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435A - 도막 전사구 - Google Patents

도막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435A
KR20180054435A KR1020170136325A KR20170136325A KR20180054435A KR 20180054435 A KR20180054435 A KR 20180054435A KR 1020170136325 A KR1020170136325 A KR 1020170136325A KR 20170136325 A KR20170136325 A KR 20170136325A KR 20180054435 A KR20180054435 A KR 2018005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bobbin
transfer
drive shaft
transfer hea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809B1 (ko
Inventor
쥰 우시지마
야스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미사용 부분의 전사 테이프의 절취선을 고정밀도로 전사 헤드에 위치시키는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기 위해서, 도막 전사구(10)는,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가 설치되는 공급 보빈 구동축(3)과, 권취 보빈 구동축(35)과, 권취 보빈 구동축(35)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6)와, 공급 보빈 구동축(3)과 권취 보빈 구동축을 회전 연결하는 회전 연결 기구(30)와, 전사 헤드(21)를 구비하고, 전사 헤드(21)가 케이스 본체(5) 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사 헤드 유닛(20)과, 전사 헤드 유닛(20)과 연동해서 전사 헤드(21)의 몰입 시에는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와 연결되고, 전사 헤드(21)의 돌출 시에는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중간 기어(31)와, 공급 보빈 구동축(3)에 설치되고,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로부터의 회전력을 접속 및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4)를 갖는다.

Description

도막 전사구{FILM TRANSFER TOOL}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 내부에 전사 헤드를 출몰시킬 수 있는 도막 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전사 헤드를 출몰시킬 수 있는 도막 전사구가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6959호 공보에 개시되는 도막 전사구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전사 헤드를 출몰 조작할 수 있다. 이 도막 전사구에 있어서는, 전사 헤드가 돌출 상태로부터 몰입 상태로 되면, 전사 헤드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랙이 기어를 회전시킨다. 이 기어는 전후 방향으로 유동(遊動)하며, 전사 헤드가 돌출 상태로부터 몰입 상태로 될 경우에는, 공급 보빈을 구동하는 기어와 맞물려, 공급 보빈을 역회전시켜서, 전사 헤드가 슬라이드한 분만큼의 전사 테이프를 권취시킨다. 이때, 공급 보빈과 회전 연결되는 권취 보빈을 구동하는 기어는, 공회전한다. 그리고, 전사 헤드가 몰입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될 경우에는, 유동(遊動)하는 기어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공급 보빈을 구동하는 기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권취 보빈은 역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전사 헤드의 전진에 의해 전사 테이프가 당겨져, 공급 보빈이 회전한다. 공급 보빈으로부터는, 전사 헤드의 몰입시에 권취한 분만큼의 전사 테이프가 송출된다. 따라서, 전사 헤드에는, 전사 테이프의 미사용 부분의 절취선이 위치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6959호 공보에 개시되는 도막 전사구에 있어서는, 전사 헤드가 슬라이드되어 몰입되는 분만큼의 전사 테이프를 공급 보빈에 권취시키고 있으므로, 전사헤드가를 몰입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해도, 전사 테이프의 미사용 부분의 절취선이 전사 헤드에 위치한다. 그러나, 전사 헤드의 몰입시의 권취량은, 공급 보빈에 권취 장착되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의 잔량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전사 헤드의 전사 롤러에 대한 전사 테이프의 미사용 부분의 절취선의 위치가, 미사용 전사 테이프의 잔량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재 사용 시에 전사 테이프의 미사용 부분의 절취선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등, 사용 시에 번잡한 절차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밀도로 미사용 부분의 전사 테이프의 절취선을 전사 헤드에 위치시키는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막 전사구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공급 보빈을 구동하고,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가 설치되는 공급 보빈 구동축과, 사용한 상기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권취 보빈을 구동하는 권취 보빈 구동축과,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와,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과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을 회전 연결하는 회전 연결 기구와, 전사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사 헤드가 케이스 본체 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사 헤드 유닛과, 상기 전사 헤드 유닛과 연동해서 상기 전사 헤드의 몰입 시에는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사 헤드의 돌출 시에는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의 연결이 해제되는 중간 기어와,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로부터의 회전력을 접속 및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사용 전사 테이프의 절취선 위치를 고정밀도로 전사 헤드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사시도이며, 도 1의 (a)는 전사 헤드의 몰입 상태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전사 헤드의 돌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케이스 본체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의 (a)는 리필이 장착된 상태이며, 도 2의 (b)는 리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를 좌측 전방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를 우측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리필을 생략한 좌측면도이며, 도 5의 (a)는 전사 헤드의 몰입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전사 헤드가 몰입 또는 돌출의 이행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전사 헤드의 돌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우측 케이스를 생략한 우측면도이며, 도 6의 (a)는 전사 헤드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전사 헤드의 몰입 개시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우측 케이스를 생략한 우측면도이며, 도 7의 (a)는 전사 헤드가 몰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전사 헤드의 돌출 개시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도 7의 VIII-VIII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에 관한 도막 전사구(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막 전사구(10)는, 케이스 본체(5)에 설치되는 출몰 조작부(7)를 조작함으로써, 전사 헤드(21)를 케이스 본체(5)의 내부로 몰입시키거나, 개구부(5e)로부터 돌출시키거나(도 1의 (a), (b) 참조) 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사 헤드(21)가 구비되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한, 도막 전사구(10)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보았을 때의 좌측을 왼쪽, 우측을 오른쪽, 도 1의 (a), (b)에 있어서의 상측을 위, 하측을 아래로 하여 설명한다.
