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890A -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890A
KR20110076890A KR1020117006700A KR20117006700A KR20110076890A KR 20110076890 A KR20110076890 A KR 20110076890A KR 1020117006700 A KR1020117006700 A KR 1020117006700A KR 20117006700 A KR20117006700 A KR 20117006700A KR 20110076890 A KR20110076890 A KR 20110076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oft capsule
capsule
drying
out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952B1 (ko
Inventor
노부유키 이시카와
고지 가지마
야스노리 야마다
츠스에 아카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쿄
Publication of KR2011007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 수법의 건조 능력을 증강시켜 캡슐 외피 시트의 수분 함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캡슐 제조 수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로부터 거의 일정 두께의 외피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성형부와, 이 외피 시트를 1 쌍의 다이롤 사이에 이송하고, 외피 시트의 접합을 담당하는 캡슐 성형부와, 접합에 수반되어 외피 시트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부를 구비하고, 외피 시트로 이루어지는 외피부에 의해 내용물을 피복한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는 수법이고, 시트 성형부에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를 구비한 건조 장치를 형성하고, 그 히터로부터 외피 시트에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거의 일정한 두께, 적당한 점도, 수분 함량을 갖는 외피 시트에 형성된 상태에서, 당해 시트를 캡슐 성형부에 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PROCESS FOR PRODUCING SOFT CAPSUL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약품」, 「특정 보건용 식품」, 「이른바 건강 식품」및 식품에 널리 범용되고 있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수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물성 원료인 젤라틴을 사용하지 않고, 주로 식물성 원료인 전분을 사용한 외피부를 갖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소프트 캡슐은, 소, 돼지 등의 뼈나 가죽 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하고,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의약품」이나 「이른바 건강 식품」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BSE (Bovine Spondiform Encepralopany ; 우해면상뇌증) 의 발생이 보고된 이래, 동물성 젤라틴을 사용하지 않고 비동물 유래의 소재를 사용한 소프트 캡슐 외피의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 특허문헌 1, 2 에서는, 겔화제인 카라게난 검과 만난 검의 조합에 의해 젤라틴을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 있어서는 κ카라기난을 사용한 캡슐에 대한 기술도 공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에 있어서는 ι카라기난 및 κ카라기난을 사용한 캡슐에 대한 기술도 공개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3 에 있어서는, λ카라기난은 고점도를 부여하지만 겔상이 되지 않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κ카라기난 및 ι카라기난의 성질로는, 비특허문헌 1 에는, 「κ- 또는 ι-카라기난을 물에 분산시키고, 약 60 ℃ 이상으로 가열하면, 카라기난의 분자는 랜덤 코일상으로 용해된다. 이 용액을 냉각해 가면 더블헤릭스가 형성되고, 이것이 정크션 존이 되어 겔화가 시작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성을 가지므로, ι카라기난 및 κ카라기난을 이용하여 캡슐화 피막을 형성할 때에는, 캡슐화 피막으로서 젤라틴을 사용할 때보다, 캡슐화 피막 시트를 적어도 20 ∼ 30 ℃ 정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해야 한다. 그 때문에, 캡슐 내용물에 대한 열부하가 커 품질상 문제가 있고, 또 열에너지 효율도 나빴다.
이와 같은 상황하, κ카라기난 및 ι카라기난과는 달리 겔화되지 않는 λ카라기난 (비특허문헌 2 및 비특허문헌 3 참조) 을 이용하여 캡슐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면, 캡슐화 피막 시트의 가열을 종래의 젤라틴 시트와 동일 레벨 (세그먼트부 온도 : 통상 35 ∼ 50 ℃) 에서 캡슐 내용물에 열부하를 가하지 않고 캡슐화할 수 있어, 열에너지 효율이 양호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차렸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독자적으로 예의 노력하여,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사용한 비동물 유래의 외피부 (캡슐 외피) 를 가진 소프트 캡슐의 개발에 성공하여, 우선 먼저 특허 출원 (특허 출원 번호 일본 특허출원 2007-082542호) 하였다. 또한, 이 상기 특허 출원 「일본 특허출원 2007-082542호」는, 본 특허 출원시에는 출원 공개되지 않아, 공지 기술로 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사용한 비동물 유래 캡슐 외피를 가진 소프트 캡슐을,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 6) 로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비동물 유래 캡슐 외피 시트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능력이 불충분하므로, 캡슐 외피 용액의 수분 배합량을 줄여 건조 부하를 감소시켜야 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와 같이 수분 배합량을 줄이면, 캡슐 외피 용액 중에 용해된 에어가 탈포 공정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되어, 캡슐 외피 시트에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는 기포가 남는 기포 불량의 캡슐이 형성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또,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이용하고, 수분 배합량을 줄여 건조 부하를 감소시켰다고 해도, 그 고점도의 캡슐 외피 용액의 공급은, 시간을 들여 실시할 필요가 있어, 소프트 캡슐의 충전 속도를 올리면, 캡슐 외피 시트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능력을 추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캡슐 외피 용액의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생산성 향상의 방해도 되고 있었다.
미국 특허 제53426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29833호 미국 특허 제6214376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04326호 일본 특허공보 평5-88143호 (냉각 드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0768호 (서보)
미야모토 타케아키 등 편집 「천연·생체 고분자 재료의 신전개」CMC 출판 2003년 11월 28일 보급판 제 1 쇄 발행 64 ∼ 65 페이지 츄우오 푸즈 머티리얼 주식회사, "츄우오 푸즈 머티리얼 주식회사 HP" [onlion], 2002년 「사업 내용」→「카라기난」→「카라기난의 특성」의 「겔화성」의 항목, [2007년 1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chuofoods.co.jp/jgc03.html > FMC 바이오 폴리머 사업부, "카라기난 개론" 6 ∼ 7 페이지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을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 수법에,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캡슐 외피 시트 건조 수법을 채택하고, 건조 능력을 증강시켜 캡슐 외피 시트의 수분 함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한 새로운 캡슐 제조 수법을 개발함으로써,
종래의 젤라틴, 가소제 및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캡슐 외피 시트 접착면을 균일하게 적당한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사용한 비동물 유래 캡슐 외피를 갖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캡슐 외피 용액의 탈포성,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분 배합량을 많게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90 ∼ 160 중량부) 하여 저점도로 캡슐 외피 용액을 주입해도,
캡슐 외피 시트의 접착면을 균일하게 불균일없이 적당한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캡슐 기포 불량의 방지, 캡슐 충전 속도 증가 등 생산성, 비용면, 품질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청구항 1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은, 1 쌍의 다이롤 사이에 외피 시트를 대향적으로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공급하고, 다이롤의 맞댐 작용에 의해 외피 시트의 접합을 도모함과 함께, 접합에 맞추어 내용물을 외피 시트에 공급하고, 외피 시트로 이루어지는 외피부의 내측에 내용물을 수용한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피 시트는, 1 쌍의 다이롤에 의한 접합을 받기까지의 사이에, 중파장 적외선에 의해 건조되고, 이로써 거의 일정한 두께, 적당한 점성, 수분 함량을 갖는 시트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2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외피부는, 원료의 구성 성분 조성으로서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3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외피 시트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조사하는 중파장 적외선의 파장은, 0.8 ∼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4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청구항 1, 2 또는 3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외피 시트는,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에 의해, 1 쌍의 다이롤 사이로 이송되는 단계에서의 수분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9 ∼ 29 %,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 27 % 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5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청구항 1, 2, 3 또는 4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외피 시트의 건조에 있어서는, 중파장 적외선의 조사를 적어도 2 단계 이상 형성하는 것이며, 각 단계에서 외피 시트의 편면을 별개로 조사함으로써, 외피 시트의 양면을 건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6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청구항 2, 3, 4 또는 5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외피부는, 건조 전의 액 단계에서,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물의 배합량이, 90 ∼ 160 중량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7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청구항 2, 3, 4, 5 또는 6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외피부는, 건조 전의 액 단계에서,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λ카라기난 5 ∼ 25 중량부, 금속염 0.5 ∼ 10 중량부, 덱스트린 3 ∼ 100 중량부, 가소제 20 ∼ 80 중량부, 및 물 90 ∼ 16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8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청구항 2, 3, 4, 5, 6 또는 7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λ카라기난에 대한 비율이, λ카라기난 : κ카라기난 : ι카라기난 = 1 : 0.1 : 0.1 ∼ 1 : 0.8 : 0.2 의 κ카라기난과 ι카라기난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청구항 8 의 발명은 κ카라기난이나 ι카라기난이 포함되어 있어도, λ카라기난에 대한 금속염 첨가의 작용 효과를 저해하는 것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9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장치는,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로부터 거의 일정 두께의 외피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성형부와, 성형 돌기를 가진 1 쌍의 다이롤의 맞댐 작용에 의해, 다이롤 사이에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공급되는 외피 시트의 접합을 담당하는 캡슐 성형부와, 외피 시트의 접합에 수반하여 외피 시트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부를 구비하고, 외피 시트로 이루어지는 외피부에 의해 내용물을 피복한 소프트한 캡슐제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성형부에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를 구비한 건조 장치가 형성되고, 그 히터로부터 외피 시트에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거의 일정한 두께, 적당한 점성, 수분 함량을 갖는 외피 시트에 형성한 상태에서, 당해 시트를 캡슐 성형부에 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10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장치는, 상기 청구항 9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건조 장치의 중파장 적외선 히터로부터 외피 시트에 조사하는 중파장 적외선의 파장은, 0.8 ∼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11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장치는, 상기 청구항 9 또는 10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시트 성형부는,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를, 거의 일정한 두께의 시트 상태에서 토출하는 스프레더 박스와, 이 스프레더 박스로부터 토출된 외피 시트를 냉각하는 캐스팅 드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또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한 외피 시트의 건조는, 캐스팅 드럼 상에 위치하는 외피 시트에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하여 주로 외피 시트의 편면을 건조시키는 편면 건조와, 외피 시트를 캐스팅 드럼으로부터 박리시키고, 별도로 이송로에 꺼낸 후, 이 이송로에 있어서 편면씩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하여 외피 시트의 양면을 건조시키는 양면 건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편면 건조와 양면 건조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건조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12 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의 제조 장치는, 상기 청구항 11 에 기재된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외피 시트를 캐스팅 드럼으로부터 별도로, 이송로에 꺼내어 양면 건조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외피 시트의 조사면에 대해, 시트의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에어를 흘려보내고, 또 외피 시트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먼저, 겔화되지 않은 λ카라기난에 일정량의 금속염을 첨가하여 약산성 상태로 했을 때에, λ카라기난에 적당한 점성과 탄력성이 얻어져, 소프트 캡슐 형성에 바람직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고, 종래에 없는 식물성 소재를 사용한 비동물 유래의 캡슐 외피 그리고 이것을 가진 소프트 캡슐을 완성시켰다.
