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717A - 단로기 - Google Patents

단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717A
KR20110058717A KR1020100117646A KR20100117646A KR20110058717A KR 20110058717 A KR20110058717 A KR 20110058717A KR 1020100117646 A KR1020100117646 A KR 1020100117646A KR 20100117646 A KR20100117646 A KR 20100117646A KR 20110058717 A KR20110058717 A KR 20110058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tact
moving shaft
outer lev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476B1 (ko
Inventor
마사히로 이토
가트미 요시타니
가츠야 우루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58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4Protective enclosures, baffle plates, or screens for contacts
    • H01H1/66Contacts sealed in an evacuated or gas-filled envelope, e.g. magnetic dry-re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the lever forming a toggle linkage with a second lever, the free end of which is directly and releasably engageable with a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접점부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소형의 단로기가 제공된다.
단로기는 고정 접점(21, 21) 및 고정 접점(21, 21)에 접속이탈 자유롭게 접촉하는 가동 접점(20)을 갖고, 밀폐 용기(6)내에 배치되는 접점부(2)와, 적어도 일부가 밀폐 용기(6)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고정 접점(21, 21)에 대해 가동 접점(20)을 진퇴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이동 축부(3)와, 일단측이 밀폐 용기(6)에 고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이동 축부(3)에 고착되어, 이동 축부(3)의 이동에 따라 신축하는 금속 벨로우즈(4)와,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21, 21)에 접촉하는 폐극 위치와,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개리하는 개극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축부(3)를 진퇴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레버부(5)를 구비한다. 이 단로기에서는 접점부(2)가 밀폐 용기(6)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간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로기{BREAKER}
본 발명은 직류 고전압의 회로에 이용되는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로(電路) 중에 개재되어 부하에의 직류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직류 차단기가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직류 차단기는 고정 접점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고정 접촉자와, 각 고정 접촉자의 고정 접점에 접속이탈 자유롭게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가동 접촉자를 구비하고 있고, 기체(器體)의 앞면측에 마련된 핸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양 접촉자의 접점간을 접촉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1-339605호(단락 [0016]-단락 [0034], 및 도 1-도 4)
상술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직류 차단기에서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접점부가 밀폐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기 중에 포함되는 가스에 의해서 접점의 산화나 황화가 일어나거나, 접점에 이물질이 부착됨으로써 접점간의 접촉 신뢰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고, 그 때문에 사용 개소가 한정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직류 전압의 가일층의 고압화가 요구되는 회로에서는 접점간에 발생하는 아크가 커지기 때문에, 이 아크를 분할하기 위한 아크소멸 그릿(grit)의 수도 늘릴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차단기가 대형화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접점간에 발생한 아크를 자기(磁氣)에 의해서 본체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 경우 아크를 배출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다른 부품을 차단기에 근접해서 배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접점간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소형의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단로기는 고정 접점 및 해당 고정 접점에 접속이탈 자유롭게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갖고, 밀폐 용기 내에 배치되는 접점부와, 적어도 일부가 밀폐 용기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고정 접점에 대해 가동 접점을 진퇴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이동 축부와, 일단측이 밀폐 용기에 고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이동 축부에 고착되어 이동 축부의 이동에 따라 신축하는 금속부재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폐극(閉極) 위치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하는 개극(開極)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축부를 진퇴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레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단로기에 있어서, 레버부를 이동 축부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접점부, 이동 축부 및 금속부재가 적어도 수납되는 기체를 구비하고, 레버부는 이동 축부에 연결되어 기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레버와, 기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내부 레버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갖는 외부 레버로 구성되고, 외부 레버의 압압부와 내부 레버를 비연결 구조로 하고, 접점부가 폐극 상태에 있는 위치로부터 내부 레버를 이동시켜 가고 해당 내부 레버가 소정 위치를 넘으면, 접점부가 개극 상태로 되는 위치까지 내부 레버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되는 동시에, 외부 레버와 내부 레버의 사이에 해당 내부 레버가 이동하는 스페이스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레버부는 이동 축부에 연결되어, 적어도 접점부, 이동 축부 및 금속부재가 수납된 기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레버와, 기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내부 레버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갖는 외부 레버로 구성되고, 외부 레버의 압압부에 맞닿아 해당 외부 레버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외부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외부 레버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잠금 조작에 따라 진퇴 자유롭게 이동하는 규제 수단, 규제 수단에 대해 규제 위치측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 1 가압 스프링, 규제 수단을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래치부 및, 외부 레버에 대해 소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 2 가압 스프링을 구비하고, 규제 수단이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외부 레버와 규제 수단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외부 레버에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레버부는 이동 축부에 연결되어, 적어도 접점부, 이동 축부 및 금속부재가 수납된 기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레버와, 기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내부 레버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갖는 외부 레버로 구성되고, 외부 레버의 압압부에 맞닿아 해당 외부 레버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외부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외부 레버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잠금 조작에 따라 진퇴 자유롭게 이동하는 규제 수단이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이 단로기에 있어서, 규제 수단을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래치 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래치부의 래치를 해제하는 해제 기능부가 레버부에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레버부의 조작에 연동해서 접점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이 단로기에 있어서, 외부 레버를 내부 레버에 누르기 위한 제 3 가압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이동 축부의 이동에 연동해서 접점을 개폐하는 보조 접점부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이 단로기에 있어서, 1기압을 넘는 소정의 가스체가 밀폐 용기 내에 봉입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가스체는 수소,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이동 축부를 개극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은 각각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이 단로기에 있어서, 레버부는 1개의 봉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봉형상 부재의 선단부에서 이동 축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봉형상 부재의 중간부에 지점부가 마련되어 있고, 지점부를 지점으로 해서 봉형상 부재의 후단부를 조작하면, 해당 조작에 따라 이동 축부가 폐극 위치와 개극 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 단로기에 있어서, 레버부는 선단부가 이동 축부에 연결된 제 1 부재와, 선단부가 제 1 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중간부에 지점부가 마련된 제 2 부재로 구성되고, 제 2 부재의 지점부를 지점으로 해서 제 2 부재의 후단부를 조작하면, 해당 조작에 따라 이동 축부가 폐극 위치와 개극 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접점간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소형의 단로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단로기를 나타내며, 도 1a는 개극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1b는 접점부를 접촉시켰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1c는 폐극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외관 사시도.