도막 전사구(10)의 케이스 본체(5)는, 좌측 케이스(51)와 우측 케이스(52)가 조합되어서 형성된다. 좌측 케이스(51)와 우측 케이스(52)는, 힌지부(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는 펼칠 수 있다. 케이스 본체(5)의 내부에는, 리필(80)이 장착되어 있다. 도막 전사구(10)는, 사용한 리필(80)을 미사용 리필(80)과 교환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5)의 후방 상면은 절결되어 있어, 리필(80) 상면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하고 적절히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막 전사구(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케이스(51)는, 전후로 긴 대략 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단부에는, 후술하는 우측 케이스(52)의 우측 개구부(52e)와 함께 개구부(5e)를 형성하는 좌측 개구부(51e)가 절결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 케이스(51)의 전단부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걸림 구멍(51a, 5lb)이 형성된다. 좌측 케이스(51)의 상면 후방에는, 리필(8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면 절결부(51c)가 형성된다. 좌측 케이스(51)의 전방측이며 걸림 구멍(51a, 5lb)의 후방측의 상면 및 하면에는, 미끄럼 방지용의 복수의 돌기(51f, 51g)가 형성된다.
우측 케이스(52)는, 좌측 케이스(51)와 마찬가지로, 전후로 긴 대략 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단부에는 좌측 케이스(51)의 좌측 개구부(51e)와 함께 개구부(5e)를 형성하는 우측 개구부(52e)가 절결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측 케이스(52)의 전단부 상부 테두리 및 하부 테두리에는, 우측 케이스(52)의 내측을 향해서 판 형상부(52a1, 52b1)가 세워 설치된다. 그리고, 걸림 돌기(52a, 52b)는, 각각 판 형상부(52a1, 52b1)에 지지되어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다. 우측 케이스(52)의 상면 후방에는, 리필(8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면 절결부(52c)가 형성된다. 우측 케이스(52)의 전방측이며, 걸림 돌기(52a, 52b)의 후방측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52f, 52g)가 형성된다.
우측 케이스(52)의 전단부 내측면에는, 전사 헤드 유닛(20)을 가이드하는 유닛 가이드(52h)가 설치된다.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가이드(52h)는, 우측 케이스(52)의 전단부 상부 테두리 근방에 설치되는 상부 유닛 가이드(52h1)와, 전단부 하부 테두리 근방에 설치되는 하부 유닛 가이드(52h2)로 이루어진다. 상부 유닛 가이드(52h1) 및 하부 유닛 가이드(52h2)는, 각각 전후로 긴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케이스(52)의 내측을 향해서 세워 설치된다. 상부 유닛 가이드(52h1) 및 하부 유닛 가이드(52h2)는, 각각 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후방 모서리부(52h1a, 52h2a), 평탄부(52h1b, 52h2b), 전방 단부면(52h1c, 52h2c)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케이스(52)의 전단부 측면에는, 전후로 긴 긴 구멍(52i)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긴 구멍(52i)과 대응하는 우측 케이스(52)의 내측면의 위치에는, 전후로 길고, 상하 방향으로 폭이 넓은 오목 홈 형상의 가이드 홈(52j)이 형성된다. 또한, 우측 케이스(52)의 후방부 내측면에는, 내측을 향해서 공급측 지지축(52k)이 세워 설치된다. 공급측 지지축(52k)과 유닛 가이드(52h) 사이에는, 우측 케이스(52)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권취측 지지축(52l)이 세워 설치된다. 공급측 지지축(52k)과 권취측 지지축(52l) 사이의 우측 케이스(52)의 내측면에는, 내측을 향해서 전달 기어 지지축(52m)이 세워 설치된다. 또한, 우측 케이스(52)에 있어서의 공급측 지지축(52k)의 하방의 내측면에는, 전후로 긴 긴 구멍 형상의 홈으로서, 우측 요동축 가이드 홈(52n)이 형성된다.
