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572A -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572A
KR20110034572A KR1020100093854A KR20100093854A KR20110034572A KR 20110034572 A KR20110034572 A KR 20110034572A KR 1020100093854 A KR1020100093854 A KR 1020100093854A KR 20100093854 A KR20100093854 A KR 20100093854A KR 20110034572 A KR20110034572 A KR 20110034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disk
return spring
friction pa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052B1 (ko
Inventor
노부히로 와카바야시
시게루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 부재측에 대한 리턴 스프링의 접촉 위치가, 마찰 패드의 마모 등에 따라서 크게 위치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마찰 패드(9)를 디스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21)을, 마찰 패드(9)의 백메탈(10)에 고정 부착되는 일측의 고정부(21A)와, 고정부(21A)로부터 디스크의 축방향에서 마찰 패드(9)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뻗어 나온 연장부(21B)와, 연장부(21B)의 선단측을 장착 부재측으로 향해서 되접은 폴딩부(21C)와, 폴딩부(21C)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장착 부재측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21D)에 의해 구성한다. 그리고, 폴딩부(21C)의 도중에서 절곡된 부분[절곡부(21C4)]은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접촉부(21D)보다도 고정부(21A)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 등의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는, 차량의 운전자 등이 브레이크 조작을 실행했을 때에, 캘리퍼에 설치된 피스톤을 외부로부터의 액압 공급에 의해 디스크측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시켜, 마찰 패드를 디스크에 대하여 누른다. 그리고, 이때의 반력으로 캘리퍼가 캐리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변위되어 클로부(claw portion)와 피스톤 사이에서 각 마찰 패드를 디스크의 양면에 대하여 누름으로써, 회전하는 디스크에 제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상기 각 마찰 패드를 디스크의 양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을 갖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리턴 스프링은, 상기 캐리어와 마찰 패드 사이에 설치되어 그 마찰 패드를 디스크로부터 이격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이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4-308789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채용하고 있는 리턴 스프링은, 마찰 패드의 백메탈에 고정 부착되는 일측의 고정부와 장착 부재의 아암부측에 접촉(탄성 접촉)되는 타측의 접촉부의 사이의 도중 부분을, 역V자형 또는 역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채용한 리턴 스프링은,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가 마모되어 감에 따라, 리턴 스프링의 변형이 커져, 상기 장착 부재측에 대한 리턴 스프링의 접촉 위치가 마찰 패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게 간다. 이러한 위치 어긋남을 고려하여 리턴 스프링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해 둘 필요가 있는데, 이는 캐리어의 대형화, 나아가서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대형화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리턴 스프링이, 마찰 패드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장착 부재측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상기 마찰 패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이 연장부로부터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되접힌 폴딩부(folded back portion)를 구비하고, 이 폴딩부를, 디스크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보다도 상기 고정부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로부터, 디스크 축방향으로 상기 장착 부재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뻗어 상기 접촉부에 접속되는 하나의 연장 형성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리턴 스프링을, 일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 패드의 디스크 접촉면과 반대측의 평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타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 부재측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상기 마찰 패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이 연장부의 선단측과 상기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 부재측을 향해 되접힌 폴딩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이 폴딩부를, 상기 연장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마찰 패드의 상기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넘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 형성부와, 이 제1 연장 형성부의 선단측으로부터 디스크 축방향으로 상기 장착 부재측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되접혀, 상기 접촉부에 접속되는 제2 연장 형성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마찰 패드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장착 부재측에 접촉하는 접촉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상기 마찰 패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이 연장부로부터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되접힌 폴딩부를 마련하고,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로부터 이격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의 상기 폴딩부에는, 상기 마찰 패드의 디스크 접촉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2곳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 중 상기 마찰 패드측의 하나의 절곡부의 굽힘 강성을, 상기 장착 부재측의 다른 절곡부의 굽힘 강성보다도 낮게 설정한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브레이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외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오른쪽 방향에서 본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리턴 스프링 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패드 스프링을 단일체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외측의 마찰 패드에 외측의 리턴 스프링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리턴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 중의 리턴 스프링이 마찰 패드의 마모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은 비교예에 의한 리턴 스프링의 탄성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 8과 같은 위치에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2 중의 리턴 스프링의 변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에 의한 리턴 스프링의 변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리턴 스프링을 도시하는 부품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의한 리턴 스프링을 도시하는 부품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에 의한 리턴 스프링을 도시하는 부품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에 의한 리턴 스프링을 도시하는 부품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형태에 의한 리턴 스프링을 도시하는 부품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리턴 스프링을 왼쪽 방향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리턴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여기서,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 중, 디스크(1)는, 예컨대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차륜(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캐리어(2)는 장착 부재로서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부착된다. 이 캐리어(2)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1)의 회전 방향(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디스크(1)의 외주에 걸치는 식으로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아암부(2A, 2A)와, 이들 각 아암부(2A)의 기단측을 일체화하도록 접속하여 설치되고, 디스크(1)의 내측으로 되는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고정되는 두꺼운 지지부(2B) 등을 갖고 있다.
또한, 캐리어(2)에는, 디스크(1)의 외측이 되는 위치에서 아암부(2A, 2A)의 선단측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 빔(2C)이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아암부(2A)의 중간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1)의 외주(회전 궤적)를 따라서 원호형으로 뻗는 디스크 패스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패스부(3)에 있어서의 디스크(1)의 축방향의 양측에는, 내측, 외측의 패드 가이드(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아암부(2A)에는 디스크(1)의 축방향을 따라서 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핀 구멍 안에는 후술하는 미끄럼 이동 핀(6)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캐리어(2)의 각 아암부(2A)에는, 디스크 패스부(3)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그 디스크 패스부(3)를 사이에 두고서, 각 아암부(2A)의 기단측(내측)과 선단측(외측)에 각각 패드 가이드(4, 4, …)가 설치된다. 이들 패드 가이드(4)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뻗어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패드 가이드(4)는, 브레이크를 조작할 때에 후술하는 마찰 패드(9)가 디스크(1)로부터 받는 제동 토크를 떠받치는 토크 받침부를 겸용하고 있다.
캐리어(2)에는 캘리퍼(5)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캘리퍼(5)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1)의 일측(내측)에 설치된 내측 레그부(5A)와, 캐리어(2)의 각 아암부(2A) 사이에서 디스크(1)의 외주측에 걸치는 식으로 내측 레그부(5A)로부터 디스크(1)의 타측(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브릿지부(5B)와, 이 브릿지부(5B)의 선단측(외측)으로부터 디스크(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뻗고 선단측이 복수의 클로부로 된 외측 레그부(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캘리퍼(5)의 내측 레그부(5A)에는,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실린더(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레그부(5A)에는, 도 1, 도 2의 좌측,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1쌍의 장착부(5D, 5D)가 형성되고, 이들 장착부(5D)는, 캘리퍼(5)를 미끄럼 이동 핀(6)을 통해 캐리어(2)의 각 아암부(2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하는 지지 아암을 구성하는 것이다. 미끄럼 이동 핀(6)과 각 아암부(2A)의 사이에는, 미끄럼 이동 핀(6)의 기단측 주위를 덮어, 이 미끄럼 이동 핀(6)과 아암부(2A)의 핀 구멍 사이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보호 부츠(8)가 부착되어 있다.
