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192A -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192A
KR20110044192A KR1020110034213A KR20110034213A KR20110044192A KR 20110044192 A KR20110044192 A KR 20110044192A KR 1020110034213 A KR1020110034213 A KR 1020110034213A KR 20110034213 A KR20110034213 A KR 20110034213A KR 20110044192 A KR20110044192 A KR 2011004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pheres
solution
polymer
prepared
biodegrada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희
이건일
박용만
손미경
양희창
김태형
김윤지
김병문
이성희
강수형
유무희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4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조절 펩타이드를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를 포함하는 미립구 내에 봉입하여 당조절 펩타이드를 지속제어 방출할 수 있도록 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는 초기 과다 방출이 없고, 0 차 방출 양상을 가지며, 불완전한 방출없이 당조절 펩타이드를 지속적으로 방출하므로, 약물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A biodegradable microspher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glucose controlling peptide and formulation thereof}
본 발명은 당조절 펩타이드를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를 포함하는 미립구 내에 봉입하여 당조절 펩타이드를 지속제어 방출할 수 있도록 한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및 펩타이드 약물은 대다수가 경구 투여시 위의 산성 환경 하에서 활성 구조를 잃게 되거나 효소적 분해로 인하여 파괴되고 또한 위 또는 장 점막에서 흡수되는 비율도 상당히 낮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단백질 및 펩타이드 약물은 비경구 투여, 즉 주사 방법으로 투여된다. 대부분의 비경구 투여된 단백질 및 펩타이드 약물은 생체 내에서 짧은 반감기 및 낮은 생체이용률 때문에 투여한 후에도 반복적으로 계속 주사하여야 하며, 수개월 동안의 장기간 투여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체 내에서 서서히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생분해성(Biodegradable) 고분자 담체 내에 약물을 봉입하고, 고분자의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체내에서 단백질 및 펩타이드 약물을 방출하는 생체 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지속성, 서방성 제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eller, J. et al., Controlled release of water-soluble macromolecules from bioerodible hydrogels, Biomaterials, 4, 262-266, 1983; Langer, R., New methods of drug delivery, Science, 249, 1527-1533, 1990; Langer, R., Chem. Eng. Commun., 6, 1-48, 1980; Langer, R. S. and Peppas, N. A., Biomaterials, 2, 201-214, 1981; Heller, J., CRC Crit. Rev. Ther. Drug Cattrier Syst., 1(1), 39-90, 1984; Holland, S.J. Tighe, B. J. and Gould, P. L., J. Controlled Release, 155-180, 1986].
*현재 단백질 및 펩타이드 약물에 있어 고분자 담체로 개발되어 사용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이미 그 생체적합성이 인정되어 미국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승인을 받았으며, 약물전달용 담체 또는 수술용 봉합사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L-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D-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L-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 (이하 'PLGA'라 함),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등이 포함된다[Peppas, L. B., Int. J. Pharm., 116, 1-9, 1995].
최근 고분자량의 펩타이드나 단백질 등이 새로운 치료약물로 개발됨에 따라, 이들 약물을 고분자 담체 내에 봉입시켜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나, 상기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미립구에 단백질 약물을 봉입한 제형의 경우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initial burst effect), 또는 여러 요인의 영향으로 일정 기간동안 약물의 방출율이 일정한 속도로 조절되지 않고, 봉입된 약물이 100% 방출되지 않는 불완전한 방출(Incomplete release)과 같은 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소의 혈청알부민, 라이소자임 등의 모델 단백질 약물의 경우, 초기에 다량의 약물이 방출된 후 최종 방출량이 50 % 전후이고[Crotts, G. and Park, T.G., J. Control. Release, 44, 123-134, 1997; Leonard, N.B., Michael, L. H., Lee, M.M. J. Pharm. Sci., 84, 707-712], 재조합 인간성장호르몬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담체로 이용하여 미립구에 봉입한 경우, 30~50 %의 단백질 약물이 초기에 과다 방출되며, 이후 40~60 % 정도의 양이 방출되지 못하고 미립구 내에 남아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Yan, C., et al., J. Control. Release, 32, 231-241, 1994; Kim, H.K. and Park, T.G., Biotechnol. Bioeng., 65, 659-667, 1999].
이러한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은 미립구 표면 및 구멍에 응집 또는 흡착되어 있던 단백질 약물들이 초기에 빠른 확산에 의해 방출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한편, 단백질 약물이 미립구의 제조공정 중, 물과 유기용매에 의한 계면의 영향으로 변성 등에 의한 비가역적 응집이 생겨 불완전한 방출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들은 단백질 약물의 지속성 전달에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계면의 영향으로 인한 단백질 약물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해 계면활성제(예를들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계열의 트윈, 플루로닉 F68(Pluronic F68), 브리즈 35 (Brij 35))와 안정화제(예를들면, 만니톨, 젤라틴, 트리할로스 (Triha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의 사용을 시도하고 있고, 또 한편으로는 물을 배제한 유기용매만을 사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함으로써 단백질 변성의 원인을 제거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Gombotz, W.R., Healy, M., Brown, L., 미합중국특허 제5019400호].
또한 일정기간 동안 약물 방출률이 일정한 속도로 조절되지 않고, 봉입된 약물이 100% 방출되지 않는 불완전한 방출문제를 개선하고자, 분해속도가 빠른 고분자와 분해속도가 느린 고분자를 혼합하여 이들에 약물을 봉입시키는 방법[Ravivarapu, H.B., Burton, K., Deluca, P.P., Eur J Pharm Biopharm 50(2) 263-270, 2000;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8-0062142호] 및 약물을 분해 속도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고분자에 각각 봉입시켜서 얻은 미립구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원하는 기간동안 약물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미립구[미합중국특허 제4897268호]를 얻는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한 미립구 제조는 분해속도가 빠른 고분자로부터 유래된 분해산물 즉, 젖산과 글리코산(Glycolic acid)의 영향에 의해 pH가 낮아지게 되어 분해속도가 느린 고분자의 분해가 보다 빨리 진행 되어 각각의 고분자에 봉입된 약물의 방출속도의 평균치와는 다른 결과를 초래하며, 한 가지 제형의 상품화를 위해서 둘 이상의 미립구를 제조하여야 하는 공정상 및 경제적인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2000-0036178호].