전사 헤드 유닛(20)은, 전사 롤러(21a)를 구비하는 전사 헤드(21)와, 대략 세로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22)와, 전사 헤드(21)와 슬라이드부(22)를 접속하는 접속부(23)와, 슬라이드부(2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갈고리 형상부(24)를 구비한다. 전사 헤드(21)는, 판 형상의 기초부(2lb)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지지부(21c)를 구비하고, 이 2개의 지지부(21c)에 전사 롤러(21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부(22)에는, 평면을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한 대략 판 형상의 슬라이드 본체부(22a)가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 본체부(22a)에는, 전단부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각각 전방을 향해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는 탄발력을 갖고, 자유단부로 되는 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탄발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의 전단부에는, 각각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는 경사면(22b1, 22c1)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에는, 경사면(22b1, 22c1)의 상하 각각의 정상부와 연속하는 평탄면(22b2, 22c2)이 형성된다. 그리고, 평탄면(22b2, 22c2)의 후단부에는, 1단 움푹 들어가는 단차면(22b3, 22c3)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본체부(22a)는, 각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접속 기초부(22d)부터 세로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본체부(22a)의 후단부 테두리면은, 제1 접촉부(22a1)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본체부(22a)의 후단부로부터는, 갈고리 형상부(24)가 후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된다. 갈고리 형상부(24)의 팽출된 팽출부(24a)의 후단부 상측에는 모따기 형상으로 절결한 경사부(24b)가 형성된다. 팽출부(24a)의 전단부 테두리면은, 제2 접촉부(24c)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사 헤드(21)와 슬라이드부(22)는, 대략 가로판 형상의 접속부(2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전사 헤드 유닛(20)의 전방측 우측면에는, 대략 세로판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71)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71)의 전단부 상부 테두리 및 하부 테두리에는, 내측면측으로 블록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는 가압부(71a, 7lb)가 형성된다. 상측의 가압부(71a)로부터는, 하방 전방으로 연장되는 쿠션 바(71c)가 형성된다. 또한, 쿠션 바(71c)의 후방에는, 내측면측으로 대략 판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는 유닛 결합부(71d)가 평면을 전후 방향을 향하게 하여 형성된다. 유닛 결합부(71d)의 후방에는, 외주에 U자 형상의 벽부가 설치되는 결합 구멍(71e)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71)는, 우측면이, 우측 케이스(52)의 가이드 홈(52j)의 저부와 미끄럼 접촉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71)는, 가이드 홈(52j)에 의해 전후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쿠션 바(71c)의 우측면은 가이드 홈(52j)과 미끄럼 접촉하고, 쿠션 바(71c)의 좌측면은 전사 헤드 유닛(20)의 접속부(23)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바 홀더(23a)에 의해 좌측 방향의 떨림이 규제된다. 그리고, 유닛 결합부(71d)의 전방면이, 바 홀더(23a)의 배면과 결합(접촉)함으로써, 전사 헤드 유닛(20)을 몰입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슬라이드시킨다. 출몰 조작부(7)는, 출몰 조작부(7)의 좌측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두갈래 기둥 형상의 부재 걸림부(7a)가, 우측 케이스(52)의 우측 외측으로부터 긴 구멍(52i)을 통하여 슬라이드 부재(71)의 결합 구멍(71e)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부재(71)에 걸린다.
중간 기어(31)는, 판 형상의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간 기어(31)의 랙부(31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랙부(31a)의 기어의 이는 래칫 기어(래칫 갈고리)로 되어 있다. 랙부(31a)의 전단부로부터는, 랙부(31a)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하방을 향해서 돌출된 접촉 돌출부(31b)가 형성된다. 접촉 돌출부(31b)의 기단부(환언하면, 랙부(31a)의 전단부)에는, 좌우로 요동축(31c, 31d)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랙부(31a)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e)가 형성된다.
중간 기어(31)는, 좌우의 요동축(31c, 31d)이, 각각 우측 케이스(52)의 우측 요동축 가이드 홈(52n) 및 후술하는 기어 베이스(33)의 좌측 요동축 가이드 구멍(33a)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부(9)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요동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그리고,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 기어(31)는, 슬라이드 본체부(22a) 및 갈고리 형상부(24)와 대략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제1 접촉부(22a1) 및 제2 접촉부(24c)가 접촉 돌출부(31b)와 접촉 가능 상태로 되어 있다.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은,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급측 지지축(52k)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은, 후술하는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과 함께 공급 보빈 구동축(3)을 형성한다.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의 우측면에는,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가 형성된다.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의 기어의 이는, 래칫 기어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는, 중간 기어(31)의 랙부(31a)와 맞물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의 반대측에는, 플랜지부(32b)를 개재하여, 통 형상 축부(32c)가 형성된다. 통 형상 축부(32c)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플랜지부(32b) 상에는, 3개의 돌기(32c1)가 형성된다. 이 돌기(32c1)는,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의 구멍부의 둘레면과 미끄럼 접촉한다. 그리고, 통 형상 축부(32c)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돌기(32c1)와 연속한 축방향에는, 돌기(32c1)보다도 높이가 낮은 압입 리브(32c2)가 형성된다. 또한, 통 형상 축부(32c)의 선단은, 환상의 단부면에 3개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되는 환상 요철부(32d)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본체부(22a) 및 중간 기어(31)의 좌측면측에는, 대략 평판 형상의 기어 베이스(33)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어 베이스(33)는, 우측 케이스(52)의 내측면에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리브에 지지되는 동시에, 마찬가지로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보스에 고정된다. 기어 베이스(33)의 후방측에는, 공급측 지지축(52k) 및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의 통 형상 축부(32c)가 삽입 관통하는 공급측 구멍(33b)이 형성된다. 공급측 구멍(33b)의 하방에는, 좌측 요동축 가이드 구멍(33a)이 형성된다. 좌측 요동축 가이드 구멍(33a)은, 전후 방향으로 긴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 요동축 가이드 구멍(33a)의 전단부에는, 걸림 돌기(33a1)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중간 기어(31)의 좌측 요동축(31c)이 결합 분리되므로, 전사 헤드(21)의 출몰 조작 시에 있어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공급측 구멍(33b)의 전방측에는, 권취측 지지축(52l) 및 전달 기어 지지축(52m)이 삽입 관통되는 기어 개구부(33c)가 형성된다. 기어 개구부(33c)는,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어 개구부(33c)의 하측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외팔보 형상으로 걸림 갈고리 보(33d)가 형성된다. 걸림 갈고리 보(33d)의 자유단부인 전단부에는, 상방을 향해서 걸림 갈고리(33d1)가 형성된다.
