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893A -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893A
KR20110055893A KR1020090112509A KR20090112509A KR20110055893A KR 20110055893 A KR20110055893 A KR 20110055893A KR 1020090112509 A KR1020090112509 A KR 1020090112509A KR 20090112509 A KR20090112509 A KR 20090112509A KR 20110055893 A KR20110055893 A KR 20110055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electrospinning
polymer
nanowire manufacturing
metal nano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782B1 (ko
Inventor
김성현
이수재
박진아
문제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7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78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선 제조방법은 금속 분말이 분산된 솔벤트에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을 방사하는 단계; 상기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금속입자를 응집시키는 단계; 및 고분자를 제거하여 금속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금속선 제조방법은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얻어지는 금속선은 전도도가 높으며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센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금속선, 마이크로웨이브, 전도도, 전기방사

Description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Metal Wire Using Electrospinning Process}
본 발명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금속자체로 형성된 전도도가 높고 비표면적이 넓은 금속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금속선 또는 금속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유기물과 금속을 혼합하여 전기방사한 후 열처리를 통하여 금속간의 결합력을 높여 전도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런 방법으로는 전도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금속 나노선을 그라파이트 모서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수십 나노 미터에서 수백 나노 미터까지 굵기를 조절하여 성장시킬 수 있지만, 실제 양산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고 대량의 금속선을 저가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금속 분말이 포함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법으로 나노 선을 방사한 후, 여기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경우, 금속 내 자유전자의 유도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이 열로 인하여 금속 분말이 스스로 녹아 엉겨붙음으로서 전도도가 높은 나노선 또는 마이크로 선을 제작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높은 전도도를 갖는 금속선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 분말이 분산된 솔벤트에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을 방사하는 단계; 상기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금속입자를 응집시키는 단계; 및 고분자를 제거하여 금속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선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말로는 은(Ag), 알루미늄(Al), 비소(As), 금(Au), 붕소(B), 바륨(Ba), 베릴륨(Be), 비스무트(Bi), 칼슘(Ca), 니오븀(Nd), 카드늄(Cd), 세륨(Ce), 코발트(Co), 크롬(Cr), 세슘(Cs), 구리(Cu), 철(Fe), 갈륨(Ga), 게르마늄(Ge), 인듐(In), 칼륨(K), 란탄(La), 리시움(Li), 마그네슘(Mg), 망간(Mn), 몰리브덴(Mo), 이리듐(Ir), 나트륨(Na), 니켈(Ni), 오스뮴(Os), 인(P), 납(Pb), 팔라듐(Pd), 백금(Pt), 루비듐(Rb), 로듐(Rh), 루테늄(Ru), 황(S), 안티몬(Sb), 셀렌(Se), 실리콘(Si), 주석(Sn), 스트론튬(Sr), 탄탈륨(Ta), 텔루륨(Te), 토륨(Th), 티탄(Ti), 탈륨(Tl), 우라늄(U), 바나 듐(V), 텅스텐(W), 아연(Zn), 지르코늄(Zr) 중 최소한 한가지를 포함하는 단일물질, 혼합물, 화합물 또는 합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분말의 크기는 1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선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방향족계 고분자, 클로라이드계 고분자, 불소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및 폴리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거나, 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페놀 및 PEDOT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선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상기 전기방사법으로는 전기방사법, 근접장 전기방사법 또는 전기분무법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선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사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는 100MHz 내지 100GHz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방사를 위한 고분자 용액은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고분자는 열처리, 플라즈마 처리 또는 솔벤트 용융을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는 300 내지 700℃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은 공정이 간단하고, 대랑 생산이 가능하면, 전도도가 높은 금속선을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으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선 제조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방사된 금속분말이 분산된 고분자용액으로부터 금속선이 