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944A - 집적회로 시스템에서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싱 - Google Patents

집적회로 시스템에서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944A
KR20110047944A KR1020100008644A KR20100008644A KR20110047944A KR 20110047944 A KR20110047944 A KR 20110047944A KR 1020100008644 A KR1020100008644 A KR 1020100008644A KR 20100008644 A KR20100008644 A KR 20100008644A KR 20110047944 A KR20110047944 A KR 20110047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ias voltage
mos transistor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689B1 (ko
Inventor
쿠마 판카즈
에라만누 파라메스와란 프라모드
코싼다라만 마케쉬와
데쉬판데 바니
크리즈 조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아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아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엘에스아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4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93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r output-terminals, e.g. multiplexers,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15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7Fail-saf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Power Sour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공급 전압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게 제1 바이어스 전압을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이내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서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정상 상태 및 허용 상태 동안에는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으로부터 출력 전압을 유도하는 단계 및 페일세이프 상태 동안에는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으로부터 상기 출력 전압을 유도하는 단계도 포함한다. 상기 허용 상태는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이 제로에서부터 상기 공급 전압보다 높은 전압까지 변화하는 작동 모드이며, 상기 페일세이프 상태는 상기 공급 전압이 제로인 작동 모드이다.

Description

집적회로 시스템에서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싱{Interfacing Between Differing Voltage Level Requirements In An Integrated Circuit System}
본 발명은 전자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하게는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 안정적인 인터페이싱(interfacing)이 가능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 회로(104)는 도면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IO 리시버(106)와 집적회로(IC)의 IO 패드(102)를 인터페이스시킨다. IO 패드는 IC가 외장 기기에 부착되게 한다. 도면 1의 IC 시스템(100)은 IO 리시버(106)와 IO 패드(102)에 다른 전압 레벨을 요구한다. 도면 1의 IC 시스템 100은 IO 패드(102)와 IO 리시버(106)에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IO 패드(102)에서의 전압은 높고(예: 3.465, 5.5 V 또는 3.3 V, + 5% 허용오차, 5V + 10% 허용오차)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은 낮다(예: 2.5 V). 공급 전압에는 다양한 전압 레벨이 있게 된다.
IO 인터페이스 회로(104)와 IO 리시버(106)의 활동 능동 소자(예: 금속 산화막 반도체(MOS) 트렌지스터)는 자신의 작동 전압의 허용가능한 상한값(예: 1.98 V, 또는1.8 V + 10% 허용오차)을 가지기도 한다. 리시버의 작동 전압보다 높은 전압(예: 2.5 V)이 리시버로 입력되면, IO 리시버(106)의 활동 능동 소자는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것은 IO 리시버(106)의 안전도에 영향을 준다. 비슷하게, IO 인터페이스 회로(104)의 활동 능동 소자 또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능동 소자로서 MOS 트렌지스터를 고려하면,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D) 터미널 및 게이트(G) 터미널에서의 전압이 허용 상한값을 넘어서면, 스트레스하의 MOS 트렌지스터의 게이트 (G) 산화물은 파손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는,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의 입력/ 출력(IO) 인터페이스 회로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공급전압으로부터 IO 리시버의 공급전압이 허용 상한값 내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하고,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서 IO 패드를 통해서 공급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도록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정상 상태와, 허용 상태하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으로부터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페일세이프(failsafe) 상태 동안 제2 바이어스 전압으로부터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허용 상태는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이 제로에서부터 공급 전압보다 높은값까지 변화하는 작동 모드이고, 페일세이프 상태는 공급 전압이 제로인 작동 모드이다.
더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멀티플렉서 블록을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블록은 공급 전압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된 제1 바이어스 전압과 IO패드를 통해서 공급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된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바이어스 전압과 제2 바이어스 전압은 모두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이내에 있다. 멀티플렉서 블록은 정상 상태와 허용 상태하에서 제1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고, 공급전압이 없거나 현재의 상태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는 페일세이프 상태하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허용 상태는 IO패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이 제로에서부터 공급 전압보다 더 높은값까지 변화하는 작동 모드이고, 페일세이프 상태는 공급 전압이 제로인 곳에서의 작동 모드이다.
