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656A - 도포막 전사구 - Google Patents

도포막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656A
KR20110058656A KR1020100096837A KR20100096837A KR20110058656A KR 20110058656 A KR20110058656 A KR 20110058656A KR 1020100096837 A KR1020100096837 A KR 1020100096837A KR 20100096837 A KR20100096837 A KR 20100096837A KR 20110058656 A KR20110058656 A KR 20110058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ransfer
supply
winding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347B1 (ko
Inventor
야스오 나리타
Original Assignee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과제) 클러치의 마찰력을 작게 해도 구동력을 전달시켜서 확실하게 권취 보빈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소형의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1)는 미사용의 전사 테이프(51)가 권취 장착된 공급 보빈(53)과, 전사 테이프(51)를 걸어서 지지하여 상기 전사 테이프(51)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압박함으로써 감압 전사하는 전사 헤드(7)와,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51)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55)과, 공급 보빈(53)의 회전을 권취 보빈(55)에 전달함과 아울러 권취 보빈(55)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클러치 기구와, 공급 보빈(53)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공급 보빈(53)의 일부가 역전 방지 기구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포막 전사구{APPLICATION-FILM TRANSFER TOOL}
본 발명은 클러치 기구와 역전 방지 기구를 구비한 도포막 전사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 보빈의 일부가 역전 방지 기구의 일부로서 구성된 도포막 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풀의 부착이나 오자의 수정에 사용하는 도포막 전사구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도포막 전사구는 미사용의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공급 보빈과, 공급 보빈으로부터 인출되어서 사용된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가 감기는 권취 보빈과, 공급 보빈과 권취 보빈을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케이스 내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 사용되는 전사 테이프로서는 반송 매체가 되는 기재 테이프로서의 수지 테이프 또는 종이 테이프의 표면에, 이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도포막이 형성되는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도포막 전사구에서는 케이스로부터 돌출시킨 상기 전사 헤드에 전사 테이프를 걸어서 지지하여 종이 등의 전사 대상에 전사 헤드를 밀착시킨 상태로 하고, 전사 헤드를 전사 대상에 압박하도록 하여 케이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전사 테이프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전사시킬 수 있다. 그것과 동시에, 공급 보빈으로부터는 전사 테이프가 풀려지고,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기재 테이프)는 권취 보빈에 권취된다.
이러한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는, 전사 테이프에 휨이 있으면 전사에 실패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항상 전사 테이프가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권취 보빈의 회전수가 공급 보빈의 회전수보다 많아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그러나, 도포막 전사구를 계속해서 사용함으로써 공급 보빈에 권취 장착되어 있는 전사 테이프의 양이 줄어들고 권취 보빈에 권취 장착되어 있는 기재 테이프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권취 보빈이 1회전할 때마다 권취되는 기재 테이프의 양이 증가하고, 전사에 필요한 전사 하중이 커져 전사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 보빈의 회전이 모두 권취 보빈에 전달되지 않도록 공급 보빈을 공전시킬 필요가 있고, 통상 도포막 전사구에는 공급 보빈과 권취 보빈의 테이프 반송량의 차를 흡수하여 전사 테이프의 장력을 조정하는 클러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포막 전사구에 의해 전사 테이프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전사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스를 이동시키게 되지만, 이 전사시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케이스를 이동시켰을 경우, 전사 테이프가 휘거나, 케이스 내부에서 전사 테이프가 얽히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도포막 전사구에는 역전 방지 기구가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2-205867호 공보(특허문헌 1)에서는, 공급 보빈의 회전축의 외주측에 공급 보빈의 내주면에 접하는 탄성 암(곡면 부재)이 회전축의 둘레 방향을 따른 120° 간격 위치에서 캔틸레버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클러치 기구를 갖고, 또한 공급측 기어에 형성되는 래칭 암과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래칭 홈으로서의 톱니로 구성되는 역전 방지 기구를 갖는 도포막 전사구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은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공급측 기어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상의 오목부에 있어서 회전축에 탄성 암을 형성한 클러치 부재를 장착하고, 탄성 암의 끝부에 형성된 볼록부를 원형상의 오목부의 내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미끄럼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기구를 설치한 도포막 전사구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특허문헌 2). 또한, 이 도포막 전사구의 역전 방지 기구는, 예를 들면 권취 보빈의 기어부에 더 설치되는 래칫 기어부와, 이 래칫 기어부와 맞물릴 수 있게 케이스의 평판부에 형성되는 래칭 암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공급 보빈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2058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103994호 공보
도포막 전사구를 이용하여 전사를 행할 경우, 전사 테이프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전사하기 위해서 소정의 하중을 전사 헤드에 가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도포막 전사구는 구동 전달계에 있어서 역전 방지 기구에 의한 기계 손실이 발생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공급 보빈의 권취심 지름이 크면 클러치 기구의 마찰력이 커도 전사 하중은 그다지 커지지 않고, 사용하기 어려워져 버린다고 하는 일은 없었다.
