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491A - 복합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491A
KR20110055491A KR1020107029914A KR20107029914A KR20110055491A KR 20110055491 A KR20110055491 A KR 20110055491A KR 1020107029914 A KR1020107029914 A KR 1020107029914A KR 20107029914 A KR20107029914 A KR 20107029914A KR 20110055491 A KR20110055491 A KR 2011005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lead
tip
wri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9801B1 (ko
Inventor
타다오 오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11005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ing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and for feeding the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2Combinations of pens and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통상보다 짧은 외통 내에서 통상적인 샤프펜슬용 60mm 필심을 인출할 수가 있는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를 제공한다.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는, 외통(1)과, 외통(1) 내에 전진 및 후퇴할 수 있게 설치되어, 필심수용부(8)를 구비한 필기체(27)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기체와, 필기체의 일부를 구성하고서 전진 또는 후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필심수용부(8)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것으로, 필심수용부(8)가 삽입되어 있는 클립 베이스(13)와, 필심수용부(8)의 선단 또는 필심부재(10)의 선단이 돌출하도록 축의 직경방향으로 외통(1)의 축심보다도 필심수용부(8)측으로 편심되어 외통(1)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 구멍(31)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복합필기구 {COMPOUND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외통 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필기체를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켜 필기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로서, 슬라이드 부재인 압자(押子)의 단부가 샤프펜슬용 필심수용부의 후단에 플렉시블하게 접합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압자가 샤프펜슬용 필심수용부와 플렉시블하게 접합됨으로써, 샤프펜슬용 필심수용부를 전진시켜, 압자의 노크조작으로 선단 구멍으로부터 필심이 조금씩 조출된다. 이 접합부의 가요성에 의해 필심의 조출조작에 수반해서 샤프펜슬용 필심부재 쪽에는 휘어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필심이 부러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 일본국 특개2005-11187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에서는, 슬라이드 부재의 선단(비조작측 단부)을 샤프펜슬용 필심수용부의 후단에 접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의 선단부에 샤프펜슬용 필심수용부의 후단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통상적인 샤프펜슬용 60mm 필심이 수납된 필심수용부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 필심수용부에 슬라이드 부재를 직렬방향으로 더해진 길이 이상으로 외통의 전체 길이를 길어지게 해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적인 필기구보다도 전체 길이가 짧은 외통에 통상적인 60mm 필심을 수용할 수가 있고, 또한 필심의 인출 조작에 수반해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샤프펜슬을 가진 복합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기구는, 외통과, 이 외통 내에 전진 및 후퇴할 수 있게 설치되어, 필심수용부를 구비한 필기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기체와, 필기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일단을 전진 또는 후퇴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필심수용부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부재로서, 비조작측 단부인 타단에 필심수용부가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와, 필기체의 선단이 돌출하도록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외통의 축심보다도 필심수용부 측으로 편심되어 외통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복합필기구에는, 샤프펜슬, 볼펜 등의 필기구에 더해, 아이라이너와 같은 화장용의 필기구도 포함된다.
