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504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504A
KR20110025504A KR1020090083604A KR20090083604A KR20110025504A KR 20110025504 A KR20110025504 A KR 20110025504A KR 1020090083604 A KR1020090083604 A KR 1020090083604A KR 20090083604 A KR20090083604 A KR 20090083604A KR 20110025504 A KR20110025504 A KR 2011002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k
wiping
print head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건
정연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5504A/ko
Priority to US12/791,948 priority patent/US8544985B2/en
Publication of KR2011002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44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 B41J2/16547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the wipers and caps or spittoons being on the same movabl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터넌스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장치는 공급되는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헤드칩을 구비하며,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트 헤드유니트와;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퍼부재와, 복수의 와이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프린트 헤드유니트 하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핑유니트와; 프린트 헤드유니트에서 스피팅 된 잉크를 수용 및 배출하는 잉크 배출유니트와; 와이핑 대기 위치인 제1전진위치, 스크래핑 위치인 제2전진위치 및 캐핑공간을 확보하도록 후퇴하는 후퇴위치 중 적어도 두 위치 사이에서 와이핑유니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유니트와; 승강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전진위치에 위치하는 와이핑유니트를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배열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폭방향 구동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터넌스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방식에 따라 노즐을 통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 방식, 써멀헤드를 이용하는 열전사 방식 및 대전-노광-현상-전사-정착 프로세스를 통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노즐이 형성된 프린트 헤드를 가진다. 노즐은 프린트 헤드의 잉크토출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거나 다른 색상의 잉크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장력에 의하여 형성되는 노즐 단부 내의 메니스커스가 깨질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노즐과 프린트 헤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메인터넌스(maintenance)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 메인터넌스 장치는 와이핑(wiping) 기능, 프린트 헤드를 보호하는 캐핑(capping) 기능, 노즐 내에 이 물질을 제거하는 스피팅(spitting) 기능, 와이퍼를 크리닝하는 스크래핑(scrapping) 기능 등을 수행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들 가운데 와이핑 구조는 프린트 헤드의 표면을 크리닝하여 노즐 단부의 잔류 잉크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이다.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한 라인을 한꺼번에 인쇄가능한 어레이 타입의 잉크젯 프린트 헤드와, 이 프린트 헤드를 크리닝하는 와이핑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와이핑구조는 그 길이방향이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의 블레이드 타입 와이퍼를 포함한다. 이 와이퍼는 인쇄매체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프린트 헤드 각각에 대해 동시에 와이핑 동작을 수행한다. 와이핑 후 잉크를 부분적으로 토출하는 스피팅(spitting)은 와이퍼의 일측에 와이퍼의 폭 길이를 가지는 스피툰(spittoon)에 실시하며, 스피툰을 통하여 수집된 폐잉크는 스피툰 중앙에 형성된 잉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와이핑시 와이퍼 단부에 묻은 폐잉크는 스크래퍼(scapper)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와이퍼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장폭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사용함에 따라 조립성이 떨어지고, 복수의 프린트 헤드 각각에 대하여 균일한 힘으로 와이핑을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고무 계열의 소재로 구성되는 바, 이 재질은 잉크에 대한 흡수성이 있어서 잉크 흡수시 부피 팽창을 하게된다. 이에 따라 와이퍼의 개방단이 물결무늬 형상으로 변형되어, 와이핑 성능을 저하하게 된다.