전달 기어(34)는, 전달 기어 지지축(52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권취 보빈 구동축(35)은,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권취측 지지축(52l)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권취 보빈 구동축(35)의 우측면에는, 2단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이 래칫 기어부(35a)로 되고, 내측이 권취 보빈 전달 기어부(35b)로 되어 있다. 권취 보빈 전달 기어부(35b)는, 전달 기어(34)와 맞물린다. 래칫 기어부(35a)는, 기어 베이스(33)의 걸림 갈고리(33d1)와 맞물려, 권취 보빈 구동축(35)에 있어서의 권취 방향과 반대의 회전을 저지한다. 즉, 도 6 및 도 7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기어부(35a)와 걸림 갈고리 보(33d)의 걸림 갈고리(33d1)에 의해 역회전 방지 기구(6)가 형성된다.
권취 보빈 구동축(35)에 있어서의 래칫 기어부(35a)(권취 보빈 전달 기어부(35b))의 반대측에는, 권취 보빈 삽입 통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권취 보빈 삽입 통부(35c)의 외주에는, 축방향으로 긴 결합 리브(35c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는, 기어 베이스(33)의 좌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공급측 지지축(52k)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는, 전달 기어(34)와 맞물린다.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의 축 구멍 둘레에는, 환상 오목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 보빈 구동축(3)과 권취 보빈 구동축(35)을 회전 연결하는 회전 연결 기구(30)는,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 전달 기어(34), 권취 보빈 전달 기어부(35b)에 의해 형성된다.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은, 대략 통 형상의 축부(37a)를 구비한다. 축부(37a)의 우측은 개구되고, 좌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37a)의 기단부 외주에는, 외팔보 형상으로 3개의 원호 형상 보(3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37a)의 외주에는, 축방향으로 긴 결합 리브(37c)가 복수 형성된다.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은, 공급측 지지축(52k)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의 환상 오목부(36a)의 외주벽(36a1)에 원호 형상 보(37b)의 선단부가 압접한다. 이 압접에 의해, 공급 보빈(82)의 회전력을,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공급 보빈 구동축(3))을 통하여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구동 클러치 기구(8)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에 있어서의 축부(37a)에는,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의 통 형상 축부(32c)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에 있어서의 축부(37a)의 내주면과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의 통 형상 축부(32c)의 외주부(외주면)에 의해, 클러치 기구(4)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의 축부(37a)의 통 형상 내주면은, 대경부(37a1)와 소경부(37a2)에 의해 단차부(37a3)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37a3)에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의 통 형상 축부(32c)의 선단부인 환상 요철부(32d)가 접촉한다. 이때, 통 형상 축부(32c)의 외주에 형성되는 압입 리브(32c2)는, 대경부(37a1)의 내주면에 의해 압접된다.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과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의 회전력인 클러치 기구(4)의 클러치력은, 압입 리브(32c2)가 대경부(37a1)의 내주면을 압접하는 힘, 즉 압입 리브(32c2)와 대경부(37a1)가 압접되는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통 형상 축부(32c)의 선단부의 환상 요철부(32d)는, 그 요철 형상으로 인해 스프링성을 갖는다. 따라서, 환상 요철부(32d)가 단차부(37a3)에 접촉하면, 환상 요철부(32d)의 볼록부가 압축되거나 내경 방향으로 변형되거나 한다. 따라서, 통 형상 축부(32c)가 대경부(37a1)에 삽입되는 삽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입 리브(32c2)의 삽입량(즉, 압입 리브(32c2)와 대경부(37a1)가 압접되는 길이)이 조절되어서, 클러치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제조 오차에 관계없이, 클러치 기구(4)의 클러치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리필(80)은, 리필 케이스(81)를 구비한다. 리필 케이스(81)의 상면 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기(81a)가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5)로부터 상면 절결부(51c, 52c)를 통하여 노출될 때에 돌기(51f, 52f)와 마찬가지로 배치되어서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리필 케이스(81)의 상면 및 하면의 전단부로부터는, 각각 평판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8lb, 81c)가 전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된다. 전사 테이프(T)는, 지지 플레이트(8lb, 81c)의 선단에서 지지된다. 상측 지지 플레이트(8lb)의 선단은, 하측 지지 플레이트(81c)의 선단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81b, 81c)에는, 테이프 가이드(81b1, 81c1)가 세워 설치된다.
