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463A - 액정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액정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463A
KR20110055463A KR1020100115117A KR20100115117A KR20110055463A KR 20110055463 A KR20110055463 A KR 20110055463A KR 1020100115117 A KR1020100115117 A KR 1020100115117A KR 20100115117 A KR20100115117 A KR 20100115117A KR 20110055463 A KR20110055463 A KR 20110055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period
polarity
subfiel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께 후지까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25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having all the same time d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중치 부여 서브 필드 구동으로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하는 것이다. 액정 장치(100)는, 신호선(12)과 주사선(11)과의 교차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화소 회로 PIX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 PIX는, 선택 스위치 TSL을 통하여 신호선(12)에 접속되는 화소 전극(41)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 장치(100)는, 각 기입 기간에서, VdataH 또는 VdataH를 신호선(12)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22)와, 기입 기간 H마다 주사선(11)을 순차 선택하여 선택 스위치 TSL을 온 상태로 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21)와,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를 포함한다.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는, VcomL 또는 VcomH를 용량 전위 Vcom[m]으로 하고, 각 서브 필드 SF에서는, 기입 기간 H[m]이 종료되면 Vcom[m]의 극성을 반전하고, 마지막의 서브 필드 SF4에서는, 기입 기간 H[m-1]의 개시 시에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

Description

액정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LIQUID CRYSTAL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 장치의 구동에 관한 것이다.
액정 장치의 구동에서는, 직류 성분의 잔류에 의한 액정 소자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액정 소자의 인가 전압의 극성을 반복하여 반전시키는 교류 구동이 일반적이다. 이 교류 구동의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에는, 신호선에 신호를 공급하여 액정 소자의 화소 전극에 전위를 기입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의 출력 레인지를 축소하고,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화소 전극에 기입한 전위를 용량 결합에 의해 변동시켜 액정 소자의 인가 전압을 원하는 전압으로 하는 구동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후, 이 구동 방법을 「용량선 구동」이라고 부른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량선 구동에서는, 액정 소자의 인가 전압의 극성은, 화소 전극에의 전위의 기입마다 반전한다.
한편,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1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분할하고, 각 서브 필드에서는 2개의 전압(절대값) 중의 어느 한쪽을 액정 소자에 인가함으로써, 액정 소자에 다계조를 표시시키는 서브 필드 구동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이 서브 필드 구동의 1종으로, 서브 필드의 수를 줄이기 위해, 1 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필드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한 구동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후, 이 구동 방법을, 「가중치 부여 서브 필드 구동」이라고 부른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635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4661호 공보
여기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량선 구동의 이점과 가중치 부여 서브 필드 구동의 이점의 양방을 얻기 위해, 양쪽 구동을 조합하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1 프레임당의 서브 필드수가 짝수인 경우에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에 대해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양쪽 구동을 조합한 액정 장치를 「종래의 액정 장치」라고 부른다.
도 28에는, 종래의 액정 장치에서, 1 프레임당의 서브 필드수가 4인 경우, 또한, 제0계조로부터 제15계조까지의 합계 16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의, 노멀리 블랙의 액정 소자에 대한 전압 인가 패턴이, 제k 프레임과 제k+1 프레임에 걸쳐서 도시되어 있다. 각 계조에 대응하는 식은, 그 계조를 제k 프레임 및 제k+1 프레임에 걸쳐서 표시시키는 경우에 그 액정 소자(40)에 인가되는 정(正)전압의 시간 적분값(절대값)과 부(負)전압의 시간 적분값(절대값)과의 비교식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량선 구동에서는, 액정 소자의 인가 전압의 극성은, 화소 전극에의 전위의 기입마다 반전한다. 한편, 서브 필드 구동에서는, 화소 전극에의 전위의 기입은 서브 필드마다 행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액정 장치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소자의 인가 전압의 극성이 서브 필드마다 반전하게 된다. 즉, 액정 소자의 인가 전압의 극성이 정극성(+)의 서브 필드와 액정 소자의 인가 전압의 극성이 부극성(-)의 서브 필드가 교대로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 제k 프레임 내의 어느 서브 필드에 관한 극성과, 그 서브 필드와 동일한 길이의, 제k+1 프레임 내의 서브 필드에 관한 극성은, 1 프레임당의 서브 필드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반전의 관계로 되지만, 짝수인 경우에는 반전의 관계로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7계조에 주목한 경우, 서브 필드 SF1에 관한 인가 전압은 제k 프레임에서도 제k+1 프레임에서도 +5V이다. 따라서, 1 프레임당의 서브 필드수가 짝수인 경우에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0계조를 제외하고, 비교식이 부등식으로 되게 된다.
이것은, 제0계조를 제외하고, 직류 성분이 잔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류 성분의 잔류는 액정 소자의 열화를 빠르게 하는 요인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량선 구동과 가중치 부여 서브 필드 구동의 양방을 채용하면서, 단위 기간당의 서브 필드수가 짝수이어도,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할 수 있는 액정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은, 신호선과, 용량 전위선과,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프레임 등의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것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기입 기간에서 상기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화소 전극에 상기 신호선의 전위를 기입하고,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용량 전위선에 공급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동 방법에 따르면,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는 처리(제1 처리)가 행해지므로, 단위 기간에 포함되는 서브 필드 기간의 수를 q(짝수)로 한 경우, 용량 전위의 극성은, 각 단위 기간에서 q+1(홀수)회씩 반전한다. 즉, 인접하는 2개의 단위 기간의 사이에서, 길이가 동등한 대응하는 서브 필드 기간에서의 용량 전위의 반전 방향이 역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기간에서는, 액정 소자에의 인가 전압의 직류 성분이 상쇄된다. 즉, 이 구동 방법에 따르면,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극성 반전」이라 함은, 용량 전위가 2값의 전위를 취하는 경우에, 양방의 전위의 평균 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고전위를 정극성, 저전위를 부극성으로 하였을 때, 용량 전위를, 정극성으로부터 부극성으로 혹은 부극성으로부터 정극성으로 천이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은, 신호선과, 용량 전위선과,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프레임 등의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것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기입 기간에서 상기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화소 전극에 상기 신호선의 전위를 기입하고,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용량 전위선에 공급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기간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을 제외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동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기간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을 제외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지 않는 처리(제2 처리)가 행해지므로, 단위 기간에 포함되는 서브 필드 기간의 수를 q(짝수)로 한 경우, 용량 전위의 극성은, 각 단위 기간에서 2×q-1(홀수)회씩 반전한다. 즉, 인접하는 2개의 단위 기간의 사이에서, 길이가 동등한 대응하는 서브 필드 기간에서의 용량 전위의 반전 방향이 역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단위 기간에서는, 액정 소자에의 인가 전압의 직류 성분이 상쇄된다. 즉, 이 구동 방법에 따르면,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용량 전위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의 교차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화소 회로를 구비한 액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프레임 등의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것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기입 기간마다,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선택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복수의 용량 전위선에 각각 공급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그 용량 전위선에 대응하는 행의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는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액정 장치에서는, 제1 처리가 행해지므로,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행해지는 용량 전위의 극성의 반전의 방향(푸시 방향)이 서브 필드 기간마다 다른 경우,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 인접하는 행 사이에서 화소 전극의 전위가 크게 다른 개소(도 14 참조)가 표시 영역을 주사하게 되어, 콘트라스트 저하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를 초래하지만, 제1 처리에서는, 푸시 방향이, 임의의 단위 기간의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과, 다음 단위 기간의 최초의 서브 필드 기간과의 사이에서 일치하므로, 상기의 개소에 의한 주사의 횟수가 감소한다. 즉, 이 액정 장치에 따르면,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액정 장치라도, 하나의 프레임에 주목하면, 직류 성분이 잔류한다. 그러나, 제1 처리에서는, 푸시 방향이 원칙적으로 서브 필드 기간마다 반전하기 때문에, 하나의 단위 기간에 주목한 경우라도, 잔류하는 직류 성분의 최대값(절대값)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액정 소자의 열화의 억제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액정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용량 전위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의 교차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화소 회로를 구비한 액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프레임 등의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것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기입 기간마다,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선택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복수의 용량 전위선의 각각에 공급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기간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을 제외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지 않는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액정 장치에서는, 제2 처리가 행해지므로,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처리에서는, 푸시 방향이 단위 기간 내에서 공통으로 되므로, 인접하는 행 사이에서 화소 전극의 전위가 크게 다른 개소(도 14 참조)에 의한 주사의 횟수가 대폭 감소한다. 따라서, 이 액정 장치에 따르면, 표시 품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액정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용량 전위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의 교차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화소 회로를 구비한 액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프레임 등의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것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기입 기간마다,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선택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복수의 용량 전위선의 각각에 공급하는 제1 처리와 제2 처리 중 한쪽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그 용량 전위선에 대응하는 행의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제2 처리는,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기간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을 제외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액정 장치에서는, 제1 처리 또는 제2 처리가 행해지므로,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액정 장치에는,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에 실행되는 처리가, 표시하는 화상의 종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액정 장치도 포함된다. 그와 같은 액정 장치로서는, 소부가 생기기 어려운 동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2 처리를 실행하고, 소부가 생기기 쉬운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1 처리를 실행하는 액정 장치나, 소부가 생기기 어려운 자연 화상(예를 들면 사진)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2 처리를 실행하고, 소부가 생기기 쉬운 컴퓨터 그래픽(예를 들면 메뉴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1 처리를 실행하는 액정 장치를 예시 가능하다.
그런데, 제1 처리로서는,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한 후의 시점이며,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의 종료로부터 상기 기입 기간의 길이만큼 전의 시점으로부터,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의 종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는 처리가 바람직하다. 이 처리에 따르면, 재차 반전에 의한 계조 표시의 정밀도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처리로서는,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기간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을 제외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한 후의 시점이며, 그 서브 필드 기간의 종료로부터 상기 기입 기간의 길이만큼 전의 시점으로부터,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는 처리가 바람직하다. 이 처리에 따르면, 재차 반전에 의한 계조 표시의 정밀도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각 액정 장치에서, 제1 극성 신호와 제2 극성 신호를 생성하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는, 그 용량 전위선의 행보다 1행 전의 행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신호로 지정되는 기입 기간에서는, 제1 극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위측 전위와 상기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상기 용량 전위로서 선택하고, 그 행의 기입 기간에서는, 직전의 용량 전위를 유지하고, 그 용량 전위선의 행보다 1행 후의 행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신호로 지정되는 기입 기간에서는, 제2 극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위측 전위와 상기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상기 용량 전위로서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액정 장치에 따르면, 제1 극성 신호와 제2 극성 신호를 적절하게 정하는 것만으로, 용량 전위를 적절하게 변동시킬 수 있다.