미립구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상분리법(Phase separation) [미합중국 특허 제467359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7-0031304호], 분무건조법(Spry-drying)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3-0023130호] 그리고 유기용매 증발법 [미합중국특허 제4389330호]이 알려져 있다. 상분리법의 경우 메칠렌클로라이드 용매 이외에 실리콘 오일, 헵텐, 에틸알코올 등을 함께 사용해야 함으로 사용된 모든 유기용매를 모두 제거해야 하는 등의 공정이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분무 건조법의 경우 고온에서 유기용매와 함께 60℃ 이상의 고온에서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단백질 및 펩타이드의 변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단백질 및 펩타이드의 미립구 제조에는 유기용매 증발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약물의 봉입률(Encapsulation efficiency)이 기술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3-0081179호].
그러므로 단백질 혹은 펩타이드 함유 서방성 미립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이 없고, 안정성 방출 기간에 상관없이 약물 방출을 0차 방출로 유지하면서, 약물이 100% 방출되지 않는 불완전한 방출이 없으면서도, 제조 방법이 단순하고, 약물의 봉입률이 높고, 봉입된 약물의 안정성이 좋고,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당조절 펩타이드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또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의 치료, 비만증의 치료 그리고 지질대사이상증의 치료에서 치료적인 잠재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여져 왔던 펩타이드들의 한 분류군이다 [미합중국특허 제6506724호]. 예로는 엑센딘-3(Exendin-3), 엑센딘-4(Exendin-4) 및 이들의 유사체, 아고니스트 또는 글루카콘,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예를 들어, GLP-1, GLP-2) 및 이들의 유사체, 아고니스트를 들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6-7015029호].
엑센딘-4는 3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로서, 헬로데르마 호리둠(Heloderma horridum) 또는 헬로데르마 서스펙툼 (Heloderma suspectum)이라는 도마뱀의 침샘에서 분리한 생리활성 펩타이드이다. 엑센딘-4는 췌장 베타 세포에 의한 인슐린분비를 촉진 시키고, 증가되어진 글루카콘의 분비(elevated glucagon secreation)를 낮추며, 식욕을 억제하여 당뇨병 및 비만등의 치료에 유용하다 [Eng. J. et al. 1990; Raufman, J.P. 1992; Goeke, R. 1993; Thorens, B. 1993].
당뇨병의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미립구를 통한 지속적인 엑센딘-4의 전달 연구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6-7023921]. 하지만 상분리법에 의한 제조로 인해 많은 유기용매 사용 및 제거를 위한 복잡한 공정, 초음파 공정의 고에너지로 인한 제조중 펩타이드 분해와 같은 안정성 문제, 그리고 당과 같은 안정화제 및 방출율을 바람직한 특성으로 촉진하고자 방출율 촉진제(예를 들면, 무기산 및 무기염) 등 많은 부형제가 사용되는 등의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많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며, 초음파공정과 같은 고에너지 처리가 없고, 방출율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는 복잡하지 않은 방법으로 당조절 펩타이드의 초기 과다 방출이 없고, 0차 방출을 유지하며, 불완전한 방출이 없으며, 봉입률이 높고, 봉입된 당조절 펩타이드의 안정성이 높은 당조절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조절 펩타이드를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를 포함하는 미립구 내에 봉입하여 당조절 펩타이드를 지속제어 방출할 수 있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는 엑센딘-4 서방성 제제의 초기 과다 방출이 없고, 0차 방출을 유지하며, 불완전한 방출이 없고, 단순한 제조 공정으로 봉입률이 높으며, 봉입된 엑센딘-4의 안정성이 좋으며,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미립구로부터 엑센딘-4가 3주 이상 지속적으로 방출되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약물분산체 제조 단계를 거쳐 제조된 미립구의 시험관에서의 방출양상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8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시험관에서의 방출양상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시험관에서의 방출양상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실험동물에서의 방출양상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미립구에서 엑센딘-4를 추출하여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RP-HPLC)로 분석한 엑센딘-4의 크로마토그램(Chromatogram)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당조절 펩타이드를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를 포함하는 미립구 내에 봉입하여 당조절 펩타이드를 지속제어 방출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당조절 펩타이드의 예로는 천연형, 재조합 혹은 합성 엑센딘-3, 엑센딘-4 및 이들의 유사체, 아고니스트 또는 글루카콘,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예를 들어, GLP-1, GLP-2) 및 이들의 유사체, 아고니스트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합성 엑센딘-3, 엑센딘-4 및 이들의 유사체, 아고니스트를 들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 엑센딘-4을 들 수 있다.
미립구에서 당조절 펩타이드의 함량은 용법 용량, 단백질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는 미립구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에 당조절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고분자가 서서히 분해되면서 내부의 당조절 펩타이드를 방출해 주는 역할을 하며, 그 예로는 폴리-L-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D-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L-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 또는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를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L-락트산, 폴리-D-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L-락트산-코-글리콜산 및 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PLG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를 들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PLGA) 단독 또는 폴리-L-락트산을 포함한 2종 이상의 혼합 고분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당조절 펩타이드를 지속제어 방출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는
고분자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고분자 용액에 당조절 펩타이드를 첨가하여 당조절 펩타이드가 고분자 용액에 분산된 약물분산체를 제조한 후,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유기산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약물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을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단계 1은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단계 1에서는 고분자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데, 이때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에 대한 용매성과 증발을 통한 제거 용이성이 모두 뛰어난 휘발성 유기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용해제 역할뿐 아니라 당조절 펩타이드를 고분자 용액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분산제로서도 작용한다.
본 발명의 유기용매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드, 클로로포름, 아세톤,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또는 아세토나이트릴 및 이들의 혼합 용매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단계 2는 약물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단계 2에서는 유기용매에 고분자가 용해된 고분자 용액에 당조절 펩타이드를 첨가하여 약물 분산체를 만든다. 당조절 펩타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 엑센딘-4를 첨가하여 약물 분산체를 만든다. 상기 약물 분산체에서 당조절 펩타이드 : 고분자(w/w)의 비율은 당조절 펩타이드를 용해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된다.