또, 선단 구멍을 외통의 축심보다도 필심수용부 측으로 편심되어져 외통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와 필심수용부의 접합부위에서 가요성을 갖지 않더라도 필심이 부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선단 구멍으로부터 필심을 조출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선단 구멍은, 외통의 축심과 필심수용부를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잇는 선(線) 상의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복합필기구에서는, 슬라이드 부재의 조작측 단부에 클립부착부를 설치하고, 슬라이드 부재의 비조작측 단부에 필심수용부를 삽입함과 더불어, 필심수용부를 구비한 필기체가 전진할 때의 클립부착부 측으로 편심되어 선단 구멍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필심수용부를 구비한 필기체를 포함한 복수의 필기체는, 외통 내에 설치된 가이드 스토퍼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에 삽통되어 외통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이 가이드 스토퍼에서의 필심수용부가 삽통하는 필심 관통구멍을 외통의 중심에 가까이 형성됨으로써, 필심 수납부를 외통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위치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면, 필심수용부를 구비한 필기체의 휘어짐을 방지해서 필심 조출 조작에 수반되는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복합필기구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 내에 필심수용부를 삽입해서 필심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 길이가 짧은 복합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선단 구멍의 위치를 편심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선구의 정면도, 도 3(b)는 선구의 종단면도, 도 3(c)는 선구의 배면도, 도 3(d)는 도 3(b)의A-A선 단면도, 도 3(e)는 선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가이드 스토퍼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이드 스토퍼의 보유지지판에 설치한 구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의 안내 창 구멍 위치에서의 외통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의 종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샤프펜슬용 필심(9)을 수용하는 필심수용부(필심탱크; 8)를 구비한 제1필기체(27)와, 빨강, 파랑 또는 흑색의 3가지 색의 볼펜 잉크를 가진 3개의 필심부재(10)를 구비한 3개의 제2필기체(28)를 가진 복합필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복합필기구의 제1필기체(27) 및 제2필기체(28)는, 외통(1) 내에서 자유로이 슬라이드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필심수용부(8)는, 필심의 보호를 위해, 휘기 어려운 강성(剛性)이 높은, 예컨대 금속 등으로 형성된다. 필심부재(10)는, 예컨대 가늘고 긴 파이프 형상의 합성수지제로 되어 상기 필심수용부(8)에 비해 휘어지기 쉽도록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는, 통상적인 것보다 전체 길이가 짧은 외통(1) 내에서 통상적인 60mm 필심(9)을 조출할 수가 있는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외통(1) 내에 통상적인 60mm 필심(9)을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또 필심(9)을 조출하기 위해서는 필심(9)이 휘어지지 않고 전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외통(1)은, 선구(21)의 선단에 선단 구멍(31)이 형성된 앞쪽 외통(22)과, 그의 뒷부분에 접속된 뒤쪽 외통(23)으로 구성된다. 또, 뒤쪽 외통(23)의 뒷부분 주벽에는, 가늘고 긴 안내 창 구멍(24, 2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뒤쪽 외통(23)은, 그 내벽에 뒤에 설명되는 가이드 스토퍼(18)가 형성되고, 가이드 스토퍼(18)의 축심(軸心)에는 간섭 부재(1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1) 내에는 샤프펜슬의 필심(9)을 수용하는 필심수용부(8)와, 3가지 종류의 다른 색 잉크가 충전된 가는 파이프 형상의 필심부재(10)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 이들 필심수용부(8) 및 필심부재(10)의 선단에는 각각 선단 금속 부재(2)와 선단 팁(3)이 설치되어 있다.
필심수용부(8)와 선단 금속 부재(2) 사이에는 필심조출기구부(6)가 설치된다. 필심조출기구부(6)는 필심(9)을 파지하는 척(4) 및 척 스프링(5)를 갖고 있다. 이 필심조출기구부(6)는, 이음부재(7)를 매개로 필심수용부(8)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필심수용부(8)의 후방에는, 클립 베이스(13; 슬라이드 부재)가 설치된다. 이 클립 베이스(13)에는, 그 후단부(13e) 측에 일체로 설치되고서 안내 창 구멍(2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클립부착부(29)를 매개로 클립(15)이 설치된다. 또, 각각의 필심부재(10)의 후단부에는, 조작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립 베이스(13)와, 이 클립 베이스(13)를 사이에 두고 등 간격으로 위치하는 3개의 조작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립부착부(29)는 안내 창 구멍(24) 내를, 조작 부재(17)는 안내 창 구멍(25) 내를 각각 이동할 수가 있고,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는 외통(1) 내에서 자유로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클립 베이스(13)는 선단부(13d; 비조작측 단부)가 개구되어, 클립 베이스(13)에 형성된 클립부착부(29)가 안내 창 구멍(24) 내를 전진 또는 후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클립 베이스(13)의 중공부(13c)에 깊이 삽입된 필심수용부(8)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필심수용부(8) 내의 필심(9)은, 클립 베이스(13)의 후방까지 이동이 허용되어, 필심수용부(8)의 후단이 축방향에서의 클립 베이스(13)의 선단부(13d)와 후단부(13e)의 중간위치보다도 클립 베이스(13)의 후단부(13e) 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심 파이프(8)는 금속제 등으로 된 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서, 그의 후단이 개방되어 있고, 클립 베이스(13) 내의 중공부(13c)에 착탈될 수 있게 끼워지게 된다.