그리고, 또한 일반적인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 수법에,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캡슐 외피 시트 건조 수법을 채택하고, 건조 능력을 증강시켜 캡슐 외피 시트의 수분 함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한 새로운 캡슐 제조 수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수법에 의하면,
종래의 젤라틴, 가소제 및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캡슐 외피 시트 접착면을 균일하게 적당한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사용한 비동물 유래 캡슐 외피를 갖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캡슐 외피 용액의 탈포성,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분 배합량을 많게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90 ∼ 160 중량부) 하여 저점도로 캡슐 외피 용액을 주입해도, 캡슐 외피 시트의 접착면을 균일하게 불균일없이 적당한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캡슐 기포 불량의 방지, 캡슐 충전 속도 증가 등 생산성, 비용면,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서 제조되는 비동물 유래 소프트 캡슐의 외피부는, 구성 성분 조성으로서,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건조 전의 외피액 단계에서 (외피부를 건조시키기 전의 용액 단계에서),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물의 배합량이, 바람직하게는90 ∼ 16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15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140 중량부이다. 90 중량부 이하이면, 고점도로 캡슐 외피 용액 중에 용해된 에어가 잘 안 빠져, 탈포 공정에 있어서, 에어의 탈포가 불충분해지고, 그 결과 캡슐 외피 시트에 기포가 있는 기포 불량의 캡슐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 캡슐 외피 용액의 유동성이 나빠져, 캡슐 충전 속도 증가에 방해가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160 중량부 이상이면, 캡슐 외피 시트가, 너무 부드러워져 캐스팅 드럼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물 배합량 90 ∼ 160 중량부의 점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의 배합은 없음) 는, 농도 10 %, 온도 85 ∼ 95 ℃ 에서 6 시간 용해시킨 후 75 ℃ 에서 측정하여 3000 ∼ 13000 cps (저점도) 이다.
한편,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물 배합량 60 ∼ 90 중량부의 점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의 배합은 없음) 는, 농도 10 %, 온도 85 ∼ 95 ℃ 에서 6 시간 용해시킨 후 75 ℃ 에서 측정하여 13000 ∼ 35000 cps (고점도) 이다. 또한, 점도는, 주식회사 토키멕 제조의 B 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비동물 유래 소프트 캡슐의 외피부 구성 성분인 금속염은, 숙신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글루콘산나트륨 등의 유기산 금속염과, 인산 수소 2 나트륨, 인산 2 수소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등의 무기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이다. 그 중에서도, 인산 2 수소나트륨과 염화칼륨의 조합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금속염의 배합 비율은, 건조 전의 외피액 단계에서 (외피부를 건조시키기 전의 용액 단계에서),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인산 2 수소나트륨이 1 ∼ 3 중량부 및 염화칼륨이 0.05 ∼ 0.2 중량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산 2 수소나트륨이, 1.5 ∼ 2.5 중량부 및 염화칼륨이 0.08 ∼ 0.12 중량부이다. 인산 2 수소나트륨이 1 중량부 이하이면, λ카라기난에 적당한 점성과 탄력성이 얻어지지 않고, 바람직한 소프트 캡슐을 형성할 수 없다. 한편, 인산 2 수소나트륨이 3 중량부 이상이면, λ카라기난이 가수 분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염 첨가의 작용 효과〕
본 발명자들은, 겔화되지 않는 λ카라기난에 일정량의 금속염을 첨가함으로써 λ카라기난에 적당한 점성과 탄력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그 금속염 첨가의 작용 효과는 반드시 분명하지는 않지만, 인산 2 수소나트륨과 염화칼륨을 첨가했을때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비동물 유래 소프트 캡슐은, 본 사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κ카라기난이나 ι카라기난이 포함되어 있어도, λ카라기난에 대한 금속염 첨가의 작용 효과를 저해하는 것은 아니다.
(1) 인산 2 수소나트륨 등의 약산성 금속염의 기능
λ카라기난은 음이온성 고분자이므로, 양이온 (H+, Na+) 존재하에서 가용화되어 투명해진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음이온성 고분자인 λ카라기난에 인산 2 수소나트륨 등의 약산성 금속염을 첨가하고, 가수 분해가 일어나지 않고 적당한 점성 (접착성) 이 얻어지도록 한다.
(2) 염화칼륨, 시트르산칼륨 등의 금속염의 기능
약산성하에 있는 음이온 고분자인 λ카라기난에, 염화칼륨 등으로 K+ (칼륨 이온) 를 공급함으로써, K+ 를 중심으로 하여, 음이온성 고분자인 λ카라기난이, 착물과 같은 것을 형성하여 탄력성을 증강시킨다.
(3) 전분의 기능
시트가 적당한 점성 (접착성) 과 탄력성을 갖는 용융 상태에서, 호화 (糊化) 된 전분이, 전분호 작용에 의한 시일성을 갖기 때문에, (i) 금형 (후술하는 다이롤) 에 의한 압착, (ii) 전분호에 의한 용착에 의해 소프트 캡슐이 형성된다.
κ카라기난 및 ι카라기난의 성질로서 전술한 비특허문헌 1 에는, 「κ- 또는 ι-카라기난을 물에 분산시키고, 약 60 ℃ 이상으로 가열하면, 카라기난의 분자는 랜덤 코일 형상으로 용해된다. 이 용액을 냉각해 가면, 더블헤릭스가 형성되고, 이것이 정크션 존이 되어 겔화가 시작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ι카라기난 및 κ카라기난을 이용하여 캡슐화 피막을 형성할 때에는, 캡슐화 피막으로서 젤라틴을 사용할 때 (세그먼트부 온도 : 통상 35 ∼ 50 ℃) 보다, 캡슐화 피막 시트를 적어도 20 ∼ 30 ℃ 정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해야 한다. 그 때문에, 캡슐 내용물에 대한 열부하가 커 품질상 문제가 있고, 또 열에너지 효율이 나쁜 점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겔화되지 않는 λ카라기난에 일정량의 금속염을 첨가함으로써 λ카라기난에 적당한 점성과 탄력성을 가지는 것을 알아내어, 비동물 유래 소프트 캡슐을 완성시켰다. 그 때문에, κ카라기난, ι카라기난과는 달리, λ카라기난으로 캡슐화 피막을 형성할 때에는, 젤라틴을 사용할 때 (세그먼트부 온도 : 통상 35 ∼ 50 ℃) 와 동일한 정도의 세그먼트부 온도에서, 캡슐 내용물에 과도한 열부하를 가하지 않고 캡슐화할 수 있어, 열에너지 효율이 양호한 점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비동물 유래 소프트 캡슐의 외피부 구성 성분인 전분은, 생전분, HP 화 전분, 산 처리 전분 및 α 화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이다.