또한, 스크래핑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불완전 처리시 스크래퍼로 전이된 폐잉크가 와이퍼 블레이드로 역으로 전이되어 인쇄시 혼색을 유발하거나 노즐 막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퍼 변형에 따른 와이핑 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메인터넌스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어레이 타입의 프린트 헤드 하부에 마련된 공간을 이용하여 메인터넌스의 전체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공급되는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헤드칩을 구비하며,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트 헤드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퍼부재와, 상기 복수의 와이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 하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핑유니트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에서 스피팅 된 잉크를 수용 및 배출하는 잉크 배출유니트와; 와이핑 대기 위치인 제1전진위치, 스크래핑 위치인 제2전진위치 및 캐핑공간을 확보하도록 후퇴하는 후퇴위치 중 적어도 두 위치 사이에서 상기 와이핑유니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유니트와; 상기 승강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전진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핑유니트를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배열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폭방향 구동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핑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와이퍼 프레임과; 상기 와이퍼 프레임와 상기 지지부재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폭방향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와이퍼부재 각각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폭방향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일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가 상기 제1전진위치에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잉크토출면에 접촉하는 위치로 상승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복수의 와이퍼 부재가 상기 제1전진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와이퍼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와이퍼 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잉크 배출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 내에 마련되며,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로부터 스피팅되는 잉크를 잉크수용부로 안내하는 스피툰과; 상기 스피툰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피툰에서 배출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와; 상기 잉크수용부에 형성된 잉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폐잉크 저장부와; 상기 잉크수용부와 상기 폐잉크 저장부 사이의 잉크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잉크수용부 내의 잉크를 상기 폐잉크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배출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칩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헤드칩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폐잉크 배출구는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수용된 폐잉크를 동시에 상기 폐잉크 저장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방향 구동유니트는, 제1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과; 상기 셔틀을 구동하는 셔틀 구동원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핑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핑유니트가 제1 및 제2전진위치에 위치시 상기 제1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핑유니트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가 상기 잉크토출면과 접촉하여 와이핑 동작 수행시 상기 헤드칩과 상기 와이퍼 사이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대기위치와 인쇄 동작시 인쇄매체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헤드칩면에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인쇄매체 지지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플래튼과; 상기 플래튼이 상기 제1대기위치와 상기 인쇄매체 지지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플래튼을 구동하는 플래튼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대기위치와 클리닝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를 클리닝하는 스크래핑 유니트와; 상기 스크래핑유니트가 상기 클리닝 위치와 상기 제2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스크래핑유니트를 구동하는 스크래핑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대기위치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상기 헤드칩면을 캡핑하는 캡핑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캡핑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헤드칩 각각에 대하여 개별 와이퍼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와이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각 와이퍼부재를 독립적으로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므로, 와이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잉크배출유니트를 마련함에 있어서, 복수의 스피툰 및 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잉크수용부를 마련하고, 동시에 폐잉크를 회수함으로써 폐잉크를 폐잉크 저장부로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린트 헤드유니트 하부에 마련된 하나의 공간을 이용하여, 와이핑, 스크래핑, 캡핑 및 플래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공간 활용 효율을 높여 전체 구성을 콤팩트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 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와,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잉크토출면을 닦는 와이핑유니트(200)와, 스피팅(spitting) 및 스크래핑(scrapping)에 과정에서 발생된 폐잉크를 배출하는 잉크 배출유니트(600)와, 상기 와이핑유니트(200)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유니트(400) 및 상기 와이핑유니트(200)를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폭방향 구동유니트(300)를 포함한다.
프린트 헤드유니트(110)는 인쇄매체(P)의 폭방향(X)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헤드칩(C)을 포함하는 것으로, 잉크를 토출함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한다.
복수의 헤드칩(C)은 인쇄매체(P)의 폭방향(X)을 따라 소정 간격(D1, D2)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예컨대, 복수의 헤드칩(C)은 인쇄매체(P)의 길이방향(Y)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각 열의 헤드칩(C)의 단부측 노즐(미도시)이 X축방향으로 소정 간격(E)만큼 중첩되도록 교차로 배치된다.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하부공간(A)에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와이핑유니트(200), 스크래핑유니트(500), 플래튼(700) 및 캡핑유니트(8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핑유니트(200)는 와이핑 동작을 위한 와이핑 대기 위치인 제1전진위치(J1), 스크래핑 위치인 제2전진위치(J2) 및 하부공간(A)을 확보하도록 후퇴하는 후퇴위치(J3) 사이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와이핑유니트(200)는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잉크토출면(S)의 와이핑 작업이 필요한 경우 후퇴위치(J3)에서 상기 제1전진위치(J1)를 향해 실선화살표를 따라 상승 이동하며, 와이핑 작업이 완료한 경우 제1전진위치(J1)에서 후퇴위치(J3)를 향해 점선화살표를 따라 하강 이동한다. 또한, 스크래핑 동작시 스크래핑유니트(500)가 하부공간(A)에 위치된 상태에서 와이핑유니트(200)는 후퇴위치(J3)에서 제2전진위치(J2)로 상승 이동하며, 스크래핑 작업이 완료된 후 후퇴위치(J3)로 원위치 된다.
와이핑유니트(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의 폭방향(X)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와이퍼부재(210)와,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0)를 포함한다.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는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복수의 헤드칩(C)의 개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와이퍼부재(210) 각각이 그에 대응되는 헤드칩(C)을 와이핑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210)의 상기 인쇄매체의 길이방향(Y)으로의 폭(도 1의 W2)은 각각 상기 헤드칩(C)의 상기 인쇄매체의 길이방향(Y)으로의 폭(도 2의 W1)과 같거나 그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부재(210)의 폭(W2)이 헤드칩(C)의 폭(W1)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퍼부재(210)가 인쇄매체(P)의 폭방향(X)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헤드칩(C)의 전체를 와이핑 가능하다.