더 다른 측면에서, 집적 회로 시스템은 집적 회로의 IO패드를 포함하고 IO리시버와 집적 회로의 IO 패드가 인터페이스로 되도록 구성된 IO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 회로는 멀티플렉서 블록을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블록은 공급 전압으로부터 콘트롤이 가능하게 생성된 제1 바이어스 전압과 집적회로의 IO 패드를 통해서 공급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콘트롤이 가능하게 생성된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바이어스 전압과 제2 바이어스 전압은 모두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이내에 있다. 멀티플렉서 블록은 정상 상태하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고 공급 전압이 없거나 현재 상태에 상응하는데 기초하는 안전 조건하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을 기초로 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허용 조건은, 작동 모드가 외부 전압이 직접 회로의 IO 패드가 제로에서 공급 전압보다 높을 때이고, 안전 조건은 공급 전압이 제로일때 작동모드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들은 다양한 측면을 충족하기 위해서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기계에 의해서 작동될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작동을 기계가 실행시키기 위해서, 기계 판독 가능한 설명서 형태안에서 실행될 수 있다. 더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분명해질 것이다.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의 입력/ 출력(IO) 인터페이스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예의 방법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구성부분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면1은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회로(IC) 시스템의 시스템도,
도면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 회로의 개략도,
도면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2의 멀티플렉서 회로의 트렌지스터 구현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4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허용 작동 모드 동안 도면3의 멀티플렉서 회로의 트렌지스터 구현의 DC 특성도,
도면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페일세이프 작동 모드 동안 도면3의 멀티플렉서 회로의 트렌지스터 구현의 DC 특성도,
도면 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허용 작동 모드 동안 도면3의 멀티플렉서 회로의 트렌지스터 구현의 과도 전류의 특성도,
도면7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페일세이프 작동 모드하에서 도면3의 멀티플렉서 회로의 트렌지스터 실행의 과도 전류의 특성도,
도면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IO 리시버와 인터페이스 될 출력 전압을 유도하는 방법에 포함되는 작동을 상세히 보여주는 처리 흐름도,
도면 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2의 멀티플렉서 회로를 포함하는 IC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 및 이하 설명할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분명해질 것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 회로를 실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들이 특정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의 광의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분명한 것이다.
도면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 회로(200)를 보여주고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멀리플렉서 회로(200)는 제1 바이어스 전압(206)과 제2 바이어스 전압(208)을 입력으로서 수신하는 멀티플렉서 블록(202)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206)은 공급전압(204)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되고, 제2 바이어스 전압(208)은 입력/출력(IO) 패드를 통해서 인가된 외부 전압에 의해서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206)과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은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이내에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은 정상 상태와 허용 상태하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 206 이고 페일세이프 상태하의 제2 바이어스 전압에 기초한 출력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허용 상태는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이 제로에서 공급 전압(204)보다 높은값 까지 변화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페일세이프 상태는 공급 전압(204)이 제로인 작동 모드이다.
다시 말하면,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은 공급 전압(204)의 존재 유무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공급 전압(204)이 존재하면, 여기에서 로직 "1"을 나타냄,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은 제1 바이어스 전압(206)과 같다. 공급 전압(204)가 제로이면, 여기에서 로직 "0"을 나타냄,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은 제2 바이어스 전압(208)에 기반을 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206)은 공급전압(204)의 부분으로서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생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208)은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예: 금속 산화막 반도체(MOS) 트렌지스터)의 임계 전압에 의해 감소된 IO 패드를 통해서 인가된 외부 전압으로서 콘트롤이 가능하게 생성된다.
도면 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도면2의 멀티플렉서 회로(200)의 트렌지스터 구현(300)을 보여준다. MOS트렌지스터의 소스(S) 터미널과 드레인(D) 터미널은 교체할 수 있고, 그러므로 소스(S) 터미날과 드레인(D) 터미날의 다른 전압의 출력과 연결된 전압은 드레인(D) 터미날과 소스(S) 터미날로부터의 다른 전압의 출력에 연결된 전압과 같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가운데 하나로 분명하다. 드렌인-드레인(D-D) 경로는 또한 소스-드레인(S-D)경로와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플렉서 블록(202)은 자신의 소스(S) 터미널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206)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MOS 트렌지스터 Q1 302 와 자신의 드레인(D) 터미널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208)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MOS 트렌지스터 Q2 30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바이어스 전압(208) 또한 도면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드롭 소자(316)에 의해 더 감소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드롭(316)은 저항성이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드롭 소자(316)는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능동 소자(예:MOS 트렌지스터)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Q1 302 와 Q2 304 의 게이트(G) 터미널은 공급 전압204 (VDDIO 204)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Q1 302의 드레인(D) 터미널 은 Q2 304의 소스(S) 터미널에 연결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Q1 302의 벌크(B)터미널은 제2 공급 전압312 (VSS 312)에서 생기고, Q2 304의 벌크(B)터미널 은 그곳의 소스(S) 터미널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 블록 210의 출력은 Q1 302 와 Q2 304사이의 드레인-소스(D-S)경로로부터 획득된다.
