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839A -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 - Google Patents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839A
KR20110066839A KR1020100092743A KR20100092743A KR20110066839A KR 20110066839 A KR20110066839 A KR 20110066839A KR 1020100092743 A KR1020100092743 A KR 1020100092743A KR 20100092743 A KR20100092743 A KR 20100092743A KR 20110066839 A KR20110066839 A KR 20110066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rinting
pressing
fill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오 나카가와
가쿠에 나카모토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Abstract

(과제)
인쇄공정 또는 인쇄검사공정에 있어서, 포대의 포대면이 휘거나 주름지거나 한 경우에도 인쇄불량 또는 인쇄검사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포대(3)의 인쇄부(P)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26)를 구비하는 배판(21)을 포대(3)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22, 23)를 포대의 표면측(인쇄부(P)가 있는 측)에 배치하여 서로 접리 가능하게 한다. 포대가압부재(21, 22)는, 포대(3)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3)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압부(31, 32)를 구비한다. 포대가압부재(22)의 가압부(31)가, 배판(21)의 단면(27)과의 사이에서 포대(3)를 협지하여 상기 포대(3)를 지지하고, 포대가압부재(23)의 가압부(32)가 포대(3)의 수면부(26)보다 위의 위치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인쇄부(P)를 포함하는 포대면은 배판(21)의 수면부(26)에 따라 팽팽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 또는 인쇄검사를 한다.

Description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BAG FILLING AND PACKAGING METHOD, AND BAG FILLING AND PACK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장처리공정(包裝處理工程)의 일부로서 인쇄공정 또는 인쇄검사공정이 포함되는 포대충전포장방법(包袋充塡包裝方法) 및 포대충전포장기(包袋充塡包裝機)에 관한 것이다.
도12는, 일반적인 간헐 회전식 포대충전포장기(間歇回轉式 包袋充塡包裝機)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방향(큰 흰 화살표 방향)으로 간헐회전 하는 테이블(1)의 주위에 복수의 그리퍼쌍(한 쌍의 그리퍼)(2, 2)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테이블(1)의 간헐회전에 따라 그리퍼쌍(gripper雙)(2, 2)은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그리퍼쌍(2, 2)이 1회전 하는 사이에, 그리퍼쌍(2, 2)에 대한 포대(3)의 공급(포대공급), 그리퍼쌍(2, 2)에 의하여 양 테두리가 협지(挾持)된 포대(3)에 대한 피포장물(被包裝物)의 충전, 포대(3)의 개구부(포대 주둥이)의 밀봉 등 다양한 포장처리공정이 실시된다. 여기에서 그리퍼쌍(2, 2)의 이송경로는 포대(3)의 이송경로이기도 하다.
도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지위치(I)는 포대공급공정위치로서, 그리퍼쌍(2, 2)에 포대(3)를 공급하는 콘베이어 매거진식 포대공급장치(4)가 배치되어, 공급된 포대(3)는 상부 테두리가 개구한 포대로서, 그리퍼쌍(2, 2)에 의하여 개구부(포대 주둥이) 부근의 양 테두리가 협지되어 개구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매달린다.
정지위치(II)는 인쇄공정위치로서, 그리퍼쌍(2, 2)에 의하여 협지된 포대(3)의 포대면(包袋面)에 날짜 등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인쇄기(5) 만을 도시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공급되는 포대(3)에 사전에 날짜 등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라면, 인쇄장치 대신에 필요에 따라 인쇄검사장치가 배치되어 인쇄검사공정이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쇄와 인쇄검사가 같은 정지위치에서 이루어진다.
정지위치(III)는 상단 개구부(포대 주둥이)의 개구공정위치(開口工程位置)로서, 서로 접리 가능한 한 쌍의 흡착부재(흡입반)(6, 6)와 한 쌍의 추종식 개구 가이드(7, 7)를 구비하는 개구장치(흡입반(6, 6)과 추종식 개구 가이드(7, 7) 만을 도면에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V)는 피포장물 충전공정위치로서, 승강하는 호퍼(8)를 구비하는 충전장치(호퍼(8) 만을 도면에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또, 추종식 개구 가이드(7, 7)는, 정지위치(III)에 있어서 개구한 포대 주둥이에 삽입되어, 즉시 포대 주둥이를 열어서 포대 주둥이의 개구상태를 유지하고, 그대로 테이블(1)의 회전(그리퍼쌍(2, 2) 및 포대(3)의 이동)에 따라 정지위치(IV)로 이동하고, 정지위치(IV)에 있어서 호퍼(8)가 포대 주둥이에 삽입된 후에 상승하여 포대 주둥이로부터 빠져 나가서 즉시 정지위치(III)로 복귀한다.
정지위치(V)는 제1가스치환공정위치로서, 승강하는 가스분사노즐(9)을 구비하는 제1가스치환장치(가스분사노즐(9) 만을 도면에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는 제2가스치환공정위치로서, 승강하는 가스분사노즐(11)을 구비하는 제2가스치환장치(가스분사노즐(11) 만을 도면에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정지위치(VI)에서는 그리퍼쌍(2, 2)의 간격이 넓어져서 포대 주둥이를 팽팽하게 한다.
정지위치(VII)는 제1밀봉공정위치로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열판(12, 12)을 구비하는 제1밀봉장치(제1열판(12, 12) 만을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II)는 제2밀봉공정위치로서, 한 쌍의 제2열판(13, 13)을 구비하는 제2밀봉장치(제2열판(13, 13) 만을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X)는 밀봉부냉각 및 제품포대방출 공정위치로서, 한 쌍의 냉각판(14, 14)을 구비하는 냉각장치(냉각판(14, 14) 만을 나타낸다)와 슈트(shoot)(15)가 배치되어 있다.
