복구할 수 없는 상황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에 의한 의도하지 않는 입력에 근거해 의도하지 않는 동작이 개시되는 그러한 위험성을 가능한 저감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한 조건을 처리할 수 있는 스킴(scheme)으로서,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 압력(input pressure)을 검출하고 유저에 의한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의 위치 및 압력에 따라, 터치 패널의 표면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갖는 입력 장치가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6-31122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제4039344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입력 장치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표시부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터치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유저가 터치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이 입력 장치는, 유저가 입력 오브젝트를 터치했을 경우에, 유저가 입력 오브젝트 이외의 영역을 터치했을 때의 레벨보다 더 높게 터치 패널의 표면을 올리는 것에 의해, 유저에 의해 터치되는 위치가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유저에 의한 가벼운 터치를 인식한 경우, 입력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더 좋게 보일 수 있게 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의 도 7 및 도 10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취해지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입력 장치는 오조작을 회피하면서 입력하도록 유저를 지원한다.
이 입력 장치에 의하면, 유저는, 손가락의 느낌으로, 손가락이 터치하고 있는 터치 패널의 위치에 입력 오브젝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유저에 의해 터치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이 입력 장치는 입력 오브젝트를 터치하고 있는 손가락으로 덮여 있는 영역을 상대적으로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입력 장치는, 유저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입력을 받아들일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기술을, 예를 들면, 휴대 전화와 같은 소형의 휴대 단말에 적용할 경우, 단점이 있다. 즉, 상술한 것 같은 터치 패널 표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은, 터치 패널의 표면의 변화폭보다 상당히 더 큰 폭을 요구한다. 이것은, 터치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기계적인 구동장치가 적어도 일정 크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리고 또한, 터치 패널 전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휴대 전화기의 개발에 있어서는, 가능한 그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따라서 터치 패널 표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을 휴대 전화기의 본체에 탑재하는 것에 있어서 기술적인 곤란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예기된다.
또, 휴대 전화와 같은 소형의 휴대 단말의 경우에 있어서, 은행의 ATM 및 기차역의 매표기 등의 대형의 단말과는 달리, 표시부를 겸하는 터치 패널이 또한 크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제약되고, 따라서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도 필연적으로 크기가 작다. 그 한편, 터치 패널에 대한 유저에 의한 각종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크기가 작을지라도, 다수의 각종의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저가 입력 오브젝트를 터치했을 때에 입력 오브젝트의 확대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휴대 단말에 있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 상정된다.
또, 크기가 한정된 터치 패널에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켜, 유저가 터치하고 있는 위치가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 실제상 곤란하다는 것이 상정된다. 특히, 크기의 제한된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한 위치들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 입력 오브젝트끼리의 간격은 거의 혹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입력 오브젝트의 에지 부분(키의 에지에 상당하는 부분)을, 터치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유저에게 인식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와 같은 소형의 휴대 단말의 터치 패널상에, 다수의 작은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한 위치들에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스킴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유저의 오입력을 저감시키는 것은 곤란하다는 것이 상정된다.
소형 터치 패널에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한 위치에 표시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유저에게는 각각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구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유저가 의도와는 반대로 오조작을 행하고, 오조작에 근거해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개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휴대 전화와 같은 소형의 휴대 단말은, 크기가 한정된 터치 패널에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유저가 걷거나 다른 동작을 실시하면서 유저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특정한 조건을 갖는다. 유저가 입력부를 주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여도,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유저에 의해 의도된 것으로 받아들이고, 또한 유저에 의한 오조작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저가 의도하지 않게 오입력을 했을 경우에, 그 입력에 근거해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회피하는 입력 장치가 이상적이다.
따라서, 그러한 조건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에 탑재되는 것 같은 터치 패널에 대해, 복수가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일 시에, 유저의 오조작에 근거하는 오동작을 회피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입력 장치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대한 압력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검출부; 및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이 하중 기준(load standard)을 충족했을 경우에, 상기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들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들이 제1의 하중 기준 및 상기 제1의 하중 기준보다 더 높은 제2의 하중 기준으로 상이하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의 하중 기준을 가진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의 압력 하중이 상기 제2의 하중 기준을 충족했을 경우에, 압력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의 하중 기준을 가진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의 압력 하중이 상기 제2의 하중 기준을 충족한 후에 상기 제2의 하중 기준보다 더 낮아지도록 하락했을 경우, 압력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에 탑재되는 것 같은 터치 패널에 대해, 복수가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일 시에, 유저의 오조작에 근거하는 오동작을 회피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갖는 휴대 전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휴대 전화의 터치 패널, 하중 검출부 및 진동부의 예시적인 구현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는 유저가 터치 패널의 입력부를 누를 때의,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압력)의 예시적인 연대기적 변화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를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근거하는 표시부에 대한 예시적인 표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근거하는 표시부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표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압력 입력 접수 처리를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를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표시 및 누름 표시를 예시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낮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를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입력 오브젝트의 압력 입력 접수 처리에 있어서의,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압력)의 예시적인 연대기적 변화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3은 입력 오브젝트의 압력 입력 접수 처리에 있어서의,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슬라이드 입력을 포함한 입력의 하중(압력)의 예시적인 연대기적 변화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진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예시적인 파형을 예시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갖춘 예시적인 휴대 단말로서 휴대 전화가 이용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은 휴대 전화만은 아니고, 예를 들면, PDA 등의 터치 패널을 갖는 임의의 휴대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갖는 휴대 단말에만 적용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은 은행의 ATM 및 기차역의 매표기 등의 터치 패널을 갖는 임의의 입력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갖는 휴대 전화(10)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10)는, 단말 본체의 전면에, 도면에 그 일부가 표시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에 여러 가지의 정보 및 키 및 버튼의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32)를 갖는다. 휴대 전화(10)는, 표시부(32)의 전면에,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에 의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매트릭스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입력부(34)를 또한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30)은 표시부(32) 및 입력부(34)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10)는 또한, 마이크로폰 등으로 구성되는 음성 입력부(70),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80), 및 적어도 1개의 기계적인 키로 구성되는 키 입력부(90)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10)는, 필요한 기능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기능부, 원세그(One-seg) 방송 튜너, 적외선 통신 기능부등의 근거리 통신부, 및 각종 인터페이스 등을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을지라도, 그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는, 휴대 전화(10)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는, 제어부(20), 터치 패널(30), 하중 검출부(40), 진동부(50), 기억부(60), 음성 입력부(70), 음성 출력부(80) 및 키 입력부(90)를 갖는다. 제어부(20)는, 휴대 단말(10)의 각 기능 블록과 더불어 휴대 단말(10) 전체를 제어 및 관리한다. 터치 패널(30)은, 상술한 것처럼,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34)가 표시부(32)의 전면에 중첩하여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에 의해, 터치 패널(30)은,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각 응용 프로그램(이하,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약기한다)에 따른 입력의 결과 등의 각종 정보의 표시한다.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는,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의 접촉(압력)에 의한 입력을 검출할 시에, 그러한 입력이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패널(30)은, 예를 들면, 저항막 타입, 정전 용량 타입 등과 같은, 공지의 타입으로 만들어진다. 표시부(32)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를 실시하는 것과 더불어,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각종 키 및 버튼으로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소정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표시를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표시부(32)에 표시되는 각종 키 및 버튼의 이미지가 “입력 오브젝트(input object)”로 칭해진다.