형성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금속선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전기방사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선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근접장 전기방사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속선 제조방법은 금속 분말이 분산된 솔벤트에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1); 상기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을 방사하는 단계(S12); 상기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금속입자를 응집시키는 단계(S13); 및 고분자를 제거하여 금속선을 형성하는 단 계(S14)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분말이 분산된 솔벤트에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1)에서 금속 분말로는 은(Ag), 알루미늄(Al), 비소(As), 금(Au), 붕소(B), 바륨(Ba), 베릴륨(Be), 비스무트(Bi), 칼슘(Ca), 니오븀(Nd), 카드늄(Cd), 세륨(Ce), 코발트(Co), 크롬(Cr), 세슘(Cs), 구리(Cu), 철(Fe), 갈륨(Ga), 게르마늄(Ge), 인듐(In), 칼륨(K), 란탄(La), 리시움(Li), 마그네슘(Mg), 망간(Mn), 몰리브덴(Mo), 이리듐(Ir), 나트륨(Na), 니켈(Ni), 오스뮴(Os), 인(P), 납(Pb), 팔라듐(Pd), 백금(Pt), 루비듐(Rb), 로듐(Rh), 루테늄(Ru), 황(S), 안티몬(Sb), 셀렌(Se), 실리콘(Si), 주석(Sn), 스트론튬(Sr), 탄탈륨(Ta), 텔루륨(Te), 토륨(Th), 티탄(Ti), 탈륨(Tl), 우라늄(U), 바나듐(V), 텅스텐(W), 아연(Zn), 지르코늄(Zr) 중 최소한 한가지를 포함하는 단일물질, 혼합물, 화합물 또는 합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그의 크기는 1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방향족계 고분자(폴리스티렌, 폴리(디비닐 벤젠)), 클로라이드계 고분자(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벤질 클로라이드), 불소계 고분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라이드, 폴리트리비닐플루오라이드), 실리콘계 고분자(폴리실록산) 및 폴리부타다이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페놀 등 절연체와 PEDOT 등 전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분말이 분산되어 있는 솔벤트로는 헵탄, 헥산, 펜탄, 시클로헥산, 트리클로로에틸렌,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톨루엔, 메틸-t-부틸 에테르, 크실렌,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1,2-디디클로로메탄, 부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테트라히드로퓨란, n-프로판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2-부타논, 디옥산, 메탄올, 아세톤,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아세트산,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사이드, 또는 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금속 분말과 고분자의 비는 1:99 내지 99:1의 중량비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혼합물과 솔벤트의 비는 1:99 내지 50:50의 중량비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용액 중에는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로는 요오드화수소, 황화수소, 수소화알루미늄, 아황산염, 황화나트륨, 알칼리 금속(마그네슘, 아연), 산화정도가 낮은 유기화합물(알데히드, 당류, 포름산, 옥살산등)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고분자 용액 중량에 기초하여 0 내지 50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을 방사하는 단계(S12)에서, 전기방사법으로는 일반적인 전기방사법, 근접장 전기방사법 또는 전기분무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방사법의 원리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 용액이 시린지(1)의 토출 노즐(2)를 통해 방사되어 용액 선(3)이 접지된 콜렉터에 의해 침착되고, 이 선이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솔벤트를 증발시키면 기판 상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시린지(1)에는 고압전원장치(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기판 상에 굵기가 거 의 일정한 선들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이 섬유들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기판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기방사를 실시하는 경우 필요한 전압, 노즐부와 콜렉터의 거리, 공급되는 용액의 양은 방사 용액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근접장 전기방사법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린지(10)의 토출 노즐(2)과 콜렉터(4)의 거리를 수 ㎜로 가깝게 하여 전기방사하는 것이다. 이 경우, 토출된 용액은 거기가 가깝기 때문에 직진을 하게 되고, 기판 또는 노즐을 움직이면 기판 상에 원하는 길이 만큼 정렬된 용액의 선을 얻을 수 있고, 이 용액 선이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솔벤트를 증발시키면 기판 상에 원하는 길이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는 PET, PES, PI 또는 PEN의 폴리머 기판, Si, SiO2, 사파이어, 수정 또는 유리 등의 무기물 기판, 종이, 섬유, 동물의 가죽 등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저항 기준으로 보면 1 MOhm 내지 수백 MOhm 범위의 저항을 갖는 기판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금속입자를 응집시키는 단계(S13)에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선(10) 안에 분산되어 있는 금속분말(20)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금속 내 자유전자의 유도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로 금속분말이 스스로 녹아 엉겨 붙여 응집체(30)를 형성한다. 이 경우, 마이크로웨이브는 100MHz 내지 100GHz의 범위 내에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고분자를 제거하여 금속선(30)을 형성하는 단계(S14)에서는 고분 자(10)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처리, 플라즈마 처리 또는 솔벤트 용융 등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금속선(30) 만이 남게된다.