또, 필심부재(10)는, 예컨대 수지제(樹脂製)의 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서 그의 후단이 개방되고, 상기 조작 부재(17)의 가는 로드 형상의 선단이 필심부재(10)의 개방된 후단에 착탈될 수 있을 정도로 압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안내 창 구멍(24)으로부터 돌출한 클립부착부(29; 조작측 단부)에는, 클립(15)를 지지하는 이음부재(14) 및 클립 스프링(16)을 매개로 클립(15)이 선단부를 외통방향으로 밀어붙이면서 그 후단부를 요동할 수 있게 축지지되어 있다.
한편,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는, 외통(1) 내의 전진 또는 후퇴 시에 각각의 전진위치 또는 후퇴위치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편(13a, 13b, 17a, 17b)을 갖고 있다. 또,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는, 외통(1) 내의 전진 또는 후퇴 시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3f, 17f(도 2))를 갖고 있다.
또, 안내 창 구멍(24, 25)의 양측은,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의 전진 시에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의 돌기(13f, 17f)가 끼워지는 홈(24a, 25a) 및 레일(24b, 25b(도 2, 도 6)을 갖고 있다. 이들 홈(24a, 25a) 및 레일(24b, 25b)은, 안내 창 구멍(24, 25)의 후단 양측으로부터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의 슬라이드 스트로크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가 레일(24b, 25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선구(21)의 선단에 형성되는 선단 구멍(31)의 위치는, 외통(1)의 축심(C)으로부터 약간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선구(21)의 선단에 형성되는 선단 구멍(31)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단 구멍(31)은,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외통(1)의 축심(C)보다도 필심수용부(8)을 수용하는 클립부착부(29) 측으로 편심(偏心)되어 있다.
선단 구멍(31)의 위치를 편심되도록 한 결과, 선구(21)의 형상은, 균일한 곡면과는 다른 것으로 된다. 즉, 도 3(b)에서, 선단 구멍(31)의 위치가 편심되어 있는 상측의 곡면형상(32)보다도 하측의 곡면형상(33)의 곡률이 비교적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상측의 곡면형상(32)은 전체적으로 거의 같은 곡률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구(21)는, 선구(21)의 후단의 내벽에 형성되는 나사 홈(34)을 매개로 앞쪽 외통(22)의 걸림부와 나사결합하게 된다. 상측의 곡면형상(32)의 거의 같은 곡률 부분과, 하측의 곡면형상(33)의 비교적 큰 곡률의 변화 부분은, 나사 홈(34)보다도 선단 구멍(31) 측 선단 부분에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c)는, 선구(21)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선단 구멍(31)의 위치가 편심되어 있는 방향의 외주면 상에 편심 방향을 나타내는 돌기(35)가 선구(21)에 형성되어 있다.
도 3(d) 및 도 3(e)는, 도 3(b)의 A-A선 단면도 및 선구(21)의 사시도이다. 선단 구멍(31)의 위치가 편심되어 있지 않은 횡단면에서는, 곡면형상(36)의 곡률은 균일하다.
또, 도 3(c)에서 가상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 구멍(31)을 편심되도록 하는 위치는, 외통의 축심(C)과 필심수용부(8)를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잇는 선 상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선단 구멍(31)이 필심수용부(8)를 구비한 제1필기체(27)가 전진할 때의 클립부착부(29) 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선단 구멍(31)의 위치는, 외통(1)의 축심(C)으로부터 예컨대 약 1mm정도 편심되도록 하면 좋다.