내측, 외측의 마찰 패드(9, 9)는 디스크(1)의 양면에 대향 배치된다. 이들 마찰 패드(9)는, 도 1, 도 2,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1)의 둘레 방향(회전 방향)으로 뻗는 평판형의 백메탈(10)과, 이 백메탈(10)의 표면측에 고착 설치되어 디스크(1)의 표면에 마찰 접촉하는 마찰재로서의 라이닝(11)(도 6 참조)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찰 패드(9)의 백메탈(10)은, 전체적으로 부채 형상을 이루는 평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디스크(1)의 둘레 방향]의 양단측에는 끼워맞춤부로서의 귀(耳)부(10A, 10A)가 볼록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백메탈(10)의 각 귀부(10A)는, 후술하는 패드 스프링(14)의 각 안내판부(18)를 통해 캐리어(2)의 각 패드 가이드(4) 내에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내측, 외측의 마찰 패드(9)는, 브레이크 조작시에 캘리퍼(5)에 의해서 디스크(1)의 양면에 눌리고, 이 때에 백메탈(10)의 각 귀부(10A)가 패드 가이드(4)를 따라서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하는 것이다.
또한,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각 귀부(10A)에는, 후술하는 패드 스프링(14)의 직경 방향 압박부(19)가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이에 따라 마찰 패드(9)는 디스크(1)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항상 압박된다. 또한, 마찰 패드(9)의 백메탈(10)에는, 각 귀부(10A)의 기단(근원)측 부근에 위치하여 좌우의 코오킹부(10B, 10B)가 형성되고 있다.
한편,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각 귀부(10A) 중 디스크(1)의 회전 출구측에 위치하는 귀부(10A)는, 예컨대 차량의 브레이크를 조작할 때에 마찰 패드(9)가 디스크(1)로부터 받는 제동 토크(도 1의 화살표 A 방향의 회전 토크)에 의해, 캐리어(2)의 회전 출구측의 아암부(2A)[패드 가이드(4)의 바닥부]에 패드 스프링(14)의 안내판부(18)를 통해 계속 접촉하여, 양자의 접촉면 사이에서 캐리어(2)에 의해 브레이크 조작시의 제동 토크가 받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도 4에 도시하는 외측의 마찰 패드(9)에는, 백메탈(10)의 배면측에 울림 방지용의 쐐기(shim)판(1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내측의 마찰 패드(9)에는, 백메탈(10)의 배면측에 울림 방지용의 쐐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패드 스프링(14, 14)은 캐리어(2)의 각 아암부(2A)와 마찰 패드(9) 사이에 배치되어, 캐리어(2)의 각 아암부(2A)에 각각 부착된다. 패드 스프링(14, 14)은, 양자 사이에서 내측, 외측의 마찰 패드(9)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마찰 패드(9)의 미끄럼 이동 변위를 매끄럽게 하는 것이다. 패드 스프링(14)은, 도 1, 도 2,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펀칭한 후에 프레스 가공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 가공에 의해, 패드 스프링(14)에는, 연결판부(15), 안내판부(18, 18), 직경 방향 압박부(19, 19) 및 시트면판부(20, 20)가 형성된다.
연결판부(15)는 패드 스프링(14)의 각 안내판부(18) 등을 연결한다. 이 연결판부(15)는, 디스크(1)의 외주측에 걸치는 식으로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 양단측에는, 1쌍의 평판부(16, 16)가 디스크(1)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뻗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판부(17)는, 1쌍의 평판부(16, 16) 사이에 위치하고 연결판부(1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판부(17)는, 아암부(2A)의 디스크 패스부(3)에 직경 방향 안쪽에서 걸어맞춰지는 식으로 캐리어(2)에 부착된다. 이로써, 패드 스프링(14)은 캐리어(2)의 아암부(2A)에 대하여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게 된다.
안내판부(18, 18)는 연결판부(15)의 양단측에 각 평판부(16)를 통해 설치된다. 이들 각 안내판부(18)는, 평판부(16)의 선단측에서 대략 コ자형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안내판부(18, 18) 중 한 쪽의 안내판부(18)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의 패드 가이드(4) 내에 끼워 맞춰 부착되고, 다른 쪽의 안내판부(18)는 내측의 패드 가이드(4)에 끼워 맞춰 부착되는 것이다. 안내판부(18)는, 패드 가이드(4)의 상하의 벽면에 대향하는 상면판(18A), 하면판(18B)과, 이들 상면판(18A), 하면판(18B) 사이를 디스크(1)의 직경 방향에서 연결하고, 평탄면 형상을 이루어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뻗고, 패드 가이드(4)의 안쪽 벽면(바닥부)에 접촉되는 가이드 바닥판(18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19, 19)는, 마찰 패드(9, 9)를 디스크(1)의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압박한다. 이들 각 직경 방향 압박부(19)는, 안내판부(18)의 하면판(18B)으로부터 디스크(1)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디스크(1)의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C자형으로 되접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압박부(19)는, 마찰 패드(9)의 귀부(10A)를 디스크(1)의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마찰 패드(9)의 덜컥거림을 억제하는 것이다.
시트면판부(20, 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측이 안내판부(18)의 가이드 바닥판(18C)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L자형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면판부(20)의 선단측은, 도 1, 도 2,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2)의 아암부(2A)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디스크(1)의 둘레 방향 바깥쪽(좌, 우측 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뻗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시트면판부(20)의 자유단측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리턴 스프링(21)보다도 폭이 넓은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리턴 스프링(21)이 탄성 변형 상태에서 접촉할 때의 받침 시트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트면판부(20)의 선단측에는,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1)의 축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L자형으로 굴곡된 굴곡편부(20A)가 형성된다.
리턴 스프링(21, 21)은, 도 1,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1)의 회전 입구측(회전 방향 입구측)에 위치하는 아암부(2A)와 마찰 패드(9) 사이에 배치되어, 내측, 외측의 마찰 패드(9)를 디스크(1)로부터 이격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각 리턴 스프링(21)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일측이 각 마찰 패드(9)의 백메탈(10)에 부착되고, 길이 방향의 타측이 캐리어(2)측[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에 탄성 변형 상태에서 접촉되는 것이다. 리턴 스프링(21)은,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21A)와, 연장부(21B)와, 폴딩부(21C)와, 접촉부(21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21A)는, 리턴 스프링(21)의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하고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귀부(10A)측에 코오킹부(10B)에 의해 고정된다. 연장부(21B)는, 상기 고정부(21A)로부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단측이 디스크(1)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는 방향인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장부(21B)는, 반드시 L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단측이 디스크(1)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는 방향인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할 필요는 없으며, 적절하게 디스크(1)의 축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고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폴딩부(21C)는, 상기 연장부(21B)의 선단측을 캐리어(2)측, 즉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을 향해서 되접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21D)는, 폴딩부(21C)에 연속하여 리턴 스프링(21)의 길이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며, 대략 U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21D)에 있어서는, 그 폴딩 부위, 즉 U자형으로 라운딩을 갖게 절곡된 부위가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며, 이 접촉 부위를 기점으로 리턴 스프링(21)이 마찰 패드(9)를 디스크(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리턴 스프링(21)의 폴딩부(21C)는, 연장부(21B)의 선단측으로부터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은 제1 연장 형성부(21C1)와, 이 제1 연장 형성부(21C1)의 선단측으로부터 캐리어(2)측[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을 향해 되접혀 접촉부(21D)에 매끄럽게 접속되는 제2 연장 형성부(21C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폴딩부(21C)에는, 연장부(21B)와 폴딩부(21C)의 제1 연장 형성부(21C1) 사이에 제1 절곡부(21C3)가 만곡된 대략 L자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폴딩부(21C)의 도중 부분인 제1 연장 형성부(21C1)와 제2 연장 형성부(21C2) 사이에는 제2 절곡부(21C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절곡부(21C4)는,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접촉부(21D)보다도 고정부(21A)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폴딩부(21C)의 제2 연장 형성부(21C2)는, 제1 연장 형성부(21C1)의 선단측[제2 절곡부(21C4)의 위치]으로부터 되접혀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고정부(21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연장 형성부(21C1)와 제2 연장 형성부(21C2)가 이루는 각[이하, 편의상 제2 절곡부(21C4)의 각도라고 함]은 예각으로 되어 있으며, 연장부(21B)와 제1 연장 형성부(21C1)가 이루는 각(이하, 편의상 제1 절곡부(21C3)의 각도라고 함)의 예각보다도 작은 각도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리턴 스프링(21)의 폴딩부(21C)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1)의 회전 입구측에 위치하는 패드 가이드(4),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 등에 걸치는 방향(도 4의 좌우측 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여기서, 제1 연장 형성부(21C1)는 다른 연장 형성부로서 구성되고, 제2 연장 형성부(21C2)는 하나의 연장 형성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절곡부(21C3)는 하나의 절곡부로서 구성되고, 제2 절곡부(21C4)는 다른 절곡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연장부(21B)가 디스크(1)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제1 절곡부(21C3)의 각도 및 제2 절곡부(21C4)의 각도는, 제2 연장 형성부(21C2)가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고정부(21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뻗어 나오도록 되어 있으면, 상술된 바와 같이 양방이 예각으로 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절곡부(21C3)의 각도가 예각일 때에 제2 절곡부(21C4)의 각도를 직각 혹은 둔각으로 하거나, 제1 절곡부(21C3)의 각도가 직각 혹은 둔각일 때에 제2 절곡부(21C4)의 각도를 예각으로 할 수 있으며, 어느 경우나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하면 된다.
