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230A -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230A
KR20110033230A KR1020117001478A KR20117001478A KR20110033230A KR 20110033230 A KR20110033230 A KR 20110033230A KR 1020117001478 A KR1020117001478 A KR 1020117001478A KR 20117001478 A KR20117001478 A KR 20117001478A KR 20110033230 A KR20110033230 A KR 20110033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means
drive
function
differential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3295B1 (ko
Inventor
조세핀 닐손
토마스 외스트룬트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1003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differential gea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087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retractable; Flush control knob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3/08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tarder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퍼런셜 기능부를 포함한 구동 기능부들을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자동차(50, 150, 250)용 조작 장치로서,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절환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I, II, III)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절환 수단은 회전 동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회전식 절환 수단(30, 130, 230)을 포함하고, 상기 절환 수단에는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편의 장치(30, 140, 240)들이 결합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조작 장치{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16항에 따른 자동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자동차의 구동 차축의 차륜들을 각기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구동 차륜들에 동력 분배를 위한 디퍼런셜(differential), 다시 말해 굴곡부를 헤쳐나갈 때에 사용되는 편의 장치를 설치한다. 차동 장치로 인한 문제는 차량이 멈추었을 때에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접지력(grip)을 잃어버린 차륜/차륜들이 정지하고 미끄러지며 그로 인해 구동 차륜 모두가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트럭과 같은 중차량에 있어서, 디퍼런셜 락(differential lock)은 서로 대향하는 구동 차륜들 간의 회전 속도의 차이를 방지해서 각 구동 차축의 디퍼런셜을 잠그기 위해 제공되는데, 이는 소위 횡 디퍼런셜 락(transverse differential lock)을 구성한다. 2개 이상의 구동 차축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차축들을 상호 연결시켜서 그 차축들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디퍼런셜 락을 설치하는데, 이는 소위 종 디퍼런셜 락(longitudinal differential lock)을 구성한다. 이 목적을 위해 일부 차량에는 소위 디퍼런셜 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이에 따라 일례로 차축의 디퍼런셜에 있는 디스크들은 서로 대향하는 차륜들 사이의 회전 속도의 차이를 자동으로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의 대상은 디퍼런셜 락에 있어서의 대상과 동일하다. 디퍼런셜 락 또는 디퍼런셜 브레이크의 제어는 버튼 또는 노브 형태의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차량의 차축 구성에 따라, 디퍼런셜 락의 개수를 하나에서 일례로 최대 6개까지 할 수 있다.
트럭과 같은 자동차에는 작동성과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구동 기능부들이 마련된다.
구동 기능부의 한 가지 형태로는 트랜스퍼 기어박스(transfer gearbox)가 있다. 전륜 구동 차량들에는 전방 차축 및 후방 차축/차축들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트랜스퍼 기어박스가 설치된다. 한 가지 변형 형태의 트랜스퍼 기어박스로는 고단 기어와 저단 기어 사이에서 절환 가능한 것이 있다. 트랜스퍼 기어박스는, 마찬가지로 고단 기어측와 저단 기어측이 있는 버튼 형태의 절환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또 다른 형태의 구동 기능부는 소위 트랙션 제어기(TC: traction control)가 있는데, 미끄러운 주행면을 빠져나가는 것과 그 주행면에서 가속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구동 차륜들 중 헛돌기 시작하는 구동 차륜에 대해 쉽게 반대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트럭과 같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헛돌기 방지 시스템(antispin system)이다. 정상 작동 위치에서 TC는 엔진을 스로틀링하고 헛도는 차륜을 제동함으로써 작동성을 최적화한다. 일반적으로는 TC는 공공 도로 상에서 구동하도록 조정된다. 비포장 도로 주행에서는 일례로 구동 차륜이 더 헛도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TC는 이와 같은 상황에 맞추어서 작동하지 않는다. TC는 버튼 형태의 절환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또 다른 구동 기능부로는 소위 롭슨 드라이브(Robson Drive)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이에 의하면 구동 롤러들이 차량, 일례로 트럭의 보기에 있는 구동 차륜들과 비구동 차륜들 사이에서 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동력이 그 구동 롤러들을 거쳐서 구동축으로부터 비구동축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일례로 6개의 차륜과 2개의 구동 차륜을 갖춘 차량이 6개의 차륜과 4개의 구동 차륜을 갖춘 차량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게 되어 도로의 나쁜 부분을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 구동 기능부도 마찬가지로 버튼 형태의 절환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이 외에도 여러 구동 기능부들이 있는데, 예를 들면 자갈을 털어내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자갈 스프레더(spreader), 구동 차륜들이 더 양호한 접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체인을 벗겨내는 체인 루프가 있다. 이 기능들도 역시 그 각각의 버튼 형태의 절환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트럭 등의 자동차의 위와 같은 구동 기능부를 위한 버튼들은 조향 휠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버튼들은, 부분적으로는 외관이 비슷하고 또한 부분적으로는 종종 동시에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함께 위치시킬 수 없기 때문에,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작동성과 주행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절환 조작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조작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과 이하의 설명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의 독립 청구항인 제1항 및 제16항의 특징부에 나타낸 특징들을 추가로 갖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작 장치 및 자동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조작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5항에 특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들은,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절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절환 수단은 회전 동작(rotary movement)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회전식 절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절환 수단에는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편의 장치들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퍼런셜 기능부들을 포함한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조작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한 가지 장점으로는, 상기 회전 동작에 의해 일례로 디퍼런셜 락과 같은 디퍼런셜 기능부를 예로 들 수 있는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면서 동시에 트랙션 제어기와 같은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고 그 결과 절환 조작이 용이해져서 차량의 작동성과 주행 안전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것이다. 