이 액정 장치의 구성으로서는, 상기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가, 상기 복수의 용량 전위선의 각각에 설치된 샘플링 회로와, 상기 샘플링 회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위측 전위와 상기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링 회로는, 상기 제1 극성 신호가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가 제1 노드와 접속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노드가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극성 신호가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는 제3 스위치와, 상기 제1 노드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출력 단자에 제2 노드가 접속되는 버퍼 회로와, 상기 제2 노드와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고 다른 쪽의 단자가 상기 제2 스위치의 다른 쪽의 단자와 접속되는 제4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와의 제어 단자에는, 그 용량 전위선의 행보다 1행 전의 행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는 배타적으로 온 상태로 되고,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는, 그 용량 전위선의 행보다 1행 후의 행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는 배타적으로 온 상태로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주사선의 선택 방향이 절환되어도, 제1 극성 신호와 제2 극성 신호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용량 전위를 적절하게 변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의 액정 장치에,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선택 방향에 동기하여 상기 제1 극성 신호 및 상기 제2 극성 신호를 교체하는 극성 신호 공급 회로를 설치하면,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는, 복수의 주사선의 선택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의 공급을 받지 않아도, 복수의 주사선의 선택 방향에 동기하여 용량 전위를 변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각 액정 장치는 각종의 전자 기기에 이용된다. 전자 기기의 전형예는, 액정 장치를 표시 장치로서 이용한 기기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기나 휴대 정보 단말기가 본 발명의 전자 기기로서 예시된다. 또한,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변조하는 광 변조체로서 이상의 각 양태의 액정 장치를 이용한 투사형 표시 장치도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개념에 포함된다. 투사형 표시 장치는, 광선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변조하는 이상의 각 양태의 액정 장치와, 액정 장치에 의한 변조 광을 투사면에 투사하는 광학계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액정 장치(100) 내의 화소 회로 PIX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3은 화소 회로 PIX의 동작(기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화소 회로 PIX의 동작(극성 반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액정 장치(100) 내의 신호선 구동 회로(2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액정 장치(100) 내의 단위 회로 R[m]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단위 회로 R[m]의 동작(제m-1행 선택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단위 회로 R[m]의 동작(제m행 선택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단위 회로 R[m]의 동작(제m+1행 선택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단위 회로 R[m]의 동작(제m+1행의 다음 행 선택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단위 회로 R[m]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액정 장치(100)의 각 부의 전위의 변동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13은 액정 장치(100)의 이점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4는 액정 장치(100)의 다른 이점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액정 장치(200)의 각 부의 전위의 변동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17은 액정 장치(200)의 다른 이점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4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액정 장치(400) 내의 주사선 구동 회로(7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1은 액정 장치(400) 내의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22는 액정 장치(400)의 각 부의 전위의 변동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5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4는 액정 장치(500)의 각 부의 전위의 변동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자 기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자 기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종래의 액정 장치의 결점을 도시하는 개념도.
<1: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액정 장치(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체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되는 액정 장치이며, 복수의 화소 회로 PIX가 평면 형상으로 배열된 소자부(표시 영역)(10)와, 각 화소 회로 PIX를 교류 구동하는 구동 회로(20)와, 구동 회로(20)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30)를 구비한다. 구동 회로(20)는, 주사선 구동 회로(21)와 신호선 구동 회로(22)와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를 구비한다.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상기의 교류 구동에서는, 각 화소 회로 PIX에 포함되는 액정 소자의 인가 전압의 극성(정극성/부극성)이 서브 필드 단위로 반전할 수 있다.
소자부(10)에는, X 방향으로 연장하는 M개의 주사선(11)과, X 방향에 교차하는 Y 방향으로 연장하는 N개의 신호선(12)이 형성된다(M 및 N은 2 이상의 자연수). 복수의 화소 회로 PIX는, 각 주사선(11)과 각 신호선(12)과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세로 M행×가로 N열의 행렬 형상으로 배열된다. 또한, 소자부(10)에는, 각 주사선(11)에 대응하여 X 방향으로 연장하는 M개의 용량 전위선(13)이 형성된다.
제어 회로(30)는, 액정 장치(100)의 동작을 규정하는 각종의 신호나 전위를 생성하여 구동 회로(20)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30)는, 제1 클럭 신호 CLK1과, 제1 개시 펄스 SP1을 생성하여 주사선 구동 회로(21)에 공급하고, 화상 신호 DATA와, 제2 개시 펄스 SP2와, 제2 클럭 신호 CLK2와, 래치 펄스 LP를 생성하고, 신호선 구동 회로(22)에 공급하고, 고위측 전위 VcomH(1.25V) 및 저위측 전위 VcomL(-1.25V)을 생성하여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하고, 공통 전위 LCCOM(0V)을 생성하여 공통 전극(42)에 공급한다.
제1 개시 펄스 SP1은, 일정 주기의 펄스이며, 그 전위는, 각 주기에서, 선두의 일정 길이의 기간에서는 액티브 레벨(온 전위 Von)을 유지하고, 다른 기간에서는 비액티브 레벨(오프 전위 Voff)을 유지한다. 제1 개시 펄스 SP1의 주기는, 각 화소 회로 PIX가 화소의 계조를 표시하는 단위 기간(프레임)의 길이와 일치한다. 화상 신호 DATA에서는, 각 화소 회로 PIX의 액정 소자의 계조(백계조/흑계조)를 지정하는 계조 데이터가, 행마다 오름 차순으로 늘어서고, 각 행에서는 열마다 오름 차순으로 늘어선다.
또한, 제어 회로(30)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를 구비한다.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는,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을 지정하는 제1 극성 신호 POL1 및 제2 극성 신호 POL2를 생성하고,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한다. 극성 신호 POL1 및 극성 신호 POL2는 전압 신호이며, 각 신호의 전위는, 정전위인 VH와 VH의 극성을 반전한 VL와의 사이에서 천이한다. 이 예에서는, 극성 신호 POL1의 전위와 극성 신호 POL2의 전위는, 항상 극성이 반대이다. 즉,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H일 때에는, 극성 신호 POL2의 전위는 VL이며,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L일 때에는, 극성 신호 POL2의 전위는 VH이다.
주사선 구동 회로(21)는, M개의 주사선(11)을, 제1행으로부터 제M행에의 방향(순방향)으로, 소정의 기간(이하 「기입 기간」이라고 말함)마다 순차 선택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21)는, 예를 들면 M+2단의 시프트 레지스터이며, 제1 개시 펄스 SP1을 제1 클럭 신호 CLK1로 지정되는 타이밍에서 다음 단에 전송함으로써 주사 신호 G[0]∼G[M+1]을 생성하고, 그 중의 주사 신호 G[1]∼G[M]을 각 주사선(11)에 출력함으로써, 상기의 선택을 행한다.
또한, 주사 신호 G[0] 및 G[M+1]은, 주사선(11)에 출력되는 일이 없는 더미 신호이며,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된다. 이후, 주사 신호 G[0]∼G[M+1] 중, 주사 신호 G[0]만이 온 전위 Von의 기간을 「기입 기간 H[0]」이라고 부르고, 주사 신호 G[M+1]만이 온 전위 Von의 기간을 「기입 기간 H[m+1]」이라고 부른다.
신호선 구동 회로(22)는, 주사선 구동 회로(21)에 의한 각 주사선(11)의 선택에 동기하여, N개의 신호선(12)의 전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신호 DATA와 제2 개시 펄스 SP2와 제2 클럭 신호 CLK2와 래치 펄스 LP에 기초하여, 기입 기간 H[m]에서, 제m행의 각 화소 회로 PIX의 액정 소자의 계조(백계조/흑계조)를 지정하는 계조 신호 S[1]∼S[N]을, 각 신호선(12)에 공급한다.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는, 제1 전위 VdataH(2.5V)와 제2 전위 VdataL(-2.5V) 중 어느 한쪽이다.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는, 주사선 구동 회로(21)에 의한 각 주사선(11)의 선택에 동기하여, M개의 용량 전위선(13)의 전위(이하 「용량 전위」라고 말함) Vcom[1]∼Vcom[M]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사 신호 G[0]∼G[M+1]과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에 기초하여, 용량 전위선(13)마다 고위측 전위 VcomH 및 저위측 전위 VcomL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한 전위를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에 공급한다.
도 2는, 각 화소 회로 PIX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에서는, 제m행(m=1∼M) 제n열(n∼1∼N)에 위치하는 1개의 화소 회로 PIX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회로 PIX는, 액정 소자(40)와 선택 스위치 TSL과 축적 용량 CS를 구비한다. 선택 스위치 TSL은, 예를 들면 소자 기판의 면 상에 형성된 임의의 도전형의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제m행의 각 화소 회로 PIX에서의 선택 스위치 TSL의 게이트는, 제m행에 대응하는 주사선(11)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액정 소자(40)은, 화소 전극(41)과 공통 전극(대향 전극)(42)과 양쪽 전극 사이의 액정(43)으로 구성되는 액정 소자이다. 화소 전극(41)은, 소자 기판(도시 생략)의 면 상에 화소 회로 PIX마다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공통 전극(42)은, 소자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도시 생략)의 면 상에 복수의 화소 회로 PIX에 걸쳐서 공통으로 형성된다(도 1 참조). 공통 전극(42)에는, 고정의 공통 전위 LCCOM(0V)이 공급된다. 화소 전극(41)과 공통 전극(42)과의 사이의 액정(43)은, 양쪽 전극 사이의 전압에 따라서 계조(투과율이나 반사율)가 변화한다. 액정(43)은, 수직 배향형(VA(Vertical Alignment))으로 설정되고, 화소 전극(41)과 공통 전극(42)과의 사이의 전압이 0V인 경우에 최저 계조(흑계조)로 되는 노멀리 블랙 모드로 동작한다.