도 3a는 실시형태 1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3b는 상면도, 도 3c는 실시형태 1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실시형태 2의 단로기를 나타내며, 도 4a는 폐극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4b는 개극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실시형태 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실시형태 3의 단로기를 나타내며, 도 6a는 개극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6b는 폐극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실시형태 3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실시형태 4의 단로기에 이용되는 잠금 기구 및 래치체(latch body)를 기체에 부착하는 수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a는 실시형태 4에 이용되는 잠금 기구 및 래치체의 분해 사시도, 도 9b는 래치체의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실시형태 4에 이용되는 래치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실시형태 5의 단로기의 개극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다른 보조 접점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실시형태 6의 단로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실시형태 5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설명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실시형태 5의 비교 대상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에 있어서의 접점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는 기체의 앞면측에 마련된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기체 내부에 수납된 접점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수동식의 단로기이며, 예를 들면 고전압의 배터리를 구비한 회로 등에 이용된다.
(실시형태 1)
도 1a 내지 도 1c는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의 모식도이며, 본 단로기는 밀폐 용기(6)내에 배치된 접점부(2)와, 일부가 밀폐 용기(6)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 이동 축부(3)와, 밀폐 용기(6)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금속 벨로우즈(금속 부재)(4)와, 이동 축부(3)를 상하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레버부(5)와, 이들을 수납하기 위한 합성 수지제의 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면이 개구된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기체편(1A, 1B)으로 이루어지고, 개구측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양 기체편(1A, 1B)을 조립함으로써 기체(1)가 조립된다. 또한, 기체(1)의 앞면(도 2 중의 상면)에는 레버부(5)의 레버(50)가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는 이동 창부(10)가 마련되는 동시에, 이 이동 창부(10)와 연속되는 형태로 표시 창부(표시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 창부(11)는 레버(50)의 조작에 연동해서 접점부(2)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 표시 창부(11)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예를 들면 개극 상태에서는 「오프」, 폐극 상태에서는 「온」 등)에 의해서, 접점부(2)가 개극 상태에 있는 것인지, 폐극 상태에 있는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도 2 중의 '8'은 후술하는 잠금체를 나타내고 있다.
접점부(2)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 1조의 고정 단자(TB1)의 각 선단부에 각각 마련된 고정 접점(21, 21)과, 양 고정 접점(21, 21)에 접속이탈 자유롭게 접촉해서 양 고정 접점(21, 21)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동 접점(20)으로 구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 용기(6)내에 기밀성을 확보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접점(21, 21) 및 가동 접점(20)으로서 구리 접점을 이용하고 있으며, 또 고정 단자(TB1)에 대해서는 구리라도 좋고, 그 이외의 금속재료라도 좋다.
이동 축부(3)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긴쪽방향으로 하는 봉체로 이루어지고, 선단부(도 1a 중의 하단부)에는 가동 접점(20)이 부착되는 동시에, 후단부(도 1a 중의 상단부)에는 레버부(5)의 링크(51)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 이동 축부(3)는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21, 21)에 접촉하는 폐극(閉極) 위치(도 1c에 나타내는 위치)와,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이격하는 개극(開極) 위치(도 1a에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축부(3)의 후단측에 복귀 스프링(7)이 부착되어 있고, 이 복귀 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동 축부(3)를 상기 개극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축부(3)의 선단측에는 선단부에 취착된 가동 접점(20)을 고정 접점(21, 21)측으로 가압하는 접압(接壓) 스프링(102)이 마련되어 있고, 가동 접점(20)을 고정 접점(21, 2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접압 스프링(102)에 의해 양 접점(20, 21)간이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금속 벨로우즈(4)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름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밀폐 용기(6)에 있어서 이동 축부(3)가 돌출된 부위의 주위에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도 1a 중의 하단측)이 고착되는 동시에, 이동 축부(3)의 돌출부위(밀폐 용기(6)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위)의 둘레부에 타단측(도 1a 중의 상단측)이 고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밀폐 용기(6)에 대해 이동 축부(3)가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밀폐 용기(6)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금속 벨로우즈(4)는 이동 축부(3)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신축 자유롭게 되어 있다.
레버부(5)는 조작 부위가 기체(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 레버(제 2 부재)(50)와, 후단부가 레버(50)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는 동시에 선단부가 이동 축부(3)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된 링크(제 1 부재)(5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50)의 중간부에 마련한 축부(50a)를 기체(1)측에 마련한 축지지부(도시하지 않음)에 축지지시킴으로써, 기체(1)에 대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부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51)의 선단부에 마련한 축부(51a)가 기체(1)측에 마련한 가이드 홈부(14)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 축부(3)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략 연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6)내에는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체가 봉입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가스체의 가스압을 1기압을 넘는 압력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 결과, 상기의 복귀 스프링(7)이 없는 상태에서도 가스압에 의해서 이동 축부(3)를 외측(도 1a중의 상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있어, 이동 축부(3)를 개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스프링(7)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스체의 가스압은 1기압 이하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가스체의 가스압을 1기압 이상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복귀 스프링(7)을 생략해도 좋다.
다음에, 단로기의 동작에 대해 도 1a 내지 도 1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접점부(2)가 개극된 상태(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며, 이 상태로부터 레버(50)의 조작부(50b)를 반시계방향(도 1a 중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50)와 링크(51)의 연결 부위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동 축부(3)가 아래쪽으로 눌러지기 때문에, 가동 접점(20)과 양 고정 접점(21, 21)이 접촉한 상태로 된다(도 1b 참조). 도 1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레버(50)를 더욱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복귀 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이동 축부(3)가 더욱 아래쪽으로 눌러진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 부위가 레버(50)의 축부(50a)와 링크(51)의 축부(51a)를 연결한 선분을 넘으면, 상기의 연결 부위가 복귀 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급속히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도 1c에 나타내는 폐극 상태(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의 연결 부위는 기체(1)에 마련한 스토퍼(12)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복귀 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 상태가 유지된다. 또, 이 때, 가동 접점(20)은 접압 스프링(10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양 고정 접점(21, 21)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1c에 나타내는 폐극 상태로부터 레버(50)의 조작부(50b)를 시계방향(도 1c 중의 화살표 A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b에 나타내는 상태를 거쳐서 개극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도, 레버(50)와 링크(51)의 연결 부위가 레버(50)의 축부(50a)와 링크(51)의 축부(51a)를 연결한 선분을 넘으면, 상기의 연결 부위가 복귀 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급속히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내는 개극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의 연결 부위는 기체(1)에 마련한 좌측의 스토퍼(13)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복귀 스프링(7)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 상태가 유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50) 및 링크(51)가 좌우방향에 있어서 스토퍼(12, 13)간을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 있어서,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내는 단로기에서는 레버(50)와 링크(51)의 2개의 부재로 레버부(5)를 구성하고, 레버(50)의 축부(50a)를 지점으로 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레버부(5)를 2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접점부(2)를 차단할 때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고, 접점부(2)의 개극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아크를 신속하게 끊을 수 있고, 그 결과, 접점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3a 내지 도 3c는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서는 레버부(5)로서 직동 회전식의 레버(52)를 이용하고 있으며, 도 3c에서는 레버부(5)로서 1개의 봉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레버(53)를 이용하고 있다. 또,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낸 단로기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단로기에서는 기체(1)의 앞면에 마련한 열쇠구멍형상의 관통 구멍(10’)(도 3(b) 참조)을 통과시켜, 레버(5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52)의 측면에 마련한 걸림 돌기(52a)를 관통 구멍(10’)의 내측의 개구 단가장자리에 걸어고정시킴으로써, 접점부(2)의 폐극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걸림 돌기(52a)가 기체(1) 내부에 삽입될 때까지 레버(52)를 아래쪽(도 3a 중의 화살표 B의 방향)에 밀어 넣고, 밀어 넣은 상태 그대로 레버(52)를 도 3a 중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 돌기(52a)가 관통 구멍(10’)의 내측의 개구 단가장자리에 걸어고정된다. 그리고, 이 때, 레버(52)에 의해서 이동 축부(3)가 아래쪽으로 눌러지기 때문에, 접점부(2)가 폐극 상태로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폐극 상태로부터 레버(52)를 도 3a 중의 화살표 C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레버(52)와 관통 구멍(10')의 위치를 맞추면, 레버(52)가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위쪽으로 멀어내어지고,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내는 개극 상태로 된다.
