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015A -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 Google Patents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015A
KR19990018015A KR1019970041106A KR19970041106A KR19990018015A KR 19990018015 A KR19990018015 A KR 19990018015A KR 1019970041106 A KR1019970041106 A KR 1019970041106A KR 19970041106 A KR19970041106 A KR 19970041106A KR 19990018015 A KR19990018015 A KR 19990018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tay
mirror stay
vehic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015A/ko
Publication of KR1999001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015A/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의 중앙부 상단에 장착되는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와 미러 브라켓트와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그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미러 브라켓트와 미러 스테이의 훼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선단 상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소정 직경을 갖는 끼움공(50a)이 다수개 소정 깊이 요입되고,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끼움공(50a)과 직각 방향으로 소직경의 연결공(50b)이 등간격을 갖고 다수개 관통되는 미러 스테이(50)와, 상기 미러 스테이(50)의 연결공(50b)에 삽입되도록 소정 직경의 봉 형태를 갖는 탄성 스프링(52)과, 상기 미러 스테이(50)의 끼움공(50a)에 삽입되어 그 양측면에서 상기 연결공(50b)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52)의 탄성력을 받는 돌기부(54a)가 그 저면부에 다수개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트(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본 발명은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 중앙부 상단에 장착되는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와 미러 브라켓트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는 인너 미러(inner mirror) 또는 룸 미러(room mirror)라고도 하며 윈드실드 글래스의 중앙부 상단 또는 차종에 따라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중앙부 상단의 헤드라이닝부에 설치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실내의 관측은 물론, 후방에서 따라오는 타차량의 관측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소,중형 자동차에 있어서는 하우징 하부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여 야간에 차량의 운행시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빛의 반사를 막을 수 있도록 해주고, 고급 대형 자동차에 있어서는 ECM 룸 미러가 장착되어 후방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상기 ECM 룸 미러가 조절하여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운전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러 스테이를 윈드실드 글래스 상단부에 장착시킬 때, 그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브라켓트의 타측면에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선단부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는 바, 탈장착시 별도의 공구(드라이버등)을 사용하여 미러 스테이 선단부와 브라켓트를 탈장착 시키게 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미러 브라켓트는 물론 미러 스테이의 훼손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의 중앙부 상단에 장착되는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와 미러 브라켓트와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그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미러 브라켓트와 미러 스테이의 훼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선단 상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소정 직경을 갖는 끼움공이 다수개 소정 깊이 요입되고,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끼움공과 직각 방향으로 소직경의 연결공이 등간격을 갖고 다수개 관통되는 미러 스테이와, 상기 미러 스테이의 연결공에 삽입되도록 소정 직경의 봉 형태를 갖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미러 스테이의 끼움공에 삽입되어 그 양측면에서 상기 연결공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돌기부가 그 저면부에 다수개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분리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미러 스테이, 50a:끼움공,
50b:연결공, 52:탄성스프링,
54:브라켓트, 54a:돌기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분리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에 따른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는 그 선단 상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소정 직경을 갖는 끼움공(50a)이 다수개 소정 깊이 요입되고,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끼움공(50a)과 직각 방향으로 소직경의 연결공(50b)이 등간격을 갖고 다수개 관통되는 미러 스테이(50)와, 상기 미러 스테이(50)의 연결공(50b)에 삽입되도록 소정 직경의 봉 형태를 갖는 탄성 스프링(52)과, 상기 미러 스테이(50)의 끼움공(50a)에 삽입되어 그 양측면에서 상기 연결공(50b)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52)의 탄성력을 받는 돌기부(54a)가 그 저면부에 다수개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트(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 스프링(52)은 그 직경을 상기 연결공(50b)보다 다소 작게형성하여 탄성 스프링(52)이 연결공(50b)으로부터 쉽게 이탈이 되지 않고 상기 브라켓트(54)의 돌기부(54a) 양 측면 지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돌기부(54a)의 하단부는 그 직경을 다소 크게하여 상기 끼움공(50a) 내에서 양 측면의 연결공(50b) 사이에서 상기 돌기부(54a)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60은 미러, 70은 미러 하우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50)의 조립시, 미러 스테이(50)의 선단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연결공(50b)을 통하여 탄성 스프링(52)을 각각 끼우고, 윈드실드 글래스(80)의 상단 중앙부에서 그 일측면이 접착제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트(54)의 타측면에서 일체로 돌출된 상기 돌기부(54a)에 상기 미러 스테이(50)의 끼움공(50a)을 취부하면, 상기 브라켓트(54)는 그 저면에 형성된 돌기부(54a)가 상기 탄성 스프링(52)이 삽입되어 있는 연결공(50b)에 그 양측면 하단이 걸려져서 지지되며, 미러 스테이(50)를 브라켓트(54)로부터 탈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미러 스테이(50)의 선단부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브라켓트(54)의 돌기부(54a)가 미러 스테이(50) 상단의 끼움공(50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미러 스테이(50)가 브라켓트(54)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미러 스테이를 손쉽게 브라켓트에 탈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러 스테이는 물론, 브라켓트의 훼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그 선단 상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소정 직경을 갖는 끼움공(50a)이 다수개 소정 깊이 요입되고,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끼움공(50a)과 직각 방향으로 소직경의 연결공(50b)이 등간격을 갖고 다수개 관통되는 미러 스테이(50)와, 상기 미러 스테이(50)의 연결공(50b)에 삽입되도록 소정 직경의 봉 형태를 갖는 탄성 스프링(52)과, 상기 미러 스테이(50)의 끼움공(50a)에 삽입되어 그 양측면에서 상기 연결공(50b)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52)의 탄성력을 받는 돌기부(54a)가 그 저면부에 다수개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트(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KR1019970041106A 1997-08-26 1997-08-26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KR19990018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106A KR19990018015A (ko) 1997-08-26 1997-08-26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106A KR19990018015A (ko) 1997-08-26 1997-08-26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015A true KR19990018015A (ko) 1999-03-15

Family

ID=6604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106A KR19990018015A (ko) 1997-08-26 1997-08-26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661B1 (ko) * 1999-12-30 2006-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661B1 (ko) * 1999-12-30 2006-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34311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を連結する手段を備える自動車用ワイパー
US6986596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KR19990018015A (ko)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JP3636906B2 (ja) 自動車のランプ取付構造
KR0159356B1 (ko) 아웃사이드 미러에 설치된 보조미러의 착탈구조
KR19990018014A (ko) 자동차 인사이드 미러의 탈착장치
KR100439822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램프 체결구조
KR950005134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미러 홀더 플레이트 고정구조
KR100399125B1 (ko) 자동차의 어시스트 핸들 장착구조
KR19990026958A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용 인사이드 커버의 취부구조
KR0133482Y1 (ko) 아웃사이드미러의 커버패널
KR0139099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져 리테이너
JPH04143133A (ja) 車体組込型補助ストップランプ
KR19990018004A (ko) 자동차 인사이드 미러의 탈착장치
KR200153376Y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0130000Y1 (ko) 차량용 전방 컴비네이션램프구조
JP2509794Y2 (ja) ランプの取付構造
KR200160591Y1 (ko) 차량용 오디오 장착 구조
KR0131784Y1 (ko)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KR100200158B1 (ko)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결합구조
KR0137872Y1 (ko) 전동 미러 스위치의 설치 브래킷 체결구조
KR970004477Y1 (ko) 자동차용 실내경
KR0130001Y1 (ko) 차량용 전방 컴비네이션램프의 체결구조
KR970000413Y1 (ko) 자동차의 크러시 패드 고정구조
KR100366581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