또한, 요즈음 제품의 소형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권취심 지름을 작게 할 필요성이 생기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를 위해서 권취심 지름을 작게 하면 클러치 기구나 역전 방지 기구의 마찰력에 의한 공급 보빈으로의 전사 하중이 커져버린다. 이 때문에, 권취심 지름을 작게 할 경우 클러치 기구나 역전 방지 기구에 의한 기계 손실에 의해 공급 보빈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도포막 전사구와 같이, 역전 방지 기구를 공급측 기어나 권취 보빈의 근방에 설치하고, 역전 방지 기구와 공급 보빈 사이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면, 역전 방지 기구를 통해서 정전을 권취 보빈에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의 미끄럼 저항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클러치 기구의 저항에 의한 공급 보빈의 회전 저항이 커져서 상기 공급 보빈을 회전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될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전사 하중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클러치 기구나 역전 방지 기구에 의한 마찰력을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권취심 지름을 작게 함과 아울러 클러치 기구의 미끄럼 저항을 작게 했을 경우, 약간의 기계 손실에 의해 클러치 기구가 공전해서 클러치 기구를 통해서 정전을 권취 보빈에 전달할 수 없어 권취 보빈을 회전시킬 수 없어져 버리고, 사용이 끝난 테이프의 권취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서 이뤄진 것이며, 역전 방지 기구를 공급측 기어나 권취 보빈에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구동 전달계의 기계 손실을 없애고, 클러치 기구의 마찰력을 작게 해도 구동력을 전달시켜서 확실하게 권취 보빈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소형의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는 미사용의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된 공급 보빈과, 전사 테이프를 걸어서 지지하여 상기 전사 테이프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압박함으로써 감압 전사하는 전사 헤드와,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과, 상기 공급 보빈의 회전을 상기 권취 보빈에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권취 보빈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공급 보빈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보빈의 일부가 상기 역전 방지 기구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공급 보빈, 상기 전사 헤드 및 상기권취 보빈은 본체에 착탈 가능한 리필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역전 방지 기구는 이 리필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역전 방지 기구는 상기 공급 보빈에 있어서 둘레방향에 형성된 복수의 래칭 홈과, 상기 리필 케이스에 형성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래칭 암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리필 케이스가 착탈되는 상기 본체는 상기 클러치 기구, 상기 클러치 기구를 통해서 상기 공급 보빈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공급측 기어, 상기 권취 보빈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권취측 기어, 및 상기 공급측 기어와 권취측 기어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이 설치되는 기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역전 방지 기구를 공급측 기어나 권취 보빈에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구동 전달계의 기계 손실을 없애고, 클러치 기구의 마찰력을 작게 해도 구동력을 전달시켜서 확실하게 권취 보빈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소형의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역전 방지 기구는 리필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 테이프의 교환 보충시에 이 역전 방지 기구도 교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장기에 걸쳐서 본체를 사용할 수 있는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본체와 리필(refill)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리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리필에 있어서의 적재측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리필에 있어서의 적재측 케이스에 공급 보빈 및 권취 보빈을 수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역전 방지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포막 전사구(1)는 리필(5)과, 상기 리필(5)을 유지하는 본체(3)로 이루어진다. 리필(5)은 본체(3)에 착탈 가능하게 되는 리필 케이스와, 상기 리필 케이스에 수용되는 공급 보빈(53)과, 전사 헤드(7)와, 권취 보빈(55)과, 전사 테이프(51)로 구성된다.