제n열의 각 화소 회로 PIX의 선택 스위치 TSL은, 화소 전극(41)과 제n열의 신호선(12)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양자의 전기적인 접속(도통/비도통)을 제어한다. 제m행의 각 화소 회로 PIX의 축적 용량 CS는, 화소 전극(41)과 제m행에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의 사이에 개재하는 용량 소자이다. 구체적으로는, 축적 용량 CS는, 화소 전극(41)에 접속된 전극 EA1과 용량 전위선(13)에 접속된 전극 EA2와 양쪽 전극 사이의 유전체로 구성된다. 축적 용량 CS는, 화소 전극(41)의 전위(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를 유지하는 기능과, 용량 전위 Vcom[m]에 따라서 화소 전극(41)의 전위를 변동시키는 결합 용량의 기능을 겸비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용량 전위 Vcom[m]은, 정전위인 고위측 전위 VcomH와 고위측 전위 VcomH의 극성을 반전한 전위인 저위측 전위 VcomL과의 사이에서 천이하고, 주사선(11)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신호 G[m]의 전위는, 선택 스위치 TSL을 온 상태로 하는 온 전위 Von과 선택 스위치 TSL을 오프 상태로 하는 오프 전위 Voff와의 사이에서 천이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서는, 주사 신호 G[m]의 전위가 Von의 기간(제m행의 기입 기간 H[m])에서, 선택 스위치 TSL이 온 상태로 되고, 계조 신호 S[n]이 화소 전극(41)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로 천이한다.
그리고, 주사 신호 G[m]의 전위가 Von으로부터 Voff로 천이하고, 기입 기간 H[m]이 종료된 후에,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m행의 각 화소 회로 PIX에서는, 전극 EA2의 전위가, VcomL로부터 VcomH로, 또는 VcomH로부터 VcomL로 변화하고, 이에 수반하여, 전극 EA1의 전위가 Vdata로부터 VcomH-VcomL만큼 상하(上下)한다. 따라서,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Vdata+(VcomH-VcomL) 또는 Vdata-(VcomH-VcomL)로 되고, 이것이,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으로 된다. 또한 실제로는 축적 용량 CS와 액정 용량, 및 화소 전극(41)에 기생하는 용량간에서 전하의 재분배가 행해지므로, 단순히 VcomH-VcomL이 화소 전극 전위의 변동량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상기 전하 재분배의 점은 단순화하고 있다. 이 단순화는 본 발명의 본질을 손상시키는 것은 아니다.
VcomH-VcomL=1.25V+1.25V=5V>0V이므로, 결국,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은, Vdata=VdataH 또한 Vp=Vdata+(VcomH-VcomL)의 경우에는, VdataH보다도 높아지고, Vdata=VdataL 또한 Vp=Vdata-(VcomH-VcomL)의 경우에는, VdataL보다도 낮아진다. 즉, 화소 회로 PIX는, 액정 소자(40)가 교류 구동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적절하게 구동됨으로써, Vdata의 진동폭(절대값)을 좁게 하면서(VdataH로 하면서),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진동폭(절대값)을 넓게 하는 것(VdataH+(VcomH-VcomL)로 하는 것), 즉 구동 회로(20)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하면서 콘트라스트를 올릴 수 있다.
도 5는, 신호선 구동 회로(2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선 구동 회로(22)는, N단의 시프트 레지스터(211)와 제1 래치 회로(212)와 제2 래치 회로(213)를 구비한다. 시프트 레지스터(211)는, 제2 개시 펄스 SP2를 제2 클럭 신호 CLK2로 지정되는 타이밍에서 다음 단에 전송함으로써, 기입 기간 H[m] 내에서, N계통의 선택 신호 SEL[1]∼SEL[N]을 순차 액티브하게 설정한다. 제1 래치 회로(212)는, 선택 신호 SEL[n]이 액티브하게 설정된 시점에서 제어 회로(30)로부터 공급되어 있는 화상 신호 DATA를 취득하여 유지하고,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를 계조 데이터 D[n]으로서 출력한다. 즉, 계조 데이터 D[1]∼D[N]이 점 순차로 제1 래치 회로(212)로부터 병렬로 출력된다. 제2 래치 회로(213)는, 제1 래치 회로(212)로부터 출력된 계조 데이터 D[1]∼D[N]을 취득하여 유지하고, 래치 펄스 LP로 지정된 타이밍(각 기입 기간 H[m]의 시점)에서, 계조 신호 S[1]∼S[N]으로서 일제히 출력(선 순차로 출력)한다.
기입 기간 H[m]에서 제n열의 신호선(12)에 공급되는 계조 신호 S[n]은,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서의 액정 소자(40)에 대해서 계조(흑계조/백계조)를 지정하는 전압 신호이다. 계조 신호 S[n]의 전위는, 정극성의 경우의 백계조를 지정하는 전위(제1 전위 VdataH), 부극성의 경우의 백계조를 지정하는 전위(제2 전위 VdataL), 정극성의 경우의 흑계조를 지정하는 전위(제2 전위 VdataL), 부극성의 경우의 흑계조를 지정하는 전위(구체적으로는 제1 전위 VdataH)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된다.
도 1의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는, M개의 용량 전위선(13)에 각각 대응하는 단위 회로 R[1]∼R[M]을 구비한다. 단위 회로 R[m]은, 주사 신호 G[m-1] 및 G[m+1]과,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에 기초하여, 고위측 전위 VcomH 및 저위측 전위 VcomL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한 전위를 제m행에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에 공급한다.
도 6은, 단위 회로 R[m]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회로 R[m]은, 주사 신호 G[m-1] 및 G[m+1]로 정해지는 타이밍에서,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 중 한쪽을 샘플링하고, 이 샘플링에서 얻어진 전위를 유지하고, 유지 중인 전위의 신호를 출력하는 샘플링 회로 A와, 샘플링 회로 A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저위측 전위 VcomL과 고위측 전위 VcomH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회로 B를 구비한다.
샘플링 회로 A는, 제1 스위치 SW1, 제2 스위치 SW2, 제3 스위치 SW3, 제4 스위치 SW4, 버퍼 회로 BF1 및 BF2를 구비하고, 제1 노드 N1, 제2 노드 N2 및 출력 단자를 갖는다. 제1 스위치 SW1의 한쪽의 단자에는 극성 신호 POL1이 공급되고, 제3 스위치 SW3의 한쪽의 단자에는 극성 신호 POL2가 공급된다. 제1 노드 N1에는, 제1 스위치 SW1의 다른 쪽의 단자와, 제2 스위치 SW2의 한쪽의 단자와, 제3 스위치 SW3의 다른 쪽의 단자와, 버퍼 회로 BF1의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제2 노드 N2에는, 제4 스위치 SW4의 한쪽의 단자와, 버퍼 회로 BF1의 출력 단자와, 버퍼 회로 BF2의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스위치 SW2의 다른 쪽의 단자는, 제4 스위치 SW4의 다른 쪽의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버퍼 회로 BF2의 출력 단자는, 샘플링 회로 A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단위 회로 R[m]의 샘플링 회로 A에서는, 제1 스위치 SW1과 제2 스위치 SW2의 제어 단자에는 주사 신호 G[m-1]이 공급되고, 제3 스위치 SW3과 제4 스위치 SW4의 제어 단자에는 주사 신호 G[m+1]이 공급된다. 제1 스위치 SW1과 제2 스위치 SW2는 배타적으로 온 상태로 되고, 제3 스위치 SW3과 제4 스위치 SW4는 배타적으로 온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주사 신호 G[m-1]이 온 전위 Von인 경우에는, 제1 스위치 SW1이 온 상태로 되는 한편, 제2 스위치 SW1이 오프 상태로 되고, 주사 신호 G[m-1]이 오프 전위 Voff인 경우에는, 제1 스위치 SW1이 오프 상태로 되는 한편, 제2 스위치 SW2가 온 상태로 되고, 주사 신호 G[m+1]이 온 전위 Von인 경우에는, 제3 스위치 SW3이 온 상태로 되는 한편, 제4 스위치 SW4가 오프 상태로 되고, 주사 신호 G[m+1]이 오프 전위 Voff인 경우에는,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로 되는 한편,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로 된다.
선택 회로 B는, 제5 스위치 SW5 및 제6 스위치 SW6을 구비하고,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구비한다. 제5 스위치 SW5의 한쪽의 단자에는 고위측 전위 VcomH가 공급되고, 제6 스위치 SW6의 한쪽의 단자에는 저위측 전위 VcomL이 공급된다. 선택 회로 B의 출력 단자에는, 제5 스위치 SW5의 다른 쪽의 단자와, 제6 스위치 SW6의 다른 쪽의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선택 회로 B의 입력 단자는, 샘플링 회로 A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선택 회로 B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전위가 VL인 경우, 제5 스위치 SW5는 온 상태로 되고, 제6 스위치 SW6은 오프 상태로 된다. 선택 회로 B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전위가 VH인 경우, 제5 스위치 SW5는 오프 상태로 되고, 제6 스위치 SW6은 온 상태로 된다.
여기서,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H(극성 신호 POL2의 전위가 VL)인 것으로 하여, 단위 회로 R[m]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m-1행에 대응하는 주사선(11)이 선택되면, 주사 신호 G[m-1]이 온 전위 Von으로 되고, 주사 신호 G[m+1]이 오프 전위 Voff로 되므로, 단위 회로 R[m]의 샘플링 회로 A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SW1 및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로 되고, 제2 스위치 SW2 및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극성 신호 POL1이 제1 스위치 SW1 및 노드 N1을 통하여 버퍼 회로 BF1에 공급된다. 버퍼 회로 BF1은 공급된 신호의 전위를 유지하고,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출력한다. 버퍼 회로 BF1로부터 출력된 전위는, 버퍼 회로 BF2를 통하여 단위 회로 R[m]의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여기서는,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H이므로, 단위 회로 R[m]에서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공급되는 전위는 VH로 된다. 따라서,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제5 스위치 SW5는 오프 상태로 되고, 제6 스위치 SW6은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선택 회로 B의 출력 단자로부터 저위측 전위 VcomL이 출력된다. 즉, 제m행에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에는, 저위측 전위 VcomL이 용량 전위 Vcom[m]으로서 출력된다.
다음으로 제m행에 대응하는 주사선(11)이 선택되면, 주사 신호 G[m-1] 및 G[m+1]이 오프 전위 Voff로 되므로, 단위 회로 R[m]의 샘플링 회로 A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로 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 VH가 버퍼 회로 BF2를 통하여 단위 회로 R[m]의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m행에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에는, 저위측 전위 VcomL이 Vcom[m]으로서 출력된다.