회전식으로 구성한 조작 장치의 절환 수단은 운전자로 하여금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일례로 디퍼런셜 락을 연결/해제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그와 동시에 일례로 트랙션 제어기와 같은 또 다른 구동 기능부의 제어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데, 그 이유는 회전식 절환 수단은 파악이 쉽기 때문이다. 일례로 디퍼런셜 락과 같은 한 가지 구동 기능부를 제어하면서 그와 동시에 트랙션 제어기와 같은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제어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운전자가 그의 눈을 도로에서 떼지 않고도 신속하게 제어 동작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상기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운전자가 여러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데 있어 동일한 절환 수단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구동 기능부들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누름/당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결과, 회전 동작과는 분명히 다른 인간공학적으로 단순한 동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구동 기능부를 회전 동작으로 실행시킬 때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도 쉽게 연결/해제시킬 수 있다. 이 동작은 일례로 전륜 구동 자동차의 트랜스퍼 기어박스의 고단 기어와 저단 기어의 연결/해제와 같은 구동 기능부용으로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기울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구동 기능부를 회전 동작으로 실행시킬 때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것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구동 기능부를 회전 동작으로 실행시킬 때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것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조작 상태와 제2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가역되게 누를 수 있다. 이 결과, 회전 동작과는 분명히 다른 인간공학적으로 단순한 동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구동 기능부를 회전 동작으로 실행시킬 때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도 쉽게 연결/해제시킬 수 있다. 이 동작은 일례로 트랙션 제어기와 같은 구동 기능부에 아주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조작 상태와 제2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가역되게 당길 수 있다. 이 결과, 회전 동작과는 분명히 다른 인간공학적으로 단순한 동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구동 기능부를 회전 동작으로 실행시킬 때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도 쉽게 연결/해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에는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는 편의 장치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여러 구동 기능부들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운전자가 여러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편의 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회전식 절환 수단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의 장치는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2 절환 수단을 포함한다. 회전식 절환 수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2 절환 수단에 의하면, 또 다른 구동 기능부가 회전식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는 것 이외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누름/당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결과, 회전 동작과는 분명히 다른 인간공학적으로 단순한 동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식 절환 수단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편의 장치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도 쉽게 연결/해제시킬 수 있다. 이 동작은 일례로 전륜 구동 자동차의 트랜스퍼 기어박스의 고단 기어와 저단 기어의 연결/해제와 같은 구동 기능부용으로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기울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회전식 절환 수단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편의 장치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것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회전식 절환 수단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편의 장치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것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조작 상태와 제2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가역되게 누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회전식 절환 수단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편의 장치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것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조작 상태와 제2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가역되게 당길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회전식 절환 수단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편의 장치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것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퍼런셜 기능부의 연결/해제가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의 회전 동작에 의해 실행된다. 디퍼런셜 기능부는 일반적으로 트럭 등의 자동차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인간공학적이며 운전자가 파악하기 쉬운 회전 동작에 의해 연결/해제 조작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유리한 점인데, 그 이유는 더욱 진보된 자동차/트럭의 디퍼런셜 기능부들은 다수의 다른 위치에 통합되고 있으므로 노브 형태의 회전식 절환 수단이 상기 목적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숙지할 때에 본 발명을 더욱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디퍼런셜 락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조작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여러 디퍼런셜 락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6개의 차륜과 4개의 구동 차륜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디퍼런셜 락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조작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여러 디퍼런셜 락들과 트랜스퍼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8개의 차륜과 8개의 구동 차륜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디퍼런셜 락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조작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여러 디퍼런셜 락들과 트랜스퍼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4개의 차륜과 4개의 구동 차륜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변형 실시예에 따른 조작 장치에 의해 구동 기능부들을 제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변형 실시예에 따른 조작 장치에 의해 구동 기능부들을 제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작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포함하는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조작 장치(I)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따른 조작 장치(I)를 자동차의 계기판(10)에 설치한 상태에서 보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조작 장치(I)는 차량의 운전실 내의 계기판(10)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조작 장치(I)는 계기판(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 환형 요소(20)를 포함한다.