정지위치(X)는 불량포대방출 공정위치로서, 여기에서는 불량포대(예를 들면 개구불량 등 때문에 충전되지 않은 빈포대 등)이 방출된다.
정지위치(II)에서는, 포대의 표면에 문자나 기호를 인쇄(주로 잉크젯 방식)하고, 혹은 인쇄된 문자나 기호를 촬영수단(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하여 그 화상을 근거로 하여 인쇄가 적정한가 아닌가(인쇄의 유무, 빠짐, 불균일, 비뚤어짐, 오인쇄 등)를 검사한다.
특허문헌1, 2에는, 이러한 인쇄공정 또는 인쇄검사공정에 사용하는 인쇄 또는 인쇄검사 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쇄 또는 인쇄검사 보조장치는, 배판과 포대의 인쇄부(포대면의 인쇄예정장소 또는 인쇄된 장소)를 둘러싸는 창구멍이 형성된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판 및 가압판으로 포대면을 양측으로부터 협지한 상태에서 창구멍 내에 인쇄 또는 창구멍 내의 인쇄검사를 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포대면을 배판과 가압판으로 협지함으로써 포대를 완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포대의 흔들림에 기인하는 인쇄불량 혹은 인쇄검사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포대는 포대면이 휘거나, 주름지는 등 만곡(彎曲)하고 있는 것이 많고, 또한 그 만곡방향은 포대의 길이방향(구부러지는 축이 포대의 폭방향)인 것이 많다(도13(a) 참조). 이러한 경우에, 배판과 가압판으로 포대면을 협지하면, 창구멍 안에 들어간 부분의 포대면(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이 볼록한 모양으로 부풀어 커져서 비뚤어지고(도13(b) 참조), 이 상태에서 인쇄부에 인쇄하거나 또는 인쇄부의 인쇄검사를 하면, 인쇄불량이나 인쇄검사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인쇄부의 주위의 포대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 면으로 협지하여 누르기 때문에, 협지되어 눌려진 포대면에 부분적으로 주름이 발생하여 겉보기가 나빠질 우려도 있다.
여기에서 도13(a), (b)는 만곡된 포대형상과 종래의 인쇄보조장치 또는 인쇄검사 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6은 배판, 17은 가압판, 18은 가압판(17)에 형성된 창구멍이다.
또한 2는 그리퍼, 3은 포대, 5는 인쇄기 또는 인쇄검사용 카메라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109033호 공보 일본국 특허제3282803호 공보
본 발명은, 일련의 포대충전 포장처리공정 중에서 인쇄공정 또는 인쇄검사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포대면이 휘거나 주름지거나 하는 경우에도 인쇄불량 또는 인쇄검사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 때에 포대면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1, 2)은, 포대의 개구부측을 지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이송의 과정에서 피포장물의 충전, 개구부의 폐쇄 등의 포장처리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방법에 있어서,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피포장물의 충전공정 전에 인쇄공정(또는 인쇄검사공정)이 포함되고, 인쇄공정(또는 인쇄검사공정)에 있어서 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포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당겨 팽팽하게 하고, 이에 따라 인쇄부를 평평한 상태로 하여 인쇄(또는 인쇄검사)를 한다고 하는 것이다.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인쇄공정과 인쇄검사공정의 양방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또, 도12,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일반적인 포대라면, 포장처리공정은 일반적으로 개구공정을 포함하고, 그 개구공정 전에 인쇄공정 또는/및 인쇄검사공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4, 5)은, 포대의 개구부측을 지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이송의 과정에서 피포장물의 충전, 개구부의 폐쇄 등의 포장처리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도록 하는 포대충전포장기에 있어서,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피포장물의 충전공정 전에 인쇄공정(또는 인쇄검사공정)이 포함되고, 인쇄공정(또는 인쇄검사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인쇄장치(또는 인쇄검사장치)와, 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포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당겨 팽팽하게 하여 인쇄부를 평평한 상태로 지지하는 인쇄보조장치(또는 인쇄검사 보조장치)가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다.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인쇄공정과 인쇄검사공정의 양방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인쇄장치 또는 인쇄검사장치에 의한 인쇄 또는 인쇄검사에 앞서, 상기 보조장치가 작동하여 인쇄부는 평평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 보조장치는, 포대인장지지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인쇄보조장치 또는 인쇄검사 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배치된다(청구항6, 7). 배판은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로 이루어지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한다.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는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의 인쇄부보다 포대바닥측의 위치를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협지하여 포대를 지지하고,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의 가압부는 수면부보다 포대의 개구부측의 위치를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배판과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에 의하여 포대를 지지한 상태에서,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의 가압부가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됨으로써 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배판의 수면부에 따라 팽팽하게 할 수 있다.
(2)상기(1)의 경우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와 배판의 수면부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것(청구항10, 11), 배판이 수면부의 포대바닥측에 포대바닥측 단면을 구비하고,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와 포대바닥측 단면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것(청구항12, 13)을 들 수 있다.
(3)상기(1), (2)에 있어서, 배판과 포대바닥측 가압부재는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탈 이동을 한다. 이 경우에, 상대적인 이동형태로서, (a)배판이 정위치인 수압위치에 설치되고, 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거나, (b)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정위치인 지지위치에 설치되고, 배판이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수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거나, (c)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배판이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수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청구항 8,9). 이상의 어느 형태를 취하여도 좋다. 한편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는, 배판이 실제로 이동 가능한가 아닌가에 관계없이, 포대를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4)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를 구비하고,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포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청구항14, 15). 배판은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를 구비하고 또한 수면부의 포대개구부측 및 포대바닥측에 각각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 포대개구부측 단면 및 포대바닥측 단면을 구비한다. 가압부재는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가 서로 접근했을 때에, 각 가압부가 배판의 포대개구부측 단면 및 포대바닥측 단면의 근방위치에 있어서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에 포대가 포대개구부측 단면과 일방의 가압부 사이 및 포대바닥측 단면과 타방의 가압부 사이에서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협지되어, 각 가압부와 함께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압입됨으로써 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배판의 수면부를 따라 팽팽하게 할 수 있다.