여기서, 전분 유도체인 HP 화 전분이란, 하이드록시프로필에테르화 전분이며,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HP 화 전분이면 어느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카이 전분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TR-3, 마츠타니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마츠타니 유리, 파이넥스 600, 니치덴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데리카 KH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전분 유도체인 α화 전분이란, 상온에서 호화 (용해) 되는 냉수 가용성 전분이며, 예를 들어 산와 전분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타피오카 알파 TP-2 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비동물 유래 소프트 캡슐의 외피부 구성 성분인 가소제는, 글리세린, 당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등이다. 또 가소제의 배합 비율은, 건조 전의 외피액 단계에서,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20 ∼ 8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70 중량부이다.
본 발명자들은, 먼저, 겔화되지 않는 λ카라기난에 일정량의 금속염을 첨가하여 약산성 상태로 했을 때에, λ카라기난에 적당한 점성과 탄력성이 얻어져, 소프트 캡슐 형성에 바람직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종래에 없는 식물성 소재를 사용한 비동물 유래의 캡슐 외피 그리고 이것을 가진 소프트 캡슐을 완성시켰다.
그리고, 또한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 수법에,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캡슐 외피 시트 건조 수법을 채택하고, 건조 능력을 증강시켜 캡슐 외피 시트의 수분 함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소프트 캡슐 제조 수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수법에 의하면,
종래의 젤라틴, 가소제 및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캡슐 외피 시트 접착면을 균일하게 적당한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사용한 비동물 유래 소프트 캡슐 외피를 갖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캡슐 외피 용액의 탈포성,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분 배합량을 많게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90 ∼ 160 중량부) 하여 저점도로 캡슐 외피 용액을 주입해도, 캡슐 외피 시트의 접착면을 균일하게 불균일없이 적당한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캡슐 기포 불량의 방지, 캡슐 충전 속도 증가 등 생산성, 비용면,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 (충전기) 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 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 (충전기) 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1 쌍의 다이롤에 의해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는, 1 쌍의 다이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 장치를, 캐스팅 드럼의 측방부에 형성하고 (특히 이송로는 형성하지 않고), 외피 시트를 건조시키도록 한 편면 건조를 나타내는 충전기의 정면도, 그리고 건조 장치 부분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7 은,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용의 이송로를 4 단계 형성하고, 외피 시트의 표면과 이면을 각각 2 회씩 건조 (조사) 시킬 수 있도록 한 양면 건조를 나타내는 충전기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건조 중의 외피 시트를 컨베이어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이하의 실시예에 서술하는 것을 그 하나로 함과 함께, 추가로 그 기술 사상 내에 있어서 개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법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는,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소프트 캡슐 (1) 의 기본 구조에 대해 설명한 후, 이 소프트 캡슐 (1) 을 제조하는 장치 (본 발명 장치) 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이어서, 이 장치의 작동 양태에 대해 설명하면서, 아울러 본 발명 방법인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추가로 캡슐 외피의 성분 조성을 실제로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프트 캡슐의 기본 구조〕
소프트 캡슐 (1) 의 기본 구조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액 등의 내용물 (N) 을 외피부 (2) 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내용물 (N) 로는, 의약품 외에, 식품, 조미료 (조미유), 화장품, 입욕제, 잡화 (완구·접착제 등) 등 적절한 목적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그 내포 상태 (수용 상태) 로는, 액체상 외에, 겔상, 분립체, 혹은 적절히 이것들을 혼입한 상태, 예를 들어 액체 중에 분체를 혼합시킨 분체 함유 현탁액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주로 액체상의 내용물 (N) 을 수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외피부 (2) 는, 종래와 같이, 동물 유래의 젤라틴을 기재로 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식물 유래의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구체적인 성분 조성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조 장치에 대해〕
다음으로, 이와 같은 소프트 캡슐 (1) 을 제조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10) (이하, 간단히 충전기 (10) 로 한다) 에 대해 설명한다. 충전기 (10) 로는,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유용 (流用) (답습) 할 수 있고, 일례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 (외피부 (2) 를 형성하는 원료 소재인 것과 관련지어, 2A 라고 한다) 를 건조시키면서 적절한 두께의 시트상으로 형성하는 시트 성형부 (11) 와, 성형한 외피 시트 (S) 를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접합함으로써 외피 시트 (S) 로 내용물 (N) 을 캡슐상으로 감싸는 캡슐 성형부 (12) 와, 외피 시트 (S) 의 접합에 맞추어 내용물 (N) 을 이송하는 내용물 공급부 (13) 와, 형성된 소프트 캡슐 (1) 을 충전기 (10) 로부터 꺼내는 캡슐 취출부 (14)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트 성형부 (11) 에,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 장치 (15) 를 형성하고, 종래의 제조 수법에 비해 건조 능력을 현격히 향상시킨 점이 큰 특징이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시트 성형부 (11) 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은,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 (2A) 를 시트상으로 고화 형성하는 부위이며, 성형된 2 장의 외피 시트 (S) 를 접합부 (1 쌍의 다이롤 사이) 에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공급하기 위해, 일례로서 캡슐 성형부 (12) 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1 쌍 형성된다.
시트 성형부 (11) 는,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 (2A) 를, 거의 일정한 두께의 시트 상태에서 토출하는 스프레더 박스 (21) 와, 이 스프레더 박스 (21) 로부터 토출된 외피 시트 (S) 를 냉각하는 캐스팅 드럼 (22)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외피 시트 (S) 는 여기서 적절한 온도로 냉각되면서 적절한 두께의 시트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외피 원료 (2A) 를 용해하는 수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 장치 (15) 에 대해 설명한다. 건조 장치 (15) 는, 외피 원료 (2A) 로부터 시트상으로 고화 형성된 외피 시트 (S) 를 건조시켜, 원하는 수분 함량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건조를 외피 시트 (S) 에 실시하여 수분 함량을 조정하는 것은, 후단의 접합에 있어서 시트끼리의 접착성 (접합성) 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캐스팅 드럼 (22) 의 상방에 형성한 건조 장치 본체 (15A) 내에 있어서, 외피 시트 (S) 의 양면에 따로따로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하여, 외피 시트 (S) 의 건조를 도모하는 것이다 (이것을 양면 건조라고 한다). 덧붙여서, 여기서는 상기 캐스팅 드럼 (22) 에 직접 부착되지 않은 면을 먼저 건조시키고 (이것을 편의상, 표면 건조라고 한다), 그 후, 캐스팅 드럼 (22) 에 직접 부착된 면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것을 편의상, 이면 건조라고 한다). 또한, 이들 표면 건조/이면 건조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최종적으로 소프트 캡슐 (1) 로 한 상태에 있어서 캡슐 외측에 상당하는 면의 건조가 표면 건조가 되고, 캡슐 내측에 상당하는 면 요컨대 내용물 (N) 과 직접 접촉하는 면의 건조가 이면 건조가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피 시트 (S) 를 캐스팅 드럼 (22) 으로부터 박리시키고, 별도로 피드롤 (23) 에 의해 이송하면서 건조시키는 것이고, 이 이송로를 24 라고 하는 것이다. 즉, 표면 건조용과 이면 건조용의 쌍방의 이송로 (24) 는, 피드롤 (23) 에 의해 외피 시트 (S) 의 표리를 반전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시트 (표리) 의 상방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중파장 적외선이 조사된다. 이 때문에 각 이송로 (24) 에는, 중파장 적외선을 방사하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가 형성되어 있고, 또 그 히터의 하방에는, 외피 시트 (S) 를 사이에 두고 반사판 (26) 이 형성되고, 비조사면측에 대해서도, 약간의 건조 작용을 의도하여, 열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표면과 이면의 각 면에 대해 4 개 (4 기) 의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들은 반드시 모두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당초의 외피 원료 (2A) 의 배합이나 원하는 건조 수분 함량값 등에 따라 필요한 개수를 이용하여 적절한 에너지량을 외피 시트 (S) 에 조사하면 된다.