이 공급 보빈(53)에는 미사용의 전사 테이프(51)가 권취 장착된다. 또한, 전사 헤드(7)는 전사 테이프(51)를 걸어서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전사 헤드(7)를 전사 대상에 압박함으로써 전사 테이프(51)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감압 전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권취 보빈(55)은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51)(기재 테이프)를 권취하는 것이다.
본체(3)는 리필(5)의 후방을 유지하는 후방 고정 부재(31)를 갖는 기대 부재(11)와, 리필(5)의 전방을 유지하는 전방 고정 부재(13)로 구성된다. 이 기대 부재(11)에는 클러치 기구, 상기 클러치 기구를 통해서 공급 보빈(53)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공급측 기어(26), 권취 보빈(5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권취측 기어(28), 및 공급측 기어(26)와 권취측 기어(28)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으로서의 중간 평기어(27)가 설치된다.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부재(29)와 공급측 기어(26)로 이루어지고, 탄성 암(29a)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록부가 원형상의 오목부(26a)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마찰 클러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공급 보빈(53)의 회전을 권취 보빈(55)에 전달함과 아울러 권취 보빈(55)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 도포막 전사구(1)는 본체(3)의 기대 부재(11)와 전방 고정 부재(13)를 이격시켜서 리필(5)을 기대 부재(11)에 적재하고, 그 상태에서 본체(3)의 기대 부재(11)와 전방 고정 부재(13)를 근접시켜서 접속함으로써 전방 고정 부재(13)와 기대 부재(11)의 후방 고정 부재(31)에 의하여 본체(3)의 소정 위치에 리필(5)을 고정해서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도포막 전사구(1)는 공급 보빈(53)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를 리필 케이스 내에 구비한다. 이 역전 방지 기구는 공급 보빈(53)에 있어서 둘레방향에 형성된 복수의 래칭 홈(53a)과, 리필 케이스에 형성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래칭 암(71e)으로 이루어진다. 즉, 공급 보빈(53)의 일부가 역전 방지 기구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1)에 관해서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1)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리필(5)과 본체(3)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1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구(1)의 전사 헤드(7)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본체(3)의 기대 부재(11)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 리필(5)이 위치하는 방향을 상방, 본체(3)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서 서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구(1)는, 전사 헤드(7)를 종이 등의 전사 대상 상에 압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기재 테이프에 도포막이 부착되어서 이루어지는 전사 테이프(51)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 상에 감압 전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도포막 전사구(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필(5)과, 상기 리필(5)을 유지하는 본체(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3)에 리필(5)을 부착함으로써 일체로 되는 도포막 전사구(1)는, 전사 테이프(51)가 인출됨으로써 회전하는 공급 보빈(53)과, 상기 공급 보빈(53)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클러치 부재(29)와, 상기 클러치 부재(29)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공급측 기어(26)와, 상기 공급측 기어(26)에 맞물리는 중간 평기어(27)와, 상기 중간 평기어(27)를 통해서 공급측 기어(26)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권취측 기어(28)와, 상기 권취측 기어(28)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권취 보빈(55)에 의해서 구동 전달계를 구성한다.