하중 검출부(40)는 예를 들면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strain gauge sensor)일 수 있고, 터치 패널(30)(또는 입력부(34))에 대한 압력 하중을 검출한다. 진동부(50)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 또는 초음파 진동자일 수 있고, 터치 패널(30)을 진동시킨다. 하중 검출부(40), 진동부(50) 및 터치 패널(30)사이의 구성상의 관계가 후술될 것이다.
기억부(6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각종 입력 정보를 기억함과 함께, 워크 메모리(work memory)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6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될 각종의 입력 오브젝트를 포함한 복수의 템플릿(template)을 또한 기억한다.
음성 입력부(70)는 유저의 음성 등을 입력 신호로 변환해서 제어부(20)에 그것을 전달한다. 음성 출력부(80)는 제어부(20)로부터 전달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키 입력부(90)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20)에 송신한다. 키 입력부(90)를 구성하는 각종 키의 용도 및 기능은 사용될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규정된다.
휴대 전화(10)는, 음성 통화 및 전자 메일의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인터넷, 무선 통신 등을 통해 기지국과 송수신 하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부 등의 통상의 휴대 전화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기능부를 또한 포함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기능부들이 공지 기술로부터 특별한 구별을 갖지 않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에, 하중 검출부(40), 진동부(50) 및 터치 패널(30)간의 구성상의 관계가 설명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휴대 전화(10)의 터치 패널(30), 하중 검출부(40) 및 진동부(50)의 예시적인 구현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3(B)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터치 패널(30)에 각종의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32)는 하우징(12)내에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32)상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36)를 통해 입력부(34)가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32) 및 입력부(34)가 평면시(planar view)로 직사각형이다. 도 3에 있어서 터치 패널(30)이 정사각형일지라도, 터치 패널(30)을 장착하는 휴대 단말의 사양에 따라 직사각형일 수 있다.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34)는, 도 3(B)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표시부(32)의 표시 영역 A의 외부의 4 구석에 배열된 인슐레이터(36)를 통해 표시부(32)에 지지된다.
또,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2)에는, 표시부(32)의 표시 영역의 외부의 입력부(34)의 표면 영역을 덮도록 어퍼 커버(upper cover)(14)가 마련되어 있다. 어퍼 커버(14)와 입력부(34)의 사이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16)가 배열되어 있다.
입력부(34)는, 표면, 즉,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는 면이 투명 필름으로 형성되고, 이면이 유리로 형성된다. 입력부(34)는, 조작면이 눌려지면, 압력에 비례하여 표면의 투명 필름이 약간 구부러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34)의 표면의 투명 필름에, 어퍼 커버(14)로 덮이는 각 변의 근방에, 입력부(34)에 가해지는 압력 하중(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가 접착되거나 하는 등, 마련된다. 또한,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34)의 이면의 유리의 면에, 2개의 대향하는 각각의 변의 근방에, 입력부(34)를 진동시키기 위한 압전 소자 또는 초음파 진동자가 접착되거나 하는 등, 마련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입력 장치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하중 검출부(40) 및 진동부(50)는, 각각,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및 2개의 진동자를 포함한다. 도 3(B)에 있어서, 도 3(A)에 나타낸 하우징(12), 어퍼 커버(14) 및 인슐레이터(16)가 생략되었다는 것이 주목되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의해 검출되는 입력 및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을 감시한다. 입력부(34)에 의해 검출된 압력 입력이 표시부(32)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이고,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이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소정의 기준(standard)을 충족하면, 제어부(20)는 그러한 입력을 정규의 입력으로서 받아들인다. 이하, 이러한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기준”은 “하중 기준(load standard)”으로 간략히 칭해진다. 하중 검출부(40)는, 예를 들면,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의 출력 평균치로부터 하중을 검출한다.
또, 진동부(50)는, 예를 들면, 2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위상을 같이하여 구동한다. 입력부(34)에 대해 소정의 압력 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20)는, 입력부(34)를 누르고 있는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오브젝트에 대해서 진동을 전하기 위해서, 진동부(50)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소정의 입력이 행해졌을 때에 진동부(5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저는, 유저에 의한 압력 입력이 입력 장치에 의해 적절히 받아들여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이 설명된다. 도 4는, 유저가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를 누르는 것에 의해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압력)의 예시적인 연대기적 변화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를 누르는 동작(압력 입력)을 실시할 때, 유저는 입력부(34)를 터치한 때로부터 입력이 받아들여졌다고 판단될 때 까지 입력부(34)에 대한 압력을 계속 증대시킨다(즉, 유저가 입력부(34)를 내리 누른다). 또, 유저는, 입력이 받아들여졌다고 판단했을 시에, 입력부(34)에 대한 압력을 저감한다(즉, 유저가 입력부(34)로부터 손가락 등을 떼어 놓는다). 따라서,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은, 도 4에 나타낸 곡선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처음은 상향하여 증대한 다음, 하향하여 감소된다.