이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에서는, 클립 베이스(13) 또는 조작 부재(17)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필심수용부(8)로부터 필심(9)의 선단 또는 어느 1개의 볼펜용 필심부재(10)의 선단이 편심된 선단 구멍(31)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들 필심수용부(8) 및 클립 베이스(13)와, 필심부재(10) 및 조작 부재(17)는, 각각 외통(1) 내에 삽입된 가이드 스토퍼(18)에 대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스토퍼(18)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 측이 원통 형상을 한 것으로, 그의 횡단면을 따라 보유지지판(18b)이 설치되고, 그의 축심에는 필심수용부(8) 및 클립 베이스(13), 필심부재(10) 및 조작 부재(17)가 축심(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간섭 부재(18a)가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스토퍼(18)는, 그 후단부와 클립 베이스(13)의 선단부 사이에서 필심수용부(8)에 감겨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2)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고, 또 필심수용부(8)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리턴스프링(12)은 클립 베이스(13)를 뒤쪽으로 밀어붙인다.
또, 가이드 스토퍼(18)는, 그 후단부와 조작 부재(17)의 선단부 사이에서 필심부재(10)에 감겨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1)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고, 또 필심부재(1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리턴스프링(11)은, 조작 부재(17)를 후방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이 가이드 스토퍼(18)의 축심에 설치된 간섭 부재(18a)는, 리턴스프링(11, 12)의 변형인 휘어짐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스토퍼(18)의 상기 보유지지판(18b)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심수용부(8) 및 필심부재(10)가 관통하는 4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필심수용부(8)이 관통하는 최상부의 필심 관통구멍(50)은, 계란형 곡선에 가까운 곡선으로 획정되는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서, 상측에 비해 하측의 곡률이 크고, 좌우의 폭이 좁아, 거의 계란형의 변칙적인 원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 필심 관통구멍(50)은, 가이드 스토퍼(18)의 축심(외통(1)의 축심)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심 관통구멍(50)을 제외하고, 좌우 및 아래쪽에 형성되는 3개의 필심부재 관통구멍(51)은 각각 정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들은, 상기 필심 관통구멍(50)과 대비하면, 가이드 스토퍼(18)의 축심(외통(1)의 축심)에서 약간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간섭 부재(18a)는, 상기 관통구멍(50)과 겹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형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필심 관통구멍(50)에 필심 수납부(8)가 삽통하였을 때는, 필심 수납부(8)가 가이드 스토퍼(18)의 축심에 가까워지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필심 수납부(8)가 휘어지지 않더라도 필심조출기구부(6)의 선단부까지 거의 직선상태를 한 채로 선단 구멍(31)으로부터 필심(9)을 조출할 수가 있다.
한편, 필심 관통구멍(50)은, 가이드 스토퍼(18)의 축심(외통(1)의 축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그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통(1)의 후단부에는, 중공형상의 캡(20)이 벗겨낼 수 있게 설치되고, 캡(20) 내에는 지우개고무(19)가 수납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이 예에서는 샤프펜슬의 필심수용부(8)에 수용된 필심(9)이 전진되어 사용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샤프펜슬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클립(15)이 클립부착부(29)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클립 베이스(13)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리턴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클립 베이스(13)와 필심수용부(8)가 외통(1) 내를 전진하게 된다.
클립 베이스(13)의 슬라이드 조작을 개시할 때에는, 클립부착부(29)는 안내 창 구멍(24) 내를 이동하고, 클립 베이스(13)는 레일(24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또, 돌기(13f)는 클립 베이스(13)를 홈(24a)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한다.
그리고, 클립부착부(29)가 안내 창 구멍(24)의 후단으로부터 클립 베이스(13)의 슬라이드 스트로크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전진하면, 안내 창 구멍(24) 양측의 레일(24b)의 전단부에 걸려져, 클립부착부(29)는 약 2분의 1 정도 안내 창 구멍(24) 내로 들어간다.
클립 베이스(13)의 전단부에 닿으면서 압축되는 리턴스프링(12)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힘이 클립 베이스(13)에 대해 작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 클립 베이스(13)의 후단부(걸림 단면; 13e)가, 안내 창 구멍(24) 양측의 레일(24b)의 전단부에 걸려져, 필심수용부(8)로부터 필심(9)의 선단이 돌출해서 필기상태로 된다.