(5)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를 구비하고,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포대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청구항16, 17). 배판은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를 구비하고 또한 수면부의 양 측방에 각각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의 단면을 구비한다. 포대가압부재는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한다. 또한 배판 및 한 쌍의 가압부재가 서로 접근했을 때에, 각 가압부가 배판의 좌우의 단면 근방위치에 있어서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에 포대가 상기 좌우의 단면과 각 가압부 사이에서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협지되어, 상기 가압부와 함께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압입됨으로써 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상기 배판의 수면부를 따라 팽팽하게 할 수 있다.
(6)상기 (4), (5)에 있어서, 배판과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탈 이동을 한다. 이 경우에, 상대적인 이동 형태로서는, 상기 (3)에 기재된 형태 (a)∼(c)와 동일한 형태로 할 수 있다.
(7)상기(1)∼(6)에 있어서, 포대지지부재의 지지부 및 포대가압부재의 가압부가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다(청구항18, 19).
(8)이러한 포대충전포장기에 적용되는 포대는, 예를 들면 상부 테두리가 개구한 포대이며, 포대충전포장기는, 상기 포대의 양측 테두리부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포대를 매단 형상으로 지지하고,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타입이다. 또한 이 포대충전포장기는, 간헐회전 하는 테이블의 주위에 여러 쌍의 그리퍼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간헐회전에 따라 상기 그리퍼가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간헐회전식 포대충전포장기이며, 상기 인쇄공정(또는 인쇄검사공정)이 이루어지는 정지위치에 인쇄장치(또는 인쇄검사장치)와 보조장치가 배치되어 있다(청구항20, 21).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인쇄공정과 인쇄검사공정의 양방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에 인쇄를 인쇄공정위치에서 하고, 인쇄검사를 개구공정위치 앞의 적당한 정지위치(보통, 인쇄공정위치의 다음의 정지위치)에서 할 수도 있고, 또는 같은 정지위치에서 인쇄공정과 인쇄검사공정을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인쇄장치와 인쇄검사장치는 같은 정지위치에 배치되고, 보조장치는 인쇄보조와 인쇄검사 보조의 양방을 겸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에 의하면, 인쇄 또는 인쇄검사에 앞서서 인쇄부(인쇄예정장소 또는 인쇄된 장소)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평평하게 정형(整形)하기 때문에 포대면이 휘거나, 주름지거나 하는 경우에도, 인쇄불량 또는 인쇄검사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장치는, 인쇄부의 주위의 포대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 면으로 협지하여 누르는 것이 아니고, 포대의 길이방향 또는 포대의 폭방향으로 포대면을 잡아 당겨서 팽팽하게 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 포대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보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다.
도2는 상기 보조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정면도다.
도3은 상기 보조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다.
도4는 상기 보조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다.
도5는 상기 보조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보조장치의 다른 구조 및 동작을 경시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다.
도7은 상기 보조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다.
도8은 상기 보조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보조장치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보조장치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다.
도11은 상기 보조장치의 평면 단면도다.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보조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간헐회전식 포대충전포장기의 사시도다.
도13은 만곡한 포대형상과 종래의 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다.
이하, 도1∼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에 있어서 특히 인쇄 또는 인쇄검사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조장치(인쇄 또는 인쇄검사 보조장치)의 구조 및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 보조장치는 도12에 나타내는 간헐회전식 포대충전포장기의 인쇄공정위치(II)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도1, 2에 있어서, 인쇄보조장치는, 배판(21),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 배판(21)의 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 및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의 구동수단(에어 실린더)(24) 등을 구비한다. 5는 인쇄기다.
배판(21)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는 부착 플레이트(25)의 상단에 고정되어 포대(3)의 이면측(인쇄부가 없는 포대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함으로써 포대(3)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도1참 조)와,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와의 사이에서 포대(3)를 지지하는 수압위치(도4 참조) 사이를, 수평면내에서 정지한 포대(3)의 포대면과 수직방향으로 진퇴(進退)한다. 배판(21)은 포대(3)의 인쇄부 및 그 주변의 포대면에 대응하는 대략 연직으로 평평한 수면부(受面部)(26)를 구비하고, 수면부(26)의 하측(포대바닥측)과 대략 수평한 포대바닥측 단면(27)이 형성되고, 수면부(26)의 상측(포대개구부측)과 대략 수평한 포대개구부측 단면(28)이 형성되어 있다. 수면부(26)의 수평방향폭(포대폭 방향의 길이)은 포대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1에 인쇄부(P)의 상하방향 범위를 나타낸다.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및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는 포대(3)의 표면측(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설치되고, 배판(21)과 대향하는 측에 상하방향(포대(3)의 장변방향(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포대(3)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자모양 돌출부, 즉 가압부(31, 32)를 구비한다. 가압부(31)는 인쇄부(P)보다 하측(포대바닥측)에 위치하고, 가압부(32)는 인쇄부(P)보다 상측(포대개구부측)에 위치한다. 더 상세하게는, 가압부(31)는 배판(21)의 포대바닥측 단면(27)에 근접한 하방위치, 가압부(32)는 포대개구부측 단면(28)으로부터 떨어진 상방위치에 있다. 가압부(31)와 포대바닥측 단면(27)의 상하방향 간격은 포대(3)의 두께보다 넓지 않지만, 되도록이면 좁게 하여 가압부(31)와 포대바닥측 단면(27) 사이에 삽입된 포대를 지지(포대(3)가 길이방향으로 힘을 받은 때 힘의 방향으로 간단하게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로 포대(3)를 지지)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가압부(31) 및 가압부(32)는, 예를 들면 고무제로 하여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대(3)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및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는 각각 기부(33, 34)가 접속 플레이트(35)의 상하위치에 고정되고, 접속 플레이트(35)는 상기 에어 실린더(24)(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기대상에 고정되어 있다)의 피스톤 로드(36)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24)가 작동하면,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는, 포대(3)로부터 떨어지는 대기위치(도1 참조)와 배판(21)과의 사이에서 포대(3)를 지지하는 지지위치(도5 참조) 사이를,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는, 포대(3)로부터 떨어지는 대기위치(도1 참조)와 포대(3)를 그 이면측 방향(포대면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위치(도5 참조) 사이를, 각각 수평면내에서 정지한 포대(3)의 포대면과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진퇴한다.