하나 이상의구체화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은 VDDIO 204 (e.g., 0.7VDDIO)의 부분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은 예시 방정식1에서 처럼 IO 패드(IO 패드 314 전압)를 통해서 공급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생긴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제2 바이어스 전압(208)이고,
Figure pat00003
는 IO 패드(IO 패드(314) 전압)를 통해서 공급된 외부 전압이고,
Figure pat00004
은 하나의 능동 소자(예: MOS트렌지스터)의 임계 전압 드롭이다. 여기에, 두 개의 NMOS 트랜지스터는 제2 바이어스 전압(208)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정상 상태는 VDDIO 204 가 존재하는 작동 모드이고, IO pad(314) 전압은 제로에서 VDDIO 204까지 변화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허용 상태는 VDDIO 204가 존재하는 작동 모드이고, IO 패드 314 전압은 제로에서 VDDIO 204보다 높은 값까지 변화한다. 그러므로, 허용 상태하에서의 회로 작동을 얘기하는 것은 정상 상태하의 회로 작동과 관련지어 얘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VDDIO 204 (예:2.75 V, 또는 2.5 V + 10% 상위 허용 한계)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서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은 1.925 V (0.7VDDIO)과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은 트렌지스터 실행 306의 트렌지스터 구성의 허용 상한값 내에 있도록 선택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Q2 304는 허용 작동하에서 Q2 304의 게이트(G)터미널이 VDDIO 204로 묶여 있을 때 멀티플렉서 블록 102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의 경로는 차단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Q1 302는 켜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IO 패드 314 전압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멀티플렉서 블록 210의 출력은 제1 바이어스 전압 206과 같다. 예를 들면, VDDIO 204가 2.75V일때,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은 1.925 V (0.7VDDIO)와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페일세이프 작동하에서 VDDIO 204 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제로가 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은 IO 패드 314 전압으로부터 유도되는데 이 수치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IO 패드314 전압이 제로에서부터 3.465 V (3.3V + 5% 허용오차)까지 변할 때,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의 최고값은 2.1V인데, IO 패드 314 전압의 값을 3.465 V(여기에서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은 대략0.68 V로 가정한다)로 하는 방정식1로부터 만들어 진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IO 패드 314 전압이 낮을때, Q2 304 는 꺼지고 더불어 Q1 302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이 제로)는 멀티플렉서 블록 210이 낮은 출력을 초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IO 패드 314 전압이 최고값으로 증가할때, 제2 바이어스 전압 208 또한 증가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은 멀티플렉서 블록 210의 출력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은 더 나아가서 전압 드롭 요소 316의 공급을 통해서 IO 리시버의 공급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 분명히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멀티플렉서 블록 210의 출력은 전압 드롭 소자(316)에서의 드롭을 제2 바이어스 전압 208 에서 제한 것과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트렌지스터 실행 300은 더 나아가 MOS 트렌지스터 Q3 306의 경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멀티플렉서 블록 210의 출력은 Q3 306 의 게이트 (G) 터미널에 적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Q3 306 의 드레인(D) 터미널은 IO 패드314 전압 레벨에서 생기고, Q3 306 의 벌크 (B) 터미널은 Q3 306에서 생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허용 작동 모드에서 IO 패드 전압 314가 낮을때, Q3 306의 소스(S) 터미널에서의 Q3 306의 출력, VOUT 318, 은 낮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IO 패드 전압 314가 증가할때, Q3 306 은 Q3 306의 임계 전압에 의해 증가하거나 감소한 제1 바이어스 전압 206과 같아진 VOUT 318 에 의해서 켜진다. 