다음으로, 수득한 약물 분산체에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유기산의 혼합물을 첨가시켜 약물 분산체를 용해시킨다.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유기산의 혼합물은 고분자와 당조절 펩타이드를 동시에 녹일 수 있는 용해제로 작용한다. 이때 첨가제로 안정화제 또는 계면활성제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고분자에 유기용매를 가한 뒤, 당조절 펩타이드를 첨가한 후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유기산의 혼합물을 첨가해야 하는 상기 제조방법 순서가 매우 중요하다. 순서를 바꿔 고분자에 유기용매,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유기산의 혼합물 순서로 첨가한 후 당조절 펩타이드를 용해시킨 용액으로 미립구를 만들거나, 고분자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당조절 펩타이드를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유기산의 혼합물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용액으로 미립구를 만들 경우, 불완전 방출 경향을 갖게 된다.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와 당조절 펩타이드에 대한 용해성이 뛰어난 알코올인 메틸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약물 분산체를 용해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알코올은 약물 분산체를 용해시킬 수 있는 최소 용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 용량은 알코올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비율로 선택될 수 있다. 메틸알코올의 경우 약물 분산체에 1:1 내지 6:1(약물분산체: 알코올, v/v) 비율로 첨가하여 약물 분산체를 완전히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3:1 내지 4:1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산으로는 고분자 담체 및 당조절 펩타이트에 대한 용해성을 지닌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옥살산, 옥살에세트산, 푸마르산, 말산, 숙신산, 아세트산, 부티르산, 팔미트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요산, 술폰산, 술핀산, 주석산, 포름산, 시트르산, 이소시트르산, 알페케토글루타르산, 호박산, 개미산, 핵산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과 개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첨가되는 유기산의 용량은 알코올에서와 마찬가지로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비율로 선택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약물분산체를 용해시킬 수 있고, 약물분산체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지닌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라이콜류 (Solutol HS-15™, TPGS™, Gelucire™), 오일류 (Labrafil™, Labrasol™, Medium Chain Triglyceride™), 단백질류 (Lectin), 계면활성제 (N-Methyl pyrrolidone, Polyvinyl pyrrolidone, Tween,™, Span™, Cremophor™, Poloxamer™, Brij™, Sunsolft 818H™) 및 하이드로프로필 메틸셀룰로우즈 등을 들 수 있으며, 사용량은 용해제에서의 농도로 0.01 내지 15% (w/v),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2.5% (w/v)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을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약물분산체 용액을 유화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켜 제조하거나,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물분산체 용액을 유화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켜 미립구를 제조하는 경우, 교반기(Stirrer) 및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형성 및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는 유기용매에 분산되는 친유성 유화제(lipophilic emulsifier) 또는 수용액에 분산되는 친수성 유화제(hydrophilic emulsifier)를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 유화제의 예로는 트윈, 트리톤, 브리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유화제는 유기용매가 포화되지 않거나 포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기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사용량은 수용액에서의 농도로 0.01 내지 5.0%(w/v),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w/v)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건조는 동결건조(Freeze-drying) 또는 진공건조(Vacuum-drying)일 수 있으며, 동결건조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는 때는 원심분리법을 통해, 진공건조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는 때는 진공필터시스템을 통해 미립구를 회수한 후 각각의 건조법으로 미립구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미립구는 O/W형의 미립구가 제조되며, 평균 입자 크기는 주사에 적합한 5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를 가진다. 이때, 입자 크기는 약물분산체 용액인 오일상(Oil Phase)과 유화제가 용해된 수용액인 수상(Water Phase)의 부피비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약물분산체 용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약물분산체 용액을 분무건조기에 넣고 분무시킴으로 곧바로 미립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효과적인 미립구의 제조를 위해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온도와 방출되는 온도는 각각 115~125 ℃, 80~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분무건조 제조된 미립구에서 잔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술한 동결건조, 진공건조와 같은 건조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는
고분자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고분자 용액에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당조절 펩타이드 수용액을 첨가하여 1차 유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1차 유화 용액을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단계 1에서는 고분자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데, 이때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생분해성 고분자 담체에 대한 용매성과 증발을 통한 제거 용이성이 모두 뛰어난 휘발성 유기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용해제 역할뿐 아니라 당조절 펩타이드를 고분자 용액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분산제로서도 작용한다.
본 발명의 유기용매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드, 클로로포름, 아세톤,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또는 아세토나이트릴 및 이들의 혼합 용매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가 사용된다.
단계 2'에서는 유기용매에 고분자가 용해된 고분자 용액에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당조절 펩타이드 수용액을 첨가한 뒤, 교반기 혹은 균질기를 이용하여 1차 유화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당조절 펩타이드로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엑센딘-4를 첨가할 수 있다. 고분자 용액에 상기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당조절 펩타이드 수용액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W/O/W형의 이중유화 미립구가 형성된다.