클립 베이스(13)가 전진해서, 샤프펜슬용 필심수용부(8) 내의 필심(9)의 선단이 편심된 선단 구멍(31)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샤프펜슬의 필기가 가능해진다.
선단 구멍(31)의 위치가, 제1필기체(27)가 후퇴한 상태에서 필심수용부(8)측(클립부착부(29)측)으로 편심되어져 있기 때문에, 클립 베이스(13)로부터 필심수용부(8)로 이어지는 필심조출기구부(6)의 선단부까지가 거의 직선상태가 되도록 한 채, 선단 구멍(31)으로부터 필심(9)을 조출할 수가 있다.
가이드 스토퍼(18)의 축심에 설치된 예컨대 수지제의 간섭 부재(18a)가, 외통(1) 내의 필심수용부(8)가 전진했을 때 필심수용부(8) 및 클립 베이스(13)가 축심(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필심수용부(8) 및 클립 베이스(13)는, 상기 간섭 부재(18a)의 위치보다 축심(C) 방향으로 지나치게 치우치지 않게 된다.
또, 볼펜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컨대 필심수용부(8)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청색 볼펜용 필심부재(10)에 접속된 조작 부재(17)의 조작부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리턴스프링(11)이 압축되면서 선택된 조작 부재(17)와 필심부재(10)가 외통(1) 내를 전진하게 된다.
조작 부재(17)의 슬라이드 조작이 개시될 때에는, 조작 부재(17)의 뒷부분은, 안내 창 구멍(25)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작 부재(17)의 돌기(17f)는 홈(25a) 내를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조작 부재(17)가 안내 창 구멍(25)의 길이만큼 전진하면, 안내 창 구멍(25) 양측의 레일(25b; 도 6)의 전단부를 따라, 조작 부재(17)의 뒷부분이 안내 창 구멍(25) 내로 들어가게 된다.
조작 부재(17)의 전단부에 닿는 리턴스프링(11)의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조작 부재(17)의 후단의 걸림 단면이 안내 창 구멍(25) 양측의 레일(25b; 도 6)의 전단부에 걸려져, 필심부재(10)의 선단이 돌출해서 필기상태로 된다.
조작 부재(17)가 전진해서 볼펜용 필심부재(10)의 선단이 편심되어 있는 선단 구멍(31)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청색 볼펜의 필기가 가능해진다. 다른 색의 볼펜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선단 구멍(31)의 위치를 제1필기체(27)가 후퇴한 상태에서 필심수용부(8)측(클립부착부(29)측)으로 편심되어져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17)로부터 필심부재(10)의 선단부까지를 휘어지는 상태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조작 부재(17)로부터 필심부재(10)의 선단부까지 비교적 크게 휘어지게 할 필요가 있는바, 조작 부재(17)와 필심부재(10)와의 결합부에서의 휘어짐과, 필심부재(10) 자신의 휘어짐과, 필심부재(10)와 선단 팁(3)과의 결합부에서의 휘어짐에 의해, 필요한 분만큼 휘어지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1필기체(27)와 비교해서 제2필기체(28)가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원활한 조작에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편심되게 형성된 선단 구멍(31)으로부터 선단 팁(3)을 용이하게 돌출시킬 수가 있다.
필기를 종료하고서 돌출된 필심수용부(8) 또는 필심부재(10)를 후퇴시키려면,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여기서는, 앞에서 나타낸 샤프펜슬의 필심수용부(8)에 수용된 필심(9)이 전진해 있는 사용상태로부터, 필심수용부(8)를 외통(1) 내로 후퇴시키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필심수용부(8)와 클립 베이스(13)가 외통(1) 내를 전진해 있는 상태로부터, 선택되지 않은 다른 조작 부재(17)를 슬라이드 조작해서 전진시킨다. 그러면, 다른 조작 부재(17)의 전진에 의해, 조작 부재(17)에 형성된 앞쪽 해제 돌출부(17a)가, 클립 베이스(13)의 뒤쪽 해제 돌출부(13b)에 닿게 된다.