하기는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를 준비하기 위한 초기 설정의 설명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 표시부(32)에 표시되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통상의 조작 입력으로서 입력부(34)에 입력이 있다고 판정하는 하중 기준 P1이 설정된다. 하중 기준 P1은, 유저에 의해 표시부(32)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 입력에서의 통상의 압력에 근거해, 제어부(20)에 의해 설정된다. 이 설정에 근거해, 유저에 의한 통상의 조작 입력에서의 통상의 압력으로서, P1(A1)을 초과하는 압력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표시부(32)에 표시되는 입력 오브젝트가 눌려졌다고 판정한다. 또, (A1의 뒤) 내리 눌려지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P1(A2) 미만의 압력 하중을 하중 검출부(40)가 검출한 경우, 제어부(20)는 눌려지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완료(확정)되었다고 판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하중 기준 P1은 유저에 의해 입력부(34)에 살짝 터치하는 것을 입력으로서 판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 의해 의도되지 않는 입력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설정된 하중 기준 P1은, 유저로 하여금, 매회 입력부(34)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지 않고, 입력부(34)상에서 동일 스폿(spot)(동일 입력 오브젝트)을 연속해서 여러 차례 누르는 것에 의해 반복 태핑(tapping)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즉, 유저의 손가락이 입력부(34)를 터치하고 있는 채로 유지하더라도, 유저는, 하중 기준 P1을 가로 질러증가 및 감소하도록 손가락에 의한 압력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러한 입력을 반복 태핑으로서 입력부(34)에 인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방법은 유저의 손가락의 작은 스트로크(stroke)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방법에 능숙한 유저는 손가락의 더 적은 움직임으로 신속하고 편하게 입력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해 입력부(34)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에서의 통상의 압력보다 더 큰(더 강한) 압력에 근거해, 하중 기준 P2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식으로 설정된 하중 기준 P2를 초과하는 압력이 상술한 하중 기준 P1인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서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와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P1보다 더 큰 하중 기준 P2(B1)를 초과하는 압력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이러한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가 눌리었다고 판정한다. 또, (B1의 뒤) P2(B2) 미만의 압력 하중이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내리 눌려지고 있다고 하중 검출부(40)가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20)는 눌려지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완료(확정)되었다고 판정한다. 즉, 제어부(20)는, 표시부(32)에 표시되는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 (P2)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 P1보다 더 높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유저가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와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를 통상의 조작 입력의 통상의 압력(P2 미만)으로 누르는 경우라도, 제어부(20)는, 이 압력 입력을 이러한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하지만, 유저가 통상의 조작 입력의 통상의 압력(P1)보다 더 큰 P2를 초과하는 압력으로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는 경우에만, 제어부(20)는 이 압력 입력을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서 받아들인다.
상술의 설명에 있어서, 예로서, 하중 기준(P1, P2)이 “압력 하중의 역치”로서 이용되어, 그것이 초과되면 “하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다. 이러한 방식의 판정이 하기의 설명에 적용될지라도, “하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하는 다른 조건들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유저에 의한 압력 입력의 압력 하중이 상기 하중 기준에 “도달했을” 경우에, 하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하중 기준의 값을 나타내는 압력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경우에, 하중 기준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가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는, 제어부(20)에 의해, 입력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 패널(30)의 표시부(32)상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요구(명령)의 수신시에 개시된다. 우선,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명령의 수신시에, 제어부(20)는 기억부(60)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의 템플릿 중에서, 요구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판독한다(스텝 S1).
유저 인터페이스의 템플릿의 판독 후에, 제어부(20)는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 제어부(20)는 다음에 사양이, 인접하는 입력 오브젝트들을 소정의 간격 미만의 간격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소정의 간격은 후술될 것이다. 템플릿에 포함되는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에, 그리고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들이 소정의 간격 미만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제어부(20)는,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P1 및 P2)이 서로 상이하도록(스텝 S4), 각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을 설정한다(스텝 S4).
스텝 S4에서 각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의 설정의 완료시에, 제어부(20)는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들을 표시부(32)에 표시하여 유저에 의한 입력을 받아들인다(스텝 S5). 스텝 S2에서 입력 오브젝트가 1보다 많지 않은 경우에, 즉 1개의 입력 오브젝트만이 있는 경우에,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통상의 하중 기준(P1)을 설정하고(스텝 S6), 그 다음에 제어부(20)는 스텝 S5로 이행한다. 또, 스텝 S3에서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 모두에 대해 통상의 하중 기준(P1)이 설정되고(스텝 S6), 그 다음에 제어부(20)는 스텝 S5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된 위치들에 배치되는 경우에, 각각,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상이한 하중 기준이 입력 오브젝트들에 설정된다. 상술한 소정의 간격은, 입력 오브젝트들이 그 보다 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경우, 실수에 의해서 의도된 입력 오브젝트 이외에 입력 오브젝트를 유저가 누를 높은 가능성이 있는 간격이다. 여기서, 소정의 간격은, 1개의 입력 오브젝트의 단부로부터 다른 입력 오브젝트의 단부까지의 거리일 수 있고, 또는 1개의 입력 오브젝트의 중심부로부터 다른 입력 오브젝트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하기는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의 결과의 구체적인 설명이다.