상기 단계 2'에서 당조절 펩타이드 수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조절 펩타이드를 용해시켜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도 가능하며, 예컨대 트윈, 트리톤, 브리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1차 유화 용액을 유화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교반기 및 균질기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형성 및 건조시킴으로써 미립구를 제조한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는 유기용매에 분산되는 친유성 유화제(lipophilic emulsifier) 또는 수용액에 분산되는 친수성 유화제(hydrophilic emulsifier)를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 유화제의 예로는 트윈, 트리톤, 브리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유화제는 유기용매가 포화되지 않거나 포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기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사용량은 수용액에서의 농도로 0.01 내지 5.0% (w/v),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w/v)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건조는 동결건조(Freeze-drying) 또는 진공건조(Vacuum-drying)일 수 있으며, 동결건조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는 때는 원심분리법을 통해, 진공건조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는 때는 진공필터시스템을 통해 미립구를 회수한 후 각각의 건조법으로 미립구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립구는 엑센딘-4 서방성 제제의 초기 과다 방출이 없고, 0차 방출을 유지하며, 불완전한 방출이 없고, 단순한 제조 공정으로 봉입률이 높으며, 봉입된 엑센딘-4의 안정성이 좋으며,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미립구로부터 엑센딘-4가 3주 이상 지속적으로 방출되게 할 수 있어, 엑센딘-4 서방성 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고분자 종류 및 혼합비에 따른 미립구의 제조 (O/W형)
고분자(Boehringer Ingelheim) 300 m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완전히 용해시켜 고분자용액을 제조하고, 엑센딘-4(American peptide사) 9 mg을 고분자 용액에 넣어 엑센딘-4 분산체를 제조하였다. 고분자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종의 고분자 또는 분자량이나 특성이 다른 고분자 2종을 혼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고분자의 종류 및 혼합비를 달리하여 제조된 약물분산체에 메틸알코올을 약물분산체 비율로 1:4(v/v)로 첨가하여 약물분산체 용액을 제조한 뒤, 약물분산체 용액 10 ml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포화시킨 250 ml의 폴리비닐알코올 1% 수용액(w/v)에 주입하여 교반기 혹은 균질기를 사용하여 유화시켜 미립구를 형성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미립구를 수 시간 동안 상온, 상압 하에서 교반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공기 중으로 서서히 증발시키면서 경화시키고 이를 원심 분리한 후, 증류수로 세척한 뒤 영하 70 ℃에서 동결한 다음 adVantage(VirTis사, NY, U.S.A) 모델을 이용하여 상온, 50 mTorr에서 3일간 동결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O/W형태의 엑센딘-4가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미립구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엑센딘-4
(mg)
고분자
(mg)
고분자 종류 혼합비
1-1


9





300

RG502H 1
1-2 RG502H : R202 90 : 10
1-3 RG502H : R202 80 : 20
1-4 RG502H : RG502 90 : 10
1-5 RG502H : RG502 80 : 20
1-6 RG502H : RG503 90 : 10
1-7 RG502H : RG503 80 : 20
< 실시예 2> 약물분산체에 대한 알코올의 비율에 따른 미립구의 제조 (O/W형)
고분자(RG502H, Boehringer Ingelheim) 300 m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완전히 용해시켜 고분자용액을 제조하고, 엑센딘-4(American peptide사) 9 mg를 고분자용액에 넣어 엑센딘-4 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약물분산체에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알코올을 엑센딘-4 분산체 비율로 1:1 내지 1:7(v/v)범위에서 첨가하여 약물분산체 용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유화시켜 미립구를 제조, 건조하는 단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메틸알코올
(부피)
엑센딘-4 분산체
(부피)
약물분산체 용액의 상태
2-1


1


1 용액
2-2 2 용액
2-3 3 용액
1-1 4 용액
2-4 5 용액
2-5 6 용액
2-6 7 분산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물분산체에 대한 메틸알코올의 부피비가 7 이상인 경우에는 용액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첨가제가 함유된 약물분산체 용액을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 (O/W형)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으며, 다만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에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항 첨가제를 용매부피 대비 0.1 또는 12.5%를 취해 약물분산체 용액과 혼합하고, 혼합 여부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엑센딘-4
(mg)
고분자
(mg)
첨가제
혼합 여부
0.1% 12.5%
3-1






9














300







Solutol HS-15®
3-2 TPGS®
3-3 Gelucire®
3-4 Labrafil®
3-5 Labrasol®
3-6 Medium Chain Triglyceride
3-7 Lecitin
3-8 N-Methyl pyrrolidone
3-9 Polyvynyl pyrrolidone
3-10 Hydropropyl methylcellulose
3-11 Tween®
3-12 Span®
3-13 Cremophor®
3-14 Poloxamer®
3-15 Brij®
3-16 Sunsoft 818H®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물분산체 용액에 다양한 첨가제가 넓은 농도 범위에서 혼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4> 유기용매로 포화되지 않은 유화제 수용액을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 (O/W형)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으며, 다만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가 포화되지 않은 250 ml의 폴리비닐알코올 1% 수용액(w/v)에 주입하여 교반기 혹은 균질기를 사용하여 유화시켰다.
< 실시예 5> 입자 크기가 다른 미립구의 제조 (O/W형)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으며, 다만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포화시킨 폴리비닐알코올 1% 수용액(w/v)과 약물분산체 용액의 부피비 즉, 수상(Water phase) 대 유상(Oil phase)의 부피비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르게 하여 입자 크기가 다른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엑센딘-4
(mg)
고분자
(mg)
수상 대 유상 부피비
5-1
9

300
1 : 15
5-2 1 : 30
5-3 1 : 60
< 실시예 6> 건조방법에 따른 미립구의 제조 (O/W형)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미립구를 수 시간 동안 상온, 상압 하에서 교반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공기 중으로 서서히 증발시키면서 경화시키고 이를 진공필터시스템으로 여과, 증류수로 세척, 미립구 이외의 물을 제거하여 샘플을 준비한 뒤, 최종 건조는 adVantage(VirTis사, NY, U.S.A) 모델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50 mTorr 압력으로 3일간 진공 건조하였다.
< 실시예 7> 분무건조법을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 (O/W형)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을 유화제 수용액과 혼합하지 않고 분당 2.5ml로 분무건조기(Buchi Mini spray dryer, B-290)에 주입하면서 0.7mm 노즐을 통해 400 Nl/h로 분무건조하였다. 이 분무건조 제조된 미립구에서 잔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서 진공 건조하여 엑센딘-4가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미립구 제형을 제조하였다. 이때 분무건조기로 유입되는 온도와 방출되는 온도는 각각 120±2 ℃와 85±2 ℃였다.