조작 장치(I)는 또한 상기 환형 요소(20)에 의해 둘러싸이는 절환 수단(30)도 포함한다. 절환 수단(30)은 상기 환형 요소(20) 내에 밀봉되게 수용되며 그 환형요소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원형 기부 부분(32)을 구비한다. 상기 절환 수단(30)은 또한, 상기 기부 부분(32)을 가로질러서 연장되며 그 기부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노브(34)의 형태의 횡방향 파지부(34)를, 바람직하기로는 중앙에, 구비한다.
절환 수단(30)은 제1 동작에 의해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능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동작과 다른 제2 동작에 의해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동작과 제2 동작은 조작 장치(I)에서 하나의 동일한 절환 수단(30)에 일체로 통합된다.
절환 수단(30)의 제1 동작은 회전 동작으로서, 그 동작에 의하면 변형 실시예를 예로 들면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가 연결/해제되는 작동이 행해진다. 따라서, 절환 수단(30)은, 그 절환 수단이 화살표 A 방향의 회전 동작을 받으면 그 동작에 의해 기부 부분(32)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차량의 디퍼런셜 락과 같은 디퍼런셜 기능부가 연결/해제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을 위해 설치된다. 이 회전 동작은 노브(34)에 의해 행해진다.
제1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절환 수단(30)의 제2 동작은 화살표 B 방향을 따라서 환형 요소(20)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가역 가능하게 누르는 동작인데, 이 동작에 의하면, 일례로 트랙션 제어기, 즉 헛돌기 방지 기능을 예로 들 수 있는 또 다른 구동 기능부가 작동된다.
제2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절환 수단(30)의 제2 동작은 화살표 B 방향을 따라서 환형 요소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가역 가능하게 누르고/당기는 동작인데, 이 동작에 의하면, 일례로 전륜 구동 자동차의 트랜스퍼 기어박스의 고단 기어 및 저단 기어를 예로 들 수 있는 또 다른 구동 기능부가 작동된다. 한 가지 변형 실시예 따르면, 저단 기어는 절환 수단(30)을 누름으로써 작동되고,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저단 기어는 절환 수단(30)을 당김으로써 작동된다.
디퍼런셜 기능부의 여러 상태를 나타내는 부호, 즉 숫자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견고하게 설치된 환형 요소(20) 측면에 마련된다. 파지부(34)는 제1 단부(34a)와, 기부 부분에 대해 직경 방향에서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34b)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 부분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이르기까지 좁아지며, 제2 단부(34b)는 회전 동작의 결과로써 선택된 디퍼런셜 기능부를 나타내는 파지부(34) 또는 노브(34)의 단부를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는, 파지부/노브(34)에 의한 회전 동작을 위한 파지부/노브(34)의 3개의 다른 위치, 즉 0, 1, 2가 있다.
도 2는 6개의 차륜(50a ~ 50f)과 4개의 구동 후방 차륜(50c ~ 50f)을 구비하는 자동차(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구동 차륜은 각 차륜 쌍(50c-50d, 50e-50f)을 위한 구동 후방 차축(52, 53; 54, 55)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조작 장치(I)는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50)에 설치된다. 따라서, 자동차, 예를 들면 트럭은 후방 차축들 모두에 구동력을 가지며, 그 차축들 사이에 종 디퍼런셜 락(60)을, 각 구동축에 횡 디퍼런셜 락(62, 6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종 디퍼런셜 락(60)과 횡 디퍼런셜 락(62, 64)이 디퍼런셜 기능부를 구성한다. 숫자 0은 해제된 디퍼런셜 기능부를 나타내고, 숫자 1은 연결된 종 디퍼런셜 락(60)을 나타내며, 숫자 2는 종 디퍼런셜 락(60)이 연결된 상태에 있고 이와 동시에 각 횡 디퍼런셜 락(62, 64)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자동차(50)는 선택적으로는 8개의 차륜을 구비하되 4개를 구동 후방 차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도 1a 및 도 1에 도시된 조작 장치(I)는 4, 6 또는 8개의 차륜과 그들 중 2개는 구동 후방 차륜으로 구성한 트럭 등과 같은 자동차, 즉 후방 차축/후방 차축들 중 하나의 후방 차축에 구동력을 가지며 구동 차축에 횡 디퍼런셜 락을 구비하는 트럭 등과 같은 자동차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숫자 0은 디퍼런셜 기능부가 해제된 것을, 숫자 1은 롭슨 구동 기능부, 즉 4개의 후방 차륜 모두가 구동되는 것을, 그리고 숫자 2는 횡 디퍼런셜 락이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포함하는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조작 장치(II)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따른 조작 장치(II)를 자동차의 계기판(10)에 설치한 상태에서 보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조작 장치(II)는 차량의 운전실 내의 계기판(10)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조작 장치(II)는 계기판(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 환형 요소(20)를 포함한다.