또, 외피 시트 (S) 는, 건조와 동시에 중파장 적외선의 조사에 의해 가열되기도 하므로, 건조 중에 열변형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히터 온도는 일례로서 900 ℃ 정도). 즉, 외피 시트 (S) 는 이송에 의해, 보내는 방향 (이송 방향) 에 항상 인장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보내는 방향 (길이 방향) 으로는 신장되도록 변형되기 쉽고, 이것과 직교하는 폭 방향 (깊이 방향) 으로는 수축되도록 변형되기 쉽다. 그리고, 길이 방향의 신장은, 외피 시트 (S) 자체의 자중에 의해, 느슨해져 출현하기 쉽기 때문에, 이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해, 외피 시트 (S) 의 하방에는 롤러 등의 지지체 (27) 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 중, 이송로 (24) 나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등에 부가한 부호(말미 부호) 「A」·「B」는, 이들이 작용하는 면 요컨대 외피 시트 (S) 의 표면측에 작용하는 것에 「A」, 이면측에 작용하는 것에 「B」라는 부호를 붙인 것이다.
또, 건조 중의 외피 시트 (S) 의 과도한 가열을 방지하기 위해, 외피 시트 (S) 의 표면 (요컨대 중파장 적외선의 조사면) 에는, 여기를 따른 송풍이 실시된다. 이 송풍은, 시트의 보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송풍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외피 시트 (S) 는 적당히 냉각되고, 이송로 (24) 내의 공기류도 안정되어 (일종의 정류 작용), 느슨해짐 등의 변형도 보다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류측에 형성되는 에어 분사체 (28) 는, 외피 시트 (S) 의 폭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개구된 슬릿 노즐 타입이며, 이 개구로부터 시트 표면을 따른 에어를 균일하게 토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류측에 형성된 에어 흡입체 (29) 는, 개구부가 에어 분사체 (28)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넓은 범위에서 흡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건조 중에는 이송로 (24) 나 외피 시트 (S) 의 온도가 상승되는 경향이 많아지기 쉽기 때문에,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의 하측 (외피 시트 (S) 의 바로 하방) 에는 온도계 (30) 가 형성되어, 온도 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고려되고 있다.
또한, 충전기 (10) 의 조작을 실시하거나, 충전기 (10) 의 작동을 감시하는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로부터 방사되는 광 (중파장 적외선) 을 직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를 들어 도 1 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장치 (15) 의 측면 부분에 상하동 가능한 커버 (31) 를 형성하고,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로부터의 조사광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커버 (31) 를 상하동시킬 때에, 도 1 에 아울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커버 (31) 에 상하 방향의 슬릿 (32) 을 2 지점 형성해 둠과 함께, 이 슬릿 (32) 을 통해 장치 프레임 (건조 장치 본체 (15A)) 에 나비 볼트 (33) 를 나사식으로 결합해 두고, 나비 볼트 (33) 의 조임 (비틀어넣음)/느슨해짐 (해제) 에 의해 커버 (31) 를 상하동시켜, 또 고정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이송로 (24) 가 반전되는 부분 요컨대 에어 분사체 (28) 나 에어 흡입체 (29) 가 형성되는 부위에도,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커버 (34)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커버 (31, 34) 에 의해, 건조 장치 본체 (15A) 내가 외부 공간 (제조실) 으로 나누어지고, 구획된 공간으로 하기 위함이다. 즉, 건조 장치 본체 (15A) 내를 커버 (31, 34) 에 의해 나눔으로써, 에어 분사체 (28) 로부터 에어 흡입체 (29) 에 대한 시트 표면을 따른 송풍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고 (송풍 에어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 중의 외피 시트 (S) 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 등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커버 (34) 는, 제조 중, 내부의 모습을 밖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고, 또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도록, 가운데가 꺾인 상태로 수평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서술한 부위가 시트 성형부 (11) 가 되는 것이고, 이 후, 외피 시트 (S) 가 공급되어 가는 측에 캡슐 성형부 (12) 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 성형부를 중계하도록 피드롤 (37) 이 형성된다. 즉 시트 성형부 (11) (건조 장치 (15)) 에 의해 적절한 수분 함량이 된 외피 시트 (S) 는, 복수의 피드롤 (37) 사이를 지그재그상으로 통과하면서 캡슐 성형부 (12) 에 보내진다.
다음으로 캡슐 성형부 (12) 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은, 일례로서 도 4,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1 쌍의 다이롤 (38) 을 주요 부재로 하여 이루어지고, 이 중 일방의 다이롤 (38) 이 고정되고, 타방이 이 고정된 다이롤 (38) 에 대해 접근 이반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또 각 다이롤 (38) 에는, 그 표면에 적절한 형상의 성형 오목부 (39) 와, 그 주연부에 성형 돌기 (40) 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거의 방추상 내지는 대략 회전 타원 형상을 나타내는 소프트 캡슐 (1) 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이 성형 오목부 (39) 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함몰된 타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분을 주성분으로 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캡슐 성형 후의 소프트 캡슐 (1) 의 수축이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한 경우보다 격렬해지기 때문에, 이 수축을 미리 고려하여, 성형 오목부 (39) 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1 쌍의 다이롤 (38) 은, 서로의 성형 돌기 (40) 를 거의 합치시키는 상태에서 서로 회전함으로써, 다이롤 (38) 사이에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공급되는 외피 시트 (S) 를 끌어들이면서, 양호한 타이밍에 맞대어, 캡슐 주위의 봉합 (접합) 을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부 (2) 에 수용 (피복) 되는 내용물 (N) 로서 액체상의 것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내용물 (N) 을 외피 시트 (S) 를 향하여 보낼 때의 분사 압력 (액압) 에 의해, 외피 시트 (S) 가 성형 오목부 (39) 를 따르도록 변형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적극적인 대책을 채택하지 않고, 외피 시트 (S) 에는, 내용물 (N) 의 공급 (송출) 에 수반되어, 내용물 (N) 을 수용하는 포켓부 (P) 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내용물 (N) 을 공급하기까지, 외피 시트 (S) 에 포켓부 (P) 를 적극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것이 예를 들어 도 4, 5 에 나타내는 흡인공 (41) 이다. 즉, 이 경우에는, 각 성형 오목부 (39) 의 저부에 형성된 흡인공 (41) 으로부터의 흡입에 의해, 다이롤 (38) 사이에 이송되어 오는 외피 시트 (S) 를 적극적으로 흡인하고, 내포액 (N) 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 (P) 를 사전에 만곡 형성해 두는 것이다. 또한, 포켓부 (P) 를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다른 형태로는, 예를 들어 내용물 (N) 을 공급하기 이전의 단계에서, 외피 시트 (S) 에 엠보싱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포켓부 (P) 를 형성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외피 시트 (S) 를 흡인하여 포켓부 (P) 를 형성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이미 특허 출원하여, 특허 취득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1257호 (일본 특허 제3211148호) 「분립체를 내포한 젤라틴 캡슐 그리고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
다음으로 내용물 공급부 (13) 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은, 외피 시트 (S) 의 접합에 맞추어,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주위의 봉합이 완료되기 전까지, 외피 시트 (S) 에 대해, 액체상 등의 내용물 (N) 을 공급하는 것이고, 선단이 다이롤 (38) 사이에 충분히 들어가도록 형성된 돌출 형상의 세그먼트 (44) 를 주요 부재로 하여 이루어진다.
내용물 공급부 (13) 는, 일례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원액 호퍼 (45) 를 형성하고, 이 내부에 원액 (내용물 (N)) 을 저류한다. 그리고 원액 호퍼 (45) 의 하방에는, 펌프 유닛 (46) 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적절히, 플런저 등이 다수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복수의 경로로부터 소정의 타이밍, 압력 등으로 내용물 (N) 을 분사시켜, 딜리버리 파이프 (47) 를 경유하여, 세그먼트 (44) 로부터 외피 시트 (S) 에 토출된다.
다음으로 다이롤 (38) 의 하방에 있어서, 성형 후의 소프트 캡슐 (1) 을 꺼내는 캡슐 취출부 (14) 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 후의 소프트 캡슐 (1) 은,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롤 (38) 의 성형 오목부 (39) 에 끼워 넣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은 소프트 캡슐 (1) 을, 다이롤 (38) 에 접촉하도록 형성한 스크래치 브러시 (50) 로 긁어냄과 함께, 긁어낸 소프트 캡슐 (1) 을 다이롤 (38) 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한 1 쌍의 전송 (前送) 컨베이어 (51) 에 의해, 충전기 (10) 의 전면으로 반송하여 꺼내는 것이다 (도 1 참조). 또 1 쌍의 전송 컨베이어 (51) 사이에는, 일례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프트 캡슐 (1) 이 타발 (打拔) 된 후의 블랭크 시트 (S') 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고, 그대로 하방으로 이송하는, 프리 롤러 (52) (끼워 넣는 폭이 조절 자유로움) 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 프리 롤러 (52) 는, 소프트 캡슐 (1) 이 블랭크 시트 (S') 에도 잔류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블랭크 시트 (S') 상에 머문 소프트 캡슐 (1) 을, 어느 전송 컨베이어 (51) 상에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프트 캡슐 (1) 은, 전송 컨베이어 (51) 에 의해 충전기 (10) 의 전면까지 반송된 후, 추가로 다른 컨베이어 (53) 에 이재되어, 다음의 건조 공정으로 반송된다.