여기서, 열처리는 300 내지 700℃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으며, 플라즈마 처리는 산소 플라즈마 발생기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될 수 있다. 솔벤트 용융의 경우 처음 고분자 용액을 제작하였을 경우 사용하였던 솔벤트를 이용하여 잔류 고분자를 녹여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금속선은 일반 금속선에 비하여 비표면적이 넓고, 전도도가 높아 센서 등에 응용되는 경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선 제조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방사된 금속분말이 분산된 고분자용액으로부터 금속선이 형성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금속선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전기방사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선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근접장 전기방사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0)

  1. 금속 분말이 분산된 솔벤트에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을 방사하는 단계;
    상기 나노급 또는 마이크로급 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금속입자를 응집시키는 단계; 및
    고분자를 제거하여 금속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말로는 은(Ag), 알루미늄(Al), 비소(As), 금(Au), 붕소(B), 바륨(Ba), 베릴륨(Be), 비스무트(Bi), 칼슘(Ca), 니오븀(Nd), 카드늄(Cd), 세륨(Ce), 코발트(Co), 크롬(Cr), 세슘(Cs), 구리(Cu), 철(Fe), 갈륨(Ga), 게르마늄(Ge), 인듐(In), 칼륨(K), 란탄(La), 리시움(Li), 마그네슘(Mg), 망간(Mn), 몰리브덴(Mo), 이리듐(Ir), 나트륨(Na), 니켈(Ni), 오스뮴(Os), 인(P), 납(Pb), 팔라듐(Pd), 백금(Pt), 루비듐(Rb), 로듐(Rh), 루테늄(Ru), 황(S), 안티몬(Sb), 셀렌(Se), 실리콘(Si), 주석(Sn), 스트론튬(Sr), 탄탈륨(Ta), 텔루륨(Te), 토륨(Th), 티탄(Ti), 탈륨(Tl), 우라늄(U), 바나듐(V), 텅스텐(W), 아연(Zn), 지르코늄(Zr) 중 최소한 한가지를 포함하는 단일물질, 혼합물, 화합물 또는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의 크기는 10㎚ 내지 10㎛인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방향족계 고분자, 클로라이드계 고분자, 불소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및 폴리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페놀 및 PEDOT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법으로는 전기방사법, 근접장 전기방사법 또는 전기분무법인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100MHz 내지 100GHz의 범위인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열처리, 플라즈마 처리 또는 솔벤트 용융을 통해 제거되는 것인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300 내지 700℃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인 금속 나노선 제조방법.