< 실시예 8> 약물 수용액을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 (W/O/W형)
고분자(RG502H, Boehringer Ingelheim) 300 m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완전히 용해시켜 고분자용액을 제조하고, 엑센딘-4(American peptide사) 9 mg를 0.3 ml의 폴리비닐알코올 0.5% 수용액(w/v)에 용해시킨 엑센딘-4 수용액을 고분자 용액에 넣어 균질기를 이용해 1차 유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1차 유화 용액 10 ml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포화시킨 250 ml의 폴리비닐알코올 1% 수용액(w/v)에 주입하여 교반기 혹은 균질기를 사용하여 2차 유화시켜 미립구를 형성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미립구를 수 시간 동안 상온, 상압 하에서 교반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공기 중으로 서서히 증발시키면서 경화시키고 이를 원심 분리한 후, 증류수로 세척한 뒤 영하 70 ℃에서 동결한 다음 adVantage(VirTis사, NY, U.S.A) 모델을 이용하여 상온, 50 mTorr에서 3일간 동결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W/O/W형태의 엑센딘-4가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미립구 제형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약물분산체 과정을 거치지 않는 O/W형 미립구의 제조 (1)
고분자(RG502H Boehringer Ingelheim) 300 m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완전히 녹인 후 메틸알코올을 메틸렌클로라이드 부피비(메틸알코올:메틸렌클로라이드, v/v)로 1:4의 비율로 첨가하여 고분자/메틸렌클로라이드/메틸알코올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엑센딘-4를 9:300(엑센딘-4:고분자, w/w)의 비율로 취한 뒤, 고분자/메틸렌클로라이드/메틸알코올 용액에 넣어 약물분산체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약물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약물분산체 과정을 거치지 않는 O/W형 미립구의 제조 (2)
엑센딘-4 9 mg을 메틸알코올 0.2 ml에 완전히 녹인 후, 고분자(RG502H Boehringer Ingelheim) 300 mg을 완전히 녹인 0.8 ml의 고분자/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에 앞에서 제조한 엑센딘-4/메틸알코올 용액을 첨가하여 엑센딘-4 분산체를 거치지 않은 약물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미립구 내 엑센딘 -4의 봉입효율 확인
실시예 1 및 4~8에서 제조된 엑센딘-4 함유 미립구 30 mg을 취하여 폴리스티렌 용기에 넣고, 0.5 ml의 DMSO 용액에 충분히 용해시킨 후 1.5 ml의 증류수를 가해 12시간 이상 교반하여 엑센딘-4를 수상(증류수)으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엑센딘-4의 양을 정량한 뒤 봉입 효율(Encapsulation efficiency)을 계산하였다. 봉입 효율은 이론 봉입량에 대한 실제 봉입량의 백분율이다.
계산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봉입 효율 (%)
1-1 85
1-2 86
1-3 88
1-4 81
1-5 83
1-6 84
1-7 80
4 84
5-1 85
5-2 85
5-3 84
6 85
7 93
8 83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봉입 효율은 80% 이상으로 약물의 봉입 효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미립구의 평균 입자 사이즈 측정
실시예 1 및 4~8에서 제조된 엑센딘-4 함유 미립구 30 mg을 취하여 트윈 20이 0.02%(v/v) 들어 있는 증류수 1L에 분산시킨 후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ser)로 미립구의 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미립구의 평균 입자 크기 (㎛)
1-1 22
1-2 16
1-3 18
1-4 16
1-5 19
1-6 22
1-7 21
4 26
5-1 8
5-2 25
5-3 65
6 21
7 59
8 16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평균 입자크기는 8~65 ㎛로서 주사 투여시 바늘 직경이 작은 주사바늘도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 제조된 미립구의 시험관 내 방출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엑센딘-4 함유 미립구의 시험관 내(in vitro) 엑센딘-4 방출 특성을 평가를 수행하였다.
폴리스티렌 용기 내에 30 mg의 건조된 미립구들을 0.02% (w/v)의 트윈 20 (Tween 20)을 포함한 1.5 ml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7.4)용액으로 분산시킨 후, 37 ℃에서 배양(Incubation)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라 원심분리하여 미립구들을 침전시키고, 상등액 중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립구로부터 방출되는 엑센딘-4의 양을 측정하였다. 침전시킨 미립구는 다시 새로운 완충용액(PBS)에 분산시켜 방출실험을 계속하였다. 배양일에 따라 측정된 미립구로부터 방출되는 엑센딘-4의 방출량(%)을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도 1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엑센딘 분산체 제조 단계를 거쳐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4~8의 엑센딘-4 함유 미립구의 시험관 내 방출실험 결과이고, 도 3은 엑센딘 분산체 제조 단계를 거치지 않은 비교예 1 및 2의 엑센딘-4 함유 미립구의 시험관 내 방출실험 결과로서, 시간 경과에 따라 엑센딘-4를 함유한 미립구로부터 방출된 엑센딘-4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엑센딘 분산체 제조 단계를 거쳐 제조된 미립구는 초기 과다 방출 없이(1일 동안 3%의 엑센딘-4가 방출) 21일 동안 0차 방출되어 불완전 방출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엑센딘 분산체 제조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제조한 미립구의 경우에는 21일 동안 83%(비교예 1), 49%(비교예 2)만 방출되어 불완전한 방출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엑센딘-4 함유 미립구는 엑센딘-4의 초기 과다 방출이 없고, 0차 방출을 유지하며, 불완전한 방출이 없고, 엑센딘-4가 3주 이상 지속적으로 방출되므로 엑센딘-4 서방성 제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4> : 제조된 미립구의 약물속도론적 평가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엑센딘-4 함유 미립구의 생체 내(in vivo) 엑센딘-4 방출 특성 및 약물속도론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 4~8,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엑센딘-4의 양을 기준으로 140 ㎍을 취하여 1.5% CMC, 0.5% 트윈 20, 그리고 0.9% 염화나트륨을 함유한 수용성 현탁액에 현탁하여 각 용량을 5마리의 스프라그-돌리 쥐에 각각 약 0.2 ml씩 피하주사 하였다. 그 후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중의 엑센딘-4의 양을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미립구로부터 방출되는 엑센딘-4의 방출량을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실험동물에서의 엑센딘-4의 방출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실험동물에서의 엑센딘-4의 방출양상은 도 1의 시험관 내 방출결과와 유사하게 초기 방출이 없었으며, 20일 이상 엑센딘-4가 0차로 지속 방출되었고, 불안전 방출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된 엑센딘-4의 방출량으로부터 WinNonl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동물에서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인 혈중 최고 농도(Cmax) 및 AUC0 -14d를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Cmax (ng/ml) AUC0 -14d (day*ng/ml/mg/kg)
실시예1-1 1.92 ± 0.30 11.85 ± 0.30
실시예1-2 2.78 ± 0.69 9.29 ± 0.57
실시예1-3 1.33 ± 0.20 9.24 ± 0.76
실시예1-4 1.18 ± 0.12 9.63 ± 1.08
실시예1-5 1.04 ± 0.13 8.98 ± 0.62
실시예1-6 2.26 ± 0.37 9.92 ± 0.81
실시예1-7 4.02 ± 0.15 9.31 ± 0.67
실시예4 1.91 ± 0.11 12.05 ± 0.78
실시예5-1 3.13 ± 0.31 9.74 ± 1.08
실시예5-2 1.31 ± 0.11 12.01 ± 0.11
실시예5-3 1.29 ± 0.10 11.07 ± 0.91
실시예6 2.05 ± 0.33 10.84 ± 0.78
실시예7 1.67 ± 0.27 8.31 ± 0.27
실시예8 3.28 ± 0.42 9.40 ± 0.58
비교예1 0.94 ± 0.17 5.34 ± 0.61
비교예2 0.85 ± 0.24 5.07 ± 0.20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7, 4, 5-1 내지 5-3, 6 내지 8 모두 Cmax 및 AUC 측정값이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미립구는 엑센딘-4의 방출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4 및 표 7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엑센딘-4를 2 내지 4주 이상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엑센딘-4의 방출 정도도 우수하며, 약물이 방출되지 않는 기간(lag-phase)도 없는 우수한 엑센딘-4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제형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 엑센딘 -4 함유 미립구 내의 엑센딘 -4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엑센딘-4 함유 미립구 10 mg을 취하여 폴리스티렌 용기에 넣고, 1 ml의 DMSO 용액에 충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중탄산암모늄으로 1/5 희석후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라피 분석(RP-HPLC)을 실시하여, 엑센딘-4의 피이크 및 검출시간(Retention time)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엑센딘-4 함유 미립구에서 얻어진 엑센딘-4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엑센딘-4의 단일 피이크를 확인할 수 있었고, 유지시간도 비교물질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24)