다음으로 제m+1행에 대응하는 주사선(11)이 선택되면, 주사 신호 G[m-1]이 오프 전위 Voff로 되고, 주사 신호 G[m+1]이 온 전위 Von으로 되므로, 단위 회로 R[m]의 샘플링 회로 A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3 스위치 SW3이 온 상태로 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4 스위치 SW4가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극성 신호 POL2가 제3 스위치 SW3 및 노드 N1을 통하여 버퍼 회로 BF1에 공급된다. 버퍼 회로 BF1은 공급된 신호의 전위를 유지하고,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출력한다. 버퍼 회로 BF1로부터 출력된 전위는, 버퍼 회로 BF2를 통하여 단위 회로 R[m]의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여기서는, 제2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L이므로, 단위 회로 R[m]에서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공급되는 전위는 VL로 된다. 따라서,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제5 스위치 SW5는 온 상태로 되고, 제6 스위치 SW6은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선택 회로 B의 출력 단자로부터 고위측 전위 VcomH가 출력된다. 즉, 제m행에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에는, 고위측 전위 VcomH가 용량 전위 Vcom[m]으로서 출력된다.
다음으로 제m+1행의 다음 행에 대응하는 주사선(11)이 선택되면, 주사 신호 G[m-1] 및 G[m+1]이 오프 전위 Voff로 되므로, 단위 회로 R[m]의 샘플링 회로 A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로 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 VL이 버퍼 회로 BF2를 통하여 단위 회로 R[m]의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m행에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에는, 고위측 전위 VcomH가 용량 전위 Vcom[m]으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H(극성 신호 POL2의 전위가 VL)인 경우, Vcom[m]은, 기입 기간 H[m-1]의 개시로부터 기입 기간 H[m+1]의 개시까지의 기간에서는 저위측 전위 VcomL로 되고, 기입 기간 H[m+1]의 개시로부터 다음 회의 기입 기간 H[m-1]의 개시까지의 기간에서는 고위측 전위 VcomH로 된다. 한편,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L(극성 신호 POL2의 전위가 VH)인 경우, Vcom[m]은, 기입 기간 H[m-1]의 개시로부터 기입 기간 H[m-1]의 개시까지의 기간에서는 고위측 전위 VcomH로 되고, 기입 기간 H[m+1]의 개시로부터 다음 회의 기입 기간 H[m-1]의 개시까지의 기간에서는 저위측 전위 VcomL로 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m]의 입출력 특성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단위 회로 R[m]은, 기입 기간 H[m-1]에서는, 극성 신호 POL1에 기초하여 저위측 전위 VcomL과 고위측 전위 VcomH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 Vcom[m]으로서 선택하고, 기입 기간 H[m]에서는, 직전의 용량 전위 Vcom[m]을 유지하고, 기입 기간 H[m+1]에서는, 극성 신호 POL2에 기초하여 저위측 전위 VcomL과 고위측 전위 VcomH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 Vcom[m]으로서 선택하는 회로이다.
도 12는, 액정 장치(100)의 각 부의 전위의 변동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구동 회로(20)에 의한 각 화소 회로 PIX의 구동에는 서브 필드 구동이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회로(20)는, 각 화소 회로 PIX에 대해서, 그 각 프레임을 서로 다른 길이의 4개의 서브 필드(서브 필드 기간) SF로 구성하고, 그 화소 회로 PIX의 각 프레임에서, 그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 SF에서 후술하는 3종류의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액정 소자(40)에 인가한다.
제m행의 하나의 화소 회로 PIX에 주목하면, 서브 필드 SF1, SF2, SF3, SF4의 각각에서, 기입 기간 H[m]의 종료로부터 그 서브 필드 SF의 종료까지의 사이에, 3종류의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액정 소자(40)에 인가한다. 3종류의 전압은, 액정 소자(40)의 계조를, 후술하는 정극성의 서브 필드 SF에서 백계조로 하기 위한 정전압(5V)과, 후술하는 부극성의 서브 필드 SF에서 백계조로 하기 위한 부전압(-5V)과, 흑계조로 하기 위한 0 전압(0V)이다.
또한, 구동 회로(20)는, 극성 신호 POL1 및 POL2에 기초하여, 제m행의 화소 회로 PIX의 각각에 대해서, 그 화소 회로 PIX의 각 서브 필드 SF에서, 기입 기간 H[m]이 종료되면, 용량 전위선(13)의 전위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액정 소자(40)의 화소 전극(41)의 전위를 상하시킨다. 이후, 이 반전에 의해 화소 전극(41)의 전위가 오르는 서브 필드 SF를 「정극성의 서브 필드 SF」라고 부르고, 이 반전에 의해 화소 전극(41)의 전위가 내려가는 서브 필드 SF를 「부극성의 서브 필드 SF」라고 부른다.
정극성의 서브 필드 SF를 「+」, 부극성의 서브 필드 SF를 「-」, 프레임의 경계를 「|」로 나타낼 때, 액정 장치(100)에서는, 서브 필드 SF1∼SF4는, …-+|+-+-|-+-+|+-…이라고 하는 배열로 된다. 즉,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정극성/부극성)은, 원칙적으로 서브 필드 SF마다 반전하지만, 프레임의 경계에서는 반전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 내의 각 서브 필드 SF의 시간 길이는 2진 가중의 관계(SF1:SF2:SF3:SF4=1:2:4:8)로 설정된다. 즉, 각 서브 필드 SF는 가중치 부여되어 있다. 또한, 각 액정 소자(40)는, 각 프레임에서, 제0계조(가장 어두운 흑색)로부터 제15계조(가장 밝은 백색)까지의 합계 16계조 중 어느 하나를 표시 가능하다. 이들 16계조의 각각과 액정 소자(40)에의 전압 인가 패턴과의 관계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3에는, 제0계조로부터 제15계조까지의 합계 16계조의 각각에 대해서, 그 계조를 연속해서 동일한 액정 소자(40)에 표시시키는 경우의, 제k 프레임에서의 전압 인가 패턴과, 제k+1 프레임에서의 전압 인가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기입 기간 H[m]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m행의 각 화소 회로 PIX의 선택 스위치 TSL이 온 상태로 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행의 각 화소 회로 PIX의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로 된다. 한편, N개의 신호선(12)에는, 기입 기간 H[m]에서, 제m행의 N개의 화소 회로 PIX의 액정 소자(40)의 계조(백계조/흑계조)를 각각 지정하는 계조 신호 S[1]∼S[N]이 공급된다. 따라서, 기입 기간 H[m]에서는,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의 화소 전극(41)에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가 기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n열의 신호선(12)에 공급되는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는, 제1 전위 VdataH 또는 제2 전위 VdataL이다. 제1 전위 VdataH는, 정극성의 서브 필드 SF에서는 백계조를 지정하고, 부극성의 서브 필드 SF에서는 흑계조를 지정하는 전위이다. 제2 전위 VdataL은, 부극성의 서브 필드 SF에서는 백계조를 지정하고, 정극성의 서브 필드 SF에서는 흑계조를 지정하는 전위이다.
극성 신호 POL1 및 POL2의 전위의 극성은, 원칙적으로,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 각각 반전한다. 예를 들면, 극성 신호 POL1의 전위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2에서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 VH로부터 VL로 천이하고,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3에서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 VL로부터 VH로 천이한다. 단, 각 프레임의 최초의 서브 필드 SF에서는, 상기의 반전은 행해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극성 신호 POL1은, 제k+1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에서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는 VL을 유지한다.
이후, 상기의 파형의 극성 신호 POL1 및 POL2에 기초하는 액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제1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 가능한 것을 이해하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제1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는, 동일 계조(구체적으로는 제7계조)를 표시시키기 위한 계조 신호 S[n]이 계속해서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도 1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7계조를 표시시키기 위한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는, 서브 필드 SF1, SF3 및 SF4에서는 제1 전위 VdataH(2.5V)로 되고, 서브 필드 SF2에서는 제2 전위 VdataL(-2.5V)로 된다.
(1) 제k 프레임
(1-1) 서브 필드 SF1
(1-1-1) 기입 기간 H[1]
제k 프레임은 서브 필드 SF1로부터 시작되고, 이 서브 필드 SF1은 기입 기간 H[1]로부터 시작된다.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화소 전극(41)에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가 기입된다. 이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는 VdataH이므로,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VdataH(2.5V)로 유지된다.
또한,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주사 신호 G[0] 및 G[2]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에서는,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가 공급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때, 버퍼 회로 BF1에는 VH가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용량 전위 Vcom[1]은, 저위측 전위 VcomL(-1.25V)로 유지된다.
(1-1-2) 기입 기간 H[2]
계속되는 기입 기간 H[2]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기입 기간 H[2]에서는, 주사 신호 G[0]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며, 주사 신호 G[2]의 전위가 온 전위 Von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3 스위치 SW3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4 스위치 SW4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에서는, 극성 신호 POL2의 전위 VL이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고, 이 VL이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기입 기간 H[2]의 개시 시에는, 용량 전위 Vcom[1]이 저위측 전위 VcomL로부터 고위측 전위 VcomH로 천이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VdataH로부터 VdataH+(VcomH-VcomL)로 천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V로부터, 2.5V+(1.25V+1.25V)=5V로 천이한다. 따라서, 이 기입 기간 H[2]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5V로 유지된다.
(1-1-3)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
계속되는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기간에서는, 주사 신호 G[0] 및 G[2]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에서는,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 VL이 공급된다.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기간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5V로 유지된다.
(1-1-4) 기입 기간 H[0]
계속되는 기입 기간 H[0]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는,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H로부터 VL로 천이한다. 또한, 이 기간에서는, 주사 신호 G[0]의 전위가 온 전위 Von이며, 주사 신호 G[2]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SW1 및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치 SW2 및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에서는, 극성 신호 POL1의 전위 VL이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고, 이 VL이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기입 기간 H[0]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5V로 유지된다.
(1-2) 서브 필드 SF2
(1-2-1) 기입 기간 H[1]
계속되는 서브 필드 SF2도 기입 기간 H[1]로부터 시작된다.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화소 전극(41)에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가 기입된다. 이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는 VdataL이므로,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VdataL(-2.5V)로 유지된다.