다음에 도3∼5를 참조하여 이 인쇄보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은, 빈 포대(3)가 그리퍼쌍(2, 2)에 의하여 협지되어서 인쇄공정위치(II)로 이송되어 상기 위치에 정지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에, 배판(21),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및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는 어느 것이나 모두 대기위치에 있다. 포대(3)는 장변방향(길이방향)(상하방향)을 따라 만곡하고 있다.
계속하여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배판(21)의 구동수단 및 에어 실린더(24)가 작동하고, 배판(21)이 수압위치를 향하고,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가 지지위치를 향하고,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가압위치를 향하여 각각 이동한다.
도4는, 배판(21)이 먼저 수압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배판(21)의 수면부(26)의 위치에 포대(3)의 인쇄부(P) 및 그 근방의 포대면이 위치하고 있다. 이 때에,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는 각각 지지위치 또는 가압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이다.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의 가압부(31)의 선단부가 배판(21)의 수면부(26)의 위치를 넘어, 가압부(31)의 선단부와 배판(21)의 포대바닥측 단면(27) 사이에서, 포대(3)에 있어서 상기 수면부(26)보다 하방(인쇄부(P)보다 포대바닥측)위치를 포대(3)의 폭방향을 따라서 협지하고 있다. 동시에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의 가압부(32)의 선단부도 배판(21)의 수면부(26)을 넘어, 포대(3)에 있어서 상기 수면부(26)보다 상측(인쇄부(P)보다 개구부측)의 위치를 포대(3)의 이면측 방향으로 가압하기 시작하는 상태이다.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및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도4의 상태로부터 각각 지지위치 또는 가압위치에 도달하기 까지의 사이에, 배판(21)의 하방위치에서는 포대(3)는 가압부(31)와 포대바닥측 단면(27)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상태이고, 배판(21)의 상방위치에서는 가압부(32)가 가압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포대(3)는 가압부(32)의 이동방향으로 밀린다. 또, 가압부(31)와 포대바닥측 단면(27) 사이의 간격(틈)이 충분히 작고, 가압부(31) 및 포대바닥측 단면(27)의 마찰계수가 작지 않다면 협지되는 포대(3)는 그 위치에 지지된다(포대면이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특히 가압부(31)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배판(21)보다 마찰계수가 클 때는, 가압부(31)가 지지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포대(3)에 있어서 상기 협지된 부분은 가압부(31)의 이동방향으로 압입된다.
도5는,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각각 지지위치 또는 가압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포대(3)는 수면부(26)의 하측(인쇄부(P)보다 포대바닥측)의 위치가,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의 가압부(31)와 배판(21)의 포대바닥측 단면(27)의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상태로 지지되고, 한편 수면부(26)의 상측(인쇄부(P)보다 개구부측)의 위치는 수면부(26)의 후방측(포대(3)의 이면측 방향)으로 압입되고, 이에 따라 포대(3)의 인쇄부(P)를 포함하는 포대면은 수면부(26)상에 있어서 인장상태에서 평평하게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기(5)가 작동하여 인쇄부(P)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그 후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배판(21)의 구동수단 및 에어 실린더(24)가 작동하여 배판(21)과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22, 23)가 원래의 대기위치로 후퇴한다. 계속하여 인쇄공정을 마친 포대(3)는 다음의 정지위치(III)(개구공정위치)를 향하여 이송되어, 정지위치(I)(포대공급공정위치)로부터 새로운 포대(3)가 정지위치(II)(인쇄공정위치)로 이송된다.
도6∼도8은, 다른 인쇄보조장치 및 그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보조장치는, 배판(21)이 수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점,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각각 독립된 구동수단(에어 실린더(24, 37))을 구비하는 점 및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가 지지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가압부(31)가 배판(21)의 수면부(26)와 접촉하는 점에 있어서, 도1∼도5에 나타내는 보조장치와 다르게 된다.
도6은, 포대(3)가 그리퍼쌍(2, 2)에 의하여 협지되어서 인쇄공정위치(II)로 이송되어 상기 위치에 정지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에, 배판(21)은 수압위치에 있고,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및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는 어느 것이나 모두 대기위치에 있다. 포대(3)는 길이방향(상하방향)를 따라 만곡하고 있다. 또, 배판(21)은, 이송되어 오는 포대(3)와의 간섭이 없도록 수압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7은, 에어 실린더(24)가 작동하여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가 지지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지지위치에 있어서, 가압부(31)의 선단은 배판(21)의 수면부(26)와 접촉하여, 포대(3)의 인쇄부(P)보다 하방위치(포대바닥측의 위치)를 상기 수면부(26)와의 사이에서 협지하여 그 위치에서 지지한다.