리필(5)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테이프(51)와, 공급 보빈(53)과, 전사 헤드(7)와, 권취 보빈(55)과, 이것들을 수용하는 리필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교환 가능한 보충품이다. 이 리필 케이스는 본체(3)에 착탈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공급 보빈(53)이나 권취 보빈(55)이 수용되는 적재측 케이스(61)와, 전사 헤드(7)를 구비한 커버 케이스(63)로 구성된다.
공급 보빈(53)은 원통의 상하 끝부에 원판이 부착된 형상이며, 미사용의 전사 테이프(51)가 권취 장착되어서 전사 테이프(51)를 전사 헤드(7)에 송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통의 내면에는 본체(3)에 장착된 클러치 부재(29)의 축부와 맞물리는 돌기(53b)가 형성되어 있다.
권취 보빈(55)은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51)(기재 테이프)를 권취하는 것이며, 공급 보빈(53)과 같이 원통의 상하 끝부에 원판이 부착되고, 원통 내에는 본체(3)에 장착된 권취측 기어(28)의 축부와 맞물리는 돌기(5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권취 보빈(55)의 원통의 지름은 공급 보빈(53)의 원통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전사 헤드(7)는 리필(5)의 전단부에 있어서 샤프트(68)가 축 설치되고, 이 샤프트(68)에 튜브(69)가 축지지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전사 헤드(7)에는 전사 테이프(51)가 걸어서 지지되어 있고, 사용자가 전사 헤드(7)를 종이 등의 전사 대상에 압박시키면서 움직임으로써 전사 테이프(51)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감압 전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체(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필(5)의 후방을 유지하는 후방 고정 부재(31)를 갖는 기대 부재(11)와, 리필(5)의 전방을 유지하는 전방 고정 부재(13)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이 도포막 전사구(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3)의 기대 부재(11)와 전방 고정 부재(13)를 이격시켜서 리필(5)을 기대 부재(11)에 적재하고, 그 상태에서 본체(3)의 기대 부재(11)와 전방 고정 부재(13)를 근접시켜서 접속함으로써 전방 고정 부재(13)와 기대 부재(11)의 후방 고정 부재(31)에 의하여 본체(3)의 소정 위치에 리필(5)을 고정해서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기대 부재(11)에는 클러치 기구, 상기 클러치 기구를 통해서 공급 보빈(53)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공급측 기어(26), 권취 보빈(5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권취측 기어(28), 및 공급측 기어(26)와 권취측 기어(28)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이 설치된다.
공급측 기어(26)는 외면에 톱니를 구비한 원판 형상이며, 상면 부분에는 클러치 부재(29)의 탄성 암(29a)이 배치되는 원형상의 오목부(26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급측 기어(26)는 기대 부재(11)의 전방에 있어서 축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부재(29)과 공급측 기어(26)로 구성된다. 클러치 부재(29)는 원통 형상의 축부와, 축부의 하단 근방의 측면에 형성된 3개의 탄성 암(29a)으로 이루어지고, 축부의 측면에는 공급 보빈(53)과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며, 탄성 암(29a)의 선단에는 원형상의 오목부(26a)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부분인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부재(29)는 공급측 기어(26)의 오목부(26a)의 내주면에 대하여 탄성 암(26a)의 볼록부가 각각 바깥 쪽(원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방사상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도록 맞물린 상태에서 공급측 기어(26)와 회전 중심이 동일하게 되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즉, 이 클러치 기구는 탄성 암(29a)의 볼록부가 오목부(26a)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마찰 클러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취측 기어(28)는 원통 형상의 축부와, 이 축부의 하단에 형성된 원판과,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원판의 하방에 형성된 기어로 이루어지고, 축부의 측면에는 권취 보빈(55)과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측 기어(28)는 기대 부재(11)의 후단 근방에 늘어뜨려 설치되는 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사 테이프(51)에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권취측 기어(28)의 기어의 지름은 공급측 기어(26)의 기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공급측 기어(26)와 권취측 기어(28)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은 공급측 기어(26) 및 권취측 기어(28)에 각각 맞물리도록 공급측 기어(26)와 권취측 기어(28) 사이에 축지지되는 2매의 중간 평기어(2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도포막 전사구(1)는 사용자가 전사 테이프(51)의 걸어서 지지된 전사 헤드(7)를 전사 대상 상에 압박한 상태에서 도포막 전사구(1)를 이동시키면, 전사 테이프(51)가 인출됨으로써 공급 보빈(53)이 회전한다. 공급 보빈(53)이 회전하면 상기 공급 보빈(53)에 연결되는 클러치 부재(29)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클러치 부재(29)가 회전하면 클러치 부재(29)의 탄성 암(29a) 선단에 형성되는 볼록부와, 이 볼록부가 접촉하는 공급측 기어(26)의 오목부(26a)의 내주면의 마찰력에 의해 공급측 기어(26)가 회전하게 된다. 공급측 기어(26)가 회전하면 이 회전력은 중간 평기어(27)를 통해서 권취측 기어(28)에 전달되어서 권취측 기어(28)가 회전한다.
