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751B1 -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751B1
KR100476751B1 KR10-2002-0041438A KR20020041438A KR100476751B1 KR 100476751 B1 KR100476751 B1 KR 100476751B1 KR 20020041438 A KR20020041438 A KR 20020041438A KR 100476751 B1 KR100476751 B1 KR 100476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 pad
fixed
pad
vehicle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865A (ko
Inventor
이광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7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Abstract

본 발명은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방법으로 크러쉬 패드를 고정할 경우 별도의 고정용 부품을 사용해야 하고 작업 공정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실내 전면 운전석 및 조수석에 걸쳐 형성되는 차량의 크러쉬 패드에 있어서, 크러쉬 패드(10)의 하부면에 凹 형태의 홈(15)이 형성되고, 디프로스터용 덕트(20)의 상부에는 상기 홈(15)에 끼워질수 있도록 凸 형태의 삽입구(25)가 형성되며, 디프로스터 덕트(20)의 전단부에는 2개의 고정암(30)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고정암(30)은 서로 근접하여 형성되어 차체 브라켓(40)이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A crash pad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크러쉬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러쉬 패드를 조립한 후 크러쉬 패드의 앞부분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러쉬 패드의앞부분이 디프로스터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하여 크러쉬 패드의 조립 공정을 줄이도록 하는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crash pad)는 자동차의 실내 전면 운전석 및 조수석에 걸쳐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크러쉬 패드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상세도면으로서, 크러쉬 패드(1)의 전단 하부에 고정용 핀(2)이 설치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대쉬 보드 상단부에는 차체 브라켓(3)이 설치되어 있고, 차체 브라켓(3)에는 그로메트(4)가 부착되어 있어, 고정용 핀(2)은 상기 그로메트(4)와 결합되어 크러쉬 패드가 고정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5는 윈드 실드 글라스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러쉬 패드의 전단부는 차량의 윈도우 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차량의 대쉬 보드와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차량의 주행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크러쉬 패드의 전단부에서는 떨림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러쉬 패드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고정용 핀과 차체 브라켓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 요소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 작업 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크러쉬 패드의 조립시 크러쉬 패드의 고정을 위해 사용하는 구성 요소의 갯수를 줄이고 전체 작업 공정수를 줄이고 크러쉬 패드의 떨림 현상이 감소되도록 하는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크러쉬 패드와 디프로스터용 덕트의 고정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A 선단면도로서, 크러쉬 패드(10)의 하부면에 凹 형태의 홈(15)이 형성되고, 디프로스터용 덕트(20)의 상부에는 상기 홈(15)에 끼워질수 있도록 凸 형태의 삽입구(25)가 형성되어 있고, 디프로스터 덕트(20)의 전단부에는 2개의 고정암(30)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고정암(30)은 서로 근접하여 형성되어 차체 브라켓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러쉬 패드(10)가 디프로스터용 덕트(20)에 고정된 후, 크러쉬 패드(10)와 윈드실드 글라스(5)의 사이에는 밀봉용 스폰지(5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프로스터(defroster)는 유리창에 성에가 끼면 히터를 이용하여 습기를 제거시키고 유리 내에 전기 저항선을 삽입하여 유리창을 따뜻하게 하며, 안쪽이나 바깥에 서리와 얼음을 녹이는 장치로서, 윈드 실드와 사이드 윈드에는 온풍식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윈드 실드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디프로스터용 덕트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디프로스터용 덕트의 상부에 크러쉬 패드를 부착시켜 크러쉬 패드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에는 디프로스터용 덕트의 일실시예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crash pad)는 자동차의 실내 전면 운전석 및 조수석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프로스터용 덕트(20)의 전단부에 2개의 고정암(30)을 각각 돌출 형성시킨다. 이때 고정암(30)은 서로 근접되어 있는 상태로 형성되고, 각각 상하로 배열되어 있어, 상기 고정암(30)의 사이로 차체 브라켓(40)의 단부가 삽입되어 디프로스터용 덕트(20)가 고정된다.
또한, 디프로스터용 덕트(20)의 상부에는 凸 형태의 삽입구(25)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크러쉬 패드(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凹 형태의 홈(15)에 삽입구(25)가 삽입되도록 한다.
디프로스터용 덕트(2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크러쉬 패드(10)를 디프로스터용 덕트(20)의 상부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삽입구(25)와 홈(15)의 위치를 맞추어 서로 끼워지게 함으로서, 크러쉬 패드(10)가 디프로스터용 덕트(2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크러쉬 패드(10)의 전단부와 윈드 실드 글라스(5) 사이에는 밀봉용 스폰지(50)를 고정하여, 크러쉬 패드(10)와 윈드 실드 글라스(5)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통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크러쉬 패드를 고정함에 있어 디프로스터용 덕트의 앞부분에 고정 구조를 형성시켜 차량 브라켓과 결합되도록 한 후 디프로스터용 덕트의 상부면에 크러쉬 패드와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형성시켜 크러쉬 패드와 디프로스터용 덕트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크러쉬 패드의 고정시 별도의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의 절감을 얻을 수 있고, 전체 작업 공정이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크러쉬 패드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상세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크러쉬 패드와 디프로스터용 덕트의 고정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크러쉬 패드 20 : 디프로스터용 덕트
30 : 고정암 40 : 차체 브라켓
50 : 밀봉용 스폰지