도 3c에 나타내는 단로기에서는 레버(53)의 선단부에 마련한 축부(53b)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4)와, 레버(53)의 중간부에 마련한 축부(53a)를 좌우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15)가 기체(1)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반시계방향(도 3c 중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레버(53)를 회전시키면, 축부(53a)가 가이드 홈부(15)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축부(53b)가 가이드 홈부(14)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이동 축부(3)가 아래쪽으로 눌러지고, 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에 접촉해서 폐극 상태로 된다. 또, 상기의 폐극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유지 수단에 의해서 레버(53)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폐극 상태로부터 레버(53)를 시계방향(도 3c 중의 화살표 D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부(53a)가 가이드 홈부(15)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축부(53b)가 가이드 홈부(14)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이동 축부(3)가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이격되어 개극 상태로 된다. 여기에 있어서, 도 3c에 나타내는 단로기에서는 축부(53a)를 지점으로 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정 접점(21, 21) 및 가동 접점(20)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2)를 밀폐 용기(6)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사용 장소의 분위기 중의 불순 가스에 의해서 각 접점(20, 21)의 산화나 황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각 접점(20, 21)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양 접점(20, 21)간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점부(2)를 밀폐 용기(6)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아크가 외부로 새는 일이 없으므로, 직류 전압의 고전압화가 요구되는 회로에 이용한 경우에도, 종래예와 같이 아크를 분할하기 위한 소호 그리트의 수를 늘릴 필요가 없고, 단로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부품을 단로기에 근접해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레버부(5)를 이동 축부(3)에 연결하고 있고, 레버부(5)의 위치에 의해서 이동 축부(3)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단로기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창부(11)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더욱 명확하게 단로기의 작동 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체를 밀폐 용기(6)내에 봉입하고 있어, 각 접점(20, 21)을 아크열에 의해 환원할 수 있기 때문에, 양 접점(20, 21)간의 접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고전압 차단 능력도 향상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접점부(2)를 밀폐 용기(6)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산화하기 쉬운 구리를 이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은 접점에 비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체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체라도 좋고, 수소, 질소 및 이산화탄소 중의 복수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접점부(2)의 구성은 일예이며,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점(20) 및 고정 접점(21)을 구리로 구성하고 있지만, 구리 합금이어도 좋고, 마찬가지로 은 접점에 비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에 관한 단로기의 실시형태 2를 도 4a 내지 도 5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부(52a)를 구비한 외부 레버(52)와, 외부 레버(52)의 조작에 따라 이동 축부(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부 레버(레버(50) 및 링크(51))로 레버부(5)를 구성하고, 또한 외부 레버(52)의 압압부(돌기부(52b, 52c))와 레버(50)가 비연결 구조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와, 접점부(2)와, 이동 축부(3)와, 금속 벨로우즈(4)와, 레버부(5)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부(5)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기부(52b, 52c)가 좌우 양단부에 마련되고, 단면에서 본 형상이 대략 ‘コ’형으로 형성된 외부 레버(52)와, 레버(50) 및 링크(51)의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레버로 구성되고, 또한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b, 52c)와 레버(50)가 비연결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레버(52)와 내부 레버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외부 레버(52)에는 기체(1)의 앞면(도 4a 중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52a)가 일체로 마련되고, 좌우방향에 있어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내부 레버는 레버(50)의 중간부에 마련된 축부(50a)에 의해 기체(1)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는 동시에, 레버(50)의 선단부(도 4a 중의 하단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된 링크(51)의 선단부에는 이동 축부(3)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내부 레버의 이동에 따라 이동 축부(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링크(51)의 선단부에 축부(51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축부(51a)가 기체(1)에 마련한 가이드 홈부(1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다음에, 단로기의 동작에 대해 도 4a 및 도 4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접점부(2)가 폐극된 상태이며, 이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의 조작부(52a)를 우측방향(도 4a 중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 누르면,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b)에 눌려 레버(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레버(50)의 회전에 수반해서, 레버(50)와 링크(51)의 연결 부위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 축부(3)가 링크(51)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진다. 계속해서, 조작부(52a)를 우측방향으로 더욱 누르면, 상기의 연결 부위가 레버(50)의 축부(50a)와 링크(51)의 축부(51a)를 연결한 선분을 넘은 곳에서,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b)와 레버(50)가 비연결 구조이기 때문에,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상기의 연결 부위가 급속히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이동 축부(3)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개극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의 연결 부위는 좌측의 스토퍼(13)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 상태가 유지된다(도 4b 참조).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개극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의 조작부(52a)를 좌측방향(도 4a 중의 화살표 E와 반대의 방향)으로 누르면,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c)에 눌려 레버(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레버(50)의 회전에 수반해서, 레버(50)와 링크(51)의 연결 부위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 축부(3)가 링크(51)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진다. 계속해서, 조작부(52a)를 좌측방향으로 더욱 누르면, 상기의 연결 부위가 레버(50)의 축부(50a)와 링크(51)의 축부(51a)를 연결한 선분을 넘은 곳에서,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c)와 레버(50)가 비연결 구조이기 때문에,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상기의 연결 부위가 급속히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에 접촉한 상태(폐극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의 연결 부위는 우측의 스토퍼(12)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 상태가 유지된다. 또, 이 때, 가동 접점(20)은 접압 스프링(10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양 고정 접점(21, 21)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4a 참조).