예를 들어서, Q3 306 의 임계 전압이 -0.5 V 라고 가정하면, VDDIO 204 는 2.75 V 까지 증가하고 제1 바이어스 전압은 1.925 V 로 증가하고 그때, VOUT 318 은 2.425V와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Q3 306 은 NMOS트렌지스터이거나 자연 MOS 트렌지스터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VOUT 318 는IO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IO 패드 314 전압이 제1 바이어스 전압 206 에서 Q3 306의 임계 전압을 제한 만큼 증가한다고 해도 VOUT 318 는 IO 패드 314 전압이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에서 Q3 306의 임계 전압을 제한 만큼과 같아지는 때의 값에 가까와 지도록 머문다. Q3 306의 임계 전압이 마이너스일때 VOUT 318는 제1 바이어스 전압 206보다 커진다는것에 주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페일세이프 작동 모드하에서(VDDIO 204 는0이다). 제1바이어스 전압 206은 0에 가깝고,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은 IO 패드 314의 변화에 의해서 방정식1의 예에서 처럼 다양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IO 패드 314 전압이 낮을때, VOUT 318 또한 낮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IO 패드 314 전압이 증가할때, VOUT 318 또한 마이너스/플러스인 Q3 306 의 문턱전압에 의해서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의 위/아래인 Q3 306 의 임계 전압에 따라 증가/감소한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대로, 멀티플렉서 블록 210의 출력은 VOUT 318 이 2.6 V으로 증가 (Q3 306 의 문턱전압이 -0.5 V라고 가정했을때) 하는것에 의해서 2.1 V로 증가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전압 드롭 요소 316은 전압 드롭을 위해 경로의 방전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VOUT 318은 더 나아가 감소된다.
앞에서 택한 예에서, VOUT 318 은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상위 허용 한계 아래인 2.5 V 아래의 값으로 감소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멀티플렉서 회로200의 트렌지스터 실행300은 표준 작동 모드, 관용 작동 모드, 페일세이프 작동 모드하에서 IO 패드 314 전압과 IO 리시버 사이의 인터페이스 접속을 안전하게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드롭 요소 316은 MOS 트렌지스터 Q4 308 을 포함하는데 이것의 소스(S) 터미널은 다른 MOS트렌지스터 Q5 310의 드레인(D) 터미널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Q4 308 의 게이트(G) 터미널과 드레인(D) 터미널은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Q4 308 의 벌크(B) 터미널과 Q5 310 의 소스(S) 터미널은 제2 공급 전압312(VSS 312) 에서 생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Q5 310 의 게이트(G) 터미널은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에서 생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Q4 308 의 소스(S) 터미널과 Q5 310 의 드레인(D) 터미널은 둘다 Q2 304의 드레인(D) 터미널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부유웰(FW)회로의 출력은 Q5 310의 벌크(B) 터미널에 연결된다. FW 의 출력이 대개 PMOS트렌지스터에 연결됨으로서 Q5 310은 PMOS트렌지스터이다. 도면3에서 보여주듯이 Q4308은 NMOS트렌지스터이다.
도면3에서 Q1302 는 NMOS트렌지스터이고 Q2304 는 PMOS트렌지스터이다. 도면 3의 각 트렌지스터에서의 변수는 본보기가 되는 구체화의 분야에 잘 맞는 하나의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임이 확실하다. 예를 들어, MOS 트렌지스터 Q3 306 경로는 PMOS 트렌지스터(임계 전압이 플러스인곳) , 자연MOS 트렌지스터 또는 NMOS 트렌지스터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4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관용 작동 모드에서, 다중 송신 회로 200의 트렌지스터 실행 300의 DC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x축 402는 IO 패드 314전압이고, y축 404 는 전압 변수(V)이다. 도면4에서 보여주듯이 IO 패드 314가 낮을때 VOUT 318 은 낮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IO 패드 314가 증가하면 VOUT 318 또한 IO pad 314 전압이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에서 Q3 306의 임계 전압을 제한 만큼까지 증가하고 그후에 VOUT 318 는 그곳의 수치 가까이에 고정된다. (도면4에서 고정된 값은 406). 도면4 또한 멀티플렉서 블록 210의 출력이 제1 바이어스 전압406에서 유지되는것을 보여준다.