복수의 와이퍼부재(210) 각각은 결합편(213)에 부착되고, 결합편(213)은 체결구(F)에 의해 지지부재(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복수의 와이퍼 부재(210) 중 일부에 하자가 있는 경우, 용이하게 와이퍼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는 상기한 결합편(213)의 이용없이 지지부재(220)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220)는 복수의 와이퍼부재(210)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221)와, 상기 제1지지부재(221)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지지부재(221, 22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지지부재(221)는 결합편(213)에 결합된 와이퍼부재(210)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이 삽입부는 내부에 와이퍼부재(210) 및 상결합편(213)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한 쌍의 삽입돌기(221a, 2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한 쌍의 삽입돌기(221a, 221b)는 복수의 와이퍼부재(210)의 개수만큼 마련된다.
제1 및 제2지지부재(221) 각각에는 잉크 배출유니트(600)를 이루는 스피툰(spittoon)(610)과, 잉크수용부(620)가 형성된다. 스피툰(610)은 헤드칩(C)의 노즐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인쇄 후 노즐을 통해 잉크를 외부로 토출하는 스피팅(spitting) 과정 상 스피팅되는 잉크를 잉크수용부(620)로 안내한다. 잉크수용부(620)에는 수용된 폐잉크를 폐잉크 저장부(630)로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6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지지부재(225)는 제1지지부재(221)가 안착되는 안착면(225a)을 포함한다. 이 안착면(225a)은 잉크수용부(620) 상단부에 마련되며, 제1지지부재(221)의 하단부 전체를 수용한다.
스피팅 과정 중에 헤드칩(C)의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와, 스크래핑 과정 중에 와이퍼부재(210)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은 스피툰(610)을 통과하여 잉크수용부(620)에 수용된다. 잉크 배출유니트(6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지지부재(221)(2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크래핑유니트(500)의 무단벨트 구동 피니언(도 13의 521)과 치합 가능한 와이퍼 랙(rack)(225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단벨트 구동 피니언(도 13의 521) 및 상기 와이퍼 랙(225c)이 맞물림에 따라 지지부재(220)의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후술하는 스크래핑유니트(500)의 무단벨트(도 14의 510)가 순환 이동한다. 이에 대한 구동메카니즘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와이핑유니트(200)는 지지부재(220)를 지지하는 와이퍼 프레임(230)과, 가이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50)는 와이퍼 프레임(230)과 지지부재(220)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폭방향 구동유니트(300)에 의하여 지지부재(220)가 인쇄매체(P)의 폭방향(X)으로 이동시 복수의 와이퍼부재(210) 각각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부(250)는 폭방향 구동유니트(300)에 의하여 지지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이동시, 복수의 와이퍼부재(210)가 제1전진위치(J1)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잉크토출면에 접촉하는 위치(도 7의 H2 → H3 위치)로 상승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가이드부(250)는 지지부재(22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 복수의 와이퍼부재(210)가 제1전진위치(J1)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250)는 와이퍼 프레임(230)과 상기 지지부재(2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51)와, 와이퍼 프레임(230)과 지지부재(22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25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5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기(251)의 승강 높이가 가이드홈(256)에 의하여 규제됨으로써, 지지부재(220)가 와이퍼 프레임(230)에 대해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 이동시 와이퍼부재(210)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51)는 제2지지부재(225)의 양 측면에 인쇄매체(P)의 폭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2지지부재(225)의 일 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그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홈(255)은 가이드돌기(251)가 대기위치(H5)에서 제1위치(H1), 제2위치(H2), 제3위치(H3), 제4위치(H4)를 경유하여 다시 원래의 대기위치(H5)로 복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대기위치(H5)에서 가이드돌기(251)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255) 내에 안착홈(259)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기위치(H5)는 생략되고, 제1위치(H1) 또는 제4위치(H4)가 대기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기(251)가 대기위치(H5)에서 제1 내지 제4위치(H1, H2, H3, H4)를 경유하여 다시 대기위치(H5)로 복귀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210)가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잉크토출면(S) 각각을 와이핑하는 와이핑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홈(255)은 상기 제1 내지 제4위치(H1, H2, H3, H4)를 형성하기 위하여, 와이퍼부재가 제1전진위치(J1)에서 소정 높이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돌기(256)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돌기(257) 및 경사지게 형성된 제2돌기(257)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251)는 제1돌기(256)의 경사면(256a)을 따라 제1위치(H1)에서 제2위치(H2)로 이동하면서, 와이퍼부재(210)를 와이핑 위치로 상승시킨다.