여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레버(52)의 돌기부(압압부)(52b, 52c)와 레버(50)를 비연결 구조로 하는 동시에, 레버(50)가 이동시되는 스페이스(a1)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레버(50)와 링크(51)의 연결 부위가 소정 위치(레버(50)의 축부(50a)와 링크(51)의 축부(51a)를 연결한 선분)를 넘으면, 복귀 스프링에 의해서 접점부(2)의 개극 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고, 그 결과, 접점부(2)의 차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접점부(2)에 생기는 아크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접점부(2)의 폐극 방향에 있어서도, 복귀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의 연결 부위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접점(20, 21)간에 생기는 아크의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 가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선, 도 5a에 나타내는 단로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단로기는 하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된 외부 레버(54)와, 외부 레버(54)에 연동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는 내부 레버(53)로 구성된 직동 회전식의 레버부(5)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레버(54)는 기체(1)에 마련된 지지대(18)에 하단부가 고정된 가압 스프링(104)에 의해 위쪽으로 탄성력이 가해져 있다. 또한, 내부 레버(53)에는 측쪽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53a)가 마련되어 있고, 이 걸림 돌기(53a)를 기체(1)에 마련된 스토퍼(16)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내부 레버(53)의 위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내부 레버(53)의 선단부(도 5a 중의 하단부)는 이동 축부(3)에 연결되어 있다.
이 단로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레버(54)를 아래쪽(즉, 기체(1)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외부 레버(54)의 이동에 수반해서 내부 레버(53)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또, 이 때, 내부 레버(53)의 걸림 돌기(53a)가 기체(1)의 스토퍼(16)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곳까지 외부 레버(54)를 밀어 넣는다. 다음에, 밀어 넣은 상태 그대로 외부 레버(5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 레버(53)의 걸림 돌기(53a)가 기체(1)의 스토퍼(16)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어 고정되어 내부 레버(53)의 위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마지막으로, 외부 레버(54)로부터 손을 놓으면, 가압 스프링(10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외부 레버(54)가 초기 위치(도 5a에 나타내는 위치)로 복귀한다. 또, 이 때, 가동 접점(20)은 양 고정 접점(21, 21)에 밀착된 상태, 즉 접점부(2)가 폐극된 상태에 있고, 또 외부 레버(54)와 내부 레버(53)의 사이에는 스페이스(a2)가 마련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5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4)를 상기의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 레버(53)의 걸림 돌기(53a)와 기체(1)의 스토퍼(16)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내부 레버(53)가 위쪽으로 눌러 초기 위치(즉, 개극 위치)로 복귀한다. 또, 이 때, 외부 레버(54)와의 사이에 마련된 스페이스(a2)에 의해서 내부 레버(53)를 급속히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접점부(2)의 차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접점부(2)에 생기는 아크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여기에, 본 예에서는 외부 레버(54)의 저면에 의해 압압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단로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단로기는 외부 레버(52)와, 레버(55)로 이루어지는 내부 레버로 구성된 레버부(5)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55)의 중간부에는 축부(55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축부(55a)는 기체(1)에 마련된 가이드 홈부(15)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55)의 선단부에는 축부(55b)가 마련되어 있고, 이 축부(55b)는 기체(1)에 마련된 가이드 홈부(1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55)는 그 선단부에 있어서 이동 축부(3)에 연결되어 있다.
이 단로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b는 접점부(2)가 개극된 상태이며, 이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의 조작부(52a)를 좌측방향으로 누르면, 외부 레버(52)의 돌기부(압압부)(52c)에 눌려 레버(5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이 때, 레버(55)의 회전에 수반해서, 축부(55a)가 가이드 홈부(15)를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축부(55b)가 가이드 홈부(14)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이동 축부(3)가 아래쪽으로 눌려진다. 계속해서, 조작부(52a)를 더욱 좌측방향으로 누르면, 레버(55)가 연직방향(상하방향)으로 되는 위치를 넘은 곳에서,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레버(55)가 반시계방향으로 급속히 회전한다. 또, 이 때, 가동 접점(20)은 양 고정 접점(21, 21)에 접촉된 상태(폐극 상태)에 있다.
또한, 폐극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의 조작부(52a)를 우측방향으로 누르면,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b)에 눌려 레버(5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이 때, 레버(55)의 회전에 수반해서, 축부(55a)가 가이드 홈부(15)를 따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축부(55b)가 가이드 홈부(14)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이동 축부(3)가 아래쪽으로 눌려진다. 계속해서, 조작부(52a)를 또한 우측방향으로 누르면, 레버(55)가 연직방향(상하방향)으로 되는 위치를 넘은 곳에서,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레버(55)가 시계방향으로 급속히 회전한다. 그 결과, 이동 축부(3)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개극 상태)가 된다. 여기에 있어서, 본 예에서는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b, 52c)와 레버(55)를 비연결 구조로 하는 동시에, 양자의 사이에 레버(55)가 이동되는 스페이스(a3)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접점부(2)의 차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접점부(2)에 생기는 아크를 신속하게 끊을 수 있다.
또, 외부 레버와 내부 레버의 구조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레버와 내부 레버가 비연결 구조이고, 또한 내부 레버가 이동되는 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으면 다른 구조라도 좋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실시형태 3을 도 6a 내지 도 7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외부 레버(52)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기구를 마련한 점에서 실시형태 2와 다르다. 또,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와, 접점부(2)와, 이동 축부(3)와, 금속 벨로우즈(4)와, 레버부(5)와, 레버부(5)의 외부 레버(52)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잠금 기구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극 위치(오프 위치)에 있는 외부 레버(52)의 폐극 방향(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81) 및, 이동 규제부(81)에 의한 규제를 해제할 때에 작업자가 누름 조작하는 누름 버튼(80)이 일체로 형성된 잠금체(8)와, 잠금체(8)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해당 잠금체(8)에 대해 위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스프링(82)으로 구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잠금 기구에 의해 규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단로기의 동작에 대해 도 6a 및 도 6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접점부(2)가 개극된 상태이며, 이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를 좌측방향(도 6a 중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접점부(2)가 폐극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잠금 기구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대로는 외부 레버(52)를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에서는 잠금 기구를 해제하고 나서 외부 레버(52)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처음에 잠금체(8)의 누름 버튼(80)을 아래쪽으로 눌러 이동 규제부(81)를 돌기부(52b)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잠금을 해제한다. 그 후, 이 상태인 채 외부 레버(52)의 조작부(52a)를 좌측방향(도 6a 중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누르면,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c)에 눌려 레버(50)가 축부(50a)를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레버(50)의 회전에 수반해서, 레버(50)와 링크(51)의 연결 부위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 축부(3)가 링크(51)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진다. 그 후, 조작부(52a)를 좌측방향으로 더욱 누르면, 상기의 연결 부위가 레버(50)의 축부(50a)와 링크(51)의 축부(51a)를 연결한 선분을 넘은 곳에서,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c)와 레버(50)가 비연결 구조이기 때문에, 복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상기의 연결 부위가 급속히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에 접촉된 상태(폐극 상태)가 된다(도 6b 참조).