계속하여 에어 실린더(37)가 작동하여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가압위치로 이동한다. 도8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가압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압부(32)에 의하여 포대(3)의 수면부(26)의 상측(인쇄부(P)보다 개구부측)의 위치는 수면부(26)의 후방측(포대(3)의 이면측 방향)으로 압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대(3)의 인쇄부(P)를 포함하는 포대면은 수면부(26)상에 있어서 인장상태에서 평평하게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인쇄기(5)가 작동하여 인쇄부(P)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그 후에 에어 실린더(24, 37)가 작동하여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및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원래의 대기위치로 후퇴한다. 계속하여 인쇄공정을 맞친 포대(3)는 다음의 정지위치(III)(개구공정위치)를 향하여 이송되고, 정지위치I(포대공급공정위치)로부터 새로운 포대(3)가 정지위치(II)(인쇄공정위치)로 이송된다.
도9는 또 다른 인쇄보조장치 및 그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인쇄보조장치는,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의 가압부(31)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의 가압부(32)의 양방이, 각각 배판(21)의 포대바닥측 단면(27)에 근접한 하방위치 또는 배판(21)의 포대개구부측 단면(28)에 근접한 상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1∼도5에 나타내는 인쇄보조장치와 다르다.
이 인쇄보조장치에서는,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및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각각 도9에 나타내는 가압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각 포대가압부재(22, 23)의 가압부(31, 32)의 선단부가 배판(21)의 수면부(26)의 위치를 넘어, 가압부(31, 32)의 선단부와 배판(21)의 포대바닥측 단면(27) 또는 포대개구부측 단면(28) 사이에서, 포대(3)에 있어서 상기 수면부(26)의 상하위치를 포대(3)의 폭방향을 따라서 협지한다.
계속하여 포대바닥측 가압부재(22) 및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23)가 가압위치에 도달하기 까지의 사이에, 배판(21)의 하방위치에서는 포대(3)는 가압부(31)와 포대바닥측 단면(27)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상태이며, 배판(21)의 상방위치에서는 포대(3)는 가압부(32)와 포대개구부측 단면(28)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상태가 계속된다. 가압부(31)와 배판(21)의 포대바닥측 단면(27)의 간격(틈) 및 가압부(32)와 배판(21)의 포대개구부측 단면(28)의 간격(틈)이 충분히 작고 가압부(31, 32)가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마찰계수가 크면, 가압부(31, 32)가 가압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포대(3)에 있어서 상기 협지된 부분은 가압부(31, 32)의 이동방향으로 압입된다. 이에 따라 포대(3)의 인쇄부(P)를 포함하는 포대면은 수면부(26)상에 있어서 인장상태에서 평평하게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기(5)가 작동하여 인쇄부(P)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도10, 11은 또 다른 인쇄보조장치 및 그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인쇄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21)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22, 23)를 구비하는 점에서 지금까지 설명한 인쇄지지장치와 같지만, 배판(21)의 폭(수면부(26)의 폭)이 포대폭보다 상당히 작고, 수면부(26)의 양 측방에 포대(3)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의 단면(38, 39)을 구비하는 점, 포대가압부재(22, 23)가 포대(3)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수면부(26)의 폭보다 약간 큰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3)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가압부(31, 32)를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배판(21)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구동수단(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에 의하여 포대(3)로부터 떨어지는 대기위치(도10 참조)와 전방의 수압위치(도11 참조) 사이를, 수평면내에서 포대(3)의 포대면과 수직방향으로 진퇴한다. 가압부(31, 32)는, 포대(3)로부터 떨어지는 대기위치(도10 참조)와 전방의 가압위치(도11 참조) 사이를 수평면내에서 포대(3)의 포대면과 수직방향으로 진퇴한다.
배판(21) 및 포대가압부재(22, 23)가 대기위치로부터 수압위치 또는 가압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판(21)의 단면(38, 39)의 외측으로 가압부(31, 32)가 압입되게 되어 있어, 그 때의 배판(21)의 단면(38, 39)과 가압부(31, 32)의 간격은 포대(3)의 두께보다 넓지만 극히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 간격은 도9에 나타내는 인쇄보조장치와 같다.
따라서, 도9에 나타내는 인쇄보조장치와 마찬가지로, 가압부(31, 32)가 가압위치로 이동하는데에 따라서, 포대(3)에 있어서 배판(21)의 좌우부분은 포대(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부(31)와 단면(38) 사이 및 가압부(32)와 단면(39) 사이에서 협지되고, 협지된 상태 그대로 가압부(31, 32)의 이동방향(포대(3)의 이면측)으로 압입된다. 이에 따라 포대(3)의 인쇄부(P)를 포함하는 포대면은 수면부(26)상에 있어서 포대폭방향으로 인장상태에서 평평하게 지지된다.
상기 인쇄보조장치에 의하면, 먼저 [발명의 효과]의 난에 기재한 사항 이외에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도1∼도5의 보조장치와 같이, 한 쌍의 가압부재의 구동수단(에어 실린더)을 공통화 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 비용의 절감이 도모되고 또한 포대의 인쇄부를 팽팽하게 하는 효과가 효율적으로 얻어진다.
(2)가압부재의 가압부를 고무재로 형성함으로써 포대(플라스틱)와의 마찰력을 높여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면을 협지했을 때에 포대면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확실한 인장작용을 얻을 수 있다.
(3)구동수단을 에어 실린더로 구성함으로써, 에어 실린더에 공급하는 공기압을 조정하여 포대의 반발력을 흡수할 수 있기(포대를 팽팽히 당길 때에 포대에 무리한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압시에 있어서의 포대에 대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조장치(인쇄 또는 인쇄검사 보조장치)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다양한 개변(modification)이 가능하다.