(수학식 1)
[90°- 제1 절곡부(21C3)의 각도] > [제2 절곡부(21C4)의 각도 - 90°]
리턴 스프링(21)은, 그 선단측(길이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접촉부(21D)가 시트면판부(20)의 표면에 탄성 변형 상태로 접촉하거나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마찰 패드(9)[백메탈(10)]를 디스크(1)로부터 멀어지는 리턴 방향으로 항상 압박하여, 예컨대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 마찰 패드(9)를 디스크(1)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까지 안정적으로 되돌리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크 브레이크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하에 그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차량의 브레이크를 조작할 때에는, 캘리퍼(5)의 내측 레그부(5A)(실린더)에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함으로써 피스톤을 디스크(1)를 향해서 미끄럼 이동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서 내측의 마찰 패드(9)를 디스크(1)의 일측면에 대하여 누른다. 그리고, 이 때에는 캘리퍼(5)가 디스크(1)로부터의 압박 반력을 받기 때문에, 캘리퍼(5) 전체가 캐리어(2)의 아암부(2A)에 대하여 내측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하고, 외측 레그부(5C)가 외측의 마찰 패드(9)를 디스크(1)의 타측면에 대하여 누른다(도 8에 도시하는 스트로크 S 참조).
이로써, 내측과 외측의 마찰 패드(9)는, 도 1∼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1)를, 양자의 사이에서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할 수 있어, 디스크(1)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는, 상기 피스톤으로의 액압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내측과 외측의 마찰 패드(9)가 디스크(1)로부터 이격되어, 다시 비제동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이러한 브레이크의 조작시, 해제시(비제동시)에, 마찰 패드(9)의 백메탈(10)은, 좌우의 귀부(10A)가 각 패드 스프링(14)의 직경 방향 압박부(19)에 의해 디스크(1)의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압박된다. 이 때문에, 백메탈(10)의 각 귀부(10A)는, 캐리어(2)의 각 아암부(2A) 중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에 패드 스프링(14)의 안내판부(18)[상면판(18A)]를 통해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압박된다. 이에 따라, 마찰 패드(9)가 차량 주행시의 진동 등에 의해 디스크(1)의 직경 방향 및 회전 방향 또는 둘레 방향으로 덜걱거리는 것 등을, 패드 스프링(14)에 설치한 직경 방향 압박부(19)의 탄성력(압박력)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조작시에는, 마찰 패드(9)가 디스크(1)로부터 제동 토크(화살표 A 방향의 회전 토크)를 받고, 이 때에는 회전 출구측의 귀부(10A)가 캐리어(2)의 패드 가이드(4)(토크 받침부)에 패드 스프링(14)의 안내판부(18)의 가이드 바닥판(18C)을 통해 계속 접촉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조작시의 제동 토크를 회전 출구측의 아암부(2A)(토크 받침부)에 의해 받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를 조작할 때에는, 마찰 패드(9)의 각 귀부(10A)를 패드 가이드(4)의 상측 벽면에 패드 스프링(14)의 안내판부(18)의 상면판(18A)을 통해 슬라이딩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내측, 외측의 마찰 패드(9)를 안내판부(18)를 따라서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의 리턴 스프링(21)을, 고정부(21A), 연장부(21B), 폴딩부(21C) 및 접촉부(21D) 등으로,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일체물로서 형성하고, 폴딩부(21C)의 도중 부분인 제2 절곡부(21C4)를, 마찰 패드(9)의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접촉부(21D)보다도 고정부(21A)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 마찰 패드(9)의 라이닝(11)이 마모되고, 이에 따라 리턴 스프링(21)이 도 8에 예시하는 것과 같이 변형되는 경우라도, 캐리어(2)측, 즉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에 대한 리턴 스프링(21)의 접촉부(21D)의 접촉 위치가 위치 어긋나는 것을, 도 8에 치수 α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게 억제하고, 또한, 어긋나는 방향을 리턴 스프링(21)의 고정부(21A)에 근접하는 방향, 즉 백메탈(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21)의 접촉부(21D)에 있어서의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에 대한 이동 거리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시트면판부(20)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그 만큼 캐리어(2)의 시트면판부(20)의 대응 부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캐리어(2), 나아가서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21)은, 연장부(21B) 및 폴딩부(21C)가 디스크(1)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량(도 8에 도시하는 치수 γ)을, 폴딩부(21C)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캐리어(2)와 마찰 패드(9) 사이에 리턴 스프링(21)을 부착함에 있어서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레이아웃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비교예의 경우는, 리턴 스프링(22)을, 마찰 패드(9)의 백메탈(10)에 고정 부착되는 일측의 고정부(22A)와, 이 고정부(22A)로부터 디스크의 축방향에서 마찰 패드(9)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뻗어 나온 연장부(22B)와, 이 연장부(22B)의 선단측을 캐리어(2)측을 향해 되접음으로써 형성된 폴딩부(22C)와, 이 폴딩부(22C)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캐리어(2)측[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22D)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또한, 폴딩부(22C)는, 연장부(22B)의 선단측으로부터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은 제1 연장 형성부(22C1)와, 이 제1 연장 형성부(22C1)의 선단측으로부터 캐리어(2′)측[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을 향해서 절곡되어 접촉부(22D)에 매끄럽게 접속되는 제2 연장 형성부(22C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폴딩부(22C)에는, 연장부(22B)와 폴딩부(22C)의 제1 연장 형성부(22C1) 사이에 제1 절곡부(22C3)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폴딩부(22C)의 도중 부분인 제1 연장 형성부(22C1)와 제2 연장 형성부(22C2) 사이에는 제2 절곡부(22C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절곡부(22C4)는,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22D)보다도 고정부(22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연장 형성부(22C1)와 제2 연장 형성부(22C2)가 이루는 각[이하, 편의상 제2 절곡부(22C4)의 각도라고 함]은 둔각으로 되어 있고, 연장부(22B)와 제1 연장 형성부(22C1)가 이루는 각[이하, 편의상 제1 절곡부(22C3)의 각도라고 함]의 직각보다도 큰 각도로 되어 있다.