KR1020090112509A 2009-11-20 2009-11-20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 KR10161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09A KR101610782B1 (ko) 2009-11-20 2009-11-20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09A KR101610782B1 (ko) 2009-11-20 2009-11-20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93A true KR20110055893A (ko) 2011-05-26
KR101610782B1 KR101610782B1 (ko) 2016-04-08

Family

ID=4436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509A KR101610782B1 (ko) 2009-11-20 2009-11-20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7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27B1 (ko) * 2011-09-26 2013-08-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탄소 나노파이버를 포함하는 자성 나노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2613B1 (ko) * 2013-04-25 2015-01-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구리-탄소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2057A (ko) * 2013-10-10 2015-04-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분무법에 의한 용액 공정 기반의 ato 박막 제조방법
KR20150078552A (ko) * 2013-12-31 2015-07-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색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CN104862817A (zh) * 2015-06-02 2015-08-26 天津工业大学 含纳米硒保健纤维的制备方法
US9257610B2 (en) 2013-06-17 2016-02-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69326B1 (ko) * 2017-03-15 2018-06-21 (주)트러스 나노 금속파우더를 이용한 직접 접촉방식의 전도성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작방법
CN109610093A (zh) * 2018-11-30 2019-04-12 清华大学 一种负载镁基合金的复合纤维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14514A (ko) * 2019-07-30 2021-02-09 한국과학기술원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395B1 (ko) 2017-12-01 2019-04-04 박종수 미세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8931B2 (ja) * 2005-07-29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ナノ粒子分散液、それを用いた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デバイス
KR100836627B1 (ko) 2007-01-08 2008-06-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인듐 주석 산화물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27B1 (ko) * 2011-09-26 2013-08-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탄소 나노파이버를 포함하는 자성 나노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2613B1 (ko) * 2013-04-25 2015-01-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구리-탄소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9257610B2 (en) 2013-06-17 2016-02-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42057A (ko) * 2013-10-10 2015-04-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분무법에 의한 용액 공정 기반의 ato 박막 제조방법
KR20150078552A (ko) * 2013-12-31 2015-07-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색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CN104862817A (zh) * 2015-06-02 2015-08-26 天津工业大学 含纳米硒保健纤维的制备方法
KR101869326B1 (ko) * 2017-03-15 2018-06-21 (주)트러스 나노 금속파우더를 이용한 직접 접촉방식의 전도성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작방법
CN109610093A (zh) * 2018-11-30 2019-04-12 清华大学 一种负载镁基合金的复合纤维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14514A (ko) * 2019-07-30 2021-02-09 한국과학기술원 팔라듐 기반 센서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782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5893A (ko)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금속선 제조방법
Tak et al. Controlled growth of well-aligned ZnO nanorod array using a novel solution method
W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ZnO hollow spheres and ZnO− carbon composite materials using colloidal carbon spheres as templates
JP5889276B2 (ja) 液体シラン系組成物およびシリコン系材料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KR101465467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금속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금속 나노와이어
JP2009260345A (ja) 可視光帯域半導体ナノ線光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69247B1 (ko) 카본 나노 튜브 복합막 및 그 복합막의 제조 방법
US20100144088A1 (en) Method for forming metal oxide and method for forming transistor structure with the same
Cheong et al. Multifunctional 1D nanostructures toward future batteries: a comprehensive review
KR101587532B1 (ko) 도전성 복합체가 포함된 나노탄소 하이브리드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섬유 조립체 및 반도체 장치
CN101804458A (zh) 经有机胺稳定的银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
KR100853199B1 (ko) 산화물계 나노 구조물 제조방법
He et al. Stability and protection of nanowire devices in air
KR20180072924A (ko) 발열층이 형성된 유리
JP6234577B2 (ja) 熱電材料の堆積方法
JPWO2011058976A1 (ja) 中空ナノ粒子の製法、中空ナノ粒子及びその分散液
JP2013188808A (ja) 中空ナノ構造体の製造方法
Chen et al. Fabrication of polycrystalline ZnO nanotubes from the electrospinning of Zn2+/Poly (acrylic acid)
Gruber et al. Molecular and supramolecular templating of silica‐based nanotubes and introduction of metal nanowires
KR101442625B1 (ko) 3차원 계층 구조의 칼코지나이드 제조방법
KR101581664B1 (ko) 금속산화물이 코팅된 금속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전도막의 제조방법
JP2015514876A (ja) 液体シラン系組成物および加工方法
KR101689276B1 (ko) 헤테로 접합 금속 나노 와이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헤테로 접합 금속 나노 와이어
Hontañón et al. One-dimensional metal oxide nanostructures for chemical sensors
KR102054708B1 (ko) 금속 나노 와이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 나노 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