도명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페일세이프 작동 모드에서 멀티플렉서 회로200의 트렌지스터 실행 300의 DC 특징을 보여준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x축 502는 IO 패드 314 전압이고, y축 504는 전압 변수(V) 이다. 앞에서 언급한데로, VDDIO 204 는 안전한 경우에 0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면 5에서 보여주듯이, IO 패드 314전압이 낮을때,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또한 낮다. 하나 이상의구체화에서, 도면5에서 보여주듯이 앞에서 언급한데로, IO 패드 314전압이 증가하면, 멀티플렉서 블록210의 출력은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이 증가함으로서 생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VOUT 318은 다중 체널 블록210의 출력에서 Q3 306의 임계 전압을 제한것과 같아지는데, 이것은 앞에서 언급한것과 같고 도면5에서 보여주고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도면 6은 관용 작동 모드에서, 멀티플렉서 회로200의 트렌지스터 실행300의 과도전류의 특징을 보여준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x축은 시간(t) 602을 의미하고, y축604는 전압 변수 (V)를 가리킨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IO패드314가 제1바이어스 전압 206에서 0으로 그리고 0에서 제1바이어스 전압 206보다 높게 움직일때, 멀티플렉서 블록 210의 출력은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에 고정되어 머문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VOUT 318 는 IO패드314 전압 단위가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에서 Q3 306을 제한 만큼과 같도록 가까이 따르는데, 그곳의 값에서 멈추도록 따르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면 6에서 보여주듯이, IO 패드 314 전압이 최고값에서 0로 변경하면, VOUT 318은 IO 패드 전압이 0에 가까와 지도록 따른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면7은 페일세이프 작동 모드에서, 멀티플렉서 회로200의 트렌지스터 실행 300의 과도 전류의 특징을 보여준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x축은 시간(t) 702을 의미하고, y축704는 전압 변수 (V)를 가리킨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IO 패드 314전압이 0에서 그곳의 최고값으로 그리고 최고값에서 0으로 변하면, 멀티플렉서 불록210의 출력은 제2 바이어스 전압208로 부터 생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앞에서 언급한 데로, 도면 7에서 보여주듯이, VOUT 318은 멀티플렉서 블록210에서 파생되는데, 멀티플렉서블록210에서 Q3 306의 임계 전압을 제한 것의 출력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면 8은 IO 리시버와 인터페이스 될 출력 전압을 유도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작동을 상세하게 나타낸 처리 흐름도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작동 802는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이 공급 전압204(VDDIO 204) 로부터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 있도록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하는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작동 804는 IO 패드(IO 패드 314 전압)을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제2 바이어스 전압208이 콘트롤이 가능하게 생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 208은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안에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정상 상태와 허용 상태하에서, 작동 806은 제1 바이어스 전압 206으로부터 출력전압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허용 상태는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이 제로에서부터 공급전압보다 높은값까지 변화하는 작동 모드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작동 808은 페일세이프 상태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 208로부터 출력전압이 파생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페일세이프 상태는 공급전압이 제로인 곳에서 작동 하는 모드이다.
도면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따라, 집적 회로(IC) 시스템900을 보여준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서 회로 200은 IO 패드 902 (예: 3.465 V)에서 IO 리시버 908과 높은 전압에서 안전하게 인터페이스 접속한다. IO 리시버의 입력 전압은 IO 리시버 908(예:2.5 V)의 동작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 있다.
비록 특정 실시예를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긴 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의 더 넓은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이들 실시예들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분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작동 전압 및/또는 외부 전압의 변동폭은 예시적 실시예들의 범위 이내에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서술된 다양한 디바이스들 및 모듈들은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에 포함)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논리 게이트 및 전자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ASIC) 회로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작동, 처리 및 방법들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과 호환되는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 및/또는 기계 접속 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어떠한 주문(예를 들어, 다양한 동작을 얻기 위한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도 포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입력/출력(IO) 리시버의 작동 전압 허용 상한값 내에서 공급 전압으로부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하는 단계;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상기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서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하는 단계;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이 제로에서부터 상기 공급 전압 이상의 값까지 변화하는 허용 상태 및 정상 상태 동안에는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으로부터 출력 전압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 전압이 제로가 되는 페일세이프 상태 동안에는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으로부터 상기 출력 전압을 유도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상기 공급 전압의 부분을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의 임계 전압에 의해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서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전압의 존재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다중화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다중화하는 방법은: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터미널 및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터미널 및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에서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터미널에서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지 않는 하나를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지 않는 하나와 결합시키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벌크 터미널에 제2 공급 전압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지 않는 하나를 상기 제2 바이어스 MOS 트랜지스터의 벌크 터미널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지 않는 하나를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지 않는 하나와 결합시키는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정상 상태 및 상기 허용 상태 동안의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과 상기 페일세이프 상태 동안의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 중 하나로부터 상기 다중화 단계의 출력을 유도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단계의 출력을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터미널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터미널 및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를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벌크 터미널을 상기 제2 공급 전압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상기 다중화 단계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출력 전압을 유도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단계의 출력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출력 전압을 상기 IO 리시버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스 시키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위한 누설 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다중화 단계의 출력으로부터 유도된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IO 리시버의 상기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 있도록 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방법.
