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065A -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065A
KR20110058065A KR1020090114723A KR20090114723A KR20110058065A KR 20110058065 A KR20110058065 A KR 20110058065A KR 1020090114723 A KR1020090114723 A KR 1020090114723A KR 20090114723 A KR20090114723 A KR 20090114723A KR 20110058065 A KR20110058065 A KR 2011005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grommet
mounting
vehic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507B1 (ko
Inventor
최호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507B1/ko
Priority to US12/707,394 priority patent/US20110123263A1/en
Priority to JP2010033537A priority patent/JP2011111154A/ja
Priority to CN2010101600688A priority patent/CN102069853A/zh
Priority to DE102010016365A priority patent/DE102010016365A1/de
Publication of KR2011005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9Redundant disconnection b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크래쉬 패드(C/PAD)의 래틀 이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그로메트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는 그로메트(105)의 접속부(106)가 노화되면서 영구 변형이 발생되어 접속부(106)와 스텃 볼트(102)의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어 주행시 래틀 이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종래의 마운팅 셀프 클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는 노즐 덕트 일체형 마운팅 셀프 클립(202)이 크래쉬 패드(203)에 진동 융착 되므로 성형장비가 구비된 생산업체와 조건에서만 일부 차종에만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이 역시 노화되면서 영구 변형이 발생되어 래틀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크래쉬 패드에 삽입 결합되는 그로메트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를 마련하고, 크래쉬 패드 연결부의 하부에 차체 카울 판넬에 설치된 마운팅 플랜지에 삽입 접속되는 마운팅 셀프 클립을 마련하며, 마운팅 셀프 클립의 중앙 상부에 차체 카울 판넬에 설치된 스텃 볼트에 삽입 접속되는 스텃 볼트 접속부를 마련하는 것, 그리고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측면 및 마운팅 셀프 클립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을 형성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그로메트의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측면 및 마운팅 셀프 클립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이 형성되어 크래쉬 패드의 래틀 이음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거의 모든 차종에 그로메트를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 고, 별도의 탭핑 스크류나 부직 패드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소요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어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크래쉬 패드, 래틀 이음, 그로메트, 카울 판넬, 스텃 볼트, 마운팅 플랜지, 소프트 계열 합성수지층

Description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a clash pad rattle noise reduc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크래쉬 패드(C/PAD)의 래틀 이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그로메트의 차체 접속부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래틀 이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크래쉬 패드에 그로메트를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전차종에 걸쳐 동일한 그로메트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는 노즐 덕트 일체형 마운팅 셀프 클립 방식(Mounting Shelf Clip Type)이나 그로메트 방식(Grommet Type)으로 조립된다.
도 1에는 종래의 그로메트 조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의 크래쉬 패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종래의 그로메트 조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동 종래의 그로메트 조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 적용되는 그로메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그로메트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는 차체의 카울 판넬(101)에 용접된 스텃 볼트(102)에 크래쉬 패드(103)에 탭핑 스크류(104)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그로메트(105)의 접속부(106)를 삽입 결합하는 것으로, 그로메트(105)의 접속부(106)가 노화되면서 영구 변형이 발생되어 접속부(106)와 스텃 볼트(102)의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어 주행시 래틀 이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도 3과 같이 그로메트(105)의 접속부(106)에 다수의 이음 방지용 패드(107)를 적용하기도 하였지만 크래쉬 패드(103)의 래틀 이음을 저감하기가 어렵게 됨은 물론 소요 부품이 많아 원가 상승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4에는 종래의 마운팅 셀프 클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마운팅 셀프 클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는 차체의 카울 판넬의 마운팅 셀프 플랜지(201)에 삽입 접속되는 노즐 덕트 일체형 마운팅 셀프 클립(202)이 크래쉬 패드(203)에 마련된 것으로, 노즐 덕트 일체형 마운팅 셀프 클립(202)이 크래쉬 패드(203)에 