하기는,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 메모 작성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는 경우의 설명이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터치 패널(30)의 표시부(32)의 대략 하반부에 문자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이 유저 메모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간격 또는 그 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치된 문자 입력 오브젝트들을 표시한다. 본 예에서는, 따라서, 유저가 실수에 의해 의도된 입력 오브젝트 이외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를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의 각각에 대해 통상의 하중 기준(P1)을 설정한다. 일본어 가나(kana) 문자와 관련된 숫자키를 이용하여 “일본어 히라가나(Hiragana)”의 순서로 키의 입력 회수에 따라 각 키에 대응하는 일본어 가나(kana) 문자를 천이시키는 것에 의해 각 문자를 입력하는 것은 “멀티-탭 입력 방식”으로서 공지된 종래 기술이기 때문에,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자의 입력을 완료한 후, 유저가 메모를 기억부(메모리)(60)에 저장하는 경우에, 터치 패널(30)의 표시부(32)의 좌상부에 표시된 “기능”의 입력 오브젝트로의 압력 입력에 따라, 제어부(20)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를 표시한다. "기능"의 풀다운 메뉴는, “저장” 및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입력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 미만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예를 들면, 서로 인접), 상술한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의해, “저장” 및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들에 대해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상이한 하중 기준이 설정된다. 이 경우,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들 중 하나가, 이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와 같이, 복구될 수 없는(중요한) 조작에 관련되는 것인 경우에, 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예를 들면, 3N(뉴턴)인 하중 기준 P2가 설정된다. 또, 하중 기준 P2인 입력 오브젝트와 인접한, “저장”의 입력 오브젝트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예를 들면, 1 N인 하중 기준 P1이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 오브젝트들에 대해 상이한 하중 기준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유저가 “저장”의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실수로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를 경우에 발생되는 손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통상의 조작 입력에서의 통상의 압력(P2 미만)에 의한 입력이 있어도, 이것을 입력으로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하기 위해서, 유저가, 통상의 조작 입력의 통상의 압력(P1)에서의 하중 기준(P1)보다 더 큰 하중 기준(P2)을 초과하는 압력 하중으로 조작 입력을 의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터치 패널(30)이,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동시에 받아들이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처리가 또한 실시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유저가, “저장”의 오브젝트만을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실수로(또는 입력부(34)를 누르는 손가락의 접촉 면적이 “저장”의 오브젝트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저장”과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들의 양쪽을 동시에 누르는 것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통상의 조작 입력의 통상의의(P2 미만) 압력의 “삭제”의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상술의 경우와 반대로, 유저가, “삭제”의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실수로 “저장”의 오브젝트를 누르는 경우에 대처하는 방법이 후술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의 조작 입력에 근거하는 통상의 압력(P1을 초과)에 의해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통상의 조작 입력에 근거하는 압력 하중보다 더 큰 하중(P2를 초과)이 설정된다. 통상의 조작 입력보다 더 큰(강한) 압력 하중에 의한 입력은, 통상의 입력 방법으로서 상정되는 각종의 입력(예를 들면, 홀드 다운(hold down) 및 더블 클릭(double click)과 같은 2번 누름)과는 상이하다. 따라서, 하중 기준 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통상의 입력 방법으로서 상정되는 각종의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기 때문에, 유저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오입력은 유효한 입력으로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즉, 유저에 의해 의도되지 않는 조작에 의한 입력이 회피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에 있어서 입력 오브젝트들이 인접된 위치들에 배치되는 경우에,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는 통상의 조작 입력보다 강한 압력으로 입력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유저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6(C)에 나타낸 “삭제” 키의 입력 오브젝트와 같이, 유저가 강한 압력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는 입력 오브젝트는 다른 입력 오브젝트와는 상이한 컬러로 표시부(32)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상이한 컬러의 입력 오브젝트가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라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또, 그러한 입력 오브젝트를, 예를 들면, “‘삭제’ 키를 강하게 터치해 주세요”등의 노트와 함께, 표시부(32)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제,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7에 나타낸 유저 메모 작성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패널상에는, 터치 패널(30)의 표시부(32)에 표시된 문자 입력 오브젝트의 배치가 도 6에 나타낸 것과 유사할지라도, 유저의 입력의 결과(메모)를 표시하기 위해 더 큰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에 의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문자 입력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러한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입력 오브젝트는 크기가 감소되고, 입력 오브젝트들간의 간격이 좁아져 있다. 이 입력 오브젝트들간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 미만인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근거해, 제어부(20)는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들에 대해 상이한 하중 기준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하중 기준의 입력 오브젝트들이 교호로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들이 상이한 하중 기준을 갖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유저가 더 강한 압력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는 입력 오브젝트가 상이한 컬러로 표시된다. 즉, 도 7에는, 어두운 컬러(파선으로 해칭된)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 입력에서의 하중 기준(P1)보다 더 큰 하중 기준(P2)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대조적으로, 통상의(백색의) 컬러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통상의 하중 기준(P1)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 또한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하중 기준의 설정 결과로서,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에는,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더 큰 하중 기준(P2)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가 통상의 하중 기준(P1)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통상의 하중 기준(P1)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와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더 큰 하중 기준(P2)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가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한 위치들에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라도, 유저가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구별하여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중 기준이 설정의 결과로서, 낮은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높은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를 통상의 압력으로 누르는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설정만으로는 높은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낮은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를 강하게 누르는 경우에는 대처할 수 없다. 즉, 이 경우, 유저는 높은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의도하는 것으로서, 낮은 하중 기준(P1)도 초과하는, 강한 압력으로 입력부(34)를 누른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유저의 의도와는 반대로 낮은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받아들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불리함에 대처하기 위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의해 입력 오브젝트를 배치한 후에 실시되는 입력 오브젝트의 압력 입력 접수 처리에 있어서, 일정한 경우에 입력이 캔슬(cancel)된다. 하기는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실시되는 일련의 처리의 설명이다.
우선, 도 8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의해 입력 오브젝트를 배치한 후에 실시되는, 입력 오브젝트의 압력 입력 접수 처리의 개략에 대해 설명된다. 본 처리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유저 메모 작성 어플리케이션 등을 기동하여, 입력 오브젝트들이 표시부(32)의 인접한 위치들에 표시된 후, 유저에 의한 입력부(34)에 대한 입력을 받아들일 시에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압력 입력 접수 처리의 개시시에, 제어부(20)는, 터치 패널(30)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에 의한 입력(이하, “유저의 입력”이라고 약기됨)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스텝 S11에서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검출된 경우에,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된 표시부(32)상의 위치가,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더 큰(더 높은) 하중 기준(P2)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입력 위치가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더 큰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경우(스텝 S12의 Yes), 제어부(20)는 높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13).
대조적으로, 스텝 S12에서, 입력 위치가 하중 기준 P2가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스텝 S12의 No), 제어부(20)는 낮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14). 여기서, 유저의 입력이 검출된 입력 오브젝트가 하중 기준 P1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인 경우, 처리는 스텝 S12로부터 스텝 S14로 이행한다.
다음에, 도 9의 플로차트를 참조해, 도 8에 나타낸 스텝 S13에서의 높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다. 높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는, 유저에 의한 입력부(34)에 대한 압력 입력의 입력 위치가,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더 큰 하중 기준(P2), 즉 높은 하중 기준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경우(스텝 S12의 Yes)에, 실시된다.
높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의 개시시에, 제어부(20)는 우선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표시를 실시한다(스텝 S21). 하이라이트 표시란, 입력 오브젝트를 손가락 등이 터치하는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한 강조 표시이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입력 오브젝트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부(34)에 대한 손가락등에 의한 입력이 입력 장치에 의해 적절히 검출되고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이 하이라이트 표시는, 유저의 손가락 등이 입력부(34)를 터치하고 있는 것만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입력이 받아들여졌다는 것(즉, 키가 눌려짐)이 아직 이 시점에서는 아직 판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되어진다.