또한 캡슐 성형부 (12) 에서는, 2 장의 외피 시트 (S) 가, 일례로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다이롤 (38) 사이에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이송됨과 함께, 그 상방에 위치하는 세그먼트 (44) 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내용물 (N) 이 공급된다. 즉 다이롤 (38) 에 공급된 2 장의 외피 시트 (S) 는, 그 주위면에 형성된 다수의 성형 돌기 (40) 의 맞댐 작용에 의해, 한 개씩 개별적으로 캡슐 주위 (성형 오목부 (39) 의 주위) 가 봉합되어 간다. 이 때, 외피 시트 (S) 는, 성형 돌기 (40) 에 의해 예를 들어 150 ∼ 200 ㎏ 정도의 압력을 받으므로, 봉합 부분이 효과적으로 호화되어 봉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위의 봉합이 완료된 소프트 캡슐 (1)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성형 오목부 (39) 나 블랭크 시트 (S') 등으로부터 꺼내진 후, 건조된다. 또한, 이 건조에 있어서는, 소프트 캡슐 (1) 의 형상이나 그 성상과 관련되어, 텀블러 건조기 (회전 드럼식 건조기) 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제조 방법에 대해〕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10) (충전기 (10)) 는, 이상과 같은 기본 구조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이하, 이 충전기 (10) 에 의해 소프트 캡슐 (1) 을 제조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하면서, 아울러 본 발명 방법인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소프트 캡슐 (1) 의 외피부 구성 성분 (외피 원료 (2A)) 을 혼합하여 충전기 (10) 에 공급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캡슐 (1) 의 외피 원료 (2A) 를 혼합하여 충전기 (10) 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버킷 타입의 가열 용해 가마를 사용하는 수법과, 익스트루더에 의해 연속 공급하는 수법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도 양방을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버킷 타입의 가열 용해 가마를 사용한 수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비동물 유래의 소프트 캡슐 (1) 을 제조하는 경우, 그 외피 원료 (2A) 를 용융하는 가열 용해 공정은,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가열 용해 가마에 넣고 0.05 ∼ 0.3 ㎫ (통상 0.2 ㎫) 의 압력하에서,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50 ∼ 70 rpm 으로 교반하면서, 온도 90 ∼ 120 ℃ (통상 110 ℃), 시간 60 ∼ 100 분 (통상 80 분) 으로 가열 용해한다.
다음으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탈포 공정을 실시한다. 1 단계째의 탈포 공정은, 탈포 온도 100 ∼ 110 ℃ (통상 105 ℃), 대기압을 0 (제로) 으로 한 게이지압 표기로 탈포 압력 -400 ∼ -600 mmHg (통상 -500 mmHg), 탈포 시간 15 ∼ 70 분 (통상 30 분) 으로 실시한다. 이 때, 최초의 5 ∼ 15 분 (통상 10 분) 은,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10 rpm 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 교반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탈포한다.
2 단계째의 탈포 공정은, 탈포 온도를 110 ∼ 130 ℃ (통상 120 ℃) 로 올리고, 대기압을 0 (제로) 으로 한 게이지압 표기로 탈포 압력 -400 ∼ -600 mmHg (통상 -500 mmHg), 탈포 시간 10 ∼ 20 분 (통상 15 분) 으로 탈포한다.
여기서, 가열 용해 공정 및 탈포 공정에 사용하는 진공 용해 가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품명 : 고점도 진공 교반기 (샹유 기계 유한 공사사 제조, 형식 : SY-HMD-200) 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탈포 공정에 사용하는 진공 펌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수봉식 진공 펌프 (카시야마 공업 주식회사 제조, 형식 : LEH100Ms)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탈포 후, 얻어진 용액 상태의 외피 원료 (2A) 는, 내압용 소분 (小分) 탱크로 옮기고, 60 ∼ 90 ℃ (통상 75 ℃) 에서 약 12 ∼ 24 시간 가열 보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용액 상태의 외피 원료 (2A) 를, 충전기 (10) 에 공급하는 공급 공정에서는, 외피 원료 (2A) 를 0.01 ∼ 0.1 ㎫ (통상 0.05 ㎫) 의 압력하에서 소분 탱크로부터 압출하고, 충전기 (10) 의 스프레더 박스 (21) 에 저류한다. 또 캐스팅 드럼 (22) 과 스프레더 박스 (21) 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일정한 두께를 유지한 외피 시트 (S) 를 제조한다. 또한, 이 때의 캐스팅 드럼 (22) 의 온도는, 공냉 또는 수냉에 의해 17 ∼ 22 ℃ (통상 온도는 20 ℃) 의 일정 온도로 유지된다.
또, 이 때의 충전실 습도 (제조실 습도) 는, 20 ∼ 26 %RH (통상 23 %RH) 의 일정 습도로 유지하고, 충전실 온도 (제조실 온도) 는, 22 ∼ 27 ℃ (통상 25 ℃) 의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외피 시트 (S) 를,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 장치 (15) 에 의해 건조시키는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스프레더 박스 (21) 로부터 토출된 외피 시트 (S) 는, 캐스팅 드럼 (22) 에 실려, 약 3/4 원 (약 270 도) 정도 회전한 후, 캐스팅 드럼 (22) 으로부터 박리되어, 그 상방 등에 형성된 이송로 (24) 에 보내지고, 여기서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양면 건조를 받는다. 즉 캐스팅 드럼 (22) 으로부터 송출된 외피 시트 (S) 는, 먼저 이송로 (24A) 를 통과하는 동안에, 표면 (캡슐 외측) 이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A) 에 의해 건조되고, 그 후, 피드롤 (23) 에 의해 반전되어 다음의 이송로 (24B) 에 보내지고, 이번에는 여기서 이면 (캡슐 내측) 이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B) 에 의해 건조되고, 이로써 외피 시트 (S) 의 양면이 건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외피 시트 (S) 의 건조에 있어서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로부터 방사되는 중파장 적외선 에너지에 의해, 외피 시트 (S) 의 수분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9 ∼ 29 %,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 27 %, 특히 바람직하게는 23 ∼ 25 % 가 되도록 건조된다 (수분 함량은,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의 상품명 : MOISTURE BALANCE, 형식 : MOC-120H 로 측정). 이것은, 외피 시트 (S) 의 수분 함량이, 19 % 이하 또는 29 % 이상이 되면 외피 시트 (S) 끼리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로부터 방사되는 중파장 적외선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0.8 ∼ 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3.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2.7 ㎛ 이다. 여기서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는, 방사되는 중파장 적외선의 파장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라우스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중파장 적외선 히터, 형번 : MBS 1600/250 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피 시트 (S) 에 조사되는 것이 중파장 적외선이기 때문에, 시트 내부까지 열이 침투되고, 시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수분 함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사후의 다이롤 (38) 에 의한 접합을 매우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덧붙여서, 단순히 열풍을 외피 시트 (S) 에 쏘여 건조시킨 경우에는, 외피 시트 (S) 의 표면만이 건조되고, 그 때문에 시트 내부와 표면에 있어서 수분 함량의 편향 (차이) 이 생겨, 그 후의 접합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것은 특히 전분을 주성분으로 한 경우에 현저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A·25B) 의 하방에 반사판 (26A·26B) 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 중의 외피 시트 (S) 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와 반사판 (26)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열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또, 외피 시트 (S) 는 건조 중,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변형되기 쉽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등의 지지체 (27) 에 의해, 열에 의한 느슨해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 외피 시트 (S) 의 조사면에는, 시트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에어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시트 온도의 과도한 상승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적절한 수분 함량으로 건조 조정된 외피 시트 (S) 는, 그 후, 피드롤 (37) 을 경유하여 캡슐 성형부 (12) (다이롤 (38) 사이) 에 이송되고, 여기서 접합된다. 또, 이것에 수반되어 접합 부분의 외피 시트 (S) 에 내용물 (N) 이 공급되고, 외피부 (2) 내에 내용물 (N) 을 수용한 소프트 캡슐 (1)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소프트 캡슐 (1)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다이롤 (38) 의 성형 오목부 (39) 에 끼워 넣어지거나 블랭크 시트 (S') 에 잔류하기 때문에, 여기로부터 꺼내져 건조된다.