진동 융착 되므로 성형장비가 구비된 생산업체와 조건에서만 일부 차종에만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이 역시 노화되면서 영구 변형이 발생되어 래틀 이음이 발생된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63960호에는 크래쉬 패드 조립시(비 모듈 방식) 차체 카울 사이드 판넬의 양 끝단 폭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조건에서 카울 크 로스바의 좌측은 슬롯홀을 적용하고 우측은 정홀을 적용하여 크래쉬 패드 조립 후 크래쉬 패드의 양 끝단부와 카울 사이드 판넬간 갭을 균일하게 적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5-309154호에는 크래쉬 패드 상단 끝단부에 적용된 핀이 차체에 적용되어 있는 별도 브라켓트와 그 브라켓트에 적용된 구멍을 통해 1차적으로 조립되고 난 이후에 카울 크로스 바에 적용된 별도 브라켓트와 그 브라켓트에 적용된 너트와 이후 조립되는 크래쉬 패드에 구성된 구멍을 통하여 볼트를 2차적으로 조립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공개 기술은 크래쉬 패드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거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크래쉬 패드의 이음을 저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그로메트를 통해 크래쉬 패드의 래틀 이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크래쉬 패드에 그로메트를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허고 전차종에 걸쳐 그로메트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는 크래쉬 패드에 삽입 결합되는 그로메트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를 마련하고, 크래쉬 패드 연결부의 하부에 차체 카울 판넬에 설치된 마운팅 플랜지에 삽입 접속되는 마운팅 셀프 클립을 마련하며, 마운팅 셀프 클립의 중앙 상부에 차체 카울 판넬에 설치된 스텃 볼트에 삽입 접속되는 스텃 볼트 접속부를 마련하는 것, 그리고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측면 및 마운팅 셀프 클립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을 형성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는 크래쉬 패드 연결부의 하부에 차체 카울 판넬의 마운팅 플랜지에 삽입 접속되는 마운팅 셀프 클립이 마련되고, 마운팅 셀프 클립의 중앙 상부에 차체 카울 판넬에 설치된 스텃 볼트에 삽입 접속되는 스텃 볼트 접속부가 마련되는 형태의 그로메트가 구비되고; 상기 그로메트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가 크래쉬 패드의 삽입구멍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며; 차체 카울 판넬에 고정된 스텃 볼트 또는 마운팅 플랜지에 상기 그로메트의 스텃 볼트 접속부 또는 마운팅 셀프 클립을 마운팅 플랜지에 삽입 결합하여 크래쉬 패드를 차체에 조립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로메트의 마운팅 셀프 클립의 내측면 및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이 마련되며, 상기 그로메트는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PPF(Polypropylene Mineral Filled)를 기본 재질로 하고, 차체에 고정 설치된 스텃 볼트 및 마운팅 플레이트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인 마운팅 셀프 클 립의 내측면 및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TPO(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층을 인써트 공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로메트의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탄성접촉돌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탄성접촉돌기의 텐션 오버 랩(Tension Over Lap)은 0.3~0.8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크래쉬 패드의 연결구멍을 장방형으로 구성하고, 그로메트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를 각 외측면이 볼록한 장방형으로 구성하여 선접촉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이 때 크래쉬 패드 연결부의 각 접촉면의 텐션 오버 랩은 0.5~1.5mm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그로메트의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측면 및 마운팅 셀프 클립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이 형성되어 크래쉬 패드의 래틀 이음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거의 모든 차종에 그로메트를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탭핑 스크류나 부직 패드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소요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어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그로메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동 실시예의 크래쉬 패드 장착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는 크래쉬 패드 연결부(301)의 하부에 차체 카울 판넬(400)에 설치된 마운팅 플랜지(402)에 삽입 접속되는 마운팅 셀프 클립(302)이 마련되고, 마운팅 셀프 클립(302)의 중앙 상부에 차체 카울 판넬(400)에 설치된 스텃 볼트(403)에 삽입 접속되는 스텃 볼트 접속부(303)가 마련되는 형태의 그로메트(3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로메트(300)의 마운팅 셀프 클립(302)의 내측면 및 스텃 볼트 접속부(303)의 내측면에는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P)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서 사용되는 그로메트(300)는 강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를 기본 재질로 하고, 차체에 고정 설치된 스텃 볼트(403) 및 마운팅 플레이트(402)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인 마운팅 셀프 클립(302)의 내측면 및 스텃 볼트 접속부(303)의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P)을 인써트 공법으로 형성하여 래틀 이음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강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PPF(Polypropylene