다음에, 제어부(20)는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의 값 P가 하중 기준 P2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하중 기준 P2를 초과하는 입력이 있지 않는 한, 제어부(20)는 입력이 받아들여진 것이라고 여기지 않는다. 따라서, 스텝 S22에서, 하중 기준 P2를 초과하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3).
스텝 S23에서 이러한 입력이 해제되지 않은(즉 유저의 손가락 등이 입력부(34)로부터 떼어 놓아지지 않음) 경우, 제어부(20)는 스텝 S28로 이행한다. 스텝 S28에서,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입력의 위치가 변화하는, 소위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입력은, 입력 위치가, 원래 누르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로부터 다른 입력 오브젝트로 변화되도록, 유저에 의해서 입력부(34)에 손가락 등을 누르면서 손가락 등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스텝 S28에서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스텝 S22에 돌아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를 감시한다. 스텝 S23에서,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해 터치되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입력이 없다고 여겨서, 하이라이트 표시를 캔슬(cancel)하고(스텝 S24), 그 다음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4에 있어서의 하이라이트 표시의 캔슬은,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것을, 유저에게 알린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유저의 입력의 검출에 따른 표시부(32)에 대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표시를,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에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부(34)를 터치하고 있는 유저의 손가락 등이 입력부(34)로부터 떼어졌다는 것을 입력 장치가 적절히 인식하고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스텝 S22에서, 하중 기준 P2(도 4에 나타낸 B1)를 초과하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가 눌려져 있는 것을 표시한다(스텝 S25). 이러한 누름 표시는,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가 키로서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부(32)의 표시이다. 즉,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표시를,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기준 P2를 초과하는 것을 시인할 수 있고, 입력부(34)를 터치하고 있는 유저의 손가락 등에 의한 압력 입력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압력 입력으로서 입력 장치에 의해 적절히 받아들여지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스텝 S25의 뒤,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의 압력이 감소하여,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기준 P2(도 4에 나타낸 B2)가 이하가 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6). 스텝 S26에서, 압력 하중 P가 하중 기준 P2의 이하가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하중 기준이 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확정됨을 받아들인다(스텝 S27).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에 있어서, 기계식 키에 비유하면, 키에 대한 입력의 접수는 키가 눌려졌을 때는 확정되지 않고, 키가 해제되었을 때 확정된다.
또, 스텝 S27에서,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하중이 P2의 이하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부(32)의 표시를 하이라이트 표시로 되돌린다. 즉,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가 눌려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표시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이 입력으로서 확정되었다는 것을, 그리고 입력 장치가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적절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또한 시인할 수 있다.
스텝 S27의 뒤,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의해 상술한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8). 스텝 S28에서, 슬라이드 입력이 입력부(34)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스텝 S22에 돌아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의 감시를 계속한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이후로,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는(스텝 S23) 것을 대기하거나,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다른 압력 입력(즉, 연속하는 압력 입력)이 검출되는 것을 대기한다.
대조적으로, 스텝 S28에서, 입력부(34)에 대한 압력 하중이 제로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스텝 S29로 이행한다. 스텝 S29에서, 제어부(20)는, 원래 압력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슬라이드 입력 전의) 입력 오브젝트의 누름 표시를 캔슬한 후에, 도 8의 스텝 S11에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슬라이드 입력(스텝 S28) 후, 스텝 S11을 거쳐, 제어부(20)는, 스텝 S12에서, 입력 위치가, 슬라이드 입력에 의해, 낮은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로 변화하는지, 또는 높은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로 변화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의 검출 후에, 하중 기준 P2를 초과하지 않는 입력 또는 하중 기준 P2를 초과한 후 입력으로서 확정된 입력을, 유저는 압력을 해제하지 않고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 계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지 않고, 의도하는 입력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입력을 활용하는 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부(34)를 한 번 터치한 후에라도, 입력이 아직 받아들여지지(확정되지) 않았으면, 입력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이 슬라이드 입력은 유저로 하여금 입력부(34)를 터치하면서 압력 하중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연속해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러한 입력 방법에 익숙한 유저는 신속히 입력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B1으로부터 B2를 거치는 곡선은,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압력 입력이 검출된 후에, 상기한 높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에 의해 입력의 접수가 확정할 때,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입력부(34)에 대한 압력 하중의 예시적인 연대기적 변화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은, 압력 하중이 압력 기준 P2를 초과하는 시점(B1)에서 받아들여지고, 압력 하중이 압력 기준 P2 이하로 하락하는 시점(B2)에서 확정된다.
다음에, 도 11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8에 나타낸 스텝 S14에서의 낮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다. 낮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압력 입력의 입력 위치가 통상의 하중 기준(P1), 즉, 낮은 하중 기준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경우(스텝 S12의 No)에 실시된다.
낮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의 개시시에, 우선, 제어부(20)는 입력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 표시한다(스텝 S31). 이 경우에, 입력 오브젝트는 스텝 S21에서 표시되는 하이라이트 표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이라이트 표시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기준 값 P1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2).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통상의 조작 입력과 유사하게, 제어부(20)는 압력 하중이 하중 기준 P1을 초과하는 경우에 입력을 받아들인다. 대조적으로, 스텝 S32에서, 하중 기준 P1을 초과하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3).
스텝 S33에서 입력이 해제되지 않았다고(즉, 유저의 손가락 등이 입력부(34)로부터 떼어 놓아지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제어부(20)는 스텝 S39로 이행하여,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9에서,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제어부(20)는 스텝 S32에 돌아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를 감시한다. 스텝 S33에서,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해 터치되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이 없다고 여겨서, 하이라이트 표시를 캔슬하고(스텝 S34), 그 다음에 처리를 종료한다.
대조적으로, 스텝 S32에서, 하중 기준 P1(도 4에 나타낸 A1)을 초과하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에,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는 입력 오브젝트의 누름 표시를 표시한다(스텝 S35). 누름 표시는,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가 키로서 눌러진 것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부(32)의 표시를 변경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20)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표시를,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가 눌려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기준 P1을 초과하는 것을 시인할 수 있고, 그리고 입력 장치가 입력부(34)를 터치하고 있는 유저의 손가락 등에 의한 압력 입력을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으로서 적절히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낮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스텝 S35의 뒤,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가 일단 P2를 초과한 후에 하중 기준 P2의 이하로 하락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6). 여기서, 압력 하중 P가 일단 하중 기준 P2를 초과한 후에 P2의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에, 높은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이 낮은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받아들여지고 확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하중 기준 P1의 오브젝트를 누르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의 처리는 후술될 것이다.