즉, 비교예에 의한 리턴 스프링(22)은, 길이 방향 일측의 고정부(22A)와 캐리어(2)의 아암부(2A)측에서 시트면판부(20)에 접촉(탄성 접촉)되는 타측의 접촉부(22D) 사이의 도중 부분[예컨대, 폴딩부(22C)]을 역V자형 또는 역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교예에 의한 리턴 스프링(22)의 경우는, 브레이크 조작을 반복하는 중에 마찰 패드(9)의 라이닝(11)이 마모되어 감에 따라, 리턴 스프링(22)의 변형이 커져,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에 대한 리턴 스프링(22)[접촉부(22D)]의 접촉 위치가, 도 9에 도시하는 치수 β(β>α)와 같이, 고정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마찰 패드(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크게 위치 어긋난다.
더구나, 도 9에 도시하는 비교예의 경우에는, 리턴 스프링(22)의 스프링 정수를 확보하기 위한 길이 치수가 있기 때문에, 연장부(22B) 및 폴딩부(22C)가 고정부(22A)의 위치로부터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량(도 9에 도시하는 치수 γ′)도 크게 하지 않을 수 없어, 리턴 스프링(22)의 장착 스페이스를 확보함에 있어서 레이아웃 설계가 어렵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리턴 스프링(21)과 비교예의 리턴 스프링(22)의 동작에 관해서 도 10 및 도 11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리턴 스프링(21, 22)은, 고정부(21A, 22A)가 디스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지만,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접촉부(21D, 22D)가 디스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힘이 작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리턴 스프링(21)에 있어서는, 리턴 스프링(21)이 힘을 받는 초기 단계, 즉 도 10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접촉부(21D)의 이동이 길이 S1인 경우에, 리턴 스프링(21)의 접촉부(21D)에는, 접촉면인 시트면판부(20)에 대하여 수직의 힘(F1)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힘(F1)은, 제2 연장 형성부(21C2)에 평행한 분력(F1L)과 제2 연장 형성부(21C2)에 대하여 수직인 분력(F1S)으로 나뉘어 제2 연장 형성부(21C2)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제2 연장 형성부(21C2)는, 제1 연장 형성부(21C1)의 선단측[제2 절곡부(21C4)의 위치]으로부터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고정부(21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접힘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연장 형성부(21C2)에 분력(F1S)의 힘이 작용함으로써,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21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2 연장 형성부(21C2)가 휘어지게 한다. 이때, 고정부(21A)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분력(F1S)에 의해서 연장부(21B)를 고정부(21A)에 가깝게 하는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부(21D)와 반대측으로 휘게 된다. 이러한 연장부(21B)의 휘어짐에 의해서, 접촉부(21D)는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 때, 제2 연장 형성부(21C2) 및 연장부(21B)가 휘어짐으로써, 제2 절곡부(21C4)는 길이 S1보다도 적은 이동량으로 제2 절곡부(21C4′)에 이르게 되어 있다.
또한, 마찰 패드(9)의 라이닝(11)이 이상 마모되어, 리턴 스프링(21)이 힘을 받아,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21D)가 길이 S2까지 더 이동한 경우에는, 연장부(21B)의 휘어짐이 상한까지 이르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때에, 제2 연장 형성부(21C2)에 작용하는 힘(F2) 중, 제2 연장 형성부(21C2′)에 평행한 분력(F2L)에 의해서, 제2 연장 형성부(21C2)를 제1 연장 형성부(21C1)로부터 멀어지는[제2 절곡부(21C4)의 각도를 넓히는] 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로써, 접촉부(21D)는,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21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α'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의 리턴 스프링(22)에 있어서는, 리턴 스프링(22)이 힘을 받는 초기 단계, 즉 도 11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접촉부(22D)의 이동이 길이 S1인 경우에, 리턴 스프링(22)의 접촉부(22D)에는, 접촉면인 시트면판부(20′) 에 대하여 수직의 힘(F1′)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힘(F1′)은, 제2 연장 형성부(22C2)에 평행한 분력(F1L′)과 제2 연장 형성부(22C2)에 대하여 수직인 분력(F1S′)으로 나뉘어 제2 연장 형성부(22C2)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제2 연장 형성부(22C2)는, 제1 연장 형성부(22C1)의 선단측[제2 절곡부(22C4)의 위치]으로부터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고정부(2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력(F1S)의 힘이 고정부(2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2 연장 형성부(22C2)에 작용함으로써,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고정부(2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2 연장 형성부(22C2)가 휘어지게 한다. 이러한 제2 연장 형성부(22C2)의 휘어짐에 의해서, 접촉부(22D)는, 시트면판부(20′) 위를 미끄러지게 되어,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2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길이 β1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연장 형성부(22C2)가 휘어짐으로써, 제2 절곡부(22C4)는 길이 S1보다도 적은 이동량으로 제2 절곡부(22C4′)에 이르게 된다.
또한, 리턴 스프링(22)이 힘을 받아,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22D)가 길이 S2까지 더 이동한 경우에는, 제2 연장 형성부(22C2)의 휘어짐이 상한까지 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때에, 분력(F2L′)에 의해서 연장부(22B)를 고정부(22A)에 가깝게 하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이러한 연장부(22B)의 휘어짐에 의해서, 접촉부(22D)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부(22D)는,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2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β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리턴 스프링(21)과 비교예의 리턴 스프링(22)에서는, 제2 연장 형성부(21C2, 22C2)의 연장 방향의 차이에 의해서, 고정부(21A, 22A)의 이동에 의한 접촉부(21D, 22D)의 디스크 회전 방향의 이동량이 다르고, 접촉부(22D)의 이동량보다도 접촉부(21D)의 이동량 쪽이 적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리턴 스프링(21)과 비교예의 리턴 스프링(22)의 동작에 관해서, 생각을 달리하면, 본 실시형태의 리턴 스프링(21)에 있어서는, 제2 절곡부(21C4)의 각도가 예각으로 되어 있고, 제1 절곡부(21C3)의 각도의 예각보다도 작은 각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21D)에 대하여 고정부(21A)가 디스크(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제2 절곡부(21C4)보다도 제1 절곡부(21C3)쪽이 그 각도가 넓어지기 쉽게 되어 있으며, 달리 말하면, 제1 절곡부(21C3)의 굽힘 강성이 제2 절곡부(21C4)의 굽힘 강성보다도 낮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마찰 패드(9)가 디스크(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절곡부(21C4)가 각도를 넓히도록 구부려졌을 때, 그 힘을 받아, 제2 절곡부(21C4)보다도 먼저 제1 절곡부(21C3)가 각도를 넓히도록 구부려짐으로써, 연장부(21B)의 선단이 디스크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접촉부(21D)와는 반대측으로 휘게 된다. 이에 따라, 리턴 스프링(21)에 있어서는, 고정부(21A)의 이동에 의한 접촉부(21D)의 디스크 회전 방향의 이동이 거의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의 리턴 스프링(22)에 있어서는, 제2 절곡부(22C4)의 각도가 둔각으로 되어 있고, 제1 절곡부(22C3)의 각도인 직각보다도 큰 각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22D)에 대하여 고정부(22A)가 디스크(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제1 절곡부(22C3)보다도 제2 절곡부(22C4)쪽이 그 각도가 넓어지기 쉽게 되어 있으며, 달리 말하면, 제1 절곡부(22C3)의 굽힘 강성이, 제2 절곡부(22C4)의 굽힘 강성보다도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마찰 패드(9)가 디스크(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절곡부(22C4)가 각도를 넓히도록 구부러졌을 때, 그대로 제2 절곡부(22C4)의 각도가 넓어지도록 구부러져, 연장부(22B)를 고정부(22A)에 가깝게 하는 방향, 즉 디스크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부(22D)와 반대측으로 휘게 할 수 없어, 최종적으로 접촉부(22D)가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고정부(2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해 버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리턴 스프링(21)은, 제1 절곡부(21C3)의 굽힘 강성이, 제2 절곡부(21C4)의 굽힘 강성보다도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21A)의 이동에 의한 접촉부(21D)의 디스크 회전 방향의 이동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리턴 스프링(21)은,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의 반복에 의해 마찰 패드(9)의 라이닝(11)이 마모된 