Mineral Filled)를 사용할 수 있고,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는 올레핀계 엘라스토 머인 TPO(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만으로 그로메트(300)를 제작하는 경우 크래쉬 패드(500)와 차체 사이의 체결강도를 유지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서 사용되는 그로메트(300)의 경우 기본 재질이 PPF 등의 강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이므로 크래쉬 패드(500)와 차체간 체결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그로메트(300)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301)가 크래쉬 패드(500)의 삽입구멍(501)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고, 크래쉬 패드(500)에 고정 설치된 그로메트(300)를 통해 크래쉬 패드(500)를 차체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며, 차체 카울 판넬(400)에 스텃 볼트(403)가 설치된 차량의 경우 그로메트(300)의 스텃 볼트 접속부(303)를 스텃 볼트(403)에 삽입 결합하고, 차체 카울 판넬(400)에 마운팅 플랜지(402)가 설치된 차량의 경우 그로메트(300)의 마운팅 셀프 클립(302)을 마운팅 플랜지(402)에 삽입 결합하여 크래쉬 패드(500)를 차체에 조립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는 거의 대부분의 차량에 그로메트(300)를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동 실시예의 그로메트의 스텃 볼트 접속부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서 그로메트(300)의 스텃 볼트 접속부(303)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탄성접촉돌기(304)를 형성하는 경우 그로메트(3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스텃 볼트(403)와 접속할 수 있게 되며, 이 때 탄성접촉돌기(304)의 텐션 오버 랩(Tension Over Lap) 'a'는 0.3~0.8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mm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동 다른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는 크래쉬 패드(500)의 연결구멍(501)을 장방형으로 구성하고, 그로메트(300)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301)를 각 외측면이 볼록한 장방형으로 구성하여 선접촉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한 것으로, 이 다른 실시예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301)의 각 접촉면의 텐션 오버 랩은 0.5~1.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mm정도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그로메트 조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장치의 크래쉬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동 종래의 그로메트 조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동 종래의 그로메트 조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에 적용되는 그로메트의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마운팅 셀프 클립 방식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그로메트의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크래쉬 패드 장착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그로메트의 스텃 볼트 접속부위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동 다른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0 : 그로메트
301 : 크래쉬 패드 연결부
302 : 마운팅 셀프 클립
303 : 스텃 볼트 접속부
304 : 탄성접촉돌기
400 : 카울 판넬
402 : 마운팅 플랜지
403 : 스텃 볼트
500 : 크래쉬 패드
501 : 연결구멍
P : 소프트 계열 합성수지층

Claims (7)

  1. 크래쉬 패드 연결부의 하부에 차체 카울 판넬의 마운팅 플랜지에 삽입 접속되는 마운팅 셀프 클립이 마련되고, 마운팅 셀프 클립의 중앙 상부에 차체 카울 판넬에 설치된 스텃 볼트에 삽입 접속되는 스텃 볼트 접속부가 마련되는 형태의 그로메트가 구비되고; 상기 그로메트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가 크래쉬 패드의 삽입구멍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되며; 차체 카울 판넬에 고정된 스텃 볼트 또는 마운팅 플랜지에 상기 그로메트의 스텃 볼트 접속부 또는 마운팅 셀프 클립을 마운팅 플랜지에 삽입 결합하여 크래쉬 패드를 차체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메트의 마운팅 셀프 클립의 내측면 및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합성수지층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그로메트는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PPF(Polypropylene Mineral Filled)를 기본 재질로 하고, 차체에 고정 설치된 스텃 볼트 및 마운팅 플레이트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인 마운팅 셀프 클립의 내측면 및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측면에 소프트 계열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TPO(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층을 인써트 공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로메트의 스텃 볼트 접속부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탄성접촉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돌기의 텐션 오버 랩(Tension Over Lap)은 0.3~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크래쉬 패드의 연결구멍을 장방형으로 구성하고, 그로메트의 크래쉬 패드 연결부를 각 외측면이 볼록한 장방형으로 구성하여 선접촉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크래쉬 패드 연결부의 각 접촉면의 텐션 오버 랩은 0.5~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KR1020090114723A 2009-11-25 2009-11-25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KR10114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723A KR101144507B1 (ko) 2009-11-25 2009-11-25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US12/707,394 US20110123263A1 (en) 2009-11-25 2010-02-17 Device for Fastening Clash Pad to Vehicle