가이드돌기(255)의 제2위치(H2)에서 제3위치(H3)까지의 이동방향은 실질적으로 인쇄매체의 폭방향(X)에 나란하다. 여기서, 제2위치(H2)에서 제3위치(H3)까지의 거리는 헤드칩(C)의 인쇄매체 폭방향(X)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그 보다 크다. 따라서, 각 와이퍼부재(210)가 대응되는 헤드칩(C)의 전면(全面)을 확실하게 와이핑 할 수 있다.
이후, 동일 방향으로 지지부재가 일정 거리 이동하고, 가이드돌기(251)는 제2돌기(257)의 단부에서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즉, 가이드돌기(251)는 제3위치(H3)에서 제4위치(H4)로 하강한다. 이어서, 폭방향 구동유니트(300)의 구동에 의하여 지지부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제4위치(H4)에 위치된 가이드돌기(251)는 제2돌기(257)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경로를 따라 제5위치(H5)로 이동하면서 안착되면서, 일련의 와이핑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 사이클의 와이핑 동작시, 인쇄매체(P)의 길이방향(Y)으로 경사진 경사면(258)을 따라서 인쇄매체의 길이방향(Y)으로 쉬프팅되면서, 제1돌기(256)를 통과하여 대기위치(H5)에서 제1위치(H1)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251)는 제1지지부재(221)에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지지부재(221)(225)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251)와 가이드 홈(255) 각각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와이퍼 프레임(230)의 내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제2지지부재(225)의 외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와이퍼 프레임(230)은 후술하는 승강 구동유니트의 승강랙 돌기(423)가 결합되는 승강?? 돌기 삽입부(233)와, 후술하는 커넥팅로드(432)가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 인쇄매체의 폭방향을 따라 장공(長空) 형태로 마련되는 커넥팅로드 삽입공(235)을 더 포함한다.
잉크 배출유니트(600)는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에서 스피팅시 사용한 잉크 및 와이핑 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을 수용 및 배출한다. 이 잉크 배출유니트(600)는 제1지지부재(2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피툰(610)과, 스피툰(610)에서 배출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620)와, 폐잉크 저장부(630) 및 배출 구동원(650)을 포함한다.
상기 잉크수용부(620)는 복수의 헤드칩(C)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헤드칩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포함한다. 이 경우, 폐잉크 배출구(621)는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수용되는 폐잉크를 동시에 폐잉크 저장부(630)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잉크수용부(620)는 각각 2개의 헤드칩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8개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각 수용공간의 하부에 잉크 배출구(6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잉크 수용부(620)는 수용되는 폐잉크가 자중(自重)에 의하여 잉크 배출구(621) 방향으로 모이도록 잉크 배출구(621)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폐잉크 저장부(630)는 복수의 수용공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잉크 배출경 로(640)를 통하여 폐잉크 수용부(620)와 연결된다. 배출 구동원(650)은 잉크수용부(620)와 폐잉크 저장부(630) 사이의 잉크 배출경로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잉크수용부(6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수용된 폐잉크를 폐잉크 저장부(630)로 배출한다.
승강 구동유니트(400)는 와이핑유니트(200)를 제1, 제2전진위치(J1, J2) 및 후퇴위치(J3) 중 적어도 두 위치 사이에서 와이핑유니트(200)를 승강 이동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 구동유니트(400)는 승강랙(420)과, 승강용 구동원(410)과, 폴딩유니트(430)를 포함한다. 승강랙(420)은 와이퍼 프레임(230)의 승강랙 돌기 삽입부(233)에 삽입되는 승강랙 돌기(4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랙 돌기 삽입부(233)는 와이퍼 프레임(230)의 중간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승강랙 돌기 삽입부(233)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폐쇄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승강용 구동원(410)은 승강랙(420)을 상하방향(도 2의 Z)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폴딩유니트(430)는 와이핑유니트(200)를 지지하며, 와이핑유니트(200)가 상승시 펼쳐지고, 와이핑유니트(200)가 하강시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승강용 구동원(410)의 구동축에 설치된 웜기어(411)의 구동력은 중계기어(412)(415)를 통해 피니언(미도시)으로 전달된다. 피니언은 중계기어(415)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승강랙(420)의 기어열(421)과 치합된다. 따라서 피니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랙(420)이 승강함에 따라, 승강랙(420)이 연결된 와이핑유니트(200) 가 승강한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폴딩유니트(430)는 와이퍼 프레임(230)의 양측 각각에서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크로스바(도 8의 431, 433)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크로스바(431)의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커넥팅로드(432)를 포함한다. 이 제1커넥팅로드(432)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인쇄매체 폭방향(X)으로 형성된 장공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미도시)의 길이만큼 자유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커넥팅로드 중 상측에 위치된 제2커넥팅 로드(434)는 와이퍼 프레임(230)의 커넥팅로드 삽입공(도 4의 235)에 인쇄매체 폭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와이핑유니트(200)를 승강하고자 하는 경우 승강 구동유니트(400)에 의하여 폴딩유니트(430)의 단부 높이가 가변되면서 와이핑유니트(200)가 승강된다.