경우라도,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에 대한 리턴 스프링(21)[접촉부(21D)]의 접촉 위치가 위치 어긋나는 것을, 도 8에 도시하는 치수 α와 같이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의 길이 치수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캐리어(2)의 시트면판부(20)의 대응 부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캐리어(2), 나아가서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스프링(14)의 재료를 효율적으로 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2)의 아암부(2A)측에 있어서의 패드 가이드(4)와 핀 구멍(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레이아웃이 엄격한 경우라도 비교적 용이하게 레이아웃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21)의 돌출량(도 8에 도시하는 치수 γ)을, 도중 부분[제2 절곡부(21C4)]이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21A)로부터 접촉부(21D)보다도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폴딩부(21C)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턴 스프링(21)의 장착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레이아웃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21)의 폴딩부(21C)는, 제1 연장 형성부(21C1)와 제2 연장 형성부(21C2) 사이의 제2 절곡부(21C4)를, 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고정부(21A)로부터 접촉부(21D)보다도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거나 혹은 제1 연장 형성부(21C1)가 연장부(21B)의 선단측으로부터 마찰 패드(9)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고정부(2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촉부(21D)를 넘은 위치까지 뻗어 있기 때문에, 제1 연장 형성부(21C1)와 제2 연장 형성부(21C2)의 연장 형성 길이(합계 길이 치수)를 종래 물품(도 9에 도시하는 비교예)에 비하여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스프링 정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리턴 스프링(21)은, 제1 연장 형성부(21C1)와 제2 연장 형성부(21C1)의 연장 형성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스프링 정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21)을 제작함에 있어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필요한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부(21B) 및 폴딩부(21C)를 갖는 리턴 스프링(21)은, 예컨대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 등에, 리턴 스프링(21)의 압박력을 마찰 패드(9)에 대하여 적정한 위치에서 부여할 수 있어, 마찰 패드(9)를 디스크(1)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스크 브레이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데다, 레이아웃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할 때에 리턴 스프링(21)의 압박력에 의해서 마찰 패드(9)를 대기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어, 마찰 패드(9)의 리턴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마찰 패드(9)의 편마모 등을 저감할 수 있어, 패드의 끌림이나 브레이크 울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리턴 스프링의 폴딩부를 연장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원호형으로 만곡시켜 형성하고, 그 도중 부분을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보다도 고정부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31은 마찰 패드(9)를 디스크(1)로부터 이격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을 나타내며, 이 리턴 스프링(31)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리턴 스프링(21)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평판형의 고정부(31A)와, 이 고정부(31A)로부터 L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단측이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뻗어 나온 연장부(31B)와, 이 연장부(31B)의 선단측을 캐리어(2)측을 향해서 C자형으로 되접는 식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폴딩부(31C)와, 리턴 스프링(31)의 길이 방향 타측을 대략 U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접촉부(31D)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리턴 스프링(31)은, 연장부(31B)가 고정부(31A)로부터 L자형으로 절곡되어 디스크 축방향에 평행하게 뻗은 후에 접촉부(31D)와는 반대측으로 약간 절곡되게 형성되어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도 12의 1점쇄선이 교차하는 위치(X)까지 연장되고] 있는 점, 그리고 폴딩부(31C)를 연장부(31B)의 선단측으로부터 C자형을 이루어 원호형으로 만곡하도록 형성한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폴딩부(31C)의 기단측은 연장부(31B)의 선단으로부터 연속되는 원호로서 형성되고, 폴딩부(31C)는 예컨대 전체적으로 대략 C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원호형을 이루는 폴딩부(31C)는, 그 도중 부분(31C1)이 마찰 패드(9)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31D)보다도 고정부(31A)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의 리턴 스프링(31)은, 전체가 대략 Ω 형상으로 형성되어, 폴딩부(31C)를 연장부(31B)의 선단측으로부터 연속된 원호로서 C자형(원호형)으로 만곡시켜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턴 스프링(31)은, 폴딩부(31C)의 원호 지름(곡률) 또는 연장 형성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스프링 정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31)을 제작함에 있어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요한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딩부(31C)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직선형의 제1 연장 형성부(21C1) 및 제2 연장 형성부(21C2)가 연속된 원호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굳이 제1 연장 형성부(31C1)와 제2 연장 형성부(31C2)를 나누면, 도 12에 있어서 1점쇄선이 교차하는 위치(Y)에서 이들 연장 형성부가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리턴 스프링(31)의 전체 형상을 전부 원호의 대략 Ω 형상으로 했지만, 그 일부, 예컨대 연장부(31B)를 연장시켜 대략 P자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제3 실시형태〕
이어서,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후술하는 접촉부(41D)를 폴딩부(41C)가 이루는 원호의 안쪽으로 되는 방향으로 배향되게 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도면에서, 41은 마찰 패드(9)를 디스크(1)로부터 이격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을 나타내며, 이 리턴 스프링(41)은, 고정부(41A), 연장부(41B), 폴딩부(41C) 및 접촉부(41D)를 구비하고 있다. 폴딩부(41C)는, 디스크(2)의 축방향으로 뻗어 나온 연장부(41B)의 선단측으로부터 접선 방향을 따라서 원호형으로 만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리턴 스프링(41)은, 그 길이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접촉부(41D)를, 폴딩부(41C)가 이루는 원호의 안쪽 방향을 향해서 대략 U자형으로 절곡하여, 원호형으로 만곡시키는 구성으로 했다는 점에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그리고, 원호형을 이루는 폴딩부(41C)는, 그 도중 부분(41C1)이 마찰 패드(9)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41D)보다도 고정부(41A)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폴딩부(41C)는, 굳이 제1 연장 형성부(41C1)와 제2 연장 형성부(41C2)를 나누면, 도 13에 있어서 1점쇄선이 교차하는 위치(Y)에서 이들 연장 형성부가 나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접촉부(41D)를 폴딩부(41C)가 이루는 원호의 안쪽 방향을 향해서 대략 U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디스크 브레이크 제조시에 접촉부(41D)의 선단이 다른 부품 등에 닿을 우려가 없어,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제4 실시형태〕
이어서,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리턴 스프링의 폴딩부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제4 연장 형성부에 의해 형성하고, 그 도중 부분을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보다도 고정부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51은 마찰 패드(9)를 디스크(1)로부터 이격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을 나타내며, 이 리턴 스프링(51)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리턴 스프링(21)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평판형의 고정부(51A)와, 이 고정부(51A)로부터 L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단측이 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뻗어 나온 연장부(51B)와, 이 연장부(51B)의 선단측을 캐리어(2)측을 향해서 여러번 절곡하여 형성한 폴딩부(51C)와, 리턴 스프링(51)의 길이 방향 타측을 대략 U자형 또는 원호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접촉부(51D)를 갖고 있다.