이에 의해, 안내 창 구멍(24) 양측의 레일(24b)의 전단부에 걸려져 있는 클립 베이스(13)의 뒤쪽 해제 돌출부(13b)가 바깥쪽으로 밀려 올라가기 때문에, 클립 베이스(13)의 후단(13e)과 안내 창 구멍(24) 양측의 레일(24b)의 전단부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 결과, 안내 창 구멍(24) 양측의 레일(24b)의 전단부에 걸려져 있는 클립 베이스(13)가 리턴스프링(12)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붙여져 필심수용부(8)와 함께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클립 베이스(13)는 초기 위치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필심수용부(8)의 필심(9)의 선단도 앞쪽 외통(1) 내에 수납되게 된다.
샤프펜슬의 필심수용부(8)에 수용된 필심(9)이 전진해 있는 사용상태에서, 필심조출기구부(6)의 이음부재(7)에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클립 베이스(13)의 후단(13e)과 안내 창 구멍(24) 양측의 레일(24b)의 전단부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동작에도 지장이 없게 된다.
이 새롭게 조작된 조작 부재(17)를, 다시 걸림 위치인 안내 창 구멍(25) 양측의 레일(25b)의 전단부까지 슬라이드 이동시켜 전진하도록 하면, 앞에서 나타낸 필심부재(10)가 전진한 볼펜의 사용상태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필기구에서는, 필심수용부(8)가 클립 베이스(13)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체 길이가 짧은 외통(1) 내에 통상적인 60mm 필심수용부(8)를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60mm 필심을 수용할 수 있는 전체 길이가 짧은 슬라이드식 복합필기구가 제공된다.
클립 베이스(13) 내에 필심이 존재하기 때문에, 클립 베이스(13) 및 필심수용부(8)를 전진시켰을 때, 클립 베이스(13) 및 필심수용부(8)를 휘게 하면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구멍(31)을, 외통(1)의 축심보다도 제1필기체(27)의 후퇴위치에서의 필심수용부(8)측으로 편심되도록 외통(1)의 선단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1필기체(27)가 전진했을 때에 클립 베이스(13) 및 필심수용부(8)가 휘어지지 않아 필심이 부러지지 않게 필심을 조출할 수가 있다.
또, 필심조출기구부(6)의 이음부재(7)만 강하게 구부러지면, 필심(9)이 원활히 조출되지 않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전진할 때에, 이음부재(7)를 휘어지는 부재로 해서 크게 휘어지도록 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선단 구멍(31)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부재(7)가 거의 휘지 않더라도 필심이 부러지지 않게 필심을 조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필심수용부(8)를 클립 베이스(13)의 중공부(13c) 내에 삽입한 경우, 필심수용부(8) 자체에 휘어지는 부재를 설치할 수가 없게 되지만, 선단 구멍(31)의 위치를 필심수용부(8) 측으로 편심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필심이 부러지는 일 없이 필심을 조출할 수가 있다. 또, 클립 베이스(13) 내에 필심이 존재하고 있어도, 클립 베이스(13)와 필심수용부(8)와의 결합부가 휘어지지 않음으로써 필심을 보호할 수 있다.
선단 구멍(31)은, 외통의 축심(C)과 필심수용부(8)를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잇는 선 상의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고, 필심수용부(8)를 구비한 제1필기체(27)가 전진할 때의 클립부착부(29) 측으로 편심되어 선단 구멍(31)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필심수용부(8)를 구비한 제1필기체(27)의 휘어짐을 억제하여, 조출 조작에 수반되는 필심이 부러지는 일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가 전진할 때에 클립 베이스(13) 및 조작 부재(17)의 돌기(13f, 17f)가 레일(24b, 25b)을 따라 홈(24a, 25a)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클립 베이스(13)가 흔들려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해서, 클립(15)을 안정되게 조작할 수가 있게 된다.