리필 케이스(81)에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T)가 권취 장착되는 공급 보빈(82)과, 사용한 전사 테이프(T)가 권취 장착되는 권취 보빈(8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미사용 전사 테이프(T)는, 공급 보빈(82)의 하측으로부터 송출되어, 하측 지지 플레이트(81c)로부터 상측 지지 플레이트(8lb)를 통하여, 권취 보빈(83)의 상측으로부터 권취 보빈(83)에 권취된다. 공급 보빈(82)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긴 결합 리브(82a)가 둘레면 주위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권취 보빈(83)의 내주면에도, 결합 리브(83a)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도막 전사구(10)에 리필(80)이 장착되면,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의 축부(37a)가 공급 보빈(82)에 삽입되고,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 및 공급 보빈(82)의 결합 리브(37c, 82a)끼리가 결합되어,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과 공급 보빈(82)은 축 주위에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권취 보빈(83)에는 권취 보빈 구동축(35)이 삽입되고, 결합 리브(35c1, 83a)끼리가 결합하여, 권취 보빈 구동축(35)과 권취 보빈(83)은 축 주위에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이어서, 도 5의 (a) 내지 (c)에 기초하여, 전사 헤드(21)의 출몰 조작 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부재(71) 및 슬라이드부(22)의 선단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헤드(21)가 몰입 상태로부터 출몰 조작부(7)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바 홀더(23a)의 배면과 유닛 결합부(71d)의 전방면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출몰 조작부(7)를 전방으로 계속해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의 경사면(22b1, 22c1)이, 각각, 상부 유닛 가이드(52h1) 및 하부 유닛 가이드(52h2)의 후방 모서리부(52h1a, 52h2a)와 접촉한다. 또한 출몰 조작부(7)를 전방으로 계속해서 이동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가 서로 접근하도록 탄발되어, 평탄면(22b2, 22c2)이 상부 유닛 가이드(52h1) 및 하부 유닛 가이드(52h2)의 평탄부(52h1b, 52h2b)와 미끄럼 접촉한다.
또한 출몰 조작부(7)를 전방으로 계속해서 이동시키면,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가 복원되어, 단차면(22b3, 22c3)이 상부 유닛 가이드(52h1) 및 하부 유닛 가이드(52h2)의 전방 단부면(52h1c, 52h2c)에 위치하여, 결합한다. 돌출 조작 시에는, 전사 테이프(T)는, 전사 헤드(21)의 전사 롤러(21a)에 의해 끌어당겨지지만, 권취 보빈 구동축(35)이 역회전 방지 기구(6)에 의해 역회전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공급 보빈(82)만이 전사 테이프(T)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사 테이프(T)가 송출된다.
또한, 출몰 조작부(7)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힘차게 행한 경우에는, 가이드 홈(52j)의 전단부의 단차부와 쿠션 바(71c)가 접촉해서 쿠션 바(71c)가 탄발되므로, 출몰 조작부(7)의 조작 감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막 전사구(10)는, 이와 같이 전사 헤드(21)를 돌출시켜서 사용한다. 이때, 단차면(22b3, 22c3)과 상부 유닛 가이드(52h1), 하부 유닛 가이드(52h2)의 전방 단부면(52h1c, 52h2c)의 결합에 의해,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사 헤드(21)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도막 전사구(10)에 의한 전사 테이프(T)의 전사 조작에 의해, 공급 보빈(82)으로부터 미사용 전사 테이프(T)가 송출되고, 전사 롤러(21a)에 의해 도막이 지면 등에 전사되어서, 권취 보빈(83)에 의해 사용한 테이프가 권취된다. 이때, 권취 보빈(83)의 권취량은, 항상 공급 보빈(82)의 이송량보다도 많아지도록 회전 연결 기구(30)의 각 기어(공급 보빈 전달 기어(36), 전달 기어(34), 권취 보빈 전달 기어부(35b))의 잇수가 설정된다. 그리고, 이 이송량과 권취량의 차는, 구동 클러치 기구(8)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전사 테이프(T)에는 항상 적절한 장력이 걸려, 전사 테이프(T)의 이완 등이 저감된다.
도막 전사구(10)를 사용한 후, 몰입 조작을 할 경우에는, 출몰 조작부(7)를 후퇴시키면, 슬라이드 부재(71)도 후퇴하고, 가압부(71a, 7lb)가 경사면(22b1, 22c1)을 가압함으로써, 슬라이드 결합부(22b, 22c)가 서로 접근한다. 그렇게 하면, 단차면(22b3, 22c3)과 상부 유닛 가이드(52h1), 하부 유닛 가이드(52h2)의 전방 단부면(52h1c, 52h2c)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도 5의 (b)의 상태를 거쳐서, 도 5의 (a)와 같이 전사 헤드(21)가 몰입된다.