그러나, 리턴 스프링(51)의 폴딩부(51C)는, 연장부(51B)의 선단측으로부터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5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은 제1 연장 형성부(51C1)와, 이 제1 연장 형성부(51C1)의 선단측으로부터 캐리어(2)측[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을 향해서 대략 L자형으로 되접혀 연장부(51B)와 대략 평행하게 뻗은 제2 연장 형성부(51C2-1)와, 이 제2 연장 형성부(51C2-1)의 선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되접혀 제1 연장 형성부(51C1)와 대략 평행하게 뻗은 제3 연장 형성부(51C2-2)와, 제3 연장 형성부(51C2-2)의 선단측으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되접혀 연장부(51B)와 대략 평행하게 뻗은 제4 연장 형성부(51C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턴 스프링(51)의 접촉부(51D)는 제4 연장 형성부(51C2-3)의 선단측을 대략 U자형 또는 원호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폴딩부(51C)의 도중 부분에는, 제1 연장 형성부(51C1)와 제2 연장 형성부(51C2-1)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절곡부(51C4-1)가 형성되고, 제2 연장 형성부(51C2-1)와 제3 연장 형성부(51C2-2) 사이에는 제3 절곡부(51C4-2)가 형성된다. 또한, 제3 연장 형성부(51C2-2)와 제4 연장 형성부(51C2-3) 사이에는 제4 절곡부(51C4-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연장 형성부(51C2-1), 제3 연장 형성부(51C2-2) 및 제4 연장 형성부(51C2-3)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연장 형성부(21C2)에 상당하는 것이다.
여기서, 폴딩부(51C)의 도중 부분이 되는 제2 절곡부(51C4-1), 제2 연장 형성부(51C2-1) 및 제3 절곡부(51C4-2) 등은,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51D)보다도 고정부(51A)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리턴 스프링(51)의 폴딩부(51C)를, 제1 연장 형성부(51C1), 제2 연장 형성부(51C2-1), 제3 연장 형성부(51C2-2) 및 제4 연장 형성부(51C2-3)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스프링 정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이어서,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리턴 스프링의 폴딩부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제3 연장 형성부에 의해 형성하고, 그 도중 부분을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보다도 고정부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한편,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61은 마찰 패드(9)를 디스크(1)로부터 이격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을 나타내며, 이 리턴 스프링(61)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리턴 스프링(21)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고정부(61A), 연장부(61B)와, 이 연장부(61B)의 선단측을 캐리어(2)측을 향해서 여러번 절곡하여 형성된 폴딩부(61C)와, 리턴 스프링(61)의 길이 방향 타측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접촉부(61D)를 갖고 있다.
그러나, 리턴 스프링(61)의 폴딩부(61C)는, 연장부(61B)의 선단측으로부터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6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은 제1 연장 형성부(61C1-1) 및 제2 연장 형성부(61C1-2)와, 이 제2 연장 형성부(61C1-2)의 선단측으로부터 캐리어(2)측[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을 향해서 되접혀 접촉부(61D)에 연결되는 제3 연장 형성부(61C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연장 형성부(61C1-1) 및 제2 연장 형성부(61C1-2)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연장 형성부(21C1)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61)의 폴딩부(61C)에는, 연장부(61B)와 제1 연장 형성부(61C1-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절곡부(61C3), 제2 연장 형성부(61C1-2)와 제3 연장 형성부(61C2) 사이에 형성되고,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61C4), 및 제1 연장 형성부(61C1-1)와 제2 연장 형성부(61C1 -2) 사이에 형성되어 둔각형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61C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폴딩부(61C)의 도중 부분이 되는 제2 절곡부(61C4)는,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61D)보다도 고정부(61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5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리턴 스프링(61)의 폴딩부(61C)를, 제1 연장 형성부(61C1-1), 제2 연장 형성부(61C1-2) 및 제3 연장 형성부(61C2)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스프링 정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이어서,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제2 절곡부(71C4)의 굽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리브(72)를 형성한 점에 있다. 상기 실시형태, 특히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절곡부(21C4)의 각도를 제1 절곡부(21C3)의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함으로써, 제1 절곡부(21C3)의 굽힘 강성을 제2 절곡부(21C4)의 굽힘 강성보다도 낮게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6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제1 절곡부(21C3) 및 제2 절곡부(21C4)의 굽힘 강성은, 이들이 이루는 각에 의해 굽힘 강성의 차이를 생기게 하는 것에 더하여, 제1 절곡부(21C3) 및 제2 절곡부(21C4)의 두께, 폭 치수, 형상 등에 따라 차이를 생기게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제6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리턴 스프링 이외의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리턴 스프링(71)은, 마찰 패드(9)의 백메탈(10)에 고정 부착되는 일측의 고정부(71A)와, 이 고정부(71A)로부터 디스크의 축방향에서 마찰 패드(9)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뻗어 나온 연장부(71B)와, 이 연장부(71B)의 선단측을 캐리어(2)측을 향해서 되접혀 형성된 폴딩부(71C)와, 이 폴딩부(71C)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캐리어(2)측[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71D)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폴딩부(71C)는, 연장부(71B)의 선단측으로부터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7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은 제1 연장 형성부(71C1)와, 이 제1 연장 형성부(71C1)의 선단측으로부터 캐리어(2)측[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측]을 향해 절곡되어 접촉부(71D)에 매끄럽게 접속되는 제2 연장 형성부(71C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폴딩부(71C)에는, 연장부(71B)와 폴딩부(71C)의 제1 연장 형성부(71C1) 사이에 제1 절곡부(71C3)가 형성되어 있고, 폴딩부(71C)의 도중 부분인 제1 연장 형성부(71C1)와 제2 연장 형성부(71C2) 사이에는 제2 절곡부(71C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절곡부(71C4)는, 마찰 패드(9)[백메탈(10)]의 평면을 따른 방향, 즉 디스크의 회전 방향에서 접촉부(71D)보다도 고정부(71A)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연장 형성부(71C1)와 제2 연장 형성부(71C2)가 이루는 각[이하, 편의상 제2 절곡부(71C4)의 각도라고 함]은 둔각으로 되어 있고, 연장부(71B)와 제1 연장 형성부(71C1)가 이루는 각[이하, 편의상 제1 절곡부(71C3)의 각도라고 함]인 직각보다도 큰 각도로 되어 있다. 그런데, 리턴 스프링(71)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9에 도시하는 비교예인 리턴 스프링(22)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2 절곡부(71C4)에는 그 절곡에 의해서 볼록하게 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72)가 마련된다. 이 리브(72)에 의해, 제2 절곡부(71C4)의 굽힘 강성이 제1 절곡부(71C3)의 굽힘 강성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71D)에 대하여 고정부(71A)가 디스크(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제2 절곡부(71C4)보다도 먼저 제1 절곡부(71C3)의 각도가 넓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에 대한 리턴 스프링(71)의 접촉부(71D)의 접촉 위치가 위치 어긋나는 것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는 그 길이 치수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캐리어(2)의 시트면판부(20)의 대응 부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캐리어(2), 나아가서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스프링(14)의 재료를 효율적으로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캐리어(2)의 아암부(2A)측에 있어서의 패드 가이드(4)와 핀 구멍(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레이아웃이 엄격한 경우에도, 비교적 용이하게 레이아웃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리턴 스프링(21)의 접촉부(21D)를 패드 스프링(14)의 시트면판부(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패드 스프링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한 시트면판부를 장착 부재에 고정 설치하여, 이 시트면판부에 대하여 리턴 스프링(21)의 접촉부(21D)를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시트면판부(20) 등을 이용하지 않고, 리턴 스프링의 접촉부를 장착 부재의 단부면(또는, 장착 부재에 형성한 리턴 스프링용의 시트면부)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사항은 제2∼제6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2)의 아암부(2A)에 오목 형상을 이루는 패드 가이드(4)를 형성하고, 백메탈(10)의 끼워맞춤부가 되는 귀부(10A)를 볼록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마찰 패드의 백메탈에 오목 형상을 