(1)상기의 예는 인쇄공정에 대한 보조장치의 적용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인쇄검사공정에도 완전히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대 주둥이의 개구공정 전의 정지위치에서 인쇄검사가 이루어질 경우에, 당해 정지위치에 인쇄검사장치와 인쇄검사 보조장치가 설치된다. 이에는, 인쇄를 인쇄공정위치에서 하고 개구공정위치 전의 적당한 정지위치(보통, 인쇄공정위치의 다음의 정지위치가 선정된다)에서 인쇄검사를 하는 경우가 포함되고, 이 경우에, 인쇄공정위치에는 인쇄장치 및 인쇄보조장치가 설치되고, 인쇄검사공정위치에는 인쇄검사장치 및 인쇄검사 보조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인쇄공정과 인쇄검사공정을 같은 위치에서 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 당해 위치에는 인쇄장치, 인쇄검사장치 및 보조장치(인쇄보조, 인쇄검사 보조의 공용)가 설치된다.
(2)인쇄부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를 고려하여, 배판, 포대가압부재, 가압부 등은 위치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3)포대의 포대바닥측을 인쇄공정위치 또는 인쇄검사공정위치에 배치한 척(chuck)에 의하여 협지하여 포대바닥측(하방)으로 잡아당기고, 개구부측의 그리퍼와의 사이에서 포대면을 포대의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하거나 혹은 포대의 인쇄부의 양측(양 테두리)을 상기 위치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한 쌍의 척으로 협지하여 좌우로 인장(引張)시키거나 양 척 사이에서 포대면을 포대의 폭방향으로 팽팽하게 하고, 계속하여 인쇄 또는 인쇄검사를 하는 경우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4)상기의 예는, 본 발명을, 통상의 포대를 개구부(포대 주둥이)를 위를 향하여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그 과정에서 각종 포장처리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도록 한 간헐회전식 포대충전포장기에 적용한 것이지만, 육상경기장과 같은 레이스 트랙형(race track形)의 이송경로 혹은 직선적인 이송경로를 구비하는 포장기 등도 포함시켜 간헐이송식 세로형(그리퍼에 의하여 협지된 포대가 포대 주둥이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각종 포장처리를 하는 타입) 포대충전 포장기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연속 이송식(포대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타입) 포대충전 포장기, 횡형(포대 주둥이를 가로로 향한 상태에서 포대를 이송하여 각종 포장처리를 하는 타입) 포대충전 포장기, 또한 개구부로서 스파우트(spout)를 구비하는 스파우트 구비 포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포대충전 포장기(포대의 양 테두리를 그리퍼에 의하여 지지하여 이송하는 대신에 스파우트부를 스파우트 지지부재의 홈내에 지지하여 이송)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연속이송식의 경우에, 보조장치 자체를 포대의 이송에 추종시켜 인쇄 또는 인쇄검사 종료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
3 포대
5 인쇄기
21 배판
22, 23 포대가압부재(포대바닥측 가압부재,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
26 배판의 수면부
27 배판의 포대바닥측 단면
28 배판의 포대개구부측 단면
31, 32 가압부

Claims (21)

  1. 포대(包袋)의 개구부(開口部)측을 지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移送經路)를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이송의 과정에서 피포장물(被包裝物)의 충전(充塡), 개구부의 폐쇄(閉鎖) 등의 포장처리공정(包裝處理工程)을 순차적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방법(包袋充塡包裝方法)에 있어서,
    상기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피포장물의 충전공정 전에 인쇄공정이 포함되고, 상기 인쇄공정에 있어서 인쇄부(印刷部)를 포함하는 포대면(包袋面)을 포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당겨 팽팽하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인쇄부를 평평한 상태로 하여 인쇄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방법.
  2. 포대의 개구부측을 지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이송의 과정에서 피포장물의 충전, 개구부의 폐쇄 등의 포장처리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피포장물의 충전공정 전에 포대면의 인쇄검사공정이 포함되고, 상기 인쇄검사공정에 있어서 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포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당겨 팽팽하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인쇄부를 평평한 상태로 하여 인쇄검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상부 테두리가 개구한 포대이며, 상기 포대의 양측 테두리부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gripper)에 의하여 협지(挾持)하여 포대를 매단 형상으로 지지하여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방법.
  4. 포대의 개구부측을 지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이송의 과정에서 피포장물의 충전, 개구부의 폐쇄 등의 포장처리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도록 하는 포대충전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피포장물의 충전공정 전에 인쇄공정이 포함되고, 상기 인쇄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인쇄장치와, 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포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당겨 팽팽하게 하여 상기 인쇄부를 평평한 상태로 지지하는 인쇄보조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包袋充塡包裝機).