몰입 조작 시에는, 전사 테이프(T)는, 전사 헤드(21)의 후퇴 스트로크 분만큼 권취된다. 이 몰입 조작 시의 전사 테이프(T)의 권취에 대해서, 도 6의 (a), (b)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6의 (a)는, 도막 전사구(10)의 사용 시(즉, 전사 헤드(21)의 돌출 상태)를 나타낸다. 도막 전사구(10)를 사용한 후, 출몰 조작부(7)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부재(71)를 통하여 전사 헤드 유닛(20)도 후방 이동이 개시된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부(22)의 슬라이드 본체부(22a)에 있어서의 제1 접촉부(22a1)가 중간 기어(31)의 접촉 돌출부(31b)의 전방 테두리면에 접촉한다. 제1 접촉부(22a1)의 접촉 돌출부(31b)의 전방 테두리면에의 접촉은, 요동축(31c, 31d)보다도 하방에 걸쳐 있으므로, 중간 기어(31)는, 랙부(31a)가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에 접근하는 방향(도 6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방향)으로 요동축(31c, 31d) 주위로 요동한다. 중간 기어(31)가 요동하면, 랙부(31a)와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는 맞물린다. 그리고, 출몰 조작부(7)가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면, 랙부(31a)도 후방으로 이동하고,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가 회전한다.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가 회전하여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이 회전하면, 클러치 기구(4)를 통하여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도 회전한다.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이 회전하면, 공급 보빈(82)이 회전하여, 전사 헤드(21)의 후퇴와 연동하여, 즉, 전사 헤드 유닛(20)의 후퇴와 연동하여, 후퇴한 분만큼의 전사 테이프(T)를 권취한다. 이때, 권취 보빈(83)은 역회전 방지 기구(6)에 의해 역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이때, 구동 클러치 기구(8)가 작동하므로,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는 회전하지 않고,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과 공급 보빈 전달 기어(36)는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전사 헤드(21)의 돌출 조작 시의 중간 기어(31)의 동작은 이하와 같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헤드(21)가 몰입된 도막 전사구(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출몰 조작부(7)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슬라이드 부재(71)를 통하여 전사 헤드 유닛(20)도 전방으로의 이동이 개시된다. 그렇게 하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부(24)의 제2 접촉부(24c)(보다 상세하게는, 제2 접촉부(24c)의 모서리부(24c1))가 접촉 돌출부(31b)의 후방측 테두리면에 접촉한다. 제2 접촉부(24c)의 접촉 돌출부(31b)의 후방측 테두리면에의 접촉 부위는, 요동축(31c, 31d)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중간 기어(31)는,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와 랙부(31a)가 이격하는 방향(도 7의 (b)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요동축(31c, 31d) 주위로 요동한다. 도 7의 (b)의 상태에서 출몰 조작부(7)를 전방으로 계속해서 이동시키면,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와 랙부(31a)의 맞물림은 해제되어 있으므로, 전사 롤러(21a)에 의해 당겨진 전사 테이프(T)는 공급 보빈(82)으로부터 송출된다.
또한, 이때, 중간 기어(31)의 돌출부(31e)는, 갈고리 형상부(24)의 경사부(24b)에 접촉되므로, 중간 기어(31)의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와 랙부(31a)가 이격하는 방향의 요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중간 기어(31)의 요동 스트로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중간 기어(31)의 응답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와 랙부(31a)는 래칫 기어로 형성되므로, 전사 헤드(21)의 돌출 시에 있어서의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와 랙부(31a)의 맞물림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기어(31)의 요동축(31c, 31d)은, 전후로 긴 가이드부(9)(좌측 요동축 가이드 구멍(33a), 우측 요동축 가이드 홈(52n))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요동축(31c, 31d)의 지지와 중간 기어(31)의 가이드를 겸비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사 헤드(21)의 몰입 시에 있어서의 전사 테이프(T)의 권취를, 전사 헤드 유닛(20)의 후퇴와 동조하는 중간 기어(31)의 랙부(31a) 및 공급 보빈(82)과 회전 연결하는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에 의해 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중간 기어(31)나 전사 헤드 유닛(20)의 슬라이드부(22)를 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인 구성의 도막 전사구(10)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막 전사구(10)는, 케이스 본체(5)측에 전사 헤드(21)나 회전 연결 기구(3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교환 후 폐기되는 리필(80)에 탑재되는 부품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낭비가 없는 도막 전사구(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사 테이프(T)의 되감기 시에는, 클러치 기구(4)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공급 보빈(82)의 1회전당 전사 테이프(T)의 되감기량은, 공급 보빈(82)에 권취 장착되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T)의 잔량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공급 보빈(82)에 권취 장착되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T)의 잔량이 많은 경우(즉, 공급 보빈(82)에 있어서의 전사 테이프(T)의 외경이 큰 경우)에는, 적은 경우(즉, 공급 보빈(82)에 있어서의 전사 테이프(T)의 외경이 작은 경우)보다도 되감기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과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 사이에 클러치 기구(4)를 구비함으로써, 공급 보빈(82)에 권취 장착되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T)의 잔량에 관계없이, 공급 보빈(82)의 