또한, 캡슐 충전 속도는, 통상 다이롤 (38) (금형) 의 회전수 (rpm : revolution per minute) 로 나타낸다.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사용한 비동물 유래의 소프트 캡슐 (1) 의 제조에 있어서는,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 장치 (15) 에 의해, 다이롤 (38) (금형) 의 회전수를 올려도 외피 시트 (S) 의 수분 함량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이롤 (38) (금형) 의 회전수를 올려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예를 하나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는 것이지만, 또한 다음과 같은 개변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앞서 서술한 실시예는, 외피 시트 (S) 의 표면과 이면에 작용하는 이송로 (24A·24B) 를 따로따로 형성하고, 이들에 있어서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A·25B) 로부터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하여, 외피 시트 (S) 의 양면을 건조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외피 시트 (S) 의 건조가, 편측으로부터의 조사만으로 충분히 시트 내부까지 건조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어느 일방의 이송로 (24A·24B) 에서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편면 건조에 의해 시트 내부까지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송로 (24) 를, 굳이 반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외피 시트 (S) 를 캐스팅 드럼 (22) 으로부터 박리한 후, 접합부 (1 쌍의 다이롤 (38) 사이) 에 보낼 때까지, 건조용 (조사용) 의 이송로 (24) 를 형성하고, 여기서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시킬 수도 있다.
또한, 편면 건조시켜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이송로 (24) 를 형성하지 않고 외피 시트 (S) 의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건조 형태로는,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스팅 드럼 (22) 의 근방 (여기서는 스프레더 박스 (11) 로부터의 토출 후, 약 1/4 원 (약 90 도) 회전한 위치) 에,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를 형성하고, 외피 시트 (S) 가 캐스팅 드럼 (22) 상에 실려 있는 단계 (캐스팅 드럼 (22) 으로부터 박리되기 전의 단계) 에서 건조시키는 것이다.
덧붙여서, 상기 도 6 에 나타내는 충전기 (10) 는, 종래의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 (1) 을 제조하는 경우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은,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한 경우에는, 중파장 적외선만큼의 건조 능력이 없어도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는 것으로도 생각되어, 따라서 이와 같은 때에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를 기능시키지 않으면, 특별히 이송로 (24) 가 없기 때문에 종래대로의 건조 형태, 즉 캐스팅 드럼 (22) 만으로 캡슐 외피 시트 (S) 의 편면 (캡슐 외측) 만을 건조시키는 형태 (수분량은 19 ∼ 23 %) 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캐스팅 드럼 (22) 상에서의 편면 건조는, 일견,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와 동일한 것처럼 생각될지도 모르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파장 적외선의 조사로서 단순한 송풍에 의한 건조는 아니기 때문에,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포함하는 비동물 유래의 외피 시트 (S) 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고, 외피 시트 (S) 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 외피 시트 (S) 의 양면을 자유 자재로 건조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편면 건조에 대해, 당초의 수분 배합이 높은 경우나, 보다 높은 건조 능력이 필요한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도 6 에 나타내는 충전기 (10) 에 상기 도 1 에 나타낸 이송로 (24A·24B) 를 추가로 형성하고, 캐스팅 드럼 (22) 상에서의 건조 (편면 건조) 와 이송로 (24) 에 꺼낸 건조 (양면 건조) 의 쌍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다 더 높은 건조 능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 건조에 있어서의 이송로 (24) 를 3 단계 이상으로 형성하고, 예를 들어 표면과 이면의 건조를 각각 2 회씩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와 같이 3 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를 형성한 경우라도, 건조시에는, 반드시 전체 단계의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를 작용 (가동) 시킬 필요는 없고, 당초의 외피 원료 (2A) 의 조성 성분이나 건조 조정하고자 하는 원하는 수분 함량값에 따라, 필요한 부분만을 작용시키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또, 앞서 서술한 도 1 ∼ 도 3 의 실시예에서는, 중파장 적외선이 조사되어 있는 외피 시트 (S) 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지지체 (27) 로서 롤러를 적용했지만, 지지체 (27) 로는 반드시 롤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등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의 컨베이어는, 당연히 외피 시트 (S) 와 거의 동일한 이송 속도로 구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나타내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식물유, 동물유, 식물유와 동물유의 조합, 나아가서는 각 유지류에 동식물 엑기스류 및 엑기스류 분말을 함유하는 현탁유 등, 온갖 유지와의 혼합물로 캡슐화가 가능한 것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교예와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비교예와 실시예에 사용한 평가 항목과 평가법에 대해 설명한다.
(1) 접착성 평가
현미경에 의한 육안으로의 평가를 실시하고, 이하와 같이 판정하였다.
◎ : 매우 양호한 접착
○ : 접착이 양호하다
△ : 접착이 나쁘다
× : 접착되지 않는다
(2) 액 누출 평가
캡슐 1000 개를 12 시간 정치 (瀞置) 후, 캡슐 내용물이 누출된 「액 누출」의 캡슐구 수를 구하여, 액 누출률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3) 기포 불량 평가
외피 시트 (S) 에 육안으로 기포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기포 불량의 캡슐이, 캡슐 1000 개 중에 있는 구의 개수를 구하여, 기포 불량률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비교예 1·비교예 2·비교예 3〕
표 1 에 나타낸 캡슐 외피 성분을 가열 용해 가마에 넣고 0.2 ㎫ 의 압력하에서,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50 ∼ 70 rpm 으로 교반하면서, 용해 온도 110 ℃ 에서 80 분간 가열 용해한다.
다음으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탈포 공정을 실시한다. 1 단계째의 탈포 공정은, 탈포 온도 105 ℃, 탈포 압력은 대기압을 0 (제로) 으로 한 게이지압 표기로 500 mmHg, 탈포 시간 30 분으로 실시한다. 이 때, 최초의 10 분은,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10 rpm 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 교반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탈포한다. 2 단계째의 탈포 공정은, 탈포 온도를 120 ℃ 로 올리고, 탈포 압력은 대기압을 0 (제로) 으로 한 게이지압 표기로 -500 mmHg, 탈포 시간 15 분으로 탈포한다.
탈포 후, 얻어진 소프트 캡슐 외피 용액은, 소분 탱크로 옮기고, 75 ℃ 에서 약 15 시간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충전기로는,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소프트 캡슐 외피 용액을, 스프레더 박스로부터 토출하고, 충전기의 양측에 있는 캐스팅 드럼에 전연 (展延) 함으로써 시트상 (외피 시트) 으로 하였다. 그 외피 시트를 충전기에 유도하여, 내용물 (MCT 70 중량%, 레시틴 30 중량% 의 혼합물) 을 충전한 직후에, 금형 (다이롤) 에 의해 압착하여 소프트 캡슐을 얻었다.
〈충전 조건〉
·캐스팅 드럼의 온도 : 20 ℃
·세그먼트부 온도 : 45 ℃
·다이롤 회전수 :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에서는 1.5 rpm
비교예 3 에서는 3.0 rpm
·충전실 습도 : 23 %RH
·충전실 온도 : 25 ℃
〔실시예 1〕
표 1 에 나타낸 캡슐 외피 성분을 가열 용해 가마에 넣고 0.2 ㎫ 의 압력하에서,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50 ∼ 70 rpm 으로 교반하면서, 용해 온도 110 ℃ 에서 80 분간 가열 용해한다.
다음으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탈포 공정을 실시한다. 1 단계째의 탈포 공정은, 탈포 온도 105 ℃, 탈포 압력은 대기압을 0 (제로) 으로 한 게이지압 표기로 -500 mmHg, 탈포 시간 30 분으로 실시한다. 이 때, 최초의 10 분은,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10 rpm 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 교반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탈포한다. 2 단계째의 탈포 공정은, 탈포 온도 120 ℃ 로 올리고, 탈포 압력은 대기압을 0 (제로) 으로 한 게이지압 표기로 500 mmHg, 탈포 시간 15 분으로 탈포한다.
탈포 후, 얻어진 소프트 캡슐 외피 용액 (외피 원료 (2A)) 은, 소분 탱크로 옮기고, 75 ℃ 에서 약 15 시간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충전기 (10) 로는, 본 발명 장치인,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 장치 (15) 를 구비한 소프트 캡슐 제조기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용액상의 외피 원료 (2A) 를, 충전기 (10) 의 양측에 있는 캐스팅 드럼 (22) 에 전연함으로써 시트상 (외피 시트 (S)) 으로 하였다.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 에 의해, 외피 시트 (S) 의 수분 함량을 24 % 가 되도록 건조시키면서, 그 외피 시트 (S) 를 충전기 (10) 에 유도하고, 내용물 (MCT 70 중량%, 레시틴 30 중량% 의 혼합물) 을 충전한 직후에, 금형 (다이롤 (38)) 에 의해 압착하여 소프트 캡슐 (1) 을 얻었다.