  10. 공급 전압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된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된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은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 있고,
    정상 상태 및 허용 상태 동안의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공급 전압의 존재 유무에 기초한 페일세이프 상태 동안의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에 기초한 출력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멀티플렉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허용 상태는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이 제로에서부터 상기 공급 전압 이상의 값까지 변화하는 작동 모드이며,
    상기 페일세이프 상태는 상기 공급 전압이 제로인 작동 모드인 회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공급 전압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의 임계 전압에 의해 감소된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과 동일한 회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 블록은:
    자신의 소스 터미널 및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MOS 트랜지스터; 및
    자신의 소스 터미널 및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에서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터미널은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는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회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벌크 터미널은 제2 공급 전압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는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벌크 터미널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멀티플렉서 블록의 출력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와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경로로부터 유도되는 회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자신의 게이트 터미널에서 상기 멀티플렉서 블록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패스 MOS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터미널 및 드레인 터미널은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벌크 터미널은 상기 제2 공급 전압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출력 전압은,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지 않은 상기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로부터 유도되는 회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로부터 유도된 상기 출력 전압은 상기 IO 리시버와 인터페이스되는 회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패스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로부터 유도된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 있음을 보장하도록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위한 누설 경로
    를 더 구비하는 회로.
  17. 집적회로의 IO 패드;
    IO 리시버; 및
    상기 집적회로의 상기 IO 패드가 상기 IO 리시버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구성된 IO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IO 인터페이스 회로는:
    공급 전압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된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집적회로의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압으로부터 콘트롤 가능하게 생성된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IO 리시버의 작동 전압의 허용 상한값 내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공급 전압의 존재 유무에 기초하여, 정상 상태 및 허용 상태 동안의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 및 페일세이프 상태 동안의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기초한 출력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서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페일세이프 상태는 상기 공급 전압이 제로인 작동 모드인 집적회로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공급 전압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의 임계 전압에 의해 감소된 상기 집적회로의 IO 패드를 통해 인가된 상기 외부 전압과 동일한 집적회로 시스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 블록은:
    자신의 소스 터미널 및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에서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MOS 트랜지스터; 및
    자신의 소스 터미널 및 드레인 터미널 중 하나에서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터미널 각각은 상기 공급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는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집적회로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벌크 터미널은 제2 공급 전압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는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벌크 터미널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멀티플렉서 블록의 출력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와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터미널 및 상기 드레인 터미널 중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나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경로로부터 유도되는 집적회로 시스템.
KR1020100008644A 2009-10-31 2010-01-29 집적회로 시스템에서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싱 KR101535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10,276 US8130030B2 (en) 2009-10-31 2009-10-31 Interfacing between differing voltage level requirements in an integrated circuit system
US12/610,276 2009-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944A true KR20110047944A (ko) 2011-05-09
KR101535689B1 KR101535689B1 (ko) 2015-07-09

Family

ID=4272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44A KR101535689B1 (ko) 2009-10-31 2010-01-29 집적회로 시스템에서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0030B2 (ko)