제2필기체(28)에 관해 설명하자면, 가이드 스토퍼(18)의 축심에 설치된 간섭 부재(18a)가, 외통(1) 내에서 필심부재(10)가 전진할 때의 조작 부재(17) 및 필심부재(10)의 축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17) 및 필심부재(10)는, 상기 간섭 부재(18a)가 설치되는 위치보다 축심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외통(1) 내에서, 조작 부재(17) 및 필심부재(10)가 안내 창 구멍(24, 25) 내측의 가이드 편(24a, 25a)을 따라 안내 창 구멍(24, 25) 내로 들어간 위치에서부터, 조작 부재(17)와 필심부재(10)와의 결합부가 휘어지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조작 부재(17)로부터 필심부재(10)의 선단부까지의 각 부분을 휘어지게 한 상태에서, 필심부재(10)의 선단부의 적정한 전진위치를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외통(1)의 길이가 통상보다 짧은 경우에, 통상적인 길이의 샤프펜슬용 필심을 수납하기 위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통상적인 길이의 외통(1)을 이용해서, 통상적인 길이의 샤프펜슬용 필심을 수납하는 경우에도, 선단 구멍(31)의 위치를 필심수용부(8) 측으로 편심시키는 예를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 또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 - - 외통,
8 - - - 필심수용부,
10 - - - 필심부재,
13 - - - 클립 베이스(슬라이드 부재),
17 - - - 조작 부재,
8 - - - 가이드 스토퍼,
24 및 25 - - - 안내 창 구멍,
27 - - - 제1필기체,
28 - - - 제2필기페,
31 - - - 선단 구멍

Claims (4)

  1. 외통과,
    외통 내에 전진 및 후퇴할 수 있게 설치되어, 필심수용부를 구비한 필기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기체와,
    필기체의 일부를 구성하고서, 일단을 전진 또는 후퇴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필심수용부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부재로서, 필심수용부가 비조작 측 단부인 타단에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와,
    필기체의 선단이 돌출하도록,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외통의 축심보다도 필심수용부 측으로 편심되어 외통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 구멍을 구비한 복합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구멍은, 외통의 축심과 필심수용부를 외통의 직경방향으로 잇는 선 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복합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필기구에서는, 슬라이드 부재의 조작단부 측에 클립부착부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부재의 비조작 측 단부에 필심수용부가 삽입됨과 더불어, 클립부착부 측으로 편심되어 선단 구멍이 형성된 복합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수용부를 구비한 필기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기체는, 외통 내에 설치된 가이드 스토퍼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에 삽통되어 외통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 가이드 스토퍼에서의 필심수용부가 삽통하는 필심 관통구멍을 외통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함으로써, 필심 수납부를 외통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KR1020107029914A 2008-08-29 2009-08-27 복합필기구 KR101269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2159 2008-08-29
JPJP-P-2008-222159 2008-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491A true KR20110055491A (ko) 2011-05-25
KR101269801B1 KR101269801B1 (ko) 2013-05-30

Family

ID=4172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914A KR101269801B1 (ko) 2008-08-29 2009-08-27 복합필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72962B2 (ko)
KR (1) KR101269801B1 (ko)
CN (1) CN102131653B (ko)
TW (1) TWI474937B (ko)
WO (1) WO20100243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2906B2 (en) 2016-02-25 2018-08-21 Kwang Ju CHEON Multicolor writing instrument with automatic return function
KR102161414B1 (ko) * 2020-06-08 2020-09-29 정재승 일체형 몸체를 갖는 다색 필기구
KR102161413B1 (ko) * 2020-06-08 2020-09-29 정재승 일체형 몸체를 갖는 다색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1630B2 (ja) * 2011-01-31 2014-11-12 ぺんてる株式会社 複式筆記具
JP5951220B2 (ja) * 2011-10-31 2016-07-13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