조작 장치(II)는 또한 상기 환형 요소(20)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절환 수단(130) 또는 회전식 절환 수단(130)도 포함한다. 제1 절환 수단(130)은 상기 환형 요소 내에 밀봉되게 수용되며 그 환형 요소에 대해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원형 기부 부분(13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절환 수단(130)은 또한, 상기 기부 부분을 가로질러서 연장되며 그 기부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노브(134)의 형태의 횡방향 파지부(134)를, 바람직하기로는 중앙에, 구비한다.
상기 제1 절환 수단(130)은 소위 회전 동작이라고 하는 제1 동작에 의해서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 장치(II)는 또한, 상기 제1 절환 수단(130)과 일체로 구성된 제2 절환 수단(140)으로서, 상기 제1 절환 수단(130)의 회전 작동과는 다른 제2 작동에 의해서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동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절환 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절환 수단(140)은 파지부 상에서 상기 기부 부분에 대해서 화살표 B 방향을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위치(H)와 제2 위치(L) 사이에서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 절환 수단(130)은 회전 동작에 의해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절환 수단(130)은, 그 절환 수단이 화살표 A 방향의 회전 동작을 받으면 그 동작에 의해 기부 부분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차량의 디퍼런셜 락과 같은 디퍼런셜 기능부가 연결/해제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을 한다. 이 회전 동작은 노브(134)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제2 절환 수단(140)은 일례로 전륜 구동 자동차의 트랜스퍼 기어박스의 고단 기어/저단 기어를 예로 들 수 있는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트랜스퍼 기어박스의 고단 기어/저단 기어는, 상기 제2 절환 수단(140)이 고단 기어를 위해 제1 위치(H)로, 저단 기어를 위해 제2 위치(L)로 움직이는 동작에 따라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디퍼런셜 기능부의 여러 상태를 나타내는 부호, 즉 숫자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견고하게 설치된 환형 요소(20) 측면에 마련된다. 파지부(134)는 제1 단부(134a)와, 기부 부분에 대해 직경 방향에서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134b)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 부분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이르기까지 좁아지며, 제2 단부(134b)는 회전 동작의 결과로써 선택된 디퍼런셜 기능부를 나타내는 파지부 또는 노브의 단부를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는, 파지부/노브에 의한 회전 동작을 위한 파지부/노브(134)의 4개의 다른 위치, 즉 0, 1, 2, 3이 있다.
도 4는 8개의 차륜(150a ~ 150h)과 8개의 구동 차륜(150a ~ 150h)을 구비하는 자동차(1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일례로 전륜 구동 트럭을 예로 들 수 있는 상기 자동차에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작 장치(II)가 설치된다. 각 차륜 쌍(150a-150b, 150c-150d, 150e-150f, 150g-150h)은 각 구동축(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동차는 전륜 구동의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트랜스퍼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4개의 차축 모두에 구동력을 갖는다. 트랜스퍼 기어박스는 고단 기어 또는 저단 기어에서 작동하는 고단/저단 기어(172)를 구비한다.
상기 자동차는, 2개의 후방 구동축(156, 157; 158, 159)들 사이에 설치된 종 디퍼런셜 락(161), 2개의 전방 차축(152, 153; 154, 155)들 사이에 설치된 종 디퍼런셜 락(160), 그리고 각 구동축에 설치된 횡 디퍼런셜 락(162, 164, 166, 168)을 구비한다.
상기 종 디퍼런셜 락 및 횡 디퍼런셜 락들과 트랜스퍼 기어박스가 디퍼런셜 기능부를 구성한다. 숫자 0은 해제된 디퍼런셜 기능부를 나타내고, 숫자 1은 종 디퍼런셜 락(160, 161)이 연결된 것을 나타내며, 숫자 2는 트랜스퍼 기어박스(170)가 전륜 구동을 위해 연결된 것을 나타내며, 숫자 3은 각 후방 구동축(156, 157; 158, 159) 상의 횡 디퍼런셜 락(166, 168)이 연결된 것을, 숫자 4는 각 전방 구동축(152, 153; 154, 155) 상의 횡 디퍼런셜 락(166, 168)이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포함하는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조작 장치(III)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3b에 따른 조작 장치(III)를 자동차의 계기판(10)에 설치한 상태에서 보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조작 장치(III)는 차량의 운전실 내의 계기판(10)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조작 장치(III)는 계기판(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 환형 요소(20)를 포함한다.
조작 장치(III)는 또한 상기 환형 요소(20)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절환 수단(230) 또는 회전식 절환 수단(230)도 포함한다. 제1 절환 수단(230)은 상기 환형 요소(20) 내에 밀봉되게 수용되며 그 환형 요소에 대해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원형 기부 부분(23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절환 수단(230)은 또한, 상기 기부 부분을 가로질러서 연장되며 그 기부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노브(234)의 형태의 횡방향 파지부(234)를, 바람직하기로는 중앙에, 구비한다.