또한,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주사 신호 G[0] 및 G[2]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 VL이 공급되고,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제5 스위치 SW5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된다.
(1-2-2) 기입 기간 H[2]
계속되는 기입 기간 H[2]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기입 기간 H[2]에서는, 주사 신호 G[0]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며, 주사 신호 G[2]의 전위가 온 전위 Von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3 스위치 SW3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4 스위치 SW4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에서는, 극성 신호 POL2의 전위 VH가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고, 이 VH가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온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량 전위 Vcom[1]은, 저위측 전위 VcomL(-1.25V)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기입 기간 H[2]의 개시 시에는, 용량 전위 Vcom[1]이 고위측 전위 VcomH로부터 저위측 전위 VcomL로 천이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VdataL로부터 VdataL-(VcomH-VcomL)로 천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V로부터, -2.5V-(1.25V+1.25V)=-5V로 천이한다. 따라서, 이 기입 기간 H[2]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5V로 유지된다.
(1-2-3)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
계속되는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의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단, 단위 회로 R[1]의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는 VH이므로, 용량 전위 Vcom[1]은, 저위측 전위 VcomL(-1.25V)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기간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5V로 유지된다.
(1-2-4) 기입 기간 H[0]
계속되는 기입 기간 H[0]에서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의 기입 기간 H[0]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단, 이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는,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L로부터 VH로 천이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의 버퍼 회로 BF1에는 VH가 유지되고, 용량 전위 Vcom[1]은, 저위측 전위 VcomL(-1.25V)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기간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5V로 유지된다.
(1-3) 서브 필드 SF3
계속되는 서브 필드 SF3에서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즉,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기입 기간 H[1]에서는 VdataH(2.5V), 기입 기간 H[2]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종료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VdataH+(VcomH-VcomL)=5V로 유지되고, 용량 전위 Vcom[1]은, 기입 기간 H[1]에서는 저위측 전위 VcomL(-1.25V), 기입 기간 H[2]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종료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된다.
(1-4) 서브 필드 SF4
(1-4-1) 기입 기간 H[1]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
계속되는 서브 필드 SF4도 기입 기간 H[1]로부터 시작된다. 이 기입 기간 H[1]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2의 기입 기간 H[1]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단,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4의 기입 기간 H[1]에서의 계조 신호 S[n]의 전위 Vdata는 VdataH이므로,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이 서브 필드 SF4에서, 기입 기간 H[1]에서는 VdataH(2.5V)로 유지되고, 기입 기간 H[2]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VdataH-(VcomH-VcomL)=0V로 유지된다. 한편, 용량 전위 Vcom[1]은, 이 서브 필드 SF4에서, 기입 기간 H[1]에서는 고위측 전위 VcomH를 유지하고, 기입 기간 H[2]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저위측 전위 VcomL을 유지한다.
(1-4-2) 기입 기간 H[0]
계속되는 기입 기간 H[0]에서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2의 기입 기간 H[0]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단,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2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는,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L로부터 VH로 천이하는 것에 대해서,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4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는, 그와 같은 천이는 행해지지 않는다. 즉, 극성 신호 POL1의 전위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4를 통하여 VL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이 서브 필드 SF4의 기입 기간 H[0]에서는, 단위 회로 R[1]의 버퍼 회로 BF1에 VL이 유지되고,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를 유지한다. 즉, 이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는, 용량 전위 Vcom[1]이 저위측 전위 VcomL로부터 고위측 전위 VcomH로 천이한다.
(2) 제k+1 프레임
계속되는 제k+1 프레임에서는, 제k 프레임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단, 극성 신호 POL1 및 제1 극성 신호 POL2의 전위의 극성은, 각 프레임에서 3회씩 반전하기 때문에, 제k 프레임과 제k+1 프레임과의 사이에서는, 대응하는 서브 필드 SF의 극성이 반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가 정극성인 것에 대해서, 제k+1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는 부극성이다. 이 때문에, 제k+1 프레임에서의 용량 전위 Vcom[1] 및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제k 프레임에서의 용량 전위 Vcom[1] 및 화소 전극(41)의 전위 Vp의 극성을 각각 반전시킨 전위로 된다. 따라서, 제k+1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4의 기입 기간 H[0]에서는, 단위 회로 R[1]의 버퍼 회로 BF1에 VH가 유지된다. 이것이,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의 기입 기간 H[1]에서 단위 회로 R[1]의 버퍼 회로 BF1에 VH가 유지되어 있는 이유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 주목하였지만,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물론,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의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주사 신호 G[m-1] 및 주사 신호 G[m+1]에 기초하여 단위 회로 R[m]이 생성한 용량 전위 Vcom[m]에 따라서 변동하게 된다. 또한,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의 각 프레임은 기입 기간 H[m]로부터 개시한다.
이와 같이, 액정 장치(100)의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는, 저위측 전위 VcomL과 고위측 전위 VcomH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 Vcom[m]으로서 제m행에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에 공급하는 처리로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SF에서는, 제m행의 기입 기간 H[m]이 종료되면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반전하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SF4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된 후의 기입 기간 H[m-1]의 개시 시에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는 제1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액정 장치(100)에는, 도 13에 도시한 이점이 있다.
도 13에는, 제0계조로부터 제15계조까지의 합계 16계조의 각각에 대해서, 제k 프레임의 개시 시로부터 제k+1 프레임의 종료 시까지 상기 액정 소자(40)에 인가되는 정전압의 시간 적분값(절대값)과 부전압의 시간 적분값(절대값)과의 비교식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장치(100)에서는, 동일 계조를 연속해서 동일한 액정 소자(40)에 표시시키는 경우, 인접하는 2개의 프레임간에서, 길이가 동등한 대응하는 서브 필드 SF에서의 인가 전압의 극성이 반대로 되므로, 이들의 프레임에서, 정전압의 시간 적분값(절대값)과, 이들의 프레임에 가해지는 부전압의 시간 적분값(절대값)이 동등하게 되어, 직류 성분이 상쇄된다. 즉, 액정 장치(100)에 따르면, 직류 성분의 잔류가 회피된다.
그런데, 액정 장치(100)라도, 하나의 프레임에 주목하면, 직류 성분이 잔류한다. 단, 액정 장치(100)에서는,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행해지는 용량 전위의 극성의 반전의 방향이, 원칙적으로 서브 필드마다 반전하기 때문에, 하나의 프레임에 주목한 경우라도, 잔류하는 직류 성분의 최대값(절대값)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각 액정 소자(40)의 열화의 억제에 기여하는 이점이다.
도 14는, 액정 장치(100)의 다른 이점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 도면에는, 액정 장치(100)의 모든 화소 전극(41)의 전위 Vp의 극성의 변천이 기입 기간마다 도시되어 있다. 단, 도 14에서는,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 액정 장치(100)가 구비하는 화소 전극(41)의 수를, 4행×4열=16개로 하고 있다. 액정 장치(100)에서는, 원칙적으로,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이 서브 필드 SF마다 반전된다. 따라서, 각 서브 필드 SF에서는, 원칙적으로, 인접하는 행 사이에서 화소 전극(41)의 전위가 크게 다른 개소(도 14의 굵은 선)가 표시 영역을 주사하게 된다.
이 개소에서는, 예기치 않는 강한 전계가 열 방향(도 1의 Y 방향)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이 개소가 표시 영역을 주사함으로써, 콘트라스트 저하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가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개소에 의한 표시 영역의 주사 횟수는 적은 쪽이 좋다.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이 서브 필드 SF마다 반드시 반전하는 경우, 상기의 개소에 의한 주사는 1 프레임당 4회로 되지만, 액정 장치(100)에서는, 각 프레임의 마지막의 서브 필드 SF에서는 상기의 반전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개소에 의한 주사는 1 프레임당 3회로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의 표시 품위가 향상된다.
<2:제2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액정 장치(2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체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되는 액정 장치이며, 도 1의 액정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단, 액정 장치(200)에서는, 구동 회로(20)에 의한 교류 구동에서, 각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정극성/부극성)이, 서브 필드 단위가 아니라, 프레임 단위로 반전한다. 이 때문에, 액정 장치(200)는, 제어 회로(30) 대신에 제어 회로(50)를 구비한다.
제어 회로(50)가 제어 회로(30)와 다른 점은,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 대신에 극성 신호 생성 회로(51)를 구비하는 점이다. 극성 신호 생성 회로(51)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와 마찬가지로,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을 지정하는 극성 신호 POL1 및 POL2를 생성하고,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한다. 단, 극성 신호 생성 회로(51)가 생성하는 극성 신호 POL1 및 POL2와,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가 생성하는 극성 신호 POL1 및 POL2에서는, 전위의 극성이 반전되는 타이밍이 다르다.
도 16은, 액정 장치(200)의 각 부의 전위의 변동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회로(20)는,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정극성/부극성)을 프레임마다 반전한다. 즉, 서브 필드 SF1∼SF4는, …--|++++|----|++…이라고 하는 배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열로 하기 위해, 극성 신호 POL1 및 POL2의 전위의 극성은, 각 프레임의 최초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 각각 반전한다. 예를 들면, 극성 신호 POL1의 전위는, 제k 프레임의 최초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 VL로부터 VH로 천이하고, 제k+1 프레임의 최초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 VH로부터 VL로 천이한다.
이후, 상기의 파형의 극성 신호 POL1 및 POL2에 기초하는 액정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제1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는, 제7계조를 표시시키기 위한 계조 신호 S[n]이 계속해서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의 화소 전극(41)에 전위가 기입되는 타이밍이나 기입되는 전위에 대해서는, 액정 장치(100)와 마찬가지이므로, 간략화한 설명에 그친다.
(1) 제k 프레임
(1-1) 서브 필드 SF1
(1-1-1) 기입 기간 H[1]
제k 프레임은 서브 필드 SF1로부터 시작되고, 이 서브 필드 SF1은 기입 기간 H[1]로부터 시작된다.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VdataH(2.5V)로 유지된다. 한편,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주사 신호 G[0] 및 G[2]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회로 R[1]에서는,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가 공급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때, 버퍼 회로 BF1에는 VH가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용량 전위 Vcom[1]은 저위측 전위 VcomL(-1.25V)로 유지된다.