이루는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장착 부재의 아암부에는 볼록 형상을 이루는 패드 가이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백메탈(10)의 좌우의 귀부(10A) 중 디스크(1)의 회전 입구측에 위치하는 귀부(10A)측에, 리턴 스프링(21)의 기단측을 코오킹 고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아니라, 예컨대 디스크(1)의 회전 출구측에도 마찬가지로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크(1)의 내측과 외측에 각 평판부(16), 각 안내판부(18) 및 각 직경 방향 압박부(19) 등을 지닌 소위 일체형의 패드 스프링(14)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패드 스프링(14)을 디스크(1)의 내측과 외측으로 분리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 2개의 패드 스프링을, 디스크(1)의 내측, 외측에 각각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사항은 디스크(1)의 회전 출구측에 위치하는 패드 스프링(1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발명에 있어서, 리턴 스프링의 폴딩부는, 연장부의 선단측으로부터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은 제1 연장 형성부와, 이 제1 연장 형성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장착 부재측을 향해 되접혀 접촉부에 연결되는 제2 연장 형성부를 구비하고, 이 제2 연장 형성부는, 상기 제1 연장 형성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접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연장 형성부와 제2 연장 형성부 사이의 폴딩 부분을,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보다도 고정부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제1 연장 형성부와 제2 연장 형성부의 연장 형성 길이(합계 길이 치수)를 종래 물품에 비하여 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턴 스프링은, 스프링 정수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을 제작함에 있어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요한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발명에 있어서, 리턴 스프링의 폴딩부는, 연장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원호형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도중 부분이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보다도 고정부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턴 스프링의 연장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원호형으로 만곡 형성된 폴딩부 중 그 도중 부분을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접촉부보다도 고정부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시킴으로써, 마찰 패드의 마모시에도 장착 부재측에 대한 리턴 스프링의 접촉 위치가 위치 어긋나는 것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마찰 패드를 안정된 자세로 복귀시킬 수 있고, 리턴 스프링의 장착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1 : 디스크, 2 : 캐리어(장착 부재), 2A : 아암부, 3 : 디스크 패스부, 4 : 패드 가이드, 5 : 캘리퍼, 6 : 미끄럼 이동 핀, 9 : 마찰 패드, 10 : 백메탈, 10A : 귀부(끼워맞춤부), 10B : 코오킹부, 11 : 라이닝, 14 : 패드 스프링, 18 : 안내판부, 19 : 직경 방향 압박부, 20 : 시트면판부, 21, 31, 41, 51, 61, 71 : 리턴 스프링, 21A, 31A, 41A, 51A, 61A, 71A : 고정부, 21B, 31B, 41B, 51B, 61B, 71B : 연장부, 21C, 31C, 41C, 51C, 61C, 71C : 폴딩부, 21C1, 31C1, 41C1, 51C1, 71C1 : 제1 연장 형성부(다른 연장 형성부), 21C2, 31C2, 41C2, 71C2 : 제2 연장 형성부(하나의 연장 형성부), 51C2-1 : 제2 연장 형성부(하나의 연장 형성부), 51C2-2 : 제3 연장 형성부(제2 연장 형성부, 하나의 연장 형성부), 51C2-3 : 제4 연장 형성부(제2 연장 형성부, 하나의 연장 형성부), 61C1-1 : 제1 연장 형성부(제1 연장 형성부, 다른 연장 형성부), 61C1-2 : 제2 연장 형성부(제1 연장 형성부, 다른 연장 형성부), 61C2 : 제3 연장 형성부(제2 연장 형성부, 하나의 연장 형성부), 21C3, 51C3, 61C3, 71C3 : 제1 절곡부(하나의 절곡부), 21C4, 51C4-1, 61C4, 71C4 : 제2 절곡부(다른 절곡부), 51C4 -2 : 제3 절곡부(다른 절곡부), 51C4 -3 : 제4 절곡부(다른 절곡부), 61C1 -3 : 제3 절곡부, 21D, 31D, 41D, 51D, 61D, 71D : 접촉부

Claims (10)

  1. 디스크의 외주측에 축방향으로 걸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1쌍의 마찰 패드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 부재와,
    상기 장착 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1쌍의 마찰 패드를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대하여 누르는 캘리퍼와,
    상기 마찰 패드와 상기 장착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
    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마찰 패드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장착 부재측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디스크 축방향에서 상기 마찰 패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이 연장부로부터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되접힌 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폴딩부는, 디스크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보다도 상기 고정부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로부터, 디스크 축방향에서 상기 장착 부재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에 접속되는 하나의 연장 형성부를 갖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의 폴딩부는, 상기 연장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넘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다른 연장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연장 형성부는, 상기 다른 연장 형성부의 선단측으로부터 디스크 축방향에서 상기 장착 부재측을 향하여, 그리고 디스크 회전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접히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연장 형성부는, 상기 다른 연장 형성부와 이루는 각이 예각으로 되도록 경사지게 되접히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다른 연장 형성부가 이루는 각이 예각으로 되도록 되접히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연장 형성부와 상기 다른 연장 형성부가 이루는 각은, 상기 연장부와 상기 다른 연장 형성부가 이루는 각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의 폴딩부는, 상기 연장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원호형으로 만곡 형성되어 도중 부분이 상기 마찰 패드의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보다도 상기 고정부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되고, 이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의 연장 형성부가 상기 접촉부에 접속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의 상기 폴딩부에는, 상기 마찰 패드의 디스크 접촉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2곳에 절곡부를 갖고,
    상기 절곡부 중 상기 마찰 패드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절곡부의 굽힙 강성이, 상기 장착 부재측에 위치하는 다른 절곡부의 굽힘 강성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마찰 패드가 상기 디스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다른 절곡부가 각도를 넓히도록 구부러졌을 때, 그 힘을 받아 상기 연장부의 선단이 디스크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는 반대측으로 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9. 디스크의 외주측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1쌍의 마찰 패드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 부재와,
    상기 장착 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1쌍의 마찰 패드를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대하여 누르는 캘리퍼와,
    상기 마찰 패드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장착 부재측에 접촉하는 접촉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디스크 축방향에서 상기 마찰 패드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이 연장부로부터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되접힌 폴딩부를 구비하여, 상기 마찰 패드를 디스크로부터 이격하는 리턴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의 상기 폴딩부에는, 상기 마찰 패드의 디스크 접촉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2곳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 중 상기 마찰 패드측의 하나의 절곡부의 굽힘 강성이, 상기 장착 부재측의 다른 절곡부의 굽힘 강성보다도 낮게 설정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마찰 패드가 상기 디스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다른 절곡부가 각도를 넓히도록 구부러졌을 때, 그 힘을 받아 상기 연장부의 선단이 디스크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는 반대측으로 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00093854A 2009-09-28 2010-09-28 디스크 브레이크 KR101751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22773 2009-09-28
JP2009222773 2009-09-28
JPJP-P-2010-207292 2010-09-15
JP2010207292A JP5583533B2 (ja) 2009-09-28 2010-09-15 ディスクブレー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572A true KR20110034572A (ko) 2011-04-05
KR101751052B1 KR101751052B1 (ko) 2017-06-26

Family

ID=4379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854A KR101751052B1 (ko) 2009-09-28 2010-09-28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84148B2 (ko)