상기 제1 절환 수단(230)은 소위 회전 동작이라고 하는 제1 동작에 의해서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 장치(III)는 또한, 일체형 제2 절환 수단(240)으로서, 상기 제1 절환 수단(230)의 회전 작동과는 다른 제2 작동에 의해서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동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절환 수단(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절환 수단(240)은 파지부 상에서 화살표 B 방향을 따라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기울임 동작을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절환 수단(230)은 회전 동작에 의해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절환 수단(230)은, 그 절환 수단이 화살표 A 방향의 회전 동작을 받으면 그 동작에 의해 기부 부분(232)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차량의 디퍼런셜 기능부가 연결/해제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을 할 수 있다. 이 회전 동작은 노브(234)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제2 절환 수단(240)은 일례로 전륜 구동 자동차의 트랜스퍼 기어박스의 고단 기어/저단 기어를 예로 들 수 있는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트랜스퍼 기어박스의 고단 기어/저단 기어는, 상기 제2 절환 수단(240)이 고단 기어를 위해 제1 위치(H)로, 저단 기어를 위해 제2 위치(L)로 기울여질 수 있게 구성된다.
디퍼런셜 기능부의 여러 상태를 나타내는 부호, 즉 숫자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견고하게 설치된 환형 요소(20) 측면에 마련된다. 파지부(234)는 제1 단부(134a)와, 기부 부분에 대해 직경 방향에서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134b)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 부분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이르기까지 좁아지며, 제2 단부(234b)는 회전 동작의 결과로써 선택된 디퍼런셜 기능부를 나타내는 파지부(234) 또는 노브(234)의 단부를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는, 파지부/노브(234)에 의한 회전 동작을 위한 파지부/노브(234)의 4개의 다른 위치, 즉 0, 1, 2, 3이 있다.
도 6은 4개의 차륜(250a ~ 150d)과 4개의 구동 차륜(250a ~ 250d)을 구비하는 자동차(2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각 차륜 쌍(250a-250b, 250c-250d)은 각 구동축(252, 253, 254, 255)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트럭을 예로 들 수 있는 상기 자동차(250)는 전륜 구동 방식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작 장치(III)는 자동차(250)에 설치된다. 상기 자동차는 후방 차륜 또는 전륜에 구동력을 연결시키는 트랜스퍼 기어박스(270)를 포함한다. 트랜스퍼 기어박스(270)는 고단 기어 또는 저단 기어에서 작동하는 고단/저단 기어(272)를 구비한다. 상기 자동차는 각 구동축에 횡 디퍼런셜 락(262, 264)을 구비한다. 상기 디퍼런셜 락과 트랜스퍼 기어박스가 디퍼런셜 기능부를 구성한다. 숫자 0은 디퍼런셜 락(262, 254)이 해제되고 트랜스퍼 기어박스(270)가 전방 차륜의 구동력을 위해 해제된 것, 즉 디퍼런셜 기능부가 해제된 것을 나타내고, 숫자 1은 트랜스퍼 기어박스(270)가 역시 전방 차륜의 구동력을 위해 연결된 것을 나타내고, 숫자 3은 전방 구동축(252, 253) 상의 횡 디퍼런셜 락(262)이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I, II, III)에 의해서 구동 기능부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300A)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300A)은 조작 장치(I, II, III)와 구동 기능부(330, 340, 350)를 포함한다.
제1 구동 기능부(330)는 자동차의 구동 방식-본 실시예에서는 전륜 구동 방식임-에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퍼런셜 락들의 여러 조합을 포함하는 디퍼런셜 기능부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륜 구동을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트랜스퍼 기어박스를 포함한다.
제2 구동 기능부(340)가 트랙션 제어기(TC), 트랜스퍼 기어박스 내의 고단/저단 기어, 자갈 스프레더 또는 체인 루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1 구동 기능부(330)와 함께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제3 구동 기능부(350)가 제1 구동 기능부 및 제2 구동 기능부와 다른 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장치(I, II, III)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절환 수단이 회전 동작에 의해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위한 특정 위치로 동작되었을 때에 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30a)가 각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330)에 보내지고 그 선택된 디퍼런셜 기능부(3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동 기능부들에 연결된다. 회전식 절환 수단의 위치에 따라서 달리지는 회전에 근거한 여러 신호(330a)들은, 일례로 4개의 후방 차륜 모두의 구동력을 위해 종 디퍼런셜 락(33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동 기능부(330)들로 보내진다.
상기 제2 구동 기능부(340)는 또한,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으로 절환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조작 장치(I, II, III)로부터 나오는 비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40a)를 받도록 구성되기도 하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동작은 회전 동작을 위해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에 의해서, 즉 회전식 절환 수단에 의해서 실행되거나, 혹은 회전식 절환 수단과 일체로 구성된 제2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적용이 가능한 경우라면, 제3 구동 기능부(350)가,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으로 절환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조작 장치(I, II, III)로부터 나오는 제2의 비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50a)를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동작은 회전 동작을 위해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에 의해서, 혹은 조작 장치와 일체로 구성된 제2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I, II, III)에 의해 구동 기능부들을 제어하는 시스템(300B)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시 시스템(300B)은 조작 장치(I, II, III)와, 전자 제어 유닛(ECU)(310)과, 구동 기능부(330, 340, 350)들을 포함한다.