스텝 S35의 뒤, 스텝 S36에서, 압력 하중 P≥P2의 검출 후에 압력 하중 P<P2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즉, 유저의 의도에 따라 유저가 올바르게 입력을 하는 것이라고 여겨지는 경우에, 제어부(20)는 스텝 S37로 이행한다. 스텝 S37에서,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입력 압력이 감소되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가 하중 기준 P1(도4에 나타낸 A2)의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7에서, 압력 하중 P가 하중 기준 P1의 이하가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제어부(20)는 현재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확정되었음을 받아들인다(스텝 S38).
또, 스텝 S38에서,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하중이 P1 이하가 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부(32)의 표시를 하이라이트 표시에 되돌린다. 즉, 예를 들면,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가 눌려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표시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이 입력으로서 확정되었고, 또한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는 압력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입력 장치가 적절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스텝 S38의 뒤,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해서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9). 스텝 S39에서, 슬라이드 입력이 입력부(34)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스텝 S22로 돌아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를 계속 감시한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이후에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입력이 해제되는(스텝 S33) 것을 대기하거나,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다른 압력 입력(즉, 연속하는 압력 입력)이 검출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렇지만, 스텝 S39에서, 입력부(34)에 대해 압력 하중이 제로로 하락하지 않으면서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에, 제어부(20)는 스텝 S40로 이행한다. 스텝 S40에서, 원래 압력 입력이 검출되는(슬라이드 입력 전의) 입력 오브젝트의 누름 표시를 캔슬한 후에, 제어부(20)는 도 8의 스텝 S11에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슬라이드 입력(스텝 S39) 후, 제어부(20)가 스텝 S11을 거쳐 스텝 S12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높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실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의 검출 후에, 하중 기준 P1을 초과하지 않는 입력 또는 하중 기준 P1을 초과한 후 입력으로서 확정된 입력을, 유저가 압력을 해제하지 않고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서 계승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A1과 A2를 거치는 곡선은, 상기한 낮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에 의해,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압력 입력이 검출되고 입력의 접수가 확정되었을 때,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입력부(34)에 대한 압력 하중의 예시적인 연대기적 변화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은, 압력 하중이 하중 기준 P1을 초과하는 시점(A1)에서 받아들여지고, 압력 하중이 하중 기준 P1의 이하로 하락하는 시점(A2)에서 확정된다.
대조적으로, 스텝 S36에서,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가, 일단 P2를 초과한 후에 하중 기준 P2의 이하로 하락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제어부(20)는 스텝 S41로 이행한다.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는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 P가 일단 하중 기준의 값 P1(A1)을 초과한 후에 P1(A2)의 이하로 하락되는 경우에, 확정한다. 그렇지만, 제어부(20)가 스텝 S36로부터 스텝 S41로 이행할 때는,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P1을 초과하는 압력 하중의 압력 입력이 행해질 수 있더라도,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이 받아들여지고 확정된다. 이러한 경우,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스텝 S41에서는,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P2를 초과하는 압력 하중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압력 하중이 P2의 이하로 하락하는 것이 계속해서 검출되는 시점에서, 하중 기준 P1의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캔슬한다. 또한, 스텝 S41에서는,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이 캔슬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어부(20)는 입력 오브젝트가 눌려지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이라이트 표시로 되돌린다. 스텝 S41의 뒤에, 상기 스텝 S38의 후의 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해서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스텝 S39) 처리를 계속한다.
상기와 같이, 낮은 하중 입력 접수 처리에 있어서, 스텝 S36로부터 스텝 S41로의 처리는,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라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는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하기는, 도 12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오브젝트의 압력 입력 접수 처리에 의해, 유저의 의도와는 반대의 잘못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유저의 입력에 대처하는 방법의 설명이다.
우선, 높은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압력 하중이, 도 12(A)에 파선의 곡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높은 하중 기준 P2(B1)를 초과한 후에 P2(B2)의 이하로 하락되는 경우에, 조작 입력의 접수가 확정된다. 따라서,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통상의 압력으로 누르는 경우에도, 이 입력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 유저에 의한 압력 입력은, 통상의 조작의 압력처럼, 도 12(A)에 실선의 곡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 하중 기준 P1(A1)을 초과하고, 그 다음에 P1(A2)의 이하로 하락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입력이 회피된다.
다음에, 낮은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압력 하중이, 도 12(B)에 파선의 곡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 하중 기준 P1(A1')을 일단 초과한 후에 P1(A2')의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에, 조작 입력의 접수가 확정된다. 그렇지만,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를 강하게 누를 경우에, 도 12(B)에 실선의 곡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하중은 낮은 하중 기준 P1(A1)을 초과한다. 이 시점에,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졌다고 판정될지라도, 입력의 접수는 아직 확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력 하중이 일단 하중 기준 P2(C1)를 초과한 후 계속해서 P2(C2)의 이하로 하락할 때, 눌려지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의 접수가 캔슬된다. 따라서,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를 강하게 누르는 경우에,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입력이 없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유저에 의한 의도하지 않는 입력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하기는,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를 강하게 누르는 경우에, 올바른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유저가 간단히 다시 누르는 방법의 설명이다.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하는 의도 대신에, 유저가 실수로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를 강하게 누른 경우에, 도 13에 실선의 곡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하중은 낮은 하중 기준 P1(A1)을 초과한다. 