Claims (2)

  1. 자동차의 실내 전면 운전석 및 조수석에 걸쳐 형성되는 차량의 크러쉬 패드에 있어서, 크러쉬 패드(10)의 하부면에 凹 형태의 홈(15)이 형성되고, 디프로스터용 덕트(20)의 상부에는 상기 홈(15)에 끼워질수 있도록 凸 형태의 삽입구(25)가 형성되며, 디프로스터 덕트(20)의 전단부에는 2개의 고정암(30)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고정암(30)은 서로 근접하여 형성되어 차체 브라켓(40)이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크러쉬 패드(10)와 윈드실드 글라스(5)의 사이에는 밀봉용 스폰지(50)를 추가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KR10-2002-0041438A 2002-07-16 2002-07-16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KR100476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38A KR100476751B1 (ko) 2002-07-16 2002-07-16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38A KR100476751B1 (ko) 2002-07-16 2002-07-16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865A KR20040006865A (ko) 2004-01-24
KR100476751B1 true KR100476751B1 (ko) 2005-03-16

Family

ID=3731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438A KR100476751B1 (ko) 2002-07-16 2002-07-16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507B1 (ko) * 2009-11-25 2012-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KR20200000963A (ko) 2018-06-26 2020-01-06 정세훈 베네시안 블라인드의 가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507B1 (ko) * 2009-11-25 2012-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래쉬 패드 접속 장치
KR20200000963A (ko) 2018-06-26 2020-01-06 정세훈 베네시안 블라인드의 가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865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2725A (ja) 端縁が被包されたガラス窓モジュ−ル
EP1162127A3 (en) Automotive dash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0476751B1 (ko)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JP2006062474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JPH0347928Y2 (ko)
KR20190052499A (ko) 자동차의 후드스트립 장착 구조
KR100457092B1 (ko) 자동차의 프론트 가니쉬 취부구조
JPH08109910A (ja) 自動車用成形天井のブラケット取付構造
KR0139099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져 리테이너
KR19980047768A (ko) 이중 회동구조를 갖는 자동차 엔진 후드의 엠블럼
KR20014628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커버와 디플레이터의 체결구조
KR19990041323A (ko) 자동차의 카울 마운팅용 몰딩구조
JPH10278747A (ja) 車両用ウインドの配線構造
JPH0417387Y2 (ko)
JP2005067375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の水切り構造
KR960005082Y1 (ko) 자동차용 윈드 쉬일드 글래스모울딩(wind shield glass moulding of a car)
KR19980037147U (ko) 필라 내장형 뒷 유리 열선의 콘넥트연결 구조
KR200162099Y1 (ko) 자동차 후방 주시 미러 조립체의 물방울 제거구조
KR20020044026A (ko) 인사이드 미러와 레인센서 커버의 결합구조
JPS58112828A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RU12095U1 (ru) Панель прибор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9980038552U (ko) 자동차의 디프로스트그릴 장착구조
KR0140006B1 (ko) 자동차의 디프로스터 덕트
KR19990018015A (ko)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KR100362409B1 (ko) 자동차의 와이퍼 동결 해제용 열선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