이 때, 권취측 기어(28)가 공급측 기어(26)의 회전수보다 커지도록 소정의 회전비로 공급측 기어(26) 및 권취측 기어(28)가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공급 보빈(53)이 정전하고 있을 때에는 항상 전사 테이프(51)에 소정값 이상의 장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전사 테이프(51)의 장력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되면, 클러치 부재(29)가 원형 오목부(26a)의 내주면을 미끄러지게 되기 때문에 전사 테이프(51)의 장력이 지나치게 커질 일은 없다. 즉, 클러치 기구는 공급 보빈(53)의 회전을 권취 보빈(55)에 전달함과 아울러 권취 보빈(55)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구(1)의 역전 방지 기구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역전 방지 기구는 공급 보빈(53)이나 권취 보빈(55)에 권치 장착된 전사 테이프(51)가 휘거나, 리필 케이스 내부에서 전사 테이프(51)가 얽히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공급 보빈(53)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구이다.
이 역전 방지 기구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보빈(53)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형성된 복수의 래칭 홈(53a)과, 리필(5)에 형성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래칭 암(71e)으로 이루어진다. 즉, 공급 보빈(53)의 일부가 역전 방지 기구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역전 방지 기구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되는 리필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칭 홈(53a)은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현성되는 직사각 형상의 관통구멍이며, 관통구멍끼리의 간격은 가능한 한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칭 암(71e)은 리필(5)에 있어서의 적재측 케이스(61)의 적재면판(71)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5는 공급 보빈(53) 및 권취 보빈(55)을 수납하는 적재측 케이스(61)의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측 케이스(61)는 전단변보다 후단변이 길고,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적재면판(71)과, 적재면판(71)의 양측 변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는 측벽(75)을 구비한다. 이 적재면판(71)은 후단 근방에 권취 보빈(55)이 배치되는 원형의 권취 보빈 적재부(71a)를 구비하고, 권취 보빈 적재부(71a)의 전방에 공급 보빈(53)이 배치되는 원형의 공급 보빈 적재부(71b)를 구비한다. 권취 보빈 적재부(71a) 및 공급 보빈 적재부(71b)는 적재면판(71)으로부터 약간 하방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오목부이며, 각 적재부(71a, 71b)의 중앙은 원형의 개구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보빈(53)이 역전했을 때에 공급 보빈(53)의 래칭 홈(53a)에 래칭되는 래칭 암(71e)은, 이 공급 보빈 적재부(71b)의 개구 부분에 있어서의 원주 상에 형성된다. 이 리필(5)의 적재측 케이스(61)에 형성되는 래칭 암(71e)은 공급 보빈 적재부(71b)의 소정 개소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캔틸레버 구조로 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래칭 암(71e)의 선단 부분에는 공급 보빈(53)의 래칭 홈(53a)과 래칭하는 래칭 훅(71f)이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칭 훅(71f)은 공급 보빈(53)의 우측 방향의 회전은 허용하도록 선단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급 보빈(53)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칭 홈(53a)과 적재측 케이스(61)의 래칭 훅(71f)(도 5 참조)이 접촉하도록 적재측 케이스(61)의 공급 보빈 적재부(71b) 상에 적재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공급 보빈(53)에 대하여 정전 방향인 우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소정의 부하를 공급 보빈(53)에 가하도록 해서 공급 보빈(53)의 정전을 허용한다. 또한, 공급 보빈(53)에 대하여 역전 방향인 좌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래칭 암(71e)의 래칭 훅(71f)과 공급 보빈(53)의 래칭 홈(53a)이 결합해서 공급 보빈(53)의 역전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급 보빈(53)이 정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칭 홈(53a)과 적재측 케이스(61)의 래칭 훅(71f)이 맞물리지만, 래칭 훅(71f)의 선단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테이퍼부와 래칭 홈(53a)이나 상기 래칭 홈(53a)끼리의 사이인 공급 보빈(53)의 저면이 맞물릴 때에는 탄성을 갖는 래칭 암(71e)이 하방으로 휘게 된다. 