폭방향 구동유니트(300)은 인쇄매체의 폭방향(X)을 따라서 와이핑유니트(200)의 지지부재(220)를 왕복 이동시킨다. 즉, 제1전진위치(J1) 또는 제2전진위치(J2)에 위치하는 와이핑유니트(200)를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배열방향으로 왕복 구동한다.
이를 위하여, 폭방향 구동유니트(30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의 상기 폭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제1걸림부(335)를 가지는 셔틀(330)과, 셔틀(330)을 구동하는 셔틀 구동원(31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와이핑유니트(200)는 지지부재(220)에 설치되는 제2걸림부(290)를 포함한다. 이 제2걸림 부(290)는 와이핑유니트(200)가 후퇴위치(J3)에서 제1전진위치(J1) 또는 제2전진위치(J2)에 위치시 제1걸림부(335)에 걸림 결합되며, 다시 후퇴위치(J3)로 이동시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 폭방향 구동유니트(300)는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X)을 따라 순환하는 것으로 폭방향 구동원(31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벨트(320)와, 셔틀(330)에 설치되어 구동벨트(320)를 클램핑하는 클램퍼(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방향 구동원(310)의 구동축에는 웜기어(313)가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313)의 구동력은 중계기어(314, 315)를 경유하여 상기 구동벨트(320)를 구동하는 구동풀리(316)까지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와이퍼부재가 상기 잉크토출면과 접촉하여 와이핑 동작 수행시, 상기 헤드칩과 상기 와이퍼 사이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900)는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와 마주하는 와이핑유니트(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지지부재(221)가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900)를 구비하는 경우 와이퍼부재를 제2지지부재(221)에 설치시 및 제2지지부재(221)의 기구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와이퍼부재(210)가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한 상태로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잉크 토출면(S)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900)는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 튼(700) 및 플래트 구동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트(700)은 잉크 토출면(S)으로부터 토출된 잉크에 의해 인쇄매체(P)가 인쇄되도록 인쇄매체(P)를 지지하는 지지위치(K2)와 이 지지위치(K2)로부터 후퇴한 제1대기위치(K1) 간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래튼 구동부(750)는 동작모드에 따라 플래튼(700)이 제1대기위치(K1)와 인쇄매체 지지위치(K2)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플래튼(700)을 구동한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상기 플래튼(700)이 지지위치(K2)에 위치하도록 플래튼 구동유니트(750)는 제어부(130)에 의하여 구동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즉시 인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를 클리닝하는 스크래핑유니트(500)와, 스크래핑 구동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핑유니트(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대기위치(L1)와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위치(L2)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래핑유니트(5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벨트(510)와, 벨트지지프레임(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14는 도 13의 벨트지지프레임(520)의 내부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커버(528)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무단벨트(510)는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210)의 상기 상방향(Z)의 선단부에 부착된 폐잉크 또는 이물질들을 닦아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단벨트(510)는 면과 같이 액체를 잘 흡수하는 성질의 천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단벨트(510)는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를 향해 노출되는 노출위치 및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를 향해 노출되지 않는 비노출위치간을 순환한다.
상기 벨트지지프레임(520)은 상기 무단벨트(510)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를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무단벨트(510)를 수용한다. 벨트지지프레임(520)은 노출위치에서 무단벨트(510)가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무단벨트(510)를 지지하는 벨트지지면(527)과, 상기 비노출위치에서 상기 무단벨트(510)를 주름진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공간(526)을 갖는다.