  1. 당조절 펩타이드를 지속제어 방출할 수 있는, 당조절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조절 펩타이드는 합성 엑센딘-3, 엑센딘-4 및 이들의 유사체, 아고니스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조절 펩타이드는 엑센딘-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L-락트산, 폴리-D-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L-락트산-코-글리콜산 및 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6. 고분자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고분자 용액에 당조절 펩타이드를 첨가하여 당조절 펩타이드가 고분자 용액에 분산된 약물분산체를 제조한 후,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유기산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약물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을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1항의 당조절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유기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알코올은 메틸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알코올은 고분자용액과 알코올:고분자용액=1:1~1:6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에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Labrafil®, Labrasol®, 미디움 체인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 chain triglyceride), 렉틴(Lecitin), N-메틸 피롤리돈(N-methyl pryrrolidone),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ynyl pyrrolidone), 하이드로프로필 메틸셀룰로우즈(Hydropropyl methylcellulose), Tween®, Span®, Cremophor®, Poloxamer®, Brij® 및 Sunsoft 818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은 용액 부피의 0.01 내지 15%(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을 유화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교반기(Stirrer) 및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형성한 후 동결건조법 또는 진공건조법으로 건조시킴으로써 미립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트리톤, 브리즈, 폴리비닐프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가 포화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약물분산체 용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무시킴으로써 미립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건조기에서 약물분산체 용액의 유입되는 온도와 방출되는 온도는 각각 115~125 ℃, 80~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분무건조 후 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19. 고분자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고분자 용액에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당조절 펩타이드 수용액을 첨가하여 1차 유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1차 유화 용액을 유화제가 용해된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교반기(Stirrer) 및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형성한 후 동결건조법 또는 진공건조법으로 건조시킴으로써 미립구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유기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라이콜, Labrafil, Labrasol, 미디움체인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 chain triglyceride), 렉틴(Lecitin), N-메틸피롤리돈(N-methyl pr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ynyl pyrrolidone), 하이드로프로필 메틸셀룰로우즈(Hydropropyl methylcellulose), Tween, Span, Cremophor, Poloxamer, Brij 및 Sunsoft 818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트리톤, 브리즈, 폴리비닐프롤리돈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가 포화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24. 제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당조절 펩타이드를 지속제어 방출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KR1020110034213A 2007-04-19 2011-04-13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4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8467 2007-04-19
KR1020070038467 2007-04-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189A Division KR101034888B1 (ko) 2007-04-19 2008-04-18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92A true KR20110044192A (ko) 2011-04-28

Family

ID=398756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189A KR101034888B1 (ko) 2007-04-19 2008-04-18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0110034213A KR20110044192A (ko) 2007-04-19 2011-04-13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189A KR101034888B1 (ko) 2007-04-19 2008-04-18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282990B2 (ko)
EP (1) EP2139458A4 (ko)
JP (1) JP5302952B2 (ko)
KR (2) KR101034888B1 (ko)
CN (1) CN101657190B (ko)
AU (1) AU2008241699B2 (ko)
BR (1) BRPI0810140A2 (ko)
CA (1) CA2683698C (ko)
CO (1) CO6241098A2 (ko)
IL (1) IL201523A0 (ko)
MX (1) MX2009011275A (ko)
NZ (1) NZ580700A (ko)
RU (1) RU2422134C1 (ko)
WO (1) WO200813015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132B1 (ko) * 2013-03-20 2015-01-23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졸-겔 변환 특성을 갖는 고분자를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미립구
KR20200009689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주사제용 미립구의 제조방법
WO2021242021A1 (ko) * 2020-05-28 2021-12-02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작용제 함유 제어방출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1617A2 (en) 2009-03-27 2010-09-30 Van Andel Research Institute Parathyroid hormone peptides and parathyroid hormone-related protein peptides and methods of use
WO2011032099A1 (en) 2009-09-11 2011-03-1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ethods of treating diastolic dysfunction and related conditions
WO2011056572A1 (en) 2009-10-27 2011-05-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ethods of diagnosing diastolic dysfunction
EP2512503A4 (en) 2009-12-18 2013-08-21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AGONISTS OF GLUCAGON / GLP-1 RECEPTOR
MX2012008603A (es) 2010-01-27 2013-01-25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njugados de antagonista de glucagon-agonista de gip y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desordenes metabolicos y obesidad.