이 후, 압력 하중이 하중 기준 P2(C1)를 초과한 후, 또는 압력 하중이 계속해어 P2(C2)의 이하로 하락하는 시점에, 제어부(20)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의 접수가 캔슬된 것을 유저에게 알린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가, 입력의 캔슬을 나타내는 사운드(beep 사운드 등)를 생성하도록 음성 출력부(80)를 제어하거나, 입력의 캔슬을 나타내는 진동을 생성하도록 진동부(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유저에 의한 압력 입력이 적절히 행해지지 않았고, 따라서 캔슬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은 도 13의 시간축상의 α의 범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후, 입력의 캔슬을 인식했을 때, 유저는, 상술한 슬라이드 입력과 같이, 입력부(34)에 대한 압력 입력을 해제하지 않고 압력 입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입력부(34)에 대한 압력 입력을 의도하는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로 계승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 13의 시간축상의 β의 범위로 나타내어져 있다. 슬라이드 입력에 의해 의도하는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로 압력 입력을 변화시킨 후에, 유저는,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하중 기준 P2를 초과하는 압력 하중의 압력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 13의 시간축상의 γ의 범위로 나타내어진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용이하게, 먼저의 오입력을 수정하여 올바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방식으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 진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P1, P2 및 소정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것이 가정되었지만, 필요에 따라서, 유저가 그것을 변경 또는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유저가 조작동안 그것과 관련하여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에는, 나중에 그것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을 판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간략화하기 위해,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와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의 양쪽에 관하여, 대응하는 하중 기준을 초과하는 시점에서는 입력의 접수가 확정되지 않고, 하중 기준의 이하로 하락한 시점에 입력의 접수가 확정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이 하중 기준 P1을 초과하는 시점에 확정되지 않고 하중 기준 P1 이하로 하락한 시점에 확정되고, 그리고 하중 기준 P2를 초과하는 시점에서 입력이 캔슬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즉,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의 접수는, 압력 하중이 일단 하중 기준 P1을 초과한 후에 P1 이하로 하락하면, 확정되고, 그리고, 압력 하중이 하중 기준 P1을 초과한 후 또한 계속해서 P2를 초과하면, 캔슬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오브젝트들은 소정 간격보다 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에, 유저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이한 하중 기준이 입력 오브젝트들에 설정되었다. 그렇지만, 입력 오브젝트들이 임의의 간격이 없이 배치된 경우일지라도, 각각의 입력 오브젝트는 넓은 입력 접수 영역을 갖는 경우, 유저가 오입력을 행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 각각의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영역이 소정 크기보다 더 넓으면, 입력 오브젝트들에 대해서 상이한 하중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 각각의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영역이 넓으면 유저가 오입력을 행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에 기초하여,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하중 기준을 설정할지의 여부의 판정을 위한 기준인 소정의 간격을 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소정의 간격이 1 cm로 설정된 경우에,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영역이 넓은(즉, 오브젝트가 크다) 경우, 그리고 또한 입력 오브젝트들간의 간격이 예를 들면 0.1 cm보다 더 넓으면 동일한 하중 기준이 설정될 수 있고, 입력 접수 영역이 좁고, 그리고 간격이 예를 들면 2 cm보다 좁은 경우에, 상이한 하중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장 단순한 예로서 2개의 하중 기준 P1 및 P2를 이용하는 경우가 채용되었을지라도, 3개 이상의 하중 기준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의 접수가 캔슬되었을 때에, 진동부(50)가 진동하여 유저에게 상응하게 통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진동으로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필수는 아닐지라도, 입력의 접수의 캔슬에 더하여, 상기 각종의 입력에 응답하는 진동부(50)의 진동은 유용성(usability)의 향상을 기대시킨다.
예를 들면, 하중 기준 P1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P1(A1)을 초과하는 압력 하중의 하중 검출부(40)에 의한 검출 시에, 제어부(20)는 도 14(A)에 나타내는 파형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그 후,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P1(A2) 이하의 압력 하중의 하중 검출부(40)에 의한 검출 시에, 제어부(20)는, 도 14(B)에 나타내는 파형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또, 하중 기준 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도 4에 나타내는 P2(B1)를 초과하는 압력 하중의 하중 검출부(40)에 의한 검출 시에, 제어부(20)는, 도 14(C)에 나타내는 파형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그 후,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P2(B2) 이하의 압력 하중의 하중 검출부(40)에 의한 검출 시에, 제어부(20)는 도 14(D)에 나타내는 파형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각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압력 하중 P1 또는 압력 하중 P2에 의한 입력이, 입력 장치에 의해 적절히 받아들여지는 것을 구별해 인식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입력부에 대한 압력 하중이 검출되고,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과 입력 오브젝트와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을 서로 상이해지도록 설정한다. 이에 의해, 작은 터치 패널의 입력부에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하여 표시될 경우라도, 유저는 각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구별하여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낮은 하중 기준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의 압력 하중이, 높은 하중 기준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낮은 하중 기준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가 높은 하중 기준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을 행할 의도 대신에, 실수로 낮은 하중 기준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압력 입력을 행하는 경우라도, 유저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 유저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입력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는 동작의 개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휴대 전화
20: 제어부
30: 터치 패널
32: 표시부
34: 입력부
40: 하중 검출부
50: 진동부
60: 기억부
70: 음성 입력부
80: 음성 출력부
90: 키 입력부

Claims (2)

  1. 입력 오브젝트(input object)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pressure input)을 받아들이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대한 압력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검출부; 및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하중이 하중 기준(load standard)을 충족했을 때에, 상기 압력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들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들이 제1의 하중 기준 및 상기 제1의 하중 기준보다 더 높은 제2의 하중 기준으로 상이하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의 하중 기준을 가진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의 압력 하중이 상기 제2의 하중 기준을 충족했을 경우에, 압력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하중 기준을 가진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압력 입력의 압력 하중이 상기 제2의 하중 기준을 충족한 후에 상기 제2의 하중 기준보다 더 낮아지게 하락했을 경우, 압력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입력 장치.