JP2010033537A JP2011111154A (ja) 2009-11-25 2010-02-18 車両のクラッシュパッド接続装置
CN2010101600688A CN102069853A (zh) 2009-11-25 2010-04-01 使碰撞衬垫固定至车辆的装置
DE102010016365A DE102010016365A1 (de) 2009-11-25 2010-04-08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Armaturenbrettes an einem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723A KR101144507B1 (ko) 2009-11-25 2009-11-25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065A true KR20110058065A (ko) 2011-06-01
KR101144507B1 KR101144507B1 (ko) 2012-05-11

Family

ID=4390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723A KR101144507B1 (ko) 2009-11-25 2009-11-25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23263A1 (ko)
JP (1) JP2011111154A (ko)
KR (1) KR101144507B1 (ko)
CN (1) CN102069853A (ko)
DE (1) DE102010016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2307B2 (ja) * 2013-04-02 2017-01-1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部品合わせ部構造
DE102014000599A1 (de) * 2014-01-16 2015-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Einrichtung zum Verbinden einer Instrumententafel mit einer Frontwandung bei einem Kraftfahrzeug
KR101953460B1 (ko) 2017-03-21 2019-02-28 주식회사 코미팜 신규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리스 균주의 방어 혈청형을 포함하는 강도다리 세균성 질병 예방용 불활성화 백신의 제조방법 및 투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4858U (ko) * 1987-01-22 1988-07-23
JPH0563980A (ja) 1991-09-02 1993-03-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7309154A (ja) 1994-05-20 1995-11-28 Aichi Mach Ind Co Ltd インストルーメントパネルの固定構造
JPH09156431A (ja) * 1995-12-12 1997-06-17 Toyota Auto Body Co Ltd ダッシュサイレンサの取付け構造
JPH1182460A (ja) * 1997-09-08 1999-03-26 Nifco Inc ナット回転止め用キャップ
KR100476751B1 (ko) * 2002-07-16 2005-03-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KR100482663B1 (ko) * 2002-09-26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모듈 장착을 위한 가이드 구조
RU2340503C2 (ru) * 2003-02-13 2008-12-10 Дау Гло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узел приборного щит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4385287B2 (ja) * 2004-03-05 2009-12-16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JP4233506B2 (ja) * 2004-09-15 2009-03-04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取付装置
KR101011978B1 (ko) 2008-04-30 2011-01-31 김갑용 퍼스링
JP5071804B2 (ja) * 2008-05-09 2012-11-14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前端部組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69853A (zh) 2011-05-25
DE102010016365A1 (de) 2011-05-26
JP2011111154A (ja) 2011-06-09
KR101144507B1 (ko) 2012-05-11
US20110123263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23927A (ja) 車両用バンパービーム
JP5753169B2 (ja) 導電性フローティング式パイプ組付クリップ
US9004415B2 (en) Clamp
JP6399383B2 (ja) 防振クランプ
KR101144507B1 (ko)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CN111845289A (zh) 车门结构及车辆
KR20190074526A (ko) 회전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밴드 케이블을 이용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장치
CN103043108A (zh) 汽车的立柱结构
KR101629831B1 (ko)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CN108515926B (zh) 一种车身亮条总成及汽车
JP5985413B2 (ja) ピラーの補強装置
US20120292123A1 (en) Splash cover mounting structure
JP4124282B2 (ja) 自動車用ルームランプ装置の取付構造
KR100207215B1 (ko) 차량의 트림 고정용 클립
JP3610800B2 (ja) フロントフェンダー内遮音材取付構造
JPH0710037A (ja) カウルルーバトップ
JP4638067B2 (ja) 自動車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KR102624755B1 (ko) 자동차용 내,외장 사출품의 조립 체결용 후크 구조
CN106080200B (zh) 一种副仪表板中部固定支架
FR3110520B1 (fr) Dispositif de fixation sur un support latéral de pare-chocs avant pour un élément filaire flexible
JP2011094745A (ja) クランプ
JP3651375B2 (ja) フェンダとバンパーとの結合構造
FR2855478B1 (fr) Composant d&#39;equipement de vehicule automobile a points de fixation amortisseur de vibrations
CN117712943A (zh) 一种防水卡扣、线束固定装置及车辆
JP2002195457A (ja) 配管の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