제1 구동 기능부(330)는 자동차의 구동 방식-본 실시예에서는 전륜 구동 방식임-에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퍼런셜 락들의 여러 조합을 포함하는 디퍼런셜 기능부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륜 구동을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트랜스퍼 기어박스를 포함한다. 한 가지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 기능부는 롭슨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기능부(340)가 트랙션 제어기(TC), 트랜스퍼 기어박스 내의 고단/저단 기어, 자갈 스프레더 또는 체인 루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1 구동 기능부(330)와 함께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제3 구동 기능부(350)가 제1 구동 기능부 및 제2 구동 기능부와 다른 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장치(I, II, III)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절환 수단이 회전 동작에 의해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위한 특정 위치로 동작되었을 때에 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30a)가 상기 전자 제어 유닛(310)으로, 즉 상기 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30a)에 기초한 신호(330b)를 각 자동차의 디퍼런셜 기능부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으로 보내고, 그에 따라 그 선택된 디퍼런셜 기능부(3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자 제어 유닛(310)에 연결된다. 회전식 절환 수단의 위치에 따라서 달리지는 회전에 근거한 여러 신호(330a)들은 전자 제어 유닛(310)으로 보내지고, 그에 따라 회전에 회전식 절환 수단의 특정 위치에서는 회전에 근거한 특정 신호(330a)가 전자 제어 유닛(310)으로 보내지고, 그 전자 제어 유닛은, 일례로 4개의 모든 후방 차륜들의 구동력을 위한 종 디퍼런셜 락(33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호(330b)를 내보낸다.
전자 제어 유닛(310)은 또한,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으로 절환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조작 장치(I, II, III)로부터 나오는 비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40a)를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동작은 회전 동작을 위해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 즉 회전식 절환 수단에 의해서, 혹은 회전식 절환 수단과 일체로 구성된 제2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310)은 상기 비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40a)에 근거하여 신호(340b)를 제2 구동 기능부(340)로 보내도록 구성된다.
적용이 가능한 경우라면, 상기 전자 제어 유닛(310)은 또한,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으로 절환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조작 장치(I, II, III)로부터 나오는 제2의 비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50a)를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동작은 회전 동작을 위해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절환 수단에 의해서, 혹은 조작 장치와 일체로 구성된 제2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310)은 상기 회전 동작에 근거한 신호(350a)에 근거하여 신호(350b)를 제2 구동 기능부(350)로 보내도록 구성된다.
도 7은 절환 수단의 동작이 구동 기능부들에 직접 작동하는 시스템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도 8은 절환 수단의 동작이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서 구동 기능부들에 작동하는 시스템, 즉 절환 수단에서 나온 신호들이 구동 기능부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전자 제어 유닛을 거쳐서 보내지는 시스템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부 구동 기능부들은 절환 수단에 의해서, 일례로 회전 동작에 의해서 직접 작동될 수 있고, 반면에 다른 구동 기능부는 전자 제어 유닛을 거쳐서, 일례로 상기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종 디퍼런셜 락의 연결을 위한 위치로의 동작, 일례로 회전 동작이 직접 실행될 수 있고, 반면에 회전식 절환 수단의 다른 위치로의 동작, 일례로 횡 디퍼런셜 락의 동작이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I, II, III)를 포함하는 자동차(50, 150, 2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구동 기능부들은 미끄러운 주행면, 연약 주행면, 혹은 이와 유사한 주행면 상에서의 자동차의 작동성/주행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자동차 기능부/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디퍼런셜 기능부, 트랜스퍼 기어박스의 고단/저단 기어, 트랙션 제어(헛돌기 방지 기능부), 롭슨 드라이브, 자갈 스프레더, 체인 루프 또는 이에 상응하는 기능부/장치들을 포함한다.
디퍼런셜 기능부는 종 디퍼런셜 락, 횡 디퍼런셜 락 및 전륜 구동을 연결/해제하기 위한 트랜스퍼 기어박스를 의미한다. 디퍼런셜 기능부는 또한 종 디퍼런셜 브레이크와 횡 디퍼런셜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능부에 동작을 가할 수 있도록 회전 동작을 실행하는 절환 수단은, 회전 동작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실행될 수 있고 그래서 구동 기능부들의 연결/해제와 그에 대한 동작/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임의의 바람직하게 유리한 회전 수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회전식 절환 수단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I, II, III)에 따른 회전식 절환 수단(30, 130, 230)과 같이 일종의 노브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 및 도면에 따르면, 상기 노브는 좁아지는 형상을 갖지만, 회전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상도 적절하다. 회전식 절환 수단은 또한 조향 휠을 닮은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자동차의 또 다른 구동 기능부에 동작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실행하는 절환 수단은, 회전 동작과 다른 상기 동작이, 한 가지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수단에 의해서 실행되고 그리고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절환 수단과 일체로 구성되며 회전식 절환 수단에 대해서 회전이 아닌 동작이 실행되는 또 다른 수단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도록, 직선 동작, 기울임 동작, 가역시킬 수 있는 스프링에 의한 밀기 동작, 가역시킬 수 있는 스프링에 의한 당김 동작, 밀기/당기기 동작 등을 수동으로 실행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다.