EP (1) EP2317649B1 (ko)
JP (1) JP5578312B2 (ko)
KR (1) KR101535689B1 (ko)
CN (1) CN102055462B (ko)
TW (1) TWI4065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4653B1 (en) * 2009-10-31 2010-11-16 Lsi Corporation Failsafe and tolerant driver architecture and method
US20110102046A1 (en) * 2009-10-31 2011-05-05 Pankaj Kumar Interfacing between differing voltage level requirements in an integrated circuit system
US9391618B2 (en) * 2014-08-06 2016-07-12 Broadcom Corporation High voltage fail-safe IO design using thin oxide devices
CN104601162B (zh) * 2014-12-01 2018-03-06 深圳市芯海科技有限公司 一种可复用的数字输入输出接口电路
CN113938151B (zh) * 2021-09-06 2022-11-04 上海顺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io接收器的接收电路、io接收器和芯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758A (en) * 1983-02-07 1984-09-25 Motorola Inc. Substrate bias control circuit and method
JPH02252315A (ja) * 1989-03-27 1990-10-11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用入力バッファ回路
JP2671787B2 (ja) * 1993-12-24 1997-10-29 日本電気株式会社 出力バッファ回路
US5576635A (en) * 1995-02-14 1996-11-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Output buffer with improved tolerance to overvoltage
SG83670A1 (en) * 1997-09-02 2001-10-16 Oki Techno Ct Singapore A bias stabilization circuit
US6014039A (en) * 1998-04-28 2000-01-11 Lucent Technologies Inc. CMOS high voltage drive output buffer
KR100292408B1 (ko) * 1999-03-04 2001-06-01 윤종용 고 전압 톨러런트 인터페이스 회로
US6300800B1 (en) * 1999-11-24 2001-10-09 Lsi Logic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I/O buffer with series P-channel and floating well
US6859074B2 (en) * 2001-01-09 2005-02-22 Broadcom Corporation I/O circuit using low voltage transistors which can tolerate high voltages even when power supplies are powered off
US7071764B1 (en) * 2002-07-26 2006-07-0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Back-drive circuit protection for I/O cells using CMOS process
US6768618B1 (en) * 2002-08-01 2004-07-27 Cypress Semiconductor, Corp. Input gate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US6927602B2 (en) * 2003-07-25 2005-08-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ixed-voltage CMOS I/O buffer with thin oxide device and dynamic n-well bias circuit
JP4568096B2 (ja) * 2004-11-25 2010-10-27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入出力回路
US7763940B2 (en) * 2004-12-15 2010-07-27 Sofics Bvba Device having a low-voltage trigger element
JP4660251B2 (ja) * 2005-03-31 2011-03-30 東芝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入力回路
US7477075B2 (en) * 2006-05-05 2009-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MOS output driver using floating wells to prevent leakage current
US7459961B2 (en) * 2006-10-31 2008-12-02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Voltage supply insensitive bias circuits
US7633321B2 (en) * 2007-07-24 2009-12-15 Infineon Technologies Ag Driver circuit; electronic circuit having driver circuit and corresponding method
US7813093B2 (en) * 2008-02-15 2010-10-12 Analog Devices, Inc. Output driver with overvoltage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689B1 (ko) 2015-07-09
CN102055462A (zh) 2011-05-11
US8130030B2 (en) 2012-03-06
JP2011097550A (ja) 2011-05-12
TW201115920A (en) 2011-05-01
TWI406501B (zh) 2013-08-21
JP5578312B2 (ja) 2014-08-27
US20110102045A1 (en) 2011-05-05
EP2317649A1 (en) 2011-05-04
EP2317649B1 (en) 2013-10-30
CN102055462B (zh)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3214A1 (en) High voltage input receiver with hysteresis using low voltage transistors
KR20110047944A (ko) 집적회로 시스템에서 다양한 전압 레벨 요구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싱
US7834653B1 (en) Failsafe and tolerant driver architecture and method
US833049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high voltage tolerant unit
JP2011096220A5 (ko)
US7821327B2 (en) High voltage input receiver using low voltage transistors
KR101531066B1 (ko) 고장 안전 상태 및 허용 상태에서 동작 가능한 플로팅 우물 회로
US20030038673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11097550A5 (ko)
JP5598750B2 (ja) フェイルセーフ・モード及びトレラント・モードの際の入出力回路を保護するためのバイアス電圧を発生させる方法、バイアス電圧発生回路、及び入出力回路
JP2011087271A5 (ko)
JP2011097551A5 (ko)
JP5071077B2 (ja) 出力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4356779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04356778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11250189A (ja) レベル変換回路及び電子機器
KR20110047945A (ko) 페일세이프 작동과 허용 작동에서 입력 출력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바이어스 전압 생성 방법 및 장치
US7750735B1 (en) Voltage-level translator
JP2010098371A (ja) 半導体集積回路と電源制御方法
JP2010093435A (ja) 半導体集積回路
US20130321060A1 (en) Input buffer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KR20110047943A (ko) 안전 및 관용 드라이버 구현 방법, 아이오 드라이버 회로, 및 아이오 회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