이 때, 상기의 연결 부위는 우측의 스토퍼(12)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 상태가 유지된다. 또, 이 때, 가동 접점(20)은 접압 스프링(10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양 고정 접점(21, 21)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때, 잠금체(8)의 이동 규제부(81)는 가압 스프링(8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외부 레버(52)의 하단 가장자리에 탄성을 갖는 형태로 맞닿은 상태가 된다(도 6b 참조).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폐극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의 조작부(52a)를 우측방향(도 6a 중의 화살표 F와 반대의 방향)으로 누르면,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b)에 눌려 레버(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레버(50)의 회전에 수반해서, 레버(50)와 링크(51)의 연결 부위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 축부(3)가 링크(51)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진다. 그 후, 조작부(52a)를 우측방향으로 더욱 누르면, 상기의 연결 부위가 레버(50)의 축부(50a)와 링크(51)의 축부(51a)를 연결한 선분을 넘은 곳에서,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b)와 레버(50)가 비연결 구조이기 때문에,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상기의 연결 부위가 급속히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이동 축부(3)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가동 접점(20)이 양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개극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의 연결 부위는 좌측의 스토퍼(13)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 상태가 유지된다(도 6a 참조). 또, 이 때, 잠금체(8)의 이동 규제부(81)는 가압 스프링(8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위쪽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도 6a에 나타내는 잠금 위치(규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 도 6b에 나타내는 잠금체(8)의 위치가 해제 위치로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잠금 기구(잠금체(8) 및 가압 스프링(82))에 의해서 레버부(5)(실제로는 외부 레버(52))가 부주의하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단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a 및 도 7b는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단로기에 대해 잠금 기구(잠금체(8) 및 가압 스프링(82))를 마련한 점에서 상이하다. 또,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단로기는 기체(1)의 측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누름버튼(80) 및, 외부 레버(54)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81)가 일체로 형성된 잠금체(8)와, 잠금체(8)의 좌단부에 배치되어 해당 잠금체(8)에 대해 우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스프링(82)으로 구성된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을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레버(54)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지만, 누름버튼(80)을 좌측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외부 레버(54)와 이동 규제부(81)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외부 레버(54)를 아래쪽으로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누름버튼(80)을 누른 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a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b에 나타내는 단로기는 기체(1)의 위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누름버튼(80) 및, 개극 위치(오프 위치)에 있는 외부 레버(52)의 폐극 방향(온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81)가 일체로 형성된 잠금체(8)와, 잠금체(8)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해당 잠금체(8)에 대해 위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스프링(82)으로 구성된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을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레버(52)의 온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지만, 누름버튼(80)을 아래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외부 레버(52)와 이동 규제부(81)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외부 레버(52)를 온 방향(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누름버튼(80)을 누른 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b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단로기에 있어서도 잠금 기구(잠금체(8) 및 가압 스프링(8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레버부(5)가 부주의하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은 단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잠금 기구는 일예이며, 레버부의 조작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실시형태 4를 도 8a 내지 도 10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잠금 기구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에서 잠금체(8)를 유지하는 래치체(latch body)(래치부)(9)를 마련한 점에서 실시형태 3과 다르다. 또,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와, 접점부(2)와, 이동 축부(3)와, 금속 벨로우즈(4)와, 레버부(5)와, 잠금체(8) 및 가압 스프링(82)으로 이루어지는 잠금 기구와, 잠금체(8)를 소정의 해제 위치(도 10b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래치체(9)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편(1A)의 내측면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기구(잠금체(8) 및 가압 스프링(82))와 래치체(9)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홈부(17)가 상하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체편(1B)(도 2 참조)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축부(91)를 축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잠금 기구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레버(52)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81), 이동 규제부(81)에 의한 규제를 해제할 때에 작업자가 누름 조작하는 누름버튼(80), 및 래치체(9)에 의해 상기의 해제 위치에서 유지되는 피유지부(83)가 일체로 형성된 잠금체(8)와, 가압 스프링(82)으로 구성된다. 또한, 래치체(9)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체(8)의 피유지부(83)를 상기의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의 유지부(90)와, 유지부(90)로부터 기체(1)의 두께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축부(91)와, 축부(91)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유지부(90)에 의한 피유지부(83)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한 래치 해제부(92)와, 스프링편부(93)로 구성된다. 또, 유지부(90)에는 잠금체(8)를 삽입 통과시키는 대략 직사각형형상의 삽입통과구멍(90a)이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 잠금 기구 및 래치체(9)는 이하와 같이 해서 기체(1)에 부착된다. 우선, 래치체(9)의 유지부(90)에 마련된 삽입통과구멍(90a)내에 잠금체(8)를 위쪽으로부터 삽입 통과해서 양자를 조립시킨다. 그리고, 일체로 조립한 잠금 기구 및 래치체(9)를 수납 홈부(17)에 배치한 후, 잠금체(8)의 하단부에 가압 스프링(82)을 부착하면, 잠금 기구 및 래치체(9)의 기체(1)에의 부착이 완료된다(도 8b 참조). 또, 이 때,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은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의 앞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래치체(9)는 축부(91)에 의해서 기체(1)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잠금체(8)의 피유지부(83)를 유지하는 해제 위치(잠금 기구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는 위치, 도 10b에 나타내는 위치)와, 피유지부(83)를 유지하지 않은 잠금 위치(잠금 기구에 의해서 외부 레버(52)의 동작이 규제되는 규제 위치, 도 10a에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스프링편부(93)는 유지부(90)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잠금체(8)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10b 및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90)가 비스듬히 배치되고, 잠금체(8)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다음에, 단로기의 동작에 대해 도 10a 내지 도 10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접점부(2)가 개극된 상태이며, 이 때 레버부(5)의 외부 레버(52)는 잠금 기구에 의해 그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이 때, 잠금체(8)의 피유지부(83)는 래치체(9)의 유지부(90)의 삽입통과구멍(90a)내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피유지부(83)가 유지부(90)의 삽입통과구멍(90a)의 밖으로 이동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스프링편부(93)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유지부(90)가 비스듬히 배치되고, 잠금체(8)의 피유지부(83)를 유지한 상태가 된다. 그 후, 외부 레버(5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거쳐,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21, 21)에 접촉해서 폐극 상태가 된다(도 10b 참조).
또한, 도 10b에 나타내는 폐극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점부(2)가 개극 상태가 되지만, 이 때, 레버(50)도 회전함으로써 해당 레버(50)에 마련한 해제 레버(해제 기능부)(56)에 의해서 래치 해제부(92)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 결과, 스프링편부(93)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유지부(9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치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가압 스프링(8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잠금체(8)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잠금체(8)가 상기의 잠금 위치에 배치된다(도 10a 참조).