KR1020117014520A 2008-12-25 2009-12-25 입력 장치 KR101177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31272 2008-12-25
JP2008331272A JP4746086B2 (ja) 2008-12-25 2008-12-25 入力装置
PCT/JP2009/007318 WO2010073731A1 (ja) 2008-12-25 2009-12-25 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870A true KR20110086870A (ko) 2011-08-01
KR101177239B1 KR101177239B1 (ko) 2012-08-24

Family

ID=4228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520A KR101177239B1 (ko) 2008-12-25 2009-12-25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24859B2 (ko)
JP (1) JP4746086B2 (ko)
KR (1) KR101177239B1 (ko)
WO (1) WO2010073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6085B2 (ja) 2008-12-25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4885938B2 (ja) 2008-12-25 2012-02-29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4746086B2 (ja) 2008-12-25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KR20120049307A (ko) * 2009-08-27 2012-05-16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촉각제시장치 및 촉각제시장치의 제어방법
JP5912235B2 (ja) * 2010-07-27 2016-04-27 京セラ株式会社 触感呈示装置及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JP5841714B2 (ja) 2010-07-27 2016-01-13 京セラ株式会社 触感呈示装置及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JP5841713B2 (ja) * 2010-07-27 2016-01-13 京セラ株式会社 触感呈示装置及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2027855A (ja) 2010-07-27 2012-02-09 Kyocera Corp 触感呈示装置及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JP5529663B2 (ja) 2010-07-28 2014-06-25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5461345B2 (ja) * 2010-08-25 2014-04-02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5732783B2 (ja) * 2010-09-02 2015-06-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070378A1 (ja) * 2010-11-26 2012-05-3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
JP5774366B2 (ja) * 2011-05-12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8952987B2 (en) 2011-05-19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elements augmented with force detection
WO2012160844A1 (ja) * 2011-05-20 2012-1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荷重検出装置及び前記荷重検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ならびに荷重検出装置の製造方法
JP5751931B2 (ja) * 2011-05-27 2015-07-2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775849B2 (ja) * 2011-05-27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3001779A1 (ja) * 2011-06-27 2013-01-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855537B2 (ja) * 2011-06-28 2016-02-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819513B1 (ko) * 2012-01-20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410555B2 (ja) * 2012-01-26 2014-02-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JP5844178B2 (ja) 2012-02-29 2016-01-13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載装置
EP2847660B1 (en) 2012-05-09 2018-11-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IL221862A (en) 2012-09-10 2015-03-31 Elbit Systems Ltd Attacking a physical touch event on optical touch screens
JP6232694B2 (ja) * 2012-10-15 2017-11-2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15612B2 (ja) * 2013-07-29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FR3015714B1 (fr) * 2013-12-19 2017-04-21 Dav Interface homme machine permettant de commander au moins deux fonctions d'un vehicule automobile
KR101862845B1 (ko) * 2016-03-23 2018-07-05 (주)휴맥스 리모콘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621893B (zh) * 2016-07-15 2020-11-20 苹果公司 在非电子表面上使用电子输入设备的内容创建
KR102628789B1 (ko) * 2016-09-0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8057645A1 (en) 2016-09-22 2018-03-29 Apple Inc. Battery architecture in an electronic device
CN109074190B (zh) * 2016-09-22 2022-05-24 苹果公司 具有底切塑料框架的显示模块和玻璃
JP6825397B2 (ja) * 2017-02-07 2021-02-03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US11946996B2 (en) 2020-06-30 2024-04-02 Apple, Inc. Ultra-accurate object tracking using radar in multi-object environment
US11614806B1 (en) 2021-05-12 2023-03-28 Apple Inc. Input device with self-mixing interferometry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585A (en) * 1990-10-12 1991-10-01 Interlink Electronics, Incorporated Multipurpose keyboard using digitizer pad featuring spatial minimization of a pressure contact area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839972B2 (ja) * 1991-11-15 1998-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感圧式座標入力装置
JPH06161660A (ja) 1992-11-27 1994-06-10 Toshiba Corp 感圧式タブレットを使用した位置情報入力装置
JPH0876925A (ja) 1994-09-02 1996-03-22 Kokusai Electric Co Ltd 入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62446A (ja) 1995-08-22 1997-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タッチパネル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JP3727399B2 (ja) 1996-02-19 2005-12-1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H10171600A (ja) * 1996-12-06 1998-06-26 Brother Ind Ltd 入力装置
US7614008B2 (en) 2004-07-30 2009-11-03 Apple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US6377685B1 (en) 1999-04-23 2002-04-23 Ravi C. Krishnan Cluster key arrangement
JP4582863B2 (ja) 2000-05-22 2010-11-17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立体視映像表示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US6888537B2 (en) 2002-02-13 2005-05-03 Siemens Technology-To-Business Center, Llc Configurable industrial input devices that use electrically conductive elastomer
US7456823B2 (en)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JP4115198B2 (ja) 2002-08-02 2008-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US7685538B2 (en) * 2003-01-31 2010-03-23 Wacom Co., Ltd. Method of triggering functions in a computer application using a digitizer having a stylus and a digitizer system
GB0312465D0 (en) 2003-05-30 2003-07-09 Therefore Ltd A data input method for a computing device
US20050044500A1 (en) 2003-07-18 2005-02-24 Katsunori Orimoto Agent display device and agent display method
JP4039344B2 (ja) 2003-09-17 2008-0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5332063A (ja) 2004-05-18 2005-12-02 Sony Corp 触覚機能付き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US20060001654A1 (en) * 2004-06-30 2006-01-0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entry with light based touch screen displays
US7429993B2 (en) 2004-09-17 2008-09-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functionally-transparent, unobtrusive on-screen windows
JP4631443B2 (ja) * 2005-01-13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触覚機能付きの入出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4166229B2 (ja) 2005-03-14 200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6311224A (ja) 2005-04-28 2006-11-09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7609178B2 (en) * 2006-04-20 2009-10-27 Pressure Profile Systems, Inc. Reconfigurable tactile sensor input device
US7956846B2 (en) 2006-01-05 2011-06-0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tent-dependent touch sensitivity
KR100826532B1 (ko) * 2006-03-28 200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검출 방법
JP2008033739A (ja) 2006-07-31 2008-02-14 Sony Corp 力覚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圧力測定に基づくタッチスクリーンインター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JP4829070B2 (ja) 2006-10-23 2011-11-30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へのタッチ操作無効化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式電子機器
JP4968515B2 (ja) 2006-11-15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基板支持振動構造、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8103018A1 (en) * 2007-02-23 2008-08-28 Tp-I Co., Ltd Virtual keyboard input system using pointing apparatus in digial device
JP2008225690A (ja) 2007-03-09 2008-09-25 Sony Corp 振動体、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7973778B2 (en) 2007-04-16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simulation of touch pressure
JP2008305174A (ja) 2007-06-07 2008-12-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100556B2 (ja) 2008-07-30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US10983665B2 (en) 2008-08-01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
US20100039393A1 (en) * 2008-08-15 2010-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ext entry on touch screen cellphones by different pressure levels
JP4746085B2 (ja) 2008-12-25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4746086B2 (ja) 2008-12-25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52736A (ja) 2010-07-08
WO2010073731A1 (ja) 2010-07-01
US20110181539A1 (en) 2011-07-28
US8624859B2 (en) 2014-01-07
JP4746086B2 (ja) 2011-08-10
KR101177239B1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239B1 (ko) 입력 장치
JP4746085B2 (ja) 入力装置
US10871892B2 (en) Input device
KR101287791B1 (ko) 입력 장치
JP4723656B2 (ja) 入力装置
JP5519020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5461471B2 (ja) 入力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774366B2 (ja) 入力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160683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5606984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2013058269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5518821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