되감기량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급 보빈(82)에 권취 장착되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T)의 잔량에 관계없이, 전사 헤드(21)의 출몰 조작을 행해도, 항상 미사용 전사 테이프(T)의 도막의 절취선을 전사 롤러(21a)에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사 헤드(21)의 후퇴 스트로크가 10mm일 경우에는,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 및 랙부(31a)의 잇수의 설정을, 공급 보빈(82)이 전사 테이프(T)를 권취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전사 테이프(T)를 10mm 되감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공급 보빈(82)에 있어서의 전사 테이프(T)의 외경이 가장 작은 상태에 있어서의 공급 보빈(82)의 되감기량이 10mm로 되도록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32a) 및 랙부(31a)의 잇수를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공급 보빈(82)에 미사용 전사 테이프(T)가 많이 권취 장착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15mm 되감아버리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라도, 중간 기어(31)(랙부(31a))의 후방으로의 이동 중에, 권취 보빈 구동축(35)의 역회전 방지 기구(6)에 의해 전사 테이프(T)에 장력이 걸려서 클러치 기구(4)가 작동하여, 적절히 공급 보빈(82) 및 제1 공급 보빈 구동축(37)에 대하여 제2 공급 보빈 구동축(32)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 보빈(82)의 되감기량은 10mm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급 보빈(82)에 권취 장착되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T)의 잔량에 관계없이, 전사 테이프(T)의 되감기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공급 보빈(82)에 권취 장착되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T)의 잔량에 관계없이, 항상 전사 테이프(T)의 도막의 절취선을 전사 롤러(21a)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막 전사구(10)는, 전사 테이프(T)로서 수정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풀테이프 등의 다양한 도막 전사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기어(31)를, 대략 L자형의 판 형상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부터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전사 헤드 유닛(20)의 전후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기어 등, 다양한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4)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통 형상의 축부 내에 타측의 축이 삽입되는 형식이라면 간단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지만, 마찰판이나 별도로 형성한 탄성 부재를 바짝 대는 등의 다른 형식의 클러치 기구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미사용 부분의 전사 테이프의 절취선을 고정밀도로 전사 헤드에 위치시킬 수 있는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3; 공급 보빈 구동축 4; 클러치 기구
5; 케이스 본체 5a; 힌지부
5e; 개구부 6; 역회전 방지 기구
7; 출몰 조작부 7a; 부재 걸림부
8; 구동 클러치 기구 9; 가이드부
10; 도막 전사구 20; 전사 헤드 유닛
21; 전사 헤드 21a; 전사 롤러
21b; 기초부 21c; 지지부
22; 슬라이드부 22a; 슬라이드 본체부
22a1; 제1 접촉부 22b; 슬라이드 결합부
22b1; 경사면 22b2; 평탄면
22b3; 단차면 22c; 슬라이드 결합부
22c1; 경사면 22c2; 평탄면
22c3; 단차면 22d; 접속 기초부
23; 접속부 23a; 바 홀더
24; 갈고리 형상부 24a; 팽출부
24b; 경사부 24c; 제2 접촉부
24c1; 모서리부 30; 회전 연결 기구
31; 중간 기어 31a; 랙부
31b; 접촉 돌출부 31c; 요동축
31d; 요동축 31e; 돌출부
32; 제2 공급 보빈 구동축 32a;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
32b; 플랜지부 32c; 통 형상 축부
32c1; 돌기 32c2; 압입 리브
32d; 환상 요철부 33; 기어 베이스
33a; 좌측 요동축 가이드 구멍 33a1; 걸림 돌기
33b; 공급측 구멍 33c; 기어 개구부
33d; 걸림 갈고리 보 33d1; 걸림 지지 갈고리
34; 전달 기어 35; 권취 보빈 구동축
35a; 래칫 기어부 35b; 권취 보빈 전달 기어부
35c; 권취 보빈 삽입 통부 35c1; 결합 리브
36; 공급 보빈 전달 기어 36a; 환상 오목부
36a1; 외주벽 37; 제1 공급 보빈 구동축
37a; 축부 37a1; 대경부
37a2; 소경부 37a3; 단차부
37b; 원호 형상 보 37c; 결합 리브
51; 좌측 케이스 51a; 걸림 구멍
5lb; 걸림 구멍 51c; 상면 절결부
51e; 좌측 개구부 51f; 돌기
51g; 돌기 52; 우측 케이스
52a; 걸림 돌기 52a1; 판 형상부
52b; 걸림 돌기 52b1; 판 형상부
52c; 상면 절결부 52e; 우측 개구부
52f; 돌기 52g; 돌기
52h; 유닛 가이드 52h1; 상부 유닛 가이드
52h1a; 후방 모서리부 52h1b; 평탄부
52h1c; 전방 단부면 52h2; 하부 유닛 가이드
52h2a; 후방 모서리부 52h2b; 평탄부
52h2c; 전방 단부면 52i; 긴 구멍
52j; 가이드 홈 52k; 공급측 지지축
52l; 권취측 지지축 52m; 전달 기어 지지축
52n; 우측 요동축 가이드 홈 71; 슬라이드 부재
71a; 가압부 7lb; 가압부
71c; 쿠션 바 71d; 유닛 결합부
71e; 결합 구멍 80; 리필
81; 리필 케이스 81a; 돌기
8lb; 지지 플레이트 8lb1; 테이프 가이드
81c; 지지 플레이트 81c1; 테이프 가이드
82; 공급 보빈 82a; 결합 리브
83; 권취 보빈 83a; 결합 리브

Claims (3)

  1. 미사용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공급 보빈을 구동하고,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가 설치되는 공급 보빈 구동축과,
    사용한 상기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권취 보빈을 구동하는 권취 보빈 구동축과,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와,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과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을 회전 연결하는 회전 연결 기구와,
    전사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사 헤드가 케이스 본체 내에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사 헤드 유닛과,