  5. 포대의 개구부측을 지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이송의 과정에서 피포장물의 충전, 개구부의 폐쇄 등의 포장처리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도록 하는 포대충전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피포장물의 충전공정 전에 인쇄검사공정이 포함되고, 상기 인쇄검사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인쇄검사장치와, 인쇄부를 포함하는 포대면을 포대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당겨 팽팽하게 하여 상기 인쇄부를 평평한 상태로 지지하는 인쇄검사 보조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接離) 가능하게 된 배판(背板)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包袋加壓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受面部)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포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로 이루어지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는 상기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의 상기 인쇄부보다 포대바닥측의 위치를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협지하여 포대를 지지하고,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의 가압부는 상기 수면부보다 포대의 개구부측의 위치를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판과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에 의하여 포대를 지지한 상태에서,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의 가압부가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상기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壓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검사 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포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로 이루어지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는 상기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의 상기 인쇄부보다 포대바닥측의 위치를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협지하여 포대를 지지하고,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의 가압부는 상기 수면부보다 포대의 개구부측의 위치를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판과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에 의하여 포대를 지지한 상태에서,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의 가압부가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상기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판이 정위치(定位置)인 수압위치(受壓位置)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상기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거나,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정위치인 지지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배판이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수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거나,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상기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배판이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수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고,
    또한 상기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가 포대를 이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판이 정위치인 수압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상기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거나,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정위치인 지지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배판이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수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거나,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가 상기 배판과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배판이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와의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수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며,
    또한 상기 포대개구부측 가압부재가 포대를 이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포대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와 상기 배판의 수면부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1.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와 상기 배판의 수면부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2.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판이 수면부의 포대바닥측에 포대바닥측 단면(端面)을 구비하고,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와 상기 포대바닥측 단면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3.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판이 수면부의 포대바닥측에 포대바닥측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포대바닥측 가압부재의 가압부와 상기 포대바닥측 단면 사이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를 구비하고, 또한 수면부의 포대개구부측 및 포대바닥측에 각각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 포대개구부측 단면 및 포대바닥측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포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가 서로 접근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의 각 가압부가 상기 배판의 포대개구부측 단면 및 포대바닥측 단면의 근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되게 되어 있고, 이 때에 포대가 상기 포대개구부측 단면과 일방의 가압부 사이 및 상기 포대바닥측 단면과 타방의 가압부 사이에서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협지되어 있어, 상기 가압부와 함께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검사 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를 구비하고, 또한 수면부의 포대개구부측 및 포대바닥측에 각각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 포대개구부측 단면 및 포대바닥측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포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가 서로 접근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의 각 가압부가 상기 배판의 포대개구부측 단면 및 포대바닥측 단면의 근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되게 되어 있어, 이 때에 포대가 상기 포대개구부측 단면과 일방의 가압부의 사이 및 상기 포대바닥측 단면과 타방의 가압부 사이에서 포대의 폭방향을 따라서 협지되어, 상기 가압부와 함께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를 구비하고, 또한 수면부의 양 측방에 각각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포대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가 서로 접근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좌우의 단면 근방에 있어서 상기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되게 되어 있어, 이 때에 포대가 상기 좌우의 단면과 각 가압부 사이에서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협지되어, 상기 가압부와 함께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검사 보조장치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 가능하게 된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은 포대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부에 대응하는 평평한 수면부를 구비하고, 또한 수면부의 양 측방에 각각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는 포대의 표면측 즉 상기 인쇄부가 있는 포대면측에 포대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어느 것이나 모두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 및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가 서로 접근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포대가압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좌우의 단면 근방에 있어서 상기 수면부를 넘어서 압입되게 되어 있고, 이 때에 포대가 상기 좌우의 단면과 각 가압부 사이에서 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협지되어, 상기 가압부와 함께 포대의 이면측 방향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8. 제6항, 제8항, 제14항,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가압부재의 가압부가 고무재(rubber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19. 제7항, 제9항, 제15항,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가압부재의 가압부가 고무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20. 제4항, 제6항, 제8항, 제14항,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상부 테두리가 개구(開口)한 포대이며,
    상기 포대충전포장기는, 상기 포대의 양측 테두리부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포대를 매단 형상으로 지지하고,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타입이며,
    상기 포대충전포장기는, 간헐회전 하는 테이블의 주위에 여러 쌍의 그리퍼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간헐회전에 따라 상기 그리퍼가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간헐회전식 포대충전포장기이며,
    상기 인쇄공정이 이루어지는 정지위치에, 인쇄장치와 인쇄보조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21. 제5항, 제7항, 제9항, 제15항,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상부 테두리가 개구한 포대이며,
    상기 포대충전포장기는, 상기 포대의 양측 테두리부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포대를 매단 형상으로 지지하고,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타입이며, 상기 포대충전포장기는, 간헐회전 하는 테이블의 주위에 여러 쌍의 그리퍼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간헐회전에 따라 상기 그리퍼가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간헐회전식 포대충전포장기이며,
    상기 인쇄검사공정이 이루어지는 정지위치에, 인쇄검사장치와 인쇄검사 보조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충전포장기.
KR1020100092743A 2009-12-11 2010-09-21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 KR20110066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1169 2009-12-11
JP2009281169A JP5399224B2 (ja) 2009-12-11 2009-12-11 袋詰め包装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839A true KR20110066839A (ko) 2011-06-17

Family

ID=4383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743A KR20110066839A (ko) 2009-12-11 2010-09-21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38751A1 (ko)
EP (1) EP2332844A2 (ko)
JP (1) JP5399224B2 (ko)
KR (1) KR20110066839A (ko)
CN (1) CN1021265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9571A1 (en) * 2011-07-20 2013-01-24 OYSTAR North America Methods and apparatus for high-speed pouch-filling
DE102011113879A1 (de) * 2011-09-22 2013-03-28 Haver & Boecker Oh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arbeiten von Sackstapeln von Offensäcken
ITBO20120336A1 (it) * 2012-06-20 2013-12-21 Sasib Spa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con articoli a forma di barretta.