상기 무단벨트(510)가 주름진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526)에 저장됨으로써, 많은 양의 무단벨트(510)가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단벨트(510)의 교체주기를 길게 가져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단벨트(510)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바, 스크래핑유니트(5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핑 구동부(5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핑유니트(500)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상기 하방영역(A)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를 클리닝 가능한 상기 클리닝위치(L2) 및 상기 제2대기위치(L1)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래핑유니트(500)를 구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제3대기위치(미도시)와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헤드칩면을 캡핑하는 캡핑위치(N) 간을 이동 가능하게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캡핑유니트(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핑유니트(800)는 스크래핑유니 트(500)의 상측면에 마련되어, 스크래핑유니트(500)가 클리닝위치(L2) 및 제2대기위치(L1)로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각각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상기 잉크토출면(S)을 캡핑하는 캡핑위치(N) 및 상기 캡핑위치로부터 후퇴하는 제3대기위치 간을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 상기 캡핑유니트(800)가 잉크토출면(S)을 캡핑함으로써,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캡핑유니트(800)를 스크래핑유니트(500)의 상측에 마련하는 경우, 캡핑유니트(800)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유니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체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핑유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구동원에 의하여 스크래핑유니트(500)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정조건에 따라서 와이핑, 스피팅, 스크래핑 및 캡핑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승강 구동유니트(400), 폭방향 구동유니트(300) 및 스크래핑 구동부(55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와이핑 동작 및 스피팅 동작 수행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2에 있어서, 지지부재(220) 및 셔틀(330)의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의 이동정도를 확인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동일 위치에 기준위치(U)를 표시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핑유니트(200)는 와이핑 및 스크래핑 동작 미수 행시, 후퇴위치(J3)에서 대기한다.
와이핑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퍼부재(210)가 제2전진위치(J2)로 상방향(1)으로 상승 이동하도록 승강 구동유니트(4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핑유니트(200)의 상기 지지부재(220)에 설치된 제2걸림부(290)가 상기 셔틀(330)에 설치된 제1걸림부(335)와 걸림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핑유니트(200)가 상기 제2전진위치(J2)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는 아직 잉크토출면(S)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이다. 즉, 복수의 와이퍼부재(210) 각각과 프린트 헤드유니트(110)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셔틀(330)을 구동하고, 셔틀(330)이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X)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20)도 상기 와이퍼 프레임(230)에 대해서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돌기(도 4의 251)가 상기 와이퍼 프레임(230)의 내벽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도 7의 255)과 상호작용하여 대기위치(도 7의 H5)에서 제1위치(도 7의 H1)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구동유니트(300)를 제어하여 지지부재(220)를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X)의 역방향(3)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가이드돌기(도 4의 251)는 가이드홈(도 7의 255)과 상호작용하여 제1위치(도 7의 H1)에서 제2위치(도 7의 H2)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위치와 제2위치는 높이 차이를 가지므로, 상기한 이동에 의하여, 지지부재(220)의 상측에 마련 된 복수의 와이퍼부재(210)는 제1전진위치(J1)로 상승하고, 잉크토출면(S)의 제1접촉위치(V1)에 접촉한다.
이후, 가이드돌기(도 4의 251)가 상기 제2위치(도 7의 H2)에서 상기 제3위치(도 7의 H3)로 이동하고, 그 이동량만큼 각 와이퍼부재(210)가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해당 헤드칩(C)의 잉크토출면을 와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각 와이퍼부재(210)가 제2접촉위치(V2)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110)를 제어하여 각 헤드칩(C) 내의 노즐이 노즐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잉크를 스피팅하게 한다. 이렇게 스피팅된 폐잉크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스피툰(도 4의 610)을 통과하여, 잉크 수용부(도 4의 620)로 유입되며, 최종적으로 폐잉크 저장부(도 6의 630)에 저장되면서, 스피팅 과정이 완료된다.
이후, 지지부재(220)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도 4의 251)가 상기 제3위치(도 7의 H3)에서 상기 제4위치(도 7의 H4)하향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20)도 상기 와이퍼 프레임(210)에 대해서 상기 제3위치(도 7의 H3)와 상기 제4위치(도 7의 H4)의 높이차이 만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지지부재(220)가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 다시 이동하도록 상기 폭방향 이동유니트(3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가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에, 제어부(130)는 와이핑유니트(200)가 초기의 후퇴위치(도 8의 J3)로 하강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 구동유니트(40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스크래핑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래핑 동작시, 제어부(130)는 스크팹핑 구동부(550)를 제어하여 스크래핑유니트(500)를 제2대기위치(L1)에서 클리닝위치(L2)로 이동시킨다. 도 15는 클리닝위치(L2)로 이동된 스크래핑유니트(500)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캡핑유니트(800)가 스크래핑유니트(500)와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스크래핑유니트(500)가 클리닝위치(L2)로 이동시, 캡핑유니트(800)도 프린트 헤드유니트(110)의 잉크토출면을 캡핑하는 캡핑위치(N)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핑유니트(200)를 제1후퇴위치(J3)에서 상방향(Z)으로 상승이동 하도록, 승강 구동유니트(40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와이핑유니트(200)는 무단벨트 접촉위치인 제2전진위치(J2)까지 상승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핑유니트(200)가 제2전진위치(J2)까지 상승이동하면 제2걸림부(290)가 셔틀(330)의 제1걸림부(340)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셔틀(330)과 함께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 소정 구간 왕복이동 가능하다.