여기서, 도 10c는 예를 들면 과전류에 의해서 접점부(2)가 용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때, 과전류 보호 기능이 작용함으로써 외부 레버(52)가 개극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접점부(2)가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레버(52)는 개극 위치까지는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래치체(9)의 래치 해제부(92)가 해제 레버(56)에 의해서 위쪽으로 눌러지지 않기 때문에, 잠금체(8)의 래치는 해제되지 않고, 잠금체(8)는 상기의 해제 위치에 유지된 채이다. 즉, 외부 레버(52)의 위치와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의 위치에 의해, 접점부(2)가 정상으로 개극된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접점부(2)가 용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과전류에 의해서 접점부(2)가 용착된 경우에는 레버(50)가 개극 위치까지 이동할 수 없으므로, 잠금체(8)의 래치는 해제 레버(56)에 의해서 해제되지 않고, 상기의 해제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외부 레버(52)는 레버(50)의 이동에 수반해서 개극 위치까지 이동하므로, 작업자는 외부 레버(52)의 위치와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접점부(2)가 용착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잠금 기구 및 래치부는 일예이며, 잠금 기구에 의해 레버부의 조작을 규제할 수 있고, 또한 래치부에 의해 잠금 기구를 소정의 해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5)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실시형태 5를 도 11, 도 12 및 도 12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50) 및 링크(51)로 이루어지는 내부 레버에 외부 레버(52)를 누르는 가압 스프링(100)을 마련하는 동시에, 접점부(2)의 개폐에 따라 소정의 전기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보조 접점부(101)를 마련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단로기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와, 접점부(2)와, 이동 축부(3)와, 금속 벨로우즈(4)와, 레버부(5)와, 접점부(2)의 개폐에 따라 소정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보조 접점부(101)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부(5)의 내부 레버를 구성하는 레버(50)의 축부(50a)에는 가압 스프링(제 3 가압 스프링)(100)이 부착되어 있고, 이 가압 스프링(10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외부 레버(52)가 내부 레버(실제로는 레버(50))에 눌러지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내부 레버와 외부 레버(52)의 사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진동의 많은 장소에 단로기를 설치한 경우에도 삐걱거리는 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축부(3)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위치판(30)이 해당 이동 축부(3)의 돌출부위(밀폐 용기(6)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위치판(30)에 의해서 보조 접점부(101)의 스위치 레버(101a)가 좌측으로 압압되면, 내부 접점(101c)이 닫히고 외부로 소정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단로기의 동작에 대해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접점부(2)가 개극된 상태이며, 이 때 스위치판(30)이 위쪽(도 11중의 화살표G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 레버(101a)가 좌측방향(도 11 중의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압압된다. 그 결과, 누름판(101b)에 의해 내부 접점(101c)이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50) 및 링크(51)를 거쳐서 이동 축부(3)가 아래쪽으로 눌리고, 접점부(2)가 폐극하게 된다. 이 때, 이동 축부(3)에 부착된 스위치판(30)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위치판(30)에 의한 압압력이 해제되어 스위치 레버(101a)는 우측방향으로 복귀하고, 그 결과, 내부 접점(101c)이 열린 상태가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점부(2)가 개극된 상태에서는 내부 접점(101c)이 닫혀 전기 신호가 출력되고, 접점부(2)가 폐극된 상태에서는 내부 접점(101c)이 열려 전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이 전기 신호의 유무에 의해 접점부(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a접점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접점부(101)의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b접점이나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접점(a접점과 b접점의 양쪽을 구비한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접점부(101)라도 좋고, 마찬가지로 보조 접점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서 접점부(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실시형태 6을 도 13a 내지 도 15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a 내지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레버(52)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체(8)가 상기의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외부 레버(52)와 잠금체(8)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외부 레버(52)에 오목부(52d)를 마련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와 마차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나타내는 단로기는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단로기에 대해 가압 스프링(103)을 마련한 것이며, 예를 들면 우측방향(오프방향)으로의 외부 레버(52)의 조작을 도중에 그만둔 경우에도, 가압 스프링(103)에 의해서 좌측방향(ON 방향)으로 외부 레버(52)를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5(a)는 잠금체(8)의 이동 규제부(81)에 의해서 외부 레버(52)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이며, 이 때 접점부(2)는 개극된 상태(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레버(52)가 가압 스프링(103)으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거쳐,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21, 21)에 접촉해서 폐극 상태가 된다. 또, 이 때, 잠금체(8)는 가압 스프링(82)으로부터 상향의 탄성력이 가해져 있고, 외부 레버(52)의 하단 가장자리와 이동 규제부(81)의 상단 가장자리가 탄성을 갖는 형태로 맞닿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15b에 나타내는 ON 상태로부터 조작부(52a)를 조작하여 외부 레버(52)를 오프 방향(도 15c 중의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손을 놓으면(즉, OFF 조작을 도중에 그만두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103)에 의해서 외부 레버(52)는 본래의 ON 위치(도 15b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오려 한다. 이 때, 외부 레버(52)에는 가압 스프링(82)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서 마찰력 F2가 작용하기 때문에, 외부 레버(52)를 자동적으로 ON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가압 스프링(103)이 외부 레버(52)에 가하는 탄성력 F1로서 마찰력 F2 이상의 힘이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가압 스프링(103)에 의해서 외부 레버(52)를 ON 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리려고 하면, 가압 스프링(103)의 스프링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가압 스프링(103)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조작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3a 내지 도 13d에 나타내는 단로기를 제공한다. 이 단로기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와, 접점부(2)와, 이동 축부(3)와, 금속 벨로우즈(4)와, 레버부(5)와, 잠금체(8) 및 가압 스프링(제 1 가압 스프링)(82)으로 이루어지는 잠금 기구와, 잠금체(8)를 상기의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래치체(래치부)(9)와, 레버부(5)의 외부 레버(52)에 대해 소정 방향(도 13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좌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스프링(제 2 가압 스프링)(103)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의 가압 스프링(103)은 내부 레버를 구성하는 레버(50)에 외부 레버(52)를 누르기 위한 제 3 가압 스프링으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잠금 기구에 의해 규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외부 레버(52)에는 잠금체(8)가 래치체(9)에 의해서 해제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는 상태(도 13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외부 레버(52)와 잠금체(8)의 이동 규제부(81)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오목부(52d)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의 해제 상태에서는 외부 레버(5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동 규제부(81)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의 해제 상태에서 외부 레버(52)가 이동할 때에는 마찰력 F2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단로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는 잠금체(8)의 이동 규제부(81)에 의해서 외부 레버(52)의 좌측방향(ON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이며, 이 때, 접점부(2)는 개극된 상태에 있다. 또, 이 때의 잠금체(8)의 위치가 규제 위치이다. 이 상태로부터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체(8)의 피유지부(83)와 래치체(9)의 유지부(90)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이동 규제부(81)가 유지된다. 여기에 있어서, 잠금체(8)는 가압 스프링(82)에 의해서 위쪽으로 눌려 있지만, 래치체(9)의 유지부(90)가 잠금체(8)의 피유지부(83)와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서 잠금체(8)는 위쪽으로 이동할 수 없고, 이 때의 잠금체(8)의 위치가 해제 위치이다. 한편, 외부 레버(52)는 가압 스프링(103)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거쳐, 가동 접점(20)이 고정 접점(21, 21)에 접촉해서 폐극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3c에 나타내는 ON 상태로부터 조작부(52a)를 조작해서 외부 레버(52)를 OFF 방향(도 13d 중의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손을 놓으면, 외부 레버(52)는 원래의 ON 위치(도 13c에 나타내는 위치)에 되돌아오려고 한다. 이 때, 상술한 도 15에 나타내는 단로기에서는 외부 레버(52)와 이동 규제부(81)의 사이에 마찰력 F2가 작용하기 때문에, 가압 스프링(103)에 의해서 외부 레버(52)에 가해지는 가압력 F1은 마찰력 F2보다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외부 레버(52)와 이동 규제부(81)가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의 마찰력 F2는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가압 스프링(103)에 의해서 외부 레버(52)에 가해지는 탄성력 F1은 작아도 좋다.