〈충전 조건〉
·캐스팅 드럼의 온도 : 20 ℃
·중파장 적외선 히터 (헤라우스 주식회사 제조, 형번 : MBS1600/250) : 파장 2.6 ㎛
·세그먼트부 온도 : 45 ℃
·다이롤 회전수 : 3.0 rpm
·충전실 습도 : 23 %RH
·충전실 온도 : 25 ℃
Figure pct00001
비교예 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 (다이롤 회전수 : 1.5 rpm) 로, 캡슐 외피 원료의 수분 배합량이 80 중량부이면, 외피 용액 중에 용해된 에어가 잘 안 빠져, 캡슐 기포 불량률이 상승하였다.
한편, 비교예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 (다이롤 회전수 : 1.5 rpm) 로, 캡슐 외피 원료의 수분 배합량이 110 중량부가 되면, 비교예 1 보다 탈포성이 개선되어 기포 불량률은 낮지만, 캡슐의 접착성이 나쁘고, 캡슐 내용물 (MCT 70 중량%, 레시틴 30 중량% 의 혼합물) 이 액 누출되는 캡슐이 있었다.
비교예 3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2 와 동일한 캡슐 외피 원료의 수분 배합량이 110 중량부이고 종래의 로터리 다이식 자동 소프트 캡슐 제조기로, 다이롤 회전수를 1.5 rpm 에서 3.0 rpm 으로 올리면, 캡슐 접착면이 충분히 접착되지 않아, 캡슐 형성 직후부터 캡슐 내용물 (MCT 70 중량%, 레시틴 30 중량% 의 혼합물) 이 액 누출되고 있어, 액 누출률이 높았다.
실시예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충전기) (10) 를 사용하면, 비교예 1, 2, 3 에 비해, 다이롤 회전수를 1.5 → 3.0 rpm 의 2 배로 해도, 기포 불량률이 낮고, 접착이 매우 양호하여, 액 누출되지 않는 소프트 캡슐 (1) 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소프트 캡슐 (1) 을 제조할 때에, 외피 원료 (2A) 로서 전분을 주성분으로 한 경우의 곤란성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한 경우에 비해서의 곤란성) 에 대해 설명한다. 전분을 주성분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충전기 (10) 의 건조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지만,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단순히 건조용의 이송로 (24) 를 길게 형성하고, 장시간의 건조를 실시하도록 한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그것은, 건조에는 열에 의한 변형이 수반되고, 특히 이송로 (24) 를 길게 형성한 경우에는, 그 만큼 (길게 형성하면 할수록), 외피 시트 (S) 에는, 이송을 위해 가해지는 텐션 (인장력) 이 커져, 완성 상태의 소프트 캡슐 (1) 도 변형되기 쉽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이롤 (38) 의 성형 오목부 (39) 의 크기가 완성 상태의 소프트 캡슐 (1) 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한 경우에는, 완성 상태의 소프트 캡슐 (1) 은, 성형 오목부 (39) 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전분을 주성분으로 한 경우의 소프트 캡슐 (1) 에서는, 성형 오목부 (39) 의 실치수보다 다이롤 (38) 의 회전 방향 (외피 시트 (S) 의 보내는 방향) 으로 크게 수축되어 (예를 들어 도 5 의 확대도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 ∼ 30 % 정도 수축된다),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했을 경우에 비해, 훨씬 제조가 곤란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의약품」, 「특정 보건용 식품」, 「이른바 건강 식품」및 식품의 분야 외에, 내용물의 선택에 의해, 예를 들어 공업용 조제를 내포한 것 등 공업 분야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 : 소프트 캡슐
2 : 외피부
2A : 외피 원료
10 :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충전기)
11 : 시트 성형부
12 : 캡슐 성형부
13 : 내용물 공급부
14 : 캡슐 취출부
15 : 건조 장치
15A : 건조 장치 본체
21 : 스프레더 박스
22 : 캐스팅 드럼
23 : 피드롤
24 : 이송로
24A : 이송로 (표면측)
24B : 이송로 (이면측)
25 : 중파장 적외선 히터
25A : 중파장 적외선 히터 (표면측)
25B : 중파장 적외선 히터 (이면측)
26 : 반사판
26A : 반사판 (표면측)
26B : 반사판 (이면측)
27 : 지지체
28 : 에어 분사체
29 : 에어 흡입체
30 : 온도계
31 : 커버
32 : 슬릿
33 : 나비 볼트
34 : 커버
37 : 피드롤
38 : 다이롤
39 : 성형 오목부
40 : 성형 돌기
41 : 흡인공
44 : 세그먼트
45 : 원액 호퍼
46 : 펌프 유닛
47 : 딜리버리 파이프
50 : 스크래치 브러시
51 : 전송 컨베이어
52 : 프리 롤러
53 : 컨베이어
N : 내용물
P : 포켓부
S : 외피 시트
S' : 블랭크 시트

Claims (12)

1 쌍의 다이롤 사이에 외피 시트를 대향적으로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공급하고, 다이롤의 맞댐 작용에 의해 외피 시트의 접합을 도모함과 함께, 접합에 맞추어 내용물을 외피 시트에 공급하고, 외피 시트로 이루어지는 외피부의 내측에 내용물을 수용한 소프트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피 시트는, 1 쌍의 다이롤에 의한 접합을 받기까지의 사이에, 중파장 적외선에 의한 건조를 받고, 이로써 거의 일정한 두께, 적당한 점성, 수분 함량을 갖는 시트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원료의 구성 성분 조성으로서 전분, λ카라기난, 금속염, 덱스트린, 가소제 및 물을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시트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조사하는 중파장 적외선의 파장은, 0.8 ∼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시트는, 중파장 적외선 조사에 의한 건조에 의해, 1 쌍의 다이롤 사이에 이송되는 단계에서의 수분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9 ∼ 29 %,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 27 % 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시트의 건조에 있어서는, 중파장 적외선의 조사를 적어도 2 단계 이상 형성하는 것이며, 각 단계에서 외피 시트의 편면을 별개로 조사함으로써, 외피 시트의 양면을 건조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건조 전의 액 단계에서,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물의 배합량이, 90 ∼ 160 중량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건조 전의 액 단계에서,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λ카라기난 5 ∼ 25 중량부, 금속염 0.5 ∼ 10 중량부, 덱스트린 3 ∼ 100 중량부, 가소제 20 ∼ 80 중량부, 및 물 90 ∼ 16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λ카라기난에 대한 비율이, λ카라기난 : κ카라기난 : ι카라기난 = 1 : 0.1 : 0.1 ∼ 1 : 0.8 : 0.2 의 κ카라기난과 ι카라기난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로부터 거의 일정 두께의 외피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성형부와,
성형 돌기를 가진 1 쌍의 다이롤의 맞댐 작용에 의해, 다이롤 사이에 서로 합장하듯이 맞춘 상태로 공급되는 외피 시트의 접합을 담당하는 캡슐 성형부와,
외피 시트의 접합에 수반하여 외피 시트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 공급부를 구비하고,
외피 시트로 이루어지는 외피부에 의해 내용물을 피복한 소프트한 캡슐제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성형부에는, 중파장 적외선 히터를 구비한 건조 장치가 형성되고, 그 히터로부터 외피 시트에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거의 일정한 두께, 적당한 점성, 수분 함량을 갖는 외피 시트에 형성한 상태에서, 당해 시트를 캡슐 성형부에 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장치.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의 중파장 적외선 히터로부터 외피 시트에 조사하는 중파장 적외선의 파장은, 0.8 ∼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장치.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성형부는, 용융 상태의 외피 원료를, 거의 일정한 두께의 시트 상태에서 토출하는 스프레더 박스와, 이 스프레더 박스로부터 토출된 외피 시트를 냉각시키는 캐스팅 드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또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한 외피 시트의 건조는, 캐스팅 드럼 상에 위치하는 외피 시트에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하여 주로 외피 시트의 편면을 건조시키는 편면 건조와,
외피 시트를 캐스팅 드럼으로부터 박리시키고, 별도로 이송로에 꺼낸 후, 이 이송로에 있어서 편면씩 중파장 적외선을 조사하여 외피 시트의 양면을 건조시키는 양면 건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편면 건조와 양면 건조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건조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장치.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시트를 캐스팅 드럼으로부터 별도로 이송로에 꺼내어, 양면 건조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외피 시트의 조사면에 대해, 시트의 이송 방향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에어를 흘려보내고, 또 외피 시트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캡슐의 제조 장치.