(1-1-2) 기입 기간 H[2]
계속되는 기입 기간 H[2]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기입 기간 H[2]에서는, 주사 신호 G[0]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며, 주사 신호 G[2]의 전위가 온 전위 Von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3 스위치 SW3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4 스위치 SW4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에서는, 극성 신호 POL2의 전위 VL이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고, 이 VL이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기입 기간 H[2]의 개시 시에는, 용량 전위 Vcom[1]이 저위측 전위 VcomL로부터 고위측 전위 VcomH로 천이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VdataH로부터 VdataH+(VcomH-VcomL)로 천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V로부터, 2.5V+(1.25V+1.25V)=5V로 천이한다. 따라서, 이 기입 기간 H[2]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5V로 유지된다.
(1-1-3)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
계속되는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기간에서는, 주사 신호 G[0] 및 G[2]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SW2 및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스위치 SW1 및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에서는,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 VL이 공급된다.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기간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5V로 유지된다.
(1-1-4) 기입 기간 H[0]
계속되는 기입 기간 H[0]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기간에서는, 주사 신호 G[0]의 전위가 온 전위 Von이며, 주사 신호 G[2]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므로, 단위 회로 R[1]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SW1 및 제4 스위치 SW4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치 SW2 및 제3 스위치 SW3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위 회로 R[1]에서는, 극성 신호 POL1의 전위 VH가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고, 이 VH가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공급된다.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용량 전위 Vcom[1]은 저위측 전위 VcomL(-1.25V)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는, 용량 전위 Vcom[1]이 고위측 전위 VcomH로부터 저위측 전위 VcomL로 천이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VdataH로부터 VdataH-(VcomH-VcomL)로 천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5V로부터, 5V-(1.25V+1.25V)=2.5V로 천이한다. 따라서, 이 기입 기간 H[0]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2.5V로 유지된다.
(1-2) 서브 필드 SF2 및 SF3
계속되는 서브 필드 SF2 및 SF3에서는, 극성 신호 POL1(극성 신호 POL2)이 전위 VH(VL)을 유지한다. 또한, 화소 전극(41)에 기입되는 계조 신호 S[n]의 전위는, 이들의 서브 필드 SF2 및 SF3의 어느 것에서도 VdataH(2.5V)이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의 서브 필드 SF2 및 SF3의 각각에서의, 화소 전극(41)의 전위 Vp의 변동은,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에서의 그 전위 Vp의 변동과 마찬가지로 된다.
(1-3)서브 필드 SF4
(1-3-1)기입 기간 H[1]
계속되는 서브 필드 SF4도 기입 기간 H[1]로부터 시작된다.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화소 전극(41)의 전위 Vp가 VdataL(-2.5V)로 유지된다. 한편, 이 기입 기간 H[1]에서는, 주사 신호 G[0] 및 G[2]의 전위가 오프 전위 Voff이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회로 R[1]에서는, 샘플링 회로 A로부터 선택 회로 B에, 버퍼 회로 BF1에 유지되어 있는 전위가 공급된다. 이 때, 버퍼 회로 BF1에는 VH가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선택 회로 B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 SW5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6 스위치 SW6이 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용량 전위 Vcom[1]은 저위측 전위 VcomL(-1.25V)로 유지된다.
(1-3-2) 기입 기간 H[2]
계속되는 기입 기간 H[2]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회로 PIX의 선택 스위치 TSL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용량 전위 Vcom[1]은, 이 기입 기간 H[2]의 개시 시에 저위측 전위 VcomL로부터 고위측 전위 VcomH로 천이하고, 이 기입 기간 H[2]에서 고위측 전위 VcomH(1.25V)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VdataH로부터 VdataH+(VcomH-VcomL)=-2.5V+(1.25V+1.25V)=0V로 천이하고, 0V로 유지된다.
(1-3-3)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
계속되는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에서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의 기입 기간 H[3]의 개시 시로부터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까지의 기간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되고,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0V로 유지된다.
(1-3-4) 기입 기간 H[0]
계속되는 기입 기간 H[0]에서는,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의 기입 기간 H[0]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단,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4의 기입 기간 H[0]의 개시 시에는, 극성 신호 POL1의 전위가 VH로부터 VL로 천이한다. 따라서, 이 기입 기간 H[0]에서는, 단위 회로 R[1]의 버퍼 회로 BF1에는 VL이 유지되고, 용량 전위 Vcom[1]은 고위측 전위 VcomH(1.25V)로 유지된다.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0V로 유지된다.
(2) 제k+1 프레임
계속되는 제k+1 프레임에서는, 제k 프레임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단, 극성 신호 POL1 및 제1 극성 신호 POL2의 전위의 극성은, 각 프레임에서 1회씩 반전하기 때문에, 제k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 SF가 정극성인 것에 대해, 제k+1 프레임의 각 서브 필드 SF는 부극성으로 된다. 이 때문에, 제k+1 프레임에서의 용량 전위 Vcom[1] 및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제k+1 프레임에서의 용량 전위 Vcom[1] 및 화소 전극(41)의 전위 Vp의 극성을 각각 반전시킨 전위로 된다. 따라서, 제k+1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4의 기입 기간 H[0]에서는, 단위 회로 R[1]의 버퍼 회로 BF1에 VH가 유지된다. 이것이, 제k 프레임의 서브 필드 SF1의 기입 기간 H[1]에서 단위 회로 R[1]의 버퍼 회로 BF1에 VH가 유지되어 있는 이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 주목하였지만,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물론,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의 화소 전극(41)의 전위 Vp는, 주사 신호 G[m-1] 및 주사 신호 G[m+1]에 기초하여 단위 회로 R[m]이 생성한 용량 전위 Vcom[m]에 따라서 변동하게 된다. 또한, 제m행 제n열의 화소 회로 PIX의 각 프레임은 기입 기간 H[m]으로부터 개시한다.
이와 같이, 액정 장치(200)의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는, 저위측 전위 VcomL과 고위측 전위 VcomH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 Vcom[m]으로서 제m행에 대응하는 용량 전위선(13)에 공급하는 처리로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SF에서는, 기입 기간 H[m]이 종료되면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반전하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SF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SF4를 제외한 서브 필드 SF(SF1, SF2, SF3)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반전한 후의 기입 기간 H[m-1]의 개시 시에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의 서브 필드 SF4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SF4가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반전하지 않는 제2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액정 장치(200)에서는, 각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이, 서브 필드 SF 단위가 아니라, 프레임 단위로 반전한다. 따라서, 액정 장치(200)에 따르면, 인접하는 2개의 프레임에서, 정전압의 시간 적분값(절대값)과, 이들의 프레임에 가해지는 부전압의 시간 적분값(절대값)이 동등하게 되어, 직류 성분이 상쇄된다. 따라서, 액정 장치(200)에 따르면,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액정 장치(200)에 따르면, 각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이 프레임 단위로 반전하므로, 화상의 표시 품위가 대폭 향상된다. 이 점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는, 액정 장치(200)의 모든 화소 전극(41)의 전위 Vp의 극성의 변천이 도시되어 있다. 단, 도 17에서는,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 액정 장치(200)가 구비하는 화소 전극(41)의 수를, 4행×4열=16개로 하고 있다. 액정 장치(200)에서는,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의 반전이 프레임마다이므로, 인접하는 행 사이에서 화소 전극(41)의 전위가 크게 다른 개소(도 17의 굵은 선)가 표시 영역을 주사하는 횟수가, 1 프레임당 1회로 된다. 이것은 1 프레임당 4회보다도 대폭 적기 때문에, 액정 장치(200)에 따르면 화상의 표시 품위가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3:제3 실시 형태>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액정 장치(3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체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되는 액정 장치이며, 액정 장치(100)와 액정 장치(200)를 조합하여 구성되고,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가, 표시하는 화상의 종류(동화상/정지 화상)에 기초하여, 액정 장치(100)가 행하는 제1 처리와 액정 장치(200)가 행하는 제2 처리 중 한쪽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 장치(300)가, 액정 장치(100) 또는 액정 장치(200)와 다른 점은, 제어 회로(30) 또는 제어 회로(50) 대신에 제어 회로(60)를 구비하는 점이다. 제어 회로(60)가 제어 회로(30) 또는 제어 회로(50)와 다른 점은,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 또는 극성 싱호 생성 회로(51) 대신에 극성 신호 생성 회로(61)를 구비하는 점과, 화상 판별 회로(62)를 새롭게 구비하는 점이다. 화상 판별 회로(62)에는, 제어 회로(60) 외의 상위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프레임마다 순차 공급된다. 1 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는, M행 N열의 화소의 각각의 계조(제0계조∼제15계조)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화상 판별 회로(62)는, 복수 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프레임 버퍼를 구비하고, 이 프레임 버퍼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프레임간에서 대응하는 화소마다 계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따른 종류 지정 신호 Z를 극성 신호 생성 회로(61)에 공급한다. 종류 지정 신호 Z는, 화상의 종류를 지정하는 신호이며, 인접하는 프레임간에서 모든 화소에 대해서 계조가 일치한 경우에는 정지 화상을, 그 밖의 경우에는 동화상을 지정한다.
극성 신호 생성 회로(61)는, 공급된 종류 지정 신호 Z에 기초하여, 극성 신호 POL1 및 POL2를 생성하고,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61)는, 동화상을 지정하는 종류 지정 신호 Z가 공급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한 파형의 극성 신호 POL1 및 POL2를 생성하고, 정지 화상을 지정하는 종류 지정 신호 Z가 공급된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파형의 극성 신호 POL1 및 POL2를 생성한다. 또한, 극성 신호 생성 회로(61)의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 51)를 포함하고, 이들의 회로 중, 공급된 종류 지정 신호 Z에 따른 회로만을 액티브로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액정 장치(300)에 따르면, 소부가 생기기 쉬운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잔류하는 직류 성분의 최대값(절대값)의 억제에 바람직한 제1 처리가 행해지고, 소부가 생기기 어려운 동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시 품위의 향상에 바람직한 제2 처리가 행해지므로, 액정 장치(200)와 동등한 표시 품위를 달성하면서, 액정 장치(200)보다도 각 액정 소자(4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4:제4 실시 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4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액정 장치(4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체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되는 액정 장치이며, 도 1의 액정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단, 액정 장치(400)에서는,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을, 액정 장치(100)에서의 선택 방향인 순방향과, 순방향과는 반대의 역방향과의 사이에서 절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정 장치(400)는, 주사선 구동 회로(21) 및 제어 회로(30) 대신에, 선택 방향(순방향/역방향)을 지정하는 선택 방향 신호 DR에 기초하여 선택 방향을 절환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71)와, 주사선 구동 회로(71)에 선택 방향 신호 DR을 공급하는 제어 회로(70)를 구비한다. 또한, 선택 방향 신호 DR은, 제어 회로(70) 내에서 생성되어도 되고, 제어 회로(70) 외의 상위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로부터 제어 회로(70)에 공급되어도 된다.