DK2547359T3 (en) 2010-03-15 2016-06-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 Of Illionis Inhibitors of beta integrin G-protein alpha subunit-BINDING INTERACTIONS
EP2582719B1 (en) 2010-06-16 2016-08-10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Single chain insulin agonists exhibiting high activity at the insulin receptor
CN102370624A (zh) * 2010-08-17 2012-03-14 东莞太力生物工程有限公司 Exendin-4缓释微球及其注射剂和该缓释微球的制备方法
WO2012029827A1 (ja) * 2010-09-02 2012-03-08 日本化薬株式会社 薬物-ブロックコポリマー複合体とそれを含有する医薬の製造方法
KR20120048811A (ko) * 2010-11-08 2012-05-1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아나스트로졸 함유 고분자 미립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785515B1 (ko) * 2010-11-08 2017-10-1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올란자핀 함유 고분자 미립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12087943A2 (en) 2010-12-20 2012-06-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hibi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heat shock protein 90 binding interaction
PE20140186A1 (es) 2010-12-22 2014-02-13 Univ Indiana Res & Tech Corp Analogos de glucagon que presentan actividad de receptor de gip
GEP20176629B (en) 2011-06-22 2017-02-27 Indiana Unversity Research And Tech Corporation Glucagon/glp-1 receptor co-agonists
US9415123B2 (en) 2011-10-10 2016-08-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Polymeric nanoparticles for ultrasound imaging and therapy
KR20140097151A (ko) 2011-11-17 2014-08-06 인디애나 유니버시티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활성을 나타내는 글루카곤 슈퍼패밀리 펩티드
BR112014015156A2 (pt) 2011-12-20 2020-10-27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análogos de insulina à base de ctp, seus métodos de produção e uso no tratamento de hiperglicemia, bem como sequência de ácido nucleico e célula hospedeira
MX2014015205A (es) 2012-06-14 2015-08-14 Ambrx Inc Anticuerpos anti-psma conjugados a polipeptidos de ligando de receptor nuclear.
CA2877127A1 (en) 2012-06-21 2013-12-27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Analogs of glucagon exhibiting gip receptor activity
JP6311708B2 (ja) 2012-06-21 2018-04-18 インディアナ ユニバーシティー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Gip受容体活性を示すグルカゴンアナローグ
CN108383902A (zh) 2012-09-26 2018-08-10 印第安纳大学研究及科技有限公司 胰岛素类似物二聚体
KR20150131213A (ko) 2013-03-14 2015-11-24 인디애나 유니버시티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인슐린-인크레틴 접합체들
WO2015120187A1 (en) 2014-02-05 2015-08-13 The University Of Chicago Chimeric antigen receptors recognizing cancer-spevific tn glycopeptide variants
US10232020B2 (en) 2014-09-24 2019-03-19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Incretin-insulin conjugates
US20180170992A1 (en) 2015-01-26 2018-06-21 The University Of Chicago CAR T CELLS RECOGNIZING CANCER-SPECIFIC IL 13Ra2
JP7264592B2 (ja) 2015-01-26 2023-04-25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シカゴ IL13Rα2結合剤及び癌治療におけるその使用
US20180201937A1 (en) 2015-08-04 2018-07-19 The University Of Chicago Inhibitors of cacna1a/alpha1a subunit internal ribosomal entry site (ires) and methods of treating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KR20180054627A (ko) 2015-09-21 2018-05-24 테바 파마슈티컬스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서방형 올란자핀 제제
KR101706254B1 (ko) * 2015-11-17 2017-02-13 주식회사 동일팜텍 생체조직 수복 또는 재생용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US10406336B2 (en) 2016-08-03 2019-09-10 Neil S. Davey Adjustable rate drug delivery implantable device
US10646443B2 (en) 2017-03-20 2020-05-12 Teva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Gmbh Sustained release olanzapine formulations
MX2020000190A (es) 2017-06-30 2020-07-22 Amgen Inc Métodos para tratar la insuficiencia cardíaca con activadores de sarcómero cardíaco.
CR20200099A (es) 2017-08-03 2020-07-24 Amgen Inc Muteínas de interleucina 21 y métodos de tratamiento
SG11202001499WA (en) 2017-09-08 2020-03-30 Amgen Inc Inhibitors of kras g12c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826667B1 (en) 2017-09-18 2024-04-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laudin6 antibodies and methods of treating cancer
KR102047983B1 (ko) * 2017-11-30 2019-11-22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안전성 및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2034872B1 (ko) * 2018-01-10 2019-10-21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콜라겐 펩타이드가 함유된 폴리카프로락톤 미립구 필러 및 그 제조방법
UY38049A (es) 2018-01-12 2019-07-31 Amgen Inc Anti-pd-1 anticuerpos y métodos de tratamiento
RU2696773C1 (ru) * 2018-08-13 2019-08-06 Алексей Николаевич Осинце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пептидной природы с контролируемым и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WO2020055913A1 (en) 2018-09-10 2020-03-19 Cardax, Inc. Methods of reducing- c-reactive protein and/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WO2020191342A1 (en) 2019-03-20 2020-09-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laudin-6 antibodies and drug conjugates
CN114206934A (zh) 2019-03-20 2022-03-18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密封蛋白-6双特异性抗体
CA3136496A1 (en) 2019-04-09 2020-10-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Drug adsorbed highly porous activated carbon for enhanced drug delivery
US20230190725A1 (en) 2019-04-29 2023-06-2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ek inhibitors for corneal scarring and neovascularization
CA3132656A1 (en) 2019-04-30 2020-11-05 Instituto De Medicina Molecular Joao Lobo Antunes Rank pathway inhibitors in combination with cdk inhibitors
AU2020303986A1 (en) 2019-06-24 2021-12-09 Amgen Inc. Inhibition of SIRP-gamma for cancer treatment