JP5996360B2 (ja) * 2012-10-12 2016-09-2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における袋口開口方法及び装置
CA2797543C (en) * 2012-11-29 2019-10-29 Beaver Machine Corporation Bagging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JP6033126B2 (ja) * 2012-12-22 2016-11-30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JP6224339B2 (ja) * 2013-04-16 2017-11-01 イーデーエム株式会社 印刷部を検査する検査装置
JP6343775B2 (ja) * 2013-09-11 2018-06-20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印刷包装装置
US10730647B1 (en) * 2014-03-31 2020-08-04 Paul A. Ols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food packaging
EP3199461B1 (en) * 2016-01-28 2018-07-18 Girnet Internacional, S.L.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in the fill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package and station for filling and closing a package in a packaging machine which comprises said device
JP7438527B2 (ja) 2020-02-13 2024-02-27 株式会社川島製作所 印字装置と印字検査装置を備えた製袋充填包装機
CN114055855A (zh) * 2020-07-30 2022-02-18 四川卡库机器人科技有限公司 包装袋大小边缺陷自动检测系统及方法
CN112777061B (zh) * 2021-01-27 2023-04-28 中山赛洛机械有限公司 一种简便式饮品食品自动化包装封盒设备
US11670128B2 (en) * 2021-07-06 2023-06-06 Tainr Dispens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7382A (en) * 1959-11-27 1962-10-09 Baker David Byron Article bagging machine
US3273310A (en) * 1963-11-14 1966-09-20 Freeman Philip Collapsible-tube closure crimping unit
US3575755A (en) * 1967-09-08 1971-04-20 Woodman Co Code dating with heat shrinkable and pressure features
US3495378A (en) * 1967-09-12 1970-02-17 Richard F Kipers Bag-opening apparatus
US3765326A (en) * 1972-04-03 1973-10-16 Filpe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on empty bags
US3956872A (en) * 1973-10-12 1976-05-18 Cedar Sales Company Carton branding apparatus
US3922964A (en) * 1974-05-23 1975-12-02 Homer J Fisher Device for marking cartons by branding
US4073117A (en) * 1976-09-02 1978-02-14 Norwood Marking And Equipment Co., Inc. Packaging machine with inflated bag printer and method
US4204469A (en) * 1978-06-26 1980-05-27 Johnson John A Carton brander
US4722166A (en) * 1980-03-13 1988-02-02 Dieckow Klaus Peter Packaging
US4426035A (en) * 1980-03-13 1984-01-17 Hammex Machines Ltd. Packaging
JPS5984723A (ja) * 1982-10-28 1984-05-16 株式会社 大生機械 印字装置
US5064408A (en) * 1990-08-22 1991-11-12 Bridgeman Daniel N 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continuous bags
JPH0739941B2 (ja) * 1991-10-08 1995-05-01 正和産業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
EP0551157B1 (en) * 1992-01-08 1997-04-09 Sara Lee/De N.V.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vacuum package filled with granular material
US5326011A (en) * 1993-01-22 1994-07-05 Printware, Inc. Reduced-skew web drive between rollers of differing coefficients of friction, particularly to transport paper, metal or film in a laser imager
US5468080A (en) * 1993-03-25 1995-11-21 Jones; William B. Poly bag printer for packaging machine
US5518559A (en) * 1993-08-12 1996-05-21 Cm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ration of a seal on a plastic bag
CN2221480Y (zh) * 1995-03-01 1996-03-06 孙希胜 薄膜包装袋热封印刷联合机
JP2000109033A (ja) * 1998-10-01 2000-04-18 General Packer Co Ltd 包装機における印字検査装置
US6526733B1 (en) * 1999-01-14 2003-03-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Device for aligning a packing material tube with a position mark
JP3282803B2 (ja) * 1999-03-16 2002-05-20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包装機における印字装置
JP2001315718A (ja) * 2000-02-23 2001-11-13 Toyo Jidoki Co Ltd 包装容器のシール部のシール方法、該シール方法に使用する熱処理板及びシール部の検査方法
CN1383398A (zh) * 2000-04-25 2002-12-04 花王株式会社 包装材料封口机及塑料熔接温度的测量方法
JP4497258B2 (ja) * 2000-06-15 2010-07-07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スパウトシール方法及びシール装置
DE10306671A1 (de) * 2003-02-18 2004-08-26 Khs Maschinen- Und Anlagenbau Ag Module für Etikettiermaschinen
JP4079368B2 (ja) * 2003-08-19 2008-04-23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スパウト又はスパウト付き袋の供給装置
US7942095B2 (en) * 2005-09-27 2011-05-17 Greydon, Inc. Bag dispenser for providing bags at a workstation and method
JP4771785B2 (ja) * 2005-10-25 2011-09-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2007269401A (ja) * 2006-03-06 2007-10-18 Toyo Jidoki Co Ltd 袋詰め包装方法及び袋詰め包装機
US8186896B2 (en) * 2007-07-16 2012-05-29 Cryova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nd dispensing a web
CN201102652Y (zh) * 2007-09-30 2008-08-20 湖南千山制药机械股份有限公司 带智能印字机构的双软管大输液软袋生产线
EP2283471B1 (de) * 2008-04-17 2015-05-2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Selbstbedienungssystem zur einzahlung und auszahlung von münzen
JP5450996B2 (ja) * 2008-07-22 2014-03-26 東洋自動機株式会社 縦型袋詰め包装方法及び装置
JP5496706B2 (ja) * 2010-02-26 2014-05-2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別置式包装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26571A (zh) 2011-07-20
JP2011121614A (ja) 2011-06-23
JP5399224B2 (ja) 2014-01-29
EP2332844A2 (en) 2011-06-15
US20110138751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6839A (ko)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
CA2826762C (en) Packaging bag feeder in packaging machine
JP3713108B2 (ja) ピロータイプ包装装置
KR102216457B1 (ko) 포장기
JP6343775B2 (ja) 印刷包装装置
JP6323937B2 (ja) 帯掛け包装装置
US20190344912A1 (en) Packaging machine
KR101897265B1 (ko) 배터리 셀용 라벨 부착장치
JP5944857B2 (ja) 袋詰品シール方法および装置
JP3543849B2 (ja) 袋開口装置
JP2006306585A (ja) 物品移載装置
JP7207681B2 (ja) 包装装置
JPH11292025A (ja) 吸引搬送装置,それを用いた包装方法及び包装機
JP7223309B2 (ja) 印刷装置、印刷充填装置、印刷方法および包装袋
JP2016097975A (ja) 容器の帯巻き装置
JP7367996B2 (ja) 袋詰め機
TWM577826U (zh) Sealing film automatic correction positioning device
JP6300297B2 (ja) 帯掛け包装装置
JP7217978B2 (ja) 袋詰め機
JP4360120B2 (ja) 充填シール装置
JP2004238042A (ja) 包装装置
KR20210123740A (ko) 마스크 자동포장장치
JP2024007146A (ja) 包装装置
KR20240047989A (ko) 파우치에 개별 약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 및 방법
JP6000568B2 (ja) 製袋器並びに製袋方法及びピロー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