도 20은, 주사선 구동 회로(7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선 구동 회로(71)는, 스위치 SW7 및 SW8과, 스위치 SW7을 통하여 개시 펄스 SP1이 공급되는 M+2단의 제1 시프트 레지스터(711)와, 스위치 SW8을 통하여 개시 펄스 SP1이 공급되는 M+2단의 제2 시프트 레지스터(712)를 구비한다. 제1 시프트 레지스터(711)는, 공급된 개시 펄스 SP1을 클럭 신호 CLK1로 지정되는 타이밍에서 순방향의 다음 단에 전송한다. 제2 시프트 레지스터(712)는, 공급된 개시 펄스 SP1을 클럭 신호 CLK1로 지정되는 타이밍에서 역방향의 다음 단에 전송한다.
스위치 SW7은, 선택 방향 신호 DR이 순방향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온 상태로 되고, 역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로 된다. 스위치 SW8은, 선택 방향 신호 DR이 순방향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로 되고, 역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개시 펄스 SP1은, 선택 방향 신호 DR이 순방향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제1 시프트 레지스터(711)에서 시프트되고, 선택 방향 신호 DR이 역방향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제2 시프트 레지스터(712)에서 시프트된다. 그리고, 개시 펄스 SP1을 시프트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각 단의 전위가, 주사 신호 G[0]∼G[M+1]의 전위로 된다.
따라서, 액정 장치(400)에서는,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은, 선택 방향 신호 DR이 순방향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순방향으로 되고, 선택 방향 신호 DR이 역방향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된다. 한편, 제어 회로(70)가 제어 회로(30)와 다른 점으로서는, 주사선 구동 회로(71)에 선택 방향 신호 DR도 공급하는 점 외에,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에는 화상 신호 DATA에서의 계조 데이터의 배열을 열마다 내림 차순으로 하는 점과,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를 새롭게 구비하는 점이 있다.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는,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에 동기하여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를 교체하는 것이며,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에서 생성된 극성 신호 POL1 및 POL2는,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를 통하여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된다.
도 21은,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는, 스위치 SW9∼SW12를 구비하고, 노드 N3∼N6을 갖는다. 노드 N3과 노드 N5는 스위치 SW9를 통하여 접속되고, 노드 N4와 노드 N6은 스위치 SW11을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노드 N3은, 스위치 SW12를 통하여 노드 N6과 접속되고, 노드 N4와 노드 N5는, 스위치 SW10을 통하여 접속된다.
노드 N3에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로부터 극성 신호 POL1이 공급되고, 노드 N4에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로부터 극성 신호 POL2가 공급된다. 또한,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는, 노드 N5에 공급되는 신호를 극성 신호 POL1로서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하고, 노드 N6에 공급되는 신호를 극성 신호 POL2로서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한다.
또한,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에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가 공급된다. 스위치 SW9 및 SW11은, 공급된 선택 방향 신호 DR이 순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온 상태로 되고, 역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로 된다. 한편, 스위치 SW10 및 SW12는, 공급된 선택 방향 신호 DR이 순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로 되고, 역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온 상태로 된다.
즉, 순방향을 나타내는 선택 방향 신호 DR이 공급되면, 스위치 SW9∼SW12 중, 스위치 SW9 및 SW11만이 온 상태로 되고, 노드 N3과 노드 N5가 도통함과 함께 노드 N4와 노드 N6이 도통하므로,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로부터 공급된 극성 신호 POL1을 극성 신호 POL1로서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하고,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로부터 공급된 극성 신호 POL2를 극성 신호 POL2로서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한다.
한편, 역방향을 나타내는 선택 방향 신호 DR이 공급되면, 스위치 SW9∼SW12 중, 스위치 SW10 및 SW12만이 온 상태로 되고, 노드 N3과 노드 N6이 도통함과 함께 노드 N4와 노드 N5가 도통하므로, 극성 신호 공급 회로(72)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로부터 공급된 극성 신호 POL1을 극성 신호 POL2로서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하고,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로부터 공급된 극성 신호 POL2를 극성 신호 POL1로서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한다.
즉,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서는, M개의 주사선(11)이 순방향으로 선택되는 경우와, 역방향으로 선택되는 경우에서,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가 교체된다. 즉,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되는 극성 신호 POL1 및 POL2의 파형은, M개의 주사선(11)이 순방향으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되고, 역방향으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된다.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 내의 단위 회로 R[m]의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기 때문에,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도,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에 적합한 용량 전위 Vcom[m]이 얻어진다. 이것이,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에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를 교체하는 이유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액정 장치(400)에는, 액정 장치(100)의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을 순방향과 역방향과의 사이에서 절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점이,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에 동기하여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얻어진다고 하는 것도, 액정 장치(400)의 이점이다.
<5:제5 실시 형태>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5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액정 장치(5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체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되는 액정 장치이며, 도 19의 액정 장치(4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단, 액정 장치(500)에서는, 액정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구동 회로(20)에 의한 교류 구동에서, 각 액정 소자(40)의 인가 전압의 극성(정극성/부극성)이, 서브 필드 단위가 아니라, 프레임 단위로 반전한다. 이 때문에, 액정 장치(500)는, 제어 회로(70) 대신에 제어 회로(80)를 구비한다. 제어 회로(80)가 제어 회로(70)와 다른 점은, 극성 신호 생성 회로(31) 대신에 극성 신호 생성 회로(51)를 구비하는 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액정 장치(500)의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에 공급되는 극성 신호 POL1 및 POL2의 파형은, M개의 주사선(11)이 순방향으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되고, 역방향으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된다.
따라서, 액정 장치(500)에는, 액정 장치(200)의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을 순방향과 역방향과의 사이에서 절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점이,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에 동기하여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얻어진다고 하는 것도, 액정 장치(500)의 이점이다.
<6:변형예>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해진다. 구체적인 변형의 양태를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의 예시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2 이상의 양태는 병합될 수 있다.
(1) 변형예 1
상술한 제3 실시 형태를 변형하여,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과 동기하여, 극성 신호 POL1과 극성 신호 POL2를 교체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제3 및 제4 실시 형태를 조합하여도 되고, 상술한 제3 및 제5 실시 형태를 조합하여도 된다.
(2) 변형예 2
상술한 제3 실시 형태를 변형하고, 표시하는 화상의 종류(동화상/정지 화상)를 지정하는 종류 지정 신호 Z가, 제어 회로(60) 외의 상위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로부터 공급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종류 지정 신호 Z가 지정하는 종류를, 동화상/정지 화상 이외의 것으로 하여도 된다. 즉, 종류 지정 신호 Z를, 메뉴 화상과 같은 컴퓨터 그래픽과 사진과 같은 자연 화상의 한쪽을 지정하는 신호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소부가 생기기 쉬운 것은 자연 화상보다도 컴퓨터 그래픽의 쪽이므로, 컴퓨터 그래픽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잔류하는 직류 성분의 최대값(절대값)의 억제에 바람직한 제1 처리를 행하고, 자연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시 품위의 향상에 바람직한 제2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변형예 3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내의 서브 필드 SF의 수를 4로 하고, 프레임에서 표시 가능한 계조수를 16으로 하고, 하나의 프레임 내의 각 서브 필드 SF의 시간 길이를 2진 가중의 관계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프레임 내의 서브 필드 SF의 수는 짝수가 아니면 안되며, 프레임 내의 서브 필드의 길이(가중치)는 다른 것을 포함해야만 한다. 프레임 내의 서브 필드 SF의 수가 홀수인 경우나, 프레임 내의 서브 필드의 길이가 서로 동등한 경우에는, 제1 처리나 제2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직류 성분의 잔류를 회피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프레임 내의 서브 필드 SF의 수를 q(짝수)로 한 경우,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은, 제1 처리에서는, 각 프레임에서 q+1(홀수)회씩 반전하고, 제2 처리에서는, 각 프레임에서 2×q-1(홀수)회씩 반전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 이외의 기간을 단위 기간으로 하여도 된다.
(4) 변형예 4
화소 회로 PIX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용량 소자나 스위치 등의 회로 요소를 화소 회로 PIX에 추가하여도 되고, 액정 소자(40)로서, 인가 전압이 0V인 경우에 계조가 최고(백색)로 되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액정 소자를 채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전위 LCCOM=0V, VdataH=2.5V, VdataL=-2.5V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LCCOM=2.5V, VdataH=5V, VdataL=0V로 하여도 된다.
(5) 변형예 5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고위측 전위 VcomH=1.25V, 저위측 전위 VcomL=-1.25V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 변형예 6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극성 신호 POL1 및 POL2는 전위에 대해서 반전의 관계에 있지만, 액정 장치의 구성에 따라서는, 반전 이외의 관계로 하여도 된다. 다른 면에서 보면,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는, 극성 신호 POL1 및 POL2를 적절하게 정함으로써, 다양한 구성의 액정 장치(예를 들면 각 행에 대응하는 주사선이 복수개인 액정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7) 변형예 7
제1, 제3 및 제4 실시 형태의 각각에서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가 행하는 제1 처리는, 서브 필드 SF4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된 후의 기입 기간 H[m-1]의 개시 시에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고 하는 처리이므로, 재차 반전을 다음 기입 기간 H[m]의 개시 전에 확실하게 완료하는 것과, 재차 반전에 의한 계조 표시의 정밀도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하는 것을 양립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처리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완료의 확실성보다도 정밀도 저하의 억제를 중시하고, 서브 필드 SF4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된 후의 기입 기간 H[m-1]에서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고 하는 처리로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정밀도 저하의 억제보다도 완료의 확실성을 중시하고, 서브 필드 SF4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되고 나서 기입 기간 H[m-1]의 개시까지의 기간에서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고 하는 처리로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완료의 확실성도 정밀도 저하의 억제도 고려하지 않고, 서브 필드 SF4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SF4의 종료까지의 기간에서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고 하는 처리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제2, 제3 및 제5 실시 형태의 각각에서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23)가 행하는 제2 처리는, 서브 필드 SF1, SF2 및 SF3의 각각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반전한 후의 기입 기간 H[m-1]의 개시 시에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고 하는 처리이므로, 재차 반전을 다음 기입 기간 H[m]의 개시 전에 확실하게 완료하는 것과, 재차 반전에 의한 계조 표시의 정밀도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하는 것을 양립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처리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완료의 확실성보다도 정밀도 저하의 억제를 중시하고, 서브 필드 SF1, SF2 및 SF3의 각각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된 후의 기입 기간 H[m-1]에서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고 하는 처리로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정밀도 저하의 억제보다도 완료의 확실성을 중시하고, 서브 필드 SF1, SF2 및 SF3의 각각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되고 나서 기입 기간 H[m-1]의 개시까지의 기간에서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고 하는 처리로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완료의 확실성도 정밀도 저하의 억제도 고려하지 않고, 서브 필드 SF1, SF2 및 SF3의 각각에서는,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이 반전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SF의 종료까지의 기간에서 용량 전위 Vcom[m]의 극성을 재차 반전한다고 하는 처리로 하여도 된다.