또한, 도 13c에 나타내는 폐극 상태로부터 외부 레버(52)를 우측 방향(OFF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버(50)가 외부 레버(52)의 돌기부(52b)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눌려져 레버(50)와 링크(51)의 연결 부위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외부 레버(52)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거쳐 상기의 연결 부위가 좌측의 스토퍼(13)에 맞닿은 상태가 되지만(도 13b 참조), 이 때 래치체(9)의 래치 해제부(92)가 상기의 연결 부위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눌러진다. 그 결과, 래치체(9)가 축부(9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잠금체(8)의 피유지부(83)와 래치체(9)의 유지부(90)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가압 스프링(82)의 상향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잠금체(8)가 소정의 규제 위치로 복귀한다(도 13a 참조). 또, 이 때, 가동 접점(20)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거쳐 양 고정 접점(21, 2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또, 이 때, 외부 레버(52)는 가압 스프링(103)에 의해서 좌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에 있다.
여기에 있어서, 도 14는 예를 들면 과전류에 의해서 접점부(2)가 용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때, 과전류 보호 기능이 작용함으로써 레버(50) 및 링크(51)로 이루어지는 내부 레버가 개극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접점부(2)가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50) 및 링크(51)의 연결 부위는 래치 해제부(92)를 누르는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는다. 그 결과, 잠금체(8)의 래치는 해제되지 않고, 잠금체(8)는 상기의 해제 위치에 유지된 채이다. 또, 이 때, 외부 레버(52)는 내부 레버에 눌러지는 형태로 개극 위치(오프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외부 레버(52)의 위치만으로는 접점부(2)가 정상으로 개극된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접점부(2)가 용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판별할 수 없지만, 잠금체(8)의 누름버튼(80)의 위치도 아울러 확인함으로써, 접점부(2)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외부 레버(52)가 개극 위치에 있고 또한 누름버튼(80)이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접점부(2)가 용착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부 레버(52)에 오목부(52d)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잠금체(8)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외부 레버(52)가 이동할 때에는 이동 규제부(81)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가압 스프링(103)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서 외부 레버(52)를 원래의 ON 위치(도 13c에 나타내는 위치)로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 스프링(103)이 외부 레버(52)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작아도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손상되는 일 없이,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되는 단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레버(52)가 도중 위치에서 멈추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접점부(2)가 ON 상태(폐극 상태)에 있는 것인지, OFF 상태(개극 상태)에 있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1∼6에서는 이동 축부(3)의 이동에 수반해서 신축하는 금속 벨로우즈(4)가 밀폐 용기(6)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벨로우즈(4)가 밀폐 용기(6)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도 밀폐 용기(6)의 밀폐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동 축부(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접점부(2)(가동 접점(20) 및 고정 접점(21, 21))의 접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 금속 벨로우즈(4)를 밀폐 용기(6)의 외측에 마련한 경우에 비해 기체(1)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단로기의 소형화가 도모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 금속 벨로우즈(4)의 배치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6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2: 접점부 3: 이동 축부
4: 금속 벨로우즈(금속 부재) 5: 레버부
6: 밀폐 용기 20: 가동 접점
21 고정 접점

Claims (15)

  1. 고정 접점 및 해당 고정 접점에 접속이탈 자유롭게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갖고, 밀폐 용기내에 배치되는 접점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밀폐 용기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 상기 가동 접점을 진퇴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이동 축부와,
    일단측이 상기 밀폐 용기에 고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상기 이동 축부에 고착되어, 상기 이동 축부의 이동에 따라 신축하는 금속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폐극(閉極) 위치와,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하는 개극(開極)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 축부를 진퇴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레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를 상기 이동 축부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 상기 이동 축부 및 상기 금속부재가 적어도 수납되는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이동 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레버와, 상기 기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내부 레버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갖는 외부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레버의 압압부와 상기 내부 레버를 비연결 구조로 하고,
    상기 접점부가 폐극 상태에 있는 위치로부터 상기 내부 레버를 이동시켜 가고 해당 내부 레버가 소정 위치를 넘으면, 상기 접점부가 개극 상태로 되는 위치까지 상기 내부 레버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외부 레버와 상기 내부 레버의 사이에 해당 내부 레버가 이동되는 스페이스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이동 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부, 상기 이동 축부 및 상기 금속부재가 적어도 수납된 기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레버와, 상기 기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내부 레버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갖는 외부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레버의 압압부에 맞닿아 해당 외부 레버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외부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외부 레버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잠금 조작에 따라 진퇴 자유롭게 이동하는 규제 수단, 상기 규제 수단에 대해 상기 규제 위치측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 1 가압 스프링, 상기 규제 수단을 상기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래치부 및, 상기 외부 레버에 대해 소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 2 가압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수단이 상기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 레버와 상기 규제 수단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상기 외부 레버에 오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이동 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부, 상기 이동 축부 및 상기 금속부재가 적어도 수납된 기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레버와, 상기 기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내부 레버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갖는 외부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레버의 압압부에 맞닿아 해당 외부 레버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외부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외부 레버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잠금 조작에 따라 진퇴 자유롭게 이동하는 규제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을 상기 해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래치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래치부의 래치를 해제하는 해제 기능부가 상기 레버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의 조작에 연동해서 상기 접점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단로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레버를 