즉, 공급 보빈(53)은 상기 공급 보빈(53)의 회전에 의해 래칭 암(71e)을 반복하여 아래 방향으로 휘게 하면서 회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공급 보빈(53)의 정전 중은 반복 래칭 훅(71f)이 래칭 홈(53a)과 맞물리게 되기 때문에 공급 보빈(53)이 정전할 때에 상기 공급 보빈(53)에는 직접적으로 소정의 부하가 걸리게 된다. 그러나, 공급 보빈(53)에 직접적으로 역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역전 방지 기구에 의한 약간의 저항력은 사용자에게 느껴져도, 구동 전달계에 있어서의 기계 손실로 되는 경우는 없다.
한편, 공급 보빈(53)에 대하여 역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칭 홈(53a)의 내측면에 대하여 래칭 훅(71f)의 선단면이 접촉하여 공급 보빈(53)의 회전 동작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공급 보빈(53)의 역전은 확실하게 방지되어서 공급 보빈(53)이나 권취 보빈(55)에 권취 장착된 전사 테이프(51)가 휘거나, 리필 케이스 내부에서 전사 테이프(51)가 얽히거나 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역전 방지 기구를 공급 보빈(53)의 래칭 홈(53a)과, 적재측 케이스(61)의 래칭 암(71e)에 의하여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인 역전 방지 기구를 공급측 기어(26)나 권취측 기어(28)에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구동 전달계의 기계 손실을 없애고, 권취심 지름을 작게 함과 아울러 클러치 기구의 마찰력을 작게 해도 구동력을 전달시켜서 확실하게 권취 보빈(55)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소형의 도포막 전사구(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역전 방지 기구는 리필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 테이프(51)의 교환 보충시에 이 역전 방지 기구도 교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장기에 걸쳐서 본체(3)를 사용할 수 있는 도포막 전사구(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역전 방지 기구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래칭 홈(53a)을 리필 케이스측에 형성하고, 래칭 암(71e)을 공급 보빈(53)에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래칭 홈(53a)을 관통구멍으로서 형성하지 않고, 래칫 기어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래칭 암(71e)을 공급 보빈 적재부(71b) 상에 형성함과 아울러 래칭 홈(53a)을 공급 보빈(53)의 하측 원판의 외주면 상에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역전 방지 기구는 그 일부를 공급 보빈(53)에 형성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 : 도포막 전사구 3 : 본체
5 : 리필 7 : 전사 헤드
11 : 기대 부재 13 : 전방 고정 부재
26 : 공급측 기어 26a : 오목부
27 : 중간 평기어 28 : 권취측 기어
29 : 클러치 부재 29a : 탄성 암
31 : 후방 고정 부재 51 : 전사 테이프
53 : 공급 보빈 53a : 래칭 홈
53b : 돌기 55 : 권취 보빈
55a : 돌기 61 : 적재측 케이스
63 : 커버 케이스 68 : 샤프트
69 : 튜브 71 : 적재면판
71a : 권취 보빈 적재부 71b : 공급 보빈 적재부
71e : 래칭 암 71f : 래칭 훅
75 : 측벽

Claims (4)

  1. 미사용의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된 공급 보빈과, 전사 테이프를 걸어서 지지하여 상기 전사 테이프의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압박함으로써 감압 전사하는 전사 헤드와,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과, 상기 공급 보빈의 회전을 상기 권취 보빈에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권취 보빈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공급 보빈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보빈의 일부가 상기 역전 방지 기구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보빈, 상기 전사 헤드 및 상기 권취 보빈은 본체에 착탈 가능한 리필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역전 방지 기구는 이 리필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 방지 기구는 상기 공급 보빈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형성된 복수의 래칭 홈과, 상기 리필 케이스에 형성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래칭 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케이스가 착탈되는 상기 본체는 상기 클러치 기구, 상기 클러치 기구를 통해서 상기 공급 보빈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공급측 기어, 상기 권취 보빈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권취측 기어, 및 상기 공급측 기어와 상기 권취측 기어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이 설치되는 기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KR1020100096837A 2009-11-26 2010-10-05 도포막 전사구 KR101260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8657A JP2011110786A (ja) 2009-11-26 2009-11-26 塗布膜転写具