회전식 절환 수단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회전식 절환 수단을 제1 연결 위치로 회전시켜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롭슨 드라이브를 위해서, 그리고 횡 디퍼런셜 락을 제2 연결 위치에 연결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배치된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식 절환 수단이나 혹은 제2 절환 수단에 의한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에 의해, 트랙션 제어기(TC)와 같은 또 다른 구동 기능부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 구성으로 3개의 각기 다른 기능부들을 실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동 기능부들 중 하나가 트랙션 제어기(TC)이면,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은, 회전식 절환 수단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가역 가능한 밀기 동작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트랙션 제어기(TC)는 안전 향상 시스템으로서 운전자가 그 트랙션 제어기(TC)의 기능의 선택을 적극적으로 해제시켜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자동차가 출발할 때에, 트랙션 제어기(TC)는 작동 위치, 즉 정상 위치인 노상 위치(on-road position)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식 절환 스위치에는 제2 절환 수단뿐만 아니라 제3 절환 수단도 일체로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에 의해 또 다른 구동 기능부들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요소(20)는 그의 원주부/주변부의 형상을 원이 아닌 형상, 일례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퍼런셜 기능부들은 자동차의 구동 방식, 일례로 트럭의 각기 다른 형태에 따라서, 그리고 구동 차축의 수, 전방 차륜 상의 구동력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식 절환 수단의 회전 위치들은 그 절환 수단이 디퍼런셜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형태에 따라서 각기 다른 기능부들을 가지며, 그 회전 위치의 수도 그에 따라 변동된다. 또한,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에 의해 실행되는 여러 구동 기능부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자동차용으로 적합하다. 일례로, 전륜 구동 차량은 일반적으로 트랙션 제어기(TC)를 구비하지 않으며, 후륜 구동 차량은 트랜스퍼 기어박스를 구비하지 않고 그에 따라 고단/저단 기어도 구비하지 않는다.
제2 절환 수단 또는 회전식 절환 수단의 제2 동작은 2 개 이상의 위치, 일례로 다른 구동 기능부들 모두가 해제되는 위치와, 제2 절환 수단/동작과 다른 제2 구동 기능부, 일례로 트랙션 제어기(TC)가 연결되는 위치와, 제1 절환 수단/동작과 다른 제3 구동 기능부, 일례로 자갈 스프레더가 연결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환 장치 상의 부호는 숫자 형태로 취할 수 있지만, 각 위치에 위치된 구동 기능부들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적합하며 명료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라도 적절하다. 환형 요소들 상의 상기 부호들 간의 각도 간격, 즉 사용자가 구동 기능을 연결/해제시키기 위해 취해야 하는 회전시키는 단계의 길이는, 회전 동작이 사용자에게 편리해지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특정의 회전식 절환 수단에 필요한 부호/회전 단계들의 개수에 맞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그 간격은 회전 단계들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일례로 45°, 90°, 180°로 할 수 있다.