US9004792B2 (en) 2011-12-29 2015-04-14 Sanford, L.P. Eraser cap assembly for writing instrument
FR2998214A1 (fr) * 2012-11-22 2014-05-23 Marc Duval Stylo couleurs rechargeable avec un correcteur liquide rechargeable intégré
WO2014133080A1 (ja) * 2013-02-27 2014-09-04 ぺんてる株式会社 クリップの取付構造
CN103879188B (zh) * 2014-04-10 2016-06-08 上海理工大学 多芯铅笔
JP6143229B2 (ja) * 2014-06-03 2017-06-07 株式会社トキワ 多種ペンシル
KR101999965B1 (ko) * 2017-02-24 2019-07-15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클립을 가진 필기구
EP3589498A1 (en) * 2017-03-07 2020-01-08 Martin Rahbek Multifunction tool
US10618343B1 (en) * 2019-01-15 2020-04-14 Armin Arminak One-hand operated multi-pencil
US11186115B2 (en) 2019-01-15 2021-11-30 Armin Arminak One-hand operated multi-pencil
JP6620343B1 (ja) * 2019-03-18 2019-12-18 广州克力労保用品有限公司 自動的に芯を交換できるペン
EP4034354A1 (en) 2019-09-25 2022-08-03 Kirbek Holding ApS Multi tool with a writing utensil and a knife
KR102101127B1 (ko) 2019-10-11 2020-04-14 정재승 일체형 몸체를 갖는 다색 필기구
KR102148104B1 (ko) * 2019-11-11 2020-08-25 어명혁 펜심의 길이 및 용량이 확장된 다색 필기구
US20220134797A1 (en) * 2020-11-04 2022-05-05 Suresh Konti Writing instrument with pen and pencil
KR102545490B1 (ko) 2023-02-03 2023-06-20 천광주 자동 리턴기능을 갖는 다색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5092U (ko) * 1987-11-27 1989-06-06
JP3074348B2 (ja) * 1989-08-22 2000-08-07 株式会社寿 複合筆記具
JPH0732135Y2 (ja) * 1989-11-15 1995-07-26 株式会社パイロット ノック式筆記具
JP3076380B2 (ja) * 1990-12-21 2000-08-14 株式会社壽 ノック式筆記具
JP3079397B2 (ja) * 1992-07-13 2000-08-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TW580458B (en) * 2000-03-30 2004-03-21 Pentel Kk Mechanical pencil
JP4472964B2 (ja) * 2003-10-09 2010-06-02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
CN100577443C (zh) * 2005-03-29 2010-01-06 百乐墨水株式会社 多芯书写工具
JP4676830B2 (ja) * 2005-07-14 2011-04-27 ミクロ株式会社 筆記具
JP3139755U (ja) * 2007-12-13 2008-02-28 株式会社壽 ノック式筆記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2906B2 (en) 2016-02-25 2018-08-21 Kwang Ju CHEON Multicolor writing instrument with automatic return function
KR102161414B1 (ko) * 2020-06-08 2020-09-29 정재승 일체형 몸체를 갖는 다색 필기구
KR102161413B1 (ko) * 2020-06-08 2020-09-29 정재승 일체형 몸체를 갖는 다색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12663A (en) 2010-04-01
CN102131653A (zh) 2011-07-20
JP5172962B2 (ja) 2013-03-27
KR101269801B1 (ko) 2013-05-30
TWI474937B (zh) 2015-03-01
JPWO2010024346A1 (ja) 2012-01-26
CN102131653B (zh) 2013-07-10
WO2010024346A1 (ja)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801B1 (ko) 복합필기구
JP4731501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5196481B2 (ja) 複式筆記具
KR102214859B1 (ko) 필기구
WO2016167183A1 (ja) 消去用部材付き筆記具
JPH0525915Y2 (ko)
JP2008036919A (ja) 複式筆記具
JP4766963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038097B2 (ja) 筆記具
JP357168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筆記体
JP3925908B2 (ja) 複合筆記具
JP2016036950A (ja) 筆記具
JP2008173912A (ja) ノック式筆記具
JPH055029Y2 (ko)
JP5896721B2 (ja) 多機能ペン
JP4906657B2 (ja) 複合筆記具
JP2005066963A (ja) 多芯筆記具
JPH0343037Y2 (ko)
JPS6319176Y2 (ko)
JPH0343036Y2 (ko)
JP5843196B2 (ja) 多機能ペン
JP5495751B2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JP2008173913A (ja) ノック式筆記具
JP6267935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5896723B2 (ja) 多機能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