JPJP-P-2009-268657 2009-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656A true KR20110058656A (ko) 2011-06-01
KR101260347B1 KR101260347B1 (ko) 2013-05-07

Family

ID=4333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837A KR101260347B1 (ko) 2009-11-26 2010-10-05 도포막 전사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47933B2 (ko)
JP (1) JP2011110786A (ko)
KR (1) KR101260347B1 (ko)
CN (1) CN102152696B (ko)
CA (1) CA2717998C (ko)
DE (1) DE102010051970A1 (ko)
FR (1) FR2952920A1 (ko)
GB (1) GB2475759B (ko)
MY (1) MY153371A (ko)
SG (1) SG171519A1 (ko)
TW (1) TWI43477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039A (ko)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올레더 나노 캡슐라이징 유기발광소재를 이용한 양자점 코팅 유기 자가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80054435A (ko) * 2016-11-15 2018-05-24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도막 전사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9008B2 (ja) * 2015-05-12 2019-04-10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CN107264115A (zh) * 2016-04-07 2017-10-20 南京农业大学 包书皮机
JP6836800B2 (ja) * 2016-06-24 2021-03-0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横引型塗膜転写具
JP6898642B2 (ja) * 2017-08-01 2021-07-07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6754143B2 (ja) * 2018-12-27 2020-09-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CN111453515B (zh) * 2020-04-06 2021-08-06 陈文强 一种检验科标本试管用离型纸胶带处理装置的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299A (ja) * 1989-10-14 1991-05-31 Shiide Rubber Kogyo Kk 手持式転写塗膜転写器
EP0742111A3 (en) * 1991-10-02 1997-09-24 Fuji Kagaku Shikogyo Device for transferring a painted film
JP3003030U (ja) * 1994-04-12 1994-10-11 株式会社トンボ鉛筆 転写テ−プ操作具
EP1203741B1 (en) * 1995-10-06 2004-05-12 Seed Rubber Company Ltd.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20030118771A1 (en) * 1997-02-06 2003-06-26 Downs John P. Roll of adhesive segments for use in an adhesive segment applicato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9816925B4 (de) * 1998-04-16 2009-12-10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2000025392A (ja) * 1998-07-08 2000-01-25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1071689A (ja) * 1999-07-06 2001-03-21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1018587A (ja) * 1999-07-06 2001-01-23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用ヘッド装置および塗膜転写具
DE19936445B4 (de) * 1999-08-03 2004-03-04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29918667U1 (de) * 1999-10-22 1999-12-30 Bic Deutschland Gmbh & Co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mit einer Rücklaufsperre
US6453969B1 (en) 2000-11-28 2002-09-24 Bic Corporation Viscous clutch for a correction tape reel assembly