이후, 제어부(1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구동유니트(300)를 제어하여, 복수의 와이퍼부재(210)가 무단벨트(510)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부재(220)를 와이퍼 프레임(230)에 대해서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이 에 따라, 와이퍼부재(210)의 단부에 존재하는 폐잉크 또는 이물질을 크리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0)를 다시 인쇄매체의 폭방향(X)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폭방향 구동유니트(3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퍼부재(210)의 폐잉크 또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상기 무단벨트(510)의 오염된 부분은 상기 인쇄매체 폭방향(X)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크래핑유니트(500)의 저장공간(526)에 존재하는 깨끗한 무단벨트(510)가 유출되어, 다음차례의 스크래핑 작업 시 사용된다.
상술한 와이핑, 스피팅 및 스크래핑 동작은 일련의 프로세스로서 사용자가 메인터넌스를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상술한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한 메인터넌를 수행시, 사용자의 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즉시 인쇄가 불가능함을 통지해 줄 수도 있다. 통지의 방법으로는 조작패널(미도시)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서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와이핑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와이핑유니트의 와이퍼부재 및 지지부재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와이핑유니트의 지지부재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4의 와이핑유니트의 가이드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와이핑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스크래핑유니트가 클리닝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스크래핑유니트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스크래핑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110: 프린트 헤드유니트
200: 와이핑유니트 210: 와이퍼부재
220: 지지부재 221: 제1지지부재
225: 제2지지부재 230: 와이퍼 프레임
250: 가이드부 300: 폭방향 구동유니트
330: 셔틀 400: 승강 구동유니트
410: 승강용 구동원 420: 승강랙
430: 폴딩유니트 500: 스크래핑유니트
510: 무단벨트 550: 스크래핑 구동부
600: 잉크 배출유니트 610: 스피툰
620: 잉크 수용부 630: 폐잉크 저장부
650: 배출 구동원 700: 플래튼
750: 플래튼 구동유니트 800: 캡핑유니트

Claims (11)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헤드칩을 구비하며,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트 헤드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퍼부재와, 상기 복수의 와이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 하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핑유니트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에서 스피팅 된 잉크를 수용 및 배출하는 잉크 배출유니트와;
    와이핑 대기 위치인 제1전진위치, 스크래핑 위치인 제2전진위치 및 캡핑공간을 확보하도록 후퇴하는 후퇴위치 중 적어도 두 위치 사이에서 상기 와이핑유니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유니트와;
    상기 승강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전진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핑유니트를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배열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폭방향 구동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와이퍼 프레임과;
    상기 와이퍼 프레임와 상기 지지부재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폭방향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와이퍼부재 각각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폭방향 구동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일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가 상기 제1전진위치에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잉크토출면에 접촉하는 위치로 상승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복수의 와이퍼 부재가 상기 제1전진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와이퍼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와이퍼 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배출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 내에 마련되며,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로부터 스피팅되는 잉크를 잉크수용부로 안내하는 스피툰과;
    상기 스피툰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스피툰에서 배출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수용부와;
    상기 잉크수용부에 형성된 잉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폐잉크 저장부와;
    상기 잉크수용부와 상기 폐잉크 저장부 사이의 잉크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잉크수용부 내의 잉크를 상기 폐잉크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배출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헤드칩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헤드칩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폐잉크 배출구는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수용된 폐잉크를 동시에 상기 폐잉크 저장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구동유니트는,
    제1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과; 상기 셔틀을 구동하는 셔틀 구동원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핑유니트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핑유니트가 제1 및 제2전진위치에 위치시 상기 제1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유니트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가 상기 잉크토출면과 접촉하여 와이핑 동작 수행시 상기 헤드칩과 상기 와이퍼 사이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대기위치와 인쇄 동작시 인쇄매체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헤드칩면에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인쇄매체 지지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플래튼과;
    상기 플래튼이 상기 제1대기위치와 상기 인쇄매체 지지위치 사이에서 이동되 도록, 상기 플래튼을 구동하는 플래튼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2대기위치와 클리닝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와이퍼부재를 클리닝하는 스크래핑유니트와;
    상기 스크래핑유니트가 상기 클리닝 위치와 상기 제2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스크래핑유니트를 구동하는 스크래핑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3대기위치와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상기 헤드칩면을 캡핑하는 캡핑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린트 헤드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캡핑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83604A 2009-09-04 2009-09-04 화상형성장치 KR20110025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604A KR20110025504A (ko) 2009-09-04 2009-09-04 화상형성장치