EP4021454A1 (en) 2019-08-30 2022-07-06 Research Institute at Nationwide Children's Hospital Copper-ats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ssociated with mitochondrial dysfunction
TW202216778A (zh) 2020-07-15 2022-05-01 美商安進公司 Tigit及cd112r阻斷
KR102469409B1 (ko) * 2020-08-24 2022-11-23 주식회사 메피온 색전물질 제조 방법
EP4277661A1 (en) 2021-01-18 2023-11-22 Anton Frenkel Pharmaceutical dosage form
JP2024504696A (ja) 2021-01-20 2024-02-01 バイオアントレ エルエルシー Ctla4結合性タンパク質およびがんを処置する方法
WO2023281406A1 (en) 2021-07-06 2023-01-12 Mark Hasleton Treatment of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withdrawal syndrome
WO2023137161A1 (en) 2022-01-14 2023-07-20 Amgen Inc. Triple blockade of tigit, cd112r, and pd-l1
CN114588115B (zh) * 2022-04-20 2023-01-13 上海瑞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plga药物缓释微球的制备方法
US11986474B1 (en) 2023-06-27 2024-05-21 Cytokinetics, Incorporated Methods for treating heart failure by administering cardiac sarcomere activato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9330A (en) * 1980-10-06 1983-06-21 Stolle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Microencapsulation process
US4861627A (en) * 1987-05-01 1989-08-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paration of multiwall polymeric microcapsules
US5271961A (en) * 1989-11-06 1993-12-21 Alkermes Controlled Therapeutics, Inc. Method for producing protein microspheres
US6143211A (en) * 1995-07-21 2000-11-07 Brown University Foundation Process for preparing microparticles through phase inversion phenomena
US6433040B1 (en) * 1997-09-29 2002-08-13 Inhale Therapeutic Systems, Inc. Stabilized bioactive preparations and methods of use
SE512663C2 (sv) * 1997-10-23 2000-04-17 Biogram Ab Inkapslingsförfarande för aktiv substans i en bionedbrytbar polymer
ES2234325T3 (es) * 1998-12-15 2005-06-1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oliesteres biodegradables.
US6689747B2 (en) * 2000-03-24 2004-02-10 Genentech, Inc. Use of insulin for the treatment of cartilagenous disorders
CN100345535C (zh) * 2000-06-27 2007-10-31 株式会社Mitech 胰岛素控释制剂及其方法
AU2002235253A1 (en) 2000-12-21 2002-07-01 Inhale Therapeutic Systems, Inc. Induced phase transi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icroparticles containing hydrophilic active agents
JP2003212758A (ja) * 2001-03-16 2003-07-30 Takeda Chem Ind Ltd 徐放性製剤の製造法
EP1369130A1 (en) * 2001-03-16 2003-12-10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sustained release preparation
KR100566573B1 (ko) * 2002-04-13 2006-03-31 주식회사 펩트론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JP5165239B2 (ja) 2003-07-15 2013-03-21 ピーアール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制御放出処方物の調製のための方法
MXPA06011924A (es) 2004-04-15 2007-06-11 Alkermes Inc Dispositivo de liberacion continua base polimeros.
US7456254B2 (en) * 2004-04-15 2008-11-25 Alkermes, Inc. Polymer-based sustained release device
KR100805208B1 (ko) * 2007-03-27 2008-02-21 주식회사 펩트론 엑센딘 함유 서방성 제제 조성물, 엑센딘 함유 서방성미립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132B1 (ko) * 2013-03-20 2015-01-23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졸-겔 변환 특성을 갖는 고분자를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미립구
US9539213B2 (en) 2013-03-20 2017-01-10 Cj Healthcare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microspheres by using polymer having sol-gel transition property and microspheres prepared thereby
KR20200009689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주사제용 미립구의 제조방법
WO2021242021A1 (ko) * 2020-05-28 2021-12-02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작용제 함유 제어방출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4924A (ja) 2010-07-22
CA2683698A1 (en) 2008-10-30
NZ580700A (en) 2012-01-12
CO6241098A2 (es) 2011-01-20
RU2422134C1 (ru) 2011-06-27
IL201523A0 (en) 2010-05-31
CN101657190B (zh) 2013-09-11
EP2139458A4 (en) 2013-01-23
BRPI0810140A2 (pt) 2014-10-29
KR20080094616A (ko) 2008-10-23
KR101034888B1 (ko) 2011-05-17
RU2009142608A (ru) 2011-05-27
AU2008241699A1 (en) 2008-10-30
US8282990B2 (en) 2012-10-09
CA2683698C (en) 2013-09-10
AU2008241699B2 (en) 2011-02-03
JP5302952B2 (ja) 2013-10-02
EP2139458A1 (en) 2010-01-06
CN101657190A (zh) 2010-02-24
US20100129459A1 (en) 2010-05-27
WO2008130158A1 (en) 2008-10-30
MX2009011275A (es)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888B1 (ko) 지속제어 방출 양상을 갖는 당조절 펩타이드 함유 생분해성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JP5135428B2 (ja) エキセンジン含有徐放性製剤組成物、エキセンジン含有徐放性微粒球、及びその製造方法
US6465425B1 (en) Microencapsulation and sustained release of biologically active acid-stable or free sulfhydryl-containing proteins
US796421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controlled release delivery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US20090169640A1 (en) Compositons for nasal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s
EP3434263B1 (en) Method for preparing sustained release microparticle
EP3434262B1 (en) Method for preparing sustained-release microgranules
WO2017186073A1 (zh) 缓释微粒的制备方法、制得的缓释微粒及其应用
WO2013189282A1 (zh) 多肽药物缓释微球制剂及其制备方法
US20060110460A1 (en) Prolonged release biodegradable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WO2017186076A1 (zh) 一种固体分散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4683319B2 (ja) 徐放性製剤用の分散剤
US20220133630A1 (en) Preparation method of sustained-release microparticles
KR20100042768A (ko)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US20210154147A1 (en) Preparation method of sustained-release microparticles
CA2383144A1 (en) Process for producing protein powder
KR100838219B1 (ko) 인간성장호르몬의 지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생분해성약학적 조성물 및 미립구 제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