JP2002178694A (ja) * 2000-12-14 2002-06-26 Tombow Pencil Co Ltd 塗膜転写具
JP2002205867A (ja) * 2000-12-28 2002-07-23 Kokuyo Co Ltd 転着器におけるローラ支持構造
JP4690607B2 (ja) * 2001-09-11 2011-06-0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JP4603738B2 (ja) * 2001-09-28 2010-12-22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4205518B2 (ja) * 2003-07-31 2009-01-07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4186023B2 (ja) * 2003-12-26 2008-11-26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4283696B2 (ja) * 2004-02-04 2009-06-24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におけるテープ供給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4274040B2 (ja) * 2004-05-06 2009-06-03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4352984B2 (ja) * 2004-05-06 2009-10-28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4652955B2 (ja) * 2005-11-21 2011-03-16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CN101511605A (zh) * 2006-09-07 2009-08-19 雅芳产品公司 薄膜分配器
US20080083487A1 (en) * 2006-10-05 2008-04-10 Global Access Corporation Automatic tape dispenser
JP5103201B2 (ja) * 2008-01-18 2012-12-19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039A (ko)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올레더 나노 캡슐라이징 유기발광소재를 이용한 양자점 코팅 유기 자가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80054435A (ko) * 2016-11-15 2018-05-24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도막 전사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2696B (zh) 2015-01-21
SG171519A1 (en) 2011-06-29
CA2717998A1 (en) 2011-05-26
JP2011110786A (ja) 2011-06-09
CN102152696A (zh) 2011-08-17
KR101260347B1 (ko) 2013-05-07
TWI434770B (zh) 2014-04-21
US20110120659A1 (en) 2011-05-26
FR2952920A1 (fr) 2011-05-27
TW201117969A (en) 2011-06-01
MY153371A (en) 2015-01-29
GB2475759A (en) 2011-06-01
CA2717998C (en) 2013-04-09
DE102010051970A1 (de) 2011-08-25
GB201017619D0 (en) 2010-12-01
GB2475759B (en) 2012-10-24
US8347933B2 (en)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347B1 (ko) 도포막 전사구
US6363990B1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7571754B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4350454A (en) Ribbon cartridge including hub brake
US5792263A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containing the cartridge
RU2551062C2 (ru) Ленточное катуш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ленточный картридж, содержащий его
WO2010079656A1 (ja) コードリール
JP2008302598A (ja) 転写具
WO2011070935A1 (ja) 転写具
JP2011121204A (ja) 転写具
TWI725245B (zh) 塗膜轉印具
JP5691166B2 (ja) 転写具
WO2014042206A1 (ja) 転写具及び転写具のリフィル
JP2010017855A (ja) 塗膜転写具
WO2015182672A1 (ja) 熱転写シートまたは受像シート用ボビン、ボビンとシートの組合体および熱転写プリンタ
KR20160148410A (ko) 호스 권취장치
JP2009199033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クリーナ、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フェルール端面の清掃方法
EP3233684B1 (en) A wire reel hub for a welding wire feeder
KR100792839B1 (ko) 자동정렬 기능을 갖는 릴 장치
CN111376629B (zh) 涂膜转印具
JPH11157192A (ja) 熱転写プリンタ用リボンカセット
JP2003011434A5 (ko)
JP2006069035A (ja) 塗膜転写具
JP2023059341A (ja) 塗膜転写具
JP2009241335A (ja) 塗膜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