상기 내부 레버에 누르기 위한 제 3 가압 스프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축부의 이동에 연동해서 접점을 개폐하는 보조 접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기압을 넘는 소정의 가스체가 상기 밀폐 용기 내에 봉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체는 수소,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축부를 상기 개극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은 각각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1개의 봉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형상 부재의 선단부에서 상기 이동 축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봉형상 부재의 중간부에 지점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점부를 지점으로 해서 상기 봉형상 부재의 후단부를 조작하면, 해당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 축부가 상기 폐극 위치와 상기 개극 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선단부가 상기 이동 축부에 연결된 제 1 부재와, 선단부가 상기 제 1 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중간부에 지점부가 마련된 제 2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부재의 지점부를 지점으로 해서 상기 제 2 부재의 후단부를 조작하면, 해당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 축부가 상기 폐극 위치와 상기 개극 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
KR1020100117646A 2009-11-24 2010-11-24 단로기 KR101159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6580 2009-11-24
JP2009266580 2009-11-24
JPJP-P-2010-146709 2010-06-28
JP2010146709A JP5542545B2 (ja) 2009-11-24 2010-06-28 断路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717A true KR20110058717A (ko) 2011-06-01
KR101159476B1 KR101159476B1 (ko) 2012-06-25

Family

ID=4360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646A KR101159476B1 (ko) 2009-11-24 2010-11-24 단로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81128B2 (ko)
EP (1) EP2325855A3 (ko)
JP (1) JP5542545B2 (ko)
KR (1) KR101159476B1 (ko)
CN (1) CN102074407B (ko)
CA (1) CA272221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325U (ko) * 2012-06-14 2013-12-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KR102352082B1 (ko) * 2021-06-23 2022-01-18 주식회사 파세텍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링케이지를 갖는 계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4203A1 (de) * 2011-07-04 2013-01-09 ABB Technology AG Elektrischer Hochspannungs-Lasttrenner und Verfahren zum Öffnen desselben
JP5979561B2 (ja) * 2011-10-13 2016-08-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路器
JP5934942B2 (ja) * 2011-10-13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路器
JP2014179301A (ja) * 2013-03-15 2014-09-25 Toshiba Corp 電力用ガス絶縁機器及びその運転方法
DE102013207436B4 (de) 2013-04-24 2021-06-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 für ein Schaltgerät und ein Schaltgerät mit einem derartigen Antrieb
CN104241003B (zh) * 2013-06-17 2016-09-14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拨动开关及灯具
CN103441043B (zh) * 2013-08-26 2015-07-08 无锡凯绎科技有限公司 适用于塑壳断路器电动操作机构的闭锁装置
CN105206446B (zh) * 2015-10-22 2018-03-16 陕西群力电工有限责任公司 密封式手动开关
CN105428102B (zh) * 2015-11-26 2018-04-27 东营金丰正阳科技发展有限公司 户外用电力开关装置
CN107527768B (zh) * 2016-06-17 2022-07-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磁铁装置以及搭载了该电磁铁装置的电磁继电器
CN107527769B (zh) * 2016-06-17 2021-05-1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磁铁装置以及搭载了该电磁铁装置的电磁继电器
CN109166762A (zh) * 2018-09-19 2019-01-08 中山瑞科新能源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设备的触点开关
CN113685721A (zh) * 2020-05-19 2021-11-2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自动化加氢开关装置和燃料电池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4351A (en) * 1931-02-16 1933-08-29 Walter H Doddridge Switch operating mechanism
US2718575A (en) * 1952-02-07 1955-09-20 Fed Electric Prod Co Actuator for hermetically sealed mechanism
JPS596449B2 (ja) * 1976-05-27 1984-02-10 株式会社東芝 真空しや断器
JPS59101348U (ja) * 1982-12-24 1984-07-09 和泉電気株式会社 回路しや断器の動作表示装置
CH666125A5 (de) 1984-10-26 1988-06-30 Zellweger Ust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indestens naeherungsweisen bestimmung des querschnitts von langgestrecktem pruefgut.
US5140115A (en) * 1991-02-25 1992-08-18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contacts condition indicator
JP3033379B2 (ja) * 1992-06-25 2000-04-17 松下電工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
JP2985585B2 (ja) * 1993-06-25 1999-12-06 松下電工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
JP3543488B2 (ja) * 1996-05-28 2004-07-14 松下電工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の製造方法及び封止方法
DE29714134U1 (de) * 1997-08-07 1997-10-09 Klaus Bruchmann GmbH, 96450 Coburg Verriegelungsschieber für Sicherung
JPH11339605A (ja) * 1998-05-26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直流遮断器
JP2001351486A (ja) * 2000-04-20 2001-12-21 Eaton Corp 真空スイッチ組立体を備えた成型ケース回路遮断器
US7561017B2 (en) * 2004-09-13 2009-07-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JP4174495B2 (ja) 2005-06-29 2008-10-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イッチギヤの開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325U (ko) * 2012-06-14 2013-12-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KR102352082B1 (ko) * 2021-06-23 2022-01-18 주식회사 파세텍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링케이지를 갖는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4407B (zh) 2015-04-01
JP2011134698A (ja) 2011-07-07
EP2325855A2 (en) 2011-05-25
EP2325855A3 (en) 2012-09-05
CA2722212A1 (en) 2011-05-24
CA2722212C (en) 2014-04-01
US8581128B2 (en) 2013-11-12
JP5542545B2 (ja) 2014-07-09
US20110120846A1 (en) 2011-05-26
KR101159476B1 (ko) 2012-06-25
CN102074407A (zh)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476B1 (ko) 단로기
RU2370844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мыкающей пружины в воздушном переключателе и воздуш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8299378B2 (en) Position indicating device
JP4127137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5934942B2 (ja) 断路器
JPWO2019008911A1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開閉検知装置
CN112053865B (zh) 电源电路切断装置
WO2012090521A1 (ja) スイッチ
KR102224396B1 (ko) 스위치
JP5979561B2 (ja) 断路器
WO2018123224A1 (ja) スイッチ
JP2007305310A (ja) 回路遮断器の操作ハンドル
JP4170551B2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JP4778377B2 (ja) 回路遮断器
JP4237584B2 (ja) 回路遮断器の引出装置
US20200287362A1 (en) Switchgear
JP2002075121A (ja) スイッチ装置とこの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セーフティ装置
KR101590250B1 (ko) 회로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 장치
JP2013069494A (ja) 断路器
JP2572775B2 (ja)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ゃ断器
CN115881482A (zh) 用于断路器的机械断点机构及断路器
JPH1114456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H089881Y2 (ja) サーキットプロテクタ
JPH1116480A (ja) 回路遮断器
JP2002343220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