    상기 전사 헤드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전사 헤드의 몰입 시에는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사 헤드의 돌출 시에는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중간 기어와,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 기어부로부터의 회전력을 접속 및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은, 통 형상의 축부를 구비하는 제1 공급 보빈 구동축과, 축부를 구비하는 제2 공급 보빈 구동축을 갖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제1 공급 보빈 구동축의 축부 내에 상기 제2 공급 보빈 구동축의 축부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필 교환식 도막 전사구이며,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도막 전사구의 본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KR1020170136325A 2016-11-15 2017-10-20 도막 전사구 KR102425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2584 2016-11-15
JP2016222584A JP6916508B2 (ja) 2016-11-15 2016-11-15 塗膜転写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435A true KR20180054435A (ko) 2018-05-24
KR102425809B1 KR102425809B1 (ko) 2022-07-28

Family

ID=6215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325A KR102425809B1 (ko) 2016-11-15 2017-10-20 도막 전사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16508B2 (ko)
KR (1) KR102425809B1 (ko)
CN (1) CN108068446B (ko)
HK (1) HK1248654A1 (ko)
TW (1) TWI725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3517A (zh) * 2020-04-06 2020-07-28 李娜娜 一种检验科标本试管用离型纸胶带处理装置的预调节方法
TWI788984B (zh) * 2021-08-31 2023-01-01 昶邑國際有限公司 便於更換填充帶之薄膜塗抹器改良
TWI798134B (zh) * 2021-08-31 2023-04-01 昶邑國際有限公司 便於更換填充帶之薄膜塗抹器改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562A (ja) * 1995-10-06 1997-04-22 Seed Gomme Kogyo Kk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KR20110058656A (ko) * 2009-11-26 2011-06-01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도포막 전사구
KR101196952B1 (ko) * 2005-11-21 2012-11-05 플러스 스테이셔너리 가부시키가이샤 도포막 전사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2141B2 (ja) * 1999-05-28 2005-02-2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における軸着構造
KR100319225B1 (ko) * 1999-11-08 2002-01-05 최환섭 수정테이프용 홀더
JP4617430B2 (ja) * 2005-03-04 2011-01-26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2008087257A (ja) * 2006-09-29 2008-04-17 Tombow Pencil Co Ltd 塗膜転写具
JP5103201B2 (ja) * 2008-01-18 2012-12-19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5164582B2 (ja) * 2008-01-18 2013-03-2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CN101596822B (zh) * 2008-06-03 2011-05-25 顺德工业股份有限公司 收藏式修正带
JP5747143B2 (ja) * 2009-12-08 2015-07-08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5528843B2 (ja) * 2010-02-12 2014-06-25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US8397784B2 (en) *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578999B2 (en) *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JP6083171B2 (ja) * 2012-09-24 2017-02-22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その転写具に係わるリフィル及び転写具セット
JP2020062849A (ja) * 2018-10-19 2020-04-23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562A (ja) * 1995-10-06 1997-04-22 Seed Gomme Kogyo Kk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KR101196952B1 (ko) * 2005-11-21 2012-11-05 플러스 스테이셔너리 가부시키가이샤 도포막 전사구
KR20110058656A (ko) * 2009-11-26 2011-06-01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도포막 전사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9208A (zh) 2018-06-01
TWI725245B (zh) 2021-04-21
CN108068446B (zh) 2021-02-09
CN108068446A (zh) 2018-05-25
HK1248654A1 (zh) 2018-10-19
KR102425809B1 (ko) 2022-07-28
JP2018079605A (ja) 2018-05-24
JP6916508B2 (ja)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435A (ko) 도막 전사구
KR100733053B1 (ko) 광섬유 커넥터용 클리너
JPS60176791A (ja) レタリング装置にテ−プおよびリボンを供給するためのカ−トリツジ
US4614448A (en) Ribbon cassette cam means to selectively separate ink ribbon feed and pinch rollers
EP1296167A2 (en) Cleaning tool for optical connector
JP6829459B2 (ja) 塗膜転写具
JP3056909B2 (ja) 写真フイルム用スプール
WO2003072366A1 (fr) Bobine d'enroulement pour un ruban encreur d'une imprimante a transfert thermique, cassette de ruban d'encre et mecanisme de support de cassette de ruban d'encre
JP4997535B2 (ja) 転写具
JPH0224186A (ja) タイプライターの修正リボン用カートリッジ
WO2011070937A1 (ja) 転写具
WO2023276952A1 (ja) 光ファイバカッタ
JP2002191884A (ja) ミシン
US11040554B2 (en) Printer including first link, second link, and connection member for moving platen holder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operation member
JP7403582B2 (ja) 光コネクタ用清掃具
JP4934836B2 (ja) 転写具
JP5011553B2 (ja) 転写具
CN116669968A (zh) 转印件
JPS60166481A (ja) テ−プおよびリボンをレタリング装置へ供給するためのカ−トリツジ
JP2002191886A (ja) ミシン
JP2004148837A (ja) 塗布膜転写具
JP2002191882A (ja) 上糸カセット
JP2002253886A (ja) ミシン
JP4934837B2 (ja) 転写体装填補助具
JP2005132513A (ja) 給紙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