또한, 기입 기간 H[0]∼H[M+1]의 각각의 길이는 공통이며, 기입 기간 H[m-1]이 종료되면 기입 기간 H[m]이 개시되므로, 기입 기간 H[0]∼H[M+1]의 각각의 길이를 W로 하였을 때, 서브 필드 SF에서의 기입 기간 H[m-1]의 개시 시는, 그 서브 필드 SF의 종료로부터 W만큼 전의 시점이기도 하고, 그 기입 기간 H[m-1]의 종료 시는, 그 서브 필드 SF의 종료 시점이기도 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M개의 주사선(11)의 선택 방향이 순방향인 경우의 설명이다. 이 선택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에는, 이상의 설명에서 「H[m-1]」을 「H[m+1]」이라고 바꿔 읽으면 된다.
<7:응용예>
다음으로, 이상의 각 양태에 따른 액정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 내지 도 27에는, 액정 장치를 표시 장치(600)로서 채용한 전자 기기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는, 표시 장치(600)를 채용한 가반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퍼스널 컴퓨터(2000)는,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600)와, 전원 스위치(2001)나 키보드(2002)가 설치된 본체부(2010)를 구비한다.
도 26은, 표시 장치(600)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과,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600)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을 조작함으로써, 표시 장치(600)에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 스크롤된다.
도 27은, 표시 장치(600)를 적용한 휴대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정보 휴대 단말기(4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4001) 및 전원 스위치(4002)와,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600)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4002)를 조작하면, 주소록이나 스케줄부 등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 장치(600)에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 25 내지 도 27에 예시한 기기 외에, 프로젝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 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카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져, 전자 수첩, 전자 페이퍼,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영상 전화, POS 단말기,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비디오 플레이어,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 액정 장치
10 : 소자부
11 : 주사선
12 : 신호선
13 : 용량 전위선
20 : 구동 회로
21, 71 : 주사선 구동 회로
22 : 신호선 구동 회로
23 : 용량선 구동 회로
30, 50, 60, 70, 80 : 제어 회로
31, 51, 61 : 극성 신호 생성 회로
41 : 화소 전극
42 : 공통 전극
40 : 액정 소자
62 : 화상 판별 회로
72 : 극성 신호 공급 회로
A : 샘플링 회로
B : 선택 회로
BF1, BF2 : 버퍼 회로
CS : 축적 용량
N1 : 제1 노드
N2 : 제2 노드
PIX : 화소 회로
POL1 : 제1 극성 신호
POL2 : 제2 극성 신호
R[1]∼R[M] : 단위 회로
SW1 : 제1 스위치
SW2 : 제2 스위치
SW3 : 제3 스위치
SW4 : 제4 스위치
TSL : 선택 스위치
600 : 표시 장치

Claims (9)

  1. 신호선과, 용량 전위선과,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기입 기간에서 상기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화소 전극에 상기 신호선의 전위를 기입하고,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용량 전위선에 공급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
  2. 신호선과, 용량 전위선과,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기입 기간에서 상기 선택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화소 전극에 상기 신호선의 전위를 기입하고,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용량 전위선에 공급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기간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을 제외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의 구동 방법.
  3.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용량 전위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의 교차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화소 회로를 구비한 액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기입 기간마다,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선택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복수의 용량 전위선에 각각 공급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그 용량 전위선에 대응하는 행의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는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4.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용량 전위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의 교차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화소 회로를 구비한 액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기입 기간마다,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선택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복수의 용량 전위선의 각각에 공급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기간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을 제외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지 않는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5.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용량 전위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의 교차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화소 회로를 구비한 액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위가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용량 전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축적 용량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단위 기간을, 서로 다른 길이의 서브 필드 기간을 포함하는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으로 구성하고, 상기 짝수의 서브 필드 기간의 각각에 포함되는 기입 기간에서, 제1 전위와 제2 전위 중의 어느 것인가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기입 기간마다, 상기 복수의 주사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선택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저위측 전위와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용량 전위로서 상기 복수의 용량 전위선의 각각에 공급하는 제1 처리와 제2 처리 중 한쪽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선에 대응하는 행의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제2 처리는,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각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기입 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상기 단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필드 기간 중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을 제외한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재차 반전하고, 상기 마지막의 서브 필드 기간에서는,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고 나서 그 서브 필드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상기 용량 전위의 극성을 반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극성 신호와 제2 극성 신호를 생성하는 극성 신호 생성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는,
    상기 용량 전위선의 행보다 1행 전의 행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신호로 지정되는 기입 기간에서는, 제1 극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위측 전위와 상기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상기 용량 전위로서 선택하고,
    상기 행의 기입 기간에서는, 직전의 용량 전위를 유지하고,
    상기 용량 전위선의 행보다 1행 후의 행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신호로 지정되는 기입 기간에서는, 제2 극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위측 전위와 상기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의 전위를 상기 용량 전위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전위선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용량 전위선의 각각에 설치된 샘플링 회로와, 상기 샘플링 회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위측 전위와 상기 고위측 전위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링 회로는,
    상기 제1 극성 신호가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가 제1 노드와 접속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노드가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극성 신호가 한쪽의 단자에 공급되고 다른 쪽의 단자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는 제3 스위치와,
    상기 제1 노드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출력 단자에 제2 노드가 접속되는 버퍼 회로와,
    상기 제2 노드와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고 다른 쪽의 단자가 상기 제2 스위치의 다른 쪽의 단자와 접속되는 제4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와의 제어 단자에는, 상기 용량 전위선의 행보다 1행 전의 행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는 배타적으로 온 상태로 되고,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와의 제어 단자에는, 상기 용량 전위선의 행보다 1행 후의 행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는 배타적으로 온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선택 방향에 동기하여 상기 제1 극성 신호 및 상기 제2 극성 신호를 교체하는 극성 신호 공급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00115117A 2009-11-19 2010-11-18 액정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110055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3670A JP5267432B2 (ja) 2009-11-19 2009-11-19 液晶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JP-P-2009-263670 2009-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463A true KR20110055463A (ko) 2011-05-25

Family

ID=4401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117A KR20110055463A (ko) 2009-11-19 2010-11-18 액정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73343B2 (ko)
JP (1) JP5267432B2 (ko)
KR (1) KR20110055463A (ko)
CN (1) CN102074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7487B2 (ja) * 2010-12-28 2015-03-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駆動回路
US9013386B2 (en) * 2012-01-09 2015-04-21 Himax Technologies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839524B (zh) * 2012-11-21 2016-11-23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源极驱动器与控制方法
KR20150082816A (ko) * 2014-01-08 2015-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CN104503618B (zh) * 2014-12-29 2017-10-2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触控扫描装置及其驱动方法
CN108463847B (zh) * 2016-01-14 2021-08-13 寇平公司 可变占空比的显示器扫描方法和系统
CN107942527A (zh) * 2018-01-02 2018-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光栅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JP6983674B2 (ja) 2018-01-19 2021-1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08538260B (zh) * 2018-07-20 2020-06-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处理方法及装置、显示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3743A1 (fr) * 2000-03-28 2001-10-04 Seiko Epson Corporation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un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dispositif electronique
JP3876600B2 (ja) * 2000-09-08 2007-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818050B2 (ja) * 2000-11-13 2006-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JP3918536B2 (ja) 2000-11-30 2007-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3832240B2 (ja) * 2000-12-22 2006-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501622B1 (ko) * 2001-07-03 2005-07-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구동 회로, 전기 광학 장치및 전자기기
US7102610B2 (en) * 2003-04-21 2006-09-0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Display system with frame buffer and power saving sequence
JP2004361429A (ja) * 2003-05-30 2004-12-2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982121B1 (ko) * 2003-12-23 2010-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5215584A (ja) * 2004-02-02 2005-08-11 Ricoh Co Ltd 画像表示装置、交流化駆動方法
JP4415393B2 (ja) * 2006-09-26 2010-02-17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駆動回路、液晶装置、電子機器、および液晶装置の駆動方法
JP4331192B2 (ja) * 2006-09-26 2009-09-16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186913B2 (ja) * 2007-01-22 2013-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ソース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047884A (ja) * 2007-08-20 2009-03-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365828B2 (ja) * 2007-11-14 2013-12-1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525796B2 (ja) * 2007-11-28 2010-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5316377B2 (ja) * 2009-11-13 2013-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67432B2 (ja) 2013-08-21
JP2011107498A (ja) 2011-06-02
CN102074213B (zh) 2014-10-08
CN102074213A (zh) 2011-05-25
US20110115779A1 (en) 2011-05-19
US8773343B2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7432B2 (ja) 液晶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US7868869B2 (en) Electrophoresis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179387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268761B2 (en) Liquid crystal device, liquid crystal driv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176947B2 (en) Device for driving a display apparatus
KR101577220B1 (ko) 전기 영동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1187087A1 (en) Active matrix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8116556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そのデータ側駆動回路
US8243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mages
JP4378125B2 (ja) 液晶表示装置
US9355605B2 (en) Electro optical device including correction unit that generates correction data for image signal and electronic apparatus
JP7114875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110115768A1 (en)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8054877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2108264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2175039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706513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880942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JP2017167426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7167425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0102151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3750722B2 (ja) 液晶装置、そ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2049361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237295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JP2011027893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ならびに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