회전식 절환 수단, 즉 회전 동작을 실행하는 절환 수단에 의해서 실행되거나 혹은 제2 절환 수단을 거쳐서 실행되며 회전 동작과는 다른 임의의 바람직한 동작, 일례로 밀기/당기기 동작, 직선 동작, 기울임 동작 등과 같은 동작이 상기 실시예의 회전식 절환 수단들 중 임의의 것에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식 절환 수단은 차량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제1 절환 수단을 거쳐서 실행되거나 제2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되며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동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회전식 절환 수단을 거쳐서 실행되거나 제2 절환 수단에 의해 실행되며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이 차량의 디퍼런셜 기능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회전식 절환 수단은 디퍼런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능, 일례로, 트랙션 제어기(TC), 자갈 스프레더 등을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조작 장치를 자동차의 계기판에 설치한 것으로 예를 들었지만, 운전자에게 적절하다면 자동차의 어떤 위치에라도, 일례로 좌석 사이의 위치, 조향 휠 상의 위치, 운전자 좌석에 인접한 도어 위치 등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고, 다만 별첨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6)

  1. 디퍼런셜 기능부를 포함한 구동 기능부들을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자동차(50, 150, 250)용 조작 장치로서,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절환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I, II, III)에 있어서,
    상기 절환 수단은 회전 동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는 회전식 절환 수단(30, 130, 230)을 포함하고,
    상기 절환 수단에는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동 기능부를 연결/해제시키기 위한 편의 장치(30, 140, 240)들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30)은 상기 회전 동작과 다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30)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누름/당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기울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조작 상태와 제2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가역되게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조작 상태와 제2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가역되게 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130, 230)에는 상기 회전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는 편의 장치(140, 24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 장치는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130, 230)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2 절환 수단(140, 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누름/당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수단(240)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기울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수단(140)은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조작 상태와 제2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가역되게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수단은 적어도 제1 조작 상태와 제2 조작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가역되게 당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퍼런셜 기능부의 연결/해제가 상기 회전식 절환 수단(30, 130, 2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작 장치(I, II, III)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17001478A 2008-06-19 2009-06-15 조작 장치 KR101563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801451-6 2008-06-19
SE0801451A SE533437C2 (sv) 2008-06-19 2008-06-19 Manövreringsanordning och motorfordon innehållandes manövreringsanord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230A true KR20110033230A (ko) 2011-03-30
KR101563295B1 KR101563295B1 (ko) 2015-10-26

Family

ID=4143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478A KR101563295B1 (ko) 2008-06-19 2009-06-15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677292B2 (ko)
KR (1) KR101563295B1 (ko)
CN (2) CN102067060A (ko)
DE (1) DE112009001484B4 (ko)
SE (1) SE533437C2 (ko)
WO (1) WO2009154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4656A1 (en) 2012-05-02 2013-11-07 Renault Trucks Differential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FR3020787B1 (fr) * 2014-05-06 2017-08-25 Renault Sas Procede de pilotage d'une transmission hydrostatique de vehicule a quatre roues motrices.
DE102019109301B3 (de) * 2019-04-09 2020-07-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Multifunktionsschalter sowie Verfahren zum Bedienen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413A (en) * 1987-04-27 1989-08-08 Mazda Motor Corporation Transfer case shifting apparatus for part-time four-wheel drive vehicle
JP2703555B2 (ja) * 1987-04-27 1998-01-26 マツダ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ー切替装置
DE19602270C1 (de) 1996-01-23 1997-07-24 Sidler Gmbh & Co Elektrische Schalteinheit für ein Schiebe-Hub-Dach
WO1998001317A1 (fr) * 1996-07-05 1998-01-15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d'energie
JP3452112B2 (ja) * 1996-12-26 2003-09-29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用トランスファ装置の操作装置
DE19946021A1 (de) 1999-05-18 2000-11-23 Eaton Corp Steuer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Stellmotoren für die Verstellung verschiedener Sitzteile eines Sitzes
DE10061187C2 (de) 2000-12-07 2003-06-18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Bedienelement für ein motorisch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mit transparentem Deckel und Rollo für diesen
DE102005030130A1 (de) * 2004-06-29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imited, Kadoma Mehrwege-Bedienungsschalter, Eingabevorrichtung und Eingabeeinheit
DE102005045300A1 (de) 2005-09-22 2006-09-28 Audi Ag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ersten und einer zweiten bewegbaren Sonnen- und/oder Windschutzvorrichtung an einem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51895A (zh) 2016-07-13
DE112009001484T5 (de) 2011-05-12
CN102067060A (zh) 2011-05-18
WO2009154553A1 (en) 2009-12-23
DE112009001484B4 (de) 2022-03-17
JP2011524585A (ja) 2011-09-01
JP5677292B2 (ja) 2015-02-25
KR101563295B1 (ko) 2015-10-26
SE533437C2 (sv) 2010-09-28
SE0801451L (sv) 200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3029A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DE102016119269A1 (de) Übertragung für ein Fahrzeug
CA2550276C (en) Control lever system
JP2006521959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上に車両の動的性能選択スイッチを有する車両
CA2341087A1 (en) Driving force control system for four-wheel drive vehicles
KR20110033230A (ko) 조작 장치
CN101779065B (zh) 用于控制具有全轮驱动的机动车中的自动变速器的方法
CN102235492A (zh) 用于车辆的自动变速器
JP2004034966A (ja) 駐車ブレーキ用電動装置
JP6211291B2 (ja) シフト装置システム
US20100217492A1 (en) Pedal Lock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
CN201703255U (zh) 轻型载货卡车差速锁机构拉杆式操纵装置
JP7401360B2 (ja) 作業車
JP4729972B2 (ja) 作業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2518821B2 (ja) 4輪駆動車の駆動システム
JP3579983B2 (ja) トラクタのオート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4224164A (ja) 動力車両
JPH0243786Y2 (ko)
JPH078619B2 (ja) トラクタ
JP3235598B2 (ja) トラクタ
JP3080514B2 (ja) 乗用作業機のブレーキ装置
JP2021052452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2249033A (ja) 走行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H0515707U (ja) 作業車両における走行安全装置
JPH10129287A (ja) 移動車両の走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30

Effective date: 2014050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714

Effective date: 201506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7

Effective date: 201508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