KR1020117006700A 2008-09-26 2008-09-26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 KR101361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7407 WO2010035327A1 (ja) 2008-09-26 2008-09-26 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 並びにそ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890A true KR20110076890A (ko) 2011-07-06
KR101361952B1 KR101361952B1 (ko) 2014-02-11

Family

ID=4205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700A KR101361952B1 (ko) 2008-09-26 2008-09-26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72933B2 (ko)
JP (1) JP4875769B2 (ko)
KR (1) KR101361952B1 (ko)
CN (1) CN102202529A (ko)
CA (1) CA2737880A1 (ko)
WO (1) WO2010035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4515A1 (ja) * 2010-03-19 2011-09-22 株式会社三協 非動物由来外皮を有した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ソフトカプセル
CN103059348A (zh) * 2011-10-24 2013-04-24 三生医药株式会社 胶囊剂皮膜组合物
GB2521852A (en) * 2014-01-06 2015-07-08 Kraft Foods R & D Inc Process for preparing a confectionery composition
CN103893771B (zh) * 2014-04-21 2015-08-26 湖南尔康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淀粉材料软胶囊的成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640514B1 (ko) * 2016-02-17 2016-07-18 최인규 약캡슐 제조롤러
JP6735695B2 (ja) * 2017-03-07 2020-08-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ソフトカプセル剤
KR102294072B1 (ko) * 2020-11-19 2021-08-26 (주)알피바이오 식물성 츄어블 연질캡슐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형성된 식물성 츄어블 연질캡슐
DE102021129275A1 (de) 2021-11-10 2023-05-11 Syntegon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Versiegeln von Kapseln
CN114129531B (zh) * 2021-12-10 2023-08-25 安徽唐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淀粉软胶囊制备工艺及设备
CN115105409B (zh) * 2022-08-26 2022-11-08 江苏博生医用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胶塞冲切除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186A (en) * 1948-04-24 1952-03-25 Polaroid Corp Method of forming films
US4656066A (en) * 1982-12-20 1987-04-07 Warner-Lambert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capsules
DE3600084A1 (de) * 1986-01-03 1987-07-09 Scherer Gmbh R P Formkoerper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formkoerpers
JPS62207460A (ja) * 1986-03-07 1987-09-11 株式会社三協 ゼラチンカプセルの製造装置におけるゼラチンシ−ト成型装置
US5342626A (en) * 1993-04-27 1994-08-30 Merck & Co., In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gelatin-free soft capsules
JPH08169817A (ja) 1994-12-19 1996-07-02 Fuji Capsule Kk カプセル剤
GB9606371D0 (en) * 1996-03-26 1996-06-05 Brown Malcolm D An encapsulation process
US6101735A (en) * 1997-04-22 2000-08-15 Valmet Corporation Dryer section in a paper machine in which impingement and/or ventilation hoods are used
JPH11221268A (ja) * 1998-02-09 1999-08-17 Kamata:Kk ソフトカプセル製造装置用ダイロ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
US6006368A (en) * 1998-04-09 1999-12-28 Phillips; Richard L. Combination helmet and shoulder pad for minimizing cervical injuries
US6214376B1 (en) 1998-08-25 2001-04-10 Banner Pharmacaps, Inc. Non-gelatin substitutes for oral delivery capsules, their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6238616B1 (en) * 1998-12-14 2001-05-29 Timecap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gelatin capsule containing powder or time release pellets
US6340473B1 (en) * 1999-07-07 2002-01-22 R.P. Scherer Technologies, Inc. Film forming compositions comprising modified starches and iota-carrageena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oft capsules using same
GB9916033D0 (en) 1999-07-09 1999-09-08 Bioprogress Tech Int Inc A multiple delivery capsule
GB0006430D0 (en) * 2000-03-17 2000-05-03 Stanelco Fibre Optics Ltd Capsules
ATE320237T1 (de) * 2000-12-20 2006-04-15 Swiss Caps Rechte & Lizenzen Rotary-die-verfahren und füllkeil zum herstellen von kapseln, insbesondere weichkapseln
US6574945B2 (en) * 2001-03-21 2003-06-10 Lumitek Llc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jectile containing chemiluminescent compounds
US20030014946A1 (en) * 2001-07-20 2003-01-23 Steele Donald R. Injection wedge for rotary die system
JP4932098B2 (ja) * 2001-07-31 2012-05-16 株式会社三協 ゼラチンカプセル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US6949256B2 (en) * 2002-01-18 2005-09-27 Banner Pharmacaps, Inc. Non-gelatin capsule shell formulation
US7887838B2 (en) * 2002-01-18 2011-02-15 Banner Pharmacaps, Inc. Non-gelatin fil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GB0208587D0 (en) * 2002-04-13 2002-05-22 Stanelco Fibre Optics Ltd Capsules
CN100346760C (zh) * 2002-06-24 2007-11-07 中外制药株式会社 非球形无缝胶囊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MXPA05011028A (es) * 2003-04-14 2005-12-12 Fmc Corp Sistemas de suministro de pelicula de gel termo-reversible homogenea que contiene carragenano kappa-2.
JP4393957B2 (ja) * 2003-09-16 2010-01-06 富士カプセル株式会社 軟カプセル製造方法
GB2416750A (en) * 2004-08-02 2006-02-08 Bioprogress Technology Ltd Encapsulation of liquids
JP2006096695A (ja) 2004-09-29 2006-04-13 Sankyo:Kk 非動物由来のソフトカプセル外皮並びにこれを有したソフトカプセル
WO2006121098A1 (ja) * 2005-05-11 2006-11-16 Mochida Pharmaceutical Co., Ltd. 軟カプセル皮膜組成物
US20070098779A1 (en) * 2005-11-01 2007-05-03 Andries Hanzen Films and capsules made from modified carboxymethylcellulose materials
JP2008237572A (ja) * 2007-03-27 2008-10-09 Sankyo:Kk 非動物由来のソフトカプセル外皮並びにこれを有したソフトカプセル
JP2009040716A (ja) * 2007-08-08 2009-02-26 Oyo Seikagaku Kenkyusho 軟カプセル皮膜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37880A1 (en) 2010-04-01
JP4875769B2 (ja) 2012-02-15
US8572933B2 (en) 2013-11-05
US20110162783A1 (en) 2011-07-07
WO2010035327A1 (ja) 2010-04-01
JPWO2010035327A1 (ja) 2012-02-16
CN102202529A (zh) 2011-09-28
KR101361952B1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952B1 (ko) 소프트 캡슐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장치
KR20100014618A (ko) 비동물 유래 소프트 캡슐 외피 그리고 이것을 가진 소프트 캡슐
CN100467065C (zh) 包含iota型卡拉胶以及kappa型卡拉胶的非明胶胶囊壳配方
JP4558721B2 (ja) カッパ−2カラゲニンを含有する均一で熱可逆性のゲル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つくったソフトカプセル
CA2530619C (en) Non-gelatin fil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CZ20021700A3 (cs) Způsob výroby tvarového tělíska obsahujícího škrob
KR101401193B1 (ko) 연질 캡슐 피막
EP2865374A1 (en) Mixing and extruding method for preparing starch softgel capsules
JP4393957B2 (ja) 軟カプセル製造方法
CN103415220A (zh) 由内包膳食补充剂的盖体和填充了膳食补充剂分散介质的瓶所形成的瓶装饮料
JP5061897B2 (ja) カプセル皮膜用組成物
JP5621177B2 (ja) 非動物由来外皮を有した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ソフトカプセル
JP4065810B2 (ja) 付着防止性を有するソフトカプセル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付着防止性を有するソフトカプセル
US7612116B2 (en) Use of thickening agents for producing soft capsules and film production method
KR101445334B1 (ko) 화학적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식물성 연질캡슐조성물
US200400718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haped bodies, especially capsules, from a biopolymer material containing starch
CN101304733A (zh) 制备基于聚乙烯醇-聚乙二醇接枝聚合物的软胶囊壳的方法
JPH0778018B2 (ja) 服用量単位の投薬成形体を製造する方法
CN1794979A (zh) 均质热可逆的低粘度多聚甘露糖胶膜及由其制备的软胶囊
JP2006096695A (ja) 非動物由来のソフトカプセル外皮並びにこれを有したソフトカプセル
CN1791388A (zh) 均质热可逆的藻酸盐膜及由其制备的软胶囊
JP2005170863A (ja) デンプン組成物を用いた軟カプセル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用自動機
CN101500543A (zh) 调节释放剂型
CN101374497A (zh) 渗透剂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