JP (1) JP5583533B2 (ko)
KR (1) KR101751052B1 (ko)
CN (2) CN102032296B (ko)
DE (1) DE112010003825B4 (ko)
WO (1) WO20110372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044A (ko) * 2016-02-19 2017-08-29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캘리퍼 브레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0160A1 (de) * 2011-05-02 2012-11-08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mit einer Rückstellfeder-Führungsvorrichtung sowie Führungsvorrichtung hierfür
JP5837343B2 (ja) * 2011-06-30 2015-12-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5413480B2 (ja) 2012-04-09 2014-0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DE102012016737A1 (de) * 2012-08-23 2014-02-27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mit plastisch deformierbarer Rückstellfeder und Rückstellfeder
JP6063299B2 (ja) * 2013-02-28 2017-01-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WO2014192495A1 (ja) * 2013-05-31 2014-12-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US9777783B2 (en) * 2013-06-10 2017-10-03 Nissin Kogyo Co., Ltd. Disk brake for vehicle
JP5855606B2 (ja) * 2013-06-18 2016-02-09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6134926B2 (ja) * 2013-06-28 2017-05-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6140659B2 (ja) * 2014-09-05 2017-05-31 エムケーカシヤマ株式会社 摩擦パッドおよびブレーキキャリパーシステム
FR3027080B1 (fr) * 2014-10-10 2018-03-09 Chassis Brakes International B.V. "ressort de rappel elastique d'un patin de freinage comportant des moyens de rattrapage du jeu d'usure, frein a disque et kit de remplacement"
US9862362B2 (en) * 2014-12-25 2018-01-09 Nissin Kogyo Co., Ltd. Vehicle disc brake
DE102015007523A1 (de) * 2015-06-12 2016-12-15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und Bremsbelaganordnung hierfür
CN105041925B (zh) * 2015-08-24 2019-01-08 泛博制动部件(苏州)有限公司 摩擦片主动回位机构
ITUA20164801A1 (it) * 2016-06-30 2017-12-30 Freni Brembo Spa Pinza di freno a disco
DE102016116967A1 (de) * 2016-09-09 2018-03-1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Nutzfahrzeuge
CN106337888B (zh) * 2016-09-19 2019-03-1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制动钳总成
US10415660B2 (en) * 2016-12-08 2019-09-17 Kelsey-Hayes Company Brake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clip
DE102017204696A1 (de) 2017-03-21 2018-09-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instückige Rückstellfeder für Kraftfahrzeugscheibenbremsbeläge
GB2565168A (en) * 2017-06-02 2019-02-06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Systems Uk Ltd A brake pad
CN110741175B (zh) * 2017-07-11 2021-05-04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盘式制动器
CN107906144A (zh) * 2017-12-11 2018-04-13 浙江力邦合信智能制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低拖滞汽车制动钳
DE102017129672A1 (de) * 2017-12-12 2019-06-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nd Bremsbelagsatz
JP6982493B2 (ja) 2017-12-28 2021-12-17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パッドクリップ、パッドクリップと戻しばねとの組立体、及びフローティング型ディスクブレーキ
IT201800006505A1 (it) 2018-06-20 2019-12-20 Molla per pastiglie d’attrito in una pinza per freno a disco
IT201800006504A1 (it) 2018-06-20 2019-12-20 Molla per pastiglie d’attrito in una pinza per freno a disco
WO2020022176A1 (ja) * 2018-07-25 2020-01-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および摩擦パッド
EP3835081B1 (de) * 2019-12-10 2023-02-08 ZF CV Systems Europe BV Nutzfahrzeugachse mit einer scheibenbremse
FR3121720B1 (fr) * 2021-04-12 2023-06-30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a disque avec moyens de rappel elastique de patins de freinage
CN116877599B (zh) * 2023-09-05 2023-12-08 万向钱潮股份公司 一种车辆刹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383U (ko) * 1975-07-16 1977-01-29
FR2425579A1 (fr) * 1978-05-11 1979-12-07 Dba Frein a disque et ressort anti-bruit pour un tel frein
JPS6318635A (ja) 1986-07-11 1988-01-26 Nec Corp 溝内に誘電体膜を形成する方法
JPH0317070Y2 (ko) * 1986-07-21 1991-04-11
GB2252370A (en) * 1991-02-02 1992-08-05 Gen Motors France Anti-rattle spring for a disc brake.
JPH05240274A (ja) 1992-02-29 1993-09-17 Aisin Seiki Co Ltd デイスクブレーキ
JPH0842608A (ja) * 1994-08-03 1996-02-16 Akebono Brake Ind Co Ltd パッド戻し機構付パッドクリップ
DE19650592A1 (de) * 1996-12-06 1998-06-10 Teves Gmbh Alfred In waagrechter Haltung wirksame, auf den äußeren Belag aufsteckbare Haltefeder
FR2800140B1 (fr) * 1999-10-26 2002-01-11 Bosch Gmbh Robert Ressort de guidage d'elements de friction et frein a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tel ressort
US6223866B1 (en) * 2000-06-30 2001-05-01 Kelsey-Hayes Company Damped pad spring for use in a disc brake assembly
JP2004176868A (ja) * 2002-11-28 2004-06-24 Advics:Kk ディスクブレーキ
FR2849132B1 (fr) * 2002-12-20 2006-03-03 Bosch Gmbh Robert Moyen de guidage de plaquettes de frein a disques a duree de vie augmentee et frein a disque comportant de tels moyen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tels moyens
JP4284676B2 (ja) 2003-04-07 2009-06-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ブレーキ
US6971486B2 (en) * 2004-03-04 2005-12-06 Continental Teves, Inc. Caliper spring clip with axial force direction
US20060237269A1 (en) * 2005-04-25 2006-10-26 Muhammad Farooq Pad retaining clip
JP2008144889A (ja) * 2006-12-12 2008-06-26 Advics:Kk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9041769A (ja) * 2007-07-17 2009-02-26 Hitachi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9222773A (ja) 2008-03-13 2009-10-0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0207292A (ja) 2009-03-06 2010-09-24 Terumo Corp 手袋及び手技記録再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044A (ko) * 2016-02-19 2017-08-29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캘리퍼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0003825T5 (de) 2012-07-12
CN102032296A (zh) 2011-04-27
WO2011037232A1 (ja) 2011-03-31
CN102032296B (zh) 2016-03-30
CN105221611B (zh) 2018-04-10
JP2011089638A (ja) 2011-05-06
KR101751052B1 (ko) 2017-06-26
CN105221611A (zh) 2016-01-06
US8684148B2 (en) 2014-04-01
JP5583533B2 (ja) 2014-09-03
US20120186918A1 (en) 2012-07-26
DE112010003825B4 (de)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4572A (ko) 디스크 브레이크
US8042656B2 (en) Disk brake
JP504720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50190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521544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74678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27106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6336784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4167323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484357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09928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および摩擦パッド
JP575979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74599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701216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CN111164323B (zh) 盘式制动装置
JP668970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146969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589848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28116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