US12/791,948 US8544985B2 (en) 2009-09-04 2010-06-02 Print head mainten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604A KR20110025504A (ko) 2009-09-04 2009-09-0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504A true KR20110025504A (ko) 2011-03-10

Family

ID=4364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604A KR20110025504A (ko) 2009-09-04 2009-09-0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44985B2 (ko)
KR (1) KR201100255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813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잉크테크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KR20210047404A (ko) * 2019-10-21 2021-04-30 (주)한양씨앤씨 디지털 인쇄기용 헤드의 와이핑 장치
US12049084B2 (en) 2022-04-13 2024-07-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er,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and print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9014B2 (en) 2010-10-15 2013-09-10 Zamtec Ltd Multiple monochromatic print cartridge printing system
US8764164B1 (en) 2013-01-31 2014-07-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service station with spittoon plow
JP6065686B2 (ja) * 2013-03-22 2017-0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搬送装置、記録装置
JP6372099B2 (ja) * 2014-03-10 2018-08-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ワイパー装置、液体吐出装置、ならびにワイピング方法
JP6378961B2 (ja) * 2014-07-31 2018-08-22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方法
JP6452345B2 (ja) * 2014-08-19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17610B2 (ja) * 2014-11-28 2017-10-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記録ヘッドの回復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676890B2 (ja) * 2015-06-26 2020-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EP3322592A4 (en) * 2015-07-14 2019-05-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EAR INDICATORS OF WIPING MATERIAL
JP6695569B2 (ja) * 2016-08-30 2020-05-20 株式会社リコー ワイパーブレード、ワイピングユニット、インク吐出ユニット及びインクを吐出する装置
US11305540B2 (en) 2018-07-20 202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eaning print head cap
JP7155913B2 (ja) * 2018-11-15 2022-10-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7216203B2 (ja) 2019-06-10 2023-01-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ダミージェ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9118989A1 (de) * 2019-07-12 2021-01-1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Drucker zum Bedrucken von plattenartigen Druckmedien, Säuberungseinrichtung für den Drucker sowie Verfahren zum Warten des Druckers
CN113370658B (zh) 2020-03-10 2023-02-28 兄弟工业株式会社 液体喷出装置
JP2021142641A (ja) * 2020-03-10 2021-09-2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クジェット装置およ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WO2021182325A1 (ja) * 2020-03-10 2021-09-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プログラム、及び印刷方法
JP2022154186A (ja) * 2021-03-30 2022-10-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52179T2 (de) * 1986-12-10 1998-08-20 Canon Kk Aufzeichnungsgerät und Entladungsregeneriermethode
JPH0948134A (ja) 1995-08-07 1997-02-18 Fuji Electric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151044A (en) * 1997-10-29 2000-11-21 Hewlett-Packard Company Hide-away wiper cleaner for inkjet printheads
US6497471B1 (en) * 2000-05-15 2002-12-24 Aprion Digital Ltd. Service station for inkjet printheads
JP4096316B2 (ja) * 2004-09-29 2008-06-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717463B1 (ko) 2005-08-18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JP4507213B2 (ja) 2007-12-17 2010-07-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813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잉크테크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KR20210047404A (ko) * 2019-10-21 2021-04-30 (주)한양씨앤씨 디지털 인쇄기용 헤드의 와이핑 장치
US12049084B2 (en) 2022-04-13 2024-07-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er,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and pri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7990A1 (en) 2011-03-10
US8544985B2 (en)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5504A (ko) 화상형성장치
JP588384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817696B2 (en) Ink jet printer
JP5481445B2 (ja) ワイピング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857949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for a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11147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080770A (ja) 液体噴射装置
JP2010184446A (ja) 液体吐出装置
JP201604150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11703203A (zh) 喷墨记录装置
US8444251B2 (en) Scrap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leaning methods thereof
KR20100083033A (ko) 와이퍼 클리닝 기능이 개선된 잉크젯 프린터
JP2011051102A (ja) インク吐出装置
JP4508113B2 (ja) ワイピング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582079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74767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10556434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4666946B2 (ja) 吐出口面の清掃方法、液体吐出装置およびプローブ担体の製造装置
JP2016210051A (ja) インク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機構
JP201423732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46550B2 (ja) ワイピング装置、並びに同ワイピング装置を備えたメンテナンスユニット及び流体噴射装置
JP7081266B2 (ja) ワイプ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0274599A (ja) メンテナンス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2005022316A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087165A (ja) 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